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30101717A - 보호용 투명 다층 필름 - Google Patents

보호용 투명 다층 필름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30101717A
KR20130101717A KR1020120022662A KR20120022662A KR20130101717A KR 20130101717 A KR20130101717 A KR 20130101717A KR 1020120022662 A KR1020120022662 A KR 1020120022662A KR 20120022662 A KR20120022662 A KR 20120022662A KR 20130101717 A KR20130101717 A KR 20130101717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uffer layer
film
layer
buffer
ai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2002266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시환
Original Assignee
김시환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시환 filed Critical 김시환
Priority to KR1020120022662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30101717A/ko
Publication of KR2013010171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30101717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5/00Layered products characterised by the non- homogeneity or physical structure, i.e. comprising a fibrous, filamentary, particulate or foam layer; Layered products characterised by having a layer differing constitutionally or physically in different parts
    • B32B5/18Layered products characterised by the non- homogeneity or physical structure, i.e. comprising a fibrous, filamentary, particulate or foam layer; Layered products characterised by having a layer differing constitutionally or physically in different parts characterised by features of a layer of foamed material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5/00Layered products characterised by the non- homogeneity or physical structure, i.e. comprising a fibrous, filamentary, particulate or foam layer; Layered products characterised by having a layer differing constitutionally or physically in different parts
    • B32B5/22Layered products characterised by the non- homogeneity or physical structure, i.e. comprising a fibrous, filamentary, particulate or foam layer; Layered products characterised by having a layer differing constitutionally or physically in different parts characterised by the presence of two or more layers which are next to each other and are fibrous, filamentary, formed of particles or foamed
    • B32B5/32Layered products characterised by the non- homogeneity or physical structure, i.e. comprising a fibrous, filamentary, particulate or foam layer; Layered products characterised by having a layer differing constitutionally or physically in different parts characterised by the presence of two or more layers which are next to each other and are fibrous, filamentary, formed of particles or foamed at least two layers being foamed and next to each other
    • CCHEMISTRY; METALLURGY
    • C09DYES; PAINTS; POLISHES; NATURAL RESINS; ADHESIVES; COMPOSI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S OF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C09JADHESIVES; NON-MECHANICAL ASPECTS OF ADHESIVE PROCESSES IN GENERAL; ADHESIVE PROCESSES NOT PROVIDED FOR ELSEWHERE; USE OF MATERIALS AS ADHESIVES
    • C09J7/00Adhesives in the form of films or foils
    • C09J7/20Adhesives in the form of films or foils characterised by their carriers
    • C09J7/22Plastics; Metallised plastics
    • C09J7/26Porous or cellular plastic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307/00Properties of the layers or laminate
    • B32B2307/40Properties of the layers or laminate having particular optical properties
    • B32B2307/412Transparent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307/00Properties of the layers or laminate
    • B32B2307/50Properties of the layers or laminate having particular mechanical properties
    • B32B2307/56Damping, energy absorption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Laminated Bodi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투과도가 85 % 이상인 완충층은 필름형태로 제작되어 상기 필름의 두께가 20 마이크로 미터(㎛) 이상이고, 상기 완충층 내부에 공기가 존재할 수 있는 영역이 존재하므로서, 휴대용 디스플레이 장치, 혹은 휴대용 디스플레이 보호판, 혹은 휴대용 디스플레이 입력장치를 충격에서 보호하는 효과를 더 높일 수 있도록 하여, 외부 충격에서 휴대용 디스플레이 장치를 더 보호할 수 있게 되므로서, 디스플레이 장치가 파손되는 것을 막을 수 있게 한다.

Description

보호용 투명 다층 필름{The transparent multi layer film for the protection.}
본 발명은 내충격성이 우수한 보호용 투명 다층 필름에 관한 것으로서, 투명한 특징을 요구하는 기판에 부착하여 외부 충격을 흡수하여 보호하도록 하며, 원래의 기판을 더 잘 보호하도록 하는 투명 다층 필름에 관한 것이다.
근래, 디스플레이 장치는 액정 디스플레이 장치(LCD)나 OLED 같은 평면 디스플레이 장치로 변경되고 있는 추세이다. 그리고, 상기 디스플레이 장치는 휴대성을 강조하는 모바일 기기에 응용하므로서, 얇고 가볍게 만들어져야 하는 특징을 가진다.
그리고, 상기와 같은 OLED나 LCD와 같은 디스플레이 장치의 패널은 그 특성으로 인하여 충격에는 상당히 취약한 구조를 가지고, 형태도 평면적이기 때문에 외부에서 일정 수준 이상의 충격이 가해지면 디스플레이 장치가 파손될 우려가 있다.
이러한 문제를 극복하기 위하여 종래에는 반강화 유리에 여러가지 기능성 필름을 부착한 유리 타입 필터 등이 개발되어 사용되었다. 그러나, 이와 같이 반강화 유리를 사용하는 것은 투과도를 중요시 하는 디스플레이 장치 에서는 좋은 방법이 되지 못하고 있다. 투과도를 저하시키기 때문이다.
따라서, 휴대용 디스플레이 장치 혹은 휴대용 디스플레이 보호판도 외부 충격을 보호하기 위한 특별한 방법이 제시되어야 하지만, 종래의 기술(대한민국 공개 특허 : 10-2005-0100233)은 방탄 유리 등에 제시된 방법은 충분하여도 디스플레이에 제시된 방법은 부족한 실정이다.
또한, 충격 흡수 필름(대한민국 공개 특허 : 10-2009-0068653)에 대한 기술도 개발되어 있으나, 투명하면서도 휴대용 디스플레이 장치에 적용하기에는 한계가 있는 실정이다.
따라서, 본 발명은 휴대용 디스플레이 장치 외부에 부착하여, 충격으로부터 보호하지만 투명한 성질도 유지되는 보호용 투명 다층 필름을 제공하는 것을 그 목적으로 한다.
상기 목적은, 투과도가 85 % 이상인 완충층은 필름형태로 제작되어 상기 필름의 두께가 20 마이크로 미터(㎛) 이상이고, 상기 완충층 내부에 공기가 존재할 수 있는 영역이 존재하므로서 달성된다.
그리고, 상기 완충층 내부에 공기가 존재할 수 있는 영역이 기포 형태로 되어 있을 경우 세변이 모두 500 ㎛ 인 육면체에서 상기 기포가 1 개 이상 2000 이내로 포함되고, 상기 완충층에서 공기가 존재할 수 있는 영역을 만들기 위해 상기 완충층에 패턴을 형성하며, 상기 완충층은 최소 10 % 이상 최대 70 % 이내이다.
또한, 상기 완충층에 공기가 존재하지 않은 완충층이 부착될 수 있고, 상기 완충층 하단에 분리되는 보호 필름이 부착될 수 있으며, 상기 완충층과 분리되는 보호필름 사이에는 상기 두층의 분리가 가능한 접착재가 코팅되어 있다.
또한, 상기 완충층은 적어도 2 층 이상의 다층으로 되어 있다.
본 발명에 따르면, 휴대용 디스플레이 장치, 혹은 휴대용 디스플레이 보호판, 혹은 휴대용 디스플레이 입력장치를 충격에서 보호하는 효과를 더 높일 수 있도록 하여, 외부 충격에서 휴대용 디스플레이 장치를 더 보호할 수 있게 되므로서, 디스플레이 장치가 파손되는 것을 막을 수 있게 한다.
도 1은 충격 완충 필름과 보호필름을 일체로 한 실시예의 도면이다.
도 2는 다양한 코팅층이 형성된 실시예의 도면이다.
도 3은 기포의 분포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4는 일정 패턴을 형성한 실시예의 도면이다.
도 5는 흡수층 패턴의 또 다른 실시예의 도면을 나타낸다.
도 6은 베이스 필름을 형성한 실시예의 도면이다.
도 7은 분리가 가능한 보호필름을 형성한 실시예의 도면이다.
도 8은 다층 기판을 형성한 실시예의 도면이다.
도 9 내지 도 11은 층 내에 미세 부분의 규격을 나타낸 실시예의 도면이다.
이하,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보호용 투명 다층 필름에 대해 상세히 설명한다.
즉, 본 발명의 필름은 하나 이상의 다층 필름으로 이루어지며, 상기 다층 필름 중에서는 일부가 투명하면서도 충격을 방지하는 필름으로 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의 충격 보호 필름은 충격을 완충하는 기능을 가진 것으로서, 상기 충격 완충 필름이 다양한 기능을 가진 다른 필름과 일체로 사용될 수 있음은 당연하다. 즉 충격 완충 필름에 다양한 기능성 필름을 결합할 수가 있다는 것이다.
- 실시예 1 -
본 발명에서는 투명하면서도 충격 완충이 가능한 필름을 제조하기 위한 재료소서 우레탄계열, 우레탄아크릴레이트계열, 아크릴계열, 실리콘계열, 고무계열 등 이나 감압성 점착제(PSA)이 사용될 수 있으며, 보다 정확하게는 실리콘 고무(Silicon Rubber), 아크릴계 공중합체 등을 사용할 수가 있다. 그러나 이에 한정된 재료만을 사용할 수 있는 것은 아니고, 투명하면서도 충격을 완충 시킬 수 있는 소재는 다양하게 사용될 수 있음은 당연하다.
또한, 상기의 충격 완충층으로는 반복되는 뒤틀림 하중을 가하고 상기 하중에 의한 전단응력의 주기를 1Hz로 가 하였을 때 모듈러스(modulus) G'가 105∼108 (100,000∼100,000,000) 사이에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감압성 점착제는, Tg가 60도 이상인 경성 아크릴계 조성물 0 ∼ 30 중량부와 Tg가 0도 이하인 연성 아크릴계 조성물 70 ∼ 100 중량부와 여기에 가교제로서 함량이 1 ∼ 20 중량부를 포함한 것을 사용할 수 있는데, 여기서 사용되는 가교제의 종류의 예로는 디아크릴레이트, 트리아크릴레이트, 테트라아크릴레이트 및 관능기가 2개 이상인 이소시아네이트계, 관능기가 2개 이상인 에폭시계를 들 수 있다.
또한, 상기 경성 아크릴레이트로는 아크릴산(acrylicacid), 메타크릴레이트(methacrylate) 등을 들 수 있으며 연성 아크릴레이트로계는 2 에틸 헥실 아크릴레이트(2 ethyl hexyl acrylate), 부틸아크릴레이트 (butylacrylate), 이소-옥틸아크릴레이트(iso-octylacrylate) 등이 있다.
상기 점착제를 제조하기 위한 중합 개시제는 벤조페논(benzophenone)계와 같은 광개시제를 사용한다. 광개시제 는 상술한 감압성 점착제용 조성물에 대하여 필요한 양 만큼 소량 사용할 수 있으며, 그 양은 통상의 중합개시제의 사용량으로부터 용이하게 유추하여 사용할 수 있다. 다만, 상기 광개시제는 경질 아크릴 + 연질 아크릴 +가교제를 합한 양을 100중량부로 하였을 때 0.1∼3 중량부 포함되는 것이 특히 바람직하다.
물론, 상기 조성물은 하나의 예시이다. 투명하면서도 충격을 흡수하여 완충 시킬 수 있는 조성물은 다양하게 사용될 수 있음은 당연하다. 이때, 본 발명에서 투명하다고 하는 것은 적어도 투과도가 85% 이상은 되는 것을 의미한다. 투명한 성질을 요하는 제품에 적용하기 때문이다.
빛의 투과도 측정은 파장별 빛의 스펙트럼을 감지할 수 분광 광도계를 사용하거나 일반 광도계를 사용하여 얼마든지 측정이 가능하다. 즉 공기중에 빛의 감도와 필름을 설치한 다음의 빛의 감도를 비교하는 것이다.
그리고, 상기 소재를 사용하여 투명 필름을 만들 때, 그 두께는 20㎛ 이상인_것이 바람직하다. 물론 그이상이 두께도 가능한은 물론이다, 그리고, 상기 충격흡수 층은 반드시 하나의 층으로 사용하는 것을 의미하지는 않는다. 적어도 두층 이상으로 사용할 수도 있다.
또한, 상기 소재로 만든 충격을 완충 시키기 위한 층을 상기 두께로 만들어 Asker C 경도계로 측정하였을 경우, 그 값은 20∼120이 된다. 만일, 상기 충격흡수층의 경도가 너무 낮을 경우에는 눌림 및 복원특성이 좋지 않아 불리하고 반대로 충격흡수층의 경도가 너무 높을 경우에는 충격흡수 능력이 미약하여 좋은 특성을 가지기가 어렵다.
- 실시예 2 -
도 1은 충격 완충 필름과 보호필름을 일체로 한 실시예의 도면이다.
본 발명의 충격 완충 필름(50)은 외부의 충격에 제품을 보호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기 때문에, 보호하고자 하는 제품의 외부에 부착할 수 있게 된다. 따라서, 본 발명의 충격 흡수 층이 외부에 위치하게 될 경우에 대해, 충격 완충 필름에 보호필름(60)을 일체형으로 할 수 있을 필요가 있게 된다.
그리고, 도 1은 이러한 경우의 실시예의 도면인 것이다. 그리고, 보호필름(60)은 충격 완충 필름(50)(혹은 충격흡수 층)과 마찬가지로 투명한 재질을 사용할 수 있지만, 경도면에서는 충격 완충 필름(50) 보다 커야 한다. 그리고 그 값은 30% 정도 더 큰 값으로 함을 특징으로 한다. 그러나 무한정 클 수는 없으며 보호필름의 경도가 5배 이상일 수는 없다.
예를들어, 충격 완충 필름(50)이 Asker C 경도계로 50 인 값을 사용할 경우, 보호필름(60)은 65 이상이어야 한다는 것이다. 아울러, 상기 보호 필름은 그 재질이 PET, Polycarbonate, PMMA, Acryl, PEN 등으로 될 수 있음은 당연하다. 즉 통상적으로 사용되는 투명 필름은 사용이 가능하다.
도 2는 다양한 코팅층이 형성된 실시예의 도면이다.
반드시 필요한 경우는 아니지만, 보호필름 상단에 또 다른 다양한 코팅층(61)이 더 형성될 수 있음은 당연하다.
그리고, 상기 코팅층은 빛 반사를 줄이기 위한 기능을 위한 Non-glare 코팅 층일 수도 있고, 스크래치(Scratch) 방지를 위한 하드 코팅층일 수도 있다. 즉, 본 발명의 완충 필름(50)은 그 상단에 보호 필름(60)을 구비할 수 있고, 또한 상기 보호필름 위해 빛 방사 방지 혹은 스크래치 장지를 위한 다양한 기능을 가진 기능성 필름층(61)을 더 형성할 수 있다는 것이다.
또한, 본 발명에서 하드 코팅이나 난 그래어 층을 사용할 경우 통상의 모든 방법을 사용할 수 있음은 당연하다. 단지 본 발명의 예시를 위해서는 하드 코팅 층은 산화규소 층으로 형성할 수 있고, 난 그래어 층은 굴절률이 다른 작은 입자를 형성하여 난 반사를 일으키거나 표면에 산란도를 증가 시키는 층을 사용할 수 있다는 것이다.
물론 당연한 이야기 이지만, Non-glare 층과 하드 코팅층을 모두 사용할 수 있음은 당연하다.
그리고, 본 발명이 필름 층을 형성하는 것이므로 각각이 필름층의 두께가 한정될 필요는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충격 완충 필름(50) 층의 두께는 20 ㎛ 이상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물론 너무 두꺼우면 그 효과가 떨어지므로 그 두께는 300㎛가 되는 것이 적당하다.
그리고, 보호 필름의 두께는 충격 흡수 필름의 0.2배 이상 2배 이하가 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즉, 아무리 두꺼워도 0.6㎜를 넘을 정도로 두꺼우면 필름층으로서 큰 의미가 없어지기 때문이다. 한편, 그외 기타 층의 경우는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통상의 두께를 기준으로 한다.
- 실시예 3 -
본 발명에서는 충격 완충 필름의 충격 흡수 기능을 더 강화하기 위해, 충격 완충 필름 층에 기포를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기포의 특징은 작을수록 좋을 수 있지만 너무 작으면 효과가 적을 수도 있다.
즉, 완충층에 공기가 존재할 수 있는 영역이 존재하게 된다.
따라서, 한 개 기포의 크기는 0.01 1㎛ 이상에서 5 ㎛ 이내가 적당하다. 그리고, 정밀하게 기포가 존재할 경우에는 1㎛ 이하의 미세 기포를 ㎜3 당 100개 이하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미세 기포를 제조하는 한 실시예의 방법으로는, Acryl계 모노머와 가교제를 포함하는 재료에 N2(g), 또는 Ar(g)를 분산시키기 위해서는 0.5중량% 이하의 계면활성제와 고압균질기를 통한 분산이 가능하다.
계면활성제 함량이 0.5중량%를 넘을경우, 고온 또는 고습의 환경에서 접착력등의 내구성이 감소하여, 제품불량이 발생할 수 있다. 고압균질기는 고압에서 상압으로 분산시키는 형태로 식료품, 화장품의 분산에 주로 사용되고 있다. 상기 고압균질기의 예로서는 알파테크(Alphatech)사의 HS1004를 들 수 있다.
또한, 도 3은 기포의 분포를 나타낸 도면이다. 충격 흡수 필름에 존재하는 기포(51)의 분포를 나타내기 위해서 다양한 방법이 제시될 수 있지만, 보편적 방법을 사용할 수 있다.
즉, 보호필름의 일정한 체적을 기준으로 할 때, 보호필름(50)을 육면체로 만들었음을 가정하면, L1, L2, L3 와 같이 세 개의 변의 길이가 주어진다. 그리고, 각각 상기 세변의 길이가 모두 500 ㎛ 인 육면체의 체적 안에 기포(51)가 적어도 1 개 이상 포함될 수 있다. 그리고 최대로는 상기 육면체 체적 안에 2,000 개 정도가지 가능할 수 있다. 물론 기포의 크기에 따라 그 비율은 다를 수도 있다.
따라서 체적 비율로 고려해 볼수 있다. 예를들어, 지름이 2㎛ 이고, 공 모양으로 가정한 기포(51)의 체적 공식은 "V= (4/3)(파이)(반지름)3 이게 된다. 따라서 기포 하나의 체적은 4.18㎛3 이 된다. 또한 지름이 1㎛ 인 경우 기포의 체적은 0.523 ㎛3 이 된다.
즉, 세변의 길이가 모두 500 ㎛ 인 육면체의 체적에 기포이 최적은 최소 4.18㎛3 혹은 0.523 ㎛3 이상일 수가 있다. 그리고, 또한 2,090㎛3(4.18 X 500) 혹은 261.5㎛3(0.523 X 500) 일 수 있다.
- 실시예 4 -
도 4는 일정 패턴을 형성한 실시예의 도면이다.
패턴을 형성하므로서, 완충층에 공기가 존재할 수 있는 영역이 존재하게 된다.
도 4의 (A)에서처럼, 스트립(Stripe) 완충층(52) 형태로 형성되고, 도(B)에서처럼 2 층을 형성할 수가 있다. 그러나 제 1 스트립 완충층(52a)과 제 2 스트립 완충층(52b)는 스트립 2방향이 서로 90 도 정도 다르다.
그리고 스트립 완충층(52a)(52b) 사이에 공기층(51a)이 형성될 수 있음은 당연하다. 즉, 도 (A)에서처럼 스트립 완충층(52)과 공기층(51a)이 교대로 존재하고, 단층으로 존재할 수도 있지만, (B)에서처럼 2 층으로 존재할 수도 있다.
이때, 도(B)는 공기층이 존재하지 않은 즉, 도 1과 같은 완충층(50)과 공기 층이 존재하는 완충층(52a)(52b)이 각각 존재함을 보이고 있다. 즉, 완충층(50), 사이에 공기 층이 존재하는 제 1 완충층(52a), 사이 사이에 공기층이 존재하는 제 2 완충층(52b), 그리고 다시 완충층(50)이 존재하게 된다.
즉, 스트립 완충층의 경우 공기층(51a)과 완충층(52)(52a)(52b)이 교대로 존재하게 된다. 따라서, 상기 완층충에서 공기가 존재하는 비율이 50% 정도 되게 된다. 물론, 경우에 따라서는 70% 정도까지 제조될 수 있음은 당연하다. 물론, 10% 이내로 할 수 있음도 당연하다. 충격 흡수 정도와 필요에 따라 설계가 달라질 수 있다는 것이다.
도 5는 흡수층 패턴의 또 다른 실시예의 도면을 나타낸다.
도 5의 (A)는 원 모양으로 된 완충층(53)의 패턴이 반복 형성됨을 보이는 도면이다. 그리고, 도 5의 (B)다층으로 형성된 완충층의 패턴을 보이는 도면이 된다.
도 5의 (B)에서처럼, 완충층(50), 원 모양의 제 1 완충층(53a), 완충층(50). 원 모양의 제 2 완충층(53b)이 순서대로 형성됨을 보이는 도면이다. 그리고 원 모양의 완충층(53a)(53b) 사이 사이에 공기층(51a)이 형성됨은 당연하다.
또한, 상기 원 모양의 완충층(53)이 반드시 원 모양일 필요는 없다. 제조 편의상 다각형 모양일 수도 있는 것이다.
물론, 도 4의 (B)도와 도 5의 (B) 도에서, 각각의 층이 존재하는 순서는 반드시 상기 도에 한정되지는 않는다. 즉, 각각의 층이 존재하는 순서가 반드시 상기 도 4의 (B)도와 도 5의 (B) 도의 순서에 맞출 필요는 없다. 당연히 층수도 더 많이 존재할 수 있고, 더 작게 존재할 수도 있다.
아울러, 도 4의 (B)도와 도 5의 (B) 도에서, 완충층(50)을 다른 성질을 가진 필름으로 대체할 수 있음은 당연하다. 예를들면 상기 완충층(50)을 보호필름 층이나 다른 기능성 필름으로 대체할 수 있는 것이다.
한편, 상기 스트립 모양의 완충층(52)(52a)(52b) 혹은 원 모양의 완충층(53)(53a)(53b)를 제조할 때에는 프리즘 광학 필름을 만드는 방법처럼, 상기 완충층과 반대 모양의 패턴으로 미리 만들어진 수지 원판으로 찍어 내는 방법으로 제조가 가능하다.
- 실시예 5 -
도 6은 베이스 필름을 형성한 실시예의 도면이다.
본 발명의 완충층(50)은 다른 기판이나 장치에 부착하여 사용할 수 있지만, 본 발명의 완충층을 그대로 사용하게 될 경우가 존재하게 된다. 그럴 경우 베이스 필름(70)에 부착하여 사용하게 된다.
이때 상기 베이스 필름(70)의 특성은 도 1의 보호필름(60)의 특성과 같게 된다. 그리고 굽혀지는 정도가 다를 수도 있다. 탄력성이 더 약할 수 있다는 것을 의미한다.
도 7은 분리가 가능한 보호필름을 형성한 실시예의 도면이다.
본 발명의 완충층(50)을 다른 기판에 부착할 수 있도록 준비된 필름의 형태로 만들 수가 있다. 그럴 경우에는 분리되는 보호필름(71)을 사용할 수 있다. 즉 본 발명의 완충층(50)에 분리되는 보호필름(71)을 부착하고, 상기 분리되는 보호필름과 완충층(50) 사이에 접착재(70a)가 코팅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접착재(70a)는 보호필름(71)을 일시적으로 부착할 수 있도록 만들어진 코팅층이다.
그리고, 당연한 이야기이지만, 상기 완충층(50)과 분리되는 보호필름(70) 사이에 다른 층이 존재할 수 있음은 당연하다. 즉 베이스 필름(70)이나 다른 기능성 필름이 존재할 수가 있다.
- 실시예 6 -
도 8은 다층 기판을 형성한 실시예의 도면이다.
도면에서처럼, 충격을 완충하는 완충층(50-1)(50-2)(50-3)이 2개층 이상일 수가 있다.
그리고 아래서부터 각각 제 1 완충층(50-1), 제 2 완충층(50-2), 제 3 완충층(50-3)이라고 할 때, 상기 완충층 들 중에서 하나의 층만 기포(510가 형성되거나 패턴이 형성된 완충층(52)(53)일 수 있다. 혹은 일부만 기포(51)가 형성되거나 패턴이 형성된 완충층(52)(53)일 수 있다. 그리고, 전부가 기포(51)가 형성되거나 패턴이 형성된 완충층(52)(53)일 수 있다.
한편, 상기 다층의 완충층(50-1)(50-2)(50-3) 상부 혹은 하부에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서 제시하는 필름 혹은 층이 구비될 수 있음은 당연하다.
또한, 다층의 완충층(50-1)(50-2)(50-3) 사이에 상기 완충층과 특성이 다른 층이 구비될 수 있음은 당연하다.
본 발명에서는 완충층이 20 ㎛ 이상으로 된 것을 제시하였으며, 본 실시에에서는 다층으로 형성된 완충층을 제시하며, 이 경우에는 다층의 완충층을 모두 합해서 20 ㎛ 이상이 된다는 것이다.
- 실시예 7 -
도 9 내지 도 11은 층 내에 미세 부분의 규격을 나타낸 실시예의 도면이다.
완충층 내에 기포(51)가 존재할 경우 상기 기포 내에는 일반적으로 자연스럽게 공기가 들어가며, 통상 수지 필름을 제조할 때에는 몇가지 조성물을 혼합하게 되는데 이 과정에서 기포가 들어가고, 기포를 없애는 탈포 공정을 조절하므로 수지층 내에 기포가 함유되게 할 수가 있다.
이때, 기포의 크기 D 는 0.5 마이크로 이내에서 수십 마이크로까지 다양할 수가 있으며, 20 마이크로를 넘지 않는 것이 좋다.
도 10은 패턴의 크기를 나타낸 실시예의 도면이다. 스트립 형태의 패턴의 크기를 나타낸 도면으로, 한 개 패턴의 a 크기는 1 마이크로 미터에서 수 ㎜ 에 이를 수도 있다. 그러나 완충성을 위해 최대 크기는 5 ㎜를 넘지 않는 것이 좋다.
그리고, 패턴과 패턴 사이의 거리인 공기층 b의 크기도 패턴의 크기와 범위는 비슷하지만, 패턴과 비교해서 a와 b의 값의 비율을 생각해 볼 수 있다. 이때, a의 값은 b의 갑소다 1/10 일 수도 있고 반대로 10 배 일 수도 있다.
도 11은 패턴의 높이를 나타낸 실시예의 도면이다, 패턴의 높이는 층의 높이로 5마이크로 이상에서 20마이크로 이상이 적당하다. 그러나 너무 뚜꺼우면 안되므로 0.3mm 이내가 적당하다.
50 : 완충층 60 : 보호필름
61 : 기능성 층 51 : 기포
50-1, 50-2, 50-3 : 다층 완층충
52, 52a, 52b : 스트립 완충층
53, 53a, 53b : 원 모양 완충층
70 : 베이스 필름 71 : 분리되는 보호필름

Claims (8)

  1. 투과도가 85 % 이상인 완충층은 필름형태로 제작되어 상기 필름의 두께가 20 마이크로 미터(㎛) 이상이고, 상기 완충층 내부에 공기가 존재할 수 있는 영역이 존재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보호용 투명 다층 필름.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완충층 내부에 공기가 존재할 수 있는 영역이 기포 형태로 되어 있을 경우 세변이 모두 500 ㎛ 인 육면체에서 상기 기포가 1 개 이상 2000 이내로 포함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보호용 투명 다층 필름.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완충층에서 공기가 존재할 수 있는 영역을 만들기 위해 상기 완충층에 패턴을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보호용 투명 다층 필름.
  4. 제 3항에 있어서, 최소 10 % 이상 최대 70 % 이내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보호용 투명 다층 필름.
  5.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완충층에 공기가 존재하지 않은 완충층이 부착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보호용 투명 다층 필름.
  6.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완충층 하단에 분리되는 보호 필름이 부착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보호용 투명 다층 필름.
  7. 제 6항에 있어서, 상기 완충층과 분리되는 보호필름 사이에는 상기 두층의 분리가 가능한 접착재가 코팅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보호용 투명 다층 필름.
  8.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완충층은 적어도 2 층 이상의 다층으로 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보호용 투명 다층 필름.
KR1020120022662A 2012-03-06 2012-03-06 보호용 투명 다층 필름 KR20130101717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022662A KR20130101717A (ko) 2012-03-06 2012-03-06 보호용 투명 다층 필름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022662A KR20130101717A (ko) 2012-03-06 2012-03-06 보호용 투명 다층 필름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30101717A true KR20130101717A (ko) 2013-09-16

Family

ID=4945173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20022662A KR20130101717A (ko) 2012-03-06 2012-03-06 보호용 투명 다층 필름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30101717A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10971552B2 (en) 2018-07-24 2021-04-06 Samsung Display Co., Ltd. Display device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10971552B2 (en) 2018-07-24 2021-04-06 Samsung Display Co., Ltd. Display device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TWI758263B (zh) 顯示螢幕保護器
TWI769187B (zh) 視窗基板及包含其之顯示裝置
US10684396B2 (en) Protective cover and display device including the same
JP6520114B2 (ja) 防眩性反射防止フィルム及びそれを用いた画像表示装置
EP3173856A1 (en) Cover window, display device including the same, and method of manufacturing the cover window
US20130004700A1 (en) Protective window and display device including the same
KR101755442B1 (ko) 플렉서블 표시 장치
TWI730164B (zh) 保護玻璃及使用其之顯示器
US20180081088A1 (en) Display device protecting cover and display device comprising thereof
CN110782785B (zh) 保护片、显示装置和电子设备
JP2010515783A (ja) 耐衝撃性に優れた衝撃吸収層及びこの衝撃吸収層を含む衝撃吸収用フィルム
JP2017161621A (ja) 保護シート、表示装置および電子機器
CN104915050A (zh) 触摸面板、显示装置和光学片、以及光学片的筛选方法和光学片的制造方法
JP6575191B2 (ja) 指滑り層形成用樹脂組成物、指滑りフィルム及びそれを用いた画像表示装置
KR20130097048A (ko) 시인성이 개선된 터치 패널 및 그의 제조방법
JP6790524B2 (ja) タッチパネルペン用筆記シート、タッチパネル、表示装置、及びタッチパネルペン用筆記シートの選別方法
WO2021200678A1 (ja) 反射防止フィルム積層体及びそれを備える物品
JP6819446B2 (ja) タッチパネル用表面部材、タッチパネル、表示装置、及びタッチパネル用表面部材の選別方法
KR20130101717A (ko) 보호용 투명 다층 필름
JPWO2017188186A1 (ja) タッチパネル、表示装置、光学シート及び光学シートの選別方法
KR20130101287A (ko) 휴대 단말기용 투명 다층 필름
KR20130101286A (ko) 보호용 투명 다층 필름
CN115482727A (zh) 覆盖窗和覆盖窗的制造方法
KR20130101718A (ko) 휴대 단말기용 투명 다층 필름
KR101448963B1 (ko) 충격 흡수 기능이 있는 모바일 기기용 필름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WITN Withdrawal due to no request for examin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