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330000B1 - 틸팅바를 이용한 텔레스코픽식 농약살포장치 - Google Patents

틸팅바를 이용한 텔레스코픽식 농약살포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330000B1
KR101330000B1 KR1020110072357A KR20110072357A KR101330000B1 KR 101330000 B1 KR101330000 B1 KR 101330000B1 KR 1020110072357 A KR1020110072357 A KR 1020110072357A KR 20110072357 A KR20110072357 A KR 20110072357A KR 101330000 B1 KR101330000 B1 KR 10133000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telescopic
tilting bar
pesticide
telescopic member
pesticide spray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1007235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30011300A (ko
Inventor
유광영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고호산업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고호산업 filed Critical 주식회사 고호산업
Priority to KR102011007235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330000B1/ko
Publication of KR2013001130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30011300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33000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330000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MCATCHING, TRAPPING OR SCARING OF ANIMALS; APPARATUS FOR THE DESTRUCTION OF NOXIOUS ANIMALS OR NOXIOUS PLANTS
    • A01M7/00Special adaptations or arrangements of liquid-spraying apparatus for purposes covered by this subclass
    • A01M7/0003Atomisers or mist blowers
    • A01M7/0014Field atomisers, e.g. orchard atomisers, self-propelled, drawn or tractor-mounted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MCATCHING, TRAPPING OR SCARING OF ANIMALS; APPARATUS FOR THE DESTRUCTION OF NOXIOUS ANIMALS OR NOXIOUS PLANTS
    • A01M7/00Special adaptations or arrangements of liquid-spraying apparatus for purposes covered by this subclass
    • A01M7/005Special arrangements or adaptations of the spraying or distributing parts, e.g. adaptations or mounting of the spray booms, mounting of the nozzles, protection shields
    • A01M7/0071Construction of the spray booms
    • A01M7/0078Construction of the spray booms including break-away devic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5SPRAYING OR ATOMISING IN GENERAL; APPLYING FLUENT MATERIALS TO SURFACES, IN GENERAL
    • B05BSPRAYING APPARATUS; ATOMISING APPARATUS; NOZZLES
    • B05B3/00Spraying or sprinkling apparatus with moving outlet elements or moving deflecting elements
    • B05B3/18Spraying or sprinkling apparatus with moving outlet elements or moving deflecting elements with elements moving in a straight line, e.g. along a track; Mobile sprinkle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PVEHICLES ADAPTED FOR LOAD TRANSPORTATION OR TO TRANSPORT, TO CARRY, OR TO COMPRISE SPECIAL LOADS OR OBJECTS
    • B60P3/00Vehicles adapted to transport, to carry or to comprise special loads or objects
    • B60P3/30Spraying vehicle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 Y10S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S43/00Fishing, trapping, and vermin destroying
    • Y10S43/90Liquid insecticide sprayer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vironmental Sciences (AREA)
  • Pest Control & Pesticides (AREA)
  • W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Zoology (AREA)
  • Insects & Arthropod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Aviation & Aerospace Engineering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Toxicology (AREA)
  • Public Health (AREA)
  • Transportat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atching Or Destruction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긴 길이를 가지는 텔레스코픽식 부재를 활용하여 넓은 지역에 농약을 용이하게 살포하기 위한 틸팅바를 이용한 텔레스코픽식 농약살포장치에 관한 것으로, 텔레스코픽식으로 이루어져 이격된 거리에서 농약을 살포할 수 있도록 하는 농약 살포장치에 있어서, 농약이 저장된 탱크로부터 농약을 공급하는 농약공급장치; 텔레스코픽형으로 이루어져 길이조절이 가능하도록 형성되며, 펼쳐질 때는 고정되어 있는 기준점에서 가까운 지점부터 펼쳐지도록 되어 있는 다수개의 텔레스코픽부재; 상기 다수개의 텔레스코픽부재가 겹침 끼움되거나 펼쳐지도록 하는 유압잭; 상기 텔레스코픽부재 끝단부에서 상향으로 돌출되어 펼쳐지는 경우 트러스 구조에서 축력을 받도록 하는 지지부재; 상기 지지부재 상단에서 힌지운동을 하며, 텔레스코픽부재가 펼쳐짐에 따라 지지부재와의 사이각이 커지게 되는 틸팅바; 상기 텔레스코픽부재의 양 단에 고정되고 상기 틸팅바 단부에 걸리도록 연결되어 상기 텔레스코픽부재가 펼쳐지는 경우 트러스구조에서 인장력을 받게 되는 와이어; 상기 다수개의 텔레스코픽부재를 회동시키면서 원하는 방향에 농약 살포지점을 설정하도록 하는 회전축; 상기 텔레스코픽부재가 펼쳐짐에 따라 함께 길이조절되면서 살포 목표지까지 펼쳐지는 분사호스; 및 상기 텔레스코픽부재의 끝단부에 농약 살포 목표지점에 농약을 살포하는 분사노즐;을 포함하여 캔틸레버 구조를 이용하여 다양한 반경 및 거리에 위치한 원격 이격된 농약살포 목적지에 농약을 살포할 수 있도록 한다.

Description

틸팅바를 이용한 텔레스코픽식 농약살포장치{An Apparutus for Distributing agricultural chemicals Using a Tilting Bar}
본 발명은 긴 길이를 가지는 텔레스코픽식 부재를 활용하여 넓은 지역에 농약을 용이하게 살포하기 위한 틸팅바를 이용한 텔레스코픽식 농약살포장치에 관한 것이다.
유기농 작물을 재배하는 경작지를 제외한 대부분의 경작지에서 농약을 살포하는 작업은 반드시 필요한 작업으로 인식되고 있다.
이러한 농약 살포작업은 작업자의 농약중독을 유발할 뿐만 아니라 강한 힘과 체력이 요구되는 작업인데 고령화되어 있는 농촌의 현실에 비추어보면 농약 살포작업은 매우 부담스러운 작업에 해당되는 것이었다.
종래에는 동력분무기를 탑재한 차량(경운기, 트랙터, 트럭 등)에 실려 이동되는 호스를 경작지에 풀어놓고 이 호스의 끝부분에 연결되어 있는 분무기를 작업자가 파지한 상태로 경작지를 이동하면서 농약을 살포하는 경우가 대부분이었다.
그런데 상기와 같은 작업은 강한 유압이 작용하고 있으면서 길고 무거운 호스를 작업자가 끌고 다녀야 하기 때문에 강한 힘과 체력이 요구되는 문제점이 있는 것이었다.
또, 호스의 꼬임방지 및 호스로 인해 작물이 손상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호스를 공급 및 정리해주는 별도의 작업자가 요구되는 문제점도 있는 것이었다.
최근에는 농지정리가 잘 이루어져 대형 경작지가 주를 이루고 있기 때문에 농약살포 작업이 상대적으로 빠르게 진행될 수는 있으나 상기와 같은 문제점들이 더욱 부각되고 있는 실정이었다. (농지정리는 통상 필지 단위로 구획되고 있으며, 가로 100m×세로 50m(1필지, 약 1,500평) 규모로 이루어지고 있다.)
상기와 같은 농약살포의 어려움을 해소하기 위하여 무인헬기를 사용한 농약살포 방법과 농약을 연기 형태로 살포하는 연막 방제방법이 안출되었다.
그러나, 무인헬기를 사용한 방법은 막대한 비용과 고도의 숙련도가 요구되기 때문에 극히 일부에서만 사용되고 있으며, 널리 보급되지 못하고 있는 실정이었다.
또, 연막 방제방법은 그 방제효과가 기대에 미치지 못할 뿐만 아니라 농약 살포대상 경작지뿐만 아니라 주변의 원치 않는 곳으로까지 농약성분이 퍼져나간다는 문제점이 있어 일부에서만 사용되고 있었다.
또, 한국 실용신안출원 제20-1996-058676호와 같이 긴 트러스보에 농약살포용 노즐이 다수 개 설치된 농약 살포장치가 안출되기도 하였으나, 트러스보의 길이가 넓은 경작지를 커버하기 어렵고 상당한 무게와 부피를 갖는 장치의 특성상 이동에 상당한 어려움이 있어 실용화되지 못하고 있었다.
그리고, 도 1에서 보는 것처럼 긴 붐을 가지는 텔레스코픽식 부재를 활용하여 농약을 살포하는 방법이 개시되었는데, 농약공급장치(70)에서 회전축(60)을 통해 살포 목적지 방향으로 붐바를 향하게 한다. 그리고, 분사호스, 다수 개의 텔레스코픽부재(10)를 펼쳐서 목적지 근처에 분무기(80)를 위치시킨 후, 분사회전축(85)을 통해 분사노즐(83)로 분사하고자 하는 방향에 농약을 분사하게 된다.
이와 같은 긴 길이의 텔레스코픽부재(10)는 캔틸레버 구조를 형성하게 되므로 길이가 길어질수록 수직 하중을 크게 받게 된다. 이에 따라 종래기술에서는 이를 지탱할 수 있도록 각각의 텔레스코픽부재 일단에 레그(40)를 설치하여 하중을 지탱할 수 있도록 하였다.
그러나, 이러한 레그(40)를 실제로 논이나 밭에 설치하는 경우 경작물이 위치하는 땅에 내리게 되므로 현실적으로 그 활용도는 극히 낮게 된다. 그리고, 실제로 작업하는 경우에도 다른 위치로 이동할 때 레그가 위치하는 바닥은 논밭이므로 레그에 위치하는 바퀴를 전혀 활용할 수 없으므로 다시 레그를 접어 올려서 회전이나 이동시켜야 하는 문제가 있게 된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소하려는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대형 경작지에 농약을 용이하게 살포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해 긴 길이의 텔레스코픽식 농약 분사장치를 캔틸레버 보의 형식으로 형성하면서 수직하중을 지탱할 수 있도록 하며, 그에 따라 자유로운 길이 변화 및 회전 이동이 가능하게 함으로써 우수한 농약살포 효과를 얻을 수 있는 농약 살포장치를 제공하려는데 목적이 있다.
본 발명은 앞서 상술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다음과 같은 구성을 가진 실시예에 의하여 구현될 것이며, 하기와 같은 구성을 포함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텔레스코픽식으로 이루어져 이격된 거리에서 농약을 살포할 수 있도록 하는 농약 살포장치에 있어서, 농약이 저장된 탱크로부터 농약을 공급하는 농약공급장치; 텔레스코픽형으로 이루어져 길이조절이 가능하도록 형성되며, 펼쳐질 때는 고정되어 있는 기준점에서 가까운 지점부터 펼쳐지도록 되어 있는 다수개의 텔레스코픽부재; 상기 다수개의 텔레스코픽부재가 겹침 끼움되거나 펼쳐지도록 하는 유압잭; 상기 텔레스코픽부재 끝단부에서 상향으로 돌출되어 펼쳐지는 경우 트러스 구조에서 축력을 받도록 하는 지지부재; 상기 지지부재 상단에서 힌지운동을 하며, 텔레스코픽부재가 펼쳐짐에 따라 지지부재와의 사이각이 커지게 되는 틸팅바; 상기 텔레스코픽부재의 양 단에 고정되고 상기 틸팅바 단부에 걸리도록 연결되어 상기 텔레스코픽부재가 펼쳐지는 경우 트러스구조에서 인장력을 받게 되는 와이어; 상기 다수개의 텔레스코픽부재를 회동시키면서 원하는 방향에 농약 살포지점을 설정하도록 하는 회전축; 상기 텔레스코픽부재가 펼쳐짐에 따라 함께 길이조절되면서 살포 목표지까지 펼쳐지는 분사호스; 및 상기 텔레스코픽부재의 끝단부에 농약 살포 목표지점에 농약을 살포하는 분사노즐;을 포함하여 캔틸레버 구조를 이용하여 다양한 반경 및 거리에 위치한 원격 이격된 농약살포 목적지에 농약을 살포할 수 있도록 한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지지부재는 수직 축력을 받는 부재가 되고, 상기 틸팅바와 와이어는 일직선으로 형성되어 인장력을 받게 되는 트러스 구조로 형성함으로써 캔틸레버 구조의 하중을 지탱하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와이어는, 상기 텔레스코픽부재의 길이보다 크게 형성되고, 텔레스코픽부재의 겹침 끼움에 의한 틸팅바의 틸팅 회전에 따라 지속적으로 긴장된 상태를 유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틸팅바의 하단틸팅부에는, 상기 와이어가 걸려 텔레스코픽부재가 펼쳐짐에 따라 틸팅바와 와이어가 긴장된 상태로 일직선을 이루도록 하는 도르래;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텔레스코픽부재들을 겹침 끼움하거나 펼치는 동력을 제공하는 유압잭;을 포함하고, 상기 텔레스코픽부재의 외측단부는 겹침 끼움 및 펼침 기능을 원활하게 하는 베어링;을 포함하도록 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각각의 텔레스코픽부재는 동일한 길이로 형성되며, 상기 텔레스코픽부재 하나의 유닛은 6미터의 길이로 형성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상기의 구성 및 수단을 통해 다음과 같은 효과를 달성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농약살포장치는, 길이조절이 가능한 텔레스코픽형 다수의 텔레스코픽부재를 포함하여 캔틸레버 보의 구조에서 수직하중을 안정적으로 지탱할 수 있으므로 충분히 길게 펼쳐 놓을 수 있으며, 이로써 넓은 면적의 경작지에 농약을 용이하게 살포할 수 있고, 살포되는 농약이 살포대상 경작지에서 크게 벗어나지는 않게 되는 효과를 도모할 수 있다.
본 발명은 또한, 텔레스코픽부재가 펼쳐진 상태에서 긴 길이의 캔틸레버 보가 별도의 레그를 가지고 있지 아니하므로 농경지의 경작물에 전혀 영향을 끼치지 않고, 자유롭게 펼쳐지도록 하여 원활한 농약살포 작업을 할 수 있다.
본 발명은 또한, 텔레스코픽부재가 펼쳐진 상태에서 하부에 별도의 레그를 포함하고 있지 아니하므로 살포 목적지를 변경하는 경우 자유로운 길이 변화 및 회전 이동이 가능하므로 우수한 농약살포 효과를 얻을 수 있다.
본 발명은 또한, 캔틸레버 보에서 수직하중을 지탱하기 위해서는 부재의 충분히 커야 지탱할 수 있는데, 본 발명의 지지부재 및 틸팅바, 와이어를 통해 트러스 구조에 의한 수직하중을 지탱할 수 있으므로, 텔레스코픽부재의 중량을 작게 함으로써 부재절감의 효과를 도모할 수 있게 된다.
도 1은 텔레스코픽식 농약살포장치이 탑재된 차량 상태를 전체적으로 도시한 도면.
도 2는 텔레스코픽식 농약살포장치를 도시한 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의 틸팅바를 이용한 농약살포장치가 접힌 상태를 도시한 도면.
도 4는 본 발명의 틸팅바를 이용한 농약살포장치가 펼쳐지는 상태를 도시한 도면.
도 5는 본 발명에서 다양한 틸팅바를 가지는 경우 완전히 펼쳐진 상태를 도시한 도면.
도 6은 본 발명의 텔레스코픽부재를 도시한 사시도.
도 7은 본 발명의 텔레스코픽부재가 겹쳐져 접힌 상태를 도시한 도면.
이하에서는 본 발명에 따른 틸팅바를 이용한 텔레스코픽식 농약살포장치에 대한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이에 앞서, 본 명세서 및 청구범위에서 사용된 용어나 단어는 통상적이거나 사전적인 의미로 한정되어서는 아니되며, 발명자는 그 자신의 발명을 가장 최선의 방법으로 설명하기 위해 용어의 개념을 적절하게 정의할 수 있다는 원칙에 입각하여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부합하는 의미와 개념으로 해석되어야만 한다.
따라서, 본 명세서에 기재된 실시예와 도면에 도시된 구성은 본 발명의 가장 바람직한 실시예에 불과할 뿐이고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모두 대변하는 것은 아니므로, 본 출원시점에 있어서 이들을 대체할 수 있는 다양한 균등물과 변형예들이 있을 수 있음을 이해하여야 한다.
이하에서는 본 발명의 구성 및 바람직한 실시예를 도 1 내지 도 7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하도록 한다.
이하,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첨부된 도면을 사용하여 더욱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본 발명은 대형 경작지에 농약을 살포할 수 있도록 하는 틸팅바를 이용한 농약살포장치에 관한 것으로, 특히 길게 펼쳐지는 텔레스코픽식 구조에서 캔틸레버 구조에 따른 수직하중을 틸팅바 및 와이어로 이를 지탱할 수 있도록 한다.
따라서, 본 발명의 농약 살포장치도 말단에 도 1 및 도 2에서 보는 바와 같이 농약살포용 분사노즐(83)이 구비되어 농약을 살포하도록 되어 있는 분무기(80)를 갖는다.
또, 농약저장탱크에 저장된 농약을 분무기(80)로 공급하기 위한 농약공급호스(81)를 가지며, 공급되는 농약이 상기 분무기(80)를 통해 강하게 분사되도록 하기 위해 공급되는 농약을 압축하는 압축수단을 갖는 농약공급장치(70)를 갖는다.
그리고, 상기 분사노즐(83)은 분사회전축(85)을 통해 살포 목적지 방향에 맞추어 조절되면서 농약을 분사할 수 있도록 한다.
또한, 상기 농약공급장치(70)는 텔레스코픽부재 전체가 살포되는 지역의 방향에 맞추어 회전할 수 있도록 하는 회전축(60)을 구비하고 있어, 통상적으로 본 발명을 탑재한 차량이 정차하여 고정된 후 큰 회전반경을 따라 살포 목적지에 따라 회전할 수 있도록 한다.
이러한 차량에 농약살포장치를 탑재하여 회전식의 텔레스코픽부재를 이용한 분무기(80)나 농약공급기(70)의 일반적 형태는 도 1 및 도 2에 개시되어 있으며, 당해 구성 및 작동관계에 대해서는 본 발명이 당연히 채용하는 것으로, 이미 널리 공지된 것이므로 구체적인 설명은 생략한다.
이하에서는 본 발명의 구성을 도 3 내지 도 7을 참조하여 보다 상세하게 설명하도록 한다.
이에 본 발명은 대형 경작지에 농약을 살포하는 것이 용이하면서도 살포 효과가 우수하고, 신속한 살포가 가능하도록 하려는 목적을 갖는다. 살포효과가 우수한 농약 살포방법은 농약 성분이 포함된 액체를 농약살포용 분사노즐(83)을 통해 경작지의 작물에 직접 살포하는 방법이다.
본 출원에 포함된 발명은 상기와 같은 살포방법을 사용하면서도 대형 경작지에서 사용 가능하도록 하기 위해, 길이조절이 가능한 텔레스코픽형(telescopic type) 텔레스코픽부재(100)을 이용하여 농약을 살포하는 방법이다.
즉, 농약살포용 분사노즐(83)이 구비된 분무기(80)를 구비하되, 이 분무기(80)는 텔레스코픽부재(100)에 의한 길이조절이 이루어질 때 함께 움직이면서 농약을 살포하거나, 펼쳐진 텔레스코픽부재(100)을 따라 이동하면서 농약을 살포하도록 구현하는 것이다.
분무기(80)가 텔레스코픽부재(100)들을 따라 이동하면서 농약을 살포하는 구조는 레일 위를 달리는 트레일러나 차량과 같이 분무기(80)가 펼쳐진 텔레스코픽부재(100)를 따라 이동하면서 농약을 살포하도록 하는 구조인데, 이러한 구성 및 기술방식 등은 공지기술을 이용해 적용 가능한 것이므로 구체적인 설명은 생략한다.
그런데, 길이조절이 가능한 텔레스코픽부재(100)가 종래 크레인에 구비된 붐과 같이 상부를 향해 길이 조절이 이루어지는 것이라면 농약 살포효과가 기대에 미치지 못하게 될 뿐만 아니라 넓은 경작지에 농약을 신속하게 살포하기 어렵다.
즉, 넓은 경작지에 농약을 신속하게 살포하면서도 농약 살포효과가 우수하도록 하려면 농약이 농작물의 바로 윗부분에서 낮게 살포되되 수평으로 살포되어야 하는 것이다.(벼의 경우 길게 뻗어나가는 형태로 살포되는 농약이 벼의 끝부분을 스치면서 뻗어나가는 형태가 됨)
이것은 길이가 긴 텔레스코픽부재가 캔틸레버 구조를 이룸으로써 처짐현상이 발생되고, 전체적인 하중을 지탱하지 못하여 텔레스코픽부재가 파손되는 현상이 유발된다.
이에 당해 처짐현상 및 캔틸레버 구조의 하중에 따른 파손을 방지하기 위하여 복수 개의 텔레스코픽부재가 설정된 길이까지 펼져진 상태에서 텔레스코픽부재에 고정되지 않은 부분이 지면에 안착되어 받쳐주도록 하는 레그를 더 구비한다.
이러한 종래의 긴 길이의 텔레스코픽부재에 따른 농약살포장치를 적용할 때, 레그가 하중을 지탱해야 하는 경우 그 하부에 있는 논밭 등의 경작지에 지지시켜야 한다. 그러나, 현실적으로 농경지에서 레그를 내려서 장착하는 경우 경작물을 훼손시키거나, 위치를 이동하는 경우 다시 레그를 접었다 펼치고 하는 등의 작업의 난이성, 레그의 파손 등에 따른 유지보수의 관리 문제가 발생한다.
이를 위해 본 발명은 레그를 없애고 캔틸레버 보의 하중을 상부에 틸팅바와 와이어 및 지지부재로 트러스 구조에 따른 긴 길이의 캔틸레버 구조를 형성할 수 있도록 한다.
도 3은 본 발명의 틸팅바를 이용한 농약살포장치가 접힌 상태를 도시한 도면이고, 도 4는 본 발명의 틸팅바를 이용한 농약살포장치가 펼쳐지는 상태를 도시한 도면이며, 도 5는 본 발명에서 다양한 틸팅바를 가지는 경우 완전히 펼쳐진 상태를 도시한 도면이고, 도 6은 본 발명의 텔레스코픽부재를 도시한 사시도이며, 도 7은 본 발명의 텔레스코픽부재가 겹쳐져 접힌 상태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3 및 도 4를 참조하여 본 발명의 틸팅바를 이용한 텔레스코픽식 농약살포장치를 상세히 살펴보면, 본 발명은 텔레스코픽식으로 이루어져 이격된 거리에서 농약을 살포할 수 있도록 하는 농약 살포장치에 있어서, 농약이 저장된 탱크로부터 농약을 공급하는 농약공급장치; 텔레스코픽형으로 이루어져 길이조절이 가능하도록 형성되며, 펼쳐질 때는 고정되어 있는 기준점에서 가까운 지점부터 펼쳐지도록 되어 있는 다수개의 텔레스코픽부재(100); 상기 다수개의 텔레스코픽부재가 겹침 끼움되거나 펼쳐지도록 하는 유압잭; 상기 텔레스코픽부재 끝단부에서 상향으로 돌출되어 펼쳐지는 경우 트러스 구조에서 축력을 받도록 하는 지지부재(200); 상기 지지부재 상단에서 힌지운동을 하며, 텔레스코픽부재가 펼쳐짐에 따라 지지부재와의 사이각이 커지게 되는 틸팅바(300); 상기 텔레스코픽부재의 양 단에 고정되고 상기 틸팅바 단부에 걸리도록 연결되어 상기 텔레스코픽부재가 펼쳐지는 경우 트러스구조에서 인장력을 받게 되는 와이어(400); 상기 다수개의 텔레스코픽부재를 회동시키면서 원하는 방향에 농약 살포지점을 설정하도록 하는 회전축; 상기 텔레스코픽부재가 펼쳐짐에 따라 함께 길이조절되면서 살포 목표지까지 펼쳐지는 분사호스; 및 상기 텔레스코픽부재의 끝단부에 농약 살포 목표지점에 농약을 살포하는 분사노즐;을 포함하여 캔틸레버 구조를 이용하여 다양한 반경 및 거리에 위치한 원격 이격된 농약살포 목적지에 농약을 살포할 수 있도록 한다.
이에 상기 농약공급장치, 유압잭, 회전축, 분사호스 및 분사노즐은 종래의 텔레스코픽식 농약공급장치에 존재하는 구성으로 본 발명은 당해 구성을 채용할 수 있고, 앞서 도 1 및 도 2를 설명하는 과정에서 충분히 설명하였으므로 이하 그 설명을 생략하기로 한다.
그리고, 유압잭은 도 1 및 도 2에는 도시되어 있지 않지만, 본 발명의 텔레스코픽부재(100)는 유압잭에 의한 유압으로 펼쳐지거나 접히는 방식으로 구현될 수도 있고, 펼침용 로프와 접힘용 로프 등의 로프를 사용한 방식으로 구현할 수도 있다.
이러한 구성은 일반적으로 크레인 등의 텔레스코픽식 구조에 따라 텔레스코픽부재(100)를 펼치거나 겹침 끼움되는 형식의 구조를 채용하는 경우 동력을 제공하는 구성으로써 당연히 채용 가능하며, 당업자가 충분히 알 수 있는 구성으로 이하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도 3 및 도 4에서 볼 수 있듯이, 상기 다수의 텔레스코픽부재(100)는 서로 다른 직경을 가지는 각관 또는 원형관으로 형성될 수 있으나, 바람직하게는 사각의 각관으로 형성될 수 있다. 또한, 긴 길이의 캔틸레버 구조의 수직하중을 견딜 수 있어야 하므로 강도가 큰 강철로 형성될 것이다.
이에 상기 텔레스코픽부재들은 말단으로 갈수록 더 직경이 작은 관형 부재로 형성되며 통상적으로 각각 길이는 동일하게 형성하고, 끝단의 텔레스코픽부재(100)들로 갈수록 각각 순차적으로 직경이 작아지도록 형성한다.
이렇게 형성함으로써 각각의 텔레스코픽부재(100)들은 이전단의 텔레스코픽부재(100)에 길이방향으로 내입되어 끼워지는 형식으로 결합되어 접히는 작동을 하고, 반대로 펼쳐질 때는 각각의 텔레스코픽부재(100)가 길이방향으로 인출되는 과정에 따라 긴 길이의 캔틸레버 구조를 이룬다.
상기 텔레스코픽부재(100)들의 고정 지지점은 도 1 및 도 2에서 보는 바와 같이 농약공급장치(70)에 포함된 회전축(60)이며 텔레스코픽부재(100)가 펼쳐질 때는 고정되어 있는 기준점인 회전축(60)에서 가까운 지점부터 펼쳐지도록 함이 바람직하다.
상기 텔레스코픽부재(100)의 외측단부 및 내측단부(150) 측에 와이어(400)가 고정되어 있다. 이에 상기 와이어(400)는 본 발명의 작동관계에서 인장력을 받으며 주변 자재들과 접촉을 하지 않도록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따라서, 도 3 및 도 4에서 보는 바와 같이 내측단부(150)에는 와이어(400)가 걸리는 원형의 고정부가 형성될 수 있는데, 이를 통해 텔레스코픽부재(100)들이 관입된 이격공간에서 접촉하지 않도록 할 수 있다.
상기 외측단부에 와이어(400)가 고정되는 경우를 살펴보면, 도 3에서 보는 것처럼 텔레스코픽부재(100)의 마지막 단에는 지지부재(200)가 형성되지 않으므로 별도의 와이어를 위한 고정부가 형성될 수 있다.
또한, 더 나아가 상기 원형의 고정부가 형성되는 경우 와이어(400)가 고정되면서 접촉되는 길이가 더 많게 되므로 와이어(400)에 걸리는 인장력을 고정단 한 부위에서만 집중에서 받지 않고, 접촉되는 부위에 분산될 수 있도록 하는 효과를 도모한다. 즉, 이와 같이 좀더 긴 길이의 접촉부위를 부가함으로써 와이어의 안정적인 고정을 통해 큰 인장력을 받는 와이어를 지탱할 수 있도록 한다.
상기 지지부재(200)는, 상기 텔레스코픽부재(100) 끝단부에서 상향으로 돌출된 철골이나 각관 형식의 길이부재이며, 텔레스코픽부재가 펼쳐지는 경우 트러스 구조에서 축력을 받도록 형성된다.
상기 지지부재(200)는, 수직 축력을 받는 부재가 되므로, 텔레스코픽부재(100)와 직각으로 형성되어 고정된 구조로 이루어짐이 바람직하며, 축력을 지탱해야 하므로 강철의 철골이나 사각관과 같은 축력에 강한 부재로 활용한다. 이에 상기 지지부재(200)는, 틸팅바(300)와 와이어(400)가 일직선으로 형성되어 인장력을 받게 되는 트러스 구조에서 축력을 받는 부재가 되며, 이로써 캔틸레버 구조의 하중을 지탱하도록 한다.
상기 지지부재(200)의 상단은 틸팅바(300)와 힌지결합하는 상단힌지부(310)가 형성되고, 하단은 와이어(400)가 텔레스코픽부재(100)에 고정되는 하단고정부(230)가 형성될 수 있다.
상기 하단고정부(230)는 도 3 및 도 4에서 보는 것처럼 통상적으로 와이어(400)가 고정되는 구조이므로 앞서 설명한 텔레스코픽부재(100)의 내측단부(150)와 마찬가지로 원형의 고정부로 형성될 수 있다. 이러한 원형 고정부의 구성은 앞서 설명한 바와 같이, 와이어(400) 고정 접촉길이를 더 길게 하여 와이어(400)에 걸리는 인장력을 접촉되는 부위에 분산될 수 있도록 함으로써, 와이어의 안정적인 고정을 통해 큰 인장력을 받는 와이어를 지탱할 수 있도록 한다.
상기 지지부재(200)는 도 3 내지 도 5에서 보는 바와 같이, 하단에 도르래(233)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도르래(233)는 텔레스코픽부재(100)가 펼쳐짐에 따라 와이어(400)에 걸리는 틸팅바(300)가 시계반대 방향으로 회전하면서 도 4에서처럼 자연스럽게 트러스 구조를 형성하는데, 이와 같은 작동에서 와이어(400)의 원활한 미끄러짐을 위해 마찰력을 없애기 위함이다. 이러한 텔레스코픽부재(100)의 펼침에 따른 와이어(400) 및 틸팅바(300)의 작동은 이하에서 좀더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상기 틸팅바(300)는, 상기 지지부재(200) 상단에서 힌지운동을 하며, 텔레스코픽부재(100)가 펼쳐짐에 따라 시계 반대방향으로 회전하면서 지지부재(200)와의 사이각이 커지게 된다. 이에 상기 틸팅바(300)는 도 3 내지 도 5에서 보는 바와 같이, 와이어(400)와 함께 트러스구조 형성시 인장력을 지탱하는 부재로써 축력보다는 인장력에 강한 부재로 형성함이 바람직하다.
이에 상기 틸팅바(300)는, 지지부재의 상단힌지부(210)와 힌지결합하는 상단부(310)와 하단에서 와이어(400)가 걸치게 되는 하단틸팅부(330)를 포함한다.
상기 상단힌지부(310)는 지지부재(200)의 상단(210)에서 마찰력이 없이 자중에 의해 힌지운동을 할 수 있도록 힌지결합되고, 이에 따라 틸팅바(300)는 힌지점을 축으로 틸팅(Tilting, 기울어짐 )될 수 있다.
상기 틸팅바의 하단틸팅부(330)에는, 와이어(400)가 걸치게 되어 마찰력없이 움직이게 하는 도르래(333)가 형성되는데, 상기 와이어(400)가 걸려 텔레스코픽부재(100)가 펼쳐짐에 따라 틸팅바(300)와 와이어(400)가 긴장된 상태로 일직선을 이룰 수 있도록 한다.
상기 와이어(400)는, 상기 텔레스코픽부재(100)의 양 단에 고정되고 상기 틸팅바 하단고정부(230)에 걸리도록 연결되어 상기 텔레스코픽부재(100)가 펼쳐지는 경우 트러스구조에서 인장력을 받게 된다. 이에 상기 와이어(400)는, 상기 텔레스코픽부재(100)의 길이보다 길도록 형성되어야 하는데, 이는 도 3 및 도 4의 작동관계에서 보는 바와 같이 텔레스코픽부재(100)의 겹침 끼움에 의한 틸팅바(300)의 틸팅 회전에 따라 지속적으로 긴장된 상태를 유지해야 하기 때문이다.
상기 와이어(400)는, 지속적인 인장력을 받게 되므로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인장력에 강한 금속 소재의 와이어가 사용될 수 있으며, 일단은 외측고정부(410)로써 지지부재(200)의 하단고정부(230)에 고정되고, 타단은 내측고정부(430)로써 텔레스코픽부재(100)의 내측단부(150)에 고정된다. 상기 와이어(400)가 고정되는 부위는 앞서 설명한 것처럼 하단고정부(330) 및 내측단부(150)에 형성된 원형 고정부로 이루어질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와이어(400)는 도 3 및 도 4에서 보는 것처럼 지지부재의 도르래(233)와 틸팅바의 도르래(333)에 걸쳐서 마찰력이 없이 슬라이딩될 수 있는 구조를 이룬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도 5에서 보는 바와 같이 틸팅바(300)의 부재길이를 다양하게 조절할 수 있다. 이렇게 다양한 틸팅바(300)를 채용함으로써 틸팅되는 회전반경이 상이하게 되는데, 이 경우 텔레스코픽부재(100)의 길이에 대응되도록 일직선의 틸팅바 - 와이어의 구조를 이룰 수 있도록 할 수 있다. 즉, 다양한 스팬을 갖는 캔틸레버 구조를 형성하는 본 발명에서 텔레스코픽부재(100)가 다양한 유닛의 길이로 형성될 수 있으므로, 이에 맞추어 틸팅바(300)의 길이도 적정한 길이의 부재로 형성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도 6에서 보는 바와 같이 텔레스코픽부재(100)의 외측 상면은 길이방향의 함몰부로 형성된 와이어수용부(130)를 포함할 수 있다.
비록 도 7에서와 같이 다수의 텔레스코픽부재(100)가 직경 차이가 크게 나도록 텔레스코픽부재(100)들이 이루어지는 경우 상부의 이격공간으로 형성되는 와이어수용부(130)에 충분히 와이어가 텔레스코픽부재(100)와 함께 무리없이 관입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나, 도 3 및 도 4에서 볼 수 있듯이 다수의 텔레스코픽부재(100)가 그 직경의 차이를 작게 하여 내부에 슬라이딩식으로 관입되게 하는 경우 와이어(400)가 함께 끌어 당겨들어갈 공간이 없어 접촉에 따른 오작동 내지 파손이 발생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텔레스코픽부재(100)의 외측 상면에 별도의 함몰된 공간을 와이어 수용부(130)로 마련하여 와이어가 수용됨으로써 접촉을 방지하여 원활한 겹침 끼움이 가능할 수 있도록 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도 6 및 도 7에서 보는 바와 같이, 상기 텔레스코픽부재(100)의 외측하부는 슬라이딩에 따른 겹침 끼움 및 펼침 기능을 원활하게 하는 돌출부(133)를 포함할 수 있다. 즉, 겹침 관입된 텔레스코픽부재(100)들은 무거운 철제부재이므로 관입된 후에 인출하는 경우 접촉마찰력에 의해 펼침시 큰 힘이 필요하게 된다. 이에 따라 인출을 위한 유압잭에 더 큰 동력이 제공되어야 하므로 비경제적이게 되며, 동력이 약한 경우 미작동되는 경우가 발생될 수 있다.
이에 따라 내부의 텔레스코픽부재 외측 하면과 외부의 텔레스코픽부재 내측 하면의 접촉면적을 줄임으로써 마찰력을 줄여 겹침 끼움, 인출시에 동력이 적게 하여도 되는 돌출부(133)를 형성한다. 또한, 이러한 돌출부(133) 대신에 베어링 등의 마찰제거 부재를 설치하여 겹침 끼움 및 인출을 원활하게 하는 것도 가능하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각각의 텔레스코픽부재(100)들은 동일한 길이로 형성되도록 한다. 이와 같이 동일한 길이의 다수개의 텔레스코픽부재(100)가 형성되는 경우 접힌 경우 하나의 균등한 일체의 큰 부재로 형성된다. 당해 텔레스코픽부재(100)는 통상적으로 하중을 지탱할 수 있는 6미터의 길이의 유닛으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하에서는 도 3 내지 도 5를 참조하여 본 발명의 틸팅바를 이용한 텔레스코픽식 농약살포장치의 작동관계를 상세히 설명하도록 한다.
먼저 겹침 끼움된 경우 도 3에서 보는 것처럼 다수개의 텔레스코픽부재(100)가 겹침 관입되고, 지지부재(100) 또한 겹침되어 전체적으로 짧은 길이의 "┛" 형태로 형성된다.
그리고, 도 4에서 보는 것처럼 겹침 끼움된 텔레스코픽부재(100)가 슬라이딩되어 인출되는 경우, 텔레스코픽부재(100)의 내측단부(150) 및 지지부재(200)의 하단고정부(230) 또는 와이어의 외측고정부(410)에 고정된 정해진 길이의 와이어(400)는 지지부재의 도르래(233)의 하측에 걸리고, 틸팅바의 도르래(333)의 상측에 걸려 "ㅅ" 형태로 벌어지게 된다.
여기서 와이어(400)가 벌려지면서 틸팅바(300)는 상단힌지부(310)에서 시계 반대방향으로 회전하게 되고, 틸팅바와 와이어는 지지부재(200) 상단부(210)와 텔레스코픽부재(200)의 외측단부를 잇는 직선 형태로 이루어진다.
이와 같이 펼쳐진 상태에서 틸팅바와 와이어는 인장력을 받게 되고, 지지부재는 압축력을 받게 됨으로써 전체적으로 트러스 구조를 형성하게 된다.
이때, 지지부재(200) 하단부(텔레스코픽부재가 펼쳐진 다음 하나의 유닛과 다른 유닛이 연결되는 부위)는 하중을 집중적으로 받게 되므로 매우 큰 휨모멘트를 갖게 된다. 따라서, 당해 지지부재 하단부에서의 집중하중을 지탱하기 위해서는 텔레스코픽부재(100)가 완전히 인출되도록 함은 바람직하지 않다.
따라서, 본 발명의 텔레스코픽부재(100)가 완전히 펼쳐지는 경우에는 이전 단의 텔레스코픽부재 외측단부와 다음 단의 텔레스코픽부재 내측단부(150)의 겹침부가 도 4에서 보는 바와 같이 어느 정도의 적정한 길이를 유지함으로써 집중하중을 받게 되는 지지부재 하단부의 휨모멘트를 충분히 지탱할 수 있도록 한다.
물론, 상기 텔레스코픽부재(100)가 인출된 후의 겹침부(이전 단의 텔레스코픽부재와 다음 단의 텔레스코픽부재의 겹침부)를 작게 하는 경우 충분히 긴 길이의 캔틸레버 구조를 이룰 수 있으므로, 당해 겹침부의 하중을 지탱할 수 있을 정도의 강한 모멘트보강이 이루어지는 경우 충분히 길게 인출할 수 있을 것이다.
본 발명은 농약의 살포장치에 관한 기술에 대한 것이므로 그 구성요소인 분무기(80)를 구현함에 있어서, 농약살포용 분사노즐(83)로부터 끝단의 텔레스코픽부재에 고정된 부분까지의 거리가 조절되는 형태로 구현할 수도 있다. 또한, 길이조절 방식은 통상의 텔레스코픽부재의 텔레스코픽식 길이조절방식과 같이 구현할 수도 있고, 기타 공지기술을 적용하여 구현할 수 있는 것이므로 이 부분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은 생략한다.
앞서 살펴본 실시예는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자(이하 '당업자'라 한다)가 본 발명에 따른 틸팅바를 이용한 텔레스코픽식 농약살포장치를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도록 하는 바람직한 실시예일 뿐, 전술한 실시예 및 첨부한 도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므로 이로 인해 본 발명의 권리범위가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따라서,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여러가지 치환, 변형 및 변경이 가능하다는 것이 당업자에게 있어 명백할 것이며, 당업자에 의해 용이하게 변경가능한 부분도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포함됨은 자명하다.
10 : 텔레스코픽부재 40 : 레그
60 : 회전축 70 : 농약공급장치
80 : 분무기 81 : 분사호스
83 : 분사노즐 85 : 분사회전축
100 : 텔레스코픽부재 110 : 외측단부
130 : 와이어 수용부 133 : 돌기
150 : 내측단부 200 : 지지부재
210 : 상단부 230 : 하단고정부
233 : 도르래 300 : 틸팅바
310 : 상단힌지부 330 : 하단틸팅부
333 : 도르래 400 : 와이어
410 : 외측 고정부 430 : 내측 고정부
500 : 유압잭 600 : 회전축

Claims (8)

  1. 농약이 저장된 탱크로부터 농약을 공급하는 농약공급장치;
    텔레스코픽형으로 이루어져 길이조절이 가능하도록 형성되며, 펼쳐질 때는 고정되어 있는 기준점에서 가까운 지점부터 펼쳐지도록 되어 있는 다수개의 텔레스코픽부재;
    상기 다수개의 텔레스코픽부재가 겹침 끼움되거나 펼쳐지도록 하는 유압잭;
    상기 텔레스코픽부재 끝단부에서 상향으로 돌출되어 펼쳐지는 경우 트러스 구조에서 축력을 받도록 하는 지지부재;
    상기 지지부재 상단에서 힌지운동을 하며, 텔레스코픽부재가 펼쳐짐에 따라 지지부재와의 사이각이 커지게 되는 틸팅바;
    상기 텔레스코픽부재의 양 단에 고정되고 상기 틸팅바 단부에 걸리도록 연결되어 상기 텔레스코픽부재가 펼쳐지는 경우 트러스구조에서 인장력을 받게 되는 와이어;
    상기 다수개의 텔레스코픽부재를 회동시키면서 원하는 방향에 농약 살포지점을 설정하도록 하는 회전축;
    상기 텔레스코픽부재가 펼쳐짐에 따라 함께 길이조절되면서 살포 목표지까지 펼쳐지는 분사호스; 및
    상기 텔레스코픽부재의 끝단부에 농약 살포 목표지점에 농약을 살포하는 분사노즐;을 포함하여 캔틸레버 구조를 이용하여 다양한 반경 및 거리에 위치한 원격 이격된 농약살포 목적지에 농약을 살포할 수 있도록 하는 틸팅바를 이용한 텔레스코픽식 농약살포장치.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지지부재는 수직 축력을 받는 부재가 되고, 상기 틸팅바와 와이어는 일직선으로 형성되어 인장력을 받게 되는 트러스 구조로 형성함으로써 캔틸레버 구조의 하중을 지탱하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틸팅바를 이용한 텔레스코픽식 농약살포장치.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와이어는,
    상기 텔레스코픽부재의 길이보다 크게 형성되고, 텔레스코픽부재의 겹침 끼움에 의한 틸팅바의 틸팅 회전에 따라 지속적으로 긴장된 상태를 유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틸팅바를 이용한 텔레스코픽식 농약살포장치.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틸팅바의 하단틸팅부에는,
    상기 와이어가 걸려 텔레스코픽부재가 펼쳐짐에 따라 틸팅바와 와이어가 긴장된 상태로 일직선을 이루도록 하는 도르래;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틸팅바를 이용한 텔레스코픽식 농약살포장치.
  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텔레스코픽부재들을 겹침 끼움하거나 펼치는 동력을 제공하는 유압잭;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틸팅바를 이용한 텔레스코픽식 농약살포장치.
  6.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텔레스코픽부재의 외측하부는 슬라이딩에 따른 겹침 끼움 및 펼침 기능을 원활하게 하는 베어링 또는 돌출부;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틸팅바를 이용한 텔레스코픽식 농약살포장치.
  7.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각각의 텔레스코픽부재는 동일한 길이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틸팅바를 이용한 텔레스코픽식 농약살포장치.
  8.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텔레스코픽부재 하나의 유닛은 6미터의 길이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틸팅바를 이용한 텔레스코픽식 농약살포장치.
KR1020110072357A 2011-07-21 2011-07-21 틸팅바를 이용한 텔레스코픽식 농약살포장치 KR101330000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072357A KR101330000B1 (ko) 2011-07-21 2011-07-21 틸팅바를 이용한 텔레스코픽식 농약살포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072357A KR101330000B1 (ko) 2011-07-21 2011-07-21 틸팅바를 이용한 텔레스코픽식 농약살포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30011300A KR20130011300A (ko) 2013-01-30
KR101330000B1 true KR101330000B1 (ko) 2013-11-15

Family

ID=4784028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10072357A KR101330000B1 (ko) 2011-07-21 2011-07-21 틸팅바를 이용한 텔레스코픽식 농약살포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330000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80003426U (ko) * 2017-05-30 2018-12-10 (주)온누리기계 자동 폴딩 붐스프레이어
KR20200100314A (ko) * 2019-02-18 2020-08-26 삼성중공업 주식회사 길이가 신축되는 lng 화물창용 특수 족장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9892309B (zh) * 2019-04-02 2024-05-17 浙江博源农机有限公司 一种直播机的可伸展农药喷洒装置
KR102128204B1 (ko) * 2019-07-31 2020-06-29 오병호 분무 범위 조절이 가능한 로봇암 분무 구조체를 갖는 액체 분무 장치
CN110338177B (zh) * 2019-08-05 2024-05-24 山东思代尔农业装备有限公司 带柔性缓冲装置的低幅冲击喷杆折叠机构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11347469A (ja) * 1998-06-05 1999-12-21 Kioritz Corp 伸縮ブーム装置
KR100411389B1 (ko) 2001-10-30 2003-12-18 박세기 파종, 농약 및 비료 살포하는 다목적장치
KR100755924B1 (ko) 2006-11-14 2007-09-06 주식회사 오토기기 분체도장설비의 건조장치
KR100948694B1 (ko) 2009-09-28 2010-03-18 이도희 붐을 갖는 농약 살포장치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11347469A (ja) * 1998-06-05 1999-12-21 Kioritz Corp 伸縮ブーム装置
KR100411389B1 (ko) 2001-10-30 2003-12-18 박세기 파종, 농약 및 비료 살포하는 다목적장치
KR100755924B1 (ko) 2006-11-14 2007-09-06 주식회사 오토기기 분체도장설비의 건조장치
KR100948694B1 (ko) 2009-09-28 2010-03-18 이도희 붐을 갖는 농약 살포장치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80003426U (ko) * 2017-05-30 2018-12-10 (주)온누리기계 자동 폴딩 붐스프레이어
KR200489011Y1 (ko) 2017-05-30 2019-04-17 (주)온누리기계 자동 폴딩 붐스프레이어
KR20200100314A (ko) * 2019-02-18 2020-08-26 삼성중공업 주식회사 길이가 신축되는 lng 화물창용 특수 족장
KR102528236B1 (ko) * 2019-02-18 2023-05-02 삼성중공업 주식회사 길이가 신축되는 lng 화물창용 특수 족장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30011300A (ko) 2013-01-3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330000B1 (ko) 틸팅바를 이용한 텔레스코픽식 농약살포장치
KR100948694B1 (ko) 붐을 갖는 농약 살포장치
US11185022B2 (en) Sprinkler cart of hose reel irrigator in folding truss inhaul-cable type
US20150201552A1 (en) Pivot hinge boom spray system
US8899496B2 (en) Horizontally pivotable agricultural sprayer with vertically pivotable segments
US10440942B2 (en) Sprayer systems with drop apparatuses having retractable arms
JP2007536179A (ja) ホース、ケーブル、またはその他を巻き取り、また解き放つための装置
DE102008063298A1 (de) Mast für Windkraftwerke und Antennen etc. mit schwenkbarem Mastfuß
US7387316B2 (en) Portable water tank
KR200489011Y1 (ko) 자동 폴딩 붐스프레이어
JP5776994B2 (ja) タンク搭載車両用取水アーム装置、およびそれを利用した給水方法
JP2013116078A (ja) ブームスプレーヤ
CN206365393U (zh) 一种农药自动喷洒装置
US11877545B1 (en) Apparatus for stabilizing irrigation towers
US3684180A (en) Sprinkler system wheel structure
DE102018114832A1 (de) Großkran mit Ausleger
US9689143B1 (en) Poly pipe unrolling and placement device
KR101118514B1 (ko) 틸팅바를 이용한 텔레스코픽식 캔틸레버 구조
CN104555839B (zh) 高空作业车
KR101625393B1 (ko) 접음과 펼침이 가능한 물체 이동경로 형성장치 및 그것을 갖는 농약 살포장치
CN205682264U (zh) 一种整体升降架式喷洒装置
CN206227441U (zh) 一种果树农药喷洒机
DE4344733A1 (de) Turmdrehkran
EP2959763B1 (en) A spreading boom with tiltable wings and a slurry wagon or trailer with such a spreading boom
KR100191419B1 (ko) 전답용 로봇암을 이용한 분무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