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30103190A - 비알콜성 지방간 질환의 예방 또는 치료용 약학적 조성물 - Google Patents

비알콜성 지방간 질환의 예방 또는 치료용 약학적 조성물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30103190A
KR20130103190A KR1020120024632A KR20120024632A KR20130103190A KR 20130103190 A KR20130103190 A KR 20130103190A KR 1020120024632 A KR1020120024632 A KR 1020120024632A KR 20120024632 A KR20120024632 A KR 20120024632A KR 20130103190 A KR20130103190 A KR 20130103190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exendin
group
pharmaceutical composition
region
immunoglobuli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2002463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665009B1 (ko
Inventor
임세영
박성희
신령애
최인영
권세창
Original Assignee
한미사이언스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Priority to KR102012002463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665009B1/ko
Application filed by 한미사이언스 주식회사 filed Critical 한미사이언스 주식회사
Priority to CA2864250A priority patent/CA2864250C/en
Priority to US14/383,954 priority patent/US20150056223A1/en
Priority to TW102108194A priority patent/TWI658835B/zh
Priority to MX2014010542A priority patent/MX2014010542A/es
Priority to EP13757286.3A priority patent/EP2838549B1/en
Priority to NZ628828A priority patent/NZ628828A/en
Priority to IN6694DEN2014 priority patent/IN2014DN06694A/en
Priority to JP2014560859A priority patent/JP2015510880A/ja
Priority to CN201811396462.4A priority patent/CN110075277A/zh
Priority to CN201380013141.0A priority patent/CN104159597A/zh
Priority to PT137572863T priority patent/PT2838549T/pt
Priority to TW107146976A priority patent/TW201919688A/zh
Priority to PL13757286T priority patent/PL2838549T3/pl
Priority to AU2013228152A priority patent/AU2013228152C1/en
Priority to ARP130100760A priority patent/AR090287A1/es
Priority to ES13757286T priority patent/ES2900823T3/es
Priority to PCT/KR2013/001897 priority patent/WO2013133667A1/en
Priority to DK13757286.3T priority patent/DK2838549T3/da
Priority to HUE13757286A priority patent/HUE057245T2/hu
Priority to MYPI2014002334A priority patent/MY167214A/en
Priority to RU2014133615A priority patent/RU2635966C2/ru
Priority to SG11201404733UA priority patent/SG11201404733UA/en
Publication of KR2013010319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30103190A/ko
Priority to PH12014501785A priority patent/PH12014501785A1/en
Priority to ZA2014/05918A priority patent/ZA201405918B/en
Priority to IL234133A priority patent/IL234133B/en
Priority to MX2020001697A priority patent/MX2020001697A/es
Priority to HK14112891.9A priority patent/HK1199220A1/xx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66500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665009B1/ko
Priority to JP2017173062A priority patent/JP2018009022A/ja
Priority to JP2019177304A priority patent/JP2019214627A/ja
Priority to JP2021178501A priority patent/JP2022025114A/ja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38/00Medicinal preparations containing peptides
    • A61K38/16Peptides having more than 20 amino acids; Gastrins; Somatostatins; Melanotropins; Derivatives thereof
    • A61K38/17Peptides having more than 20 amino acids; Gastrins; Somatostatins; Melanotropins; Derivatives thereof from animals; from huma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38/00Medicinal preparations containing peptides
    • A61K38/16Peptides having more than 20 amino acids; Gastrins; Somatostatins; Melanotropins; Derivatives thereof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38/00Medicinal preparations containing peptides
    • A61K38/16Peptides having more than 20 amino acids; Gastrins; Somatostatins; Melanotropins; Derivatives thereof
    • A61K38/17Peptides having more than 20 amino acids; Gastrins; Somatostatins; Melanotropins; Derivatives thereof from animals; from humans
    • A61K38/22Hormones
    • A61K38/26Glucag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38/00Medicinal preparations containing peptides
    • A61K38/16Peptides having more than 20 amino acids; Gastrins; Somatostatins; Melanotropins; Derivatives thereof
    • A61K38/17Peptides having more than 20 amino acids; Gastrins; Somatostatins; Melanotropins; Derivatives thereof from animals; from humans
    • A61K38/22Hormones
    • A61K38/28Insuli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39/00Medicinal preparations containing antigens or antibodies
    • A61K39/395Antibodies; Immunoglobulins; Immune serum, e.g. antilymphocytic serum
    • A61K39/39533Antibodies; Immunoglobulins; Immune serum, e.g. antilymphocytic serum against materials from animals
    • A61K39/3955Antibodies; Immunoglobulins; Immune serum, e.g. antilymphocytic serum against materials from animals against proteinaceous materials, e.g. enzymes, hormones, lymphokin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47/00Medicinal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non-active ingredients used, e.g. carriers or inert additives; Targeting or modifying agents chemically bound to the active ingredient
    • A61K47/50Medicinal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non-active ingredients used, e.g. carriers or inert additives; Targeting or modifying agents chemically bound to the active ingredient the non-active ingredient being chemically bound to the active ingredient, e.g. polymer-drug conjugates
    • A61K47/51Medicinal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non-active ingredients used, e.g. carriers or inert additives; Targeting or modifying agents chemically bound to the active ingredient the non-active ingredient being chemically bound to the active ingredient, e.g. polymer-drug conjugates the non-active ingredient being a modifying agent
    • A61K47/56Medicinal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non-active ingredients used, e.g. carriers or inert additives; Targeting or modifying agents chemically bound to the active ingredient the non-active ingredient being chemically bound to the active ingredient, e.g. polymer-drug conjugates the non-active ingredient being a modifying agent the modifying agent being an 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 e.g. an oligomeric, polymeric or dendrimeric molecule
    • A61K47/59Medicinal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non-active ingredients used, e.g. carriers or inert additives; Targeting or modifying agents chemically bound to the active ingredient the non-active ingredient being chemically bound to the active ingredient, e.g. polymer-drug conjugates the non-active ingredient being a modifying agent the modifying agent being an 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 e.g. an oligomeric, polymeric or dendrimeric molecule obtained otherwise than by reactions only involving carbon-to-carbon unsaturated bonds, e.g. polyureas or polyurethanes
    • A61K47/60Medicinal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non-active ingredients used, e.g. carriers or inert additives; Targeting or modifying agents chemically bound to the active ingredient the non-active ingredient being chemically bound to the active ingredient, e.g. polymer-drug conjugates the non-active ingredient being a modifying agent the modifying agent being an 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 e.g. an oligomeric, polymeric or dendrimeric molecule obtained otherwise than by reactions only involving carbon-to-carbon unsaturated bonds, e.g. polyureas or polyurethanes the 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 being a polyoxyalkylene oligomer, polymer or dendrimer, e.g. PEG, PPG, PEO or polyglycerol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47/00Medicinal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non-active ingredients used, e.g. carriers or inert additives; Targeting or modifying agents chemically bound to the active ingredient
    • A61K47/50Medicinal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non-active ingredients used, e.g. carriers or inert additives; Targeting or modifying agents chemically bound to the active ingredient the non-active ingredient being chemically bound to the active ingredient, e.g. polymer-drug conjugates
    • A61K47/51Medicinal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non-active ingredients used, e.g. carriers or inert additives; Targeting or modifying agents chemically bound to the active ingredient the non-active ingredient being chemically bound to the active ingredient, e.g. polymer-drug conjugates the non-active ingredient being a modifying agent
    • A61K47/68Medicinal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non-active ingredients used, e.g. carriers or inert additives; Targeting or modifying agents chemically bound to the active ingredient the non-active ingredient being chemically bound to the active ingredient, e.g. polymer-drug conjugates the non-active ingredient being a modifying agent the modifying agent being an antibody, an immunoglobulin or a fragment thereof, e.g. an Fc-fragment
    • A61K47/6835Medicinal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non-active ingredients used, e.g. carriers or inert additives; Targeting or modifying agents chemically bound to the active ingredient the non-active ingredient being chemically bound to the active ingredient, e.g. polymer-drug conjugates the non-active ingredient being a modifying agent the modifying agent being an antibody, an immunoglobulin or a fragment thereof, e.g. an Fc-fragment the modifying agent being an antibody or an immunoglobulin bearing at least one antigen-binding site
    • A61K47/6883Polymer-drug antibody conjugates, e.g. mitomycin-dextran-Ab; DNA-polylysine-antibody complex or conjugate used for therapy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PSPECIFIC THERAPEUTIC ACTIVITY OF CHEMICAL COMPOUNDS OR MEDICINAL PREPARATIONS
    • A61P1/00Drugs for disorders of the alimentary tract or the digestive system
    • A61P1/16Drugs for disorders of the alimentary tract or the digestive system for liver or gallbladder disorders, e.g. hepatoprotective agents, cholagogues, litholytic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PSPECIFIC THERAPEUTIC ACTIVITY OF CHEMICAL COMPOUNDS OR MEDICINAL PREPARATIONS
    • A61P3/00Drugs for disorders of the metabolism
    • A61P3/06Antihyperlipidemic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PSPECIFIC THERAPEUTIC ACTIVITY OF CHEMICAL COMPOUNDS OR MEDICINAL PREPARATIONS
    • A61P3/00Drugs for disorders of the metabolism
    • A61P3/08Drugs for disorders of the metabolism for glucose homeostasis
    • A61P3/10Drugs for disorders of the metabolism for glucose homeostasis for hyperglycaemia, e.g. antidiabetic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PSPECIFIC THERAPEUTIC ACTIVITY OF CHEMICAL COMPOUNDS OR MEDICINAL PREPARATIONS
    • A61P43/00Drugs for specific purposes, not provided for in groups A61P1/00-A61P41/00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PSPECIFIC THERAPEUTIC ACTIVITY OF CHEMICAL COMPOUNDS OR MEDICINAL PREPARATIONS
    • A61P5/00Drugs for disorders of the endocrine system
    • A61P5/48Drugs for disorders of the endocrine system of the pancreatic hormones
    • A61P5/50Drugs for disorders of the endocrine system of the pancreatic hormones for increasing or potentiating the activity of insulin
    • CCHEMISTRY; METALLURGY
    • C07ORGANIC CHEMISTRY
    • C07KPEPTIDES
    • C07K14/00Peptides having more than 20 amino acids; Gastrins; Somatostatins; Melanotropins; Derivatives thereof
    • C07K14/435Peptides having more than 20 amino acids; Gastrins; Somatostatins; Melanotropins; Derivatives thereof from animals; from humans
    • C07K14/575Hormones
    • C07K14/605Glucagons
    • CCHEMISTRY; METALLURGY
    • C07ORGANIC CHEMISTRY
    • C07KPEPTIDES
    • C07K16/00Immunoglobulins [IGs], e.g. monoclonal or polyclonal antibodies
    • C07K16/18Immunoglobulins [IGs], e.g. monoclonal or polyclonal antibodies against material from animals or huma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39/00Medicinal preparations containing antigens or antibodies
    • A61K2039/505Medicinal preparations containing antigens or antibodies comprising antibodies
    • CCHEMISTRY; METALLURGY
    • C07ORGANIC CHEMISTRY
    • C07KPEPTIDES
    • C07K2317/00Immunoglobulins specific features
    • C07K2317/40Immunoglobulins specific features characterized by post-translational modification
    • C07K2317/41Glycosylation, sialylation, or fucosylation
    • CCHEMISTRY; METALLURGY
    • C07ORGANIC CHEMISTRY
    • C07KPEPTIDES
    • C07K2317/00Immunoglobulins specific features
    • C07K2317/70Immunoglobulins specific features characterized by effect upon binding to a cell or to an antigen
    • C07K2317/75Agonist effect on antigen
    • CCHEMISTRY; METALLURGY
    • C07ORGANIC CHEMISTRY
    • C07KPEPTIDES
    • C07K2317/00Immunoglobulins specific features
    • C07K2317/90Immunoglobulins specific features characterized by (pharmaco)kinetic aspects or by stability of the immunoglobulin
    • C07K2317/94Stability, e.g. half-life, pH, temperature or enzyme-resistance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Medicinal Chemistr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Bioinformatics & Cheminformatics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Public Health (AREA)
  • Pharmacology & Pharmacy (AREA)
  • Epidemiology (AREA)
  • Immunology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Endocrinology (AREA)
  • Proteomics, Peptides & Aminoacids (AREA)
  • Gastroenterology & Hepatology (AREA)
  • Diabetes (AREA)
  • Zoology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General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Nuclear Medicine, Radiotherapy & Molecular Imaging (AREA)
  • Biochemistry (AREA)
  • Molecular Biology (AREA)
  • Genetics & Genomics (AREA)
  • Biophysics (AREA)
  • Obesity (AREA)
  • Hematology (AREA)
  • Mycology (AREA)
  • Microbiology (AREA)
  • Biotechnology (AREA)
  • Toxicology (AREA)
  • Emergency Medicine (AREA)
  • Medicines That Contain Protein Lipid Enzymes And Other Medicines (AREA)
  • Peptides Or Proteins (AREA)
  • Medicinal Preparation (AREA)
  • Medicines Containing Antibodies Or Antigens For Use As Internal Diagnostic Agent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인슐린분비 펩타이드(insulinotropic peptide), 비펩타이드성 중합체 및 면역글로불린 Fc 영역이 상호 공유결합에 의해 연결된 결합체를 포함하는 비알콜성 지방간 질환(Non-alcoholic fatty liver disease, NAFLD)의 예방 및 치료용 약학적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조성물은 펩타이드의 생체 내 활성이 비교적 높게 유지되고, 혈중 반감기를 현저히 증가시켜, 비알콜성 지방간 질환의 전형적인 병변으로 나타나는 중성지방(Triglyceride)의 축적을 방지함으로써 궁극적으로 비알콜성 지방간 질환의 예방 및 치료의 목적으로 유용하게 사용할 수 있다.

Description

비알콜성 지방간 질환의 예방 또는 치료용 약학적 조성물{Pharmaceutical composition for the prevention or treatment of non-alcoholic fatty liver disease}
본 발명은 비알콜성 지방간 질환의 예방 및 치료에 유용하게 사용할 수 있는 지속형 인슐린분비 펩타이드 결합체를 포함하는 약학적 조성물에 관한 것으로, 구체적으로 인슐린분비 펩타이드, 비펩타이드성 중합체 및 면역글로불린 Fc 영역이 공유 결합에 의해 상호 연결되어 혈중 반감기를 현저히 증가시키고, 중성지방(triglyceride)의 축적을 효과적으로 억제하는 인슐린분비 펩타이드 결합체 및 이의 비알콜성 지방간 질환의 예방 및 치료 용도에 관한 것이다.
비알콜성 지방간 질환은 과량의 알콜을 섭취하지 않은 환자에서 염증 반응을 동반하지 않는 단순 지방간, 및 이에 의해 진전되며, 간세포의 염증반응, 간섬유화 및 간경화를 포함하는 넓은 범위의 질환을 의미한다. 비알콜성 지방간 질환은 원인에 따라 원발성과 속발성으로 나뉘는데 원발성은 대사 증후군의 특징인 고지혈, 당뇨, 또는 비만 등에 의해 발생되며, 속발성은 영양적 원인(급격한 체중 감소, 기아, 장 우회술), 다양한 약물, 독성 물질(독버섯, 세균 독소), 대사성 원인 및 기타 요인에 의해 발생하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원발성 요인인 대사증후군의 중요한 특징인 당뇨 및 비만과 관련된 비알콜성 지방간 질환의 발생율은 당뇨 환자의 약 50%, 비만 환자의 약 76%, 비만한 당뇨 환자에서 거의 대부분 발생하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Gupte P et al ., 2004). 또한 알라닌 아미노트랜스퍼라제(Alanine aminotransferase, ALT)의 수준이 증가된 당뇨 및 비만 환자에서 생검을 실시한 결과 지방간염의 발생율은 18-36%로 나타내고 있다(Braillon A et al ., 1985).
현재까지 비알콜성 지방간 질환에 대한 확립된 치료법은 없는데 이는 비알콜성 지방간 질환이 당뇨병, 비만, 관상동맥 질환, 생활 습관 등의 다양한 요소와 연관되어 나타나기 때문이다. 몇 가지 당뇨 또는 비만 치료 약제 투여에 의한 지방간 질환에 대한 효과가 보고되었는데 경구용 비만치료제로 사용되고 있는 올리스탓(Orlistat)의 경우 지방간염 환자에서 간의 조직학적 향상을 유도했다는 보고(Hussein et al ., 2007)가 있으며, 메트포민(Metformin)은 당뇨를 동반하지 않는 비알콜성 지방간 환자에서 혈중 간 효소 수치 및 간의 괴사성 염증 및 섬유화가 감소시켰다는 보고가 있다(Bugianesi et al ., 2005). 또한 PPAR(peroxisome proliferator-activated receptor)의 작용물질(agonist)인 티아졸리딘디온(Thiazolidinedione, TZD) 계열의 약물은 간과 근육에서의 지방 축척을 억제하고, 비알콜성 지방간 질환의 동물 모델에서 간에 대해 직접적인 항 섬유화 작용을 나타내는 것으로 보고된 바 있다(Galli A et al ., 2002).
한편, 글루카곤 유사 펩타이드(Glucagon-Like Peptide-1,GLP-1)는 생체 내에 존재하는 내인성 펩타이드(Endogenous peptide)이며, 장의 L세포에서 장관 내의 영양분 또는 혈당 농도에 자극을 받아 분비되는 호르몬으로서 분비 시 인슐린분비 촉진을 통한 혈당 조절, 췌장 β 세포의 증식, 상부 소화기관 운동 저하, 식욕 억제 등 다양한 생리 활성을 가지고 있다. 최근에는 간 세포에 GLP-1 수용체가 발현되어 있음이 확인되었으며, GLP-1은 간세포의 GLP-1 수용체를 경유하여 insulin signaling pathway의 주요 단백질인 Phosphoinositide-dependent kinase-1 (PDK-1), Protein kinase C- (PKC-)의 활성화를 통한 비알콜성 지방간 치료에 있어서 좋은 효과가 있음을 보여주었다(Gupta NA et al., 2010). 또한 GLP-1은 간세포의 샤페론(Chaperon)에 유도된 자가포식(Chaperon-mediated autophagy, CMA)및 거대자가포식(macroautophagy)의 활성화를 통하여 지방의 축척이나 소포체 스트레스 (Endoplasmic reticulum stress)로 인한 간세포의 사멸로부터 보호하는 작용도 한다(Sharma S et al ., 2011). 최근에는 GLP-1이 간세포의 지질 산화(Hapatic lipid oxidation)를 촉진시켜 간 조직 내 지방의 축적을 막으며 인슐린의 작용을 향상시킨다고 보고되었다(Svegliati-Baroni G et al ., 2011). 이상의 여러 보고들을 참고할 때, GLP-1유도체는 비알콜성 지방간의 예방 및 치료제 개발에 있어서 중요한 후보 물질이라 생각되어진다.
그러나, 비알콜성 지방간 치료에 있어서 GLP-1의 적용은 혈액 내 약물의 짧은 반감기(최대 반감기 2분)로 인하여 약제 개발이 어려움이 많았다. 이는 생체 내의 디펩티딜 펩티데이즈(Dipeptidyl pepdidase IV, DPP-IV) 에 의한 GLP-1의 아미노산 8번(Ala)과 9번(Asp) 사이의 절단에 의한 GLP-1의 역가 상실에 기인한다. 따라서 DPP-IV 에 저항성을 갖는 GLP-1 유사체에 대한 여러 연구가 수행되었는데, Ala8 를 Gly로 치환하거나(Deacon et al ., 1998; Burcelin et al ., 1999) 또는 Leu, D-Ala 로 치환하여(Xiao et al ., 2001) DPP-IV 에 대한 저항성을 증가시키면서 활성을 유지하는 시도가 있었다. 또한 GLP-1의 N 말단 아미노산 His7은 GLP-1 의 활성에 매우 중요함과 동시에 DPP-IV의 타겟이며 따라서 US 5,545,618에서는 N 말단을 alkyl 또는 acyl group 으로 변형하였으며, Gallwitz등은 7번 His를 N-메틸화(N-methylation), 알파-메틸화(alpha-metylaltion) 시키거나 His 전체를 이미다졸로 치환하여 DPP-IV 저항성을 증가시키고 생리활성을 유지하였다.
이러한 변형체 이외에 글리아 몬스터 도마뱀(Glia monster)의 침샘으로부터 정제된 GLP-1 유사체인 엑센딘(엑센딘)-4 (US 5,424,686)는 DPP-IV에 대한 저항성과 함께 GLP-1 보다 높은 생리 활성을 가지며 따라서 체내 반감기가 2-4시간으로 GLP-1에 비해 길어졌다. 그러나 DPP-IV의 저항성을 증가시키는 방법만으로는 충분한 생리 활성의 지속시간을 기대할 수 없는데 예를 들어 현재 시판되고 있는 엑센딘-4(엑세나티드, Exenatide)의 경우 환자에게 하루 2회 주사를 통해 투여되어야 하는데 이는 여전히 환자에게 큰 부담이 아닐 수 없다. 이러한 문제점을 개선한 peptide가 DPP-IV에 저항성이 있는 엑센딘-4이며 혈액 내 반감기는 2-4시간이다. 비록 엑센딘-4가 GLP-1 대비 반감기가 길지만 이것 역시 매일 투여해야 하는 번거로움이 존재한다.
이에, 본 발명자들은 인슐린분비 펩타이드의 혈중반감기 증가 및 생체 내 활성유지를 동시에 극대화할 수 있는 방법으로 면역글로불린 Fc 영역, 비펩타이드성 중합체 및 인슐린분비 펩타이드를 공유 결합에 의해 부위 선택적으로 상호 연결시키는 제조방법을 사용하였고, 그 결과 펩타이드 결합체의 혈중 반감기를 획기적으로 증가시키고 공지의 인프레임 퓨전(Inframe fusion) 방법보다 월등히 개선된 혈중반감기 증가효과를 확인할 수 있었으며, 또한, 인슐린분비 펩타이드의 아미노 말단 이외의 아미노산 잔기에 존재하는 아민 그룹(Amine group) 또는 티올 그룹(Thiol group)과 위치선택적으로 면역글로불린 Fc 영역을 연결시키면, 인슐린분비 펩타이드의 아미노말단에 연결된 결합체보다 높은 역가를 유지함을 확인하였다. 이를 바탕으로 기존의 엑센딘-4 제제에 비해 적은 투여 횟수에도 불구하고, 우수한 비알콜성 지방간 치료 효과를 확인하고 본 발명을 완성하였다.
본 발명의 목적은 연장된 생체내 반감기를 유지하면서 중성지방의 축적을 효과적으로 억제하여 비알콜성 지방간 질환의 예방 및 치료에 유용한 지속성 인슐린분비 펩타이드 결합체를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하나의 양태로서, 본 발명은 인슐린분비 펩타이드 및 면역글로불린 Fc 영역이 비펩타이드성 중합체를 통해 공유적으로 연결되는 인슐린분비 펩타이드 약물 결합체를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비알콜성 지방간 질환의 예방 또는 치료용 약학적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약학적 조성물에서, 인슐린분비 펩타이드는 엑센딘-4, 엑센딘-4의 N-말단 아민 그룹이 제거된 엑센딘-4 유도체, 엑센딘-4의 N-말단 아민 그룹이 하이드록실 그룹으로 치환된 엑센딘-4 유도체, 엑센딘-4의 N-말단 아민 그룹이 디메틸기로 수식된 엑센딘-4 유도체 및 엑센딘-4의 N-말단 히스티딘 잔기의 알파 탄소 및 알파 탄소에 결합된 N-말단 아민 그룹을 제거한 엑센딘-4 유도체로 구성된 군으로부터 선택되고, 비펩타이드성 중합체는 폴리에틸렌글리콜, 폴리프로필렌글리콜, 에틸렌 글리콜-프로필렌 글리콜 공중합체, 폴리옥시에틸화폴리올, 폴리비닐알콜, 폴리사카라이드, 덱스트란, 폴리비닐에틸에테르, 생분해성 고분자, 지질 중합체, 키틴류, 히아루론산 및 이들의 조합으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된다.
본 발명의 인슐린분비 펩타이드는, 인슐린분비 기능을 보유한 펩타이드로서 췌장 베타세포의 인슐린의 합성 및 발현을 자극한다. 이러한 펩타이드는, 전구물질(precursors), 유도체(derivatives), 단편(fragments), 변이체(variants) 등을 포함하며 바람직하게는 GLP(Glucagon like peptide)-1, 엑센딘-3 , 엑센딘-4 등이다.
GLP-1 은 소장에서 분비되는 호르몬으로서 일반적으로 insulin 생합성 및 분비를 촉진하고 글루카곤 분비를 억제하며 세포 내 글루코스 흡수를 촉진한다. 소장에서 글루카곤 전구체는 3개의 펩타이드로 분해되는데, 글루카곤, GLP-1, GLP-2이다. 여기서 GLP-1 은 GLP-1(1-37) 을 의미하며 인슐린분비 기능이 없는 형태이고 GLP-1(7-37) 형태로 프로세싱되어 활성형 GLP-1(7-37)이 된다. GLP-1(7-37) 아미노산 서열은 하기와 같다 :
GLP-1(7-37)
HAEGT FTSDV SSYLE GQAAK EPIAW LVKGR G
GLP-1 유도체는, GLP-1과 비교 시 최소한 80% 이상 아미노산 서열에서 상동성을 보이며, 화학적으로 수식된 형태일 수도 있고, 인슐린분비 기능도 최소한 동등 또는 그 이상 나타내는 펩타이드를 의미한다.
GLP-1 단편은, 천연형 GLP-1의 N-말단 또는 C-말단에 하나 또는 그 이상 아미노산이 추가 또는 삭제된 형태를 의미하며 추가된 아미노산은 천연에 존재하지 않는 아미노산(예; D형 아미노산)도 가능하다.
GLP-1 변이체는, 천연형 GLP-1과 아미노산 서열이 하나 이상 다른 펩타이드로 인슐린분비 기능을 보유한 펩타이드를 의미한다.
엑센딘-3와 엑센딘-4는, GLP-1과 53%의 아미노산 서열 유사성을 보이는 39개 아미노산으로 이루어진 인슐린분비 펩타이드이며, 엑센딘-3 와 엑센딘-4 의 아미노산 서열은 하기와 같다.
엑센딘-3
HSDGT FTSDL SKQME EEAVR LFIEW LKNGG PSSGA PPPS
엑센딘-4
HGEGT FTSDL SKQME EEAVR LFIEW LKNGG PSSGA PPPS
엑센딘 유도체는, 천연형 엑센딘과 비교시 최소한 80% 이상 아미노산 서열에서 상동성을 보이며, 아미노산 잔기의 일부 그룹이 화학적으로 수식된 형태일 수도 있고, 인슐린분비 기능도 최소한 동등 또는 그 이상 나타내는 펩타이드를 의미한다.
엑센딘 단편은, 천연형 엑센딘의 N-말단 또는 C-말단에 하나 또는 그 이상 아미노산이 추가 또는 삭제된 형태를 의미하며 추가된 아미노산은 천연에 존재하지 않는 아미노산(예; D형 아미노산)도 가능하다.
엑센딘 변이체는, 천연형 엑센딘과 아미노산 서열이 하나 이상 다른 펩타이드로서 인슐린분비 기능을 보유한 펩타이드를 의미한다.
구체적인 일 양태로서 본 발명에서 사용한 천연형 인슐린분비 펩타이드와 변형된 인슐린분비 펩타이드는 Solid phase 합성법을 통하여 합성될 수 있으며, 천연형 인슐린분비 펩타이드를 포함한 대부분의 천연형 펩타이드는 재조합 방법으로도 생산 가능하다.
또한, 본 발명에서 사용된 인슐린분비 펩타이드는 다양한 부위에서 비펩타이드성 중합체와 결합될 수 있다.
본 발명에서 제조한 결합체는 인슐린분비 펩타이드의 결합 부위에 따라 활성 차이가 있을 수 있다.
예를 들어, N-말단과 C-말단을 포함한 N-말단 이외 부위들에 각각 커플링 하여 인 비트로(in vitro) 활성의 차이를 확인할 수 있다. 알데히드 반응기는 낮은 pH에서 N-말단에 선택적으로 반응하며, 높은 pH, 예를 들어 pH 9.0 조건에서는 라이신 잔기와도 공유결합을 형성할 수 있다. 반응 pH를 달리하며 페길화(pegylation) 반응을 진행한 후, 이온교환 컬럼을 사용하여 반응 혼합물로부터 위치 이성질체를 분리할 수 있다.
생체 내 활성에 중요한 부위인 N-말단 이외의 위치에 커플링 할 경우, 천연형 아미노산 서열에서 수식하고자 하는 아미노산 잔기 위치에 반응성 티올 그룹을 도입하여 비펩타이드성 중합체의 말레이미드 링커를 사용하여 공유결합을 형성할 수 있다.
생체 내 활성에 중요한 부위인 N-말단 이외의 위치에 커플링 할 경우, 천연형 아미노산 서열에서 수식하고자 하는 아미노산 잔기 위치에 반응성 있는 아민 그룹을 도입하여 비펩타이드성 중합체의 알데히드 링커를 사용하여 공유결합을 형성할 수 있다.
비펩타이드성 중합체에 알데히드 링커를 사용하면 N-말단과 라이신 잔기에 있는 아민 그룹과 반응하며, 선택적으로 반응 수율을 향상시키기 위해 변형된 형태의 인슐린분비 펩타이드를 사용할 수 있다. 예를 들어, N-말단을 블러킹하는 방법, 라이신 잔기 치환 방법, 카르복시 말단에 아민 그룹을 도입방법 등을 사용하여 반응할 수 있는 아민 그룹을 원하는 위치에 하나만 유지할 수 있고, 페길화 및 커플링 수율을 향상시킬 수 있다. N-말단의 보호방법은 디메틸화(dimethylation) 외에 메틸화(methylation), 탈아미노화(deamination), 아세틸화(acetylation) 방법으로도 가능하며, 이러한 알킬화(alkylation) 방법에 한정되지 않는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양태로서, 본 발명의 인슐린분비 펩타이드 결합체는 인슐린분비 펩타이드의 N-말단 이외의 아민 그룹에 특이적으로 면역글로블린 Fc 영역이 결합된 인슐린분비 펩타이드 결합체이다.
구체적인 일 실시예로서, 인슐린분비 펩타이드의 라이신 잔기에 선택적으로 커플링하기 위한 방법으로, 천연형 엑센딘-4에 PEG를 결합시킬 때 pH 9.0으로 반응시켜 라이신 잔기로 페길화 반응을 유도하였으며, 다른 방법으로는 N-말단이 제거 또는 보호된 형태의 엑센딘-4를 합성하여 커플링 하는 방법을 사용할 수 있다. N-말단 히스티딘의 알파 아민기를 제거하여 합성하거나 N-말단 히스티딘에 메틸기를 두 개 붙여 링커 PEG의 N-말단 결합을 미연에 방지할 수 있다. 이러한 N-말단 수식방법은 인 비트로(in vitro) 활성에 전혀 영향을 주지 않는다(표 1).
엑센딘-4 N-말단 커플링의 경우와는 다르게, 라이신 잔기에 커플링되면 인 비트로(in vitro) 활성이 약 6 % 정도 유지됨을 확인할 수 있었다(표 1). 또한, 본 발명에서 제조한 엑센딘-4-PEG-면역글로블린 Fc 결합체의 혈중반감기는 60~70 시간으로 획기적으로 증가하여 월등한 지속성 효과를 보여주었다. 따라서, 활성에 영향을 주지 않는 라이신 잔기에 커플링시켜 역가 감소를 최소화하여 생체 내 활성이 유지된 새로운 지속형 엑센딘-4 제형을 제조할 수 있었다.
면역글로불린 Fc 영역은 생체 내에서 대사되는 생분해성의 폴리펩타이드이기 때문에, 약물의 캐리어로 사용하기에 안전하다. 또한, 면역글로불린 Fc 영역은 면역글로불린 전체 분자에 비해 상대적으로 분자량이 적기 때문에 결합체의 제조, 정제 및 수율 면에서 유리할 뿐만 아니라 아미노산 서열이 항체마다 다르기 때문에 높은 비균질성을 나타내는 Fab 부분이 제거되기 때문에 물질의 동질성이 크게 증가되고 혈중 항원성의 유발 가능성도 낮아지게 되는 효과도 기대할 수 있다.
본 발명에서, "면역글로불린 Fc 영역"은, 면역글로불린의 중쇄와 경쇄 가변영역, 중쇄 불변영역 1(CH1)과 경쇄 불변영역(CL1)을 제외한, 중쇄 불변영역 2(CH2) 및 중쇄 불변영역 3(CH3)부분을 의미하며, 중쇄 불변영역에 힌지(hinge) 부분을 포함하기도 한다. 또한 본 발명의 면역글로불린 Fc 영역은 천연형과 실질적으로 동등하거나 향상된 효과를 갖는 한, 면역 글로불린의 중쇄와 경쇄 가변영역만을 제외하고, 일부 또는 전체 중쇄 불변영역 1(CH1) 및/또는 경쇄불변영역 1(CL1)을 포함하는 확장된 Fc 영역일 수 있다. 또한, CH2및/또는 CH3에 해당하는 상당히 긴 일부 아미노산 서열이 제거된 영역일 수도 있다. 즉, 본 발명의 면역글로불린 Fc 영역은 1) CH1 도메인, CH2 도메인, CH3 도메인 및 CH4 도메인, 2) CH1 도메인 및 CH2 도메인, 3) CH1 도메인 및 CH3 도메인, 4) CH2 도메인 및 CH3 도메인, 5) 1개 또는 2개의 이상의 도메인과 면역글로불린 힌지 영역(또는 힌지 영역의 일부)와의 조합, 6) 중쇄 불변영역 각 도메인과 경쇄 불변영역의 이량체일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면역글로불린 Fc 영역은 천연형 아미노산 서열뿐만 아니라 이의 서열유도체(mutant)를 포함한다. 아미노산 서열 유도체란 천연 아미노산 서열중의 하나 이상의 아미노산 잔기가 결실, 삽입, 비보전적 또는 보전적 치환 또는 이들의 조합에 의하여 상이한 서열을 가지는 것을 의미한다. 예를 들면, IgG Fc의 경우 결합에 중요하다고 알려진 214 내지 238, 297 내지 299, 318 내지 322 또는 327 내지 331번 아미노산 잔기들이 변형을 위해 적당한 부위로서 이용될 수 있다. 또한, 이황화 결합을 형성할 수 있는 부위가 제거되거나, 천연형 Fc에서 N-말단의 몇몇 아미노산이 제거되거나 또는 천연형 Fc의 N-말단에 메티오닌 잔기가 부가될 수도 있는 등 다양한 종류의 유도체가 가능하다. 또한, 이펙터 기능을 없애기 위해 보체결합부위, 예로 C1q 결합부위가 제거될 수도 있고, ADCC 부위가 제거될 수도 있다. 이러한 면역글로불린 Fc 영역의 서열 유도체를 제조하는 기술은 국제특허공개 제WO 97/34631호, 국제특허공개 제96/32478호 등에 개시되어 있다.
분자의 활성을 전체적으로 변경시키지 않는 단백질 및 펩티드에서의 아미노산 교환은 당해 분야에 공지되어 있다(H.Neurath, R.L.Hill, The Proteins, Academic Press, New York,197 9). 가장 통상적으로 일어나는 교환은 아미노산 잔기 Ala/Ser, Val/Ile, Asp/Glu, Thr/Ser, Ala/Gly, Ala/Thr, Ser/Asn, Ala/Val, Ser/Gly, Thy/Phe, Ala/Pro, Lys/Arg, Asp/Asn, Leu/Ile, Leu/Val, Ala/Glu, Asp/Gly 간의 교환이다.
경우에 따라서는 인산화(phosphorylation), 황화(sulfation), 아크릴화(acrylation), 당화(glycosylation), 메틸화(methylation), 파네실화(farnesylation), 아세틸화(acetylation), 아밀화(amidation) 등으로 수식(modification)될 수도있다.
상기 기술한 Fc 유도체는 본 발명의 Fc 영역과 동일한 생물학적 활성을 나타내나 Fc 영역의 열, pH 등에 대한 구조적 안정성을 증대시킨 유도체다.
또한, 이러한 Fc 영역은 인간 및 소, 염소, 돼지, 마우스, 래빗, 햄스터, 랫트, 기니아 픽 등의 동물의 생체 내에서 분리한 천연형으로부터 얻어질 수도 있고, 형질전환된 동물세포 또는 미생물로부터 얻어진 재조합형 또는 이의 유도체 일 수 있다. 여기서, 천연형으로부터 획득하는 방법은 전체 면역글로불린을 인간 또는 동물의 생체로부터 분리한 후, 단백질 분해효소를 처리하여 얻을 수 있다. 파파인을 처리할 경우에는 Fab 및 Fc로 절단되고, 펩신을 처리할 경우에는 pF'c 및 F(ab)2로 절단된다. 이를 크기 배제 크로마토그래피(size-exclusion chromatography) 등을 이용하여 Fc 또는 pF'c를 분리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인간 유래의 Fc 영역을 미생물로부터 수득한 재조합형 면역글로불린 Fc 영역이다.
또한, 면역글로불린 Fc 영역은 천연형 당쇄, 천연형에 비해 증가된 당쇄, 천연형에 비해 감소한 당쇄 또는 당쇄가 제거된 형태일 수 있다. 이러한 면역글로불린 Fc 당쇄의 증감 또는 제거에는 화학적 방법, 효소학적 방법 및 미생물을 이용한 유전 공학적 방법과 같은 통상적인 방법이 이용될 수 있다. 여기서, Fc에서 당쇄가 제거된 면역글로불린 Fc 영역은 보체(c1q)의 결합력이 현저히 저하되고, 항체-의존성 세포독성 또는 보체-의존성 세포독성이 감소 또는 제거되므로, 생체 내에서 불필요한 면역반응을 유발하지 않는다. 이런 점에서 약물의 캐리어로서의 본래의 목적에 보다 부합하는 형태는 당쇄가 제거되거나 비당쇄화된 면역글로불린 Fc 영역이라 할 것이다.
본 발명에서 당쇄의 제거(Deglycosylation)는 효소로 당을 제거한 Fc 영역을 말하며, 비당쇄화(Aglycosylation)는 원핵동물, 바람직하게는 대장균에서 생산하여 당쇄화되지 않은 Fc 영역을 의미한다.
한편, 면역글로불린 Fc 영역은 인간 또는 소, 염소, 돼지, 마우스, 래빗, 햄스터, 랫트, 기니아 픽 등의 동물기원일 수 있으며, 바람직하게는 인간기원이다. 또한, 면역글로불린 Fc 영역은 IgG, IgA, IgD, IgE, IgM 유래 또는 이들의 조합(combination) 또는 이들의 혼성(hybrid)에 의한 Fc 영역일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인간 혈액에 가장 풍부한 IgG 또는 IgM 유래이며 가장 바람직하게는 리간드 결합 단백질의 반감기를 향상시키는 것으로 공지된 IgG 유래이다.
한편, 본 발명에서 조합(combination)이란 이량체 또는 다량체를 형성할 때, 동일 기원 단쇄 면역글로불린 Fc 영역을 암호화하는 폴리펩타이드가 상이한 기원의 단쇄 폴리펩타이드와 결합을 형성하는 것을 의미한다. 즉, IgG Fc, IgA Fc, IgM Fc, IgD Fc 및 IgE의 Fc 단편으로 이루어진 그룹으로부터 선택된 2개 이상의 단편으로부터 이량체 또는 다량체의 제조가 가능하다.
본 발명에서 하이브리드(hybrid)란 단쇄의 면역글로불린 Fc 영역 내에 2개 이상의 상이한 기원의 면역글로불린 Fc 단편에 해당하는 서열이 존재함을 의미하는 용어이다. 본 발명의 경우 여러 형태의 하이브리드가 가능하다. 즉, IgG Fc, IgM Fc, IgA Fc, IgE Fc 및 IgD Fc의 CH1, CH2, CH3 및 CH4로 이루어진 그룹으로부터 1개 내지 4개 도메인으로 이루어진 도메인의 하이브리드가 가능하며, 힌지를 포함할 수 있다.
한편, IgG 역시 IgG1, IgG2, IgG3 및 IgG4의 서브클래스로 나눌 수 있고 본 발명에서는 이들의 조합 또는 이들의 혼성화도 가능하다. 바람직하게는 IgG2 및 IgG4 서브클래스이며, 가장 바람직하게는 보체 의존적 독성(CDC, Complement dependent cytotoxicity)과 같은 이펙터 기능(effector function)이 거의 없는 IgG4의 Fc 영역이다.
즉, 가장 바람직한 본 발명의 약물의 캐리어용 면역글로불린 Fc 영역은, 인간 IgG4 유래의 비-당쇄화된 Fc 영역이다. 인간 유래의 Fc 영역은 인간 생체에서 항원으로 작용하여 이에 대한 새로운 항체를 생성하는 등의 바람직하지 않은 면역 반응을 일으킬 수 있는 비-인간 유래의 Fc 영역에 비하여 바람직하다.
본 발명에서 비펩타이드성 중합체는 반복 단위가 2개 이상 결합된 생체 적합성 중합체를 의미하며, 상기 반복 단위들은 펩타이드 결합이 아닌 임의의 공유결합을 통해 서로 연결된다.
본 발명에 사용가능한 비펩타이드성 중합체는 폴리에틸렌 글리콜, 폴리프로필렌 글리콜, 에틸렌 글리콜과 프로필렌 글리콜의 공중합체, 폴리옥시 에틸화 폴리올, 폴리비닐 알콜, 폴리사카라이드, 덱스트란, 폴리비닐 에틸 에테르, PLA(폴리락트산, polylactic acid) 및 PLGA(폴리락틱-글리콜산, polylactic-glycolic acid)와 같은 생분해성 고분자, 지질 중합체, 키틴류, 히아루론산 및 이들의 조합으로 구성된 군으로부터 선택될 수 있으며, 바람직하게는 폴리에틸렌 글리콜이다. 당해 분야에 이미 알려진 이들의 유도체 및 당해 분야의 기술 수준에서 용이하게 제조할 수 있는 유도체들도 본 발명의 범위에 포함된다.
기존 인프레임 퓨전(inframe fusion) 방법으로 제조된 융합단백질에서 사용된 펩타이드성 링커의 단점은 생체내에서 단백질분해효소에 의해 쉽게 절단되어 캐리어에 의한 활성약물의 혈중반감기 증가 효과를 기대만큼 얻을 수 없다는 것이다. 그러나, 본 발명에서는 단백질분해효소에 저항성 있는 중합체를 사용하여 캐리어와 유사하게 펩타이드의 혈중반감기를 유지할 수 있다. 그러므로, 본 발명에서 사용될 수 있는 비펩타이드성 중합체는 상기와 같은 역할, 즉 생체 내 단백질분해효소에 저항성 있는 중합체이면 제한없이 사용될 수 있다. 비펩타이드성 중합체는 분자량이 1 내지 100 kDa 범위, 바람직하게는 1 내지 20 kDa 범위인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면역글로불린 Fc 영역과 결합되는 본 발명의 비펩타이드성 중합체는 한 종류의 중합체뿐만 아니라 상이한 종류의 중합체들의 조합이 사용될 수도 있다.
본 발명에 사용되는 비펩타이드성 중합체는 면역글로불린 Fc 영역 및 단백질 약물과 결합될 수 있는 반응기를 가진다.
상기 비 펩타이드성 중합체의 양 말단 반응기는 반응 알데히드 그룹, 프로피온 알데히드 그룹, 부틸 알데히드 그룹, 말레이미드(maleimide) 그룹 및 석시니미드(succinimide) 유도체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에서, 석시니미드 유도체로는 석시니미딜 프로피오네이트, 하이드록시 석시니미딜, 석시니미딜 카르복시메틸 또는 석시니미딜 카보네이트가 이용될 수 있다. 특히, 상기 비펩타이드성 중합체가 양 말단에 반응 알데히드 그룹의 반응기를 갖는 경우, 비특이적 반응을 최소화하고, 비펩타이드성 중합체의 양 말단에서 생리활성 폴리펩타이드 및 면역글로불린과 각각 결합하는데 효과적이다. 알데히드 결합에 의한 환원성 알킬화로 생성된 최종 산물은 아미드 결합으로 연결된 것보다 훨씬 안정적이다. 알데히드 반응기는 낮은 pH에서 N-말단에 선택적으로 반응하며, 높은 pH, 예를 들어 pH 9.0 조건에서는 라이신 잔기와 공유결합을 형성할 수 있다.
상기 비펩타이드성 중합체의 양 말단 반응기는 서로 같거나 다를 수 있다. 예를 들어, 한쪽 말단에는 말레이미드 그룹을, 다른 쪽 말단에는 알데히드 그룹, 프로피온 알데히드 그룹, 또는 부틸 알데히드 그룹을 가질 수 있다. 양쪽 말단에 하이드록시 반응기를 갖는 폴리에틸렌 글리콜을 비펩타이드성 중합체로 이용하는 경우에는 공지의 화학반응에 의해 상기 하이드록시기를 상기 다양한 반응기로 활성화하거나, 상업적으로 입수 가능한 변형된 반응기를 갖는 폴리에틸렌 글리콜을 이용하여 본 발명의 인슐린분비 펩타이드 결합체를 제조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또 다른 양태로서, 본 발명은
(1) 양 말단에 알데히드, 말레이미드, 또는 석시니미드 유도체 반응기를 갖는 비펩타이드성 중합체를 사용하여 인슐린분비 펩타이드의 아민 그룹 또는 티올 그룹에 공유결합으로 연결하는 단계;
(2) 상기 (1)의 반응 혼합물로부터 아미노말단 이외의 위치에 비펩타이드성 중합체가 공유결합된 인슐린분비 펩타이드를 포함하는 연결체를 분리하는 단계; 및
(3) 분리된 연결체의 비펩타이드성 중합체의 다른 쪽 말단에 면역글로불린 Fc 영역을 공유결합으로 연결하여 비펩타이드성 중합체의 양쪽 말단이 각각 면역글로불린 Fc 영역 및 인슐린분비 펩타이드와 결합된 펩타이드 결합체를 생성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인슐린분비 펩타이드 결합체의 제조방법을 제공한다.
본 발명에서 용어 "연결체"란 비펩타이드성 중합체와 인슐린분비 펩타이드만이 공유결합으로 연결된 중간체로서, 이후 이 연결체에 있는 비펩타이드성 중합체의 인슐린분비 펩타이드가 연결되지 않은 다른 쪽 말단에 면역글로불린 Fc 영역을 결합시키게 된다.
또한, 바람직한 일 양태로서 본 발명은
(1) 양 말단에 알데히드 반응기를 갖는 비펩타이드성 중합체를 엑센딘-4의 라이신 잔기에 공유결합으로 연결시키는 단계;
(2) (1)의 반응 혼합물로부터 라이신 잔기에 비펩타이드성 중합체가 공유결합된 엑센딘-4를 포함하는 연결체를 분리하는 단계; 및
(3) 분리된 연결체의 비펩타이드성 중합체의 다른 쪽 말단에 면역글로불린 Fc 영역을 공유결합으로 연결하여 비펩타이드성 중합체의 양쪽 말단이 각각 면역글로불린 Fc 영역 및 엑센딘-4와 결합된 단백질 결합체를 생성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제조방법을 제공한다. 더욱 바람직하게는 (1)의 비펩타이드성 중합체 및 엑센딘-4의 라이신 잔기는 pH 9.0 이상에서 연결된다.
이러한 본 발명의 인슐린분비 펩타이드 결합체는 GLP-1 수용체를 경유하여 인슐린 신호전달 경로(insulin signaling pathway)의 주요 단백질들을 활성화시키므로, 비알콜성 지방간 질환의 예방 또는 치료에 유용하게 사용될 수 있다. 특히, 본 발명의 인슐린분비 펩타이드 결합체는 지방의 산화(Lipolysis)에 관여하는 효소의 활성을 조절하는 인자인 PKC-ζ (Protein Kinase C-ζ)의 활성을 증가시키고, Glut2 (Glucose transporter protein-2)의 발현을 증가시키는 기존의 인슐린분비 펩타이드의 생체 내 활성이 유지될 뿐만 아니라, 인슐린분비 펩타이드의 혈중 반감기 및 이로 인한 상기 펩타이드의 생체 내 효력 지속 효과가 획기적으로 증가하게 되므로, 기존 제제에 비하여 적은 투여 횟수로 우수한 비알콜성 지방간 질환 치료 효과를 얻을 수 있다.
본 발명에서, 비알콜성 지방간 질환(Non-alcoholic fatty liver disease, NAFLD)은 원발성과 속발성에 따른 비알콜성 지방간 질환을 모두 포함하나, 바람직하게는 원발성 고지혈증, 당뇨 또는 비만으로부터 발생되는 비알콜성 지방간 질환을 의미한다. 예를 들어, 비알콜성 지방간 질환은 단순 지방간(Simple steatosis) 질환, 영양성 지방간 질환, 기아성 지방간 질환, 비만성 지방간 질환, 당뇨병성 지방간 질환, 지방간염 및 이러한 질환의 전진에 의해 발생되는 간섬유화 (Liver fibrosis)와 간경화 (Liver cirrhosis)를 포함한다.
본 발명의 인슐린분비 펩타이드 결합체를 포함한 약학적 조성물은 약제학적으로 허용가능한 담체를 포함할 수 있다. 약제학적으로 허용되는 담체는 경구투여시에는 결합제, 활택제, 붕해제, 부형제, 가용화제, 분산제, 안정화제, 현탁화제, 색소, 향료 등을 사용할 수 있으며, 주사제의 경우에는 완충제, 보존제, 무통화제, 가용화제, 등장화제, 안정화제 등을 혼합하여 사용할 수 있으며, 국소투여용의 경우에는 기제, 부형제, 윤활제, 보존제 등을 사용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약제학적 조성물의 제형은 상술한 바와 같은 약제학적으로 허용되는 담체와 혼합하여 다양하게 제조될 수 있다. 예를 들어, 경구 투여시에는 정제, 트로키, 캡슐, 엘릭서, 서스펜션, 시럽, 웨이퍼 등의 형태로 제조할 수 있으며, 주사제의 경우에는 단위 투약 앰플 또는 다수회 투약 형태로 제조할 수 있다. 기타, 용액, 현탁액, 정제, 환약, 캡슐, 서방형 제제 등으로 제형화 할 수 있다.
한편, 제제화에 적합한 담체, 부형제 및 희석제의 예로는 락토즈, 덱스트로즈, 수크로즈, 솔비톨, 만니톨, 자일리톨, 에리스리톨, 말티톨, 전분, 아카시아, 알지네이트, 젤라틴, 칼슘 포스페이트, 칼슘 실리케이트, 셀룰로즈, 메틸 셀룰로즈, 미정질 셀룰로즈, 폴리비닐피롤리돈, 물, 메틸하이드록시벤조에이트, 프로필하이드록시벤조에이트, 탈크, 마그네슘 스테아레이트 또는 광물유 등이 사용될 수 있다. 또한, 충진제, 항응집제, 윤활제, 습윤제, 향료, 방부제 등을 추가로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결합체는 비알콜성 지방간 질환의 예방 또는 치료에 유용한 바, 이를 포함하는 약학적 조성물을 투여함으로써, 상기 질환의 치료를 도모할 수 있다.
본 발명에서 "투여"는, 어떠한 적절한 방법으로 환자에게 소정의 물질을 도입하는 것을 의미하며, 상기 결합체의 투여 경로는 약물이 목적 조직에 도달할 수 있는 한 어떠한 일반적인 경로를 통하여 투여될 수 있다. 복강 내 투여, 정맥내 투여, 근육내 투여, 피하 투여, 피내 투여, 경구 투여, 국소 투여, 비내 투여, 폐내 투여, 직장 내 투여 등이 될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지는 않는다. 그러나 경구 투여시, 펩타이드는 소화가 되기 때문에 경구용 조성물은 활성 약제를 코팅하거나 위에서의 분해로부터 보호되도록 제형화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바람직하게는 주사제 형태로 투여될 수 있다. 또한, 약제학적 조성물은 활성 물질이 표적 세포로 이동할 수 있는 임의의 장치에 의해 투여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약학적 조성물은 치료할 질환, 투여 경로, 환자의 연령, 성별 및 체중 및 질환의 중등도 등의 여러 관련 인자와 함께, 활성성분인 약물의 종류에 따라 결정된다. 본 발명의 약학적 조성물은 생체 내 지속성 및 역가가 우수하므로, 본 발명의 약학적 제제의 투여 횟수 및 빈도를 현저하게 감소시킬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약학적 조성물은 비알콜성 지방간 질환의 예방 및 치료를 위하여 단독으로, 또는 수술, 호르몬 치료, 약물 치료 및 생물학적 반응 조절제를 사용하는 방법들과 병용하여 사용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인슐린분비 펩타이드 결합체는 펩타이드의 생체 내 활성이 비교적 높게 유지되고, 혈중 반감기가 현저하게 증가될 뿐만 아니라, 지방산 산화(Lipolysis)에 관여하는 주요 단백질들을 효과적으로 활성화시켜 중성지방의 축적을 효과적으로 억제함으로써, 비알콜성 지방간 질환의 예방 및 치료에 유용하게 사용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라 지속성 엑센딘-4 결합체를 투여한 ob/ob 마우스의 간 조직을 나타낸 도면이다(Hematoxylin & Eosin staining, H&E staining, 보라색으로 염색된 부분: 정상적인 간조직, 흰색으로 염색된 부분: 지방구(Lipid droplet)).
도 2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라 지속성 엑센딘-4 결합체를 투여한 고지방식이로 유도된 비만마우스(Diet-induced obesity mice)의 간 조직 중성 지방(Triglyceride)량 분석 그래프이다(#: 일반 사료군에 비해 99% 신뢰도 범위 내에서 유의적인 증가를 나타낸다(p<0.01), *: 고지방 사료군에 비해 99% 신뢰도 범위 내에서 유의적인 감소를 나타낸다(p<0.01)).
이하, 하기 실시예에 의하여 본 발명을 보다 상세하게 설명한다. 단, 하기 실시예는 본 발명을 예시하기 위한 것일 뿐 본 발명의 범위가 이들로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실시예 1. 지속형 엑센딘 -4의 인 비트로 활성 측정
본 시험에서 사용한 다양한 지속형 엑센딘-4 유도체는 본 발명자의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10-1058315호에 기재된 것과 동일한 방법으로 제조하여 사용하였다.
엑센딘-4 지속형제제의 효력을 측정하는 방법으로 인 비트로 세포 활성을 측정하는 방법을 이용하였다. 인 비트로 활성 측정 방법에는 RIN-m5F를 사용하였으며, 상기 세포는 래트의 인슐린종 세포로 알려져 있으며 GLP-1 수용체를 가지고 있어 GLP-1 계통의 인 비트로 활성을 측정하는 방법에 많이 이용되고 있다. RIN-m5F에 GLP-1, 엑센딘-4와 시험물질을 농도별로 처리하여 시험물질에 의한 세포 내의 신호전달 물질인 cAMP 발생 정도를 측정하여 EC50값을 측정하여 비교하는 시험으로 진행하였으며 결과는 표 1에 정리하였다.
시험물질 혈중 반감기(시간) 인 비트로 역가(%)
엑센딘-4 0.7 100
엑센딘-4(N)-PEG-Fc 61.5 < 0.2
엑센딘-4(Lys27)-PEG-Fc 70.5 6.3
엑센딘-4(N)-PEG-Fc: 엑센딘-4의 N 말단과 Fc 영역이 PEG로 연결된 결합체.
엑센딘-4(Lys27)-PEG-Fc: 엑센딘-4의 27번 라이신 잔기와 Fc 영역이 PEG로 연결된 결합체.
상기 표 1에서 확인할 수 있듯이, 천연형 엑센딘-4에 N-말단이 아닌 라이신 잔기에 비펩타이드성 중합체가 결합한 경우, 인 비트로 역가가 6.3%로 유지되며, 또한, 혈중 반감기가 약 70시간까지 획기적으로 증가하는 것을 확인하였다.
실시예 2. 비만 동물 모델인 ob / ob 마우스의 지방간 형성에 미치는 영향
<2-1> 실험 동물의 분류
암컷 5주령 ob/ob 마우스(C57BL/6JHamSlc-ob/ob, 24-34g)는 일본 Slc에서 구입하였다. ob/ob 마우스는 비만, 당뇨제제 효능 시험 시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동물 모델이다. 사료는 방사선 조사로 멸균된 실험동물용 고형사료(제조사: Picolab Rodent Diet 상품명: 5053)를 공급받아 자유로이 섭취시켰으며. 물은 여과 후 자외선 살균된 상수도수를 급수병을 이용하여 자유로이 섭취시켰다. GLP 시설기준에 부합되는 사육실에서 조명시간 12시간(오전 6시 점등-오후 6시 소등)을 유지하였으며, 동물사육 표준 가이드라인에 따라 관리하였다. 이후, 건강한 ob/ob 마우스를 선정하여 실험실 내 환경적응을 위하여 1주일간의 안정시간을 두고 약물 투여를 시작하였으며, 군 분류와 투여는 하기와 같이 4개 군으로 나누어 진행하였다.
1군(음성 대조군): DULBECCO'S PHOSPHATE BUFFERED SALINE(Sigma)을 주 1회 이상 피하투여 하였으며, 투여액량은 5 ml/kg로 주사하였다.
2군(양성 대조군): BYETTA®를 매일 10.8 nmol/kg 피하 투여하였으며, 투여액량은 5 ml/kg로 주사하였다.
3군(지속형 엑센딘-4 유도체 3.7 nmol/kg 투여군): 지속형 엑센딘-4 유도체(HM11260C)를 3.7 nmol/kg로 주1회 피하 투여 하였으며, 투여액량은 5 ml/kg로 주사하였다.
4군(지속형 엑센딘-4 유도체 8.2 nmol/kg 투여군): 지속형 엑센딘-4 유도체(HM11260C)를 8.2 nmol/kg로 주1회 피하 투여 하였으며, 투여액량은 5 ml/kg로 주사하였다.
상기에서 BYETTA®(Eli Lilly)은 천연형 엑센딘-4이고, 지속형 엑센딘-4 유도체(HM11260C)는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10-1058315호에 기재된, 엑센딘-4의 첫 번째 아미노산인 히스티딘의 알파 탄소를 제거한 이미다조아세틸-엑센딘-4와 Fc 영역이 PEG로 연결된, CA 엑센딘-4-PEG-Fc 결합체이다.
각각의 군 모두 7주간 식염수 또는 약물을 투여한 후, 지방간 형성에 미치는 영향에 대해 분석하였다.
<2-2> 지속형 엑센딘-4 유도체가 지방간 형성에 미치는 영향 분석
본 발명에 따른 지속형 엑센딘-4 유도체가 ob/ob마우스의 지방간 형성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기 위하여 다음과 같은 실험을 수행하였다. 상기 실시예 <2-1>에서 분류한 군별로 약물을 투여한 ob/ob 마우스의 간을 추출하여 일부분을 4% 포름알데히드에 담근 후, 파라핀 절편을 만들어 H&E 염색을 하여 그 결과를 도 1에 나타내었다.
그 결과, 도 1에 나타낸 바와 같이, 병리학전문가의 판독 결과 담체를 투여한 음성 대조군에서는 선명한 지방간 소견이 관찰되었으나, 본 발명의 지속형 엑센딘-4 유도체를 투여한 실험군에서는 투여 용량 의존적으로 지방간 소견이 현저히 감소한 것을 확인하였다. 또한 양성 대조군인 BYETTA®에 비해, 본 발명의 지속형 엑센딘-4 유도체는 적은 용량에서 우수한 지방간 치료 효과를 가지는 것을 확인하였다.
실시예 3. 고지방식이로 유발된 비만 마우스의 간 조직 중성지방 축적에 미치는 영향
<3-1> 실험 동물의 분류
6주령의 C57BL/6마우스를 안정화시킨 후 2군으로 분리해 각각 12주간 사료에 함유되어 있는 지방이 10%인 일반 사료와 사료에 함유되어 있는 지방이 60%인 고지방 사료(제조사: Research diets Inc., 상품명: D12492)를 공급하였다. 이를 통해 정상 마우스와 고지방식이로 유발된 비만 마우스 모델을 만든 후 이를 시험에 사용하였다. 각각의 마우스는 GLP시설기준에 부합되는 사육실에서 조명시간 12시간(오전 6시 점등-오후 6시 소등)을 유지하였으며, 동물사육 표준 가이드라인에 따라 관리하였다. 이후, 건강한 고지방식이로 유발된 비만 마우스를 선정하여 실험실 내 환경적응을 위하여 1주일간의 안정시간을 두고 약물 투여를 시작하였으며, 군 분류와 투여는 하기와 같이 4개 군으로 나누어 진행하였다.
1군(일반 사료군): DULBECCO'S PHOSPHATE BUFFERED SALINE(Sigma)을 주 1회 이상 피하투여 하였으며, 투여액량은 5 ml/kg로 주사하였다.
2군(고지방 사료군): DULBECCO'S PHOSPHATE BUFFERED SALINE(Sigma)을 주 1회 이상 피하투여 하였으며, 투여액량은 5 ml/kg로 주사하였다.
3군(고지방 사료군에 지속형 엑센딘-4 유도체 3 nmol/kg 투여군): 지속형 엑센딘-4 유도체(HM11260C)를 3 nmol/kg로 주1회 피하투여 하였으며, 투여액량은 5 ml/kg로 주사하였다.
4군(고지방 사료군에 지속형 엑센딘-4 유도체 10 nmol/kg 투여군): 지속형 엑센딘-4 유도체(HM11260C)를 10 nmol/kg로 주1회 피하투여 하였으며, 투여액량은 5 ml/kg로 주사하였다.
각각의 군 모두 2주간 식염수 또는 약물을 투여한 후, 간 조직에 축척된 중성지방 양을 분석하였다.
<3-2> 고지방식이로 유발된 비만마우스의 간 조직 중성지방 함량 측정
상기 실시예 <3-1>에서 분류한 지속형 엑센딘-4 유도체를 투여하거나 투여하지 않은 고지방식이로 유발된 비만마우스의 간을 추출하여 간 속의 중성지방 농도를 측정하였다. 도 2에서 나타내는 바와 같이, 고지방 사료군에서 간 조직의 중성지방 농도는 172.3 mg/g으로 저지방 사료군(114.0 mg/g)에 비해 증가하였으나, 지속형 엑센딘-4 유도체를 고지방 사료와 함께 3 nmol/kg 투여한 군에서는 중성지방 수치가 93 mg/g으로 고지방 사료 투여군에 비해 46% 감소하였다. 이상의 결과에서, 본 발명에 따른 지속형 엑센딘-4 유도체가 비알콜성 지방간 질환에 치료 효과가 있음을 확인할 수 있었다.
<110> Hanmi Holdings Co., Ltd <120> Pharmaceutical composition for the prevention or treatment of non-alcoholic fatty liver disease <130> PA111019KR <160> 3 <170> KopatentIn 2.0 <210> 1 <211> 31 <212> PRT <213> Artificial Sequence <220> <223> GLP-1 <400> 1 His Ala Glu Gly Thr Phe Thr Ser Asp Val Ser Ser Tyr Leu Glu Gly 1 5 10 15 Gln Ala Ala Lys Glu Pro Ile Ala Trp Leu Val Lys Gly Arg Gly 20 25 30 <210> 2 <211> 39 <212> PRT <213> Artificial Sequence <220> <223> exendin-3 <400> 2 His Ser Asp Gly Thr Phe Thr Ser Asp Leu Ser Lys Gln Met Glu Glu 1 5 10 15 Glu Ala Val Arg Leu Phe Ile Glu Trp Leu Lys Asn Gly Gly Pro Ser 20 25 30 Ser Gly Ala Pro Pro Pro Ser 35 <210> 3 <211> 39 <212> PRT <213> Artificial Sequence <220> <223> exendin-4 <400> 3 His Gly Glu Gly Thr Phe Thr Ser Asp Leu Ser Lys Gln Met Glu Glu 1 5 10 15 Glu Ala Val Arg Leu Phe Ile Glu Trp Leu Lys Asn Gly Gly Pro Ser 20 25 30 Ser Gly Ala Pro Pro Pro Ser 35

Claims (17)

  1. 인슐린분비 펩타이드 및 면역글로불린 Fc 영역이 비펩타이드성 중합체를 통해 공유적으로 연결되는 인슐린분비 펩타이드 약물 결합체를 유효성분으로 포함하고,
    상기 인슐린분비 펩타이드가 엑센딘-4, 엑센딘-4의 N-말단 아민 그룹이 제거된 엑센딘-4 유도체, 엑센딘-4의 N-말단 아민 그룹이 하이드록실 그룹으로 치환된 엑센딘-4 유도체, 엑센딘-4의 N-말단 아민 그룹이 디메틸기로 수식된 엑센딘-4 유도체 및 엑센딘-4의 N-말단 히스티딘 잔기의 알파 탄소 및 알파 탄소에 결합된 N-말단 아민 그룹을 제거한 엑센딘-4 유도체로 구성된 군으로부터 선택되고,
    상기 비펩타이드성 중합체가 폴리에틸렌글리콜, 폴리프로필렌글리콜, 에틸렌 글리콜-프로필렌 글리콜 공중합체, 폴리옥시에틸화폴리올, 폴리비닐알콜, 폴리사카라이드, 덱스트란, 폴리비닐에틸에테르, 생분해성 고분자, 지질 중합체, 키틴류, 히아루론산 및 이들의 조합으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것인, 비알콜성 지방간 질환의 예방 또는 치료용 약학적 조성물.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비펩타이드성 중합체가 인슐린분비 펩타이드의 N-말단 이외의 아미노산 잔기에 결합하여 연결되는 것인, 약학적 조성물.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비펩타이드성 중합체의 양 말단이 각각 면역글로불린 Fc 영역 및 인슐린분비 펩타이드의 아민 그룹 또는 티올 그룹에 결합된 것인, 약학적 조성물.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비펩타이드성 중합체가 인슐린분비 펩타이드의 라이신 잔기에 결합하여 연결되는 것인, 약학적 조성물.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비펩타이드성 중합체가 폴리에틸렌글리콜인, 약학적 조성물.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면역글로불린 Fc 영역이 비당쇄화된 것인, 약학적 조성물.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면역글로불린 Fc 영역이 CH1, CH2, CH3 및 CH4 도메인으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1개 내지 4개 선택되는 도메인으로 이루어진 것인, 약학적 조성물.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면역글로불린 Fc 영역이 힌지영역을 추가로 포함하는 것인, 약학적 조성물.
  9.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면역글로불린 Fc 영역이 IgG, IgA, IgD, IgE 및 IgM로 구성되는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면역글로불린에서 유래된 Fc 영역인 것인, 약학적 조성물.
  10. 제9항에 있어서, 상기 면역글로불린 Fc 영역이 IgG4 Fc 영역인 것인, 약학적 조성물.
  11.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면역글로불린 Fc 영역이 인간 비당쇄화 IgG4 Fc 영역인 것인, 약학적 조성물.
  1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비펩타이드성 중합체의 반응기가 알데히드 그룹, 프로피온 알데히드 그룹, 부틸 알데히드 그룹, 말레이미드 그룹 및 석시니미드 유도체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것인, 약학적 조성물.
  13.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석시니미드 유도체가 석시니미딜 프로피오네이트, 석시니미딜 카르복시메틸, 히드록시 석시니미딜 및 석시니미딜 카보네이트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것인, 약학적 조성물.
  1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비펩타이드성 중합체가 양 말단에 반응 알데히드 그룹의 반응기를 갖는 것인, 약학적 조성물.
  1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인슐린분비 펩타이드 약물 결합체는 지방의 산화(Lipolysis)에 관여하는 효소의 활성을 조절하는 인자 PKC-ζ (Protein kinase C-ζ)의 활성을 증가시키는 것인, 약학적 조성물.
  1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인슐린분비 펩타이드 약물 결합체는 지방의 산화(Lipolysis)에 관여하는 인자인 Glut2 (Glucose transporter protein-2)의 발현을 증가시키는 것인, 약학적 조성물.
  1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비알콜성 지방간 질환이 단순 지방간 질환, 영양성 지방간 질환, 기아성 지방간 질환, 비만성 지방간 질환, 당뇨병성 지방간 질환, 지방간염, 간섬유화 및 간경화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것인, 약학적 조성물.
KR1020120024632A 2012-03-09 2012-03-09 비알콜성 지방간 질환의 예방 또는 치료용 약학적 조성물 KR101665009B1 (ko)

Priority Applications (3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024632A KR101665009B1 (ko) 2012-03-09 2012-03-09 비알콜성 지방간 질환의 예방 또는 치료용 약학적 조성물
DK13757286.3T DK2838549T3 (da) 2012-03-09 2013-03-08 Farmaceutisk præparat til forebyggelse eller behandling af ikke-alkoholisk fedtleversygdom
TW102108194A TWI658835B (zh) 2012-03-09 2013-03-08 用於預防或治療非酒精性脂肪肝疾病之醫藥組合物
PCT/KR2013/001897 WO2013133667A1 (en) 2012-03-09 2013-03-08 Pharmaceutical composition for the prevention or treatment of non-alcoholic fatty liver disease
EP13757286.3A EP2838549B1 (en) 2012-03-09 2013-03-08 Pharmaceutical composition for the prevention or treatment of non-alcoholic fatty liver disease
NZ628828A NZ628828A (en) 2012-03-09 2013-03-08 Pharmaceutical composition for the prevention or treatment of non-alcoholic fatty liver disease
IN6694DEN2014 IN2014DN06694A (ko) 2012-03-09 2013-03-08
US14/383,954 US20150056223A1 (en) 2012-03-09 2013-03-08 Pharmaceutical composition for the prevention or treatment of non-alcoholic fatty liver disease
CN201811396462.4A CN110075277A (zh) 2012-03-09 2013-03-08 用于预防或治疗非酒精性脂肪肝疾病的药学组合物
CN201380013141.0A CN104159597A (zh) 2012-03-09 2013-03-08 用于预防或治疗非酒精性脂肪肝疾病的药学组合物
PT137572863T PT2838549T (pt) 2012-03-09 2013-03-08 Composição farmacêutica para a prevenção ou tratamento da doença hepática gordurosa não alcoólica
TW107146976A TW201919688A (zh) 2012-03-09 2013-03-08 用於預防或治療非酒精性脂肪肝疾病之醫藥組合物
PL13757286T PL2838549T3 (pl) 2012-03-09 2013-03-08 Kompozycja farmaceutyczna do zapobiegania albo leczenia niealkoholowego stłuszczeniowego zapalenia wątroby
HUE13757286A HUE057245T2 (hu) 2012-03-09 2013-03-08 Gyógyászati készítmény nem-alkoholos zsírmájbetegség megelõzésére vagy kezelésére
CA2864250A CA2864250C (en) 2012-03-09 2013-03-08 Pharmaceutical composition for the prevention or treatment of non-alcoholic fatty liver disease comprising an exendin-4 conjugate
ES13757286T ES2900823T3 (es) 2012-03-09 2013-03-08 Composición farmacéutica para la prevención o el tratamiento de la enfermedad del hígado graso no alcohólico
MX2014010542A MX2014010542A (es) 2012-03-09 2013-03-08 Composicion farmaceutica para la prevencion o el tratamiento de la enfermedad del higado graso no alcoholico.
JP2014560859A JP2015510880A (ja) 2012-03-09 2013-03-08 非アルコール性脂肪肝疾患の予防または治療のための医薬組成物
AU2013228152A AU2013228152C1 (en) 2012-03-09 2013-03-08 Pharmaceutical composition for the prevention or treatment of non-alcoholic fatty liver disease
MYPI2014002334A MY167214A (en) 2012-03-09 2013-03-08 Pharmaceutical composition for the prevention or treatment of non-alcoholic fatty liver disease
RU2014133615A RU2635966C2 (ru) 2012-03-09 2013-03-08 Фармацевтическая композиция для предупреждения или лечения неалкогольной жировой болезни печени
SG11201404733UA SG11201404733UA (en) 2012-03-09 2013-03-08 Pharmaceutical composition for the prevention or treatment of non-alcoholic fatty liver disease
ARP130100760A AR090287A1 (es) 2012-03-09 2013-03-08 Composicion farmaceutica para la prevencion o el tratamiento de la enfermedad del higado graso no alcoholico
PH12014501785A PH12014501785A1 (en) 2012-03-09 2014-08-07 Pharmaceutical composition for the prevention or treatment of non-alcoholic fatty liver disease
ZA2014/05918A ZA201405918B (en) 2012-03-09 2014-08-13 Pharmaceutical composition for the prevention or treatment of non-alcoholic fatty liver disease
IL234133A IL234133B (en) 2012-03-09 2014-08-14 A medical preparation for the prevention and treatment of non-alcoholic fatty liver disease
MX2020001697A MX2020001697A (es) 2012-03-09 2014-09-03 Composicion farmaceutica para la prevencion o el tratamiento de la enfermedad del higado graso no alcoholica.
HK14112891.9A HK1199220A1 (en) 2012-03-09 2014-12-24 Pharmaceutical composition for the prevention or treatment of non- alcoholic fatty liver disease
JP2017173062A JP2018009022A (ja) 2012-03-09 2017-09-08 非アルコール性脂肪肝疾患の予防または治療のための医薬組成物
JP2019177304A JP2019214627A (ja) 2012-03-09 2019-09-27 非アルコール性脂肪肝疾患の予防または治療のための医薬組成物
JP2021178501A JP2022025114A (ja) 2012-03-09 2021-11-01 非アルコール性脂肪肝疾患の予防または治療のための医薬組成物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024632A KR101665009B1 (ko) 2012-03-09 2012-03-09 비알콜성 지방간 질환의 예방 또는 치료용 약학적 조성물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30103190A true KR20130103190A (ko) 2013-09-23
KR101665009B1 KR101665009B1 (ko) 2016-10-11

Family

ID=4911707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20024632A KR101665009B1 (ko) 2012-03-09 2012-03-09 비알콜성 지방간 질환의 예방 또는 치료용 약학적 조성물

Country Status (25)

Country Link
US (1) US20150056223A1 (ko)
EP (1) EP2838549B1 (ko)
JP (4) JP2015510880A (ko)
KR (1) KR101665009B1 (ko)
CN (2) CN110075277A (ko)
AR (1) AR090287A1 (ko)
AU (1) AU2013228152C1 (ko)
CA (1) CA2864250C (ko)
DK (1) DK2838549T3 (ko)
ES (1) ES2900823T3 (ko)
HK (1) HK1199220A1 (ko)
HU (1) HUE057245T2 (ko)
IL (1) IL234133B (ko)
IN (1) IN2014DN06694A (ko)
MX (2) MX2014010542A (ko)
MY (1) MY167214A (ko)
NZ (1) NZ628828A (ko)
PH (1) PH12014501785A1 (ko)
PL (1) PL2838549T3 (ko)
PT (1) PT2838549T (ko)
RU (1) RU2635966C2 (ko)
SG (1) SG11201404733UA (ko)
TW (2) TWI658835B (ko)
WO (1) WO2013133667A1 (ko)
ZA (1) ZA201405918B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7052329A1 (en) * 2015-09-24 2017-03-30 Hanmi Pharm. Co., Ltd. Protein complex by use of a specific site of an immunoglobulin fragment for linkage
KR20180085533A (ko) 2017-01-19 2018-07-27 울산대학교 산학협력단 Gnpat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비알콜성 지방간염 진단용 또는 치료 예후 예측용 바이오마커 조성물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9306015B (zh) 2011-06-17 2022-04-26 韩美科学株式会社 包括泌酸调节肽和免疫球蛋白片段的结合物以及其应用
KR101968344B1 (ko) 2012-07-25 2019-04-12 한미약품 주식회사 옥신토모듈린 유도체를 포함하는 고지혈증 치료용 조성물
CA2890324C (en) 2012-11-06 2021-02-23 Hanmi Pharm. Co., Ltd. Liquid formulation of protein conjugate comprising the oxyntomodulin and an immunoglobulin fragment
PE20161153A1 (es) 2014-01-20 2016-10-27 Hanmi Pharm Ind Co Ltd Insulina de accion prolongada y uso de la misma
AR100639A1 (es) * 2014-05-29 2016-10-19 Hanmi Pharm Ind Co Ltd Composición para tratar diabetes que comprende conjugados de análogos de insulina de acción prolongada y conjugados de péptidos insulinotrópicos de acción prolongada
AR100695A1 (es) 2014-05-30 2016-10-26 Hanmi Pharm Ind Co Ltd Composición para el tratamiento de diabetes mellitus que comprende insulina y un agonista dual glp-1 / glucagón
TWI772252B (zh) * 2014-09-16 2022-08-01 南韓商韓美藥品股份有限公司 長效glp-1/高血糖素受體雙促效劑治療非酒精性脂肝疾病之用途
KR102418477B1 (ko) 2014-12-30 2022-07-08 한미약품 주식회사 글루카곤 유도체
UY36870A (es) 2015-08-28 2017-03-31 Hanmi Pharm Ind Co Ltd Análogos de insulina novedosos
BR112019005637A2 (pt) 2016-09-23 2019-07-30 Hanmi Pharm Ind Co Ltd análogos da insulina com afinidade reduzida para o receptor de insulina e seu uso
KR101906333B1 (ko) 2016-12-07 2018-10-11 고려대학교 산학협력단 지방간의 진단 또는 치료를 위한 류신 지퍼 단백질의 용도
CA3054899A1 (en) 2017-03-23 2018-09-27 Hanmi Pharm. Co., Ltd. Insulin analog complex with reduced affinity for insulin receptor and use thereof
CN109248323B (zh) * 2017-07-14 2023-09-08 杭州先为达生物科技有限公司 酰化的glp-1衍生物
EP3437651A1 (en) * 2017-08-03 2019-02-06 Université de Strasbourg Peptides for treatment and prevention of nonalcoholic fatty liver disease
KR102174436B1 (ko) * 2017-08-17 2020-11-04 주식회사 엘지화학 불용성 안료 화합물의 정성분석방법
WO2020017916A1 (en) 2018-07-19 2020-01-23 D&D Pharmatech Inc. Pharmaceutical composition comprising polypeptide
KR20200135618A (ko) 2019-05-23 2020-12-03 ㈜ 디앤디파마텍 폴리펩티드를 포함하는 비알코올성 지방간 질환의 예방 또는 치료용 약학 조성물
KR102177304B1 (ko) 2018-07-23 2020-11-10 제이투에이치바이오텍 (주) 비알콜성 지방간염의 예방 또는 치료용 약학 조성물
CN110151980B (zh) * 2019-06-30 2022-12-09 中国药科大学 Glp-1受体激动剂融合蛋白在制备预防或治疗高血脂药物中的应用
KR102315866B1 (ko) * 2020-03-24 2021-10-21 한국원자력의학원 섬유화 질환 복합 치료제 개발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100105877A1 (en) * 2007-01-05 2010-04-29 Hanmi Pharmaceutical Co., Ltd. An insulinotropic complex using an immunoglobulin fragment
US20100330108A1 (en) * 2003-11-13 2010-12-30 Hanmi Pharmaceutical Co., Ltd. Pharmaceutical composition for treating obesity-related disease comprising insulinotropic peptide conjugate
US20110200623A1 (en) * 2008-07-23 2011-08-18 Hanmi Holdings Co., Ltd. Polypeptide complex comprising non-peptidyl polymer having three functional ends

Family Cites Families (1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5545618A (en) 1990-01-24 1996-08-13 Buckley; Douglas I. GLP-1 analogs useful for diabetes treatment
US5424686A (en) 1994-04-20 1995-06-13 Philips Electronics North America Corporation Negative-resistance-compensated microwave buffer
US6096871A (en) 1995-04-14 2000-08-01 Genentech, Inc. Polypeptides altered to contain an epitope from the Fc region of an IgG molecule for increased half-life
EP0904107B1 (en) 1996-03-18 2004-10-20 Board Of Regents, The University Of Texas System Immunoglobin-like domains with increased half lives
KR101135244B1 (ko) * 2007-11-29 2012-04-24 한미사이언스 주식회사 인슐린 분비 펩타이드 결합체를 포함하는 비만 관련질환 치료용 조성물
RU2006116421A (ru) * 2003-11-25 2008-01-10 Ново Нордиск А/С (DK) Анилиды салициловой кислоты
US8389472B2 (en) * 2005-08-19 2013-03-05 Amylin Pharmaceuticals, Llc Exendin-4 to treat nonalcoholic steatohepatitis and nonalcoholic fatty liver disease
ATE554995T1 (de) * 2007-03-06 2012-05-15 Bridgestone Corp Gummiraupenkette
US8315710B2 (en) * 2008-07-11 2012-11-20 Medtronic, Inc. Associating therapy adjustments with patient posture states
EP2248449A1 (en) * 2009-05-08 2010-11-10 Koninklijke Philips Electronics N.V. Kitchen appliance
WO2011109787A1 (en) * 2010-03-05 2011-09-09 Conjuchem, Llc Methods of administering insulinotropic peptides
KR101382593B1 (ko) * 2010-07-21 2014-04-10 한미사이언스 주식회사 신규한 지속형 글루카곤 결합체 및 이를 포함하는 비만 예방 및 치료용 약학적 조성물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100330108A1 (en) * 2003-11-13 2010-12-30 Hanmi Pharmaceutical Co., Ltd. Pharmaceutical composition for treating obesity-related disease comprising insulinotropic peptide conjugate
US20100105877A1 (en) * 2007-01-05 2010-04-29 Hanmi Pharmaceutical Co., Ltd. An insulinotropic complex using an immunoglobulin fragment
US20110200623A1 (en) * 2008-07-23 2011-08-18 Hanmi Holdings Co., Ltd. Polypeptide complex comprising non-peptidyl polymer having three functional ends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7052329A1 (en) * 2015-09-24 2017-03-30 Hanmi Pharm. Co., Ltd. Protein complex by use of a specific site of an immunoglobulin fragment for linkage
US11207383B2 (en) 2015-09-24 2021-12-28 Hanmi Pharm. Co., Ltd Protein complex by use of a specific site of an immunoglobulin fragment for linkage
US11389508B2 (en) 2015-09-24 2022-07-19 Hanmi Pharm. Co., Ltd. Protein complex by use of a specific site of an immunoglobulin fragment for linkage
KR20180085533A (ko) 2017-01-19 2018-07-27 울산대학교 산학협력단 Gnpat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비알콜성 지방간염 진단용 또는 치료 예후 예측용 바이오마커 조성물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CN110075277A (zh) 2019-08-02
PT2838549T (pt) 2021-12-31
TWI658835B (zh) 2019-05-11
JP2022025114A (ja) 2022-02-09
RU2635966C2 (ru) 2017-11-17
SG11201404733UA (en) 2014-09-26
CN104159597A (zh) 2014-11-19
EP2838549A4 (en) 2015-12-23
PL2838549T3 (pl) 2022-02-14
IL234133B (en) 2020-09-30
IN2014DN06694A (ko) 2015-05-22
TW201919688A (zh) 2019-06-01
WO2013133667A1 (en) 2013-09-12
ZA201405918B (en) 2015-08-26
ES2900823T3 (es) 2022-03-18
AR090287A1 (es) 2014-11-05
JP2019214627A (ja) 2019-12-19
AU2013228152A1 (en) 2014-09-04
NZ628828A (en) 2016-09-30
US20150056223A1 (en) 2015-02-26
RU2014133615A (ru) 2016-04-27
HK1199220A1 (en) 2015-06-26
HUE057245T2 (hu) 2022-04-28
CA2864250A1 (en) 2013-09-12
EP2838549B1 (en) 2021-09-22
CA2864250C (en) 2022-08-16
EP2838549A1 (en) 2015-02-25
PH12014501785B1 (en) 2014-11-17
DK2838549T3 (da) 2022-01-03
AU2013228152C1 (en) 2017-11-23
JP2018009022A (ja) 2018-01-18
MX2020001697A (es) 2020-03-20
TW201340981A (zh) 2013-10-16
PH12014501785A1 (en) 2014-11-17
MY167214A (en) 2018-08-14
MX2014010542A (es) 2014-12-05
AU2013228152B2 (en) 2017-08-10
JP2015510880A (ja) 2015-04-13
KR101665009B1 (ko) 2016-10-1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665009B1 (ko) 비알콜성 지방간 질환의 예방 또는 치료용 약학적 조성물
KR102541971B1 (ko) 지속형 glp-1/글루카곤 수용체 듀얼 아고니스트의 비알콜성 지방간질환에 대한 용도
US20190083579A1 (en) Composition for treating diabetes comprising long-acting insulin conjugate and long-acting insulinotropic peptide conjugate
KR101382593B1 (ko) 신규한 지속형 글루카곤 결합체 및 이를 포함하는 비만 예방 및 치료용 약학적 조성물
KR101993393B1 (ko) 옥신토모듈린 유도체를 포함하는 당뇨병 또는 비만성 당뇨병 치료용 조성물
CA2674538C (en) An insulinotropic complex using an immunoglobulin fragment
EP2227243B1 (en) A pharmaceutical composition for treating obesity-related disease comprising insulinotropic peptide conjugate
EA042870B1 (ru) Применение двойного агониста рецепторов glp-1/глюкагона пролонгированного действия для лечения неалкогольной жировой болезни печени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AMND Amendment
X701 Decision to grant (after re-examina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917

Year of fee payment: 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