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30097090A - 피부 색소침착의 조절을 위한 치커리산 및 유도체의 용도 - Google Patents

피부 색소침착의 조절을 위한 치커리산 및 유도체의 용도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30097090A
KR20130097090A KR1020127033430A KR20127033430A KR20130097090A KR 20130097090 A KR20130097090 A KR 20130097090A KR 1020127033430 A KR1020127033430 A KR 1020127033430A KR 20127033430 A KR20127033430 A KR 20127033430A KR 20130097090 A KR20130097090 A KR 20130097090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kin
chicory
extract
acid
treatmen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2703343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마르졸리 기따르
리드 라치드 벨
앵거스 무디클리프
파비올라 디오니시
Original Assignee
네스텍 소시에테아노님
로레알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네스텍 소시에테아노님, 로레알 filed Critical 네스텍 소시에테아노님
Publication of KR2013009709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30097090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1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 A61K8/3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compounds
    • A61K8/33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compounds containing oxygen
    • A61K8/36Carboxylic acids; Salts or anhydrides thereof
    • A61K8/365Hydroxycarboxylic acids; Ketocarboxylic acid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L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NOT COVERED BY SUBCLASSES A21D OR A23B-A23J; THEIR PREPARATION OR TREATMENT, e.g. COOKING, MODIFICATION OF NUTRITIVE QUALITIES, PHYSICAL TREATMENT; PRESERVATION OF FOODS OR FOODSTUFFS, IN GENERAL
    • A23L33/00Modifying nutritive qualities of foods; Dietetic products; Preparation or treatment thereof
    • A23L33/10Modifying nutritive qualities of foods; Dietetic products; Preparation or treatment thereof using additives
    • A23L33/105Plant extracts, their artificial duplicates or their derivative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L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NOT COVERED BY SUBCLASSES A21D OR A23B-A23J; THEIR PREPARATION OR TREATMENT, e.g. COOKING, MODIFICATION OF NUTRITIVE QUALITIES, PHYSICAL TREATMENT; PRESERVATION OF FOODS OR FOODSTUFFS, IN GENERAL
    • A23L33/00Modifying nutritive qualities of foods; Dietetic products; Preparation or treatment thereof
    • A23L33/10Modifying nutritive qualities of foods; Dietetic products; Preparation or treatment thereof using additives
    • A23L33/135Bacteria or derivatives thereof, e.g. probiotic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31/00Medicinal preparations containing organic active ingredients
    • A61K31/21Esters, e.g. nitroglycerine, selenocyanates
    • A61K31/215Esters, e.g. nitroglycerine, selenocyanates of carboxylic acids
    • A61K31/216Esters, e.g. nitroglycerine, selenocyanates of carboxylic acids of acids having aromatic rings, e.g. benactizyne, clofibrate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36/00Medicinal preparations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containing material from algae, lichens, fungi or plants, or derivatives thereof, e.g. traditional herbal medicines
    • A61K36/18Magnoliophyta (angiosperms)
    • A61K36/185Magnoliopsida (dicotyledons)
    • A61K36/28Asteraceae or Compositae (Aster or Sunflower family), e.g. chamomile, feverfew, yarrow or echinacea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02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special physical form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1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 A61K8/3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compounds
    • A61K8/33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compounds containing oxygen
    • A61K8/37Esters of carboxylic acid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1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 A61K8/96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materials, or derivatives thereof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 A61K8/97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materials, or derivatives thereof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from algae, fungi, lichens or plants; from derivatives thereof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1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 A61K8/96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materials, or derivatives thereof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 A61K8/97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materials, or derivatives thereof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from algae, fungi, lichens or plants; from derivatives thereof
    • A61K8/9783Angiosperms [Magnoliophyta]
    • A61K8/9789Magnoliopsida [dicotyled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1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 A61K8/96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materials, or derivatives thereof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 A61K8/99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materials, or derivatives thereof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from microorganisms other than algae or fungi, e.g. protozoa or bacteria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PSPECIFIC THERAPEUTIC ACTIVITY OF CHEMICAL COMPOUNDS OR MEDICINAL PREPARATIONS
    • A61P17/00Drugs for dermatological disorder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PSPECIFIC THERAPEUTIC ACTIVITY OF CHEMICAL COMPOUNDS OR MEDICINAL PREPARATIONS
    • A61P17/00Drugs for dermatological disorders
    • A61P17/16Emollients or protectives, e.g. against radiation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QSPECIFIC USE OF 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Q19/00Preparations for care of the skin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QSPECIFIC USE OF 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Q19/00Preparations for care of the skin
    • A61Q19/02Preparations for care of the skin for chemically bleaching or whitening the skin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2236/00Isolation or extraction methods of medicinal preparations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containing material from algae, lichens, fungi or plants, or derivatives thereof, e.g. traditional herbal medicine
    • A61K2236/30Extraction of the material
    • A61K2236/33Extraction of the material involving extraction with hydrophilic solvents, e.g. lower alcohols, esters or ketones
    • A61K2236/331Extraction of the material involving extraction with hydrophilic solvents, e.g. lower alcohols, esters or ketones using water, e.g. cold water, infusion, tea, steam distillation, decoction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2800/00Properties of cosmetic compositions or active ingredients thereof or formulation aids used therein and process related aspects
    • A61K2800/80Process related aspects concerning the preparation of the cosmetic composition or the storage or application thereof
    • A61K2800/88Two- or multipart kit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2800/00Properties of cosmetic compositions or active ingredients thereof or formulation aids used therein and process related aspects
    • A61K2800/80Process related aspects concerning the preparation of the cosmetic composition or the storage or application thereof
    • A61K2800/88Two- or multipart kits
    • A61K2800/884Sequential application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2800/00Properties of cosmetic compositions or active ingredients thereof or formulation aids used therein and process related aspects
    • A61K2800/80Process related aspects concerning the preparation of the cosmetic composition or the storage or application thereof
    • A61K2800/92Oral administration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Public Health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Epidemiology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Mycology (AREA)
  • Birds (AREA)
  • Natural Medicines & Medicinal Plants (AREA)
  • Botany (AREA)
  • Biotechnology (AREA)
  • Dermatology (AREA)
  • Emergency Medicine (AREA)
  • F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Polymers & Plastics (AREA)
  • Medicinal Chemistry (AREA)
  • Pharmacology & Pharmacy (AREA)
  • Nutrition Science (AREA)
  • Microbiology (AREA)
  • Tropical Medicine & Parasitology (AREA)
  • Alternative & Traditional Medicine (AREA)
  • Medical Informatic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Bioinformatics & Cheminformatics (AREA)
  • General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Nuclear Medicine, Radiotherapy & Molecular Imaging (AREA)
  • Toxicology (AREA)
  • Cosmetics (AREA)
  • Medicines Containing Plant Substances (AREA)
  • Acyclic And Carbocyclic Compounds In Medicinal Compositions (AREA)
  • Coloring Foods And Improving Nutritive Qualities (AREA)
  • Medicines Containing Material From Animals Or Micro-Organism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일반적으로 화장용 목적을 위한 식품 보조제 분야에 관한 것이다. 더욱 구체적으로는, 본 발명은 피부의 과다 색소침착, 피부색 결점, 예컨대 검버섯 및 비정상적인 색소에 의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타 피부 질환의 예방 및/또는 치료를 위한 치커리산 및/또는 유도체를 함유하는 성분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은 또한 피부 라이트닝제 또는 미백제를 제공하는 것 뿐 아니라 피부톤을 개선시키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Description

피부 색소침착의 조절을 위한 치커리산 및 유도체의 용도 {USE OF CHICORIC ACID AND DERIVATIVES FOR REGULATING SKIN PIGMENTATION}
본 발명은 일반적으로 화장용 목적을 위한 식품 보조제 분야에 관한 것이다. 더욱 구체적으로는, 본 발명은 피부의 과다 색소침착, 피부색 결점, 예컨대 검버섯 및 비정상적인 색소에 의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타 피부 질환의 예방 및/또는 치료를 위한 치커리산 및/또는 유도체를 함유하는 성분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은 또한 피부 라이트닝 (lightening) 제 또는 미백제를 제공하는 것 뿐 아니라 피부톤을 개선시키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피부색은 주로 피부에 존재하는 갈색 색소인 멜라닌의 종류 및 양에 의해 결정된다. 더 적은 양의 멜라닌은 더 밝은 피부색을 나타내는 반면, 더 많은 양의 멜라닌은 더 어두운 피부색을 나타내게 된다. 또한, 피부의 과다 색소침착은 피부에서 멜라닌의 과발현 또는 축적에 의해 야기된다. 그 결과, 멜라닌 생성에 관련된 경로는 멜라닌의 생성 수준을 감소시키기 위한 다수의 억제제를 표적으로 삼아왔다. 상기 멜라닌 경로에 관련된 주효소 중 하나는 티로시나아제이다.
멜라닌의 합성은 전구체 프로오피오멜라노코르틴 (proopiomelanocortin) 으로부터 생성되는 멜라노사이트 (melanocyte) 자극 호르몬 (MSH) 및 부신피질 자극 호르몬 (ACTH) 펩티드를 포함하는, 호르몬 조절 하에서의 과정이다. 이는 또한 UVB-방사에 의해 야기되는 DNA 손상에 의해 자극된다.
따라서, 장시간에 걸친 태양에의 노출은 피부에서 다수의 생화학적 반응을 유도하여, 예를 들면 일광화상 (sunburn) 및 태닝을 야기할 수 있다. 태양에의 노출에 대한 기타 결과들은 시간이 흐르면서 축적된다. 이러한 변화는 검버섯의 발생을 야기하고, 고르지 않은, 얼룩덜룩한 피부톤을 형성시킬 수 있다. 불행하게도, 오늘날 시장에서 시판되는 다수의 제품들은 단지 미미한 정도로 효과가 있거나, 불안정하여 최종 제형에 혼입될 때 이의 효능을 상실하는 활성제를 함유한다.
고른 피부톤 또는 피부톤의 라이트닝을 촉진하기 위하여 피부에서 색소 함량의 발현을 보정하는 능력이 현대 사회에서 절실하게 요구되고 있다. 다수의 사람들이 피부톤을 보정하기 위하여, 검버섯 등을 감소시키기 위하여 또는 순수하게 화장용 이유로 바라고 있다.
그 결과, 효과적인 조성물을 개발하려는 노력은 티로시나아제의 활성을 억제하는 제제에 초점을 두고 있었다. 예를 들면, 기타의 것들 중에서 각종의 티로시나아제 억제제, 예컨대 히드로퀴논, 비타민 C, 시스테인, 코지산, 아르부틴 및 글루타티온이 국부용 조성물로 제안되어 왔다. 또한, 각종의 피부과적 조성물이 예컨대 기미, 주근깨, 백반증, 얼룩백색증, 페닐케톤뇨증 등에서 관찰되는 색소 질환의 외관을 개선하기 위하여 및/또는 화장용 목적을 위하여 제안되어 왔다.
또한, 피부 탈색 (bleaching) 조성물의 용도는 광범위하게 확장된다. 하지만, 상기 조성물은 멜라닌을 파괴하거나 이의 형성을 억제하는 것이다. 이와 같은 조성물의 다수는 가혹한 화학물질, 예컨대 과산화물, 산 또는 포름알데히드 또는 티올화 물질을 함유한다. 덜 엄격한 치료법들은 기타 단점들을 갖는다.
국부용 레티노이드 및 국부용 코르티코스테로이드가 레이저 치료 및 화학적 박피를 포함하는 색소침착 감소제로서 제안되었지만, 이들은 원하는 결과에 이르지 못하였다.
피부에 사용되는 천연 물질로 제안된 기타 조성물들은 일부 경우에 피부 및 피부 영역을 탈색하거나, 흰 (fair) 피부의 외관을 증진하기 위하여 아시아 또는 유럽에서 수백년 동안 사용되어온 것이다. 상기에는 레몬, 오렌지, 오이, 은행잎, 캐롭 (carob), 장미 열매, 제라늄 허브, 계피, 스윗 마조람, 로즈마리 등의 사용이 포함된다.
비정상적인 색소와 관련된 질환을 방지하거나 피부톤의 라이트닝을 위하여, 국부적으로 피부에 도포되는 경우, 티로시나아제 활성을 감소시키고, 결과적으로 멜라닌 생성을 제한할 수 있는 다양한 화합물이 제안되어 왔다. 불행하게도, 상기 치료는 특히 부작용, 예컨대 임의의 국부용 제제와 함께 자극적인 부작용으로 자주 연관되는 부작용의 측면에서 현재 완전히 만족스럽지 않다.
따라서, 선행 기술에서 기재된 바와 같은 문제점을 갖지 않는 대안적인 제조법이 절실하게 요구되고 있다. 특히, 고른 피부톤의 촉진 또는 피부톤의 라이트닝을 위한 개선된 안정성 및 효능을 갖는, 경구용 경로를 통해 투여되는 영양성 화장용 조성물의 개발이 절실하게 요구되고 있다.
또한, 특히 환경적인 요인 또는 노화에 의한 피부 색소침착 질환의 치료 및/또는 예방에 효과적인 활성제에 대한 요구도 여전히 남아있다.
본 발명의 목적은 상기의 요구들을 충족시키는 것이다.
발명의 요약
본 발명자들은 치커리산 및/또는 유도체를 함유하는 하나 이상의 성분을 포함하는 식품 보조제 조성물을 제공함에 의해 상기 목적을 달성할 수 있었다.
따라서, 제 1 주제에 따라, 본 발명은 피부 색소침착 질환의 치료 및/또는 예방을 위한 활성제로서, 치커리산 및/또는 유도체를 함유하는 유효량의 하나 이상의 성분의 화장용 용도에 관한 것이다. 상기와 같은 피부 질환은, 특히 노화 또는 환경적인 요인 (예컨대 UV) 에 의한, 검버섯과 같은 것이다. 또한, 기미, 주근깨, 백반증, 얼룩백색증, 페닐케톤뇨증 등에서 관찰되는 피부 질환일 수 있다.
본 발명자들은 치커리산 및 유도체 추출물이 티로시나아제 활성의 억제를 거의 내지 전혀 나타내지 않는다는 사실에도 불구하고, 멜라닌의 형성, 멜라닌 생성 (melanogenesis) 을 효과적으로 억제하는 치커리산 및 유도체를 발견하였다. 이러한 결과는 멜라닌 생성에 있어 티로시나아제의 주요 역할 및 상기 효소를 억제하기 위한 당업계의 개발 노력의 초점을 고려할 때 예상 밖의 놀라운 것이다.
본 발명의 목적을 위하여, 상기 용어 "피부" 는 얼굴 또는 신체의 피부를 의미하는 것으로 의도된다
본 발명의 목적을 위하여, 상기 용어 "유효량" 은 예상되는 효과를 수득하기 위한 충분한 양을 의미하는 것으로 의도된다.
본 발명의 목적을 위하여, 상기 용어 "예방하다" 는 고려되는 질환의 징후의 발생의 위험을 감소시키는 사실을 의미하는 것으로 의도된다.
본 발명은 또한 피부 색소 결점의 치료 및/또는 예방을 위한 활성제로서, 상기 언급한 성분의 화장용 용도에 관한 것이다. 그 결과, 안색은 색체이상 (dyschromia) 또는 건조 영역 없이 더 밝고, 더 균일해진다.
본 발명은 또한 피부톤의 미백 또는 라이트닝을 위한 활성제로서, 본 발명에 따른 치커리산 및/또는 유도체를 함유하는 유효량의 하나 이상의 성분의 화장용 용도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자들은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성분이 추가로 수화 및/또는 피부 장벽 기능을 개선한다는 것을 발견하였다.
본 발명에 따른 용도는 또한 특히 하기 기재된 바와 같은 피부 수화 또는 피부 노화를 추가로 개선하기 위한 유효량의 하나 이상의 활성제와 조합된, 치커리산 및/또는 유도체를 함유하는 하나 이상의 성분의 용도를 포함할 수 있다.
또 다른 측면에 있어서, 본 발명의 주제는 특히 개체에 있어 피부톤 결점 및 과다 색소침착과 관련된 질환, 특히 심미적 질환의 치료 및/또는 예방을 위한 화장용 방법에 관한 것으로, 상기 방법은 본 발명에 따른 치커리산 및/또는 유도체를 함유하는 하나 이상의 성분을 상기 개체에게 투여하는 하나 이상의 단계를 포함한다.
본 발명에 따른 조성물은 경구적으로 투여가능하다. 이는 신속하고, 비교적 비제한적인 투여 방식으로 피부 전체의 깊은 층 (진피, 피하조직) 에 전반적으로 작용하는 이점을 갖는다. 구체적으로, 대사산물 및 기타 활성 영양물은 특히 혈액 순환에 의해 진피 조직 내에 분포된다. 경구용 투여는 또한 신속하고, 비교적 비제한적인 투여 방식의 이점을 갖는다.
발명의 상세한 설명
치커리산 및/또는 유도체를 함유하는 성분
치커리산은 하기와 같고;
Figure pct00001
,
치커리산의 유도체는 하기를 포함한다:
Figure pct00002
[식 중, R1, R2, R3 및/또는 R4 는 동일하거나 서로 상이할 수 있다].
일 구현예에서, R1, R2, R3 및/또는 R4 는 H; CH3; C1-C3-알킬; 아릴, 예컨대 페닐, 벤질, 톨릴, o-자일릴알킬; C1-C3-아실; 아미노산; 단당류, 이당류 또는 올리고당류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될 수 있다. 올리고당류는 2 내지 9 개의 단당류 단위를 함유한다. R1, R2, R3 및 R4 는 동일 및/또는 서로 상이할 수 있다.
하나의 통상적인 치커리산의 유도체는 예를 들면 하기 화합물과 같다:
Figure pct00003
.
치커리산 및/또는 이의 유도체를 함유하는 성분은 천연 또는 첨가된 형태로 치커리산 및/또는 이의 유도체를 함유하는 임의의 성분일 수 있으나, 바람직하게는 천연 식품, 예컨대 레터스 (lettuce), 치커리, 민들레, 포도, 포도주박; 또는 이들의 조합물 또는 추출물이다.
바람직한 구현예에서, 상기 식물 물질은 치커리 또는 이의 추출물의 형태이다. 상기 치커리 추출물은 예를 들면, 뿌리, 과육 등 또는 이들의 조합을 포함하는 상기 식물 물질의 임의의 적합한 부분으로부터 제조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목적을 위하여 적합한 치커리 추출물은 또한 시판되는 추출물, 예컨대 Leroux MS55 (Leroux SAS 사, France 로부터 구입가능) 이다.
본 발명의 특히 바람직한 구현예에서, 적합한 치커리 추출물은 예컨대, 스팀 추출, 용매 추출, 증류, 가압 또는 분쇄에 의한 당업계에 공지된 임의의 방식으로 제조될 수 있다.
취급의 용이성을 위하여, 상기 식물 물질은 바람직하게는 건조 및 세분된 또는 분말 형태이다. 하기 기재된 바와 같이, 공정에는 건조되고, 세분된 치커리 및/또는 이의 추출물이 이용된다. 하지만, 임의의 적합한 식물 물질이 임의의 적합한 형태로 사용될 수 있고, 본 발명에 따른 제품에 첨가될 수 있다는 것을 이해하여야 한다.
상기 추출물은 이의 향미를 증진시킬 수 있도록 가공된다. 예를 들면, 통상적으로 식물 물질, 예컨대 치커리와 관련된 쓴 향미는 상기 식물을 추출물로 가공함에 의해 제거될 수 있다. 상기 추출물은 또한 최종 추출물 제품에서 생활성제의 양이 바람직하게 조절될 수 있도록 제조될 수 있다.
상기 식물 물질은 각종의 상이하고 적합한 방법으로 추출물을 형성하기 위해 가공될 수 있다고 이해되어야 한다. 일반적으로, 상기 식물 물질, 예컨대 치커리 뿌리는 분쇄, 분말화 또는 임의의 적합한 형태로 제공된다. 상기 식물 물질은 그 후, 상기 제품 추출물을 제조하기 위하여 추가로 다수의 상이한 단계에서 가공될 수 있다. 일 구현예에서, 상기 식물 물질로부터 제거된 지방으로부터 얻는 추출물을 제조하기 위하여, 상기 식물 물질에 대해 탈지 (defatting) 절차가 수행된다. 상기 탈지 절차는 임의의 적합한 용매 (예를 들면, 헥산을 포함) 의 종류 및 양을 이용하여 임의의 적합한 탈지 공정 조건 하에서 수행될 수 있다.
일 구현예에서, 상기 탈지 절차에서 수득된 추출물은 본 발명의 영양성 조성물에 첨가될 수 있는 또 다른 종류의 식물 추출물을 제조하기 위하여, 산 가수분해를 통하여 추가로 가공될 수 있다. 상기 산 가수분해 절차는 임의의 적합한 용매 (예를 들면, 에틸 아세테이트를 포함) 의 종류 및 양을 이용하여 임의의 적합한 공정 조건 하에서 수행될 수 있다.
일 구현예에서, 상기 탈지 절차로부터의 추출물은 용매 추출 절차를 통하여 추가로 가공될 수 있다. 상기 용매 추출은 임의의 적합한 공정 조건 및 임의의 적합한 용매의 종류 및 양의 존재 하에서 수행될 수 있다. 일 구현예에서, 상기 용매에는 메탄올 ("MeOH") 과 물이 1:1 부피비로 혼합된 용액이 포함된다. 상기 용매 추출 절차에서 수득된 용액은 또 다른 추출물을 제조하기 위하여, 적합한 조건 하에서 용매의 증발에 의해 추가로 가공될 수 있다. 대안적으로, 수득된 용액은 폴리페놀을 수집하기 위하여, 흡착제, 예컨대 폴리비닐폴리피롤리돈 등으로 처리될 수 있다. 상기 흡착제 처리는 임의의 적합한 공정 조건 하에서 수행될 수 있다.
제품에서 치커리산 및/또는 이의 천연 소스 (source) 의 양은 몇 가지 요인, 예컨대 추출물의 성질, 식물의 조건, 치료될 사람 또는 동물의 연령, 조건 및 크기, 상기 제품이 투여될 빈도 및/또는 치료 또는 예방될 피부 질환 또는 손상의 특정한 종류 또는 바람직한 화장용 효과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본 발명자들은 본 발명에 따른 치커리 또는 이의 추출물의 유효성이 일반적으로 용량 의존적이고, 용량 반응 곡선에 따른다는 것을 확인하였다. 일반적으로 경미한 피부 질환 또는 손상에 대한 예방을 위하여 상기 제품이 자주 사용되는 경우, 매우 소량의 치커리 또는 이의 추출물이 바람직한 효과를 달성하기에 충분할 것이다. 심각한 피부 색소 질환이 치료되어야 하는 경우, 소량으로도 효과를 나타낼 수 있지만, 더 과량의 치커리 또는 이의 추출물이 적합할 것이다.
일반적으로, 성분은 치커리산 및/또는 이의 유도체로 강화된 경우가 바람직하다. 예를 들면, 상기 성분 및/또는 상기 조성물은 치커리산 및/또는 이의 유도체를 건조 중량의 0.001 - 9.99 중량%, 바람직하게는 건조 중량의 0.1 - 50 중량%, 가장 바람직하게는 건조 중량의 0.1 - 10 중량% 범위의 양으로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성분 및/또는 상기 조성물은 타르타르산 및/또는 카페인산을 생성하기 위하여 치커리산 및/또는 이의 유도체의 가수분해를 가능하게 하는 락트산 박테리아를 건조 중량의 0.001 - 99.99 중량%, 바람직하게는 건조 중량의 0.1 - 50 중량%, 가장 바람직하게는 건조 중량의 0.1 - 10 중량% 범위의 양으로 포함할 수 있다.
일반적으로, 상기 제품이 치커리 또는 이의 추출물을 제품의 약 0.1 g/l 내지 10 g/l 범위, 바람직하게는 0.5 g/l 내지 3 g/l 범위의 양으로 함유하는 경우가 바람직하다. 제품의 총 양이 리터 (liter) 로 측정될 수 없는 경우, 상기 제품은 치커리 또는 이의 추출물을 제품의 약 0.1 g/kg 내지 10 g/kg 범위, 바람직하게는 0.5 g/kg 내지 3 g/kg 범위의 양으로 함유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제품은 치커리 또는 이의 추출물을 0.01 g - 100 g, 바람직하게는 0.25 g - 10 g 의 일일 용량으로 함유한다.
본 발명에 따른 조성물은 선택되는 투여 방법에 대하여 통상적으로 이용할 수 있는 임의의 생약 형태일 수 있다.
경구용 조성물
본 발명에 따른 조성물은 선택되는 투여 방법에 대하여 통상적으로 이용할 수 있는 임의의 생약 형태일 수 있다. 담체는 고려되는 조성물의 종류에 따라 다양화될 수 있다.
특히, 치커리 또는 이의 추출물이 임의의 형태의 식품 보조제에 혼입될 수 있다.
예를 들면, 이는 캡슐, 젤라틴 캡슐, 연질 캡슐, 타블렛 (tablet), 당의정, 필 (pill), 페이스트 또는 파스틸 (pastille), 검, 또는 음용가능한 용액 또는 에멀젼, 시럽 또는 겔로 존재할 수 있다. 상기와 같은 보조제에는 또한 감미제, 안정화제, 항산화제, 첨가제, 향미제 및/또는 착색제가 포함될 수 있다. 상기의 제형화는 당의정, 젤 캡슐, 겔, 방출 조절용 히드로겔, 에멀젼, 타블렛 또는 캡슐의 제조를 위한 통상적인 방법으로 수행된다.
용도
본 발명의 제품은 예컨대 멜라닌의 생성을 감소시킴에 의해, 피부 색소침착 질환의 치료 또는 예방을 위하여 또는 화장용으로 피부톤의 라이트닝을 위하여 효과적으로 사용될 수 있다. 실제로 치커리산 및 치커리 추출물은 시험관 내에서 멜라닌의 합성을 감소시키는 것으로 나타났다 (실시예 1, 도 1). 티로시나아제의 생성 또한 다소 감소하였는데 (도 2), 이는 멜라닌의 감소가 티로시나아제 억제에 의한 것이 아니라 상기 효소의 상류 또는 하류로 작용하는 메카니즘에 의한 것임을 제안한다.
본 발명에 따른 성분은 추가로 피부 장벽 강화 및 피부 수화 유지에 긍정적인 효과를 갖는다.
그 결과, 색소 결점은 감소되고, 색체이상 또는 건조 영역 없이 안색은 더 밝아지고 더 균일해진다.
따라서, 일 주제에 따르면, 본 발명은 피부 색소침착 질환, 특히 노화 또는 환경적인 요인, 예컨대 UV 에 의한 질환의 치료 및/또는 예방을 위한 활성제로서, 치커리산 및/또는 유도체를 함유하는 유효량의 하나 이상의 성분의 화장용 용도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은 또한 아시아인에게 특히 바람직한, 피부톤의 미백 또는 라이트닝을 위한 활성제로서, 치커리산 및/또는 유도체를 함유하는 유효량의 하나 이상의 성분의 화장용 용도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른 용도는 또한, 특히 하기 기재된 바와 같은 피부 수화 또는 피부 노화의 개선을 위한, 유효량의 하나 이상의 활성제와 조합된, 치커리산 및/또는 유도체를 함유하는 하나 이상의 성분의 용도를 포함할 수 있다.
또 다른 측면에 있어서, 본 발명의 주제는 특히 개체에서 피부톤 결점 및/또는 과다 색소침착, 특히 심미적 질환과 관련된 질환의 치료 및/또는 예방을 위한 화장용 방법에 관한 것으로, 상기 방법은 본 발명에 따른 치커리산 및/또는 유도체를 함유하는 하나 이상의 성분을 상기 개체에게 투여하는 하나 이상의 단계를 포함한다.
본 발명의 화장용 치료 방법은 특히 본 발명에 따른 치커리산 및/또는 유도체를 함유하는 유효량 이상의 하나 이상의 성분을 경구적으로 투여함에 의해 수행될 수 있다. 경구용 투여는 상기 정의된 바와 같은 경구용 조성물을 하나 이상의 섭취량으로 섭취하는 것을 포함한다.
이는 단일 적용을 포함할 수 있다. 또 다른 구현예에 따르면, 상기 적용은 예를 들면 1 일 이상 동안 및 일반적으로 4 주 이상 또는 심지어 1 내지 15 주의 지속된 기간 동안, 일일 2 내지 3 회 반복된다.
또한, 본 발명에 의해 정의된 바와 같은 성분의 활성을 보충 또는 강화하기 위하여, 임의로 경구용 또는 국부용 형태의 치료를 조합할 수 있다.
따라서, 임의로 또 다른 활성 성분, 특히 비활성, 활성 또는 반-활성 형태인 생균제 미생물 또는 기타 생균제, 또는 수화제 또는 항노화제를 함유하는 경구용 또는 국부용 조성물과 조합된, 본 발명에 따른 치커리 또는 이의 추출물을 함유하는 조성물을 이용한 국부용 또는 경구용 치료는 키트로서 예상될 수 있다. 상기 성분들은 당업계의 숙련된 자에 의해 용이하게 결정될 수 있는 순서 및 조건 하에서 제형화되기 전에 혼합된다.
상기 성분들은 당업계의 숙련된 자에 의해 용이하게 결정될 수 있는 순서 및 조건 하에서 제형화되기 전에 혼합된다.
본 발명의 추가적인 이점 및 특징은 하기 실시예 및 도면에 의해 명백해진다. 따라서, 이하 실시예는 본 발명의 범위를 비제한적인 방식으로 나타낸 것이다. 이러한 실시예에서, 달리 언급되지 않는 한, 백분율 (%) 은 중량에 의한 백분율이고, "... 내지 ..." 의 형태로 기재된 값의 범위에는 특정된 상한 및 하한이 포함된다.
도 1: 치커리산 또는 치커리 추출물로 전처리된 쥐의 멜라노사이트와 대조군 (양성 / 음성) 의 멜라닌 생성 비교.
도 2: 치커리산 또는 치커리 추출물로 전처리된 쥐의 멜라노사이트와 대조군 (양성 / 음성) 의 티로시나아제 생성 비교.
도 3: 치커리산 또는 치커리 추출물로 전처리된 인간 주 표피의 케라티노사이트와 대조군 (양성 / 음성) 의 필라그린 (filaggrin) 합성 비교.
실시예
실시예 1 : 피부 색소침착에 대한 치커리산 및 치커리 추출물의 효과
피부의 탈색소침착 (de-pigmentation) 또는 색소침착유도 (pro-pigmentation) 에 대한 성분의 잠재적인 유익한 효과를 평가하기 위하여, 쥐의 멜라노사이트 (B16) 의 2D 배양을 사용하여, 2 가지 시험을 수행하였다: 1 - 멜라닌 생성의 평가 및 2 - 티로시나아제 생성의 평가.
1. 세포 배양 조건
B16 세포를 37 ℃ 및 5 % CO2 함유 가습 챔버에서, 페놀 레드 없이, 10 % 소 태아 혈청이 보충된 DMEM 1 g/L 글루코스에서 배양하였다.
2. B16 쥐의 멜라노사이트 세포주에 의한 멜라닌의 생성
세포를 MSH 의 유사체인 NDP-MSH 의 존재 또는 부재 하에서, 선택 성분 또는 시험 기준 (400 ㎍/mL 코지산) 과 함께 72 시간 동안 인큐베이션하였다. 멜라닌의 총 양 (세포외 및 세포내) 은 NDP-MSH 의 존재 또는 부재 하에서, 멜라닌 표준에 대한 405 nm 에서의 각각의 시료의 광학 밀도의 측정에 의해 평가하였다.
3. B16 쥐의 멜라노사이트 세포주에 의한 티로시나아제의 생성
세포를 선택 성분 또는 시험 기준 (400 ㎍/mL 코지산) 과 함께 48 시간 동안 인큐베이션하였다. 티로시나아제의 생성을 면역표시법 (immunolabeling) 에 의해 평가하였다.
성분:
2 개의 치커리 추출물 MS-55 (concentre MS-55 LEROUX) 와 MS-70 (pate MS-70 LEROUX) 및 치커리산을 시험하였다. 상기 시험 농도는 하기 표 1 에 제시하였다.
Figure pct00004
결과
결과는 대조군과 비교하여 백분율 (%) 로 표시하였다. 시험 기준 (코지산) 은 예상한 대로 멜라닌 생성의 감소를 유도하였다. 도 1 은 선택 성분으로 72 시간 동안 처리된 B16 멜라노사이트에 의한 멜라닌의 생성을 나타낸다.
치커리 추출물 MS-55 는 시험관 내에서 멜라닌 생성을 60 % 감소시켰고 (도 1), 치커리산은 멜라닌 생성을 90 % 감소시키는 것으로 나타났다. 티로시나아제의 생성 또한 다소 감소하였는데 (MS-55 및 치커리산 모두에 대하여 20 % 미만, 도 2), 이는 멜라닌의 감소가 티로시나아제 억제에 의한 것이 아니라 상기 효소의 상류 또는 하류로 작용하는 메카니즘에 의한 것임을 제안한다.
실시예 2: 피부 장벽 기능 및 피부 수화에 대한 치커리산 및 치커리 추출물의 효과
피부 장벽 기능 및 피부 수화에 대한 실시예 1 의 추출물의 잠재적인 유익한 효과를 인간 주 진피의 케라티노사이트의 2D 배양을 사용하여 평가하고, 필라그린의 합성을 평가하였다.
세포 배양 조건
인간 진피의 케라티노사이트를 37 ℃ 및 5 % CO2 함유 가습 챔버에서, 대조군 케라티노사이트-SFM 배지에서 배양하였다.
인간 진피의 케라티노사이트에 의한 필라그린의 합성
세포를 선택 성분 또는 시험 기준 (1.5 mM CaCl2) 과 함께 144 시간 동안 인큐베이션하였다. 필라그린의 생성을 면역표시법에 의해 평가하였다.
결과
결과는 도 3 에 제시하였다. 치커리 추출물 MS-55, MS-70 및 치커리산을 이용한 세포의 전처리는 필라그린의 증가를 야기하였고, 이는 상기 추출물들이 피부 장벽을 강화할 수 있다는 것을 제안한다 (도 3). 더 강한 피부 장벽은 환경 및 병원균의 공격으로부터 더 우수한 신체 보호를 보장한다. 이는 또한 표피를 통한 수분의 손실을 제한하므로, 적합한 피부 수화를 보장한다.
실시예 3: 분말 스틱
Figure pct00005
1 일 하나의 스틱을 섭취할 수 있다.

Claims (14)

  1. 피부 색소 질환 및/또는 피부 결점의 치료 및/또는 예방을 위한 경구용 식품 보조제의 제조를 위한 활성제로서, 치커리산 및/또는 유도체를 함유하는 유효량의 하나 이상의 성분의 화장용 용도.
  2. 제 1 항에 있어서, 피부 질환은 기미, 주근깨, 백반증, 얼룩백색증, 페닐케톤뇨증 등 및/또는 검버섯에서 관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용도.
  3.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피부톤 및/또는 피부 안색의 개선을 위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용도.
  4. 피부톤의 라이트닝 (lightening) 및/또는 미백을 위한 경구용 식품 보조제의 제조를 위한 활성제로서, 치커리산 및/또는 유도체를 함유하는 유효량의 하나 이상의 성분의 화장용 용도.
  5. 제 1 항 내지 제 4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조성물은 추가로 피부의 수화를 개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용도.
  6. 제 1 항 내지 제 5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조성물은 추가로 피부 장벽 기능을 개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용도.
  7. 제 1 항 내지 제 6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추출물은 치커리 식물 물질로부터 용매를 이용한 추출에 의해, 특히 물 추출 또는 알코올/물 추출, 예를 들면 에탄올/물 추출에 의해 수득가능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용도.
  8. 제 1 항 내지 제 7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치커리산 함유 성분은 천연 식품, 예컨대 레터스, 치커리, 민들레, 포도, 포도주박; 또는 이들의 조합물 또는 추출물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용도.
  9. 제 1 항 내지 제 8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제품은 치커리 또는 이의 추출물을 약 0.1 g/l 내지 10 g/l 의 범위, 바람직하게는 0.5 g/l 내지 3 g/l 의 범위의 양으로 함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용도.
  10. 제 1 항 내지 제 9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제품은 치커리 또는 이의 추출물을 0.01 g - 100 g, 바람직하게는 0.25 g - 10 g 의 일일 용량으로 함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용도.
  11. 제 1 항 내지 제 10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조성물은 추가로 한 종류 이상의 비활성 (dead), 활성 (live) 또는 반-활성 (semi-active) 형태인 식용 등급 미생물, 특히 생균제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용도.
  12. 제 1 항 내지 제 11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피부 수화 또는 피부 노화의 개선을 위한 유효량의 하나 이상의 활성제와 조합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용도.
  13. 유효량의 치커리 또는 이의 추출물을 개체에게 투여하는 하나 이상의 단계를 포함하는, 피부 색소 질환 및/또는 피부 결점의 치료 및/또는 예방에 유용한 화장용 치료 방법.
  14. 비활성, 활성 또는 반-활성 형태인 생균제 미생물 또는 수화제 또는 항노화제를 임의로 함유하는 경구용 또는 국부용 조성물과 조합된 치커리 또는 추출물을 함유하는 식품 보조제를 이용한 경구 치료를 포함하는, 피부 색소 질환 및/또는 피부 결점의 치료 및/또는 예방을 위한 키트.
KR1020127033430A 2010-06-30 2011-06-28 피부 색소침착의 조절을 위한 치커리산 및 유도체의 용도 KR20130097090A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EP10167866 2010-06-30
EP10167866.2 2010-06-30
PCT/EP2011/060765 WO2012000960A1 (en) 2010-06-30 2011-06-28 Use of chicoric acid and derivatives for regulating skin pigmentation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30097090A true KR20130097090A (ko) 2013-09-02

Family

ID=4321850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27033430A KR20130097090A (ko) 2010-06-30 2011-06-28 피부 색소침착의 조절을 위한 치커리산 및 유도체의 용도

Country Status (13)

Country Link
US (1) US9491962B2 (ko)
EP (1) EP2588071B1 (ko)
JP (1) JP2013530995A (ko)
KR (1) KR20130097090A (ko)
CN (2) CN102958501B (ko)
BR (1) BR112012032877B1 (ko)
CA (1) CA2803522C (ko)
CL (1) CL2012003624A1 (ko)
ES (1) ES2741424T3 (ko)
MX (1) MX2012015235A (ko)
RU (1) RU2012155852A (ko)
SG (2) SG186448A1 (ko)
WO (2) WO2012000960A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10007488A (ko) * 2019-07-11 2021-01-20 인하대학교 산학협력단 치커리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백반증 또는 백모증의 예방 또는 치료용 약학적 조성물

Families Citing this family (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3906510A (zh) * 2011-10-11 2014-07-02 Elc管理公司 用于处理皮肤的方法和组合物
EP2848286A1 (en) * 2013-09-12 2015-03-18 DSM IP Assets B.V. Cosmetic composition comprising chicoric acid
CN104666518A (zh) * 2013-11-27 2015-06-03 瑞帝安有限公司 含有菊苣及枸桔的提取物的皮肤屏障强化用组合物
FR3017510B1 (fr) 2014-02-19 2017-04-21 Inst Nat De La Rech Agronomique - Inra Composition phytosanitaire
WO2017173240A1 (en) 2016-03-31 2017-10-05 Gojo Industries, Inc. Antimicrobial peptide stimulating cleansing composition
AU2017240069B2 (en) 2016-03-31 2024-03-07 Gojo Industries, Inc. Sanitizer composition with probiotic/prebiotic active ingredient
JP2020500860A (ja) 2016-11-23 2020-01-16 ゴジョ・インダストリーズ・インコーポレイテッド プロバイオティック/プレバイオティックな有効成分を含む消毒薬組成物
CN111387505B (zh) * 2020-04-21 2023-04-07 中国农业科学院都市农业研究所 一种对黑色素合成抑制的生菜提取物及生菜配套栽培方法
TW202346276A (zh) * 2022-01-27 2023-12-01 日商田邊三菱製藥股份有限公司 新穎之b0at1抑制劑

Family Cites Families (1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FR2591073B1 (fr) * 1985-12-10 1988-02-19 Leroux Sarl Chicoree Boisson a base de chicoree et procede de preparation de ladite boisson
FR2653336B1 (fr) * 1989-10-20 1994-04-08 Oreal Composition pharmaceutique et cosmetiques depigmentantes a base d'acide cafeique.
JP3140876B2 (ja) * 1993-01-27 2001-03-05 ポーラ化成工業株式会社 メラニン産生抑制剤及び皮膚外用剤
AU768908B2 (en) 2000-03-06 2004-01-08 Unilever Plc Echinacea extract as anti-irritant and anti-aging booster in cosmetic compositions
US7431939B1 (en) * 2000-09-28 2008-10-07 Mississippi State University Inhibition of systemic infections in humans and vertebrates by dietary fibers
EP1260212A1 (de) * 2001-05-21 2002-11-27 Cognis France S.A. Kosmetische Mittel
AU2003252305A1 (en) 2002-11-07 2004-06-07 Kose Corporation Composition for preparation for external use on skin and method of using the same
ITMI20032286A1 (it) * 2003-11-24 2005-05-25 Indena Spa Composizioni per il trattamento di dermatiti atopiche di stati allergici cutanei e dell'acne
JP2005194246A (ja) 2004-01-09 2005-07-21 Ichimaru Pharcos Co Ltd NF−κB活性化抑制剤
US7226623B2 (en) * 2005-10-31 2007-06-05 Rutgers, The State University Of New Jersey In vitro and in vivo anti-inflammatory effects of a sesquiterpene lactone extract from chicory (Cichorium intybus L.)
FR2892923B1 (fr) * 2005-11-08 2009-01-16 Engelhard Lyon Sa Utilisatiion des derives de l'acide para-coumarique ou para- hydroxycinnamique dans des compositions cosmetiques ou dermatologiques.
JP2007300869A (ja) * 2006-05-12 2007-11-22 Kanehide Bio Kk 高機能性健康食品、及び高機能性健康食品の製造方法
FR2904935A1 (fr) * 2006-08-18 2008-02-22 Centre Nat Rech Scient Composition antidiabetique apte a stimuler la secretion d'insuline et destinee au traitement du diabete de type 2 (diabete non insulino-dependant).
JP2008231002A (ja) * 2007-03-19 2008-10-02 Ina Food Ind Co Ltd 抗酸化剤及びラジカル消去活性化剤、並びにそれらいずれかが含まれた食品
EP2210504A1 (en) * 2009-01-27 2010-07-28 Nestec S.A. Composition comprising chicoric acid and/or derivatives thereof
EP2210505A1 (en) * 2009-01-27 2010-07-28 Nestec S.A. Composition comprising caftaric acid and/or derivatives thereof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10007488A (ko) * 2019-07-11 2021-01-20 인하대학교 산학협력단 치커리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백반증 또는 백모증의 예방 또는 치료용 약학적 조성물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JP2013530995A (ja) 2013-08-01
CA2803522C (en) 2019-08-20
BR112012032877B1 (pt) 2018-11-13
EP2588071A1 (en) 2013-05-08
BR112012032877A2 (pt) 2017-11-28
US9491962B2 (en) 2016-11-15
SG186448A1 (en) 2013-01-30
WO2012000960A1 (en) 2012-01-05
CA2803522A1 (en) 2012-01-05
CN103025307B (zh) 2017-03-29
SG10201505158UA (en) 2015-08-28
WO2012000954A1 (en) 2012-01-05
RU2012155852A (ru) 2014-06-27
MX2012015235A (es) 2013-02-15
CL2012003624A1 (es) 2013-06-07
US20130095070A1 (en) 2013-04-18
ES2741424T3 (es) 2020-02-11
CN102958501B (zh) 2016-10-26
CN102958501A (zh) 2013-03-06
CN103025307A (zh) 2013-04-03
EP2588071B1 (en) 2019-05-2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130097090A (ko) 피부 색소침착의 조절을 위한 치커리산 및 유도체의 용도
BR112013002215B1 (pt) Cosmetic use of green coffee grains and method, kit for regulation of skin pigmentation disorders, and non-therapeutic method for cosmetic treatment
KR101850166B1 (ko) 피부 색소침착 조절용 식품 보충제에서의 치커리산 및 락틱 박테리아의 용도
KR20210080180A (ko) 금화규 추출물을 포함하는 피부 주름 및 탄력 개선용 조성물
US9492365B2 (en) Use of caftaric acid and derivatives in food supplement for regulating skin pigmentation
KR101850165B1 (ko) 피부 색소침착 조절용 식품 보충제에 있어서 카프타르산 및 락틱 박테리아의 용도
JP2023118853A (ja) 抗老化用組成物、抗老化用皮膚化粧料および抗老化用飲食品
JP2001316275A (ja) コラーゲン産生促進剤、エストロゲン様作用剤、コラゲナーゼ阻害剤、皮膚化粧料および飲食品
KR20090132285A (ko) 과실 식초를 함유하는 화장료 조성물
KR102286969B1 (ko) 정제어유 유래 오메가-7 및 홍삼을 포함하는 피부 상태 개선용 조성물
CN102958500B (zh) 咖啡酰酒石酸及衍生物在食品或饮料中用于调节皮肤色素沉着的用途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MND Amendment
AMND Amend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