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30098211A - 피부의 스트레스 축적량의 측정방법 - Google Patents

피부의 스트레스 축적량의 측정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30098211A
KR20130098211A KR1020130019000A KR20130019000A KR20130098211A KR 20130098211 A KR20130098211 A KR 20130098211A KR 1020130019000 A KR1020130019000 A KR 1020130019000A KR 20130019000 A KR20130019000 A KR 20130019000A KR 20130098211 A KR20130098211 A KR 20130098211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kin
mif
stratum corneum
expression level
amoun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3001900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아키코 에노모토
미나코 다카하시
Original Assignee
가부시키가이샤환케루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Priority claimed from JP2012243088A external-priority patent/JP5700705B2/ja
Application filed by 가부시키가이샤환케루 filed Critical 가부시키가이샤환케루
Publication of KR2013009821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30098211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5/00Measuring for diagnostic purposes; Identification of persons
    • A61B5/44Detecting, measuring or recording for evaluating the integumentary system, e.g. skin, hair or nails
    • A61B5/441Skin evaluation, e.g. for skin disorder diagnosis
    • A61B5/445Evaluating skin irritation or skin trauma, e.g. rash, eczema, wound, bed sore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N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DETERMINING THEIR CHEMICAL OR PHYSICAL PROPERTIES
    • G01N33/00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specific methods not covered by groups G01N1/00 - G01N31/00
    • G01N33/48Biological material, e.g. blood, urine; Haemocytometers
    • G01N33/50Chemical analysis of biological material, e.g. blood, urine; Testing involving biospecific ligand binding methods; Immunological testing
    • G01N33/68Chemical analysis of biological material, e.g. blood, urine; Testing involving biospecific ligand binding methods; Immunological testing involving proteins, peptides or amino acids
    • G01N33/6863Cytokines, i.e. immune system proteins modifying a biological response such as cell growth proliferation or differentiation, e.g. TNF, CNF, GM-CSF, lymphotoxin, MIF or their receptors

Landscapes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olecular Biology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Immunology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Urology & Nephrology (AREA)
  • Pa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Hematology (AREA)
  • Cell Biology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Biophysics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Surgery (AREA)
  • Medical Informatics (AREA)
  • Proteomics, Peptides & Aminoacids (AREA)
  • Biotechnology (AREA)
  • Heart & Thoracic Surgery (AREA)
  • Microbiology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Dermatology (AREA)
  • F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Medicinal Chemistry (AREA)
  • Analytical Chemistry (AREA)
  • Biochemistry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Investigating Or Analysing Biological Material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사용자에게 부담을 주지 않고, 피부의 스트레스의 축적량을 측정하고, 또한 민감 피부인지 여부를 간편하고 확실하게 평가할 수 있는 생화학적 지표를 사용한 신규한 검사방법을 제공하는 것을 과제로 한다.
상기 과제를 해결하기 위해, 본 발명은 피부 각질층을 테이프 스트리핑법 등에 의해 비침습적으로 채취하여, 그 중에 함유되는 MIF의 발현량을 측정함으로써 스트레스의 축적량을 측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피부의 스트레스 축적량의 측정방법{Analysis method for skin stress accumulation}
본 발명은 인간 피부의 스트레스 축적량의 측정방법에 관한 것이다.
인간의 피부는 항상 외계(外界)와 접촉하고 있어, 다양한 자극을 받고 있다. 그 자극의 대표적인 것은 자외선이다. 자외선은, 외견상으로는 커다란 변화를 피부에 주고 있지 않은 경우라도, 피부 세포의 DNA의 절단이나 콜라겐의 변성 등을 유발하여, 피부노화의 원인이 되고 있다. 자외선은 항상 피부에 스트레스를 계속해서 주고 있다. 또한 여성에게 있어서는, 세안이나 화장 등의 일상적인 행위도 피부에 자극을 주고 있어, 이들 자극이 피부에는 잠재적인 스트레스로서 축적된다. 그리고 이들 자극(스트레스)에 대한 저항성이 어떠한 원인으로 감소하면 민감 피부로서 인식되게 된다. 이러한 피부의 외적 자극의 축적량을 본 발명에서는 피부의 스트레스 축적량이라고 한다. 한편 민감 피부란, 명확한 피부 병변은 없지만 불리, 유해한 반응이 일어나기 쉬운 피부로서 파악되고 있다. 그리고 이러한 민감 피부의 원인으로서 스트레스의 축적이 일정 레벨에 도달하면, 피부의 감수성이 높아진다고도 한다. 또한 민감 피부는, 건강한 정상 피부보다 외적 자극에 대한 저항성이 낮아, 용이하게 피부 트러블이 생기는 피부라고도 할 수 있다. 최근 들어, 민감 피부를 의식하는 여성이 증가하는 경향이 있어, 화장품 등에 대해서도 보다 자극이 적은 것이 요망되어지고 있다.
화장품의 판매 현장에서는 미용 전문가에 의한 문진을 행하고, 피부 스트레스의 축적 상황이나 민감 피부 여부를 평가하여 피부에 주는 스트레스(자극)가 적은 화장품을 추천해 왔다. 그러나 최근 들어 통신판매 등, 화장품 전문가를 개재시키지 않는 판매방법이 보급되어, 이 때문에, 피부의 스트레스 상태를 확인하고, 또한 민감 피부의 레벨을 전문가가 아니더라도 간편하게 평가하는 것이 요망되어 왔다. 이것이 가능해지면, 전문가의 문진에 의하지 않고도, 사용자의 피부의 스트레스 상태나 민감 피부인지 여부를 평가하여, 적절한 화장품을 스스로 선택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또한 사용자의 피부에 따라 적합한 화장품이나 화학박피제(chemical peeling agent)를 간단하게 선택할 수 있어, 그것에 의해, 피부의 염증 등의 피부 트러블이나 부작용을 회피하여, 화장품에 의한 스킨 케어나 화학박피 시술 등의 유익성을 보다 높일 수 있다. 이 때문에, 문진에 의하지 않고도, 피부의 외적 자극 노출 이력(피부 스트레스의 축적량)을 평가하고, 또한 민감 피부인지 여부를 객관적으로 판별하는 방법이 요구되고 있다.
특허문헌 1에는, 피부에 화장료를 도포하고, 그 후 박리되어지는 피부 각질층을 회수해서 관찰하여, 피부의 민감성을 평가하는 방법이 개시되어 있다. 그러나 이 방법은, 화장품마다 모두 검사해야만 하며, 또한 사용자의 피부 스트레스의 축적량은 평가할 수 없다.
특허문헌 2에는, 캡사이신과 같은 자극성 물질을 피부에 도포하여, 민감 피부인지 여부를 평가하기 위한 방법이 개시되어 있다. 그러나 캡시노이드와 같은 자극성이 강한 것을 사용하는 시험방법은, 피험자에게 있어서도 바람직하지 못하다.
특허문헌 3에는, 얼굴 각질층의 칼프로텍틴 존재량을 측정하여, 민감 피부 여부를 평가하는 방법이 개시되어 있다.
대식세포 유주 저지 인자(이하, MIF로 기재한다)는, 염증·면역의 메디에이터 중 하나로, 대식세포의 유주를 제어하고, 염증 부위에 대식세포를 모아, 식세포작용(phagocytic activity)을 높이는 액성 인자이다. MIF는 만성 관절 류머티즘, 신장염(비특허문헌 1: Expert Opin Ther Targets, 7, 2, 153-164, 2003), 아토피성 피부염(비특허문헌 2: Biochem Biophys Res Commun, 240, 11, 173-8, 1997), 건선(비특허문헌 3: B J Dermatol, 141, 1061-66, 1999), 궤양성 대장염, 패혈증, 접촉성 피부염(비특허문헌 4: Eur J Immunol, 33, 1478-87, 2003), 자외선에 의한 염증(비특허문헌 5: J Invest Dermatol, 112, 2, 210-15, 1999), 지연성 알레르기(비특허문헌 6: Pro Natl Acad Sci USA, 93, 7849-54, 1996), 급성·만성 염증 질환(비특허문헌 7: J End, 179, 15-23, 2003), 관절염, 이식편 거부반응, 종양 성장, 혈관 신생, 빈혈, 뇌척수염 등의 염증성 질환의 병리 과정에 관여하여 증가하는 것이 알려져 있다.
일본국 특허공개 평10-295648호 공보 일본국 특허공개 제2004-067681호 공보 일본국 특허 제4469762호 공보
Expert Opin Ther Targets, 7, 2, 153-164, 2003 Biochem Biophys Res Commun, 240, 11, 173-8, 1997 B J Dermatol, 141, 1061-66, 1999 Eur J Immunol, 33, 1478-87, 2003 J Invest Dermatol, 112, 2, 210-15, 1999 Pro Natl Acad Sci USA, 93, 7849-54, 1996 J End, 179, 15-23, 2003
전술한 바와 같이, 피부의 스트레스의 축적량을 평가하여, 민감 피부인지 여부를 객관적으로 평가하는 방법이 요망되고 있다. 그 검사방법은, 외과적으로 피부를 적출하고, 피부에 자극을 주는 등의 사용자에게 부담을 주는 방법이 아닌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은 사용자에게 부담을 주지 않고, 피부의 스트레스의 축적량을 평가하여, 표본 집단 중의 스트레스 축적량의 상대 위치를 명확하게 하는 것이 요망되고 있다.
본 발명은 피부의 스트레스의 축적량을 측정하는 방법을 제공하는 것을 과제로 한다.
본 발명의 구성은 아래와 같다.
(1) 피부 각질층의 대식세포 유주 저지 인자(MIF)를 측정함으로써 인간 피부의 스트레스 축적량을 측정하는 방법.
(2) 스트레스 축적량의 측정이, 측정 부위의 피부의 MIF량과 사전에 측정한 정상의 인간 피부의 MIF의 발현량의 상대값을 산출하는 것인 (1)에 기재된 방법.
(3) 피부 각질층을 채취하는 채취 공정과, 상기 채취 공정에서 채취된 각질층 세포에 있어서의 MIF의 발현량을 측정하는 측정 공정과, 상기 측정 공정에서 측정된 MIF의 발현량을 건강한 정상 피부의 피부 각질층에 있어서의 MIF의 발현량과 비교하는 비교 공정을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1) 또는 (2)에 기재된 방법.
(4) 피험자의 평가 대상 부위의 각질층을 채취하는 채취 공정과, 상기 채취 공정에서 채취된 각질층에 있어서의 MIF의 발현량을 측정하는 측정 공정과, 상기 측정 공정에서 측정된 MIF의 발현량을, 건강한 정상 피부를 가진 사람의 상기 평가 대상 부위의 각질층의 MIF의 발현량과 비교하는 비교 공정을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1) 또는 (2)에 기재된 방법.
(5) 피부 각질층의 대식세포 유주 저지 인자(MIF)의 발현량을 사전에 또는 동시에 측정한 표본 집단의 피부의 MIF의 발현량 분포와 상대 비교하여, 검체의 집단 중의 상대 위치를 산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인간 피부의 스트레스 축적량의 산출방법.
(6) 피부 각질층의 대식세포 유주 저지 인자(MIF)의 발현량의 많고 적음을 지표로 하는 민감 피부의 검사방법.
(7) 대식세포 유주 저지 인자(MIF)의 발현량의 측정이 웨스턴 블롯에 의한 것인 (6)에 기재된 방법.
본 발명의 검사방법에 의하면, 피부 스트레스의 축적량을 각질층에 있어서의 MIF의 발현량을 측정함으로써 알 수 있다. 또한 이 MIF 발현량을 지표로 하여, 간편하게 피부가 민감 피부인지 여부를 검사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검사방법은, 테이프 스트리핑법 등 간편한 조작방법으로 평가 시료를 채취하기 때문에, 피험자의 부담이 적고, 누구든지 간단하게 평가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또한 생화학적인 시험방법으로, 누가 측정해도 동일한 결과가 얻어지기 때문에, 종래와 같은 전문가의 면담방식에 의한 카운셀링이 불필요해진다.
도 1은 일광 노출에 의한 스트레스 부하의 축적이 각질층에 잔존하는 것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2는 햇볕에 그을림(스트레스)의 정도에 따라 MIF의 발현량이 증가하여, 피부에 축적되고 있는 것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3은 햇볕에 그을림에 의한 발적(發赤)과 MIF 축적이 관계성을 가지고 있는 것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4는 건강한 정상 피부를 SDS 세정에 의해 스트레스를 주었을 때, MIF가 각질층에 축적되는 것을 확인한 도면이다.
도 5는 건강한 정상 피부를 아세톤/에테르로 세정했을 때의 피부 수분 증산량(TEWL)의 경시 변화를 측정한 그래프이다.
도 6은 건강한 정상 피부를 아세톤/에테르로 세정했을 때의 MIF 축적량의 경시 변화를 측정한 그래프이다.
도 7은 뺨, 전완부(前腕部), 둔부(臀部)의 피부 각질층 MIF 축적량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8은 표본 집단의 MIF 발현량의 히스토그램이다.
도 9는 자기 신고에 의한 피부의 민감성과 뺨 각질층 MIF 축적량이 관계성을 가지고 있는 것을 나타낸 도면이다.
이하, 본 발명에 대해서 상세하게 설명한다.
본 발명에서 말하는 피부의 스트레스 축적량이란, 인간 피부에 대한 외인성·내인성 자극에 의한 장애의 축적량을 말한다. 예를 들면, 인간 피부의 외인성 자극에 의한 피부 장애로서는, 자외선 조사에 의한 피부 장애, 계면활성제에 의한 피부 장애, 건조에 의한 피부 장애, 물리적인 자극(두드림, 누름, 세게 긁음, 잡아당김 등)에 의한 피부 장애, 알레르기성을 갖는 물질(꽃가루, 화학물질 등)에 의한 염증, 외래의 (병원성)미생물의 독소나 구성 성분 등에 의한 염증을 들 수 있다. 인간 피부의 내인성 자극에 의한 피부 장애로서는, 전신적인 이상(영양실조, 탈수 증상, 발열, 호르몬 분비 이상 등)에 의한 내인성 산화 스트레스에 의한 피부 장애를 들 수 있다. 인간 피부의 스트레스 축적량이란, 이들 중 하나 또는 복합된 피부 장애의 축적량을 말한다.
또한, 스트레스가 축적된 피부는 민감 피부의 성질을 강하게 나타내, 외계 자극에 대한 저항성이 현저하게 낮아, 용이하게 피부 트러블을 발생시킬 가능성이 높다. 민감 피부의 증상으로서, 화장품을 사용하여 붉은 기나 가려움을 느끼거나, 청량감이 강한 화장품이 피부에 맞지 않거나, 에탄올이 들어간 화장품이 피부에 맞지 않거나, 향수나 향료가 들어간 화장품이 피부에 맞지 않거나, 마사지 등 물리적인 자극에 의해 피부의 상태가 나빠지거나, 평소의 생활에서도 자외선을 쐬거나 하면 피부가 붉어지고, 따끔거리기 쉽거나, 땀을 흘린 뒤에 가려움이 생기거나, 화장품이나 세제가 맞지 않아 붉은 기나 가려움이 생기는 경우가 있다. 이들 피부 트러블을 반복하여 발증함으로써, 피부의 노화 현상(주름, 기미, 탄력성의 저하 등)을 발생시킬 가능성이 높아진다.
본 발명의 검사방법은, 피부 각질층에 있어서의 MIF의 발현량의 많고 적음을 지표로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고 있다.
MIF란 전술한 바와 같이 면역 메디에이터의 일종으로, 아토피성 피부염이나, 자외선에 의한 햇볕에 그을림으로 인한 자극으로, 표피세포 증식을 촉진시키는 시그널로서 작용하고 있다. 본 발명은 이 시그널이 각질층에 축적되어 피부의 스트레스 축적의 지표가 될 수 있는 것을 발견하였다.
본 발명에 있어서의 민감 피부란, 명확한 피부 병변은 없지만 불리, 유해한 반응이 일어나기 쉬운 피부를 말한다. 또한, 건강한 정상 피부보다 외계 자극에 대한 저항성이 낮아, 용이하게 피부 트러블을 발생시키는 피부라고도 할 수 있다. 한편, 건강한 정상 피부란, 상기와 같은 민감 피부의 성질을 나타내지 않는 건강하고 정상적인 피부이다. 민감 피부에 있어서는, 경피 수분 증산량(TEWL)이 높아지고, 고주파 전도도(각질층 수분량)가 낮아지는 등의 경향이 있는 것이 알려져 있다. 또한, 민감 피부의 경우는, 접촉성 피부염이나 피부 거칠어짐이 일어나는 경우가 있다.
각질층은 피부의 가장 위에 있는 조직으로, 체외로부터의 이물질이나 자극으로부터 피부를 지키는 작용을 가지고 있다.
본 발명에 있어서의 평가 대상 부위는, 각질층을 입수할 수 있는 부분이라면 어떠한 부위도 포함할 수 있지만, 주된 부위로서는 안면, 경부(頸部), 상완부(上腕部)를 들 수 있다. 종래의 방법에 따라, 이들 부위의 피부 유래의 각질층을 얻을 수 있다. 그러나, 전술 한 바와 같이, 외과적으로 피부를 적출하는 등의 방법은 사용자에게 부담을 주기 때문에, 테이프 스트리핑, 찰과(擦過) 등의 간편하게 각질층을 얻을 수 있는 방법이 바람직하다.
이렇게 해서 준비한 각 시료에 있어서의 MIF의 발현량은, 종래부터 알려져 있는 방법으로 측정할 수 있다. 예를 들면, MIF에 대한 항체와의 반응에 기초하는 효소면역분석법(enzyme immunoassay), 방사면역분석법(radioimmunoassay), 웨스턴 블로팅(Western blotting) 등의 방법을 사용할 수 있다.
각 시료로부터 MIF를 그것 자체 기지의 생화학적 방법, 예를 들면 동결 융해법, 초음파 파쇄법, 호모제네이트법(homogenate method) 등을 매개로 가용성 분획을 조제한다. 추출 후, 신속하게 측정한다.
스트레스가 축적된 피부나 민감 피부는, 건강한 정상 피부에 비해 각질층에 있어서의 MIF의 발현량이 유의하게 높기 때문에, 각질층에 있어서의 MIF의 발현량의 많고 적음을 지표로 하여, 간편하게 스트레스의 축적량 또는 피부가 민감 피부인지 여부를 평가할 수 있다. 본 발명에 사용하는 각질층은, 테이프 스트리핑 등의 각질층의 표층 부분만을 각질 테이프로 채취하는 간단한 방법으로 채취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피부에 자외선이나 화학물질 등의 자극을 주지 않고 MIF의 발현량을 측정할 수 있다. 이 때문에, 사용자에게 부담을 주지 않고, 사용자의 피부가 민감 피부인지 여부를 평가할 수 있다. 특히, 사용자의 피부에 따라 적합한 화장품이나 화학박피제를 간단하게 선택할 수 있어, 그것에 의해, 피부의 염증 등의 피부 트러블이나 부작용을 회피하여, 화장품에 의한 스킨 케어나 유익성을 보다 발휘시킬 수 있다.
본 발명의 검사방법은, 각질층을 채취하는 채취 공정과, 상기 채취 공정에서 채취된 각질층에 있어서의 MIF의 발현량을 측정하는 측정 공정과, 상기 측정 공정에서 측정된 MIF의 발현량을 건강한 정상 피부의 각질층에 있어서의 MIF의 발현량과 비교하는 비교 공정으로 구성된다. 또는, 본 발명의 검사방법은, 각질층을 채취하는 채취 공정과, 상기 채취 공정에서 채취된 각질층에 있어서의 MIF의 발현량을 측정하는 측정 공정과, 상기 측정 공정에서 측정된 MIF의 발현량을 표본 집단의 각질층에 있어서의 MIF의 발현량의 분포와 비교하는 비교 공정으로 구성된다. 이하에 이 검사방법에 대해서 설명한다.
먼저, 상기와 같이 하여 측정된 MIF의 발현량을 건강한 정상 피부의 각질층에 있어서의 MIF의 발현량과 비교한다. 또한, 피험자의 어떤 평가 대상 부위의 각질층에 있어서의 MIF의 발현량을 측정하여, 측정된 MIF의 발현량을, 건강한 정상 피부를 가진 사람의 동일 평가 대상 부위의 각질층에 있어서의 MIF의 발현량과 비교해도 된다. 건강한 정상 피부를 가진 사람의 각질층의 MIF의 발현량은, 복수 명의 건강한 정상 피부를 가진 사람으로부터의 데이터의 평균값을 사용함으로써, 보다 객관적인 평가가 가능하다.
또는, 피험자의 어떤 평가 대상 부위의 각질층에 있어서의 MIF의 발현량을 측정하여, 측정된 MIF의 발현량을, 표본 집단의 동일 평가 대상 부위의 각질층에 있어서의 MIF의 발현량의 분포와 비교해도 된다. 표본 집단의 MIF의 발현량의 분포를 사용함으로써, 보다 객관적인 평가가 가능하다.
이와 같이 비교한 결과, 측정된 MIF의 발현량이 건강한 정상 피부의 MIF의 발현량보다 유의하게 큰 경우, 또는, 표본 집단의 MIF의 발현량 분포와 비교하여, MIF의 발현량이 크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스트레스의 축적이 크다고 평가하고, 또한 민감 피부일 가능성이 높다고 평가할 수 있다. 이 건강한 정상 피부의 시료는, MIF를 측정하는 사람으로부터 채취해도 되고, MIF를 측정하는 사람과 상이한 사람으로부터 채취해도 된다. 또한, 이 표본 집단은 통계적으로 유효한 규모에서 무작위로 추출하는 것이 바람직하지만, 목적에 따라서, 예를 들면, 성별, 연령별로 표본 집단을 추출하는 것도 바람직하다.
또한, 피험자의 어떤 평가 대상 부위의 각질층에 있어서의 MIF의 발현량이, 건강한 정상 피부를 가진 사람의 동일 평가 대상 부위의 각질층에 있어서의 MIF의 발현량보다 유의하게 큰 경우, 또는, 표본 집단의 동일 평가 대상 부위의 각질층에 있어서의 MIF의 발현량 분포와 비교하여, MIF의 발현량이 크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도, 스트레스의 축적이 크다고 평가한다. 또한 이 수치가 현저하게 높은 경우에 민감 피부를 갖는다고 평가한다.
즉 스트레스 축적이 높다고 평가하는 경우, 측정되는 MIF의 발현량 정도에 따라, 스트레스의 축적량 정도를 평가할 수 있다. 측정되는 MIF의 발현량이 건강한 정상 피부의 발현량, 또는, 표본 집단의 발현량 분포와 비교하여 현저하게 많다고 판단되는 경우는, 그 피부는 민감 피부의 성질을 강하게 나타내, 건강한 정상 피부 또는 표본 집단의 평균보다 외계 자극에 대한 저항성이 현저하게 낮아, 매우 용이하게 피부 트러블을 발생시킬 가능성이 높다. 또한, 측정되는 MIF의 발현량이 건강한 정상 피부의 발현량과 비교하여 소량만큼만 증가하고 있는 경우, 또는, 측정되는 MIF의 발현량이 표본 집단의 그 발현량 분포와 비교하여, 평균값보다 조금 크다고 판단되는 경우는, 그 피부는 스트레스의 축적량이 표본 집단의 평균값보다 많지만, 외계 자극에 대한 저항성이 낮아 피부 트러블을 발생시킨다고 하는 민감 피부의 레벨에는 도달하지 않았다고 평가할 수 있다.
이하, 구체적인 실시예에 대해서 설명하지만, 본 발명은 하기의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실시예]
(실험 1) 자외선 조사에 의한 피부 스트레스 축적량의 시험
(1) 일광 노출(자외선)에 의한 스트레스 부하
건강한 남녀 12명을 피험자로 하여 시험을 실시하였다.
일광 노출 전의 뺨 부위의 피부로부터 각질층을 테이프 스트리핑(각질층 테이프: 아사히 테크노 라보 제조)으로 박리 채취하였다. 채취 후, 피험자는 비연속적으로 1~5일간, 스포츠 관전이나 바다 등에서 일상보다 강한 일광을 쐬었다(햇볕에 그을리는 정도이지만, 일광의 조사 강도나 시간은 비컨트롤). 일광 노출 후 1~2일째, 3~4일째, 7~8일째에, 동일하게 하여, 뺨 부위 피부로부터 각질층을 테이프 스트리핑으로 박리 채취하였다. 또한 일광 노출 후 1~2일째의 햇볕에 그을림의 정도를, 피부색 측정장치 CM-508D(MINOLTA사)를 사용해서 측정하였다.
(2) 피부 각질층 중 단백질 추출방법
각 각질층 테이프 1매에 대하여 500 ㎕의 T-PER Tissue Protein Extraction Reagent(Thermo Scientific 제조)를 넣고, 약 0.8 g의 유리 비드를 첨가하여 25분간 볼텍싱(vortexing)하여, 각질층을 파쇄하고, 각질층으로부터 단백질을 추출하였다.
(3) 피부 각질층 단백질의 정량
회수한 단백질 용해액의 단백질량을 Pierce BCA Protein Assay Kit(Thermo Scientific 제조)를 사용하여 정량하였다.
(4) MIF의 정량
상기 파쇄액으로부터, MIF량을 human MIF Duo set(R&D systems)를 사용하여 통상의 방법에 따라 측정하였다.
(5) 결과
가. 일광에 의한 햇볕에 그을림과 각질층 중 MIF량의 변동
각질층 중의, 일광 노출 후의 단위 각질층 단백질당 MIF량(이하, MIF량이라고 한다)의 변동을 도 1에 나타낸다. 일광 노출의 영향은 7~8일 후에도 각질층에 잔존하는 것이 확인되었다.
나. 햇볕에 그을림의 정도와 각질층 중 MIF량의 관계
피부색 측정의 결과로부터, 햇볕에 그을림의 정도를 다음의 2군으로 나눠서, MIF량과의 관계를 확인하였다.
  햇볕에 그을림 강군(强群)(피부가 검어졌다): ΔL*(시험 후-시험 전)<-1
  햇볕에 그을림 약군(弱群)(피부에 변화 없음): ΔL*(시험 후-시험 전)≥-1
각질층 중의, 일광 노출 후의 MIF량의 변동을 도 2에 나타낸다. 도 2로부터 L*값이 저하된(피부가 검어진) 햇볕에 그을림 강군은, 햇볕에 그을림 약군과 비교하여 MIF의 발현량이 높은 것이 확인되었다. 또한 MIF의 발현량은, 일광 노출 7일째에 있어서도 현저하게 높았다.
다. 햇볕에 그을림에 의한 발적의 정도와 각질층 중 MIF량의 관계
피험자를, 일광 노출 후에 염증을 나타낸(발적이 생긴) 사람과 발적이 생기지 않은 사람의 2군으로 나눴을 때의, 각질층 중의 MIF량의 변동을 도 3에 나타낸다. MIF량은 일광 노출 후 7일째까지 높은 값을 나타내고 있어, 일광 노출에 의한 영향은 7일째까지 남아 있는 것을 알 수 있었다.
또한 발적은 MIF값을 상승시켰다.
이상의 결과로부터 일광 노출의 영향은 7~8일 경과 후에도 피부에 잔존하여 스트레스로서 축적되고 있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실험 2) 계면활성제로의 세정에 의한 피부 스트레스 축적량의 시험
(1) 황산 도데실 나트륨에 의한 지나치게 가혹한 세정시험
건강한 정상 피부를 가진 남성 9명의 피부를 10% 황산 도데실 나트륨(SDS) 수용액(대조: 정제수에 의해 세정)으로 세정하여, 피부에 스트레스를 주었다.
전완 내측부에 10% SDS 수용액 0.2 g을 도포하고, 손가락으로 100 왕복시킨 후, 37℃의 정제수 500 ㎖로 씻어 내렸다. 이 조작을 5회/일×2일간 실시하였다.
(2) 샘플 채취방법
실험 1과 동일하게 각질층 테이프(아사히 테크노 라보 제조)에 의해 전완 내측부의 피부로부터 각질층을 채취하였다. 가혹한 세정시험 종료 후 4일째에 피험자 1인당, 각질층 테이프 30매를 사용해서 동일 세정 개소의 각질층 채취를 행하여, 각질층의 심부(深部) 시료를 채취하였다.
(3) 피부 각질층 중 단백질 추출방법
실험 1과 동일하게, 각 각질층 테이프 1매에 대하여 500 ㎕의 T-PER Tissue Protein Extraction Reagent(Thermo Scientific 제조)를 넣고, 약 0.8 g의 유리 비드를 첨가하여 25분간 볼텍싱하여, 각질층을 파쇄하고, 각질층으로부터 단백질을 추출하였다.
(4) 피부 각질층 단백질의 정량
단백질 용해액의 단백질량을 Pierce BCA Protein Assay Kit(Thermo Scientific 제조)를 사용하여 정량하였다.
(5) MIF의 정량
상기 파쇄액으로부터, MIF량을 human MIF Duo set(R&D systems)를 사용하여 정해진 법칙에 따라 측정하였다.
(6) 결과 
MIF량 분석 결과를 도 4에 나타낸다.
SDS와 같은 계면활성제가 피부에 침투하면 자극으로서 인식되어, 각질층에 MIF가 축적되는 것을 알 수 있었다. 따라서 각질층의 MIF량을 측정함으로써, 피부 심부의 스트레스 이력을 측정할 수 있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실험 3) 유기 용매에 의한 피지의 제거와 피부 스트레스 축적량의 시험
(1) 아세톤/디에틸에테르 용액에 의한 피지의 용출과 스트레스 축적 시험
건강한 정상 피부를 가진 여성 3명의 피부를 아세톤/디에틸에테르 등량 혼합액으로 세정하여, 피지를 제거해서 피부에 스트레스를 주었다.
전완 내측에 상하가 뚫린 유리제 깔때기(지름 3 ㎝)를 고무 밴드로 고정하고, 아세톤(WAKO 특급)/디에틸에테르(WAKO 특급) 등량 혼합액을 깔때기 내에 피펫맨(Pipetman)으로 2 ㎖ 주입하여, 셰이커의 위에 양팔을 두고 20분간 처리하였다. 이어서, 깔때기 내의 아세톤/디에틸에테르 등량 혼합액을 스포이트로 제거한 후, 수돗물을 주입하여, 셰이커 위에 양팔을 두고 5분간 처리하였다(탈지처리). 다음날, 동일 부분에 재차 탈지처리를 행하여, 건조 피부를 제작하였다. 또한, 대조로서 동일한 처리를 수돗물로 조작하였다. 탈지처리에 의해 피부의 보습성이 저하되어, 피부는 피지가 회복될 때까지 외기에 의해 계속적인 스트레스에 노출되게 된다.
(2) 지속적인 스트레스의 존재 확인
경표피 수분 증산량(TEWL)을, 상기 처리의 전날, 1, 5, 8, 12, 16일에 측정하여, 피부에 있어서의 스트레스의 상태를 확인하였다. TEWL은 키스톤사의 Delfin을 사용하여 2회씩 측정한 평균값을 해석에 사용하였다. 대조와의 비교에서 TEWL이 높은 경우 스트레스가 축적되어 있는 것으로 평가하였다.
(3) MIF 측정 샘플 채취방법
실험 1과 동일하게 각질층 테이프(아사히 테크노 라보 제조)에 의해 전완 내측부의 피부로부터 각질층을 채취하였다. 세정시험 종료 후 4일째에 피험자 1인당, 각질층 테이프 깊이방향으로 4매를 사용해서 동일 세정 개소의 각질층 채취를 행하여, 각질층의 심부 시료를 채취하였다.
(4) 피부 각질층 중 단백질 추출방법
실험 1과 동일하게, 각 각질층 테이프 1매에 대하여 500 ㎕의 T-PER Tissue Protein Extraction Reagent(Thermo Scientific 제조)를 넣고, 약 0.8 g의 유리 비드를 첨가하여 25분간 볼텍싱하여, 각질층을 파쇄하고, 각질층으로부터 단백질을 추출하였다.
(5) 피부 각질층 단백질의 정량
단백질 용해액의 단백질량을 Pierce BCA Protein Assay Kit(Thermo Scientific 제조)를 사용하여 정량하였다.
(6) MIF의 정량
상기 파쇄액으로부터, MIF량을 human MIF Duo set(R&D systems)를 사용하여 정해진 법칙에 따라 측정하였다.
(7) 결과 
가. 스트레스의 지속 상태
TEWL의 경시 변화를 도 4에 나타낸다. TEWL값은, 아세톤/디에틸에테르 세정 후 급격하게 상승하여 16일 경과 후에도 대조와 비교하여 높은 값을 나타내었다. 이것은, 피부의 피지가 제거된 영향이 16일간 스트레스로서 잔존하고 있는 것을 의미하고 있다.
나. MIF량의 분석 결과
MIF량 분석 결과를 도 5에 나타낸다.
피지의 제거 조작 직후의 MIF값은, 대조와 큰 차이는 없었지만, 5일째부터 상승하여, 16일 경과 후에도 높은 값을 나타내었다. 이것은 피지의 제거에 의해 외계 자극이 보다 강하게 인식되어, 각질층에 MIF가 축적되는 것을 알 수 있었다. 따라서 각질층의 MIF량을 측정함으로써, 피부 심부의 스트레스 이력을 측정할 수 있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실험 4) 외계의 스트레스를 항상 받고 있는 안면과 비교적 스트레스를 받고 있지 않은 전완부나 둔부 피부의 MIF를 측정하여, 피부에 축적되어 있는 스트레스의 정도를 평가하였다.
시험방법
(1) 시료의 채취
건강한 정상 피부를 가진 남녀 30명으로부터, 뺨, 전완, 둔부로부터 테이프 스트리핑법에 의해 각질층 샘플을 채취하였다.
(2) MIF의 측정
실험 1과 동일하게 처리하여, 단백질을 추출하고, 단백질량과 MIF량을 측정하여, 단위 단백질량당 MIF량으로서 도 7에 나타내었다. 또한 표기는 평균값±S.E.로 나타내었다.
도 7의 결과로부터 명확한 바와 같이, MIF의 측정 결과는 일상적인 스트레스가 높은 안면(뺨)에서 특히 높고, 노출이 적은 둔부에서는 현저하게 낮았다. 이상의 결과로부터 MIF는 피부의 일상적인 스트레스를 평가하는 지표로 할 수 있는 것이 명확해졌다.
(실험 5) 표본 집단의 각질층의 MIF량을 측정하여, 히스토그램을 작성하였다.
시험방법
(1) 시험 시료의 채취
무작위로 선발한 여성 458명을 대상으로 하여, 뺨 부위로부터 테이프 스트리핑법에 의해 각질층 샘플을 채취하였다. 샘플은 1부위로부터 1매 채취하였다.
(2) MIF의 측정
실험 1과 동일하게 처리하여, 단백질을 추출하고, 단백질량과 MIF량을 측정하여, 단위 단백질량당 MIF량으로서 해석하였다. 표본 집단의 각질층의 MIF량의 히스토그램을 도 8에 나타낸다.
도 8에 나타낸 바와 같이, MIF의 발현량은, 0.1 pg/㎍ total protein으로부터 2 pg/㎍ total protein을 초과하는 값까지의 넓은 범위에서 분포하고 있다. 평균값은 0.46 pg/㎍ total protein이었다. 평균값 0.46 pg/㎍ total protein 이상의 값을 MIF의 발현량이 크다고 판단해도 좋고, 0.3 pg/㎍ total protein의 누적도수가 약 50%이기 때문에, 0.3 pg/㎍ total protein을 초과하는 값을, MIF의 발현량이 크다고 판단해도 좋을 것으로 생각한다. 어느 경우에도, MIF의 발현량이 클수록, 인간 피부의 스트레스 축적량은 크다고 판단할 수 있다.
(실험 6) 인간 피부의 스트레스 축적량에 관한 앙케이트 결과와, MIF량의 대비
실험 5의 표본 집단으로부터 무작위로 195명을 추출하고, 인간 피부의 스트레스 축적량에 관한 앙케이트를 실시하여, 그 결과와 MIF의 발현량을 대비하였다.
(1) 피부의 민감성 앙케이트
피험자에게 피험자의 피부가 「비민감」, 「약간 민감」, 「민감」의 3종류 중 어느 것인지 선택하게 하였다.
하기 민감성의 10 요인을 피험자에게 제시하여, 비민감(민감하지 않다), 약간 민감(약간 민감하다), 민감(민감하다) 중 어느 것에 해당하는지 피험자에게 자기 판단케 하였다.
1 화장품을 사용하여 붉은 기나 가려움을 느끼는 경우가 있다
2  청량감이 강한(시원한) 화장품이 피부에 맞지 않는 경우가 있다
3 에탄올이 들어간 화장품이 피부에 맞지 않는 경우가 있다
4 향수나 향료가 들어간 화장품이 피부에 맞지 않는 경우가 있다
5 피부가 약하기 때문에 화장품을 신중하게 고르고 있다
6 마사지 등 물리적인 자극에 의해 피부의 상태가 나빠지는 경우가 있다
7 평소의 생활에서도 자외선을 쐬거나 하면 피부가 붉어지거나, 따끔거리기 쉽다
8 땀을 흘린 뒤에 가려움이 생기는 경우가 있다
9 화장품이나 세제가 맞지 않아 붉은 기나 가려움이 생긴다
10 화장품의 피부 트러블에 의해 병원에 치료를 받으러 다닌 경험이 있다
「민감」을 선택하는 사람은 인간 피부의 스트레스 축적량이 높고, 「비민감」을 선택하는 사람은 인간 피부의 스트레스 축적량이 낮을 것으로 예상하였다.
(2) 피부의 민감성 앙케이트 결과와 MIF량의 관계
상기 (1)의 피부의 민감성 앙케이트 결과(비민감 74명, 약간 민감 101명, 민감 20명)와 MIF량의 관계를 도 9에 나타낸다.
자기 피부를 비민감이라고 한 회답자의 MIF 발현량의 평균값은 0.5 pg/㎍ total protein(SD 0.6, SE 0.1), 약간 민감이라고 한 회답자의 MIF 발현량의 평균값은 0.4 pg/㎍ total protein(SD 0.4, SE 0.0)이었다. 한편, 자기 피부를 민감이라고 한 회답자의 MIF 발현량은 0.8 pg/㎍ total protein(SD 0.8, SE 0.2)이었다. 피부가 민감하다고 자기 신고한 사람의 MIF 발현량은, 다른 사람과 비교하여 두드러지게 높다.
MIF 발현량을 측정함으로써 민감 피부인지 여부를 용이하게 검사할 수 있는 것이 명확해졌다.

Claims (7)

  1. 피부 각질층의 대식세포 유주 저지 인자(MIF)를 측정함으로써 인간 피부의 스트레스 축적량을 측정하는 방법.
  2. 제1항에 있어서,
    스트레스 축적량의 측정이, 측정 부위의 피부의 MIF량과 사전에 측정한 정상의 인간 피부의 MIF의 발현량의 상대값을 산출하는 것인 방법.
  3.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피부 각질층을 채취하는 채취 공정과, 상기 채취 공정에서 채취된 각질층 세포에 있어서의 MIF의 발현량을 측정하는 측정 공정과, 상기 측정 공정에서 측정된 MIF의 발현량을 건강한 정상 피부의 피부 각질층에 있어서의 MIF의 발현량과 비교하는 비교 공정을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4.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피험자의 평가 대상 부위의 각질층을 채취하는 채취 공정과, 상기 채취 공정에서 채취된 각질층에 있어서의 MIF의 발현량을 측정하는 측정 공정과, 상기 측정 공정에서 측정된 MIF의 발현량을, 건강한 정상 피부를 가진 사람의 상기 평가 대상 부위의 각질층의 MIF의 발현량과 비교하는 비교 공정을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5. 피부 각질층의 대식세포 유주 저지 인자(MIF)의 발현량을 사전에 또는 동시에 측정한 표본 집단의 피부의 MIF의 발현량 분포와 상대 비교하여, 검체의 집단 중의 상대 위치를 산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인간 피부의 스트레스 축적량의 산출방법.
  6. 피부 각질층의 대식세포 유주 저지 인자(MIF)의 발현량의 많고 적음을 지표로 하는 민감 피부의 검사방법.
  7. 제6항에 있어서,
    대식세포 유주 저지 인자(MIF)의 발현량의 측정이 웨스턴 블롯에 의한 것인 방법.
KR1020130019000A 2012-02-27 2013-02-22 피부의 스트레스 축적량의 측정방법 KR20130098211A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4)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2012040197 2012-02-27
JPJP-P-2012-040197 2012-02-27
JPJP-P-2012-243088 2012-11-02
JP2012243088A JP5700705B2 (ja) 2012-02-27 2012-11-02 皮膚の乾燥ストレス量の測定方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30098211A true KR20130098211A (ko) 2013-09-04

Family

ID=4909452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30019000A KR20130098211A (ko) 2012-02-27 2013-02-22 피부의 스트레스 축적량의 측정방법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KR (1) KR20130098211A (ko)
CN (1) CN103293292A (ko)

Family Cites Familie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DE10100121A1 (de) * 2001-01-03 2002-08-01 Henkel Kgaa Verfahren zur Bestimmung des Hautstreß oder der Hautalterung in vitro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CN103293292A (zh) 2013-09-1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Buhé et al. Pathophysiological study of sensitive skin
Misery et al. Sensitive skin
Luebberding et al. Skin physiology in men and women: in vivo evaluation of 300 people including TEWL, SC hydration, sebum content and skin surface pH
Richters et al. What is sensitive skin? A systematic literature review of objective measurements
Misery Sensitive skin
Binder et al. Confocal Raman spectroscopy: In vivo measurement of physiological skin parameters–A pilot study
Guerra-Tapia et al. Diagnosis and treatment of sensitive skin syndrome: an algorithm for clinical practice
TWI580964B (zh) 皮膚的壓力蓄積度的評價方法
Liu et al. Positive association of pro-inflammatory biomarkers and increased oxidative stress in the healthy elderly
JP2024026167A (ja) マイクロニードルパッチを含む最小侵襲的皮膚状態の診断キット
Amirnia et al. Assessment of zinc and copper contents in the hair and serum and also superoxide dismutase, glutathion peroxidase and malondi aldehyde in serum in androgenetic alopecia and alopecia areata
JP4469762B2 (ja) 敏感肌の評価方法及びその評価キット
TWI600904B (zh) 皮膚應激蓄積度的評價方法
TWI612307B (zh) 對紫外線損傷的抵抗性的評價方法
KR20130098211A (ko) 피부의 스트레스 축적량의 측정방법
TWI541506B (zh) 皮膚壓力蓄積的評價方法
JP5731598B2 (ja) 荒れ肌の評価方法
JP5535571B2 (ja) 表皮ターンオーバーの評価方法及びその用途
JP6397733B2 (ja) ニキビ肌評価方法
JP2010115178A (ja) 皮膚の炎症の予測方法及びその用途
Farage Understanding the Sensitive Skin Subject to Achieve a More Holistic Diagnosis. Cosmetics 2021, 8, 81
Norton Age-Related Changes in Human Skin
Diehl The burden of sensitive skin
JP2021117164A (ja) 皮膚炎症状態の評価方法
Richters et al. Conclusions and general discussion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WITN Withdrawal due to no request for examin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