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30097140A - 조성물 - Google Patents

조성물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30097140A
KR20130097140A KR1020137001892A KR20137001892A KR20130097140A KR 20130097140 A KR20130097140 A KR 20130097140A KR 1020137001892 A KR1020137001892 A KR 1020137001892A KR 20137001892 A KR20137001892 A KR 20137001892A KR 20130097140 A KR20130097140 A KR 20130097140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aldehyde
capsule
phase
precursor
oi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3700189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클레어 바우트린
세드릭 제프로이
Original Assignee
지보당 에스아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지보당 에스아 filed Critical 지보당 에스아
Publication of KR2013009714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30097140A/ko

Link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02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special physical form
    • A61K8/11Encapsulated compositions
    • CCHEMISTRY; METALLURGY
    • C11ANIMAL OR VEGETABLE OILS, FATS, FATTY SUBSTANCES OR WAXES; FATTY ACIDS THEREFROM; DETERGENTS; CANDLES
    • C11BPRODUCING, e.g. BY PRESSING RAW MATERIALS OR BY EXTRACTION FROM WASTE MATERIALS, REFINING OR PRESERVING FATS, FATTY SUBSTANCES, e.g. LANOLIN, FATTY OILS OR WAXES; ESSENTIAL OILS; PERFUMES
    • C11B9/00Essential oils; Perfumes
    • C11B9/0003Compounds of unspecified constitution defined by the chemical reaction for their preparation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1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 A61K8/72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 A61K8/84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obtained by reactions otherwise than those involving only carbon-carbon unsaturated bond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1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 A61K8/72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 A61K8/84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obtained by reactions otherwise than those involving only carbon-carbon unsaturated bonds
    • A61K8/88Polyamid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QSPECIFIC USE OF 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Q13/00Formulations or additives for perfume prepar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QSPECIFIC USE OF 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Q5/00Preparations for care of the hair
    • A61Q5/02Preparations for cleaning the hair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QSPECIFIC USE OF 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Q5/00Preparations for care of the hair
    • A61Q5/12Preparations containing hair conditioners
    • CCHEMISTRY; METALLURGY
    • C11ANIMAL OR VEGETABLE OILS, FATS, FATTY SUBSTANCES OR WAXES; FATTY ACIDS THEREFROM; DETERGENTS; CANDLES
    • C11DDETERGENT COMPOSITIONS; USE OF SINGLE SUBSTANCES AS DETERGENTS; SOAP OR SOAP-MAKING; RESIN SOAPS; RECOVERY OF GLYCEROL
    • C11D3/00Other compounding ingredients of detergent compositions covered in group C11D1/00
    • C11D3/16Organic compounds
    • C11D3/37Polymers
    • C11D3/3703Macromolecular compounds obtained otherwise than by reactions only involving carbon-to-carbon unsaturated bonds
    • C11D3/3719Polyamides or polyimides
    • CCHEMISTRY; METALLURGY
    • C11ANIMAL OR VEGETABLE OILS, FATS, FATTY SUBSTANCES OR WAXES; FATTY ACIDS THEREFROM; DETERGENTS; CANDLES
    • C11DDETERGENT COMPOSITIONS; USE OF SINGLE SUBSTANCES AS DETERGENTS; SOAP OR SOAP-MAKING; RESIN SOAPS; RECOVERY OF GLYCEROL
    • C11D3/00Other compounding ingredients of detergent compositions covered in group C11D1/00
    • C11D3/16Organic compounds
    • C11D3/37Polymers
    • C11D3/3703Macromolecular compounds obtained otherwise than by reactions only involving carbon-to-carbon unsaturated bonds
    • C11D3/3723Polyamines or polyalkyleneimines
    • CCHEMISTRY; METALLURGY
    • C11ANIMAL OR VEGETABLE OILS, FATS, FATTY SUBSTANCES OR WAXES; FATTY ACIDS THEREFROM; DETERGENTS; CANDLES
    • C11DDETERGENT COMPOSITIONS; USE OF SINGLE SUBSTANCES AS DETERGENTS; SOAP OR SOAP-MAKING; RESIN SOAPS; RECOVERY OF GLYCEROL
    • C11D3/00Other compounding ingredients of detergent compositions covered in group C11D1/00
    • C11D3/50Perfumes
    • C11D3/502Protected perfumes
    • C11D3/505Protected perfumes encapsulated or adsorbed on a carrier, e.g. zeolite or clay

Landscapes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Birds (AREA)
  • Epidemiology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Oil, Petroleum & Natural Gas (AREA)
  • W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Dispersion Chemistry (AREA)
  • Dermatology (AREA)
  • General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Fats And Perfumes (AREA)
  • Compositions Of Macromolecular Compounds (AREA)
  • Cosmetics (AREA)
  • Manufacturing Of Micro-Capsules (AREA)

Abstract

폴리우레아 및 폴리아미드 캡슐은 활성화 조건하에 알데하이드를 방출하기에 적합한 방향성 알데하이드의 전구체를 함유하는 방향 오일을 캡슐화한다.

Description

조성물{COMPOSITIONS}
본 발명은 취기제 오일을 함유하는 캡슐에 관한 것이다.
취기제 제형을 캡슐화하는 것은 공지되어 있다. 취기제 제형은 여러가지 이유로 캡슐화될 수 있다. 취기제 제형은 제형에 함유된 특정 취기제 성분의 증발률을 변경함으로써 이의 쾌락적 프로필에 영향을 주는 목적으로 캡슐화될 수 있다. 또한, 취기제 제형은 이의 방출률을 확대 또는 개질함으로써 이의 성능을 개선하거나, 최종 사용 제품, 예컨대, 섬유 유연제 등에 함유될 수 있는 공격적인 매질에 대해 이를 또는 이의 특정 성분을 안정화하기 위한 목적으로 캡슐화될 수 있다.
캡슐화가 쾌락 및 성능면에서 방향 또는 향미 제형에 많이 첨가될 수 있음을 고려하여 취기제 제형의 전달을 위한 최적의 부형제를 생성하는 캡슐화 기술의 발전에 많은 연구가 이루어졌다.
상기 캡슐화 기술 중 하나는 멜라민-포름알데하이드 중합체로부터 형성된 아미노플라스트 수지에 기초한다. 아미노플라스트 기술은 취기제-전달 제품의 모든 방식에서 이용될 수 있다. 그러나, 멜라민-포름알데하이드 중합체의 사용에 관련한 하나의 문제점은 이들이 포름알데하이드의 잔여 흔적을 함유할 수 있다는 것이다. 반면, 상기 양은 무의미하게 실질적으로 너무 작을 수 있지만, 그럼에도 불구하고 이는 포름알데하이드의 흔적을 함유하지 않는 고성능 캡슐을 가질 것이 요구된다.
폴리우레아 및 폴리아미드 캡슐은 고성능이고 멜라민 포름알데하이드의 대안으로서 소비자 제품에서 이용될 수 있다. 상기 캡슐은 우수한 취기제 잔류를 나타내고 마찰력을 받았을 때 깨지기 쉽다. 더욱이, 상기 캡슐은 당해 분야에 널리 공지된 조건하에, 아민과 공반응물, 예컨대 각각 이소시아네이트, 아실 클로라이드 또는 산 무수물 사이의 중첨가 반응에 의해 비교적 간단하게 생성된다. 이와 같이, 이들은 유사한 제품에서 멜라민-포름알데하이드 캡슐로서 사용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자들은 놀랍게도 취기제 오일을 함유하는 폴리우레아 또는 폴리아미드 캡슐이 형성되었을 경우, 형성된 캡슐이 응집하는 것을 종종 관찰하였고, 일부 경우에 응집 현상이 너무 광범위하여 심지어 케이킹(caking)되는 것을 발견하였다. 응집은 최소한 심미적으로 바람직하지 않고 최악의 경우에 제조 문제 및 불량한 캡슐 성능을 야기할 수 있기 때문에 되도록 피해야 한다.
응집 현상이 제거되거나 실질적으로 감소된 중첨가 반응 동안, 취기제 오일을 함유하는 코어 및 상기 코어를 둘러싸는 아민 및 공반응물의 중첨가의 공정에 의해 형성되는 쉘(shell)로 이루어진 캡슐을 제공할 필요가 남아 있다.
본 발명자들은 상기 캡슐을 제공하고 응집의 문제를 피하거나 실질적으로 감소할 수 있는 것을 발견하였다.
본 발명은 일 양상에서 중합체 캡슐 벽에 의해 둘러싸인 취기제 오일 코어를 포함하는 캡슐로서, 상기 캡슐 벽이 카보닐 탄소 결합에 반복 질소를 함유하는 중합체로 형성되고, 상기 오일 코어가 알데하이드 전구체를 함유하는 캡슐을 제공한다.
알데하이드 전구체(이하 "전구체")는 본질적으로 향수 성분으로서 또는 향미 성분으로서 향기로운 알데하이드 화합물의 유도체인 화합물이다. 향기로운 알데하이드는 향료 분야의 숙련자가 이의 성분 팔레트로부터 선택하여 바람직한 특질(note) 또는 냄새 인상을 향기에 부여할 수 있는 알데하이드이다. 전구체의 알데하이드 작용기는 적합한 보호기로 보호된다. 활성화 조건, 예를 들어 가수분해 조건하에, 보호기는 향기로운 알데하이드를 유리시키기 위해 제거된다.
전구체는 상응하는 향기로운 알데하이드의 아세탈 또는 헤미-하세탈의 형태일 수 있다. 다르게는, 전구체는 옥사졸리딘, 테트라하이드로-1,3-옥사진, 티아졸리딘 또는 테트라하이드로-1,3-티아진을 비롯한 국제특허출원공개 제 0072816 호(본원에 참고로 혼입됨)에 기재된 임의의 헤테로환형 알데하이드-방출된 전구체일 수 있다.
특정 전구체는 향기로운 알데하이드를 β-케토 에스터, 예를 들어, 알릴 아세토아세테이트, 메틸 아세토아세테이트, 에틸 아세토아세테이트, 아세토아세트산 n-프로필 에스터, 에틸 프로피오닐 아세테이트, 다이알릴 말로네이트, 및 다이에틸, 다이프로필 또는 다이부틸 말로네이트와 반응시켜 생성된 화합물을 포함한다.
다른 유용한 전구체는 알데하이드를 아민(즉, 방향성 알데하이드의 시프 염기)과 반응시켜 형성된 것, 예컨대, 아우란티올, 베르단티올, 아우베핀 메틸 안트라닐레이트, 옥틸아민, 나프틸아민, 벤즈알데하이드 메틸 안트라닐레이트 및 세토니알 메틸 안트라닐레이트를 포함한다.
특정 전구체는 향기로운 알데하이드를 아민과 반응시켜 생성된 화합물, 예를 들어, 메틸 안트라닐레이트, 옥틸아민 또는 나프틸아민을 포함한다.
향기로운 알데하이드의 전구체는 당해 분야에 널리 공지된 합성 과정에 따라 제조될 수 있고 본원에서 매우 자세하게 논의될 필요는 없다.
예를 들어, 향기로운 알데하이드의 전구체 및 β 다이-케토 에스터, 예컨대 에틸 아세토아세테이트 또는 다이에틸 말로네이트는 크뇌베나겔(Knoevenagel) 조건하에 형성될 수 있고, 상기 β 다이-케토 에스터는 촉매, 예를 들어, 피페리딘과 반응하여 엔올 중간체를 형성한 후 약간의 화학량론적인 과량에서 향기로운 알데하이드와 반응하여 전구체를 형성할 수 있다.
크뇌베나겔 반응 조건은 당해 분야에 널리 공지되어 있다. 이 반응의 가역적인 특성은 취기제 알데하이드가 활성화 조건하에, 예를 들어, 가수분해 조건하에 방출될 수 있음을 의미한다. 캡슐의 특성에 따라, 이들 활성화 조건은 방향성 알데하이드의 냄새 특징의 느린 발산을 허용하는 캡슐 내로 촉진될 수 있다. 다르게는, 캡슐이 특정 환경, 예컨대, 세정 매질 내에 위치될 경우, 조건이 활성화될 수 있다. 또한, 캡슐이 기계적 또는 열적 스트레스의 조건하에 깨졌을 경우, 조건이 오직 활성화될 수 있다. 당업자는 향기로운 알데하이드가 많은 다양한 방식으로 다양한 속도로 방출될 수 있음을 인식할 것이다. 그러나, 알데하이드 작용기는 캡슐 형성 동안 가능한 최대 한도로 이의 전구체의 형태로 보호된 채로 남아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와 관련하여, 본 발명에 따라 캡슐화될 임의의 오일은 알데하이드 작용기를 갖지 않는 방향 성분을 실질적으로 함유하지 않는 것이 바람직하다.
"알데하이드 작용기를 갖지 않는 방향 성분을 실질적으로 함유하지 않는"은 임의의 알데하이드 성분이 캡슐화 전 또는 캡슐화 동안 오일에서 발견되는 한, 오직 비교적 소량으로, 예를 들어 오일의 중량을 기준으로 1 중량% 미만, 더욱 특히 0.1 중량% 미만, 더욱더 특히 0.01 중량% 미만, 예컨대, 0.01 내지 0 중량%로 발견되는 것을 의미한다.
알데하이드는 향료 또는 향미제로서 유용한 임의의 알데하이드일 수 있다. 향료 분야의 숙련자는 알데하이드 작용기를 함유하는 성분의 팔레트를 이용할 수 있고, 이들 성분은 본 발명에서 향기로운 알데하이드를 나타내는 것으로 고려된다. 알데하이드는 지방족 알데하이드, 지환족 알데하이드 및 비환형 테르펜 알데하이드, 환형 테르펜 알데하이드, 방향족 알데하이드 또는 페놀 알데하이드일 수 있다.
본 발명에서 유용한 알데하이드는 비제한적으로 하기 알데하이드로 이루어진 군 중 하나 이상일 수 있다: 페닐아세트알데하이드, p-메틸 페닐아세트알데하이드, p-이소프로필 페닐아세트알데하이드, 메틸노닐 아세트알데하이드, 페닐프로판알, 3-(4-t-부틸페닐)-2-메틸 프로판알, 3-(4-t-부틸페닐)-프로판알, 3-(4-메톡시페닐)-2-메틸프로판알, 3-(4-이소프로필페닐)-2-메틸프로판알, 3-(3,4-메틸렌다이옥시페닐)-2-메틸프로판알, 3-(4-에틸페닐)-2,2-다이메틸프로판알, 페닐부탄알, 3-메틸-5-페닐펜탄알, 헥산알, 트랜스-2-헥센알, 시스-헥스-3-엔알, 헵탄알, 시스-4-헵텐알, 2-에틸-2-헵텐알, 2,6-다이메틸-5-헵텐알(멜로날), 2,6-다이메틸프로판알, 2,4-헵타다이엔알, 옥탄알, 2-옥텐알, 3,7-다이메틸옥탄알, 3,7-다이메틸-2,6-옥타다이엔-1-알, 3,7-다이메틸-1,6-옥타다이엔-3-알, 3,7-다이메틸-6-옥텐알, 3,7-다이메틸-7-하이드록시옥탄-1-알, 노난알, 6-노넨알, 2,4-노나다이엔알, 2,6-노나다이엔알, 데칸알, 2-메틸 데칸알, 4-데센알, 9-데센알, 2,4-데카다이엔알, 운데칸알, 2-메틸데칸알, 2-메틸운데칸알, 2,6,10-트라이메틸-9-운데센알, 운데크-10-엔일 알데하이드, 운데크-8-에난알, 도데칸알, 트라이데칸알, 테트라데칸알, 아니스알데하이드, 보우르게논알, 신남 알데하이드, [α]-아밀신남-알데하이드, [α]-헥실 신남알데하이드, 메톡시 신남알데하이드, 시트로넬알, 하이드록시-시트로넬알, 이소사이클로시트랄, 시트로넬일 옥시아세트-알데하이드, 코텍스알데하이드, 쿠민 알데하이드, 사이클라멤 알데하이드, 플로르하이드랄, 헬리오트로핀, 굴수성 알데하이드, 릴리알, 바닐린, 에틸 바닐린, 벤즈알데하이드, p-메틸 벤즈알데하이드, 3,4-다이메톡시벤즈알데하이드, 3- 및 4-(4-하이드록시-4-메틸-펜틸)-3-사이클로헥센-1-카복스알데하이드, 2,4-다이메틸-3-사이클로헥센-1-카복스알데하이드, 1-메틸-3-4-메틸펜틸-3-사이클로헥센카복스알데하이드 및 p-메틸페녹시아세트알데하이드.
응집 현상의 광범위한 시험 후, 본 발명자들은 향기로운 알데하이드가 캡슐화 공정에서 사용된 아민과 반응하여, 불량한 캡슐 형성 및 응집을 야기하는 것을 발견하였다. 본 발명자들은 캡슐화 단계의 상류에서 이러한 알데하이드를 알데하이드 전구체로 전환함으로써 더욱 견고한 캡슐-형성 공정 및 감소된 응집을 야기하는 것을 발견하였다.
응집의 정도 또는 경중은 캡슐-형성 공정에서 사용된 아민에 대한 알데하이드의 반응성 뿐만 아니라 수성 매질중의 알데하이드의 용해도를 포함하는 다수의 인자에 따른다. 캡슐 벽 형성 공정은 계면 공정이고 사용된 아민이 실질적으로 수 상에 함유됨으로써, 알데하이드를 수 상으로 분배할 수 있는 정도는 아민에 대한 이의 반응성에 영향을 끼칠 수 있다.
선형 알데하이드, 즉, 알데하이드 카보닐 기에 대해 α 또는 β 위치에서 치환기를 갖지 않는 알데하이드는 비교적 반응성이고 이의 전구체 형태로 효과적으로 보호되지 않을 경우, 유의한 응집 문제를 야기할 것이다. 덜 반응성인 알데하이드가 전구체 형태로 보호되는 것이 여전히 바람직할지라도, 알데하이드 카보닐 기에 대해 β 위치에서 치환기를 함유하는 알데하이드는 카보닐 기에 대해 위치 α에서 치환기를 함유하는 알데하이드보다 다소 덜 반응성이다.
상기 이미 언급한 이유 때문에, 높은 수용성이고 수 상으로 분배되는 경향이 있는 임의의 알데하이드가 또한 특히 주목되는데, 이는 이들이 더욱 친밀하게 아민과 접촉하여 아민쪽으로 더욱더 반응성일 것이기 때문이다.
알데하이드의 용해도, 이의 화학적 구조 및 이의 아민과의 반응성과 같은 인자를 고려하여 알데하이드에 대해 적절한 전구체 형태를 선택하는 것은 당해 분야의 숙련자의 범위 내에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양상에서는 중합체 캡슐 벽에 의해 둘러싸인 취기제 오일 코어를 포함하는 캡슐로서, 상기 캡슐 벽이 카보닐 탄소 결합에 반복 질소를 함유하는 중합체로 형성되고, 상기 오일 코어가 알데하이드 전구체를 함유하고, 상기 전구체가 알데하이드 카보닐 탄소 원자에 대해 α 또는 β 위치의 탄소 원자에서 치환기를 갖지 않는 알데하이드의 전구체인 캡슐을 제공한다.
본 발명의 특정 양상에서는 중합체 캡슐 벽에 의해 둘러싸인 취기제 오일 코어를 포함하는 캡슐로서, 상기 캡슐 벽이 카보닐 탄소 결합에 반복 질소를 함유하는 중합체로 형성되고, 상기 오일 코어가 알데하이드 작용기를 함유하지 않는 향수 성분 및 알데하이드 전구체를 함유하고, 상기 전구체가 알데하이드 카보닐 탄소 원자에 대해 α 또는 β 위치의 탄소 원자에서 치환기를 갖지 않는 상기 언급된 알데하이드와 상이한 알데하이드의 전구체인 캡슐을 제공한다.
본 발명의 더욱 특정 양상에서는 상기 문단에 기재된 바와 같은 캡슐로서, 알데하이드 작용기를 갖지 않는 향수 성분이 알데하이드 카보닐 탄소 원자에 대해α 또는 β 위치의 탄소 원자상에 치환된 캡슐을 제공한다.
이의 또 다른 양상에서 본 발명은 임의의 알데하이드-함유 오일 코어 성분을 이의 전구체로 전환한 후 캡슐화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상기 정의된 바와 같은 캡슐내에 오일을 캡슐화하는 방법을 제공한다.
본 발명의 더욱 특정 양상에서는 알데하이드 작용기를 함유하는 오일 코어를 형성하는 성분을 확인하는 단계, 및 이들 성분 중 알데하이드 카보닐 탄소 원자에서 대해 α 또는 β 위치의 탄소 원자에서 치환기를 갖지 않는 성분을 상응하는 전구체로 전환한 후 캡슐화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상기 정의된 바와 같은 캡슐내에 오일을 캡슐화하는 방법을 제공한다.
이의 또 다른 양상에서 본 발명은 본원에 기재된 캡슐화 공정에 따라 만들어진 캡슐의 응집을 줄이거나 제거하기 위하여 상기 기재된 바와 같은 전구체의 용도를 제공한다.
또 다른 양상에서 본 발명은 알데하이드 작용기를 함유하는 취기제 성분을 상기 성분의 전구체로 전환한 후 폴리우레아 또는 폴리아미드 캡슐내에 전구체를 함유하는 오일을 캡슐화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취기제 오일 코어를 함유하는 본원에 기재된 캡슐의 응집을 감소시키는 방법을 제공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양상에서는 임의의 알데하이드-함유 오일 코어 성분을 이의 전구체로 전환한 후 캡슐화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상기 정의된 바와 같은 캡슐내에 오일을 캡슐화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캡슐의 응집을 감소시키는 방법을 제공한다.
본 발명의 더욱 특정 양상에서 알데하이드 작용기를 함유하는 오일 코어 성분을 확인하는 단계, 및 이들 성분 중 알데하이드 카보닐 탄소 원자에 대해 α 또는 β 의치의 탄소 원자에서 치환기를 갖지 않는 성분을 상응하는 전구체로 전환한 후 캡슐화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상기 정의된 바와 같은 캡슐내에 오일을 캡슐화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캡슐의 응집을 감소시키는 방법을 제공한다.
캡슐은 아민을 적합한 공반응물과 계면 중첨가시켜 카보닐 탄소 결합에 반복 질소를 함유하는 중합체 물질의 캡슐 벽을 형성하는 당해 분야에 공지된 임의의 방법으로 제조될 수 있다. 상기 언급된 바와 같이, 적합한 공반응물은 이소시아네이트, 산 무수물 또는 아실 할라이드를 포함한다.
예로서, 폴리우레아 캡슐은 하기 통상적인 과정에 따라 제조될 수 있다: 수 상을 계면 활성제 및/또는 보호 콜로이드, 예컨대 하기 지시된 것들이 첨가된 물로 제조할 수 있다. 이 상은 단 몇 초 내지 몇 분 이하의 시간 동안 격렬하게 교반될 수 있다. 이어서, 소수성 상이 첨가될 수 있다. 소수성 상은 하나 이상의 전구체, 및 이소시아네이트를 비롯한 캡슐화될 취기제 오일을 함유할 것이다. 또한, 소수성 상은 적합한 용매를 포함할 수 있다. 격렬하게 교반한 후, 에멀젼을 수득하였다. 교반 속도는 수 상에서 소수성 상의 방울의 크기에 영향을 끼치도록 조절될 수 있다.
이어서, 아민을 함유하는 수용액을 첨가하여 중첨가 반응을 수행한다. 도입된 아민의 양은 자유 이소시아네이트 기를 우레아 기로 전환하는데 요구된 화학량론적인 양에 대해 통상적으로 과량이다.
중첨가 반응은 몇 초 내지 몇 시간의 기간 동안 대략 0 내지 100 ℃의 온도에서 일반적으로 발생할 수 있다.
당업자는 폴리아미드가 이소시아네이트를 아민에 대해 적합한 공반응물, 예컨대, 아실 클로라이드 또는 산 무수물으로 대체하여 유사한 방식으로 형성될 수 있음을 인식할 것이다.
계면 중첨가에 의한 캡슐 생성 조건은 당해 분야에 널리 공지되어 있고 추가의 일반적인 논의는 본원에 필요로 하지 않는다. 캡슐의 제조에 관한 자세한 설명은 하기 실시예에 제공된다.
캡슐의 형성에 유용한 아민은 이소시아네이트 또는 아실 할라이드와 반응하여 각각 폴리우레아 또는 폴리아미드 결합을 형성할 수 있는 하나 이상의 1차 또는 2차 아민 기를 함유하는 화합물을 포함한다. 아민이 오직 하나의 아미노 기를 함유할 경우, 화합물은 중합체화 반응을 통해 네트워크를 형성할 수 있는 하나 이상의 추가 작용성 기를 함유할 것이다.
적합한 아민의 예는 1,2-에틸렌다이아민, 1,3-다이아미노프로판, 1,4-다이아미노부탄, 1,6-다이아미노헥산, 하이드라진, 1,4-다이아미노사이클로헥산 및 1,3-다이아미노-1-메틸프로판, 다이에틸렌트라이아민, 트라이에틸렌테트라아민 및 비스(2-메틸아미노에틸)메틸아민을 포함한다.
다른 유용한 아민은 폴리 에틸렌아민(CH2CH2NH)n, 예컨대, 에틸렌아민, 다이에틸렌아민, 에틸렌 다이아민, 트라이에틸렌테트라아민, 테트라에틸렌펜트아민; 바스프(BASF)에서 시판되는 폴리 비닐아민(CH2CHNH2)n(루파민(Lupamine) 상이한 등급); 루파솔(Lupasol) 등급하에 바스프에서 시판되는 폴리 에틸렌이민(CH2CH2N)x-(CH2CH2NH)y-(CH2CH2NH2)z; 폴리 에터아민(훈트만(Huntsman)으로부터의 제파민(Jeffamin)); 구아니딘, 구아니딘 염, 멜라민, 하이드라진 및 우레아를 포함한다.
특히 바람직한 아민은 폴리에틸렌이민(PEI), 더욱 특히 바스프에 의해 공급된 루파솔 범위로부터의 PEI, 더욱 더 특히 루파솔 PR8515이다.
폴리우레아 마이크로캡슐의 형성에 유용한 이소시아네이트는 다이- 및 트라이-작용화된 이소시아네이트, 예컨대 1,6-다이이소시아네이토헥산, 1,5-다이이소시아네이토-2-메틸펜탄, 1,5-다이이소시아네이토-3-메틸펜탄, 1,4-다이이소시아네이토-2,3-다이메틸부탄, 2-에틸-1,4-다이이소시아네이토부탄, 1,5-다이이소시아네이토펜탄, 1,4-다이이소시아네이토부탄, 1,3-다이이소시아네이토프로판, 1,10-다이이소시아네이토데칸, 1,2-다이이소시아네이토사이클로부탄, 비스(4-이소시아네이토사이클로헥실)메탄 또는 3,3,5-트라이메틸-5-이소시아네이토메틸-1-이소시아네이토사이클로헥산을 포함한다.
또한, 다른 유용한 이소시아네이트는 이소시아네이트 단량체에 기초한 올리고머, 예컨대, 1,6-다이이소시아네이토헥산의 동종중합체를 포함한다. 모든 이들 단량체 및 올리고머는 바이에르(Bayer)에 의해 상표명 데스모두르(Desmodur)로 시판된다. 또한, 개질된 이소시아네이트 및 특히, 수분산성 이소시아네이트, 예컨대, 헥사메틸렌 다이이소시아네이트에 기초한 친수성 지방족 폴리이소시아네이트(상표명 바이하이두르(BAYHYDUR)하에 시판중임)가 포함된다.
폴리아미드 마이크로캡슐의 형성에 유용한 아실 할라이드는 다이- 및 트라이-작용화된 아실 할라이드, 통상적으로 아실 클로라이드, 예컨대, 말로닐 할라이드, 글루타힐 할라이드, 아디포일 할라이드, 피멜로일 할라이드, 세바코일 할라이드를 비롯한 선형 할라이드, 또는 예컨대, 프탈로일, 이소프탈로일 또는 테레프탈로일 할라이드, 벤젠 트라이카보닐 트라이클로라이드를 비롯한 환형 할라이드를 포함한다.
본 발명에 유용한 무수물은 비제한적으로 무수물-함유 화합물의 중합체 또는 공중합체, 예를 들어, 스티렌 말레산 무수 공중합체, 에틸렌 말레산 무수 공중합체, 옥타데센 말레산 무수 공중합체, 메틸 비닐 에터 말레산 무수 공중합체, 이소부틸렌 말레산 무수 공중합체 및 말레산 무수 그라프트 올레핀 공중합체를 포함한다.
이용될 수 있는 보호 콜로이드 또는 유화제의 부류는 말레산-비닐 공중합체, 예컨대, 비닐 에터와 말레산 무수물 또는 말레산의 공중합체, 나트륨 리그노설포네이트, 말레산 무수/스티렌 공중합체, 에틸렌/말레산 무수 공중합체, 및 프로필렌 옥사이드, 에틸렌다이아민 및 에틸렌 옥사이드의 공중합체, 폴리비닐피롤리돈, 폴리비닐 알코올, 폴리옥시에틸렌화된 소르비톨 및 나트륨 도데실설페이트의 지방산 에스터를 포함한다.
적합한 용매는 지방족 탄화수소, 염소화된 지방족 탄화수소, 지방족 탄화수소, 염소화된 지방족 탄화수소, 및 방향족 또는 염소화된 방향족 탄화수소를 포함한다. 더욱 특히, 용매는 사이클로헥산, 옥타데칸, 테트라클로로에틸렌, 탄소 테트라클로라이드, 자일렌, 톨루엔, 클로로벤젠 및 알킬나프탈렌을 포함한다.
캡슐은 향료 제품에 유용한 취기제 성분의 모든 방식을 캡슐화하기 위해 이용될 수 있다. 유사하게는, 이들의 냄새는 또한 식품 음료 및 구강 케어 제품에 아로마를 첨가하여 향미제 성분으로서 적합하게 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또 다른 양상에서는 방향 또는 향미 조성물에서 본원에 기재된 바와 같은 캡슐의 용도를 제공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양상에서는 본원에 기재된 캡슐을 함유하는 향미 또는 방착향된 제품 또는 상기 캡슐을 함유하는 방향 또는 향미 조성물을 제공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양상에서는 향수 조성물의 또는 착향된 제품의 쾌락적 특성, 또는 향미 조성물 또는 가미 제품을 수여하거나, 강화하거나, 개선하거나, 개질하는 방법으로서 상기한 바와 같은 캡슐을 상기 조성물 또는 제품에 첨가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방법을 제공한다.
본 발명은 이의 또 다른 양상에서 상기한 바와 같은 캡슐을 포함하는 방향 또는 향미 조성물을 제공한다.
또한, 상기 방향 또는 향미 조성물은 캡슐용 담체 물질; 향료 또는 향미 기제; 및 방향 및 향미 제형에 유용한 다른 보조제를 포함할 수 있다.
본원에 사용된 용어 "담체 물질"은 방향 또는 향미의 관점으로부터 중성인 또는 실질적으로 중성인 물질, 즉, 향수 또는 향미 성분의 관능적 특성이 유의하게 변하지 않는 물질을 지칭한다.
담체 물질로서 용매 및 계면 활성제가 언급될 수 있다. 향료 또는 향미 산업에서 통상적으로 사용된 용매의 특성 및 유형에 대한 자세한 설명은 완전할 수 없다. 그러나, 향료에서 유용한 용매의 비제한적인 예로서 다이프로필렌글리콜, 다이에틸 프탈레이트, 이소프로필 미리스테이트, 벤질 벤조에이트, 2-(2-에톡시에톡시)-1-에탄올 또는 에틸 시트레이트가 언급될 수 있다.
또한, 담체 물질은 흡수 고무 또는 중합체를 포함할 수 있다.
본원에 사용된 용어 "향료 또는 향미 기제"는 본 발명의 캡슐에서 함유된 향수 또는 향미제와는 다른 하나 이상의 향수 또는 향미제 공성분을 포함하는 조성물을 의미한다.
더욱이, 공성분은 쾌락적 효과를 부여하기 위해 사용된다. 예를 들어, 향기나는 공성분인 것으로 간주되는 경우, 상기 공성분은 단지 냄새를 갖는 것이 아니라, 긍정적이거나 즐거운 방식으로 조성물의 냄새를 부여하거나 개질할 수 있는 것으로서 당해 분야의 숙련자에 의해 인지되어야 한다. 유사하게는, 공성분이 향미제인 경우, 이는 향미 부여를 생성하거나 개질하거나 강화할 수 있는 것으로서 당해 분야의 숙련자에 의해 인지된다.
기제에 존재하는 향수 또는 향미제 공성분의 특성 및 유형은 본원에서 더욱 상세한 설명을 필요로하지 않고, 완전하지 않을 수 있는 임의의 경우에, 숙련자는 이의 일반적 지식에 기초하여 및 의도된 용도 또는 적용 및 목적한 관능 효과에 따라 이들을 선택할 수 있다.
일반적으로, 향수 공성분은 알코올, 케톤, 에스터, 에터, 아세테이트, 니트릴, 테르펜 탄화수소, 질소의 또는 유황의 헤테로환형 화합물 및 에센셜 오일만큼이나 다양한 화학 부류에 속하고, 상기 향수 공성분은 천연 또는 합성 기원일 수 있다. 임의의 경우에 많은 이들 공성분은 참고 문헌, 예컨대, 문헌[S. Arctander, Perfume and Flavor Chemicals, 1969, Montclair, New Jersey, USA] 또는 이의 더욱 최신 버전, 또는 유사한 종류의 다른 작업뿐만 아니라 향료 분야 중 풍부한 특허 문헌에 기재되어 있다. 또한, 상기 공성분이 다양한 유형의 향수 화합물을 제어된 방식으로 방출하는 것으로 공지된 화합물일 수 있는 것이 또한 이해된다.
향미 공성분의 특정 예는 비제한적으로 천연 향료, 인공 향료, 향신료, 조미료 등을 포함할 수 있다. 향료 공성분의 예는 합성 향료 오일 및 향료 아로마 및/또는 오일, 올레오수지, 에센스, 증류액, 및 식물, 잎, 꽃, 열매 등으로부터 유도된 추출물, 및 하나 이상의 상기 물질을 포함하는 조합을 포함한다.
향미 오일의 예는 스피어민트 오일, 신남 오일, 노루발풀(메틸 살리실레이트)의 오일, 페퍼민트 오일, 일본 민트 오일, 정향 오일, 월계수 오일, 아니스(anise) 오일, 유칼립투스 오일, 백리향 오일, 삼나무 잎 오일, 육두구의 오일, 올스파이스, 세이지의 오일, 메이스(mace), 고편도의 오일 및 계수나무 오일을 포함하고; 유용한 향료제는 인공, 천연 및 합성 과일향(예컨대, 바닐라), 레몬, 오렌지, 라임, 자몽, 야주(yazu), 영귤을 비롯한 감귤류 오일, 및 사과, 배, 복숭아, 포도, 블루베리, 딸기, 산딸기, 체리, 자두, 프룬, 건포도, 콜라(cola), 구아라나, 네롤리, 파인애플, 살구, 바나나, 멜론, 살구, 매화, 체리, 산딸기, 블랙베리, 열대 과일, 망고, 망고스틴, 석류, 파파야 등을 비롯한 과실향 액을 포함한다. 향미제에 의해 부여된 향미의 추가 예는 우유 향미, 버터 향미, 치즈 향미, 크림 향미 및 요구르트 향미; 바닐라 향미; 차 또는 커피 향미, 예컨대, 녹차 향미, 우롱차 향미, 차 향미, 코코아 향미, 초콜렛 향미 및 커피 향미; 민트 향미, 예컨대, 페퍼민트 향미, 스피어민트 향미 및 일본 민트 향미; 스파이시 향미, 예컨대, 아위 향미, 아조완 향미, 아니스 향미, 안젤리카 향미, 회향 향미, 올스파이스 향미, 신남 향미, 카모마일 향미, 겨자 향미, 카르다몸 향미, 캐러웨이 향미, 쿠민 향미, 정향 향미, 후추 향미, 고수 향미, 사사프라스 향미, 세이보리 향미, 촉칠(Zanthoxyli Fructus) 향미, 들깨 향미, 주니퍼 베리 향미, 생강 향미, 스타아니스 향미, 고추냉이 향미, 백리향 향미, 타라곤 향미, 딜 향미, 고추 향미, 육두구 향미, 바질 향미, 마조람 향미, 로즈마리 향미, 월계수 잎 향미 및 와사비(일본 고추냉이) 향미; 너트 향미, 예컨대, 아몬드 향미, 헤이즐넛 향미, 마카다미아 너트 향미, 땅콩 향미, 피칸 향미, 피스타치오 향미 및 호두 향미; 알콜성 향미, 예컨대, 와인 향미, 위스키 향미, 브랜디 향미, 럼 향미, 진 향미 및 리큐어 향미; 꽃 향미; 및 야채 향미, 예컨대, 양파 향미, 마늘 향미, 양배추 향미, 당근 향미, 샐러리 향미, 버섯 향미 및 토마토 향미를 포함한다.
향미 공성분은 알데하이드 및 에스터, 예컨대, 신나밀 아세테이트, 신남알데하이드, 시트랄 다이에틸아세탈, 다이하이드로카빌 아세테이트, 유제닐 49 폼에이트, p-메틸아미졸 등이 사용될 수 있도록 포함할 수 있다. 알데하이드 향료의 추가 예는 아세트알데하이드(사과), 벤즈알데하이드(체리, 아몬드), 아니스산 알데하이드(감초, 아니스), 신남 알데하이드(신남), 시트랄, 즉, α-시트랄(레몬, 라임), 네랄, 즉, β-시트랄(레몬, 라임), 데칸알(오렌지, 레몬), 에틸 바닐린(바닐라, 크림), 헬리오트로프, 즉, 피페로날(바닐라, 크림), 바닐린(바닐라, 크림), α-아밀 신남알데하이드(스파이시 과일향 향미), 부티르알데하이드(버터, 치즈), 발레르알데하이드(버터, 치즈), 시트로넬알(개질제, 다양한 유형), 데칸알(감귤류), 알데하이드 C-8(감귤류), 알데하이드 C-9(감귤류), 알데하이드 C-12(감귤류), 2-에틸 부티르알데하이드(장과류), 헥센알, 즉, 트랜스-2(장과류), 톨릴 알데하이드(체리, 아몬드), 베라트르알데하이드(바닐라), 2,6-다이메틸-5-헵텐알, 즉, 멜로날(멜론), 2,6-다이메틸옥탄알(풋 과일) 및 2-도데센알(감귤류, 만다린) 등을 포함한다. 일반적으로 임의의 향료 또는 식품 첨가제는, 예컨대, 문헌[Chemicals Used in Food Processing, publication 1274, pages 63-258, by the National Academy of Sciences]에 기재된 것이 사용될 수 있다. 이 문헌은 참고로서 본원에 혼입된다.
본원에 사용된 용어 "보조제"는 이의 쾌락적 성능을 제외한, 조성물의 성능에 영향을 끼치는 성분을 의미한다. 예를 들어, 보조제는 캡슐을 함유하는 조성물 또는 제품, 또는 캡슐을 함유하는 향미 또는 향기 조성물의 가공을 위해 보조 첨가제로서 작용하는 성분일 수 있거나, 상기 조성물 또는 제품의 취급 또는 저장을 개선할 수 있다. 또한 이는 추가 이점을 제공하는, 예컨대 색상 또는 질감을 조성물 또는 제품에 부여하는 성분일 수 있다. 또한 이는 내광성 또는 화학 안정성을 조성물 또는 제품에 함유된 하나 이상의 성분에 부여하는 성분일 수 있다. 향수 및 향미제 조성물에 통상적으로 사용된 보조제의 특성 및 유형에 대한 자세한 설명은 완전하지 않지만, 상기 성분은 당해 분야의 숙련자에게 널리 공지되어 있다. 보조제의 예는 용매 및 공-용매; 계면 활성제 및 유화제; 점도 및 유동 개질제; 증점제 및 겔화제; 방부 물질; 안료, 염료 및 착색 물질; 증량제, 충전제 및 강화제; 열 및 광의 해로운 영향에 대한 안정화제, 팽창제, 산성제, 완충제 및 산화 방지제를 포함한다.
더욱이, 본 발명의 캡슐은 현대의 향료 및 향미 기술의 모든 분야에 사용되어 상기 캡슐이 첨가된 조성물 또는 제품의 냄새를 긍정적으로 부여하거나 개질할 수 있다.
가미 또는 착향된 제품의 성분의 특성 및 유형은 본원에서 더 자세한 설명을 필요로하지 않고, 완전하지 않은 임의의 경우에, 당업자는 이의 일반적인 지식에 기초하여 및 상기 제품의 특성 및 목적 효과에 따라 이들을 선택할 수 있게 된다.
적합한 제품의 예는 고체 또는 액체 세제 및 섬유 유연제 뿐만 아니라 향료에서 통상적인 모든 다른 제품, 즉, 향수, 콜롱 또는 애프터 쉐이브 로션, 향 비누, 샤워 또는 배쓰 염, 무스, 오일 또는 젤, 위생 제품 또는 모발 관리 제품, 예컨대 샴푸, 보디 케어 제품, 탈취제 또는 발한 억제제, 방향제 및 또한 화장품 제제를 포함할 수 있는 소비재를 포함한다. 세제로서, 예를 들어, 가정용 또는 산업용으로 의도된 제품, 예를 들어 다양한 표면, 예컨대 직물, 접시 또는 경질-표면 처리에 의도된 것의 설거지 또는 세정을 위한 세제 조성물 또는 청소 제품이 있다. 다른 착향된 제품은 섬유 리프레셔, 다림질용 물, 종이, 와이프(wipe) 또는 표백제이다.
또한, 소비재는 하나 이상의 영양분 및 기쁨을 위해 소비되거나, 버려지기 전에 일정기간 입안에 유지되는 임의의 고체 또는 액체 조성물을 포함할 수 있다. 광범위한 일반적인 목록은 비제한적으로, 모든 종류의 식품, 과자류, 제과 제품, 사탕류, 유제품 및 음료, 및 구강 관리 제품을 포함한다.
캡슐이 상기 언급된 다양한 제품 또는 조성물로 혼입될 수 있는 비율은 광범위하게 변할 수 있다. 이들 값은 착향 또는 가미될 제품의 특성 및 목적한 관능 효과, 및 캡슐이 당해 분야에서 통상적으로 사용된 착향제 또는 향미제 공성분, 용매 또는 첨가제와 혼합됐을 때 기제로 주어진 기제내의 공성분의 특성에 따른다.
예를 들어, 방향 또는 향미 조성물의 경우에, 캡슐은 조성물의 100 중량% 이하의 양으로 사용될 수 있다. 그러나, 전형적으로 캡슐은 조성물의 0.01 내지 100 중량%, 더욱 특히 0.01 내지 10 중량%, 더더욱 특히 0.01 내지 1 중량%를 형성할 수 있다.
방향 또는 향미 조성물은 제품의 특성 및 달성될 특정 쾌락적 효과에 따라 광범위하게 변하는 양으로 제품내에 사용될 수 있다. 그러나 전형적으로, 조성물은 50 중량% 이하 또는 이상, 더욱 특히 0.01 내지 50 중랑%의 가미 또는 방향 제품을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 및 이의 장점을 추가로 예시하기 위해, 하기의 특정 실시예 및 비교 실시예가 제시되었고, 이는 오직 예시적인 것으로서 본 발명을 결코 한정하지 않고자 함이 이해되어야 한다.
실시예
실시예 1
전구체의 제조
방법 1.1
원재료의 특성에 따라 이의 조성물을 나누어 오일 상을 제조하였다:
- 상 A : 알데하이드를 제외한 오일 제형에 사용될 모든 물질
- 상 B : 오일 제형에 사용될 모든 알데하이드
에틸 아세토아세테이트(알데하이드와 비교하여 1.1 몰 당량) 및 상 B 중 촉매로서 2-아미노-2-메틸-1-프로판알(알데하이드와 비교하여 0.1%)을 첨가하여 전구체를 형성하였다. 이어서, 용액을 1 주 동안 40℃에서 방치하였다. 상기 저장 후, 상 A 및 B 모두를 혼합하여 추가로 사용하였다.
방법 1.2
원재료의 특성에 따라 오일 상을 나누지 않고, 전구체를 전체 오일 상 중 원 위치에 형성하였다. 1.1 몰 당량의 에틸 아세테이트 및 0.1%의 2-아미노-2-메틸-1-프로판알(알데하이드 함량과 비교하여)을 첨가하였다. 용액을 1 주 동안 40℃에서 방치한 후 캡슐화하였다.
실시예 2
폴리아미드 캡슐의 제조
10%의 수준에서 이소프타할로일 다이클로라이드(플루카(Fluka))를 오일(하기 실시예에 명시된 오일 조성물)에 용해하여 오일 상을 제조하였다.
1%의 수준에서 폴리비닐 알코올 모위올(Mowiol) 4-88(쿠루레이(Kururay))을 물에 용해하여 수용액(용액 S1)을 제조하였다.
3%의 수준에서 트라이에틸렌테트라아민(훈스트만(Hunstman))을 물에 용해하여 수용액(용액 S2)을 제조하였다.
1000 rpm에서 작동하는 MIG 교반기가 장착된 1 L 반응기에서, 100 g의 오일 상을 450 g의 용액 S1과 혼합하여 수중유 에멀젼을 형성하였다. 5 분 혼합한 후, 450 g의 용액 S2를 천천히 첨가하였다. 생성된 폴리아미드 캡슐의 슬러리를 2 시간 동안 교반하에 방치하였다.
실시예 3
폴리아미드 캡슐의 응집에 대한 알데하이드의 존재의 영향
2개의 캡슐 집합, 즉, IPM(이소프로필 미리스테이트)을 캡슐화하는 제 1 캡슐 및 IPM + 5%의 에틸 바닐린을 함유하는 제 2 캡슐을 형성하였다. 캡슐을 실시예 2의 방법에 따라 제조하였다.
2개의 집합의 현미경 검사는 알데하이드(에틸 바닐린)를 함유하는 집합에서 유의한 응집이 발생하였음을 명백히 입증하였다.
실시예 4
응집으로부터 폴리아미드 캡슐을 보호하기 위한 전구체의 형성
실시예 2의 방법론을 적용하여 상 A(비-알데하이드 원재료) 및 상 B(알데하이드 원재료)로서 기재된 상이한 향수 오일을 캡슐화하였다.
상 A의 성분을 하기 표 1에 제시하였다.
상 B를 5%에서 상 A에 첨가한 후 캡슐화하였다. 상기 방법 1.1의 방법론에 따라 형성된 단일 알데하이드 향수 분자에 또는 이의 전구체에 상 B의 상이한 조성을 상응하는 각각의 시간에 사용하였다.
상 A의 조성
%
이소세나이드 0.5
플루오로사이클렌 15
헤르바네이트 1.5
아그루멕스 15
이소랄데인 95 5
사이클로헥실 프로피오네이트 알릴 5
다마스콘 델타 1
네크타릴 10
이소 E 수퍼 15
브라실레이트 에틸렌 15
코스몬 1
실바논 6
세레놀라이드 9
암브로픽스 1
결과를 하기 표 2에 제시하였다. 슬러리 조건에 따라 응집 규모를 다음과 같이 정의하였다:
o 캡슐의 응집 없음
+ 현미경하에서만 눈에 보이는 약간의 캡슐의 응집
++ mm 크기의 응집
+++ 중요한 응집
++++ 케익이 수득될 정도의 응집
전구체의 존재 또는 부재하에 제조된 폴리아미드 캡슐
상 B에서 사용된 알데하이드 수용해도
(ppm)
캡슐화
전구체 부재 전구체 존재
선형 알데하이드 알데하이드 C10 61 +++ +
알데하이드 이소 C11 30 +++ +
알데하이드 C12
라우리크
9 +++ o
β 치환된 알데하이드 릴리알 21 ++ o
α 치환된 알데하이드

트라이사이클랄 700 ++++ o
아우베핀 파라 크레솔 6 ++ o
알데하이드 C12 mna 8 ++ o
이들 시행은 알데하이드의 수용해도가 폴리아미드 캡슐의 응집에 영향을 끼칠 수 있음을 입증한다. 트라이사이클랄은 가장 높은 수용해도를 갖는 알데하이드 원재료이고 그대로 사용되었을 경우 응집과 함께 가장 높은 문제를 나타낸다. 선형 알데하이드 C10 및 이소 C11을 사용하여 형성된 전구체를 고려하여, 전구체가 사용된 경우 여전히 약간의 응집이 있으나 그 양이 매우 소량에 불과하고 알데하이드의 부재와 비교하여 뚜렷하게 감소되었다.
유사한 수용해도를 갖는 알데하이드의 구조와 비교한 경우, 가장 중요한 응집 문제를 나타내는 알데하이드는 카보닐 기에 대해 α 또는 β 위치에서 알킬 쇄가 없는 것임을 주목한다.
모든 캡슐이 제조되기 위해, 알데하이드 전구체가 알데하이드 대신에 첨가된 경우, 응집 문제는 함께 방지되거나 강력하게 감소된다.
실시예 5
폴리우레아 캡슐의 제조
방법 5.1
16.6%의 수준에서 데스모두르 더블유(Desmodur W)(바이에르(Bayer)로부터의 이소시아네이트)를 향수 오일에 첨가하여 오일 상을 제조하였다.
4.5%의 수준에서 루비스콜(Luviskol) k90(바스프(BASF))을 물에 첨가하여 수 상(용액 S1)을 제조하였다. 10%에서 NaOH를 첨가하여 용액의 pH를 11.5로 조정하였다.
10%의 수준에서 루파솔(Lupasol) PR8515(바스프)를 물에 첨가하여 수 상(용액 S2)을 제조하였다.
1000 rpm에서 작동하는 MIG 교반기가 장착된 1 L 반응기에서, 300 g의 오일 상을 500 g의 용액 S1과 혼합하여 수중유 에멀젼을 형성하였다.
30 분 혼합한 후, 200 g의 용액 S2를 1 분간에 걸쳐서 첨가하였다.
30 분 후, 슬러리를 70℃까지 가열한 후(1 시간), 2 시간 동안 70℃에서 방치한 후, 80℃로 가열하고 1 시간 동안 80℃에서 방치한 후, 85℃로 가열하고 1 시간 동안 85℃에서 방치한 후, 70℃로 냉각하고 1 시간 동안 70℃에서 방치한 후, 25℃에서 최종 냉각하였다.
방법 5.2
16.6%의 수준에서 데스모두르 더블유(바이에르)를 향수 오일에 첨가하여 오일 상을 제조하였다.
4.5%의 수준에서 루비스콜 k90(바스프)을 물에 첨가하여 수 상(용액 S1)을 제조하였다. 0.5%에서 pH가 10인 완충액을 첨가하여 용액의 pH를 10으로 조정하였다.
10%의 수준에서 루파솔 PR8515(바스프)를 물에 첨가하여 수 상(용액 S2)를 제조하였다.
상기 방법 5.1에 기재된 것과 유사한 과정으로 캡슐을 제조하였다.
방법 5.3
16.6%의 수준에서 데스모두르 더블유(바이에르)를 향수 오일에 첨가하여 오일 상을 제조하였다.
4.5%의 수준에서 루비스콜 k90(바스프)을 물에 첨가하여 수 상(용액 S1)을 제조하였다. 10%에서 NaOH를 첨가하여 용액의 pH를 11.5로 조정하였다.
10%의 수준에서 루파민 1595(바스프)를 물에 첨가하여 수 상(용액 S2)을 제조하였다.
상기 방법 5.1에 기재된 것과 유사한 과정으로 캡슐을 제조하였다.
방법 5.4
16.6%의 수준에서 데스모두르 더블유(바이에르)를 향수 오일에 첨가하여 오일 상을 제조하였다.
4.5%의 수준에서 모위올 40-88(쿠루레이)을 물에 첨가하여 수 상(용액 S1)을 제조하였다.
10%의 수준에서 루파솔 PR8515(바스프)를 물에 첨가하여 수 상(용액 S2)을 제조하였다.
1000 rpm에서 작동하는 MIG 교반기가 장착된 1 L 반응기에서, 240 g의 오일 상을 640 g의 용액 S1과 혼합하여 수중유 에멀젼을 형성하였다.
30 분 후, 슬러리를 50℃까지 가열하고 용액 S2를 천천히 첨가하였다(1 시간).
이어서, 슬러리를 70℃까지 가열하고 2 시간 동안 70℃에서 방치한 후, 80℃로 가열하고 1 시간 동안 80℃에서 방치한 후, 85℃로 가열하고 1 시간 동안 85℃에서 방치한 후, 70℃로 냉각하고 1 시간 동안 70℃에서 방치한 후, 25℃에서 최종 냉각하였다.
방법 5.5
2.2% 및 13%의 수준에서 데스모두르 더블유 및 데스모두르 N3300(바이에르)을 각각 향수 오일에 첨가하여 오일 상을 제조하였다.
1.6%의 수준에서, 간트레즈(Gantrez) AN119(아이에스피(ISP))를 물에 첨가하여 수 상(용액 S1)을 제조하였다. 용액을 70℃에서 10 분 동안 가열하여 중합체를 분산시켰다.
7.5%의 수준에서 에틸렌 다이아민(머크(Merck))을 물에 첨가하여 수 상(용액 S2)을 제조하였다.
1000 rpm에서 작동하는 프로펠러가 장착된 250 mL 용기에서, 30 g의 오일 상을 80 g의 용액 S1과 혼합하여 수중유 에멀젼을 형성하였다.
10 분 교반한 후, 20 g의 용액 S2를 첨가하였다.
슬러리를 30 분 동안 실온에서 교반한 후, 60℃로 가열하고 3 시간 동안 60℃에서 교반한 후 냉각하였다.
방법 5.6
2.5%의 수준에서 데스모두르 VL R20(바이에르)을 향수 오일에 첨가하여 오일 상을 제조하였다.
0.1%의 수준에서 모위올 4-88(쿠루레이)을 물에 첨가하여 수 상(용액 S1)을 제조하였다.
2%의 수준에서 다이에틸렌트라이아민(머크)을 물에 첨가하여 수 상(용액 S2)을 제조하였다.
1000 rpm에서 작동하는 프로펠러가 장착된 500 mL 용기에서, 100 g의 오일 상을 250 g의 용액 S1과 혼합하여 수중유 에멀젼을 형성하였다.
10 분 교반한 후, 50 g의 용액 S2를 첨가하였다.
슬러리를 4 시간 동안 실온에서 교반하였다.
방법 5.7
6.7%의 수준에서 데스모두르 N3300(바이에르)을 향수 오일에 첨가하여 오일 상을 제조하였다.
1.1%의 수준에서 모위올 4-88(쿠루레이)을 물에 첨가하여 수 상(용액 S1)을 제조하였다.
75%의 수준에서 하이드로실(Hydrosil) 1151(에보니크(Evonik))을 물에 첨가하여 수 상(용액 S2)을 제조하였다.
1000 rpm에서 작동하는 프로펠러가 장착된 1 L 용기에서, 134 g의 오일 상을 440 g의 용액 S1과 혼합하여 수중유 에멀젼을 형성하였다.
10 분 교반한 후, 45 g의 용액 S2를 첨가하였다.
슬러리를 2 시간 동안 실온에서 교반한 후, 온도를 천천히 40℃까지 올리고(2 시간), 슬러리를 40℃에서 2 시간 이상 동안 방치한 후 냉각하였다.
방법 5.8
12.6% 및 3.4%의 수준에서 데스모두르 더블유(바이에르) 및 바이하이두르(Bayhydur) XP2547(바이에르)을 각각 향수 오일에 첨가하여 오일 상을 제조하였다.
4.5%의 수준에서 루비스콜 k90(바스프)을 물에 첨가하여 수 상(용액 S1)을 제조하였다. 0.5%의 수준에서 pH가 10인 완충액을 첨가하여 용액의 pH를 10으로 조정하였다.
20%의 수준에서 루파솔 PR8515(바스프)를 물에 첨가하여 수 상(용액 S2)을 제조하였다.
하기 과정에 따라 캡슐을 제조하였다.
1000 rpm에서 작동하는 MIG 교반기가 장착된 1 L 반응기에서, 300 g의 오일 상을 600 g의 용액 S1과 혼합하여 수중유 에멀젼을 형성하였다.
30 분 교반한 후, 100 g의 용액 S2를 1 분간에 걸쳐서 첨가하였다.
30 분 후, 슬러리를 70℃까지 가열한 후(1 시간), 2 시간 동안 70℃에서 방치한 후, 80℃로 가열하고 1 시간 동안 80℃에서 방치한 후, 85℃로 가열하고 1 시간 동안 85℃에서 방치한 후, 70℃로 냉각하고 1 시간 동안 70℃에서 방치한 후, 25℃에서 최종 냉각하였다.
방법 5.9
13.1%의 수준에서 데스모두르 더블유(바이에르)를 향수 오일에 첨가하여 오일 상을 제조하였다.
4.5%의 수준에서 루비스콜 k90(바스프)를 물에 첨가하여 수 상(용액 S1)을 제조하였다. 0.5%의 수준에서 pH가 10인 완충액을 첨가하여 용액의 pH를 10으로 조정하였다.
20%의 수준에서 바이하이두르 XP2547(바이에르)을 물에 첨가하여 수 상(용액 S2)을 제조하였다.
20%의 수준에서 루파솔 PR8515(바스프)를 물에 첨가하여 수 상(용액 S3)을 제조하였다.
하기 과정에 따라 캡슐을 제조하였다.
1000 rpm에서 작동하는 MIG 교반기가 장착된 1 L 반응기에서, 290 g의 오일 상을 560 g의 용액 S1과 혼합하여 수중유 에멀젼을 형성하였다.
15 분 교반한 후, 50 g의 용액 S2를 1 분의 기간에 걸쳐서 첨가하였다.
30 분 혼합한 후, 100 g의 용액 S3을 1 분의 기간에 걸쳐서 첨가하였다.
30 분 후, 슬러리를 70℃까지 가열한 후(1 시간), 2 시간 동안 70℃에서 방치한 후, 80℃로 가열하고 1 시간 동안 80℃에서 방치한 후, 85℃로 가열하고 1 시간 동안 85℃에서 방치한 후, 70℃로 냉각하고 1 시간 동안 70℃에서 방치한 후 25℃에서 최종 냉각하였다.
실시예 6
폴리우레아 캡슐의 응집에 대한 알데하이드 부재의 영향
실시예 5의 방법 5.1을 적용하여 상 A(비알데하이드 원재료) 및 상 B(알데하이드 원재료)로서 기재된 상이한 향수 오일을 캡슐화하였다.
하기 시행에서, 상 A는 IPM였고 상 B는 알데하이드 향수 분자였다. 상 B를 5%의 수준에서 상 A에 첨가하였다.
알데하이드로 제조된 폴리우레아 캡슐(방법 5.1)
상 B에서 사용된 알데하이드 수용해도(ppm) 캡슐화
선형 알데하이드
알데하이드 C10 61 응집
알데하이드 C12 라우릭 9 응집
β 치환된 알데하이드
하이드록시시트로넬알 1800 응집
릴리알 21 응집 없음
α 치환된 알데하이드

트라이사이클랄 700 응집
플로르하이드랄 51 응집
알데하이드 C12 mna 8 응집 없음
IPM 단독; IPM + 트라이사이클랄; 및 IPM + 알데하이드 C12 mna를 함유하는 캡슐에 대한 캡슐의 품질을 현미경으로 조사하였다. 캡슐화된 오일로서 IPM + 트라이프랄의 경우에, 캡슐은 현미경 하에서 응집되는 것으로 나타났다.
실시예 7
알데하이드 분자를 함유하는 폴리우레아 캡슐의 응집으로부터의 보호 및 성능의 평가
실시예 5의 방법 5.1을 적용하여 상 A(비알데하이드 원재료) 및 상 B(알데하이드 원재료)로서 기재된 상이한 향수 오일을 캡슐화하였다.
상 B는 방법 1.1에 따라 제조된 알데하이드 C11 이소 또는 상응하는 전구체를 함유한다.
상 B를 5% 수준에서 상 A에 첨가하였다.
상 A의 조성
%
만자네이트 0.1
에스트라골 0.1
갈바눔 0.07
다마스콘 델타 0.03
에틸 메틸-2-부티레이트 0.3
에바놀 0.1
메틸 옥틴 카보네이트 0.05
로즈 옥사이드 0.15
야라 야라 1
자스민 0.4
헥실 아세테이트 2.5
자스마사이클렌 4
살리실레이트 아밀 5
게라니올 중간체 6
아그루멕스 7.55
헥실 살리실레이트 7.55
페오닐 3.5
기로플 3
갈바논 10 1.5
순수 페쉬 4
로사세톨 8
이소랄데인 70 6
파촐리 에센스 2
유칼립톨 12
테트라하이드로 리날롤 25
알데하이드의 전구체로 제조된 폴리우레아 캡슐
샘플 상 B 슬러리 양상 성능(파브콘(Fabcon))
1 없음 좋음, 응집 없음 러빙(rubbing) 후 양호한-부스트
2 알데하이드 C11 이소의
전구체
좋음, 응집 없음 러빙 후 양호한 부스트
건조 상 알데하이드의 강력한 냄새
3 알데하이드 C11 이소 케익 N.T.
알데하이드 C11 이소로 제조된 캡슐은 응집된 반면, 알데하이드 C11 이소의 전구체로 제조된 캡슐은 응집되지 않았다.
세정 후 후각 이점의 평가를 위한 착향된 섬유 유연제를 제조하기 위해 샘플 1 및 2를 사용하였다. 13% 콰터늄(Qaternium) 암모늄 ARQUAD 2HT75(아크조(Akzo)), 0.3% 실리콘 다우 코닝(Silicone Dow Corning) DB110(다우 코닝), 0.6% CaCl2(머크) 및 0.15% 브로니독스(Bronidox, 헨켈(Henkel))를 포함하는 표준 섬유 유연제 기제에서 0.5% 향수의 수준에서 착향된 샘플을 제조하였고, 사용된 세정 조건은 다음과 같다:
- 세탁물의 총 중량은 2.5 kg.
- 세탁용 분말(90 g의 표준 내부 지보당(Givaudan) 세탁용 분말)로 세정 후 착향된 섬유 유연제를 첨가.
- 유럽식 기계.
2가지 샘플에 대해, 캡슐화된 향수를 젖은 수건 및 마른 수건 위에서 인식하였다. 마른 수건의 완만한 러빙 후, 향수의 부스트를 인지하였다. 샘플 2의 경우에, 알데하이드의 강력한 냄새를 마른 수건 위에서 인식하는 바, 이는 알데하이드 C11 이소의 전구체가 건조시 알데하이드를 방출하는 것을 입증한다.
실시예 8
알데하이드를 함유하는 폴리우레아 캡슐의 응집으로부터의 보호
실시예 5의 방법 5.2를 적용하여 상 A(비알데하이드 원재료) 및 상 B(알데하이드 원재료)로서 기재된 상이한 향수 오일을 캡슐화하였다.
상 A는 실시예 7의 표 4에 기재되고 사용된 상 A와 유사하다.
상 B는 다음과 같다:
Figure pct00001
상 A + 상 B(상 B의 수준은 20%임)로 수득된 캡슐은 완전히 응집되었다. 방법 1.1에 따라 수득된 상 B의 전구체가 상 A에 첨가된 경우, 수득된 캡슐은 잘 분산되었다.
실시예 9
알데하이드를 함유하는 폴리우레아 캡슐의 응집으로부터의 보호
실시예 5의 방법 5.3을 적용하여 상 A(비알데하이드 원재료) 및 상 B(알데하이드 원재료)로서 기재된 상이한 향수 오일을 캡슐화하였다.
상 A는 실시예 7의 표 4에 기재되고 사용된 상 A와 유사하다.
상 B는 상기 실시예에 기재되고 사용된 상 B와 유사하다.
상 A + 상 B(상 B의 수준은 20%임)로 수득된 캡슐은 완전히 응집되었다. 방법 1.1에 따라 수득된 상 B의 전구체가 상 A에 첨가된 경우, 수득된 캡슐은 잘 분산되었다.
실시예 10
알데하이드를 함유하는 폴리우레아 캡슐의 응집으로부터의 보호
실시예 5의 방법 5.4를 적용하여 상 A(비알데하이드 원재료) 및 상 B(알데하이드 원재료)로서 기재된 상이한 향수 오일을 캡슐화하였다.
상 A는 하기 기재된 바와 같다.
상 B는 방법 1.1에 따라 수득된 트라이사이클랄 또는 트라이사이클랄의 전구체이다.
상 B를 알데하이드의 4% 수준에서 상 A에 첨가하였다.
사용된 상 A의 조성은 다음과 같다:
Figure pct00002
상 A 및 트라이사이클랄로 수득된 캡슐은 약간, 특히 작게 응집하였지만, 상 A 및 트라이사이클랄의 전구체로 수득된 캡슐은 잘 분산되었다.
실시예 11
폴리우레아 캡슐의 응집에 대한 알데하이드의 반응성 및 수용해도의 영향
실시예 5의 방법 5.5를 적용하여 상 A(비알데하이드 원재료) 및 상 B(알데하이드 원재료)로서 기재된 상이한 향수 오일을 캡슐화하였다.
상 A의 조성은 상기 표 1에 기재하였다. 상 B는 방법 1.1에 따라 제조된 그대로 또는 이의 전구체 형태로 사용된 알데하이드 향수 분자이다.
관찰 결과를 하기 표에 기록하였다. 슬러리의 양상에 따라, 응집의 등급을 다음과 같이 정의하였다:
o 캡슐의 응집 없음
+ 현미경하에서만 눈으로 볼 수 있는 약간의 캡슐의 응집
++ mm 크기의 응집
+++ 중요한 응집
++++ 케익이 수득될 정도의 응집
전구체의 존재 또는 부재하에 제조된 폴리우레아 캡슐
상 B에서 사용된 알데하이드
수용해도 (ppm)
캡슐화
전구체 부재 전구체 존재
선형 알데하이드 알데하이드 C10 61 +++ o
알데하이드 C12
라우리크
9 ++ o
β 분기된 알데하이드 하이드록시시트로넬알 1800 ++++ o
릴리알 21 o o
α 분기된 알데하이드 트라이사이클랄 700 ++++ o
알데하이드 C12 mna 8 o o
캡슐의 응집에 대한 알데하이드의 반응성 및 용해도의 영향에 관해, 상기한 결론과 유사한 결론에 도달할 수 있다.
실시예 12
폴리우레아 캡슐의 응집에 대한 알데하이드의 반응성 및 수용해도의 영향
실시예 5의 방법 5.5를 적용하여 상 A(비알데하이드 원재료) 및 상 B(알데하이드 원재료)로서 기재된 상이한 향수 오일을 캡슐화하였다.
상 A는 실시예 7의 표 4에 기재되고 사용된 상 A와 유사하다.
상 B는 다음과 같다:
Figure pct00003
상 B를 알데하이드의 20% 수준에서 상 A에 첨가하였다.
알데하이드의 전구체로 제조된 폴리우레아 캡슐(방법 5.5)
샘플 오일 설명 슬러리 양상
1 상 A - 우수함, 응집 없음
2 상 A + 상 B 2개의 상을 1 시간 동안 혼합한 후 캡슐화 케익
3 상 A + [상 B]-전구체 방법 1.1에 따라 전구체를 제조한 후 2개의 상을 1 시간 동안 혼합한 후 캡슐화 거시적 응집 없음, 현미경하에서 눈에 보이는 약간의 응집.
실시예 13
폴리우레아 캡슐의 응집에 대한 알데하이드의 반응성 및 수용해도의 영향
실시예 5의 방법 5.6을 적용하여 상 A(비알데하이드 원재료) 및 상 B(알데하이드 원재료)로서 기재된 상이한 향수 오일을 캡슐화하였다.
상 A의 조성물은 상기 표 1에 기재하였다. 상 B는 방법 1.1에 따라 제조된 그대로 또는 이의 전구체 형태로 사용된 알데하이드 향수 분자이다.
관찰 결과는 하기 표에 기록하였다. 슬러리의 양상에 따라, 응집의 등급을 다음과 같이 정의하였다:
o 캡슐의 응집 없음
+ 현미경하에서만 눈에 보이는 소량의 캡슐의 응집
++ mm 크기의 응집
+++ 중요한 응집
++++ 케익이 수득될 정도의 응집
전구체의 존재 또는 부재하에 제조된 폴리우레아 캡슐
샘플 B에서 사용된 알데하이드 수용해도 (ppm) 캡슐화
전구체 부재 전구체 존재
1 선형 알데하이드


알데하이드 C10 61 ++++ o
2 알데하이드 C12 라우리크 9 ++++ o
3 카프론알데하이드 (헥산알) 1700 ++++ o
4 피노 아세트알데하이드 86 ++++ o
5 β 치환된 알데하이드


릴리알 21 o o
6 알데하이드 C9 이소노닐산 160 +++ o
7 하이드록시시트로넬알 1800 +++ o
8 신남 알데하이드 1900 + o
9 메프라날 100 o o
10 α 치환된 알데하이드

트라이사이클랄 700 +++ o
11 알데하이드 C12 mna 8 o o
12 하이드라트로픽 알데하이드 650 + +
13 쿠민산 알데하이드 280 ++ o
14 사이클로헥살 1479 o o
15 사이클로마이랄 40 o o
16 멜로날 344 ++++ o
17 헥실 신남 알데하이드 2 + o
18 메틸 신남 알데하이드 580 o o
19 센터날 2245 ++ o
캡슐의 응집에 대한 알데하이드의 반응성 및 용해도의 영향에 관해, 상기한 결론과 유사한 결론에 도달할 수 있다.
캡슐이 건조되었을 때 알데하이드 분자를 적절히 방출하도록 조절하기 위해 상기 캡슐의 일부를 SPME로 분석하였다.
사용된 방법은 다음과 같다:
- 몇 방울의 슬러리를 종이위에 증착하고 24 시간 동안 건조시켰다.
- 건조 시, 캡슐을 바이알에 동봉하였다.
- 바이알을 오븐안에 위치시키고 취기제 분자를 추출한 후, 이를 가스 크로마토그래피로 분석하였다.
- 추출물에 함유된 알데하이드 취기제 분자의 백분율을 측정하였다.
캡슐이 파괴된 후 방출된 알데하이드 취기제 분자의 백분율을 측정하기 위해, 용기에 캡슐을 증착하기 전에 종이 표면을 긁어 캡슐을 파괴하는 것을 제외하고는 동일한 방법을 적용하였다.
결과를 하기 표에 기록하였다.
샘플
검출된 알데하이드
GC에 의해 측정된 백분율(%)
러빙 전 러빙 후
1 알데하이드 C10 1.6 2.6
3 헥산알 0.3 1.1
4 피노아세트알데하이드 1 0.7
6 알데하이드 C9 이소노닐산 3.2 3.9
7 하이드록시시트로넬알 0.01 0.14
10 트라이사이클랄 5.3 7
13 쿠민산 알데하이드 7.7 9.6
16 멜로날 2.4 6.2
이러한 결과로, 알데하이드 전구체가 건조 동안 알데하이드를 방출하는 것이 확인된다.
실시예 14
폴리우레아 캡슐의 응집에 대한 알데하이드의 반응성 및 수용해도의 영향
실시예 5의 방법 5.7을 적용하여 상 A(비알데하이드 원재료) 및 상 B(알데하이드 원재료)로서 기재된 상이한 향수 오일을 캡슐화하였다.
상 A의 조성을 상기 표 1에 기재하였다. 상 B는 5%의 수준에서 상 A 중 첨가된 그대로 또는 이의 전구체 형태로 사용된 알데하이드 향수 분자이다.
알데하이드의 전구체로 제조된 폴리우레아 캡슐(방법 5.7)
상 B 설명 슬러리 양상
- - 우수함, 응집 없음
릴리알 2개의 상을 1 시간 동안 혼합한 후 캡슐화 케익
베르단티올(릴리알 메틸안트라닐레이트 시프 염기) 2개의 상을 1 시간 동안 혼합한 후 캡슐화 거시적 응집 없음, 현미경하에서 눈에 보이는 약간의 응집.
릴리알의 크뇌베나겔 전구체 방법 1.1에 따라 전구체를 제조한 후 2개의 상을 1 시간 동안 혼합한 후 캡슐화 케익
본 실시예에서, 릴리알에 대해 시프 염기 전구체가 사용되어야 한다.
실시예 15
폴리우레아 캡슐의 응집에 대한 알데하이드의 반응성 및 수용해도의 영향
실시예 5의 방법 5.8 및 5.9를 적용하여 상 A(비알데하이드 원재료) 및 상 B(알데하이드 원재료)로서 기재된 상이한 향수 오일을 캡슐화하였다.
상 A는 실시예 7의 표 4에 기재되고 사용된 상 A와 유사하다.
상 B는 다음과 같다:
Figure pct00004
상 A + 상 B(상 B의 수준은 20%임)로 수득된 캡슐은 완전히 응집되고, 케익은 반응기에서 형성되었다. 방법 1.1에 따라 수득된 상 B의 전구체를 상 A에 첨가했을 때, 수득된 캡슐은 잘 분산되었다.
실시예 16
모발 관리에서 폴리우레아 캡슐의 후각 성능
0.2%의 캡슐화된 향수의 용량으로 표준 모발 프로토콜을 사용하여 모발 스위치 시험을 수행하였다. 이 실시예에서 비교된 캡슐 특징을 하기 표에 기록하였다. 이들은 모두 동일한 향수를 사용하지만 상이한 방법에 따라 제조되었다. 향수 조성을 하기 표에 나타냈다:
Figure pct00005
샴푸에 대한 프로토콜:
- 사용된 스위치: 손상되지 않은 (그러나 여러번 재사용된) 유럽 버진 모발
- 온수로 스위치를 적시고 계량 저울 위에 둔다.
- 주사기를 사용하여 스위치를 따라 2.5 g의 샴푸를 짠다.
- 30 초 동안 모발 스위치로 샴푸를 마사지한다.
- 비누거품을 스위치에 남기고 1 분 동안 담근 후 대략 30 초 동안 흐르는 손을 넣어도 될 정도로 뜨거운 물로 헹군다.
- 2개의 손가락 사이에서 스위치를 짜서 과량의 물을 제거한다.
- 스위치를 건조한다(자연 건조를 위해 매달거나, 모발 건조기를 사용하여 즉시 송풍 건조함).
- 자연 건조된 샘플을 무취실에 24 시간 동안 걸어 둔다.
- 10 점 등급으로 혼합 전 및 혼합 후 각각의 스위치를 평가한다(0은 냄새 없음, 9는 냄새가 매우 강함).
모발 컨디셔너에 대한 프로토콜:
모발 스위치를 향기나지 않는 샴푸에 예비-세척한 후 컨디셔너를 적용하는 것을 제외하고 컨디셔너에 대해 동일한 프로토콜을 수행하였다.
샘플 방법 샴푸에서의 성능
(혼합 전/혼합 후)
컨디셔너에서의 성능
(혼합 전/혼합 후)
1 - CGS-A-048 5.4 1.6 / 2.3 2.1 / 3.4
3 - CGS-ND-001 5.2 1.5 / 1.9 1.7 / 1.9
4 - CGS-ND-007 5.8 2.2 / 3.9 3.8 / 6.1

Claims (17)

  1. 중합체 캡슐 벽에 의해 둘러싸인 취기제 오일 코어를 포함하는 캡슐로서,
    상기 캡슐 벽이 카보닐 탄소 결합에 반복 질소를 함유하는 중합체로 형성되고, 상기 오일 코어가 알데하이드 전구체를 함유하는 캡슐.
  2. 제 1 항에 있어서,
    캡슐 벽이 폴리우레아인 캡슐.
  3. 제 1 항에 있어서,
    캡슐 벽이 폴리아미드인 캡슐.
  4. 제 1 항 내지 제 3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전구체가 알데하이드 카보닐 탄소 원자에 대해 α 또는 β 위치의 탄소 원자에서 치환기를 갖지 않는 알데하이드의 전구체인 캡슐.
  5. 제 1 항 내지 제 4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오일 코어가 알데하이드 카보닐 탄소 원자에 대해 α 또는 β 위치의 탄소 원자에서 치환기를 갖지 않는 알데하이드의 알데하이드 전구체, 및 알데하이드 작용기를 갖지 않고 알데하이드 카보닐 탄소 원자에 대해 α 또는 β 위치의 탄소 원자에서 치환된 알데하이드인 향수 성분을 함유하는 캡슐.
  6. 제 1 항 내지 제 5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전구체의 형태의 알데하이드가 페닐아세트알데하이드, p-메틸 페닐아세트알데하이드, p-이소프로필 페닐아세트알데하이드, 메틸노닐 아세트알데하이드, 페닐프로판알, 3-(4-t-부틸페닐)-2-메틸 프로판알, 3-(4-t-부틸페닐)-프로판알, 3-(4-메톡시페닐)-2-메틸프로판알, 3-(4-이소프로필페닐)-2-메틸프로판알, 3-(3,4-메틸렌다이옥시페닐)-2-메틸프로판알, 3-(4-에틸페닐)-2,2-다이메틸프로판알, 페닐부탄알, 3-메틸-5-페닐펜탄알, 헥산알, 트랜스-2-헥센알, 시스-헥스-3-엔알, 헵탄알, 시스-4-헵텐알, 2-에틸-2-헵텐알, 2,6-다이메틸-5-헵텐알(멜로날), 2,6-다이메틸프로판알, 2,4-헵타다이엔알, 옥탄알, 2-옥텐알, 3,7-다이메틸옥탄알, 3,7-다이메틸-2,6-옥타다이엔-1-알, 3,7-다이메틸-1,6-옥타다이엔-3-알, 3,7-다이메틸-6-옥텐알, 3,7-다이메틸-7-하이드록시옥탄-1-알, 노난알, 6-노넨알, 2,4-노나다이엔알, 2,6-노나다이엔알, 데칸알, 2-메틸 데칸알, 4-데센알, 9-데센알, 2,4-데카다이엔알, 운데칸알, 2-메틸데칸알, 2-메틸운데칸알, 2,6,10-트라이메틸-9-운데센알, 운데크-10-엔일 알데하이드, 운데크-8-에난알, 도데칸알, 트라이데칸알, 테트라데칸알, 아니스알데하이드, 보우르게논알, 신남 알데하이드, [α]-아밀신남-알데하이드, [α]-헥실 신남알데하이드, 메톡시 신남알데하이드, 시트로넬알, 하이드록시-시트로넬알, 이소사이클로시트랄, 시트로넬일 옥시아세트-알데하이드, 코텍스알데하이드, 쿠민 알데하이드, 사이클라멤 알데하이드, 플로르하이드랄, 헬리오트로핀, 굴수성 알데하이드, 릴리알, 바닐린, 에틸 바닐린, 벤즈알데하이드, p-메틸 벤즈알데하이드, 3,4-다이메톡시벤즈알데하이드, 3- 및 4-(4-하이드록시-4-메틸-펜틸)-3-사이클로헥센-1-카복스알데하이드, 2,4-다이메틸-3-사이클로헥센-1-카복스알데하이드, 1-메틸-3-4-메틸펜틸-3-사이클로헥센카복스알데하이드 및 p-메틸페녹시아세트알데하이드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된 캡슐.
  7. 제 1 항 내지 제 6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전구체가 β-케토 에스터 및 알데하이드의 반응의 생성물인 캡슐.
  8. 제 7 항에 있어서,
    β-케토 에스터가 알릴 아세토아세테이트, 메틸 아세토아세테이트, 에틸 아세토아세테이트, 아세토아세트산 n-프로필 에스터, 에틸 프로피오닐 아세테이트, 다이알릴 말로네이트, 및 다이에틸, 다이프로필 또는 다이부틸 말로네이트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캡슐.
  9. 제 1 항 내지 제 6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전구체가 알데하이드의 시프 염기(Schiff base)인 캡슐.
  10. 중합체 벽이 카보닐 탄소 결합에 반복 질소를 함유하는 중합체를 포함하도록 아민을 공반응물과 중첨가 반응시켜 오일 코어 주변에 중합체 벽을 형성함으로써 제 1 항 내지 제 9 항 중 어느 한 항에 따른 캡슐을 형성하는 방법으로서,
    알데하이드-함유 오일 코어 성분을 이의 전구체로 전환하는 단계 후, 상기 오일 코어를 중합체 벽내에 캡슐화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방법.
  11. 제 10 항에 있어서,
    알데하이드 작용기를 함유하는 오일 코어를 형성하는 성분을 확인하는 단계, 및 이들 성분 중 알데하이드 카보닐 탄소 원자에 대해 α 또는 β 위치의 탄소 원자에서 치환기를 갖지 않는 성분을 상응하는 전구체로 전환한 후 캡슐화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방법.
  12. 제 10 항 또는 제 11 항에 있어서,
    공반응물이 아실 할라이드, 산 무수물 또는 이소시아네이트인 방법.
  13. 제 10 항 내지 제 12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I) 알데하이드의 전구체를 형성하는 단계;
    (II) 상기 전구체 및 아민에 대한 공반응물을 함유하는 오일 상을 형성하는 단계;
    (III) 오일 상을 계면 활성제, 보호 콜로이드 또는 둘다를 선택적으로 함유하는 수 상과 에멀젼화하여, 연속 수 상에서 유적을 형성하는 단계; 및
    (IV) 아민을 첨가하여 오일 상에서 아민을 공반응물과 계면 반응시켜 유적 주변에 캡슐 벽을 형성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방법.
  14. 캡슐내에 오일을 캡슐화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제 1 항 내지 제 9 항 중 어느 한 항에 따른 캡슐의 응집을 감소시키는 방법으로서,
    임의의 알데하이드-함유 오일 코어 성분을 이의 전구체로 전환한 후 캡슐화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방법.
  15. 제 13 항에 있어서,
    캡슐내에 오일을 캡슐화하는 단계를 포함하되 알데하이드 작용기를 함유하는 오일 코어 성분을 확인하는 단계, 및 이들 성분 중 알데하이드 카보닐 탄소 원자에 대해 α 또는 β 위치의 탄소 원자에서 치환기를 갖지 않는 성분을 상응하는 전구체로 전환한 후 캡슐화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방법.
  16. 제 1 항 내지 제 9 항 중 어느 한 항에 따른 캡슐을 포함하는 착향된 제품.
  17. 제 16 항에 있어서,
    고체 또는 액체 세제 및 섬유 유연제, 향수, 콜롱 또는 면도 후 로션, 향 비누, 샤워 또는 배스 염, 무스, 오일 또는 젤, 위생 용품, 모발 관리 용품, 샴푸, 보디 관리 용품, 탈취제 또는 발한 억제제, 공기 청정제 및 화장품 제제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된 착향된 제품.
KR1020137001892A 2010-06-25 2011-06-27 조성물 KR20130097140A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EP10290345 2010-06-25
EP10290345.7 2010-06-25
PCT/EP2011/060736 WO2011161265A2 (en) 2010-06-25 2011-06-27 Compositions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30097140A true KR20130097140A (ko) 2013-09-02

Family

ID=4462746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37001892A KR20130097140A (ko) 2010-06-25 2011-06-27 조성물

Country Status (9)

Country Link
US (1) US20130089591A1 (ko)
EP (1) EP2585034A2 (ko)
JP (1) JP2013530979A (ko)
KR (1) KR20130097140A (ko)
CN (1) CN103140208A (ko)
BR (1) BR112012032887A2 (ko)
MX (1) MX2012013821A (ko)
WO (1) WO2011161265A2 (ko)
ZA (1) ZA201209251B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11458105B2 (en) 2008-12-04 2022-10-04 International Flavors & Fragrances Inc. Hybrid fragrance encapsulate formulation and method for using the same
US9763861B2 (en) 2008-12-04 2017-09-19 International Flavors & Fragrances Inc. Stable, flowable silica capsule formulation
US20140287008A1 (en) * 2008-12-04 2014-09-25 International Flavors & Fragrances Inc. Hybrid polyurea fragrance encapsulate formulation and method for using the same
US11311467B2 (en) * 2009-09-18 2022-04-26 International Flavors & Fragrances Inc. Polyurea capsules prepared with a polyisocyanate and cross-linking agent
US10085925B2 (en) 2009-09-18 2018-10-02 International Flavors & Fragrances Inc. Polyurea capsule compositions
GB201010701D0 (en) * 2010-06-25 2010-08-11 Givaudan Sa Process for producing microcapsules
BR102012006009B1 (pt) 2011-03-18 2020-09-24 International Flavors & Fragrances Inc. Composição de partícula de microcápsula, e, produto para o cuidado pessoal, terapêutico, cosmético ou cosmecêutico
EP2793800A1 (en) * 2011-12-22 2014-10-29 Givaudan SA Improvements in or relating to the encapsulation of perfumes
WO2014064122A2 (en) * 2012-10-24 2014-05-01 Unilever Plc Improvements relating to encapsulated benefit agents
KR102063027B1 (ko) * 2013-10-31 2020-01-07 (주)아모레퍼시픽 캡슐화된 향기를 포함하는 조성물
KR20170072345A (ko) * 2014-11-07 2017-06-26 지보당 에스아 유기 화합물의 개선 또는 유기 화합물과 관련한 개선
CN107072925B (zh) 2014-11-07 2021-03-12 奇华顿股份有限公司 胶囊组合物
ES2794652T3 (es) 2014-11-07 2020-11-18 Givaudan Sa Mejoras de o relacionadas con compuestos orgánicos
GB201511605D0 (en) 2015-07-02 2015-08-19 Givaudan Sa Microcapsules
JP6889726B2 (ja) * 2016-02-29 2021-06-18 シムライズ アーゲー 改善された界面活性剤安定性を有する芳香カプセルを製造するための方法
EP3784713B1 (en) * 2018-04-24 2024-02-21 Symrise AG Core-shell capsules prepared with linear and cyclic aliphatic polyisocyanates
US20220105486A1 (en) * 2019-02-13 2022-04-07 Symrise Ag Process for the preparation of microcapsules
CN113855592A (zh) * 2021-11-19 2021-12-31 中盐工程技术研究院有限公司 一种泡腾浴盐球及其制备方法

Family Cites Families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503501B2 (ja) * 1987-04-16 1996-06-05 ライオン株式会社 マイクロカプセルの製造方法
JPH06362A (ja) * 1992-06-23 1994-01-11 Lion Corp マイクロカプセルの製造方法
ATE460153T1 (de) 1999-06-01 2010-03-15 Procter & Gamble Riechstoffvorläufer
US6375968B1 (en) * 1999-10-22 2002-04-23 3M Innovative Properties Company Encapsulated active material immobilized in hydrogel microbeads
DE10348062A1 (de) * 2003-10-16 2005-05-19 Symrise Gmbh & Co. Kg Kurzkettige Enolester als Riechstoff-Prekursoren
EP1661977A1 (en) * 2004-11-29 2006-05-31 The Procter & Gamble Company Detergent compositions
GB0611770D0 (en) * 2006-06-15 2006-07-26 Givaudan Sa Compounds
EP2111214B1 (en) * 2007-02-13 2011-04-13 Givaudan SA Microcapsules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MX2012013821A (es) 2013-01-28
WO2011161265A3 (en) 2013-03-28
WO2011161265A2 (en) 2011-12-29
US20130089591A1 (en) 2013-04-11
ZA201209251B (en) 2013-08-28
CN103140208A (zh) 2013-06-05
BR112012032887A2 (pt) 2016-08-30
EP2585034A2 (en) 2013-05-01
JP2013530979A (ja) 2013-08-0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130097140A (ko) 조성물
JP6159823B2 (ja) マイクロカプセル、一級又は二級アミン、及びホルムアルデヒドスカベンジャーを含む、処理組成物
US11344857B2 (en) Microcapsules
US20150374599A1 (en) Flavour and fragrance compositions comprising acetophenone derivatives
US20080009559A1 (en) Polymer Particles and Methods for Their Preparation and Use
EP1448757B2 (en) Pro-perfume compositions used in cleaning or fabric treatment products
CN114728254A (zh) 聚脲微胶囊和含有该聚脲微胶囊的液体表面活性剂体系
JP7123946B2 (ja) 開裂可能な界面活性剤
AU2005267278A1 (en) Novel aldehydic musks and derivatives thereof
JP2008531761A (ja) プロフレグランスおよびプロフレーバラント組成物
JP2006526623A (ja) ベンゾ[4,5]チエノ[3,2b]ピラン−2−オンを含む芳香剤組成物
CN115551828A (zh) 一种香料组合物
CN114728092A (zh) 具有改进气味性能的边缘块
WO2023232245A1 (en) Fragrances with cyclopropyl structure
US20230220300A1 (en) Treatment compositions with modified amino acid multimers
WO2024037712A1 (en) 1-cyclooctylpropan-2-one as a fragrance
WO2024088798A1 (en) Microcapsules
CN116528818A (zh) 协同加香组合物
WO2023160805A1 (en) Fragrances with methoxy acetate structure
CA3201921A1 (en) Treatment compositions with pro-fragrance silicone polymers that comprise heterocyclic moieties
CN116568786A (zh) 协同加香组合物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WITN Application deemed withdrawn, e.g. because no request for examination was filed or no examination fee was pai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