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30099161A - 스위치 밸브 - Google Patents

스위치 밸브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30099161A
KR20130099161A KR1020137013780A KR20137013780A KR20130099161A KR 20130099161 A KR20130099161 A KR 20130099161A KR 1020137013780 A KR1020137013780 A KR 1020137013780A KR 20137013780 A KR20137013780 A KR 20137013780A KR 20130099161 A KR20130099161 A KR 20130099161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valve
valve plate
brim
pressure
longitudinal axi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3701378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757512B1 (ko
Inventor
프랑크 헬름젠
토비아스 키르흐네르
Original Assignee
레인만 게엠바하 엔 코 카게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레인만 게엠바하 엔 코 카게 filed Critical 레인만 게엠바하 엔 코 카게
Publication of KR2013009916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30099161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75751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757512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KVALVES; TAPS; COCKS; ACTUATING-FLOATS; DEVICES FOR VENTING OR AERATING
    • F16K17/00Safety valves; Equalising valves, e.g. pressure relief valves
    • F16K17/02Safety valves; Equalising valves, e.g. pressure relief valves opening on surplus pressure on one side; closing on insufficient pressure on one side
    • F16K17/12Safety valves; Equalising valves, e.g. pressure relief valves opening on surplus pressure on one side; closing on insufficient pressure on one side weight-loaded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KVALVES; TAPS; COCKS; ACTUATING-FLOATS; DEVICES FOR VENTING OR AERATING
    • F16K1/00Lift valves or globe valves, i.e. cut-off apparatus with closure members having at least a component of their opening and closing motion perpendicular to the closing faces
    • F16K1/32Details
    • F16K1/34Cutting-off parts, e.g. valve members, seats
    • F16K1/36Valve member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KVALVES; TAPS; COCKS; ACTUATING-FLOATS; DEVICES FOR VENTING OR AERATING
    • F16K1/00Lift valves or globe valves, i.e. cut-off apparatus with closure members having at least a component of their opening and closing motion perpendicular to the closing faces
    • F16K1/32Details
    • F16K1/34Cutting-off parts, e.g. valve members, seats
    • F16K1/44Details of seats or valve members of double-seat valve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 Y10T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 CLASSIFICATION
    • Y10T137/00Fluid handling
    • Y10T137/7722Line condition change responsive valves
    • Y10T137/7837Direct response valves [i.e., check valve type]
    • Y10T137/7904Reciprocating valves
    • Y10T137/7908Weight biased
    • Y10T137/7909Valve body is the weight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heck Valves (AREA)
  • Lift Valve (AREA)
  • Safety Valves (AREA)
  • Sliding Valves (AREA)
  • Multiple-Way Valves (AREA)
  • Valve Housing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밸브 디스크(1)가 밸브 시트 상에 놓이고 릴리프 밸브가 폐쇄되는 폐쇄된 위치로부터, 상기 릴리프 밸브가 개방되는 통과-유동 위치로 이동될 수 있는, 상기 밸브 시트 및 상기 밸브 디스크(1)를 구비한 제어 밸브에 관한 것이며, 상기 통과-유동 위치에서 상기 밸브 디스크(1)는 주변 표면 림(4, rim)을 구비한 밸브 디스크 표면(2)과 상기 밸브 디스크 표면(2)에 수직한 법선을 포함하고, 상기 법선은 상기 밸브 디스크 표면의 무게 중심을 통과해 뻗어있고 그리고 길이방향 축선(L)을 형성한다. 브림이 림(4)의 표면상에 배치되고, 여기서 상기 브림은 길이방향 축선(L)에 대해 축선 방향으로 밸브 디스크 표면(2)을 넘어 돌출한 제 1 부분(6)과, 상기 제 1 부분(6)을 연결하고 그리고 상기 길이방향 축선(L)에 대해 반경방향의 한 섹션을 포함하는 제 2 부분(8)을 구비한다.

Description

스위치 밸브{CONTROL VALVE}
본 발명은 폐쇄된 위치로부터 통과-유동 위치로 이동될 수 있는 밸브 플레이트 및 밸브 시트를 구비한 스위치 밸브에 관한 것으로서, 상기 폐쇄된 위치에서 상기 밸브 플레이트가 상기 밸브 시트와 접촉하고 압력 밸브가 폐쇄되고, 상기 통과-유동 위치에서 상기 압력 밸브가 개방되며, 상기 밸브 플레이트는 원주의 표면 엣지를 갖는 밸브 플레이트 표면과 상기 밸브 플레이트 표면에 수직으로 그리고 상기 밸브 플레이트 표면의 무게 중심을 통과해 뻗어있는 수직선을 포함하고 상기 수직선은 길이방향 축선을 형성하며, 브림(brim)이 상기 표면 엣지 상에 배치되고, 상기 브림이 길이방향 축선과 관련하여 축선 방향으로 밸브 플레이트 표면으로부터 돌출하는 제 1 부분을 포함한다.
스위치 밸브가 압력 밸브나 또는 진공 밸브로 작용하고 그리고 컨테이너의 내측 압력이 소정의 응답 압력 아래로 떨어지거나 초과하자마자 상기 컨테이너에 공기를 공급하고 통기시키도록 사용된다. 압력 또는 진공 밸브의 작동 원리가 여하튼 상이하지 않다. 밸브 플레이트는, 가능한 밸브 플레이트의 어느 한 측에서의 압력의 차이에 의해 야기된 상기 밸브 플레이트 상에 작용하는 힘이 폐쇄력 보다 더 크고 그리고 상기 폐쇄력의 반대 방향으로 작용함에 따라, 통과-유동 위치로 이동된다.
이어서 아래에서, 압력 밸브가 기재되어 있다. 그러나, 동일한 방식으로 진공 밸브에도 적용가능하게 기재되어 있다.
액체나 또는 가스와 같은 처리 매체가 컨테이너에 종종 저장되고 상기 컨테이너에서 압력이 소정의 값을 초과할 수 없다. 따라서, 컨테이너는 밸브 플레이트를 갖는 압력 밸브에 의해 폐쇄되는 배출 개구를 구비한다. 이 경우, 밸브 플레이트가 밸브 시트 상에 배치된 밸브 플레이트 표면으로 개구를 폐쇄한다. 따라서 컨테이너에서의 처리 매체의 압력이 예를 들면, 밸브 플레이트 표면에 직접적인 영향을 미친다. 밸브 플레이트 표면상에서의 압력이 소정의 응답 압력에 도달한다면, 밸브 플레이트가 이동되고 그리고 이에 따라 배출 개구를 자유롭게 한다. 따라서 소정의 응답 압력이 컨테이너 내측에서 도달된다면 컨테이너 외측에서의 볼륨 유동을 야기시키는 것이 목적이다. 이를 위하여, 밸브가 제어된 부가적인 힘을 사용하여 이상적으로 개폐되지 않을 수 있지만, 그러나 밸브가 개방될 때 외측으로 유동하는 처리 매체나 또는 컨테이너에서의 압력에 의해서만 개폐된다. 이를 달성하기 위하여, 이러한 타입의 밸브 플레이트가 이상적으로 여러 기준을 반드시 충족해야 한다.
결정 기준은 유동율, 즉 단위 시간당 배출된 처리 매체의 양이다. 컨테이너 내의 압력이 소정의 응답 압력에 도달한다면, 밸브가 개방되어 가능한 빨리 컨테이너로부터 충분한 양의 처리 매체를 배출시켜서, 상기 컨테이너 내측의 압력이 다시 감소할 수 있게 된다. 보다 큰 유동율은 전체 밸브 및 이에 따른 밸브 플레이트가 보다 크게 되도록, 밸브 케이싱의 보다 큰 공칭 직경을 갖게 함으로써 달성될 수 있거나, 또는 상기 밸브 플레이트의 보다 큰 스트로크에 의해 달성될 수 있다. 더욱이, 처리 매체가 외측으로 유동되는 배출 개구를 통해 확대되고, 이에 따라 배출된 볼륨 유동 및 유동율을 증가시킨다. 밸브 플레이트의 스트로크가 더욱 크게 되는 것과 달리, 케이싱의 확장, 이에 따른 전체 밸브가 생산 비용의 상당한 증가와 관련된다. 따라서 케이싱의 공칭 직경을 증대시키기 전에 일정한 공칭 케이싱 직경을 갖는 밸브 플레이트의 스트로크를 최대화시킴으로써 실제로 개시된다.
컨테이너 내측의 압력이 응답 압력에 도달한 이후에 이를 초과한다면, 밸브 플레이트는 가능한 한 빠르게 이용가능한 최고 유동율을 만들기 위하여, 가능한 한 빠른 최대 가능한 스트로크에 도달할 수 있다. 종래 기술에 있어서, 소위 "10% 기술"이 공칭 밸브에 대해 만들어진다. 이러한 타입의 기술에 의해, 밸브 플레이트는 컨테이너에서의 압력이 응답 압력보다 10% 더 클 때 풀 스트로크(full stroke)에 도달하게 된다. 이를 보장하기 위하여, 힘은 전체 스트로크 경로를 가로질러 밸브 플레이트 상에서 반드시 작용하며; 이러한 힘은 플레이트를 밸브 시트로부터 그리고 이에 따라 컨테이너로부터 멀리 이동시키고; 그리고 상기 밸브 플레이트의 폐쇄력보다 더 크다. 중량-부하식 밸브 플레이트에 의한 폐쇄력은 단지 상기 밸브 플레이트의 중량 힘과 동일하다. 그러나, 스프링 부하식 밸브 플레이트가 알려져 있으며 이에 따라 상기 밸브 플레이트의 중량 힘 쪽의 폐쇄력이 또한 상기 밸브 플레이트 상에 작용하는 스프링력이다. 물론 밸브 플레이트 상에 작용하는 다른 힘이 또한 고려될 수 있다. 일단 응답 압력이 도달하거나 또는 초과된다면 밸브 플레이트가 풀 스트로크에 보다 빠르게 도달하면 할수록, 밸브가 예를 들면 10%의 비교적 작은 압력 증가를 갖는 풀 스트로크에 사전에 도달하기 때문에, 조작자는 탱크와 같은 컨테이너 내측의 압력을 더욱더 오래 유지시킬 수 있고, 이에 따라서 최대 유동율을 가능하게 하며, 이 결과, 처리 매체에서의 손실이 감소되고, 이에 따라 주변환경을 보호하게 된다.
풀 스트로크가 빠르게 도달한다는 사실 및 큰 유동율과 함께, 저 "블로우 다운(blow down)"이 일반적으로 요구된다. 이는 탱크와 같은 컨테이너 내측의 압력이 응답 압력 이하로 다시 떨어진다면 밸브가 가능한 빠르게 다시 폐쇄될 수 있다는 것을 의미한다. 밸브가 일단 완전하게 개방된다면, 압력의 균등(equalizing)이 발생한다. 압력을 균등화시킴으로써, 컨테이너 내측의 압력이 감소되어, 밸브 외측으로 유동하는 처리 매체에 의해 야기된 상승된 밸브 캡 상에 작용하는 압력이 시간 내내 감소한다. 밸브 외측으로 유동하는 처리 매체에 의해 야기된, 밸브 상에서 작용하는 외력이 조만간 밸브 플레이트의 폐쇄력 보다 더 작을 것이다. 이 지점에서 밸브가 폐쇄를 개시한다. 이러한 폐쇄가 발생하는 컨테이너에서의 압력을 소위 폐쇄 압력이라 한다. 응답 압력과 폐쇄 압력의 차이를 소위 블로우 다운이라 한다. 저 블로우 다운, 즉 응답 압력에 가능한 가까운 밸브 폐쇄를 달성하기 위하여, 총 스트로크 경로를 가로질러 그리고 응답 압력에서 밸브를 떠나는 처리 매체에 의해 발생된, 밸브 플레이트 상에 작용하는 유동 력이 밸브의 폐쇄력 보다 반드시 상당히 더 커서는 안된다. 더욱이, 저 블로우 다운은 처리 매체에서의 손실 감소를 야기시키고 주변환경을 보호한다.
이들 3개의 기준(criteria)은, 이상적인 밸브 플레이트가 큰 스트로크를 갖고 그리고 밸브의 외측에서 유동하는 처리 매체에 의해 발생된, 밸브 플레이트 상에서 작용하는 유동 력이 전체 스트로크 영역을 가로지른 엄격한(tight) 범위에 반드시 있어야 하기 때문에, 일반적으로 매우 겸용가능하지 않다. 무엇보다도, 밸브 외측에서 유동하는 처리 매체에 의해 발생된, 밸브 플레이트 상에서 작용하는 유동 력은 상기 밸브 플레이트의 폐쇄력 보다 반드시 더 크지만, 그러나 저 블로우 다운을 달성하기 위하여, 폐쇄력 보다 반드시 더 커서는 안된다.
상이한 밸브 플레이트 형상을 갖는 압력 밸브가 종래 기술로 알려졌다. 예를 들면, 정사각형 브림이나 또는 테이퍼진 브림이 사용된다. 이를 위하여, 밸브 플레이트는 원주의 표면 엣지를 갖는 밸브 플레이트 표면을 포함한다. 정사각형 브림이나 또는 테이퍼진 브림과 같은 브림은 이러한 표면 엣지 상에 배치된다. 밸브가 개방될 때 밸브 플레이트가 상승된다면, 브림은 밸브 시트 주위에서 하향으로 뻗어있게 된다. 이를 위하여, 정사각형 브림은 주로 수평방향으로 배치된, 결론적으로 밸브 플레이트 표면에 평행하게 뻗어있는, 브림의 제 1 부분을 포함한다. 이러한 제 1 부분의 외측 엣지에서 브림의 제 2 부분이 위치되며, 주로 수직 하향으로 배치된다. 밸브 플레이트가 개방 동안에 상승된다면, 처리 매체는 밸브 시트 외측으로 상향 유동하고 그리고 밸브 플레이트 표면을 가격한다(strike). 이 지점에서 수직 하향으로 배치되는, 브림의 제 2 부분을 처리 매체가 가격할 때까지 측방향 편향된다. 이 지점에서 처리 매체가 다시 편향되어 밸브 플레이트를 하향 방향으로 떠난다. 브림의 수평방향으로 배치된 제 1 부분이 초기에 제공된다는 사실 때문에, 밸브의 외측으로 유동하는 처리 매체에 의해 가격된 표면이 특히 작은 스트로크를 가지면서, 초기에 상당하게 확대된다. 이는 유동 력에서의, 특히 보다 낮은 스트로크 범위에서의 피크를 초래한다. 결론적으로 밸브 플레이트는 신속하게 풀 스트로크를 달성하고, 이에 따라 최대 유동율을 제공한다. 그러나, 동시에 밸브의 외측으로 유동하는 처리 매체에 의해 만들어진 밸브 플레이트 상에서 작용하는 유동 력이 상기 밸브 플레이트의 폐쇄력보다 상당하게 더 크므로, 아주 큰 블로우 다운을 초래한다.
동일하게 테이퍼진 브림에 적용되고, 이로서 밸브 플레이트 표면의 원주 표면 엣지 상에서의 브림이 대각선 방향으로 하향 뻗어있다. 매우 작은 스트로크를 가질 경우에도, 가격되는 밸브 플레이트 표면의 또한 크기가 증대되어, 유동 력의 피크를 초래한다.
전체 밸브 플레이트 표면 및 브림이 밸브 외측으로 유동하는 처리 매체에 의해 가격된다면, 위쪽 스트로크 범위에서의 표면 가격은 변하지 않는다. 밸브 플레이트와 밸브 시트 사이의 환형 갭의 조절(throttle) 효과는 보다 큰 밸브 개구에 의해 감소된다. 밸브는 종종 케이싱에 위치되며, 상기 케이싱의 출구 슬릿은 현재 조절될(throttled) 개구이다. 이 결과, 케이싱 내의 압력은 증가하고 밸브 플레이트 상하의 압력 차이는 감소하며, 또한 상기 밸브 플레이트 상에 작용하는 힘이 감소되게 한다. 더욱이, 밸브를 떠나는 전체 처리 매체가 밸브 플레이트를 더 이상 가격하지 않으므로, 상기 밸브 플레이트 상에서 작용하는 유동에 의해 나타나는 총 힘을 감소시킨다.
따라서 본 발명의 목적은 압력 밸브를 제공하는 것으로서 상기 압력 밸브에 의해 3개의 모든 필요한 기준이 보다 효과적으로 충족될 수 있다.
본 발명은 밸브 플레이트를 구비한 밸브에 따른 압력 밸브에 의해 종래의 문제점을 해결하고, 상기 밸브 플레이트의 브림은 제 1 부분으로부터 뻗어있는 제 2 부분을 구비하며, 상기 제 2 부분은 길이방향 축선에 대해 반경방향 섹션을 포함한다. 이는 브림의 제 2 부분의 반경방향 섹션이 길이방향 축선과 관련하여, 축선 방향보다 반경 방향으로 보다 길게 뻗어있는 부분을 갖는다는 것을 의미한다. 반경방향 섹션과 밸브 플레이트 표면 사이의 각도가 최대 30°(바람직하게는 최대 25°, 더욱 바람직하게는 최대 20°)라면 바람직하다고 증명되었다. 이 경우, 각도는 예를 들면, 0°이상이거나, 바람직하게는 5°이상이고 그리고 특히 바람직하게는 10°이상이다.
연결된 브림의 제 1 부분과 제 2 부분의 이러한 특별한 장치는 여러 장점을 갖는다. 무엇보다도, 브림의 제 1 부분이 예를 들면, 밸브 시트의 직경보다 10% 이하로, 바람직하게는 8% 이하로 그리고 특히 바람직하게는 6% 이하로 비교적 작게 설계될 수 있다. 이는 작은 스트로크로 밸브 시트 외측으로 유동하는 처리 매체는 브림의 제 1 부분이 밸브 플레이트 표면과 연결된 상태에서 상기 밸브 플레이트 표면상에서 편향된다는 것을 보장한다. 이는 힘이 밸브 플레이트 상에서 상향으로 나타날 수 있는 동안에, 충분하게 큰 볼륨 유동이 동시에 배출될 수 있다는 것을 의미한다. 브림의 제 2 부분의 이러한 장치는 작은 스트로크의 사용 동안에 편향되는 밸브 외측으로 유동하는 처리 매체가 브림의 제 2 부분을 가격하지 않는다는 것을 보장한다. 작은 스트로크의 사용 동안에 밸브 외측으로 유동하는 처리 매체에 의해 가격된 표면의 크기가 증가하지 않으므로, 유동 력에서의 피크가 발생하지 않는다는 것을 초래한다. 따라서 밸브 외측으로 유동하는 처리 매체에 의해 발생된, 밸브 플레이트 상에 작용하는 외력이 예를 들면, 상기 밸브 플레이트의 중량 힘일 수 있는 폐쇄력보다, 그리고 필요하다면, 상기 밸브 플레이트가 상향으로 더욱 가압되게 하는 스프링력과 같은 부가적인 힘보다 여전히 더 크다. 그러나, 이러한 힘은 종래 기술에서의 브림 형상을 갖는 경우만큼 크지 않으며, 밸브 플레이트는 컨테이너에서의 압력 감소가 비교적 적을 때 다시 폐쇄된다. 이는 저 블로우 다운을 보장한다.
밸브 플레이트의 스트로크 높이가 증대된다면, 길이방향 축선에 대해 반경 방향으로 뻗어있는 브림의 제 2 부분은 밸브 시트를 떠나는 처리 매체에 의해 직접적으로 가격된다. 이 결과, 현재 가격되는 표면의 크기가 증대되어, 밸브 외측으로 유동하는 처리 매체에 의해 발생된 밸브 플레이트 상에 작용하는 힘이 증대된다. 이는 밸브 플레이트 상에 작용하는 힘이 이러한 스트로크 범위에서도 밸브의 폐쇄력보다 더 커서, 상기 밸브 플레이트를 상기 밸브 플레이트로부터 더욱 멀리 가압한다는 것을 보장한다. 밸브 플레이트 상에 작용하는 유동에 의해 나타나는 총 힘에서의 기술된 감소 효과가 이에 따라 큰 스트로크에서 감소된다.
본 발명에 따른 브림 장치로, 작은 스트로크에서 밸브 외측으로 유동하는 처리 매체의 유동에 의해 나타나는 힘이 밸브 플레이트 표면 자체에서만 작용한다. 이러한 스트로크 범위에서, 브림의 제 2 부분이 반경방향 섹션에 의한 영향을 갖지 않는다. 특히, 내측으로 유동하는 처리 매체에 의해 야기된 어떤 힘이라도 밸브 플레이트 상에 가해지지 않는다. 브림의 제 2 부분은 단지 보다 큰 스트로크가 사용될 때 내측으로 유동하는 처리 매체에 의해 직접적으로 가격되고, 상기 브림과 이에 따라 밸브 플레이트로 이동되는 유동에 의해 가해진 부가적인 부분의 힘을 초래한다. 이는 밸브 플레이트 상에 작용하는 총 힘이 단지 총 스트로크 범위 내내 작은 양만큼 변하며, 이상적으로는 조금도 변하지 않는다는 것을 보장한다. 이에 따라 총 힘이 전체 스트로크 범위 내내 응답 압력을 넘는 비교적 작은 범위 내에서 유지되어, 전체 스트로크가 빠르게 도달되어, 결론적으로 전체 총 유동율 또한 빠르게 달성된다. 저 블로우 다운이 또한 달성된다. 총 스트로크, 즉 밸브 시트로부터의 밸브 플레이트의 최대 편차의 15%, 바람직하게는 20%, 그리고 특히 바람직하게는 25%나 또는 30%의 힘이 브림의 제 2 부분을 가격하는 처리 매체에 의해 밸브 플레이트 상에 가해진다면 유리하다고 증명되었다.
브림의 제 2 부분이 바람직하게는 축선 방향에서 길이방향 축선과 관련하여 상기 브림의 상기 제 2 부분의 반경방향 섹션 상을 돌출하는, 브림의 제 1 부분으로부터 멀리 향하는 브림 엣지를 구비한다. 이러한 장치는, 브림의 제 2 부분이 밸브 외측으로 유동하는 처리 매체에 의해 직접적으로 가격되는 것을 의미하는, 보다 큰 스트로크가 사용될 때 상기 브림으로 전달될 힘이 밸브 시일로부터 더욱 멀리 밸브 플레이트를 이동시키는데 충분하다는 것을 보장한다. 밸브 플레이트 표면이 수평방향으로 배치되고 그리고 밸브 시트가 이러한 상기 밸브 플레이트 표면 아래에 배치된다면, 예를 들면, 브림의 제 2 부분의 브림 엣지가 하향으로 만곡된다(arch). 이 결과, 브림의 제 2 부분을 가격하는 밸브 외측으로 유동하는 처리 매체는 더욱 편향되어, 한편으로, 매체의 유동 방향이 더욱 극적으로 변경되고, 다른 한편으로, 보다 큰 힘이 브림의 제 2 부분 상에서 나타나고 이에 따라 전체 밸브 플레이트 상에서 나타나게 된다.
브림의 제 1 부분은 예를 들면, 적어도 0°, 바람직하게는 적어도 5°, 특히 바람직하게는 적어도 10°의 각도로 뻗어있고 그리고 길이방향 축선 쪽으로 최대 25°, 바람직하게는 최대 20°, 특히 바람직하게는 최대 15° 뻗어있다. 브림의 제 1 부분이 길이방향 축선 쪽으로 약간 경사진다는 사실 때문에, 처리 매체가 밸브를 떠나는 방향으로 영향을 미칠 수 있다. 더욱이, 밸브 외측으로 유동하는 처리 매체에 의해 밸브 플레이트 상에 가해진 외력이 또한 이 결과 영향을 받게 된다. 따라서 이와 같이 유동 방향, 뿐만 아니라 밸브 플레이트 상에 가해진 힘을 개별적으로 설정할 수 있다.
브림의 제 1 부분이 바람직하게는 적어도 하나의 갭을 포함한다. 이는 가장 작은 스트로크가 사용될 때에서도, 충분하게 큰 볼륨 유동이 배출될 수 있다는 것을 보장한다. 더욱이 밸브 외측으로 유동하는 처리 매체가 충분하게 편향되어, 충분하게 큰 외력이 밸브 플레이트 상에 나타나게 된다.
브림의 제 2 부분이 길이방향 축선에 대해 반경방향 섹션에서 날개형 패널의 형상으로 배치된다. 작은 스트로크로, 이와 같이 배치된 브림의 제 2 부분은 밸브 외측으로 유동하고 밸브 플레이트 상에서 편향되는 처리 매체에 영향을 미치지 않거나 매우 조금 영향을 미치게 된다. 단지 큰 스트로크가 사용될 때 처리 매체가 이와 같이 배치된 브림의 제 2 부분의 양측 주위를 유동함에 따라, 밸브 외측으로 유동하는 처리 매체의 일부가 직접적으로 제 2 부분의 아래쪽을 가격하고 그리고 다른 일부가 브림의 제 1 부분에서 적어도 하나의 리세스를 통해 제 2 부분의 상부 쪽을 따라서 유동한다. 브림의 이러한 제 2 부분의 날개형 패널 형상의 장치가 상기 제 2 부분 상에서 진공을 만들어, 이 경우 상승(lift)을 초래한다.
결론적으로 이러한 장치는 또한 보다 큰 스트로크가 사용될 때, 브림 상에 그리고 이에 따라서 밸브 플레이트 상에 부가적인 힘을 공급하는 동안, 상기 브림의 제 2 부분은 작은 스트로크가 사용될 때 주로 영향을 받지 않는다.
밸브 플레이트 표면은 원형으로 설계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압력 밸브는 밸브 플레이트가 폐쇄된 위치에서 상기 밸브 플레이트 상에서 작용하는 중량 힘에 의해 단지 유지되고 상기 밸브 플레이트의 표면상에 작용하는 압력에 의해 폐쇄된 위치 외측으로만 이동되는 방식으로 설계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더욱이, 밸브 플레이트의 브림은 반경방향 및/또는 축선방향 섹션을 더 구비할 수 있다. 이는 밸브 플레이트 상에 작용하는 힘의 더욱 미세한 조정(tuning)을 가능하게 한다. 물론 아치형 단면을 갖는 단면이나 대각선 단면이 고려될 수 있다.
본 발명은 도면을 사용하여 아래에서 더욱 상세하게 설명되어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압력 밸브의 밸브 플레이트의 단면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제 2 실시예에 따른 압력 밸브의 밸브 플레이트의 단면도이고,
도 3은 도 2의 밸브 플레이트의 사시도이고,
도 4a 내지 도 4d는 상이한 폭에서의 개방 상태에 있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스위치 밸브를 도시한 도면이며,
도 5a 내지 도 5d는 상이한 스트로크에서의 개방 상태에 있는 본 발명의 다른 일 실시예의 스위치 밸브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1은 밸브 플레이트(1)의 단면도이다. 밸브 플레이트(1)는 밸브 플레이트 표면(2)을 구비하고 상기 밸브 플레이트 표면에 의해 상기 밸브 플레이트(1)는 도 1에서는 도시되지 않았으나, 밸브가 폐쇄될 때, 밸브 시트의 상부에 위치하고, 도 1a에 있어서 길이방향 축선(L)은 점선으로 나타나 있고, 상기 밸브 플레이트 표면(2) 상에서 수직으로 위치된다. 밸브 플레이트 표면(2)은 원주의 표면 엣지(4)를 포함하고 상기 엣지 상에 브림의 제 1 부분(6)이 배치되며, 상기 밸브 플레이트 표면(2) 상을 축선 방향으로 돌출한다. 브림의 제 2 부분(8)이 상기 브림의 이러한 제 1 부분(6) 상에 위치되고, 상기 부분은 상기 브림의 제 1 부분(6)으로부터 멀리 향한 원주방향 브림 엣지(10)를 포함한다.
도 1에 도시된 장치에 있어서, 밸브 플레이트(1)가 상향 개방된 밸브 플레이트 아래에 위치된, 밸브 시트 상에 배치된다. 이를 위하여, 밸브 플레이트가 제어된 부가적인 힘에 의해 개방되지 않거나 폐쇄되지 않지만, 그러나 도 1에 도시된 실시예는 중량-부하식이다. 밸브 시트는 탱크와 같은, 도 1에 도시되지 않은 컨테이너의 개구를 포함한다. 컨테이너 내의 처리 매체는 도 1에 도시된 정위(orientation)로 아래로부터 밸브 플레이트 표면(2)을 가압한다. 압력이 사전-설정된 응답 압력을 초과한다면, 밸브 플레이트(1)가 상승된다. 길이방향 축선(L)에 대해 축선 방향으로 배치된, 브림의 제 1 부분(6)이 비교적 작기 때문에, 밸브 외측으로 유동하는 처리 매체는 밸브 플레이트(1) 및 브림의 제 1 부분(6)에 의해 편향되고, 그리고 상기 밸브 플레이트(1)를 하향 방향으로 떠난다. 이를 위하여, 도 1에서 제 2 부분(8)의 수평방향으로 배치된 반경방향 섹션은 제 2 부분(8)이나 또는 위치된 브림 엣지(10)가 밸브 외측으로 유동하는 처리 매체에 영향을 미치지 않는다는 것을 보장한다. 단지 보다 큰 스트로크에서 외측으로 유동하는 처리 매체가 또한 브림의 제 2 부분(8)을 가격하여, 부가적인 힘이 밸브 플레이트(1) 상에 작용하게 된다. 매체가 브림 엣지(10)에 의해 편향되고, 이러한 엣지는 하향 만곡되어, 밸브 플레이트(1) 상에 가해진 외력이 브림 엣지(10)를 직선형으로 하는 것에 비해 증가되게 한다.
밸브 플레이트의 이러한 장치는, 총 스트로크 경로를 가로질러 밸브 플레이트(1) 상에 작용하는 힘이 밸브 플레이트(1)의 폐쇄력 보다 더 크지만, 단지 작은 양만큼 초과하는 것을 보장한다. 이와 같이, 최대 스트로크 및 최종의 빠르게 발생하는 최대 유동율의 신속한 달성과 함께, 저 블로우 다운이 달성된다.
도 2는 본 발명의 제 2 실시예에 따른 밸브 플레이트(1)를 도시한 도면이다. 밸브 플레이트는 또한 밸브 플레이트 표면(2)을 포함하고 상기 플레이트 표면에서 길이방향 축선(L)이 점선으로 나타나 있다. 브림의 제 1 부분(6)이 도 2에서의 갭(12)을 구비하고, 상기 갭을 통해 밸브 시트 외측으로 유동하는 처리 매체가 밸브 플레이트를 떠날 수 있다. 이와 같은 취지로, 작은 스트로크에서, 처리 매체가 단지 브림의 제 2 부분(8)의 상부 측(14) 상을 유동한다. 작은 스트로크로, 브림의 제 2 부분(8)이 결론적으로 밸브 외측으로 유동하는 모든 처리 매체에 영향을 미치지 않거나 또는 매우 조금 영향을 미친다.
처리 매체가 보다 큰 스트로크로, 브림의 제 2 부분(8)을 또한 직접적으로 가격하여, 상기 브림의 상기 제 2 부분(8)의 상부 측(14)뿐만 아니라 하부 측을 따라서 유동한다.
제 2 부분(8)은 날개형 패널의 단면 형상을 가져서, 진공이 제 2 부분(8)의 상부 측(14) 및 하부 측의 기본적으로 수평방향의 가격에 의해 상기 제 2 부분(8)의 상부 측(14) 상에서 만들어진다. 이는 밸브 플레이트(1)를 더욱 상향 이동시키는 상승을 발생시킨다.
도 3은 도 2의 밸브 플레이트(3)의 사시도이다. 브림의 제 1 부분(6)에서의 갭(12)은 명확하게 인식될 수 있으며, 상기 갭을 통하여 밸브를 떠나는 처리 매체가 상기 브림의 제 2 부분(8)의 상부 측(14) 상에서 유동해 나간다. 따라서, 도 2 및 도 3에 도시된 밸브 플레이트는 상이한 힘이 상기 밸브 플레이트의 스트로크에 따라, 상기 밸브 플레이트(1) 상에서 작용하여, 응답 압력을 초과하는 비교적 작은 범위 내의 총 힘을 유지한다는 것을 보장한다.
도 4a 내지 도 4d는 상이한 스트로크에서 개방 상태인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스위치 밸브를 도시한 도면이다. 밸브는 제 1 연결 개구(16) 및 제 2 연결 개구(18)를 포함한다. 도시된 스위치 밸브가 압력 밸브로 사용된다면, 컨테이너 내측의 소정의 압력이 반드시 초과되어서는 안된다. 이러한 경우에 있어서, 컨테이너는 제 1 연결 개구(16)와 연결된다. 압력이 소정의 응답 압력을 넘어 상승한다면, 밸브 플레이트(1)가 상승되고 밸브가 개방된다. 매체는 이후 컨테이너를 떠날 수 있고, 밸브에 있는 제 1 연결 개구(16)를 통해 진입할 수 있으며 제 2 연결 개구(18)를 통해 밸브를 떠날 수 있다.
그러나, 스위치 밸브가 진공 밸브로 사용된다면, 컨테이너 내의 압력은 소정의 압력 아래로 떨어지면 반드시 안된다. 이러한 컨테이너는 이후 제 2 연결 개구(18)와 연결된다. 컨테이너에서의 압력이 소정의 응답 압력 이하로 떨어진다면, 밸브 플레이트(1)가 상기 밸브 플레이트(1) 상의 영역에서 발생하는 진공에 의해 상향으로 흡입되고 밸브가 개방된다. 이러한 경우에 있어서, 매체는 제 1 연결 개구(16)를 통해 밸브에 진입할 수 있고 그리고 제 2 연결 개구(18)를 통해 밸브를 떠날 수 있어, 압력 균등화가 발생하는 컨테이너에 도달하게 된다.
도 4a 내지 도 4d에 도시된 스위치 밸브는 밸브가 폐쇄될 때, 밸브 플레이트 표면(2)을 구비한 밸브 플레이트(1)가 상부에 놓이는 밸브 시트(20)를 포함한다. 이러한 위치가 도 4a에 도시되어 있다. 밸브 플레이트(1)가 밸브 플레이트 표면(2)을 구비하여 스위치 밸브의 밸브 시트(20) 상에 놓여 있어, 상기 스위치 밸브의 제 1 연결 개구(16)로부터 제 2 연결 개구(18)까지 물질의 유동을 방지한다.
도 4b는 스위치 밸브가 약간 개방될 때의 도 4a의 상기 스위치 밸브를 나타낸 도면이다. 밸브 플레이트 표면(2)을 갖는 밸브 플레이트(1)가 더 이상 스위치 밸브의 밸브 시트(20) 상에 놓이지 않는다는 것을 명확하게 알 수 있다. 물질은 현재 제 1 연결 개구(16)로부터 제 2 연결 개구(18)까지 스위치 밸브의 밸브 시트(20)를 통해 유동할 수 있다. 본 발명에서, 처리 매체는 제 1 연결 개구(16)를 통해 유동하고 밸브 플레이트(1)의 밸브 플레이트 표면(2)을 가격하여, 상기 밸브 플레이트가 그 길이방향 축선(L)을 따라서 이동하게 된다.
이를 위하여, 리드(22, lead)가 밸브 플레이트(1)의 상부 측에 배치되고, 스위치 밸브 케이싱의 상부 부분(26)의 리세스(24)에 의해 가이드된다. 밸브 시트(20)를 통해 밸브 플레이트(1)의 밸브 플레이트 표면(2) 쪽으로 제 1 연결 개구(16) 외측으로 유동하는 처리 매체가 제 2 연결 개구(18)를 통해 스위치 밸브를 떠나기 전에 브림(6)의 제 1 부분 상에서 하향으로 편향된다. 처리 매체의 유동 방향은 도 4b에서의 화살표 28에 의해 지시되어 있다. 스위치 밸브가 이처럼 개방될 때, 브림(8)의 제 2 부분 및 만곡된 브림 엣지(10)는 화살표 28을 따라 유동하는 처리 매체에 영향을 미치지 않는다는 것을 알 수 있을 것이다.
도 4c는 다른 한 개방된 상태인 도 4a 및 도 4b의 스위치 밸브를 도시한 도면이다. 밸브 플레이트 표면(2)을 갖는 밸브 플레이트(1)는 현재 도 4b에 도시된 상황에 비해 밸브 시트(20)로부터 더 멀리 위치되어 있다. 스위치 밸브의 제 1 연결 개구(16)로부터 제 2 연결 개구(18)까지 밸브 시트(20)를 통해 유동하는, 처리 매체의 유동 방향은 화살표 28로 다시 나타나 있다. 처리 매체의 일부가 밸브 플레이트 표면(2) 쪽으로 더욱 하향 유동하고 그리고 브림(6)의 제 1 부분 상에서 하향 편향된다는 것을 알 수 있을 것이다. 그러나, 처리 매체가 제 2 연결 개구(18)를 통해 스위치 밸브를 떠나기 전에, 상기 처리 매체의 다른 한 부분이 지금 브림(8)의 제 2 부분을 가격하고 그리고 하향 만곡된 브림 엣지(10)에 의해 하향 편향된다. 결론적으로, 밸브 개방의 이러한 단계에서 외력이 브림(8)의 제 2 부분 상에서 유동하는 처리 매체에 의해 밸브 플레이트(1) 상에서 전달되어, 밸브 플레이트를 상향으로 더욱 가압한다. 브림 엣지(10)를 갖는 브림(8)의 제 2 부분이 밸브 외측으로 유동하는 처리 매체의 유동 방향에 영향을 미치는 것은 이러한 밸브 개방 단계이며, 이로써 상향으로 작용하는 부가적인 외력이 생성된다. 이러한 여분의 힘이 즉, 밸브 플레이트(1)를 완전한 스트로크로 이동시키기 위하여, 가능한 빠르게 스위치 밸브를 개방시키는데 필요하다.
도 4d는 밸브 플레이트(1)가 최대량만큼, 즉 풀 스트로크로 상승되는 상황을 나타낸 도면이다. 제 1 연결 개구(16)로부터 제 2 연결 개구(18)까지 밸브 시트(20)를 통해 유동하는 처리 매체가 아래로부터 밸브 플레이트 표면(2)을 계속해서 가격하고 이에 따라 밸브 플레이트(1)를 상향으로 더욱 가압한다. 이는 스위치 밸브가 압력 밸브로 사용된다면, 제 2 연결 개구(18) 상에 배치된, 컨테이너에서의 압력이 소정의 응답 압력을 초과할 때까지 발생한다. 따라서, 밸브를 스위치시키는데 필수적인 크기가 제 1 연결 개구(16)에서의 압력과 제 2 연결 개구(18)에서의 압력의 차이이다. 이러한 압력 차이가 특정 값 아래로 떨어질 때에만 밸브 플레이트(1)를 그 상승된 통과-유동 위치에 유지시키는데 충분한 밸브를 통해 유동하는 처리 매체에 의하여 상기 밸브 플레이트(1)에 힘이 가해지고, 이러한 경우에 이러한 이유 때문에, 상기 밸브 플레이트(1)가 다시 하향으로 이동하고 상기 밸브가 폐쇄된다.
도 5a 내지 도 5d는 도 4a 내지 도 4d에 도시된 스위치 밸브의 상황을 나타내고 있지만; 그러나 도 5a 내지 도 5d에 도시된 스위치 밸브는 상이한 밸브 플레이트(1)를 갖는다.
도 5a 및 도 5d에 도시된 스위치 밸브의 실시예는, 예를 들면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밸브 플레이트(1)를 구비한다. 도 5a는 스위치 밸브가 폐쇄되는 상황을 나타낸 도면이다. 밸브 플레이트(1)는 스위치 밸브의 밸브 시트(20)의 상부의 밸브 플레이트 표면(2)과 놓여, 상기 밸브가 폐쇄된다.
도 5b는 밸브 플레이트(1)가 제 1 연결 개구(16)에서의 압력과 제 2 연결 개구(18)에서의 압력 사이의 압력의 차이에 의해 약간 상승될 수 있는 위치를 나타내고 있다. 밸브 플레이트(1)는 밸브 시트(22)의 상부에서 밸브 플레이트 표면(2)과 더 이상 놓이지 않는다. 도 5a 내지 도 5d에 있어서, 밸브 플레이트(1)는 그 길이방향 축선(L)을 따라서 또한 이동될 수 있다. 리드(22)가 또한 본 발명에 제공되어, 밸브 케이싱의 상부 부분(26)의 리세스(24)에 의해 가이드된다.
도 5a 내지 도 5d에 도시된 스위치 밸브에 있어서, 밸브 플레이트(1)는 브림의 제 1 부분을 포함하며, 여기에 갭(12)이 제공된다. 도 2b는 밸브 플레이트(1)가 정밀하게 상승되어 처리 매체가 이들 갭(12)을 통해 유동시킴으로써 제 1 연결 개구(16)로부터 제 2 연결 개구(18)까지 유동할 수 있는 상황을 나타낸 도면이다. 이러한 처리 매체의 유동 방향은 또한 도 5b에서 화살표 28로 나타내어져 있다. 도 5b에 도시된 상황에 있어서, 밸브를 통해 유동하는 처리 매체가 아래로부터 밸브 플레이트(1)의 밸브 플레이트 표면(2)을 가격하고 편향되어, 도 5b에서의 브림(6)의 제 1 부분에서의 갭(12)을 통해 수평방향으로 유동할 수 있다. 처리 매체가 밸브 플레이트 표면(2) 상에서 편향된다는 사실 때문에, 힘이 밸브 플레이트(1)를 상향으로 더욱 가압하도록 가해진다.
이러한 상황이 도 5c에 도시되어 있다. 도 5b에 도시된 상황과 비교하여, 밸브 플레이트(1)가 밸브 시트(22)로부터 더욱 멀리 위치된다. 제 1 연결 개구(16)로부터 제 2 연결 개구(18)까지 밸브를 통해 유동하는 처리 매체가 다시 아래로부터 밸브 플레이트 표면(2)을 적어도 부분적으로 가격한다. 본 발명에서, 처리 매체가 편향되고 브림(6)의 제 1 부분에서의 갭(12)을 통해 거의 수평 방향으로 밸브 플레이트(1)를 떠난다. 처리 매체의 다른 한 부분은 실제 밸브 플레이트 표면(2)을 가격하지 않지만, 아래로부터 브림(8)의 제 2 부분을 가격하고 그리고 이 부분과 하향 만곡된 브림 엣지(10)에서 편향된다. 처리 매체의 유동 방향은 또한 도 5c에서 화살표 28로써 나타나 있다.
도 5c에서 명확하게 알 수 있는 바와 같이, 처리 매체는 양 방향, 즉 브림(8)의 제 2 부분의 위쪽 및 아래쪽에서 브림 엣지(10)를 갖는 상기 브림(8)의 제 2 부분 주위를 유동한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있어서, 도 5a 내지 도 5d에 도시된 섹션에서의 브림의 이러한 제 2 부분이 패널 형상인 것이 바람직하다. 이러한 장치에 있어서, 밸브를 통해 유동하는 처리 매체가 양 측에서의 브림(8)의 제 2 부분 주위를 유동한다는 사실은 상승을 야기시키고, 이로써 밸브 플레이트(1)가 상향으로 더욱 이동된다.
도 5d는 도 5a 내지 도 5c에서의 밸브를 도시하고 있으며, 상기 도면에서 밸브 플레이트(1)가 풀 스트로크 위치에 있다. 따라서 밸브 플레이트(1)는 최대량만큼 상향 이동되고 그리고 밸브가 최대로 개방된다. 이러한 상태에 있어서, 제 1 연결 개구(16)로부터 제 2 연결 개구(18)까지 유동하는 처리 매체의 일부가 또한 아래로부터 밸브 플레이트 표면(2)을 가격하고 편향된다. 이 결과 힘이 밸브 플레이트(1) 상에 다시 가해져, 상기 밸브 플레이트를 상향 가압한다. 밸브를 통해 유동하는 처리 매체가 또한 브림(8)의 제 2 부분의 위쪽뿐만 아니라 아래쪽에서, 브림 엣지(10)를 구비한 상기 브림(8)의 상기 제 2 부분 주위에서 유동하여, 상승을 다시 발생시키고 이로써 밸브 플레이트(1)가 그 최대 통과-유동 위치에서 더욱 유지된다. 제 1 연결 개구(16)에서의 압력과 제 2 연결 개구(18)에서의 압력의 압력 차이가 소정의 응답 압력 아래로 떨어질 때에만, 밸브 플레이트(1)를 그 통과 유동 위치에 유지시키는데 더 이상 충분히 크지 않는, 밸브를 통해 유동하는 처리 매체에 의해 야기된, 상기 밸브 플레이트(1) 상에 작용하는 힘이 존재한다. 밸브 플레이트(1)가 이후 리드(22) 및 길이방향 축선(L)을 따라서 하향 이동하고 밸브는 다시 폐쇄된다.
L 길이방향 축선 1 밸브 플레이트
2 밸브 플레이트 표면 4 표면 엣지
6 브림의 제 1 부분 8 브림의 제 2 부분
10 브림 엣지 12 갭
14 상부 측 16 제 1 연결 개구
18 제 2 연결 개구 20 밸브 시트
22 리드 24 리세스
26 상부 부분 28 화살표

Claims (7)

  1. 폐쇄된 위치로부터 통과-유동 위치로 이동될 수 있는 밸브 플레이트(1)와 밸브 시트를 구비한 스위치 밸브로서,
    상기 폐쇄된 위치에서 상기 밸브 플레이트(1)가 상기 밸브 시트와 접촉하고 압력 밸브가 폐쇄되며, 상기 통과-유동 위치에서 상기 압력 밸브가 개방되고, 상기 밸브 플레이트(1)는 원주의 표면 엣지(4)를 구비한 밸브 플레이트 표면(2)과 수직선을 포함하고, 상기 수직선은 상기 밸브 플레이트 표면(2)에 수직으로 그리고 상기 밸브 플레이트 표면의 무게 중심을 통해 수직으로 뻗어있고 그리고 길이방향 축선(L)을 형성하며, 상기 표면 엣지(4)에 브림이 배치되고, 상기 브림은 제 1 부분(6) 및 제 2 부분(8)을 포함하고, 상기 제 1 부분은 상기 길이방향 축선(L)에 대해 축선 방향으로 상기 밸브 플레이트 표면(2)으로부터 돌출하고, 상기 제 2 부분(8)은 상기 제 1 부분(6)으로부터 돌출하고 그리고 상기 길이방향 축선(L)에 대해 반경방향 섹션을 포함하는, 폐쇄된 위치로부터 통과-유동 위치로 이동될 수 있는 밸브 플레이트(1)와 밸브 시트를 구비한 스위치 밸브.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브림(8)의 상기 제 2 부분이 상기 제 1 부분(6)으로부터 멀리 향하는 브림 엣지(10)를 구비하고, 상기 브림 엣지(10)는 상기 길이방향 축선(L)에 대해 축선 방향으로 상기 제 2 부분(8)의 반경방향 섹션으로부터 뻗어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폐쇄된 위치로부터 통과-유동 위치로 이동될 수 있는 밸브 플레이트(1)와 밸브 시트를 구비한 스위치 밸브.
  3. 청구항 1 또는 2에 있어서,
    상기 브림의 상기 제 1 부분(6)이 적어도 0°의 각도, 바람직하게는 적어도 5°의 각도, 특히 바람직하게는 적어도 10°의 각도로 뻗어있고 그리고 상기 길이방향 축선(L) 쪽으로, 최대 25°의 각도, 바람직하게는 최대 20°의 각도, 특히 바람직하게는 15°의 각도로 뻗어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폐쇄된 위치로부터 통과-유동 위치로 이동될 수 있는 밸브 플레이트(1)와 밸브 시트를 구비한 스위치 밸브.
  4. 청구항 1 내지 3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브림의 상기 제 1 부분은 적어도 하나의 갭(12)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폐쇄된 위치로부터 통과-유동 위치로 이동될 수 있는 밸브 플레이트(1)와 밸브 시트를 구비한 스위치 밸브.
  5. 청구항 4에 있어서,
    상기 브림의 상기 제 2 부분(8)은 상기 길이방향 축선(L)에 대해 반경방향 섹션과 관련하여 날개형 패널의 형상의 단면을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폐쇄된 위치로부터 통과-유동 위치로 이동될 수 있는 밸브 플레이트(1)와 밸브 시트를 구비한 스위치 밸브.
  6. 청구항 1 내지 5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밸브 플레이트 표면(2)은 원형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폐쇄된 위치로부터 통과-유동 위치로 이동될 수 있는 밸브 플레이트(1)와 밸브 시트를 구비한 스위치 밸브.
  7. 청구항 1 내지 6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압력 밸브는, 상기 밸브 플레이트(1)가 상기 밸브 플레이트 상에 작용하는 중량 힘에 의해 폐쇄된 위치에서 단지 유지되고 그리고 상기 밸브 플레이트 표면(2)에 작용하는 압력에 의해 폐쇄된 위치 외측으로 단지 이동되는 방식으로, 설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폐쇄된 위치로부터 통과-유동 위치로 이동될 수 있는 밸브 플레이트(1)와 밸브 시트를 구비한 스위치 밸브.
KR1020137013780A 2010-11-03 2011-10-25 스위치 밸브 KR101757512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EP10014257.9 2010-11-03
EP10014257.9A EP2450601B1 (de) 2010-11-03 2010-11-03 Schaltventil
PCT/EP2011/005372 WO2012059190A1 (de) 2010-11-03 2011-10-25 Schaltventil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30099161A true KR20130099161A (ko) 2013-09-05
KR101757512B1 KR101757512B1 (ko) 2017-07-26

Family

ID=4377066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37013780A KR101757512B1 (ko) 2010-11-03 2011-10-25 스위치 밸브

Country Status (17)

Country Link
US (1) US9360127B2 (ko)
EP (1) EP2450601B1 (ko)
JP (1) JP5964315B2 (ko)
KR (1) KR101757512B1 (ko)
CN (1) CN103270351B (ko)
AU (1) AU2011325498B2 (ko)
BR (1) BR112013010708B1 (ko)
CA (1) CA2816377C (ko)
DK (1) DK2450601T3 (ko)
ES (1) ES2600513T3 (ko)
HU (1) HUE030146T2 (ko)
MX (1) MX343987B (ko)
PL (1) PL2450601T3 (ko)
RU (1) RU2561965C2 (ko)
TW (1) TWI565893B (ko)
WO (1) WO2012059190A1 (ko)
ZA (1) ZA201303120B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AR099388A1 (es) 2014-01-17 2016-07-20 Pentair Flow Services Ag Válvula de alivio de baja presión operada por piloto
JP6490957B2 (ja) * 2014-12-17 2019-03-27 フタバ産業株式会社 弁装置、及び排気熱回収装置
CN107429850B (zh) * 2015-11-12 2019-10-22 费斯托股份有限两合公司 用于控制流体的流动的阀
TWI621993B (zh) * 2016-12-19 2018-04-21 韋僑科技股份有限公司 無線射頻識別感測與記錄裝置及其製造方法
DE102017119833A1 (de) * 2017-08-29 2019-02-28 Hengst Filter Systems (Kunshan) Co. Ltd. Druckbegrenzungsventil
CN108006359A (zh) * 2018-01-09 2018-05-08 吴兆和 一种防真空卸污管道疲劳破坏装置
USD846099S1 (en) * 2018-03-25 2019-04-16 William Thomas SMITH Valve aligner
EP3569904B1 (en) * 2018-05-18 2020-11-04 Fas Medic S.A. Valve assembly
DE102018113748B3 (de) * 2018-06-08 2019-07-11 Leinemann Gmbh & Co. Kg Tankventil und Tank mit einem derartigen Ventil
CN108799524B (zh) * 2018-08-27 2020-03-27 珠海格力电器股份有限公司 出水阀组件及包括其的加湿器
EP3719363A1 (de) * 2019-04-04 2020-10-07 Siemens Aktiengesellschaft Überdruckschutzanordnung

Family Cites Families (3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813539A (en) * 1955-11-01 1957-11-19 Victor W Farris Safety valves
DE1033474B (de) * 1956-05-07 1958-07-03 Bataafsche Petroleum Feder- oder gewichtsbelastetes Sicherheitsventil
US3131720A (en) * 1960-12-30 1964-05-05 Joseph P Horvath Relief valve
DE1600894A1 (de) * 1967-06-09 1970-04-02 Pfaudler Werke Ag Sicherheitsventil
US3945607A (en) * 1974-11-08 1976-03-23 Consolidated Brass Company Pressure safety valve
DE2950414C2 (de) * 1979-12-14 1986-03-20 Richter Chemie-Technik GmbH, 4152 Kempen Sicherheitsventil
SU956887A1 (ru) * 1980-06-11 1982-09-07 Харьковский Филиал Центрального Конструкторского Бюро Главэнергоремонта Министерства Энергетики И Электрификации Предохранительный клапан паровой турбины
US4676266A (en) * 1982-01-07 1987-06-30 Qualitrol Corporation Pressure relief device
CA1223499A (en) * 1983-09-30 1987-06-30 Dresser Industries, Inc. Low pressure high temperature safety valve
DE3541495C1 (de) * 1985-11-23 1989-11-23 Bopp & Reuther Gmbh, 6800 Mannheim Federbelastetes Sicherheitsventil fuer Gase und Daempfe
DE3738071A1 (de) * 1986-11-13 1988-05-19 Josef Nemetz Sicherheitsventil mit abdichtung an kolbenfuehrung
US4799506A (en) * 1987-05-20 1989-01-24 Taylor Wesley L Adjustable safety relief valve
US4932434A (en) * 1988-01-25 1990-06-12 Taylor Wesley L Adjustable safety relief valve
US4843187A (en) * 1988-02-05 1989-06-27 Qualitrol Corporation Gasket assembly and electrical power transformer including the same
IT1231087B (it) 1989-09-29 1991-11-12 Aeternum Srl Valvola di funzionamento per pentole a pressione.
CN2081021U (zh) 1990-12-21 1991-07-17 喻寿之 一种变压器压力释放阀
CN2108213U (zh) 1991-04-24 1992-06-24 尹海 高压锅安全阀
US5094266A (en) * 1991-05-22 1992-03-10 Ledbetter Harold J Pressure release valve
US5165444A (en) 1991-09-26 1992-11-24 Midland Manufacturing Corp. Spill valve
BE1005430A4 (nl) * 1991-09-26 1993-07-20 Breetec B V B A Klepinrichting.
US5782259A (en) * 1994-06-16 1998-07-21 Ledbetter; Harold J. Pressure relief valve
US6007234A (en) 1998-07-13 1999-12-28 Dynamic Air, Inc. Fluid injector
DE10060311A1 (de) * 2000-12-04 2002-06-13 Richter Chemie Tech Itt Gmbh Sicherheitsventil
CN2541695Y (zh) 2002-05-15 2003-03-26 徐友顺 防超压防拆卸微压限制器
US7552744B2 (en) * 2003-03-19 2009-06-30 Maschinenfabrik Reinhausen Gmbh Decompression valve
NZ524996A (en) 2003-03-27 2005-09-30 Itw New Zealand Ltd Valve assembly
US7210497B2 (en) 2003-12-19 2007-05-01 Qualitrol Corporation Pressure relief device with increased flow rate
JP4654747B2 (ja) * 2005-04-14 2011-03-23 トヨタ自動車株式会社 流体用開閉弁装置
US7383855B2 (en) * 2005-12-12 2008-06-10 Cashco, Inc. Sanitary tank vent valve
WO2007101901A1 (en) * 2006-03-06 2007-09-13 Polarteknik Pmc Oy Ab Suction valve
DE102006038740A1 (de) * 2006-08-17 2008-02-21 Schaeffler Kg Schaltdom eines Getriebes, insbesondere eines Kraftfahrzeug-Schaltgetriebes
CN201487369U (zh) * 2009-08-28 2010-05-26 郑州华正信息技术有限公司 软密封放散阀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CA2816377C (en) 2017-08-01
CN103270351A (zh) 2013-08-28
RU2561965C2 (ru) 2015-09-10
MX2013004586A (es) 2013-05-22
KR101757512B1 (ko) 2017-07-26
US9360127B2 (en) 2016-06-07
TW201231846A (en) 2012-08-01
EP2450601A1 (de) 2012-05-09
AU2011325498A1 (en) 2013-05-30
HUE030146T2 (en) 2017-04-28
BR112013010708B1 (pt) 2021-06-22
CA2816377A1 (en) 2012-10-05
PL2450601T3 (pl) 2017-01-31
RU2013125484A (ru) 2014-12-10
EP2450601B1 (de) 2016-08-10
TWI565893B (zh) 2017-01-11
AU2011325498B2 (en) 2016-04-07
JP2013543092A (ja) 2013-11-28
ES2600513T3 (es) 2017-02-09
JP5964315B2 (ja) 2016-08-03
WO2012059190A1 (de) 2012-05-10
ZA201303120B (en) 2014-07-30
US20130213497A1 (en) 2013-08-22
BR112013010708A2 (pt) 2020-08-04
MX343987B (es) 2016-12-01
CN103270351B (zh) 2015-07-08
DK2450601T3 (en) 2016-11-2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130099161A (ko) 스위치 밸브
US10690262B2 (en) Water hammer-proof air valve and water hammer-proof exhaust method for in-use pipeline
US20140096840A1 (en) Air release vent valve
EP2847018B1 (en) Quick response float-operated vapor vent valve
KR100369311B1 (ko) 밀폐부의압력을주변의대기압과같아지도록하는압력릴리프밸브
US9403103B2 (en) Method for carrying out a mass-transfer process in a column
CN107270020A (zh) 一种平板闸阀
AU2013327419B2 (en) Combination air valve
KR102373717B1 (ko) 댐핑 기능을 구비한 안전 밸브
KR101576752B1 (ko) 벤트기능과 릴리프기능을 갖는 밸브장치 및 그 작동방법
CN105626918B (zh) 高性能弹簧全启式安全阀
EP2994685B1 (en) Air release valve with elastic rolling shutter
KR101061244B1 (ko) 안전 방출 밸브
CN201180826Y (zh) 微启式防颤振安全阀
CN105331831B (zh) 钛渣炉防爆装置
KR20120017224A (ko) 솔레노이드밸브
JPH0972443A (ja) バネ式安全弁
US20190219024A1 (en) Francis Turbine And Method Of Operating Same
CN115492936A (zh) 一种高性能安全阀
KR20130003641A (ko) 터빈 추기 방지용 스윙체크밸브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