KR20130107627A - 차량용 언더커버와 그 제조방법 - Google Patents

차량용 언더커버와 그 제조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30107627A
KR20130107627A KR1020120029551A KR20120029551A KR20130107627A KR 20130107627 A KR20130107627 A KR 20130107627A KR 1020120029551 A KR1020120029551 A KR 1020120029551A KR 20120029551 A KR20120029551 A KR 20120029551A KR 20130107627 A KR20130107627 A KR 20130107627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undercover
vehicle
laminated
cover body
nonwoven fabric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2002955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박종철
정동성
Original Assignee
현대자동차주식회사
기아자동차주식회사
주식회사 세운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현대자동차주식회사, 기아자동차주식회사, 주식회사 세운 filed Critical 현대자동차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20029551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30107627A/ko
Publication of KR2013010762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30107627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2LAND VEHICLES FOR TRAVELLING OTHERWISE THAN ON RAILS
    • B62DMOTOR VEHICLES; TRAILERS
    • B62D21/00Understructures, i.e. chassis frame on which a vehicle body may be mounted
    • B62D21/15Understructures, i.e. chassis frame on which a vehicle body may be mounted having impact absorbing means, e.g. a frame designed to permanently or temporarily change shape or dimension upon impact with another body
    • B62D21/152Front or rear frames
    • B62D21/155Sub-frames or underguard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2LAND VEHICLES FOR TRAVELLING OTHERWISE THAN ON RAILS
    • B62DMOTOR VEHICLES; TRAILERS
    • B62D25/00Superstructure or monocoque structure sub-units; Parts or details thereof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2D25/20Floors or bottom sub-units
    • B62D25/2009Floors or bottom sub-units in connection with other superstructure subuni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2LAND VEHICLES FOR TRAVELLING OTHERWISE THAN ON RAILS
    • B62DMOTOR VEHICLES; TRAILERS
    • B62D29/00Superstructures, understructures, or sub-units thereof, characterised by the material thereof
    • B62D29/04Superstructures, understructures, or sub-units thereof, characterised by the material thereof predominantly of synthetic material
    • B62D29/041Understructur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YINDEXING SCHEME RELATING TO ASPECTS CROSS-CUTTING VEHICLE TECHNOLOGY
    • B60Y2306/00Other features of vehicle sub-units
    • B60Y2306/09Reducing nois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Transportat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Architecture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Body Structure For Vehicl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차량용 언더커버와 그 제조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우수한 흡음성능으로 엔진 및 변속기 등의 소음이 외부로 전파되는 것을 효과적으로 방지할 수 있으면서도 경량화가 가능하여 설치의 용이함, 차량 연비 향상 등의 여러 이점을 가지는 차량용 언더커버와 그 제조방법을 제공하는데 주된 목적이 있는 것이다.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유리섬유와 폴리프로필렌을 혼합 또는 혼련하여 시트 형태로 성형함으로써 폴리프로필렌을 기재로 하면서 유리섬유가 보강된 복합재로 이루어지는 커버본체를 포함하는 차량용 언더커버와, 그 제조방법을 제공한다. 여기서, 본 발명의 언더커버는, 상기 커버본체의 상면에 적층되고 난연발수부직포로 이루어진 제1적층재와; 상기 커버본체의 하면에 적층되고 니들부직포로 이루어진 제2적층재;를 더 포함하여 구성됨이 바람직하다.

Description

차량용 언더커버와 그 제조방법{Under cover for vehicle and method for manufacturing the same}
본 발명은 차량용 언더커버와 그 제조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우수한 흡음성능으로 엔진 및 변속기 등에서 발생하는 소음이 외부로 전파되는 것을 효과적으로 방지할 수 있으면서도 중량을 현저하게 줄여 차량에 용이하게 설치할 수 있는 차량용 언더커버와 그 제조방법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차량의 하단면에는 언더커버가 장착되는데, 이 언더커버는 엔진 및 변속기를 비롯하여 차량 하부에 설치된 부품들을 보호하는 역할을 하고, 또한 주행 중에 외부의 이물질이 차량 하부를 통해 차량 내부로 유입되는 것을 방지하는 역할을 한다.
또한 언더커버는 차량에서 발생하는 소음, 특히 엔진 및 변속기 등의 소음을 흡수 내지 차단하여 소음이 차량 외부로 전파되는 것을 방지하는 중요한 역할을 한다.
차량 주행 중에는 돌멩이나 물, 오염물질 등의 여러 이물질이 차량으로 튀기거나 차량에 자주 묻게 되고, 특히 둔턱이나 겨울철의 눈이 쌓인 곳을 지날 때는 언더커버가 취부되는 차량의 하단부가 노면이나 장애물과 마찰할 수 있기 때문에 엔진룸 내 엔진 및 변속기 등의 주요 부품에 치명적인 손상이 발생할 수 있다.
따라서, 언더커버는 소음의 외부 전파를 막아줄 수 있는 우수한 흡/차음성능이 요구될 뿐만 아니라 외부 충격을 충분히 막아낼 수 있는 높은 강도가 요구된다.
아울러, 경량화가 가능하다면 차량에 용이하게 설치할 수 있음은 물론 차체 중량을 낮추게 되므로 연비 향상에도 도움이 될 수 있다.
그러나, 종래의 언더커버는 통상 사출공정을 통해 성형한 플라스틱 커버본체의 표면에 흡음재인 발포우레탄 혹은 글래스울을 부착하여 제작하게 된다.
이러한 구성은 커버본체와 흡음재를 각각 별도의 공정으로 성형 및 제작한 뒤 이들을 서로 접착하거나 조립하는 공정까지 필요로 한다.
이에 별도 흡음재 설치로 인해 제작 공정의 불편함이 있음은 물론 공정의 복잡성, 생산성 저하, 원가 상승 등의 여러 문제점을 가지며, 흡음성능과 경량화 측면에 있어서도 미흡하여 개선이 필요한 실정이다.
따라서,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창출한 것으로서, 별도의 흡음재를 접착 또는 조립하는 종래의 제조 과정에 비해 공정이 간단하고, 생산성 향상과 제조원가의 절감이 가능해지는 차량용 언더커버와 그 제조방법을 제공하는데 목적이 있는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은 우수한 흡음성능으로 엔진 및 변속기 등의 소음이 외부로 전파되는 것을 효과적으로 방지할 수 있으면서도 경량화가 가능하여 설치의 용이함, 차량 연비 향상 등의 여러 이점을 가지는 차량용 언더커버와 그 제조방법을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이에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유리섬유와 폴리프로필렌을 혼합 또는 혼련하여 시트 형태로 성형함으로써 폴리프로필렌을 기재로 하면서 유리섬유가 보강된 복합재로 이루어지는 커버본체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언더커버를 제공한다.
바람직한 실시예에서, 상기 유리섬유가 길이 70 ~ 100 mm 범위의 장섬유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유리섬유와 폴리프로필렌의 중량비가 4:6 ~ 6:4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커버본체의 상면에 적층되고 난연발수부직포로 이루어진 제1적층재와; 상기 커버본체의 하면에 적층되고 니들부직포로 이루어진 제2적층재;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그리고, 본 발명은, 유리섬유와 폴리프로필렌을 혼합 또는 혼련하여 시트 형태로 성형함으로써 폴리프로필렌을 기재로 하면서 유리섬유가 보강된 복합재로 이루어지는 커버본체를 제조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여기서, 상기 유리섬유로 길이 70 ~ 100 mm 범위의 장섬유를 사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유리섬유와 폴리프로필렌을 4:6 ~ 6:4의 중량비로 사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그리고, 유리섬유와 폴리프로필렌을 혼합 또는 혼련한 후 시트 형태로 성형하여 복합재 시트를 제조하고, 상기 복합재 시트의 상면에 난연발수부직포를, 상기 복합재 시트의 하면에는 니들부직포를 적층한 뒤 그 적층물을 금형에서 언더커버 형상으로 프레스 성형하여, 유리섬유 보강 폴리프로필렌 복합재로 이루어진 커버본체의 양면에 상기 난연발수부직포로 이루어진 제1적층재와, 상기 니들부직포로 이루어진 제2적층재가 적층된 구조를 갖도록 제조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에 따라, 본 발명의 차량용 언더커버와 그 제조방법에 의하면, 별도의 흡음재를 제작하여 접착 또는 조립하는 종래의 제조 과정에 비해 공정이 간단하고, 결국 생산성 향상과 제조원가의 절감이 가능해지는 이점이 있게 된다.
또한 본 발명은 우수한 흡음성능으로 엔진 및 변속기 등의 소음이 외부로 전파되는 것을 효과적으로 방지할 수 있으면서도 경량화가 가능하여 설치의 용이함, 차량 연비 향상 등의 여러 이점을 가지게 된다.
특히, 본 발명의 언더커버는 유리섬유와 폴리프로필렌을 혼합한 커버본체를 포함하여 구성되므로 유리섬유 및 폴리프로필렌의 우수한 물성이 복합적으로 표출되어 우수한 강도와 흡음성능을 가지는바, 별도의 흡음재 없이도 차량의 소음이 외부로 전파되는 것을 효과적으로 방지할 수 있다.
또한 별도의 흡음재가 불필요하므로 제조원가를 낮출 수 있고, 경량화를 달성할 수 있는바, 차량 설치가 용이해짐은 물론 차량의 연비 향상에도 기여할 수 있게 된다.
또한 난연발수부직포로 구성되는 제1적층재와, 니들부직포로 구성되는 제2적층재가 형성되므로 엔진 작동시에 발생하는 고온의 열기를 효과적으로 차단할 수 있는 동시에 우기시 언더커버 내부로 침투되는 수분을 방지할 수 있고, 노면에서 언더커버로 튀는 이물질을 차단하여 제품의 질이 향상되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언더커버를 나타내는 평면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언더커버의 적층 구조를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차량용 언더커버의 제조 과정을 나타내는 공정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언더커버 시료의 내열 및 내유성 시험성적서이다.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언더커버 시료의 흡음성능 시험성적서이다.
이하,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 대해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도록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본 발명은 우수한 흡음성능과 강도를 가지면서도 중량이 저감될 수 있는 차량용 언더커버에 관한 것이다.
이와 같은 본 발명의 언더커버는, 후술하는 바와 같이, 유리섬유와 폴리프로필렌을 혼합 또는 혼련하여 섬유 보강 플라스틱 복합재 시트를 성형하는 과정과, 성형된 복합재 시트에 부직포와 같은 시트재를 적층한 후 금형에서 언더커버 형상으로 프레스 성형하는 과정으로 제조된다.
이러한 본 발명의 제조 공정은, 유리섬유와 폴리프로필렌으로 이루어진 섬유 보강 플라스틱 복합재 시트에 별도의 시트재를 적층한 상태로 가열 및 가압하여 프레스 성형하는 간단한 공정으로 언더커버를 제조하므로, 커버본체 및 흡음재를 별도 공정을 통해 각각 성형 및 제작한 뒤 서로 접착 또는 조립하는 종래의 제조 과정에 비해 전체 공정이 간단해질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언더커버를 나타내는 평면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언더커버의 적층 구조를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도 2는 도 1에 도시된 차량용 언더커버(10)의 단면을 취하여 도시한 도면으로, 본 발명의 언더커버(10)를 구성하는 메인 구조층인 커버본체(11)와, 상기 커버본체(11)의 양면에 적층된 제1적층재(12) 및 제2적층재(13)를 보여주고 있다.
이에 나타낸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언더커버(10)는 폴리프로필렌을 기재로 사용하면서 유리섬유를 보강한 유리섬유 보강 폴리프로필렌 복합재로 이루어진 커버본체(11)와, 상기 커버본체(11)의 상면에 적층되는 제1적층재(12)와, 상기 커버본체(11)의 하면에 적층되는 제2적층재(13)로 구성된다.
상기 커버본체(11)는 유리섬유와 폴리프로필렌을 혼합 또는 혼련한 후 시트 형태로 성형하여 제작되며, 플라스틱만을 사출 성형하여 제작되는 종래의 커버본체와 달리 그 자체가 높은 흡음성능을 가지게 된다.
상기 커버본체(11)의 소재가 되는 복합재 시트의 제작시에 보강섬유로 사용되는 유리섬유로는 단섬유 또는 장섬유의 사용이 가능하나, 폴리프로필렌과의 결합성을 고려할 때 장섬유를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사용된 유리섬유의 길이가 길수록 폴리프로필렌과 잘 엉키면서 견고히 결합될 수 있으므로 강성이 좋아지는 이점이 있는 것이다.
본 발명에서는 폴리프로필렌과의 결합성을 좋게 하면서 최종 완성된 커버본체 및 언더커버의 요구 강성을 충족할 수 있도록 70 ~ 100 mm 범위의 길이를 가지는 유리섬유를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여기서, 길이 70 mm 미만의 유리섬유를 사용하는 경우 섬유가 풀리지 않는 문제가 있으며, 길이 100 mm를 초과하는 유리섬유를 사용하는 경우 섬유가 풀릴 때 기계 부하 과다로 섬유를 못 풀어주는 문제가 있으므로, 바람직하지 않다.
또한 유리섬유와 폴리프로필렌을 사용하여 시트 형태로 성형할 때 폴리프로필렌이 녹으면서 유리섬유와 결합하여 강성이 보강되는데, 유리섬유와 폴리프로필렌의 사용비율에 따라 최종 완성되는 커버본체의 강성과 중량이 달라진다.
본 발명에서는 커버본체의 요구 강성과 중량을 고려하여 유리섬유와 폴리프로필렌을 4:6 ~ 6:4의 중량비로 혼합 또는 혼련하여 사용한다.
여기서, 전체 100 중량%에 대해 유리섬유를 40 중량% 미만으로 사용하는 경우(즉, 유리섬유:폴리프로필렌=4:6의 중량비보다 낮은 유리섬유 함량을 사용하는 경우), 언더커버에서 요구되는 커버본체의 강성을 충족하기가 어렵고, 또한 커버본체의 형상을 유지하는 것이 어렵다.
반면, 유리섬유가 60 중량%를 초과하여 사용되는 경우, 최종 완성되는 커버본체 및 언더커버의 전체 중량이 과도하게 증가하는 문제점이 있어 바람직하지 않다.
그리고, 커버본체(11)에 일체화되도록 성형되는 제1적층재(12)와 제2적층재(13)는, 엔진 작동으로 인한 고온 열기의 차단, 언더커버 내부로의 수분 침투 방지, 노면에서 언더커버로 튀는 이물질의 차단 등과 같은 차단 역할을 주로 하는 것으로, 부직포로 이루어진 시트재를 사용하여 형성한다.
즉, 커버본체(11)로 최종 성형되는 복합재(유리섬유+폴리프로필렌) 시트와 함께 상기 부직포를 적층한 뒤, 이들 적층물을 금형에서 프레스 성형하여, 복합재로 이루어진 커버본체(11)에 상기 부직포로 이루어진 제1 및 제2적층재(12,13)가 일체로 적층된 구조의 언더커버(10)를 최종적으로 제작할 수 있는데, 이때 제1적층재(12)로는 난연발수부직포가, 제2적층재(13)로는 니들부직포가 사용될 수 있다.
이때, 커버본체(11)와 제1, 제2적층재(12,13)가 적층된 최종의 언더커버(10) 두께는 5 ~ 10 mm가 되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며, 또한 제1적층재(12)와 커버본체(11), 제2적층재(13)의 중량비는 0.3:9.4:0.3 ~ 0.7:8.6:0.7의 범위가 되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여기서, 언더커버(10)의 두께를 5 mm 미만으로 하는 경우 충분한 흡음성능을 얻기가 어려운 문제가 있고, 10 mm보다 크게 하는 경우 강성이 떨어지는 문제가 있어, 바람직하지 않다.
또한 커버본체(11)의 중량비를 9.4보다 크게 하는 경우 과도한 중량 상승의 문제가 있고, 8.6보다 작게 하는 경우 강성이 떨어지는 문제가 있어, 바람직하지 않다.
그리고, 본 발명에서 제1적층재(12)로서 사용 가능한 난연발수부직포와, 제2적층재(13)로서 사용 가능한 니들부직포의 일 예는 아래와 같다.
1) 난연발수부직포의 조성: 섬유 55 중량% + 바인더 45 중량%
여기서, 섬유는 원면 30 중량% + 난연섬유 70 중량%이고, 바인더는 아크릴 바인더 50 중량% + 난연제 25 중량% + 발수제 15 중량% + 부재료 10 중량%임.
상기 난연섬유는 PET FIBER, 난연제는 인계열, 발수제로는 불소계열, 부재료는 PE파우더 등이 될 수 있음.
2) 니들부직포의 조성: 섬유 55 중량% + 바인더 45 중량%
2) 니들부직포의 조성: 섬유 100 중량%
여기서, 섬유는 폴리에스테르 100%임
한편, 본 발명에 따른 언더커버의 제조방법에 대해 상술하면 다음과 같다.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차량용 언더커버의 제조 과정을 나타내는 공정도이다.
도 1 및 도 2에 도시된 언더커버(10)의 제조를 위하여, 도 3에 나타낸 바와 같이, 먼저 커버본체(11)의 소재로 사용되는 복합재 시트를 제작하며, 유리섬유와 폴리프로필렌을 혼합 또는 혼련하여 시트 형태로 성형한다(S11).
이때, 유리섬유로는 70 ~ 100 mm의 길이를 가지는 것이 사용될 수 있고, 또한 유리섬유와 폴리프로필렌을 4:6 ~ 6:4의 중량비로 혼합하여 제작한다.
이어 제1적층재(12)의 소재가 되는 시트재와 제2적층재(13)의 소재가 되는 시트재를 상기 복합재 시트와 함께 적층하는데, 이때 제1적층재(12)의 소재인 난연발수부직포와 제2적층재(13)의 소재인 니들부직포가 복합재 시트의 상측과 하측으로 적층되도록 겹쳐준다(S12).
이어 복합재 시트, 난연발수부직포, 니들부직포의 적층물을 내부온도가 200 ~ 220 ℃의 온도로 유지되는 금형에서 180 ~ 200 초 동안 예열한 후(S13), 예열 단계를 거친 적층물을 내부온도가 30 ~ 40 ℃의 온도로 유지되는 금형에 인입시켜 150 ~ 160 초 동안 프레스하여 언더커버 형상으로 성형한다(S14).
상기 적층물을 예열하는 과정(S13)에서는 평판 금형 내에서 적층물을 열을 가한 상태로 프레스하게 되며, 상기 언더커버 형상으로 성형하는 과정(S14)에서는 예열된 적층물을 언더커버 형상의 금형에서 비교적 낮은 온도로 프레스하는 냉간 성형을 하게 된다.
이어 상기와 같이 성형 단계를 거친 성형물을 절단 장비를 이용하여 최종의 언더커버 형상으로 절단하는 트리밍 단계(홀 가공 포함)를 거친 뒤(S15), 홀 부위에 클립을 조립하는 등의 후속 공정을 진행하여 언더커버를 최종 완성하게 된다(S16).
이하, 본 발명을 하기 실시예에 의거 더욱 상세하게 설명하는 바, 본 발명이 하기 실시예에 의해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실시예
본 발명에 의거 언더커버를 제조하였다.
먼저, 폴리프로필렌(PP)과 70 ~ 100 mm의 길이를 갖는 유리섬유(E-Glass)를 6:4의 중량비로 혼합하여 시트의 형태로 성형하였다.
이어 상기 시트의 상측과 하측으로 제1적층재용 시트재인 난연발수부직포와 제2적층재용 시트재인 니들부직포를 적층한 뒤, 내부온도가 210℃ 내외로 유지되는 금형에서 90초 동안 예열하고, 이어 내부온도가 214℃ 내외로 유지되는 금형에서 90초 동안 프레스하여, 커버본체 양면에 제1적층재와 제2적층재가 일체로 접합된 두께 10mm의 언더커버를 성형하였다.
이때 사용한 난연발수부직포의 조성과 니들부직포의 조성은 앞서 설명한 바와 같으며(난연발수부직포: 섬유 55 중량% + 바인더 45 중량% / 니들부직포: 섬유 55 중량% + 바인더 45 중량%), 언더커버에서 제1적층재, 커버본체, 제2적층재의 중량비가 0.5:9:0.5가 되도록 하였다.
이어 최종의 언더커버 형상으로 절단 및 홀을 가공한 뒤, 홀 부위에 클립을 조립하는 등의 후속 공정을 진행하여 언더커버를 최종 완성하였다.
첨부한 도 4와 도 5는 유리섬유(GF)와 폴리프로필렌(PP)을 사용한 본 발명의 언더커버 시편에 대하여 공인시험기관인 산업환경연구센터와 (주)NVH 테크에서 내열싸이클성, 내습성, 내저온충격성, 내유성, 흡음성능의 시험을 실시한 공인시험성적서를 나타낸다.
흡음성능의 시험에 있어서는 종래의 PP 사출 언더커버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유리섬유 보강 폴리프로필렌 복합재 언더커버(유리섬유(GF)+폴리프로필렌(PP) 사용)를 비교하여 시험하였다.
그 결과로, 먼저 도 4에 나타낸 바와 같이 실시예의 시편에서 내열싸이클성, 내습성, 내저온충격성, 내유성의 결과가 모두 양호함을 알 수 있었다.
또한 도 5에서와 같이 종래의 PP 사출 언더커버에 비해 유리섬유와 폴리프로필렌을 사용하여 성형한 언더커버의 경우 중량이 감소됨에도 흡음성능이 크게 향상됨을 알 수 있었다.
결국, 본 발명의 언더커버에 의하면 우수한 흡음성능, 경량화 및 그로 인한 설치의 용이함, 차량 연비 향상 등의 여러 이점이 제공될 수 있음을 알 수 있다.
이상으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대하여 상세하게 설명하였는바, 본 발명의 권리범위는 이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고, 다음의 특허청구범위에서 정의하고 있는 본 발명의 기본 개념을 이용한 당업자의 여러 변형 및 개량 형태 또한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포함된다.
10 : 언더커버
11 : 커버본체
12 : 제1적층재(난연발수부직포)
13 : 제2적층재(니들부직포)

Claims (11)

  1. 유리섬유와 폴리프로필렌을 혼합 또는 혼련하여 시트 형태로 성형함으로써 폴리프로필렌을 기재로 하면서 유리섬유가 보강된 복합재로 이루어지는 커버본체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언더커버.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유리섬유가 길이 70 ~ 100 mm 범위의 장섬유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언더커버.
  3.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유리섬유와 폴리프로필렌의 중량비가 4:6 ~ 6:4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언더커버.
  4.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커버본체의 상면에 적층되고 난연발수부직포로 이루어진 제1적층재와;
    상기 커버본체의 하면에 적층되고 니들부직포로 이루어진 제2적층재;
    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언더커버.
  5. 청구항 4에 있어서,
    상기 제1적층재와 커버본체, 제2적층재의 중량비가 0.3:9.4:0.3 ~ 0.7:8.6:0.7의 범위이고, 상기 제1적층재와 커버본체, 제2적층재의 적층된 총 두께가 5 ~ 10 mm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언더커버.
  6. 유리섬유와 폴리프로필렌을 혼합 또는 혼련하여 시트 형태로 성형함으로써 폴리프로필렌을 기재로 하면서 유리섬유가 보강된 복합재로 이루어지는 커버본체를 제조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언더커버의 제조방법.
  7. 청구항 6에 있어서,
    상기 유리섬유로 길이 70 ~ 100 mm 범위의 장섬유를 사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언더커버의 제조방법.
  8. 청구항 6에 있어서,
    상기 유리섬유와 폴리프로필렌을 4:6 ~ 6:4의 중량비로 사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언더커버의 제조방법.
  9. 청구항 6에 있어서,
    유리섬유와 폴리프로필렌을 혼합 또는 혼련한 후 시트 형태로 성형하여 복합재 시트를 제조하고,
    상기 복합재 시트의 상면에 난연발수부직포를, 상기 복합재 시트의 하면에는 니들부직포를 적층한 뒤 그 적층물을 금형에서 언더커버 형상으로 프레스 성형하여,
    유리섬유 보강 폴리프로필렌 복합재로 이루어진 커버본체의 양면에 상기 난연발수부직포로 이루어진 제1적층재와, 상기 니들부직포로 이루어진 제2적층재가 적층된 구조를 갖도록 제조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언더커버의 제조방법.
  10. 청구항 9에 있어서,
    상기 복합재 시트, 난연발수부직포, 니들부직포의 적층물을 내부온도가 200 ~ 220 ℃의 온도로 유지되는 금형에서 180 ~ 200 초 동안 예열한 후 내부온도가 30 ~ 40 ℃의 온도로 유지되는 금형에서 150 ~ 160 초 동안 프레스하여 언더커버 형상으로 성형하는 것을 차량용 언더커버의 제조방법.
  11. 청구항 9에 있어서,
    상기 제1적층재와 커버본체, 제2적층재의 중량비가 0.3:9.4:0.3 ~ 0.7:8.6:0.7의 범위가 되도록 하고, 프레스 성형 후 상기 제1적층재와 커버본체, 제2적층재의 적층된 총 두께를 5 ~ 10 mm로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언더커버의 제조방법.
KR1020120029551A 2012-03-22 2012-03-22 차량용 언더커버와 그 제조방법 KR20130107627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029551A KR20130107627A (ko) 2012-03-22 2012-03-22 차량용 언더커버와 그 제조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029551A KR20130107627A (ko) 2012-03-22 2012-03-22 차량용 언더커버와 그 제조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30107627A true KR20130107627A (ko) 2013-10-02

Family

ID=4963089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20029551A KR20130107627A (ko) 2012-03-22 2012-03-22 차량용 언더커버와 그 제조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30107627A (ko)

Cited By (1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70028282A (ko) 2015-09-03 2017-03-13 현대자동차주식회사 자동차용 언더커버 및 그 제조방법
KR20180024948A (ko) 2016-08-31 2018-03-08 주식회사 청하 차량 하부 보호 커버용 플라스틱 시트의 고속 합지장치
KR20180059586A (ko) * 2016-11-25 2018-06-05 주식회사 세운 차량용 휠 가드 및 그의 제조방법
WO2018124763A1 (ko) * 2016-12-29 2018-07-05 한화첨단소재 주식회사 마운팅부가 보강된 자동차용 언더커버 및 이의 제조방법
WO2018124768A1 (ko) * 2016-12-29 2018-07-05 한화첨단소재 주식회사 자동차용 언더커버의 제조방법 및 이를 통해 제조된 언더커버
KR20180078724A (ko) * 2016-12-30 2018-07-10 한화첨단소재 주식회사 고강성 엔진룸 언더커버
KR101968652B1 (ko) 2018-07-23 2019-04-16 현대합성공업 주식회사 흡음성능 개선을 위한 니들 펀칭 결속 차량용 언더커버와 그 제조방법
KR101968655B1 (ko) 2018-07-23 2019-04-16 현대합성공업 주식회사 흡음성능 개선을 위한 차량용 타공 언더커버와 그 제조방법
KR101968649B1 (ko) 2018-07-23 2019-04-16 현대합성공업 주식회사 내구성 개선을 위한 차량용 후방사출 언더커버와 그 제조방법
WO2019221558A1 (ko) * 2018-05-17 2019-11-21 주식회사 엘지하우시스 적층시트

Cited By (1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70028282A (ko) 2015-09-03 2017-03-13 현대자동차주식회사 자동차용 언더커버 및 그 제조방법
KR20180024948A (ko) 2016-08-31 2018-03-08 주식회사 청하 차량 하부 보호 커버용 플라스틱 시트의 고속 합지장치
KR20180059586A (ko) * 2016-11-25 2018-06-05 주식회사 세운 차량용 휠 가드 및 그의 제조방법
WO2018124763A1 (ko) * 2016-12-29 2018-07-05 한화첨단소재 주식회사 마운팅부가 보강된 자동차용 언더커버 및 이의 제조방법
WO2018124768A1 (ko) * 2016-12-29 2018-07-05 한화첨단소재 주식회사 자동차용 언더커버의 제조방법 및 이를 통해 제조된 언더커버
KR20180078724A (ko) * 2016-12-30 2018-07-10 한화첨단소재 주식회사 고강성 엔진룸 언더커버
WO2019221558A1 (ko) * 2018-05-17 2019-11-21 주식회사 엘지하우시스 적층시트
KR101968652B1 (ko) 2018-07-23 2019-04-16 현대합성공업 주식회사 흡음성능 개선을 위한 니들 펀칭 결속 차량용 언더커버와 그 제조방법
KR101968655B1 (ko) 2018-07-23 2019-04-16 현대합성공업 주식회사 흡음성능 개선을 위한 차량용 타공 언더커버와 그 제조방법
KR101968649B1 (ko) 2018-07-23 2019-04-16 현대합성공업 주식회사 내구성 개선을 위한 차량용 후방사출 언더커버와 그 제조방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130107627A (ko) 차량용 언더커버와 그 제조방법
KR102195500B1 (ko) 높은 용융 유동 지수 수지를 포함하는 물품
KR101650343B1 (ko) 성형 다층 라이닝의 제조 방법
CN103692990B (zh) 一种高性能乘用车底护板用轻质纤维增强热塑性板材及其制备工艺
KR101756303B1 (ko) 차량용 언더커버 및 그의 제조방법
IL200999A0 (en) Composite ballistic fabric structures
US20130236688A1 (en) Sandwich component and method for producing same
KR101488308B1 (ko) 자동차용 흡차음 강화보드 및 이의 제조방법
KR20160149215A (ko) 외부 트림부
JP2009096401A (ja) 自動車用ボディーアンダーカバー
KR20180009918A (ko) 차량용 언더플로워 및 그의 제조방법
US20220402558A1 (en) Modular structural composites for automotive applications
KR101272551B1 (ko) 자동차용 고성능 다층 흡음재 제조방법
KR101365961B1 (ko) 연속섬유를 포함한 박판형 열가소성 복합소재로 제조된 차량용 언더바디
KR102165529B1 (ko) 구조 부품용 높은 강도 대 중량의 비를 가지고 있는 성형가능한 부직포와 그것의 제조방법
CN201077429Y (zh) 汽车内装饰用热塑性麻毡夹心顶棚
DE102009020996A1 (de) Luftschall isolierender Materialaufbau
KR20150093363A (ko) 고강성 경량다층 차량 내장재용 기재
KR101697699B1 (ko) 자동차용 2중 엔진 커버 노이즈 방지재와 그 제조방법
KR102018644B1 (ko) 다층구조의 차량용 엔진커버 및 엔진커버의 제조방법
KR20180053809A (ko) 차량의 엔진용 커버 및 그 제조방법
JP4167505B2 (ja) 多密度構成のフェルト吸音材
WO2021053864A1 (ja) 複合成形体及びその製造方法
KR101704195B1 (ko) 차량 외장용 섬유 부품 및 제조 방법
KR20200062086A (ko) 플로어 언더커버 및 그 제조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