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30099545A - 밀도가 조절된 코팅층을 포함하는 분리막 및 이를 이용한 전지 - Google Patents

밀도가 조절된 코팅층을 포함하는 분리막 및 이를 이용한 전지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30099545A
KR20130099545A KR1020120021141A KR20120021141A KR20130099545A KR 20130099545 A KR20130099545 A KR 20130099545A KR 1020120021141 A KR1020120021141 A KR 1020120021141A KR 20120021141 A KR20120021141 A KR 20120021141A KR 20130099545 A KR20130099545 A KR 20130099545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ating layer
separator
mol
polyvinylidene fluoride
coat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2002114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488918B1 (ko
Inventor
홍기철
도재구
임건자
정준호
Original Assignee
제일모직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제일모직주식회사 filed Critical 제일모직주식회사
Priority to KR2012002114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488918B1/ko
Priority to EP13156811.5A priority patent/EP2634840B1/en
Priority to US13/778,259 priority patent/US9685647B2/en
Priority to CN201310065045.2A priority patent/CN103296239B/zh
Publication of KR2013009954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30099545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48891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488918B1/ko

Link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50/00Constructional details or processes of manufacture of the non-active parts of electrochemical cells other than fuel cells, e.g. hybrid cells
    • H01M50/40Separators; Membranes; Diaphragms; Spacing elements inside cells
    • H01M50/409Separators, membranes or diaphragms characterised by the material
    • H01M50/446Composite material consisting of a mixture of organic and inorganic material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50/00Constructional details or processes of manufacture of the non-active parts of electrochemical cells other than fuel cells, e.g. hybrid cells
    • H01M50/40Separators; Membranes; Diaphragms; Spacing elements inside cells
    • H01M50/409Separators, membranes or diaphragms characterised by the material
    • H01M50/411Organic material
    • H01M50/414Synthetic resins, e.g. thermoplastics or thermosetting resins
    • H01M50/417Polyolefin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JWORKING-UP; GENERAL PROCESSES OF COMPOUNDING; AFTER-TREATMENT NOT COVERED BY SUBCLASSES C08B, C08C, C08F, C08G or C08H
    • C08J7/00Chemical treatment or coating of shaped articles made of macromolecular substances
    • C08J7/04Coating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10/00Secondary cells; Manufacture thereof
    • H01M10/05Accumulators with non-aqueous electrolyte
    • H01M10/052Li-accumulator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50/00Constructional details or processes of manufacture of the non-active parts of electrochemical cells other than fuel cells, e.g. hybrid cells
    • H01M50/40Separators; Membranes; Diaphragms; Spacing elements inside cells
    • H01M50/403Manufacturing processes of separators, membranes or diaphragm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50/00Constructional details or processes of manufacture of the non-active parts of electrochemical cells other than fuel cells, e.g. hybrid cells
    • H01M50/40Separators; Membranes; Diaphragms; Spacing elements inside cells
    • H01M50/409Separators, membranes or diaphragms characterised by the material
    • H01M50/411Organic material
    • H01M50/414Synthetic resins, e.g. thermoplastics or thermosetting resi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50/00Constructional details or processes of manufacture of the non-active parts of electrochemical cells other than fuel cells, e.g. hybrid cells
    • H01M50/40Separators; Membranes; Diaphragms; Spacing elements inside cells
    • H01M50/409Separators, membranes or diaphragms characterised by the material
    • H01M50/411Organic material
    • H01M50/414Synthetic resins, e.g. thermoplastics or thermosetting resins
    • H01M50/426Fluorocarbon polymer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50/00Constructional details or processes of manufacture of the non-active parts of electrochemical cells other than fuel cells, e.g. hybrid cells
    • H01M50/40Separators; Membranes; Diaphragms; Spacing elements inside cells
    • H01M50/409Separators, membranes or diaphragms characterised by the material
    • H01M50/431Inorganic material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50/00Constructional details or processes of manufacture of the non-active parts of electrochemical cells other than fuel cells, e.g. hybrid cells
    • H01M50/40Separators; Membranes; Diaphragms; Spacing elements inside cells
    • H01M50/409Separators, membranes or diaphragms characterised by the material
    • H01M50/449Separators, membranes or diaphragms characterised by the material having a layered structure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50/00Constructional details or processes of manufacture of the non-active parts of electrochemical cells other than fuel cells, e.g. hybrid cells
    • H01M50/40Separators; Membranes; Diaphragms; Spacing elements inside cells
    • H01M50/409Separators, membranes or diaphragms characterised by the material
    • H01M50/449Separators, membranes or diaphragms characterised by the material having a layered structure
    • H01M50/451Separators, membranes or diaphragms characterised by the material having a layered structure comprising layers of only organic material and layers containing inorganic material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50/00Constructional details or processes of manufacture of the non-active parts of electrochemical cells other than fuel cells, e.g. hybrid cells
    • H01M50/40Separators; Membranes; Diaphragms; Spacing elements inside cells
    • H01M50/409Separators, membranes or diaphragms characterised by the material
    • H01M50/449Separators, membranes or diaphragms characterised by the material having a layered structure
    • H01M50/457Separators, membranes or diaphragms characterised by the material having a layered structure comprising three or more layer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50/00Constructional details or processes of manufacture of the non-active parts of electrochemical cells other than fuel cells, e.g. hybrid cells
    • H01M50/40Separators; Membranes; Diaphragms; Spacing elements inside cells
    • H01M50/489Separators, membranes, diaphragms or spacing elements inside the cells, characterised by their physical properties, e.g. swelling degree, hydrophilicity or shut down propertie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EREDUCTION OF GREENHOUSE GAS [GHG] EMISSIONS, RELATED TO ENERGY GENERATION, TRANSMISSION OR DISTRIBUTION
    • Y02E60/00Enabling technologies; Technologies with a potential or indirect contribution to GHG emissions mitigation
    • Y02E60/10Energy storage using batteries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General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Electrochemistry (AREA)
  • Inorganic Chemistry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aterials Engineering (AREA)
  • Composite Materials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Medicinal Chemistry (AREA)
  • Polymers & Plastics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Cell Separators (AREA)
  • Secondary Cells (AREA)

Abstract

본원 발명은, 중량 평균 분자량이 1,000,000 g/mol 이상인 폴리비닐리덴 플루오라이드 호모폴리머(Polyvinylidene fluoride homopolymer) 및 평균 입경이 1 내지 700 nm인 무기 입자를 코팅제 성분으로 이용하여, 밀도를 1.2 내지 2 g/m3로 조절한 코팅층이 형성된 분리막에 관한 것으로, 두께가 비교적 얇으면서도 박리력 및 전극 접착력이 강한 분리막에 관한 것이다.
또한, 본원 발명은 상기 분리막을 전지에 적용함으로써 안정성이 향상되고 수명이 연장된 전기 화학 전지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밀도가 조절된 코팅층을 포함하는 분리막 및 이를 이용한 전지{Separator comprising density-controlled coating layer, and battery using the separator}
본원 발명은, 중량 평균 분자량이 1,000,000 g/mol 이상인 폴리비닐리덴 플루오라이드 호모폴리머(Polyvinylidene fluoride homopolymer) 및 평균 입경이 1 내지 700 nm인 무기 입자를 코팅제 성분으로 이용하여, 밀도를 1.2 내지 2 g/m3로 조절한 코팅층이 형성된 분리막에 관한 것으로, 두께가 얇으면서도 박리력 및 전극 접착력이 우수한 분리막에 관한 것이다.
전기 화학 전지용 분리막(separator)은 전지 내에서 양극과 음극을 서로 격리시키면서 이온 전도도를 지속적으로 유지시켜 주어 전지의 충전과 방전이 가능하게 하는 중간막을 의미한다.
최근 전자 기기의 휴대성을 높이기 위한 전기 화학 전지의 경량화 및 소형화 추세와 더불어, 전기 자동차 등에의 사용을 위한 고출력 대용량 전지를 필요로 하는 경향이 있다. 이에, 전지용 분리막의 경우 그 두께를 얇게 하고 중량을 가볍게 하는 것이 요구되면서도 그와 동시에 고용량 전지의 생산을 위하여 강한 접착력 및 열에 의한 형태 안정성 등이 요구된다.
이와 같은 요구에 따라, 분리막의 기재 필름의 일면 또는 양면에 무기 입자및 유기 바인더 고분자를 혼합한 코팅제로 코팅하여 유/무기 혼합 코팅층을 형성한 분리막이 제안되었다(대한민국 등록특허 제10-0775310호 등).
그러나, 상기와 같이 분리막에 코팅층을 형성하게 되면 코팅층 성분에 따라 분리막의 내열성, 접착력 등이 향상될 수 있으나, 코팅층에 의해 분리막의 두께가 두꺼워지는 관계로, 이를 전지에 활용하는 경우에 전해질 내 이온 전도도가 떨어지게 되는 등 전지의 저항이 높아지는 문제가 발생할 수 있다(일본 공개 특허 제2004-111160호 참조). 특히, 분리막에 코팅층을 도입하는 효과를 충분히 이끌어 내기 위하여 코팅층을 두껍게 형성하는 경우에는 더욱 그러하다.
따라서, 코팅층 도입에 의한 열적 안정성 향상, 강한 접착력 획득 등의 효과를 충분히 발휘하면서도 두께가 일정 범위를 초과하지 않아 전기 저항을 지나치게 증가시키지 않는 분리막의 개발이 요구된다.
한편, 열에 약한 기재 필름에 무기 입자를 함유한 코팅층을 형성하게 되면 방열성이 향상되는 이점이 있으나, 충분한 방열성을 얻기 위하여 무기 입자의 함량을 증가시키는 경우에는 코팅층 내 유기 바인더 고분자의 함량이 상대적으로 감소되어 접착력이 저하되는 문제가 발생하게 된다.
이러한 경우, 코팅층과 기재 필름 사이의 접착력이 약화되어, 코팅층이 기재 필름의 열 수축을 억제하는 힘이 저하되게 되므로, 이를 활용한 전지가 과열되는 경우 양극과 음극 간의 단락을 억제하기 어렵게 된다.
따라서, 무기 입자를 충분히 함유하면서도 강한 접착력을 낼 수 있는 코팅층이 형성된 분리막의 개발 또한 절실히 요구되고 있는 실정이다.
일본 공개특허공보 A 제2004-111160호 (2004.04.08.공개) 대한민국 등록특허공보 B1 제10-0775310호(2007.11.08.공고)
본 발명자들은 전술한 종래의 문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중량 평균 분자량이 1,000,000 g/mol 이상인 폴리비닐리덴 플루오라이드 호모폴리머 및 평균 입경이 1 내지 700 nm인 무기 입자를 코팅제 성분으로 사용하고, 이를 이용하여 기재 필름에 밀도가 1.2 내지 2 g/m3로 조절된 코팅층을 형성함으로써, 두께가 얇으면서도 박리력 및 전극 접착력이 강한 분리막을 개발하기에 이르렀다.
구체적으로, 본원 발명은 중량 평균 분자량이 1,000,000 g/mol 이상인 폴리비닐리덴 플루오라이드 호모폴리머를 코팅제의 유기 바인더 성분으로 사용함으로써 코팅층의 접착력을 강화시킨 분리막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또한, 본원 발명은 평균 입경이 1 내지 700 nm로 조절된 무기 입자를 사용하여 코팅층의 밀도를 1.2 내지 2 g/m3로 조절함으로써, 비교적 얇은 두께로 강한 접착력을 발휘하는 코팅층이 형성된 분리막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원 발명의 일 양태는,
폴리올레핀계 기재 필름, 및 상기 기재 필름의 일면 또는 양면에 유기 및 무기 혼합물 코팅층을 포함하는 분리막으로서,
상기 코팅층은 중량 평균 분자량이 1,000,000 g/mol 이상인 폴리비닐리덴 플루오라이드 호모폴리머(Polyvinylidene fluoride homopolymer) 유기 바인더 및 평균 입경이 1 내지 700 nm인 무기 입자를 함유하며, 상기 코팅층의 밀도가 1.2 내지 2 g/m3인, 분리막을 제공한다.
본원 발명의 또 다른 일 양태에 따르면, 상기 코팅층은 중량 평균 분자량이 800,000 g/mol 이하인 폴리비닐리덴 플루오라이드-헥사플루오로프로필렌 코폴리머(Polyvinylidene fluoride-Hexafluoropropylene copolymer) 유기 바인더를 추가로 함유하는, 분리막을 제공한다.
본원 발명의 또 다른 일 양태에 따르면, 상기 코팅층의 두께가 10 ㎛ 이하인, 분리막을 제공한다.
본원 발명의 또 다른 일 양태에 따르면, 상기 무기 입자는 Al2O3, SiO2, B2O3, Ga2O3, TiO2 및 SnO2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되는 1 종 이상인, 분리막을 제공한다.
본원 발명의 또 다른 일 양태에 따르면, 상기 코팅층 내 무기 입자는 비즈 밀(Beads mill)에 의해 0.5 시간 내지 4.5 시간 동안 분산 처리한 것인, 분리막을 제공한다.
본원 발명의 또 다른 일 양태에 따르면, 상기 폴리올레핀계 기재 필름은, 폴리에틸렌 단일막, 폴리프로필렌 단일막, 폴리에틸렌/폴리프로필렌 이중막, 폴리프로필렌/폴리에틸렌/폴리프로필렌 삼중막 및 폴리에틸렌/폴리프로필렌/폴리에틸렌 삼중막으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되는, 분리막을 제공한다.
본원 발명의 또 다른 일 양태에 따르면, 제1항 내지 제5항 중 어느 하나의 항에 있어서, 상기 코팅층의 박리력이 50 gf/cm2 이상인, 분리막을 제공한다.
본원 발명의 또 다른 일 양태에 따르면, 상기 코팅층은 전극과의 접착력이 20 gf/cm2 이상인, 분리막을 제공한다.
본원 발명의 또 다른 일 양태에 따르면, 상기의 분리막, 양극, 음극 및 전해질을 포함하는 전기 화학 전지를 제공한다.
본원 발명의 또 다른 일 양태에 따르면, 상기 전기 화학 전지는 리튬 이차 전지인, 전기 화학 전지를 제공한다.
본원 발명의 분리막은 접착력이 강한 고밀도의 코팅층을 포함함으로써, 두께가 얇으면서도 전극 단락 방지 효과가 우수한 이점이 있다.
구체적으로, 본원 발명은 중량 평균 분자량이 1,000,000 g/mol 이상인 폴리비닐리덴 플루오라이드 호모폴리머를 코팅제의 유기 바인더 성분으로 사용함으로써 코팅층의 접착력을 강화시킨 분리막을 제공하는 효과를 갖는다.
또한, 본원 발명은 상기 폴리비닐리덴 플루오라이드 호모폴리머 및 평균 입경이 1 내지 700 nm로 조절된 무기 입자를 사용하여 코팅층의 밀도를 1.2 내지 2 g/m3로 조절함으로써, 비교적 얇은 두께로 강한 접착력을 발휘하는 코팅층이 형성된 분리막을 제공하는 효과를 갖는다.
또한, 본원 발명은 상기 분리막을 전지에 적용함으로써 안전성이 향상되고 수명이 연장된 전지를 제공하며, 나아가 고용량 박막화 전지를 제공하는 효과를 갖는다.
이하, 본원 발명에 대하여 보다 상세히 설명한다. 본원 명세서에 기재되지 않은 내용은 본원 발명의 기술 분야 또는 유사 분야에서 숙련된 자이면 충분히 인식하고 유추할 수 있는 것이므로 그 설명을 생략한다.
본원 발명의 일 양태는,
폴리올레핀계 기재 필름, 및 상기 기재 필름의 일면 또는 양면에 유기 및 무기 혼합물 코팅층을 포함하는 분리막으로서,
상기 코팅층은 중량 평균 분자량이 1,000,000 g/mol 이상인 폴리비닐리덴 플루오라이드 호모폴리머(Polyvinylidene fluoride homopolymer) 유기 바인더 및 평균 입경이 1 내지 700 nm인 무기 입자를 함유하며, 상기 코팅층의 밀도가 1.2 내지 2 g/m3인, 분리막을 제공한다.
본원 발명에서 사용되는 폴리비닐리덴 플루오라이드(PVdF) 호모폴리머는 중량 평균 분자량이 1,000,000 g/mol 이상인 것이 바람직하며, 보다 바람직하게는 1,000,000 내지 1,200,000 g/mol 일 수 있다.
상기 분자량 범위 내에서 코팅층과 폴리올레핀계 기재 필름 사이의 접착력이 강화되어, 열에 약한 폴리올레핀계 기재 필름이 열에 의해 수축하는 것을 효과적으로 억제할 수 있으며, 이와 더불어 코팅층과 전극 사이의 접착력 또한 향상되어 양극과 음극의 단락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분자량 범위 내에서 폴리비닐리덴 플루오라이드 호모폴리머가 DMF에 원활히 용해되어 과량의 DMF가 필요하지 않아 건조 공정 시 발생할 수 있는 불량 문제를 방지할 수 있다.
본원 발명에서 사용되는 무기 입자로는 바람직하게는 Al2O3, SiO2, B2O3, Ga2O3, TiO2 및 SnO2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되는 것을 사용할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지 아니한다. 이들은 단독 또는 2종 이상을 혼합하여 사용할 수 있다.
본원 발명에서 사용되는 무기 입자는 보다 바람직하게는 Al2O3(알루미나)일 수 있다.
본원 발명에서 사용되는 무기 입자의 크기는 바람직하게는 평균 입경이 1 내지 700 nm일 수 있고, 보다 바람직하게는 100 내지 500 nm일 수 있다.
상기 크기 범위 내에서 코팅액 내의 분산성 및 코팅 공정성이 저하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고, 코팅층의 밀도를 높여 코팅층의 두께가 적절히 조절되어 기계적 물성의 저하 및 전기적 저항의 증가를 방지할 수 있다. 또한, 생성되는 기공의 크기가 적절히 조절되어 전지의 충방전 시 내부 단락이 일어날 확률을 낮출 수 있는 이점이 있다.
본원 발명에서 사용되는 상기 무기 입자는 적절한 용매, 예컨태 아세톤에 용해된 무기 분산액 상태로 제조될 수 있다.
상기 무기 입자는 바람직하게는 볼 밀(Ball mill) 또는 비즈 밀(Beads mill)을 이용하여 적절한 크기로 분산시켜 사용할 수 있으며, 보다 바람직하게는 비즈 밀을 이용하여 분산시킨 후 사용할 수 있다.
비즈 밀을 이용하지 않고 볼 밀을 이용하면, 무기물이 일정 시간 내에 일정 입경으로 해쇄되지 않기 때문에 코팅층의 밀도를 조절하는 데에 한계가 있을 수 있다.
본원 발명에서 Al2O3의 분산은 프리믹서 탱크(pre-mixer tank)와 비즈 밀을 인라인으로 꾸미고, 프리믹서 탱크에 아세톤을 채운 후 아세톤이 프리믹서 탱크와 비즈 밀 사이를 순환하도록 하고, 아세톤에 대하여 25 중량%로 Al2O3을 2 kg/hr의 속도로 프리믹서 탱크에 첨가하여 일정 시간 동안 밀링한다.
본원 발명에서 사용되는 상기 무기 입자는 상기 볼 밀 또는 비즈 밀을 이용하여 바람직하게는 0.5 내지 4.5 시간 동안 교반하여 분산시킨 후 사용할 수 있으며, 보다 바람직하게는 1 시간 내지 3.5 시간 동안 교반하여 분산시킨 후 사용할 수 있다.
상기 범위 내에서, 무기 입자를 충분히 분산시킬 수 있으며 무기 입자의 평균 입경이 적절히 조절되어, 이를 코팅제로 사용할 경우 밀도가 높은 코팅층을 형성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본원 발명의 코팅층은 유기 바인더 성분으로서 중량 평균 분자량이 800,000 g/mol 이하인 폴리비닐리덴 플루오라이드-헥사플루오로프로필렌 코폴리머(Polyvinylidene fluoride-Hexafluoropropylene copolymer)를 추가로 함유할 수 있다.
본원 발명에서 사용 가능한 상기 폴리비닐리덴 플루오라이드-헥사플루오로프로필렌 코폴리머는 보다 바람직하게는 600,000 내지 800,000 g/mol 일 수 있다.
상기 분자량 범위 내에서, 분리막의 전해질 함침성이 우수하여 전기력 출력이 효율적으로 일어나는 전지를 생산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본원 발명에서 사용되는 폴리비닐리덴 플루오라이드-헥사플루오로프로필렌 코폴리머에 있어서, 상기 플리비닐리덴 플루오라이드 및 헥사플루오로프로필렌의 각각의 함량은 특별히 제한되지 아니하나, 바람직하게는 상기 코폴리머의 총 중량을 기준으로 헥사플루오로프로필렌이 0.1 내지 40 중량%로 함유될 수 있다.
본원 발명에서 사용되는 상기 코팅제를 제조함에 있어서, 상기 폴리비닐리덴 플루오라이드 호모폴리머, 폴리비닐리덴 플루오라이드-헥사플루오로프로필렌 코폴리머 및 무기 입자는 각각 적절한 용매에 용해된 용액 상태로 제조되어 혼합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폴리비닐리덴 플루오라이드 호모폴리머는 DMF(dimethylformamide)에 용해된 고분자 용액 상태로 제조될 수 있고, 상기 폴리비닐리덴 플루오라이드-헥사플루오로프로필렌 코폴리머는 아세톤에 용해된 고분자 용액 상태로 제조될 수 있으며, 상기 무기 입자는 아세톤에 용해된 무기 분산액 상태로 제조될 수 있다.
상기 고분자 용액 및 무기 분산액은 적절한 용매와 함께 혼합되어 코팅제로 제조될 수 있다.
본원 발명에서 사용 가능한 상기 용매의 비제한적인 예로는 아세톤과 같은 케톤류 또는 메탄올, 에탄올, 이소프로필알코올 등과 같은 알코올류 등을 들 수 있다. 이들은 코팅 후 건조시 제거가 용이한 이점이 있다.
본원 발명에서 사용되는 상기 코팅제는, 상기 고분자 용액, 무기 분산액 및 용매를 볼 밀(Ball mill), 비즈 밀(Beads mill) 또는 스크류 믹서(Screw mixer) 등을 이용하여 충분히 교반하는 공정을 거쳐 혼합물 형태로 제조됨이 바람직하다.
본원 발명의 코팅층이 형성된 분리막은, 폴리올레핀계 기재 필름의 어느 일면 또는 양면에 상기 코팅제를 도포하여 코팅 처리한 후 건조하는 방식으로 제조된다.
상기 코팅제를 이용하여 폴리올레핀계 기재 필름을 코팅하는 방법은 특별히 제한되지 아니하며, 본원 발명의 기술 분야에서 통상적으로 사용하는 방법을 사용할 수 있다. 상기 코팅 방법의 비제한적인 예로는, 딥(Dip) 코팅법, 다이(Die) 코팅법, 롤(Roll) 코팅법 또는 콤마(Comma) 코팅법 등을 들 수 있다. 이들은 단독 또는 2 가지 이상의 방법을 혼합하여 적용될 수 있다.
본원 발명의 상기 유기 및 무기 혼합물 코팅층 내의 각 성분의 함량비는 특별히 제한되지 아니하나, 바람직하게는 상기 코팅층의 고형분 100 중량부에 대하여 다음과 같은 함량비로 함유될 수 있다.
a) 폴리비닐리덴 플루오라이드 호모폴리머 5 내지 10 중량부;
b) 폴리비닐리덴 플루오라이드-헥사플루오로프로필렌 코폴리머 5 내지 20 중량부; 및
c) 무기 입자 70 내지 90 중량부.
상기의 함량 범위 내에서 무기 입자에 의한 열적 안정성 효과, 즉 내열성과 방열성 효과, 및 유기 바인더에 의한 접착력 향상 효과가 충분히 발휘될 수 있으며, 코팅제의 분산성 및 코팅 공정성의 저하를 방지하여 비교적 평탄하면서 밀도가 높은 코팅층을 형성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상기 함량 범위 내의 유기 바인더 성분을 함유하는 경우, 코팅층의 접착력을 충분히 향상시키면서도 무기 입자의 함량이 지나치게 적어지는 문제를 방지하여 적절한 방열 및 내열 효과를 획득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범위 내의 무기 입자를 함유하는 경우, 충분한 방열 특성에 의해 분리막의 열 수축을 효과적으로 억제할 수 있으면서도 유기 바인더의 함량 또한 일정 범위 이상으로 확보하여 강한 접착력을 획득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본원 발명의 분리막에 형성된 코팅층의 밀도는 바람직하게는 1.2 내지 2 g/m3일 수 있으며, 보다 바람직하게는 1.8 내지 2 g/m3일 수 있다.
상기 범위 내에서 두께가 얇으면서도 충분히 강한 접착력 및 우수한 내열성, 방열성을 지닌 코팅층을 형성할 수 있다.
상기 코팅층의 밀도는 코팅층의 두께와 도공량을 이용해 계산할 수 있다.
상기 코팅층의 도공량은 코팅층 단위 면적 당 중량을 측정한 값(g/m2)을 의미한다.
전지용 분리막은 실질적으로 사용 가능한 두께가 일정 범위 내로 한정되어있으므로, 코팅층의 효과를 충분히 발휘하기 위해서는 동일한 면적 및 동일한 두께의 코팅층 내에 도공량이 많아 밀도가 높은 코팅층을 형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원 발명의 코팅층의 두께는 바람직하게는 0.01 내지 10 ㎛일 수 있으며, 보다 바람직하게는 1 내지 7 ㎛일 수 있다. 상기 두께 범위 내에서, 적절한 두께의 코팅층을 형성하여 우수한 열적 안정성 및 접착력을 얻을 수 있으며, 전체 분리막의 두께가 지나치게 두꺼워지는 것을 방지하여 전지의 내부 저항이 증가하는 것을 억제할 수 있다.
본원 발명의 코팅층의 도공량은 바람직하게는 1 g/m2 이상일 수 있으며, 보다 바람직하게는 5 내지 9 g/m2일 수 있다.
상기 코팅층의 도공량을 측정하는 방법은 특별히 제한되지 아니하며, 본원 발명의 기술 분야에서 통상적으로 사용하는 방법을 사용할 수 있다.
코팅층의 도공량을 측정하는 방법의 비제한적인 예는 다음과 같다: 제조된 코팅층을 가로(MD) 약 10 cm × 세로(TD) 약 20 cm 크기로 제단하여 전자 저울로 무게를 측정하고, 그 측정값을 g/m2 단위로 환산하여 도공량을 계산할 수 있다.
본원 발명에 사용되는 폴리올레핀계 기재 필름은, 바람직하게는 폴리에틸렌 단일막, 폴리프로필렌 단일막, 폴리에틸렌/폴리프로필렌 이중막, 폴리프로필렌/폴리에틸렌/폴리프로필렌 삼중막 및 폴리에틸렌/폴리프로필렌/폴리에틸렌 삼중막으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될 수 있다.
상기 폴리올레핀계 기재 필름의 두께는 바람직하게는 1 내지 40 ㎛일 수 있으며, 보다 바람직하게는 1 내지 25 ㎛일 수 있다. 상기 두께 범위 내에서, 적절한 두께의 분리막을 형성하여 양극과 음극의 단락을 방지하고 전지의 안정성을 향상시킬 수 있으며, 분리막의 두께가 지나치게 두꺼워져 전지의 내부 저항이 증가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본원 발명의 상기 유기물 및 무기물 혼합 코팅층을 포함하는 분리막에 있어서, 상기 코팅층과 폴리올레핀계 기재 필름 간의 박리력은 바람직하게는 50 gf/cm2 이상일 수 있다. 상기 범위 내에서 코팅층의 내필링성이 우수하며, 이를 활용한 전지 등의 조립 과정에서 코팅층 내의 무기 입자가 탈리되는 문제를 방지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범위 내에서 코팅층과 기재 필름 사이의 접착력이 충분히 강하여 열에 의한 기재 필름의 수축을 억제할 수 있으며, 전지 과열시 발생할 수 있는 코팅층과 기재 필름 간의 분리를 방지할 수 있어, 전극의 단락을 방지 및 열적 안정성을 향상시키는 효과를 얻을 수 있다.
상기 코팅층의 박리력을 측정하는 방법은 특별히 제한되지 아니하며, 본원 발명의 기술 분야에서 통상적으로 사용하는 방법을 사용할 수 있다.
코팅층의 박리력을 측정하는 방법의 비제한적인 예는 다음과 같다: 제조된 코팅층을 가로(MD) 약 1.5 cm × 세로(TD) 약 7 cm 크기로 제단하고 이를 유리판 위에 투명 양면 테이프(3M)를 이용하여 단단히 부착시킨 다음, 인장 강도 측정기(UTM; Universal Test Machine)를 이용하여 상기 코팅층이 박리되는 데에 필요한 힘을 측정하는 방식으로 수행될 수 있다.
본원 발명의 상기 유기물 및 무기물 혼합 코팅층이 형성된 분리막을 전기 화학 전지에 적용하는 경우, 상기 코팅층과 전지의 전극(양극 및 음극) 간의 접착력은 바람직하게는 20 gf/cm2 이상일 수 있다. 상기 범위 내에서, 코팅층과 전극이 충분히 강하게 접착되어 양극과 음극의 단락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이를 고출력 대용량 전지의 제조에 활용하는 경우, 전지의 안전성을 향상시켜 전지의 수명을 보다 장기화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상기 코팅층과 전극 간의 접착력을 측정하는 방법은 특별히 제한되지 아니하며, 본원 발명의 기술 분야에서 통상적으로 사용하는 방법을 사용할 수 있다.
상기 코팅층과 전극 간의 접착력을 측정하는 방법의 비제한적인 예는 다음과 같다: 본원 발명의 분리막을 양 전극 사이에 위치시키고 접착시켜 양극/분리막/음극 형태로 제조한 다음, 이를 알루미늄 파우치(pouch)에 삽입한다. 그 다음, 이에 전해액을 주액하고 상기 알루미늄 파우치를 밀봉하여 단판 셀(cell)을 제작한다. 이를 50℃, 100 kgf/cm2, 20초의 조건으로 압력을 가하여 12 시간 방치 후, 상기 단판 셀을 해체하여 서로 접착되어 있는 양극/분리막/음극을 가로(MD) 약 1.5 cm × 세로(TD) 약 7 cm로 제단하고 이를 유리판 위에 투명 양면 테이프(3M)를 이용하여 단단히 부착시킨 다음, 인장 강도 측정기(UTM; Universal Test Machine)를 이용하여 상기 분리막과 전극간의 접착력을 측정할 수 있다.
본원 발명의 상기 유기물 및 무기물 혼합 코팅층이 형성된 분리막을 150℃에서 1시간 동안 방치한 후의 기계 방향(Machine Direction, MD) 또는 직각 방향(Transverse Direction, TD)으로의 열수축률은, 바람직하게는 30% 이하일 수 있다. 상기 범위 내에서, 전극의 단락을 효과적으로 방지하여 전지의 안전성을 향상시키는 이점이 있다.
상기 분리막의 열수축률을 측정하는 방법은 특별히 제한되지 아니하며, 본원 발명의 기술 분야에서 통상적으로 사용하는 방법을 사용할 수 있다.
분리막의 열수축률을 측정하는 방법의 비제한적인 예는 다음과 같다: 제조된 분리막을 가로(MD) 약 5 cm × 세로(TD) 약 5 cm 크기로 제단하고, 이를 150℃의 챔버(chamber)에서 1 시간 동안 보관한 다음, 상기 분리막의 MD 방향 및 TD 방향의 수축 정도를 측정하여 열수축률을 계산하는 방식으로 수행될 수 있다.
본원 발명의 또 다른 일 양태에 따르면, 상기 유기 및 무기 혼합물 코팅층을 포함하는 폴리올레핀계 다공성 분리막 및 양극, 음극을 포함하며 전해질로 채워진 전기 화학 전지를 제공한다.
상기 전기 화학 전지의 종류는 특별히 제한되지 아니하며, 본원 발명의 기술 분야에서 알려진 종류의 전지일 수 있다.
본원 발명의 상기 전기 화학 전지는 바람직하게는 리튬 금속 이차 전지, 리튬 이온 이차 전지, 리튬 폴리머 이차 전지 또는 리튬 이온 폴리머 이차 전지 등과 같은 리튬 이차 전지일 수 있다.
본원 발명의 전기 화학 전지를 제조하는 방법은 특별히 제한되지 아니하며, 본원 발명의 기술 분야에서 통상적으로 사용하는 방법을 사용할 수 있다.
상기 전기 화학 전지를 제조하는 방법의 비제한적인 예는 다음과 같다: 본원 발명의 상기 유기 및 무기 혼합물 코팅층을 포함하는 폴리올레핀게 분리막을, 전지의 양극과 음극 사이에 위치시킨 후, 이에 전해액을 채우는 방식으로 전지를 제조할 수 있다.
본원 발명의 전기 화학 전지를 구성하는 전극은, 본원 발명의 기술 분야에서 통상적으로 사용하는 방법에 의해 전극 활물질을 전극 전류집전체에 결착된 형태로 제조할 수 있다.
본원 발명에서 사용되는 상기 전극 활물질 중 양극 활물질은 특별히 제한되지 아니하며, 본원 발명의 기술 분야에서 통상적으로 사용하는 양극 활물질을 사용할 수 있다.
상기 양극 활물질의 비제한적인 예로는, 리튬 망간 산화물, 리튬 코발트 산화물, 리튬 니켈 산화물, 리튬 철 산화물 또는 이들을 조합한 리튬 복합 산화물 등을 들 수 있다.
본원 발명에서 사용되는 상기 전극 활물질 중 음극 활물질은 특별히 제한되지 아니하며, 본원 발명의 기술 분야에서 통상적으로 사용하는 음극 활물질을 사용할 수 있다.
상기 음극 활물질의 비제한적인 예로는, 리튬 금속 또는 리튬 합금, 탄소, 석유 코크(petroleum coke), 활성화 탄소(activated carbon), 그라파이트(graphite) 또는 기타 탄소류 등과 같은 리튬 흡착 물질 등을 들 수 있다.
본원 발명에서 사용되는 상기 전극 전류집전체는 특별히 제한되지 아니하며, 본원 발명의 기술 분야에서 통상적으로 사용하는 전극 전류집전체를 사용할 수 있다.
상기 전극 전류집전체 중 양극 전류집전체 소재의 비제한적인 예로는, 알루미늄, 니켈 또는 이들의 조합에 의하여 제조되는 호일 등을 들 수 있다.
상기 전극 전류집전체 중 음극 전류집전체 소재의 비제한적인 예로는, 구리, 금, 니켈, 구리 합금 또는 이들의 조합에 의하여 제조되는 호일 등을 들 수 있다.
본 발명에서 사용되는 전해액은 특별히 제한되지 아니하며, 본원 발명의 기술 분야에서 통상적으로 사용하는 전기 화학 전지용 전해액을 사용할 수 있다.
상기 전해액은 A+ B-와 같은 구조의 염이, 유기 용매에 용해 또는 해리된 것일 수 있다.
상기 A+의 비제한적인 예로는, Li+, Na+ 또는 K+와 같은 알칼리 금속 양이온, 또는 이들의 조합으로 이루어진 양이온을 들 수 있다.
상기 B-의 비제한적인 예로는, PF6 -, BF4 -, Cl-, Br-, I-, ClO4 -, AsF6 -, CH3CO2 -, CF3SO3 -, N(CF3SO2)2 - 또는 C(CF2SO2)3 -와 같은 음이온, 또는 이들의 조합으로 이루어진 음이온을 들 수 있다.
상기 유기 용매의 비제한적인 예로는, 프로필렌 카보네이트(PC), 에틸렌 카보네이트(EC), 디에틸카보네이트(DEC), 디메틸카보네이트(DMC), 디프로필카보네이트(DPC), 디메틸설폭사이드, 아세토니트릴, 디메톡시에탄, 디에톡시에탄, 테트라히드로퓨란, N-메틸-2-피롤리돈(NMP), 에틸메틸카보네이트(EMC) 또는 감마 부티롤락톤(γ-Butyrolactone) 등을 들 수 있다. 이들은 단독 또는 2 종 이상을 혼합하여 사용할 수 있다.
이하, 실시예, 비교예 및 실험예를 기술함으로써 본원 발명을 보다 상세히 설명한다. 다만, 하기의 실시예, 비교예 및 실험예는 본원 발명의 일 예시에 불과하며, 본원 발명의 내용이 이에 한정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서는 아니된다.
[ 실시예 1 내지 4]
중량 평균 분자량이 1,000,000 g/ mol 이상인 폴리비닐리덴 플루오라이드 모폴리머 및 평균 입경이 700 nm 이하인 무기 입자를 함유하며, 밀도가 1.2 g/m 3 이상인 코팅층이 형성된 분리막의 제조
실시예 1
(1) 코팅제의 제조
1) 중량 평균 분자량이 700,000 g/mol인 폴리비닐리덴 플루오라이드-헥사플루오로프로필렌(이하, 'PVdF-HFP') 코폴리머(21216, 솔베이)를 아세톤(대정화금)에 10 중량%로 첨가하고, 교반기를 이용하여 25℃에서 4 시간 동안 교반하여 제1 고분자 용액을 제조하였다.
2) 중량 평균 분자량이 1,100,000 g/mol인 폴리비닐리덴 플루오라이드(이하, 'PVdF') 호모폴리머(5130, 솔베이)를 DMF(대정화금)에 10 중량%로 첨가하고, 교반기를 이용하여 25℃에서 4 시간 동안 교반하여 제2 고분자 용액을 제조하였다.
3) Al2O3(LS235, 일본경금속)를 아세톤(대정화금)에 25 중량%로 첨가하고, 비즈 밀을 이용해 25℃에서 3 시간 동안 밀링하여 분산시켜 무기 분산액을 제조하였다.
상기 제조된 제1 고분자 용액, 제2 고분자 용액 및 무기 분산액을,
제1 고분자 용액:제2 고분자 용액:무기 분산액:용매(아세톤) = 1:1:3:6
의 조성비로 혼합하고 파워 믹서로 25℃에서 2 시간 동안 교반하여 코팅제를 제조하였다.
(2) 분리막의 제조
상기 제조된 코팅제를, 두께 9 ㎛의 폴리에틸렌 단일막 기재 필름의 양면에 딥 코팅 방식으로 코팅한 다음, 이를 건조하여 분리막을 제조하였다.
실시예 2
상기 실시예 1의 (1)에 있어서,
무기 분산액 제조 과정 중 분산 시간을 2 시간으로 변경한 것을 제외하고는, 상기 실시예 1과 동일한 방법에 의하여 분리막을 제조하였다.
실시예 3
상기 실시예 1의 (1)에 있어서,
무기 분산액 제조 과정 중 분산 시간을 1 시간으로 변경한 것을 제외하고는, 상기 실시예 1과 동일한 방법에 의하여 분리막을 제조하였다.
실시예 4
상기 실시예 1의 (1)에 있어서,
무기 분산액 제조 과정 중 분산 시간을 0.5 시간으로 변경한 것을 제외하고는, 상기 실시예 1과 동일한 방법에 의하여 분리막을 제조하였다.
비교예 1
상기 실시예 1의 (1)에 있어서,
무기 분산액 제조 과정 중, 비즈 밀 대신 볼 밀을 사용하여 0.5 시간 동안 분산시켜 사용하는 것을 제외하고는, 상기 실시예 1과 동일한 방법에 의하여 분리막을 제조하였다.
실험예 1
코팅층의 밀도 측정
상기 실시예 1 내지 4 및 비교예 1에서 제조된 코팅층의 밀도는, 각 코팅층의 두께와 도공량을 측정한 후 이들 측정값을 이용하여 계산하는 방식으로 수행하였다.
우선, SEM 단면(Cross section) 이미지 및 마이크로 캘리퍼스를 이용하여 상기 각 코팅층의 두께를 측정하였다.
그 다음, 상기 코팅층 각각을, 가로(MD) 10 cm × 세로(TD) 20 cm 크기로 제단하여 전자 저울로 무게를 측정하여 도공량을 계산하였다.
상기 측정하여 얻어진 코팅층의 두께 및 도공량 값을 이용해, 각 코팅층의 밀도를 g/m3 단위로 계산하였다.
상기 밀도 측정 결과는 하기 표 1에 나타내었다.
실험예 2
코팅층과 기재 필름 간의 박리력 측정
상기 실시예 1 내지 4 및 비교예 1에서 제조된 코팅층 각각을, 가로(MD) 1.5 cm × 세로(TD) 7 cm로 제단하여 총 10개의 시료를 제작하였다. 상기 각 시료를 유리판 위에 투명 양면 테이프(3M)를 이용하여 단단히 부착시킨 다음, 인장 강도 측정기(UTM; Universal Test Machine)를 이용하여 상기 각 코팅층이 박리되는 데에 필요한 힘을 측정하였다.
상기 박리력의 측정 결과는 하기 표 1에 나타내었다.
실험예 3
코팅층과 전극 간의 접착력 측정
상기 실시예 1 내지 4 및 비교예 1에서 제조된 분리막 각각을, 리튬 이차 전지의 양전극 사이에 위치시키고 접착시켜, 각각 양극/분리막/음극 형태로 제조한 다음, 이를 각각 알루미늄 파우치(pouch)에 삽입하였다.
그 다음, 이에 전해액을 주액하고 상기 알루미늄 파우치를 밀봉하여 단판 셀(cell)을 제작한 후, 50℃, 100 kgf/cm2, 20초의 조건으로 압력을 가하여 12 시간 동안 방치하였다.
그 다음 상기 단판 셀을 해체하여, 서로 접착되어 있는 각각의 양극/분리막/음극을 가로(MD) 1.5 cm × 세로(TD) 7 cm로 제단하고 이를 유리판 위에 투명 양면 테이프(3M)를 이용하여 단단히 부착시킨 다음, 인장 강도 측정기(UTM; Universal Test Machine)를 이용하여 상기 분리막의 코팅층과 전극간의 접착력을 측정하였다.
상기 분리막의 코팅층과 전극간의 접착력을 측정한 결과는 하기 표 1에 나타내었다.
Al2O3 평균입경
(nm)
코팅층 도공량
(g/m2)
코팅층 두께
(㎛)
코팅층 밀도
(g/m3)
박리력
(gf/cm2)
전극 접착력
(gf/cm2)
실시예 1 D50 = 350 8.2 4.2 1.952 450 42
실시예 2 D50 = 370 7.4 4.1 1.805 320 35
실시예 3 D50 = 410 6.8 4.4 1.545 290 40
실시예 4 D50 = 470 6.3 5.0 1.260 180 33
비교예 1 D50 = 650 5.2 5.1 1.020 55 15
상기 표 1에서 나타난 바와 같이, 무기 입자의 평균 입경을 비즈 밀을 사용하여 0.5 시간 이상 충분히 분산시켜 700 nm 이하로 조절하여 사용한 실시예 1 내지 4의 코팅층은, 두께가 4 내지 5 ㎛ 범위로 동일하거나 유사한 비교예 1의 코팅층과 비교하여, 전부 밀도가 높은 것으로 측정되었으며, 박리력 및 전극 접착력 또한 모두 우수한 것으로 확인되었다.
실시예 5
중량 평균 분자량이 1,000,000 g/ mol 이상인 폴리비닐리덴 플루오라이드 모폴리머를 함유하는 코팅층이 형성된 분리막의 제조
(1) 코팅액 조성물의 제조
1) 중량 평균 분자량이 700,000 g/mol인 폴리비닐리덴 플루오라이드-헥사플루오로프로필렌(이하, 'PVdF-HFP') 코폴리머(솔베이)를 아세톤(대정화금)에 10 중량%로 첨가하고, 교반기를 이용하여 25℃에서 4 시간 동안 교반하여 제1 고분자 용액을 제조하였다.
2) 중량 평균 분자량이 1,100,000 g/mol인 폴리비닐리덴 플루오라이드(이하, 'PVdF') 호모폴리머(솔베이)를 DMF(대정화금)에 10 중량%로 첨가하고, 교반기를 이용하여 25℃에서 4 시간 동안 교반하여 제2 고분자 용액을 제조하였다.
3) 알루미나(일본경금속)를 아세톤(대정화금)에 25 중량%로 첨가하고, 볼밀을 이용하여 25℃에서 3 시간 동안 밀링하여 무기 분산액을 제조하였다.
상기 제조된 제1 고분자 용액, 제2 고분자 용액 및 무기 분산액을,
제1 고분자 용액:제2 고분자 용액:무기 분산액:용매(아세톤) = 1:1:3:6
의 조성비로 혼합하고 파워 믹서로 25℃에서 2 시간 동안 교반하여 코팅액 조성물을 제조하였다.
(2) 분리막의 제조
상기 제조된 코팅액 조성물을, 두께 16 ㎛의 폴리에틸렌 단일막 기재 필름의 양면에 딥 코팅 방식으로 코팅한 다음 이를 건조하여, 코팅 도공량(loading)이 12 g/m2이고 코팅층의 두께가 8 ㎛인 분리막을 제조하였다.
[ 비교예 2 내지 4]
중량 평균 분자량이 1,000,000 g/ mol 미만인 폴리비닐리덴 플루오라이드 호모폴리머를 함유하는 코팅층이 형성된 분리막의 제조
비교예 2
상기 실시예 5의 (1)에 있어서, 상기 PVdF 호모폴리머를 중량 평균 분자량이 500,000 g/mol인 것으로 사용한 것을 제외하고는, 상기 실시예 1과 동일한 방법에 의하여 분리막을 제조하였다.
비교예 3
상기 실시예 5의 (1)에 있어서, 상기 PVdF 호모폴리머를 중량 평균 분자량이 700,000 g/mol인 것으로 사용한 것을 제외하고는, 상기 실시예 1과 동일한 방법에 의하여 분리막을 제조하였다.
비교예 4
상기 실시예 5의 (1)에 있어서, 상기 PVdF 호모폴리머를 중량 평균 분자량이 900,000 g/mol인 것으로 사용한 것을 제외하고는, 상기 실시예 1과 동일한 방법에 의하여 분리막을 제조하였다.
실험예 4
분리막의 열수축률 측정
상기 실시예 5 및 비교예 2 내지 4에서 제조된 분리막 각각을, 가로(MD) 5 cm × 세로(TD) 5 cm로 제단하여 총 10개의 시료를 제작하였다. 상기 각 시료를 150℃의 챔버에서 1 시간 동안 보관한 다음, 각 시료의 MD 방향 및 TD 방향의 수축 정도를 측정하여 열수축률을 계산하였다.
상기 열수축률의 측정 결과는 하기 표 2에 나타내었다.
실험예 5
코팅층과 기재 필름 간의 박리력 측정
상기 실시예 5 및 비교예 2 내지 4에서 제조된 코팅층 각각과 기재 필름 간의 박리력을, 상기 실험예 2와 동일한 방법에 의하여 측정하였다.
상기 박리력의 측정 결과는 하기 표 2에 나타내었다.
실험예 6
코팅층과 전극 사이의 접착력 측정
상기 실시예 5 및 비교예 2 내지 4에서 제조된 코팅층 각각과 전극 간의 접착력을, 상기 실험예 3와 동일한 방법에 의하여 측정하였다.
상기 접착력의 측정 결과는 하기 표 2에 나타내었다.
분리막의
열수축률(%)
코팅층과 기재 필름
사이의 박리력(gf/cm2)
코팅층과 전극 사이의
접착력(gf/cm2)
실시예 5 15 100 42
비교예 2 28 20 8
비교예 3 25 35 13
비교예 4 25 45 17
상기 표 2에 나타난 바와 같이, 중량 평균 분자량이 300,000 g/mol인 PVdF-HFP 코폴리머와 중량 평균 분자량이 1,000,000 g/mol 이상인 PVdF 호모폴리머를 함께 사용한 실시예 5의 경우가, PVdF-HFP 코폴리머와 분자량이 1,000,000 g/mol 미만인 PVdF 호모폴리머를 사용한 비교예 2 내지 4의 경우보다, 분리막의 열수축률, 코팅층과 기재 필름 간의 박리력 및 코팅층과 전극 간의 접착력 전 항목에 걸쳐 더 우수한 것으로 나타났다.
특히, PVdF 호모폴리머의 분자량이 높아질수록 코팅층과 기재 필름 사이의 박리력이 서서히 강해지다가, 분자량이 900,000 g/mol일 때와 1,100,000 g/mol일 때 약 2.2 배의 급격한 증가를 보이는 것으로 미루어, 분자량이 약 1,000,000 g/mol 이상인 PVdF 호모폴리머를 사용하는 경우에 충분히 우수한 박리력을 획득할 수 있을 것으로 판단되었다. 또한, 코팅층과 전극 사이의 접착력 역시 이와 유사한 경향을 보이는 것으로 나타났다.

Claims (11)

  1. 폴리올레핀계 기재 필름, 및 상기 기재 필름의 일면 또는 양면에 유기 및 무기 혼합물 코팅층을 포함하는 분리막으로서,
    상기 코팅층은 중량 평균 분자량이 1,000,000 g/mol 이상인 폴리비닐리덴 플루오라이드 호모폴리머(Polyvinylidene fluoride homopolymer) 유기 바인더 및 평균 입경이 1 내지 700 nm인 무기 입자를 함유하며, 상기 코팅층의 밀도가 1.2 내지 2 g/m3인, 분리막.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폴리비닐리덴 플루오라이드 호모폴리머는 중량 평균 분자량이 1,000,000 내지 1,200,000 g/mol인, 분리막.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코팅층은 중량 평균 분자량이 700,000 g/mol 이하인 폴리비닐리덴 플루오라이드-헥사플루오로프로필렌 코폴리머(Polyvinylidene fluoride-Hexafluoropropylene copolymer) 유기 바인더를 추가로 함유하는, 분리막.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코팅층의 두께가 10 ㎛ 이하인, 분리막.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무기 입자는 Al2O3, SiO2, B2O3, Ga2O3, TiO2 및 SnO2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되는 1 종 이상인, 분리막.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폴리올레핀계 기재 필름은, 폴리에틸렌 단일막, 폴리프로필렌 단일막, 폴리에틸렌/폴리프로필렌 이중막, 폴리프로필렌/폴리에틸렌/폴리프로필렌 삼중막 및 폴리에틸렌/폴리프로필렌/폴리에틸렌 삼중막으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되는, 분리막.
  7. 제1항 내지 제6항 중 어느 하나의 항에 있어서, 상기 코팅층 내 무기 입자는 비즈 밀(Beads mill)에 의해 0.5 시간 내지 4.5 시간 동안 분산 처리한 것인, 분리막.
  8. 제1항 내지 제6항 중 어느 하나의 항에 있어서, 상기 코팅층의 박리력이 50 gf/cm2 이상인, 분리막.
  9. 제1항 내지 제6항 중 어느 하나의 항에 있어서, 상기 코팅층은 전극과의 접착력이 20 gf/cm2 이상인, 분리막.
  10. 양극, 음극, 분리막 및 전해질을 포함하는 전기 화학 전지로서, 상기 분리막은 제1항 내지 제6항 중 어느 하나의 항에 기재된 분리막인, 전기 화학 전지.
  11.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전기 화학 전지는 리튬 이차 전지인, 전기 화학 전지.
KR20120021141A 2012-02-29 2012-02-29 밀도가 조절된 코팅층을 포함하는 분리막 및 이를 이용한 전지 KR101488918B1 (ko)

Priority Applications (4)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20021141A KR101488918B1 (ko) 2012-02-29 2012-02-29 밀도가 조절된 코팅층을 포함하는 분리막 및 이를 이용한 전지
EP13156811.5A EP2634840B1 (en) 2012-02-29 2013-02-26 Separator including density-controlled coating layer and battery including the same
US13/778,259 US9685647B2 (en) 2012-02-29 2013-02-27 Separator including coating layer and battery including the same
CN201310065045.2A CN103296239B (zh) 2012-02-29 2013-02-28 包括密度控制的涂层的隔膜和包括该隔膜的电池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20021141A KR101488918B1 (ko) 2012-02-29 2012-02-29 밀도가 조절된 코팅층을 포함하는 분리막 및 이를 이용한 전지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30099545A true KR20130099545A (ko) 2013-09-06
KR101488918B1 KR101488918B1 (ko) 2015-02-03

Family

ID=4775434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20021141A KR101488918B1 (ko) 2012-02-29 2012-02-29 밀도가 조절된 코팅층을 포함하는 분리막 및 이를 이용한 전지

Country Status (3)

Country Link
US (1) US9685647B2 (ko)
EP (1) EP2634840B1 (ko)
KR (1) KR101488918B1 (ko)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50062664A (ko) * 2013-11-29 2015-06-08 주식회사 엘지화학 안전성이 향상된 분리막의 제조 방법, 이 방법으로 제조된 분리막 및 이 분리막을 포함하는 전기화학소자
US10020481B2 (en) 2013-11-21 2018-07-10 Samsung Sdi Co., Ltd. Separator and secondary battery using same
CN112259915A (zh) * 2020-09-25 2021-01-22 横店集团东磁股份有限公司 一种电池复合隔膜及其制备方法和应用
US11804635B2 (en) 2018-11-02 2023-10-31 Lg Energy Solution, Ltd. Crosslinked polyolefin separator having inorganic coating layer and high power secondary battery comprising the same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962418B1 (ko) * 2014-06-24 2019-03-27 제일모직 주식회사 분리막, 이의 제조방법 및 이를 이용한 전지
JP6094542B2 (ja) * 2014-07-29 2017-03-15 住友化学株式会社 多孔質膜
JP2017524232A (ja) * 2014-08-07 2017-08-24 ヘンケル・アクチェンゲゼルシャフト・ウント・コムパニー・コマンディットゲゼルシャフト・アウフ・アクチェンHenkel AG & Co. KGaA 束ねられた送電ケーブルにおける使用のためのワイヤの電気セラミックコーティング
KR102343231B1 (ko) 2014-11-19 2021-12-23 삼성에스디아이 주식회사 리튬 이차 전지용 세퍼레이터 및 이를 포함하는 리튬 이차 전지
KR20170075490A (ko) * 2015-12-23 2017-07-03 삼성에스디아이 주식회사 이차 전지용 세퍼레이터 및 이를 포함하는 리튬 이차 전지
US9786887B2 (en) 2016-03-03 2017-10-10 Apple Inc. Binders for wet and dry lamination of battery cells
US11289769B2 (en) 2016-03-03 2022-03-29 Apple Inc. Binders for wet and dry lamination of battery cells
WO2018030797A1 (ko) * 2016-08-09 2018-02-15 주식회사 엘지화학 세퍼레이터 및 이를 포함하는 전기화학소자
WO2019183816A1 (en) * 2018-03-27 2019-10-03 International Limited Grst Lithium-ion battery
CN114335889B (zh) 2018-04-11 2024-04-05 宁德新能源科技有限公司 隔离膜及储能装置
EP3920264B1 (en) * 2019-03-20 2023-04-05 Teijin Limited Non-aqueous secondary battery separator and non-aqueous secondary battery
KR20210031080A (ko) 2019-09-11 2021-03-19 주식회사 엘지화학 전해액 함침성이 우수한 이차전지용 분리막
KR20220057220A (ko) * 2020-10-29 2022-05-09 에스케이온 주식회사 내열성이 향상된 분리막과 이를 적용한 리튬이차전지

Family Cites Families (1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3040757B1 (ja) * 1998-11-09 2000-05-15 株式会社ジャパンエナジー リチウム2次電池用セパレータ材料
KR100332678B1 (ko) * 2000-03-29 2002-04-15 윤덕용 다공성 고분자막내에 액체 전해질이 담지된 새로운 고분자전해질 조성물 및 그 제조방법
KR100399785B1 (ko) * 2001-04-07 2003-09-29 삼성에스디아이 주식회사 겔형 고분자 전해질을 포함하는 권취형 리튬 2차 전지용세퍼레이터 및 그 제조방법
US20060105244A1 (en) * 2002-06-08 2006-05-18 Kejha Joseph B Lithium based electrochemical devices having a ceramic separator glued therein by an ion conductive adhesive
JP4109522B2 (ja) 2002-09-17 2008-07-02 株式会社巴川製紙所 リチウムイオン二次電池用セパレーターおよびそれを用いたリチウムイオン二次電池
JP2006120462A (ja) * 2004-10-21 2006-05-11 Sanyo Electric Co Ltd 非水電解質電池
KR100758482B1 (ko) * 2004-12-07 2007-09-12 주식회사 엘지화학 표면 처리된 다공성 필름 및 이를 이용한 전기 화학 소자
KR100775310B1 (ko) 2004-12-22 2007-11-08 주식회사 엘지화학 유/무기 복합 다공성 분리막 및 이를 이용한 전기 화학소자
EP2116372B1 (en) * 2007-01-30 2018-03-28 Asahi Kasei Kabushiki Kaisha Multilayer porous membrane and production method thereof
KR100727248B1 (ko) * 2007-02-05 2007-06-11 주식회사 엘지화학 다공성 활성층이 코팅된 유기/무기 복합 분리막 및 이를구비한 전기화학소자
KR20100051710A (ko) * 2007-10-03 2010-05-17 히다치 막셀 가부시키가이샤 전지용 세퍼레이터 및 비수전해액 전지
JP5195499B2 (ja) * 2009-02-17 2013-05-08 ソニー株式会社 非水電解質二次電池
US10312491B2 (en) * 2009-12-04 2019-06-04 Murata Manufacturing Co., Ltd. Separator and battery
KR101187767B1 (ko) * 2010-03-17 2012-10-05 주식회사 엘지화학 세퍼레이터 및 이를 구비한 전기화학소자
KR101243931B1 (ko) * 2010-06-14 2013-03-14 한양대학교 산학협력단 리튬 이차 전지용 세퍼레이터 및 이의 제조 방법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10020481B2 (en) 2013-11-21 2018-07-10 Samsung Sdi Co., Ltd. Separator and secondary battery using same
US10658641B2 (en) 2013-11-21 2020-05-19 Samsung Sdi Co., Ltd. Separator comprising coating layer, and battery using same
KR20150062664A (ko) * 2013-11-29 2015-06-08 주식회사 엘지화학 안전성이 향상된 분리막의 제조 방법, 이 방법으로 제조된 분리막 및 이 분리막을 포함하는 전기화학소자
US11804635B2 (en) 2018-11-02 2023-10-31 Lg Energy Solution, Ltd. Crosslinked polyolefin separator having inorganic coating layer and high power secondary battery comprising the same
CN112259915A (zh) * 2020-09-25 2021-01-22 横店集团东磁股份有限公司 一种电池复合隔膜及其制备方法和应用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EP2634840A1 (en) 2013-09-04
US20130224552A1 (en) 2013-08-29
US9685647B2 (en) 2017-06-20
CN103296239A (zh) 2013-09-11
EP2634840B1 (en) 2016-10-26
KR101488918B1 (ko) 2015-02-0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488918B1 (ko) 밀도가 조절된 코팅층을 포함하는 분리막 및 이를 이용한 전지
KR101488917B1 (ko) 유기 및 무기 혼합물 코팅층을 포함하는 분리막 및 이를 이용한 전지
KR101515357B1 (ko) 유기 및 무기 혼합물 코팅층을 포함하는 분리막 및 이를 이용한 전지
KR101488919B1 (ko) 유기 및 무기 혼합물 코팅층을 포함하는 분리막 및 이를 이용한 전지
EP2696391B1 (en) Nonaqueous secondary battery separator and nonaqueous secondary battery
EP2696394B1 (en) Nonaqueous secondary battery separator and nonaqueous secondary battery
CN103918104B (zh) 带耐热绝缘层的隔板
EP2696392B1 (en) Nonaqueous secondary battery separator and nonaqueous secondary battery
EP2731169B1 (en) Secondary battery
EP2696393B1 (en) Nonaqueous secondary battery separator and nonaqueous secondary battery
EP2980911A1 (en) Non-aqueous electrolyte secondary battery
EP3627586B1 (en) Separator for non-aqueous secondary batteries, non-aqueous secondary battery, and method for producing non-aqueous secondary battery
EP2765629B1 (en) Separator with heat-resistant insulating layer
KR20200036648A (ko) 전기화학소자용 분리막 및 이를 제조하는 방법
KR102061247B1 (ko) 코팅층을 포함하는 분리막 및 상기 분리막을 이용한 전지
JP2011216257A (ja) 非水系二次電池用セパレータ
KR20130099546A (ko) 용해성 폴리이미드가 함유된 유기 및 무기 혼합물 코팅층을 포함하는 분리막 및 이를 이용한 전지
KR20150001148A (ko) 코팅층을 포함하는 분리막 및 상기 분리막을 이용한 전지
KR20220047200A (ko) 접착층을 포함하는 이차 전지용 분리막 및 상기 분리막의 제조방법
KR20220029513A (ko) 전기화학소자용 분리막 및 이를 포함하는 전기화학소자
JP2014235835A (ja) 多層セパレータ及び電池
EP4362200A1 (en) Separator for electrochemical device and electrochemical device comprising same
EP4425680A2 (en) A sperator for an electrochemical device and an electrochemical device comprising the same
KR20140076784A (ko) 코팅제 조성물, 상기 코팅제 조성물로 형성된 분리막 및 이를 이용한 전지
KR20240133563A (ko) 전기화학소자용 분리막 및 이를 포함하는 전기화학소자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1219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1220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200103

Year of fee payment: 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