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30105923A - 기지국장치 및 유저장치 - Google Patents

기지국장치 및 유저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30105923A
KR20130105923A KR1020137022012A KR20137022012A KR20130105923A KR 20130105923 A KR20130105923 A KR 20130105923A KR 1020137022012 A KR1020137022012 A KR 1020137022012A KR 20137022012 A KR20137022012 A KR 20137022012A KR 20130105923 A KR20130105923 A KR 20130105923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ignal
uplink
frequency band
control signal
base sta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3702201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474851B1 (ko
Inventor
히로유키 이시이
히로마사 우메다
Original Assignee
가부시키가이샤 엔티티 도코모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가부시키가이샤 엔티티 도코모 filed Critical 가부시키가이샤 엔티티 도코모
Publication of KR2013010592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30105923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47485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474851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72/00Local resource management
    • H04W72/04Wireless resource allocation
    • H04W72/044Wireless resource allocation based on the type of the allocated resource
    • H04W72/0453Resources in frequency domain, e.g. a carrier in FDMA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88/00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e.g. terminals, base stations or access point devices
    • H04W88/08Access point device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8/00Network data management
    • H04W8/22Processing or transfer of terminal data, e.g. status or physical capabilities
    • H04W8/24Transfer of terminal data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72/00Local resource management
    • H04W72/04Wireless resource allocation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72/00Local resource management
    • H04W72/20Control channels or signalling for resource management
    • H04W72/21Control channels or signalling for resource management in the uplink direction of a wireless link, i.e. towards the network

Abstract

본 실시형태에 따른 기지국장치(eNB)는, 유저장치(UE)로부터, 할당된 불연속의 주파수대역에서 동시에 상향링크 신호를 송신하는 능력을 갖는지 여부에 대해 통지하는 Capability 신호를 수신하도록 구성되어 있는 Capability 신호 수신부(202)를 구비하고, Capability 신호는, 운용밴드마다 통지되도록 구성되어 있다.

Description

기지국장치 및 유저장치{BASE STATION DEVICE AND USER DEVICE}
본 발명은, 이동통신의 기술분야에 관련한 것으로, 특히, 차세대 이동통신기술을 이용하는 이동통신시스템에 있어서의 기지국장치 및 유저장치에 관한 것이다.
광대역 부호분할 다중접속(WCDMA: Wideband Code Division Multiplexing) 방식이나, 고속 하향링크 패킷 액세스(HSDPA: High Speed Downlink Packet Access) 방식이나, 고속 상향링크 패킷 액세스(HSUPA: High Speed Uplink Packet Access) 방식 등의 후속이 되는 통신방식, 즉, 롱 텀 에볼루션(LTE: Long Term Evolution) 방식이, WCDMA의 표준화단체 3GPP에서 검토되어 사양화 작업이 진행되고 있다.
LTE 방식에서의 무선 액세스 방식으로서, 하향링크에 대해서는 직교 주파수분할 다중접속(OFDMA: Orthogonal Frequency Division Multiplexing Access) 방식이 규정되고, 상향링크에 대해서는 싱글 캐리어 주파수분할 다중접속(SC-FDMA: Single Carrier Frequency Division Multiplexing Access) 방식이 규정되어 있다(예를 들면, 비특허문헌 1 참조).
OFDMA 방식은, 주파수대역을 복수의 좁은 주파수대역(서브캐리어)으로 분할하고, 각 서브캐리어에 데이터를 실어서 전송을 수행하는 멀티 캐리어 전송방식이다.
OFDMA 방식에 의하면, 서브캐리어를 주파수축 상에 직교시키면서 촘촘히 나열함으로써 고속 전송을 실현하고, 주파수의 이용효율을 높이는 것을 기대할 수 있다.
SC-FDMA 방식은, 주파수대역을 유저장치(UE(User Equipment))마다 분할하고, 복수의 유저장치(UE) 사이에서 다른 주파수대역을 이용하여 전송하는 싱글 캐리어 전송방식이다.
SC-FDMA 방식에 의하면, 유저장치(UE) 사이의 간섭을 간이하고 그리고 효율적으로 저감할 수 있는 것에 더해, 송신전력의 변동을 작게 할 수 있기 때문에, SC-FDMA 방식은, 유저장치(UE)의 저소비 전력화 및 커버리지의 확대 등의 관점에서 바람직하다.
LTE 방식에서는, 하향링크 및 상향링크의 양방에 있어서, 유저장치(UE)에 대해, 1 이상의 리소스 블록(RB: Resource Block)이 할당되어 통신이 수행된다.
기지국장치(eNB)는, 서브프레임(LTE 방식에서는, 1ms)마다, 복수의 유저장치(UE) 중에서, 어느 유저장치(UE)에 대해 리소스 블록을 할당할지에 대해 결정한다(상기 프로세스는 '스케줄링'이라 불린다).
하향링크에 있어서는, 기지국장치(eNB)가, 스케줄링으로 선택된 유저장치(UE)에 대해, 1 이상의 리소스 블록을 이용하여, 하향링크 데이터신호를 송신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또, 상향링크에 있어서는, 스케줄링으로 선택된 유저장치(UE)가, 기지국장치(eNB)에 대해, 1 이상의 리소스 블록을 이용하여, 상향링크 데이터신호를 송신한다.
또한, 상기 상향링크 데이터신호는, PUSCH(물리 상향링크 공유채널, Physical Uplink Shared Channel)를 통해 송신되고, 상기 하향링크 데이터신호는, PDSCH(물리 하향링크 공유채널, Physical Downlink Shared Channel)를 통해 송신된다.
여기서, 상향링크 데이터신호는, 'PUSCH 신호'라 불려도 좋으며, 하향링크 데이터신호는, 'PDSCH 신호'라 불려도 좋다.
또, LTE 방식의 후속의 통신방식으로서, LTE-Advanced 방식(Release 10 이후의 LTE 방식)이, 3GPP에서 검토되고 있다(예를 들면, 비특허문헌 2 참조).
LTE-Advanced 방식에서는, 그 요구조건으로서, 'Carrier Aggregation(캐리어 애그리게이션)'을 수행하는 것이 합의되어 있다. 여기서, 'Carrier Aggregation'이란, 복수의 캐리어를 이용하여 동시에 통신을 수행하는 것을 의미한다.
예를 들면, 상향링크에 있어서 'Carrier Aggregation'이 수행되는 경우, Component Carrier(컴포넌트 캐리어, 이하, CC)마다 다른 캐리어가 이용되기 때문에, 유저장치(UE)는, 복수의 캐리어를 이용하여 상향링크 신호(즉, 상향링크 데이터신호 및 상향링크 제어신호)를 송신한다.
또, 하향링크에 있어서 'Carrier Aggregation'이 수행되는 경우, CC마다 다른 캐리어가 이용되고 있기 때문에, 기지국장치(eNB)는, 복수의 캐리어를 이용하여 하향링크 신호(즉, 하향링크 데이터신호 및 하향링크 제어신호)를 송신한다.
LTE 방식의 상향링크에 있어서는, 상술한 바와 같이, 싱글 캐리어 전송방식이 이용되기 때문에, 연속한 주파수대역에 있어서, 상향링크 신호가 송신되고 있었다.
한편, LTE-Advanced 방식의 상향링크에 있어서, 이하의 경우에, 불연속인 주파수대역에 있어서, 상향링크 신호가 송신되는 것이 검토되고 있다.
〈케이스 1〉
'Carrier Aggregation'이 수행되는 경우, 다른 CC에서, 상향링크 데이터신호가 송신된다.
〈케이스 2〉
'Carrier Aggregation'이 수행되는 경우, 다른 CC에서, 상향링크 데이터신호 및 상향링크 제어신호가 송신된다.
또한, 상향링크 제어신호는, PUCCH(물리 상향링크 제어채널, Physical Uplink Control Channel)를 통해 송신되는 신호이며, 'PUCCH 신호'라 불려도 좋다.
〈케이스 3〉
싱글 캐리어 내에서, 불연속의(즉, 이산적인) 주파수대역에서, 상향링크 데이터신호가 송신된다.
〈케이스 4〉
싱글 캐리어 내에서, 불연속의 주파수대역에 있어서, 상향링크 데이터신호 및 상향링크 제어신호가 송신된다.
상술한 케이스 1 또는 케이스 3과 같이, 불연속의(즉, 이산적인) 주파수대역에 있어서, 상향링크 데이터신호를 송신함으로써, 보다 유연한 주파수대역의 할당이 가능해지고, 상향링크에 있어서의 통신효율을 향상시키는 것이 가능해진다.
즉, 일반적으로, Fading 등의 영향으로 의해, 품질이 좋은 주파수대역 및 품질이 나쁜 주파수대역이 존재하나, 불연속의 주파수대역의 할당을 수행하는 경우, 상향링크 신호를 송신하는 주파수대역으로서, 품질이 좋은 주파수대역을 골라 할당하는 것이 가능해지기 때문에, 상향링크에 있어서의 통신효율을 향상시키는 것이 가능해진다.
반대로 말하면, 연속적인 주파수대역의 할당만이 수행되는 경우, 그와 같은 품질이 좋은 주파수대역을 골라 할당하는 것이 어려워지기 때문에, 이산적인 주파수대역의 할당이 수행되는 경우에 비해, 상향링크에 있어서의 통신효율이 좋아지지 않는다.
또, 상술한 케이스 2 또는 케이스 4와 같이, 불연속의 주파수대역에 있어서, 상향링크 데이터신호 및 상향링크 제어신호를 송신함으로써, PUSCH를 통해 PUCCH를 통해 송신해야 하는 상향링크 제어신호를 송신하는 처리, 혹은, 일부의 신호의 송신을 정지하는 등의 처리를 회피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그런데, 상술한 불연속의 주파수대역에 있어서, 상향링크 신호를 송신하면, PAPR(Peak-to-Average Ratio)이 증대한다는 문제가 발생한다.
PAPR이 증대하는 경우, 유저장치(UE)는, 전력증폭기(전력 업)의 비선형 영역에서, 상향링크 신호를 송신함으로써, 인접 채널(인접하는 주파수대역)로의 간섭량이 증대한다.
상기 인접 채널로의 간섭량의 증대를 억제하기 위해, 유저장치(UE)는, 선형성이 높은 전력증폭기(전력 업)를 탑재할 필요가 있으나, 유저장치(UE)의 코스트나 사이즈의 증대를 초래하기 때문에, 시스템 전체로서 바람직하지 않다.
따라서, 상술한 유저장치(UE)의 코스트나 사이즈의 증대를 회피하면서, PAPR의 증대의 영향을 회피하기 위해, 유저장치(UE)에 있어서의 최대 송신전력을 저감하는 것이 검토되고 있다. 이와 같이 최대 송신전력을 저감하는 것은, 'MPR(Maximum Power Reduction)'이라 불린다(예를 들면, 비특허문헌 3 참조).
상기 MPR의 값은, 할당된 불연속의 주파수대역의 각각을 '블록'이라 부르는 경우에, 각 블록의 송신대역폭이나 블록간의 주파수의 차분 등에 기초하여 결정된다.
또, 이와 같이 최대 송신전력을 저감한 경우, 상향링크의 설 커버리지가 감소한다는 문제가 있기 때문에, 일반적으로, MPR의 값으로서는, 필요 최저한의 값이 규정된다.
또, 유저장치(UE)가 기지국장치(eNB)에 대해 불연속의 주파수대역에 있어서의 상향링크 신호의 송신을 수행하는 능력을 구비하고 있는지 여부에 대해 통지하는 제어신호를 규정하는 것도 검토되고 있다.
상기 제어신호를 규정함으로써, 기지국장치(eNB)는, 유저장치(UE)가 불연속의 주파수대역에 있어서의 상향링크 신호의 송신을 수행하는 능력을 구비하고 있지 않은 것을 파악하는 것이 가능해지고, 상기 유저장치(UE)에 적용한 방법으로, 상향링크 데이터신호 및 상향링크 제어신호를 송신해야 하는 주파수대역의 할당을 수행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비특허문헌 1:3GPP TS36.211(V9.1.0), 'Physical Channels and Modulation', 2008년 5월 비특허문헌 2:3GPP TS36.913(V8.0.1), 'Requirement for further advancements for Evolved Universal Terrestrial Radio Access(E-UTRA) (LTE-Advanced)' 비특허문헌 3:3GPP TS36.101(V9.5.0), 'E-UTRA UE radio transmission and reception'
그러나, 상술한 종래의 이동통신시스템에는, 이하와 같은 문제가 있다.
유저장치(UE)인 이동단말은, 고기능(High end)인 것에서 저기능(Low end)인 것까지 존재한다.
여기서, 고기능의 이동단말은, 상술한 MPR을 적용하여, 상향링크 신호의 최대 송신전력의 저하를 최대한으로 줄이면서, 할당된 불연속의 주파수대역에 있어서, 상향링크 신호를 송신하고, 상향링크에 있어서의 통신의 효율을 향상시키는 것이 가능하다.
한편, 저기능의 이동단말은, 반대로, 할당된 불연속의 주파수대역에 있어서 상향링크 신호를 송신하는 것도, 그것에 따른 MPR도 서포트하지 않음으로써, 이동단말의 코스트나 복잡성을 저감하는 것을 생각할 수 있다.
상기 경우, 기지국장치(eNB)는, 상술한 고기능의 이동단말과 저기능의 이동단말을 구분할 필요가 있다.
또한, 상술한 MPR의 값으로서, 인접 채널로의 간섭량을 저감하기 위해 필요한 최저한의 전력 저감량이 규정된다.
상기 경우, 상향링크 신호의 송신을 수행하는 주파수대역에 인접하는 주파수대역에 있어서, 보호해야 하는 주파수대역이 존재하는 경우, 보다 큰 MPR의 값을 정의할 필요가 있다.
한편, 상향링크 신호의 송신을 수행하는 주파수대역에 인접하는 주파수대역에 있어서, 보호해야 하는 주파수대역이 존재하지 않는 경우, 보다 작은 MPR의 값을 정의하게 된다.
또, 보다 큰 MPR의 값을 정의할 필요가 있는 경우, 커버리지의 감소를 최저한으로 줄이기 위해, 실제로 상향링크 신호를 송신하는 주파수대역에 따라, MPR의 값을 결정하는 등, 보다 복잡한 제어가 적용되는 경우가 있다.
상기 경우, 유저장치(UE)의 동작으로서, 예를 들면, 실장하는 처리의 간이화를 수행하기 위해, 인접하는 주파수대역에 있어서 보호해야 하는 주파수대역이 존재하지 않는 장소에서만, 불연속의 주파수대역에 있어서의 상향링크 신호의 송신을 수행하는 능력을 갖고, 인접하는 주파수대역에 있어서 보호해야 하는 주파수대역이 존재하지 않는 장소에서만, 불연속의 주파수대역에 있어서의 상향링크 신호의 송신을 수행하는 능력을 갖지 않는 등의 동작이 바람직한 경우가 있다.
그러나, 상술한 바와 같이, 불연속의 주파수대역에 있어서의 상향링크 신호의 송신을 수행하는 능력이 있는지 여부에 대해 통지하는 제어신호가 1개인 경우, 상술한 주파수대역에 따라서, 그 능력을 변경하는 것이 어려워진다.
그래서, 본 발명은, 상술한 과제를 감안하여 이루어진 것이며, 유저장치의 능력 및 실제로 유저장치(UE)가 통신을 수행하는 주파수대역에 따라, 불연속의 주파수영역에 있어서의 상향링크 신호의 송신을 수행하는지 여부에 대해 판정하고, 상기 판정결과에 기초하여, 상향링크 신호를 송신하는 주파수대역의 할당을 수행할 수 있는 기지국장치 및 유저장치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의 제1 특징은, 이동통신시스템 내에서, 유저장치와 무선통신하는 기지국장치에 있어서, 상기 유저장치로부터, 할당된 불연속의 주파수대역에서 동시에 상향링크 신호를 송신하는 능력을 갖는지 여부에 대해 통지하는 제어신호를 수신하도록 구성되어 있는 수신부를 구비하고, 상기 제어신호는, 운용밴드마다 통지되도록 구성되어 있는 것을 요지로 한다.
본 발명의 제2 특징은, 이동통신시스템 내에서, 기지국장치와 무선통신하는 유저장치에 있어서, 상기 기지국장치에 대해, 할당된 불연속의 주파수대역에서 동시에 상향링크 신호를 송신하는 능력을 갖는지 여부에 대해 통지하는 제어신호를 송신하도록 구성되어 있는 송신부를 구비하고, 상기 제어신호는, 운용밴드마다 통지되도록 구성되어 있는 것을 요지로 한다.
이상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의하면, 유저장치의 능력 및 실제로 유저장치가 통신을 수행하는 주파수대역에 따라, 불연속의 주파수영역에 있어서의 상향링크 신호의 송신을 수행하는지 여부에 대해 판정하고, 상기 판정결과에 기초하여, 상향링크 신호를 송신하는 주파수대역의 할당을 수행할 수 있는 기지국장치 및 유저장치를 제공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제1 실시형태에 따른 유저장치(UE)의 기능 블록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제1 실시형태에 따른 유저장치(UE)에 의해 생성되는 '유저장치(UE)가 이산적인 주파수대역에서 상향링크 신호를 송신할 수 있는지 여부에 대해 나타내는 정보'의 일 예를 나타내는 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제1 실시형태에 따른 기지국장치(eNB)의 기능 블록도이다.
(본 발명의 제1 실시형태에 따른 이동통신시스템)
이하, 본 발명의 제1 실시형태에 따른 이동통신시스템에 대해, 도면을 참조하면서 설명한다. 본 실시형태를 설명하기 위한 모든 도에 있어서, 동일 기능을 갖는 것은 동일 부호를 이용하여, 반복의 설명은 생략한다.
본 실시형태에 따른 이동통신시스템은, 예를 들면, LTE 방식 혹은 LTE-Advanced 방식이 적용되는 시스템이다.
즉, 본 실시형태에 따른 이동통신시스템은, 기지국장치(eNB)와, 기지국장치(eNB)와 통신하는 유저장치(UE)를 구비하고, 기지국장치(eNB) 및 유저장치(UE)는, LTE 방식 혹은 LTE-Advanced 방식을 이용하여, 통신을 수행한다. 또한, 유저장치(UE)는, 이동단말이라 불려도 좋다.
본 실시형태에 따른 이동통신시스템에 있어서, LTE-Advanced 방식이 적용되는 경우에는, 'Carrier Aggregation'이 적용되어도 좋은, 즉, 상향링크 또는 하향링크에 있어서, 복수의 CC를 이용한 통신이 수행된다.
또는, 본 실시형태에 따른 이동통신시스템에 있어서, LTE 방식이 적용되는 경우에는, 1개의 CC를 이용한 통신이 수행된다.
여기서, CC란, LTE 방식에 있어서의 1개의 시스템 캐리어에 상당한다. 즉, LTE 방식에서는, 1개의 CC를 이용한 통신이 수행되고 있었으나, LTE-Advanced 방식에서는, 2개 이상의 CC를 이용한 통신이 수행되어도 좋다.
본 실시형태에 따른 이동통신시스템에서는, 하향링크에 있어서, 각 유저장치(UE)에서 공유하여 사용되는 PDSCH 및 PDCCH(물리 하향링크 제어채널, Physical Downlink Control Channel)가 이용된다.
또한, LTE 방식 또는 LTE-Advanced 방식에서는, 운용이 수행되는 주파수대역의 집합으로서, 'Operation band(운용밴드)'가 정의되고 있다(비특허문헌 3의 5.5장).
상기 'Operation band'는, 예를 들면, 2GHz대의 'Operation band'인 'Band 1'이나, 800GHz대의 'Operation band'인 'Band 5' 등이 정의되어 있다.
일반적으로, 유저장치(UE)는, 자국이 서포트하는 'Operation band'를 기지국장치(eNB)에 통지한다. 즉, 유저장치(UE)는, 일반적으로, 1개 내지 2개 이상의 'Operation band'에 있어서, 통신을 수행하는 능력을 갖고 있으며, 상기 통신을 수행하는 능력을 갖는 'Operation band'를 기지국장치(eNB)에 통지한다.
또, 기지국장치(eNB)는, 자국이 제공하는 이동통신 서비스가, 어느 'Operation band'에서 제공되고 있는지에 대해, 알림정보에 의해, 자국의 에어리어 내의 유저장치(UE)에 통지한다.
또한, CC는, LTE 방식의 1개의 시스템 캐리어에 상당하기 때문에, 'Operation band'의 어느 하나에 속한다.
본 실시형태에 따른 이동통신시스템에서는, PDSCH를 통해, 하향링크 데이터신호(유저데이터, 즉, 통상의 데이터신호)가 전송된다.
또, PDCCH를 통해, PDSCH를 이용하여 통신을 수행하는 유저장치(UE)의 ID나, 하향링크 데이터신호의 트랜스포트 포맷의 정보(즉, 하향 스케줄링 정보)나, PUSCH를 이용하여 통신을 수행하는 유저장치(UE)의 ID나 상향링크 데이터신호의 트랜스포트 포맷의 정보(즉, 상향 스케줄링 그랜트) 등의 하향링크 제어신호가 통지된다.
PDCCH는, '하향 L1/L2 제어채널(Downlink L1/L2 Control Channel)'이라 불려도 좋다. 또, '하향 스케줄링 정보'나 '상향 스케줄링 그랜트'는, 묶어서 '하향링크 제어정보(DCI)'라 불려도 좋다.
본 실시형태에 따른 이동통신시스템에서는, 상향링크에 있어서, 각 유저장치(UE)에서 공유하여 사용되는 PUSCH 및 PUCCH가 이용된다.
상기 PUSCH를 통해, 상향링크 데이터신호(유저 데이터, 즉, 통상의 데이터신호)가 송신된다.
또, PUCCH를 통해, PDSCH에 관한 스케줄링 처리나 적응 변복조 및 부호화처리(AMCS: Adaptive Modulation and Coding Scheme)에 이용하기 위한 하향링크의 품질정보(CQI: Channel Quality Indicator)나, PDSCH에 관한 송달확인정보(Acknowledgement Information)가 송신된다.
상기 하향링크의 품질정보는, 'CQI'나 'PMI(Pre-coding Matrix Indicator)'나 'RI(Rank Indicator)'를 묶은 인디케이터인 'CSI(Channel State Information(or Indicator)'라 불려도 좋다.
또, 상기 송달확인정보의 내용은, 하향링크 신호가 적절히 수신된 것을 나타내는 긍정 응답(ACK: Acknowledgement) 또는 하향링크 신호가 적절히 수신되지 않은 것을 나타내는 부정응답(NACK: Negative Acknowledgement)의 어느 하나로 표현된다.
도 1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본 실시형태에 따른 유저장치(UE)는, Capability 신호 생성부(102)와, 상향링크 신호 송신부(104)와, 하향링크 신호 수신부(106)를 구비한다.
또한, Capability 신호 생성부(102)와 상향링크 신호 송신부(104)와, 하향링크 신호 수신부(106)는 서로 접속되어 있다.
Capability 신호 생성부(102)는, 유저장치(UE)의 능력(즉, Capability)을 통지하는 Capability 신호를 생성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여기서, 상기 Capability 신호에는, 유저장치(UE)가 이산적인 주파수대역(즉, 불연속인 주파수대역)에서 동시에 상향링크 신호를 송신할 수 있는지 여부에 대해 통지하는 정보가 포함된다.
즉, Capability 신호 생성부(102)는, 유저장치(UE)가 이산적인 주파수대역에서 동시에 상향링크 신호를 송신할 수 있는 경우에는, 이산적인 주파수대역에서 동시에 상향링크 신호를 송신할 수 있는지 여부에 대해 나타내는 정보를 '1'로 하고, 유저장치(UE)가 이산적인 주파수대역에서 동시에 상향링크 신호를 송신할 수 없는 경우에는, 이산적인 주파수대역에서 동시에 상향링크 신호를 송신할 수 있는지 여부에 대해 나타내는 정보를 '0'으로 하도록 구성되어 있어도 좋다.
또한, 이산적인 주파수대역에서 동시에 상향링크 신호를 송신할 수 있는지 여부에 대해 나타내는 정보는, 이산적인 주파수대역에서 동시에 상향링크 데이터신호를 송신하는 경우, 및, 이산적인 주파수대역에서 동시에 상향링크 데이터신호 및 상향링크 제어신호를 송신하는 경우의 각각에 관해 설정되어도 좋다.
또, Capability 신호 생성부(102)는, 도 2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유저장치(UE)가 서포트하는 주파수밴드마다, 이산적인 주파수대역에서 동시에 상향링크 신호를 송신할 수 있는지 여부에 대해 나타내는 정보를 포함하는 Capability 신호 생성하도록 구성되어 있어도 좋다.
여기서, 상기 주파수밴드는, 상술한 'Operation band(운용밴드)'여도 좋다. 상기 'Operation band(운용밴드)'는, 'Frequency band'라 불려도 좋다.
즉, 유저장치(UE)는, 유저장치(UE)가 서포트하는 운용밴드마다, 이산적인 주파수대역에서 동시에 상향링크 신호를 송신할 수 있는지 여부에 대해 나타내는 정보를 포함하는 Capability 신호 생성하도록 구성되어 있어도 좋다.
또한, 상기 주파수밴드는, 보다 일반적으로는, 주파수대역이어도 좋다.
또한, 유저장치(UE)와 기지국장치(eNB)와의 사이에서, 캐리어 애그리게이션이 수행되는 경우에는, 캐리어 애그리게이션이 수행되는 각 캐리어에 대해, 상술한 이산적인 주파수대역에서 동시에 상향링크 신호를 송신할 수 있는지 여부에 대해 나타내는 정보가 통지되어도 좋다.
혹은, 유저장치(UE)와 기지국장치(eNB)와의 사이에서, 캐리어 애그리게이션이 수행되는 경우에는, 캐리어 애그리게이션이 수행될 때의 복수의 캐리어가, 2개 이상의 운용밴드에 속하는 경우에는, 상기 2개 이상의 운용밴드의 각각에 대해, 상기 이산적인 주파수대역에서 동시에 상향링크 신호를 송신할 수 있는지 여부에 대해 나타내는 정보가 통지되어도 좋다.
혹은, 유저장치(UE)와 기지국장치(eNB)와의 사이에서, 캐리어 애그리게이션이 수행되는 경우이고, 그리고, 상술한 바와 같이, 각 운용밴드에 대해, 상기 이산적인 주파수대역에서 동시에 상향링크 신호를 송신할 수 있는지 여부에 대해 나타내는 정보가 통지되어 있는 경우에는, 캐리어 애그리게이션이 수행될 때의 복수의 캐리어가 속하는 운용밴드에 관한, 상기 정보에 기초하여, 이산적인 주파수대역에서 동시에 상향링크 신호를 송신할 수 있는지 여부가 판정되어도 좋다.
보다 구체적으로는, 캐리어 애그리게이션이 수행될 때의 복수의 캐리어가 속하는 운용밴드의 전부에 관해, 이산적인 주파수대역에서 동시에 상향링크 신호를 송신할 수 있다고 통지되어 있는 경우에만, 이산적인 주파수대역에서 동시에 상향링크 신호를 송신할 수 있다고 판정되어도 좋다.
상향링크 신호 송신부(104)는, 기지국장치(eNB)에 대해, PUSCH나 PUCCH를 통해, 상향링크 데이터신호나 상향링크 제어신호를 송신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또한, 상향링크 신호 송신부(104)는, 기지국장치(eNB)에 대해, Capability 신호 생성부(102)에 의해 생성된 Capability 신호를 송신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하향링크 신호 수신부(106)는, 기지국장치(eNB)로부터, PDSCH나 PDCCH를 통해, 하향링크 데이터신호나 하향링크 제어신호를 수신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도 3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본 실시형태에 따른 기지국장치(eNB)는, Capability 신호 수신부(202)와, 상향링크 신호 수신부(204)와, 상향링크 리소스 할당부(206)와, 하향링크 신호 송신부(208)를 구비한다.
상향링크 신호 수신부(204)는, 유저장치(UE)로부터, PUSCH나 PUCCH를 통해, 상향링크 데이터신호나 상향링크 제어신호를 수신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Capability 신호 수신부(202)는, 상향링크 신호 수신부(204)에 의해 수신된 상향링크 신호로부터, Capability 신호를 취득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상기 Capability 신호에는, 상술한 바와 같이, 유저장치(UE)가 이산적인 주파수대역(즉, 불연속의 주파수대역)에서 동시에 상향링크 신호를 송신할 수 있는지 여부에 대해 통지하는 정보가 포함된다. 또, 상기 정보는, 상술한 바와 같이, 유저장치(UE)가 서포트하는 주파수밴드마다 통지되어도 좋다.
하향링크 신호 송신부(208)는, 유저장치(UE)에 대해, PDSCH나 PDCCH를 통해, 하향링크 데이터신호나 하향링크 제어신호를 송신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상향링크 리소스 할당부(206)는, 서브프레임마다, 복수의 유저장치(UE) 중에서, 어느 유저장치(UE)에 대해 리소스 블록을 할당할지에 대해 결정하고, 상기 유저장치(UE)에 대해 상향링크 신호를 송신하는 리소스 블록을 할당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구체적으로는, 상향링크 리소스 할당부(206)는, Capability 신호 수신부(202)에 의해 수신된 Capability 신호에 기초하여, 불연속의 주파수대역에 있어서의 상향링크 신호의 송신을 수행할지 여부에 대해 판정하고, 상기 판정결과에 기초하여, 상향링크 신호를 송신하는 주파수대역(리소스 블록)의 할당을 수행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즉, 상향링크 리소스 할당부(206)는, 유저장치(UE)가 이산적인 주파수대역(즉, 불연속의 주파수대역)에서 동시에 상향링크 신호를 송신할 수 있다고 통지되어 있는 경우에는, 이산적인 주파수대역에서의 리소스의 할당을 수행하는, 그 이외의 경우에, 연속적인 주파수대역에서의 리소스의 할당을 수행한다.
본 발명의 제1 실시형태에 따른 이동통신시스템에 의하면, 기지국장치(eNB)가, 유저장치(UE)로부터 취득한 Capability 신호에 기초하여, 유저장치의 능력 및 실제로 유저장치가 통신을 수행하는 주파수밴드를 고려하여, 불연속의 주파수대역에 있어서의 상향링크 신호의 송신을 수행할지 여부에 대해 판정하고, 상기 판정결과에 기초하여, 상향링크 신호를 송신하는 주파수대역의 할당을 수행할 수 있다.
이상에 서술한 본 실시형태의 특징은, 이하와 같이 표현되어 있어도 좋다.
본 실시형태의 제1 특징은, 이동통신시스템 내에서, 유저장치(UE)와 무선통신하는 기지국장치(eNB)에 있어서, 유저장치(UE)로부터, 할당된 불연속의 주파수대역에서 동시에 상향링크 신호를 송신하는 능력을 갖는지 여부에 대해 통지하는 Capability 신호(제어신호)를 수신하도록 구성되어 있는 Capability 신호 수신부(202)를 구비하고, 상기 Capability 신호는, 운용밴드마다 통지되도록 구성되어 있는 것을 요지로 한다.
본 실시형태의 제1 특징에 있어서, Capability 신호는, 할당된 불연속의 주파수대역에서 동시에 상향링크 데이터신호를 송신하는 능력을 갖는지 여부에 대해 통지하도록 구성되어 있어도 좋다.
본 실시형태의 제1 특징에 있어서, Capability 신호는, 할당된 불연속의 주파수대역에서 상향링크 데이터신호 및 상향링크 제어신호를 동시에 송신하는 능력을 갖는지 여부에 대해 통지하도록 구성되어 있어도 좋다.
본 실시형태의 제2 특징은, 이동통신시스템 내에서, 기지국장치(eNB)와 무선통신하는 유저장치(UE)에 있어서, 기지국장치(UE)에 대해, 할당된 불연속의 주파수대역에서 동시에 상향링크 신호를 송신하는 능력을 갖는지 여부에 대해 통지하는 Capability 신호를 송신하도록 구성되어 있는 상향링크 신호 송신부(104)를 구비하고, 상기 Capability 신호는, 운용밴드마다 통지되도록 구성되어 있는 것을 요지로 한다.
본 실시형태의 제2 특징에 있어서, Capability 신호는, 할당된 불연속의 주파수대역에서 동시에 상향링크 데이터신호를 송신하는 능력을 갖는지 여부에 대해 통지하도록 구성되어 있어도 좋다.
본 실시형태의 제2 특징에 있어서, Capability 신호는, 할당된 불연속의 주파수대역에서 상향링크 데이터신호 및 상향링크 제어신호를 동시에 송신하는 능력을 갖는지 여부에 대해 통지하도록 구성되어 있어도 좋다.
또한, 상술한 유저장치(100) 및 기지국장치(200)의 동작은, 하드웨어에 의해 실시되어도 좋으며, 프로세서에 의해 실행되는 소프트웨어 모듈에 의해 실시되어도 좋으며, 양자의 조합에 의해 실시되어도 좋다.
소프트웨어 모듈은, RAM(Random Access Memory)나, 플래시 메모리나, ROM(Read Only Memory)이나, EPROM(Erasable Programmable ROM)이나, EEPROM(Electronically Erasable and Programmable ROM)이나, 레지스터나, 하드디스크나, 리무버블 디스크나, CD-ROM 등의 임의 형식의 기억매체 내에 마련되어 있어도 좋다.
상기 기억매체는, 프로세서가 해당 기억매체에 정보를 읽고 쓰고 할 수 있도록, 해당 프로세서에 접속되어 있다. 또, 상기 기억매체는, 프로세서에 집적되어 있어도 좋다. 또, 상기 기억매체 및 프로세서는, ASIC 내에 마련되어 있어도 좋다. 상기 ASIC은, 유저장치(100) 및 기지국장치(200) 내에 마련되어 있어도 좋다. 또, 상기 기억매체 및 프로세서는, 디스크리트 컴포넌트로서 유저장치(100) 및 기지국장치(200) 내에 마련되어 있어도 좋다.
이상, 상술한 실시형태를 이용하여 본 발명에 대해서 상세히 설명했으나, 당업자에게 있어서는, 본 발명이 본 명세서 중에 설명한 실시 형태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는 것은 명백하다. 본 발명은, 특허청구 범위의 기재에 의해 정해지는 본 발명의 취지 및 범위를 일탈하지 않고 수정 및 변경 형태로서 실시할 수 있다. 따라서, 본 명세서의 기재는, 예시 설명을 목적으로 하는 것이며, 본 발명에 대해서 어떠한 제한적인 의미를 갖는 것은 아니다.
100…유저장치
102…Capability 신호 생성부
104…상향링크 신호 송신부
106…하향링크 신호 수신부
200…기지국장치
202…Capability 신호 수신부
204…상향링크 신호 수신부
206…상향링크 리소스 할당부
208…하향링크 신호 송신부

Claims (6)

  1. 이동통신시스템 내에서, 유저장치와 무선통신하는 기지국장치에 있어서,
    상기 유저장치로부터, 할당된 불연속의 주파수대역에서 동시에 상향링크 신호를 송신하는 능력을 갖는지 여부에 대해 통지하는 제어신호를 수신하도록 구성되어 있는 수신부를 구비하고,
    상기 제어신호는, 운용밴드마다 통지되도록 구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지국장치.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신호는, 할당된 불연속의 주파수대역에서 동시에 상향링크 데이터신호를 송신하는 능력을 갖는지 여부에 대해 통지하도록 구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지국장치.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신호는, 할당된 불연속의 주파수대역에서 상향링크 데이터신호 및 상향링크 제어신호를 동시에 송신하는 능력을 갖는지 여부에 대해 통지하도록 구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지국장치.
  4. 이동통신시스템 내에서, 기지국장치와 무선통신하는 유저장치에 있어서,
    상기 기지국장치에 대해, 할당된 불연속의 주파수대역에서 동시에 상향링크 신호를 송신하는 능력을 갖는지 여부에 대해 통지하는 제어신호를 송신하도록 구성되어 있는 송신부를 구비하고,
    상기 제어신호는, 운용밴드마다 통지되도록 구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저장치.
  5. 제 4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신호는, 할당된 불연속의 주파수대역에서 동시에 상향링크 데이터신호를 송신하는 능력을 갖는지 여부에 대해 통지하도록 구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저장치.
  6. 제 4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신호는, 할당된 불연속의 주파수대역에서 상향링크 데이터신호 및 상향링크 제어신호를 동시에 송신하는 능력을 갖는지 여부에 대해 통지하도록 구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저장치.
KR1020137022012A 2011-02-14 2012-02-14 기지국장치 및 유저장치 KR101474851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JP-P-2011-029034 2011-02-14
JP2011029034A JP5314712B2 (ja) 2011-02-14 2011-02-14 基地局装置及びユーザ装置
PCT/JP2012/053317 WO2012111638A1 (ja) 2011-02-14 2012-02-14 基地局装置及びユーザ装置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30105923A true KR20130105923A (ko) 2013-09-26
KR101474851B1 KR101474851B1 (ko) 2014-12-22

Family

ID=4667255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37022012A KR101474851B1 (ko) 2011-02-14 2012-02-14 기지국장치 및 유저장치

Country Status (10)

Country Link
US (1) US9066347B2 (ko)
EP (1) EP2677786B1 (ko)
JP (1) JP5314712B2 (ko)
KR (1) KR101474851B1 (ko)
CN (1) CN103370953B (ko)
BR (1) BR112013020602B1 (ko)
CA (1) CA2824846C (ko)
MX (1) MX2013009390A (ko)
RU (1) RU2580811C2 (ko)
WO (1) WO2012111638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3064980A1 (en) 2011-11-01 2013-05-10 Renesas Mobile Corporation Power regulation in inter-band carrier aggregation
JP5953079B2 (ja) 2012-03-16 2016-07-13 株式会社Nttドコモ 移動通信方法、無線基地局及び移動局
CN104782201A (zh) 2012-11-22 2015-07-15 富士通株式会社 基站装置、无线通信系统、无线通信控制方法、无线通信控制程序
JP2016040855A (ja) * 2013-01-16 2016-03-24 シャープ株式会社 無線通信システム、基地局装置、端末装置、無線通信方法および集積回路
US11350348B2 (en) * 2014-03-13 2022-05-31 Intel Corporation Method for the transfer of radio capability information
CN108781445B (zh) * 2016-03-11 2023-06-06 日本电气株式会社 无线lan系统、无线lan基站、无线lan终端和通信方法
GB2552689A (en) 2016-08-03 2018-02-07 Nec Corp Communication system
CN109792732A (zh) * 2016-09-30 2019-05-21 索尼公司 冲突无线电系统的资源分配的方法和装置
WO2018126453A1 (zh) 2017-01-06 2018-07-12 广东欧珀移动通信有限公司 一种切换方法、基站及终端
US10986613B2 (en) * 2018-01-19 2021-04-20 Qualcomm Incorporated Uplink control information (UCI) to resource element (RE) mapping
CN110430588B (zh) * 2019-08-15 2022-05-24 福建京奥通信技术有限公司 基站的自开站方法、介质、设备及装置
CN112153481B (zh) * 2020-08-24 2023-02-17 深圳市捷视飞通科技股份有限公司 视频数据处理方法、计算机设备和存储介质

Family Cites Families (1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BRPI0614783B1 (pt) * 2005-08-05 2019-06-25 Nokia Technologies Oy Método, equipamento de usuário, elemento de rede e sistema de comunicação
CN101127747B (zh) * 2006-08-14 2010-09-08 大唐移动通信设备有限公司 一种时分双工复用系统中实现频域调度的方法及系统
JP5019966B2 (ja) * 2007-06-19 2012-09-05 株式会社エヌ・ティ・ティ・ドコモ ユーザ装置、基地局装置及びチャネル状態情報通信方法
US20090093255A1 (en) 2007-10-05 2009-04-09 Qualcomm Incorporated Adjusting multi-carrier allocation in wireless networks
ES2402840T3 (es) * 2008-08-08 2013-05-09 Nokia Siemens Networks Oy Método y aparato para controlar la potencia de una estación móvil
KR20130032906A (ko) * 2009-03-17 2013-04-02 인터디지탈 패튼 홀딩스, 인크 사운딩 레퍼런스 신호(srs) 전송의 전력 제어를 위한 방법 및 장치
JP2010263256A (ja) * 2009-04-28 2010-11-18 Ntt Docomo Inc 移動局及び移動通信システム
US8265575B2 (en) * 2009-06-16 2012-09-11 Mediatek Inc. Methods for handling a transmitting process and communication apparatuses utilizing the same
KR20110011517A (ko) 2009-07-28 2011-02-08 엘지전자 주식회사 다중반송파 지원 광대역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의 반송파 관리 절차 수행 방법 및 장치
WO2011021830A2 (ko) * 2009-08-17 2011-02-24 엘지전자 주식회사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상향링크 제어 정보 전송을 위한 상향링크 반송파 할당 방법 및 장치
KR102107500B1 (ko) * 2009-10-02 2020-05-07 닛본 덴끼 가부시끼가이샤 무선 통신 시스템, 무선 단말, 무선 기지국, 및 무선 통신 방법
CN102123457B (zh) * 2010-01-11 2016-04-13 中兴通讯股份有限公司 切换方法及终端
US9083501B2 (en) * 2010-04-05 2015-07-14 Qualcomm Incorporated Feedback of control information for multiple carriers
US20110267948A1 (en) * 2010-05-03 2011-11-03 Koc Ali T Techniques for communicating and managing congestion in a wireless network
US8780729B2 (en) * 2010-05-03 2014-07-15 Nokia Corporation Monitoring pattern separation between component carriers based on user equipment RF layout
US20110292891A1 (en) * 2010-05-26 2011-12-01 Industrial Technology Research Institute Control channel allocation method, control channel searching method and communication apparatus using the same
US8503322B2 (en) * 2011-02-21 2013-08-06 Motorola Mobility Llc IQ imbalance image compensation in multi-carrier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s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RU2013140000A (ru) 2015-03-27
EP2677786B1 (en) 2016-06-22
US20130322394A1 (en) 2013-12-05
RU2580811C2 (ru) 2016-04-10
CA2824846A1 (en) 2012-08-23
CN103370953B (zh) 2016-01-13
JP5314712B2 (ja) 2013-10-16
EP2677786A4 (en) 2014-10-08
US9066347B2 (en) 2015-06-23
EP2677786A1 (en) 2013-12-25
MX2013009390A (es) 2013-09-26
BR112013020602B1 (pt) 2022-02-22
KR101474851B1 (ko) 2014-12-22
BR112013020602A2 (pt) 2016-10-18
CN103370953A (zh) 2013-10-23
CA2824846C (en) 2016-04-12
WO2012111638A1 (ja) 2012-08-23
JP2012169852A (ja) 2012-09-0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474851B1 (ko) 기지국장치 및 유저장치
EP3525384B1 (en) Pucch transmission method by wireless device
CN108496387B (zh) 基站装置、终端装置以及通信方法
US20180255533A1 (en) Multiband-operation in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s
CN107612673B (zh) 用于无线网络的可扩展及可缩放控制信道的方法和设备
KR20120116271A (ko) 통신 시스템에서 간섭 제어를 위한 서브프레임 운용 및 채널 정보 전송 방법 및 장치
KR20110109148A (ko) 셀룰러 무선 통신시스템에서 단말의 구성 반송파를 활성화하는 방법 및 장치
US11057895B2 (en) Retuning method and apparatus for SRS coverage enhancement
AU2016428422A1 (en) Uplink control information transmission method, terminal device, and network device
US20230275731A1 (en) Flexible Indication for Start Position of Data Channel
WO2011078185A1 (ja) 移動局、無線基地局及び移動通信方法
WO2011108651A1 (ja) 無線基地局及び移動通信方法
JP5227936B2 (ja) 移動通信方法、移動局及び無線基地局
JP5919035B2 (ja) 移動局
KR20110082475A (ko) 상향링크에서 제어정보와 데이터를 전송하는 전송방법, 상기 전송방법을 결정하는 기지국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AMND Amendment
X701 Decision to grant (after re-examina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1114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1121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1120

Year of fee payment: 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