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30101392A - 현금자동입출금기의 수표 카세트 및 이것을 이용한 현금자동입출금기 - Google Patents

현금자동입출금기의 수표 카세트 및 이것을 이용한 현금자동입출금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30101392A
KR20130101392A KR1020120022511A KR20120022511A KR20130101392A KR 20130101392 A KR20130101392 A KR 20130101392A KR 1020120022511 A KR1020120022511 A KR 1020120022511A KR 20120022511 A KR20120022511 A KR 20120022511A KR 20130101392 A KR20130101392 A KR 20130101392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heck
reservoir
withdrawal
carriage
cassett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2002251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342898B1 (ko
Inventor
문기석
이철주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청호컴넷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청호컴넷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청호컴넷
Priority to KR102012002251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342898B1/ko
Publication of KR2013010139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30101392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34289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342898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7CHECKING-DEVICES
    • G07FCOIN-FREED OR LIKE APPARATUS
    • G07F19/00Complete banking systems; Coded card-freed arrangements adapted for dispensing or receiving monies or the like and posting such transactions to existing accounts, e.g. automatic teller machines
    • G07F19/20Automatic teller machines [ATM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41PRINTING; LINING MACHINES; TYPEWRITERS; STAMPS
    • B41JTYPEWRITERS; SELECTIVE PRINTING MECHANISMS, i.e. MECHANISMS PRINTING OTHERWISE THAN FROM A FORME; CORRECTION OF TYPOGRAPHICAL ERRORS
    • B41J3/00Typewriters or selective printing or marking mechanisms characterised by the purpose for which they are constructed
    • B41J3/28Typewriters or selective printing or marking mechanisms characterised by the purpose for which they are constructed for printing downwardly on flat surfaces, e.g. of books, drawings, boxes, envelopes, e.g. flat-bed ink-jet printers
    • B41J3/283Typewriters or selective printing or marking mechanisms characterised by the purpose for which they are constructed for printing downwardly on flat surfaces, e.g. of books, drawings, boxes, envelopes, e.g. flat-bed ink-jet printers on bank books or the lik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H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e.g. SHEETS, WEBS, CABLES
    • B65H29/00Delivering or advancing articles from machines; Advancing articles to or into piles
    • B65H29/20Delivering or advancing articles from machines; Advancing articles to or into piles by contact with rotating friction members, e.g. rollers, brushes, or cylinde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H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e.g. SHEETS, WEBS, CABLES
    • B65H29/00Delivering or advancing articles from machines; Advancing articles to or into piles
    • B65H29/58Article switches or diverters
    • GPHYSICS
    • G07CHECKING-DEVICES
    • G07DHANDLING OF COINS OR VALUABLE PAPERS, e.g. TESTING, SORTING BY DENOMINATIONS, COUNTING, DISPENSING, CHANGING OR DEPOSITING
    • G07D11/00Devices accepting coins; Devices accepting, dispensing, sorting or counting valuable papers
    • G07D11/10Mechanical details
    • G07D11/12Containers for valuable papers
    • G07D11/13Containers for valuable papers with internal means for handling valuable papers
    • GPHYSICS
    • G07CHECKING-DEVICES
    • G07DHANDLING OF COINS OR VALUABLE PAPERS, e.g. TESTING, SORTING BY DENOMINATIONS, COUNTING, DISPENSING, CHANGING OR DEPOSITING
    • G07D11/00Devices accepting coins; Devices accepting, dispensing, sorting or counting valuable papers
    • G07D11/10Mechanical details
    • G07D11/16Handling of valuable papers
    • GPHYSICS
    • G07CHECKING-DEVICES
    • G07DHANDLING OF COINS OR VALUABLE PAPERS, e.g. TESTING, SORTING BY DENOMINATIONS, COUNTING, DISPENSING, CHANGING OR DEPOSITING
    • G07D11/00Devices accepting coins; Devices accepting, dispensing, sorting or counting valuable papers
    • G07D11/10Mechanical details
    • G07D11/16Handling of valuable papers
    • G07D11/165Picking
    • GPHYSICS
    • G07CHECKING-DEVICES
    • G07DHANDLING OF COINS OR VALUABLE PAPERS, e.g. TESTING, SORTING BY DENOMINATIONS, COUNTING, DISPENSING, CHANGING OR DEPOSITING
    • G07D11/00Devices accepting coins; Devices accepting, dispensing, sorting or counting valuable papers
    • G07D11/40Device architecture, e.g. modular construction
    • GPHYSICS
    • G07CHECKING-DEVICES
    • G07DHANDLING OF COINS OR VALUABLE PAPERS, e.g. TESTING, SORTING BY DENOMINATIONS, COUNTING, DISPENSING, CHANGING OR DEPOSITING
    • G07D2211/00Paper-money handling devices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Accounting & Taxation (AREA)
  • Finance (AREA)
  • Sheets, Magazines, And Separation Thereof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수표를 입금, 출금 및 보충할 수 있는 현금자동입출금기의 수표 카세트 및 이것을 이용한 현금자동입출금기(ATM)를 개시한다. 본 발명에 따른 ATM의 수표 카세트는 케이스, 낱장분리장치, 로딩장치와 푸싱장치로 구성된다. 케이스는 출금수표와 입금수표를 포함하는 수표가 드나드는 입구와 출금수표를 수납하기 위한 제1 저장고와 입금수표를 수납하기 위한 제2 저장고가 구비되어 있고, 출금수표의 이송을 위하여 입구와 제1 저장고를 연결하는 메인트랙이 형성되어 있으며, 입금수표의 이송을 위하여 메인트랙과 제2 저장고를 연결하도록 브랜치트랙이 메인트랙으로부터 분기되어 있다. 낱장분리장치는 제1 저장고에 수납되어 있는 출금수표를 제1 저장고로부터 메인트랙으로 한 장씩 내보내도록 케이스에 장착되어 있는 픽업롤러, 피드롤러와 게이트롤러를 구비한다. 로딩장치는 메인트랙과 브랜치트랙을 따라 수표를 이송한다. 푸싱장치는 픽업롤러에 대하여 출금수표를 밀어주기 위하여 제1 저장고에 이동할 수 있도록 장착되어 있는 푸시플레이트를 구비한다. 본 발명에 따른 ATM은 본체, 본체에 설치되어 있는 환류식 지폐입출금장치(BRM)와 수표 카세트로 구성된다. BRM은 출금수표와 입금수표를 포함하는 수표를 감별하는 위폐감별기와 수표를 이송하는 트랜스포트 메커니즘을 구비한다.

Description

현금자동입출금기의 수표 카세트 및 이것을 이용한 현금자동입출금기{CHECK CASSETTE FOR AUTOMATED TELLER MACHINE AND AUTOMATED TELLER MACHINE USING THE SAME}
본 발명은 현금자동입출금기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수표를 입금, 출금 및 보충할 수 있는 현금자동입출금기의 수표 카세트 및 이것을 이용한 현금자동입출금기에 관한 것이다.
현금자동입출금기(Automated teller machine, ATM)는 금융기관의 호스트(Host)와 네트워킹(Networking)되어 금융기관을 거래하는 고객이 요청하는 현금 지급 및 입금, 수표 지급 및 입금, 계좌 이체, 잔고 조회, 통장 기장 등과 같은 여러 가지 금융 업무를 자동으로 처리한다. ATM은 현금을 지급하는 현금자동지급기(Cash dispenser, CD)와 구별되고 있다.
ATM은 지폐, 수표 등과 같은 매체의 지급 및 입금을 위하여 ATM의 본체에 설치되어 매체를 저장하는 복수의 카세트(Cassette)들을 구비하고 있다. 카세트는 운반을 위하여 ATM의 본체와 분리할 수 있도록 구성되어 있고, 카트리지(Cartridge), 디포지트 박스(Deposit box)라 부르고도 있다. 카세트가 본체의 내부에 설치되어 본체와 카세트가 접속되면, 본체의 로딩장치(Loading device)와 카세트의 로딩장치가 연동되면서 매체를 이송하여 지급하거나 입금하게 된다.
이러한 현금자동입출금기의 구성은 미국 특허 제7357,303호의 지폐 취급 장치(Bill handling apparatus)와 미국 특허 제7,735,621호의 멀티플 포켓 통화지폐 처리 장치(Multiple pocket currency bill processing device)에 개시되어 있다. 미국 특허 제7357,303호는 아웃풋 리셉터클들(Output receptacles)로부터 트랜스포트 메커니즘(Transport mechanism)에 의하여 지폐를 이송하여 고객에게 지급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또한, 고객이 입금하는 지폐를 트랜스포트 메커니즘에 의하여 이송하여 컴파트먼트(Compartment)에 저장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한편, 미국 특허 제7,185,749호 환류식 통화지폐입출금장치(Currency bill recycling machine)와 미국 특허 제7,891,653호 환류식 지폐입출금장치(Bill recycling machine, BRM)가 개발되어 ATM에 설치되고 있다. BRM은 고객이 입금하는 지폐를 출금용으로 전환하기 위하여 권종 구분, 위폐 감별, 반송, 환류(Recycling) 및 저장 등의 기능을 갖추고 있다. BRM은 지폐의 입금과 출금을 단일의 통로에 의하여 실시하게 된다. 이러한 BRM은 환류식 지폐입출금모듈(Bill recycling module) 또는 환류식 지폐입출금유닛(Bill recycling unit)라 부르고도 있다.
그런데 상기한 바와 같은 종래 기술의 ATM에는 수표의 출금을 위하여 수표자동지급기(Check dispenser)가 개별적으로 설치되고 있다. 수표자동지급기는 수표를 저장하는 카세트, 로딩장치와 프린터 등을 구비하고 있으며, BRM과 별도로 작동되도록 구성되어 있다. BRM과 수표자동지급기가 ATM에 개별적으로 설치되는 것에 의하여 ATM의 구성이 복잡해지고, 생산비가 높은 문제가 있다. 또한, BRM, 지폐 카세트, 수표 입금 카세트와 수표자동지급기 등이 ATM의 내부에 설치되면서 ATM의 크기가 커져 설치공간을 많이 차지하게 하는 문제가 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종래 기술의 여러 가지 문제점들을 해결하기 위한 것이다. 본 발명의 목적은, BRM과 연동하여 수표를 출금 및 입금할 수 있는 새로운 ATM의 수표 카세트 및 이것을 이용한 ATM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BRM과 연동하여 출금을 위한 수표를 자동으로 보충할 수 있는 ATM의 수표 카세트 및 이것을 이용한 ATM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ATM에서의 수표의 취급을 위한 공간을 줄이고, ATM의 구성이 단순해져 생산비를 줄일 수 있는 ATM의 수표 카세트 및 이것을 이용한 ATM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출금 및 입금수표의 인쇄를 위한 프린터가 내장되어 있는 ATM의 수표 카세트 및 이것을 이용한 ATM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프린트유닛이 인쇄 위치로부터 회피되어 대기되는 구조에 의하여 수표의 이송을 위한 수표와 프린트유닛 사이의 간격이 충분한 크기로 확보되어 잼(Jam)을 방지할 수 있는 ATM의 수표 카세트 및 이것을 이용한 ATM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대기 위치로부터 이동되어 수표에 대하여 인쇄를 수행하는 프린트유닛의 동선(Traffic line)이 최소의 공간을 차지하도록 최적으로 설계되어 있는 ATM의 수표 카세트 및 이것을 이용한 ATM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르면, ATM의 수표 카세트가 제공된다. 본 발명에 따른 ATM의 수표 카세트는, 출금수표와 입금수표를 포함하는 수표가 드나드는 입구와 출금수표를 수납하기 위한 제1 저장고와 입금수표를 수납하기 위한 제2 저장고가 구비되어 있고, 출금수표의 이송을 위하여 입구와 제1 저장고를 연결하는 메인트랙이 형성되어 있으며, 입금수표의 이송을 위하여 메인트랙과 제2 저장고를 연결하도록 브랜치트랙이 메인트랙으로부터 분기되어 있는 케이스와; 제1 저장고에 수납되어 있는 출금수표를 제1 저장고로부터 메인트랙으로 한 장씩 내보내도록 케이스에 장착되어 있는 픽업롤러, 피드롤러와 게이트롤러를 구비하는 낱장분리장치와; 메인트랙과 브랜치트랙을 따라 수표를 이송하는 로딩장치와; 픽업롤러에 대하여 출금수표를 밀어주기 위하여 제1 저장고에 이동할 수 있도록 장착되어 있는 푸시플레이트를 구비하는 푸싱장치를 포함한다.
또한, 수표는 제1 저장고에 출금을 위하여 보충되는 보충수표를 포함하고, 수표의 인쇄를 위하여 입구에 이웃하도록 장착되어 있는 프린터를 더 포함한다. 프린터는 입구와 이웃하도록 X축 방향을 따라 서로 평행하게 장착되어 있는 한 쌍의 가이드바들과; 한 쌍의 가이드바들을 따라 한 쌍의 가이드바들의 한쪽 끝과 이웃하여 대기되어 있는 제1 위치와 수표를 인쇄하는 제2 위치 사이를 운동하는 제1 캐리지와; 제1 캐리지와 함께 X축 방향을 따라 이송됨과 동시에 X축과 직교하는 Y축 방향을 따라 수표로부터 후퇴되어 있는 제3 위치와 수표에 접근되어 있는 제4 위치 사이를 운동하도록 제1 캐리지에 장착되어 있는 제2 캐리지와; 제2 캐리지가 수표로부터 후퇴되는 방향으로 이동되도록 제2 캐리지에 탄성력을 부여하는 리턴스프링과; 수표를 인쇄하기 위하여 제2 캐리지에 장착되어 있는 프린트유닛과; 프린트유닛과 대향되어 수표를 지지하도록 케이스에 장착되어 있는 플래턴과; 한 쌍의 가이드바들을 따라 제1 캐리지를 이송시키기 위한 구동력을 제공하는 구동장치로 구성되어 있다.
본 발명의 다른 측면에 따른 ATM은, 본체와; 본체에 설치되어 있고, 출금수표와 입금수표를 포함하는 수표를 감별하는 위폐감별기와 수표를 이송하는 트랜스포트 메커니즘을 구비하는 환류식 지폐입출금장치와; 본체에 설치되어 있는 수표 카세트를 포함한다. 수표 카세트는, 환류식 지폐입출금장치와 연결되어 수표가 드나드는 입구와 출금수표를 수납하기 위한 제1 저장고와 입금수표를 수납하기 위한 제2 저장고가 구비되어 있고, 출금수표의 이송을 위하여 입구와 제1 저장고를 연결하는 메인트랙이 형성되어 있으며, 입금수표의 이송을 위하여 메인트랙과 제2 저장고를 연결하도록 브랜치트랙이 메인트랙으로부터 분기되어 있는 케이스와; 제1 저장고에 수납되어 있는 출금수표를 제1 저장고로부터 메인트랙으로 한 장씩 내보내도록 케이스에 장착되어 있는 픽업롤러, 피드롤러와 게이트롤러를 구비하는 낱장분리장치와; 메인트랙과 브랜치트랙을 따라 수표를 이송하는 로딩장치와; 픽업롤러에 대하여 출금수표를 밀어주기 위하여 제1 저장고에 이동할 수 있도록 장착되어 있는 푸시플레이트를 구비하는 푸싱장치를 포함한다.
본 발명에 따른 ATM의 수표 카세트 및 이것을 이용한 ATM은, BRM과 연동하여 수표를 출금 및 입금하고, 출금을 위한 수표를 자동으로 보충하는 복합 기능에 의하여 수표의 취급 및 관리를 효율적으로 실시할 수 있다. 또한, 단일의 수표 카세트에 의하여 수표의 출금 및 입금이 가능해져 ATM에서의 수표의 취급을 위한 공간을 줄이고, ATM의 구성이 단순해져 생산비를 감소시킬 수 있다. 또한, 출금 및 입금수표의 인쇄를 위한 프린트유닛이 인쇄 위치로부터 회피되어 대기되는 구조에 의하여 수표의 이송을 위한 수표와 프린트유닛 사이의 간격이 충분한 크기로 확보되므로, 수표의 잼이 방지되어 신뢰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대기 위치로부터 이동되어 수표에 대하여 인쇄를 수행하는 프린트유닛의 동선이 최소의 공간을 차지하도록 최적으로 설계되어 있으므로, 수표 카세트의 크기를 줄여 간편하게 소형화 제작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수표 카세트가 적용되는 ATM의 일례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도면이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수표 카세트의 구성을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수표 카세트에서 도어가 분리되어 있는 케이스의 구성을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4는 도 3의 정면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수표 카세트에서 케이스와 분리되어 있는 프레임의 구성을 우측에서 바라본 사시도이다.
도 6은 도 5의 우측면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수표 카세트에서 케이스와 분리되어 있는 프레임의 구성을 좌측에서 바라본 사시도이다.
도 8은 도 7의 좌측면도이다.
도 9는 본 발명에 따른 수표 카세트에서 낱장분리장치의 구성을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10은 본 발명에 따른 수표 카세트에서 푸시플레이트의 구성을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11은 본 발명에 따른 수표 카세트에서 낱장분리장치, 스택장치와 푸시플레이트의 구성을 나타낸 측면도이다.
도 12는 도 11과 유사한 도면으로 제1 저장고가 비어 있는 경우 낱장분리장치, 스택장치와 푸시플레이트의 구성을 나타낸 측면도이다.
도 13은 본 발명에 따른 수표 카세트에서 낱장분리장치에 의한 출금수표의 출금 동작을 설명하기 위하여 나타낸 측면도이다.
도 14는 본 발명에 따른 수표 카세트에서 스택장치에 의한 입금수표의 입금 동작을 설명하기 위하여 나타낸 측면도이다.
도 15는 본 발명에 따른 수표 카세트에서 낱장분리장치, 로딩장치와 푸싱장치 각각의 서보모터와 기어전동장치를 나타낸 정면도이다.
도 16은 본 발명에 따른 수표 카세트에서 로딩장치의 구성을 나타낸 측면도이다.
도 17은 본 발명에 따른 수표 카세트에서 제1 및 제2 게이트 셀렉터의 구성을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18 및 도 19는 본 발명에 따른 수표 카세트에서 제1 게이트 셀렉터의 작동을 설명하기 위하여 나타낸 정면도이다.
도 20 및 도 21은 본 발명에 따른 수표 카세트에서 제2 게이트 셀렉터의 작동을 설명하기 위하여 나타낸 정면도이다.
도 22는 본 발명에 따른 수표 카세트에서 프린터의 구성을 후면에서 바라본 사시도이다.
도 23은 본 발명에 따른 수표 카세트에서 프린터의 구성을 정면에서 바라본 사시도이다.
도 24는 본 발명에 따른 수표 카세트에서 프린터의 구성을 저면에서 바라본 사시도이다.
도 25는 본 발명에 따른 수표 카세트에서 프린터의 구성을 나타낸 측면도이다.
도 26은 본 발명에 따른 수표 카세트에서 프린터에서 프린트유닛이 대기되어 있는 구성을 나타낸 평면도이다.
도 27은 도 26과 유사한 도면으로 프린트유닛에 의한 인쇄 동작을 설명하기 위하여 나타낸 평면도이다.
도 28 및 도 29은 본 발명에 따른 수표 카세트에서 캐리지의 작동을 설명하기 위하여 나타낸 측면도들이다.
본 발명의 그 밖의 목적, 특정한 장점들과 신규한 특징들은 첨부된 도면들과 연관되어지는 이하의 상세한 설명과 바람직한 실시예들로부터 더욱 분명해질 것이다.
이하, 본 발명에 따른 ATM의 수표 카세트 및 이것을 이용한 ATM에 대한 바람직한 실시예들을 첨부된 도면들에 의거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먼저, 도 1을 참조하면, 본 발명에 따른 ATM(100)은 지폐와 여러 가지 수표들의 입금, 출금 및 보충을 자동으로 처리한다. 우리나라의 금융기관에서 발행되는 수표의 앞면에는 금액, 지급지, 발행지, 발행 번호 및 연월일 등이 기록되어 있으며, 이들 정보는 국제표준(International standard)의 규정에 따라 점선으로 표시되어 있는 수표의 앞면 하단에 자기잉크문자인식(Magnetic ink character recognition)으로 기록되고 있다. 본 명세서에서 출금수표는 고객의 요청에 따라 ATM(100)을 통하여 고객에게 출금하기 위한 수표를 의미한다. 입금수표는 고객이 ATM(100)을 통하여 금융기관이 입금하는 수표를 의미한다. 보충수표는 고객에게 지급하기 위하여 금융기관에서 ATM(100)에 보충하는 수표를 의미한다.
본 발명에 따른 ATM(100)은 외관을 구성하는 본체(Body: 102)와, 고객의 조작과 다양한 금융업무의 처리를 위하여 본체(102)의 전면에 설치되어 있는 접객유닛(Customer reception unit: 110)을 구비한다. 접객유닛(110)은 터치스크린패널(Touch screen panel), 키패드(Key pad), 카드 리더(Card reader), 디포지트 슬롯(Deposit slot), 리시트 슬롯(Receipt slot), 지폐 지급기(Bill presenter), 프린터 등으로 구성되어 있다. 이러한 접객유닛(110)의 구성과 작용은 잘 알려진 것이므로, 그에 자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또한, ATM(100)은 제어를 위하여 본체(102)의 내측에 설치되어 있는 중앙처리장치(Central processing unit, CPU: 120)를 구비한다. 중앙처리장치(120)는 금융기관의 호스트와 온라인시스템으로 네트워킹되어 있다. 호스트는 중앙처리장치(120)로부터 수신되는 데이터를 처리하여 고객이 요청하는 금융업무를 허용하거나 거부하는 명령을 중앙처리장치(120)에 전송한다. 중앙처리장치(120)는 호스트로부터 수신되는 명령에 따라 ATM(100)의 작동을 제어하여 고객이 요청하는 금융업무를 처리한다.
BRM(130)이 지폐의 입금과 출금, 수표의 입금과 출금 등을 단일의 트랙에 의하여 실시할 수 있도록 본체(102)의 내측 상부에 설치되어 있다. BRM(130)은 지폐와 수표를 이송하는 트랜스포트 메커니즘(132)과, 지폐와 수표의 권종 구분, 위폐 감별 등의 기능을 수행하는 위폐감별기(Counterfeit detector: 134)와, 지폐와 수표를 임시로 저장하는 임시저장장치(Escrow storage device: 136)와, 리젝트박스(Reject box: 138)를 구비한다. 트랜스포트 메커니즘(132)은 롤피드(Roll feed), 벨트컨베이어(Belt conveyor) 등으로 구성되어 있다. 이러한 BRM(130)의 구성과 작용은 잘 알려진 것이므로, 그에 대한 자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복수의 지폐 카세트(140)들이 본체(102)의 내측 하부에 설치되어 있다. 잘 알려진 바와 같이, 지폐 카세트(140)들의 로딩장치는 BRM(130)과 연동되어 고객에게 지폐 및 수표를 지급하거나 고객이 입금하는 지폐 및 수표를 저장한다. 고객이 입금하는 지폐가 BRM(130)의 작동에 의하여 지폐 카세트(140)들에 자동으로 저장되어 다시 고객에게 지급되기 때문에 ATM(100)의 운영이 효율적으로 이루어진다. 리사이클 카세트(Recycle cassette: 150)가 본체(102)의 내측 하부에 지폐 카세트(140)들과 나란하게 설치되어 있다. 잘 알려진 바와 같이, 리사이클 카세트(150)의 로딩장치는 BRM(130)과 연동되어 지폐 카세트(140)들에 지폐를 보충하거나 BRM(130)으로부터 이송되어오는 지폐를 저장한다. 한편, 리사이클 카세트(150)는 지폐 또는 수표를 권종에 따라 분류하여 저장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도 1과 도 2를 참조하면, 본 발명에 따른 ATM의 수표 카세트(200)는 본체(102)의 내측 하부에 지폐 카세트(140)들과 나란하게 설치되어 있고, BRM(130)과 연동되어 수표(10; 12, 14, 16)들을 지급 및 저장한다. ATM의 수표 카세트(200)는 X축 방향(X), X축 방향(X)에 대하여 직교하는 Y축 방향(Y), X축 및 Y축 방향(X, Y)에 대하여 수직하게 직교하는 Z축 방향(Z)을 갖는다. X축 방향(X)은 수표(10)의 길이 방향에 대응된다.
수표 카세트(200)는 외관을 구성하는 케이스(210)를 구비한다. 수표(10)들이 드나들 수 있는 입구(212)가 케이스(210)의 상면 후방에 형성되어 있다. 도어(214)가 힌지(214a)를 중심으로 회전되어 케이스(210)를 여닫을 수 있도록 케이스(210)의 한쪽에 장착되어 있다. 손잡이(216)가 케이스(210)의 상부에 힌지(216a)을 중심으로 회전할 수 있도록 장착되어 있다.
도 3 내지 도 8을 참조하면, 케이스(210)는 그 내부에 수표 카세트(200)의 구성요소들을 장착하기 위하여 설치되어 있는 프레임(Frame: 218) 또는 섀시(Chassis)를 포함한다. 케이스(210)는 복수의 출금수표(12)들을 저장하는 제1 저장고(220)와 복수의 입금수표(14)들을 저장하는 제2 저장고(230)를 구비한다. 제1 저장고(220)는 케이스(210)의 내부 하부에 구성되어 있다. 제1 저장고(220)는 그 전면이 트여 있고 케이스(210) 안에 설치되는 박스(222)로 구성되어 있다. 출금수표(12)들은 제1 저장고(220) 안에 적층되어 저장된다. 제1 입구(224)가 제1 저장고(220)의 상부 후방에 형성되어 있다. 제2 저장고(230)는 케이스(210)의 내부 중간에 제1 저장고(220)와 구획되도록 구성되어 있다.
도 3 내지 도 8, 도 16, 도 20과 도 21에 도시되어 있는 바와 같이, 제2 저장고(230)는 케이스(210) 안에 설치되는 박스(232)로 구성되어 있다. 입금수표(14)들은 제2 저장고(230) 안에 적층되어 저장된다. 제2 입구(234)가 제2 저장고(230)의 상부 후방에 형성되어 있다. 가이드플레이트(Guide plate: 236)가 제2 저장고(230)의 상부에 축(238)을 중심으로 회전하도록 장착되어 있다. 가이드플레이트(236)는 제2 입구(234)를 통하여 제2 저장고(230)에 들어오는 입구수표(14)가 정확하게 적층되도록 안내한다.
도 9, 도 11 내지 14와 도 16을 참조하면, 수표(10)들의 이송을 위한 메인트랙(Main track: 240)이 입구(212)와 제1 입구(224)를 연결하도록 케이스(210)의 후방에 형성되어 있다. 메인트랙(240)은 수표(10)들의 이송을 안내할 수 있도록 서로 떨어져 있는 제1 가이드월(Guide wall: 242)과 제2 가이드월(244)에 의하여 구성되어 있다. 도 20과 도 21에 도시되어 있는 바와 같이, 브랜치트랙(Branch track: 250)이 메인트랙(240)과 제2 입구(234)를 연결하도록 메인트랙(240)으로부터 분기되어 있다.
도 9와 도 11 내지 도 13을 참조하면, 본 발명에 따른 ATM 수표 카세트(200)는 제1 저장고(220)에 저장되어 있는 복수의 출금수표(12)들 중 맨 위에 있는 첫 번째 출금수표(12-1)를 두 번째 출금수표(12-2)로부터 분리하여 제1 저장고(220)로부터 방출하는 낱장분리장치(260)를 구비한다. 낱장분리장치(260)는 제1 축(262), 가이드플레이트(264), 한 쌍의 레버(Lever: 266), 제2 축(268), 복수의 픽업롤러(Pick up roller: 270)들, 한 쌍의 리턴스프링(Return spring: 272)들, 복수의 피드롤러(Feed roller: 274)들, 복수의 게이트롤러(Gate roller: 276)들과 구동장치(280)로 구성되어 있다.
제1 축(262)은 제1 입구(224)와 이웃하는 제1 저장고(220)의 상부에 회전할 수 있도록 장착되어 있고, X축 방향(X)과 나란하게 배치되어 있다. 가이드플레이트(264)는 제1 축(262)을 중심으로 회전할 수 있도록 장착되어 있다. 가이드플레이트(264)는 제1 축(262)을 중심으로 회전되면서 제1 입구(224)를 통하여 제1 저장고(220)로 들어오는 보충수표(16)이 적층되도록 안내한다. 가이드플레이트(264)는 X축 방향(X)을 따라 간격을 두고 형성되어 있는 복수의 구멍(264a)들을 갖는다. 한 쌍의 레버(266)들은 그 후단이 제1 축(262)을 중심으로 회전할 수 있도록 가이드플레이트(264)의 상부에 서로 간격을 두고 장착되어 있다. 제2 축(268)은 레버(266)들의 선단에 회전할 수 있도록 X축 방향(X)을 따라 장착되어 있다. 제1 축(262)과 제2 축(268)은 서로 평행하게 배치되어 있다.
픽업롤러(270)들은 제2 축(268)에 서로 간격을 두고 회전할 수 있도록 장착되어 있다. 픽업롤러(270)들은 레버(266)들 사이에 배치되어 있다. 픽업롤러(270)들의 외주면 하부는 첫 번째 출금수표(12-1)에 접촉할 수 있도록 구멍(264a)들에 통과되어 있다. 픽업롤러(270)들은 그 외주면에 첫 번째 출금수표(12-1)에 접촉하여 마찰력을 부여하도록 장착되어 있는 마찰패드(Friction pad: 268a)를 구비한다. 마찰패드(270a)는 고무(Rubber), 우레탄(Urethane) 등 마찰계수가 큰 소재로 구성되어 있다. 첫 번째 출금수표(12-1)는 회전되는 픽업롤러(270)의 마찰패드(270a)와 접촉되면서 마찰력을 부여받아 제1 저장고(220)로부터 이송되어 제1 입구(222)를 빠져나가게 된다. 마찰패드(270a)는 첫 번째 출금수표(12-1)에 큰 마찰력을 부여하여 출금수표(12)의 미끄러짐(Slipping)이나 들러붙음(Sticking)을 방지한다. 픽업롤러(270)들은 1회전 시마다 제1 저장고(220)로부터 한 장의 출금수표(12)를 방출한다.
한 쌍의 리턴스프링(272)들은 픽업롤러(270)들이 첫 번째 출금수표(12-1)에 접촉되는 방향으로 편향되도록 레버(266)들에 탄성력을 부여한다. 따라서 픽업롤러(270)들은 첫 번째 출금수표(12-1)에 안정적으로 접촉된다. 피드롤러(274)들은 제1 축(262)을 중심으로 회전할 수 있도록 제1 축(262)에 서로 간격을 두고 장착되어 있으며, 픽업롤러(270)들로부터 이송되어오는 첫 번째 출금수표(12-1)을 메인트랙(240)으로 보낸다.
게이트롤러(276)들은 제3 축(278)을 중심으로 회전할 수 있도록 제3 축(278)에 서로 간격을 두고 장착되어 있고, 피드롤러(274)들 각각과 한 쌍을 이룬다. 제3 축(278)은 제1 입구(224)와 이웃하는 위치에 제2 축(268)과 평행하도록 장착되어 있다. 첫 번째 출금수표(12-1)는 피드롤러(274)들과 게이트롤러(276)들 사이에 개재되어 회전하는 피드롤러(274)들과의 구름마찰(Rolling friction)에 의하여 이송된다. 첫 번째 출금수표(12-1)의 이송 중에 두 번째 출금수표(12-2)의 선단은 게이트롤러(276)들에 걸려 정지되어 있게 된다. 이때, 게이트롤러(276)들은 정지되어 있다.
도 1, 도 5, 도 6, 도 9와 도 15를 참조하면, 구동장치(280)는 픽업롤러(270)들과 피드롤러(274)들의 회전을 위한 구동력을 제공한다. 구동장치(280)는 서보모터(Servo motor: 282), 기어전동장치(284)와 벨트전동장치(286)로 구성되어 있다. 도 1과 도 15에 도시되어 있는 바와 같이, 서보모터(282)는 본체(102)에 장착되어 픽업롤러(270)들과 피드롤러(274)들의 회전을 위한 구동력을 제공한다. 본 실시예에 있어서, 서보모터(282)는 본체(102)에 장착되어 있는 것을 도시하고 설명하였으나, 서보모터(282)는 필요에 따라 케이스(210)에 장착될 수도 있다.
기어전동장치(284)는 서보모터(282)와 연결되어 있는 원동기어(284a)와, 원동기어(284a)와 이맞물림될 수 있도록 제1 축(262)에 장착되어 있는 종동기어(284b)로 구성되어 있다. 도 2에 도시되어 있는 바와 같이, 종동기어(284b)의 하부는 원동기어(284a)와의 이맞물림을 위하여 케이스(210)의 우측면 중앙에 노출되어 있다. 서보모터(282)의 구동력은 기어전동장치(284)에 의하여 제1 축(262)에 전달되고, 제1 축(262)과 피드롤러(274)들이 함께 회전된다.
도 9, 도 11과 도 12에 도시되어 있는 바와 같이, 벨트전동장치(286)는 제1 축(262)에 장착되어 있는 원동풀리(286a)와, 제2 축(268)에 장착되어 있는 종동풀리(286b)와, 원동풀리(286a)와 종동풀리(286b)에 감아 걸려 있는 벨트(286c)로 구성되어 있다. 픽업롤러(270)들은 제1 축(262)의 회전력을 제2 축(268)에 전달하는 벨트전동장치(286)에 의하여 피드롤러(274)들과 함께 회전된다. 본 실시예에 있어서, 제1 벨트전동장치(286)는 타이밍벨트전동장치(Timing belt drive)로 구성되어 있다.
도 11 내지 도 14를 참조하면, 본 발명에 따른 ATM의 수표 카세트(200)는 제1 저장고(220)에 보충되는 보충수표(16)를 펼쳐서 적층시키는 스택장치(Stack device: 290)를 구비한다. 스택장치(290)는 복수의 스택휠(Stack wheel: 292)들, 서보모터(294)와 벨트전동장치(296)로 구성되어 있다. 스택휠(292)들은 제3 축(278)에 서로 간격을 두고 장착되어 있다. 스택휠(292)들은 그 반경 방향으로 연장되어 있는 복수의 블레이드(Blade: 292a)들을 갖는다. 서보모터(294)는 스택휠(292)들의 회전을 위한 구동력을 제공하도록 케이스(210)에 장착되어 있다. 벨트전동장치(296)는 서보모터(294)의 구동력을 제3 축(278)에 전달한다.
도 14에 도시되어 있는 바와 같이, 서보모터(294)의 구동력은 벨트전동장치(296)에 의하여 제3 축(278)에 전달된다. 제3 축(278)은 반시계 방향으로 회전되고, 제3 축(278)과 함께 스택휠(292)들이 회전된다. 회전하는 스택휠(292)들의 블레이드(292a)들은 제1 입구(212)를 통과하여 제1 저장고(220)에 적층되는 보충수표(16)의 표면을 쳐서 펼쳐주게 된다. 이때, 블레이드(292a)들은 보충수표(16)와의 접촉에 의하여 유연하게 변형되면서 보충수표(16)를 펼쳐주게 된다.
도 4 내지 도 8과 도 15를 참조하면, 본 발명에 따른 ATM의 수표 카세트(200)는 출금수표(12)들, 입금수표(14)들과 보충수표(16)들의 이송을 위한 로딩장치(300)를 구비한다. 로딩장치(300)는 제1 저장고(220)의 출금수표(12)들을 한 장씩 메인트랙(240)으로 이송하여 방출한다. 또한, 로딩장치(300)는 입구(212)를 통하여 메인트랙(240)에 들어오는 입금수표(14)를 제2 저장고(230)로 이송하여 수납하고, 보충수표(16)를 제1 저장고(220)로 이송하여 수납한다.
로딩장치(300)는 제1 내지 제5 롤피드(310a~310e)를 구비한다. 제1 내지 제4 롤피드(310a~310d)는 입구(212)로부터 제1 저장고(220)를 향하여 메인트랙(240)을 따라 서로 간격을 두고 장착되어 있다. 제5 롤피드(310e)는 입금수표(14)를 이송하도록 브랜치트랙(250)에 장착되어 있다. 제1 내지 제5 롤피드(310a~310e) 각각은 한 쌍을 이루는 피드롤러(312a~312e)와 아이들롤러(314a~314e)로 구성되어 있다. 피드롤러(312a~312e)는 제1 내지 제5 축(320a~320e)을 중심으로 회전되며, 아이들롤러(314a~314e)는 제6 내지 제10 축(322a~322e)을 중심으로 회전된다. 수표(10)들 각각은 피드롤러(312a~312e)와 아이들롤러(314a~314e) 사이에 개재되어 회전하는 피드롤러(312a~312e)와 아이들롤러(314a~314e)의 구름마찰에 의하여 이송된다.
도 1과 도 15에 도시되어 있는 바와 같이, 로딩장치(300)는 피드롤러(312a~312e)의 회전을 위한 구동장치(330)를 구비한다. 구동장치(330)는 서보모터(332), 기어전동장치(334)와 벨트전동장치(336)로 구성되어 있다. 서보모터(332)는 본체(102)에 장착되어 피드롤러(312a~312e)의 회전을 위한 구동력을 제공한다. 본 실시예에 있어서 서보모터(332)는 본체(102)에 장착되어 있는 것을 도시하고 설명하였으나, 서보모터(332)는 필요에 따라 케이스(210)에 장착될 수도 있다.
기어전동장치(334)는 서보모터(332)와 연결되어 있는 원동기어(334a)와, 원동기어(334a)와 이맞물림되어 회전할 수 있도록 제11 축(324)에 장착되어 있는 종동기어(334b)로 구성되어 있다. 도 2에 도시되어 있는 바와 같이, 종동기어(334b)의 하부는 원동기어(334a)와의 이맞물림을 위하여 케이스(210)의 우측면 중앙에 노출되어 있다. 제11 축(324)은 제1 저장고(220)와 제2 저장고(230) 사이에 배치되도록 케이스(210)에 장착되어 있다. 서보모터(332)의 구동력은 기어전동장치(334)에 의하여 제11 축(324)에 전달된다.
도 4 내지 도 8에 도시되어 있는 바와 같이, 벨트전동장치(336)는 제11 축(324)에 장착되어 있는 원동풀리(336a)와, 제3 축(320c)에 장착되어 있는 중간풀리(336b)와, 제1 내지 제5 축(320a~320e)에 장착되어 있는 제1 내지 제5 종동풀리(336c~336g)와, 원동풀리(336a), 중간풀리(336b)와 제5 종동풀리(336g)에 감아 걸려 있는 제1 벨트(336h)와, 제1 종동풀리(336c)와 제3 종동풀리(336e)에 감아 걸려 있는 제2 벨트(336i)와, 제2 종동풀리(336d)와 제3 종동풀리(336e)에 감아 걸려 있는 제3 벨트(336j)와, 제3 종동풀리(336e)와 제4 종동풀리(336f)에 감아 걸려 있는 제4 벨트(336k)로 구성되어 있다. 제2 종동풀리(336d)는 제2 벨트(336i)와 제3 벨트(336j)를 감아 걸 수 있는 이단풀리로 구성되어 있고, 제3 종동풀리(336e)는 제3 벨트(336j)와 제4 벨트(336k)를 감아 걸 수 있는 이단풀리로 구성되어 있다. 제1 내지 제5 피드롤러(312a~312e)들 벨트전동장치(336)의 동력 전달에 의하여 함께 회전된다. 본 실시예에 있어서, 벨트전동장치(336)는 타이밍벨트전동장치로 구성되어 있다. 원웨이클러치(One way clutch: 338)가 제5 축(320e)과 중간풀리(336b) 사이에 장착되어 있다. 원웨이클러치(338)는 제5 롤피드(310e)의 피드롤러(312e)가 입금수표(14)를 메인트랙(240)으로부터 제2 저장고(200)로 이송시키는 방향으로만 회전되도록 벨트전동장치(336)의 중간풀리(336b)의 동력을 제5 축(320e)에 전달한다.
도 2, 도 3, 도 5, 도 7, 도 8, 도 17 내지 도 19를 참조하면, 본 발명에 따른 ATM의 수표 카세트(200)는 케이스(210)의 입구(212)로 진입되는 수표(10)들의 이송 방향을 결정할 수 있도록 케이스(210)에 장착되어 있는 제1 게이트 셀렉터(Gate selector: 340)를 구비한다. BRM(130)은 입구(212)와 연결되어 출금수표(12)를 이송하기 위한 제1 트랙(160)과, 입금수표(14) 및 보충수표(16)를 이송하기 위한 제2 트랙(162)을 구비한다. 제1 게이트 셀렉터(340)는 플래퍼(Flapper: 342), 솔레노이드 액추에이터(Solenoid actuator: 344)와 링케이지(Linkage: 346)로 구성되어 있다. 플래퍼(342)는 입구(212)와 이웃하는 위치에 배치되어 회전할 수 있도록 케이스(210)에 장착되어 있다.
도 18과 도 19에 도시되어 있는 바와 같이, 플래퍼(342)는 제1 위치(P1)에서 제1 트랙(160)과 입구(212)를 연결하고, 제2 위치(P2)에서 제2 트랙(162)과 입구(212)를 연결한다. 솔레노이드 액추에이터(344)는 케이스(210)의 한쪽에 플래퍼(342)의 회전을 위한 작동력을 제공하도록 장착되어 있다. 링케이지(346)는 플래퍼(342)의 회전을 위하여 솔레노이드 액추에이터(344)의 작동력을 전달하도록 플래퍼(342)와 솔레노이드 액추에이터(344)를 연결하고 있다. 본 실시예에 있어서, 플래퍼(342)는 서보모터의 구동에 의하여 제1 위치(P1)와 제2 위치(P2) 사이를 회전되도록 구성될 수 있다.
도 7, 도 8, 도 17, 도 20과 도 21을 참조하면, 본 발명에 따른 ATM의 수표 카세트(200)는 메인트랙(240)과 브랜치트랙(250)의 분기지점(252)에서 수표(10)들의 이송 방향을 결정할 수 있도록 케이스(210)에 장착되어 있는 제2 게이트 셀렉터(350)를 구비한다. 제2 게이트 셀렉터(350)는 플래퍼(352), 솔레노이드 액추에이터(354)와 링케이지(356)로 구성되어 있다. 플래퍼(352)는 분기지점(252)에 회전할 수 있도록 장착되어 있다.
도 20과 도 21에 도시되어 있는 바와 같이, 플래퍼(352)는 제1 위치(P3)에서 제2 저장고(230)의 제2 입구(234)를 닫아주고, 메인트랙(240)을 열어준다. 플래퍼(352)는 제2 위치(P4)에서 제2 저장고(230)의 제2 입구(234)를 열어주고, 메인트랙(240)을 닫아준다. 솔레노이드 액추에이터(354)는 케이스(210)의 한쪽에 플래퍼(352)의 회전을 위한 작동력을 제공하도록 장착되어 있다. 링케이지(356)는 플래퍼(352)의 회전을 위하여 솔레노이드 액추에이터(354)의 작동력을 전달하도록 플래퍼(352)와 솔레노이드 액추에이터(354)를 연결하고 있다. 본 실시예에 있어서, 플래퍼(352)는 서보모터의 구동에 의하여 제1 위치(P3)와 제2 위치(P4) 사이를 회전되도록 구성될 수 있다.
도 4 내지 도 8, 도 10 내지 도 14를 참조하면, 본 발명에 따른 ATM의 수표 카세트(200)는 제1 저장고(220)에 적층되어 있는 출금수표(12)들 중 첫 번째 출금수표(12-1)가 낱장분리장치(260)의 픽업롤러(270)에 밀착되도록 밀어주는 푸싱장치(Pushing device: 360)를 구비한다. 푸싱장치(360)는 푸시플레이트(Plush plate: 362)와, 푸시플레이트(362)를 승강시키는 구동장치(370)로 구성되어 있다. 푸시플레이트(362)는 제1 저장고(220) 안에 승강, 즉 Z축 방향(Z)을 따라 운동할 수 있도록 장착되어 있다. 출금수표(12)들은 푸시플레이트(362)의 상면에 적층된다.
구동장치(370)는 서보모터(372), 기어전동장치(374)와 벨트전동장치(376)로 구성되어 있다. 서보모터(372)는 본체(102)에 장착되어 푸시플레이트(362)의 승강을 위한 구동력을 제공한다. 본 실시예에 있어서, 서보모터(372)는 본체(102)에 장착되어 있는 것을 도시하고 설명하였으나, 서보모터(372)는 필요에 따라 케이스(210)에 장착될 수도 있다.
기어전동장치(374)는 서보모터(372)와 연결되어 있는 원동기어(374a)와, 원동기어(374a)와 이맞물림되어 제1 축(364)을 중심으로 회전될 수 있도록 케이스(210)에 장착되어 있는 종동기어(374b)로 구성되어 있다. 도 2에 도시되어 있는 바와 같이, 종동기어(374b)의 하부는 원동기어(374a)와의 이맞물림을 위하여 케이스(210)의 우측면 중앙에 노출되어 있다.
도 7과 도 8에 도시되어 있는 바와 같이, 벨트전동장치(376)는 제1 축(364)에 장착되어 있는 원동풀리(376a)와, 제2 축(366)을 중심으로 회전할 수 있도록 케이스(210)의 한쪽 측면 중간에 장착되어 있는 제1 종동풀리(376a)와, 제3 축(368)을 중심으로 회전할 수 있도록 케이스(210)의 한쪽 측면 하부에 장착되어 있는 제2 종동풀리(376c)와, 원동풀리(376a), 제1 종동풀리(376b)와 제2 종동풀리(376c)에 감아 걸려 있는 벨트(376d)로 구성되어 있다. 제1 종동풀리(376b)와 제2 종동풀리(376c) 사이를 주행하는 벨트(376d)는 수직하게 배치되어 있다. 제1 종동풀리(376b)와 제2 종동풀리(376c) 사이에 배치되는 벨트(376d)의 일부분은 조인트(Joint: 376e)에 의하여 푸시플레이트(362)에 고정되어 있다. 텐션풀리(Tension pulley: 376f)가 벨트(376d)의 장력을 조절하도록 케이스(210)에 장착되어 있다.
도 3 내지 도 5, 도 7, 도 8, 도 10, 도 11 내지 도 14를 참조하면, 푸시플레이트(262)는 래크피니언(Rack and pinion: 378)에 의하여 제1 저장고(220) 내에서 안정적으로 승강하게 된다. 래크피니언(378)은 한 쌍의 래크(378a)들과 한 쌍의 피니언(378b)들로 구성되어 있다. 래크(378a)들은 제1 저장고(220)에 서로 간격을 두고 수직하게 장착되어 있다. 피니언(378b)들은 래크(378a)들과 이맞물림되어 회전되도록 푸시플레이트(362)에 장착되어 있다. 푸시플레이트(362)의 승강 시 피니언(378b)들이 래크(378a)들과의 이맞물림에 의하여 회전되면서 푸시플레이트(362)의 승강 속도를 일정하게 제어한다.
도 10에 도시되어 있는 바와 같이, 제1 저장고(220)와 푸시플레이트(362)는 리니어가이드(Linear guide: 380)에 의하여 연결되어 있다. 리니어가이드(380)는 한 쌍의 가이드그루브(Guide groove: 380a)들과 복수의 가이드롤러(Guide roller: 380b)들로 구성되어 있다. 가이드그루브(380a)들이 제1 저장고(220)의 양쪽 내면에 수직하게 형성되어 있다. 복수의 가이드롤러(380b)들이 푸시플레이트(362)의 양쪽 측면에 장착되어 있다. 가이드롤러(380b)들은 푸시플레이트(362)의 승강 시 가이드그루브(380a)들을 따라 구름운동되면서 푸시플레이트(362)의 승강을 직선운동으로 안내한다. 리니어가이드(380)는 케이스(210)에 장착되어 있는 한 쌍의 가이드바(Guide bar)들과, 가이드바들을 따라 슬라이딩(Sliding)되도록 푸시플레이트(362)에 장착되어 있는 한 쌍의 가이드부시(Guide bush)들로 구성될 수도 있다.
도 4 내지 도 8과 도 22 내지 도 29를 참조하면, 본 발명에 따른 ATM의 수표 카세트(200)는 출금수표(12)와 입금수표(14)의 인쇄를 위한 프린터(390)을 구비한다. 프린터(390)는 한 쌍의 가이드바(392)들, 제1 캐리지(Carriage: 394), 제2 캐리지(396), 리턴스프링(398), 프린트유닛(Print unit: 400), 플래턴(Platen: 402)과 구동장치(410)를 구비한다. 가이드바(392)들은 입구(212)와 이웃하도록 케이스(210)의 상부에 X축 방향(X)을 따라 서로 간격을 두고 평행하게 장착되어 있다.
제1 캐리지(394)는 가이드바(392)들을 따라 X축 방향(X)을 따라 이송될 수 있도록 장착되어 있다. 제1 캐리지(394)는 가이드바(392)들의 한쪽 끝과 이웃하여 대기되어 있는 제1 위치(P5)와 수표(10)들을 인쇄하기 위한 제2 위치(P6) 사이를 운동한다. 제1 캐리지(394)의 하면에 한 쌍의 가이드바(392)들 중 어느 하나의 가이드바를 따라 슬라이딩되도록 결합되어 있는 슬라이드(Slide: 394a)가 형성되어 있다. 본 실시예에 있어서, 하나의 슬라이드(394a)가 입구(212)와 이웃하는 하나의 가이드바를 따라 슬라이딩되면서 제1 캐리지(394)의 직선운동을 안내하는 것이 도시되고 설명되었으나, 한 쌍의 슬라이드들이 한 쌍의 가이드바들을 따라 슬라이딩되어 제1 캐리지(394)의 직선운동을 안내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제2 캐리지(396)는 제1 캐리지(394)와 함께 X축 방향(X)을 따라 이송되도록 제1 캐리지(394)의 상면에 장착되어 있고, Y축 방향(Y)을 따라 이동할 수 있도록 제1 캐리지(394)에 장착되어 있다. 제2 캐리지(396)는 제1 위치(P5)에서 인쇄 위치에 있는 수표(10)로부터 후퇴되어 제3 위치(P7)에 있게 된다. 제2 캐리지(396)는 제2 위치(P6)에서 인쇄 위치에 있는 수표(10)에 대하여 접근되어 제4 위치(P8)에 있게 된다. 제2 캐리지(396)의 하면에 가이드바(392)들을 따라 슬라이딩되도록 결합되어 있는 한 쌍의 슬라이드(396a)들이 형성되어 있다. 가이드슬롯(Guide slot: 396b)이 슬라이드(396a)들에 Y축 방향(Y)을 따라 각각 형성되어 있다. 가이드바(392)들은 가이드슬롯(396b)에 끼워져 있다. 따라서 슬라이드(396a)들은 가이드바(392)들을 따라 X축 방향(X)과 Y축 방향(Y)을 따라 운동할 수 있다. 가이드슬롯(396b)의 한쪽에 가이드바(392)들을 쉽게 끼워넣을 수 있는 입구(396c)가 형성되어 있다. 입구(396c)는 슬라이드(396a)들의 바깥쪽을 향하여 형성되어 있다.
도 24, 도 26과 도 27에 도시되어 있는 바와 같이, 리턴스프링(398)은 제2 캐리지(396)가 인쇄 위치에 있는 수표(10)로부터 후퇴되는 방향, 즉 제4 위치(P8)에서 제3 위치(P7)로 이동되도록 탄성력을 부여한다. 리턴스프링(398)은 제1 캐리지(394)와 제2 캐리지(396) 사이에 장착되어 있는 코일스프링으로 구성되어 있다. 프린트유닛(400)은 제2 캐리지(396)에 장착되어 있다. 프린트유닛(400)의 프린트헤드(400a)는 제2 캐리지(396)의 전면 중앙에 돌출되어 있다. 본 실시예에 있어서, 프린트유닛(400)은 도트프린트유닛(Dot print unit)으로 구성되어 있다. 플래턴(402)은 프린트헤드(400a)와 대향되도록 케이스(210)에 장착되어 있고, 프린트헤드(400a)에 의하여 인쇄되는 출금수표(12)와 입금수표(14)를 그 인쇄 위치에서 지지한다. 스위핑 플레이트(Sweeping plate: 404)가 제1 캐리지(394)의 전면에 장착되어 있다. 스위핑 플레이트(404)는 프린트유닛(400)보다 선행되어 수표(10), 예를 들면 구겨져 있거나 접혀져 있는 수표(10)를 펼쳐주도록 제1 캐리지(394)에 장착되어 있다.
도 22 내지 도 24, 도 26과 도 27을 참조하면, 구동장치(410)는 서보모터(412)와 벨트전동장치(414)로 구성되어 있다. 서보모터(412)는 제1 캐리지(394)의 제1 위치(P5)와 반대쪽에 배치되도록 케이스(210)의 한쪽에 장착되어 있고, 제1 캐리지(394)의 이송을 위한 구동력을 제공한다. 벨트전동장치(414)는 서보모터(412)의 축(412a)에 장착되어 있는 구동풀리(414a)와, 구동풀리(414a)와 X축 방향(X)을 따라 간격을 두고 있으며 축(416)을 중심을 회전할 수 있도록 장착되어 있는 종동풀리(414b)와, 구동풀리(414a)와 종동풀리(414b)에 감아 걸려 있는 벨트(414c)와, 제1 캐리지(394)와 벨트(414c)의 일부분을 고정하고 있는 조인트(414d)로 구성되어 있다. 본 실시예에 있어서, 벨트전동장치(414)는 타이밍벨트전동장치로 구성되어 있다.
프린터(390)은 구동장치(410)의 작동에 의하여 X축 방향(X)을 따라 이송되는 제2 캐리지(396)를 Y축 방향(Y)으로 이송시키는 캠 메커니즘(Cam mechanism: 420)을 구비한다. 캠 메커니즘(420)은 캠(422)과 롤러 팔로워(Roller follower: 424)로 구성되어 있다. 캠(420)은 입구(212)와 이웃하도록 케이스(210)의 상부에 X축 방향(X)을 따라 장착되어 있다. 롤러 팔로워(424)는 캠(422)을 추종하도록 제2 캐리지(396)에 장착되어 있다.
도 22 내지 도 29를 모두 참조하면, 캠(422)의 캠 선도(Cam diagram)는 정지구간(Dwell section: 422a)과, 프린트유닛(400)이 플래턴(402)에 가까워지도록 정지구간(422a)의 말단에 연결되어 있는 상승구간(Rise section: 422b)과, 프린트유닛(400)이 X축 방향(X)을 따라 직선운동되면서 출금수표(12)와 입금수표(14)를 인쇄할 수 있도록 상승구간(422b)의 말단에 연결되어 있는 인쇄구간(Printing section: 422c)으로 구성되어 있다. 정지구간(422a)과 인쇄구간(422c)은 X축 방향(X)을 따라 평행하게 배치되어 있다. 정지구간(422a)은 플래턴(402)과 멀게 배치되어 있고, 인쇄구간(422c)은 플래턴(402)과 가깝게 배치되어 있다. 상승구간(422b)은 정지구간(422a)과 인쇄구간(422c)을 경사지게 연결하고 있다. 정지구간(422a)에서 프린트헤드(400a)와 플래턴(402) 사이에 제1 간격(G1)이 유지된다. 인쇄구간(422c)에서 프린트헤드(400a)와 플래턴(402) 사이에 제1 간격(G1)이 유지된다. 인쇄구간(422c)에서 프린트헤드(400a)와 플래턴(402) 사이에 제1 간격(G1)보다 좁은 제2 간격(G2)이 유지된다. 센서(426)가 제1 캐리지(294)의 제1 위치(P5)를 감지하도록 케이스(210)의 한쪽에 장착되어 있다.
도 16에 도시되어 있는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ATM의 수표 카세트(200)는 메인트랙(240)을 따라 이송되는 수표(10)들을 감지하여 모드(Mode)를 제어하기 위한 제1 센싱장치(Sensing device: 430)를 구비한다. 제1 센싱장치(430)는 중앙처리장치(120)와 연결되어 있으며 메인트랙(240)을 따라 장착되어 있는 제1 내지 제4 센서(Sensor: 432, 434, 436, 438)로 구성되어 있다. 제1 센서(432)는 제1 롤피드(310)의 상류에 배치되도록 메인트랙(240)에 장착되어 입구(212)를 통하여 들어오거나 나가는 수표(10)들을 감지한다. 제1 센서(432)는 입구(212)와 제1 롤피드(310) 사이에 배치되어 있다. 제2 센서(434)는 플래턴(402)의 하단과 이웃하도록 메인트랙(240)에 장착되어 수표(10)들 감지한다. 제2 센서(434)는 제2 롤피드(312)의 하류에 이웃하도록 배치되어 있다. 제3 센서(436)는 제3 롤피드(314)와 제4 롤피드(308) 사이에 배치되도록 메인트랙(240)에 장착되어 수표(10)들을 감지한다. 제3 센서(436)는 제4 롤피드(308)의 상류에 이웃하도록 배치되어 있다. 제4 센서(438)는 피드롤러(274)의 상류에 이웃하도록 장착되어 수표(10)들을 감지한다. 제1 내지 제4 센서(432, 434, 436, 438)는 포토커플러(Photocoupler)로 구성되어 있다.
도 11과 도 12에 도시되어 있는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ATM의 수표 카세트(200)는 제1 저장고(220)에 저장되는 출금수표(12)의 양을 감지하여 모드를 제어하기 위한 제2 센싱장치(440)를 구비한다. 제2 센싱장치(440)는 중앙처리장치(120)와 연결되어 있는 제1 센서(442), 제2 센서(444)와 센싱유닛(Sensing unit: 446)으로 구성되어 있다. 제1 센서(442)는 제1 저장고(220)의 바닥과 이웃하여 푸시플레이트(362)를 감지하도록 케이스(210)에 장착되어 있다. 출금수표(12)가 모두 소진된 상태에서 제1 센서(442)가 푸시플레이트(362)를 감지하면, 제1 저장고(220)가 비어 출금수표(12) 또는 보충수표(14)를 가득 채워넣을 수 있는 상태이다. 제2 센서(444)는 제1 저장고(220)의 제1 입구(224)와 이웃하여 푸시플레이트(362)를 감지하도록 케이스(210)에 장착되어 있다. 제2 센서(444)가 푸시플레이트(362)를 감지하면, 제1 저장고(220)에 출금수표(12)가 소량으로 남겨져 보충수표(16)의 보충이 필요한 상태이다. 센싱유닛(446)은 센싱브래킷(Sensing bracket: 446a)과 제3 센서(446b)로 구성되어 있다. 센싱브래킷(446a)은 가이드플레이트(264)의 상면에 장착되어 있다. 제3 센서(446b)는 센싱브래킷(446a)을 감지할 수 있도록 케이스(210)에 장착되어 있다. 제1 센서(442)가 푸시플레이트(362)를 감지하고, 제3 센서(446b)가 센싱브래킷(446a)을 감지하면, 보충수표(16)가 제1 저장고(220)에 가득 보충되어 있는 상태이다. 제1 내지 제3 센서(442, 444, 446b)는 포토커플러로 구성되어 있다.
도 9, 도 11과 도 12에 도시되어 있는 바와 같이, 센싱유닛(450)은 낱장분리장치(260)에 의하여 분리되는 첫 번째 출금수표(12-1)의 분리 압력을 감지한다. 센싱유닛(450)은 센싱브래킷(450a)과 센서(450b)로 구성되어 있다. 센싱브래킷(450a)은 제1 축(262)에 장착되어 있다. 센서(450b)는 중앙처리장치(120)와 연결되어 있으며 센싱브래킷(450a)을 감지할 수 있도록 케이스(210)에 장착되어 있다. 센서(450b)가 제1 축(262)과 함께 회전하는 센싱브래킷(450a)을 감지하면, 첫 번째 출금수표(12-1)를 픽업롤러(270)들과 피드롤러(274)들에 의하여 이송할 수 있는 상태이다.
한편, 본 발명에 따른 ATM의 수표 카세트(200)는 제1 및 제2 센싱장치(430, 440), 센싱유닛(450) 이외에도 모드의 제어를 위하여 중앙처리장치(120)와 연결되어 있는 여러 센서들을 구비하고 있다. 도 7 내지 도 9에 도시되어 있는 바와 같이, 센싱유닛(460)은 피드롤러(274)의 정위치를 감지한다. 센싱유닛(460)은 제1 축(262)에 장착되어 있는 센싱브래킷(460a)과, 센싱브래킷(460)을 감지하도록 케이스(210)에 장착되어 있는 센서(460b)로 구성되어 있다. 도 8과 도 9에 도시되어 있는 바와 같이, 센서(462)는 스택휠(292)의 정위치를 감지하도록 케이스(210)에 장착되어 있다. 도 4에 도시되어 있는 바와 같이, 복수의 센서(464)들은 제2 저장고(230)의 내측에 장착되어 입금수표(14)들의 스큐(Skew)를 감지한다. 도 16에 도시되어 있는 바와 같이, 센서(466)는 가이드 플레이트(236)을 감지한다. 센서(466)가 가이드 플레이트(236)를 감지하면, 제2 저장고(230)에 입금수표(14)의 입금이 완료된 상태이다.
지금부터는, 이와 같은 구성을 갖는 본 발명에 따른 ATM의 지폐 카트리지에 의하여 출금수표를 지급하는 작용을 설명한다.
도 1, 도 5 내지 도 8과 도 15를 참조하면, 고객이 접객유닛(110)을 조작하여 출금수표(12)의 출금을 요청하면, 중앙처리장치(120)는 푸싱장치(360)의 서보모터(372)를 구동시킨다. 서보모터(372)의 구동력은 기어전동장치(374)와 벨트전동장치(376)에 의하여 푸시플레이트(362)에 전달된다. 반시계 방향으로 주행되는 벨트전동장치(376)의 벨트(376a)에 고정되어 있는 푸시플레이트(362)는 상승되어 첫 번째 출금수표(12-1)를 픽업롤러(270)들에 밀착시킨다. 푸시플레이트(362)의 승강은 래크피니언(378)과 리니어가이드(380)에 의하여 안정적으로 원활하게 실시된다. 픽업롤러(270)들이 첫 번째 출금수표(12-1)와 접촉되면서 가이드플레이트(264)가 제1 축(262)을 중심으로 회전되고, 센서(450b)가 제1 축(262)와 함께 회전하는 센싱브래킷(450a)을 감지하게 된다.
도 17 내지 도 21을 참조하면, 중앙처리장치(120)는 센서(450b)로부터 입력되는 신호를 처리하여 첫 번째 출금수표(12-1)를 픽업롤러(270)들에 의하여 이송할 수 있는 상태로 판단하고, 서보모터(372)의 구동을 정지시킨다. 중앙처리장치(120)는 제1 게이트 셀렉터(340)의 솔레노이드 액추에이터(344)를 작동시킨다. 도 18에 도시되어 있는 바와 같이, 솔레노이드 액추에이터(344)의 작동에 의하여 플래퍼(342)가 제1 위치(P1)으로부터 제2 위치(P2)로 회전되어 제1 트랙(160), 입구(212)와 메인트랙(240)를 연결한다. 도 20에 도시되어 있는 바와 같이, 제2 게이트 셀렉터(350)의 플래퍼(352)는 제2 위치(P4)에 배치되어 제2 입구(234)를 차단한다. 따라서 출금수표(12)들은 메인트랙(240)을 따라 이송시켜 출금할 수 있게 된다.
도 11과 도 13을 참조하면, 중앙처리장치(120)는 낱장분리장치(260)의 서보모터(282)를 구동시킨다. 서보모터(282)의 구동력은 기어전동장치(284)에 의하여 제1 축(262)에 전달되고, 제1 축(262)과 함께 픽업롤러(270)들이 반시계 방향으로 회전된다. 반시계 방향으로 회전하는 픽업롤러(270)들의 마찰패드(270a)는 첫 번째 출금수표(12-1)에 마찰력을 부여하여 첫 번째 출금수표(12-1)를 이송한다. 제1 축(262)의 회전력은 벨트전동장치(286)에 의하여 제2 축(268)에 전달되고, 제2 축(268)과 함께 피드롤러(274)들이 반시계 방향으로 회전되어 픽업롤러(270)들로부터 이송되어 오는 첫 번째 출금수표(12-1)를 메인트랙(240)으로 이송한다. 첫 번째 출금수표(12-1)의 이송 시 두 번째 출금수표(12-2)의 선단은 정지되어 있는 게이트롤러(276)들에 걸려 이송되지 못한다. 따라서 첫 번째 출금수표(12-1)는 두 번째 출금수표(12-2)와 정확하게 분리되어 이송된다.
도 5 내지 도 8, 도 15와 도 16을 참조하면, 중앙처리장치(120)는 낱장분리장치(260)의 서보모터(282)와 함께 로딩장치(300)의 서보모터(332)를 구동시킨다. 서보모터(332)의 구동력은 기어전동장치(334)와 벨트전동장치(336)에 의하여 제1 내지 제5 롤피드(310a~310e)의 피드롤러(312a~312e)에 전달되고, 피드롤러(312a~312e)는 반시계 방향으로 회전된다. 반시계 방향으로 회전하는 피드롤러(312a~312d)와 아이들롤러(314a~314e)는 구름마찰에 의하여 메인트랙(240)을 따라 첫 번째 출금수표(12-1)를 이송한다.
계속해서, 제1 내지 제4 센서(432, 434, 436, 438)는 메인트랙(240)을 따라 이송되는 첫 번째 출금수표(12-1)를 감지한 신호를 중앙처리장치(120)에 입력한다. 제4 센서(438)가 첫 번째 출금수표(12-1)를 감지한 신호를 중앙처리장치(120)에 입력하면, 중앙처리장치(120)는 서보모터(282)의 구동을 정지시킨다. 제1 센서(432)와 제2 센서(434)가 동시에 첫 번째 출금수표(12-1)를 감지한 신호를 중앙처리장치(120)에 입력하면, 중앙처리장치(120)는 서보모터(332)의 구동을 정지시킨다. 도 25에 도시되어 있는 바와 같이, 제1 센서(432)와 제2 센서(434) 사이에 정지되는 첫 번째 출금수표(12-1)는 플래턴(402)에 지지된다.
도 22 내지 도 29를 참조하면, 중앙처리장치(120)는 프린터(390)의 서보모터(412)를 한쪽 방향으로 구동시킨다. 서보모터(412)의 구동력은 벨트전동장치(414)에 의하여 제1 캐리지(394)에 전달되고, 반시계 방향으로 주행되는 벨트(414c)에 고정되어 있는 제1 캐리지(394)는 제1 위치(P5)로부터 제2 위치(P6)로 이송된다. 이때, 제1 캐리지(394)의 슬라이드(394a)는 가이드바(392)를 따라 이송되면서 제1 캐리지(394)가 X축 방향(X)을 따라 직선 운동되도록 안내한다.
한편, 제1 캐리지(394)가 X축 방향(X)을 따라 이송되는 것과 병행하여 캠 메커니즘(420)의 롤러 팔로워(424)는 캠(422)의 정지구간(422a)으로부터 상승구간(422b)을 거쳐 인쇄구간(422c)을 추종하게 된다. 이와 같은 캠 메커니즘(420)의 작동에 의하여 제2 캐리지(396)는 제3 위치(P7)에서 제4 위치(P8)로 이동된다. 이때, 제2 캐리지(396)의 슬라이드(396a)들은 가이드바(392)들을 따라 이송되면서 제2 캐리지(396)가 X축 방향(X)을 따라 직선 운동되도록 안내한다. 또한, 제2 캐리지(396)는 가이드바(392)들을 따라 슬라이딩되는 슬라이드(396a)의 가이드슬롯(396b)에 의하여 Y축 방향(Y)을 따라 직선 운동된다. 인쇄구간(422c)에서 프린트헤드(400a)는 플래턴(402)에 지지되어 있는 첫 번째 출금수표(12-1)에 가깝게 배치되어 첫 번째 출금수표(12-1)에 예를 들면, 발행 연월일을 인쇄한다.
다음으로, 프린터(390)의 인쇄가 종료되면, 중앙처리장치(120)는 서보모터(412)를 반대방향으로 구동시킨다. 제1 캐리지(394)는 벨트전동장치(414)에 의하여 제2 위치(P6)로부터 제1 위치(P5)로 이송된다. 서보모터(412)의 구동이 정지되면, 제1 캐리지(394)는 제1 위치(P5)에서 대기된다. 제1 캐리지(394)가 제1 위치(P5)에 대기되면, 리턴스프링(398)의 탄성력을 부여받아 제2 캐리지(396)는 인쇄 위치에 있는 수표(10)로부터 후퇴되어 제3 위치(P7)에 있게 된다. 프린트헤드(400a)와 플래턴(402) 사이에 인쇄 시 요구되는 제2 간격(G2)보다 넓은 제1 간격(G1)이 유지되고, 또한 프린트헤드(400a)가 메인트랙(240)으로부터 벗어나 이송되는 수표(10)와 프린트헤드(400a)와의 간섭이 방지된다. 따라서 수표(10)의 잼을 효과적으로 방지할 수 있다.
또한, 제1 및 제2 캐리지(394, 396)의 작동에 의하여 프린트유닛(400)이 X축 및 Y축 방향(X, Y)을 따라 이동되는 구조에 의하여 프린트유닛(400)의 동선이 수표 카세트(200)에서 최소의 공간을 차지하도록 최적으로 설계되어 있다. 따라서 수표 카세트(200)의 설계자유도를 높일 수 있으며, 크기를 소형화하여 제작할 수 있다.
도 1, 도 11과 도 16을 참조하면, 중앙처리장치(120)는 제1 캐리지(394)가 제1 위치(P5)에 정지되면, 서보모터(332)를 구동시켜 첫 번째 출금수표(12-1)를 이송시킨다. 첫 번째 출금수표(12-1)는 입구(212)를 통과하여 BRM(130)에 인계된다. BRM(130)은 첫 번째 출금수표(12-1)를 고객에게 지급한다. 본 발명에 따른 ATM의 수표 카세트(200)는 BRM(130)과 연동하여 고객이 요청하는 복수의 출금수표(12)들을 지급한다.
다음으로, 본 발명에 따른 ATM의 수표 카세트에 의하여 입금수표를 입금하는 작용을 설명한다. 도 17, 도 19와 도 21을 참조하면, 제1 게이트 셀렉터(340)의 플래퍼(342)는 제1 위치(P1)에 배치되어 제2 트랙(162)과 메인트랙(240)을 연결하게 된다. 제2 게이트 셀렉터(350)의 솔레노이드 액추에이터(354)가 작동되면, 플래퍼(352)는 제1 위치(P3)로부터 제2 위치(P4)로 회전되어 분기지점(252)에서 메인트랙(240)을 닫아주고, 브랜치트랙(250)을 열어준다.
도 1, 도 5 내지 도 8, 도 15와 도 16을 참조하면, 중앙처리장치(120)의 제어에 의하여 로딩장치(300)의 서보모터(322)가 구동되어 제1 내지 제5 롤피드(310a~310e)의 피드롤러(312a~312e)를 시계 방향으로 회전시킨다. 고객이 입금하는 입금수표(16)는 BRM(130)의 작동에 의하여 제2 트랙(162)과 입구(212)를 통하여 메인트랙(240)에 진입된다. 입금수표(16)는 시계 방향으로 회전하는 제1 및 제2 롤피드(310a, 310b)의 피드롤러(312a, 312b)와 아이들롤러(314a, 314b)의 구름마찰에 의하여 메인트랙(240)을 따라 이송된다.
도 16과 도 25를 참조하면, 입금수표(16)가 제1 센서(432)를 지나 제2 센서(434)에 감지되면, 중앙처리장치(120)는 서보모터(322)의 구동을 정지시킨다. 제1 센서(432)와 제2 센서(434) 사이에 정지되는 입금수표(14)는 플래턴(402)에 지지된다. 중앙처리장치(120)는 프린터(390)의 서보모터(412)를 한쪽 방향으로 구동시켜 제1 캐리지(394)를 제1 위치(P5)로부터 제2 위치(P6)로 이송시킨다. 프린트헤드(400a)가 플래턴(402)에 지지되어 있는 입금수표(14)에 예를 들면, 입금 연월일, 고객 정보를 인쇄한다. 입금수표(14)의 인쇄가 완료되면, 제1 캐리지(394)는 제1 위치(P5)에 복귀되어 정지된다.
도 16과 도 12를 참조하면, 입금수표(16)는 시계 방향으로 회전하는 제1, 제2 및 제5 롤피드(310a, 310b, 310e) 각각의 피드롤러(312a, 312b, 312e)와 아이들롤러(314a, 314b, 314e)의 구름마찰에 의하여 메인트랙(240)으로부터 분기지점(252), 브랜치트랙(250)과 제2 입구(234)를 지나 제2 저장고(230)에 진입된다. 가이드플레이트(236)는 제2 저장고(230)에 들어오는 입금수표(16)가 적층되도록 안내한다.
마지막으로, 본 발명에 따른 ATM의 지폐 카트리지에 보충수표를 보충하는 작용을 설명한다. 도 1과 도 12를 참조하면, 제1 저장고(220)에 저장되어 있는 출금수표(12)가 소진되거나 출금수표(12)의 수량이 부족하게 된 경우, 보충수표(16)가 리사이클 카세트(150)로부터 수표 카세트(200)의 제1 저장고(220)로 이송되어 보충된다.
도 12와 도 14를 참조하면, 출금수표(12)가 모두 소진되어 있는 상태에서 도센싱유닛(450)의 센서(450b)가 센싱브래킷(450a)을 감지한 신호를 중앙처리장치(120)에 입력하면, 중앙처리장치(120)는 제1 저장고(220)가 비어 있는 것으로 판단한다. 제2 센서(444)가 푸시플레이트(362)를 감지한 신호를 중앙처리장치(120)에 입력하면, 중앙처리장치(120)는 제1 저장고(220)에 저장되어 있는 출금수표(12)들의 잔량이 부족한 것으로 판단한다. 이와 같이 출금수표(12)가 소진되거나 수량이 부족이 부족하게 되면, 금융기관의 관리자는 리사이클 카세트(150)에 보충수표(16)들을 넣고, ATM(100)의 컨트롤패널(170)을 조작하여 수표 보충 모드를 설정한다. 한편, 수표 보충 모드는 ATM(100)의 운영 중에 중앙처리장치(120)에 의하여 자동으로 설정될 수 있다.
ATM(100)의 수표 보충 모드가 설정되면, 중앙처리장치(120)는 보충수표(16)가 수표 카세트(200)의 제1 저장고(220)에 보충되도록 수표 카세트(200)의 작동을 제어하여 수표 보충 모드를 실행한다. 도 19에 도시되어 있는 바와 같이, 수표 보충 모드가 실행되면, 제1 게이트 셀렉터(340)의 플래퍼(342)는 제1 위치(P1)에 배치되어 제2 트랙(162)과 메인트랙(240)을 연결하게 된다. 제2 게이트 셀렉터(350)의 솔레노이드 액추에이터(354)가 작동되면, 플래퍼(352)는 제2 위치(P4)로부터 제1 위치(P3)로 회전되어 분기지점(252)에서 브랜치트랙(250)을 닫아주고, 메인트랙(240)을 열어준다. 프린터(390)의 제1 캐리지(394)는 제1 위치(P5)에 배치되어 입구(212)를 통과하여 메인트랙(240)에 진입되는 보충수표(16)가 프린트헤드(400a)에 걸리지 않게 한다.
도 14와 도 16을 참조하면, 중앙처리장치(120)의 제어에 의하여 로딩장치(300)의 서보모터(322)가 구동되어 제1 내지 제5 롤피드(310a~310e)의 피드롤러(312a~312e)를 시계 방향으로 회전시킨다. 중앙처리장치(120)의 제어에 의하여 낱장분리장치(260)의 서보모터(282)가 구동되어 픽업롤러(270)과 피드롤러(274)를 시계 방향으로 회전시킨다. 또한, 중앙처리장치(120)의 제어에 의하여 스택장치(290)의 서보모터(294)가 구동되어 게이트롤러(276)과 스택휠(292)을 반시계 방향으로 회전시킨다.
계속해서, 도 1에 도시되어 있는 바와 같이, 중앙처리장치(120)는 트랜스포트 메커니즘(132)과 리사이클 카세트(150)의 작동을 제어하여 리사이클 카세트(150)로부터 보충수표(16)를 한 장씩 연속적으로 인출한다. 트랜스포트 메커니즘(132)은 리사이클 카세트(150)로부터 인출되는 보충수표(16)를 위폐 감별기(134)로 보낸다. 위폐 감별기(134)는 보충수표(16)의 권종 구분 및 진위 감별을 실시하고, 보충수표(16)를 계수한다.
또한, 위폐 감별기(134)는 보충수표(16)의 데이터를 획득한다. 예를 들면, 위폐 감별기(134)의 자기잉크문자판독기(Magnetic ink character reader, MICR)은 수표의 자기잉크문자인식에 의하여 판독하고, 자기잉크문자판독기에 의하여 판독되는 데이터는 온라인시스템을 통하여 금융기관의 호스트로 전송한다. 금융기관의 컴퓨터는 ATM(100)으로부터 전송되는 테이터에 의하여 수표의 진위를 판별하고, 그 결과를 ATM(100)에 전송한다. 이와 같은 보충수표(16)의 데이터와 수량은 호스트 또는 중앙처리장치(120)에 연결되어 있는 데이터베이스(Database)에 저장된다.
트랜스포트 메커니즘(132)은 보충수표(16)를 제2 트랙(162)으로 보내서 입구(212)을 통하여 메인트랙(240)에 진입시킨다. 보충수표(16)는 시계 방향으로 회전하는 제1 내지 제4 롤피드(310a~310d)의 피드롤러(312a~312d)와 아이들롤러(314a~ 314d)의 구름마찰에 의하여 메인트랙(240)을 따라 이송된다. 보충수표(16)는 제4 롤피드(310d)를 지나 시계 방향으로 회전되는 피드롤러(274)들과 반시계 방향으로 회전되는 게이트롤러(276)들에 의하여 제1 입구(224)를 지나게 된다. 보충수표(16)는 제1 입구(224)를 지나 픽업롤러(270)에 의하여 푸시플레이트(362)의 상면이나 출금수표(12) 위에 적층된다.
도 12와 도 14를 참조하면, 가이드플레이트(264)는 보충수표(16)가 제1 입구(224)를 지나 푸시플레이트(362)의 상면에 적층되도록 보충수표(16)의 이송을 안내한다. 반시계 방향으로 회전되는 스택휠(292)들의 블레이드(292a)들은 적층되는 보충수표(16)를 쳐서 펼쳐주게 된다. 따라서 보충수표(16)는 가이드플레이트(264) 위에서 들뜨거나 접혀지지 않고 정확하게 펼쳐져 적층된다.
보충수표(16)의 적층을 위해서는 픽업롤러(270)과 푸시플레이트(362)의 맨 위에 적층되어 있는 보충수표(16) 또는 첫 번째 출금수표(12-1) 사이에 공간을 확보해 주어야 한다. 중앙처리장치(120)의 제어에 의하여 푸싱장치(360)의 서보모터(372)가 구동되면, 서보모터(372)의 구동력은 기어전동장치(374)와 벨트전동장치(376)에 의하여 푸시플레이트(362)에 전달된다. 시계 방향으로 주행되는 벨트전동장치(376)의 벨트(376d)에 고정되어 있는 푸시플레이트(262)는 하강되고, 보충수표(16)를 보충할 수 있는 공간이 확보된다. 이와 같이 푸시플레이트(262)의 하강과 병행하여 보충수표(16)를 연속적으로 이송하여 제1 저장고(220)에 순차적으로 적층하여 수납할 수 있다.
제1 센서(442)가 푸시플레이트(362)를 감지한 신호를 중앙처리장치(120)에 입력하면, 중앙처리장치(120)는 제1 저장고(220)에 보충수표(16)의 보충이 완료되어 출금수표(12)들이 가득 찬 것으로 판단한다. 중앙처리장치(120)는 BRM(130), 리사이클 카세트(150), 낱장분리장치(260)의 서보모터(282), 스택장치(290)의 서보모터(294), 로딩장치(330)의 서보모터(332)와 푸싱장치(360)의 서보모터(372)를 정지시켜 수표 보충 모드를 종료한다. 중앙처리장치(120)는 위폐 감별기(134)에서 획득한 수표의 데이터와 수량을 근거로 리사이클 카세트(150)에 남아 있는 보충수표의 수량과 제1 저장고(220)에 보충된 보충수표의 수량을 산출하고, 그 데이터를 데이터베이스에 저장하고 관리한다.
이상에서 설명된 실시예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설명한 것에 불과하고, 본 발명의 권리범위는 설명된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과 특허청구범위 내에서 이 분야의 당업자에 의하여 다양한 변경, 변형 또는 치환이 가능할 것이며, 그와 같은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범위에 속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10: 수표 12: 출금수표
14: 입금수표 16: 보충수표
100: ATM 120: 중앙처리장치
130: BRM 132: 트랜스포트 메커니즘
200: 수표 카세트 210: 케이스
212: 입구 218: 프레임
220: 제1 저장고 224: 제1 입구
230: 제2 저장고 234: 제2 입구
236: 가이드플레이트 240: 메인트랙
250: 브랜치트랙 260: 낱장분리장치
264: 가이드플레이트 266: 레버
270: 픽업롤러 272: 리턴스프링
274: 피드롤러 276: 게이트롤러
280: 서보모터 282: 서보모터
284: 기어전동장치 286: 벨트전동장치
290: 스택장치 292: 스택휠
294: 서보모터 300: 로딩장치
310a~310e: 제1 내지 제5 롤피드 330: 구동장치
332: 서보모터 334: 기어전동장치
336: 벨트전동장치 338: 원웨이클러치
340: 제1 게이트 셀렉터 342: 플래퍼
344: 솔레노이드 액추에이터 346: 링케이지
350: 제2 게이트 셀렉터 352: 플래퍼
354: 솔레노이드 액추에이터 356: 링케이지
360: 푸싱장치 362: 푸시플레이트
370: 구동장치 372: 서보모터
374: 기어전동장치 376: 벨트전동장치
378: 래크피니언 380: 리니어가이드
390: 프린터 392: 가이드바
394: 제1 캐리지 396: 제2 캐리지
398: 리턴스프링 400: 프린트유닛
402: 플래턴 410: 구동장치
412: 서보모터 414: 벨트전동장치
420: 캠 메커니즘 422: 캠
424: 롤러 팔로워 430: 제1 센싱장치
440: 제2 센싱장치 450: 센싱유닛

Claims (15)

  1. 출금수표와 입금수표를 포함하는 수표가 드나드는 입구와 상기 출금수표를 수납하기 위한 제1 저장고와 상기 입금수표를 수납하기 위한 제2 저장고가 구비되어 있고, 상기 출금수표의 이송을 위하여 상기 입구와 제1 저장고를 연결하는 메인트랙이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입금수표의 이송을 위하여 상기 메인트랙과 상기 제2 저장고를 연결하도록 브랜치트랙이 상기 메인트랙으로부터 분기되어 있는 케이스와;
    상기 제1 저장고에 수납되어 있는 상기 출금수표를 상기 제1 저장고로부터 상기 메인트랙으로 한 장씩 내보내도록 상기 케이스에 장착되어 있는 픽업롤러, 피드롤러와 게이트롤러를 구비하는 낱장분리장치와;
    상기 메인트랙과 상기 브랜치트랙을 따라 상기 수표를 이송하는 로딩장치와;
    상기 픽업롤러에 대하여 상기 출금수표를 밀어주기 위하여 상기 제1 저장고에 이동할 수 있도록 장착되어 있는 푸시플레이트를 구비하는 푸싱장치를 포함하는 현금자동입출금기의 수표 카세트.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케이스에 장착되어 있고, 상기 입구를 드나드는 상기 수표의 이송 방향을 결정하도록 상기 입구에 이웃되어 있는 플래퍼를 구비하는 제1 게이트 셀렉터와;
    상기 케이스에 장착되어 있으며, 상기 메인트랙과 상기 브랜치트랙의 분기지점에서 상기 수표의 이송 방향을 결정하도록 상기 분기지점에 배치되어 있는 플래퍼를 구비하는 제2 게이트 셀렉터를 더 포함하는 현금자동입출금기의 수표 카세트.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수표는 상기 제1 저장고에 출금을 위하여 보충되는 보충수표를 포함하고, 상기 제1 게이트 셀렉터는 상기 입금수표를 상기 제2 저장고로 이송하며 상기 보충수표를 상기 제1 저장고로 이송하도록 구성되어 있는 현금자동입출금기의 수표 카세트.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낱장분리장치는,
    상기 제1 저장고에 회전할 수 있도록 장착되어 있고, 상기 피드롤러가 장착되어 있는 제1 축과;
    상기 제1 축을 중심으로 회전되도록 장착되어 있으며, 상기 메인트랙으로부터 이송되어 오는 상기 수표의 적층을 안내하는 가이드플레이트와;
    상기 제1 축을 중심으로 회전되도록 장착되어 있는 레버와;
    상기 레버에 상기 제1 축과 평행하도록 장착되어 있고, 상기 픽업롤러가 장착되어 있는 제2 축과;
    상기 픽업롤러가 상기 제1 저장고에 적층되어 있는 상기 출금수표에 접촉되는 방향으로 상기 레버에 탄성력을 부여하는 리턴스프링을 더 구비하는 현금자동입출금기의 수표 카세트.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게이트롤러를 회전시키기 위한 구동력을 제공하는 서보모터를 더 포함하고, 상기 수표는 상기 제1 저장고에 보충되는 보충수표를 더 포함하며, 상기 서보모터는 상기 메인트랙으로부터 이송되어 오는 상기 보충수표를 상기 저장고로 이송시키는 방향으로 상기 게이트롤러를 회전시키도록 구성되어 있으며, 상기 저장고에 적층되는 상기 보충수표를 펼쳐주도록 상기 게이트롤러와 함께 회전하는 스택휠을 더 구비하는 현금자동입출금기의 수표 카세트.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로딩장치는,
    상기 메인트랙을 따라 장착되어 있고, 상기 수표를 구름마찰에 의하여 이송하는 피드롤러와 아이들롤러를 구비하는 제1 내지 제4 롤피드와;
    상기 브랜치트랙에 장착되어 있으며, 상기 수표를 구름마찰에 의하여 이송하는 피드롤러와 아이들롤러를 구비하는 제5 롤피드와;
    상기 제1 내지 제5 롤피드의 피드롤러를 회전시키기 위한 구동력을 제공하는 서보모터와 상기 서보모터의 구동력을 상기 제1 내지 제5 롤피드의 피드롤러에 전달하는 기어전동장치와 벨트전동장치를 구비하는 구동장치와;
    상기 제5 롤피드의 피드롤러가 상기 입금수표를 상기 메인트랙으로부터 상기 제2 저장고로 이송시키는 방향으로만 회전되도록 상기 제5 롤피드의 피드롤러와 동축에 장착되어 있는 원웨이클러치로 구성되어 있는 현금자동입출금기의 수표 카세트.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푸싱장치는,
    상기 푸시플레이트의 승강시키기 위한 구동력을 제공하는 서보모터와 상기 서보모터의 구동력을 상기 푸시플레이트에 전달하는 기어전동장치와 벨트전동장치를 구비하고, 상기 벨트전동장치는 상기 푸시플레이트에 고정되어 있는 벨트를 구비하는 구동장치와;
    상기 제1 저장고에 수직하게 장착되어 있는 래크와, 상기 래크에 이맞물림되어 회전되도록 상기 푸시플레이트에 장착되어 있는 피니언을 구비하는 래크피니언과;
    상기 제1 저장고의 내면에 형성되어 있는 가이드그루브와, 상기 가이드그루브를 따라 구름운동되어 상기 푸시플레이트의 승강을 안내하는 가이드롤러를 구비하는 리니어가이드로 구성되어 있는 현금자동입출금기의 수표 카세트.
  8. 제1항 내지 제7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수표의 인쇄를 위하여 상기 입구에 이웃하도록 장착되어 있는 프린터를 더 포함하는 현금자동입출금기의 수표 카세트.
  9. 제8항에 있어서,
    상기 프린터는,
    상기 입구와 이웃하도록 X축 방향을 따라 서로 평행하게 장착되어 있는 한 쌍의 가이드바들과;
    상기 한 쌍의 가이드바들을 따라 상기 한 쌍의 가이드바들의 한쪽 끝과 이웃하여 대기되어 있는 제1 위치와 상기 수표를 인쇄하는 제2 위치 사이를 운동하는 제1 캐리지와;
    상기 제1 캐리지와 함께 상기 X축 방향을 따라 이송됨과 동시에 상기 X축과 직교하는 Y축 방향을 따라 상기 수표로부터 후퇴되어 있는 제3 위치와 상기 수표에 접근되어 있는 제4 위치 사이를 운동하도록 상기 제1 캐리지에 장착되어 있는 제2 캐리지와;
    상기 제2 캐리지가 상기 수표로부터 후퇴되는 방향으로 이동되도록 상기 제2 캐리지에 탄성력을 부여하는 리턴스프링과;
    상기 수표를 인쇄하기 위하여 상기 제2 캐리지에 장착되어 있는 프린트유닛과;
    상기 프린트유닛과 대향되어 상기 수표를 지지하도록 상기 케이스에 장착되어 있는 플래턴과;
    상기 한 쌍의 가이드바들을 따라 상기 제1 캐리지를 이송시키기 위한 구동력을 제공하는 구동장치로 구성되어 있는 현금자동입출금기의 수표 카세트.
  10. 제9항에 있어서,
    상기 구동장치는,
    상기 제1 위치와 반대쪽에 배치되도록 상기 케이스에 장착되어 있고, 상기 제1 캐리지의 이송을 위한 구동력을 제공하는 서보모터와;
    상기 서보모터의 구동력을 상기 제1 캐리지에 전달하도록 상기 제1 캐리지에 고정되어 있는 벨트를 구비하는 벨트전동장치로 구성되어 있는 현금자동입출금기의 수표 카세트.
  11. 제9항에 있어서,
    상기 프린트유닛보다 선행되어 상기 수표를 펼쳐주도록 상기 제1 캐리지의 전면에 장착되어 있는 스위핑 플레이트를 더 구비하는 현금자동입출금기의 수표 카세트.
  12. 제9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캐리지는 상기 한 쌍의 가이드바들 중 어느 하나의 가이드바를 따라 슬라이딩되도록 상기 어느 하나의 가이드바가 끼워지는 슬라이드를 구비하고, 상기 제2 캐리지는 상기 한 쌍의 가이드바들을 따라 슬라이딩되도록 끼워지는 한 쌍의 슬라이드들을 구비하며, 상기 한 쌍의 슬라이드들에 상기 제2 캐리지의 Y축 방향 이송을 위하여 상기 한 쌍의 가이드바들이 끼워지는 가이드슬롯이 상기 Y축 방향을 따라 형성되어 있고, 상기 제3 위치와 상기 제4 위치 사이에서 상기 제2 캐리지를 운동시키는 캠 메커니즘을 더 구비하는 현금자동입출금기의 수표 카세트.
  13.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캠 메커니즘은,
    상기 플래턴과 이웃하도록 상기 X축 방향을 따라 장착되어 있고, 상기 제1 위치에서 상기 프린트유닛이 상기 플래턴으로부터 멀게 배치되도록 상기 제2 캐리지가 정지되어 있는 정지구간과, 상기 프린트유닛이 상기 플래턴에 가까워지도록 상기 정지구간의 말단에 연결되어 있는 상승구간과, 상기 X축 방향을 따라 상기 제2 캐리지를 이송시키면서 상기 프린터유닛에 의하여 상기 수표를 인쇄할 수 있도록 상기 상승구간의 말단에 연결되어 있는 인쇄구간을 구비하는 캠과;
    상기 캠을 추종하도록 상기 제2 캐리지에 장착되어 있는 롤러 팔로워로 구성되어 있는 현금자동입출금기의 수표 카세트.
  14. 본체와;
    상기 본체에 설치되어 있고, 출금수표와 입금수표를 포함하는 수표를 감별하는 위폐감별기와 상기 수표를 이송하는 트랜스포트 메커니즘을 구비하는 환류식 지폐입출금장치와;
    상기 본체에 설치되어 있는 수표 카세트를 포함하고,
    상기 수표 카세트는,
    상기 환류식 지폐입출금장치와 연결되어 상기 수표가 드나드는 입구와 상기 출금수표를 수납하기 위한 제1 저장고와 상기 입금수표를 수납하기 위한 제2 저장고가 구비되어 있고, 상기 출금수표의 이송을 위하여 상기 입구와 제1 저장고를 연결하는 메인트랙이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입금수표의 이송을 위하여 상기 메인트랙과 상기 제2 저장고를 연결하도록 브랜치트랙이 상기 메인트랙으로부터 분기되어 있는 케이스와;
    상기 제1 저장고에 수납되어 있는 상기 출금수표를 상기 제1 저장고로부터 상기 메인트랙으로 한 장씩 내보내도록 상기 케이스에 장착되어 있는 픽업롤러, 피드롤러와 게이트롤러를 구비하는 낱장분리장치와;
    상기 메인트랙과 상기 브랜치트랙을 따라 상기 수표를 이송하는 로딩장치와;
    상기 픽업롤러에 대하여 상기 출금수표를 밀어주기 위하여 상기 제1 저장고에 이동할 수 있도록 장착되어 있는 푸시플레이트를 구비하는 푸싱장치를 포함하는 현금자동입출금기.
  15. 제14항에 있어서,
    상기 수표는 상기 제1 저장고에 출금을 위하여 보충되는 보충수표를 포함하고, 상기 환류식 지폐입출금장치는 상기 입구와 연결되어 상기 출금수표를 이송하기 위한는 제1 트랙과, 상기 입구와 연결되어 상기 입금수표와 보충수표를 이송하기 위한 제2 트랙을 구비하는 현금자동입출금기.
KR1020120022511A 2012-03-05 2012-03-05 현금자동입출금기의 수표 카세트 및 이것을 이용한 현금자동입출금기 KR101342898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022511A KR101342898B1 (ko) 2012-03-05 2012-03-05 현금자동입출금기의 수표 카세트 및 이것을 이용한 현금자동입출금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022511A KR101342898B1 (ko) 2012-03-05 2012-03-05 현금자동입출금기의 수표 카세트 및 이것을 이용한 현금자동입출금기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30101392A true KR20130101392A (ko) 2013-09-13
KR101342898B1 KR101342898B1 (ko) 2013-12-18

Family

ID=4945159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20022511A KR101342898B1 (ko) 2012-03-05 2012-03-05 현금자동입출금기의 수표 카세트 및 이것을 이용한 현금자동입출금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342898B1 (ko)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60002262A (ko) * 2014-06-30 2016-01-07 주식회사 엘지씨엔에스 금융기기 및 그의 제어방법
KR20160045987A (ko) * 2014-10-17 2016-04-28 노틸러스효성 주식회사 매체 저장부
KR20160118413A (ko) * 2015-04-01 2016-10-12 노틸러스효성 주식회사 지폐계수모듈의 지폐분리장치
CN109658585A (zh) * 2017-10-11 2019-04-19 山东新北洋信息技术股份有限公司 一种踢纸组件、分纸机构及纸币处理装置
WO2020264147A1 (en) * 2019-06-25 2020-12-30 Diebold Nixdorf Incorporated Cassettes for an automated transaction machine

Family Cites Familie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250657B1 (ko) * 2011-10-10 2013-04-03 주식회사 엘지씨엔에스 매체카세트 및 금융기기

Cited By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60002262A (ko) * 2014-06-30 2016-01-07 주식회사 엘지씨엔에스 금융기기 및 그의 제어방법
KR20160045987A (ko) * 2014-10-17 2016-04-28 노틸러스효성 주식회사 매체 저장부
KR20160118413A (ko) * 2015-04-01 2016-10-12 노틸러스효성 주식회사 지폐계수모듈의 지폐분리장치
CN109658585A (zh) * 2017-10-11 2019-04-19 山东新北洋信息技术股份有限公司 一种踢纸组件、分纸机构及纸币处理装置
WO2020264147A1 (en) * 2019-06-25 2020-12-30 Diebold Nixdorf Incorporated Cassettes for an automated transaction machine
CN114008696A (zh) * 2019-06-25 2022-02-01 迪堡多富公司 用于自动交易机的盒
US11869297B2 (en) 2019-06-25 2024-01-09 Diebold Nixdorf, Incorporated Cassettes for an automated transaction machine
CN114008696B (zh) * 2019-06-25 2024-04-19 迪堡多富公司 用于自动交易机的盒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342898B1 (ko) 2013-12-1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089657B1 (ko) 지엽류 취급 장치
JP5427617B2 (ja) 紙幣収納庫および紙幣取扱装置
RU2480836C1 (ru) Устройство для обработки бумажных листов
KR101075927B1 (ko) 지엽류 수납 장치
KR101342898B1 (ko) 현금자동입출금기의 수표 카세트 및 이것을 이용한 현금자동입출금기
EP3101632B1 (en) Financial device and medium stacking apparatus
EP3485469B1 (en) Contact stripper/feed wheel implementation
EP3485467B1 (en) A center de-skew subassembly to center align documents
JP5784821B2 (ja) 紙葉類収納庫、紙葉類取扱装置、および、現金自動取引装置
EP3455833B1 (en) Single continuous belt in an escrow subassembly
JP5602303B2 (ja) 紙葉類収納庫、紙葉類取扱装置、および、現金自動取引装置
KR101527651B1 (ko) 매체 처리 장치
JP6051060B2 (ja) 紙幣取扱装置
KR101275926B1 (ko) 다발 반송 장치 및 지엽류 취급 장치
EP2772888A1 (en) Paper sheet processing device
JP4274395B2 (ja) シート分配機構
KR100587421B1 (ko) 매체처리기 및 그 방법
KR101880453B1 (ko) 금융 기기
JP4402555B2 (ja) 紙葉類繰出し収納庫
EP3484714B1 (en) Dual side printing with one print head
KR100526580B1 (ko) 지폐류 입출금기의 일시저장장치
JP4089021B2 (ja) 自動取引装置
KR101153639B1 (ko) 매체처리장치 및 방법과 금융기기
JP2002329230A (ja) 自動取引装置
JP2995261B2 (ja) 自動取引機集中処理システム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1011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1206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921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1030

Year of fee payment: 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