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223367B1 - 왕겨숯을 이용한 벽체 구조물 및 이의 제조방법 - Google Patents

왕겨숯을 이용한 벽체 구조물 및 이의 제조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223367B1
KR102223367B1 KR1020190097922A KR20190097922A KR102223367B1 KR 102223367 B1 KR102223367 B1 KR 102223367B1 KR 1020190097922 A KR1020190097922 A KR 1020190097922A KR 20190097922 A KR20190097922 A KR 20190097922A KR 102223367 B1 KR102223367 B1 KR 10222336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rame
rice husk
husk charcoal
board
board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9009792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210019145A (ko
Inventor
한성섭
Original Assignee
한성섭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한성섭 filed Critical 한성섭
Priority to KR102019009792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223367B1/ko
Publication of KR2021001914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10019145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22336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223367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CSTRUCTURAL ELEMENTS; BUILDING MATERIALS
    • E04C2/00Building elements of relatively thin form for the construction of parts of buildings, e.g. sheet materials, slabs, or panels
    • E04C2/02Building elements of relatively thin form for the construction of parts of buildings, e.g. sheet materials, slabs, or panels characterised by specified materials
    • E04C2/10Building elements of relatively thin form for the construction of parts of buildings, e.g. sheet materials, slabs, or panels characterised by specified materials of wood, fibres, chips, vegetable stems, or the like; of plastics; of foamed products
    • E04C2/16Building elements of relatively thin form for the construction of parts of buildings, e.g. sheet materials, slabs, or panels characterised by specified materials of wood, fibres, chips, vegetable stems, or the like; of plastics; of foamed products of fibres, chips, vegetable stems, or the like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CSTRUCTURAL ELEMENTS; BUILDING MATERIALS
    • E04C2/00Building elements of relatively thin form for the construction of parts of buildings, e.g. sheet materials, slabs, or panels
    • E04C2/30Building elements of relatively thin form for the construction of parts of buildings, e.g. sheet materials, slabs, or panels characterised by the shape or structure
    • E04C2/38Building elements of relatively thin form for the construction of parts of buildings, e.g. sheet materials, slabs, or panels characterised by the shape or structure with attached ribs, flanges, or the like, e.g. framed panels

Abstract

본 발명은 양측으로 개방되는 프레임; 상기 프레임의 개방된 양측에 통기가 가능하도록 각각 고정되는 제 1 및 제 2 지지재; 상기 프레임의 내측에서 상기 제 1 및 제 2 지지재 각각에 밀착되어 상기 프레임의 개방된 양측을 각각 차단하고, 볏짚 보드, 종나무 섬유질 보드 및 야자수 섬유질 보드 중 어느 하나로 이루어지는 제 1 및 제 2 보드; 및 상기 제 1 및 제 2 보드 사이의 공간에 채워지는 왕겨숯;을 포함하는, 왕겨숯을 이용한 벽체 구조물 및 이의 제조방법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르면, 제작 내지 시공이 용이할 뿐만 아니라, 제조 비용을 절감할 수 있고, 왕겨숯이 볏짚 보드나 종나무 섬유질 보드 또는 야자수 섬유질 보드와 함께 단열을 부담으로써, 단열 효과가 우수하도록 할 수 있으며, 입상물인 왕겨숯이 볏짚 보드나 종나무 섬유질 보드 또는 야자수 섬유질 보드에 의해 충진 상태를 유지함으로써, 왕겨숯의 효능을 증대시키는 효과를 가진다.

Description

왕겨숯을 이용한 벽체 구조물 및 이의 제조방법{Insulating wall structure using chaff charcoal and method for manufacturing the same}
본 발명은 왕겨숯을 이용한 벽체 구조물 및 이의 제조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제작 내지 시공이 용이할 뿐만 아니라, 제조 비용을 절감하고, 왕겨숯이 볏짚 보드나 종나무 섬유질 보드 또는 야자수 섬유질 보드와 함께 단열을 부담으로써, 단열 효과가 우수하며, 왕겨숯의 효능을 증대시키도록 하는 왕겨숯을 이용한 벽체 구조물 및 이의 제조방법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왕겨숯은 우리나라 농산물의 대표적인 쌀의 도정공정에서 벼 무게의 약 20~25% 정도의 부산물로 생산됨으로써, 활용도가 없어 폐기되었던 왕겨를 불완전 연소시킴으로써 생산되고 있다.
이러한, 왕겨숯은 탄화하는 과정에서 미세한 벌집같은 무수한 구멍이 형성되어 내부 기공이 많아, 분쇄하면 기공이 작아 사용할 수 없는 나무 숯과 달리 분쇄하여도 사용이 가능하고, 나무 숯에 비해 흡착성과 통기성 및 보비력이 뛰어나서, 토양에 있는 유효 미생물 등의 최적 서식 환경을 제공함으로써, 토양에 활력을 주어 뿌리 발육 및 식물 성장을 촉진시킨다.
또한 왕겨숯은 왕겨 체적의 30%까지 산소를 함유해서 땅속 미생물들이 왕성하고, 식물의 탄소 동화작용시 뿌리에 원활히 공급하여, 생육시 뿌리가 건실하여, 병충해에 강하게 하고, 식물의 생육을 조력한다. 이러한 왕겨숯에는 유해 성분이 없는 각종 미네랄 (230여종)이 들어 있고, 인체에 필요한 각종 미량 원소 보급의 역할을 수행한다.
이와 같은 효능을 가지는 왕겨숯을 벽체 재료로서, 활용하기 위한 기술이 개발되고 있는데, 이와 관련되는 종래 기술로서, 한국공개특허 제10-2011-0073845호의 "황토 벽체 시공방법"이 제시된 바 있는데, 이는 구조물의 벽면 설계 치수에 따라 8-12cm두께의 각목을 재단하여 격자형태의 기본틀을 형성하는 기본틀 형성단계와; 상기 기본틀 형성단계에 의해 형성된 기본틀의 전면에 통기 가능한 원단으로 된 피막을 부착하고, 피막이 부착된 기본틀 전면에 2-5cm두께의 각목으로 된 간격유지구를 횡으로 간격을 두고 연속하여 고정하며, 간격유지구와 간격유지구 사이에 5-10mm 두께의 대나무편으로 된 세로버팀살을 횡으로 간격을 두고 연속하여 고정하고, 좌우 양단의 간격유지구 사이에 5-10mm 두께의 대나무편으로 된 가로버팀살을 종으로 간격을 두고 연속하여 고정하는 전면 흙채움부 형성단계와; 상기 전면 흙채움부 형성단계가 완료된 기본틀을 뒤집어 후방이 피막으로 막힌 기본틀 내측에 왕겨 또는 왕겨숯으로 된 충전물을 채워 넣는 기본틀 충전단계와; 상기 기본틀 충전단계가 완료된 뒤집힌 상태의 기본틀 전면에 통기 가능한 원단으로 된 피막을 부착하고, 피막이 부착된 기본틀 전면에 2-5cm두께의 각목으로 된 간격유지구를 횡으로 간격을 두고 연속하여 고정하며, 간격유지구와 간격유지구 사이에 5-10mm 두께의 대나무편으로 된 세로버팀살을 횡으로 간격을 두고 연속하여 고정하고, 좌우 양단의 간격유지구 사이에 5-10mm 두께의 대나무편으로 된 가로버팀살을 종으로 간격을 두고 연속하여 고정하는 후면 흙채움부 형성단계와; 상기 후면 흙채움부 형성단계가 완료된 기본틀을 벽면 시공 부위에 세운 후 기본틀 가장자리와 구조물의 천장, 바닥,기둥 사이에 우레탄폼을 충전하여 기본틀을 고정하는 기본틀 고정단계와; 상기 기본틀 고정단계가 완료된 기본틀의 전면 흙채움부와 후면 흙채움부에 황토반죽을 채워 황토반죽이 기본틀의 전면 흙채움부와 후면 흙채움부의 가로버팀살 이상으로 덮이도록 하는 황토 채움단계;로 이루어지는 것이다. 또한, 상기 기본틀 충전단계의 기본틀 내측에 충전되는 왕겨 또는 왕겨숯으로 된 충전물은 건조된 상태의 것이며, 충전물은 기본틀이 세워진 상태에서 기본틀 내측에 공간이 발생하지 않도록 하는 분량으로 충전되는 것이다.
그러나, 이와 같은 종래 기술은 구조의 복잡성으로 인해 제작 내지 시공이 어려울 뿐만 아니라, 제조 비용의 증가를 초래하고, 왕겨숯이 단열을 단독으로 부담함으로써 단열 효과를 증대시키는데 한계를 가지며, 입상물인 왕겨숯의 충진 및 효능 증대를 고려하지 못하는 문제점을 가진다.
상기한 바와 같은 종래 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제작 내지 시공이 용이할 뿐만 아니라, 제조 비용을 절감하고, 왕겨숯이 볏짚 보드나 종나무 섬유질 보드 또는 야자수 섬유질 보드와 함께 단열을 부담으로써, 단열 효과가 우수하며, 입상물인 왕겨숯이 볏짚 보드나 종나무 섬유질 보드 또는 야자수 섬유질 보드에 의해 충진 상태를 유지함으로써, 왕겨숯의 효능을 증대시키는데 목적이 있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들은 이하의 실시례에 대한 설명을 통해 쉽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상기한 바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의 일측면에 따르면, 양측으로 개방되는 프레임; 상기 프레임의 개방된 양측에 통기가 가능하도록 각각 고정되는 제 1 및 제 2 지지재; 상기 프레임의 내측에서 상기 제 1 및 제 2 지지재 각각에 밀착되어 상기 프레임의 개방된 양측을 각각 차단하고, 볏짚 보드, 종나무 섬유질 보드 및 야자수 섬유질 보드 중 어느 하나로 이루어지는 제 1 및 제 2 보드; 및 상기 제 1 및 제 2 보드 사이의 공간에 채워지는 왕겨숯;을 포함하는, 왕겨숯을 이용한 벽체 구조물이 제공된다.
상기 제 1 및 제 2 지지재 각각은, 상기 프레임의 개방된 일측에 서로 간격을 두고서 다수로 나란하게 고정되는 바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왕겨숯에 편백나무 우드칩이 포함되되, 상기 왕겨숯과 상기 편백나무 우드칩이 1 : 0.1~2의 부피비를 이루도록 혼합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른 측면에 따르면, 수직벽을 이루기 위해 수직되게 설치됨과 아울러 양측으로 개방되는 프레임의 일측 개방측에 통기가 가능하도록 제 1 지지재를 고정하는 단계; 상기 프레임의 개방된 양측을 차단할 수 있도록 상기 프레임의 내측에 제 1 및 제 2 보드를 설치하는 단계; 상기 제 1 및 제 2 보드 사이의 공간에 왕겨숯을 채우는 단계; 및 상기 프레임의 타측 개방측에 제 2 지지재를 고정함으로써, 상기 제 1 및 제 2 보드가 내측에 왕겨숯을 채운 상태에서 상기 제 1 지지재에 밀착되어 상기 프레임의 내측에 고정되도록 하는 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제 1 및 제 2 보드는, 볏짚 보드, 종나무 섬유질 보드 및 야자수 섬유질 보드 중 어느 하나로 이루어질 수 있다. 상기 제 2 지지재를 고정한 후, 상기 제 1 및 제 2 보드의 외측면에 상기 제 1 및 제 2 지지대가 각각 매립되도록 황토마감층을 형성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측면에 따르면, 양측으로 개방되는 프레임의 일측 개방측에 제 1 지지재를 고정한 상태에서 상기 프레임이 상기 제 1 지지재를 하방에 위치시키도록 수평되게 설치하는 단계; 상기 프레임의 내측에서 상기 제 1 지지대 상에 밀착되도록 제 1 보드를 설치하는 단계; 상기 프레임의 내측에서 상기 제 1 보드 상에 왕겨숯을 채우는 단계; 상기 프레임의 내측에서 상기 왕겨숯 상에 제 2 보드를 설치하는 단계; 및 상기 프레임의 타측 개방측에 제 2 지지재를 고정함으로써, 상기 제 1 및 제 2 보드가 내측에 왕겨숯을 채운 상태에서 상기 제 1 지지재에 밀착되어 상기 프레임의 내측에 고정되도록 하는 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제 1 및 제 2 보드는, 볏짚 보드, 종나무 섬유질 보드 및 야자수 섬유질 보드 중 어느 하나로 이루어지는, 왕겨숯을 이용한 벽체 구조물의 제조방법이 제공된다.
상기 제 2 지지대를 고정한 후, 상기 프레임이 수직벽의 일부를 이루기 위해 수직되게 위치하도록 고정시킨 상태에서, 상기 제 1 및 제 2 보드의 외측면에 상기 제 1 및 제 2 지지대가 각각 매립되도록 황토마감층을 형성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 1 및 제 2 지지재 각각은, 상기 프레임의 개방된 일측에 서로 간격을 두고서 다수로 나란하게 고정되는 바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왕겨숯을 채우는 단계는, 상기 왕겨숯에 편백나무 우드칩이 포함되되, 상기 왕겨숯과 상기 편백나무 우드칩이 1 : 0.1~2의 부피비를 이루도록 혼합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왕겨숯을 이용한 벽체 구조물 및 이의 제조방법에 의하면, 제작 내지 시공이 용이할 뿐만 아니라, 제조 비용을 절감할 수 있고, 왕겨숯이 볏짚 보드나 종나무 섬유질 보드 또는 야자수 섬유질 보드와 함께 단열을 부담으로써, 단열 효과가 우수하도록 할 수 있으며, 입상물인 왕겨숯이 볏짚 보드나 종나무 섬유질 보드 또는 야자수 섬유질 보드에 의해 충진 상태를 유지함으로써, 왕겨숯의 효능을 증대시키는 효과를 가진다.
도 1은 본 발명의 제 1 실시례에 따른 왕겨숯을 이용한 벽체 구조물을 분해하여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제 1 실시례에 따른 왕겨숯을 이용한 벽체 구조물의 제작을 마친 사시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제 1 실시례에 따른 왕겨숯을 이용한 벽체 구조물의 적용례를 도시한 단면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제 2 실시례에 따른 왕겨숯을 이용한 벽체 구조물을 분해하여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제 2 실시례에 따른 왕겨숯을 이용한 벽체 구조물의 제작을 마친 사시도이다.
본 발명은 다양한 변경을 가할 수 있고, 여러 가지 실시례를 가질 수 있는 바, 특정 실시례들을 도면에 예시하고, 상세하게 설명하고자 한다. 그러나, 이는 본 발명을 특정한 실시 형태에 대해 한정하려는 것이 아니고, 본 발명의 기술 사상 및 기술 범위에 포함되는 모든 변경, 균등물 내지 대체물을 포함하는 식으로 이해되어야 하고, 여러 가지 다른 형태로 변형될 수 있으며, 본 발명의 범위가 하기 실시례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실시례를 상세히 설명하며, 도면 부호에 관계없이 동일하거나 대응하는 구성요소에 대해서는 동일한 참조 번호를 부여하고, 이에 대해 중복되는 설명을 생략하기로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제 1 실시례에 따른 왕겨숯을 이용한 벽체 구조물을 분해하여 도시한 사시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제 1 실시례에 따른 왕겨숯을 이용한 벽체 구조물의 제작을 마친 사시도이다.
도 1 및 도 2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제 1 실시례에 따른 왕겨숯을 이용한 벽체 구조물(100)은 프레임(110), 제 1 및 제 2 지지재(120,160), 제 1 및 제 2 보드(130,150) 및 왕겨숯(140)을 포함할 수 있다.
프레임(110)은 양측으로 개방되도록 형성되는데, 예컨대, 본 실시례에서처럼 판재의 연결에 의해 4각형의 테두리 구조를 이루도록 형성될 수 있다. 이러한 프레임(110)은 본 실시례에서처럼, 수직벽의 일부를 구성하도록 미리 지면에 수직되게 설치될 수 있다.
제 1 및 제 2 지지대(120,160)는 프레임(110)의 개방된 양측에 통기가 가능하도록 각각 고정되는데, 이를 위해, 예컨대, 메쉬 구조로 이루어지거나, 다공 구조 부재로 이루어질 수 있고, 본 실시례에서처럼 프레임(110)의 개방된 일측에 서로 간격을 두고서 다수로 나란하게 고정되는 바(bar)를 포함할 수 있다. 제 1 및 제 2 지지대(120,160)는 프레임(110)에 못이나 스크루를 비롯하여 다양한 고정부재를 사용하여 고정될 수 있다.
제 1 및 제 2 보드(130,150)는 프레임(110)의 내측에서 제 1 및 제 2 지지재(120,160) 각각에 밀착되어 프레임(110)의 개방된 양측을 각각 차단하고, 볏짚 보드, 종나무 섬유질 보드 및 야자수 섬유질 보드 중 어느 하나로 이루어질 수 있다.
볏짚 보드는 예컨대 볏짚, 결합제, 경화제 등을 포함하는 원료를 혼합하여 반자동이나 다단식 열 프레스 장치를 사용하여 성형하여 얻어질 수 있으며, 이 밖에도 공지된 방식에 의해 제조되는 제품이 사용될 수 있음은 물론이다. 이러한 볏짚보드는 통기성과 습도 조절이 뛰어나고, 냄새의 흡착성이 뛰어나며, 저렴하다는 장점들을 가진다.
종나무 섬유질 보드는 종나무의 섬유질을 바인더와 함께 고열 고압으로 압축 성형하여 제조한 것으로서, 예컨대 종나무의 섬유질을 분리 및 건조시키고, 이에 접착제의 투입과 함께 고온 및 고압의 프레스에 투입하여 보드를 성형하는 과정을 거침으로써 제작될 수 있는데, 이에 한하지 않고, 다양한 공지된 섬유질 보드의 제조방법이 사용될 수 있음은 물론이다. 이러한 종나무 섬유질 보드는 내수성 및 강도가 우수할 뿐만 아니라, 냄새의 흡착성이 뛰어나면서 습도 조절이 가능하다.
야자수 섬유질 보드는 야자수 열매 껍질의 섬유질을 바인더와 함께 고열 고압으로 압축 성형하여 제조한 것으로서, 예컨대 야자수 열매 껍질의 섬유질을 분리 및 건조시키고, 이에 접착제의 투입과 함께 고온 및 고압의 프레스에 투입하여 보드를 성형하는 과정을 거침으로써 제작될 수 있는데, 이에 한하지 않고, 다양한 공지된 섬유질 보드의 제조방법이 사용될 수 있음은 물론이다. 이러한 야자수 섬유질 보드는 내수성 뿐만 아니라 강도면에서도 우수한 특성을 가지고, 습도 조절력과 단열 효과가 뛰어나며, 탈취에도 효과적이다.
왕겨숯(140)은 제 1 및 제 2 보드(130,150) 사이의 공간에 채워지도록 한다. 왕겨숯(140)은 목탄(경질)에 비하여, 연질(섬유질)이어서 구조가 치밀하여 많은 공극을 가짐으로써, 유해 물질을 선택적으로 흡수하여 유해물질의 차단 효과가 탁월하며, 섬유질 구조로 형성되어 물을 내부에 흡수하는 흡수도가 숯 자체의 약 680%의 수분 함유 능력을 가짐으로써, 습도 조절 능력이 뛰어나고, 수 많은 미세 구멍들이 빈 공간을 채우려고 강한 흡착력을 발휘함으로써, 해로운 바이러스나 독소 등을 선택적으로 흡수하여 뛰어난 흡착기능을 가지며, 원적외선과 음이온을 발산하여 산화를 막아주어 신선한 상태를 유지시키도록 하는 장점을 가진다. 여기서, 왕겨숯(140)의 적층 두께는 제 1 및 제 2 보드(130,150) 두께의 50~300%일 수 있으며, 이로 인해 보통의 수직벽 두께를 고려할 때, 왕겨숯(140)에 의한 단열 효과를 확보하도록 할 수 있는데, 이는 이하의 실시례들에서도 마찬가지로 적용될 수 있다.
왕겨숯(140)에는 편백나무 우드칩이 포함될 수 있는데, 이 경우, 왕겨숯(140)과 편백나무 우드칩이 1 : 0.1~2의 부피비를 이루도록 혼합될 수 있다. 따라서, 왕겨숯(140)에 편백나무 우드칩이 함유되도록 함으로써 공극의 불규칙성과 통기 경로를 확대시키면서, 팬백나무 우드칩의 공극에 대한 왕겨숯(140)의 채움으로 인해 단열성을 극대화시키도록 하고, 편백나무의 이로운 특징을 함께 가지도록 하는데, 왕겨숯(140)의 부피에 대하여, 편백나무 우드칩이 10% 미만의 부피를 가지는 경우, 편백나무 우드칩의 추가에 대한 효과를 기대할 수 없는 문제점을 가지고, 200% 초과의 부피를 가지는 경우, 왕겨숯(140)에 의한 효과를 기대할 수 없는 문제점을 가진다.
도 4 및 도 5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제 2 실시례에 따른 왕겨숯을 이용한 벽체 구조물(200)은 프레임(210), 제 1 및 제 2 지지재(220,260), 제 1 및 제 2 보드(230,250) 및 왕겨숯(240)을 포함하되, 제 1 및 제 2 지지재(220,260)가 프레임(210)의 개방된 일측에 서로 간격을 두고서 다수로 나란하게 고정되는 바(bar)를 포함하고, 제 1 및 제 2 보드(230,250)가 볏짚 보드, 종나무 섬유질 보드 및 야자수 섬유질 보드 중 어느 하나로 이루어지며, 왕겨숯(240)에 편백나무 우드칩을 포함하는 것을 비롯하여, 프레임(210)의 용도를 제외하고는 나머지 구성들이 본 발명의 제 1 실시례에 따른 왕겨숯을 이용한 벽체 구조물(100)의 구성들과 동일하므로, 이와 중복되는 설명을 생략하고, 차이점 위주로 설명하기로 한다.
본 실시례에서 프레임(210)은 수직벽과는 별개로 이루어져서 제 1 및 제 2 지지재(220,260), 제 1 및 제 2 보드(230,250) 및 왕겨숯(240) 등이 조립 내지 충진된 모듈 상태로 운반되어 수직벽의 일부를 구성하도록 수직되게 고정될 수 있다.
도 1 내지 도 3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례에 따른 왕겨숯을 이용한 벽체 구조물의 제조방법은 먼저, 수직벽을 이루기 위해 수직되게 설치됨과 아울러 양측으로 개방되는 프레임(110)의 일측 개방측에 통기가 가능하도록 제 1 지지재(120)를 고정한다. 이 때 제 1 지지재(120)는 못이나 스크루 또는 다양한 고정부재를 사용하여 프레임(110)에 고정될 수 있는데, 이는 이하의 실시례에서도 마찬가지이다.
그런 다음, 프레임(110)의 개방된 양측을 차단할 수 있도록 프레임(110)의 내측에 제 1 및 제 2 보드(130,150)를 설치한다. 이때, 제 1 보드(130)는 제 1 지지재(120)에 밀착되도록 함으로써 고정되도록 하되, 제 2 보드(150)는 작업자가 수작업으로 지지되도록 하거나, 별도로 설치되는 부재에 의하여 제 1 보드(130)에 나란하도록 임시 고정되도록 하거나, 또는 다수의 제 2 지지재(260) 중 일부를 미리 고정함으로써 제 1 보드(130)에 나란하게 지지되도록 할 수 있다. 여기서, 제 1 및 제 2 보드(130,150)는 앞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볏짚 보드, 종나무 섬유질 보드 및 야자수 섬유질 보드 중 어느 하나로 이루어질 수 있다.
제 1 및 제 2 보드(130,150)의 설치후, 제 1 및 제 2 보드(130,150) 사이의 공간에 왕겨숯(140)을 채우게 되는데, 이를 위해 일례로 제 2 보드(150)에 변형을 가하거나 제 2 보드(150)의 움직임에 의하여, 제 2 보드(150)의 상부와 프레임(110) 사이에 왕겨숯(140)을 채우기 위한 통로 형성을 가능하도록 할 수 있으며, 이 밖에도 제 2 보드(150)의 분할구조에 의해 일부를 개방시킨 상태에서 개방된 부분을 나머지 분할 부분에 의해 차단하도록 구성될 수도 있다.
왕겨숯(140)을 채우는 단계에서, 왕겨숯(140)에 편백나무 우드칩이 포함되되, 왕겨숯(140)과 편백나무 우드칩이 1 : 0.1~2의 부피비를 이루도록 혼합될 수 있음은 앞서 설명한 바와 같다.
왕겨숯(140)의 채움을 마치면, 프레임(110)의 타측 개방측에 제 2 지지재(160)를 고정함으로써, 제 1 및 제 2 보드(130,150)가 내측에 왕겨숯(140)을 채운 상태에서 제 1 지지재(120)에 밀착되어 프레임(110)의 내측에 고정되도록 한다. 이 때 제 2 지지재(160)는 못이나 스크루 등을 비롯하여 다양한 고정부재를 사용하여 프레임(110)에 고정될 수 있는데, 이는 이하의 실시례에서도 마찬가지이다.
제 1 및 제 2 지지재(120,150) 각각은 본 실시례에서처럼 프레임(110)의 개방된 일측에 서로 간격을 두고서 다수로 나란하게 고정되는 바(bar)를 포함할 수 있다.
한편, 제 2 지지대(160)를 고정한 후, 즉 프레임(110)에 대한 제 1 및 제 2 보드(130,150), 왕겨숯(140), 제 1 및 제 2 지지재(120,160)의 설치 내지 고정을 마치면, 제 1 및 제 2 보드(130,150)의 외측면에 제 1 및 제 2 지지대(120,160)가 각각 매립되도록 황토마감층(170,180)을 형성할 수 있다. 여기서 황토마감층(170,180)은 황토 모르타르에 의해 형성될 수 있는데, 그 두께가 왕겨숯(140)의 적층 두께의 30~200%일 수 있으며, 이는 이하의 실시례에서도 마찬가지로 적용될 수 있다.
도 4 내지 도 5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례에 따른 왕겨숯을 이용한 벽체 구조물의 제조방법은 먼저, 양측으로 개방되는 프레임(210)의 일측 개방측에 제 1 지지재(220)를 고정한 상태에서 프레임(210)이 제 1 지지재(220)를 하방에 위치시키도록 수평되게 설치한다.
그런 다음, 프레임(210)의 내측에서 제 1 지지대(1220) 상에 밀착되도록 제 1 보드(230)를 설치한다.
제 1 보드(230)의 설치를 마치면, 프레임(210)의 내측에서 제 1 보드(230) 상에 왕겨숯(240)을 채운다. 왕겨숯(240)을 채우는 단계에서, 왕겨숯(240)에 편백나무 우드칩이 포함되되, 왕겨숯(240)과 편백나무 우드칩이 1 : 0.1~2의 부피비를 이루도록 혼합될 수 있음은 앞서 설명한 바와 같다.
왕겨숯(240)을 채우고 나면, 프레임(210)의 내측에서 왕겨숯(240) 상에 제 2 보드(250)를 설치한다. 제 1 및 제 2 보드(230,250)는 볏짚 보드, 종나무 섬유질 보드 및 야자수 섬유질 보드 중 어느 하나로 이루어짐은 앞서 설명한 바와 같다.
제 2 보드(250)의 설치를 마치면, 프레임(210)의 타측 개방측, 즉 상부 개방측에 제 2 지지재(260)를 고정함으로써, 제 1 및 제 2 보드(230,250)가 내측에 왕겨숯(240)을 채운 상태에서 제 1 지지재(220)에 밀착되어 프레임(210)의 내측에 고정되도록 한다. 한편, 제 1 및 제 2 지지재(220,250) 각각은 프레임(210)의 개방된 일측에 서로 간격을 두고서 다수로 나란하게 고정되는 바(bar)를 포함할 수 있다
제 2 지지대(260)를 고정한 후, 프레임(210)이 수직벽의 일부를 이루기 위해 수직되게 위치하도록 고정시킨 상태에서, 제 1 및 제 2 보드(230,250)의 외측면에 제 1 및 제 2 지지대(220,260)가 각각 매립되도록 황토마감층(미도시)(도 3의 170, 180 참조)을 형성할 수 있다.
이와 같은 본 발명에 따른 왕겨숯을 이용한 벽체 구조물 및 이의 제조방법에 따르면, 제작 내지 시공이 용이할 뿐만 아니라, 제조 비용을 절감할 수 있고, 왕겨숯이 볏짚 보드나 종나무 섬유질 보드 또는 야자수 섬유질 보드와 함께 단열을 부담으로써, 단열 효과가 우수하도록 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르면, 입상물인 왕겨숯이 볏짚 보드나 종나무 섬유질 보드 또는 야자수 섬유질 보드에 의해 충진 상태를 유지함으로써, 왕겨숯의 효능을 증대시키는 효과를 가진다.
이와 같이 본 발명에 대해서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이루어질 수 있음은 물론이다. 그러므로, 본 발명의 범위는 설명된 실시례에 한정되어서는 아니되며,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뿐만 아니라 이러한 특허청구범위와 균등한 것들에 의해 정해져야 한다.
110,210 : 프레임 120,220 : 제 1 지지재
130,230 : 제 1 보드 140,240 : 왕겨숯
150,250 : 제 2 보드 160,260 : 제 2 지지재
170,180 : 황토마감층

Claims (9)

  1. 양측으로 개방되는 프레임;
    상기 프레임의 개방된 양측에 통기가 가능하도록 각각 고정되는 제 1 및 제 2 지지재;
    상기 프레임의 내측에서 상기 제 1 및 제 2 지지재 각각에 밀착되어 상기 프레임의 개방된 양측을 각각 차단하고, 볏짚 보드, 종나무 섬유질 보드 및 야자수 섬유질 보드 중 어느 하나로 이루어지는 제 1 및 제 2 보드; 및
    상기 제 1 및 제 2 보드 사이의 공간에 채워지는 왕겨숯;
    을 포함하고,
    상기 제 1 및 제 2 지지재 각각은,
    상기 프레임의 개방된 일측에 서로 간격을 두고서 다수로 나란하게 고정되는 바를 포함하고,
    상기 왕겨숯에 편백나무 우드칩이 포함되되, 상기 왕겨숯과 상기 편백나무 우드칩이 1 : 0.1~2의 부피비를 이루도록 혼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왕겨숯을 이용한 벽체 구조물.
  2. 삭제
  3. 삭제
  4. 삭제
  5. 삭제
  6. 양측으로 개방되는 프레임의 일측 개방측에 제 1 지지재를 고정한 상태에서 상기 프레임이 상기 제 1 지지재를 하방에 위치시키도록 수평되게 설치하는 단계;
    상기 프레임의 내측에서 상기 제 1 지지대 상에 밀착되도록 제 1 보드를 설치하는 단계;
    상기 프레임의 내측에서 상기 제 1 보드 상에 왕겨숯을 채우는 단계;
    상기 프레임의 내측에서 상기 왕겨숯 상에 제 2 보드를 설치하는 단계;
    상기 프레임의 타측 개방측에 제 2 지지재를 고정함으로써, 상기 제 1 및 제 2 보드가 내측에 왕겨숯을 채운 상태에서 상기 제 1 지지재에 밀착되어 상기 프레임의 내측에 고정되도록 하는 단계;
    상기 제 2 지지대를 고정한 후, 상기 프레임이 수직벽의 일부를 이루기 위해 수직되게 위치하도록 고정시킨 상태에서, 상기 제 1 및 제 2 보드의 외측면에 상기 제 1 및 제 2 지지대가 각각 매립되도록 황토마감층을 형성하는 단계;
    를 포함하고,
    상기 제 1 및 제 2 보드는,
    볏짚 보드, 종나무 섬유질 보드 및 야자수 섬유질 보드 중 어느 하나로 이루어지고,
    상기 제 1 및 제 2 지지재 각각은,
    상기 프레임의 개방된 일측에 서로 간격을 두고서 다수로 나란하게 고정되는 바를 포함하고,
    상기 왕겨숯을 채우는 단계는,
    상기 왕겨숯에 편백나무 우드칩이 포함되되, 상기 왕겨숯과 상기 편백나무 우드칩이 1 : 0.1~2의 부피비를 이루도록 혼합되는, 왕겨숯을 이용한 벽체 구조물의 제조방법.
  7. 삭제
  8. 삭제
  9. 삭제
KR1020190097922A 2019-08-12 2019-08-12 왕겨숯을 이용한 벽체 구조물 및 이의 제조방법 KR102223367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097922A KR102223367B1 (ko) 2019-08-12 2019-08-12 왕겨숯을 이용한 벽체 구조물 및 이의 제조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097922A KR102223367B1 (ko) 2019-08-12 2019-08-12 왕겨숯을 이용한 벽체 구조물 및 이의 제조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10019145A KR20210019145A (ko) 2021-02-22
KR102223367B1 true KR102223367B1 (ko) 2021-03-04

Family

ID=7468736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0097922A KR102223367B1 (ko) 2019-08-12 2019-08-12 왕겨숯을 이용한 벽체 구조물 및 이의 제조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223367B1 (ko)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209183B1 (ko) 2010-03-26 2012-12-06 한진 왕겨단열패널 및 이를 이용한 황토주택 건축공법

Family Cites Familie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49935Y1 (ko) * 2008-05-14 2010-08-20 이기열 흙벽 시공용 단열이중외
KR101177616B1 (ko) * 2009-12-24 2012-08-27 이기열 황토 벽체 시공방법
KR20160115618A (ko) * 2015-03-27 2016-10-06 서울시립대학교 산학협력단 건축용 단열재 및 그 제조방법
KR101689962B1 (ko) * 2015-05-26 2016-12-26 최희태 친환경 소재를 이용한 건축용 벽체 판넬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209183B1 (ko) 2010-03-26 2012-12-06 한진 왕겨단열패널 및 이를 이용한 황토주택 건축공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10019145A (ko) 2021-02-2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20230114815A1 (en) Method of manufacturing a prefab construction element
JP2004345299A (ja) 竹と間伐材との複合集成材
JPH01187242A (ja) 土及び植物性材料からなる壁材並びにその製造方法
KR101001732B1 (ko) 황토와 숯이 포함된 기능성 편백 온열 침대
KR102223367B1 (ko) 왕겨숯을 이용한 벽체 구조물 및 이의 제조방법
Minke et al. Straw bale construction manual: design and technology of a sustainable architecture
RU141318U1 (ru) Конструкционная слоистая панель (варианты) и внутренний наполнитель для нее
US20090300841A1 (en) Health bed
JP2003025312A (ja) 板材組成物,板材の製造方法,板材
KR101124855B1 (ko) 황토분말과 식물성 섬유를 이용한 황토침대
JP3826973B2 (ja) 畳床、畳床の製造方法、及び畳
JP2004351773A (ja) 竹繊維集成材とそれを用いた複合集成材
KR101460083B1 (ko) 친환경 건축 보온·단열재 및 그 제조방법
KR20140025867A (ko) 황토를 주성분으로 한 공간충진제를 이용한 목조주택의 제조방법
KR20120000773U (ko) 온열매트를 가진 사육장치
KR102375559B1 (ko) 목재로 만든 건조기 및 그 제조방법
KR200413558Y1 (ko) 시공이 용이한 볏짚 바닥재
KR100517139B1 (ko) 인체친화형주거용숯목질이종재료복합구조의공기유입구
KR100842233B1 (ko) 건축용 패널 및 그 제조방법
KR20110046145A (ko) 황토보드 및 이를 이용한 황토내장재
KR100677819B1 (ko) 목조주택의 벽체구조
US20230257529A1 (en) Sargasso mats and Sargasso sheets for insulation on other purposes and its low-tech formation processes
US10076084B2 (en) Roof-greening cassette
JP3115834U (ja) 自然素材製の畳
Houette et al. Growing Myceliated Facades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