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30099755A - 10-히드록시캄토테신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비만 또는 지질 관련 대사성 질환의 예방 및 치료용 조성물 - Google Patents

10-히드록시캄토테신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비만 또는 지질 관련 대사성 질환의 예방 및 치료용 조성물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30099755A
KR20130099755A KR1020120021491A KR20120021491A KR20130099755A KR 20130099755 A KR20130099755 A KR 20130099755A KR 1020120021491 A KR1020120021491 A KR 1020120021491A KR 20120021491 A KR20120021491 A KR 20120021491A KR 20130099755 A KR20130099755 A KR 20130099755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hydroxycamptothecin
lipid
obesity
metabolic diseases
diseas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2002149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371354B1 (ko
Inventor
허행전
양혜정
이경원
박수진
한안나
Original Assignee
한국식품연구원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한국식품연구원 filed Critical 한국식품연구원
Priority to KR102012002149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371354B1/ko
Publication of KR2013009975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30099755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37135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371354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31/00Medicinal preparations containing organic active ingredients
    • A61K31/33Heterocyclic compounds
    • A61K31/395Heterocyclic compounds having nitrogen as a ring hetero atom, e.g. guanethidine or rifamycins
    • A61K31/435Heterocyclic compounds having nitrogen as a ring hetero atom, e.g. guanethidine or rifamycins having six-membered rings with one nitrogen as the only ring hetero atom
    • A61K31/4353Heterocyclic compounds having nitrogen as a ring hetero atom, e.g. guanethidine or rifamycins having six-membered rings with one nitrogen as the only ring hetero atom ortho- or peri-condensed with heterocyclic ring systems
    • A61K31/437Heterocyclic compounds having nitrogen as a ring hetero atom, e.g. guanethidine or rifamycins having six-membered rings with one nitrogen as the only ring hetero atom ortho- or peri-condensed with heterocyclic ring systems the heterocyclic ring system containing a five-membered ring having nitrogen as a ring hetero atom, e.g. indolizine, beta-carboline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L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NOT COVERED BY SUBCLASSES A21D OR A23B-A23J; THEIR PREPARATION OR TREATMENT, e.g. COOKING, MODIFICATION OF NUTRITIVE QUALITIES, PHYSICAL TREATMENT; PRESERVATION OF FOODS OR FOODSTUFFS, IN GENERAL
    • A23L33/00Modifying nutritive qualities of foods; Dietetic products; Preparation or treatment thereof
    • A23L33/10Modifying nutritive qualities of foods; Dietetic products; Preparation or treatment thereof using additiv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31/00Medicinal preparations containing organic active ingredients
    • A61K31/33Heterocyclic compounds
    • A61K31/395Heterocyclic compounds having nitrogen as a ring hetero atom, e.g. guanethidine or rifamycins
    • A61K31/40Heterocyclic compounds having nitrogen as a ring hetero atom, e.g. guanethidine or rifamycins having five-membered rings with one nitrogen as the only ring hetero atom, e.g. sulpiride, succinimide, tolmetin, buflomedil
    • A61K31/407Heterocyclic compounds having nitrogen as a ring hetero atom, e.g. guanethidine or rifamycins having five-membered rings with one nitrogen as the only ring hetero atom, e.g. sulpiride, succinimide, tolmetin, buflomedil condensed with other heterocyclic ring systems, e.g. ketorolac, physostigmine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31/00Medicinal preparations containing organic active ingredients
    • A61K31/33Heterocyclic compounds
    • A61K31/395Heterocyclic compounds having nitrogen as a ring hetero atom, e.g. guanethidine or rifamycins
    • A61K31/435Heterocyclic compounds having nitrogen as a ring hetero atom, e.g. guanethidine or rifamycins having six-membered rings with one nitrogen as the only ring hetero atom
    • A61K31/4353Heterocyclic compounds having nitrogen as a ring hetero atom, e.g. guanethidine or rifamycins having six-membered rings with one nitrogen as the only ring hetero atom ortho- or peri-condensed with heterocyclic ring systems
    • A61K31/436Heterocyclic compounds having nitrogen as a ring hetero atom, e.g. guanethidine or rifamycins having six-membered rings with one nitrogen as the only ring hetero atom ortho- or peri-condensed with heterocyclic ring systems the heterocyclic ring system containing a six-membered ring having oxygen as a ring hetero atom, e.g. rapamycin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9/00Medicinal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special physical form
    • A61K9/0012Galenical forms characterised by the site of application
    • A61K9/0053Mouth and digestive tract, i.e. intraoral and peroral administration
    • CCHEMISTRY; METALLURGY
    • C07ORGANIC CHEMISTRY
    • C07DHETEROCYCLIC COMPOUNDS
    • C07D491/00Heterocyclic compounds containing in the condensed ring system both one or more rings having oxygen atoms as the only ring hetero atoms and one or more rings having nitrogen atoms as the only ring hetero atoms, not provided for by groups C07D451/00 - C07D459/00, C07D463/00, C07D477/00 or C07D489/00
    • C07D491/12Heterocyclic compounds containing in the condensed ring system both one or more rings having oxygen atoms as the only ring hetero atoms and one or more rings having nitrogen atoms as the only ring hetero atoms, not provided for by groups C07D451/00 - C07D459/00, C07D463/00, C07D477/00 or C07D489/00 in which the condensed system contains three hetero rings
    • C07D491/14Ortho-condensed systems
    • C07D491/147Ortho-condensed systems the condensed system containing one ring with oxygen as ring hetero atom and two rings with nitrogen as ring hetero atom

Abstract

본 발명은 10-히드록시캄토테신(10-Hydroxycamptothecin)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비만 또는 지질 관련 대사성 질환의 예방 및 치료용 약학적 조성물과 건강기능식품에 관한 것으로 본 발명에 따른 10-히드록시캄토테신은 지방세포분화 저해 효과가 우수하므로, 이를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비만 또는 지질 관련 대사성 질환의 예방 및 치료용 약학적 조성물과 건강기능식품으로 사용할 수 있다.

Description

10-히드록시캄토테신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비만 또는 지질 관련 대사성 질환의 예방 및 치료용 조성물{COMPOSITION FOR PREVENTION AND TREATMENT OF OBESITY OR METABOLIC DISEASES COMPRISING 10-HYDROXYCAMPTOTHECIN}
본 발명은 10-히드록시캄토테신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비만 또는 지질 관련 대사성 질환의 예방 및 치료용 약학적 조성물과 건강기능식품에 관한 것이다.
산업의 발달과 더불어 인스턴트 음식물 섭취와 육식 위주의 식생활로의 변화는 비만 인구 증가의 주요 원인이 되고 있다. 비만은 과다한 지방섭취로 인한 호르몬의 변화 및 불균형적인 에너지 대사로 인한 지방세포(adipocyte) 분화에 의하여 유발되는데, 체내에서의 지방화(adipogenesis)는 미성숙지방세포(preadipocyte)로부터 지방세포가 분화되어 지방이 축적되는 과정으로서, 성숙한 지방세포는 섬유아세포(fibroblast)와 같은 미성숙지방세포로부터 분화되어 궁극적으로 세포 내에 지방 방울(lipid droplet)을 형성하게 된다. 이와 같이, 지방세포 분화과정 동안 일어나는 지방 및 과잉 에너지의 축적은 비만을 유발할 뿐만 아니라 다양한 지질 관련 대사성 질환인 당뇨, 고지혈증, 지방간, 동맥경화, 고혈압, 심혈관 질환 또는 상기 질환들이 동시다발적으로 발생하는 대사증후군 등의 주요한 원인이 되는 것으로 알려지고 있다. 대사증후군 (Metabolic syndrome)이란 고지혈증, 고혈압, 당대사 이상, 비만과 같은 위험인자가 함께 나타나는 증후군을 지칭한다. 최근 세계보건기구와 미국 국립보건연구원의 심폐혈액 연구소가 제정한 성인 치료프로그램 III(Adult Treatment Program III: ATP III)을 통해 대사증후군 또는 인슐린저항성증후군 (Insulin resistance syndrome)이라 공식 명명되었다.
지방세포의 분화 과정은 3T3-L1과 같은 세포를 이용하여 연구되어 왔으며, 여러 종류의 전사인자 (transcription factor)들, 특히 지방화에 관여하는 것으로 알려진 전사인자, C/EBPs(CAAT enhancer binding proteins), PPARs(Peroxisome Proliferator Activated receptor)와 ADD/SREBPs(Adipocyte determination and differentiation dependent factor1/sterol response element binding proteins) 등이 시간의 차이에 따라 발현하며 그 과정을 조절한다는 것이 알려져 있다(Bart A Jessen et al., Gene, 299, pp95-100, 2002; Darlington et al., J . Biol. Chem., 273, pp30057-30060, 1998; Brun R.P et al., Curr. Opin.Cell. Biol., 8, pp826-832, 1996). MDI(isobutylmethylxanthin, dexamethasone and insulin)와 같은 호르몬의 자극이 주어질 때, C/EBP β와 δ가 가장 먼저, 일시적으로 발현되며, 지방세포로의 분화를 개시하게 한다(Reusch J. E et al., Mol. Cell. Biol., 20, pp1008-1020, 2000). 이는 계속해서 C/EBP α와 PPARγ의 발현증가를 유도하게 된다(James M. N. et al., J. Nutr., 130, pp3122S-3126S, 2000). PPARγ는 특히 지방세포 분화에 중요한 전사인자로 알려져 있으며, 레티논산 X 수용체(retinoic acid X receptor) 단백질(RXR)과 이합체(dimer)를 형성한 뒤, 다양한 지방세포 유전자의 프로모터 (promoter)에 존재하는 PPRE(peroxisome proliferator response elements)에 결합한다 (Tontonoz P.E et al., Genes Dev., 8, pp1224-1234, 1994 ;
Hwang, C. S et al., Cell Dev. Biol., 13, pp873-877). PPARγ와 C/EBP α의 상호 작용이 성숙한 지방세포로의 분화에 매우 결정적인데, 지방산 결합 단백질 aP2와 같은 지방세포 특이적 단백질 및 지방 대사 효소의 발현을 조절한다. 더불어 ADD1/SREBPs는 지방 대사에도 중요한 역할을 하지만, 또한 분화과정에도 관여하는 것으로 알려졌다. 미성숙 지방세포에서 ADD1/SREBP1c가 발현되는 것은 PPARγ의 활성화에 기여하는 것으로 여겨진다(Rosen E.D. et al., Annu. Rev. Cell Dev. Biol., 16, pp145-171, 2000; Osborn T.F., J. Biol. Chem., 275, pp32379-32382, 2000). 분화과정을 마친 지방세포만이 지방산(fatty acid)을 합성하고 중성지질(triglycerides)을 저장하게 된다.
따라서 현재 연구 동향은 비만 및 지질 관련 대사성 질환을 예방 또는 치료하기 위한 방법으로서, 지방세포 분화에 관한 대사과정을 저해할 수 있는 물질을 탐색하는데 초점이 맞추어져 있다. 예를 들면, 한국 등록특허 제10-0798004호는 박과식물 추출물로부터 분리된 화합물의 지방세포 분화 억제 작용을 밝혀내었고, 한국 등록특허 제 10-0813222호는 생약 추출물의 지방세포 분화 억제 작용을 밝혀내었다.
한편, 캄토테신(Camptothecin; (S)-4-Ethyl-4-hydroxy-1H-pyrano[3',4':6,7]indolizino[1,2-b]quinoline-3,14(4H,12H)-dione)은 프로토타입 DNA 토포이소머라제 I 억제제(prototype DNA topoisomerase I inhibitors)로서, 희수나무에서 Wall 등에 의하여 처음으로 분리된 알칼로이드 화합물이다 [J. Am. Chem. Soc., 88, 3888-3890 (1966)]. 상기 화합물은 세포독성에 필수적인 E 고리에 락톤을 갖는 펜타사이클릭 구조로 이루어지며, 폐암, 소아암, 직장암, 등을 비롯한 각종 종양 및 백혈병에 대하여 광범위한 항암활성을 나타내어 매우 유용한 항암제로 각광받고 있다. 이의 유도체인 10-히드록시캄토테신도 마찬가지로 항암제 역할을 한다.
이에 본 발명자들은 비만 또는 지질 관련 대사성 질환에 유효한 물질에 대해 계속적인 연구를 하였으며, 10-히드록시캄토테신(10-Hydroxycamptothecin)이 호르몬에 의해 유도된 지방세포의 분화를 저해함을 밝혀내어 본 발명을 완성하였다.
본 발명의 목적은 지방세포분화 저해에 효능이 있는 10-히드록시캄토테신(10-Hydroxycamptothecin)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비만 또는 지질 관련 대사성 질환의 예방 및 치료용 약학적 조성물과 건강기능식품을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10-히드록시캄토테신(10-Hydroxycamptothecin)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비만 또는 지질 관련 대사성 질환의 예방 및 치료용 약학적 조성물을 제공한다. 상기 대사성 질환은 예를 들면, 당뇨, 고지혈증, 지방간, 동맥경화, 고혈압, 심혈관 질환 또는 상기 질환들이 동시다발적으로 발생하는 대사증후군일 수 있고, 상기 조성물은 캡슐, 정제, 과립, 분말 또는 음료 형태가 가능하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 10-히드록시캄토테신이 지방세포의 분화를 억제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비만 또는 지질 관련 대사성 질환의 예방 및 치료용 약학적 조성물을 제공한다.
나아가 본 발명은 10-히드록시캄토테신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비만 또는 지질 관련 대사성 질환 예방 및 증상완화용 건강기능식품을 제공한다. 상기 대사성 질환은 예를 들면, 당뇨, 고지혈증, 지방간, 동맥경화, 고혈압, 심혈관 질환 또는 상기 질환들이 동시다발적으로 발생하는 대사증후군일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 10-히드록시캄토테신이 지방세포의 분화를 억제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비만 또는 지질 관련 대사성 질환의 예방 및 증상완화용 건강기능식품을 제공한다.
본 발명의 조성물은, 조성물 총 중량에 대하여 상기 10-히드록시캄토테신을 0.1 내지 50 중량%로 포함한다. 본 발명의 10-히드록시캄토테신을 포함하는 조성물은 통상의 방법에 따른 적절한 담체, 부형제 또는 희석제를 추가로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조성물에 포함될 수 있는 담체, 부형제 및 희석제로는 락토즈, 덱스트로즈, 수크로스, 솔비톨, 만니톨, 자일리톨, 에리스리톨, 말티톨, 전분, 아카시아 고무, 알지네이트, 젤라틴, 칼슘 포스페이트, 칼슘 실리케이트, 셀룰로즈, 메틸 셀룰로즈, 미정질 셀룰로스, 폴리비닐 피롤리돈, 물, 메틸히드록시벤조에이트, 프로필히드록시벤조에이트, 탈크, 마그네슘 스테아레이트 및 광물유를 들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조성물은, 각각 통상의 방법에 따라 산제, 과립제, 정제, 캡슐제, 현탁액, 에멀젼, 시럽, 에어로졸 등의 경구형 제형, 외용제, 좌제 또는 멸균 주사용액의 형태로 제형화하여 사용될 수 있다. 상세하게는, 제제화할 경우에는 보통 사용하는 충진제, 증량제, 결합제, 습윤제, 붕해제, 계면활성제 등의 희석제 또는 부형제를 사용하여 조제될 수 있다. 경구투여를 위한 고형제제에는 정제, 환제, 산제, 과립제, 캡슐제 등이 포함되며, 이러한 고형제제는 상기 10-히드록시캄토테신에 적어도 하나 이상의 부형제 예를 들면, 전분, 칼슘카보네이트 (calcium carbonate), 수크로스 (sucrose), 락토오스 (lactose), 젤라틴 등을 섞어 조제될 수 있다. 또한, 단순한 부형제 이외에 마그네슘 스테아레이트, 탈크 같은 윤활제들도 사용될 수 있다. 경구를 위한 액상 제제로는 현탁제, 내용액제, 유제, 시럽제 등이 해당되는 데, 흔히 사용되는 단순 희석제인 물, 리퀴드 파라핀 이외에 여러 가지 부형제, 예를 들면 습윤제, 감미제, 방향제, 보존제 등이 포함될 수 있다. 비경구 투여를 위한 제제에는 멸균된 수용액, 비수성용제, 현탁제, 유제, 동결건조 제제 및 좌제가 포함된다. 비수성용제, 현탁제로는 프로필렌글리콜 (propylene glycol), 폴리에틸렌 글리콜, 올리브 오일과 같은 식물성 기름, 에틸올레이트와 같은 주사 가능한 에스테르 등이 사용될 수 있다. 좌제의 기제로는 위텝솔 (witepsol), 마크로골, 트윈 (tween) 61, 카카오지, 라우린지, 글리세로젤라틴 등이 사용될 수 있다.
본 발명은 환자의 나이, 성별, 체중에 따라 달라질 수 있으나, 일반적으로 0.01 내지 500 mg/㎏의 양, 바람직하게는 0.1 내지 100 mg/㎏의 양을 일일 1회 내지 수회로 나누어 투여할 수 있다. 또한 그 투여량은 투여경로, 질병의 정도, 성별, 체중, 나이 등에 따라서 증감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투여량은 어떠한 면으로든 본 발명의 범위를 한정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의 조성물은 랫트, 마우스, 가축, 인간 등의 포유동물에 다양한 경로로 투여될 수 있다. 투여의 모든 방식이 예상될 수 있는데, 예를 들면, 경구, 직장 또는 정맥, 근육, 피하, 자궁내 경막 또는 뇌실내 (intracerebroventricular) 주사에 의해 투여될 수 있다. 본 발명의 10-히드록시캄토테신은 독성 및 부작용은 거의 없으므로 예방 목적으로 장기간 복용시에도 안심하고 사용할 수 있다.
본 발명은 상기 10-히드록시캄토테신 및 식품학적으로 허용 가능한 식품보조 첨가제를 포함하는 건강 기능 식품을 제공하는데, 각종 식품류, 예를 들어, 음료, 껌, 차, 비타민 복합제, 건강보조 식품류 등이 있으며, 환제, 분말, 과립, 침제, 정제, 캡슐 또는 음료인 형태로 사용할 수 있다. 이때, 식품 또는 음료 중의 상기 10-히드록시캄토테신의 양은, 일반적으로 본 발명의 건강식품 조성물의 경우 전체 식품 중량의 0.01 내지 15 중량%로 가할 수 있으며, 건강 음료 조성물의 경우 100 ㎖를 기준으로 0.02 내지 10 g, 바람직하게는 0.3 내지 1 g의 비율로 가할 수 있다.
본 명세서에서 정의되는 식품보조첨가제는 당업계에 통상적인 식품첨가제, 예를 들어 향미제, 풍미제, 착색제, 충진제, 안정화제 등을 포함한다. 본 발명에 따른 건강 음료 조성물은 지시된 비율로 필수 성분으로서, 상기 10-히드록시캄토테신 외에 첨가되는 성분에 특별한 제한은 없으며 통상의 음료와 같이 여러 가지 향미제 또는 천연 탄수화물 등을 추가 성분으로서 함유할 수 있다. 상기 천연 탄수화물의 예로는 모노사카라이드, 예를 들어, 포도당, 과당 등; 디사카라이드, 예를 들어 말토스, 슈크로스 등; 폴리사카라이드, 예를 들어 덱스트린, 시클로덱스트린; 등과 같은 통상적인 당 및 자일리톨, 소르비톨, 에리트리톨 등의 당알콜이다. 상술한 것 이외의 향미제로서 천연 향미제 (타우마틴, 스테비아 추출물 (예를 들어 레바우디오시드 A, 글리시르히진 등) 및 합성 향미제 (사카린, 아스파르탐 등)를 유리하게 사용할 수 있다. 상기 천연 탄수화물의 비율은 본 발명의 조성물 100 ㎖당 일반적으로 약 1 내지 20 g, 바람직하게는 약 5 내지 12g이다.
상기 외에 본 발명의 조성물은 여러 가지 영양제, 비타민, 광물 (전해질), 합성 풍미제 및 천연 풍미제 등의 풍미제, 착색제 및 중진제 (치즈, 초콜릿 등), 펙트산 및 그의 염, 알긴산 및 그의 염, 유기산, 보호성 콜로이드 증점제, pH 조절제, 안정화제, 방부제, 글리세린, 알콜, 탄산 음료에 사용되는 탄산화제 등을 함유할 수 있다. 그밖에 본 발명의 조성물들은 천연 과일 쥬스 및 과일 쥬스 음료 및 야채 음료의 제조를 위한 과육을 함유할 수 있다. 이러한 성분은 독립적으로 또는 조합하여 사용할 수 있다. 이러한 첨가제의 비율은 그렇게 중요하진 않지만 본 발명의 조성물 100 중량부 당 0 내지 약 20 중량부의 범위에서 선택되는 것이 일반적이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10-히드록시캄토테신(10-Hydroxycamptothecin)은 지방세포분화 저해 효과가 우수하므로, 이를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비만 또는 지질 관련 대사성 질환의 예방 및 치료용 약학적 조성물과 건강기능식품으로 사용할 수 있다.
도 1은 호르몬에 의해 유도된 분화된 지방세포에 10-히드록시캄토테신을 처리한 경우와 처리하지 않은 경우, 지질 함량을 측정한 그래프이다.
이하, 본 발명을 하기의 실시예에 의해 상세히 설명한다. 단, 하기 실시예는 본 발명을 예시하는 것일 뿐, 본 발명의 내용이 하기 실시예에 의해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실시예
실시예 1. 10- 히드록시캄토테신 (10- Hydroxycamptothecin ) 시료의 선별
비만 및 지질 관련 대사성 질환의 예방 및 치료 효과가 있는 물질을 알아보기 위하여 500여종의 라이브러리를 스크리닝하여 320종을 선별하고, 같은 작업을 반복하여 12종을 선별하였으며 최종적으로 3개의 화합물을 선별하였다. 그 중 하나인 10-히드록시캄토테신(10-Hydroxycamptothecin, Enzo life science, 미국)을 2㎎/㎖의 농도로 디메틸술폭시드(DMSO)에 녹여 고농도용액을 만든 뒤, DMSO 함량이 20㎍/㎖ 되도록 배양액에 희석하여 세포에 처리하였다.
실시예 2. 10- 히드록시캄토테신의 지방세포분화의 저해활성 측정
지방 전구세포인 3T3-L1 세포(ATCC(American Tissue Culture Collection, USA)로부터 구입)에 호르몬 혼합물 (인슐린 10 μg/ml, 3-이소부틸-1-메틸잔틴 0.5 mM, 및 덱사메타손 1 μg/ml)을 배양배지에 혼합하여 처리한 뒤 이틀을 배양하고, 인슐린 10 μg/ml을 배양배지에 혼합하여 이틀을 배양한 뒤 마지막으로 배양배지를 이틀을 처리하여 지방세포분화를 유도했다.
상기 제조예에서 수득한 10-히드록시캄토테신 시료를 지방세포분화 유도의 초기단계부터 10 μM 의 농도로 처리한 뒤 10-히드록시캄토테신 시료를 처리하지 않은 대조군과 지방세포분화의 저해활성을 비교했다. Oil Red O (ORO) 로 염색한 후 현미경으로 관찰하였고 중성 지질 함량을 흡광도로 측정하여 지방세포분화를 억제 정도를 정량적으로 확인하였다(도 1 참조).
실험 결과, 도 1에 나타낸 바와 같이 10-히드록시캄토테신 시료를 처리한 경우 지질의 함량이 감소하였는바, 지방세포분화의 저해 활성이 효과적으로 억제되었음을 알 수 있다.
하기에 본 발명의 조성물을 위한 제제예를 예시한다. 단, 하기 제제예는 본 발명을 예시하는 것일 뿐, 본 발명의 내용이 하기 제제예에 의해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제제예 1: 산제의 제조
10-히드록시캄토테신 300 mg
유당 100 mg
탈크 10 mg
상기의 성분들을 혼합하고 기밀포에 충진하여 산제를 제조한다.
제제예 2: 정제의 제조
10-히드록시캄토테신 50 mg
옥수수전분 100 mg
유당 100 mg
스테아린산 마그네슘 2 mg
상기의 성분들을 혼합한 후 통상의 정제의 제조방법에 따라서 타정하여 정제를 제조한다.
제제예 3: 캡슐제의 제조
10-히드록시캄토테신 50 mg
옥수수전분 100 mg
유당 100 mg
스테아린산 마그네슘 2 mg
통상의 캡슐제 제조방법에 따라 상기의 성분을 혼합하고 젤라틴 캡슐에 충전하여 캡슐제를 제조한다.
제제예 4: 주사제의 제조
10-히드록시캄토테신 50 mg
주사용 멸균 증류수 적량
pH 조절제 적량
통상의 주사제의 제조방법에 따라 1 앰플당 (2㎖) 상기의 성분 함량으로 제조한다.
제제예 5: 액제의 제조
10-히드록시캄토테신 100 mg
이성화당 10 g
만니톨 5 g
정제수 적량
통상의 액제의 제조방법에 따라 정제수에 각각의 성분을 가하여 용해시키고 레몬향을 적량 가한 다음 상기의 성분을 혼합한 다음 정제수를 가하여 전체를 정제수를 가하여 전체 100 ㎖로 조절한 후 갈색병에 충진하여 멸균시켜 액제를 제조한다.
제제예 6: 건강 식품의 제조
10-히드록시캄토테신 1000 ㎎
비타민 혼합물 적량
비타민 A 아세테이트 70 ㎍
비타민 E 1.0 ㎎
비타민 B1 0.13 ㎎
비타민 B2 0.15 ㎎
비타민 B6 0.5 ㎎
비타민 B12 0.2 ㎍
비타민 C 10 ㎎
비오틴 10 ㎍
니코틴산아미드 1.7 ㎎
엽산 50 ㎍
판토텐산 칼슘 0.5 ㎎
무기질 혼합물 적량
황산제1철 1.75 ㎎
산화아연 0.82 ㎎
탄산마그네슘 25.3 ㎎
제1인산칼륨 15 ㎎
제2인산칼슘 55 ㎎
구연산칼륨 90 ㎎
탄산칼슘 100 ㎎
염화마그네슘 24.8 ㎎
상기의 비타민 및 미네랄 혼합물의 조성비는 비교적 건강식품에 적합한 성분을 바람직한 실시예로 혼합 조성하였지만, 그 배합비를 임의로 변형 실시하여도 무방하며, 통상의 건강식품 제조방법에 따라 상기의 성분을 혼합한 다음, 과립을 제조하고, 통상의 방법에 따라 건강식품 조성물 제조에 사용할 수 있다.
제제예 7: 건강 음료의 제조
10-히드록시캄토테신 1000 ㎎
구연산 1000 ㎎
올리고당 100 g
매실농축액 2 g
타우린 1 g
정제수를 가하여 전체 900 ㎖
통상의 건강음료 제조방법에 따라 상기의 성분을 혼합한 다음, 약 1시간동안 85℃에서 교반 가열한 후, 만들어진 용액을 여과하여 멸균된 2l용기에 취득하여 밀봉 멸균한 뒤 냉장 보관한 다음 본 발명의 건강음료 조성물 제조에 사용한다.
상기 조성비는 비교적 기호음료에 적합한 성분을 바람직한 실시예로 혼합 조성하였지만 수요계층이나, 수요국가, 사용용도 등 지역적, 민족적 기호도에 따라서 그 배합비를 임의로 변형 실시하여도 무방하다.
지금까지 예시적인 실시 태양을 참조하여 본 발명을 기술하여 왔지만, 본 발명의 속하는 기술 분야의 당업자는 본 발명의 범주를 벗어나지 않고서도 다양한 변화를 실시할 수 있으며 그의 요소들을 등가물로 대체할 수 있음을 알 수 있을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의 본질적인 범주를 벗어나지 않고서도 많은 변형을 실시하여 특정 상황 및 재료를 본 발명의 교시내용에 채용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이 본 발명을 실시하는데 계획된 최상의 양식으로서 개시된 특정 실시 태양으로 국한되는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이 첨부된 특허청구의 범위에 속하는 모든 실시 태양을 포함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Claims (8)

10-히드록시캄토테신(10-Hydroxycamptothecin)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비만 또는 지질 관련 대사성 질환의 예방 및 치료용 약학적 조성물.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대사성 질환은 당뇨, 고지혈증, 지방간, 동맥경화, 고혈압, 심혈관 질환 또는 상기 질환들이 동시다발적으로 발생하는 대사증후군으로 구성된 군으로부터 선택된 1 이상의 질환임을 특징으로 하는, 비만 또는 지질 관련 대사성 질환의 예방 및 치료용 약학적 조성물.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조성물은 캡슐, 정제, 과립, 분말 또는 음료 형태임을 특징으로 하는 비만 또는 지질 관련 대사성 질환의 예방 및 치료용 약학적 조성물.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10-히드록시캄토테신은 지방세포의 분화를 억제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비만 또는 지질 관련 대사성 질환의 예방 및 치료용 약학적 조성물.
10-히드록시캄토테신(10-Hydroxycamptothecin)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비만 또는 지질 관련 대사성 질환 예방 및 증상완화용 건강기능식품.
제 5항에 있어서,
상기 대사성 질환은 당뇨, 고지혈증, 지방간, 동맥경화, 고혈압, 심혈관 질환 또는 상기 질환들이 동시다발적으로 발생하는 대사증후군으로 구성된 군으로부터 선택된 1 이상의 질환임을 특징으로 하는, 비만 또는 지질 관련 대사성 질환 예방 및 증상완화용 건강기능식품.
제 5항에 있어서,
상기 건강기능식품은 캡슐, 정제, 과립, 분말 또는 음료 형태임을 특징으로 하는 비만 또는 지질 관련 대사성 질환 예방 및 증상완화용 건강기능식품.
제 5항에 있어서,
상기 10-히드록시캄토테신은 지방세포의 분화를 억제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비만 또는 지질 관련 대사성 질환 예방 및 증상완화용 건강기능식품.
KR1020120021491A 2012-02-29 2012-02-29 10-히드록시캄토테신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비만 또는 지질 관련 대사성 질환의 예방 및 치료용 조성물 KR101371354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021491A KR101371354B1 (ko) 2012-02-29 2012-02-29 10-히드록시캄토테신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비만 또는 지질 관련 대사성 질환의 예방 및 치료용 조성물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021491A KR101371354B1 (ko) 2012-02-29 2012-02-29 10-히드록시캄토테신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비만 또는 지질 관련 대사성 질환의 예방 및 치료용 조성물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30099755A true KR20130099755A (ko) 2013-09-06
KR101371354B1 KR101371354B1 (ko) 2014-03-10

Family

ID=4945099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20021491A KR101371354B1 (ko) 2012-02-29 2012-02-29 10-히드록시캄토테신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비만 또는 지질 관련 대사성 질환의 예방 및 치료용 조성물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371354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60020257A (ko) * 2014-08-13 2016-02-23 주식회사 엘지생활건강 10-하이드록시캄프토테신 또는 이의 약학적으로 허용가능한 염을 포함하는 피부 미백, 탄력, 주름개선, 보습 또는 항염증용 화장료 또는 약학 조성물
WO2016167420A1 (ko) * 2015-04-15 2016-10-20 서울대학교 산학협력단 5-(3',4'-디히드록시페닐)-감마-발레로락톤 또는 5-(3',4'-디히드록시페닐)-감마-발레로락톤 유도체를 함유하는 대사성 질환 예방용 식품 조성물 및 대사성 질환 치료용 약품 조성물

Family Cites Familie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07095389A2 (en) 2006-02-17 2007-08-23 Novacea, Inc. Treatment of hyperproliferative diseases with camptothecine n-oxide and analogs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60020257A (ko) * 2014-08-13 2016-02-23 주식회사 엘지생활건강 10-하이드록시캄프토테신 또는 이의 약학적으로 허용가능한 염을 포함하는 피부 미백, 탄력, 주름개선, 보습 또는 항염증용 화장료 또는 약학 조성물
WO2016167420A1 (ko) * 2015-04-15 2016-10-20 서울대학교 산학협력단 5-(3',4'-디히드록시페닐)-감마-발레로락톤 또는 5-(3',4'-디히드록시페닐)-감마-발레로락톤 유도체를 함유하는 대사성 질환 예방용 식품 조성물 및 대사성 질환 치료용 약품 조성물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371354B1 (ko) 2014-03-1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120002131A (ko) 울금 추출물을 함유하는 비만 치료 또는 예방용 조성물
KR101281710B1 (ko) 엉겅퀴 추출물 또는 이로부터 분리된 화합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비만 치료 및 예방용 조성물
KR101371354B1 (ko) 10-히드록시캄토테신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비만 또는 지질 관련 대사성 질환의 예방 및 치료용 조성물
KR20120112137A (ko) 오미자 에틸아세테이트 분획물 또는 이로부터 분리한 우웨이지수 c를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비만 예방 또는 치료용 조성물
KR101379657B1 (ko) 유근피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비만의 예방 및 치료용 조성물
KR101235675B1 (ko) p-자일렌셀레노시아네이트를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비만 및 지질 관련 대사성 질환의 예방 및 치료용 조성물
KR101235662B1 (ko) 벤질이소티오시아네이트를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비만 및 지질 관련 대사성 질환의 예방 및 치료용 조성물
KR20120061016A (ko) 설포라판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비만 및 지질 관련 대사성 질환의 예방 및 치료용 조성물
KR20140086210A (ko) 테트란드린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비만으로 유도된 염증 치료용 조성물
KR20170116846A (ko) 옻나무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하는 신경염증 개선 또는 예방용 식품 조성물
KR101368383B1 (ko) 데옥시시코닌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비만 또는 지질 관련 대사성 질환의 예방 및 치료용 조성물
KR101235673B1 (ko) 티에닐부틸 이소티오시아네이트를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비만 및 지질 관련 대사성 질환의 예방 및 치료용 조성물
KR20090128725A (ko) 일본 후박나무 추출물 또는 이의 분획물을 유효성분으로함유하는 염증성 질환 예방 및 치료용 조성물
KR20180118413A (ko) 밀리타리스 동충하초 부탄올 분획물을 유효성분으로 하는 간암의 예방 또는 치료용 조성물
KR101349089B1 (ko) 바바치닌 a를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비만 또는 지질 관련 대사성 질환의 예방 및 치료용 조성물
KR20180131770A (ko) 황련 추출물을 함유하는 근육관련 질환의 예방 및 치료용 조성물
KR101448355B1 (ko) 등심초 추출물을 함유하는 염증 질환 또는 알레르기 질환의 치료 및 예방용 조성물
KR101327938B1 (ko) 메틸 카페이트를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비만 및 지질 관련 대사성 질환의 예방 및 치료용 조성물
KR20120048205A (ko) 메틸셀레노시스테인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비만 및 지질 관련 대사성 질환의 예방 및 치료용 조성물
KR102448274B1 (ko) 보골지 추출물의 조다당 분획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골질환의 예방, 개선 또는 치료용 조성물
KR20190055600A (ko) 다프난 또는 포볼 다이터펜계 화합물을 포함하는 신경퇴행성 질환 예방 또는 치료용 조성물
KR101684574B1 (ko) 구척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항암제 유도 조혈 독성의 예방 및 치료용 약학적 조성물 및 건강기능식품
KR102522975B1 (ko) 신규한 모나스커스 퍼퓨리우스 sl1을 이용하여 제조된 모링가 발효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한 항비만용 조성물
KR20140015662A (ko) 하엽 및 비파엽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비만증의 치료 및 예방을 위한 조성물
KR101494436B1 (ko) 오가피 열매 유래 신규 화합물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102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200102

Year of fee payment: 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