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40015662A - 하엽 및 비파엽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비만증의 치료 및 예방을 위한 조성물 - Google Patents

하엽 및 비파엽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비만증의 치료 및 예방을 위한 조성물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40015662A
KR20140015662A KR1020120070396A KR20120070396A KR20140015662A KR 20140015662 A KR20140015662 A KR 20140015662A KR 1020120070396 A KR1020120070396 A KR 1020120070396A KR 20120070396 A KR20120070396 A KR 20120070396A KR 20140015662 A KR20140015662 A KR 20140015662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lobe
extract
obesity
leaf
lower lob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2007039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류동영
김현아
김용재
이준열
Original Assignee
목포대학교산학협력단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목포대학교산학협력단 filed Critical 목포대학교산학협력단
Priority to KR1020120070396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40015662A/ko
Publication of KR2014001566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40015662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36/00Medicinal preparations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containing material from algae, lichens, fungi or plants, or derivatives thereof, e.g. traditional herbal medicines
    • A61K36/18Magnoliophyta (angiosperms)
    • A61K36/185Magnoliopsida (dicotyledons)
    • A61K36/62Nymphaeaceae (Water-lily family)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L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NOT COVERED BY SUBCLASSES A21D OR A23B-A23J; THEIR PREPARATION OR TREATMENT, e.g. COOKING, MODIFICATION OF NUTRITIVE QUALITIES, PHYSICAL TREATMENT; PRESERVATION OF FOODS OR FOODSTUFFS, IN GENERAL
    • A23L33/00Modifying nutritive qualities of foods; Dietetic products; Preparation or treatment thereof
    • A23L33/10Modifying nutritive qualities of foods; Dietetic products; Preparation or treatment thereof using additives
    • A23L33/105Plant extracts, their artificial duplicates or their derivativ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36/00Medicinal preparations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containing material from algae, lichens, fungi or plants, or derivatives thereof, e.g. traditional herbal medicines
    • A61K36/18Magnoliophyta (angiosperms)
    • A61K36/185Magnoliopsida (dicotyledons)
    • A61K36/73Rosaceae (Rose family), e.g. strawberry, chokeberry, blackberry, pear or firethorn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PSPECIFIC THERAPEUTIC ACTIVITY OF CHEMICAL COMPOUNDS OR MEDICINAL PREPARATIONS
    • A61P3/00Drugs for disorders of the metabolism
    • A61P3/04Anorexiants; Antiobesity agent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VINDEXING SCHEME RELATING TO 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AND LACTIC OR PROPIONIC ACID BACTERIA USED IN FOODSTUFFS OR FOOD PREPARATION
    • A23V2200/00Function of food ingredients
    • A23V2200/30Foods, ingredients or supplements having a functional effect on health
    • A23V2200/326Foods, ingredients or supplements having a functional effect on health having effect on cardiovascular health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VINDEXING SCHEME RELATING TO 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AND LACTIC OR PROPIONIC ACID BACTERIA USED IN FOODSTUFFS OR FOOD PREPARATION
    • A23V2200/00Function of food ingredients
    • A23V2200/30Foods, ingredients or supplements having a functional effect on health
    • A23V2200/332Promoters of weight control and weight los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2236/00Isolation or extraction methods of medicinal preparations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containing material from algae, lichens, fungi or plants, or derivatives thereof, e.g. traditional herbal medicine
    • A61K2236/30Extraction of the material
    • A61K2236/33Extraction of the material involving extraction with hydrophilic solvents, e.g. lower alcohols, esters or ketones
    • A61K2236/331Extraction of the material involving extraction with hydrophilic solvents, e.g. lower alcohols, esters or ketones using water, e.g. cold water, infusion, tea, steam distillation, decoction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2236/00Isolation or extraction methods of medicinal preparations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containing material from algae, lichens, fungi or plants, or derivatives thereof, e.g. traditional herbal medicine
    • A61K2236/30Extraction of the material
    • A61K2236/33Extraction of the material involving extraction with hydrophilic solvents, e.g. lower alcohols, esters or ketones
    • A61K2236/333Extraction of the material involving extraction with hydrophilic solvents, e.g. lower alcohols, esters or ketones using mixed solvents, e.g. 70% EtOH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Natural Medicines & Medicinal Plant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Pharmacology & Pharmacy (AREA)
  • Botany (AREA)
  • Public Health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Medicinal Chemistry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Mycology (AREA)
  • Microbiology (AREA)
  • Alternative & Traditional Medicine (AREA)
  • Epidemiology (AREA)
  • Medical Informatics (AREA)
  • Biotechnology (AREA)
  • Obesity (AREA)
  • Child & Adolescent Psychology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Diabetes (AREA)
  • General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Bioinformatics & Cheminformatics (AREA)
  • Hematology (AREA)
  • Nuclear Medicine, Radiotherapy & Molecular Imaging (AREA)
  • Nutrition Science (AREA)
  • F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Polymers & Plastics (AREA)
  • Medicines Containing Plant Substances (AREA)
  • Coloring Foods And Improving Nutritive Qualiti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하엽 및 비파엽의 혼합생약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비만증의 치료 및 예방을 위한 조성물의 예방 및 치료를 위한 약학조성물 및 건강기능식품에 관한 것으로, 본 발명에 의한 하엽 및 비파엽 추출물은 3T3-L1 지방세포를 이용한 지방생성 억제효과 및 지방분해 촉진효과 실험에서 강력한 지방생성 억제와 분해 촉진효과를 나타냄을 확인하였다. 본 발명의 하엽 및 비파엽의 혼합생약 추출물은 비만증의 예방 및 치료를 위한 약학조성물로 유용하게 이용될 수 있다.

Description

하엽 및 비파엽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비만증의 치료 및 예방을 위한 조성물 {A composition comprising a leaf extract of Nelumbo nucifera G and Eriobotrya japonica for treating and preventing obesity disease}
본 발명의 하엽 및 비파엽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비만증의 치료 및 예방용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문헌 1] Kim DM, et al., Prevalence of obesity in Korea. Obes Rev. 6, pp.117-121, 2005
[문헌 2] Van der Ploeg LH. Related Obesity: an epidemic in need of therapeutics. Curr Opin Chem Biol. 4(4), pp.452-460, 2004
[문헌 3] Daily JW, Cha YS. Macronutrient intake and obesity. J Food Sci Nutr. 5(1), pp.58-64, 2000
[문헌 4] 張介賓. 張氏類經. 서울, 성보사. p.586, 1982
[문헌 5] Van der Ploeg LH. Related Obesity: an epidemic in need of therapeutics. Curr Opin Chem Biol. 4(4), pp.452-460, 2004;
[문헌 6] 김은선 외 2, 비만치료제, 심층정보분석 보고서, 한국과학기술정보연구원, pp.1-111, 2002
[문헌 7] 정보섭외 향약대사전, 영림사, p610-612, 1998년
[문헌 8] 정보섭외 향약대사전, 영림사, p514-515, 1998년
[문헌 9] Huang et al., berberine inhibits 3T3-L1 adipocyte differentiation through the PPARγ pathway. Biochem Biophy Commu. 348:571-578, 2006.
본 발명은 하엽 및 비파엽의 혼합생약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비만증의 치료 및 예방용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우리나라는 빠른 경제 성장과 더불어 소득수준의 향상, 식습관의 변화, 신체 활동량의 감소 등의 이유로 비만, 당뇨병, 고혈압, 동맥경화 등의 성인병 발생율이 증가하고 있는 추세이다. 성인병 유발의 가장 기본적인 원인은 비만인데 2007년 의료 정책연구소 발표에 의하면 우리나라 당뇨사망자는 OECD 회원국의 평균인 13.5명보다 2.5배 높은 35.3명으로 회원국 중 가장 높은 수치를 기록하였고 우리나라에서 최근 10년 동안 제 2형 당뇨병 환자이고, 특히 40대와 50대에서 그 유병율이 급격히 상승하고 있으며, 앞으로도 계속 증가할 것으로 예상된다. 지출과 생산성 저하 등 다양한 문제점이 발생하고 있다(Kim DM, et al., Prevalence of obesity in Korea. Obes Rev. 6, pp.117-121, 2005).
비만은 건강을 해칠 정도로 체내 지방이 과도하게 축적된 상태를 말하며, 각 개인의 표준체중보다 20% 이상의 증가가 있을 때 비만이라고 정의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지방의 무게가 체중에서 차지하는 체지방 비율이 남자의 경우는 25% 이상, 여자의 경우, 30% 이상일 때를 말한다(Van der Ploeg LH. Related Obesity: an epidemic in need of therapeutics. Curr Opin Chem Biol. 4(4), pp.452-460, 2004).
비만은 에너지 섭취와 소비의 불균형으로 인해 여분의 에너지가 지방으로 전환되므로 당뇨병, 고혈압, 심혈관계질환, 관절질환, 폐질환 및 일부 암 등의 다양한 퇴행성 질환들의 유병율과 밀접한 관계가 있고, 비만으로 야기되는 재정적 부담과 인명적 손실은 막대하다(Daily JW, Cha YS. Macronutrient intake and obesity. J Food Sci Nutr. 5(1), pp.58-64, 2000). 특히 동양인의 경우, 서양인에 비해 체질량 지수가 적어도 복부 비만이 심하여 고혈압, 당뇨병, 고지혈증과 같은 동맥관련 질환으로 인한 합병증의 감수성이 높기 때문에 비만관리가 더욱 중요시 된다. 한의학에서는 비만의 원인을 膏粱珍味와 氣虛, 濕滯 등으로 보고 있으며, 치료법으로는 利水化濕, 化痰, 熱通腑, 活血祛瘀의 약물요법을 쓰고 있다(張介賓. 張氏類經. 서울, 성보사. p.586, 1982). 비만치료법으로는 식욕억제제, 지방흡수억제제, 에너지대사촉진제, 호르몬제제 등의 약물요법과 위절제술, 지방흡입술 등의 외과적 수술법이 사용되고 있으나, 치료효과의 지속적 유지 여부 및 약물 중단 시 체중이 증가하는 현상 등이 문제되고 있다(Van der Ploeg LH. Related Obesity: an epidemic in need of therapeutics. Curr Opin Chem Biol. 4(4), pp.452-460, 2004; 김은선 외 2, 비만치료제, 심층정보분석 보고서, 한국과학기술정보연구원, pp.1-111, 2002). 현재 의료계에서는 식욕억제제인 시부트라민과 지방흡수억제제인 올리스태트 등을 장기간 사용 가능한 비만약물로 인정하고 있지만 아직도 부작용에 대한 의문이 제기되고 있으므로 안전하게 체중을 감량하기 위해서 식이요법, 운동요법 및 행동요법을 포함하는 다각적 접근방법이 권장되고 있다.
비파엽(枇杷葉)는 배나무과(Malaceae)에 속하는 상록소교목인 비파나무( Eriobotrya japonica)의 잎으로, 네롤리돌(nerolidol), 파르네솔(farnesol), 피넨(pinene), 캄펜(camphene), 미르센(myrcene), 시멘(cymene), 리날룰(linalool) 아미그달린(amygdalin), 우루솔산(ursolic acid), 올레아놀산(oleanolic aicd), 사과산, 포도당 등의 성분을 함유하고 있고, 객담, 비혈증 등의 치료에 사용된다고 알려져 있다.(정보섭외 향약대사전, 영림사, p610-612, 1998년).
하엽(荷葉)은 수련과(Nymphaeaceae)에 속하는 다년생 수생초본인 연꽃(Nelumbo nucifera G)의 잎으로서, 로에메린(roemerine), 누시페린(nuciferine), 노르누시페린(nornuciferine), 아르메파빈(armepavine), 프로뉴시페린(pronuciferine), 리리오데닌(liriodenine), 아노나인(anonaine), 퀘르센틴(quercetin), 등의 성분을 함유하고 있고, 부종, 비출혈 등의 치료에 사용된다고 알려져 있다.(정보섭외 향약대사전, 영림사, p514-515, 1998년).
그러나, 상기 문헌의 어디에도 하엽 및 비파엽의 혼합생약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비만증 치료효과에 대하여 개시되거나 교시된 바가 없다.
이에 본 발명자들은 비만에 효과적인 치료제를 개발하기 위한 연구를 통해 하엽 및 비파엽을 아임계수 추출방법으로 추출한 후 하엽과 비파엽의 복합 생약 추출물이 3T3-L1 지방세포를 이용한 지방생성 억제 및 분해 촉진효과실험에서 강력한 지방생성 억제 및 분해 촉진효과를 나타냄을 확인함으로써 본 발명을 완성하였다.
상기 목적을 해결하기 위해 본 발명은 하엽 및 비파엽의 혼합생약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비만증의 치료 및 예방용 약학조성물을 제공한다.
본원에서 정의되는 혼합 생약의 바람직한 중량 배합비로는 하엽 : 비파엽의 중량 혼합비(w/w)가 1-20 : 1-20, 보다 바람직하게는 1-10 : 1-10(w/w), 보다 더 바람직하게는 1-5 : 1-5(w/w)의 배합비, 가장 바람직하게는 1-3 : 1-3(w/w)의 배합비로 배합된 배합물을 포함하는 것임을 특징으로 한다.
본원에서 정의되는 추출물은 물, C1 내지 C4의 저급 알코올 또는 이들의 혼합용매로, 바람직하게는 물 또는 물 및 에탄올 혼합용매에 가용한 추출물, 보다 바람직하게는 물 추출물을 포함한다.
이하 본 발명의 추출물을 수득하는 방법을 보다 상세하게 설명한다.
예를 들어, 본 발명의 추출물은 하엽 및 비파엽을 각각 세척 및 건조시킨 후, 하엽 : 비파엽의 중량 혼합비(w/w)가 1-20 : 1-20, 보다 바람직하게는 1-10 : 1-10(w/w), 보다 더 바람직하게는 1-5 : 1-5(w/w)의 배합비, 가장 바람직하게는 1-3 : 1-3(w/w)의 배합비로 배합하고 시료 중량의 약 1배 내지 100배, 바람직하게는 약 1배 내지 50배 (w/v) 부피의 물, C1 내지 C4의 저급 알코올 또는 이들의 혼합용매로, 바람직하게는 물을 추출용매로 하여, 약 1 내지 5 MPa, 바람직하게는 2-4 MPa의 압력조건하에서, 약 10 내지 320℃, 바람직하게는 80 내지 260℃의 반응온도에서 약 1분 내지 7일간, 바람직하게는 1 시간 내지 6시간 동안 아임계추출법, 가열추출법, 초음파 추출법, 환류 추출법, 초고압추출법 등의 통상적인 추출방법, 바람직하게는 아임계추출법으로 1 내지 10회, 바람직하게는 1 내지 5회 반복 추출하는 제 2단계; 상기 단계에서 수득한 추출액을 여과하여 감압 농축하는 제 3단계; 상기 농축된 추출물을 동결 건조하는 제 4단계의 제조방법을 포함하는 단계를 통하여 본 발명의 하엽 및 비파엽의 혼합생약 추출물을 수득가능하다.
또한 본 발명은 하엽 및 비파엽을 각각 세척 및 건조시킨 후, 하엽 : 비파엽의 중량 혼합비(w/w)가 1-20 : 1-20, 보다 바람직하게는 1-10 : 1-10(w/w), 보다 더 바람직하게는 1-5 : 1-5(w/w)의 배합비, 가장 바람직하게는 1-3 : 1-3(w/w)의 배합비로 배합하고 시료 중량의 약 1배 내지 100배, 바람직하게는 약 1배 내지 50배 (w/v) 부피의 물, C1 내지 C4의 저급 알코올 또는 이들의 혼합용매로, 바람직하게는 물을 추출용매로 하여, 약 1 내지 5 MPa, 바람직하게는 2-4 MPa의 압력조건하에서, 약 100 내지 320℃, 바람직하게는 120 내지 260℃의 반응온도에서 약 30초 내지 30분, 바람직하게는 1분 내지 3분동안 아임계추출법으로 1 내지 10회, 바람직하게는 1 내지 5회 반복 추출하는 제 2단계; 상기 단계에서 수득한 추출액을 여과하여 감압 농축하는 제 3단계; 상기 농축된 추출물을 동결 건조하는 제 4단계를 포함하는 본 발명의 복합생약 추출물을 제조하는 제조방법을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 제조방법으로 제조된 하엽 및 비파엽의 혼합생약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비만증의 치료 및 예방을 위한 약학 조성물을 제공한다.
상기에서 수득된 하엽 및 비파엽의 복합 생약 추출물은 3T3-L1 지방세포를 이용한 지방생성 억제 및 분해 촉진효과실험에서 강력한 지방생성 억제 및 지방분해 촉진효과를 나타냄을 확인하였다.
본 발명의 조성물은, 조성물 총 중량에 대하여 상기 생약 추출물을 0.01 내지 99% 중량으로 포함한다.
그러나 상기와 같은 조성은 반드시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환자의 상태 및 질환의 종류 및 진행 정도에 따라 변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추출물을 포함하는 조성물은 약학적 조성물의 제조에 통상적으로 사용하는 적절한 담체, 부형제 및 희석제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추출물을 포함하는 조성물은, 각각 통상의 방법에 따라 산제, 과립제, 정제, 캡슐제, 현탁액, 에멀젼, 시럽, 에어로졸 등의 경구형 제형, 외용제, 좌제 및 멸균 주사용액의 형태로 제형화하여 사용될 수 있으며, 이에 포함될 수 있는 담체, 부형제 및 희석제로는 락토즈, 덱스트로즈, 수크로스, 솔비톨, 만니톨, 자일리톨, 에리스리톨, 말티톨, 전분, 아카시아 고무, 알지네이트, 젤라틴, 칼슘 포스페이트, 칼슘 실리케이트, 셀룰로즈, 메틸 셀룰로즈, 미정질 셀룰로스, 폴리비닐 피롤리돈, 물, 메틸히드록시벤조에이트, 프로필히드록시벤조에이트, 마그네슘 스테아레이트 및 광물유를 들 수 있다. 제제화할 경우에는 보통 사용하는 충진제, 증량제, 결합제, 습윤제, 붕해제, 계면활성제 등의 희석제 또는 부형제를 사용하여 조제된다. 경구투여를 위한 고형제제에는 정제, 환제, 산제, 과립제, 캡슐제 등이 포함되며, 이러한 고형제제는 상기 화합물에 적어도 하나 이상의 부형제 적어도 면, 전분, 칼슘카보네이트(calcium carbonate), 수크로스(sucrose) 또는 락토오스(lactose), 젤라틴 등을 섞어 조제된다. 또한 단순한 부형제 이외에 마그네슘 스티레이트 탈크 같은 윤활제들도 사용된다. 경구를 위한 액상제제로는 현탁제, 내용액제, 유제, 시럽제 등이 해당되는데 흔히 사용되는 단순희석제인 물, 리퀴드 파라핀 이외에 여러 가지 부형제, 예를 들면 습윤제, 감미제, 방향제, 보존제 등이 포함될 수 있다. 비경구 투여를 위한 제제에는 멸균된 수용액, 비수성용제, 현탁제, 유제, 동결건조제제, 좌제가 포함된다. 비수성용제, 현탁제로는 프로필렌글리콜(propylene glycol), 폴리에틸렌 글리콜, 올리브 오일과 같은 식물성 기름, 에틸올레이트와 같은 주사 가능한 에스테르 등이 사용될 수 있다. 좌제의 기제로는 위텝솔(witepsol), 마크로골, 트윈(tween) 61, 카카오지, 라우린지, 글리세로제라틴 등이 사용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추출물의 바람직한 투여량은 환자의 상태 및 체중, 질병의 정도, 약물형태, 투여경로 및 기간에 따라 다르지만, 당업자에 의해 적절하게 선택될 수 있다. 그러나 바람직한 효과를 위해서, 추출물은 1일 0.01 mg/kg 내지 10 g/kg으로, 바람직하게는 1 mg/kg 내지 1 g/kg으로 투여하는 것이 좋다. 투여는 하루에 한번 투여할 수도 있고, 수회 나누어 투여할 수 있다. 그러므로 상기 투여량은 어떠한 면으로든 본 발명의 범위를 한정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의 조성물은 쥐, 생쥐, 가축, 인간 등의 포유동물에 다양한 경로로 투여될 수 있다. 투여의 모든 방식은 예상될 수 있는데, 예를 들면, 경구 및 직장, 또는 정맥 등의 방법을 통하여 투여 할 수 있다.
본 발명은 하엽 및 비파엽의 혼합생약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비만증의 예방 및 개선용 건강기능식품을 제공한다.
이를 첨가할 수 있는 식품으로는, 각종 식품류, 분말, 과립, 정제, 캡슐, 시럽제, 음료, 껌, 차 비타민 복합제, 건강기능성 식품류 등이 있다.
본 발명의 상기 추출물 자체는 독성 및 부작용은 거의 없으므로 예방 목적으로 장기간 복용 시에도 안심하고 사용할 수 있는 약제이다.
본 발명은 비만증의 개선 또는 예방효과를 나타내는 하엽 및 비파엽의 혼합생약 추출물 및 식품학적으로 허용 가능한 식품보조 첨가제를 포함하는 건강보조식품을 제공한다.
본 발명의 추출물을 포함하는 조성물은 비만증의 예방을 위한 약제, 식품 및 음료 등에 다양하게 이용될 수 있다. 본 추출물을 첨가할 수 있는 식품으로는, 예를 들어, 각종 식품류, 음료, 껌, 차, 비타민 복합제, 건강보조 식품류 등이 있고, 분말, 과립, 정제, 캡슐 또는 음료인 형태로 사용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추출물 자체는 독성 및 부작용은 거의 없으므로 예방 목적으로 장기간 복용 시에도 안심하고 사용할 수 있는 약제이다.
본 발명의 상기 추출물은 비만증의 예방을 목적으로 식품 또는 음료에 첨가될 수 있다. 이 때, 식품 또는 음료 중의 상기 추출물의 양은 일반적으로 본 발명의 건강식품 조성물은 전체 식품 중량의 0.01 내지 15 중량%로 가할 수 있으며, 건강 음료 조성물은 100 ㎖를 기준으로 0.02 내지 30 g, 바람직하게는 0.3 내지 10 g의 비율로 가할 수 있다.
본 발명의 건강 음료 조성물은 지시된 비율로 필수 성분으로서 상기 추출물을 함유하는 것 외에 액체성분에는 특별한 제한점은 없으며 통상의 음료와 같이 여러 가지 향미제 또는 천연 탄수화물 등을 추가 성분으로서 함유할 수 있다. 상술한 천연 탄수화물의 예는 모노사카라이드, 예를 들어, 포도당, 과당 등의 디사카라이드, 예를 들어 말토스, 슈크로스 등의 및 폴리사카라이드, 예를 들어 덱스트린, 시클로덱스트린 등과 같은 통상적인 당 및 자일리톨, 소르비톨, 에리트리톨 등의 당알콜이다. 상술한 것 이외의 향미제로서 천연 향미제(타우마틴, 스테비아 정제물(예를 들어 레바우디오시드 A, 글리시르히진등) 및 합성 향미제(사카린, 아스파르탐 등)를 유리하게 사용할 수 있다. 상기 천연 탄수화물의 비율은 본 발명의 조성물 100 ㎖당 일반적으로 약 1 내지 20g, 바람직하게는 약 5 내지 12g이다.
상기 외에 본 발명의 조성물은 여러 가지 영양제, 비타민, 광물(전해질), 합성 풍미제 및 천연 풍미제 등의 풍미제, 착색제 및 중진제(치즈, 초콜릿 등), 펙트산 및 그의 염, 알긴산 및 그의 염, 유기산, 보호성 콜로이드 증점제, pH 조절제, 안정화제, 방부제, 글리세린, 알콜, 탄산 음료에 사용되는 탄산화제 등을 함유할 수 있다. 그밖에 본 발명의 조성물들은 천연 과일 쥬스 및 과일 쥬스 음료 및 야채 음료의 제조를 위한 과육을 함유할 수 있다. 이러한 성분은 독립적으로 또는 조합하여 사용할 수 있다. 이러한 첨가제의 비율은 그렇게 중요하진 않지만 본 발명의 조성물 100 중량부 당 0 내지 약 20 중량부의 범위에서 선택되는 것이 일반적이다.
본 발명의 하엽과 비파엽 추출물은 3T3-L1 지방세포를 이용한 지방생성 억제 및 지방분해 촉진효과 실험에서 강력한 지방생성 억제와 분해 촉진효과를 나타내는 등 항비만 효과가 탁월함이 확인되었으므로 비만증 치료에 유용한 약학 조성물 및 건강기능식품을 제공한다.
도 1은 비파엽 또는 하엽의 3T3-L1 지방전구세포에서 지방생성에 미치는 영향을 나타낸 도이며{여기에서 (a) 미분화(non-differentiation; normal), (b)는 분화(differentiation; Control), (c)는 150℃에서 아임계 추출법으로서 추출한 비파엽 또는 하엽 개개 투여군, (d) 210℃에서 아임계 추출법으로서 추출한 비파엽 또는 하엽 개개투여군, (e) 150℃에서 아임계 추출법으로서 추출한 하엽 및 비파엽 조합 투여군, (f) 210℃에서 아임계 추출법으로서 추출한 하엽 및 비파엽 조합투여군이며 시료농도는 250 /ml 임},
도 2는 하엽 및 비파엽의 3T3-L1 지방전구세포에서 지방생성에 미치는 영향을 나타낸 도이며{여기에서 (a) 분화(differentiation; Control), (b)는 210℃에서 아임계 추출법으로서 추출한 하엽 및 비파엽 조합(1:1) 투여군, (d) 210℃에서 아임계 추출법으로서 추출한 하엽 및 비파엽 조합(3:1) 투여군, (e) 210℃에서 아임계 추출법으로서 추출한 하엽 및 비파엽 조합(9:1) 투여군이며 시료농도는 250 /ml 임},
도 3은 하엽 및 비파엽의 3T3-L1 지방전구세포에서 지방생성 및 분해와 관련된 유전자의 조절효과에 관한 도이다{여기에서 아임계수로 추출된 하엽과 비파잎의 3:1 배합률에 대한 지방생성과 관련된 PPARγ 단백발현 억제효과(a) 및 지방분해에 관련된 p-AMPK 조절효과(b)에 있어 모두 농도 의존적으로 유의하게 조절하는 것으로 확인되었음. 시료농도는 125와 250 /ml 임}.
이하, 본 발명을 하기 참고예 및 실험예에 의해 상세히 설명한다.
단, 하기 참고예 및 실험예는 본 발명을 예시하는 것일 뿐, 본 발명의 내용이 하기 참고예 및 실험예에 의해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실시예 1. 하엽 비파엽 추출물 제조
1-1. 개개 추출물의 제조
하엽 또는 비파엽 20 g씩에 3차 증류수 200 mL을 넣은 추출용기를 아임계 추출장치(Taiatsu Techno. Corp. Japan)에 설치한 후 3 MPa의 압력조건과 온도를 150℃과 210℃로 조절하여 1분간 반응시켜 추출하였다. 추출액은 감압여과한 후 동결건조하여 분말화 하였다. 비파엽(EJ)의 150℃과 210℃로 추출한 경우는 15와 30%, 하엽(NN)은 15와 20%로 수득하였고(이하 각각 EJ 및 NN이라 함) 이 분말들을 -20℃에 보관하며 실험에 사용하였다. 수득율은 표 1과 같다.
1-2. 복합 추출물(1)의 제조
하엽과 비파엽(1:1비율)을 각각 10 g씩 혼합한 후 3차 증류수 200 mL을 넣은 추출용기를 아임계 추출장치(Taiatsu Techno. Corp. Japan)에 설치한 후 3 MPa의 압력조건과 온도를 150℃과 210℃로 조절하여 1분간 반응시켜 추출하였다. 추출액은 감압여과한 후 동결건조하여 분말화한다. 복합추출물(1:1)의 수득율은 15와 25%이고 이 분말들은 -20℃에 보관하며 실험에 사용하였다. 수득율은 표 1과 같다.
1-3. 복합 추출물(2)의 제조
하엽 또는 비파엽을 각각 아임계수로 추출한 후 하엽과 비파엽 추출물을 1:1, 3:1, 9:1 중량배합비율(w/w)로 혼합하여 실험에 사용하였다.
시료명 사용량(g) 추출조건 추출량(g) 수득율(%)
Eriobotrya japonica
(비파엽, EJ)
20 3MPa-150℃ 3 15%
20 3MPa-210℃ 6 30%
Nelumbo nucifera
(연잎, NN)
20 3MPa-150℃ 3 15%
20 3MPa-210℃ 4 20%
연잎복합물
(NN:EJ=1:1)
20 3MPa-150℃ 3 15%
20 3MPa-210℃ 5 25%
참고예 1. 시약
Dulbecco's modified Eagle's medium, newborn calf serum(BCS), fetal bovine serum(FBS), phosphate buffered saline(PBS), trypsin, penicilin은 Hyclone(Longan, USA)에서 구입하였고, insulin, dexamethasone(DEX), 3-isobutyl-1-methyxantihine(IBMX), β-actin은 Sigma(St. Louis, USA)에서 구입하였다. PPARγ(sc-7273)는 Santa Cruz Biotechnology(USA), p-AMPKα는 Cell signaling technology에서 구입하였고 Tris base, glycine, EDTA, SDS는 Promega에서 구입하였다. Nitrocellulose membrane은 Bio-rad에서 PicoTect Western Blot Chemiluminescent Substrate는 Imgenex에서 구입하였다. 시약 및 용매는 특급 또는 1급 시약을 사용하였다.
실험예 1. 지방생성 억제효과 실험
상기 실시예 시료의 3T3-L1 지방세포를 이용한 지방생성 억제 및 분해 촉진효과를 확인하기 위하여 문헌에 개시된 방법을 응용하여 하기와 같이 실험을 수행하였다(Huang et al., berberine inhibits 3T3-L1 adipocyte differentiation through the PPARγ pathway. Biochem Biophy Commu. 348:571-578, 2006)
1-1. 3 T3 - L1 지방전구세포의 배양
3T3-L1 지방전구세포는 American Type Culture Collection (ATCC; USA)으로부터 분양 받아 사용하였다. 3T3-L1 지방전구세포는 5% CO2 , 37℃ 배양기에서 100 Units/mL penicilin, 100 μg/mL streptomycin, 10% FCS가 함유된 DMEM 배지 조건에서 배양하였다. 이러한 3T3-L1 지방전구세포는 2일마다 신선한 배지로 보충하면서 계대 배양하여 실험에 사용하였다.
1-2. 3 T3 - L1 지방전구세포의 분화유도
3T3-L1 지방전구세포를 지방세포로 분화시키기 위하여 6 well plate에 5×104 cells/well로 분주하고 100% confluent 상태가 되면 분화유도 물질인 5 μg/ml insulin, 1 μM dexamethasone, 0.5 mM isobutylmethyl xanthine과 10% FBS가 함유된 DMEM 배지로 교환하며 분화를 유도였으며 2일 후 5 μg/mL insulin(I6634, Sigma, USA)만이 포함된 DMEM(10% FBS) 배지로 교환하였다. 이로부터 2일에 한번 씩 DMEM(10% FBS) 배지로 보충하면서 4일 후 실험에 이용하였다. 3T3-L1 지방전구세포를 지방세포로 8일간 분화되고(1일부터 8일째) 지방구는 Oil-red O 염색법으로 염색을 수행하였다.
1-3. Oil Red O 염색
세포내 지방구 생성을 확인하기 위하여 6 well plate에 분주한 3T3-L1 지방전구세포는 시료와 함께 8일간 분화유도 후 PBS로 세척하였다. 10% formalin 용액으로 30분간 고정시키고 증류수로 1회 세척하였다. 0.3% Oil Red O 용액(O0625, Sigma, USA)으로 1시간 처리한 후 60% isopropanol로 1회 세척 후 현미경(C3040-ADU, Olympus, Japan)으로 지방세포를 관찰하여 지방구의 크기와 생성 정도를 평가하였다.
1-4. Western blot
3T3-L1 지방세포를 PBS 용액으로 2회 세척한 후 lysis buffer(iNtRON biotechnology, Korea)를 넣고 4℃에서 10분간 용해시킨 후 13,000 rpm, 4℃에서 20분간 원심분리하여 상층액만 회수하여 단백질 양을 정량하였다. Lysate는 25 μg/mL를 취하여 SDS loading buffer(1 M Tris, 50% glycerol, 10% SDS, 1% bromophenol blue)에 혼합하여 95℃에서 10분간 가열시킨 후 10% SDS polyacrylamide gel(H5115, Promega, USA)에 100-150 V로 전기영동한 다음에 nitrocellulose membrane에 전이시켰다. 5% 무지분유가 첨가된 TBST(1 M Tris, 5 M NaCl, tween 20) 용액에 넣고 1시간 동안 blocking 시킨다. TBST 용액으로 3회(각각 7분씩) 세척한 후 일차항체[PPARγ 1:250(Sc-7273, Santacruz, USA), p-AMPKα 1:1000(2535, Cell Signaling, USA)]로 2시간 동안 반응시키고 다시 TBST 용액으로 3회 세척한다. 그 다음에 peroxidase가 포함된 이차항체[goat anti mouse 1:2000(115-035-003,Jackson, USA), anti rabbit 1:2000(115-035-003, Jackson, USA)]로 1시간 동안 반응시켰고 chemiluminescent substrate 용액(10087K, Imgenex, USA)을 사용하여 목적 단백질을 확인하였다.
상기 실험 결과, 하엽과 비파엽 추출물의 지방생성 억제효과를 측정한 결과는 도 1과 같다. 지방전구세포로부터 지방세포로 분화유도를 하지 않은 정상군(a)은 중성지방 축적정도가 관찰되지 않았으나, 지방세포로 분화유도 된 대조군(b)은 지방이 뚜렷하게 축적되는 것으로 관찰되었다. 이에 반해 아임계수 추출물을 첨가한 모든 그룹에서 지방생성 억제효과가 나타났으나, 하엽과 비파엽을 각각 아임계수 150과 210℃로 추출한 후 동량의 비율로 혼합하여 첨가한 군(c와 d)에서 연잎과 비파엽을 동량의 비율로 혼합하고 아임계수로 추출한 후 첨가한 군(e, f)보다 효과적으로 지방생성 억제효과가 관찰되었다. 그리고 아임계수 추출물간의 지방생성 억제효과에서는 150℃(c, e)로 추출한 것보다 210℃(d, f)로 추출했을 경우에 지방생성 억제효과 더 뚜렷하게 관찰되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또한, 아임계수 하엽과 비파엽 추출물의 복합물 경우에는 시료를 첨가하지 않은 대조군(a)에 비해 하엽 아임계수 추출물과 비파엽 아임계수 추출물을 3:1 배합비로 혼합하여 제조한 후 첨가했을 경우가 지방생성 억제효과가 가장 뚜렷한 것으로 관찰되었다(도 2).
아임계수로 추출된 하엽과 비파엽의 3:1 배합률에 대한 지방생성과 관련된 PPARγ 단백발현 억제효과 및 지방분해에 관련된 p-AMPK 조절효과에 있어 모두 농도의존적으로 유의하게 조절하는 것으로 확인되었다(도 3).
이상의 연구결과, 하엽과 비파엽의 아임계수를 이용한 추출법에 따른 지방생성 억제효과 및 지방분해 촉진효과는 하엽과 비파엽을 함께 아임계수로 추출한 경우보다 각각 따로 아임계수로 추출한 후 혼합한 경우가 매우 효과적이며, 아임계수로 추출한 하엽과 비파엽 복합물의 지방생성 억제 및 지방분해 촉진효과의 최적배합율은 3:1(연잎:비파엽) 조건으로 확인되었다.
하기에 본 발명의 추출물을 포함하는 조성물의 제제예를 설명하나, 본 발명은 이를 한정하고자 함이 아닌 단지 구체적으로 설명하고자 함이다.
제제예 1. 산제의 제조
NNEJ11................................................200 mg
유당..................................................100 mg
탈크...................................................10 mg
상기의 성분들을 혼합하고 기밀포에 충진하여 산제를 제조한다.
제제예 2. 정제의 제조
NNEJ31...............................................200 mg
옥수수전분...........................................100 mg
유당.................................................100 mg
스테아린산 마그네슘....................................2 mg
상기의 성분들을 혼합한 후 통상의 정제의 제조방법에 따라서 타정하여 정제를 제조한다.
제제예 3. 캅셀제의 제조
NNEJ11...............................................200 mg
결정성 셀룰로오스......................................3 mg
락토오스............................................14.8 mg
마그네슘 스테아레이트................................0.2 mg
통상의 캅셀제 제조방법에 따라 상기의 성분을 혼합하고 젤라틴 캡슐에 충전하여 캅셀제를 제조한다.
제제예 4. 주사제의 제조
NNE31................................................200 mg
만니톨...............................................180 mg
주사용 멸균 증류수..................................2974 mg
Na2HPO4 ,12H2O..........................................26 mg
통상의 주사제의 제조방법에 따라 1 앰플당 (2㎖) 상기의 성분 함량으로 제조한다.
제제예 5. 액제의 제조
NNEJ11..............................................200 mg
이성화당..............................................10 g
만니톨.................................................5 g
정제수................................................적량
통상의 액제의 제조방법에 따라 정제수에 각각의 성분을 가하여 용해시키고 레몬향을 적량 가한 다음 상기의 성분을 혼합한 다음 정제수를 가하여 전체를 정제수를 가하여 전체 100 ml로 조절한 후 갈색병에 충진하여 멸균시켜 액제를 제조한다.
제제예 6. 건강 식품의 제조
NNEJ11..............................................1000 ㎎
비타민 혼합물..........................................적량
비타민 A 아세테이트...................................70 ㎍
비타민 E.............................................1.0 ㎎
비타민 B1...........................................0.13 ㎎
비타민 B2...........................................0.15 ㎎
비타민 B6............................................0.5 ㎎
비타민 B12...........................................0.2 ㎍
비타민 C..............................................10 ㎎
비오틴................................................10 ㎍
니코틴산아미드.......................................1.7 ㎎
엽산..................................................50 ㎍
판토텐산 칼슘........................................0.5 ㎎
무기질 혼합물..........................................적량
황산제1철...........................................1.75 ㎎
산화아연............................................0.82 ㎎
탄산마그네슘........................................25.3 ㎎
제1인산칼륨...........................................15 ㎎
제2인산칼슘...........................................55 ㎎
구연산칼륨............................................90 ㎎
탄산칼슘.............................................100 ㎎
염화마그네슘........................................24.8 ㎎
상기의 비타민 및 미네랄 혼합물의 조성비는 비교적 건강식품에 적합한 성분을 바람직한 실시예로 혼합 조성하였지만, 그 배합비를 임의로 변형 실시하여도 무방하며, 통상의 건강식품 제조방법에 따라 상기의 성분을 혼합한 다음, 과립을 제조하고, 통상의 방법에 따라 건강식품 조성물 제조에 사용할 수 있다.
제제예 7. 건강 음료의 제조
NNEJ31.............................................1000 ㎎
구연산.............................................1000 ㎎
올리고당.............................................100 g
매실농축액.............................................2 g
타우린.................................................1 g
정제수를 가하여 전체.................................900 ㎖
통상의 건강음료 제조방법에 따라 상기의 성분을 혼합한 다음, 약 1시간동안 85℃에서 교반 가열한 후, 만들어진 용액을 여과하여 멸균된 2ℓ용기에 취득하여 밀봉 멸균한 뒤 냉장 보관한 다음 본 발명의 건강음료 조성물 제조에 사용한다.
상기 조성비는 비교적 기호음료에 적합한 성분을 바람직한 실시예로 혼합 조성하였지만, 수요계층, 수요국가, 사용 용도 등 지역적, 민족적 기호도에 따라서 그 배합비를 임의로 변형 실시하여도 무방하다.

Claims (7)

  1. 하엽 및 비파엽의 혼합생약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비만증의 치료 및 예방용 약학조성물.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추출물은 물, C1 내지 C4의 저급 알코올 또는 이들의 혼합용매인 약학 조성물.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하엽 및 비파엽은 하엽 : 비파엽의 중량 혼합비(w/w)가 1-20 : 1-20 (w/w)인 약학조성물.
  4. 하엽 및 비파엽을 각각 세척 및 건조시킨 후, 하엽 : 비파엽의 중량 혼합비(w/w)가 1-20 : 1-20 (w/w)로 배합하고 시료 중량의 1배 내지 100배 부피의 물, C1 내지 C4의 저급 알코올 또는 이들의 혼합용매로, 1 내지 5 MPa의 압력조건하에서, 100 내지 320℃의 반응온도에서 30초 내지 30분 동안 아임계 추출법으로 1 내지 10회 반복 추출하는 제 2단계; 상기 단계에서 수득한 추출액을 여과하여 감압 농축하는 제 3단계; 상기 농축된 추출물을 동결 건조하는 제 4단계를 포함하는 제 1항의 혼합생약 추출물을 제조하는 제조방법.
  5. 하엽 및 비파엽의 혼합생약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비만증의 예방 또는 개선용 건강기능식품.
  6. 제 5항에 있어서,
    상기 건강기능식품 형태는 분말, 과립, 정제, 캡슐 또는 음료인 형태인 건강기능식품.
  7. 비만증의 개선 또는 예방효과를 나타내는 하엽 및 비파엽의 혼합생약 추출물 및 식품학적으로 허용 가능한 식품보조 첨가제를 포함하는 건강보조식품.
KR1020120070396A 2012-06-29 2012-06-29 하엽 및 비파엽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비만증의 치료 및 예방을 위한 조성물 KR20140015662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070396A KR20140015662A (ko) 2012-06-29 2012-06-29 하엽 및 비파엽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비만증의 치료 및 예방을 위한 조성물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070396A KR20140015662A (ko) 2012-06-29 2012-06-29 하엽 및 비파엽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비만증의 치료 및 예방을 위한 조성물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40015662A true KR20140015662A (ko) 2014-02-07

Family

ID=5026497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20070396A KR20140015662A (ko) 2012-06-29 2012-06-29 하엽 및 비파엽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비만증의 치료 및 예방을 위한 조성물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40015662A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886299B1 (ko) 2017-10-31 2018-08-16 경희대학교 산학협력단 도화 및 하엽 복합 추출물을 포함하는 비만 및 대사성 질환의 예방, 개선 또는 치료용 조성물
WO2019172712A1 (ko) * 2018-03-09 2019-09-12 주식회사 뉴트리사이언스 연잎 추출물을 포함하는 근기능 및 운동능 강화 기능성 식품 조성물 및 그 제조방법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886299B1 (ko) 2017-10-31 2018-08-16 경희대학교 산학협력단 도화 및 하엽 복합 추출물을 포함하는 비만 및 대사성 질환의 예방, 개선 또는 치료용 조성물
WO2019172712A1 (ko) * 2018-03-09 2019-09-12 주식회사 뉴트리사이언스 연잎 추출물을 포함하는 근기능 및 운동능 강화 기능성 식품 조성물 및 그 제조방법
CN111867401A (zh) * 2018-03-09 2020-10-30 科丝美诗奈斯株式会社 包含荷叶提取物的强化肌肉功能及运动能力的功能性食品组合物及其制备方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328668B1 (ko) 비만억제 활성과 혈당강하 효능이 있는 꾸지뽕 및 의이인을 포함하는 조성물 및 이의 용도
KR101776001B1 (ko) 판두라틴 또는 핑거루트(보에센베르기아 판두라타) 추출물을 포함하는 골 손실 질환 치료, 예방 또는 개선용 조성물
KR101281710B1 (ko) 엉겅퀴 추출물 또는 이로부터 분리된 화합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비만 치료 및 예방용 조성물
US10507224B2 (en) Composition including kirenol or siegesbeckia herba extract for muscle function improvement or exercise ability enhancement
KR101071044B1 (ko) 황기, 복령 및 적소두의 혼합 생약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비만증의 예방 및 치료용 조성물
KR20140015662A (ko) 하엽 및 비파엽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비만증의 치료 및 예방을 위한 조성물
KR101303306B1 (ko) 으름덩굴 추출물을 함유하는 비만증 치료 및 예방용 조성물
WO2008069604A1 (en) Composition comprising the mixed herbal extract of aralia cordata thunb. and cimicifuga heracleifolia kom. for preventing and treating inflammatory disease and pain disease
KR101344189B1 (ko) 발효 또는 미발효된 금은화 및 진피 혼합생약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비만증의 예방 및 치료용 조성물
KR101445485B1 (ko) 울금 및 연잎 조합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고콜레스테롤혈증 또는 비만의 개선 및 치료용 조성물
KR101235675B1 (ko) p-자일렌셀레노시아네이트를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비만 및 지질 관련 대사성 질환의 예방 및 치료용 조성물
KR101235662B1 (ko) 벤질이소티오시아네이트를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비만 및 지질 관련 대사성 질환의 예방 및 치료용 조성물
KR101371354B1 (ko) 10-히드록시캄토테신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비만 또는 지질 관련 대사성 질환의 예방 및 치료용 조성물
KR101972657B1 (ko) 자화전호 추출물 또는 이로부터 분리된 화합물을 포함하는 골다공증 치료 또는 예방용 조성물
KR20210140933A (ko) 블루베리 추출물을 포함하는 근감소증 예방 또는 치료용 약학 조성물
KR101809143B1 (ko) 시게스벡키아 오리엔탈리스 추출물을 포함하는 항비만용 조성물
KR101368383B1 (ko) 데옥시시코닌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비만 또는 지질 관련 대사성 질환의 예방 및 치료용 조성물
KR101855962B1 (ko) 희첨 추출물을 포함하는 운동수행능력 증강용 조성물
KR101235673B1 (ko) 티에닐부틸 이소티오시아네이트를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비만 및 지질 관련 대사성 질환의 예방 및 치료용 조성물
KR20140037513A (ko) 차전초 조추출물 또는 분획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고지혈증 및 비만증의 예방 또는 치료용 조성물
KR20120097268A (ko) 황기 및 차전초의 복합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비만증의 예방 및 치료용 조성물.
KR20170130082A (ko) 우슬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여성 호르몬 조절이상 질환의 예방 및 개선을 위한 조성물
KR101327938B1 (ko) 메틸 카페이트를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비만 및 지질 관련 대사성 질환의 예방 및 치료용 조성물
KR101501380B1 (ko) 유프텔레아 플레이오스퍼마 추출물을 포함하는 항비만 조성물
KR101349089B1 (ko) 바바치닌 a를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비만 또는 지질 관련 대사성 질환의 예방 및 치료용 조성물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