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30101569A - 프로그래머블 콘트롤러의 주변 장치 및 그 통신 방법 - Google Patents

프로그래머블 콘트롤러의 주변 장치 및 그 통신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30101569A
KR20130101569A KR1020137016067A KR20137016067A KR20130101569A KR 20130101569 A KR20130101569 A KR 20130101569A KR 1020137016067 A KR1020137016067 A KR 1020137016067A KR 20137016067 A KR20137016067 A KR 20137016067A KR 20130101569 A KR20130101569 A KR 20130101569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ystem information
programmable controller
communication
peripheral device
copy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3701606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신 하세가와
Original Assignee
미쓰비시덴키 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미쓰비시덴키 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미쓰비시덴키 가부시키가이샤
Publication of KR2013010156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30101569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5CONTROLLING; REGULATING
    • G05BCONTROL OR REGULATING SYSTEMS IN GENERAL; FUNCTIONAL ELEMENTS OF SUCH SYSTEMS; MONITORING OR TESTING ARRANGEMENTS FOR SUCH SYSTEMS OR ELEMENTS
    • G05B19/00Programme-control systems
    • G05B19/02Programme-control systems electric
    • G05B19/04Programme control other than numerical control, i.e. in sequence controllers or logic controllers
    • G05B19/042Programme control other than numerical control, i.e. in sequence controllers or logic controllers using digital processors
    • G05B19/0426Programming the control sequence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3/00Interconnection of, or transfer of information or other signals between, memories, input/output devices or central processing units
    • G06F13/10Program control for peripheral devices
    • GPHYSICS
    • G05CONTROLLING; REGULATING
    • G05BCONTROL OR REGULATING SYSTEMS IN GENERAL; FUNCTIONAL ELEMENTS OF SUCH SYSTEMS; MONITORING OR TESTING ARRANGEMENTS FOR SUCH SYSTEMS OR ELEMENTS
    • G05B19/00Programme-control systems
    • G05B19/02Programme-control systems electric
    • G05B19/04Programme control other than numerical control, i.e. in sequence controllers or logic controllers
    • G05B19/05Programmable logic controllers, e.g. simulating logic interconnections of signals according to ladder diagrams or function charts
    • GPHYSICS
    • G05CONTROLLING; REGULATING
    • G05BCONTROL OR REGULATING SYSTEMS IN GENERAL; FUNCTIONAL ELEMENTS OF SUCH SYSTEMS; MONITORING OR TESTING ARRANGEMENTS FOR SUCH SYSTEMS OR ELEMENTS
    • G05B2219/00Program-control systems
    • G05B2219/20Pc systems
    • G05B2219/23Pc programming
    • G05B2219/23277Use of separate interface software, main program calls functions from it
    • GPHYSICS
    • G05CONTROLLING; REGULATING
    • G05BCONTROL OR REGULATING SYSTEMS IN GENERAL; FUNCTIONAL ELEMENTS OF SUCH SYSTEMS; MONITORING OR TESTING ARRANGEMENTS FOR SUCH SYSTEMS OR ELEMENTS
    • G05B2219/00Program-control systems
    • G05B2219/20Pc systems
    • G05B2219/23Pc programming
    • G05B2219/23401Programmer has connection with pc to enter parameters into system directly by pc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Automation & Control Theory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rogrammable Controllers (AREA)
  • Computer And Data Communications (AREA)

Abstract

프로그래머블 콘트롤러(2)와의 통신에 의해, 프로그래머블 콘트롤러(2)의 프로그래밍을 실시하기 위한 주변 장치(1)로서, 프로그래머블 콘트롤러(2)로 요구(7)를 송신하고, 요구(7)에 따른 응답을 수신하는 인터페이스로서 기능하는 통신 미들웨어(6)를 가지고, 인터페이스는 프로그래머블 콘트롤러(2)로부터 송신되는 프로그래머블 콘트롤러(2)의 시스템 정보(9)를 취득하여, 유지한다.

Description

프로그래머블 콘트롤러의 주변 장치 및 그 통신 방법{PERIPHERAL APPARATUS OF PROGRAMMABLE CONTROLLER, AND COMMUNICATION METHOD THEREFOR}
본 발명은 프로그래머블 콘트롤러(PC)의 주변 장치 및 그 통신 방법에 관하여, 특히 PC에 접속되어 PC의 프로그래밍을 행하는 주변 장치와 PC의 통신에 관한 것이다.
PC와의 통신에 의해서 PC의 프로그래밍을 행하는 주변 장치는, 통신로를 경유하여 PC에 접속된다. 유저는 주변 장치의 입력 장치를 조작하여 PC에 대한 설정 조작을 행한다. 유저는 설정의 결과를 확인하고, 다음으로 실시할 조작을 판단한다. 주변 장치의 조작에 의한 주변 장치 및 PC 사이의 통신에서는, 주변 장치 내의 통신 미들웨어가 PC로의 요구(要求) 전문(傳文)의 송신과 PC로부터의 응답(應答) 전문의 수신을 복수 회 반복한다.
통신로의 특성으로서 왕복 지연 시간(Round Trip Time;RTT)이 긴 경우, 통신 전문의 수가 통신 시간에 영향을 주어, 조작 완료까지의 시간이 증대하게 된다. RTT가 짧은 통신로에서는, 조작 완료까지의 시간은 PC 및 주변 장치의 처리 시간이 지배적으로 되는 반면, RTT가 긴 통신로에서는, RTT의 대기 시간이 지배적으로 되어, 유용성(usability)의 악화를 초래한다.
통신 시간의 단축에 의해 유용성을 향상하기 위해서는, RTT가 짧은 통신로를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지만, 무선 통신의 보급이나 유선 통신의 장거리화에 의해, RTT의 증대는 피할 수 없는 문제로 된다. 이와 같은 상황으로 통신을 행하는 주변 장치에는, 일정한 유용성을 확보하는 것이 요구된다.
이와 같은 문제에 관해서, 예를 들면, 통신 경로 상에 캐쉬를 마련하는 것으로, 주변 장치로부터의 요구 전문과 PC로부터의 응답 전문의 취득을 고속화하는 기술이 제안되어 있다(예를 들면, 특허 문헌 1 참조). 또, 통신이 완료될 때까지의 대기 시간을 다른 작업에 사용함으로써, 전체의 퍼포먼스를 향상하는 기술이 제안되어 있다(예를 들면, 특허 문헌 2 참조).
특허 문헌 1: 일본국 특개 2006-91961호 공보 특허 문헌 2: 일본국 특개 2009-238073호 공보
특허 문헌 1, 2와 같은 기술은, PC 및 주변 장치의 성능의 낮음에 기인하는 응답 시간의 증대를 문제시하는 것으로서, 통신로의 특성인 RTT가 통신 시간의 대부분을 소비하는 경우에는 효과적이지 않다.
본 발명은 상기를 감안하여 이루어진 것으로서, RTT의 증대에 의한 영향을 저감시켜 유용성의 향상을 가능하게 하는 프로그래머블 콘트롤러의 주변 장치, 및 그 통신 방법을 얻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상술한 과제를 해결하여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서, 본 발명은 프로그래머블 콘트롤러와의 통신에 의해, 상기 프로그래머블 콘트롤러의 프로그래밍을 실시하기 위한 주변 장치로서, 상기 프로그래머블 콘트롤러로 요구를 송신하고, 상기 요구에 따른 응답을 수신하는 인터페이스를 가지고, 상기 인터페이스는 상기 프로그래머블 콘트롤러로부터 송신되는 상기 프로그래머블 콘트롤러의 시스템 정보를 취득하여, 유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은 시스템 정보의 취득을 위한 통신이 많이 이루어지는 사실에 주목한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른 주변 장치 및 그 통신 방법에서는, 주변기기로부터 PC로의 통신시에 필요한 정보의 일부를 사전에 취득해 둠으로써, 조작 당의 전문수를 삭감 가능하게 하여, RTT가 긴 통신로에 있어서의 조작시의 대기 시간을 단축시킨다. 이것에 의해, RTT의 증대에 의한 영향을 저감시켜, 유용성의 향상이 가능해진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 형태 1에 따른 주변 장치 및 그 통신 방법을 설명하는 블록도이다.
도 2는 PC에 대한 설정 조작의 절차를 설명하는 순서도이다.
도 3은 주변 장치에 의한 조작 개시부터 조작 종료까지의 처리와 시간의 관계를 설명하는 개념도이다.
도 4는 실시 형태 2에 따른 주변 장치에 의한 시스템 정보의 카피의 취득에 대해서 설명하는 순서도이다.
도 5는 요구 전문의 송신에 대해서 설명하는 순서도이다.
도 6은 요구 전문에 대한 응답 전문의 수신과 확인에 대해서 설명하는 순서도이다.
도 7은 주변 장치가 시스템 정보의 카피를 이용할지 이용하지 않을지를 결정하는 절차를 설명하는 순서도이다.
도 8은 종래의 주변 장치 및 그 통신 방법을 설명하는 블록도이다.
도 9는 PC에 대한 종래의 설정 조작의 절차를 설명하는 순서도이다.
이하에, 본 발명에 따른 프로그래머블 콘트롤러의 주변 장치, 및 그 통신 방법의 실시 형태를 도면에 기초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또한, 이 실시 형태에 의해 이 발명이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실시 형태의 설명에 앞서, 도 8 및 도 9를 참조하여, 종래의 프로그래머블 콘트롤러의 주변 장치에서의 통신 방법에 대해서 설명한다.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주변 장치(11)는 통신로(3)를 경유하여 PC(2)에 접속된다. 유저는 주변 장치(11)의 입력 장치(14)를 조작하여 PC(2)에 대한 설정 조작을 행한다. 설정의 결과는, 주변 장치(11)의 표시 장치(15)에 표시된다. 유저는 표시된 결과를 확인하여, 다음으로 실시할 조작을 판단한다. 주변 장치(11)의 조작에 의한 주변 장치(11) 및 PC(2) 사이의 통신에서는, 주변 장치(11) 내의 통신 미들웨어(16)가 PC(2)로의 요구 전문(17)의 송신과, PC(2)로부터의 응답 전문(18)의 수신을 복수 회 반복한다.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통신로(3)의 특성으로서 RTT가 길고, 요구에서부터 응답 사이가 긴 경우일수록, 통신 전문의 수가 통신 시간에 크게 영향을 주어, 조작 개시부터 완료까지의 시간이 증대하게 된다. RTT가 짧은 통신로(3)에서는, 조작 개시부터 완료까지의 시간은 PC(2) 및 주변 장치(11)의 처리 시간이 지배적으로 되는 반면, RTT가 긴 통신로에서는, RTT의 대기 시간이 지배적으로 된다.
실시 형태 1.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 형태 1에 따른 주변 장치 및 그 통신 방법을 설명하는 블록도이다. 주변 장치(1)는 통신로(3)를 통하여 접속된 PC(2)와의 통신에 의해, PC(2)의 프로그래밍을 실시한다. 주변 장치(1)는 입력 장치(4), 표시 장치(5) 및 통신 미들웨어(6)를 가진다.
입력 장치(4)는 PC(2)에 대한 설정 조작을 위한 입력을 수신한다. 표시 장치(5)는 PC(2)의 설정 결과를 표시한다. 통신 미들웨어(6)는 지정된 PC(2)에 요구 전문(7)을 송신하고, 요구 전문(7)에 따른 응답 전문(8)을 수신하는 인터페이스로서 기능한다. 통신 미들웨어(6)는 PC(2)로부터 송신되는 PC(2)의 시스템 정보(9)의 카피를 취득하여, 유지하는 기구를 구비한다. 시스템 정보(9)의 카피는 요구 전문(7)의 타입에 대한 응답 전문(8)의 내용으로서 통신 미들웨어(6)에 격납된다.
도 2는 PC에 대한 설정 조작의 절차를 설명하는 순서도이다. 유저는 입력 장치(4)로 입력 조작을 행한다(스텝 S1). 통신 미들웨어(6)는 지정된 PC(2)의 시스템 정보(9)의 카피를, 예를 들면 유저에 의한 조작에 동기하여 취득하여, 유지한다. 통신 미들웨어(6)는 입력 장치(4)로부터 입력된 설정 내용에 시스템 정보(9)의 카피가 사용 가능한지 여부를 판단한다(스텝 S2).
시스템 정보(9)의 카피가 사용 가능하지 않은 경우(스텝 S2, 아니오), 통신 미들웨어(6)는 PC(2)로의 요구 전문(7)의 송신(스텝 S4)과 PC(2)로부터의 응답 전문(8)의 수신(스텝 S5)을 행한다. 시스템 정보(9)의 카피가 사용 가능한 경우(스텝 S2, 예), 통신 미들웨어(6)는 시스템 정보(9)의 카피를 참조하여, 응답 전문(8)에 상당하는 데이터를 취득한다(스텝 S3).
주변 장치(1)는 스텝 S5에서 수신한 응답 전문(8)의 처리를 실시한다(스텝 S6). 주변 장치(1)는 스텝 S3에서 데이터를 취득했을 경우는, 취득한 데이터를 응답 전문(8)으로 간주하여 처리를 실시한다. PC(2)에 대한 설정 조작이 완료되어 있지 않은 경우(스텝 S7, 아니오), 스텝 S2로부터의 절차를 필요한 회수만큼 반복한다. PC(2)에 대한 설정 조작이 완료된 경우(스텝 S7, 예), 표시 장치(5)는 설정 조작의 결과를 표시한다(스텝 S8). 이상에 의해, 주변 장치(1)는 PC(2)에 대한 설정을 위한 통신 처리를 종료한다.
도 3은 주변 장치에 의한 조작 개시부터 조작 종료까지의 처리와 시간의 관계를 설명하는 개념도이다. 여기에서는, 주변 장치에 있어서의 세 개의 요구 처리가 3회 실시되고, 그 중 2개에 시스템 정보(9)의 카피가 사용 가능한 경우를 예로 한다. 시스템 정보(9)의 카피를 미리 취득하는 경우, 주변 장치(1)는 2개의 요구 처리에 대해서 주변 장치(1) 내에서의 정보 취득 처리를 실시한다. 주변 장치(1)는 1개의 요구 처리에 대해서만, PC(2)로의 요구 전문(7)의 송신과, PC(2)에서의 응답 처리에 의한 응답 전문(8)의 수신을 실시한다.
주변 장치(1)는 모든 요구 처리에 대해서 요구 전문(7)의 송신 및 응답 전문(8)의 수신을 실시하는 경우에 비해, 전문의 2회의 송수신에 상당하는 시간 T만큼, 통신 시간을 단축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주변 장치(1)는 통신로(3)의 RTT가 길수록, 본 발명에 의한 통신 시간의 효과적인 단축이 가능해진다.
이와 같이, 실시 형태 1에 따른 주변 장치(1) 및 그 통신 방법에서는, 조작 당의 전문수를 삭감시킴으로써, RTT가 긴 통신로에 있어서의 조작시의 대기 시간을 단축시킨다. 이것에 의해, RTT의 증대에 의한 영향을 저감시켜, 유용성의 향상이 가능해진다고 하는 효과를 달성한다.
실시 형태 2.
실시 형태 2에서는, 주변 장치(1)는 유저에 의한 조작과는 동기하지 않고, 시스템 정보(9)의 카피를 취득한다. 또, 주변 장치(1)는 PC(2)의 시스템 정보(9)와, 통신 미들웨어(6)에서 유지하는 시스템 정보(9)의 카피의 일치를 확인한다. 실시 형태 2의 구성은, 도 1에 제시된 실시 형태 1의 구성과 마찬가지이다. 실시 형태 2에서는, 실시 형태 1과 동일한 부분에는 동일한 부호를 부여하고, 중복하는 설명을 적당 생략한다.
도 4는 실시 형태 2에 따른 주변 장치에 의한 시스템 정보의 카피의 취득에 대해서 설명하는 순서도이다. 통신 미들웨어(6)는 주변 장치(1)가 PC(2)에 접속되었는지 여부를 판단한다(스텝 S11). 주변 장치(1)가 PC(2)에 접속되어(스텝 S11, 예), PC(2)와 통신 가능한 상태가 되면, 통신 미들웨어(6)는 PC(2)의 시스템 정보(9)를 취득하기 위한 요구 전문(7)을 PC(2)에 송신한다.
통신 미들웨어(6)는 요구 전문(7)에 따른 응답 전문(8)에 의해 시스템 정보(9)의 카피를 취득하여(스텝 S12), 유지한다. 주변 장치(1)가 PC(2)에 접속되어 있지 않은 경우(스텝 S11, 아니오), 통신 미들웨어(6)는 주변 장치(1)가 PC(2)에 접속될 때까지 대기한다(스텝 S13).
주변 장치(1)는 PC(2)의 시스템 정보(9)와, 통신 미들웨어(6)에서 유지하는 시스템 정보(9)의 카피의 일치를 확인하기 위해서, 요구 전문(7)에 해시값(hach value)을 부가한다. 도 5는 요구 전문의 송신에 대해서 설명하는 순서도이다. 주변 장치(1)는 통신 미들웨어(6)가 유지하는 시스템 정보(9)의 카피 중, 요구 전문(7)에 관련하는 데이터의 해시값을 산출한다(스텝 S21). 통신 미들웨어(6)는 스텝 S21에서 산출된 해시값을 요구 전문(7)에 부가해 송신한다(스텝 S22).
도 6은 요구 전문에 대한 응답 전문의 수신과 확인에 대해서 설명하는 순서도이다. 스텝 S22에서 송신된 요구 전문(7)에 대한 응답 전문(8)을 통신 미들웨어(6)가 수신하면, 주변 장치(1)는 응답 전문(8)으로부터 해시값을 추출한다(스텝 S31). 주변 장치(1)는 스텝 S22에서 요구 전문(7)에 부가한 해시값과 스텝 S31에서 추출한 해시값이 일치하는지 여부를 확인한다(스텝 S32).
해시값의 일치를 확인한 경우(스텝 S32, 예), 주변 장치(1)는 응답 전문의 수신 처리를 계속한다(스텝 S33). 반면에, 해시값의 일치가 확인되지 않은 경우(스텝 S32, 아니오), 주변 장치(1)는 통신 미들웨어(6)가 유지하는 시스템 정보(9)의 카피는 무효인 것으로 판정한다(스텝 S34). 주변 장치(1)는 시스템 정보(9)의 카피를 취득하기 위한 조작을 재실행한다(스텝 S35).
주변 장치(1)는 통신 미들웨어(6)가 유지하는 시스템 정보(9)의 카피가 유효한지 여부를, 해시값의 비교에 의해 판별한다. 이것에 의해, 주변 장치(1)는 잘못된 정보에 기초한 조작을 억제할 수 있다.
주변 장치(1)는 PC(2)의 설정 조작에 시스템 정보(9)의 카피를 이용할지 여부를, 통신로(3)의 RTT에 따라서 결정하는 것으로 해도 좋다. 도 7은 주변 장치가 시스템 정보의 카피를 이용할지 여부를 결정하는 절차를 설명하는 순서도이다.
주변 장치(1)는 상술한 해시값을 사용한 방법에 의해, 통신 미들웨어(6)가 유지하는 시스템 정보(9)의 카피가 유효한지 여부를 판단한다(스텝 S41). 시스템 정보(9)의 카피가 무효인 경우(스텝 S41, 아니오), 통신 미들웨어(6)는 PC(2)의 시스템 정보(9)를 취득하기 위한 요구 전문(7)을 PC(2)에 송신한다(스텝 S42).
통신 미들웨어(6)는 요구 전문(7)에 따른 응답 전문(8)을 수신한다(스텝 S43). 주변 장치(1)는 요구 전문(7)의 송신으로부터 응답 전문(8)의 수신까지의 시간을, 통신로(3)의 RTT로서 측정한다(스텝 S44). 주변 장치(1)는 시스템 정보(9)의 데이터 사이즈 분(分)에 대해, 카피의 취득 및 RTT의 측정이 완료되었는지 여부를 판단한다(스텝 S45). 시스템 정보(9)의 데이터 사이즈 분의 카피의 취득 및 RTT의 측정이 완료되어 있지 않은 경우(스텝 S45, 아니오), 주변 장치(1)는 스텝 S42, 스텝 S43, 스텝 S44를, 시스템 정보(9)의 데이터 사이즈 분 반복한다.
시스템 정보(9)의 데이터 사이즈 분의 카피의 취득 및 RTT의 측정이 완료된 경우(스텝 S45, 예), 통신 미들웨어(6)는 시스템 정보(9)의 카피를 격납한다(스텝 S46). 스텝 S46에서 시스템 정보(9)의 카피를 격납한 후, 혹은 시스템 정보(9)의 카피가 유효한 경우(스텝 S41, 예), 주변 장치(1)는 측정한 RTT가 소정의 기준치보다 큰지 여부를 판단한다(스텝 S47).
측정한 RTT가 소정의 기준치보다 큰 경우(스텝 S47, 예), 주변 장치(1)는 통신 미들웨어(6)가 유지하는 시스템 정보(9)의 카피는 유효하고, 또한 사용을 필요로 한다고 판정한다(스텝 S48). 한편, 측정한 RTT가 소정의 기준치 이하인 경우(스텝 S47, 아니오), 주변 장치(1)는 통신 미들웨어(6)가 유지하는 시스템 정보(9)의 카피는 유효하고, 또한 사용은 불필요(不要)로 판정한다(스텝 S49).
주변 장치(1)는 통신 미들웨어(6)가 유지하는 시스템 정보(9)의 카피가 일치하는 것, 및 주변 장치(1)가 시스템 정보(9)의 카피를 사용하고 있는지 여부에 대해, 표시 장치(5)에서의 표시에 의해 유저에게 통지한다(스텝 S50). 표시 장치(5)는 통신 미들웨어(6)가 유지하는 시스템 정보(9)의 카피를 사용하는 것의 타당성을 유저에게 통지하는 통지 수단으로서 기능한다.
유저는 통신 미들웨어(6)가 유지하는 시스템 정보(9)의 카피가 일치하는지 여부, 주변 장치(1)가 시스템 정보(9)의 카피를 사용하고 있는지 여부를, 표시 장치(5)에 표시되는 정보에 의해서 인식할 수 있다.
주변 장치(1)는 RTT를 측정한 결과에 따라 시스템 정보(9)의 카피를 이용할지 여부를 판정함으로써, 통신 시간의 효과적인 단축이 가능한 경우에 본 발명의 방법을 적용하는 것과 아울러, 종래 실시되고 있는 통신과의 호환성을 유지할 수 있다.
[산업상의 이용 가능성]
이상과 같이, 본 발명에 따른 프로그래머블 콘트롤러의 주변 장치, 및 그 통신 방법은, 통신로를 통하여 PC의 프로그래밍을 실시하는 경우에 유용하다.
1: 주변 장치
2: PC
3: 통신로
4: 입력 장치
5: 표시장치
6: 통신 미들웨어
7: 요구 전문
8: 응답 전문
9: 시스템 정보

Claims (5)

  1. 프로그래머블 콘트롤러와의 통신에 의해, 상기 프로그래머블 콘트롤러의 프로그래밍을 실시하기 위한 주변 장치로서,
    상기 프로그래머블 콘트롤러로 요구(要求)를 송신하고, 상기 요구에 따른 응답을 수신하는 인터페이스를 가지고,
    상기 인터페이스는 상기 프로그래머블 콘트롤러로부터 송신되는 상기 프로그래머블 콘트롤러의 시스템 정보를 취득하여, 유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프로그래머블 콘트롤러의 주변 장치.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인터페이스는 유지하는 상기 시스템 정보로부터 산출된 해시값을, 상기 요구에 부가해 송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프로그래머블 콘트롤러의 주변 장치.
  3.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인터페이스가 유지하는 상기 시스템 정보가 유효한지 여부를 판단한 결과로부터, 상기 인터페이스가 유지하는 상기 시스템 정보의 사용의 타당성을 통지하는 통지 수단을 더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프로그래머블 콘트롤러의 주변 장치.
  4. 청구항 1 내지 청구항 3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프로그래머블 콘트롤러와의 통신의 왕복 지연 시간을 측정하고,
    상기 왕복 지연 시간이 기준치보다 큰 경우에, 상기 인터페이스가 유지하는 상기 시스템 정보의 사용을 필요로 한다고 판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프로그래머블 콘트롤러의 주변 장치.
  5. 프로그래머블 콘트롤러와의 통신에 의해, 상기 프로그래머블 콘트롤러의 프로그래밍을 실시하기 위한 주변 장치의 통신 방법으로서,
    상기 프로그래머블 콘트롤러로부터 송신되는 상기 프로그래머블 콘트롤러의 시스템 정보를, 상기 주변 장치의 인터페이스가 취득하여, 유지하는 공정과,
    상기 주변 장치로부터 상기 프로그래머블 콘트롤러로의 상기 시스템 정보의 취득의 요구에 따라서, 상기 인터페이스가 유지하는 상기 시스템 정보를 취득하는 공정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프로그래머블 콘트롤러의 주변 장치의 통신 방법.
KR1020137016067A 2010-12-24 2010-12-24 프로그래머블 콘트롤러의 주변 장치 및 그 통신 방법 KR20130101569A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PCT/JP2010/073412 WO2012086074A1 (ja) 2010-12-24 2010-12-24 プログラマブルコントローラの周辺装置、およびその通信方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30101569A true KR20130101569A (ko) 2013-09-13

Family

ID=4631337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37016067A KR20130101569A (ko) 2010-12-24 2010-12-24 프로그래머블 콘트롤러의 주변 장치 및 그 통신 방법

Country Status (6)

Country Link
JP (1) JP5595523B2 (ko)
KR (1) KR20130101569A (ko)
CN (1) CN103282844A (ko)
DE (1) DE112010006083T5 (ko)
TW (1) TW201227313A (ko)
WO (1) WO2012086074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160085226A1 (en) * 2013-04-04 2016-03-24 Mitsubishi Electric Corporation Engineering tool and programmable logic controller
US10772092B2 (en) 2013-12-23 2020-09-08 Qualcomm Incorporated Mixed numerology OFDM design
CN106483860B (zh) * 2015-09-02 2019-06-07 上海宝信软件股份有限公司 针对plc的数据自动采集中间件及其使用方法

Family Cites Familie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756619A (ja) * 1993-08-10 1995-03-03 Nissan Motor Co Ltd 生産管理装置
JP2006508429A (ja) * 2003-11-03 2006-03-09 エンドレス ウント ハウザー フローテック アクチエンゲゼルシャフト プロセスオートメーション技術におけるフィールドデバイスのオフラインパラメータリングの方法
JP2007079651A (ja) * 2005-09-12 2007-03-29 Fuji Electric Fa Components & Systems Co Ltd プログラマブルコントローラのプログラミング装置
JP5039428B2 (ja) * 2007-05-14 2012-10-03 株式会社キーエンス プログラマブルコントローラ及びplcシステム
JP5332421B2 (ja) * 2008-09-05 2013-11-06 横河電機株式会社 計測レコーダ・システム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JP5595523B2 (ja) 2014-09-24
CN103282844A (zh) 2013-09-04
TW201227313A (en) 2012-07-01
DE112010006083T5 (de) 2014-04-10
JPWO2012086074A1 (ja) 2014-05-22
WO2012086074A1 (ja) 2012-06-2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0219190B2 (en) Methods, systems, and devices for network-provided autonomous handover
US9497336B2 (en) Display program and display apparatus
JP2012142877A (ja) 無線通信機器
US9542131B2 (en) Image forming apparatus for retrieving print data using an address of the stored print data
JP5815155B2 (ja) 中継装置、中継方法および中継プログラム
KR101285666B1 (ko) 휴대 인터넷 시스템에서 이동통신 단말기의 채널 정보 갱신 방법 및 이를 이용한 이동통신 단말기
KR20130101569A (ko) 프로그래머블 콘트롤러의 주변 장치 및 그 통신 방법
US8793367B2 (en) Communication unit, method of controlling communication unit and computer program
JP6771955B2 (ja) 通信装置及びその制御方法、並びにプログラム
EP2584778A1 (en) Display device and display system
JP2016076857A (ja) 情報処理装置、情報処理装置の制御方法、及びプログラム
US10306493B2 (en) Measurement device and measurement method
JP2012058902A5 (ko)
JP6043390B2 (ja) 移動体端末試験システム
JP6472263B2 (ja) 情報処理装置、制御方法及びプログラム
JP2019186747A (ja) 無線通信システムおよび受信機
US9106653B2 (en) Data processing system and data processing method
JP6444125B2 (ja) 情報処理装置、情報処理装置の制御方法、及びプログラム
JP4963428B2 (ja) 無線通信システム及び無線通信システムにおける無線通信装置の制御方法
JP2007114858A (ja) 定周期の伝送と受信データの表示方法および表示装置
US10838671B2 (en) Terminal device, non-transitory computer-readable recording medium storing instructions to control the terminal device and method of controlling terminal device
JP2007245634A (ja) 画像形成装置
JP6677302B2 (ja) 機器接続システム
JP2014179705A (ja) プロトコル試験方法及びシステム
JP2019082956A (ja) 制御装置、制御方法、制御システムおよびコンピュータプログラム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