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30103009A - 옹벽 블럭 평탄화장치 - Google Patents
옹벽 블럭 평탄화장치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20130103009A KR20130103009A KR1020120024298A KR20120024298A KR20130103009A KR 20130103009 A KR20130103009 A KR 20130103009A KR 1020120024298 A KR1020120024298 A KR 1020120024298A KR 20120024298 A KR20120024298 A KR 20120024298A KR 20130103009 A KR20130103009 A KR 20130103009A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retaining wall
- wall block
- panel portion
- panel
- unit
- Prior art date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8—WORKING CEMENT, CLAY, OR STONE
- B28B—SHAPING CLAY OR OTHER CERAMIC COMPOSITIONS; SHAPING SLAG; SHAPING MIXTURES CONTAINING CEMENTITIOUS MATERIAL, e.g. PLASTER
- B28B13/00—Feeding the unshaped material to moulds or apparatus for producing shaped articles; Discharging shaped articles from such moulds or apparatus
- B28B13/02—Feeding the unshaped material to moulds or apparatus for producing shaped articles
- B28B13/0295—Treating the surface of the fed layer, e.g. removing material or equalization of the surface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8—WORKING CEMENT, CLAY, OR STONE
- B28B—SHAPING CLAY OR OTHER CERAMIC COMPOSITIONS; SHAPING SLAG; SHAPING MIXTURES CONTAINING CEMENTITIOUS MATERIAL, e.g. PLASTER
- B28B1/00—Producing shaped prefabricated articles from the material
- B28B1/08—Producing shaped prefabricated articles from the material by vibrating or jolting
-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D—FOUNDATIONS; EXCAVATIONS; EMBANKMENTS; UNDERGROUND OR UNDERWATER STRUCTURES
- E02D29/00—Independent underground or underwater structures; Retaining walls
- E02D29/02—Retaining or protecting wall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eramic Engineering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General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Paleontology (AREA)
- Mining & Mineral Resour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vironmental & Geological Engineering (AREA)
- Revetment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옹벽 블럭 평탄화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다수개가 적층되어 옹벽을 이루는 옹벽 블럭에 있어서, 적층되는 다수의 옹벽 블럭 상호간의 적층면이 고르지 못하여, 동일한 옹벽 블럭을 사용하더라도 제작되는 옹벽의 높이가 상이해지는 것을 방지하기 위하여, 옹벽 블럭의 적층면에 바이브레이터로 진동을 가해 평평한 면을 가지도록 하되, 다수의 옹벽 블럭이 순차적으로 평탄화 작업될 수 있도록 장치를 구성함으로써, 다수의 옹벽 블럭이 동일한 높이를 가지도록 하여 항시 일정한 높이의 옹벽 제작이 가능토록 한 옹벽 블럭 평탄화장치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본 발명은 옹벽을 구성하기 위한 옹벽 블럭 적층시, 상호간의 접촉면이 들뜨지않고 일치할 수 있도록, 옹벽 블럭을 평탄화시킬 수 있는 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하천이나 해안의 비탈면에 설치되는 옹벽은 안정된 경사면 보다는 급격한 비탈면의 불안정을 막기 위해 그 비탈면에 저항할 수 있는 구조물로써 흙의 무너짐을 막기 위한 구조이다.
즉 전방 측에 구조물을 설치하고 구조물의 뒷면에 모래, 자갈, 조약돌 등을 사용하여 뒷 채움을 한 후 충분한 다짐을 통해 토압에 대한 안정성을 확보할 수 있게 된다.
이러한 옹벽을 시공하는 방법으로는 통상 콘크리트를 일정한 블럭형태로 경화시켜 많이 사용하고 있으며, 상기 콘크리트 블럭을 사용하여 시공하는 옹벽은 설치구조에 따라 콘크리트 자체의 중량으로 지반의 붕괴를 방지하는 중력식 옹벽 및 반중력식 옹벽, T형 옹벽, L형 옹벽, 부벽식 옹벽 등과 같은 다양한 형태로 분류된다.
그러나 상기한 종래 콘크리트 블럭의 축조 공법에서, 콘크리트 블럭을 적층하거나 배열시, 동일한 형틀에서 제작된 콘크리트 블럭이라 할지라도, 그 높이가 미세하게 차이가 발생하게 되고, 더불어, 이렇게 제작되는 콘트리트 블럭의 경우, 콘트리트 경화시 평탄화작업을 해주지 않는 경우, 적층되는 콘트리트 블럭의 상, 하면이 매끄럽게 완전한 평면을 이루지 못하고 여러부위에서 돌출되는 부분이 생기는 상태로 경화되어, 콘트리트 블럭을 다수 적층했을 시, 접촉면에서의 돌출부위가 들뜨는 등 적층된 여러열의 콘크리트 블럭이 동일한 높이를 가지지 못하게 되는 큰 문제점이 있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서, 본 발명의 목적은 다수의 옹벽 블럭을 순차적으로 적층시켜 옹벽을 구성함에 있어서, 다수의 옹벽 블럭 상호간의 적층면이 평탄하지 못할 경우, 적층 후 옹벽이 사전설정된 높이로 제작되지 않기에, 콘트리트 타설 후 경화 전 단계인 양생단계에서 옹벽 블럭의 적층면 부분 전체를 바이브레이터로 진동을 가해, 돌출된 부분 없이 평평한 면이 될 수 있도록 한 옹벽 블럭 평탄화장치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 및 장점들은 하기에 설명될 것이며, 본 발명의 실시 예에 의해 알게 될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의 목적 및 장점들은 특허청구범위에 나타낸 수단 및 조합에 의해 실현될 수 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수단으로서, 경화하기 전 양생 단계의 옹벽 블럭(10); 상기 옹벽 블럭(10)의 상부면에 이격설치되어 상, 하 이동되는 판넬부(20); 상기 옹벽 블럭(10)과 접촉된 판넬부(20)에 지속적인 진동을 가함으로써, 옹벽 블럭(10)의 적층면(11)이 평탄화되도록 하는 바이브레이터(60); 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상에서 살펴본 바와 같이, 본 발명은 옹벽 블럭의 적층면을 손쉽게 평탄화시켜, 항시 동일한 높이를 가지는 옹벽 블럭을 다량 생산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옹벽 블럭을 적층하여 옹벽을 제작시, 항시 일정한 높이를 가지는 옹벽을 제공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은 다수의 옹벽 블럭을 손쉽고 효율적으로 평탄화 작업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옹벽 블럭의 평탄화작업이 자동화를 이룸으로써, 평탄화 작업을 위한 인건비 절감, 제작효율 증대, 제작시간 감축, 제작비용 절감 등의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옹벽 블럭의 높이에 구애받지 않고, 다양한 높이의 옹벽 블럭 평탄화에 사용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평탄화장치를 나타낸 일실시예의 일측 사시도.
도 2는 도 1의 타측 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평탄화장치 내 옹벽 블럭을 위치시키는 모습을 나타낸 일실시예의 사시도.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평탄화장치의 작동모습을 나타낸 일실시예의 정면도.
도 2는 도 1의 타측 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평탄화장치 내 옹벽 블럭을 위치시키는 모습을 나타낸 일실시예의 사시도.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평탄화장치의 작동모습을 나타낸 일실시예의 정면도.
본 발명의 여러 실시예들을 상세히 설명하기 전에, 다음의 상세한 설명에 기재되거나 도면에 도시된 구성요소들의 구성 및 배열들의 상세로 그 응용이 제한되는 것이 아니라는 것을 알 수 있을 것이다. 본 발명은 다른 실시예들로 구현되고 실시될 수 있고 다양한 방법으로 수행될 수 있다. 또, 장치 또는 요소 방향(예를 들어 "전(front)", "후(back)", "위(up)", "아래(down)", "상(top)", "하(bottom)", "좌(left)", "우(right)", "횡(lateral)")등과 같은 용어들에 관하여 본원에 사용된 표현 및 술어는 단지 본 발명의 설명을 단순화하기 위해 사용되고, 관련된 장치 또는 요소가 단순히 특정 방향을 가져야 함을 나타내거나 의미하지 않는다는 것을 알 수 있을 것이다.
본 발명은 상기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아래의 특징을 갖는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하도록 한다. 이에 앞서, 본 명세서 및 청구범위에 사용된 용어나 단어는 통상적이거나 사전적인 의미로 한정해서 해석되어서는 아니 되며, 발명자는 그 자신의 발명을 가장 최선의 방법으로 설명하기 위해 용어의 개념을 적절하게 정의할 수 있다는 원칙에 입각하여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부합하는 의미와 개념으로 해석되어야만 한다.
따라서, 본 명세서에 기재된 실시예와 도면에 도시된 구성은 본 발명의 가장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불과할 뿐이고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모두 대변하는 것은 아니므로, 본 출원시점에 있어서 이들을 대체할 수 있는 다양한 균등물과 변형 예들이 있을 수 있음을 이해하여야 한다.
이러한 본 발명의 일실시예를 살펴보면,
경화하기 전 양생 단계의 옹벽 블럭(10); 상기 옹벽 블럭(10)의 상부면에 이격설치되어 상, 하 이동되는 판넬부(20); 상기 옹벽 블럭(10)과 접촉된 판넬부(20)에 지속적인 진동을 가함으로써, 옹벽 블럭(10)의 적층면(11)이 평탄화되도록 하는 바이브레이터(60); 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판넬부(20)의 상부에 대향되어 이격설치되는 설치 판넬부(30); 상기 설치 판넬부(30)는 끼워져 고정되되, 상기 판넬부(20)는 상, 하 이동가능하게 관통설치되는 다수개의 가이드봉(40); 가 더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판넬부(20)를 상, 하 이동시키기 위한 작동부재(50)가 더 구비되되, 상기 작동부재(50)는 상기 설치 판넬부(30)에 실린더(52)가 고정설치되되, 내입 및 토출되는 피스톤(53)의 단부가 판넬부(20)에 고정되도록 설치되는 엑츄에이터부(51); 상기 엑츄에이터부(51)의 상, 하 유동방향을 제어하여 판넬부(20)를 작동시키는 유량제어수단(54); 상기 엑츄에이터부(51)에 제공되는 압력을 알 수 있도록 하는 게이지부(55); 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판넬부(20)의 최대 하강위치를 조절할 수 있는 조절부(70)가 더 구비되되; 상기 조절부(70)는 일단은 상기 설치 판넬부(30)에 고정되고, 타단은 판넬부(20)를 관통하여 상부로 돌출되는 다수의 조절봉(71); 상기 조절봉(71)의 돌출된 타단에 상, 하로 위치조절 가능하게 결합되는 걸림편(72); 으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옹벽 블럭(10)을 판넬부(20) 저면에 위치시키기 위한 이송부재(80)가 더 구비되되; 상기 이송부재(80)는 상기 판넬부(20)의 저면에 설치되어, 다수의 옹벽 블럭(10)이 순차적으로 판넬부(20)의 저면에 위치될 수 있도록, 다수의 옹벽 블럭(10)을 일방향으로 이송시키는 이송레일(82); 상기 이송레일(82)의 양측에 이격설치되어, 옹벽 블럭(10)이 올려진 이송판넬(81)의 이동방향을 가이드하는 가이드바(83); 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바이브레이터(60)는 유입되는 공압 또는 유압에 의해 상, 하로 이동되는 진동헤머가 내부에 설치되되, 유입되는 공압 또는 유압의 압력을 조절함으로써, 바이브레이터(60)의 진동력이 제어되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피스톤(53)의 단부에는 방진부재(56)가 설치되어, 상기 바이브레이터(60)의 진동이 엑츄에이터부(51)에 전달되지 않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하, 도 1 내지 도 4를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옹벽 블럭 평탄화장치를 상세히 설명하도록 한다.
도시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옹벽 블럭 평탄화장치(100)는 옹벽 블럭(10), 판넬부(20), 설치 판넬부(30), 가이드봉(40), 작동부재(50), 바이브레이터(vibrator, 60), 조절부(70), 이송부재(80)로 이루어진다.
상기 옹벽 블럭(10)은 본 발명에서 평탄화 작업(공정)의 대상물로써, 사전 설정된 옹벽 형틀에 콘크리트를 부어(타설) 만들어진 옹벽 블럭이며, 이러한 옹벽 블럭(10)은 다수개를 적층시킴으로써 옹벽을 형성하는 구조를 가진다.
본 발명에서 평탄화 작업을 시행하고자 하는 시험 대상의 옹벽 블럭(10)은 콘크리트를 부어 옹벽 블럭(10) 형상을 만든 후, 이러한 옹벽 블럭(10)이 경화(硬化)하기 전, 양생(養生)단계에 있는 옹벽 블럭(10)을 그 대상으로 한다.
즉, 콘크리트가 경화하기 전, 옹벽 블럭(10)에 후술될 바이브레이터(60)를 통해 적층면(11) 부분에 연속적인 진동을 가해 울퉁불퉁하고 평평하지 못한 적층면(11)을 평탄하게 만들고자 하는 것이기에, 옹벽 블럭(10)이 경화 전 단계에 있을 때, 이러한 평탄화 작업이 가능함은 당연할 것이다.
상기 판넬부(20)는 시험 대상이 되는 옹벽 블럭(10)의 상부에 대향되도록 위치되는 금속 판재 형상으로서, 지면과 수평을 이루되 상기 작동부재(50)에 의해 판넬부(20)의 상부에서 상, 하로 움직여 위치가 조절되는 것으로, 상기 옹벽 블럭(10)의 상면에 대응접촉된 후, 바이브레이터(60)의 진동에 의해 흔들리게 되고(진동발생), 이러한 진동을 옹벽 블럭(10)의 상면(적층면(11))에 전달하여, 상기 옹벽 블럭(10)의 상면이 평탄화되도록 하는 것이다.
상기 설치 판넬부(30)는 전술된 판넬부(20)의 상부에 대향되어 이격설치되는 금속 판재로서, 전술된 판넬부(20)를 상, 하로 위치이동시키기 위한 작동부재(50)가 상면에 설치되는 곳이다.
상기 가이드봉(40)은 전술된 판넬부(20)와 설치 판넬부(30)를 옹벽 블럭(10)의 상부에 위치될 수 있도록 하되, 상기 판넬부(20)가 상, 하 이동되는 방향을 가이드하는 것으로, 지면과 수평을 이루며 상호 대향설치된 판넬부(20)와 설치 판넬부(30)의 모서리 부분을 연속 관통하되, 지면에서 직립설치되는 형태를 가지는 것이다.
즉, 상기 판넬부(20)와 설치 판넬부(30)가 사각판재 형상을 가진다 가정할 경우, 사각판재의 각 4개의 모서리 부분에 4개의 가이드봉(40)이 각각 직립으로 관통되고, 이러한 가이드봉(40)의 하단이 고정됨으로써, 판넬부(20)와 설치 판넬부(30)가 상호간 수평을 이루며 이격배치될 수 있게 되는 것이다.
더불어, 이렇게 다수의 가이드봉(40)에 의해 상호간 대향되어 이격배치되는 판넬부(20) 및 설치 판넬부(30)의 경우, 상기 설치 판넬부(30)는 다수의 가이드봉(40)이 관통되어 끼워진 상태로 고정되어 유동되지 않도록 하며, 상기 판넬부(20)는 설치 판넬부(30)의 하단에서 각 모서리부분에 다수의 가이드봉(40)이 관통되어 있되, 상기 다수의 가이드봉(40)을 따라, 상, 하로 위치이동이 가능하게 설치되도록 한다. 이러한 설치 판넬부(30)의 상, 하 이동은 후술될 작동부재(50)에 의해 이루어지며, 이렇게 상, 하로 유동되는 설치 판넬부(30)의 하단에는 평탄화 작업공정의 대상이 되는 옹벽 블럭(10)이 위치되도록 한다.
상기 작동부재(50)는 전술된 설치 판넬부(30)를 상, 하로 유동시키기 위한 것으로, 엑츄에이터부(51), 유량제어수단(54), 게이지부(55)로 이루어진다.
상기 엑츄에이터부(51)는 실린더(52) 및 상기 실린더(52)의 내부로 내입되거나 외부로 토출되는 피스톤(53)으로 이루어지는 것으로, 이러한 엑츄에이터부(51)의 실린더(52)는 설치 판넬부(30)의 상부에 고정설치되되, 상기 피스톤(53)은 설치 판넬부(30)를 관통하여 설치 판넬부(30)의 하단에 이격설치되어 있는 판넬부(20)의 상면에 고정설치된다. 이로써, 상기 엑츄에이터부(51)가 작동되어 피스톤(53)이 상승하게 되면, 피스톤(53)의 상승에 의해 판넬부(20) 또한 다수의 가이드봉(40)을 따라 상부로 들려지게 되고, 상기 피스톤(53)의 하강하게 되면, 판넬부(20) 또한, 다수의 가이드봉(40)을 따라 하부로 하강하게 되는 것이다. 본 발명에서는 이러한 상기 엑츄에이터부(51)를 상호간 이격시켜 복수개 사용하였지만, 이러한 사용개수는 사용자의 실시예에 따라 다양하게 조절 가능할 것이다. 또한, 판넬부(20)에 고정되는 피스톤(53)의 단부에는 충진재(고무 등) 등으로 이루어진 방진부재(56)가 설치되어, 후술될 바이브레이터(60)의 진동이 판넬부(20)에 전달될 시, 이러한 진동이 방진부재(56)를 통해 엑츄에이터부(51)에 전달되지 않도록 한다.
상기 유량제어수단(54)은 전술된 설치 판넬부(30)의 상부에 설치되어 엑츄에이터부(51)에 연결호스로 연결되는 것으로, 상기 엑츄에이터부(51)에 공압 또는 유압을 공급하되, 공급되는 유입방향을 제어하여, 상기 엑츄에이터부(51) 내 피스톤(53)이 상승 또는 하강될 수 있도록 하는 것이다. (ex: 엑츄에이터부(51)가 직립설치되어 있고, 피스톤(53)이 하단에서 내입/토출되는 형태일 경우, 상기 엑츄에이터부(51)의 상단 내부로 유압 또는 공압을 공급하면 피스톤(53)은 하강하면서 토출되고, 엑츄에이터부(51)의 하단 내부로 유압 또는 공압을 공급하면 피스톤(53)은 상승하면서 엑츄에이터부(51) 내부로 내입되는 형태) 즉, 이러한 상기 유량제어수단(54)(ex: 유량제어밸브)에 의해 피스톤(53)의 승, 하강이 결정되고, 이는 결국 피스톤(53)과 연결되어 있는 판넬부(20)를 승, 하강 작동이 결정되는 것이다.
상기 게이지부(55)는 전술된 설치 판넬부(30)의 상부 또는 측면에 설치되는 것으로(ex: 압력센서 등), 상기 유량제어수단(54) 또는 엑츄에이터부(51)에 연결되어, 엑츄에이터부(51)에 공급되는 유압 또는 공압의 압력을 외부에서 게이지로 확인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이다.
상기 바이브레이터(60)는 전술된 판넬부(20)의 상면에 설치되는 것으로 판넬부(20)에 연속적으로 진동을 가하는 역할을 한다.
즉, 상기 바이브레이터(60)는 상, 하단 각각에 외부로부터 압축된 유압 또는 공압이 교번으로 유입 및 토출되면서, 내부에 있는 진동헤머를 상, 하로 왕복시키면서 진동헤머가 바이브레이터(60)의 하단에 부딪히며 진동을 가하도록 하는 것이다.
즉, 상기 바이브레이터(60)에서 가해지는 진동은 판넬부(20) 전체에 전달이 되어 판넬부(20)가 미세하게 흔들리게(진동) 된다. 즉, 상기 판넬부(20)가 사전에 하강되어 옹벽 블럭(10)의 상부면(다른 옹벽 블럭이 적층되는 적층면(11))에 접촉되어 있는 상태에서, 판넬부(20)가 바이브레이터(60)의 진동에 의해 흔들리게 되면, 진동에 의해 떨리게 되는 판넬부(20)가 옹벽 블럭(10)의 상부면에 접촉된 상태에서 옹벽 블럭(10)의 고르지 못한 상부면을 충격을 가하게 되고, 이에 옹벽 블럭(10) 상부면에서 돌출된 부분들은 눌리면서 옆으로 퍼지게 되어, 상기 옹벽 블럭(10)이 점진적으로 판넬부(20)의 저면과 동일하게 평평한 평탄면을 가지게 되는 것이다.
더불어, 이러한 상기 바이브레이터(60)는 바이브레이터(60)에 입력되는 유압 또는 공압의 압력을 조절함으로써, 상기 바이브레이터(60)의 진동력의 세기 및 진동횟수 등이 제어될 수 있도록 한다.
상기 조절부(70)는 전술된 판넬부(20)의 최대 하강위치를 조절할 수 있도록 하는 것으로, 조절봉(71), 걸림편(72)으로 이루어진다.
상기 조절봉(71)은 일단이 전술된 판넬부(20)의 상부면에 고정설치되되, 타단은 설치 판넬부(30)에 고정되지 않고 관통하여, 상기 설치 판넬부(30)의 상부로 돌출되는 형태를 가짐으로써, 직립설치되는 형상을 가진다. 이러한 상기 조절봉(71)의 외주연에는 길이방향을 향해 숫나사산이 형성되어 있도록 한다.
상기 걸림편(72)은 전술된 조절봉(71)의 타단, 더욱 자세히는 설치 판넬부(30)의 상부로 돌출되어 있는 조절봉(71)의 타단 외주연에 결합되어 있는 것으로, 내주연에는 조절봉(71)의 숫나사산과 대응되며 나사체결가능한 암나사산이 형성되는 너트 형상을 가지도록 함으로써, 상기 걸림편(72)이 조절봉(71)의 길이방향을 따라 상, 하 이동되며 고정될 수 있도록 하는 것이다. 이로써, 상기 걸림편(72)을 사용자가 사전에 소정위치에 단일개 또는 다수개를 연속해서 끼운 후 고정시켜놓으면 되는 것이다. 즉, 전술된 작동부재(50)에 의해 판넬부(20)가 하강되면, 조절봉(71) 또한 하강되는 판넬부(20)에 의해 일단이 고정되어 있는 형태이기에 하강하게 되지만, 사전에 고정시켜 놓은 조절봉(71) 타단의 걸림편(72)이 설치 판넬부(30)의 상면에 걸리게 설치 판넬부(30)는 그 이상 하강되지 않게 되는 것으로, 결국 조절부(70)에서 조절봉(71)에 설치한 걸림편(72)의 위치를 통해 판넬부(20)의 최대 하강위치를 조절할 수 있게 되는 것이다.
상기 이송부재(80)는 전술된 옹벽 블럭(10)을 판넬부(20)의 하단에 위치시키고자 하는 것으로, 이송레일(82), 이송판넬(81), 가이드바(83)로 이루어진다.
상기 이송판넬(81)은 평탄화 작업을 시행하고자 하는 양생단계의 옹벽 블럭(10)이 올려지는 곳으로, 사용자에 따라 다수개의 옹벽 블럭(10)이 상호간 이격되어 연속배열되도록 할 수 있다.
상기 이송레인은 상기 판넬부(20)의 저면을 통과하는 형태로 설치되어, 전술된 이송판넬(81)을 판넬부(20)의 저면에 대향되도록 위치시키고, 평탄화가 완료된 옹벽 블럭(10)은 일방향으로 이송시켜 배출시키는 역할을 하는 것이다.
상기 가이드바(83)는 전술된 이송레인의 양측에 길이방향으로 설치되어, 일방향으로 이송되는 이송판넬(81)의 양측을 가이드할 수 있도록 하여, 이송판넬(81)이 이송레일(82)에서 이탈되지 않고 이송레일(82)을 따라 이송판넬(81)이 일방향으로 이송될 수 있도록 이송방향을 가이드하는 것이다.
더불어, 본 발명에서 사용된 엑츄에이터부(51) 및 바이브레이터(60)에 유압 또는 공압을 공급하기 위한 유압(또는 공압)탱크, 유압(또는 공압)탱크 내 유압 및 공압을 이송시키기 위한 펌핑수단(ex: 모터펌프 등)이 구비되어 있어야 함은 당연할 것이며, 상기 이송레일 또한 별도의 모터(M)와 동력전달하게 연결되어 회전이 구동이 될 수 있도록 해야 함은 당연하다.
또한, 본 발명에서는 이송레일(82)의 경우 다수의 옹벽 블럭(10)이 판넬부(20)의 하단에 대응될 시 멈추고, 평탄화가 완료되면 일방향으로 이송시켜 또 다른 옹벽 블럭(10)을 판넬부(20)의 하단에 대응시킨 후 이송레일(82)의 작동을 멈추는 등의 작동 및 엑츄에이터부(51) 승, 하강 작동 및 바이브레이터(60)의 작동 유무, 엑츄에이터부(51) 및 바이브레이터(60)에 공급되는 유압 또는 공압의 압력을 제어하는 제어부가 더 구비되어 있을 수 있음이다.
이상과 같이, 본 발명은 비록 한정된 실시예와 도면에 의해 설명되었으나, 본 발명은 이것에 의해 한정되지 않으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본 발명의 기술 사상과 아래에 기재될 특허청구범위의 균등범위 내에서 다양한 수정 및 변경이 가능함은 물론이다.
10: 옹벽 블럭 11: 적층면
20: 판넬부 30: 설치 판넬부
40: 가이드봉 50: 작동부재
51: 엑츄에이터부 52: 실린더
53: 피스ㅌ논 54: 유량제어수단
55: 게이지부 56: 방진부재
60: 바이브레이터 70: 조절부
71: 조절봉 72: 걸림편
80: 이송부재 81: 이송판넬
82: 이송레일 83: 가이드바
20: 판넬부 30: 설치 판넬부
40: 가이드봉 50: 작동부재
51: 엑츄에이터부 52: 실린더
53: 피스ㅌ논 54: 유량제어수단
55: 게이지부 56: 방진부재
60: 바이브레이터 70: 조절부
71: 조절봉 72: 걸림편
80: 이송부재 81: 이송판넬
82: 이송레일 83: 가이드바
Claims (7)
- 경화하기 전 양생 단계의 옹벽 블럭(10);
상기 옹벽 블럭(10)의 상부면에 이격설치되어 상, 하 이동되는 판넬부(20);
상기 옹벽 블럭(10)과 접촉된 판넬부(20)에 지속적인 진동을 가함으로써, 옹벽 블럭(10)의 적층면(11)이 평탄화되도록 하는 바이브레이터(60);
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옹벽 블럭 평탄화장치.
-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판넬부(20)의 상부에 대향되어 이격설치되는 설치 판넬부(30);
상기 설치 판넬부(30)는 끼워져 고정되되, 상기 판넬부(20)는 상, 하 이동가능하게 관통설치되는 다수개의 가이드봉(40);
가 더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옹벽 블럭 평탄화장치.
-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판넬부(20)를 상, 하 이동시키기 위한 작동부재(50)가 더 구비되되,
상기 작동부재(50)는
상기 설치 판넬부(30)에 실린더(52)가 고정설치되되, 내입 및 토출되는 피스톤(53)의 단부가 판넬부(20)에 고정되도록 설치되는 엑츄에이터부(51);
상기 엑츄에이터부(51)의 상, 하 유동방향을 제어하여 판넬부(20)를 작동시키는 유량제어수단(54);
상기 엑츄에이터부(51)에 제공되는 압력을 알 수 있도록 하는 게이지부(55);
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옹벽 블럭 평탄화장치.
-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판넬부(20)의 최대 하강위치를 조절할 수 있는 조절부(70)가 더 구비되되;
상기 조절부(70)는
일단은 상기 설치 판넬부(30)에 고정되고, 타단은 판넬부(20)를 관통하여 상부로 돌출되는 다수의 조절봉(71);
상기 조절봉(71)의 돌출된 타단에 상, 하로 위치조절 가능하게 결합되는 걸림편(72);
으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옹벽 블럭 평탄화장치.
-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옹벽 블럭(10)을 판넬부(20) 저면에 위치시키기 위한 이송부재(80)가 더 구비되되;
상기 이송부재(80)는
상기 판넬부(20)의 저면에 설치되어, 다수의 옹벽 블럭(10)이 순차적으로 판넬부(20)의 저면에 위치될 수 있도록, 다수의 옹벽 블럭(10)을 일방향으로 이송시키는 이송레일(82);
상기 이송레일(82)의 양측에 이격설치되어, 옹벽 블럭(10)이 올려진 이송판넬(81)의 이동방향을 가이드하는 가이드바(83);
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옹벽 블럭 평탄화장치.
-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바이브레이터(60)는
유입되는 공압 또는 유압에 의해 상, 하로 이동되는 진동헤머가 내부에 설치되되, 유입되는 공압 또는 유압의 압력을 조절함으로써, 바이브레이터(60)의 진동력이 제어되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옹벽 블럭 평탄화장치.
- 제 3항에 있어서,
상기 피스톤(53)의 단부에는 방진부재(56)가 설치되어, 상기 바이브레이터(60)의 진동이 엑츄에이터부(51)에 전달되지 않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옹벽 블럭 평탄화장치.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20024298A KR101332856B1 (ko) | 2012-03-09 | 2012-03-09 | 옹벽 블럭 평탄화장치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20024298A KR101332856B1 (ko) | 2012-03-09 | 2012-03-09 | 옹벽 블럭 평탄화장치 |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130103009A true KR20130103009A (ko) | 2013-09-23 |
KR101332856B1 KR101332856B1 (ko) | 2013-11-27 |
Family
ID=4945251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120024298A KR101332856B1 (ko) | 2012-03-09 | 2012-03-09 | 옹벽 블럭 평탄화장치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1) | KR101332856B1 (ko) |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1474681B1 (ko) * | 2014-02-07 | 2014-12-18 | 송의섭 | 유로폼용 판넬 재생장치 |
CN104588443B (zh) * | 2015-01-28 | 2017-01-18 | 中国重型机械研究院股份公司 | 一种步进式压平装置 |
CN104842444A (zh) * | 2015-05-27 | 2015-08-19 | 中国工程物理研究院化工材料研究所 | 用于干压大尺寸激光透明陶瓷生坯的粉体抚平装置 |
Family Cites Families (4)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JPH0365304A (ja) * | 1989-08-03 | 1991-03-20 | Toto Ltd | 衛生陶器の泥漿加圧鋳込み成形装置 |
JP2522180Y2 (ja) * | 1990-10-24 | 1997-01-08 | 株式会社テクノクリート | コンクリート二次製品製造用底面仕上げ機 |
JP2820100B2 (ja) | 1996-02-09 | 1998-11-05 | 株式会社ケイ | 高精度ブロック及びその製造方法 |
KR100493198B1 (ko) * | 2002-03-07 | 2005-06-07 | 이춘오 | 건축용 패널 제조장치 |
-
2012
- 2012-03-09 KR KR1020120024298A patent/KR101332856B1/ko not_active IP Right Cessation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101332856B1 (ko) | 2013-11-27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KR101605534B1 (ko) | 적층양생식 pc구조물 생산장치 | |
KR101332856B1 (ko) | 옹벽 블럭 평탄화장치 | |
US11041281B1 (en) | Method to produce a wetcast revetment mat | |
US8720160B1 (en) | Process for forming concrete walls and other vertically positioned shapes | |
CN110106858B (zh) | 重量可调节的夯实装置 | |
CN103538139A (zh) | 混凝土预制件生产系统及其振动装置 | |
CN106272951A (zh) | 组合模具预制混凝土墙板技术 | |
CN106593468A (zh) | 隧洞仰拱混凝土衬砌滑模及施工方法 | |
CN103231432A (zh) | 全自动新型抗震砌体成型机及其实现方法 | |
CN109184260B (zh) | 带筏板建筑物的滑移施工技术 | |
KR101223743B1 (ko) | 콘크리트 내의 기포제거장치 | |
KR101044746B1 (ko) | 경계석 받침과 측구를 포함하는 도로와 조경 구조물 시공을 위한 진동 스크리드 및 이를 이용한 구조물 시공 방법 | |
CN203878872U (zh) | 一种楼板钢筋支撑马凳 | |
CN113123611A (zh) | 一种装配式混凝土预制件安装加固方法 | |
CN210439109U (zh) | 一种路面桥面夯实装置 | |
CN205444946U (zh) | 一种预制件定位调整装置 | |
CN206986683U (zh) | 一种透水混凝土路面振动碾压机 | |
CN207224204U (zh) | 一种多孔页岩砖成型装置 | |
CN216543822U (zh) | 一种装配式pc墙板生产装置 | |
CN206245188U (zh) | 路肩成形滑模模具 | |
CN213563178U (zh) | 一种用于芯板粘连的冷压装置 | |
KR101314170B1 (ko) | 탑사일로시공방법 | |
CN110792100B (zh) | 箱型伸缩内模伸缩架安装、校正母模 | |
CN209468055U (zh) | 一种压力铸造系统及其压力铸造搬运起重机 | |
CN209566278U (zh) | 石英石板材成型压机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A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E902 |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 ||
E701 |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 ||
GRNT | Written decision to grant | ||
LAPS |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