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30100508A - 차량용 공기조화장치 - Google Patents

차량용 공기조화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30100508A
KR20130100508A KR1020120021755A KR20120021755A KR20130100508A KR 20130100508 A KR20130100508 A KR 20130100508A KR 1020120021755 A KR1020120021755 A KR 1020120021755A KR 20120021755 A KR20120021755 A KR 20120021755A KR 20130100508 A KR20130100508 A KR 20130100508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unit
air conditioning
deodorant
blower
air condition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2002175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관희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두원공조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두원공조 filed Critical 주식회사 두원공조
Priority to KR1020120021755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30100508A/ko
Publication of KR2013010050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30100508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HARRANGEMENTS OF HEATING, COOLING, VENTILATING OR OTHER AIR-TREAT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PASSENGER OR GOODS SPACES OF VEHICLES
    • B60H3/00Other air-treating devices
    • B60H3/0007Adding substances other than water to the air, e.g. perfume, oxygen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LMETHODS OR APPARATUS FOR STERILISING MATERIALS OR OBJECTS IN GENERAL; 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CHEMICAL ASPECTS OF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MATERIALS FOR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 A61L9/00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 A61L9/015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using gaseous or vaporous substances, e.g. ozone
    • A61L9/04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using gaseous or vaporous substances, e.g. ozone using substances evaporated in the air without heating
    • A61L9/12Apparatus, e.g. holders, therefo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HARRANGEMENTS OF HEATING, COOLING, VENTILATING OR OTHER AIR-TREAT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PASSENGER OR GOODS SPACES OF VEHICLES
    • B60H3/00Other air-treating devices
    • B60H3/0085Smell or pollution preventing arrangement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Epidemiology (AREA)
  • Environmental & Geological Engineering (AREA)
  • Atmospheric Sciences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AREA)
  • Air-Conditioning For Vehicl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열교환기를 포함하는 공조유닛, 공조유닛의 유입구 측에 구비되어 ,공조유닛으로 공기를 송풍하는 블로어유닛,; 및 살균제 또는 탈취제를 진동시켜 미세화 하는 초음파 진동자를 포함하고, ,공조유닛과 ,블로어유닛 사이에 구비되어 미세화 된 상기 살균제 또는 탈취제를 ,공조유닛으로 공급하는 살균탈취유닛을 포함하는 차량용 공기조화장치를 제공한다.
따라서 소음발생이 적기 때문에 사용자로 하여금 불쾌감을 유발하는 요인을 제거할 수 있으며, 살균/탈취제가 분무형태(기체/증기형태)로 분사되어 증발기의 구석구석에 고르게 도포되기 때문에, 증발기 세척 효과를 향상시킬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적은 살균/탈취제로도 큰 세척효과를 얻을 수 있으며, 소모량도 줄일 수 있기 때문에 경제적이다.

Description

차량용 공기조화장치 {Air conditioner for vehicle}
본 발명은 차량용 공기조화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살균탈취유닛을 구비한 차량용 공기조화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자동차에는 주위의 각종 변화에 따른 온도 및 습도와 공기의 환경을 적당하게 유지함으로써 승차한 사람에게 쾌적한 느낌을 줄 수 있도록 냉난방 장치가 설치되어 있으며, 이러한 냉난방장치는 여름철 차내 온도를 낮게 유지시켜 주는 냉방장치와, 겨울철 차내 온도를 높게 하여 실내를 따듯하게 유지시켜 주는 난방장치로 이루어져 있다.
이 중 상기 냉방장치로는 에어컨을 사용하는데, 차량용 에어컨은 압축기, 응축기, 팽창밸브, 증발기 등으로 구성되며, 상기 증발기의 경우 HAVC의 내부에 장착되어 실내측에 위치한다. 한편, 상기 에어컨을 구동할 경우 증발기의 온도가 낮아지게 되며, 이로 인하여 증발기 주위에 응축수가 형성된다.
한편, 상기한 바와 같이 에어컨 구동 시 증발기에서 발생된 응축수는, 증발기에 세균 및 곰팡이가 번식하기 좋은 환경을 제공하게 되고, 이로 인하여 에어컨 작동 및 해제 시 악취가 발생하게 된다.
이에, 상기 에어컨 구동에 따른 악취를 제거방법으로는, 에어컨 사용 후 시동을 끄기 전 에어컨을 끄고 송풍되는 공기를 이용하여 증발기를 건조시키는 방법, 판매되는 에어컨 탈취제를 에어컨 흡입구 측에 분사하는 방법이 주로 이용되며 이 외 증발기를 탈거하여 세척, 약품처리 또는 가열하는 방법이 이용되고 있다.
하지만, 이러한 에어컨 악취제거방법은, 그 방법이 번거롭고 이미 발생된 세균을 원천적으로 제거하지 못하기 때문에 그 효과가 일시적일 뿐 후에 악취가 재발하는 문제점이 있으며, 증발기를 분리하기 위해서는 차량 실내 전부를 탈거해야하기 때문에 상당히 번거로우며 비용과 시간이 많이 소요되는 문제점이 있다.
한편, 상기한 방법 외에 에어컨 시스템의 부품에 살균/탈취제를 직접 분사하여 에어컨의 냄새를 제거하기 위한 기술로서, 국내공개특허 제1999-0041157호에 기재된 자동차 에어컨 곰팡이 냄새 제거장치는, 에바포레이터에 냉각된 공기를 압송하는 블로워 공기통로 상단부에 벤투리관 형상을 갖는 분사노즐과, 분사노즐과 연결된 곰팡이 냄새제거액이 저장된 저압탱크와 튜브와, 튜브에 설치되어 곰팡이 냄새제거액을 선택적으로 분사하기 위한 솔레노이드밸브를 포함하는 구성을 개시하고 있다.
그런데, 상기한 종래의 에어컨 곰팡이 냄새 제거장치는, 분사노즐과 솔레노이드밸브와 같은 분사펌프로 이루어져 있기 때문에, 살균/탈취제 분사 시 펌프가 작동하면서 소음이 발생하게 되고, 또한 살균/탈취제가 액체의 형태로 분사되기 때문에 분사된 액체가 증발기에 부딪히는 소리, 액체가 흐르는 소리 등의 소음이 발생하여 사용자의 불쾌감을 유발하는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종래의 에어컨 곰팡이 냄새 제거장치는 액체 형태의 굵은 입자가 분사되기 때문에 증발기 핀에 형성된 루버 사이사이까지 효과적으로 세척할 수 없어 그 효과가 떨어졌으며, 살균/탈취제의 소모량도 늘어나는 문제점이 있었다.
본 발명에 따른 차량용 공기조화장치는, 소음발생을 줄일 수 있으며, 증발기 세척효과를 향상시킬 수 있을 뿐만 아니라 효과적으로 살균/탈취제를 소모하는 차량용 공기조화장치를 제공하는데 목적이 있다.
본 발명은, 열교환기를 포함하는 공조유닛; 상기 공조유닛의 유입구 측에 구비되어 상기 공조유닛으로 공기를 송풍하는 블로어유닛; 및 살균제 또는 탈취제를 진동시켜 미세화 하는 초음파 진동자를 포함하고, 상기 공조유닛과 상기 블로어유닛 사이에 구비되어 미세화 된 상기 살균제 또는 탈취제를 상기 공조유닛으로 공급하는 살균탈취유닛을 포함하는 차량용 공기조화장치를 제공한다.
여기서, 상기 살균탈취유닛은, 미세화 된 상기 살균제 또는 탈취제를 상기 공조유닛으로 강제 분무시키는 송풍유닛과, 상기 송풍유닛과 연결되어 상기 송풍유닛을 제어하는 제어부를 더 구비할 수 있으며, 이때 상기 제어부는, 상기 블로어유닛이 작동하지 않는 경우, 상기 송풍유닛이 작동하도록 제어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한편, 상기 살균탈취유닛은, 상기 살균제 또는 탈취제가 수용되는 저장탱크를 더 구비하고, 상기 저장탱크는, 사용자가 용이하게 탈착가능하게 차량 실내 또는 엔진룸에 장착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살균탈취유닛은, 상기 블로어유닛의 출구와 상기 열교환기의 증발기 사이에 구비되어 상기 살균제 또는 탈취제가 상기 증발기로 공급되게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에 따른 차량용 공기조화장치는, 다음과 같은 효과를 제공한다.
첫째, 소음발생이 적기 때문에 사용자로 하여금 불쾌감을 유발하는 요인을 제거할 수 있다.
둘째, 살균/탈취제가 분무형태(기체/증기형태)로 분사되어 증발기의 구석구석에 고르게 도포되기 때문에, 증발기 세척 효과를 향상시킬 수 있다.
셋째, 적은 살균/탈취제로도 큰 세척효과를 얻을 수 있으며, 소모량도 줄일 수 있기 때문에 경제적이다.
도 1은 살균탈취유닛이 구비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공기조화장치의 외관을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2는 도 1의 차량용 공기조화장치의 구성을 개략적으로 나타낸 단면도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면서 본 발명에 따른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 1은 살균탈취유닛이 구비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공기조화장치의 외관을 나타내는 사시도이고, 도 2는 도 1의 차량용 공기조화장치의 구성을 개략적으로 나타낸 단면도이다.
도 1 및 도 2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공기조화장치는, 공조유닛(100)과, 블로어유닛(200)과, 살균탈취유닛(300)을 포함한다.
상기 공조유닛(100)은, 공조케이스(110)와, 열교환기를 포함한다. 상기 공조케이스(110)는, 공기가 유입되는 유입구(101)와, 유입된 공기가 차량의 각 소요처로 토출되는 벤트(102)들이 형성되어 있으며, 내부에 상기 벤트(102)로의 공기 유출 등을 조절하는 도어(103)들이 구비되어 있다. 상기 열교환기는, 상기 공조케이스(110) 내부에 구비되어, 유입되는 상기 공기를 냉각 또는 가열하며, 증발기(120)와, 히터(130)를 포함한다.
상기 블로어유닛(200)은, 상기 공조유닛(100)의 유입구(101) 측에 구비되어 상기 공조유닛(100)으로 공기를 송풍하는 역할을 한다. 상기 블로어유닛(200)은, 공기가 유입하는 입구(201)와 유입된 공기가 유출하는 출구가 형성된 하우징(210)과, 상기 하우징(210)의 내부에 구비된 블로어팬(220)과, 상기 블로어팬(220)을 구동시키는 블로어모터(230)를 포함한다. 여기서, 상기 공조유닛(100)과 블로어유닛(200)은, 공지의 차량용 공기조화장치의 공조유닛과 블로어유닛과 그 구성이 유사하므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하기로 하며, 상기 공조케이스(110)의 세부구조 또한 공지의 차량용 공기조화장치의 공조케이스와 그 구성이 대응되므로 생략하기로 한다.
상기 살균탈취유닛(300)은, 살균제 또는 탈취제를 발산하며, 살균제 또는 탈취제를 진동시켜 미세화 하고 이렇게 미세화된 살균제 또는 탈취제를 공조유닛(100)으로 공급하는 역할을 한다.
상기 살균탈취유닛(300)은, 상기 공조유닛(100)과 상기 블로어유닛(200) 사이, 보다 세부적으로 상기 블로어유닛(200)의 출구와 상기 증발기(120) 사이에 구비된다.
상기 살균탈취유닛(300)은, 블로어유닛(200)의 작동 시 공기가 유동하면서 유동경로 상에 형성되는 부압으로 인하여 기화된 살균제 또는 탈취제가 자연스럽게 공조유닛(100)으로 공급될 수 있도록 되어 있다.
한편, 상기 살균탈취유닛(300)은, 살균제 또는 탈취제를 분사 하는 방식이 아닌, 살균제를 미세화하게 기화(무화)하여 분무하는 방식이다. 이에 상기 살균탈취유닛(300)은, 살균제 또는 탈취제를 진동시켜 미세화 하는 초음파 진동자(310)와, 이를 구동하기 위한 구동부(320)를 포함하는 분무부와, 상기 분무부와 연결되고 상기 살균제 또는 탈취제가 수용되는 저장탱크(330) 포함한다. 상기 초음파 진동자를 포함한 분무부는, 그 구성이 공지의 초음파 진동자(310)를 이용한 분무장치와 그 구성이 대응되므로 이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여기서, 상기 저장탱크(330)는, 상기 분무부와 직결식으로 연결될 수 있으며, 이 외 별도의 호스 등과 같은 연결부재를 통하여 연결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저장탱크(330)는, 사용자가 살균제 또는 탈취제를 용이하게 교체 또는 보충할 수 있는 구조이며, 차량의 실내 또는 엔진룸에 장착될 수 있다.
한편, 상기 살균탈취유닛(300)은, 상기한 바와 같이 블로어유닛(200)의 작동 시 발생되는 부압으로 인하여 살균제 또는 탈취제가 자연스럽게 공조유닛(100)으로 공급되는 구조 외에, 상기 블로어유닛(200)의 작동과 관계없이 상기 살균제 또는 탈취제를 상기 공조유닛(100)으로 강제적으로 공급할 수 있다.
이를 위해, 상기 살균탈취유닛(300)은, 송풍유닛(340)과, 제어부(350)를 더 포함한다.
상기 송풍유닛(340)은 미세화 된 상기 살균제 또는 탈취제를 상기 공조유닛(100)으로 강제 분무시키는 역할을 한다. 상기 송풍유닛(340)은, 공지의 팬 모터 등으로 이루어질 수 있지만 이에 한정하지는 않으며, 그 설치위치 또한 미세화 된 상기 살균제 또는 탈취제가 상기 공조유닛(100)으로 강제 공급할 수 있는 위치라면 다양하게 설치가능하다.
상기 제어부(350)는, 상기 송풍유닛(340)과 연결되어 사용자의 선택이나, 자동차의 상태 등에 따라 상기 송풍유닛(340)을 제어하여 상기 살균제 또는 탈취제가 상기 공조유닛(100)으로 공급되게 하는 역할을 한다.
여기서, 상기 제어부(350)는 상기 블로어유닛(200)이 작동하지 않는 경우 상기 송풍유닛(340)이 작동하도록 제어하는 것이 바람직하지만 이에 한정하지는 않는다.
상기한 바와 같이, 상기 차량용 공기조화장치는, 초음파 진동자(310)를 통하여 살균제 또는 탈취제를 미세화하고 이를 공조유닛(100)으로 유입되게 하기 때문에, 분사노즐이나 펌프를 사용하던 기존의 차량용 공기조화장치에 비해 소음발생이 적어 사용자에게 보다 쾌적한 환경을 조성할 수 있고, 살균/탈취제가 분무형태로 분사되어 증발기(120)의 구석구석에 고르게 도포되기 때문에, 증발기(120) 세척 효과를 향상시킬 수 있으며, 살균탈취제의 소모량도 줄일 수 있기 때문에 경제적이다.
본 발명은 도면에 도시된 실시예를 참고로 설명되었으나 이는 예시적인 것에 불과하며, 본 기술 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다른 실시예가 가능하다는 점을 이해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진정한 기술적 보호 범위는 첨부된 특허청구범위의 기술적 사상에 의하여 정해져야 할 것이다.
100... 공조유닛 110... 공조케이스
130... 히터 350... 제어부
200... 블로어유닛 210... 하우징
220... 블로어팬 230... 블로어모터
300... 살균탈취유닛 310... 초음파 진동자
320... 구동부 330... 저장탱크
340... 송풍유닛

Claims (5)

  1. 열교환기를 포함하는 공조유닛;
    상기 공조유닛의 유입구 측에 구비되어 상기 공조유닛으로 공기를 송풍하는 블로어유닛; 및
    살균제 또는 탈취제를 진동시켜 미세화 하는 초음파 진동자를 포함하고, 상기 공조유닛과 상기 블로어유닛 사이에 구비되어 미세화된 상기 살균제 또는 탈취제를 상기 공조유닛으로 공급하는 살균탈취유닛을 포함하는 차량용 공기조화장치.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살균탈취유닛은,
    미세화된 상기 살균제 또는 탈취제를 상기 공조유닛으로 강제 분무시키는 송풍유닛과,
    상기 송풍유닛과 연결되어 상기 송풍유닛을 제어하는 제어부를 더 구비하는 차량용 공기조화장치.
  3.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블로어유닛이 작동하지 않는 경우, 상기 송풍유닛이 작동하도록 제어하는 차량용 공기조화장치.
  4.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살균탈취유닛은,
    상기 블로어유닛의 출구와 상기 열교환기의 증발기 사이에 구비되어 상기 살균제 또는 탈취제가 상기 증발기로 공급되게 하는 차량용 공기조화장치.
  5.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살균탈취유닛은,
    상기 살균제 또는 탈취제가 수용되는 저장탱크를 더 구비하고,
    상기 저장탱크는, 사용자가 용이하게 탈착가능하게 차량 실내 또는 엔진룸에 장착되는 차량용 공기조화장치.
KR1020120021755A 2012-03-02 2012-03-02 차량용 공기조화장치 KR20130100508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021755A KR20130100508A (ko) 2012-03-02 2012-03-02 차량용 공기조화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021755A KR20130100508A (ko) 2012-03-02 2012-03-02 차량용 공기조화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30100508A true KR20130100508A (ko) 2013-09-11

Family

ID=4945119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20021755A KR20130100508A (ko) 2012-03-02 2012-03-02 차량용 공기조화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30100508A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70074989A (ko) * 2014-11-28 2017-06-30 발레오 시스템므 떼르미끄 자동차용의 가열, 환기 및/또는 공기조화 장치
CN108859676A (zh) * 2018-07-19 2018-11-23 广东车安达股份有限公司 一种汽车室内环境综合治理设备及控制方法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328473U (ko) * 1989-07-28 1991-03-20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328473U (ko) * 1989-07-28 1991-03-20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70074989A (ko) * 2014-11-28 2017-06-30 발레오 시스템므 떼르미끄 자동차용의 가열, 환기 및/또는 공기조화 장치
CN108859676A (zh) * 2018-07-19 2018-11-23 广东车安达股份有限公司 一种汽车室内环境综合治理设备及控制方法
CN108859676B (zh) * 2018-07-19 2024-03-15 广东车安达股份有限公司 一种汽车室内环境综合治理设备及控制方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4396688B2 (ja) 空気調和装置およびその運転方法
JP5092647B2 (ja) 換気空調装置
CN104228778B (zh) 汽车空调系统的自清洁装置及其清洁方法
JP5272360B2 (ja) 換気空調装置
KR20090048240A (ko) 천정 부착형 가습기
KR20130100508A (ko) 차량용 공기조화장치
JP2015048954A (ja) 加湿機能付き空気調和機
KR20090112343A (ko) 차량용 공조장치의 증발기 세척장치
JPH06300486A (ja) 熱交換器清浄装置
KR101645067B1 (ko) 자동세차기의 방향제 분사장치
KR100683212B1 (ko) 차량용 공기조화장치
JP2000301939A (ja) 自動車用除菌消臭システム
KR20090052962A (ko) 자동차용 공기조화장치의 제어 방법
JPH01317825A (ja) カーエアコンの消臭装置
KR100218992B1 (ko) 자동차용 에어컨디셔너의 청정방법 및 그 장치
KR101758135B1 (ko) 글러브박스 개방시 노출되는 차량용필터 위치에 교체사용하는 기능성패드장치
JP3031087U (ja) 車両空調装置用の付属構造
KR200404862Y1 (ko) 자동차의 공조 유니트 살균 세척장치
JP2002205525A (ja) 車輌用空調装置の清掃方法及びその装置
JPH09226358A (ja) 室内用気化冷房装置
CN110722956A (zh) 一种空调自清洗系统及方法
JP2007045174A (ja) 車両用換気除菌システム
KR20130039393A (ko) 차량용 공조 장치 및 방법
KR101189624B1 (ko) 차량용 공조시스템의 공기청정장치
JPH09178394A (ja) 車両空調装置用の洗浄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AMND Amend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