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30103851A - 마이크로 sd카드의 컨택트 단자 - Google Patents

마이크로 sd카드의 컨택트 단자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30103851A
KR20130103851A KR1020120024796A KR20120024796A KR20130103851A KR 20130103851 A KR20130103851 A KR 20130103851A KR 1020120024796 A KR1020120024796 A KR 1020120024796A KR 20120024796 A KR20120024796 A KR 20120024796A KR 20130103851 A KR20130103851 A KR 20130103851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ntact
card
piece
wiring
longitudinal direc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2002479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320597B1 (ko
Inventor
이상훈
Original Assignee
(주)제이엠씨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제이엠씨 filed Critical (주)제이엠씨
Priority to KR102012002479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320597B1/ko
Publication of KR2013010385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30103851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32059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320597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3/00Details of coupling devices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H01R12/70 or H01R24/00 - H01R33/00
    • H01R13/02Contact members
    • H01R13/22Contacts for co-operating by abutting
    • H01R13/24Contacts for co-operating by abutting resilient; resiliently-mounted
    • H01R13/2407Contacts for co-operating by abutting resilient; resiliently-mounted characterized by the resilient mea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KGRAPHICAL DATA READING; PRESENTATION OF DATA; RECORD CARRIERS; HANDLING RECORD CARRIERS
    • G06K7/00Methods or arrangements for sensing record carriers, e.g. for reading patterns
    • G06K7/0013Methods or arrangements for sensing record carriers, e.g. for reading patterns by galvanic contacts, e.g. card connectors for ISO-7816 compliant smart cards or memory cards, e.g. SD card readers
    • G06K7/0021Methods or arrangements for sensing record carriers, e.g. for reading patterns by galvanic contacts, e.g. card connectors for ISO-7816 compliant smart cards or memory cards, e.g. SD card readers for reading/sensing record carriers having surface contact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3/00Details of coupling devices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H01R12/70 or H01R24/00 - H01R33/00
    • H01R13/02Contact members
    • H01R13/22Contacts for co-operating by abutting
    • H01R13/24Contacts for co-operating by abutting resilient; resiliently-mounted
    • H01R13/245Contacts for co-operating by abutting resilient; resiliently-mounted by stamped-out resilient contact arm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3/00Details of coupling devices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H01R12/70 or H01R24/00 - H01R33/00
    • H01R13/02Contact members
    • H01R13/22Contacts for co-operating by abutting
    • H01R13/24Contacts for co-operating by abutting resilient; resiliently-mounted
    • H01R13/2464Contacts for co-operating by abutting resilient; resiliently-mounted characterized by the contact point
    • H01R13/2492Contacts for co-operating by abutting resilient; resiliently-mounted characterized by the contact point multiple contact point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2/00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specially adapted for printed circuits, e.g. printed circuit boards [PCB], flat or ribbon cables, or like generally planar structures, e.g. terminal strips, terminal blocks; Coupl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printed circuits, flat or ribbon cables, or like generally planar structures; Terminals specially adapted for contact with, or insertion into, printed circuits, flat or ribbon cables, or like generally planar structures
    • H01R12/70Coupling devices
    • H01R12/71Coupling devices for rigid printing circuits or like structur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tificial Intelligence (AREA)
  • Computer Vision & Pattern Recognition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Coupling Device And Connection With Printed Circuit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카드 커넥터, 특히 마이크로 SD카드 커넥터에서 카드의 배선과 접촉하는 컨택트 단자의 형성 및 구조에 관한 것으로, 카드 커넥터(100)의 절연부재(10)에 인서트 몰딩으로 고정되는 고정부(21); 상기 고정부(21)에서 길이방향을 따라 연장되어 절연부재(10)의 고정홈에 끼워져 지지되는 지지부(22); 상기 지지부(22)의 선단에서 일정한 각도로 기울어지게 일체로 연장되어 카드(1)와의 접촉시 탄성적으로 변형되면서 카드(1)의 배선(2)과 접촉하는 탄성편(23);을 포함하고,
상기 탄성편(23)은, 길이방향 대략 중앙부분(X)에서 2조각으로 분기되어 각각 길이방향으로 연장된 제1접촉편(25A)과 제2접촉편(25B)으로 이루어지고, 상기 제1접촉편(25A)와 제2접촉편(25B)은 카드(1)와 접촉시 함께 연동하도록 전방 선단에서 1개의 브릿지편(27)으로 연결된 것이다.

Description

마이크로 SD카드의 컨택트 단자{ CONTACT TERMINAL FOR A MICRO SD CARD CONNECTOR}
본 발명은 전기커넥터의 컨택트 단자에 관한 것으로, 특히 마이크로 SD카드 커넥터에 있어서, 마이크로 SD카드(이하, 간단히 '카드'라 한다.)의 배선과 접촉하는 컨택트 단자 구조에 관한 것이다.
스마트폰 등과 같은 휴대전화기, 디지털카메라, 등의 전자기기에는 메모리 가 내장된, SIM카드, MMC카드, SD카드 등을 장착하여 각종 기능을 확장하게 되어 있다.
이러한 카드를 탈착가능하게 장착하기 위한 카드 커넥터는 금속제 스프링편으로 구성된 복수의 컨택트 단자를 커넥터 하우징내에 설치하고, 이들 복수의 컨택트단자를 카드 커넥터에 삽입된 카드의 표면에 형성된 복수의 배선라인과 접촉시켜, 카드와 전자기기를 서로 전기적으로 접속시키게 되어 있다.
최근 전자기기가 초소형화 및 초박형화되어 가는 추세에 따라 거기에 장착되는 카드 커넥터와 그 카드 커넥터에 장착되는 카드도 초소형화되고 있다. 이렇게 카드가 초소형화됨에 따라 카드에 설치되는 접촉배선들의 각각의 폭도 좁아지고, 접촉배선들의 피치도 매우 협소해지고 있다. 이러한 극소형의 마이크로 SD카드의 접촉배선들과 각각 접촉하는 전기커넥터의 컨택트단자들도 두께가 얇고 피치가 극히 좁다. 그러나, 이와 같이, 각각의 폭이 좁고 두께가 얇은 컨택트 단자들이 전기커넥터의 절연부재에 인서트 몰딩으로 장착된 상태에서 카드의 대응 접촉배선들과 각각 접촉할 때 탄성편이 탄성적으로 변형되면서 접촉배선들과의 접촉상태를 유지하게 된다. 그런데, 종래의 컨택트단자들의 두께가 얇고 폭이 좁으므로 대응하는 접촉배선과 정확하게 접촉하지 않거나 반복적인 접촉에 의해 탄성변형의 변곡점에서 변형을 일으켜 탄성력을 상실하는 현상이 발생한다. 이러한 컨택트 단자의 오접촉과 탄성복원력의 약화는 카드와의 접촉불량의 원인이 된다.
따라서, 초소형 및 초박형의 카드 커넥터에서도 카드와의 접촉상태를 양호하게 유지할 수 있고, 카드와의 반복적인 접촉에 의하더라도 그 탄성 강도를 유지할 수 있는 컨택트 단자의 구조가 요구되고 있다.
본 발명은 초소형 및 초박형의 카드 커넥터에 적합한 컨택트 단자로서, 변형에 대한 강성을 높여 수명을 높일 수 있고, 카드의 접촉배선과의 접촉면적을 상대적으로 증대시켜 카드의 접촉배선과 안정적인 접촉을 실현할 수 있는 컨택트 단자를 제공함에 목적이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은, 카드 커넥터의 절연부재에 다수개가 일정한 간격으로 설치되어 카드 커넥터 내부로 삽입되는 카드와 접촉하여 탄성변형하면서 카드의 배선과 전기적으로 접촉하는 컨택트 단자에 있어서,
상기 컨택트 단자는, 카드 커넥터의 절연부재에 인서트 몰딩으로 고정되는 고정부; 상기 고정부에서 길이방향을 따라 연장되어 절연부재의 고정홈에 끼워져 지지되는 지지부; 상기 지지부의 선단에서 일정한 각도로 기울어지게 일체로 연장되어 카드와의 접촉시 탄성적으로 변형되면서 카드의 배선과 접촉하는 탄성편;을 포함하고,
상기 탄성편은, 길이방향 대략 중앙부분에서 2조각으로 분기되어 각각 길이방향으로 연장된 제1접촉편과 제2접촉편으로 이루어지고, 상기 제1접촉편와 제2접촉편은 카드와 접촉시 함께 연동하도록 전방 선단에서 1개의 브릿지편으로 연결된 구조에 특징이 있다.
상기 제1접촉편은 길이방향 대략 중앙에서 앞쪽 부분이 부분적으로 상향 돌출되어 카드의 배선과 실질적으로 접촉하는 제1접점부를 구비하고, 상기 제2접촉편은 제1접점부의 후방에서 부분적으로 상향 돌출되어, 카드의 배선과 실질적으로 접촉하는 제2접점부를 구비한 것에 다른 특징이 있다.
상기 제1접점부와 제2접점부는 폭방향으로 서로 근접하도록 편향되어 길이방향으로 실질적으로 동일 선상에 배치되는 것에 또 다른 특징이 있다.
상기한 바와 같은 구성된 본 발명의 컨택트 단자에 의하면, 카드의 배선과 2중 접점에서 접촉하므로 접촉 강성 및 접촉 신뢰성을 높일 수 있고, 2개의 접촉편들이 선단에서 1개의 브릿지편으로 연결되어 카드와의 접촉시 서로 연동하므로 변형에 대한 강성이 높아 내구성을 높일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컨택트 단자가 장착된 카드 커넥터의 일부 분리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의 컨택트 단자의 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의 컨택트 단자의 평면도,
도 4는 도 3의 'A-A'선을 따라 절단하여 도시한 본 발명의 컨택트 단자의 길이방향 단면도,
도 5a는 본 발명의 컨택트 단자가 카드의 배선과 접촉하기 직전 상태의 단면도,
도 5b는 본 발명의 컨택트 단자가 카드의 배선과 완전히 접촉한 상태의 단면도이다.
이하, 본 발명에 따른 컨택트 단자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도면과 함께 상세히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컨택트 단자(20)가 카드 커넥터(100)의 절연부재(10)에 설치된 상태를 보여주기 위하여 복수개의 컨택트 단자(20)들이 설치된 카드 커넥터(100)의 절연부재(10)를 케이싱에서 분리하여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컨택트 단자(20)는 복수개가 일정한 간격으로 카드 커넥터의 절연부재(10)에 설치된다. 복수개의 컨택트 단자(20)는 한쪽 선단이 절연부재(10)에 인서트 몰딩(insert molding)되어 고정되고 반대쪽 선단은 상기 절연부재(10)의 바닥면에서 돌출되게 노출되어 카드 커넥터의 절연부재(10) 내부 공간안으로 삽입되는 카드(1)의 배선(2)과 접촉하게 된다.
본 발명의 컨택트 단자(20)의 구조 및 형상은 도 2 내지 도 4에 상세히 도시된다. 도 2 내지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컨택트 단자(20)는 전체적으로 도전성 금속재의 긴 띠상으로 구성된다. 컨택트 단자(20)는 한쪽 선단에 구비된 고정부(21)와, 고정부(21)에서 길이방향을 따라 연장되어 절연부재(10)의 고정홈에 끼워져 지지되는 지지부(22)와, 상기 지지부(22)의 선단에서 길이방향을 따라 일체로 연장되어 카드(1)와의 접촉시 탄성적으로 변형되면서 카드(1)의 배선(2)과 접촉하는 탄성편(23)을 포함한다.
상기 탄성편(23)은 전체적으로 지지부(22)에서 일정한 각도로 경사지게 연장되고, 선단에 카드(1)의 배선(2)과 접촉하는 접촉부(24)를 구비한다. 상기 접촉부(24)는 탄성편(23)의 길이방향 대략 중앙부분(X)에서 2조각으로 분기되어 각각 길이방향으로 연장된 제1접촉편(25A)와 제2접촉편(25B)으로 이루어지고, 상기 제1접촉편(25A)와 제2접촉편(25B)들은 카드(1)와 접촉시 함께 상하 이동하도록 전방 선단에서 1개의 브릿지편(27)으로 연결되어 있다.
그리고, 상기 1쌍의 접촉편(25A, 25B)중 좌측의 제1접촉편(25A)은 길이방향 대략 중앙에서 앞쪽 부분이 부분적으로 상향 돌출되어 카드(1)의 배선(2)과 실질적으로 접촉하는 제1접점부(26A)를 구비하고, 제2접촉편(25B)은 접촉편의 대략 중앙의 후방에 부분적으로 상향 돌출되어, 제1접점부(26A)와 이격되어 카드(1)의 배선(2)에 접촉하는 제2접점부(26B)를 구비한다. 이와 같이 1개의 배선과 접촉하는 1개의 접촉부(24)에, 길이방향으로 서로 간격을 둔 2개의 접점부(26A,26B)를 구비함으로써 배선과 안정적인 접촉을 할 수 있게 된다.
특히, 바람직하게는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제1접점부(26A)와 제2접점부(26B)를 폭방향으로 서로 근접하도록 편향시켜 길이방향으로 거의 같은 선상에 배열함으로써 제한된 폭을 가진 접촉부(24)에 2개의 접점부를 형성할 수 있게 된다.
상기한 구조로 된 컨택트 단자(20)는 카드 커넥터의 절연부재(10)에 다수개가 카드(1)의 배선(2) 간격에 대응하는 간격으로 구비된다. 이하, 카드 커넥터(100)에 장착된 각 컨택트 단자(20)들이 카드 커넥터(100) 안에 삽입되는 카드(1)의 배선(2)과 접촉하는 동작을 도 5a 내지 도 5b를 참조하여 설명한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카드(1)의 배선(2)을, 카드 커넥터(100)의 바닥에 설치된 컨택트 단자(20)를 향하도록 카드(1)를 카드 커넥터(100)안으로 삽입하면(도 5a), 카드(1)의 저면 선단에 구비된 배선(2)이 컨택트 단자(20)와 접촉하지 않은 상태에서는 컨택트 단자(20)의 접촉부(24)는 카드 커넥터(100)의 바닥에서 위쪽으로 돌출되어 있다.
그 상태에서 카드(1)를 계속 카드 커넥터(100)의 내부로 밀어넣으면, 카드(1)는 각 배선(2)이 컨택트 단자(20)의 제1접촉편(25A)과 제2접촉편(25B)을 누른 상태로 계속 전진하여 최종 삽입위치에서 카드(1)의 각 배선(2)이, 2개의 접촉편(25A,25B)에 각각 구비된 제1접점부(26A)와 제2접점부(26B)를 차례로 접촉하여 동시에 접속하게 된다. 이 때, 제1접촉편(25A)과 제2접촉편(25B)은 한개의 브릿지편(27)로 연결되어 있으므로 개별적으로 탄성변형하지 않고 함께 탄성변형하면서 카드(1)와 접촉하게 된다. 이러한 구조로 인하여 각 컨택트 단자(20)는 반복적인 탄성변형에도 불구하고 균일한 탄성력을 유지할 수 있게 된다.
100: 카드 커넥터
1: 카드 2: 배선
10: 절연부재 20: 컨택트 단자
21: 고정부 22: 지지부
23: 탄성편 24: 접촉편
25A,25B: 제1접촉편, 제2접촉편 26A,26B: 제1접점부, 제2접점부
27: 브릿지편

Claims (3)

  1. 카드 커넥터(100)의 절연부재(10)에 다수개가 일정한 간격으로 설치되어 카드 커넥터(100) 내부로 삽입되는 카드(1)와 접촉하여 탄성변형하면서 카드(1)의 배선(2)과 전기적으로 접촉하는 컨택트 단자(20)에 있어서,
    상기 컨택트 단자(20)는, 카드 커넥터(100)의 절연부재(10)에 인서트 몰딩으로 고정되는 고정부(21); 상기 고정부(21)에서 길이방향을 따라 연장되어 절연부재(10)의 고정홈에 끼워져 지지되는 지지부(22); 상기 지지부(22)의 선단에서 일정한 각도로 기울어지게 일체로 연장되어 카드(1)와의 접촉시 탄성적으로 변형되면서 카드(1)의 배선(2)과 접촉하는 탄성편(23);을 포함하고,
    상기 탄성편(23)은, 길이방향 대략 중앙부분(X)에서 2조각으로 분기되어 각각 길이방향으로 연장된 제1접촉편(25A)과 제2접촉편(25B)으로 이루어지고, 상기 제1접촉편(25A)와 제2접촉편(25B)은 카드(1)와 접촉시 함께 연동하도록 전방 선단에서 1개의 브릿지편(27)으로 연결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컨택트 단자.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접촉편(25A)은 길이방향 대략 중앙에서 앞쪽 부분이 부분적으로 상향 돌출되어 카드(1)의 배선(2)과 실질적으로 접촉하는 제1접점부(26A)를 구비하고, 상기 제2접촉편(25B)은 제1접점부(26A)의 후방에서 부분적으로 상향 돌출되어, 카드(1)의 배선(2)과 실질적으로 접촉하는 제2접점부(26B)를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컨택트 단자.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제1접점부(26A)와 제2접점부(26B)는 폭방향으로 서로 근접하도록 편향되어 길이방향으로 실질적으로 동일 선상에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컨택트 단자.
KR1020120024796A 2012-03-12 2012-03-12 마이크로 sd카드의 컨택트 단자 KR101320597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024796A KR101320597B1 (ko) 2012-03-12 2012-03-12 마이크로 sd카드의 컨택트 단자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024796A KR101320597B1 (ko) 2012-03-12 2012-03-12 마이크로 sd카드의 컨택트 단자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30103851A true KR20130103851A (ko) 2013-09-25
KR101320597B1 KR101320597B1 (ko) 2013-10-23

Family

ID=4945279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20024796A KR101320597B1 (ko) 2012-03-12 2012-03-12 마이크로 sd카드의 컨택트 단자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320597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1834775A (zh) * 2019-04-17 2020-10-27 操纵技术Ip控股公司 用于头部组件的端接片

Family Cites Familie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58831Y1 (ko) 1999-06-26 2001-12-28 천명재 멀티미디어 카드 커넥터용 접속핀
JP3507434B2 (ja) 2000-07-21 2004-03-15 山一電機株式会社 カードコネクタおよび弾性コンタクト片
JP2004152623A (ja) 2002-10-30 2004-05-27 Matsushita Electric Works Ltd コネクタのコンタクト構造並びにコネクタ
JP5451244B2 (ja) * 2009-08-10 2014-03-26 京セラコネクタプロダクツ株式会社 Icカード用コネクタ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1834775A (zh) * 2019-04-17 2020-10-27 操纵技术Ip控股公司 用于头部组件的端接片
CN111834775B (zh) * 2019-04-17 2022-10-04 操纵技术Ip控股公司 用于头部组件的端接片
US11942709B2 (en) 2019-04-17 2024-03-26 Steering Solutions Ip Holding Corporation Terminal blade for header assembly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320597B1 (ko) 2013-10-2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9373920B2 (en) Connector including module that includes molded part insert-molded with contacts each including first contact part, second contact part, and body that extends between first and second contact parts and includes spring portion greater in width than first and second contact parts
US7815474B1 (en) Probe connector having a mounting platform
EP3151341A1 (en) Connector
TWI614947B (zh) 電連接器
US9502815B2 (en) Electrical connector
JP4425058B2 (ja) コンタクト構造及びそれを使用する電気コネクタ
JP2018081869A (ja) コネクタ
KR102516423B1 (ko) 가동 커넥터
CN109004411B (zh) 多触点连接器
EP2846409A2 (en) Connector
JP5107811B2 (ja) 基板コネクタ
TW201511422A (zh) 電連接器
JP2007149394A (ja) コネクタ
JP4794905B2 (ja) Icカードコネクタの端子取付方法
JP2014170726A (ja) 電気コネクタ組立体及びそれに用いる電気コネクタ
WO2017209694A1 (en) High speed electrical connector
EP2846414A1 (en) Connector
JP6600261B2 (ja) プレスフィット端子
US7874855B1 (en) Audio jack connector
JP6978872B2 (ja) 回路基板用電気コネクタと相手接続体との組立体
JP2007048684A (ja) コネクタ
CN114514657A (zh) 连接器及连接器组件
JP4184251B2 (ja) カードコネクタ
KR101320597B1 (ko) 마이크로 sd카드의 컨택트 단자
WO2007062866A1 (en) Intermediate plug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729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1015

Year of fee payment: 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