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30098051A - 홍삼, 당귀, 진피 및 녹차의 생약 추출물을 함유하는 혈관 질환의 예방 또는 치료용 조성물 - Google Patents

홍삼, 당귀, 진피 및 녹차의 생약 추출물을 함유하는 혈관 질환의 예방 또는 치료용 조성물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30098051A
KR20130098051A KR1020120019860A KR20120019860A KR20130098051A KR 20130098051 A KR20130098051 A KR 20130098051A KR 1020120019860 A KR1020120019860 A KR 1020120019860A KR 20120019860 A KR20120019860 A KR 20120019860A KR 20130098051 A KR20130098051 A KR 20130098051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red ginseng
green tea
dermis
herbal
angelica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2001986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392204B1 (ko
Inventor
강종성
김영호
명창선
조정원
Original Assignee
충남대학교산학협력단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충남대학교산학협력단 filed Critical 충남대학교산학협력단
Priority to KR102012001986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392204B1/ko
Publication of KR2013009805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30098051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39220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392204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36/00Medicinal preparations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containing material from algae, lichens, fungi or plants, or derivatives thereof, e.g. traditional herbal medicines
    • A61K36/18Magnoliophyta (angiosperms)
    • A61K36/185Magnoliopsida (dicotyledons)
    • A61K36/25Araliaceae (Ginseng family), e.g. ivy, aralia, schefflera or tetrapanax
    • A61K36/258Panax (ginseng)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L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NOT COVERED BY SUBCLASSES A21D OR A23B-A23J; THEIR PREPARATION OR TREATMENT, e.g. COOKING, MODIFICATION OF NUTRITIVE QUALITIES, PHYSICAL TREATMENT; PRESERVATION OF FOODS OR FOODSTUFFS, IN GENERAL
    • A23L33/00Modifying nutritive qualities of foods; Dietetic products; Preparation or treatment thereof
    • A23L33/10Modifying nutritive qualities of foods; Dietetic products; Preparation or treatment thereof using additives
    • A23L33/105Plant extracts, their artificial duplicates or their derivativ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36/00Medicinal preparations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containing material from algae, lichens, fungi or plants, or derivatives thereof, e.g. traditional herbal medicines
    • A61K36/18Magnoliophyta (angiosperms)
    • A61K36/185Magnoliopsida (dicotyledons)
    • A61K36/23Apiaceae or Umbelliferae (Carrot family), e.g. dill, chervil, coriander or cumin
    • A61K36/232Angelica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36/00Medicinal preparations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containing material from algae, lichens, fungi or plants, or derivatives thereof, e.g. traditional herbal medicines
    • A61K36/18Magnoliophyta (angiosperms)
    • A61K36/185Magnoliopsida (dicotyledons)
    • A61K36/75Rutaceae (Rue family)
    • A61K36/752Citrus, e.g. lime, orange or lemon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36/00Medicinal preparations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containing material from algae, lichens, fungi or plants, or derivatives thereof, e.g. traditional herbal medicines
    • A61K36/18Magnoliophyta (angiosperms)
    • A61K36/185Magnoliopsida (dicotyledons)
    • A61K36/82Theaceae (Tea family), e.g. camellia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PSPECIFIC THERAPEUTIC ACTIVITY OF CHEMICAL COMPOUNDS OR MEDICINAL PREPARATIONS
    • A61P9/00Drugs for disorders of the cardiovascular system
    • A61P9/10Drugs for disorders of the cardiovascular system for treating ischaemic or atherosclerotic diseases, e.g. antianginal drugs, coronary vasodilators, drugs for myocardial infarction, retinopathy, cerebrovascula insufficiency, renal arteriosclerosi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VINDEXING SCHEME RELATING TO 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AND LACTIC OR PROPIONIC ACID BACTERIA USED IN FOODSTUFFS OR FOOD PREPARATION
    • A23V2200/00Function of food ingredients
    • A23V2200/30Foods, ingredients or supplements having a functional effect on health
    • A23V2200/326Foods, ingredients or supplements having a functional effect on health having effect on cardiovascular health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VINDEXING SCHEME RELATING TO 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AND LACTIC OR PROPIONIC ACID BACTERIA USED IN FOODSTUFFS OR FOOD PREPARATION
    • A23V2200/00Function of food ingredients
    • A23V2200/30Foods, ingredients or supplements having a functional effect on health
    • A23V2200/3262Foods, ingredients or supplements having a functional effect on health having an effect on blood cholesterol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2236/00Isolation or extraction methods of medicinal preparations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containing material from algae, lichens, fungi or plants, or derivatives thereof, e.g. traditional herbal medicine
    • A61K2236/30Extraction of the material
    • A61K2236/33Extraction of the material involving extraction with hydrophilic solvents, e.g. lower alcohols, esters or ketones
    • A61K2236/331Extraction of the material involving extraction with hydrophilic solvents, e.g. lower alcohols, esters or ketones using water, e.g. cold water, infusion, tea, steam distillation, decoction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2236/00Isolation or extraction methods of medicinal preparations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containing material from algae, lichens, fungi or plants, or derivatives thereof, e.g. traditional herbal medicine
    • A61K2236/30Extraction of the material
    • A61K2236/33Extraction of the material involving extraction with hydrophilic solvents, e.g. lower alcohols, esters or ketones
    • A61K2236/333Extraction of the material involving extraction with hydrophilic solvents, e.g. lower alcohols, esters or ketones using mixed solvents, e.g. 70% EtOH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Natural Medicines & Medicinal Plant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Botany (AREA)
  • Medicinal Chemistry (AREA)
  • Mycology (AREA)
  • Pharmacology & Pharmac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Biotechnology (AREA)
  • Medical Informatics (AREA)
  • Microbiology (AREA)
  • Epidemiology (AREA)
  • Alternative & Traditional Medicine (AREA)
  • Bioinformatics & Cheminformatics (AREA)
  • Urology & Nephrology (AREA)
  • Vascular Medicine (AREA)
  • Cardiology (AREA)
  • Heart & Thoracic Surgery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General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Nuclear Medicine, Radiotherapy & Molecular Imaging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Nutrition Science (AREA)
  • F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Polymers & Plastics (AREA)
  • Medicines Containing Plant Substanc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홍삼, 당귀, 진피 및 녹차를 함유하는 혈관 질환의 예방 또는 치료용 조성물에 관한 것으로, 상기 조성물은 혈소판 응집억제 효과가 뛰어나 동맥경화증, 고혈압, 협심증, 심근경색, 허혈성 심장질환, 심부전, 경혈관 동맥 성형술 후 발생하는 합병증, 뇌경색, 뇌출혈, 및, 뇌졸중 등을 비롯한 혈관 질환의 치료제로서 유용하게 사용될 수 있다.

Description

홍삼, 당귀, 진피 및 녹차의 생약 추출물을 함유하는 혈관 질환의 예방 또는 치료용 조성물 {Composition comprising herbal extract of red ginseng, Angelicae gigantis Radix, citrus peel and green tea leaves for treating or preventing vascular diseases}
본 발명은 홍삼, 당귀, 진피 및 녹차의 생약 추출물을 함유하는 혈관 질환의 예방 또는 치료용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현대 사회에서 혈관 질환은 심각한 사회적 문제로 대두되고 있다. 2010년 통계청에서 발표한 사망원인 통계를 보면, 고혈압성 질환, 허혈성 심장 질환, 뇌혈관 질환을 포함한 혈관 질환은 우리나라 사망원인의 2위로서, 악성 종양 다음으로 높은 순위를 차지하고 있으며, 남성은 55세 이상, 여성은 65세 이상에서 혈관 질환의 사망률이 크게 증가한다. 특히 동맥경화증과 관련된 위험인자는 연령, 성별, 고혈압, 고지혈증, 당뇨병, 흡연, 운동 부족과 비만이다. 상기 혈관 질환으로는 동맥경화증, 고혈압, 협심증, 심근경색, 허혈성 심장질환, 심부전, 경혈관 동맥 성형술 후 발생하는 합병증, 뇌경색, 뇌출혈, 및, 뇌졸중 등이 있다. 혈관 질환 환자들은 이를 치료하기 위해 지속적인 약물을 투여받지만 현대 의학에서 완치가 되기는 쉽지 않다. 또 약물을 오래 투여하다가 보면 그에 대한 부작용도 크다.
한편, 혈관 질환의 예방 및 치료를 위하여 민간 또는 동의보감 등의 전통의서에 많은 생약이 소개되어 있는데, 그 중에서도 특히 당귀, 진피, 홍삼, 녹차 등은 그 활성이 전통의서 뿐 아니라 현대적인 실험에서도 증명이 되어 있다.
홍삼(紅衫, red ginseng)은 인삼(人蔘, ginseng)의 뿌리를 쪄서 제조한 붉은 인삼이다. 홍삼의 제조에 이용될 수 있는 인삼은 파낙스(Panax)속에 속하는 다년생 식물로, 고려인삼(Panax ginseng), 화기삼(Panax quinquefolia), 전칠삼(삼칠, Panax notoginseng), 죽절삼(Panax vietnamensis), 파낙스 엘레가티오르(Panax elegatior), 파낙스 완지아누스(Panax wangianus) 또는 파낙스 비핀라티피두스(Panax bipinratifidus), 파낙스 안구스티폴리움(Panax angustifolium) 등이 있다. 홍삼은 사포닌을 많이 함유하고 있는데, 식물계에서 존재하는 대부분의 사포닌은 올레아난(oleanane) 계열이고 홍삼 사포닌은 타 식물계에 거의 존재하지 않는 담마란(dammarane) 계열의 트리테르페노이드(triterpenoid) 사포닌으로서, 홍삼 특유의 사포닌 성분으로는 진세노사이드(ginsenoside) Rh2, Rg2, Rg3, Rg1, Rh1 등이 있다. 사포닌의 일반적인 특징은 물, 알코올에 잘 녹고 지속적으로 거품이 나며 생리적으로 해독작용이 있으며 과량 투여에 독성이 없다고 밝혀져 있다. 특히, 진세노사이드는 중추신경계를 비롯하여 내분비계, 면역계, 대사계 등에 영향을 미쳐 신체조절기능에 다양한 효과를 발휘한다고 알려져 있다. 홍삼은 자양강장작용, 면역증강작용, 혈당강하 등의 약리효과가 있으며, 심박출량과 중심정맥압을 낮춰서 혈관 질환에 탁월한 효과를 갖는다고 한다. 또한, 홍삼의 에탄올 추출물의 감마선 조사를 통한 항암효과 증대(비특허문헌 1), 발효홍삼 분말 급여에 의한 흰쥐의 혈청 지질 농도 및 항산화 활성에 미치는 영향(비특허문헌 2), 정상인에서 홍삼이 스트레스 반응 및 베타-아드레날린 수용체 기능에 미치는 효과(비특허문헌 3) 등에 개시된 바와 같이, 홍삼이 의료용, 기능성 식품 등 여러 분야에서 폭넓게 쓰일 수 있음이 알려져 있다. 이 외에도, 홍삼은 ‘피로회복’, ‘면역력 증진’, ‘혈소판 응집 억제를 통한 혈액 흐름에 도움’, ‘기억력 개선’ 등의 기능성이 인정된 바 있다. Yu 등이 동물의 혈소판에 홍삼 추출물을 처리한 결과, 혈소판 응집 유도 물질(콜라겐, 아라키돈산, 트롬빈 등)에 의해 유도된 혈소판 응집 물질이 용량 의존적으로 억제되되, APTT(activated partial thromboplastin time), PT(prothrombin time)에는 영향이 없는 것을 개시한 바 있으며(비특허문헌 4), Park 등의 연구에서는 홍삼 중 파낙사디올(panaxadiol)계 사포닌이 정상 성인 혈소판에서 트롬빈에 의한 TXA2(thromboxane A2) 생성을 감소시킴을 확인한 바 있다(비특허문헌 5). 신경섭 등은 20~65세의 건강인을 대상으로 하루에 홍삼 농축액 3g을 섭취시킨 사람들에게 이중맹검 연구를 수행한 결과, 혈소판 응집은 유의하게 감소하되, APTT는 유의차가 없었다고 보고한 바 있다(비특허문헌 6). 또한, 홍삼 제품류를 4~5년 동안 장기 섭취한 사람과 섭취하지 않은 사람을 비교한 이정희 등의 연구에서는 장기섭취군의 혈소판 응집 반응이 유의하게 감소하였으며 혈액응고시간이 유의하게 증가함이 보고된 바 있다(비특허문헌 7).
당귀(當歸, Angelicae gigantis Radix)는 참당귀(Angelica gigas Nakai)의 뿌리를 사용한다. 중국에서는 중국당귀(Angelica sinensis (Oliv.) Diels:中國當歸)를 사용하고 일본에서는 왜당귀(Angelica acutiloba (Sieb. & Zuc.) Kitagawa)를 사용한다. 당귀에는 주로 쿠마린(coumarin) 계통의 데커신(decursin), 데커시놀(decursinol), 데커시놀 안젤레이트(decursinol angelate) 등이 함유되어 있다. 데커신과 데커시놀은 진정, 진통, 진경작용, 항종양작용, 뇌세포 보호작용 등이 있으며, 특히 혈소판 응집 억제작용이 있어 혈관 치료에 효과가 있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한방에서는 당귀가 빈혈증, 부인병, 임산부의 산후 회복에 주로 쓰이며 이외에도 심한 기침, 부스럼 등에 효과가 있다고 알려져 있다. 또한, 당귀는 자궁을 튼튼하게 할 뿐 아니라 생리를 조절하여 어혈 등의 노폐물을 빼내는 역할을 하며 냉증, 혈색 불량 등을 개선시키며, 산전 산후의 회복에 도움이 되고, 피가 부족할 때 보혈작용을 할 뿐만 아니라, 피의 순환을 원활하게 해주고, 혈액 정화작용 및 장의 운동을 활발하게 해주므로 손발이 찬 증상을 개선시킬 수 있다고 한다(비특허문헌 8). 당귀에 관한 연구로는, 당귀 성분을 첨가한 한방 화장품 연구(비특허문헌 9), 당귀가 렛드(rat)의 손상된 좌골신경 재생에 미치는 영향(비특허문헌 10), 당귀 추출물 및 데커신의 피부노화 억제효능에 대한 연구(비특허문헌 11), 캡슐화 당귀 분말이 여성호르몬 변화 및 골다공증에 미치는 영향 연구(비특허문헌 12) 등이 보고된 바 있어, 당귀가 의료 목적 외에도 건강기능성 식품으로도 많은 관심을 받고 있음을 알 수 있다.
진피(陳皮, Citrus peel)는 우리나라에서는 운향과의 귤(Citrus unshiu Markovich) 또는 동속 근연식물(산초과 Rutaceae)의 성숙한 과피를 말한다. 일본에서는 귤(Citrus unshiu Markovich)과 병감(Citrus reticulata Blanco:柑)을 진피로, 귤감( Citrus tachibana(Makino) Tanaka:橘柑)을 귤피(橘皮)로 사용하고 있으며 중국에서는 병감(Citrus reticulata Blanco:柑) 및 그 재배변종을 진피로 규정하고 있다. 건조된 귤피에는 플라보노이드(flavonoid) 계열의 헤스페리딘(hesperidin), 루틴(rutin), 나린진(naringin), 네오헤스페리딘(neohesperidin) 등이 있으며 리모노이드(limonoid) 계열의 노밀리닉산(nomilinic acid) 등이 있으며, 특히, 헤스페리딘이 4.0% 이상 함유되어 있다. 이 외에도, 비타민 B1, 비타민 C, 칼슘, 철분, 식이섬유 등이 다랑 함유되어 있다. 이 중에서도, 상기 비타민 C는 신진대사를 원활하게 하여 체온이 내려가는 것을 막아주고 겨울철 감기를 예방하는 효과를 가져오며, 피부와 점막을 튼튼하게 하는 역할을 하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진피의 약효로는 건위, 구풍작용, 항알러지 작용 등이 있으나 가장 주된 효과는 모세관혈관 강화작용을 들 수 있으며, 이로 인해 진피를 고혈압, 뇌출혈, 뇌경색 등의 여러 혈관 질환의 예방 및 치료에 이용할 수 있다. 한편, 진피에 대해서는, 진피의 항톡소포자충 효과(비특허문헌 13), 제주산 진피를 이용한 단일 침출차의 가공 특성 및 항산화성(비특허문헌 14), 진피의 항염 효과(비특허문헌 15)에 관한 연구 등이 있으며, 주로 진피의 항산화 효과에 초점을 맞춰 연구가 되어 왔다.
녹차(綠茶, green tea)는 차나무로부터 채취할 수 있는데 차나무는 인도 앗샴 지역이 원산지이다. 녹차의 성분으로는 페놀 화합물(phenolic compound)인 카테친(catechin), 에피카테친(epicatechin), 에피카테친 갈레이트(epicatechin gallate) 등이 있고 퓨린 알칼로이드(purine alkaloid)인 카페인(caffeine), 잔틴(xanthine) 등이 있다. 카테친은 특히 활성산소를 없애는데 뛰어난 효과가 있으며, 비타민 C의 40~100배의 항산화력을 가지고 있으며, 항염증, 항돌연변이, 항암작용 등이 있고 항고혈압작용, 모세관혈관 강화작용, 항혈전 작용이 있어 심혈관계 치료 및 예방에 도움이 된다고 알려진 기능성 물질이다. 녹차에 대한 연구로는, 항-당뇨 효과에 대한 메타회귀분석(비특허문헌 16), 녹차추출물로부터 항균물질의 분리 및 구조 동정(비특허문헌 17), 열수 녹차추출물이 생쥐의 체중 및 부고환 지방축적 조절에 미치는 영향(비특허문헌 18) 등의 연구가 진행된 바 있다.
한편, 상기 생약들에 대해서, 진피와 홍삼 등이 혼합된 생약 조성물의 메탄올 추출물이 항혈전 효과가 있다는 것이 한국등록특허 제512252호(특허문헌 1)에 개시되어 있고, 홍삼 분말이 주성분인 조성물에 당귀 추출물이 포함된 식품이 혈소판 응집 억제 효과가 있음이 한국공개특허 제2011-0122499호(특허문헌 2)에 개시되어 있고, 홍삼을 주성분으로 하는 조성물이 혈액순환 개선에 효과가 있음이 한국등록특허 제345040호(특허문헌 3)에 개시되어 있으며, 진피가 일부 포함된 생약 혼합물의 추출물이 동맥경화에 치료가 있음이 한국등록특허 제787174호(특허문헌 4)에 개시가 되어 있기는 하지만, 홍삼, 당귀, 진피 및 녹차 추출물이 모두 포함된 조성물이 혈관 질환에 치료 효과가 있음은 아직까지는 개시된 바가 없다.
따라서 본 발명자들은 혈관 질환의 예방과 치료에 효과적인 약물을 연구하던 중, 홍삼, 당귀, 진피 및 녹차의 생약 추출물이 각각의 단일 생약 추출물보다 혈관 질환의 치료에 대해 탁월한 상승 효과가 있음을 확인함으로써 본 발명을 완성할 수 있었다.
한국등록특허 제512252호 (항혈전 조성물, 2005.09.05. 공고) 한국공개특허 제2011-0122499호 (홍삼분말을 이용한 건강 기능성 식품의 제조 방법, 2011.11.10. 공개) 한국등록특허 제345040호 (홍삼 복합물을 함유한 혈액순환개선제 및 그 제조 방법, 2002.07.24. 공고) 한국등록특허 제787174호 (반하, 백출, 천마, 진피, 복령, 산사, 희렴 및 황련을 포함하는 한약제제 혼합물의 동맥경화 및 관련 질환의 예방 및 치료용 추출물과, 이를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동맥경화 및 관련 질환의 예방 및 치료용 약학 조성물, 2002.07.24. 공고)
허정무, 김동호, 홍삼의 에탄올 추출물의 감마선 조사를 통한 항암효과 증대, Journal of applied biological chemistry, 2011, 54(1), 15~20 차재영 등, 홍국발효홍삼 분말 급여에 의한 흰쥐의 혈청 지질 농도 및 항산화 활성에 미치는 영향, 한국식품영양과학회지, 2009, 38(9), 1153~1160 신우용 등, 정상인에서 홍삼이 스트레스 반응 및 베타-아드레날린 수용체 기능에 미치는 효과, 대한정신약물학회지, 2009, 20(3), 135~140 Yu J. Y. et al., Antiplatelet and antithrombotic activities of Korean red ginseng, Arch. Pharm. Res., 2006, 29, 898~903 Park H. J. et al., Panaxadiol from Panax ginseng C.A. Meyer inhibits synthesis of Thromboxane A2 in platelet aggregation induced by thrombin, Korean J. Ginseng Sci., 1993, 17(2), 131~134 신경섭 등, 건강한 지원자에서 홍삼농축액의 혈행개선 효과 : 무작위, 이중맹검, 위약-대조시험, 고려인삼학회지, 2007, 31, 109~116 이정희, 김숙희, 장기적인 인삼 섭취가 인체의 혈전 관련 요인에 미치는 영향, 한국영양학회지, 1995, 28, 862~871 생약학교재편찬 위원회, 생약학, 2003 공혜정, 당귀 후박탕의 약리활성 검증과 이를 첨가한 한방화장품 연구, 대구한의대학교 석사학위논문, 2011 홍순성, 오민석, 당귀가 rat의 손상된 좌골신경 재생에 미치는 영향, 대한한의학회지, 2008, 29(2), 133~150 유미애, 당귀 추출물 및 데커신의 피부노화억제효능에 대한 연구, 아주대학교 박사학위논문, 2011 최경옥, 캡슐화 당귀 분말이 여성호르몬 변화 및 골다공증에 미치는 영향 연구, 세종대학교 석사학위논문, 2011 김혜경 등, 한약제 진피의 항톡소포자충 효과 확인, 동의생리병리학회지, 2008, 22(1), 96~99 유경미 등, 제주산 진피를 이용한 단일 침출차의 가공 특성 및 항산화성, 한국식품조리과학회지, 2005, 21(3), 354~359 정성웅, 진피의 항염효과에 관한 연구, 경희대학교 박사학위논문, 2009 윤아름, 최기헌, 녹차의 항-당뇨 효과에 대한 메타회귀분석, 한국데이터정보과학회지, 2011, 22(4) 717~726 신영희 등, 녹차추출물로부터 항균물질의 분리 및 구조동정, 한국식품저장유통학회지, 16(6), 2009, 924~928 박필준 등, 열수 녹차추출물이 생쥐의 체중 및 부고환 지방축적 조절에 미치는 영향, 한국식품과학회지 42(1), 2010, 103~108 Son D.J. et al., Antiplatelet effect of green tea catechins: a possible mechanism through arachidonic acid pathway. Prostaglandins, Leukotrienes and Essential Fatty Acids, 2004, 71, 25~31 Born G.V. et al., The aggregation of blood platelets. Journal of Physiology 1963, 168, 178~195
본 발명의 목적은 홍삼, 당귀, 진피 및 녹차의 생약 추출물을 함유하는 혈관 질환의 예방 또는 치료용 조성물을 제공하는 데에 있다.
본 발명은 홍삼, 당귀, 진피 및 녹차의 생약 추출물을 함유하는 혈관 질환의 예방 또는 치료용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상기 혈관 질환은 동맥경화증, 고혈압, 협심증, 심근경색, 허혈성 심장질환, 심부전, 경혈관 동맥 성형술 후 발생하는 합병증, 뇌경색, 뇌출혈, 및, 뇌졸중 등으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된 질환일 수 있다.
본 발명의 홍삼, 당귀, 진피 및 녹차의 생약 추출물은 통상적으로 사용되는 모든 추출방법을 사용하여 제조할 수 있으며, 예컨대, 침지(냉침, 온침), 열수 추출, 초음파 추출 또는 환류 냉각 추출법을 사용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또한, 상기 홍삼, 당귀, 진피 및 녹차의 생약 추출물은 통상적인 형태의 물, 알코올 수용액, 및, 알코올 중에 선택되는 추출용매로 추출하여 제조될 수 있으며, 이러한 추출물들은 단독으로 또는 허용 가능한 생약재를 추가하여 제조될 수 있다. 상기 알코올은 탄소수 1 내지 4개로 이루어진 저급 알코올일 수 있으며, 바람직하게는 에탄올, 메탄올, 프로판올, 이소프로판올 및 부탄올 중에서 선택될 수 있다.
상기 홍삼, 당귀, 진피 및 녹차의 생약 추출물은, 홍삼, 당귀, 진피 및 녹차가 2~6:1~2:1:1의 중량비율로 혼합된 생약 혼합물의 추출물일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추출물은, 홍삼, 당귀, 진피 및 녹차가 2~6:1~2:1:1의 중량비율로 혼합된 생약 혼합물에, 상기 생약 혼합물 중량의 5∼15배의 추출용매를 가하고 40~120℃의 온도에서 2~24시간, 바람직하게는 4~12시간 동안 추출하고 이를 여과하여 얻은 여과액을 건조 및 분말화하여 제조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추출과정을 1~3회 반복하여 추출할 수 있다. 상기 추출용매는 물, 알코올 수용액, 및, 알코올 중에서 선택되는 것일 수 있다.
상기, 본 발명의 추출물의 건조는 감압건조, 분무건조, 또는 동결건조 등의 통상적인 건조 방법을 이용하여 수행할 수 있다.
따라서, 바람직하게는, 본 발명의 추출물은,
(1공정) 홍삼, 당귀, 진피 및 녹차가 2~6:1~2:1:1의 중량비율로 혼합된 생약 혼합물에, 상기 생약 혼합물 중량의 5∼15배의 추출용매를 가하는 단계;
(2공정) 상기 생약 혼합물과 추출용매의 혼합물을 40~120℃의 온도에서 2~24시간 동안 추출하고 여과하여 여과액을 얻는 단계; 및,
(3공정) 상기 여과액을 건조 및 분말화하는 단계;를 포함하여 제조될 수 있다.
한편, 상기 2공정에서 여과액을 제거한 고형물에 1공정에서 이용한 추출용매를 동량으로 가한 후, 다시 2공정의 추출 및 여과 과정을 반복한 후, 3공정을 수행할 수 있다. 상기 추출 및 여과 과정은 1~3회 반복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홍삼, 당귀, 진피 및 녹차의 생약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혈관 질환의 예방 또는 치료용 조성물 내의 유효성분으로서의 추출물 함량은 사용 형태 및 목적, 환자의 중증도 등에 따라 적절히 조절할 수 있으며, 고형분의 중량 기준으로 0.01~99.9 중량%, 바람직하게는 0.1~50 중량%일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또한 상기의 조성물은 실제 임상투여 시에 경구 및 비경구의 여러 가지 제형으로 투여될 수 있으며, 제제화 할 경우에는 보통 사용하는 충진제, 중량제, 결합제, 습윤제, 붕해제, 계면활성제 등의 희석제 또는 부형제를 사용할 수 있다. 경구 투여를 위한 고형 제제에는 정제, 환제, 산제, 과립제, 캡슐제 등이 포함되며, 이러한 고형 제제는 홍삼, 당귀, 진피 및 녹차의 추출물 및 상기 추출물의 특정 용매 가용 추출물에 적어도 하나 이상의 부형제, 예컨대, 전분, 셀락토오스, 탄산칼슘, 크로스포비돈, 경질무수규산, 유당, 스테아린산 마그네슘, 탈크, 효소처리스테비아, 미결정 셀룰로오스, 마그네슘 스테아레이트, 젤라틴 등을 섞어 사용될 수 있다. 경구 투여를 위한 액상 제제로는 현탁제, 내용액제, 유제, 시럽제 등이 해당되는데 흔히 사용되는 단순희석제인 물, 리퀴드 파라핀 이외에 여러 가지 부형제, 예를 들면 습윤제, 감미제, 방향제, 보존제 등이 포함될 수 있다. 비경구 투여를 위한 제제에는 멸균된 수용액, 비수성용제, 현탁제, 유제, 동결건조제제가 포함될 수 있다. 비수성용제, 현탁용제로는 프로필렌글리콜, 폴리에틸렌 글리콜, 올리브 오일과 같은 식물성 기름, 에틸올레이트와 같은 주사 가능한 에스테르 등이 사용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추출물을 함유하는 조성물의 투여 용량은 환자의 체충, 연령, 성별, 건강상태, 식이, 투여시간, 투여방법, 배설율 및 질환의 중증도에 따라 달라질 수 있으며, 의사 또는 약사의 판단에 따라 일정 시간 간격으로 1일 1회~수회로 분할 투여할 수도 있다. 예컨대, 유효성분 함량 기준으로 1일 투여량이 0.001~500㎎/㎏, 바람직하게는 0.1~200㎎/㎏일 수 있다.
또 다른 측면에 있어서, 본 발명은 홍삼, 당귀, 진피 및 녹차의 생약 추출물을 함유하는 혈관 질환의 예방 또는 개선용 건강기능성식품을 제공한다. 상기 건강기능성식품은 각종 식품, 음료, 식품 첨가물 등일 수 있다.
상기 건강 기능성 식품에 함유된 유효성분으로서의 추출물의 함량은 식품의 형태, 사용하고자 하는 용도에 따라 적절하게 함유될 수 있으며, 예컨대, 전체 식품 중량의 0.01~50 중량%로 가할 수 있으며, 바람직하게는 0.1~10 중량%의 비율로 가할 수 있다. 또한 건강음료 조성물은 100㎖을 기준으로 0.02~10g, 바람직하게는 0.1~5g의 비율로 가할 수 있다.
본 발명의 건강음료 조성물은 지시된 비율로 필수 성분으로서 상기 추출물을 함유하는 것 외에 액체성분에는 특별한 제한점은 없으며 통상의 음료와 같이 여러 가지 향미제 또는 천연 탄수화물 등을 추가 성분으로서 함유할 수 있다. 상술한 천연 탄수화물의 예는 모노사카라이드, 예를 들어, 포도당, 과당 등의 디사카라이드, 예를 들어 말토스, 슈크로스 등의 폴리사카라이드, 예를 들어 덱스트린, 시클로덱스트린 등과 같은 통상적인 당 및 자일리톨, 소르비톨, 에리트리톨 등의 당알콜이다. 상술한 것 이외의 향미제로서 천연 향미제(타우마틴, 스테비아 추출물(예를 들어 레바우디오시드 A, 글리시르히진 등) 및 합성 향미제(사카린, 아스파르탐 등)를 유리하게 사용할 수 있다. 상기 천연 탄수화물의 비율은 본 발명의 조성물 100㎖당 일반적으로 1~20g, 바람직하게는 5~12g이다.
상기 외에 본 발명의 조성물은 여러 가지 영양제, 비타민, 광물(전해질), 합성 풍미제 및 천연 풍미제 등의 풍미제, 착색제 및 중진제(치즈, 초콜릿 등), 펙트산 및 그의 염, 알긴산 및 그의 염, 유기산, 보호성 콜로이드 증점제, pH 조절제, 안정화제, 방부제, 글리세린, 알코올, 탄산음료에 사용되는 탄산화제 등을 함유할 수 있다. 그밖에 본 발명의 조성물들은 천연 과일 주스 및 과일 주스 음료 및 야채 음료의 제조를 위한 과육을 함유할 수 있다. 이러한 성분은 독립적으로 또는 조합하여 사용할 수 있다. 이러한 첨가제의 비율은 그렇게 중요하진 않지만 본 발명의 조성물 100 중량부당 0.001~20 중량부의 범위에서 선택되는 것이 일반적이다.
특히, 본 발명의 추출물의 원료인 홍삼, 당귀, 진피 및 녹차는 예로부터 한방에서 사용되어 왔던 한약재로 인체에 투여할 경우 다른 합성 의약품에 비해 부작용의 염려가 없을 것으로 사료되며, 동물 실험을 통해 실제로 규격화된 생약 조성물에 대한 독성 시험 결과 생체내 아무런 영향이 없는 것으로 판명되었다.
상술한 바와 같이 홍삼, 당귀, 진피 및 녹차의 생약 추출물은 혈소판 응집 억제 효과가 우수하여 동맥경화증, 고혈압, 협심증, 심근경색, 허혈성 심장질환, 심부전, 경혈관 동맥 성형술 후 발생하는 합병증, 뇌경색, 뇌출혈, 및, 뇌졸중 등을 비롯한 혈관 질환을 효과적으로 예방 또는 억제할 수 있는 조성물로 유용하게 사용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 1에 개시된 홍삼, 당귀, 진피 및 녹차의 생약 추출물을 제조하는 방법을 나타낸 순서도이다.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그러나, 본 발명은 여기서 설명되는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고 다른 형태로 구체화될 수도 있다. 오히려, 여기서 소개되는 내용이 철저하고 완전해질 수 있도록 그리고 당업자에게 본 발명의 사상이 충분히 전달될 수 있도록 하기 위해 제공되는 것이다.
< 실시예 1. 홍삼, 당귀, 진피 및 녹차 추출물의 제조>
홍삼, 당귀, 진피 및 녹차를 하기 표 1의 조건으로 혼합하고, 상기 혼합물 총 1200g에 30% 에탄올 수용액 12ℓ를 가하고 90∼95℃에서 4시간 동안 2회 추출한 후, 이를 여과 및 동결건조하고 분말화하여, 홍삼, 당귀, 진피 및 녹차의 혼합 추출물을 얻었다.
조건 홍삼 (g) 당귀 (g) 진피 (g) 녹차 (g) 혼합 비율
실시예 1-1 400 400 200 200 2:2:1:1
실시예 1-2 600 200 200 200 3:1:1:1
실시예 1-3 600 300 150 150 4:2:1:1
실시예 1-4 800 133 133 134 6:1:1:1
실시예 1-5 480 240 240 240 2:1:1:1
실시예 1-6 720 240 120 120 6:2:1:1
< 실시예 2. 홍삼, 당귀, 진피 및 녹차 추출물의 제조 ②>
2-1. 100% 에탄올 이용
상기 실시예 1-4와 동일하게 홍삼, 당귀, 진피 및 녹차의 각각의 추출물의 혼합물을 제조하되, 100% 에탄올을 이용하여 추출물을 제조하였다.
2-2. 물 이용
상기 실시예 1-4와 동일하게 홍삼, 당귀, 진피 및 녹차의 각각의 추출물의 혼합물을 제조하되, 물을 이용하여 추출물을 제조하였다.
< 비교예 1. 비교대상 홍삼, 당귀, 진피 및 녹차 추출물의 제조 ①>
상기 실시예 1의 조건과 동일하게 홍삼, 당귀, 진피 및 녹차 혼합물의 추출물을 제조하되, 하기 표 2의 조건으로 각각의 추출물을 혼합하였다.
조건 홍삼 (g) 당귀 (g) 진피 (g) 녹차 (g) 혼합 비율
비교예 1-1 1200 - - - 1:0:0:0
비교예 1-2 - 1200 - - 0:1:0:0
비교예 1-3 - - 1200 - 0:0:1:0
비교예 1-4 - - - 1200 0:0:0:1
비교예 1-5 600 600 - - 1:1:0:0
비교예 1-6 600 - 600 - 1:0:1:0
비교예 1-7 600 - - 600 1:0:0:1
비교예 1-8 - 600 600 - 0:1:1:0
비교예 1-9 - 600 - 600 0:1:0:1
비교예 1-10 - - 600 600 0:0:1:1
비교예 1-11 400 400 400 - 1:1:1:0
비교예 1-12 400 400 - 400 1:1:0:1
비교예 1-13 400 - 400 400 1:0:1:1
비교예 1-14 - 400 400 400 0:1:1:1
비교예 1-15 924 92 92 92 10:1:1:1
비교예 1-16 92 924 92 92 1:10:1:1
비교예 1-17 92 92 924 92 1:1:10:1
비교예 1-18 92 92 92 924 1:1:1:10
비교예 1-19 686 342 86 86 8:4:1:1
비교예 1-20 134 800 133 133 1:6:1:1
비교예 1-21 100 100 500 500 1:1:5:5
< 실험예 1. 추출물의 혈소판 응집억제 효과 확인>
1-1. 실험원리
토끼로부터 혈장을 추출하여 세척 혈소판(WP, washed platelets)을 Son D.J. et al.(비특허문헌 19)을 참고하여 약간의 수정방법으로 조제하였다. 아고니스트(agonist : inducer)는 콜라겐(collagen; Chronolog Co. USA #385)을 이용하였고, 혈소판 응집 억제능은 Born G.V. et al.(비특허문헌 20)을 참고하여, 혈소판 응집 측정 장치(platelet aggregometer, ChronoLog Co. USA)를 사용한 탁도 측정 방법(turbidity method)으로 측정하였다.
1-2. 혈소판 풍부혈장( platelet rich plasma )의 제조
토끼의 귀 동맥에서 항응고제인 3.8%(w/v) 구연산나트륨(sodium citrate) 5 ㎖을 넣은 튜브를 이용하여 혈액 45㎖을 채혈하였다(구연산나트륨:혈액 = 1:9, v/v). 혈소판 풍부혈장(PRP; platelet rich plasma)은 채혈한 전혈을 상온에서 120×g로 10분 동안 원심분리기(Vision Co., Korea)로 분리하여 상층액에서 얻었다.
1-3. 토끼 세척 혈소판( rabbit washed platelet )의 제조
혈소판 풍부혈장을 300×g에서 10분 동안 원심 분리하여 얻은 침전물을 2mM EDTA(ethylene diamine tetraacetic acid)를 포함한 세척용 버퍼(washing buffer : 129mM NaCl, 0.8mM KH2PO4, 8.9mM NaHCO3, 2.8mM KCl, 0.8mM MgCl2, 5.6mM glucose, 10mM HEPES, pH 7.4)로 세척하였다. 이 후, 상기 세척된 침전물을 0.35% BSA(bovine serum albumin)가 함유된 타이로이드 버퍼(modified Tyrode's buffer : 129mM NaCl, 0.8mM KH2PO4, 8.9mM NaHCO3, 2.8mM KCl, 0.8mM MgCl2, 5.6mM glucose, 10mM HEPES, pH 7.4)에 조심스럽게 재현탁시켰다. 혈소판 수는 코울터 카운터(Coulter Counter, Coulter Electronics, Hialeah, FL, USA)를 이용하여 4×108세포/㎖로 조정하였다.
1-4. 혈소판 응집 측정
토끼 세척 혈소판 247.5㎕를 취하여 CaCl2 1mM을 첨가하고 1,000rpm에서 교반하면서 37℃로 반응(incubation)시킨 후 2분이 경과된 후 실시예 및 비교예의 생약 추출물을 10㎎/㎖의 농도로 DMSO(dimethyl sulfoxide, DMSO는 최종 농도가 0.1% 이하가 되게 함)에 녹인 샘플 2.5㎕를 처리하였고, 3분이 경과된 후에 아고니스트인 콜라겐을 투여하여 혈소판 응집을 유도하였다. 혈소판 활성화 억제 작용은 콜라겐으로 유도된 응집(%)을 대조군(A:control aggregation)으로, 각 생약 추출물을 전처리한 후 유도된 응집(%)을 샘플군(B:sample aggregation)으로 하여 하기 계산식에 따라 억제백분률(inhibition, %)로 나타내었다.
Figure pat00001
A: control aggregation (%)
B: sample aggregation (%)
1-5. 혈소판 응집 측정 결과
상기 각 시료의 혈소판 응집을 측정한 결과는 하기 표 3과 같다.
조건 혈소판 응집 억제율 (%)
실시예 1-1 95.4±2.7
실시예 1-2 92.5±1.5
실시예 1-3 85.6±2.6
실시예 1-4 96.7±3.4
실시예 1-5 84.8±1.5
실시예 1-6 93.9±2.5
실시예 2-1 92.6±3.2
실시예 2-2 79.5±0.9
비교예 1-1 27.0±1.6
비교예 1-2 44.6±2.3
비교예 1-3 12.6±2.4
비교예 1-4 10.5±1.5
비교예 1-5 43.3±0.6
비교예 1-6 33.4±0.7
비교예 1-7 34.5±0.8
비교예 1-8 46.6±2.5
비교예 1-9 47.7±1.6
비교예 1-10 12.4±2.7
비교예 1-11 43.5±3.5
비교예 1-12 47.7±1.4
비교예 1-13 31.4±2.5
비교예 1-14 42.3±1.3
비교예 1-15 33.4±1.4
비교예 1-16 42.7±1.7
비교예 1-17 47.4±2.8
비교예 1-18 42.5±1.5
비교예 1-19 44.7±1.6
비교예 1-20 41.8±0.4
비교예 1-21 19.2±0.7
< 실험예 2 : 독성실험>
2-1. 급성독성
본 발명의 홍삼, 당귀, 진피 및 녹차의 생약 추출물을 단기간에 과량을 섭취하였을 때 급성적(24시간 이내)으로 동물체내에 미치는 독성을 조사하고, 치사율을 결정하기 위하여 본 실험을 수행하였다. 일반적인 마우스인 ICR 마우스 계통 20마리를 대조군과 실험군에 각각 10마리씩 배정하였다. 대조군에는 PEG-400/tween-80/에탄올(8/1/1, v/v/v) 만을 투여하고, 실험군은 실시예 1-4의 홍삼, 당귀, 진피 및 녹차의 생약 추출물을 상기 PEG-400/tween-80/에탄올(8/1/1, v/v/v)에 녹여 2g/㎏/day의 농도로 각각 경구투여하였다. 투여 24시간 후에 각각의 치사율을 조사한 결과, 대조군과 2g/㎏/day 농도의 홍삼, 당귀, 진피 및 녹차의 생약 추출물을 투여한 실험군에서 마우스가 모두 생존하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2-2. 실험군 및 대조군의 장기 및 조직 독성 실험
장기 독성 실험은 실시예 1-4의 홍삼, 당귀, 진피 및 녹차의 생약 추출물을 각 농도로(최종농도 2g/㎏/day) 8주 동안 C57BL/6J 마우스(각 군당 10마리)에 투여하여 실험하였다.
동물의 각 장기(조직)에 미치는 영향을 조사하기 위하여 실시예 1-4의 홍삼, 당귀, 진피 및 녹차의 생약 추출물을 투여한 실험군과 PEG-400/tween-80/에탄올(8/1/1, v/v/v)만을 투여한 대조군의 동물들로부터 8주 후 혈액을 채취하여 GPT(glutamate-pyruvate transferase) 및 BUN(blood urea nitrogen)의 혈액 내 농도를 Select E(Vital Scientific NV, Netherland) 기기를 이용하여 측정하였다. 그 결과, 간독성과 관계있는 것으로 알려진 GPT와 신장독성과 관계있는 것으로 알려진 BUN의 경우, 대조군과 비교하여 실험군은 별다른 차이를 보이지 않았다. 또한, 각 동물로부터 간과 신장을 정취하여 통상적인 조직절편 제작과정을 거쳐 광학현미경으로 조직학적 관찰을 시행하였으며 모든 조직에서 특이한 이상이 관찰되지 않았다.
< 제제예 1 : 약학적 제제>
1-1. 정제의 제조
실시예 1-4의 홍삼, 당귀, 진피 및 녹차의 생약 추출물 200g을 락토오스 175.9g, 감자전분 180g 및 콜로이드성 규산 32g과 혼합하였다. 이 혼합물에 10% 젤라틴 용액을 첨가시킨 후, 분쇄해서 14 메쉬체를 통과시켰다. 이것을 건조시키고 여기에 감자전분 160g, 활석 50g 및 스테아린산 마그네슘 5g을 첨가해서 얻은 혼합물을 정제로 만들었다.
1-2. 주사액제의 제조
실시예 1-4의 홍삼, 당귀, 진피 및 녹차의 생약 추출물 1g, 염화나트륨 0.6g 및 아스코르브산 0.1g을 증류수에 용해시켜서 100㎖를 만들었다. 이 용액을 병에 넣고 20℃에서 30분간 가열하여 멸균시켰다.
< 제제예 2 : 식품 제조>
2-1. 조리용 양념의 제조
본 발명의 실시예 1-4의 홍삼, 당귀, 진피 및 녹차의 생약 추출물을 조리용 양념에 1 중량%로 첨가하여 건강 증진용 조리용 양념을 제조하였다.
2-2. 밀가루 식품의 제조
본 발명의 실시예 1-4의 홍삼, 당귀, 진피 및 녹차의 생약 추출물을 밀가루에 0.1 중량%로 첨가하고, 이 혼합물을 이용하여 빵, 케이크, 쿠키, 크래커 및 면류를 제조하여 건강 증진용 식품을 제조하였다.
2-3. 스프 및 육즙( gravies )의 제조
본 발명의 실시예 1-4의 홍삼, 당귀, 진피 및 녹차의 생약 추출물을 스프 및 육즙에 0.1 중량%로 첨가하여 건강 증진용 수프 및 육즙을 제조하였다.
2-4. 유제품( dairy products )의 제조
본 발명의 실시예 1-4의 홍삼, 당귀, 진피 및 녹차의 생약 추출물을 우유에 0.1 중량%로 첨가하고, 상기 우유를 이용하여 버터 및 아이스크림과 같은 다양한 유제품을 제조하였다.
2-5. 야채주스 제조
본 발명의 실시예 1-4의 홍삼, 당귀, 진피 및 녹차의 생약 추출물 0.5g을 토마토 주스 또는 당근주스 1,000㎖에 가하여 건강 증진용 야채주스를 제조하였다.
2-6. 과일주스 제조
본 발명의 실시예 1-4의 홍삼, 당귀, 진피 및 녹차의 생약 추출물 0.1g을 사과주스 또는 포도주스 1,000㎖에 가하여 건강 증진용 과일주스를 제조하였다.

Claims (9)

  1. 홍삼, 당귀, 진피 및 녹차의 생약 추출물을 함유하는 혈관 질환의 예방 또는 치료용 조성물.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홍삼, 당귀, 진피 및 녹차의 생약 추출물은, 홍삼, 당귀, 진피 및 녹차가 2~6:1~2:1:1의 중량비율로 혼합된 생약 혼합물의 추출물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혈관 질환의 예방 또는 치료용 조성물.
  3.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홍삼, 당귀, 진피 및 녹차의 생약 추출물은, 물, 알코올 수용액, 및, 알코올 중에 선택되는 추출용매로 추출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혈관 질환의 예방 또는 치료용 조성물.
  4.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혈관 질환은 동맥경화증, 고혈압, 협심증, 심근경색, 허혈성 심장질환, 심부전, 경혈관 동맥 성형술 후 발생하는 합병증, 뇌경색, 뇌출혈, 및, 뇌졸중 중에서 선택되는 질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혈관 질환의 예방 또는 치료용 조성물.
  5. 홍삼, 당귀, 진피 및 녹차의 생약 추출물을 함유하는 혈관 질환의 예방 또는 개선용 건강기능식품.
  6.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홍삼, 당귀, 진피 및 녹차의 생약 추출물은, 홍삼, 당귀, 진피 및 녹차가 2~6:1~2:1:1의 중량비율로 혼합된 생약 혼합물의 추출물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혈관 질환의 예방 또는 개선용 건강기능식품.
  7. 제 5 항 또는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홍삼, 당귀, 진피 및 녹차의 생약 추출물은, 물, 알코올 수용액, 및, 알코올 중에 선택되는 추출용매로 추출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혈관 질환의 예방 또는 개선용 건강기능식품.
  8. 제 5 항 또는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혈관 질환은 동맥경화증, 고혈압, 협심증, 심근경색, 허혈성 심장질환, 심부전, 경혈관 동맥 성형술 후 발생하는 합병증, 뇌경색, 뇌출혈, 및, 뇌졸중 중에서 선택되는 질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혈관 질환의 예방 또는 개선용 건강기능식품.
  9. (1공정) 홍삼, 당귀, 진피 및 녹차가 2~6:1~2:1:1의 중량비율로 혼합된 생약 혼합물에, 상기 생약 혼합물 중량의 5∼15배의 추출용매를 가하는 단계;
    (2공정) 상기 생약 혼합물과 추출용매의 혼합물을 40~120℃의 온도에서 2~24시간 동안 추출하고 여과하여 여과액을 얻는 단계; 및,
    (3공정) 상기 여과액을 건조 및 분말화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홍삼, 당귀, 진피 및 녹차의 생약 추출물의 제조방법.
KR1020120019860A 2012-02-27 2012-02-27 홍삼, 당귀, 진피 및 녹차의 생약 추출물을 함유하는 혈관 질환의 예방 또는 치료용 조성물 KR101392204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019860A KR101392204B1 (ko) 2012-02-27 2012-02-27 홍삼, 당귀, 진피 및 녹차의 생약 추출물을 함유하는 혈관 질환의 예방 또는 치료용 조성물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019860A KR101392204B1 (ko) 2012-02-27 2012-02-27 홍삼, 당귀, 진피 및 녹차의 생약 추출물을 함유하는 혈관 질환의 예방 또는 치료용 조성물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30098051A true KR20130098051A (ko) 2013-09-04
KR101392204B1 KR101392204B1 (ko) 2014-05-08

Family

ID=4945013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20019860A KR101392204B1 (ko) 2012-02-27 2012-02-27 홍삼, 당귀, 진피 및 녹차의 생약 추출물을 함유하는 혈관 질환의 예방 또는 치료용 조성물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392204B1 (ko)

Cited By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4435504A (zh) * 2014-12-19 2015-03-25 李爱花 一种治疗心力衰竭的中药药水及制备方法
EP2853160A1 (en) * 2013-09-25 2015-04-01 Lg Electronics Inc. Antimicrobial composition comprising ginseng extract and green tea extract and an antimicrobial filter containing it
CN104771601A (zh) * 2015-04-14 2015-07-15 张坤镛 一种改善血粘度和血小板的聚集的组合剂
CN104922445A (zh) * 2015-07-10 2015-09-23 江苏省中医院 一种具有治疗心力衰竭作用的中药复方组合物及其制备方法与应用
CN106819217A (zh) * 2016-12-22 2017-06-13 广州肇基生物科技有限公司 能改善血液的保健茶
CN107007710A (zh) * 2017-04-27 2017-08-04 上海市浦东新区浦南医院 复元醒脑颗粒制剂及其制备方法和应用
KR20210102676A (ko) * 2020-02-12 2021-08-20 대한민국(산림청 국립산림과학원장) 혈관평활근세포의 증식 억제 효과를 가진 조성물, 그 조성물을 포함한 약제학적 조성물 및 그 조성물을 포함한 건강기능식품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792875B1 (ko) 2015-06-02 2017-11-01 재단법인 진안홍삼연구소 홍삼 및 유산균을 함유하는 혈관질환을 예방, 개선 또는 치료하기 위한 조성물
KR102448023B1 (ko) 2020-04-28 2022-09-27 전용순 당귀뿌리 차 제조방법

Cited By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EP2853160A1 (en) * 2013-09-25 2015-04-01 Lg Electronics Inc. Antimicrobial composition comprising ginseng extract and green tea extract and an antimicrobial filter containing it
CN104435504A (zh) * 2014-12-19 2015-03-25 李爱花 一种治疗心力衰竭的中药药水及制备方法
CN104771601A (zh) * 2015-04-14 2015-07-15 张坤镛 一种改善血粘度和血小板的聚集的组合剂
CN104922445A (zh) * 2015-07-10 2015-09-23 江苏省中医院 一种具有治疗心力衰竭作用的中药复方组合物及其制备方法与应用
CN106819217A (zh) * 2016-12-22 2017-06-13 广州肇基生物科技有限公司 能改善血液的保健茶
CN107007710A (zh) * 2017-04-27 2017-08-04 上海市浦东新区浦南医院 复元醒脑颗粒制剂及其制备方法和应用
KR20210102676A (ko) * 2020-02-12 2021-08-20 대한민국(산림청 국립산림과학원장) 혈관평활근세포의 증식 억제 효과를 가진 조성물, 그 조성물을 포함한 약제학적 조성물 및 그 조성물을 포함한 건강기능식품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392204B1 (ko) 2014-05-0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392204B1 (ko) 홍삼, 당귀, 진피 및 녹차의 생약 추출물을 함유하는 혈관 질환의 예방 또는 치료용 조성물
KR100425022B1 (ko) 가공인삼 추출물 및 이를 함유하는 약제 조성물
JP2005531533A (ja) 加工処理された人参抽出物及びそれから分離されたサポニンの新規の使用
KR101225566B1 (ko) 여성 갱년기 증상 개선용 기능성 식품 조성물
WO2007133054A1 (en) A novel process for preparing black ginseng and the composition comprising the same
KR20160144791A (ko) 여성 갱년기 증상 개선용 조성물
KR20180016275A (ko) 당귀, 천궁, 및 작약의 열수 추출물과 홍삼 추출물 또는 가피타히보 추출물을 포함하는 항산화, 항염증 또는 면역 활성용 약학조성물, 및 식품조성물
KR20170109703A (ko) 혼합 생약 추출물의 분획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암의 예방 또는 치료용 약학 조성물
KR101910013B1 (ko) 한약재 추출물(socg)을 함유하는 통증의 개선, 예방 또는 치료용 조성물
KR101778227B1 (ko) 뽕나무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항비만용 조성물
KR101698869B1 (ko) 한약재를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아토피 피부염 예방 또는 치료용 조성물
KR100471340B1 (ko) 인삼의 가공방법
KR102282839B1 (ko) 숙취해소 또는 개선용 조성물
KR20140003705A (ko) 기능성분강화 홍삼추출액 제조방법 및 그 조성물
KR101636608B1 (ko) 산수유 추출물을 포함하는 항산화용 조성물
KR101497818B1 (ko) 우슬의 유기용매 분획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혈전증 예방 또는 치료용 약학적 조성물 및 건강 기능 식품
KR20120111125A (ko) 마자인 추출물을 포함하는 신장암 치료용 조성물 및 건강 기능성 식품
KR102128510B1 (ko) 홍삼 추출물 및 맥문동 추출물을 포함하는 학습장애, 인지장애 또는 기억력 손상 예방 또는 치료용 조성물
KR101367885B1 (ko) 인삼 및 비티스속 식물의 조합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기억력 증진, 학습능력 향상, 퇴행성 뇌질환의 치료 및 예방용 조성물
KR100453542B1 (ko) 가공인삼 추출물을 함유하는 식품첨가제 및 건강식품
KR100638344B1 (ko) 생약추출물이 함유된 vdt 증후군의 안증상 개선을 위한 조성물
KR101837479B1 (ko) 홍삼 추출물, 당귀 추출물 및 진피 추출물을 혼합한 혼합물을 포함하는 혈관 평활근 세포의 이상 증식성 질환의 예방 또는 치료용 조성물
KR100555653B1 (ko) 약효가 증강된 파낙스속 식물의 가공 추출물을 함유하는불안증세 예방 및 치료용 조성물
KR101596006B1 (ko) 심혈관계 질환의 예방 및 치료용 조성물
KR101222845B1 (ko) 홍삼 추출물의 감식초 반응 혼합물을 함유한 혈관 질환의 예방 또는 치료용 조성물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416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1029

Year of fee payment: 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