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30000419U - 황토 부재 - Google Patents

황토 부재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30000419U
KR20130000419U KR2020120004901U KR20120004901U KR20130000419U KR 20130000419 U KR20130000419 U KR 20130000419U KR 2020120004901 U KR2020120004901 U KR 2020120004901U KR 20120004901 U KR20120004901 U KR 20120004901U KR 20130000419 U KR20130000419 U KR 20130000419U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ocher
support plate
support
plate
powd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120004901U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466442Y1 (ko
Inventor
조삼순
Original Assignee
조삼순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조삼순 filed Critical 조삼순
Priority to KR2020120004901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466442Y1/ko
Publication of KR20130000419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30000419U/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466442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66442Y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CCHEMISTRY; METALLURGY
    • C04CEMENTS; CONCRETE; ARTIFICIAL STONE; CERAMICS; REFRACTORIES
    • C04BLIME, MAGNESIA; SLAG; CEMENTS; COMPOSITIONS THEREOF, e.g. MORTARS, CONCRETE OR LIKE BUILDING MATERIALS; ARTIFICIAL STONE; CERAMICS; REFRACTORIES; TREATMENT OF NATURAL STONE
    • C04B14/00Use of inorganic materials as fillers, e.g. pigments, for mortars, concrete or artificial stone; Treatment of inorganic materials specially adapted to enhance their filling properties in mortars, concrete or artificial stone
    • C04B14/02Granular materials, e.g. microballoons
    • C04B14/04Silica-rich materials; Silicates
    • C04B14/10Clay
    • CCHEMISTRY; METALLURGY
    • C04CEMENTS; CONCRETE; ARTIFICIAL STONE; CERAMICS; REFRACTORIES
    • C04BLIME, MAGNESIA; SLAG; CEMENTS; COMPOSITIONS THEREOF, e.g. MORTARS, CONCRETE OR LIKE BUILDING MATERIALS; ARTIFICIAL STONE; CERAMICS; REFRACTORIES; TREATMENT OF NATURAL STONE
    • C04B14/00Use of inorganic materials as fillers, e.g. pigments, for mortars, concrete or artificial stone; Treatment of inorganic materials specially adapted to enhance their filling properties in mortars, concrete or artificial stone
    • C04B14/38Fibrous materials; Whiskers
    • CCHEMISTRY; METALLURGY
    • C04CEMENTS; CONCRETE; ARTIFICIAL STONE; CERAMICS; REFRACTORIES
    • C04BLIME, MAGNESIA; SLAG; CEMENTS; COMPOSITIONS THEREOF, e.g. MORTARS, CONCRETE OR LIKE BUILDING MATERIALS; ARTIFICIAL STONE; CERAMICS; REFRACTORIES; TREATMENT OF NATURAL STONE
    • C04B16/00Use of organic materials as fillers, e.g. pigments, for mortars, concrete or artificial stone; Treatment of organic materials specially adapted to enhance their filling properties in mortars, concrete or artificial stone
    • C04B16/04Macromolecular compounds
    • C04B16/06Macromolecular compounds fibrous
    • CCHEMISTRY; METALLURGY
    • C04CEMENTS; CONCRETE; ARTIFICIAL STONE; CERAMICS; REFRACTORIES
    • C04BLIME, MAGNESIA; SLAG; CEMENTS; COMPOSITIONS THEREOF, e.g. MORTARS, CONCRETE OR LIKE BUILDING MATERIALS; ARTIFICIAL STONE; CERAMICS; REFRACTORIES; TREATMENT OF NATURAL STONE
    • C04B18/00Use of agglomerated or waste materials or refuse as fillers for mortars, concrete or artificial stone; Treatment of agglomerated or waste materials or refuse, specially adapted to enhance their filling properties in mortars, concrete or artificial stone
    • C04B18/04Waste materials; Refuse
    • C04B18/18Waste materials; Refuse organic
    • C04B18/24Vegetable refuse, e.g. rice husks, maize-ear refuse; Cellulosic materials, e.g. paper, cork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W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RELATED TO WASTEWATER TREATMENT OR WASTE MANAGEMENT
    • Y02W30/00Technologies for solid waste management
    • Y02W30/50Reuse, recycling or recovery technologies
    • Y02W30/91Use of waste materials as fillers for mortars or concrete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eramic Engineering (AREA)
  • Materials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Dispersion Chemistry (AREA)
  • Environmental & Geological Engineering (AREA)
  • Finishing Walls (AREA)
  • Building Environments (AREA)
  • Floor Finish (AREA)

Abstract

본 고안은 건축물 내장재, 침대용 매트 또는 방석 등으로 사용할 수 있는 황토 부재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황토분말을 물과 반죽하지 않고 직접 분말 상태로 지지판 내부에 충전하므로 제조가 용이하고 황토를 굽거나 말려서 굳히지 않기 때문에 내구성이 우수하며 수분 및 공기의 유통이 원활하여 유해환경물질 및 악취제거에 유리하고 원적외선의 방사가 잘 되는 황토 부재를 제공하는 것이다.

Description

황토 부재 {Subsidiary materials for yellow soil}
본 고안은 건축물 내장재, 침대용 매트 또는 방석 등으로 사용할 수 있는 황토 부재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황토분말을 물과 반죽하지 않고 직접 분말 상태로 지지판 내부에 충전하므로 제조가 용이하고 황토를 굽거나 말려서 굳히지 않기 때문에 내구성이 우수하며 수분 및 공기의 유통이 원활하여 유해환경물질 및 악취제거에 유리하고 원적외선의 방사가 잘 되는 황토 부재를 제공하는 것이다.
통상적으로, 건축물의 내장재로 사용되는 텍스(Tex), 보드(Board) 또는 타일(tile) 등은 적정 강도 확보를 위해서 압축강도가 우수한 시멘트 성분이 포함된다. 그러나 시멘트는 장시간에 걸쳐 유해환경물질을 방출하여 인체에 악영향을 미치고, 통기성이 좋지 않으며, 곰팡이나 세균 등이 서식하기 좋은 환경을 형성할 뿐만 아니라 노후로 인한 폐기처리시 유해한 건축폐기물이 발생하는 문제점이 있다.
최근에는 시멘트 성분이나 접착제 등 인공소재를 사용하는 건축물 내장재로 인하여 실내환경이 유해해지고 천식이나 아토피와 같은 질병에 시달리게 됨으로써 친환경적인 소재의 개발에 많은 연구가 진행되고 있으며, 이러한 추세에 따라 전통 가옥의 재료로 사용되었던 황토에 대한 연구도 활발하였다.
잘 알려진 바와 같이, 황토는 토양에서 채취되는 약 알칼리성 흙으로, 황토입자의 크기는 대략 0.02~0.05mm이며, 석영, 장석, 운모, 방해석 등 다양한 광물입자로 구성되어 있다. 또한, 황토는 화학적으로 실리카, 철분, 알루미나, 마그네슘, 나트륨, 칼륨, 석회, 스멕타이트 등으로 조성되어 원적외선을 방출한다. 특히 스멕타이트는 산소를 생성하는 물질로도 알려져 있다. 또한, 황토에는 인체와 환경에 유익한 미생물이 다량 포함되어 있어 집안의 곰팡이나 세균의 서식을 억제시켜 쾌적한 주거환경을 제공하고, 40~50℃에서는 다량의 원적외선을 방출하여 원적외선의 방사열과 침투력에 의해 인체의 모세혈관의 운동이 활발해지면서 혈액순환을 순조롭게 촉진시켜 건강한 생활을 영위할 수 있는 효과가 있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또한, 황토는 실내의 습도를 조절하고 악취를 흡수하는 등 실내 환경을 쾌적하게 조성하는데 탁월한 효과가 있다.
따라서 이러한 황토는 다양한 형태로 이용되고 있는데, 황토방, 황토 찜질방, 황토 사우나 등이 바닥 천장 또는 벽면에 반죽 형태로 황토가 시공되고 있고, 또한 건축물 벽면 시공을 위한 황토 벽돌, 황토 타일 및 황토 패널 등이 출시되고 있다. 뿐만 아니라 침대의 바닥 판이나 침대용 매트, 황토 의자나 방석 등으로도 활용되고 있다.
그런데 황토를 이용하여 건축용 내장재나 황토 매트 또는 방석 등을 제작하는 경우에는 황토가 가지는 취약점 즉, 황토를 판 형태로 제작하기 어려운 성형 상의 곤란성이 있다. 즉, 황토는 순수한 황토를 일정 비율 이상으로 혼합할 경우 황토 자체의 결합력 저하로 인해 시멘트와 같은 별도의 유기 바인더를 첨가하지 않으면 적정한 강도를 확보하기 어렵다는 단점이 있었다.
이러한 성형 상의 어려움을 해결하기 위해서 종래부터 다양한 개발이 있었다. 먼저, 도 13에서 보는 바와 같이, 대한민국 등록실용신안 제20-323828호 '황토패널'에서는, 사각 틀을 만들고, 이 틀 내에 황토를 채운 다음, 황토가 채워진 틀을 황토 망사 천으로 감싸서 황토패널의 강도를 확보하도록 하였다. 그러나 이러한 종래 기술은 사각 틀을 별도로 제작하여야 하므로 제조공정이 복잡하다. 또한, 황토 반죽을 채워서 건조한 것이므로 시간이 지나면 응축과 팽창의 반복으로 인해서 크랙이 생기고 부서지는 것을 방지할 수 없다.
이어, 도 14에서 보는 바와 같이, 대한민국 등록실용신안 제20-282055호 '건축용 황토 패널'은, 단열재(10)의 측면에 적정 간격으로 홈(11)을 형성하고, 상기 단열재(10)의 홈(11)에 황토 반죽을 채우고 건조시켜 황토 보드(12)를 형성하고, 황토 보드(12)와 단열재(10)의 측면에 종이(13)를 부착하고, 종이(13)의 측면에 다수의 작은 구멍(3a)이 천공된 내장재(3)를 부착하여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즉, 이 종래 기술의 경우, 단열재(10)의 일 측면에 황토 반죽을 부착하여 황토 보드가 쉽게 깨지는 것을 방지하였으나, 종래와 마찬가지로 황토 반죽을 건조한 것이므로 황토 보드에 크랙이 생기거나 쉽게 깨지는 문제가 원천적으로 해결된 것은 아니다.
한편, 도 15에 도시된 대한민국 등록실용신안 제20-364312호 '황토 패널'은 다수의 통기공을 가지는 상자 형태의 패널 프레임 내부에 여과포를 설치하고, 상기 패널 프레임의 내부에 황토분말을 채운 것으로, 황토분말을 그대로 사용하므로 제조 공정이 단순해지고 크랙이 생기거나 쉽게 깨지는 문제를 해결하였으나, 상자 형태의 패널 프레임을 제작하여야 하므로 제작공정이 복잡하고 패널 프레임의 내구성이 취약하다는 단점이 있다. 또한, 하나의 패널 프레임 내부에 황토분말을 한꺼번에 충전하므로 황토분말의 유동하기 쉽고, 중력에 의해 하부 쪽으로 이동되는 황토에 의해서 여과포가 손상될 우려가 있다.
본 고안은 이러한 종래 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서, 본 고안의 주된 목적은, 판 형태의 지지판에 황토분말을 직접 충전함으로써, 틀이나 상자 형태의 프레임을 제작할 필요가 없어 제조공정이 더욱 단순해지고, 또 황토분말을 물과 반죽하여 건조하거나 소성하지 않으므로 크랙이 생기거나 쉽게 깨지는 문제를 원천적으로 해결할 수 있는 황토 부재를 제공하는 것이다.
또한, 본 고안은 공기와 수분의 순환이 원활하고, 황토분말에서 방출되는 원적외선의 방사가 용이한 황토 부재를 제공하는 것이다.
또한, 본 고안은 친환경소재로 이루어져 유해물질과 폐기시 유해한 폐기물을 발생시키지 않고, 원적외선의 방사에 따른 생리작용의 활성화를 통해 신체 건강을 증진하고, 항균과 탈취 기능 및 습도조절의 기능을 통해 쾌적함을 도모할 수 있도록 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상술한 본 고안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수단으로서, 본 고안에 따른 황토 부재는,
소정 두께의 지지판과;
상기 지지판에 일정 간격 상하 좌우로 떨어져서 형성된 다수 개의 관통부와;
상기 지지판과 같은 두께를 갖도록 상기 관통부에 채워진 황토분말과;
상기 관통부에 채워진 황토분말이 외부로 누출되지 않도록 상기 지지판의 일 측면에 접착되어 상기 황토분말의 일 측면을 지지하는 제1 지지 시트와;
상기 관통부에 채워진 황토분말이 외부로 누출되지 않도록 상기 지지판의 타 측면에 접착되어 상기 황토분말의 타 측면을 지지하는 제2 지지 시트;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본 고안에 있어서, 상기 황토분말은 물과 반죽하지 않은 가루 상태의 황토이다. 황토분말은 소금, 잘게 썬 볏짚, 잘게 썬 은행잎, 잘게 썬 한약재가 더 포함될 수 있다. 황토분말은 200메시 이하로 미분쇄된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지지판은 한 장의 나무판, 골판지, 펄프, 종이와 같은 친환경적인 소재로 이루어진다. 지지판은 두 장 이상의 나무판, 골판지, 펄프, 종이를 적층하여 이루어질 수 있다.
상기 지지판에는 황토분말이 충전되는 다수 개의 관통부가 형성된다. 상기 지지판에 형성된 관통부의 상하좌우 둘레에는 관통부를 감쌀 수 있도록 프레임이 형성된다. 즉, 상기 관통부의 상하좌우 둘레는 프레임에 의해 폐쇄된 구조를 갖는다. 상기 지지판의 가장자리는 모두 프레임으로 이루어진다. 즉, 지지판의 가장자리에는 관통부가 형성되지 않는다. 바람직하게 상기 지지판에 형성된 관통부의 전체 넓이는 상기 지지판에 형성된 프레임의 전체 넓이와 같거나 작다. 이것은 지지판의 양 측면에 부착되는 제1 지지 시트 및 제2 지지 시트의 접착력을 충분히 확보하기 위한 것이다.
상기 제1 지지 시트 및 제2 지지 시트는 상기 프레임의 측면에 접착되어 상기 관통부를 폐쇄하고 황토분말의 양 측면을 지지한다. 제1 지지 시트 및 제2 지지 시트는 공기와 수분의 유통이 가능하되 황토분말은 누출되지 않는 미세공이 형성된다. 바람직하게 제1 지지 시트 및 제2 지지 시트는 한지나 광목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지지판의 일 측면이나 양 측면에는 상기 지지판의 관통부보다 작은 지름을 갖는 다수 개의 관통홀이 형성된 타공판이 더 접착될 수 있다.
또한, 골판지, 펄프, 종이로 이루어진 지지판의 일 측면이나 양 측면에는 나무판로 이루어진 지지판이 더 접착될 수 있다. 상기 나무로 된 지지판은 골판지, 펄프, 종이로 이루어진 지지판의 강도를 보강하는 역할을 한다.
또한, 상기 지지판의 일 측면이나 양 측면에는 일반 섬유나 금속 또는 탄소 섬유로 이루어진 보강 망이 더 접착된다. 또한, 상기 보강 망은 두 장의 지지판 사이에는 설치될 수 있다. 상기 보강 망은 황토분말을 지지하는 역할을 한다.
또한, 상기 제1 지지 시트 또는 제2 지지 시트가 부착된 지지판의 일 측면에는 상기 관통부와 동일한 크기로 개구부가 형성된 제2 지지판이 설치되고, 상기 제2 지지판의 개구부에는 상기 개구부와 같거나 작은 지름을 갖는 받침판과, 상기 받침판을 지지하는 스프링으로 이루어진 완충수단이 더 설치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1 지지 시트 또는 제2 지지 시트가 부착된 지지판의 일면에는 지지판을 건축물의 바닥이나 벽면으로부터 일정 거리 떨어뜨려서 상기 관통부를 통한 공기 및 수분의 순환을 원활하게 하는 스페이서가 더 설치될 수 있다.
본 고안에 따르면, 판 상의 지지판에 황토분말을 직접 충전함으로써 틀이나 상자 형태의 프레임을 제작할 필요가 없어 제조공정이 단순하고, 또 황토분말을 물과 반죽하여 건조하거나 소성하지 않으므로 크랙이 생기거나 깨지 않아 내구성이 우수한 효과가 있다.
또한, 본 고안은 친환경소재로만 이루어지고, 공기와 수분의 순환이 원활하며, 황토분말에서 방출되는 원적외선의 방사가 용이하여 생리작용의 활성화를 통해 신체 건강을 증진하고, 항균과 탈취 기능 및 습도조절의 기능을 통해 쾌적함을 도모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고안의 황토 부재는 건축물의 내장재뿐만 아니라 황토침대, 황토의자, 황토벽지,베개 등 다양한 용도로 사용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고안에 따른 황토 부재의 일 실시 예를 보여주는 사시도,
도 2는 본 고안에 따른 황토 부재의 지지판의 일 예를 보여주는 사시도,
도 3은 본 고안의 다른 실시 예에 따른 지지판을 보여주는 사시도,
도 4는 본 고안의 또 다른 실시 예에 따른 지지판을 보여주는 사시도,
도 5 및 도 6은 본 고안에 따른 황토 부재를 일 예를 보여주는 단면도,
도 7은 본 고안에 따른 황토 부재를 보여주는 분해 사시도,
도 8 및 도 9는 본 고안에 따른 황토 부재의 또 다른 예를 보여주는 단면도,
도 10 및 도 11은 본 고안에 따른 황토 부재의 제조방법을 보여주는 흐름도와 구성도,
도 12는 본 고안에 따른 황토 부재의 설치방법을 보여주는 사시도
도 13 내지 도 15는 종래 기술에 따른 황토 부재를 보여주는 도면이다.
이하, 첨부도면을 참조하여 본 고안에 따른 황토 부재에 대해서 상세히 설명한다.
먼저, 도 1은 본 고안에 따른 황토 부재(1)의 일 실시 예를 보여주는 것으로서, 상기 황토 부재(1)는 일정한 두께를 갖는 지지판(3)을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상기 지지판(3)은 건축물의 벽면이나 바닥면 또는 천장에 부착되고, 침대나 의자의 바닥에 설치하는 것으로, 다수 개의 관통부(5)가 상하좌우 일정 간격으로 이격되게 형성되어 있다.
그리고 각각의 관통부(5)에는 황토분말(9)이 채워진다. 상기 황토분말(9)은 물과 반죽하지 않은 상태의 황토 분말 또는 가루를 말하는 것으로, 토양에서 채취한 황토를 건조?분쇄한 것이다. 또한, 상기 황토분말(9)은 순순한 황토 가루에 소금, 잘게 썬 볏짚, 잘게 썬 은행잎, 한약재 등을 포함하는 황토 혼합물을 의미할수도 있다. 즉, 황토 본래의 효능을 훼손하지 않는 범위에서 인체의 건강을 증진하거나 실내환경을 개선할 목적으로 다양한 천연소재를 잘게 잘라서 첨가할 수 있다.
상기 지지판(3)의 양 측면에는 제1 지지 시트(11)와 제2 지지 시트(13)가 접착된다. 상기 제1 지지 시트(11)와 제2 지지 시트(13)는 동일한 소재로 이루어지거나 또는 서로 다른 소재로 이루어질 수 있다. 상기 제1 지지 시트(11)와 제2 지지 시트(13)는 지지판(3)의 측면에 접착되어 상기 관통부(5)에 채워진 황토분말(9)의 양 측면을 각각 지지하여 황토분말(9)이 외부로 누출되지 않도록 한다.
이와 같이, 본 고안의 황토 부재(1)는 황토분말을 건축물의 내장재로 사용하여 시멘트 등으로부터 방출되는 유해오염물질을 흡수 제거하는 동시에 습도조절, 악취제거 및 원적외선 방사 등의 작용을 통해서 인간의 생활에 적합한 실내환경을 조성한다. 또한, 상기 황토 부재(1)는 황토분말을 침대, 의자, 베개 등에 사용하여 악취를 제거하고, 습도를 조절하며 원적외선을 방사 하여 사용자의 건강을 증진하는 것이다.
바람직하게, 상기 지지판(3)은 소정 두께의 나무판, 골판지, 펄프, 종이 등 친환경적인 소재로 이루어진다. 그러나 필요에 따라서는 부분적으로 플라스틱, 실리콘, 금속 등과 같은 인공소재도 사용될 수 있음은 당연하다.
또한, 상기 지지판(3)의 크기 및 형태는 그 용도에 따라 다양하다. 즉, 황토 부재(1)는 벽면에 부착하거나, 바닥에 깔거나, 천장에 붙이거나, 침대 매트나 벽지 등의 다양한 용도로 사용될 수 있고, 그 크기 및 형태는 용도에 따라 적합하게 사용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지지판(3)의 형태는 사각형이나 삼각형 또는 퍼즐형 등 다양한 형태일 수 있다. 또한, 지지판(3)의 두께는 대략 2mm~50mm의 범위 내에서 그 용도에 따라 선택될 수 있다. 그러나 상기 지지판(3)의 두께가 상기한 범위로 반드시 한정되는 것을 아니다. 예를 들어, 패널, 마루판, 보드 등으로 사용되는 지지판(3)은 두꺼운 소재로 이루어지고, 벽지로 사용할 경우에는 종이나 실리콘 등과 같이 유연하고 얇은 소재로 이루어질 수 있다.
또한, 상기 지지판(3)은 한 장의 판으로 이루어지거나 여러 장의 판을 적층하여 이루어질 수 있다. 예를 들어, 종이나 골판지 등과 같이 유연하고 얇은 소재는 여러 장으로 적층하여 원하는 두께와 강도의 지지판(3)을 얻을 수 있다. 또한, 종이나 골판지 등으로 이루어진 지지판에 나무로 이루어진 지지판을 적층하여 내구성이 강화된 지지판(3)을 얻을 수 있다. 또한 하나의 지지판(3)은 여러 개의 조각들을 서로 연결되어 이루어질 수 있다.
상기 지지판(3)의 관통부(5)는, 상기 지지판(3)의 한쪽 면에서 다른 쪽 면을 관통하여 형성된다. 상기 관통부(5)는 일정한 양의 황토분말(9)을 충전하기 위한 공간을 형성하기 위한 것으로, 그 형태는 원형, 사각형, 다각형 등 특별한 제한 없이 다양한 형태일 수 있다. 또한, 상기 관통부(5)의 크기는 다양하다. 예를 들어, 관통부(5)의 크기는 지지판(3)의 두께에 비례하여 결정될 수 있다. 즉, 지지판(3)의 두께가 두꺼우면 관통부(5)의 지름을 크게 할 수 있고, 지지판(3)의 두께가 얇아지면 관통부(5)의 지름도 작아질 것이다. 예를 들어, 관통부(5)의 지름은 10mm 내지 300mm로 이루어질 수 있다. 그러나 본 고안의 관통부(5)의 지름이 반드시 이러한 크기로 한정되는 것을 의미하는 것은 아니다.
한편, 상기 지지판(3)은 관통부(5)가 형성된 부분과 관통부(5)가 형성되지 않은 부분으로 이루어진다. 관통부(5)는 황토분말(9)을 저장하기 위한 공간이고 관통부(5)가 형성되지 않은 부분은 제1 및 제2 지지 시트(11,13)를 접착하기 위한 부분이다. 즉, 관통부(5)가 형성되지 않은 부분은 황토분말(9)과 지지 시트(11,13)를 지지하는 프레임(2)이 되는 것이다.
상기 프레임(2)은 관통부(5)에 저장된 황토분말(9)의 상하좌우 둘레를 감싸서 지지하는 역할을 한다. 따라서 관통부(5)는 상기 프레임(2)에 의해서 상하좌우 둘레가 폐쇄되는 구조를 갖게 된다. 또한, 이웃하는 관통부(5) 사이에는 소정 폭의 프레임(2)이 반드시 구비된다. 즉, 프레임(2)은 제1 및 제2 지지 시트(11)(13)가 접착되는 접착 면을 제공하여 제1 및 제2 지지 시트(11)(13)가 관통부(5)에 충전된 황토분말(9)의 양 측면을 지지할 수 있도록 해준다.
따라서 상기 지지판(3)에는 충분한 면적의 프레임(2)이 확보되어야 황토분말(9)이 외부로 누출되거나 황토분말(9)의 하중에 의해서 상기 제1 및 제2 지지 시트(11)(13)가 지지판(3)에서 분리되는 것을 막아줄 수 있다. 그리고 지지판(3)의 가장자리는 모두 프레임(2)으로 이루어져 별도의 틀을 제작할 필요가 없게 된다. 즉, 종래에는 사각 틀이나 사각 상자를 별도로 제작하였으나 본 고안은 사각 틀이나 사각 상자를 제작하지 않으므로 제조공정을 크게 단순화할 수 있다.
이어, 상기 제1 및 제2 지지 시트(11)(13)는 지지판(3)의 프레임(2)에 접착되어서 관통부(5)에 충전된 황토분말(9)의 양 측면을 지지한다. 상기 제1 지지 시트(11)와 제2 지지 시트(13)는 지지판(3)의 크기와 같은 크기를 갖는 것이 일반적이지만 경우에 따라서는 하나의 지지판(3)에 여러 장의 지지 시트를 부착할 수도 있다.
*상기 제1 지지 시트(11) 및 제2 지지 시트(13)는 황토분말(9)의 하중을 버텨낼 수 있는 소재로 이루어져야 한다. 이를 위해서, 제1 지지 시트(11)와 제2 지지 시트(13)는 한지와 같은 질긴 종이나 광목 등과 같은 천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또한, 한지는 인장력을 보강할 수 있도록 실이 포함된 실 창호지가 바람직하다. 그리고 광목은 황토분말(9)이 쉽게 누출되지 않도록 조밀하게 직조한 것을 사용한다.
또한, 상기 제1 지지 시트(11)와 제2 지지 시트(13)는 황토분말(9)의 하중을 버텨낼 수 있는 정도의 두께로 이루어져야 한다. 이를 위해서, 상기 제1 지지 시트(11)와 제2 지지 시트(13)는 한 장 이상의 한지나 광목을 적층하여 이루어질 수 있다. 또한, 상기 제1 지지 시트(11)와 제2 지지 시트(13)는 충분한 접착력을 유지하여야 한다. 이를 위해서, 상기 지지판(2)은 충분한 면적의 프레임(2)이 구비되어야 한다. 또한, 상기 프레임(2)에는 적절한 접착력을 갖는 접착물질이 도포될 수 있다.
한편, 제1 지지 시트(11)와 제2 지지 시트(13)는 통풍 가능한 소재로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즉, 상기 제1 지지 시트(11)와 제2 지지 시트(13)는 황토분말(9)이 외부로 누설되는 것은 차단하는 반면에 수분이나 공기는 통과할 수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특히, 본 고안에 따른 황토 부재(1)는 관통부(5)를 통해서 지지판(3)의 안쪽과 바깥쪽이 서로 관통되므로 상기 관통부(5)에 충전된 황토분말(9)과 통기성의 제1 지지 시트(11)와 제2 지지 시트(13)를 통해서 수분과 공기가 원활하게 유동하는 순환구조를 형성할 수 있다. 특히, 골판지로 이루어진 지지판(3)의 경우에는, 관통부(5)를 통해 지지판(3)의 안쪽과 바깥쪽이 서로 관통될 뿐만 아니라 골판지에 형성된 골을 통해서 이웃하는 관통부(5)를 사이를 서로 연결시켜 수분과 공기가 순환할 수 있게 해준다.
그리고 프레임(2)은 제1 지지 시트(11)와 제2 지지 시트(13)가 접착되는 접착면적을 제공한다. 따라서 상기 지지판(3)은 관통부(5)와 프레임(2)의 적정 면적 비를 유지하여야 한다. 즉, 지지판(3)의 관통부(5)에 저장되는 황토분말(9)의 양에 비해서 프레임(2) 면적이 너무 좁으면 제1 지지 시트(11) 및 제2 지지 시트(13)가 지지판(3)에서 분리되어 황토분말(9)이 누출되거나 제1 지지 시트(11) 및 제2 지지 시트(13)가 외 측으로 부풀어오르게 된다.
예를 들어, 상기 관통부(5)과 프레임(11)의 면적 비는 황토 부재(1)의 용도에 따라서 달라질 수 있다. 즉, 패널, 마루판, 보드 등과 같이 많은 양의 황토분말(9)을 충전하는 경우에는 프레임(2)의 면적이 늘어나고, 벽지와 같이 적은 양의 황토분말(9)이 충전되는 경우에는 상대적으로 프레임(2)의 면적이 줄어들 수 있다. 바람직하게 상기 관통부(5)와 프레임(2)의 면적 비는 0.1~10의 범위 더욱 바람직하게는 0.5~2의 범위이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고안은 판 상의 지지판(3)에 형성된 관통부(5)에 분말상태의 황토를 충전하는 것인데 그 이유는 첫째, 황토분말의 입자가 작을수록 입자 사이의 결합력이 강하게 되어 관통부(5)에 채웠을 때 아래로 흘러내리는 힘 또는 외부로 누출되려는 힘이 상대적으로 적어지기 때문이다. 예를 들어, 분쇄하지 않은 황토나 구슬모양으로 가공된 황토구슬은 입자 간의 결합력이 적으므로 중력에 의해서 쉽게 아래로 유동하기 때문에 외부로 누출되려는 하중이 커지게 된다. 따라서 분쇄하지 않은 황토나 황토구슬은 많은 양의 황토를 관통부(5)에 충전할 수 없다. 반면에 200메쉬 이상으로 미분쇄된 황토분말은 관통부(5)의 표면과 입자 사이의 결합력에 의해서 유동하려는 힘이 감소하게 되므로 보다 적은 힘으로 황토분말을 지지할 수 있다. 둘째, 분말상태의 황토는 비 표면적이 확대되어 오염물질을 흡수하거나 저장하는 능력이 증가하고 원적외선 방출량이 늘어난다. 따라서 황토분말(9)의 입자가 작을수록 더 우수한 수분조절 및 악취제거 능력을 발휘하고 원적외선 방출 효율이 증가한다.
이와 같이, 본 고안의 황토 부재(1)는 소정 두께의 지지판(3)에 다수 개의 관통부(5)를 형성하고, 이 관통부(5)에 분말 상태의 황토를 충전하는 것이어서, 황토 반죽을 사각 판 형태로 성형한 후 굳히거나 사각 틀이나 절연판에 홈을 형성하고 그 내부에 황토 반죽을 채운 후 말리거나 구워서 종래의 황토패널과 근본적으로 다른 것이다. 또한, 본 고안은 판 상의 지지판(3)에 황토분말을 충전하는 것이므로 상자 형태의 패널 내부에 황토분말을 채우는 종래의 기술과도 근본적으로 다른 것이다. 즉, 본 고안은 황토분말(9)을 분말 상태를 그대로 충전하는 것이므로 생산성과 내구성이 우수하다. 또한, 분말 상태의 황토는 고체 상태의 황토패널보다 표면적이 넓고 수분 및 공기의 유통이 가능하기 때문에 황토 고유의 효과를 더 잘 발휘할 수 있다.
이하에서는 본 고안에 따른 황토 부재(1)의 다른 실시 예에 대해서 설명한다.
먼저, 도 3은 본 고안의 다른 실시 예에 따라 골판지를 이용한 지지판(3)을 보여준다. 도시된 바와 같이, 2장의 골판지(3a)(3b)를 적층하여 이루어진 지지판(3)에 다수 개의 관통부(5)를 형성한 것이다.
이와 같이 골판지로 이루어진 지지판(3)에 관통부(5)를 형성하며, 상기 관통부(5)를 통해서 지지판(3)의 전면과 후면이 연통되는 동시에 이웃하는 관통부(5) 사이는 골판지에 형성된 골(G)들을 통해서 서로 연결되어 공기의 흐름이 원활하게 유통하며 이에 따른 공기 순환 구조를 형성할 수 있게 된다. 이때, 상기 골판지의 골(G)에는 황토분말을 채워넣어 골판지의 내구성을 강화시킬 수 있다.
그리고, 도 4는 벽지로 사용하기 위해서 종이로 이루어진 지지판(3)의 다른 실시예를 보여주는 것으로, 도시된 바와 같이, 하나의 하드 보드지나 여러 장의 종이를 적층하여 이루어지되, 지지판(3)이 구부러진 상태에서도 황토분말(9)이 원래 형태를 유지할 수 있도록 상대적으로 작은 크기의 관통부(5)를 형성하여 이루어진다.
그리고, 도 5는 목재로 이루어진 지지판(3)을 이용하여 만들어진 것으로, 특히 황토 침대용 매트로 사용할 수 있는 황토 부재(1)를 보여주는 단면도이다. 이러한 황토 부재(1)는 소정 두께의 지지판(3)에 다수 개의 관통부(5)를 형성한 상태에서 상기 지지판(3)의 하면에 광목으로 이루어진 제1 지지 시트(11)를 접착한 후 상기 관통부(5)에 황토분말(9)을 채우고, 황토분말(9)이 채워진 지지판(3)의 상면에 다시 광목으로 이루어진 제2 지지 시트(13)를 접착하여 황토분말(9)이 누출되지 않도록 한 것이다. 이때, 상기 제2 지지 시트(13)의 외 측으로는 다시 장식 시트(15)를 더 설치하여 장식효과는 내는 동시에 내구성을 보강한다. 그리고 상기 지지판(3)의 하면에는 지지대(16)를 더 설치하여 상기 관통부(5)를 통해 공기가 원활하게 순환하도록 할 수 있다.
그리고, 도 6은 목재로 이루어진 지지판(3)을 이용하여 만들어진 황토 부재(1)의 다른 실시 예로서, 특히 천장용 보드나 벽면에 부착하는 패널을 보여주는 단면도이다. 도시된 바와 같이, 소정 두께의 지지판(3)에 다수 개의 관통부(5)를 형성하고, 상기 지지판(3)의 일 면에 한지 등으로 이루어진 제1 지지 시트(11)를 접착하고, 제1 지지 시트(11)가 접착된 지지판(3)을 뒤집어서 상기 관통부(5)에 황토분말(9)을 채운 다음 황토분말(9)이 채워진 지지판(3)의 다른 면에 다시 다수 개의 관통홀(8)이 형성된 타공판(7)을 접착하여, 상기 관통부(5)에 채워진 황토분말(9)의 하중을 지지하도록 한다. 그런 다음 상기 타공판(7)의 상면에 한지나 장식지 또는 장식천 등으로 이루어진 제2 지지 시트(13)를 접착하여 황토분말(9)이 누출되지 않도록 한 것이다. 이때, 상기 제2 지지 시트(13)는 지지판(3)과 타공판(7) 사이에 설치될 수도 있다.
그리고, 도 7은 본 고안에 따른 황토 부재(1)의 다른 실시 예로서, 2 장의 지지판(3a)(3b) 사이에 보강 망(19)을 더 설치한 것이다. 상기 보강 망(19)은 일반 섬유로 이루어지거나 금속이나 탄소 섬유로 이루어진 격자 망이다. 이러한 보강 망(19)은 관통부(5)에 충전된 황토분말(9)의 하중을 지지하거나 외부에서 가해지는 하중으로부터 황토분말(9)을 보호하는 것이다. 또한, 상기 보강 망(19)은 지지판(3)의 일 측면이나 타 측면 중 어느 하나 또는 양측에 각각 설치하는 것도 가능하다.
그리고, 도 8은 목재로 이루어진 지지판(3)을 이용하여 만들어진 황토 부재(1)의 다른 실시 예로서 특히, 바닥에 설치하는 바닥 판이나 침대에 설치하는 황토매트를 보여주는 단면도이다. 도시된 바와 같이, 소정 두께의 지지판(3)에 다수 개의 관통부(5)를 형성하고, 상기 지지판(3)의 일 면에 한지 등으로 이루어진 제1 지지 시트(11)를 접착하고, 제1 지지 시트(11)가 접착된 지지판(3)의 관통부(5)에 황토분말(9)을 채운 다음 황토분말(9)이 채워진 지지판(3)의 다른 면에 제2 지지 시트(13)를 부착하여 황토분말(9)이 누출되지 않도록 한다. 그리고 상기 제2 지지 시트(13)가 부착된 지지판(3)의 일면에 상기 관통부(5)와 동일한 크기로 개구부(35)가 형성된 제2 지지판(33)을 설치하고, 상기 제2 지지판(33)의 개구부(35)에 받침판(36)과 스프링(38)으로 이루어진 완충수단을 설치한다. 따라서 상기 완충수단(39)은 상기 관통부(5)에 충전된 황토분말(9)에 가해지는 외력을 완충시키는 역할을 한다.
그리고, 도 9는 골판지와 목재로 이루어진 지지판(3)을 이용하여 만들어진 황토 부재(1)의 또 다른 실시 예로서 특히, 의자나 침대에 설치하거나 베개로 사용하는 방석이나 매트를 보여주는 단면도이다. 도시된 바와 같이, 다수 개의 관통부(5)가 형성된 여러 장의 골판지와 다수 개의 관통부(5)가 형성된 나무판을 적층하여, 소정 두께의 지지판(3)을 형성한다. 그리고 상기 지지판(3)의 일 면에 한지 등으로 이루어진 제1 지지 시트(11)를 접착하고, 제1 지지 시트(11)가 접착된 지지판(3)의 관통부(5)에 황토분말(9)을 채운다. 이때, 상기 황토분말(9)의 일부를 골판지에 형성된 골(G)에 채워넣는다. 그런 다음 황토분말(9)이 채워진 지지판(3)의 다른 면에 제2 지지 시트(13)를 부착하여 황토분말(9)이 누출되지 않도록 한다. 그리고 그 외부 장식 시트(15)를 더 설치하여 보강한다.
이와 같이, 본 고안에 따른 황토 부재(1)는 지지판(3)에 관통부(5)를 형성하고 그 안에 황토분말(9)을 채움으로써 공기의 순환이 원활하게 한다. 특히, 골판지로 된 지지판(3)은 관통부(5)를 통해 상하 또는 전후의 환기가 가능할 뿐만 아니라 골판지에 형성된 골(G)을 통해서 공기가 좌우로도 순환하므로 전체적인 공기의 순환이 가능하다. 또한, 골판지로 된 지지판(3)은 골판지의 쿠션력을 활용하여 매트나 방석 또는 베개로 사용할 수 있다. 이때, 골판지의 골(G)에 황토분말을 일부 채움으로써 골판지의 내구성을 강화할 수 있으며, 필요에 따라서는 골판지의 양 측면에 나무 등으로 이루어진 지지판을 더 설치함으로써 강도나 내구성을 강화할 수 있다.
이어서, 도 10 및 도 11에서 보는 바와 같이, 본 고안에 따른 황토 부재(1)의 제조방법은, 일정한 크기의 지지판(3)을 준비하는 단계(S100)와, 상기 지지판(3)에 다수 개의 관통부(5)를 형성하는 단계(S110)와, 상기 관통부(5)가 형성된 지지판(3)의 일 측에 제1 지지 시트(11)를 접착하는 단계(S120)와, 제1 지지 시트(11)가 아래로 향하도록 지지판(3)을 뒤집은 상태에서 상기 관통부(5)에 황토분말(9)을 채우는 단계(S130), 황토분말(9)이 채워진 지지판(3)의 상면에 제2 지지 시트(13)를 접착하는 단계(S140)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특히, 유연한 소재로 이루어진 지지판(3)으로 이루어진 황토 부재(1)는 일련의 제조공정을 통해서 대량생산이 가능하다. 도 11에서 보는 바와 같이, 지지판(3), 제1 지지 시트(11) 및 제2 지지 시트(13)는 롤(201,204,207) 상태로 준비된다. 그리고 상기 롤(201)에서 공급되는 지지판(3)에 천공기(203)를 이용하여 관통부(5)를 형성한다. 그리고 도시되지 않는 컨베이어를 따라 이동하는 지지판(3)의 하면에 롤(204)에서 공급되는 제1 지지 시트(11)를 접착한 후 상기 관통부(5)에 공급호퍼(205)에서 공급되는 황토분말(9)을 충전한다. 이어 황토분말(9)이 충전된 지지판(3)의 상면에 롤(207)에서 공급되는 제2 지지 시트(13)를 부착한 후 절단기(208)를 이용하여 원하는 크기로 절단함으로써 본 고안에 따른 황토 부재(1)를 제조할 수 있다.
한편, 도 12는 본 고안에 따른 황토 부재(1)를 설치하는 방법의 일 예를 보여주는 것으로서, 도시된 바와 같이, 지지판(3)의 가장자리 테두리를 따라 형성된 걸림홈(102)과 걸림턱(104)을 이용하여 결합한다. 또한 도시하지 않았으나 두 개의 황토 부재(1) 사이에 졸대를 사용하여 설치할 수도 있다. 아울러, 상기 황토 부재(1)와 벽면 사이에는 일정한 공간을 형성하기 위한 스페이서를 더 설치할 수 있다. 따라서 본 고안에 따른 황토 부재(1)는 상기 스페이서 및 상기 관통부(5)를 통해서 내외의 공기가 유동하는 순환구조가 형성된다.
1: 황토 부재 3: 지지판
5: 관통부 7: 타공판
8: 관통홀 9: 황토분말
11: 제1 지지 시트 13: 제2 지지 시트
15: 장식 시트 16: 지지대
19: 보강 망 33: 제2 지지판
35: 개구부 36: 받침판
38: 스프링

Claims (10)

  1. 소정 두께의 지지판과;
    상기 지지판에 일정 간격 상하 좌우로 떨어져서 형성된 다수 개의 관통부와;
    상기 지지판과 같은 두께로 상기 관통부에 채워진 황토분말과;
    상기 관통부에 채워진 황토분말이 외부로 누출되지 않게 지지하도록 상기 지지판의 일 측면에 접착된 제1 지지 시트와;
    상기 관통부에 채워진 황토분말이 외부로 누출되지 않게 지지하도록 상기 지지판의 타 측면에 접착된 제2 지지 시트;를 포함하여 구성하되,
    상기 지지판은 하나의 나무판이나 여러 장의 나무판, 골판지, 종이, 펄프를 적층하여 이루어지고 상기 관통부는 상기 지지판에 직접 구멍을 형성하여 이루어지며 상기 황토분말은 물과 반죽하지 않은 가루 상태의 황토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황토 부재.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황토분말은 소금, 잘게 썬 볏짚, 잘게 썬 은행잎, 잘게 썬 한약재가 더 포함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황토 부재.
  3. 제 1항 또는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관통부의 둘레에는 상기 관통부를 감쌀 수 있도록 상기 지지판이 관통되지 않은 프레임이 형성되고 상기 지지판의 테두리에는 모두 프레임으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황토 부재.
  4. 제 3항에 있어서,
    상기 지지판에 형성된 관통부의 전체 넓이는 상기 지지판에 형성된 프레임의 전체 넓이와 같거나 작은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황토 부재.
  5. 제 4항에 있어서,
    상기 지지판의 일 측면에는 상기 관통부보다 작은 지름을 갖는 다수 개의 관통홀이 형성된 타공판이 더 접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황토 부재.
  6. 제 4항에 있어서,
    상기 지지판의 일 측면에는 일반 섬유나 금속 또는 탄소 섬유로 이루어진 보강 망이 더 접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황토 부재.
  7. 제 4항에 있어서,
    상기 두 장의 지지판 사이에는 일반 섬유나 금속 또는 탄소 섬유로 이루어진 보강 망이 더 접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황토 부재.
  8.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제2 지지 시트가 부착된 지지판의 일면에는 상기 관통부와 동일한 크기로 개구부가 형성된 제2 지지판이 설치되고, 상기 제2 지지판의 개구부에는 상기 개구부와 같거나 작은 지름을 갖는 받침판과, 상기 받침판을 지지하는 스프링으로 이루어진 완충수단이 더 설치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황토 부재.
  9. 제 5항에 있어서,
    상기 제2 지지 시트가 부착된 지지판의 일면에는 상기 지지판을 바닥이나 벽면으로부터 일정 거리 이격시키기 위한 다수 개의 스페이서를 설치하여 공기순환구조가 형성되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황토 부재.
  10. 제 4항에 있어서,
    상기 골판지에 형성된 골에는 황토분말이 부분적으로 채워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황토 부재.
KR2020120004901U 2012-06-11 2012-06-11 황토 부재 KR200466442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20004901U KR200466442Y1 (ko) 2012-06-11 2012-06-11 황토 부재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20004901U KR200466442Y1 (ko) 2012-06-11 2012-06-11 황토 부재

Related Parent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20053898 Division 2012-05-21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30000419U true KR20130000419U (ko) 2013-01-16
KR200466442Y1 KR200466442Y1 (ko) 2013-04-18

Family

ID=5138632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120004901U KR200466442Y1 (ko) 2012-06-11 2012-06-11 황토 부재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466442Y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60098119A (ko) 2016-07-30 2016-08-18 한상관 건축물의 내부에서 발생되는 유해성분들을 중화시켜주거나 정화 시켜주도록 구성하는 자연친화적인 친환경 공법과 여기에 적용되는 전해질성분발산용 건축물 벽체 시공용 구조물
KR20160098122A (ko) 2016-07-31 2016-08-18 한상관 주거공간의 내부에서 발생되는 유해성분들을 중화시켜주거나 정화 시켜주도록 구성하는 자연친화적인 친환경 공법과 여기에 적용되는 전해질성분발산용 건축물 벽체 시공용 구조물

Family Cites Familie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90012975A (ko) * 2007-07-31 2009-02-04 유영수 황토 벽체
KR20090004954U (ko) * 2007-11-20 2009-05-25 인건수 황토패널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66442Y1 (ko) 2013-04-1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0466442Y1 (ko) 황토 부재
KR100701566B1 (ko) 마감패널
KR100779997B1 (ko) 원적외선 방사 침대
KR101187169B1 (ko) 황토 부재 및 그 제조방법
KR100844845B1 (ko) 친환경 건축 내장재 및 그 제조 방법
JP5037029B2 (ja) 板状建材
KR20110023225A (ko) 건축용 친환경 황토보드 제조 방법
KR20090072338A (ko) 바닥부나 벽면에 부착되는 황토판재 및 그 시공방법
KR200381632Y1 (ko) 황토판넬
KR101205008B1 (ko) 친환경 주택 시공을 위한 황토벽체패널
JP2006034797A (ja) 足拭きマット
KR100656828B1 (ko) 장석과 백 시멘트와 펄프를 이용한 황토 판재의 제조방법
KR100851024B1 (ko) 사람에게 이로운 친환경 건축용 내장 시설물 시공방법
KR200482798Y1 (ko) 애완동물용 집
KR20060070742A (ko) 황토 숯 보드의 제조 방법
KR100814899B1 (ko) 친환경 실내외 건축 보드
KR101835700B1 (ko) 암염 블록이 마련된 매트
KR100972090B1 (ko) 숯을 이용한 실내 마감재 및 그 제조방법
KR20140019133A (ko) 친환경 황토패널
KR100816644B1 (ko) 대마황토를 이용한 찜질방
KR20120043190A (ko) 황토벽돌 및 그 제조방법
JP2003306994A (ja) 建築用パネル
KR20100074047A (ko) 공기순환성 황토흙벽돌 또는 황토판넬 및 그를 이용한 조적구조
KR20070114526A (ko) 건축물용 벽 구조물
KR101001006B1 (ko) 황토 조성물을 이용한 건축용 마감재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X70R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AMND Amendment
GRNO Decision to grant (after opposition)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407

Year of fee payment: 4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