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30096808A - 영상의 초점영역을 설정하고, 초점영역의 흔들림을 보정하는 영상 처리 장치의 제어 방법 - Google Patents

영상의 초점영역을 설정하고, 초점영역의 흔들림을 보정하는 영상 처리 장치의 제어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30096808A
KR20130096808A KR1020120018299A KR20120018299A KR20130096808A KR 20130096808 A KR20130096808 A KR 20130096808A KR 1020120018299 A KR1020120018299 A KR 1020120018299A KR 20120018299 A KR20120018299 A KR 20120018299A KR 20130096808 A KR20130096808 A KR 20130096808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area
image
focus area
shake
sett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2001829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남리
Original Assignee
김남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남리 filed Critical 김남리
Priority to KR1020120018299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30096808A/ko
Publication of KR2013009680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30096808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TIMAGE DATA PROCESSING OR GENERATION, IN GENERAL
    • G06T7/00Image analysis
    • G06T7/10Segmentation; Edge detection
    • G06T7/13Edge detection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TIMAGE DATA PROCESSING OR GENERATION, IN GENERAL
    • G06T7/00Image analysis
    • G06T7/10Segmentation; Edge detection
    • G06T7/181Segmentation; Edge detection involving edge growing; involving edge linking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Vision & Pattern Recognition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Studio Devices (AREA)
  • Automatic Focus Adjustment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영상의 초점영역을 설정하고, 초점 영역의 흔들림을 보정하여 선명한 영상을 획득하기 위한 영상 처리 장치의 제어 방법에 관한 것으로, 본 발명은 입사되는 프리뷰 영상을 블럭으로 나누어 디스플레이하고, 상기 디스플레이 되는 영상을 사용자로부터 초점영역을 입력 받으며, 상기 입력받은 선택 영역에 대하여 에지를 검출하여 피사체 영역 블럭을 설정하며, 상기 검출된 에지의 두께가 변화하는지 판단하여 흔들림을 판단하고, 상기 흔들림이 판단된 경우 에지의 두께가 가장 얇아지는 순간을 촬영하도록 제어함으로 흔들림을 보정하는 영상처리 장치를 제공함으로 사용자가 설정한 영역을 기준으로 초점 영역을 설정함으로 사용자가 원하는 초점 영역을 설정하여 초점이 다양한 이미지를 촬영할 수 있으며, 촬영장치의 흔들림이나 외부의 흔들림에 의해서도 초점이 흐려지지 않게 이미지를 촬영할 수 있도록 한다.

Description

영상의 초점영역을 설정하고, 초점영역의 흔들림을 보정하는 영상 처리 장치의 제어 방법{Set the focus area of the image, the focus area to stabilize the control method of image processing devices}
본 발명은 카메라 모듈의 자동 초점 영역 설정과 초점영역의 흔들림을 판단하여 흔들림을 보정하는 방법에 관한 것이다.
카메라 모듈은 렌즈를 포함한 씨씨디(CCD),나 씨모스(CMOS)와 같은 광전 변환소자에 의해 전기신호로 광전변환한 후, 광전 변환된 영상 신호에 대해 소정의 영상 처리를 실시하여 정지영상이나 동영상을 출력하는 장치를 말한다.
일반적으로, 카메라 모듈에는 피사체까지의 거리를 측정하고 포커스 렌즈를 자동적으로 이동하여 초점이 맞는 사진을 촬영할 수 있게 하는 오토 포커스(AF, auto focus)기능이 내장되어 있다.
일반적인 오토 포커스 방법은 영상의 중심부에 포커스를 맞추는 것이다. 이때, 포커스 영역을 벗어난 주변부의 사물에는 포커스를 맞출 수가 없다, 따라서, 종래에는 주변 사물에 대해 포커스를 맞추고자 하는 경우에는, 카메라 모듈을 이동시켜 주변부의 사물이 카메라 중심에 위치하게 한 후, 반 셔터을 누른 뒤 촬영을 해야 했다. 이 방법은 카메라 모듈을 이동시키는 과정에서 손떨림 현상이 발생하는 등의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원하는 피사체에 포커스를 맞춘 뒤에도 손떨림이나 외부의 영향으로 카메라가 흔들려 피사체에 초점이 제대로 맞춰지지 않는 문제점도 있었다.
본 발명은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 하기 위해 사용자가 포커스 영역을 지정할 수 있게 하고, 포커스 영역을 지정 한 뒤, 촬영장치의 흔들림을 판단하여 초점이 흐려져 촬영하는 것을 방지하는 촬영하는 방법을 제공한다.
본 발명의 특징에 따르면, 영상의 초점영역을 설정하고 초점영역의 흔들림을 보정하기 위해, 입사되는 프리뷰 영상을 블럭으로 나누고, 상기 블럭별로 나누어진 프리뷰 영상을 지속적으로 디스플레이 하는 디스플레이 장치와 상기 디스플레이 되는 영상을 사용자로부터 초점영역을 입력, 선택받는 입력장치, 및 상기 입력, 선택받은 영역에 대하여 에지를 검출하여 피사체 영역과 배경 영역의 블럭을 구분하고, 피사체 영역 블럭을 설정하는 피사체 블럭 영역 선택 장치와 피사체 블럭 영역 선택 장치에 의해 선택받은 영역에 대하여 에지의 두께가 일정한지, 변화하고 있는지 판단함으로 흔들림이 발생한 것인지 판단하는 흔들림 판단 장치, 상기 흔들림 판단 장치에 의해 흔들림이 판단 되었을 경우, 에지 영역의 두께가 가장 얇아지는 순간 촬영을 실시하도록 하는 촬영 제어 장치를 제공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영상의 초점영역 설정과 초점영역의 흔들림을 보정하는 장치가 제공된다.
본 발명에 의해 사용자가 설정한 영역을 기준으로 초점 영역을 설정함으로 사용자가 원하는 초점 영역을 설정하여 초점이 다양한 이미지를 촬영할 수 있으며, 촬영장치의 흔들림이나 외부의 흔들림에 의해서도 초점이 흐려지지 않게 이미지를 촬영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영상의 초점영역을 설정하고 흔들림을 보정하는 영상 처리 장치를 설명하기 위한 블록도이다.
이하, 도 1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영상의 초점영역을 설정하고 흔들림을 보정하는 영상 처리 장치에 대한 구체적인 실시 예를 설명하기로 한다. 이는 예시적 실시예에 불과하며 본 발명은 이에 제한되지 않는다.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본 발명과 관련된 공지기술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하기로 한다. 그리고 후술되는 용어들은 본 발명에서의 기능을 고려하여 정의된 용어들로서 이는 사용자, 운용자의 의도 또는 관례 등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그러므로 그 정의는 본 명세서 전반에 걸친 내용을 토대로 내려져야 할 것이다.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은 청구범위에 의해 결정되며, 이하 실시예는 진보적인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효율적으로 설명하기 위한 일 수단일 뿐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영상의 초점영역을 설정하고 흔들림을 보정하는 영상 처리 장치를 설명하기 위한 블록도이다.
디스플레이(100) 단계는 입력되는 프리뷰 영상을 블럭으로 나누어 디스플레이 하는 것으로, 렌즈를 통해 입사되는 아날로그 영상을 디지털화 하여 디스플레이 영역에 일정 간격으로 블럭화 하여 프리뷰 영상에 지속적으로 디스플레이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선택 입력(200) 단계는, 디스플레이 되는 영상을 사용자로부터 초점을 맞추고자 하는 영역을 입력 받는 것으로, 사용자가 손가락을 이용하여 터치하는 것으로, 터치 스크린 장치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블럭 설정(300) 단계는 입력, 선택받은 영역에 대하여 에지를 검출하여 피사체 영역과 배경 영역의 블럭을 설정하는 피사체 블럭 영역을 설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흔들림 판단(400) 단계는 피사체 블럭 영역에 의해 선택받은 영역에 대하여 에지의 두께가 일정한지, 변화하고 있는지 판단함으로 흔들림이 발생하였는지 판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촬영 제어(500) 단계는 상기 흔들림 판단 장치에 의해 흔들림이 판단 되었을 경우, 에지 영역의 두께가 가장 얇아지는 순간 촬영을 실시하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100 :디스플레이 단계
200 : 선택 입력 단계
300 : 블럭 설정 단계
400 : 흔들림 판단 단계
500 : 촬영 제어 단계

Claims (6)

  1. 영상의 초점영역을 설정하고, 초점 영역의 흔들림을 보정하여 선명한 영상을 획득하기 위한 영상 처리 장치의 제어 방법에 있어서,
    입사되는 프리뷰 영상을 블럭으로 나누고, 상기 블럭별로 나누어진 프리뷰 영상을 지속적으로 디스플레이 하는 디스플레이 장치; 및
    상기 디스플레이 되는 영상을 사용자로부터 초점영역을 입력, 선택받는 입력 장치;
    상기 입력, 선택받은 영역에 대하여 에지를 검출하여 피사체 영역과 배경 영역의 블럭을 구분하고, 피사체 영역 블럭을 설정하는 피사체 블럭 영역 선택 장치;
    상기 피사체 블럭 영역 선택 장치에 의해 선택받은 영역에 대하여 에지의 두께가 일정한지, 변화하고 있는지 판단함으로 흔들림이 발생한 것인지 판단하는 흔들림 판단 장치;
    상기 흔들림 판단 장치에 의해 흔들림이 판단 되었을 경우, 에지 영역의 두께가 가장 얇아지는 순간 촬영을 실시하도록 하는 촬영 제어 장치;
    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초점 영역을 설정하고 초점영역의 흔들림을 보정하는 영상 처리 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디스플레이 장치는, 렌즈를 통해 입사되는 아날로그 영상을 디지털화 하여 프리뷰 영상에 디스플레이 하고, 디스플레이 영역을 일정 간격으로 블럭화 하여 프리뷰 영상에 지속적으로 디스플레이 하는 것으로, 프리뷰 영상의 블럭은 사용자의 선택에 따라 보여질 수도, 안보일 수도 있게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초점 영역을 설정하고 초점영역의 흔들림을 보정하는 영상 처리 장치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입력 장치는, 디스플레이 장치에 사용자가 직접 손가락을 이용하여 터치함으로서 영역을 설정할 수 있는 터치 스크린 장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초점 영역을 설정하고, 초점영역의 흔들림을 보정하는 영상 처리 장치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피사체 블럭 영역 선택 장치는, 상기 사용자가 선택한 선택 지점을 중심으로 에지를 검출하여 에지를 통해 피사체의 위치를 검출하고, 상기 사용자가 선택한 지점의 피사체를 포함하는 블럭들을 블럭 영역으로 설정하는것을 특징으로 하는 초점 영역을 설정하고, 초점영역의 흔들림을 보정하는 영상 처리 장치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흔들림 판단 장치는, 상기 블럭 영역 선택 장치에 의해 검출된 에지영역의 두께 변화로 판단하는 것으로, 에지 영역의 두께는 에지 영역이 차지하는 블럭의 개수가 변화하는 것으로, 상기 에지 영역의 두께가 변화 했다고 판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초점 영역을 설정하고, 초점영역의 흔들림을 보정하는 영상 처리 장치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촬영 제어 장치는, 상기 흔들림 판단 장치에 의해 흔들림이 판단되지 않은 경우는, 사용자의 셔터 입력이 발생 되었을 시 촬영을 수행하고,상기 흔들림 판단 장치에 의해 흔들림이 판단되는 경우, 에지 영역의 두께가 가장 얇아지는 순간, 즉 에지 영역이 차지하는 블럭의 수가 가장 적어지는 순간 촬영을 실시하도록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초점 영역을 설정하고, 초점영역의 흔들림을 보정하는 영상 처리 장치

KR1020120018299A 2012-02-23 2012-02-23 영상의 초점영역을 설정하고, 초점영역의 흔들림을 보정하는 영상 처리 장치의 제어 방법 KR20130096808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018299A KR20130096808A (ko) 2012-02-23 2012-02-23 영상의 초점영역을 설정하고, 초점영역의 흔들림을 보정하는 영상 처리 장치의 제어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018299A KR20130096808A (ko) 2012-02-23 2012-02-23 영상의 초점영역을 설정하고, 초점영역의 흔들림을 보정하는 영상 처리 장치의 제어 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30096808A true KR20130096808A (ko) 2013-09-02

Family

ID=4944945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20018299A KR20130096808A (ko) 2012-02-23 2012-02-23 영상의 초점영역을 설정하고, 초점영역의 흔들림을 보정하는 영상 처리 장치의 제어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30096808A (ko)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8810709B2 (en) Image capturing apparatus and control method thereof
CN107770433B (zh) 影像获取装置及其影像平顺缩放方法
US9830947B2 (en) Image-capturing device
US7801431B2 (en) Image capturing device and auto-focus method thereof
US10021307B2 (en) Processing apparatus for camera shake correction
JP7131647B2 (ja) 制御装置、制御方法および制御プログラム
JP5907738B2 (ja) 撮像装置、表示方法、プログラム
JP2013068671A5 (ko)
US10237466B2 (en) Recognition of degree of focus of an image
CN107968913B (zh) 显示控制设备、显示控制设备的控制方法和存储介质
JPWO2017037978A1 (ja) 検出装置、検出方法、検出プログラムおよび撮像装置
JP2011223294A (ja) 撮像装置
JP2015014672A (ja) カメラ制御装置、カメラシステム、カメラ制御方法、及びプログラム
JP2005198068A (ja) 動画撮影中に容易かつ迅速に静止画を記録できる撮像装置
US11064135B2 (en) Image capturing apparatus, control method for image capturing apparatus, and control program for image capturing apparatus
WO2017221664A1 (ja) 携帯端末
US20130293682A1 (en) Image capture device, image capture method, and program
WO2014129533A1 (ja) 撮像装置及び制御プログラム並びに露出量制御方法
JP2016213616A5 (ja) 撮像装置、及び撮像制御方法
US11012629B2 (en) Image capturing apparatus, control method for image capturing apparatus, and control program for image capturing apparatus
JP5800600B2 (ja) 撮像装置、撮像方法およびプログラム
JP5479190B2 (ja) 撮像装置及び撮像装置の制御方法
TW202002606A (zh) 影像擷取裝置與其操作方法
JP7469329B2 (ja) 映像作成方法
JP2008113466A (ja) 電子カメラ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WITN Application deemed withdrawn, e.g. because no request for examination was filed or no examination fee was pai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