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30106546A - 원거리용 방제기 - Google Patents

원거리용 방제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30106546A
KR20130106546A KR1020120028164A KR20120028164A KR20130106546A KR 20130106546 A KR20130106546 A KR 20130106546A KR 1020120028164 A KR1020120028164 A KR 1020120028164A KR 20120028164 A KR20120028164 A KR 20120028164A KR 20130106546 A KR20130106546 A KR 20130106546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injector
link member
horizontal movement
injection device
heigh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2002816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367632B1 (ko
Inventor
홍석봉
Original Assignee
(주)한서정공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한서정공 filed Critical (주)한서정공
Priority to KR102012002816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367632B1/ko
Publication of KR2013010654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30106546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36763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367632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MCATCHING, TRAPPING OR SCARING OF ANIMALS; APPARATUS FOR THE DESTRUCTION OF NOXIOUS ANIMALS OR NOXIOUS PLANTS
    • A01M7/00Special adaptations or arrangements of liquid-spraying apparatus for purposes covered by this subclass
    • A01M7/0025Mechanical sprayers
    • A01M7/0032Pressure sprayers
    • A01M7/0035Pressure sprayers mounted on a frame and guided by hand; Spray barrow
    • A01M7/0039Pressure sprayers mounted on a frame and guided by hand; Spray barrow motor-driven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MCATCHING, TRAPPING OR SCARING OF ANIMALS; APPARATUS FOR THE DESTRUCTION OF NOXIOUS ANIMALS OR NOXIOUS PLANTS
    • A01M7/00Special adaptations or arrangements of liquid-spraying apparatus for purposes covered by this subclass
    • A01M7/0082Undercarriages, frames, mountings, couplings, tanks
    • A01M7/0085Tank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5SPRAYING OR ATOMISING IN GENERAL; APPLYING FLUENT MATERIALS TO SURFACES, IN GENERAL
    • B05BSPRAYING APPARATUS; ATOMISING APPARATUS; NOZZLES
    • B05B3/00Spraying or sprinkling apparatus with moving outlet elements or moving deflecting elements
    • B05B3/02Spraying or sprinkling apparatus with moving outlet elements or moving deflecting elements with rotating elements
    • B05B3/022Spraying or sprinkling apparatus with moving outlet elements or moving deflecting elements with rotating elements the rotating deflecting element being a ventilator or a fan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5SPRAYING OR ATOMISING IN GENERAL; APPLYING FLUENT MATERIALS TO SURFACES, IN GENERAL
    • B05BSPRAYING APPARATUS; ATOMISING APPARATUS; NOZZLES
    • B05B3/00Spraying or sprinkling apparatus with moving outlet elements or moving deflecting elements
    • B05B3/02Spraying or sprinkling apparatus with moving outlet elements or moving deflecting elements with rotating elements
    • B05B3/04Spraying or sprinkling apparatus with moving outlet elements or moving deflecting elements with rotating elements driven by the liquid or other fluent material discharged, e.g. the liquid actuating a motor before passing to the outlet
    • B05B3/0409Spraying or sprinkling apparatus with moving outlet elements or moving deflecting elements with rotating elements driven by the liquid or other fluent material discharged, e.g. the liquid actuating a motor before passing to the outlet with moving, e.g. rotating, outlet elemen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5SPRAYING OR ATOMISING IN GENERAL; APPLYING FLUENT MATERIALS TO SURFACES, IN GENERAL
    • B05BSPRAYING APPARATUS; ATOMISING APPARATUS; NOZZLES
    • B05B3/00Spraying or sprinkling apparatus with moving outlet elements or moving deflecting elements
    • B05B3/02Spraying or sprinkling apparatus with moving outlet elements or moving deflecting elements with rotating elements
    • B05B3/04Spraying or sprinkling apparatus with moving outlet elements or moving deflecting elements with rotating elements driven by the liquid or other fluent material discharged, e.g. the liquid actuating a motor before passing to the outlet
    • B05B3/0486Spraying or sprinkling apparatus with moving outlet elements or moving deflecting elements with rotating elements driven by the liquid or other fluent material discharged, e.g. the liquid actuating a motor before passing to the outlet the spray jet being generated by a rotary deflector rotated by liquid discharged onto it in a direction substantially parallel its rotation axi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 Y10S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S43/00Fishing, trapping, and vermin destroying
    • Y10S43/90Liquid insecticide sprayer

Landscapes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Insects & Arthropods (AREA)
  • Pest Control & Pesticides (AREA)
  • W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Zoology (AREA)
  • Environmental Sciences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atching Or Destruction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예를 들어 물이나 약재 등을 살포하기 위한 방제기의 회전, 안정된 승강 및 이의 안정한 운반이 보장된 원거리용 방제기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른 방제기는 분사대상물이 저장되어 있는 탱크로부터 분사 대상물을 분사시키기 위한 분사장치; 및 상기 분사장치가 장착되는 본체를 포함하는 방제기에 있어서, 상기 분사장치를 회전시키기 위한 분사장치 회전구동부; 상기 분사장치의 수평이동 조작에 따라 상기 분사장치의 높이가 조절되게 하는 분사장치 수평이동 및 높이조절부; 및 상기 분사장치의 분사각도를 조절하기 위한 분사장치 각도조절부;를 포함한다. 본 발명에 의하면, 분사장치의 안정적인 수평이동 뿐만 아니라 높이 조절이 보장되고 이의 안정적인 운반이 담보된다.

Description

원거리용 방제기 {SPRAYER FOR LONG DISTANCE SPRAY}
본 발명은 방제기 분야에 관한 것으로, 보다 구체적으로는 예를 들어 물이나 약재 등을 살포하기 위한 방제기의 회전, 안정된 승강 및 이의 안정한 운반이 보장된 원거리용 방제기에 관한 것이다.
방제기는 예를 들어 물이나 약재 등을 살포하기 위한 기기이다. 이러한 방제기는 이동 수단, 예를 들어 차량과 같은 이동 수단에 적재된 상태로 이동하면서 예를 들어 주변의 가로수나 농작물 등에 물이나 약재를 광범위하게 살포한다.
이러한 방제기는 현재까지 다양하게 공지되어 있으며, 대표적으로 한국등록특허 제10-1047392호(2011.07.01. 등록, 출원인 "(주)한성티앤아이", 발명의 명칭 "방제기")가 언급될 수 있다.
이 특허문헌에 개시되어 있는 방제기에는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하부 본체프레임(101)의 일측에 약제탱크(110)와, 타측에 약제분무펌프(400)가 설치된 엔진실(120)과, 상기 약제탱크(110)와 엔진실(120) 사이의 중앙에 상부에 설치된 송풍부(130)와 구경관(140) 및 분무부(150)로서 이루어진 분사장치(300)와, 상기 분사장치(300)의 송풍부(130)의 하측에 고정체(160)와, 상기 고정체(160)의 하측에는 지지브라켓(170)과, 상기 지지브라켓(170)과 고정체(160) 사이에는 분사장치(300)를 상하로 이동시킬 수 있는 실린더(180)와, 상기 지지브라켓(170) 하단이 고정되어 회전시킬 수 있도록 설치된 회전체(190)와, 상기 회전체(190)의 외측에는 회전기어(191)와, 상기 회전기어(191)를 회전시키는 축기어(201)가 설치된 구동모터(200)와, 상기 회전체(190)와 고정된 로타리조인트(210)와, 상기 로타리조인트(210)와 회전체(190)를 지지하는 고정브라켓(220)으로 구성되고, 상기 로타리조인트(210)의 하단에 형성된 홀(211)과 상기 약제분무펌프(400)와 연결된 약제호스(401)의 중앙에는 티자형 연결관(402)의 양측이 연결되고, 상기 티자형 연결관(402)의 중앙에는 분무압력이 가해지면 닫히고 해제되면 열리는 체크밸브(403)가 연결되고, 상기 체크밸브(403)에는 레버(405)에 의해 개폐되는 볼밸브(404)가 설치되어 있다. (미설명 도면부호는 이 공개특허문헌의 공개공보 참조)
이 특허문헌 뿐만 아니라 현재까지 공개되어 있는 대부분의 방제기에서는 분사장치(도면부호 300 참조)가 이의 하부에 배치된 회전체(도면부호 190 참조)에 의해 회전하게 구성되어 있고, 분사장치에 의한 분사각도 조절이 예를 들어 도 7에 도면부호 180으로 도시되어 있는 실린더에 의존하고 있다.
이와 같은 구조를 갖는 대부분의 방제기는 차량에 탑재된 상태로 이동하게 된다. 이때, 도 7에 예시적으로 도시되어 있는 바와 같이 지지브라켓(170)과 실린더(180)가 분사장치(300)의 후방, 즉, 송풍부(130) 쪽에 장착된 상태로 이동하게 되므로 이동하는 차량으로부터 전해지는 충격이 분사장치(300)의 전방으로 그대로 전달된다. 이는 실질적으로 장기간 이동시 분사장치와 접속되는 부위를 손상시키게 되어 이의 수명을 단축시키게 된다.
한국등록특허 제10-1047392호(2011.07.01. 등록, 출원인 "(주)한성티앤아이", 발명의 명칭 "방제기"
본 발명은 종래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 본 발명의 목적은 원거리 분사에 최적이면서 차량에 적재하여 운반할 때 기기의 무리 없이 안정적으로 운반할 수 있는 원거리용 방제기를 제공하는 데에 있다.
상기 및 그 밖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분사대상물이 저장되어 있는 탱크로부터 분사 대상물을 분사시키기 위한 분사장치; 및 상기 분사장치가 장착되는 본체를 포함하는 방제기에 있어서, 상기 분사장치를 회전시키기 위한 분사장치 회전구동부; 상기 분사장치의 수평이동 조작에 따라 상기 분사장치의 높이가 조절되게 하는 분사장치 수평이동 및 높이조절부; 및 상기 분사장치의 분사각도를 조절하기 위한 분사장치 각도조절부;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원거리용 방제기를 제공한다.
상기 분사장치 회전구동부는 유압모터를 포함하며, 상기 유압모터의 회전구동에 의해 상기 분사장치 수평이동 및 높이조절부가 회전함으로써 상기 분사장치가 회전되게 구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분사장치 수평이동 및 높이조절부는 사절링크와 상기 사절링크의 경사각을 강제 조절하기 위한 유압실린더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사절링크는, 상기 회전구동부에 의한 회전에 연동하여 회전하는 제1수평링크부재; 상기 제1수평링크부재의 양단에 각각 회동 가능하게 결합되어 있는 제2수직링크부재와 제3수직링크부재; 및 상기 제2수직링크부재와 상기 제3수직링크의 양단에 회동 가능하게 결합되어 있는 제4수평링크부재로 구성되고, 상기 유압실린더는 일단이 상기 제1수평링크부재에 회동 가능하게 결합되고 타단이 상기 제2수직링크부재 또는 상기 제3수직링크부재에 결합되어, 상기 유압실린더의 수축 또는 신장 조작에 의해 상기 제2수직링크부재 또는 상기 제3수직링크부재가 상기 제1수평링크부재에 대하여 회동함에 따라 상기 방제기의 수평이동 및 높이가 조절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분사장치 각도조절부는, 일측이 상기 분사장치 수평이동 및 높이조절부에 고정되어 있고, 타측이 상기 분사장치에 회동 가능하게 결합되어 있는 분사장치 지지부재와; 일측이 상기 분사장치 수평이동 및 높이 조절부에 회동 가능하게 결합되고, 타측이 상기 분사장치에 회동 가능하게 결합되는 분사장치 각도 조절용 유압실린더를 포함한다. 이때, 상기 유압실린더의 신장에 따라 상기 분사장치의 분사부가 상향으로 각도 조절되게 구성된다. 보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분사장치 각도 조절부는, 상기 분사장치의 분사부가 수직 상방으로 각도 조절될 때, 상기 분사장치 지지부재와 상기 분사장치가 연결되는 지점과 상기 분사장치 각도 조절용 유압실린더의 양 끝 지점이 함께 삼각 형상을 이루도록 구성된다.
본 발명에 의하면, 분사장치 수평이동 및 높이조절부에 의해 분사장치가 수평으로 안정으로 이동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이의 수평 조작에 연동하여 분사장치의 높이가 조절되고 아울러 분사장치 각도 조절부에 의해서도 분사장치의 각도가 조절되므로, 즉, 수직 상승 후 각도 조절될 수 있는 구조이므로 방제기의 원거리 분무가 종래기술에 비하여 훨씬 유리하다.
뿐만 아니라, 본 발명에 의하면, 방제기가 차량에 탑재된 상태로 운반될 때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분사장치 각도조절부에 의한 조작에 의해 분사장치의 후방이 분사장치 수평이동 및 높이조절부의 상부에 안착된 상태도 안정하게 운반될 수 있어 이의 지지부와 유압실린더의 연결 부위에 대한 손상 가능성을 최소화시킬 수 있는 장점이 제공된다.
도 1은 본 발명의 하나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방제기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하나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방제기에서 사용될 수 있는 분사장치의 내부 모습을 개략적으로 나타낸 도면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하나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방제기에서 분사장치 수평이동 및 높이조절부의 작동 모습을 예시적으로 나타낸 도면으로, 특히 도 3의 (a)는 유압실린더의 신장 동작에 따라 분사장치 수평이동 및 높이조절부가 수평이동 및 수직상승하는 모습을 나타내고, 도 3의 (b)는 유압실린더의 수축 동작에 따라 분사장치 수평이동 및 높이조절부가 수평이동하면서 이에 연동하여 수직 하강하는 모습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4 내지 도 6은 본 발명의 하나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방제기에서 분사장치 각도조절부의 작동 모습을 예시적으로 나타낸 도면으로, 특히 도 4는 분사장치 수평이동 및 높이조절부에 의해 분사장치가 최대 높이로 상승한 후 분사장치 각도조절부가 작동하기 전의 모습을 나타내고, 도 5는 분사장치 각도조절부가 작동중인 모습을 나타내며, 도 6은 분사장치 각도조절부가 작동하여 분사장치의 송풍부가 아래를 향하고 분사부가 상부를 향하여 배치되어 있는 모습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7은 종래기술에 따른 방제기의 한 예를 보여주는 도면이다.
이하, 본 발명은 첨부된 예시 도면을 참조하여 보다 상세하게 설명된다.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이미 공지된 기능 혹은 구성에 대한 설명은 본 발명의 요지를 명료하게 하기 위하여 생략하기로 한다. 또한, 명세서 전체에 걸쳐서 동일한 도면부호들은 동일한 구성요소들을 나타낸다.
본 발명을 설명하기에 앞서, 본 발명에서 사용되는 원거리용 방제기는 다양한 목적으로 사용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본 발명에 따른 원거리용 방제기는 식물 또는 나무의 병충해에 대한 방제기능 뿐만 아니라 전염성 질병 및 해충의 급격한 확산에 따라 신속한 방역이 필요한 경우에도 사용할 수 있다.
먼저, 도 1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하나의 실시예에 따른 원거리용 방제기는 본체(10)와 상기 본체로부터의 분사대상물, 예를 들어 약제 또는 액비를 분사키기 위한 분사장치(30)를 포함한다.
도 1에는 구체적으로 도시되어 있지는 않지만, 본체(10)의 전방(12)으로는 엔진, 펌프, 유압실이 구비되고, 본체(10)의 후방(16)으로는 예를 들어 약제 등의 분사대상물이 저장되는 탱크가 구비된다. 또한, 도 1에 예시적으로 도시되어 있는 바와 같이 본체(10)의 전방(12)과 후방(16)의 사이에는 릴 호스(14)가 구비된다. 물론, 이들의 위치는 상기한 위치로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당업자라면 위치의 다양한 변형은 당연한 것이며, 또한 이들 구성요소들의 변형 또한 당연한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른 원거리용 방제기는 고정식으로 운용될 수도 있고, 이동수단, 예를 들어 인력거식 이동수단 또는 차량에 적재된 상태로 이동식으로 운용될 수도 있다. 본 발명에서는 특히 제한되는 것은 아니지만 고정식 보다는 이동식으로 운용되는 경우에 보다 적절하게 이용될 수 있을 것이다. 이에 대해서는 후술되어 있다.
도 2에는 본 발명에 따른 방제기에 적용될 수 있는 분사장치(30)가 예시적으로 도시되어 있다.
도 2에 예시적으로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방제기에 적용될 수 있는 분사장치(30)에는 중공형의 송풍구(32)가 형성되어 있다. 송풍구(32)에는 유압펌프(도시되어 있지 않음)에 의해 작동하는 유압모터(34)가 설치된다.
유압모터(34)는 고정날개(36)의 도움으로 송풍구(32)의 내부에 설치된다. 유압모터(34)에는 분사노즐(38) 쪽으로 공기를 송풍하는 송풍팬(도시되어 있지 않음)이 설치된다. 송풍구(32)에는 또한 송풍팬에 의해 송풍되는 바람을 안내하기 위한 가이드판(40)가 설치된다.
또한, 분사장치(30)에는 상기한 구성요소 이외에도 다양한 각종 부품이 구비된다. 이에 대한 보다 구체적인 설명은 본 출원인의 한국등록특허 제10-1048680호에 기재되어 있으며, 이 등록특허에 기재된 내용의 일부 또는 전부는 본 명세서에 포함된다.
도 3 내지 도 6에는 본 발명의 하나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방제기에 적용되어 있는 방제기의 회전, 수평이동, 상기 수평이동에 따른 높이조절 및 분사장치의 각도조절을 위한 구성이 제시되어 있다.
먼저, 도 3의 (a)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하나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방제기에는 분사장치(30)를 회전시키기 위한 분사장치 회전구동부(50)가 구비된다.
이러한 분사장치 회전구동부(50)는 도 3의 (a)에 도시된 바와 같이 회전을 분사장치(30)의 회전을 강제로 유발시키는 유압모터(52)를 포함한다. 이러한 유압모터(52)는 도 3의 (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유압모터 지지브라켓(51)의 도움으로 본체(10)에 고정된다. 유압모터(52)의 회전 구동축(53)은 도 3의 (a)에 도시된 바와 같이 후술되는 분사장치 수평이동 및 높이조절부(60)의 하부에 결합되어 분사장치(30)를 회전시키거나 또는 분사장치(30)에 직접 결합되어 분사장치(30)를 원하는 특정 방향으로 회전시킬 수 있다. 본 발명에서는 전자의 경우만이 설명된다.
이와 같이 유압모터 지지브라켓(51)의 도움으로 본체(10)에 고정되어 있는 유압모터(50)는 도시되어 있지는 않지만 다양한 제어수단, 예를 들어 컨트롤러에 의해 조작될 수 있다. 본 발명에서는 이의 작동 수단으로 기계식 및 전자식 모두를 포함한다.
또한, 본 발명의 하나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방제기에는 분사장치(30)의 수평이동 및 이의 수평이동에 따른 분사장치(30)의 높이조절을 위한 수단(60)이 포함된다. 본 명세서에서는 이를 "분사장치 수평이동 및 높이조절부"라 칭한다.
이러한 분사장치 수평이동 및 높이조절부(60)는 도 3의 (a) 및 도 3의 (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전체적으로 각각의 구성요소가 서로에 대하여 회동 가능하게 결합된 직사각형 또는 마름모 모양을 취한다.
보다 구체적으로, 이러한 분사장치 수평이동 및 높이조절부(60)는 도 3의 (a) 및 도 3의 (b)에 도시된 바와 같이 분사장치(30)의 수평이동 조작에 따라 분사장치(30)의 높이가 조절되게 구성되어 있다.
이를 위해, 본 발명에서는 분사장치 수평이동 및 높이조절부(60)에 도시된 바와 같이 사절링크(62)와 상기 사절링크(62)의 경사각을 강제로 조절하여 분사장치(30)의 수평이동과 이에 따른 높이조절이 동시에 수행되게 하는 유압실린더(66)가 구비된다.
상기한 사절링크(62)에는, 상기한 회전구동부(50)에 의한 회전에 의해 연동하여 회전하도록 유압모터(52)의 회전 구동축(53)에 연결되어 있는 제1수평링크부재(62a)가 이의 하부에 구비되어 있다.
제1수평링크부재(62a)의 양단으로는 도 3의 (a)에 도시되어 있는 바와 같이 상호 나란하게 제2수직링크부재(62b)와 제3수직링크부재(62b')가 구비되어 있다. 이들 제2수직링크부재(62b)와 제3수직링크부재(62b')는 상기 제1수평링크부재(62a)에 대하여 각각의 회동축을 중심으로 각각 회동 가능하게 구비된다.
또한, 제2수직링크부재(62b)와 제3수직링크부재(62b')의 상단은 도 3의 (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한 제1수평링크부재(62a)와 나란하게 제4수평링크부재(62a')에 의해 상호 회동 가능하게 연결되어 있다.
또한, 제1수평링크부재(62a)에는 유압실린더(66)의 일단이 상기 제1수평링크부재(62a)에 대하여 회동 가능하게 결합되고, 제2수직링크부재(62b)에는 유압실린더(66)의 타단이 상기 제2수직링크부재(62b)에 대하여 회동 가능하게 결합된다.
이와 같이 구성된 분사장치 수평이동 및 높이조절부(60)는 상기한 회전구동부(50)의 작동에 따라 함께 회전하면서 분사장치(30)를 사용자가 원하는 방향으로 회전시키게 된다.
이와 함께, 분사장치 수평이동 및 높이조절부(60)에 구비되어 있는 유압실린더(66)가 도 3의 (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신장하는 경우 분사장치(30)가 후방으로 수평이동하면서 그 높이가 상승하게 되고, 유압실린더(66)가 도 3의 (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수축하는 경우 분사장치(30)가 전방으로 수평이동하면서 그 높이가 하강하게 된다. 전자의 경우에는 분사장치(30)의 높이가 상승하게 되므로 방제기의 원거리 사용에 유리하며, 후자의 경우에는 분사장치(30)의 높이 낮아지면서 전방으로 수평이동하게 되므로 원하는 장소에 분사대상물의 손실을 최소화할 수 있어 유리하다. 특히, 이와 같이 분사장치(30)의 수평이동 조작만으로도 분사장치(30)의 높이가 조절되므로 후술되어 있는 분사장치 각도조절부(70)의 사용 없이도 어느 정도는 이의 사용을 커버링할 수 있는 장점이 있는 것이다.
본 실시예에서는, 분사장치(30)의 수평이동을 위해 사절링크(62)만이 예시되어있으나 분사장치(30)의 수평이동 조작에 연동하여 그 높이가 상승될 수 있는 다른 변형된 형태도 본 발명의 범위에 속한다할 것이다.
또한, 본 실시예에서는, 사절링크(62)의 하부에 배치된 제1수평링크부재(62a)에 유압실린더(66)의 일단이 회동 가능하게 결합되고 사절링크(62)의 측면에 배치된 제2수직링크부재(62b)에 유압실린더(66)의 타단이 회동 가능하게 결합된 형태만이 제시되어 있으나, 이 또한 다양한 변형이 가능할 것이다.
이러한 변형의 예로서, 사절링크(62)의 상부에 배치된 제4수평링크부재(62a')에 유압실린더(66)의 일단이 회동 가능하게 결합되고 사절링크(62)의 측면에 배치된 제2수직링크부재(62b) 또는 제3수직링크부재(62b') 중의 어느 하나에 유압실린더(66)의 타단이 회동 가능하게 결합된 형태도 고려될 수 있을 것이다.
뿐만 아니라, 유압실린더(66)의 일단이 본체(10)에 회동 가능하게 결합되고 유압실린더(66)의 타단이 제2수직링크부재(62b) 또는 제3수직링크부재(62b') 중의 어느 하나에 결합된 형태도 고려될 수 있다. 따라서, 상기한 실시예 및 이의 변형된 실시 형태 모두 본 발명의 범위에 속한다할 것이다.
또한, 본 실시예에서는 분사장치 수평이동 및 높이조절부(60)가 본체(10)의 내부에서 구동되는 것으로 도시되어 있으나, 본체(10)의 상부에 노출된 상태로도 구성될 수 있으며, 그 높이에 있어서도 제한이 없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의 하나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원거리용 방제기에는 분사장치(30)의 분사각도를 조절하기 위한 분사장치 각도조절부(70)가 구비된다.
이러한 분사장치 각도조절부(70)는 도 1 내지 도 6 모두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한 분사장치 수평이동 및 높이조절부(60)의 상부에 구비된다.
본 발명의 하나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원거리용 방제기에 적용되어 있는 분사장치 각도조절부(70)는 기본적으로 특히 도 3 내지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분사장치 지지부재(72)와 분사장치 각도 조절용 유압실린더(74)를 포함한다.
분사장치 지지부재(72)의 일측은 분사장치 수평이동 및 높이조절부(60)에 고정되고 타측은 분사장치(30)에 회동 가능하게 결합된다. 물론, 분사장치 지지부재(72)의 일측이 본체(10)의 특정 부위에 고정되는 것도 고려될 수 있겠으나, 분사장치(30)의 회전, 수평이동, 수평이동에 따른 수직이동 및 각도 조절 모두를 한꺼번에 충족시키기 위해서는 본 실시예와 같이 분사장치 지지부재(72)의 일측이 분사장치 수평이동 및 높이조절부(60)의 상부에 배치되는 것이 바람직할 것이다.
분사장치 각도 조절용 유압실린더(74)는 도시된 바와 같이 일측은 분사장치 수평이동 및 높이조절부(60)에 대하여 회동축을 중심으로 회동 가능하게 결합되고, 타측은 분사장치(30)에 대하여 그 회동축을 중심으로 회동 가능하게 결합된다.
이때, 상기 분사장치 각도 조절용 유압실린더(74)의 신장에 따라 분사장치(30)의 분사부가 상향으로 각도 조절되게 구성되어야 한다. 즉, 본 발명에서는 분사장치 각도 조절용 유압실린더(74)의 신장에 따라 적어도 분사장치의 분사부가 상방향으로 수직배치될 수 있게 구성되어야 한다.
이를 위해, 분사장치 지지부재(72)의 하부가 도면상 전방으로 향하게 배치되어야 하고, 분사장치 각도 조절용 유압실린더(74)의 하부가 도면상 후방으로 향하게 배치되어야 한다. 즉, 분사장치 지지부재(72)의 상단을 하나의 꼭지점으로 하고, 분사장치 각도 조절용 유압실린더(74)의 하단을 다른 꼭지점으로 하고, 이의 상단을 또 다른 꼭지점으로 하여, 분사장치 각도 조절용 유압실린더(74)의 수축 또는 신장 어느 경우나 이들이 삼각형을 이루게 하되, 분사장치(30)가 본체(10)를 기준으로 하여 수직으로 배향된 상태에서도 이들 꼭지점이 함께 삼각 형상을 이루도록 구성되어야 하는 것이다.
보다 구체적으로, 분사장치 수평이동 및 높이조절부(60)에 의해 분사장치(30)의 높이가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1차적으로 승강함으로써 조절된 후,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분사장치 각도 조절용 유압실린더(74)의 신장 조작에 의해 분사장치(30)의 각도가 사용자가 원하는 만큼 각도 조절된다. 여기까지는 분사장치(30)의 각도 조절을 목적으로 한다. 이후, 예를 들어 차량에 탑재된 상태의 방제기를 다른 장소에서 사용하고자 이동할 때, 도 4에 도시된 상태나 도 5에 도시된 상태로 이동시키게 되면 차량의 이동에 따라 수직으로 발생하는 충격이 분사장치(30)에 전달되고, 그 충격량은 분사장치(30)를 직접적으로 지지하는 분사장치 지지부재(72)와 분사장치 각도 조절용 유압실린더(74)에 그대로 전달되어, 장기간 사용시 이들의 연결 부위를 손상시키게 된다. 그러나, 본 발명에서는 종래기술과 달리, 방제기를 차량으로 이동할 때,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분사장치 각도 조절용 유압실린더(74)를 신장시켜 분사장치(30)의 후방, 즉, 송풍부가 분사장치 수평이동 및 높이조절부(60)의 상단에 안착된 상태로 고정될 수 있는 구성이므로, 차량으로부터 전달되는 수직 충격량에 의한 상기한 바와 같은 분사장치 지지부재(72)와 분사장치 각도 조절용 유압실린더(74)와의 연결 부위에 대한 손상을 미연에 차단할 수 있게 되는 것이다.
이상에서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참조하여 설명하였지만, 해당 기술분야의 숙련된 당업자라면 하기의 특허청구범위에 기재된 본 발명의 사상 및 영역으로부터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본 발명을 다양하게 수정 및 변경시킬 수 있음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10 : 본체 14 : 릴 호스
30 : 분사장치 32 : 송풍구
38 : 분사노즐 50 : 분사장치 회전구동부
51 : 지지브라켓 52 : 유압모터
53 : 회전구동축 60 : 분사장치 수평이동 및 높이조절부
62 : 사절링크 62a : 제1수평링크부재
62b : 제2수직링크부재 62b' : 제3수직링크부재
62a' : 제4수평링크부재 66 : 유압실린더
70 : 분사장치 각도조절부 72 : 분사장치 지지부재
74 : 분사장치 각도 조절용 유압실린더

Claims (6)

  1. 분사대상물이 저장되어 있는 탱크로부터 분사 대상물을 분사시키기 위한 분사장치; 및 상기 분사장치가 장착되는 본체를 포함하는 방제기에 있어서,
    상기 분사장치를 회전시키기 위한 분사장치 회전구동부;
    상기 분사장치의 수평이동 조작에 따라 상기 분사장치의 높이가 조절되게 하는 분사장치 수평이동 및 높이조절부; 및
    상기 분사장치의 분사각도를 조절하기 위한 분사장치 각도조절부;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원거리용 방제기.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분사장치 회전구동부는 유압모터를 포함하며, 상기 유압모터의 회전구동에 의해 상기 분사장치 수평이동 및 높이조절부가 회전함으로써 상기 분사장치가 회전되게 구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원거리용 방제기.
  3. 청구항 1 또는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분사장치 수평이동 및 높이조절부는 사절링크와 상기 사절링크의 경사각을 강제 조절하기 위한 유압실린더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원거리용 방제기.
  4. 청구항 3에 있어서,
    상기 사절링크는,
    상기 회전구동부에 의한 회전에 연동하여 회전하는 제1수평링크부재;
    상기 제1수평링크부재의 양단에 각각 회동 가능하게 결합되어 있는 제2수직링크부재와 제3수직링크부재; 및
    상기 제2수직링크부재와 상기 제3수직링크의 양단에 회동 가능하게 결합되어 있는 제4수평링크부재로 구성되고,
    상기 유압실린더는 일단이 상기 제1수평링크부재에 회동 가능하게 결합되고 타단이 상기 제2수직링크부재 또는 상기 제3수직링크부재에 결합되어,
    상기 유압실린더의 수축 또는 신장 조작에 의해 상기 제2수직링크부재 또는 상기 제3수직링크부재가 상기 제1수평링크부재에 대하여 회동함에 따라 상기 방제기의 수평이동 및 높이가 조절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원거리 분무용 방제기.
  5. 청구항 1 또는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분사장치 각도조절부는,
    일측이 상기 분사장치 수평이동 및 높이조절부에 고정되어 있고, 타측이 상기 분사장치에 회동 가능하게 결합되어 있는 분사장치 지지부재와;
    일측이 상기 분사장치 수평이동 및 높이 조절부에 회동 가능하게 결합되고, 타측이 상기 분사장치에 회동 가능하게 결합되는 분사장치 각도 조절용 유압실린더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되,
    상기 유압실린더의 신장에 따라 상기 분사장치의 분사부가 상향으로 각도 조절되게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원거리용 방제기.
  6. 청구항 5에 있어서,
    상기 분사장치 각도 조절부는, 상기 분사장치의 분사부가 수직 상방으로 각도 조절될 때, 상기 분사장치 지지부재와 상기 분사장치가 연결되는 지점과 상기 분사장치 각도 조절용 유압실린더의 양 끝 지점이 함께 삼각 형상을 이루도록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원거리용 방제기.
KR1020120028164A 2012-03-20 2012-03-20 원거리용 방제기 KR101367632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028164A KR101367632B1 (ko) 2012-03-20 2012-03-20 원거리용 방제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028164A KR101367632B1 (ko) 2012-03-20 2012-03-20 원거리용 방제기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30106546A true KR20130106546A (ko) 2013-09-30
KR101367632B1 KR101367632B1 (ko) 2014-03-03

Family

ID=4945437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20028164A KR101367632B1 (ko) 2012-03-20 2012-03-20 원거리용 방제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367632B1 (ko)

Cited By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587381B1 (ko) * 2015-05-21 2016-01-20 이용재 중력 이용식 나노 포그 약액 분무기
KR20160051268A (ko) * 2014-11-03 2016-05-11 이광복 분사방향 가변형 콤팩트 구조의 약액 자동 분사장치
CN109185664A (zh) * 2018-11-08 2019-01-11 昆明旷霖科技有限公司 一种可移动升降式雾炮机
CN112472853A (zh) * 2020-12-07 2021-03-12 青岛市市立医院 一种血液透析机消毒装置
KR102305669B1 (ko) * 2021-01-27 2021-09-28 (주)한성티앤아이 방제기의 송풍구 틸팅장치
WO2023007199A1 (en) * 2021-07-30 2023-02-02 Pek Automotive D.O.O Agricultural sprayer

Family Cites Familie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569403Y2 (ja) * 1993-01-28 1998-04-22 株式会社丸山製作所 薬剤散布車
KR100741159B1 (ko) 2001-02-19 2007-07-24 최준홍 방제기
KR200355719Y1 (ko) * 2004-04-12 2004-07-07 한아에쎄스 주식회사 집중식 약제살포기
KR20060098276A (ko) * 2005-03-11 2006-09-18 아이런모터스주식회사 자주동력 적재식 방제기

Cited By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60051268A (ko) * 2014-11-03 2016-05-11 이광복 분사방향 가변형 콤팩트 구조의 약액 자동 분사장치
KR101587381B1 (ko) * 2015-05-21 2016-01-20 이용재 중력 이용식 나노 포그 약액 분무기
CN109185664A (zh) * 2018-11-08 2019-01-11 昆明旷霖科技有限公司 一种可移动升降式雾炮机
CN112472853A (zh) * 2020-12-07 2021-03-12 青岛市市立医院 一种血液透析机消毒装置
KR102305669B1 (ko) * 2021-01-27 2021-09-28 (주)한성티앤아이 방제기의 송풍구 틸팅장치
WO2023007199A1 (en) * 2021-07-30 2023-02-02 Pek Automotive D.O.O Agricultural sprayer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367632B1 (ko) 2014-03-0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367632B1 (ko) 원거리용 방제기
KR101047392B1 (ko) 방제기
KR101218732B1 (ko) 자주형 농기구용 정전분사장치
CN107000629B (zh) 用于防治车的送风喷雾机升降装置
KR20180105493A (ko) 광범위 확산용 노즐 승강식 약제살포기
KR20220054490A (ko) 가변형 살포장치가 구비된 과수용 농약방제 드론
KR20130115716A (ko) 원거리 농약살포기
KR20100093761A (ko) 무인 자동화 농약살포장치
KR200485967Y1 (ko) 양방향으로 살포되는 더블형 방제기
CN107371575B (zh) 立式割晒机割台垂直升降控制方法
KR101630224B1 (ko) 농작물 관리로봇
CN107774466B (zh) 喷杆式喷雾器
KR20200021168A (ko) 방제 보트
KR101535240B1 (ko) 이동식 방역장치의 분사관 제어방법
JP4999195B2 (ja) ブームスプレーヤ
KR102472699B1 (ko) 다중 회전구조의 고소형 방제장치
KR20130071093A (ko) 하우스 농작물 방제용 액상 살포장치
KR20160029384A (ko) 약액살포장치
KR101515499B1 (ko) 좌우로 살포되는 트랙터 탑재식 원거리용 방제기
KR20170081545A (ko) 양방향으로 살포되는 더블형 방제기
CN106489894A (zh) 一种果园施药机械及施药方法
KR101330000B1 (ko) 틸팅바를 이용한 텔레스코픽식 농약살포장치
KR102305669B1 (ko) 방제기의 송풍구 틸팅장치
CN206213099U (zh) 一种果园施药机械
CN206227448U (zh) 一种仿树形分层布风施药喷头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220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320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320

Year of fee payment: 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