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415788Y1 - 공기유통공간을 갖는 조립식 벽체구조 - Google Patents

공기유통공간을 갖는 조립식 벽체구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415788Y1
KR200415788Y1 KR2020060003387U KR20060003387U KR200415788Y1 KR 200415788 Y1 KR200415788 Y1 KR 200415788Y1 KR 2020060003387 U KR2020060003387 U KR 2020060003387U KR 20060003387 U KR20060003387 U KR 20060003387U KR 200415788 Y1 KR200415788 Y1 KR 200415788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all structure
pillar portion
pillar
functional material
gri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60003387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대섭
Original Assignee
이대섭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이대섭 filed Critical 이대섭
Priority to KR2020060003387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415788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415788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15788Y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LMETHODS OR APPARATUS FOR STERILISING MATERIALS OR OBJECTS IN GENERAL; 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CHEMICAL ASPECTS OF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MATERIALS FOR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 A61L9/00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 A61L9/01Deodorant compositions
    • A61L9/013Deodorant compositions containing animal or plant extracts, or vegetable material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BGENERAL BUILDING CONSTRUCTIONS; WALLS, e.g. PARTITIONS; ROOFS; FLOORS; CEILINGS; INSULATION OR OTHER PROTECTION OF BUILDINGS
    • E04B1/00Constructions in general; Structures which are not restricted either to walls, e.g. partitions, or floors or ceilings or roofs
    • E04B1/62Insulation or other protection; Elements or use of specified material therefor
    • E04B1/70Drying or keeping dry, e.g. by air vents
    • E04B1/7069Drying or keeping dry, e.g. by air vents by ventilating
    • E04B1/7076Air vents for wall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LMETHODS OR APPARATUS FOR STERILISING MATERIALS OR OBJECTS IN GENERAL; 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CHEMICAL ASPECTS OF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MATERIALS FOR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 A61L2202/00Aspects relating to methods or apparatus for disinfecting or sterilising materials or objects
    • A61L2202/20Targets to be treated
    • A61L2202/25Rooms in buildings, passenger compartments

Landscapes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chitecture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Zoology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Botany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Electromagnetism (AREA)
  • Epidemiology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Building Environment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기능성 재료를 구비하고 공기 유통공간을 갖는 벽체구조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건축물의 벽체 내부에 가공하지 않은 천연기능성 물질인 황토나 참숯, 옥 등으로 이루어진 기능성 재료를 포함시키고, 기능성 재료와 마감재 사이에 부직포를 삽입하고 판재를 덧댐으로써 공기 유통공간을 형성함으로써 살균이나 탈취작용이 원활히 일어날 수 있도록 하는 기능성 재료를 구비한 벽체구조에 관한 것이다. 본 고안에 따르면 건축물의 벽체 시공시에 황토나 참숯, 허브 등의 기능성 재료를 원형상태로 벽체 내부에 충진하고 공기 유통공간을 형성하여 음이온의 발산을 용이하게 하고, 습기제거, 세균제거, 탈취작용 등을 원활하게 할 수 있게 된다.
기능성 재료, 마감재, 황토, 참숯, 철망, 벽체

Description

공기유통공간을 갖는 조립식 벽체구조{PREFABRICATED WALL HAVING AIR VENTILATING GAP}
도1은 본 고안의 실시예에 따른 벽체구조의 구성을 나타낸 사시도.
도2는 본 고안의 실시예에 따른 벽체구조중 기둥부의 구성을 도시하는 도면
도3은 본 고안에 따른 기둥부의 일실시예를 도시한 도면.
도4는 상부고형틀을 도시하는 도면.
도5는 본 고안에 따른 조립형 벽체를 도시하는 도면.
도6은 본 고안에 따른 조립형 벽체를 도1의 A-A'면을 따라 절단한 단면을 도시한 도면.
<도면의 주요 부호의 설명>
11: 기둥부 12: 상부고형틀
13: 수용홈 14: 뒷판
15: 옆판재 16: 뒷판재
17: 공기유통공간 24: 기둥부 상단 고정용 브라켓
26: 기둥부 상단 고정용브라켓 27: 기둥부 고정브라켓 걸림쇠
본 고안은 공기유통공간을 갖는 조립식 벽체구조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건축물의 벽체 내부에 황토나 참숯 등으로 이루어진 기능성 재료를 포함시키고, 기능성 재료와 마감재 사이에 철망을 삽입하고 공기 유통공간을 형성함으로써 살균이나 탈취작용이 원활히 일어날 수 있도록 하는 기능성 재료를 구비한 벽체구조에 관한 것이다.
종래의 건축 내장재로서 벽판이나 천장판은 주로 베니아판 또는 합성 목재의 판상에 무늬목이나 도장으로 장식한 고급화된 건축자재가 사용되었는데, 이들은 경량성이고 응용성이 많은 건축 내장재이기는 하나 내열성이 약하고 경제적이지 않으며 외부충격에 의해 진동이 쉽게 발생하고 파손되기 쉽다는 단점이 있다.
또한 상기한 건축 내장재들은 단열, 방음효과에만 치중하고 있어 건축폐기물의 처리나 인체에 대한 유해성을 고려하고 있지 않아 심각한 사회문제로 대두되고 있으며, 내장재의 견실한 고정 등이 보장되지 않고, 또한 필수적으로 그 외부에 일련의 몰타르 등과 같은 재료로 마감을 하여야 하는 등 작업의 효율성을 현저히 떨어뜨리는 문제점이 있는 것이 현 실정이다.
한편 최근 황토나 참숯 등이 단열성이 우수함과 동시에 다량의 원적외선을 방출하고 뛰어난 습도조절능력이 확인됨에 따라 각종 건축재료로서 각광을 받고 있다. 황토 등을 건축물 내장재로 사용하는 종래의 기술은 벽면이나 천장에 사용할 때 접착제, 보강재 등과 같은 첨가제를 첨가하여 적당한 반죽을 만든 다음, 천장이나 벽면에 흙손을 사용하여 바르거나 붓으로 얇게 칠하는 방법을 사용하여 왔다. 그러나, 황토가 가진 특성상 천장이나 벽면에서 균열이 발생하여 건축물의 미관을 해치며 또한 시공과정에서 많은 인력이 필요하고 시공기간이 오래 걸리는 문제점이 있다.
그렇다고 하여, 황토나,참숯, 허브등의 기능성물질을 집안에 두는 경우에는, 아무리 잘꾸며서 놓는 다고 하여도 외관상 좋지 않은 경우가 많았으며 기능성 물질이라도 손이나 옷에 닿게 되는 경우가 많았으며 그대로 방치하는 경우 방을 어지럽히는 원인이 되는 경우가 많았다.
본 고안은 전술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서, 건축물의 벽면에 격자틀을 형성하고, 격자틀 내부에 기능성 재료를 삽입하여 인체에 유익한 효과를 발생하며, 격자틀과 마감재 사이에 철망을 삽입하여 기능성 재료를 고정함과 동시에 공기 유통공간을 형성할 수 있도록 하는 기능성 재료를 구비한 벽체구조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또한 본 고안은 기능성 재료를 분말이나 몰타르 또는 고형의 판상으로 제조하여 격자틀 내부에 용이하게 고정시킬 수 있도록 하는 기능성 재료를 구비한 벽체구조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또한 본 고안은 건물 내벽의 상단부에 수용틀을 장방형으로 형성하고, 상단면이 개방된 수용틀의 내부에 기능성 재료를 적층하여 살균과 제습, 원적외선 방사 등의 작용을 할 수 있도록 하는 기능성 재료를 구비한 벽체구조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또한, 이러한 기능성 재료를 거주하는 사람과 가까이 할 수 있도록 하면서도 실내나 거주자를 더럽히거나 오염시키지 않으면서도 기능성 물질은 효과만은 항상 가까이 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또한, 이러한 목적을 모두 달성하면서도 실재 건축에 응용이 용이한 구조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고안은 상기한 바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기능성재료를 구비한 벽체구조를 제공하는데,
기둥부와 상부고형틀로 이루어지는 조립형 벽체구조로서,
기둥부로서, 벽을 향한 부분의 면이 없는 길쭉한 모양의 입체로서, 그 앞부분은 기둥으로서 외부에 드러나 장식을 위하여 사용되는 본체와;
상기 본체의 안쪽에 소정의 크기로 형성되어 복수개로 구획되어진 공간을 가져 천연기능성물질을 담을 수 있는 격자틀과
상기 격자틀 내부에 수용되며, 하나 이상의 기능성 재료가 혼합되어 제조되는 충진재와;
상기 격자틀을 덮어서 상기 충진재가 상기 격자틀 외부로 나오지 않도록 고정하지만 공기가 통할 수 있도록 다수의 구멍을 갖는 고정재를 포함하는, 하나 이상의 기둥부와;
상부고형틀로서, 기능성물질을 담을 수 있는 수용홈(13)이 형성되도록 상단면이 개방된 좌우로 길죽한 모양의 입체로서,상기 기둥부의 상단에 가로방향으로 위치하는, 상부고형틀을 포함하여 이루어질 수 있다.
상기 기둥부에서, 상기 고정재위에는 상기 기둥부의 폭보다 조금 더 긴 뒷판재가 복수개 가로로 덧대어 지도록 하여 상기 기둥부가 상기 뒷판재의 두께만큼 벽으로 부터 이격을 이루도록 하여, 공기유통공간을 이루도록 하는 것일 수 있다.
상기 기둥부의 길이방향을 따라 상기 기둥부의 좌우에 설치되는 옆판재를 더 포함하여, 상기 뒷판재의 설치로 인하여 상기 기둥부의 옆면이 들여다 보이지 않도록 하는 것일 수 있다.
상기 기둥부는 기둥의 외곽선과 같은 'ㄷ'자형으로 벽에 부착하기 위하여 양옆으로 연장된 날개를 갖는 브라켓에 의하여 하단이 고정이 되는 것일 수 있다.
상기 상부고형틀의 뒷면에 덧대어 지는 뒷판을 더 포함하는 것일 수 있다.
상기 충진재는 황토, 참숯, 허브, 맥반석 중의 하나 또는 둘 이상을 포함하는 기능성 재료로 이루어지는 것일 수 있다.
상기 충진재는 분말이나 몰타르의 형태로 생성되어 상기 격자틀 내부에 쌓여지거나, 고형의 판상으로 제조되어 상기 격자틀 내부에 수납되는 것일 수 있다.
이하, 도면을 참조하여 본 고안을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1은 본 고안의 실시예에 따른 벽체구조의 구성을 나타낸 사시도이다. 실시예는 두개의 기둥부(11)와 한개의 상부고형틀(12)을 갖는다. 상기 기둥부의 안쪽과 상기 상부고형틀의 위쪽에는 기능성 물질이 넣어져 있다. 상부고형틀에 있는 기능성물질은 공기와 바로 접촉될 수 있으며 기둥부의 뒷쪽에도 충진된 기능성 물질은 기둥부(11)와 뒷판재(16) 사이에 형성되는 공기유통공간(17)을 통하여 외부의 공기와 접촉하여, 살균, 제습, 원적외선 방사등의 역할을 하게 된다.
도2는 본 고안의 실시예에 따른 벽체구조중 기둥부의 구성을 도시하는 도면이다. 기둥부는 그 안쪽면이 벽쪽을 향하여 개방되어 있으며 몇개의 격자로 나뉘어져 있으며 상기 격자 안쪽은 충진재로 채워져 있다. 이러한 충진재는 기능성 재료는 황토, 참숯, 허브, 맥반석 등으로 이루어지며, 하나의 재료로 이루어지는 것보다 이와 같은 재료의 혼합체로 제조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기능성 재료는 분말이나 몰타르의 형태로 생성되어 격자틀(18) 내부에 쌓여지거나, 고형의 판상으로 제조되어 격자틀 내부에 수납되도록 제조된다. 즉, 정형화된 형태가 아닌 분말상태에서 반죽을 통하여 시멘트와 같은 상태로 만들고, 이를 격자틀 내부에 충진할 수 있으며, 격자틀과 동일한 형태와 크기의 판상으로 충진재를 제작하고, 이를 각각의 격자틀 내부에 삽입할 수도 있을 것이다. 물론 이러한 기능성재료는 몰타르 형태가 아닌 원형형태로 넣을 수도 있다.
충진재가 수용된 격자틀은 고정재(19)로 격자틀을 덮어 충진재가 격자틀(18)로부터 이탈되는 것을 방지한다. 본 고안에서 사용되는 고정재는 부직포나,철망 미세한 구멍을 갖는 것이 사용될 수 있으며 철망은 굵기가 10㎜ 이하의 철사로 제작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분말 상태로 충진재를 삽입하는 경우에 고정재에 형성된 구멍 사이로 충진재가 새어나오는 것을 방지할 수 있도록 충분히 촘촘한 것을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고정재의 위에는 뒷판재(16)를 가로로 여러개를 댄다. 뒷판재는 기둥부와 벽 사이에 공간을 만들기 위한 것으로 적절한 두께를 갖는 것을 선택하면된다.
도3은 본 고안에 따른 기둥부의 일실시예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2에서와 같이 설치된 기둥부의 옆으로는 기둥부의 길이방향으로 기둥부의 양옆에 옆판재(15)를 설치할 수 있다. 옆판재를 설치하지 않는 경우 옆에서 보았을때 기둥부가 들여다 보일 수 있을 뿐아니라 삐죽하게 튀어나온 뒷판재때문에 미관상 좋지 않을 수 있다. 따라서 옆판재를 설치하여 미관을 수려하게 함과 동시에 옆에서 보아도 기둥부가 들여다 보이지 않게 할 수 있다.
도4는 상부고형틀을 도시하는 도면이다. 상부고형틀의 수용홈에는 기능성물질로 이루어진 충진재가 담겨질 수 있다. 이때 기능성물질은 몰타르 형태가 아닌 원형그대로의 물질이 될 수도 있는데 기둥부에 있는 것은 아래쪽으로 떨어지기 쉽기 때문에 몰타르 형태로 하여 수용하는 것이 편리하나 상부에 넣는 것은 원형그대로의 형태라고 하여도 사람손에 닿지 않는 곳에 있어 오염을 시킬 염려도 없고 아래쪽으로 떨어질 염려도 없기때문에 원형 그대로라고 하여도 별 문제가 없다. 따라서 실내공기와 충진재가 직접 맞닿게 되므로, 원적외선이나 음이온이 직접 실내로 방출되며, 습기제거나 탈취, 살균작용 등도 훨씬 활발해진다.
뒷판(14)은 선택적으로 설치할 수 있으며 도면에서는 못박음에 의해 고형틀을 고정하고 그위에 'ㄷ'자형이면서 그 옆으로 날개가 달려 벽에 고정이 가능한 마감재를 덧 대었다.
도5는 본 고안에 따른 조립형 벽체이다. 도면에 도시된 것은 기둥부를 벽에 고정하는 것을 예시하기 위한 것으로서 이와 다른 방법을 배제하는 것은 아니다. 본 고안에서는 특별한 다른 고정장치없으면서도 견고하게 할 수있도록 하단에는, 'ㄷ'자형이면서 그 끝단에 벽의 붙일수 있도록 날개가 달린 기둥부 하단 브라켓을 사용하여 하단을 고정하였으며 기둥부의 상단은 최상단에 충진재가 들어가지 않는 공간을 두고 이곳에 기둥부 고정브라켓 걸림쇠를 두고 여기에 기둥부 상단 고정용브라켓을 걸어서 상단을 고정시킨다.
도6은 본 고안에 따른 조립형 벽체를 도1의 A-A'면을 따라 절단한 단면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시된 바와 같이 뒷판재와 기둥부 사이에 형성된 공기유통공간을 통해 공기가 출입하는 것을 볼 수 있다.
따라서 실내공기와 충진재가 직접 맞닿게 되므로, 원적외선이나 음이온이 직접 실내로 방출되며, 습기제거나 탈취, 살균작용 등도 훨씬 활발해진다.
이상에서 본 고안에 따른 벽체구조의 실시예를 설명하였으나 본 고안의 권리범위는 이러한 실시예에 제한되지 않으며, 당업자가 용이하게 변형할 수 있는 범위에도 권리가 미친다.
본 고안에 따르면 건축물의 벽체 시공시에 황토나 참숯, 허브 등의 기능성 재료를 벽체 내부에 충진하고 공기 유통공간을 형성하여 음이온의 발산을 용이하게 하고, 습기나 세균제거, 탈취작용 등을 원활하게 할 수 있게 된다.
또한, 이러한 기능성 재료를 거주하는 사람과 가까이 할 수 있도록 하면서도 실내나 거주자를 더럽히거나 오염시키지 않으면서도 기능성 물질은 효과만은 항상 가까이 할 수 있도록 하는 효과를 갖는다.
이러한 목적을 모두 달성하면서도 실재 건축에 응용이 용이하며 조립이 간편한 효과가 있다.
또한 본 고안에 따르면 충진재를 몰탈이나 고형의 판상으로 제조하여 격자의 크기나 형태 등에 구애받지 않고 용이하게 충진재를 격자틀 내부에 삽입할 수 있게 된다.
또한 본 고안에 따르면 실내 벽면의 상단에 윗면이 개방된 수용홈을 형성하고, 수용홈 내부에 원형그대로의 기능성 재료로 이루어진 충진재를 적층하여 인체에 유익한 효과를 직접적이고 활발하게 낼 수 있게 된다.

Claims (7)

  1. 기둥부와 상부고형틀로 이루어지는 조립형 벽체구조로서,
    상기 기둥부는 , 기둥부로서,
    벽을 향한 부분의 면이 없는 길쭉한 모양의 입체로서, 그 앞부분은 기둥으로서 외부에 드러나 장식을 위하여 사용되는 본체와;
    상기 본체의 안쪽에 소정의 크기로 형성되어 복수개로 구획되어진 공간을 가져 천연기능성물질을 담을 수 있는 격자틀과
    상기 격자틀 내부에 수용되며, 하나 이상의 기능성 재료가 혼합되어 제조되는 충진재와;
    상기 격자틀을 덮어서 상기 충진재가 상기 격자틀 외부로 나오지 않도록 고정하지만 공기가 통할 수 있도록 다수의 구멍을 갖는 고정재를 포함하는, 하나 이상의 기둥부와;
    상기 상부고형틀은, 상부고형틀로서, 기능성물질을 담을 수 있는 수용홈이 형성되도록 상단면이 개방된 좌우로 길죽한 모양의 입체로서,상기 기둥부의 상단에 가로방향으로 위치하는, 상부고형틀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조립형 벽체구조.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기둥부에서, 상기 고정재위에는 상기 기둥부의 폭보다 조금 더 긴 뒷판재가 복수개 가로로 덧대어 지도록 하여 상기 기둥부가 상기 뒷판 재의 두께만큼 벽으로 부터 이격을 이루도록 하여, 공기유통공간을 이루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립형 벽체구조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기둥부의 길이방향을 따라 상기 기둥부의 좌우에 설치되는 옆판재를 더 포함하여, 상기 뒷판재(16)의 설치로 인하여 상기 기둥부의 옆면이 들여다 보이지 않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립형 벽체구조.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기둥부는 기둥의 외곽선과 같은 'ㄷ'자형으로 벽에 부착하기 위하여 양옆으로 연장된 날개를 갖는 브라켓에 의하여 하단이 고정이 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립형 벽체구조.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상부고형틀의 뒷면에 덧대어 지는 뒷판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립형 벽체구조.
  6. 제1항내지 제 5 항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충진재는 황토, 참숯, 허브, 맥반석 중의 하나 또는 둘 이상을 포함하는 기능성 재료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능성 재료를 구비한 벽체구조.
  7. 제6항 에 있어서, 상기 충진재는 분말이나 몰타르의 형태로 생성되어 상기 격자틀 내부에 쌓여지거나, 고형의 판상으로 제조되어 상기 격자틀 내부에 수납되 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능성 재료를 구비한 벽체구조.
KR2020060003387U 2006-02-07 2006-02-07 공기유통공간을 갖는 조립식 벽체구조 KR200415788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60003387U KR200415788Y1 (ko) 2006-02-07 2006-02-07 공기유통공간을 갖는 조립식 벽체구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60003387U KR200415788Y1 (ko) 2006-02-07 2006-02-07 공기유통공간을 갖는 조립식 벽체구조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15788Y1 true KR200415788Y1 (ko) 2006-05-08

Family

ID=4176526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60003387U KR200415788Y1 (ko) 2006-02-07 2006-02-07 공기유통공간을 갖는 조립식 벽체구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415788Y1 (ko)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787862B1 (ko) 건축용 흡음판넬
KR100887757B1 (ko) 한옥의 벽체구조
KR200415788Y1 (ko) 공기유통공간을 갖는 조립식 벽체구조
KR200394434Y1 (ko) 기능성 재료를 구비한 벽체구조
KR200431159Y1 (ko) 건축내장용 방음패널
KR101205008B1 (ko) 친환경 주택 시공을 위한 황토벽체패널
KR101068591B1 (ko) 건축용 실내 벽면 마감재
CN207130924U (zh) 一种防潮防霉墙体
KR200399543Y1 (ko) 기능성 재료를 구비한 벽체구조
KR100307848B1 (ko) 숯과 짚이 첨가된 황토벽돌
KR100758539B1 (ko) 건축용 황토판넬
KR101609093B1 (ko) 친환경 조립식 블록 및 그 시공방법
KR101126934B1 (ko) 통기성을 갖는 황토벽 시공구조
KR101574776B1 (ko) 황토 벽체
CN207727833U (zh) 一种吊顶封边结构
KR19990011632U (ko) 개량 흙벽돌
JP4542373B2 (ja) 壁面家具装置
KR20180029508A (ko) 황토를 이용한 건축용 마감 구조
KR101187169B1 (ko) 황토 부재 및 그 제조방법
KR20130000419U (ko) 황토 부재
KR20140019133A (ko) 친환경 황토패널
KR20130006052U (ko) 자석에 의해 패널이 부착된 황토벽의 설치 구조
KR200482798Y1 (ko) 애완동물용 집
KR102381666B1 (ko) 건식 사우나가 가능한 찜질용 황토침대
KR20070114526A (ko) 건축물용 벽 구조물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0502

Year of fee payment: 7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