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30097026A - 화물이동 차단막이 구비된 픽업차량용 슬라이딩 사물함 - Google Patents

화물이동 차단막이 구비된 픽업차량용 슬라이딩 사물함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30097026A
KR20130097026A KR1020120018711A KR20120018711A KR20130097026A KR 20130097026 A KR20130097026 A KR 20130097026A KR 1020120018711 A KR1020120018711 A KR 1020120018711A KR 20120018711 A KR20120018711 A KR 20120018711A KR 20130097026 A KR20130097026 A KR 20130097026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locker
rail
support
cargo
slid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2001871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352743B1 (ko
Inventor
김종재
권정봉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이룸
김종재
권정봉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이룸, 김종재, 권정봉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이룸
Priority to KR102012001871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352743B1/ko
Publication of KR2013009702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30097026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35274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352743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2LAND VEHICLES FOR TRAVELLING OTHERWISE THAN ON RAILS
    • B62DMOTOR VEHICLES; TRAILERS
    • B62D33/00Superstructures for load-carrying vehicles
    • B62D33/02Platforms; Open load compartments
    • B62D33/0207Connections of movable or detachable racks or stanchions to platform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5/00Compartments within vehicle body primarily intended or sufficiently spacious for trunks, suit-cases, or the like
    • B60R5/003Luggage racks, e.g. for buss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5/00Compartments within vehicle body primarily intended or sufficiently spacious for trunks, suit-cases, or the like
    • B60R5/04Compartments within vehicle body primarily intended or sufficiently spacious for trunks, suit-cases, or the like arranged at rear of vehicle
    • B60R5/044Compartments within vehicle body primarily intended or sufficiently spacious for trunks, suit-cases, or the like arranged at rear of vehicle luggage covering means, e.g. parcel shelves
    • B60R5/045Compartments within vehicle body primarily intended or sufficiently spacious for trunks, suit-cases, or the like arranged at rear of vehicle luggage covering means, e.g. parcel shelves collapsible or transformabl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2LAND VEHICLES FOR TRAVELLING OTHERWISE THAN ON RAILS
    • B62DMOTOR VEHICLES; TRAILERS
    • B62D25/00Superstructure or monocoque structure sub-units; Parts or details thereof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2D25/08Front or rear portions
    • B62D25/087Luggage compartmen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YINDEXING SCHEME RELATING TO ASPECTS CROSS-CUTTING VEHICLE TECHNOLOGY
    • B60Y2200/00Type of vehicle
    • B60Y2200/10Road Vehicles
    • B60Y2200/14Trucks; Load vehicles, Busses
    • B60Y2200/141Light truck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Transportation (AREA)
  • Fittings On The Vehicle Exterior For Carrying Loads, And Devices For Holding Or Mounting Articles (AREA)
  • Vehicle Step Arrangements And Article Storag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픽업차량의 적재함에 슬라이딩 가능하게 설치되어서 화물을 보관하고 화물의 이동을 차단하는 차단막이 구비된 픽업차량용 슬라이딩 사물함에 관한 것으로, 상기 적재함의 양 측벽에 구비된 트림의 상단부에 길이방향으로 길게 설치된 레일; 상기 레일을 따라서 상기 적재함의 전후방향으로 슬라이딩 가능하게 설치되는 사물함; 상기 사물함이 상기 레일을 따라서 이동하도록 안내하는 슬라이딩 부재; 픽업차량의 주행중 상기 사물함에 보관되는 물품이 외부로 떨어지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서 상기 사물함의 상부를 개폐가능하게 덮고 있는 커버; 및 상기 사물함의 후방 외측에 고정되게 설치되어서 상기 적재함에 보관된 물품의 이동을 차단하는 차단막;을 포함하여 구성되며, 이는 픽업차량 적재함 공간에 간단한 물품, 즉 우산 및 차량 세차용품 등과 같은 부피가 작은 물품, 비상시 사용할 수 있는 랜턴, 삼각대 및 공구 등을 수납하도록 하되, 상기 적재함 공간에 설치되어서 자유로운 이동이 가능함은 물론 필요에 따라서 고정과 탈부착이 가능한 효과를 제공한다.

Description

화물이동 차단막이 구비된 픽업차량용 슬라이딩 사물함{Sliding luggage box for pickup truck having interceptive plate for prevention of cargo movement}
본 발명은 화물이동 차단막이 구비된 픽업차량용 슬라이딩 사물함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픽업차량 적재함 공간에 간단한 물품, 즉 우산 및 차량 세차용품 등과 같은 부피가 작은 물품, 비상시 사용할 수 있는 랜턴, 삼각대 및 공구 등을 수납하도록 설치되어서 자유로운 이동이 가능함은 물론 필요에 따라서 고정과 탈부착이 가능한 화물이동 차단막이 구비된 픽업차량용 슬라이딩 사물함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픽업차량은 후방에 작은 적재함이 마련된 소형 트럭으로, 물건 등을 운송하는 트럭 목적 이외 최근에는 소비자의 다양한 요구에 부응하기 위해 레저용 차량 등 쓰임새가 많은 차량으로 인지되고 있다.
이러한 픽업 차량은 사람이 탑승하는 승차공간과 화물을 적재하는 적재함이 분리된 공간으로 나누어지는 차량으로 차량 특성상 승차공간이 적어 차량에 필요한 다양한 필수 보관물 예를 들어 정비에 필요한 공구, 차량을 세차하기 위한 세차용품, 안전을 위한 삼각대, 우천 시 필요한 우산 등을 보관할 수 있는 공간이 타 차종에 비해 매우 협소할 뿐만 아니라 외부로 노출된 적재함에는 이러한 차량에 필요한 보관품을 수납하기 위해서는 어려움이 뒤따랐다.
그리고, 상기 픽업차량은 화물적재함이 개방형태로 되어 있어서 화물을 적재한 상태에서 주행 중에 급제동이나 코너링할 때 적재화물이 이탈되어 비산되거나 낙하될 수 있는 문제점을 가지고 있어, 이를 방지하기 위해서 덮개가 설치되고 있다.
상기와 같은 적재함에 덮개를 설치함으로써 적재함 내부에 있는 물품들이 밖으로 떨어지는 것을 방지는 할 수 있으나, 차량이 급제동 또는 급출발할 때와 같이 심하게 흔들릴 때 적재함 내부에 있는 물건들이 전후 또는 좌우로 유동하여 손상되는 일이 발생하고, 또한 적재함의 바닥이나 측벽에 부딪힐 때 발생되는 소음으로 인하여 운전자나 승객이 불쾌감을 느끼게 하는 문제점이 있었다.
특히, 픽업차량의 적재함에 화물과 물품이 소량일 경우 내리막의 도로에서는 화물과 물품이 테일게이트에서 멀어진 승차공간에까지 밀려, 향후 적재된 화물과 물건을 하차 작업 시 손이 닿지않는 곳에 방치하게 되어 화물과 물품의 하차 작업 시 운전자는 적재함에 올라가거나 긴 막대 등과 같은 소품 등을 이용하여 작업을 해야 했으며, 픽업 차량의 적재함에 덮개가 장착됨에 따라 대다수 운전자는 상체를 구부리거나 무릎을 굽혀 적재함에 올라가 화물 또는 물품 하차 작업을 진행해야 하는 문제점이 있었다.
상기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서 종래에는,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픽업차량 적재함(1)의 트림(2)에 장착된 레일(3)을 따라서 슬라이딩 가능하게 이동할 수 있는 차단막(5)을 구비하고 있으며, 또한 적재함(1)의 트림(2) 상단에 적재한 트림 위에 별도의 레일(3)을 설치하고 상기 레일(3)에 전후방향으로 이동가능한 몸체부(6)를 두어 필요에 따라 지정된 위치에서 고정 및 해제 가능하도록 구성하고 있다.
따라서, 차량 운행시 평지가 아닌 험로 또는 오르막길과 내리막길 등의 경사가 있는 도로 주행에 따른 적재함에 적재된 화물과 물품이 기울어진 경사각에 따라 전후방향 또는 좌우로 움직이게 되는 이동을 제어할 수 있도록 하고 있다.
그러나, 상기와 같은 종래의 차단막은 적재함에 차단막이 설치되지 않았을 때의 문제점은 해결하였으나, 몸체부(6)의 부피가 크게 구성됨으로 운전자 혼자 설치 및 탈거가 용이치 않으며, 특히 부피가 적은 소형 사이즈의 물품, 예를 들어 세차용품 또는 비상용품과 작업 공구 등을 보관할 경우 별도의 소형박스나 또는 별도로 제작된 자동차 용품을 구입해야 하는 문제점이 있었다.
상기와 같은 경우에도 별도로 구비한 소형박스나 용품 등이 픽업차량의 적재함에 아무렇게나 방치하게 되는데 이는 주행 중 소음발생의 원인이 되며, 운전자 및 탑승자에게는 불쾌함을 유발시켜 스트레스 등과 같은 문제를 유발시키게 된다.
상기한 바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의 목적은, 픽업차량 적재함에 화물 등과 같은 적재물품의 이동을 억제함으로써 평지가 아닌 오르막길 또는 내리막길 주행 시 화물 및 적재물품의 이동과 서로 접촉에 의한 파손 및 손실을 미연에 방지함은 물론 적재된 화물과 물품 등 적재함 깊숙히 이동된 물건의 하차 작업시 이동을 억제할 수 있도록 화물 차단막이 같이 형성되어 화물과 적재물품의 이동을 제어할 수 있도록 한 화물의 이동을 차단하는 차단막이 구비된 픽업차량용 슬라이딩 사물함을 제공하는 데에 있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픽업 차량의 적재함에 설치되는 사물함과 화물 이동방지 차단막을 같이 구성함은 물론 필요에 따라 상기 화물 이동방지 차단막을 전개 또는 접을 수 있도록 구성하여, 차량 주행시 불필요한 소음 발생을 미연에 방지하고 화물과 물품의 이동을 방지함은 물론 이에 따른 파손과 손실을 방지할 수 있는 화물의 이동을 차단하는 차단막이 구비된 픽업차량용 슬라이딩 사물함을 제공하는 데에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사물함과 화물 이동방지 차단막을 같이 형성함으로써 별도로 구입할 필요가 없으며 필요에 따라 언제든지 화물 이동방지 차단막을 제거, 설치가 가능하고 간단한 세차용품과 비상용품 및 작업 공구 등을 쉽게 보관, 사용할 수 있게 하는 화물의 이동을 차단하는 차단막이 구비된 픽업차량용 슬라이딩 사물함을 제공하는 데에 있다.
상기한 바와 같은 목적을 성취하기 위한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픽업차량의 적재함에 슬라이딩 가능하게 설치되어서 화물을 보관하고 화물의 이동을 차단하는 차단막이 구비된 픽업차량용 슬라이딩 사물함은, 턴너트를 통해서 상기 적재함의 양 측벽에 구비된 트림의 상단부에 길이 방향으로 길게 설치된 레일 고정홀을 통해서 볼트로 고정되는 레일; 상기 레일을 따라서 상기 적재함의 전후방향으로 슬라이딩 가능하게 설치되는 사물함; 상기 사물함이 상기 레일을 따라서 이동하도록 안내하는 슬라이딩 부재; 픽업차량의 주행중 상기 사물함에 보관되는 물품이 외부로 떨어지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서 상기 사물함의 상부를 개폐가능하게 덮고 있되 일측이 힌지가능하게 결합된 커버; 및 상기 사물함의 후방 외측에 고정되게 설치되는 지지대와, 양측에 구비된 끼움공을 통해서 상기 지지대에 끼워져 결합되는 네트으로 이루어져서, 상기 적재함에 보관된 물품의 이동을 차단하는 차단막;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르면, 상기 사물함의 바닥부에는 내부에 있는 수분이 빠져나가도록 하는 다수 개의 홀과, 상기 사물함의 내부를 구획하는 격벽이 구비된다.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르면, 상기 슬라이딩 부재는, 일측이 상기 사물함에 결합되고 타측이 상기 레일에 슬라이딩 가능하게 끼워지는 몸체와, 상기 사물함의 내측에 설치되어서 몸체와 나사산 결합되되 상기 레일을 따라 이동하는 상기 몸체를 핸들을 돌려서 제어하는 스톱퍼로 구성된다.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르면, 상기 레일에 끼워지는 상기 몸체는 직사각형 형상으로 이루어진다.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르면, 상기 차단막의 상기 지지대와 상기 사물함의 결합은, 상기 사물함 및 상기 지지대에 구비된 고정홀에 볼트를 삽통시킨 후 너트를 조임으로써 이루어진다.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르면, 상기 차단막의 상기 지지대와 상기 사물함의 결합은, 상기 지지대를 수용하는 크기의 고정홈을 형성하여서 상기 사물함에 장착되는 고정편과, 상기 지지대와 결합되어서 상기 고정편의 일측에 상기 지지대가 회동가능하게 장착되도록 하는 회전지지체에 의해서 이루어진다.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르면, 상기 차단막은, 내측에 길이방향으로 길게 형성된 가이드홈을 구비하여 상기 사물함에 장착된 지지대와, 상기 지지대의 상기 가이드홈에 끼워져 결합되는 플라스틱 사출물의 차단판과, 상기 차단판을 받쳐주기 위해 하부에 설치되는 받침대와, 상기 지지대와 상기 받침대에 결합되어서 상기 차단판이 이탈하는 것을 방지해주는 이탈방지부재로 구성된다.
상기한 바와 같이, 픽업차량의 적재함에 본 발명에 따른 슬라이딩 사물함을 설치하여 사용하게 되면 다음과 같은 효과를 얻을 수 있다.
첫째. 픽업차량의 적재함이 개방 또는 적재함 덮개가 설치된 경우 차량에 필요한 필수 물품 등을 수납할 수 있도록 공간이 마련되어 차량을 언제나 청결하게 정리, 정돈할 수 있게 한다.
둘째. 픽업차량 적재함에 화물 등과 같은 적재물품의 이동을 억제함으로써 평지가 아닌 오르막길 또는 내리막길 주행 시 화물 및 적재물품의 이동과 서로 접촉에 의한 파손 및 손실을 미연에 방지함은 물론 적재된 화물과 물품 등 적재함 깊숙히 이동된 물건의 하차 작업 시 이동을 억제할 수 있도록 화물 차단막이 같이 형성되어 화물과 적재물품의 이동을 제어할 수 있게 한다.
셋째, 차량에 필요 물품 등을 보관할 수 있는 공간이 마련 됨으로써 차량 주행 시 불필요한 소음 발생을 미연에 방지하고 화물과 물품의 이동을 방지함은 물론 이에 따른 파손과 손실을 방지할 수 있게 한다.
넷째. 사물함과 화물 이동방지 차단막을 같이 형성함으로써 별도로 구입할 필요가 없으며 사용자가 필요에 따라 언제든지 화물 이동방지 차단막을 선택적으로 제거 및 설치가 가능하고, 간단한 세차용품과 비상용품 및 작업 공구 등을 쉽게 보관 및 사용할 수 있게 한다.
도 1은 종래의 픽업차량의 적재함에 슬라이딩 가능하게 설치된 차단막을 보인 개략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화물이동 차단막이 구비된 픽업차량용 슬라이딩 사물함을 보인 부분분해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픽업차량용 슬라이딩 사물함에 격벽이 구비된 상태를 보인 사시도.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슬라이딩 사물함을 슬라이딩 가능하게 장착하는 레일을 고정하는 턴너트를 보인 사시도.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픽업차량용 슬라이딩 사물함과 레일의 분리된 상태를 보인 분해사시도.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픽업차량용 슬라이딩 사물함과 레일의 고정상태를 보인 부분확대단면도.
도 7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픽업차량용 적재함에 트림 및 레일이 결합된 상태를 보인 부분단면도.
도 8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픽업차량용 적재함에 구비된 트림 장착용 고정 브라켓을 보인 도면.
도 9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슬라이딩 사물함에 일례의 차단막이 설치된 상태를 보인 정면도.
도 10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슬라이딩 사물함에 차단막을 고정하는 구조를 보인 분해사시도.
도 11은 도 10의 슬라이딩 사물함에 차단막을 고정하는 구조를 보인 측단면도.
도 12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슬라이딩 사물함에 설치된 일례의 차단막의 분해사시도.
도 13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슬라이딩 사물함에 다른 일례의 차단막이 설치된 상태를 보인 정면도.
도 14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슬라이딩 사물함에 설치된 또다른 일례의 차단막을 보인 분해사시도.
이하, 본 발명에 따른 화물이동 차단막이 구비된 픽업차량용 슬라이딩 사물함에 대한 바람직한 실시 예를 첨부된 도면들을 참조로 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화물이동 차단막이 구비된 픽업차량용 슬라이딩 사물함을 보인 부분분해사시도이고,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픽업차량용 슬라이딩 사물함에 격벽이 구비된 상태를 보인 사시도이고,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슬라이딩 사물함을 슬라이딩 가능하게 장착하는 레일을 고정하는 턴너트를 보인 사시도이고,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픽업차량용 슬라이딩 사물함과 레일의 분리된 상태를 보인 분해사시도이고,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픽업차량용 슬라이딩 사물함과 레일의 고정상태를 보인 부분확대단면도이고, 도 7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픽업차량용 적재함에 트림 및 레일이 결합된 상태를 보인 부분단면도이고, 도 8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픽업차량용 적재함에 구비된 트림 장착용 고정 브라켓을 보인 도면이고, 도 9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슬라이딩 사물함에 일례의 차단막이 설치된 상태를 보인 정면도이고, 도 10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슬라이딩 사물함에 차단막을 고정하는 구조를 보인 분해사시도이고, 도 11은 도 10의 슬라이딩 사물함에 차단막을 고정하는 구조를 보인 측단면도이고, 도 12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슬라이딩 사물함에 설치된 일례의 차단막의 분해사시도이고, 도 13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슬라이딩 사물함에 다른 일례의 차단막이 설치된 상태를 보인 정면도이며, 도 14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슬라이딩 사물함에 설치된 또다른 일례의 차단막을 보인 분해사시도이다.
도 2 및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픽업차량의 적재함(1)에 슬라이딩 가능하게 설치되어서 화물을 보관하고 화물의 이동을 차단하는 차단막이 구비된 픽업차량용 슬라이딩 사물함은 레일(10), 사물함(20), 슬라이딩 부재(30), 커버(40) 및 차단막(50)으로 구성된다.
상기 레일(10)은, 레일 고정볼트(12, 도 7 참조)와 같은 소정의 고정 기구가 도 5에 도시된 레일 고정홀(11)을 통해서 적재함(1)의 양 측벽에 구비된 트림(2)의 상단부에 길이방향으로 길게 설치된다.
한편, 본 발명에서는 상기 레일(10)이 적재함(1)의 트림(2) 상부에 장착되게 하고 있지만, 다른 실시 예를 통해서 별도 적재함(1) 덮개가 장착된 차량일 경우 적재함(1) 덮개 내부 하단에 직접 상기 레일(10)을 고정하는 것도 가능하다.
상기 사물함(20)을 적재함(1)에 고정 및 슬라이딩시키기 위해서는 적재함(1) 트림 상부에 레일(10)을 장착하고, 그 레일(10)을 따라 사물함(20)이 전후 방향으로 이동되게 하는 것이다.
여기서, 상기 적재함(1) 트림(2)에 설치된 레일(10)은,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트림(2)을 고정하는 트림 고정브라켓(13)에 턴너트(60)를 끼워 삽입한 후, 트림(2) 외측에 레일(10)을 고정하기 위해 레일 고정볼트(12)를 조이게 되면 턴너트(60)의 나사 가공 면이 회전하면서 상기 레일(10)을 견고히 고정할 수 있게 되는 것이다.
상기 트림 고정브라켓(13)은 적재함(1)의 측부 상부에 용접 또는 볼트로 결합되며, 트림(2)은 고정브라켓(13)에 플라스틱 재질의 화스너 등으로 결합하는데, 본 발명에서는 상기 화스너를 대신하여 턴너트(60)를 고정브라켓(13) 홀에 밀어넣고 레일 고정볼트(12)를 조임으로써 턴너트(60)가 회전하고 나사산이 형성된 회전부가 회전하면서 레일(10)을 견고히 고정하는 구성으로 이루어지며, 상기 레일(10)은 트림(2)을 고정하기 위해 마련된 4곳의 고정부에 고정설치된다(도 8 참조).
여기서, 상기 레일(10)의 고정부는 트림 고정브라켓(13) 수량과 동일하게 형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한편, 상기 레일(10)을 트림(2)에 고정하기 위한 다른 실시 예로서는 트림 고정브라켓(13)에 윌드너트(미도시)를 용접함으로써 턴너트(60)를 사용하지 않고 바로 레일 고정볼트(12)를 이용하여 고정할 수 있다.
또한, 픽업 차량의 대다수 운전자는 적재함(1) 덮개를 장착하게 되는데, 이때 역시 적재함(1) 덮개 내부 하단 측벽에 상기 레일(10)을 설치 고정할 수 있으며, 적재함(1) 측벽 상부 판넬에 태핑 스크류(미도시) 등을 이용하여 직접 고정할 수 있다.
그러나, 본 발명에서는 데크 트림의 홀과 데크 판넬에 고정된 브라켓 홀에 종래에서도 널리 사용되는,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은 턴너트(60)를 이용하여 고정하였다.
상기 턴너트(60)는 앞서 기술한 바와 같이 레일(10)을 적재함(1)의 양 측벽에 구비된 트림(2)에 고정하기 위해서는 트림을 고정하기 위한 브라켓트에 간단하게 고정 및 설치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해 이미 개발 완료한 하드웨어로서, 먼저 형성된 홀에 홀너트를 밀어 넣고, 고정볼트 등으로 조이게 되면 너트의 나사가 형성된 몸체가 회전하여서 견고히 고정하게 되는 것으로, 이에 대해서는 당업자들에 널리 공지된 기술로서 여기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상기 사물함(20)은 간단한 세차용품과 비상용품 및 비교적 작은 사이즈의 작업 공구 등을 쉽게 보관하여 사용할 수 있게 하기 위해서 보관하기 위한 역할을 하는 것으로, 레일(10)을 따라서 적재함(1)의 전후 방향으로 슬라이딩 가능하게 설치된다.
상기 사물함(20)에는, 다음에 기술될 커버(40)의 제2 록킹부(42)와 결합되게 하는 제1 록킹부(22)와, 상기 커버(40)의 힌지부(43)가 힌지가능하게 체결되게 하는 커버 고정부(24)와, 사용자가 편리하게 이용할 수 있도록 사물함 손잡이(23)가 구성되되, 전방, 후방 또는 어느 일방적인 한 부분에만 형성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사물함(20)의 바닥부에는,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내부에 있는 수분이 빠져나가도록 하는 홀(21)이 다수 개로 구비되고, 그 홀(21)을 통해서 사물함(20) 내부에 있는 물기가 완전히 빠져 제거될 수 있어 항상 건조된 상태에서 화물을 보관하는 것을 가능하게 한다.
아울러, 상기 사물함(20)의 내부에는,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그 내부가 다수 개로 구획됨으로써 보관된 물품들의 종류에 따라서 구별되어 보관할 수 있게 하는 다수 개의 격벽(25)이 구비되게 하였다.
이러한 격벽(25)은 사물함(20) 재작 시 일체로 성형 가능하고, 각각 별도로 제작되어 분리가능 하도록 끼워 맞춰 격벽(25)을 이루도록 구성함도 가능하다.
상기 슬라이딩 부재(30)는 상술된 바와 같이 사물함(20)이 레일(10)을 따라서 적재함(1)의 전후 방향으로 슬라이딩하여 이동되게 하기 위한 것으로, 도 5 및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일측이 사물함(20)에 결합되고 타측이 레일(10)에 슬라이딩 가능하게 끼워지는 몸체(31)와, 사물함(20)의 내측에 설치되어서 몸체(31)와 나사산 결합되되 레일(10)을 따라 이동하는 몸체(31)를 핸들(32)을 돌려서 제어하는 스톱퍼(33)로 구성된다.
상기 사물함(20)을 고정하기 위해 설치된 슬라이딩 부재(30)의 핸들(32)을 돌리게 되면 몸체(31)가 사물함(10)의 내측으로 이동하게 되며, 이때 레일(10)에 밀착되게 됨으로써 사물함(20)이 움직이지 않게 고정된다.
이때, 상기 레일(10)과 몸체(31)의 결합 시 레일(10)과 접촉되는 몸체(31)의 마찰면에 대해서 모서리를 제거하거나 라운딩지게 함으로써, 몸체(31)가 이동할 때에 레일(10)과의 마찰에 의한 소음발생을 방지하고 이동이 원활하게 이루어지게 하였다.
그러나, 부피가 큰 화물과 물품이 있을 경우 레일(10)과 몸체(31)의 마찰에 의한 고정이 불가능함으로 인하여 별도로 레일(10)에 스톱퍼 고정홀(34)을 구비하고, 아울러 상기 스토퍼 고정홀(34)이 끼워져 고정될 수 있도록 핸들(32)의 끝단부는 레일(10)의 스토퍼 고정홀(34)의 크기보다 작거나 또는 동일한 직경의 스톱퍼(33)가 구비하게 된다.
그리고, 상기 사물함(20)의 고정 및 해지를 위해 핸들(32)을 자주 이용하다 보면 사물함(20) 내부와 핸들(32)의 마찰에 의해 사물함(20)의 손상이 예상되는데 이를 방지하기 위해 사물함(20)과 핸들(32) 사이에 와셔(35, 도 6 참조)를 장착하는 것이 바람직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몸체(31)는 스톱퍼(33)의 핸들(32)을 통해 고정하기 위해 돌리면 레일(10)에서 회전이 되지 않도록 레일(10)의 길이 방향으로 소정의 길이로 길게 형성됨이 바람직하며, 또한 다른 실시 예에 있어서 상기 몸체(31)는 각각 분리상태가 아닌 일체 형상으로 제조가 가능한 것으로 이해되어져야 한다.
일례로, 상기 레일(10)에 끼워지는 몸체(31)는 직사각형 형상, 즉 레일(10)과 동일한 형상으로 이루어지게 하는 것도 가능하며, 이는 핸들(32)을 돌려서 레일(10)에 구비된 스톱퍼 고정홀(34)로 스톱퍼(33)를 관통하게 함으로써 몸체(31)를 고정할 때, 상기 몸체(31)가 상하 좌우 방향으로 유동되는 현상을 방지할 뿐만 아니라 레일(10)에 단단히 고정되어 사물함(20)이 차량의 흔들림에 상관없이 단단히 고정될 수 있게 해준다.
즉, 상기 적재함(1)의 트림(2)을 고정하는 트림 고정브라켓(13)에 상기 레일(10)을 고정하게 되는데, 이는 트림(2)을 고정하기 위해 별도로 마련된 브라켓에 트림 고정용 홀을 이용하여 별도 구조물 설치 없이 장착 가능하도록 하였다(도 7 및 도 8 참조).
그리고, 상기 몸체(31)는 사물함(20)이 용이하게 이동될 수 있게 하고 단단히 고정할 수 있게 하기 위해서 다수 개로 이루어지게 하는 것이 가능하나, 몸체(31)가 이동하지 못하도록 단단히 고정하는 스톱퍼(33)는 다수 개의 몸체(31) 중에서 하나에만 장착되게 하는 것도 가능하다.
여기서, 상기 스톱퍼 고정홀(34)은 적재함(1)에 무겁고 부피가 있는 화물 적재 시 화물의 이동을 견고히 하기 위해 스톱퍼(33)의 핸들(32)를 계속해서 돌리면 몸체(31)가 레일(10)과 당겨져 밀착하게 되고, 이때 스톱퍼(33) 끝단이 레일(10)에 형성된 스톱퍼 고정홀(34)로 끼워지면서 사물함(20)의 이동을 제어하게 된다.
또한, 레일(10)에 형성된 스토퍼 고정홀(34)은 레일 고정홀(11) 위치를 제외한 나머지 전부 또는 어느 일부에 일정 간격을 갖도록 형성됨이 바람직하다.
상기 커버는(40)는 픽업차량의 주행 중 사물함(20)에 보관되어 있는 화물 또는 물품이 외부로 떨어지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설치된 것으로서, 상기 사물함(20)의 상부를 개폐가능하게 덮고 있되 일측이 힌지가능하게 결합되게 하였다.
즉, 상기 커버(40)는, 상기 사물함(20)의 제1 록킹부(22)에 착탈가능하게 결합되는 제2 록킹부(42)와, 상기 사물함(20)의 커버 고정부(24)에 힌지가능하게 체결되게 하는 힌지부(43)와, 사용자가 커버(40)를 들어올려 사물함(20)을 개방할 수 있도록 하는 커버 손잡이(41)를 구성하되, 사물함(20)과 일체로 성형 제작될 수 있으나 본 발명에서와 같이 서로 분리되는 형태로 구성하는 것도 가능하다.
따라서, 상기 사물함(20)에 커버(40)가 설치되어 픽업차량 주행 중 사물함(20)에 보관되는 물품이 이동하여 외부로 추락하지 않도록 방지함과 아울러 파손을 방지하도록 하며, 커버(40) 전체가 막힘 구조도 되어 있어 물품이 외부로 빠져나오지 못하게 하는 역할을 충실히 하게 하였다.
그리고, 상기 커버(40)의 다른 일례로서, 그를 통해서 사물함(20)에 보관되어 있는 물품을 확인할 수 있게 하고, 또한 물품이 사물함(20)의 외부로 빠져나오지 못하게 하기 위해서, 포켓 형태로 되어 있는 네트(44)가 커버(40)의 내측면에 설치되게 하는 것도 가능하다.
상기 차단막(50)은 사물함(1)의 전방에 구비되어 접힘 및 전개가 가능하도록, 바람직하게는 차량의 외측에서 내측을 향하여 펼침 및 접힘 작동이 이루어지도록 구성되고, 도 9 및 도 12에 도시된 바와 같은 일례에서와 같이, 사물함(20) 후방 외측의 좌우측에 고정되게 설치되는 지지대(52)와, 양측에 구비된 끼움공(53)을 통해서 지지대(52)에 끼워져 결합되되 신축성 있고 탄성있는 재질로 이루어진 네트(54)로 이루어져서, 상기 적재함(1)에 보관된 물품의 이동을 차단하는 역할을 한다.
즉, 신축성이 있는 네트(54)가 장력을 가지고 있음으로 인해서 이를 효과적으로 지지대(52)가 잡아주는 역할을 하기 위해서는 차량 중심부로 상기 지지대(52)가 펼침 기능을 할 수 있도록 하였다.
여기서, 상기 차단막(50)은 픽업차량에 화물 적재가 없을 경우 단지 사물함(20) 용도로 사용하고, 적재함(1)에 화물 적재 시 차량 주행 중 발생되는 화물의 전후로의 이동을 억제할 수 있도록 하였다.
여기서, 상기 차단막(50)의 지지대(52)와 사물함(20)의 결합형태에 대한 일례를 살펴보면, 도 1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사물함(20) 및 지지대(52)에 구비된 고정홀(52-1)에 볼트(52-2) 또는 고정핀(미도시)을 삽통시킨 후 너트(52-3)를 조임으로써 이루어지게 한다.
그리고, 상기 차단막(50)의 지지대(52)와 사물함(20)의 결합형태에 대한 다른 일례를 살펴보면, 도 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지지대(52)를 수용하는 크기의 고정홈(52-4)을 형성하여서 사물함(20)에 장착되는 고정편(52-5)과, 상기 지지대(52)와 결합되어서 고정편(52-5)의 일측에 지지대(52)가 회동가능하게 장착되도록 하는 회전지지체(52-6)에 의해서 이루어진다.
상기 지지대(52)를 수용하는 고정홈(52-4)과 고정편(52-5)은 사물함(20) 몸체 외측으로 형성 하였으나 고정편(52-5) 없이 단지 사물함(20) 저면의 바닥 몸체 내측으로 고정홈(52-4)을 형성, 고정편(52)이 제거할 수 있도록 구성함도 가능하다.
상기 사물함(20) 측부에 설치된 각각의 지지대(52)는 회전할 수 있도록 구성하였으며, 즉 상기 적재함(1)에 화물을 적재할 경우 또는 적재하지 않을 경우 필요에 따라 사용자의 선택에 의해 지지대(52)를 펼쳐 화물 이동 차단막(50)을 형성할 수 있도록 구성하였다.
여기서, 상기 지지대(52)가 고정홈(52-4)과 고정편(52-5)에 의해 사물함(20)에 고정(화물 차단막이 사용되지 않을 경우)될 경우 이를 외부로 노출되지 않도록 구성되는데, 이때는 지지대(52)를 고정하고 있는 회전지지체(52-6) 및 사물함(20)에 설치된 스프링(51-2)과 고정 볼(51-1)에 의해 자유롭게 움직일 수 없도록 하는 제어장치가 구비되었다.
즉, 상기 회전지지체(52-6)에는 고정 볼(51-1)이 다단에 의해 움직임이 고정될 수 있도록 걸림턱(51)이 형성되고, 지지대(52)의 작동 구간에만 걸림턱(51)이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지지대(52)가 차량 외측에서 내측 중앙부로 펼쳐지게 되는데 이때 회전지지체(52-6)가 위에서 아래 방향의 직각으로 펼쳐지게 되고, 이를 스프링(51-2)과 고정 볼(51-1)이 제어할 수 있음으로 인해서 화물 이동을 억제하도록 네트(54)를 사용하지 않을 경우 사물함(20)에서 쉽게 아래로 떨어지지 않도록 되는 것이다.
그리고, 도 1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사물함(20)에 고정된 지지대(52)는 적재함(1) 하부로 자유롭게 떨어지지 않도록 고정하는 것으로서, 외부로 힘을 가하고 있는 스프링(51-2)이 고정 볼(51-1)을 밀게 되고, 상기 고정 볼(51-1)은 지지대(52)의 회전지지체(52-6)의 일부분에 형성된 고정턱(51)을 지지할 수 있도록 구성된다.
상기 차단막(50)은, 도 13에 도시된 바와 같은 다른 일례에서와 같이, 내측에 길이방향으로 길게 형성된 가이드홈(55)을 구비하여 사물함(20)에 장착된 지지대(52)와, 상기 지지대(52)의 가이드홈(55)에 끼워져 결합되는 플라스틱 사출물의 차단판(56)과, 상기 차단판(56)을 받쳐주기 위해 하부에 설치되는 받침대(57)와, 상기 지지대(52)와 받침대(57)에 결합되어서 차단판(56)이 지지대(52)로부터 이탈하는 것을 방지해주는 이탈방지부재(58)로 구성된다.
아울러, 도시된 바와 같이, 지지대(52) 및 차단판(56)을 다수 개로 설치함으로써 필요에 따라서 차단판(56)을 떼에 내어서 길이가 긴 물품을 적재함(1)의 전후방향으로 길게 눕혀서 보관할 수 있게 하였다.
이때, 상기 차단막(50)의 지지대(52)는 좌우방향으로 회전이 불가능하지만, 차단막(50)의 일례에서 사용된 네트(54)보다 훨씬 물품을 견고하게 지지할 수 있게 해준다.
그리고, 상기 차단막(50)은, 도 14에 도시된 바와 같은 또 다른 일례에서와 같이, 사물함(20)의 하단부에 보스(521)를 구비하고 그에 직접 고정핀(522)으로 지지대(52)를 고정할 수 있으며, 필요에 따라서 상기 고정핀(522)을 제거하여 지지대(52)와 네트(54)를 사물함(20) 내부에 보관할 수 있도록 구성하였다.
여기서 미 설명부호 522-1은 지지대(52)와 사물함(20)의 보스(521)의 결합을 위해 고정하는 고정핀(522)을 끼우기 위한 핀 고정홀을 지시한다.
이때는, 상기 네트(54)는 좌,우측에 고정용 아일릿(Eyelet, 54-1)을 설치, 상기 아일릿(54-1)을 고정 후크(525)에 결합 설치함으로써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인 화물 이동 차단막(50)을 형성할 수 있게 된다.
또한, 여기서 아일릿(Eyelet, 54-1)과 고정 후크(525)로 네트(54)를 고정하는 지지대(52)는 상부가 고정형 구조가 아닌 앞서 기술한 본 발명 다른 실시 예의 회전지지체(52-6) 형상으로 제작하여, 차량 외측에서 내측 중앙부로 펼침 또는 접힘구조도 가능하다.
여기서, 지지대(52)와 차단판(56)은 사물함(20) 배면의 일측부가 아닌 중심부에 설치되어도 본 발명의 목적과 효과를 이룰 수 있을 것이다.
상기와 같은 구성으로 이루어진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화물이동 차단막이 구비된 픽업차량용 슬라이딩 사물함의 사용상태를 간략하게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먼저, 운전자 또는 사물함(20)의 사용자는 소형 사이즈의 물품을 보관하기 위해 적재함(1)에 슬라이딩 가능하게 장착된 사물함(20)을 후방으로 이동시킨다.
즉, 상기 사물함(20)에 물품을 용이하게 넣기 위해서, 레일(10)에 고정되어 있는 슬라이딩 부재(30)를 스톱퍼(33)에 의한 고정상태를 해제시킨 후 당겨서 적재함(1)의 후방으로 오게 한다.
상기 사물함(20)이 후방으로 오게 되면 커버(40)를 열고 그 내부에 물품을 넣어 보관되게 한 다음 커버(40)를 닫는다.
상기와 같은 방식으로 사물함(20)에 물품을 넣는 작업이 끝나면, 사용자는 다시 사물함(20)을 적재함(1)의 전방으로 밀고, 그 다음 스톱퍼(33)를 통해서 몸체(31)가 레일(10)을 따라 이동하지 못하도록 단단히 고정하면 된다.
그러나, 상기와 같이 사물함(20)에 물품을 보관하는데 있어서 그 용적 부피보다 더 많은 물품을 보관하기 위해서는 적재함(1)을 이용하게 되는데, 이때는 사물함(20)의 바로 아래에 물품을 적재하여 보관할 수 있게 한다.
이때에도, 적재된 물품이 사물함(20)에 설치된 차단막(50)의 네트(54) 또는 차단판(56)에 의해서 적재함(1) 전후방향으로 이동하는 것이 방지된다.
그리고, 소형 사이즈의 물품이 아닌 큰 물품이나 길이가 긴 물품을 적재함(1)에 보관하기 위해서는 차단막(50), 즉 지지대(52), 네트(54) 및 차단판(56)을 사물함(20)으로부터 분리시킨 후 보관하면 된다.
또한, 적재함(1) 전부에 화물 적재 시 레일(10)에서 사물함(20)을 분리시켜 적재함(1) 바닥에 놓이게 하거나 픽업차량이 아닌 다른 곳에 정리, 정돈이 잘 되게 보관 가능하게 된다.
한편, 상기 적재함(1) 덮개가 설치되지 않을 경우, 사물함(20)이 적재함(1) 외부로 노출된 상태로 보관되기 때문에 사물함(20) 내의 보관물품의 분실 등이 우려됨에 따라 현재 사물함(20)과 커버(40)의 록킹은 자석이 이용된 제1 록킹부(22)와 이에 대응 면에는 플레이트의 제2 록킹부(42)로 한쌍으로 이루어지는 고정부재에 의해 덮개가 오픈되지 않도록 하고 있으나, 도시되지 않았지만 덮개가 장착되지 않은 차량을 고려하여 사물함(20)과 커버(40)를 차량과 같은 동일한 자동차 키를 사용하는 록킹장치나 별도 시건장치 등으로 고정할 수 있도록 설계 변경이 가능하다.
상기한 바와 같은 구성을 갖는 본 발명이 비록 한정된 실시 예에 의해 설명되었으나, 본 발명은 이것에 의해 한정되지 않으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본 발명의 기술사상과 아래에 기재된 청구범위의 균등범위 내에서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하다 할 것이다.
1: 적재함 2: 트림
10: 레일 11: 레일 고정홀
12: 레일 고정볼트 13: 트림 고정브라켓
20: 사물함 21: 홀
22: 제1 록킹부 23: 사물함 손잡이
24: 커버 고정부 25: 격벽
30: 슬라이딩부재 31: 몸체
32: 핸들 33: 스톱퍼
34: 스톱퍼 고정홀 35: 와셔
40: 커버 41: 커버 손잡이
42: 제2 록킹부 43: 힌지부
44: 네트
50: 차단막 51: 걸림턱
51-1: 고정볼 51-2: 스프링
52: 지지대 52-1: 고정홀
52-2: 볼트 52-3: 너트
52-4: 고정홈 52-5: 고정편
52-6: 회전지지체
54: 네트 54-1: 아일럿
55: 가이드홈 56: 차단판
57: 받침대 58: 이탈방지부재
60: 턴너트
521: 보스 522: 고정핀
524: 후크 고정홀 525: 고정후크

Claims (12)

  1. 픽업차량의 적재함에 슬라이딩 가능하게 설치되어서 화물을 보관하고 화물의 이동을 차단하는 차단막이 구비된 픽업차량용 슬라이딩 사물함은,
    상기 적재함(1)의 양 측벽에 구비된 트림(2)의 상단부에 길이 방향으로 길게 설치된 레일 고정홀(11)을 통해서 볼트로 고정되는 레일(10);
    상기 레일(10)을 따라서 상기 적재함(1)의 전후 방향으로 슬라이딩 가능하게 설치되는 사물함(20);
    상기 사물함(20)이 상기 레일(10)을 따라서 이동하도록 안내하는 슬라이딩 부재(30);
    픽업차량의 주행중 상기 사물함(20)에 보관되는 물품이 외부로 떨어지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서 상기 사물함(20)의 상부를 개폐가능하게 덮고 있되 일측이 힌지가능하게 결합된 커버(40); 및
    상기 사물함(20)의 후방 외측에 고정되게 설치되는 지지대(52)와, 양측에 설치된 상기 지지대(52)에 결합되는 네트(54)으로 이루어져서, 상기 적재함(1)에 보관된 물품의 이동을 차단하는 차단막(50);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물이동 차단막이 구비된 픽업차량용 슬라이딩 사물함.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사물함(20)의 바닥부에는 내부에 있는 수분이 빠져나가도록 하는 다수 개의 홀(21)과, 상기 사물함(20)의 내부를 구획하는 격벽(25)이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물이동 차단막이 구비된 픽업차량용 슬라이딩 사물함.
  3.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사물함(20)은, 상기 커버(40)의 제2 록킹부(42)와 결합되게 하는 제1 록킹부(22)와, 상기 커버(40)의 힌지부(43)가 힌지가능하게 체결되게 하는 커버 고정부(24)와, 사용자가 편리하게 이용할 수 있도록 사물함 손잡이(23)가 구성되되, 전방 및 후방 모두 또는 어느 일측에만 형성되게 하고,
    상기 커버(40)는, 상기 사물함(20)의 제1 록킹부(22)에 착탈가능하게 결합되는 제2 록킹부(42)와, 상기 사물함(20)의 커버 고정부(24)에 힌지가능하게 체결되게 하는 힌지부(43)와, 사용자가 커버(40)를 들어올려 사물함(20)을 개방할 수 있도록 하는 커버 손잡이(41)를 구성하며,
    상기 사물함(20)과 상기 커버(40)는 일체로 성형 제작 또는 서로 분리가능하게 제작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물이동 차단막이 구비된 픽업차량용 슬라이딩 사물함.
  4.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슬라이딩 부재(30)는,
    일측이 상기 사물함(20)에 결합되고 타측이 상기 레일(10)에 슬라이딩 가능하게 끼워지는 몸체(31)와,
    상기 사물함(20)의 내측에 설치되어서 상기 몸체(31)와 나사산 결합되되, 상기 레일(10)을 따라 이동하는 상기 몸체(31)를 핸들(32)을 돌려서 제어하는 스톱퍼(33)로 구성되며,
    상기 몸체(31)는 상기 레일(10)에 구비된 스톱퍼 고정홀(34)을 관통하여 상기 스톱퍼(33)를 통해서 상기 레일(10)에 고정될 때, 상하 좌우 방향으로 유동되는 현상을 방지함과 동시에 레일(10)에 단단히 고정되어 사물함(20)이 차량의 흔들림에 상관없이 단단히 고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물이동 차단막이 구비된 픽업차량용 슬라이딩 사물함.
  5. 청구항 4에 있어서, 상기 몸체(31)가 레일(10)을 따라 이동할 때에 마찰에 의한 소음발생을 방지하고 이동이 원활하게 이루어지도록 하기 위해 상기 레일(10)과 접촉되는 몸체(31)의 모서리를 제거하거나 또는 마찰면을 라운딩지게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물이동 차단막이 구비된 픽업차량용 슬라이딩 사물함.
  6.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트림(2)에 대한 레일(10)의 설치는, 상기 적재함(1)의 트림(2)을 고정하는 트림 고정브라켓(13)에 턴너트(60)를 끼워 삽입한 후, 상기 트림(2) 외측에 상기 레일(10)을 고정하기 위해 레일 고정볼트(12)를 조이게 되면 상기 턴너트(60)의 나사 가공 면이 회전하면서 고정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물이동 차단막이 구비된 픽업차량용 슬라이딩 사물함.
  7.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커버(40) 내측면에는 간단한 물품을 수납 가능하도록 포켓 형태로 되어 있는 네트(44)가 하나 이상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물이동 차단막이 구비된 픽업차량용 슬라이딩 사물함.
  8.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차단막(50)의 상기 지지대(52)와 상기 사물함(20)의 결합은, 상기 사물함(20) 및 상기 지지대(52)에 구비된 고정홀(52-1)에 볼트(52-2)를 삽통시킨 후 너트(52-3)를 조임으로써 이루어지게 하거나 고정핀을 삽통시켜 이루어지게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물이동 차단막이 구비된 픽업차량용 슬라이딩 사물함.
  9.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차단막(50)의 상기 지지대(52)와 상기 사물함(20)의 결합은, 상기 지지대(52)를 수용하는 크기의 고정홈(52-4)을 형성하여서 상기 사물함(20)에 장착되는 고정편(52-5)과, 상기 지지대(52)와 결합되어서 상기 고정편(52-5)의 일측에 상기 지지대(52)가 회동가능하게 장착되도록 하는 회전지지체(52-6)에 의해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물이동 차단막이 구비된 픽업차량용 슬라이딩 사물함.
  10. 청구항 9에 있어서, 상기 회전지지체(52-6)에는 고정 볼(51-1)이 다단에 의해 움직임이 고정될 수 있도록 걸림턱(51)이 형성되되 지지대(52)의 접힘 및 펼쳐짐 작동 구간에만 걸림턱(51)이 형성되게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물이동 차단막이 구비된 픽업차량용 슬라이딩 사물함.
  11.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차단막(50)은,
    내측에 길이방향으로 길게 형성된 가이드홈(55)을 구비하여 상기 사물함(20)에 장착된 지지대(52)와,
    상기 지지대(52)의 상기 가이드홈(55)에 끼워져 결합되는 플라스틱 사출물의 차단판(56)과,
    상기 차단판(56)을 받쳐주기 위해 하부에 설치되는 받침대(57)와,
    상기 지지대(52)와 상기 받침대(57)에 결합되어서 상기 차단판(56)의 이탈을 방지해주는 이탈방지부재(58)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물이동 차단막이 구비된 픽업차량용 슬라이딩 사물함.
  1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차단막(50)은,
    상기 사물함(20)의 하단부에 보스(521)를 구비하고, 상기 보스(521)에 고정핀(522)을 이용하여 지지대(52)에 고정시키고, 상기 네트(54)에 구비된 아일릿(54-1)을 고정 후크(525)로 체결한 후 상기 지지대(52)에 구비된 후크 고정홀(524)에 결합함으로써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물이동 차단막이 구비된 픽업차량용 슬라이딩 사물함.
KR1020120018711A 2012-02-23 2012-02-23 화물이동 차단막이 구비된 픽업차량용 슬라이딩 사물함 KR101352743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018711A KR101352743B1 (ko) 2012-02-23 2012-02-23 화물이동 차단막이 구비된 픽업차량용 슬라이딩 사물함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018711A KR101352743B1 (ko) 2012-02-23 2012-02-23 화물이동 차단막이 구비된 픽업차량용 슬라이딩 사물함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30097026A true KR20130097026A (ko) 2013-09-02
KR101352743B1 KR101352743B1 (ko) 2014-01-16

Family

ID=4944963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20018711A KR101352743B1 (ko) 2012-02-23 2012-02-23 화물이동 차단막이 구비된 픽업차량용 슬라이딩 사물함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352743B1 (ko)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7199954A (zh) * 2017-07-13 2017-09-26 王冠文 后备箱缓冲装置及其上部缓冲结构
CN108454498A (zh) * 2017-02-17 2018-08-28 福特全球技术公司 适于皮卡车厢的侧面安装的导轨
KR20200126041A (ko) * 2019-04-29 2020-11-06 동양물산기업 주식회사 농업용 다목적 전기차의 작업기 장착장치
US11014487B2 (en) 2017-11-08 2021-05-25 Ford Global Technologies, Llc Divider assemblies for partitioning vehicle cargo spaces
CN115258004A (zh) * 2022-08-22 2022-11-01 安徽信和汽车股份有限公司 一种汽车后备箱配件自动填装设备及其工作方法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542953B1 (ko) 2018-04-12 2023-06-13 현대자동차주식회사 차량의 러기지룸 스크린 장치
US11584462B2 (en) 2021-03-26 2023-02-21 Honda Motor Co., Ltd. Panel standoff and stopper hole

Family Cites Familie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9990011398U (ko) * 1997-08-30 1999-03-25 정몽규 트렁크의 화물 고정장치
KR200230698Y1 (ko) 2001-02-06 2001-07-19 백문현 자동차 트렁크의 다용도 수납함
JP2009078640A (ja) 2007-09-25 2009-04-16 Kasai Kogyo Co Ltd 車両のラゲージルーム構造
KR101063237B1 (ko) 2008-10-14 2011-09-07 기아자동차주식회사 차량용 멀티 러기지 박스

Cited By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8454498A (zh) * 2017-02-17 2018-08-28 福特全球技术公司 适于皮卡车厢的侧面安装的导轨
CN107199954A (zh) * 2017-07-13 2017-09-26 王冠文 后备箱缓冲装置及其上部缓冲结构
CN107199954B (zh) * 2017-07-13 2024-04-16 王冠文 后备箱缓冲装置及其上部缓冲结构
US11014487B2 (en) 2017-11-08 2021-05-25 Ford Global Technologies, Llc Divider assemblies for partitioning vehicle cargo spaces
KR20200126041A (ko) * 2019-04-29 2020-11-06 동양물산기업 주식회사 농업용 다목적 전기차의 작업기 장착장치
CN115258004A (zh) * 2022-08-22 2022-11-01 安徽信和汽车股份有限公司 一种汽车后备箱配件自动填装设备及其工作方法
CN115258004B (zh) * 2022-08-22 2023-12-05 安徽信和汽车股份有限公司 一种汽车后备箱配件自动填装设备及其工作方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352743B1 (ko) 2014-01-1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352743B1 (ko) 화물이동 차단막이 구비된 픽업차량용 슬라이딩 사물함
US6623059B2 (en) Collapsible storage apparatus for vehicle cargo compartments
CN207670304U (zh) 货物区、车辆、内饰板和可平移后置物板
US7059646B1 (en) Cargo management system having vehicle load floor with cargo cage
US8801073B1 (en) Luggage retention system
US9132785B2 (en) Collapsible automotive storage container
US6749241B1 (en) Vehicle cargo panel having retractable belt
JP5769903B2 (ja) シートを含む実用荷台を有する車両
US11529909B2 (en) Collapsible folding truck trunk
JP2014500195A (ja) フレキシブル安全材を備えた車両積荷キャリアボックス
KR20010034751A (ko) 자동차의 짐칸 및 그 분할장치
US8858139B2 (en) Retainer device for vehicle cargo space
US9079513B2 (en) Luggage retention system
US7093873B2 (en) Collapsible storage apparatus for vehicle cargo compartments
US8789868B1 (en) Luggage retention system
US20120298678A1 (en) Vehicle modular storage system
US10857945B2 (en) Cargo drawer for a pickup truck
US20180105118A1 (en) Trunk lid stowage sytem
US20160001824A1 (en) Secure It Truck Bed Partition
KR101470080B1 (ko) 차량용 러기지 박스 커버에 구비된 물품 수납부
US20020121795A1 (en) Deck lock system
KR100863178B1 (ko) 차량용 러기지 박스
GB2463072A (en) Holding device
FR2888178A1 (fr) Arrete-charge mobile pour espace arriere d'un vehicule
KR19990031864U (ko) 트렁크 룸 내의 화물 고정 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AMND Amendment
X701 Decision to grant (after re-examina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