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30104468A - 한옥의 벽체 - Google Patents

한옥의 벽체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30104468A
KR20130104468A KR1020120025978A KR20120025978A KR20130104468A KR 20130104468 A KR20130104468 A KR 20130104468A KR 1020120025978 A KR1020120025978 A KR 1020120025978A KR 20120025978 A KR20120025978 A KR 20120025978A KR 20130104468 A KR20130104468 A KR 20130104468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all
hanok
plate
mesh bag
spac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2002597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왕병윤
Original Assignee
왕병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왕병윤 filed Critical 왕병윤
Priority to KR1020120025978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30104468A/ko
Publication of KR2013010446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30104468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BGENERAL BUILDING CONSTRUCTIONS; WALLS, e.g. PARTITIONS; ROOFS; FLOORS; CEILINGS; INSULATION OR OTHER PROTECTION OF BUILDINGS
    • E04B2/00Walls, e.g. partitions, for buildings; Wall construction with regard to insulation; Connections specially adapted to walls
    • E04B2/56Load-bearing walls of framework or pillarwork; Walls incorporating load-bearing elongated members
    • E04B2/562Load-bearing walls of framework or pillarwork; Walls incorporating load-bearing elongated members with fillings between the load-bearing elongated member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BGENERAL BUILDING CONSTRUCTIONS; WALLS, e.g. PARTITIONS; ROOFS; FLOORS; CEILINGS; INSULATION OR OTHER PROTECTION OF BUILDINGS
    • E04B1/00Constructions in general; Structures which are not restricted either to walls, e.g. partitions, or floors or ceilings or roofs
    • E04B1/62Insulation or other protection; Elements or use of specified material therefor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BGENERAL BUILDING CONSTRUCTIONS; WALLS, e.g. PARTITIONS; ROOFS; FLOORS; CEILINGS; INSULATION OR OTHER PROTECTION OF BUILDINGS
    • E04B1/00Constructions in general; Structures which are not restricted either to walls, e.g. partitions, or floors or ceilings or roofs
    • E04B1/62Insulation or other protection; Elements or use of specified material therefor
    • E04B1/70Drying or keeping dry, e.g. by air vent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BGENERAL BUILDING CONSTRUCTIONS; WALLS, e.g. PARTITIONS; ROOFS; FLOORS; CEILINGS; INSULATION OR OTHER PROTECTION OF BUILDINGS
    • E04B1/00Constructions in general; Structures which are not restricted either to walls, e.g. partitions, or floors or ceilings or roofs
    • E04B1/62Insulation or other protection; Elements or use of specified material therefor
    • E04B1/74Heat, sound or noise insulation, absorption, or reflection; Other building methods affording favourable thermal or acoustical conditions, e.g. accumulating of heat within walls
    • E04B1/76Heat, sound or noise insulation, absorption, or reflection; Other building methods affording favourable thermal or acoustical conditions, e.g. accumulating of heat within walls specifically with respect to heat only
    • E04B1/78Heat insulating element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chitectur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Electromagnetism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Acoustics & Sound (AREA)
  • Building Environment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한옥의 벽체에 있어서, 기둥과 기둥 사이의 바닥에 형성되는 밑판, 상기 밑판에서 위로 일정거리 이격되어 천정과 구별되도록 형성되는 상판, 상기 밑판과 상판 사이에 좌우 양측으로 형성되어 상판을 지지하면서 벽체공간을 형성하는 측판, 상기 밑판, 상판, 측판에 의해 형성된 벽체공간에 상하나 죄우로 여러개가 적층되어 채워지되, 내부에는 단열재가 충전된 망사주머니, 상기 측판 사이를 가로질러 결합되어 상기 밑판, 상판, 측판에 의해 형성된 벽체공간을 막으면서 상기 적층된 망사주머니가 외부로 이탈되지 않도록 위치를 고정시키는 다수의 막음부재를 포함하여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한옥의 벽체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한옥의 벽체{partition wall of korean style house}
본 발명은 한옥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한옥을 외부와 분리하여 독립된 공간을 만드는 벽체가 열전달을 차단하고 우수한 보온기능 및 습도조절기능을 갖도록 하는 한옥의 벽체에 관한 것이다.
한옥은 서양식 주택, 즉 양옥에 대비한 말로서, 가장 큰 특징은 난방을 위한 온돌과 냉방을 위한 마루가 균형있게 결합된 구조를 갖추고 있는 점이다. 대륙성 기후와 해양성 기후가 공존하는 한반도의 더위와 추위를 동시에 해결하기 위한 한국의 독특한 주거 형식이다.
그 동안 양옥에 비해 건축비가 많이 들고 화재에 취약한 점 등 한옥의 단점 때문에 생활주택으로서 활성화되지 못하고 일부 지역에서만 건축되었지만, 최근에는 한옥의 장점인 친환경적인 특징과 독특한 미감을 일으키는 건축물로 인식되어 생활주택 뿐만 아니라 박물관, 대형식당, 공공건물에도 활용되고 있다.
도 1은 일반적인 한옥의 시공도면으로 직사각형태를 이루도록 여러개의 목재 기둥이 하방석 위에 설치되고, 그 기둥위에 목재의 종도리와 서까래 등 한옥을 구성하는 부재등을 올려서 한옥을 짓는다.
기둥과 기둥 사이를 막는 벽체를 형성함으로써 외부와 구분되는 방이나 거실 등이 만들어지는데, 전통적인 한옥의 벽체는 황토로 이루어진다.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한옥의 벽체(10)는 대략 20 ~ 40cm 의 두께로 형성되는데, 바닥에 밑판(11)을 형성하고, 천정과 구별되는 상판(12)을 형성하고, 밑판(11)과 상판(12)에 측판(13)을 세워 폭이 20 ~ 40cm 이고, 높이가 대략 3m 정도이다.
밑판(11), 상판(12), 측판(13)에 의해 형성된 벽체의 공간에는 볏집 등을 섞어 버무른 황토를 채워 넣는다.
황토는 재료의 특성상 석재나 시멘트 콘크리트 보다는 통기성과 보온성이 상대적으로 우수하지만, 석재나 시멘트 콘리리트 벽체 보다 단열구조를 형성하기가 어려운 단점이 있다. 즉 석재나 시멘트 콘크리트 보다 보온성이 우수하지만 단열구조를 형성하기 어려워 석재나 시멘트 콘크리트 구조보다 단열성이 떨어지는 결과를 초래한다. 따라서 단열성(보온성)을 높이기 위하여 황토 벽체를 두껍게 해야하는데, 황토를 반죽해서 적층하면 흘러내리므로 아래 부분이 어느 정도 굳힌 상태에서 순차적으로 적층해야 하고, 두꺼워진 만큼 황토가 많이 요구되므로 벽체 시공작업이 복잡해지고 시공기간도 길어지며 궁극적으로 생산성도 떨어진다. 또한, 벽체를 두껍게 한다고 해도 단열에는 한계가 있다.
다른 방법으로 황토벽체를 상대적으로 얇게 하면서 황토벽체 중간에 석고 보드와 같은 단열재를 채우고 그 외부에 황토를 채워넣을 수 있는데, 황토만으로 벽체를 형성할 때 보다는 단열성이 우수하고 시공도 조금 편리하지만 단열재에 의하여 통기가 차단되므로 황토의 장점인 통기성을 살릴 수 없는 단점이 있다.
본 발명은 전술한 바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한옥의 벽체를 인체에 유익한 황토벽체로 형성하면서 단열성능도 우수하고 통기성도 우수하여 보온성과 습도 조절도 우수한 한옥의 벽체를 제공하고자 한다.
본 발명은 상기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한옥의 벽체에 있어서, 기둥과 기둥 사이의 바닥에 형성되는 밑판, 상기 밑판에서 위로 일정거리 이격되어 천정과 구별되도록 형성되는 상판, 상기 밑판과 상판 사이에 좌우 양측으로 형성되어 상판을 지지하면서 벽체공간을 형성하는 측판, 상기 밑판, 상판, 측판에 의해 형성된 벽체공간에 상하나 죄우로 여러개가 적층되어 채워지되, 내부에는 단열재가 충전된 망사주머니, 상기 측판 사이를 가로질러 결합되어 상기 밑판, 상판, 측판에 의해 형성된 벽체공간을 막으면서 상기 적층된 망사주머니가 외부로 이탈되지 않도록 위치를 고정시키는 다수의 막음부재를 포함하여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한옥의 벽체를 제공한다.
또한, 상기 측판과 측판 사이에는 수평방향이나 수직방향으로 벽체공간을 구획하는 수개의 격판이 더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고, 망사주머니는 장방형으로 길게 형성된 원통형, 구형, 타원형인 것을 특징으로 하며, 상기 막음부재와 막음부재 사이는 일정거리 이격되어 형성됨으로써, 그 내부의 공간과 막음부재 외부 간에 통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고, 상기 망사주머니 채워지는 단열재는 열기로 훈증되어 영양성분이 파괴된 식물성 단열재인 것을 특징으로 하며, 상기 망사주머니에는 단열재를 채워 넣으면서 인체에 유익한 숯이나 원적외선을 방출하는 광물을 섞어서 채워 넣을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한옥의 벽체를 망사주머니로 채워 넣음으로서, 기존의 황토로만 이루어진 벽체에 비해 단열이 우수하고, 왕겨와 같은 식물성 단열재에 의해 수분 흡수가 잘되므로 습도조절이 우수하며, 식물성 단열재에 의해 열전달이 차단되므로 벽체에 결로가 생기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기존의 황토만 채워서 벽체를 형성할 때 보다 작업성이 우수하고, 시공비용도 크게 줄일 수 있어 공기를 단축시킴은 물론이고 시공비용도 크게 낮출 수 있다. 게다가 망사주머니에 숯이나 원적외선 방사물질 들을 용이하게 혼입시킬 수 있어 건강에 유익한 한옥 벽체를 형성하는데도 매우 유리하고, 단열로 인한 온도변화를 감소시키고 습도조절이 잘되므로 전통주나 된장, 고추장, 간장 등 발효식품을 숙성시키는데도 적당하다.
도 1은 일반적인 한옥의 평단면도이다.
도 2은 일반적인 한옥벽체의 개략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한옥벽체의 분해사시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한옥벽체의 분해사시도로서 망사주머니에 보플이 형성된 상태를 나타낸 것이다.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한옥벽체의 일부 결합사시도이다.
도 6는 본 발명에 따른 한옥벽체의 주요부 분리 평단면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한옥벽체의 결합평단도이다.
도 8은 본 발명에 따른 한옥벽체의 다른 실시예이다.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은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3 내지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한옥을 구조적으로 지탱하는 기둥(100)과 기둥(100) 사이의 바닥 위에 밑판(210)이 형성되고, 밑판(210)에서 대략 사람 키를 고려한 높은 곳에 천정과 구별되는 상판(220)이 형성되며, 밑판(210)과 상판(220) 사이의 좌우측에 측판(230)이 세워져 폭이 20 ~ 30cm 정도이고, 높이는 대략 250 ~ 300cm 정도인 벽체(200)가 형성된다. 기둥(100)과 기둥(100) 사이에는 한옥의 크기나 목적에 따라 달라지므로 벽체(200)의 길이도 이와 대응되어 결정된다. 또한 벽체(200)는 필요에 따라 한옥 내부의 공간을 분리하면 되므로 기둥(100)과 기둥(100) 사이가 아니어도 형성될 수 있음은 당연하다.
밑판(210)은 한옥벽체를 형성하기 위해 바닥에 덧되는 것으로 바닥을 마감처리 한 후 밑판(210)을 형성하지 않고 상판(220)만 형성할 수도 있고, 천정을 상판(220)으로 사용하여 상판(220)이 없이 벽체(200)를 이룰수도 있다. 즉 밑판(210)과 상판(220)과 기둥(100)과 기둥(100) 사이에 벽체(200)를 이루는 특정공간을 만들기 위해 형성되는 것이다.
벽체(200)는 외곽 기둥을 따라 외부와 내부를 구분하는 벽체도 있고, 여러개의 방이나 거실 등 내부 공간을 다시 분리하는 벽체(200)도 있는데, 도 3은 내부에서 공간을 분리하는 벽체이다.
측판(230)에는 후술하는 막음부재가 덧되어 질 수 있도록 높이 방향으로 좌우 양측에서 내측으로 2 ~ 3cm 정도 들어간 부분에 걸림부재(232)가 3 ~ 5cm 정도 돌출되어 형성된다.
측판(230)과 측판(230) 사이의 거리가 멀면 상하나 좌우로 수개의 격판(240)을 설치하여 공간을 일정 크기로 구획하기도 한다.
밑판(210), 상판(220), 측판(230), 격판(240)에 의해 형성된 공간에는 직경이 비해 길이가 상대적으로 길어서 베개 형태를 이루는 망사주머니(250)가 채워진다. 망사주머니(250)의 직경은 벽체의 폭(걸림부재와 걸림부재 사이의 간격)에 대응되게 긴 봉지나 주머니처럼 제조된 것으로, 내부에 식물성 단열재(252)가 충전되어 있다.
망사주머니(250)는 목적하는 직경을 갖도록 재단한 망사천의 양끝과 하부를 재봉하여 상부만 개방되도록 한 후 그 안에 식물성 단열재(252)를 채워 넣은 후 상부를 재봉하거나 묶어 밀봉하여 식물성 단열재(252)가 빠져나오지 않도록 한다.
식물성 단열재(252)는 볍씨를 도정하면서 나오는 왕겨를 사용하는데, 이러한 식물성 단열재는 벽체 내에서 장시간이 지나면 식물성이므로 벌레나 미생물의 먹이가 되어 분해되거나 부폐할 수 있다. 그러므로 왕겨를 망사주머니(250)에 채워 넣기 전에 연기와 같은 열기로 훈증하여 영양성분을 완전히 파괴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왕겨의 특성은 수분을 흡수하고 방출하면서 보온하고 습도를 조절하는 기능을 하는데, 망사주머니(250)를 통기공이 무수히 많은 망사천으로 하지 않고 조직이 밀한 일반천이나 비닐 등으로 제조하면 통기가 되지 않아 왕겨의 특성을 살릴 수 없다.
식물성 단열재(252)로는 마른 볏집과 같은 식물을 건조한 후 일정크기로 분쇄하여 사용할 수도 있고, 톱밥처럼 목재를 분쇄하여 사용할 수도 있다. 또한, 망사주머니(250)에 단열재(252)를 채워 넣으므로 여기에 인체에 유익한 숯이나 원적외선 방출되는 광석 등을 용이하게 섞어 채워 넣을 수 있다.
망사주머니(250)는 내부에 왕겨나 초목을 분쇄하여 채우면 단열재로서 기능이 우수하지만, 벽체 공간에 적층시킬 때 편의성을 위하여 도 3과 도 4와 같이 장방향으로 길게 할 수도 있고, 도 8과 같이 작고 공처럼 둥글게 할 수도 있으며, 길이나 크기를 달리하여 벽체의 폭이나 높이 등 벽체공간의 크기나 형태가 달라도 용이하게 적층시킬 수 있도록 한다. 또한 벽체공간을 완전히 채워야 단열효과가 우수한데, 벽체 공간에 일치하게 크기를 결정하기 어려우므로 벽체공간 보다 조금 작게 형성하여 대부분을 채운 후 나머지 빈 공간을 상대적으로 작게 형성된 망사주머니(250)로 사이 사이 끼워서 채워 넣기도 한다.
벽체공간에 망사주머니(250)를 적층한 후에는 벽체(200)의 양측에서 막음부재(260)를 덧되어 망사주머니(250)가 외부로 이탈하지 못하게 위치 고정한다.
망사주머니(250)는 후술하는 황토 미장을 할 때 접착성을 좋게 하기 위하여 도 4와 같이, 망사주머니(250) 전체외면에 거칠은 보플(254)이 형성되도록 할 수 있다. 이는 황토 미장이 거칠은 보플(254)에 엉키면서 달라붙도록 한 것이다.
막음부재(260)는 벽체 공간을 수평으로 가로질러 걸림부재(232)에 결합되는데, 막음부재(260) 수십개가 일정 간격으로 이격되어 형성됨으로써, 벽체 공간과 막음부재(260) 외부 사이에 통기가 원활하게 될 수 있도록 한다.
막음부재(260) 외측에는 전체적으로 황토를 발라 미장하고, 그 위에 한지 등으로 벽지를 발라 한옥벽체를 완성한다.
막음부재(260) 외측에 황토를 발라 미장하여도 시멘트나 석재와 달리 통기성이 있으므로 그 내부의 벽체공간과 통기되면서 보온은 물론이고 습도를 조절한다.
100 : 기둥 200 : 벽체
210 : 밑판 220 : 상판
230 : 측판 232 : 걸림부재
240 : 격판 250 : 망사주머니
252 : 단열재 260 : 막음부재

Claims (7)

  1. 한옥의 벽체에 있어서,
    기둥과 기둥 사이의 바닥에 형성되는 밑판(210);
    상기 밑판에서 위로 일정거리 이격되어 천정과 구별되도록 형성되는 상판(220);
    상기 밑판과 상판 사이에 좌우 양측으로 형성되어 상판을 지지하면서 벽체공간을 형성하는 측판(230);
    상기 밑판, 상판, 측판에 의해 형성된 벽체공간에 상하나 죄우로 여러개가 적층되어 채워지되, 내부에는 단열재가 충전된 망사주머니(250);
    상기 측판 사이를 가로질러 결합되어 상기 밑판, 상판, 측판에 의해 형성된 벽체공간을 막으면서 상기 적층된 망사주머니가 외부로 이탈되지 않도록 위치를 고정시키는 다수의 막음부재(260);
    를 포함하여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한옥의 벽체.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측판(230)과 측판(230) 사이에는 수평방향이나 수직방향으로 벽체공간을 구획하는 수개의 격판(240)이 더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한옥의 벽체.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망사주머니(250)는 장방형으로 길게 형성된 원통형, 구형, 타원형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한옥의 벽체.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막음부재(260)와 막음부재(260) 사이는 일정거리 이격되어 형성됨으로써, 그 내부의 공간과 막음부재 외부 간에 통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한옥의 벽체.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망사주머니(250) 채워지는 단열재는 열기로 훈증되어 영양성분이 파괴된 식물성 단열재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한옥의 벽체.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망사주머니(250)에는 단열재를 채워 넣으면서 인체에 유익한 숯이나 원적외선을 방출하는 광물을 섞어서 채워 넣을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한옥의 벽체.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망사주머니(250)의 전체 외면에는 황토 미장할 때 엉키면서 달라붙도록 하여 황토의 벽체에 대한 접착성을 높일 수 있도록 하는 보플(254)이 더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한옥의 벽체.
KR1020120025978A 2012-03-14 2012-03-14 한옥의 벽체 KR20130104468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025978A KR20130104468A (ko) 2012-03-14 2012-03-14 한옥의 벽체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025978A KR20130104468A (ko) 2012-03-14 2012-03-14 한옥의 벽체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30104468A true KR20130104468A (ko) 2013-09-25

Family

ID=4945330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20025978A KR20130104468A (ko) 2012-03-14 2012-03-14 한옥의 벽체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30104468A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60108651A (ko) * 2015-03-04 2016-09-20 윤병성 친환경 재료를 이용한 건물용 벽체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60108651A (ko) * 2015-03-04 2016-09-20 윤병성 친환경 재료를 이용한 건물용 벽체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TWI578899B (zh) 多段疊層用之裝飾盆單元
KR100887757B1 (ko) 한옥의 벽체구조
KR20130104468A (ko) 한옥의 벽체
KR100237363B1 (ko) 황토(黃土)를 주재료로 한 건축용 미장재와 그 제조방법
CN105075707B (zh) 阳台种植用瓦楞纸箱
KR101205008B1 (ko) 친환경 주택 시공을 위한 황토벽체패널
KR101759978B1 (ko) 황토축열 침대
KR200466442Y1 (ko) 황토 부재
KR20100008443A (ko) 건물의실내난방장치
KR200390104Y1 (ko) 3중 구조 황토 납골단지
KR100758539B1 (ko) 건축용 황토판넬
KR100677819B1 (ko) 목조주택의 벽체구조
KR101391294B1 (ko) 식물 식재용 황토패널
KR101012597B1 (ko) 찜질용 평상
KR100803791B1 (ko) 진흙넣은실내칸막이
KR101187169B1 (ko) 황토 부재 및 그 제조방법
JP3183289U (ja) 複合機能性桐材付き家具
KR200482798Y1 (ko) 애완동물용 집
KR101609093B1 (ko) 친환경 조립식 블록 및 그 시공방법
KR20140025867A (ko) 황토를 주성분으로 한 공간충진제를 이용한 목조주택의 제조방법
KR20140019133A (ko) 친환경 황토패널
KR200415788Y1 (ko) 공기유통공간을 갖는 조립식 벽체구조
KR102223367B1 (ko) 왕겨숯을 이용한 벽체 구조물 및 이의 제조방법
KR20180029508A (ko) 황토를 이용한 건축용 마감 구조
KR102089748B1 (ko) 기존 건축물을 활용하여 항노화 황토방 건축물로 리모델링 하기 위한 시공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