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30101394A - 개폐식 스크린을 구비하는 제진기 - Google Patents

개폐식 스크린을 구비하는 제진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30101394A
KR20130101394A KR1020120022513A KR20120022513A KR20130101394A KR 20130101394 A KR20130101394 A KR 20130101394A KR 1020120022513 A KR1020120022513 A KR 1020120022513A KR 20120022513 A KR20120022513 A KR 20120022513A KR 20130101394 A KR20130101394 A KR 20130101394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creen
endless chain
frame
rake
driv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2002251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황명회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엠에스테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엠에스테크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엠에스테크
Priority to KR1020120022513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30101394A/ko
Publication of KR2013010139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30101394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BHYDRAULIC ENGINEERING
    • E02B5/00Artificial water canals, e.g. irrigation canals
    • E02B5/08Details, e.g. gates, screens
    • E02B5/085Arresting devices for waterborne materials, e.g. grating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Filtration Of Liquid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개폐식 스크린을 구비하는 제진기에 관한 것이며, 그 목적은 폭우나 홍수와 같이 갑작스럽게 강수량이 증가되는 경우 배수량에 장애요소로 작용하게 되는 제진기의 스크린을 개방(상승)시켜 개방수로의 배수량을 신속하게 확보할 수 있는 개폐식 스크린을 구비하는 제진기를 제공함에 있다. 본 발명은 수류의 흐름방향에 대해 수로 바닥으로부터 경사지게 세워지는 다수의 격판으로 구성되는 스크린과; 상기 스크린의 좌우 양단에 설치되어 스크린을 지지하는 프레임과; 상기 프레임에 설치된 앤드리스 체인에 결합 지지되어 상기 스크린의 전면에 걸려진 협잡물을 상부로 들어 올려 제거하는 레이크와; 상기 레이크가 스크린 상에서 연속 회전하도록 앤드리스 체인을 구동시키는 구동장치로 이루어지는 제진기에 있어서; 상기 프레임에 설치된 스크린을 수로 바닥으로부터 경사진 길이방향으로 승 하강시키는 개폐수단을 포함하여 구성한 제진기에 관한 것을 그 기술적 요지로 한다.

Description

개폐식 스크린을 구비하는 제진기{Dust removing machine}
본 발명은 제진기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개방수로에 설치되어 수류와 함께 부유하는 협잡물을 제거하기 위한 제진기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제진기는 수면보다 낮은 저지대의 배수 펌프장, 상수도 취수장, 관계용 수로, 하수 처리장 및 댐 등의 개방수로에 설치되어 수류와 함께 부유하는 협잡물(생활쓰레기 등을 포함)을 스크린으로 거른 다음 그 협잡물을 수로 밖으로 수거하는 장치이다.
도 1을 참조하면, 일반적으로 제진기는, 수류의 흐름방향에 대해 수로 바닥으로부터 경사지게 세워지는 다수의 격판으로 구성되는 스크린(1)과; 상기 스크린(1)의 좌우 양단에 설치되어 스크린을 지지하는 프레임(2)과; 상기 프레임(2)에 설치된 앤드리스 체인(3)에 지지되어 상기 스크린(2)의 전면에 걸려진 협잡물을 상부로 들어 올려 제거하는 레이크(4)와; 상기 레이크(4)가 스크린(1) 상에서 연속 회전하도록 앤드리스 체인(3)을 구동시키는 구동장치(5:구동모터/스프라켓)를 포함하여 구성한다. 또, 상기 스크린(1)의 전방 하단에는 스크린(1)과 바닥면 사이로 통과하는 협잡물을 거르기 위한 전위 스크린(6)이 포함될 수 있으며, 또 스크린(1)의 전방 상부에는 레이크(4) 및 협잡물의 원활한 이동을 위한 에이프런(7:apron)이 포함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제진기는 수류와 함께 부유하는 협잡물 중 상기 스크린(1)의 격판 사이간격보다 작은 협잡물은 수류와 함께 스크린(1)의 뒤로 빠져나가도록 하고, 스크린(1)의 격판 사이간격보다 큰 협잡물은 스크린(1)의 전면에 걸리도록 한 다음, 구동모터(5)와 연결된 앤드리스 체인(3)을 회전시켜 그 좌우 양단이 지지된 레이크(4)를 연동하여 이동시키며 스크린(1)에 걸린 협잡물을 상부로 수거하게 된다.
이상과 같이 제진기가 설치된 수로에 폭우나 홍수와 같이 갑작스럽게 강수량이 증가되는 경우, 상기 제진기의 스크린의 영향으로 빠른 배수가 이루어지지 않아, 제진기를 중심으로 상류에 침수현상이 발생하게 되었다.
특히, 스크린에 걸려진 협잡물의 수거작업이 신속하게 수행되지 않은 상태에서 급작스럽게 강수량이 증가되는 경우에는 더욱 더 빠른 배수가 이루어지지 않아 보다 큰 침수피해를 발생시키게 되었다.
또, 전술한 바와 같이, 레이크를 이용하여 스크린에 걸려진 협잡물을 지속적으로 수거한다 하더라도 다수의 격판 구조로 이루어진 스크린의 구조 상 레이크에 의하여 완전히 수거되지 못한 이물질이 격판 사이에 퇴적된 상태를 이루게 되는데, 이와 같이 격판 사이에 다량의 이물질이 퇴적된 상태에서 상류에 강수량이 증가되는 경우 잦은 침수피해를 발생시키게 되었다.
한편, 제진기는 스크린에 구비된 격판의 사이간격보다 작은 협잡물은 수류와 함께 스크린 뒤로 빠져나가게 되고 격판의 사이간격보다 큰 협잡물에 한하여 수거가 가능한 것으로, 협잡물의 수거효율을 향상시키기 위하여 스크린의 격판 사이간격을 조밀하게 설계할 경우에는 전술한 바와 같이 스크린의 격판 사이에 다량의 퇴적물이 쌓이게 되어 제진기를 중심으로 상류에 더욱 더 빈번하고 급작스러운 침수현상이 발생하게 되는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종래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그 목적은 폭우나 홍수와 같이 갑작스럽게 강수량이 증가되는 경우 배수량에 장애요소로 작용하게 되는 제진기의 스크린을 개방(상승)시켜 개방수로의 배수량을 신속하게 확보할 수 있는 개폐식 스크린을 구비하는 제진기를 제공함에 있다.
상기한 바와 같은 과제를 달성하고 종래의 결점을 제거하기 위한 본 발명은 수류의 흐름방향에 대해 수로 바닥으로부터 경사지게 세워지는 다수의 격판으로 구성되는 스크린과; 상기 스크린의 좌우 양단에 설치되어 스크린을 지지하는 프레임과; 상기 프레임에 설치된 앤드리스 체인에 결합 지지되어 상기 스크린의 전면에 걸려진 협잡물을 상부로 들어 올려 제거하는 레이크와; 상기 레이크가 스크린 상에서 연속 회전하도록 앤드리스 체인을 구동시키는 구동장치로 이루어지는 제진기에 있어서,
상기 프레임에 설치된 스크린을 수로 바닥으로부터 경사진 길이방향으로 승 하강시키는 개폐수단을 포함하여 구성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때, 상기 개폐수단은, 스크린의 좌우 양쪽에 배치된 프레임의 마주하는 내면에 설치되는 가이드레일; 다수개의 격판을 횡 방향으로 가로지르며 스크린을 고정지지하며, 상기 가이드레일을 따라 구름 동작하는 롤러가 양쪽 끝단에 구비되는 고정봉; 및 앤드리스 체인에 양쪽 끝단이 결합된 고정부재의 배면에 결합되어 앤드리스 체인을 따라 연동하며, 스크린의 개폐를 필요로 할 경우 스크린을 향해 돌출되어 상기 고정봉을 지지하여 상부로 들어올리는 하나 이상의 출몰형 걸게; 로 이루어질 수 있다.
또, 상기 출몰형 걸게는, 고정부재에 결합된 장착블록 내 탄성 지지되어, 스크린을 상승시키는 앤드리스 체인의 정방향 구동 시 고정봉의 하면을 지지하고, 스크린의 하강이 완료 후 계속된 앤드리스 체인의 역방향 구동 시 근접하는 다른 고정봉을 타고 넘는 일방향 걸림후크를 포함하여 구성하도록 한다.
또, 상기 출몰형 걸게가 설치되는 고정부재는, 앤드리스 체인의 이동방향에 대하여 레이크에 후방에 근접하게 배치하도록 함이 바람직하다.
또, 상기 가이드레일의 상부에는, 상승하는 스크린의 최대 개방상태를 감지하여 구동장치의 구동을 정지시키는 리미트 스위치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와 같은 수단으로부터 본 발명은 폭우나 홍수와 같은 급작스런 강수량에 의하여 제진기의 상류 수위가 갑자기 높아지는 경우, 신속하고 많은 배수량에 장애요소로 작용하는 제진기의 스크린을 개방시켜 줌으로서, 제진기가 설치되는 배수 펌프장, 상수도 취수장, 관계용 수로, 하수 처리장 및 댐 주위 지역의 침수피해를 미연에 예방할 수 있다.
또, 본 발명은 제진기의 스크린을 개폐시키는 개폐구동수단으로 별도의 동력계를 필요로 하지 않고, 제진기 구동을 위한 기존의 동력계를 병행하여 이용함으로서 장치 작동의 유지비를 줄일 수 있으며, 제작 및 설치비용을 크게 절감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또, 본 발명은 고정식 스크린이 아닌 승 하강의 이동성 스크린을 제공함으로서, 평소 레이크를 이용한 스크린 전면에 대한 협잡물 수거작업을 지속적으로 수행한다 하더라도 다수의 격판 구조로 이루어진 스크린의 구조 상 레이크로부터 완전히 수거되지 못하고 잔존하는 격판 사이의 퇴적물에 대한 청소 시, 스크린을 상승시킨 상태에서 수행할 수 있어 제진기의 유지보수에도 많은 편리함을 제공할 수 있는 것이다.
도 1은 종래 제진기 예시도
도 2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의한 제진기의 구성을 보이는 부분 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의한 제진기의 구성을 보이는 부분 평면도
도 4 및 도 5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의한 개폐식 스크린의 작동상태를 보이는 측면도
도 6 및 도 7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의한 개폐식 스크린의 작동상태를 보이는 부분 확대도
도 8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의한 개폐식 스크린의 작동상태를 보이는 부분 확대도
이하, 본 발명의 실시예를 첨부도면과 연계하여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2 내지 도 7을 참조하면, 본 발명은 수류의 흐름방향에 대해 수로 바닥으로부터 경사지게 세워지는 다수의 격판(11)으로 구성되는 스크린(10)과; 상기 스크린(10)의 좌우 양단에 설치되어 스크린(10)을 지지하는 프레임(20)과; 상기 프레임(20)에 설치된 앤드리스 체인(30)에 결합 지지되어 상기 스크린(10)의 전면에 걸려진 협잡물을 상부로 들어 올려 제거하는 레이크(40)와; 상기 레이크(40)가 스크린(10) 상에서 연속 회전하도록 앤드리스 체인(30)을 구동시키는 구동장치(5:도 1참조)로 이루어지는 공지의 제진기에 있어서,
상기 프레임(20)에 지지된 스크린(10)을 승 하강시키는 개폐수단을 포함한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의한 스크린(10)은 상기 프레임(20)에 하단이 지지되는 이동성 스크린(10)을 제공한다.
보다 구체적으로, 본 발명에 의한 스크린(10)의 좌우 양쪽에 배치되는 프레임(20)의 마주하는 내면에는 가이드레일(21)이 설치 구성된다.
이러한 가이드레일(21)은 바닥으로부터 경사지게 세워지는 스크린(10)과 나란히 배치되고, 협잡물을 수거하는 정 위치 상태에서의 스크린(10)은 하단이 프레임(20)에 거치된 상태를 취한다.
이러한 가이드레일(21)의 상부에는 상승하는 스크린(10)의 최대 개방상태를 감지하여 구동장치(5)의 구동을 정지시키는 리미트 스위치(도시 생략)를 포함할 수 있다.
또, 본 발명에 의한 스크린(10)에는 다수개의 격판(11)들을 횡 방향으로 가로지르는 고정봉(15)을 설치 구성한다. 바람직하게 상기 고정봉(15)의 양쪽 끝단에는 프레임(20)측 가이드레일(21)을 따라 구름 동작하는 롤러(151)를 설치 구성한다.
바람직하게 이러한 고정봉(151)은 스크린(10)의 길이방향으로 다수개가 설치 구성하여, 다수개의 고정봉(15)에 후술되는 출몰형 걸게(350)가 모두 걸림 상태를 유지할 수 있도록 함으로서, 중량의 스크린(10)에 대한 안정적인 승 하강을 구현하도록 한다.
또, 본 발명에 의한 앤드리스 체인(30)에는 상기 고정봉(15)에 걸림 지지되어, 앤드리스 체인(30)과 연동하여 스크린(10)을 상부로 들어올리는 출몰형 걸게(350)를 설치 구성한다.
이러한 출몰형 걸게(350)는 양쪽 앤드리스 체인(30)에 양단이 결합된 고정부재(35)의 배면(스크린을 향하는 일측면)에 설치 구성되며, 스크린(10)의 안정된 승 하강을 위하여 고정부재(35)의 횡 방향으로 다수개가 균등 배치될 수 있다.
또, 상기 출몰형 걸게(350)가 설치된 고정부재(35)는 앤드리스 체인(30)을 따라 다수개가 설치 구성될 수 있다.
바람직하게 출몰형 걸게(350)가 설치되는 고정부재(35)는 앤드리스 체인(30)의 이동방향(정방향)에 대하여 레이크(40)의 후방에 근접하여 배치되도록 한다. 이는 고정부재(35)의 바로 전방에서 이동하는 레이크(40)에 의하여 본 발명에 따른 스크린(10) 상승 중 스크린(10)의 전면에 걸려져 미처 수거되지 못한 협잡물이 고정부재(35) 및 출몰형 걸게(350)에 부딪혀 손상시키는 것을 예방할 수 있는 것이다.
이와 같이 출몰형 걸게(350)는 레이크(40)를 이동시키기 위한 앤드리스 체인(30)에 결합되어 연동하는 것으로, 스크린(10)의 전면에 걸려진 협잡물 수거작업(스크린의 정위치 확보) 시에는 스크린(10)측 고정봉(15)과의 간섭이 배제되어야 하며, 본 발명의 취지와 같이 개방수로의 배수를 신속하게 수행하고자 본 발명에 따른 스크린(10)을 개폐시킬 경우에만 배면측 스크린(10)을 향해 돌출되어 고정봉(15)에 선택적으로 걸림 지지된다.
도 4 내지 도7 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의한 출몰형 걸게(350)는, 양쪽 끝단이 앤드리스 체인(30)에 결합된 고정부재(35)의 배면에 결합되어 스크린(10)을 향하는 개구부를 갖는 장착블록(351)과; 상기 장착블록(351)의 개구부 내 탄성 개재되는 일방향 걸림후크(355)와; 상기 장착블록(351)에 설치되어 장착블록(351)으로부터 일방향 걸림후크(355)의 출몰을 제한하는 스토퍼(353)를 포함한다. 도면번호 '352'는 '코일스프링'이다.
이러한 일방향 걸림후크(355)는 스크린(10)을 상승시키기 위한 앤드리스 체인(30)의 정방향 구동시키는 것으로 일방향 걸림후크(355)가 고정봉(15)의 하면을 지지하여 스크린(10)을 상부로 들어 올려 수로를 개방시키고, 또 들어올려진 스크린(10)을 다시 하강시키기 위하여 앤드리스 체인(30)을 역방향 구동시키는 것으로 스크린(10)은 자중에 의하여 서서히 하강된다.
이때, 도 7에 나타낸 바와 같이, 앤드리스 체인(30)의 역방향 구동 중 스크린(10)이 하강 완료된 후 앤드리스 체인(30)의 계속되는 역방향 구동되는 경우에는, 이동 시 아래쪽에서 근접하는 다른 고정봉(15)에 지지되어 장착블록(351) 내부로 탄성 삽입되며 고정봉(15)을 타고 넘으며, 앤드리스 체인(30)의 지속적인 역방향 구동이 가능하게 된다.
한편, 도 8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의한 출몰형 걸게를 보이는 것으로, 다른 실시예에 의한 출몰형 걸게(350")는, 양쪽 끝단이 앤드리스 체인(30)에 결합된 고정부재(35)의 배면에 결합되어 스크린(10)을 향하는 개구부를 갖는 장착블록(351")과; 상기 장착블록(351")내 탄성 개재되는 일방향 걸림후크(355")와; 상기 장착블록(351")에 설치되어 장착블록(351")으로부터 일방향 걸림후크(355")의 출몰을 제한하는 스토퍼(도시 생략)를 포함한다. 도면번호 '352"'는 '토션스프링'이다.
이러한 다른 실시예에 의한 출몰형 걸게(350")에 대한 작용은 전술한 일실시예에 의한 출몰형 걸게(350)와 동일한 형태를 이루는 것으로 관련 중복설명은 생략한다.
이상과 같은 구성에 의한 본 발명의 작용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먼저, 제진기의 주 목적, 즉 수류와 함께 부유되는 협잡물을 걸려내기 위한 평상시에는 스크린(10)은 자중에 의하여 프레임(20)의 하단에 지지된 상태를 취한다. 이때 제진기의 구동장치인 구동모터(5:구동장치)를 작동(정방향)시켜 앤드리스 체인(30)을 회전시키고, 이 앤드리스 체인(30)에 결합 지지된 레이크(40)가 스크린(10)의 전면을 지나 상부로 올라가며 스크린(10)의 전면에 걸려진 협잡물을 상부로 들어 올려 수거하게 된다. 이때, 본 발명에 따른 출몰형 걸게(350)에 구성된 일방향 걸림후크(355)는 장착블록(351)내 삽입 개재된 상태를 이루게 된다. (도 4 및 도 6 (a)도면 참조)
이상과 같은 협잡물 작업을 수행 중이거나 혹은 정지상태인 제진기에 대하여 전술한 바와 같이, 폭우나 홍수와 같이 갑작스럽게 개방수로의 강수량이 증가되는 등 제진기를 중심으로 상류 수위가 급작스럽게 높아져 침수피해가 예상되는 경우에는 본 발명에 따른 이동성 스크린(10)을 상승시켜 제진기가 설치된 개방수로를 배수량을 증가시키게 된다.
여기서 본 발명에 따른 스크린(10)을 승 하강 개폐하기 위한 구동수단은 별도의 구동수단을 필요로 하는 것이 아니라, 협잡물 수거를 위하여 앤드리스 체인(30)을 회전 구동시키는 구동장치(5:구동모터/스프라켓)를 그대로 이용하게 된다.
먼저 작업자는 구동장치(5)를 정방향 작동시키는 동시 스크린(10)의 배면을 이동하는 출몰형 걸게(350)에 구성된 스토퍼(353)의 잠금을 해제시켜, 장착블록(351)에 탄성 지지된 일방향 걸림후크(355)를 돌출시킨다.
앤드리스 체인(30)에 결합된 이러한 출몰형 걸게(35)는 스크린(10)의 배면과 하부를 지나 스크린(10)의 전면을 향해 상승하게 되며, 이후 일방향 걸림후크(355)는 스크린(10)에 설치 고정된 고정봉(15)의 하단을 지지하며 스크린(10)을 함께 상승시킨다. (도 5 및 도 6 (b)도면 참조)
이렇게 상기 출몰형 걸게(350)와 함께 상승하는 스크린(10)은 고정봉(15)의 양쪽 끝단에 설치된 롤러(151)를 통하여 프레임(20)의 가이드레일(21)을 따라 안정적으로 상승하게 되며, 바람직하게는 가이드레일(21)의 상부에 설치되는 리미트 스위치에 의하여 스크린(10)이 최대 개방된 상태를 감지함과 동시 구동모터(5:구동장치)의 역방향 구동을 정지시켜 구동모터의 과부하를 방지하게 된다.
이렇게 상승 완료된 스크린(10)으로 인하여 제진기 하류를 향해 신속히 배수시킨다.
이상과 같이 긴급 상황이 종료된 다음 다시 수류 내 협잡물 수거작업을 재 수행하기 위해서는 구동장치(5)를 역방향 작동시켜 앤드리스 체인(30)을 역방향 회전 구동시키며, 이로부터 스크린(10)의 고정봉(15)을 지지하고 있던 출몰형 걸게(350)는 역방향으로 하강하며 스크린(10)을 서서히 하강시킨다. (도 6 (c) 도면 참조)
이후, 앤드리스 체인(30)의 계속된 역방향 회전 구동으로 인하여, 하강하는 스크린(10)은 프레임(20)의 하단에 지지되어 하강 완료된다.
이후, 앤드리스 체인(30)의 계속된 역방향 회전 구동과 연동하는 출몰형 걸게(350)는 하강 완료된 스크린(10)의 다른 고정봉(15)들을 타고 넘으며, 스크린(10)의 하부와 배면으로 지나며 계속해서 이동하게 되며, 작업자는 구동장치(5)의 역방향 구동을 정지시키기 전 출몰형 걸게(350)에 구성된 스토퍼(353)를 잠겨 일방향 걸림후크(355)를 장착블록(351)내 개재시켜 작동 불가한 상태를 유지시킨다. (도 7 참조)
이상과 같이 앤드리스 체인(30)에 설치 구성된 다수개의 출몰형 걸게(350)에 대하여 모두 작동 불가한 상태가 확보된 다음에는 구동장치(5)를 다시 정방향으로 작동시켜 앤드리스 체인(30)과 연동하는 레이크(40)를 이용한 협잡물 수거작업을 계속해서 수행하게 된다.
한편, 본 발명에 따른 승 하강 개폐되는 스크린(10)을 구비하는 제진기를 구성함으로서, 다수의 격판 구조로 이루어진 스크린의 구조 상 평상 시 레이크(40)로부터 완전히 수거되지 못하고 잔존하는 격판(11) 사이의 퇴적물에 대한 청소작업을 수행하거나, 혹은 스크린(10)에 대한 유지보수작업을 수행할 시, 본 발명에 따른 스크린(10)을 수면으로 상승시킨 상태에서 일련의 작업을 수행할 수 있어 유지보수 시 많은 편리함을 제공할 수 있는 이점이 있는 것이다.
참고로, 종래 고정 타입 스크린에 대한 청소나 유지보수 작업은 잠수부가 직접 수중으로 들어가서 작업을 수행하거나, 혹은 개방수로 내 수위가 낮아 스크린이 수면 위로 노출된 상태에서만 유지보수 작업이 가능하였다.
본 발명은 상술한 특정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한정되지 아니하며, 청구범위에서 청구하는 본 발명의 요지를 벗어남이 없이 당해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누구든지 다양한 변형실시가 가능한 것은 물론이고, 그와 같은 변경은 청구범위 기재의 범위 내에 있게 된다.
(5) : 구동장치
(10) : 스크린
(11) : 격판
(15) : 고정봉
(151) : 롤러
(20) : 프레임
(21) : 가이드레일
(30) : 앤드리스 체인
(35) : 고정부재
(350) : 출몰형 걸게
(355) : 일방향 걸림후크
(40) : 레이크

Claims (6)

  1. 수류의 흐름방향에 대해 수로 바닥으로부터 경사지게 세워지는 다수의 격판(11)으로 구성되는 스크린(10)과; 상기 스크린의 좌우 양단에 설치되어 스크린을 지지하는 프레임(20)과; 상기 프레임에 설치된 앤드리스 체인(30)에 결합 지지되어 상기 스크린의 전면에 걸려진 협잡물을 상부로 들어 올려 제거하는 레이크(40)와; 상기 레이크가 스크린 상에서 연속 회전하도록 앤드리스 체인을 구동시키는 구동장치(5)로 이루어지는 제진기에 있어서,
    상기 프레임(20)에 설치된 스크린(10)을 수로 바닥으로부터 경사진 길이방향으로 승 하강시키는 개폐수단을 포함하여 구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개폐식 스크린을 구비하는 제진기.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개폐수단은,
    스크린의 좌우 양쪽에 배치된 프레임(20)의 마주하는 내면에 설치되는 가이드레일(21);
    다수개의 격판(11)을 횡 방향으로 가로지르며 스크린을 고정지지하며, 상기 가이드레일을 따라 구름 동작하는 롤러(151)가 양쪽 끝단에 구비되는 고정봉(15); 및
    앤드리스 체인(30)에 양쪽 끝단이 결합된 고정부재(35)의 배면에 결합되어 앤드리스 체인을 따라 연동하며, 스크린의 개폐를 필요로 할 경우 스크린을 향해 돌출되어 상기 고정봉(15)을 지지하여 상부로 들어올리는 하나 이상의 출몰형 걸게(350)(350");를 포함하여 구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개폐식 스크린을 구비하는 제진기.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출몰형 걸게(350)(350")는,
    고정부재(35)에 결합된 장착블록 내 탄성 지지되어, 스크린을 상승시키는 앤드리스 체인의 정방향 구동 시 고정봉의 하면을 지지하고, 스크린의 하강이 완료 후 계속된 앤드리스 체인의 역방향 구동 시 근접하는 다른 고정봉을 타고 넘는 일방향 걸림후크(355)(355")를 포함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개폐식 스크린을 구비하는 제진기.
  4.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출몰형 걸게(350)(350")가 설치되는 고정부재(35)는, 앤드리스 체인의 이동방향에 대하여 레이크에 후방에 근접하게 배치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개폐식 스크린을 구비하는 제진기.
  5. 제2항에 있어서,
    상기 가이드레일(21)의 상부에는, 상승하는 스크린의 최대 개방상태를 감지하여 구동장치의 구동을 정지시키는 리미트 스위치를 포함하여 구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개폐식 스크린을 구비하는 제진기.
  6. 제2항에 있어서,
    상기 고정봉(15)은 스크린의 길이방향으로 다수개가 설치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개폐식 스크린을 구비하는 제진기.
KR1020120022513A 2012-03-05 2012-03-05 개폐식 스크린을 구비하는 제진기 KR20130101394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022513A KR20130101394A (ko) 2012-03-05 2012-03-05 개폐식 스크린을 구비하는 제진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022513A KR20130101394A (ko) 2012-03-05 2012-03-05 개폐식 스크린을 구비하는 제진기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30101394A true KR20130101394A (ko) 2013-09-13

Family

ID=4945159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20022513A KR20130101394A (ko) 2012-03-05 2012-03-05 개폐식 스크린을 구비하는 제진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30101394A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80040969A (ko) * 2016-10-13 2018-04-23 황명회 개폐 스크린이 구비된 제진기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80040969A (ko) * 2016-10-13 2018-04-23 황명회 개폐 스크린이 구비된 제진기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987812B1 (ko) 로타리식 자동 제진기
CN109610621B (zh) 一种下水道主动防堵箅子
KR100540219B1 (ko) 링크식 제진기의 협잡물 제진 방법 및 그 링크식 제진기
KR101177923B1 (ko) 제진장치
KR102161407B1 (ko) 스크린협잡물 제거장치
KR200437204Y1 (ko) 부상식 차단부를 갖는 다단식 로터리 제진기
KR101293356B1 (ko) 제진기 스크린
KR101431519B1 (ko) 스크린 개폐식 제진기
KR101074826B1 (ko) 배수로용 로타리제진기
KR101232891B1 (ko) 개폐식 스크린을 구비하는 제진기
KR100975915B1 (ko) 로터리식 제진기
KR101234049B1 (ko) 게이트 펌프용 로터리 제진기
KR20130101394A (ko) 개폐식 스크린을 구비하는 제진기
KR101738353B1 (ko) 로터리 제진기
KR101332278B1 (ko) 동조기어장치를 가지는 상승개폐식 로터리 제진기
KR101317391B1 (ko) 긴급 상황용 강제배수 기능을 갖는 제진기
KR101299787B1 (ko) 수로에 설치되는 부유물질 제거용 승강식 인양기의 이중 접이식 스크린장치
KR102516599B1 (ko) 인양이 용이한 이동식 제진기
KR102132902B1 (ko) 프론트스크린의 승강구조를 가진 로터리 제진기
KR102152401B1 (ko) 보조레이크를 갖는 제진기
KR101232888B1 (ko) 긴급 상황용 강제배수 기능을 갖는 제진기
KR200406021Y1 (ko) 개폐식 전위스크린이 구비된 제진기
CN108295533B (zh) 核电站泵站进水预过滤装置及其预过滤方法
KR200421186Y1 (ko) 수로 개폐를 위한 전도식 제진기
KR101034289B1 (ko) 합류식 하수관거의 월류수 협잡물 처리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