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30039393A - 차량용 공조 장치 및 방법 - Google Patents

차량용 공조 장치 및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30039393A
KR20130039393A KR1020110103906A KR20110103906A KR20130039393A KR 20130039393 A KR20130039393 A KR 20130039393A KR 1020110103906 A KR1020110103906 A KR 1020110103906A KR 20110103906 A KR20110103906 A KR 20110103906A KR 20130039393 A KR20130039393 A KR 20130039393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mode
unit
air conditioning
forced exhaust
vehicl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1010390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서용은
윤서준
김인혁
강성호
Original Assignee
한라공조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한라공조주식회사 filed Critical 한라공조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10103906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30039393A/ko
Publication of KR2013003939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30039393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HARRANGEMENTS OF HEATING, COOLING, VENTILATING OR OTHER AIR-TREAT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PASSENGER OR GOODS SPACES OF VEHICLES
    • B60H1/00Heating, cooling or ventilating [HVAC] devices
    • B60H1/00642Control systems or circuits; Control members or indication devices for heating, cooling or ventilating devices
    • B60H1/00735Control systems or circuits characterised by their input, i.e. by the detection, measurement or calculation of particular conditions, e.g. signal treatment, dynamic models
    • B60H1/008Control systems or circuits characterised by their input, i.e. by the detection, measurement or calculation of particular conditions, e.g. signal treatment, dynamic models the input being air quality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HARRANGEMENTS OF HEATING, COOLING, VENTILATING OR OTHER AIR-TREAT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PASSENGER OR GOODS SPACES OF VEHICLES
    • B60H1/00Heating, cooling or ventilating [HVAC] devices
    • B60H1/00642Control systems or circuits; Control members or indication devices for heating, cooling or ventilating devices
    • B60H1/00814Control systems or circuits characterised by their output, for controlling particular components of the heating, cooling or ventilating installation
    • B60H1/00821Control systems or circuits characterised by their output, for controlling particular components of the heating, cooling or ventilating installation the components being ventilating, air admitting or air distributing devices
    • B60H1/00835Damper doors, e.g. position control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HARRANGEMENTS OF HEATING, COOLING, VENTILATING OR OTHER AIR-TREAT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PASSENGER OR GOODS SPACES OF VEHICLES
    • B60H1/00Heating, cooling or ventilating [HVAC] devices
    • B60H1/00642Control systems or circuits; Control members or indication devices for heating, cooling or ventilating devices
    • B60H1/00814Control systems or circuits characterised by their output, for controlling particular components of the heating, cooling or ventilating installation
    • B60H1/00821Control systems or circuits characterised by their output, for controlling particular components of the heating, cooling or ventilating installation the components being ventilating, air admitting or air distributing devices
    • B60H1/00835Damper doors, e.g. position control
    • B60H1/00849Damper doors, e.g. position control for selectively commanding the induction of outside or inside ai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HARRANGEMENTS OF HEATING, COOLING, VENTILATING OR OTHER AIR-TREAT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PASSENGER OR GOODS SPACES OF VEHICLES
    • B60H3/00Other air-treating devices
    • B60H3/0085Smell or pollution preventing arrangement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rm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Atmospheric Sciences (AREA)
  • Environmental & Geological Engineering (AREA)
  • Air-Conditioning For Vehicles (AREA)

Abstract

강제배기 모드와 살균ㆍ탈취 모드를 연동시켜 살균 및 탈취 기능의 효율을 증대시킨 차량용 공조장치 및 방법이 개시된다. 차량용 공조장치는 공조 케이스와, 블로어 유닛과, 냉각수단 및 가열수단을 구비하여 블로어 유닛에 의해 공조 케이스 내부로 유입된 공기를 냉각 또는 가열시켜 차량 실내로 송풍하는 것으로서, 공조 케이스 내의 공기를 차량 외부로 강제 배기하기 위한 강제 배기부와, 강제 배기부와 연동하여 제어되는 것으로 공조 케이스 내의 살균 및 탈취 기능을 수행하는 살균ㆍ탈취부 및 강제 배기부가 작동되어 강제배기 모드로 판단된 경우 살균ㆍ탈취부를 작동시켜 살균ㆍ탈취 모드로 전환하는 제어부를 포함한다. 또한, 차량용 공조방법은 공조 케이스 내의 공기를 차량 외부로 강제 배기하기 위한 강제 배기부를 작동시켜 강제배기 모드를 수행하는 단계와, 강제배기 모드인지 여부를 판단하는 단계 및 강제배기 모드로 판단된 경우 공조 케이스 내의 살균 및 탈취 기능을 수행하는 살균ㆍ탈취부를 작동시켜 살균ㆍ탈취 모드를 수행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따라서, 강제배기 모드의 효과를 배가할 수 있고, 이온 발생기의 출력을 증대시키거나 오존 발생기를 이용하여 다양한 조건에서의 사용이 가능하며, 매 에어컨 가동 시마다 살균 및 탈취 기능이 수행되므로 증발기의 항박테리아 성능의 내구성이 향상된다.

Description

차량용 공조 장치 및 방법{APPARATUS AND METHOD FOR AIR CONDITIONING OF VEHICLE}
본 발명은 차량용 공조 장치 및 방법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시동 초기 응축수 등에 의한 냄새를 차량 외부로 배출하기 위한 강제배기 시스템 및 살균ㆍ탈취 수단을 갖는 차량용 공조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차량용 공조장치는 외부의 공기를 실내로 도입하거나 실내의 공기를 순환시켜 가열 또는 냉각시킴으로써 차량 실내를 난방 또는 냉방하는 장치이다.
즉, 차량용 공조장치는 송풍기에 의해 차량 실내로 공기가 유입되고, 유입된 공기는 냉매가 흐르는 증발기(Evaporator)를 통과한 후 템프도어의 개폐에 따라 히터코어(Heater Core)를 선택적으로 통과하여, 도어에 의해 차량 실내의 각 부분으로 선택적으로 송풍되도록 구성된다.
도 1은 종래의 차량용 공조장치의 내부를 도시한 단면도이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종래의 차량용 공조장치(1)는 공조 케이스(10)와, 블로어 유닛(미도시)과, 증발기(15) 및 히터코어(16)와, 템프 도어(17)로 구성된다.
공조 케이스(10)는 입구 측에 공기유입구(11)를 구비하고, 출구 측에 다수의 공기토출구를 구비한다. 공기토출구는 공기유입구(11)로부터 이어져 안내벽(12)에 의해 구획되며, 구획된 공기의 일부는 디프로스트 벤트(18) 및 페이스 벤트(19)로 안내되고 구획된 공기의 다른 일부는 플로어 벤트(20,21)로 안내되어 다수의 도어들에 의해 선택적으로 차량 실내로 토출된다.
블로어 유닛은 공조 케이스(10)의 공기유입구(11)에 설치되며, 증발기(15) 및 히터코어(16)는 블로어 유닛의 근방에 설치되는 것으로, 공조 케이스(10)의 내부에 순차로 배치됨으로써 블로어 유닛에 의해 공조 케이스(10)의 내부로 송풍되어 유입되는 공기를 냉각 및 가열한다. 템프 도어(17)는 증발기(15)와 히터코어(16)의 사이에 회동 가능하게 설치되어, 공기유입구(11)로부터 증발기(15)를 통과한 공기가 히터코어(16)를 우회하는 냉풍통로(P1)와 히터코어(16)를 통과하는 온풍통로(P2)를 선택적으로 개폐시킨다.
아울러, 디프로스트 벤트(18), 페이스 벤트(19) 및 플로어 벤트(20,21)에는, 냉,난방 모드 시 디프로스트 모드, 페이스 모드, 플로어 모드 등의 각 송풍 모드에 따라 선택적으로 벤트들(18,19,20,21)을 개폐하기 위한 디프로스트벤트 도어(22), 페이스벤트 도어(23) 및 플로어벤트 도어(24)가 각각 회동 가능하게 연결되어 있다.
이와 같이 구성되는 차량용 공조장치(1)에 따르면, 블로어 유닛의 송풍기에 의해 공조 케이스(10) 내부로 유입되어 증발기(15)를 통과한 공기가 템프 도어(17)의 회동에 의해 히터코어(16)를 선택적으로 통과하여 가열 또는 냉각되며, 이와 같이 가열 또는 냉각된 공기가 도어들(22,23,24)의 개폐 동작에 의해 각 벤트들(18,19,20,21)을 통해 차량 실내로 토출됨으로써 냉,난방이 이루어진다.
이 경우, 종래의 차량용 공조장치(1)는 냉방 시스템의 증발기(15) 작동에 따른 응축수 등에 의해 곰팡이와 같은 균과 불쾌한 냄새가 발생하여, 탑승자에게 쾌적하지 못한 환경을 제공하였다. 이를 해결 하기 위해, 종래에는 차량의 초기 시동 시 일정 시간 동안 플로어 퍼지 모드를 적용하여 블로어 유닛으로부터 송풍되는 공기를 플로어 벤트(20,21) 측으로 토출함으로써, 살균 및 탈취 기능을 수행하는 것이었다.
하지만, 이러한 종래의 방법은 균 및 악취를 동반한 오염된 공기를 차량 내부로 유입시키는 방식이었기 때문에 오염된 공기의 원천적인 제거는 불가능한 것이었으며, 효율성이 떨어져 살균 및 탈취가 충분히 이루어지지 않는 문제점이 있었다.
아울러, 초기 플로어 모드 시 플로어 벤트(20,21) 뿐 아니라 디프로스트 벤트(18) 측으로도 공기가 토출되어 앞 유리창에 포그(Fog)가 발생하는 문제점이 있었다.
이와 같은 종래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본 발명에서는 강제배기 모드와 살균ㆍ탈취 모드를 연동시켜 살균 및 탈취 기능의 효율을 증대시킨 차량용 공조장치 및 방법을 제공한다.
본 발명에 따른 차량용 공조장치는 공조 케이스와, 블로어 유닛과, 냉각수단 및 가열수단을 구비하여 블로어 유닛에 의해 공조 케이스 내부로 유입된 공기를 냉각 또는 가열시켜 차량 실내로 송풍하는 것으로서, 공조 케이스 내의 공기를 차량 외부로 강제 배기하기 위한 강제 배기부와, 강제 배기부와 연동하여 제어되는 것으로 공조 케이스 내의 살균 및 탈취 기능을 수행하는 살균ㆍ탈취부 및 강제 배기부가 작동되어 강제배기 모드로 판단된 경우 살균ㆍ탈취부를 작동시켜 살균ㆍ탈취 모드로 전환하는 제어부를 포함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차량용 공조방법은 공조 케이스 내의 공기를 차량 외부로 강제 배기하기 위한 강제 배기부를 작동시켜 강제배기 모드를 수행하는 단계와, 강제배기 모드인지 여부를 판단하는 단계 및 강제배기 모드로 판단된 경우 공조 케이스 내의 살균 및 탈취 기능을 수행하는 살균ㆍ탈취부를 작동시켜 살균ㆍ탈취 모드를 수행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본 발명에 따른 차량용 공조 장치 및 방법은 강제배기 모드 시 공기가 차량 외부로 강제 배출되는 동안, 증발기의 살균 및 탈취 기능을 동시에 수행하여 강제배기 모드의 효과를 배가할 수 있고, 이온 발생기의 출력을 증대시키거나 오존 발생기를 이용하여 다양한 조건에서의 사용이 가능하며, 매 에어컨 가동 시마다 살균 및 탈취 기능이 수행되므로 증발기의 항박테리아 성능의 내구성이 향상되는 매우 유용한 발명이다.
도 1은 종래의 차량용 공조장치의 내부를 도시한 단면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차량용 공조장치의 개략적인 구성을 도시한 것이며,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차량용 공조 장치의 내부를 도시한 단면도이고,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차량용 공조 방법을 도시한 순서도이며,
도 5는 도 4의 변형 예에 따른 차량용 공조 방법을 도시한 순서도이고,
도 6은 도 4의 다른 변형 예에 따른 차량용 공조 방법을 도시한 순서도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에 따라서 차량용 공조장치의 기술적 구성을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차량용 공조장치의 개략적인 구성을 도시한 것이며,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차량용 공조 장치의 내부를 도시한 단면도이다.
도 2 및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차량용 공조장치(100)는 공조 케이스(50)와, 블로어 유닛(미도시)과, 증발기(61) 및 히터코어(62)와, 템프 도어(63)와, 강제 배기부(70)와, 살균ㆍ탈취부(80) 및 제어부(90)를 포함한다.
공조 케이스(50)는 입구 측에 공기유입구(51)를 구비하고, 출구 측에 다수의 공기토출구를 구비한다. 공기토출구는 공기유입구(51)로부터 이어져 안내벽(52)에 의해 구획되며, 구획된 공기의 일부는 디프로스트 벤트(56) 및 페이스 벤트(57)로 안내되고 구획된 공기의 다른 일부는 플로어 벤트(58,59)로 안내되어 다수의 도어들에 의해 선택적으로 차량 실내로 토출된다.
블로어 유닛은 공조 케이스(50)의 공기유입구(51)에 설치되며, 증발기(61) 및 히터코어(62)는 블로어 유닛의 근방에 설치되는 것으로, 공조 케이스(50)의 내부에 순차로 배치됨으로써 블로어 유닛에 의해 공조 케이스(50)의 내부로 송풍되어 유입되는 공기를 냉각 및 가열한다. 템프 도어(63)는 증발기(61)와 히터코어(62)의 사이에 회동 가능하게 설치되어, 공기유입구(51)로부터 증발기(61)를 통과한 공기가 히터코어(62)를 우회하는 냉풍통로(P1)와 히터코어(62)를 통과하는 온풍통로(P2)를 선택적으로 개폐시킨다.
아울러, 디프로스트 벤트(56), 페이스 벤트(57) 및 플로어 벤트(58,59)에는, 냉,난방 모드 시 디프로스트 모드, 페이스 모드, 플로어 모드 등의 각 송풍 모드에 따라 선택적으로 벤트들(56,57,58,59)을 개폐하기 위한 디프로스트벤트 도어(53), 페이스벤트 도어(54) 및 플로어벤트 도어(55)가 각각 회동 가능하게 연결되어 있다.
이와 같이 구성되는 차량용 공조장치에 따르면, 블로어 유닛의 송풍기에 의해 공조 케이스(50) 내부로 유입되어 증발기(61)를 통과한 공기가 템프 도어(63)의 회동에 의해 히터코어(62)를 선택적으로 통과하여 가열 또는 냉각되며, 이와 같이 가열 또는 냉각된 공기가 도어들(53,54,55)의 개폐 동작에 의해 각 벤트들(56,57,58,59)을 통해 차량 실내로 토출됨으로써 냉,난방이 이루어진다.
강제 배기부(70)는 공조 케이스(50)의 하부에 배치되어 공조 케이스(50) 내의 공기를 차량 외부로 강제 배기하기 위한 것으로, 공조 케이스(50)에 강제배기구를 형성하고 강제배기구를 개폐하는 강제배기 도어를 구비하며, 강제배기구에 배기 덕트를 연결한 구조로 구현될 수 있다. 강제배기 모드가 수행되면, 강제배기 도어는 강제배기구를 일정시간 동안 개방하여 블로어 유닛에 의해 송풍되는 공기를 배기 덕트를 통해 차량 외부로 배출시킨다. 이후에, 강제배기 도어는 일정시간이 경과된 후 강제배기구를 폐쇄하여 정상 공조 모드가 수행된다.
살균ㆍ탈취부(80)는 강제 배기부(70)와 연동하여 제어되는 것으로, 공조 케이스(50) 내의 살균 및 탈취 기능을 수행한다. 제어부(90)는 강제 배기부(70)가 작동되어 강제배기 모드로 판단된 경우, 살균ㆍ탈취부(80)를 작동시켜 살균ㆍ탈취 모드로 전환한다.
이와 같이, 살균ㆍ탈취부(80)가 강제 배기부(70)와 연동함으로써, 공조 케이스(50) 내의 증발기(61)에서 발생된 응축수 등에 의한 곰팡이 균, 악취 등이 살균ㆍ탈취부(80)에 의해 살균 및 탈취됨과 동시에, 살균 및 탈취된 오염된 공기가 강제 배기부(70)에 의해 차량 외부로 배출된다. 결국, 오염된 공기의 배출은 차량 외부로만 이루어지고 차량 실내로의 배출은 차단되어 탑승자에게 항시 쾌적한 환경을 제공할 수 있게 된다. 또한, 강제배기 모드 시 공기가 차량 외부로 강제 배출되는 동안, 증발기(61)의 살균 및 탈취 기능을 동시에 수행하여 강제배기 모드의 효과를 배가할 수 있게 된다.
아울러, 살균ㆍ탈취부(80)는 이온 발생기(81)를 구비한다. 이온 발생기(81)는 증발기(61) 또는 히터코어(62)의 작동 시 구동되는 것으로, 공조 케이스(50) 내에 이온을 발생시켜 이오나이저 모드를 작동시킨다. 이오나이저 모드는 차량 실내로 공급되는 이온량이 적절하도록 이온 발생량을 자동으로 제어하도록 구성된다. 이온 발생기(81)는 매 냉방 시스템 가동 시 작동되도록 구성되어, 증발기(61)의 항박테리아 성능에 대한 내구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이 경우, 살균ㆍ탈취부(80)는 두 가지 형태로 구현될 수 있다.
먼저, 살균ㆍ탈취부(80)는 이온 발생기 출력 제어부(82)를 포함할 수 있다. 이온 발생기 출력 제어부(82)는 제어부(90)에 의해 강제배기 모드로 판단된 경우, 이온 발생기(81)의 출력을 증대시킨다. 결국, 강제배기 모드 시 이온 발생기(81)의 출력이 증대되어, 이온 발생량이 증가함에 따라 증발기(61)의 살균 및 탈취 기능이 향상된다. 이러한 이온 발생기 출력 제어부(82)의 출력 증대는 소정 시간 동안 유지하고, 소정 시간 경과 후에는 출력을 원위치로 복귀시켜 정상적인 이오나이저 모드로 복귀된다. 이와 같이, 살균ㆍ탈취부(80)는 이온 발생기 출력 제어부(82)를 포함하여, 별도의 장치의 추가 없이 이온 발생기(81)의 출력만을 제어하여 살균 및 탈취 기능의 효과를 높일 수 있다.
다음으로, 살균ㆍ탈취부(80)는 오존 발생기(83)를 포함할 수 있다. 오존 발생기(83)는 제어부(90)에 의해 강제배기 모드로 판단된 경우, 공조 케이스(50) 내에 오존을 발생시킨다. 결국, 강제배기 모드 시 오존 발생기(83)에 의해 오존이 발생되어, 증발기(61)의 살균 및 탈취 기능이 향상된다. 이러한 오존 발생기(83)의 오존 발생은 소정 시간 동안 유지하고, 소정 시간 경과 후에는 오존 발생을 정지시키며 정상적인 이오나이저 모드로 복귀함으로써 인체에 해를 줄 수 있는 오존이 차량 실내로 유입되는 것을 방지한다. 이 경우, 발생된 오존이 환원되는 시간을 고려하여 이오나이저 모드 복귀 대략 5초전 오존 발생기(83)의 작동을 정지시킨다. 이와 같이, 살균ㆍ탈취부(80)는 오존 발생기(83)를 포함하여, 오존을 활용한 살균 및 탈취 기능의 향상을 도모할 수 있다.
이제,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차량용 공조 방법을 설명한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차량용 공조 방법을 도시한 순서도이다.
도 4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차량용 공조 방법은 강제배기 모드를 수행하는 단계(S1)와, 강제배기 모드 판단 단계(S2) 및 살균ㆍ탈취 모드를 수행하는 단계(S3)를 포함한다.
(S1) 단계에서, 강제 배기부(70)를 작동시켜 공조 케이스(50) 내의 공기를 차량 외부로 강제 배출한다. 즉, 강제배기 도어를 강제배기구를 개방하도록 회동시켜 배기 덕트를 통해 공조 케이스(50) 내의 공기가 차량 외부로 강제 배출된다. 이후에, (S2) 단계에서, 제어부(90)는 강제배기 모드인지 여부를 판단한다. 이후에, (S3) 단계에서, 강제배기 모드로 판단된 경우, 제어부(90)는 공조 케이스(50) 내의 살균 및 탈취 기능을 수행하는 살균ㆍ탈취부(80)를 작동시켜 살균ㆍ탈취 모드를 수행한다.
이와 같이, 강제배기 모드와 살균ㆍ탈취 모드를 연동시켜, 공조 케이스(50) 내의 증발기(61)에서 발생된 응축수 등에 의한 곰팡이 균, 악취 등이 살균ㆍ탈취부(80)에 의해 살균 및 탈취됨과 동시에, 살균 및 탈취된 오염된 공기가 강제 배기부(70)에 의해 차량 외부로 배출된다. 결국, 오염된 공기의 배출은 차량 외부로만 이루어지고 차량 실내로의 배출은 차단되어 탑승자에게 항시 쾌적한 환경을 제공할 수 있게 된다. 또한, 강제배기 모드 시 공기가 차량 외부로 강제 배출되는 동안, 증발기(61)의 살균 및 탈취 기능을 동시에 수행하여 강제배기 모드의 효과를 배가할 수 있게 된다.
이 경우, 강제배기 모드를 수행하는 단계(S1)는 공조 케이스(50) 내의 증발기(61) 또는 히터코어(62)의 작동 시 수행되도록 구성된다. 이와 같이, 매 냉방 또는 난방 시스템 가동 시 강제배기 모드가 작동되어, 공조 케이스(50) 내의 항박테리아 성능에 대한 내구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도 5는 도 4의 변형 예에 따른 차량용 공조 방법을 도시한 순서도이고, 도 6은 도 4의 다른 변형 예에 따른 차량용 공조 방법을 도시한 순서도이다.
도 5 및 도 6을 참조하면, 강제배기 모드로 판단된 경우, 살균ㆍ탈취 모드를 수행하는 단계(S3) 이전에 공조 케이스(50) 내에 이온을 발생시키는 이온 발생기(81)를 구동시켜 이오나이저 모드를 수행하는 단계(S4)를 포함한다. 이오나이저 모드는 차량 실내로 공급되는 이온량이 적절하도록 이온 발생량을 자동으로 제어하도록 구성된다. 이온 발생기(81)는 매 냉방 시스템 가동 시 작동되도록 구성되어, 증발기(61)의 항박테리아 성능에 대한 내구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이 경우, 도 5에 도시된 것처럼, 살균ㆍ탈취 모드를 수행하는 단계(S3)는 이온 발생기(81)의 출력을 증대시켜 클린 모드를 수행하는 단계(S5)를 포함할 수 있다. 즉, 도 5에 도시된 실시 예에 따르면, 차량 시동이 켜지고 냉방 시스템이 가동되면 강제배기 모드를 수행한다(S1). 이후에, 강제배기 모드인지 여부를 판단한 후(S2), 강제배기 모드가 아니면 이온 발생기(81)를 작동시켜(S4) 이오나이저 모드를 수행한다. 만약, 강제배기 모드이면 이온 발생기(81)를 작동시키고(S4), 이온 발생기 출력 제어부(82)를 이용하여 이온 발생기(81)의 출력을 증대시켜 클린 모드를 수행한다(S5). 소정 시간이 경과된 후, 강제배기 모드를 정지시키고 다시 이오나이저 모드로 복귀한다.
한편, 도 6에 도시된 것처럼, 살균ㆍ탈취 모드를 수행하는 단계(S3)는 공조 케이스(50) 내에 오존을 발생시켜 오존 발생 모드를 수행하는 단계(S6)를 포함할 수 있다. 즉, 도 6에 도시된 실시 예에 따르면, 차량 시동이 켜지고 냉방 시스템이 가동되면 강제배기 모드를 수행한다(S1). 이후에, 강제배기 모드인지 여부를 판단한 후(S2), 강제배기 모드가 아니면 이온 발생기(81)를 작동시켜(S4) 이오나이저 모드를 수행한다. 만약, 강제배기 모드이면 이온 발생기(81)를 작동시키고(S4), 오존 발생기(83)를 작동시켜 오존 발생 모드를 수행한다(S6).
이 경우, 오존 발생 모드를 수행하는 단계(S6)는 일정 시간 동안 오존을 발생시키고 자동으로 오존 발생을 정지시킨 후, 일정 시간 경과 후 강제배기 모드를 정지시킨다. 따라서, 인체에 해를 줄 수 있는 오존이 차량 실내로 유입되는 것이 방지될 수 있다.
지금까지 본 발명에 따른 차량용 공조장치는 도면에 도시된 실시 예를 참고로 설명되었으나 이는 예시적인 것에 불과하며, 당업자라면 누구든지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다른 실시 예가 가능하다는 점을 이해할 것이다. 따라서, 진정한 기술적 보호 범위는 첨부된 특허청구범위의 기술적 사상에 의하여 정해져야 할 것이다.
50 : 공조 케이스 61 : 증발기
62 : 히터코어 70 : 강제 배기부
80 : 살균ㆍ탈취부 81 : 이온 발생기
82 : 이온 발생기 출력 제어부 83 : 오존 발생기
90 : 제어부 100 : 차량용 공조 장치

Claims (9)

  1. 공조 케이스(50)와, 블로어 유닛과, 냉각수단 및 가열수단을 구비하여 상기 블로어 유닛에 의해 상기 공조 케이스(50) 내부로 유입된 공기를 냉각 또는 가열시켜 차량 실내로 송풍하는 차량용 공조장치에 있어서,
    상기 공조 케이스(50) 내의 공기를 차량 외부로 강제 배기하기 위한 강제 배기부(70);
    상기 강제 배기부(70)와 연동하여 제어되는 것으로, 상기 공조 케이스(50) 내의 살균 및 탈취 기능을 수행하는 살균ㆍ탈취부(80); 및
    상기 강제 배기부(70)가 작동되어 강제배기 모드로 판단된 경우, 상기 살균ㆍ탈취부(80)를 작동시켜 살균ㆍ탈취 모드로 전환하는 제어부(90)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공조장치.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살균ㆍ탈취부(80)는:
    상기 냉각수단 또는 가열수단의 작동 시 구동되는 것으로, 상기 공조 케이스(50) 내에 이온을 발생시켜 이오나이저 모드를 작동시키는 이온 발생기(81): 및
    상기 제어부(90)에 의해 강제배기 모드로 판단된 경우, 상기 이온 발생기(81)의 출력을 증대시키는 이온 발생기 출력 제어부(82)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공조장치.
  3.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살균ㆍ탈취부(80)는:
    상기 냉각수단 또는 가열수단의 작동 시 구동되는 것으로, 상기 공조 케이스(50) 내에 이온을 발생시켜 이오나이저 모드를 작동시키는 이온 발생기(81): 및
    상기 제어부(90)에 의해 강제배기 모드로 판단된 경우, 상기 공조 케이스(50) 내에 오존을 발생시키는 오존 발생기(83)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공조장치.
  4. 공조 케이스(50) 내의 공기를 차량 외부로 강제 배기하기 위한 강제 배기부(70)를 작동시켜 강제배기 모드를 수행하는 단계(S1);
    강제배기 모드인지 여부를 판단하는 단계(S2); 및
    강제배기 모드로 판단된 경우, 상기 공조 케이스(50) 내의 살균 및 탈취 기능을 수행하는 살균ㆍ탈취부(80)를 작동시켜 살균ㆍ탈취 모드를 수행하는 단계(S3)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공조 방법.
  5. 청구항 4에 있어서,
    상기 강제배기 모드를 수행하는 단계(S1)는 상기 공조 케이스(50) 내의 냉각수단 또는 가열수단의 작동 시 수행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공조 방법.
  6. 청구항 4에 있어서,
    강제배기 모드로 판단된 경우, 상기 살균ㆍ탈취 모드를 수행하는 단계(S3) 이전에 상기 공조 케이스(50) 내에 이온을 발생시키는 이온 발생기(81)를 구동시켜 이오나이저 모드를 수행하는 단계(S4)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공조 방법.
  7. 청구항 6에 있어서,
    상기 살균ㆍ탈취 모드를 수행하는 단계(S3)는 상기 이온 발생기(81)의 출력을 증대시켜 클린 모드를 수행하는 단계(S5)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공조 방법.
  8. 청구항 6에 있어서,
    상기 살균ㆍ탈취 모드를 수행하는 단계(S3)는 상기 공조 케이스(50) 내에 오존을 발생시켜 오존 발생 모드를 수행하는 단계(S6)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공조 방법.
  9. 청구항 8에 있어서,
    상기 오존 발생 모드를 수행하는 단계(S6)는 일정 시간 동안 오존을 발생시키고 자동으로 오존 발생을 정지시킨 후, 일정 시간 경과 후 상기 강제배기 모드를 정지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공조 방법.
KR1020110103906A 2011-10-12 2011-10-12 차량용 공조 장치 및 방법 KR20130039393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103906A KR20130039393A (ko) 2011-10-12 2011-10-12 차량용 공조 장치 및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103906A KR20130039393A (ko) 2011-10-12 2011-10-12 차량용 공조 장치 및 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30039393A true KR20130039393A (ko) 2013-04-22

Family

ID=4843958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10103906A KR20130039393A (ko) 2011-10-12 2011-10-12 차량용 공조 장치 및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30039393A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5437911A (zh) * 2014-09-24 2016-03-30 翰昂系统株式会社 车辆用空调装置
CN113525039A (zh) * 2021-08-19 2021-10-22 浙江吉利控股集团有限公司 一种控制臭氧发生器的方法、装置、设备和介质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5437911A (zh) * 2014-09-24 2016-03-30 翰昂系统株式会社 车辆用空调装置
CN113525039A (zh) * 2021-08-19 2021-10-22 浙江吉利控股集团有限公司 一种控制臭氧发生器的方法、装置、设备和介质
CN113525039B (zh) * 2021-08-19 2024-03-19 浙江吉利控股集团有限公司 一种控制臭氧发生器的方法、装置、设备和介质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08698487B (zh) 防止车辆中产生气味并从车辆中去除产生的气味的系统
JP2014054966A (ja) 車両用空調装置
JP4684718B2 (ja) 車両用換気装置
KR20130039393A (ko) 차량용 공조 장치 및 방법
JP2012017006A (ja) オゾン発生装置を備えた車両用空調装置
JP4045939B2 (ja) イオン発生装置付き車両用空調装置
JP4120384B2 (ja) イオン発生装置付き車両用空調装置
JP2005219683A (ja) 車室内空気清浄装置
KR102032252B1 (ko) 차량용 공조장치 및 이의 방향제 제어 방법
JP2009073437A (ja) 車両用空調装置
KR101935774B1 (ko) 차량용 공조장치
JP4373835B2 (ja) 車両用空調装置および車両用空調装置のイオン発生量制御方法
JP4055564B2 (ja) イオン発生装置付き車両用空調装置
JP2005041356A (ja) 車両用換気システム
JP4373836B2 (ja) 車両用空調装置および車両用空調装置のオゾン発生量制御方法
JP4120385B2 (ja) イオン発生装置付き車両用空調装置
KR101253127B1 (ko) 차량용 공기조화장치의 제어방법
KR20220157559A (ko) 차량용 공조장치 및 그 제어방법
KR20230090686A (ko) 차량용 공조장치
JP5083006B2 (ja) 車両用空調装置
KR20120061216A (ko) 차량용 공조장치
KR101165857B1 (ko) 차량용 공조장치의 악취발생 억제 방법
KR20080054943A (ko) 차량 공기 조화 장치의 냄새 제거 송풍 시스템
KR102003349B1 (ko) 차량용 공조장치 및 이의 이온발생기 제어방법
JP2007045174A (ja) 車両用換気除菌システム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