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30096779A - 스테이지 설치용 트러스 - Google Patents
스테이지 설치용 트러스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20130096779A KR20130096779A KR1020120018210A KR20120018210A KR20130096779A KR 20130096779 A KR20130096779 A KR 20130096779A KR 1020120018210 A KR1020120018210 A KR 1020120018210A KR 20120018210 A KR20120018210 A KR 20120018210A KR 20130096779 A KR20130096779 A KR 20130096779A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bridge
- fixing
- support frames
- frame
- rail groove
- Prior art date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H—BUILDINGS OR LIKE STRUCTURES FOR PARTICULAR PURPOSES; SWIMMING OR SPLASH BATHS OR POOLS; MASTS; FENCING; TENTS OR CANOPIES, IN GENERAL
- E04H3/00—Buildings or groups of buildings for public or similar purposes; Institutions, e.g. infirmaries or prisons
- E04H3/10—Buildings or groups of buildings for public or similar purposes; Institutions, e.g. infirmaries or prisons for meetings, entertainments, or sports
- E04H3/22—Theatres; Concert halls; Studios for broadcasting, cinematography, television or similar purposes
- E04H3/24—Constructional features of stages
-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J—DEVICES FOR THEATRES, CIRCUSES, OR THE LIKE; CONJURING APPLIANCES OR THE LIKE
- A63J1/00—Stage arrangement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chitecture (AREA)
- Multimedia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Mutual Connection Of Rods And Tubes (AREA)
Abstract
스테이지 설치용 프레임 구조물은 다수의 지지 프레임들 및 브리지를 포함한다. 지지 프레임들은 서로 평행하게 배치되며, 서로 마주하는 부위에 각각 길이 방향을 따라 형성된 레일홈을 갖는다. 브리지는 서로 평행한 상태가 유지되도록 지지 프레임들 사이를 연결하며,
양단 부위들 중 적어도 한 부위에 레일홈에 체결 및 분리되는 레일 결합부를 갖는다.
양단 부위들 중 적어도 한 부위에 레일홈에 체결 및 분리되는 레일 결합부를 갖는다.
Description
본 발명은 스테이지 설치용 프레임 구조물에 관한 것으로써, 더욱 상세하게는 무대와 같은 스테이지에 조명 및 광고판과 같은 부대설비를 설치하기 위하여 상기 스테이지에 설치되는 프레임 구조물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공연장이나 전시장 등과 같이 여러 가지 행사나 공연을 진행하는 장소에서는 행사나 공연의 효과를 높이기 위해 무대인 스테이지의 상부에 프레임 구조물을 설치하여 이 구조물에 조명 및 광고판과 같은 부대설비를 설치하고 있다.
여기서, 상기 프레임 구조물은 네 개 또는 세 개의 지지 프레임들을 서로 마주하도록 배치시킨 다음, 상기 지지 프레임들의 사이를 다수의 브리지(bridge)들을 통해 연결한 단위 구조물을 이용하여 사용자에 의해서 다양한 형태로 설치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브리지는 구조 상 상기의 프레임 구조물에 통상적으로 사용되는 트러스(truss)로 명칭할 수 있다.
하지만, 행사나 공연을 진행하는 장소가 야외와 같이 단위 프레임 구조물들을 보관하고 있는 보관 장소와 떨어져 있을 경우에는 상기 단위 프레임 구조물들을 상기 보관 장소로부터 운반하는 작업이 필요하게 된다. 이때, 상기 단위 프레임 구조물들 각각은 상기 보관 장소에 보관될 때 이미 상기 브리지들을 상기 지지 프레임들에 용접한 상태로 보관된다.
이에 따라, 상기 단위 프레임 구조물들을 상기 보관 장소로부터 상기 스테이지가 설치되는 야외로 운반할 경우, 상기 브리지들이 용접된 상태로 인하여 부피가 매우 커지게 되므로 운반이 곤란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스테이지용 프레임 구조물을 개략적으로 나타낸 도면이다.
도 2는 도 1에 도시된 프레임 구조물의 일부분을 확대한 사시도이다.
도 3은 도 2에 도시된 프레임 구조물의 제1 및 제2 지지 프레임들과 브리지를 분리한 상태는 나타낸 도면이다.
도 4는 도 3의 제1 지지 프레임에 브리지가 결합된 구조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5는 도 4의 제1 지지 프레임을 측면에서 바라본 도면이다.
도 6은 도 4의 Ⅰ-Ⅰ`선을 따라 절단하여 일 실시예에 따른 고정 부재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7은 도 4의 Ⅰ-Ⅰ`선을 따라 절단하여 다른 실시예에 다른 고정 부재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8은 도 7의 A부분을 확대한 도면이다.
도 9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프레임 구조물을 구체적으로 나타낸 도면이다.
도 10은 도 9에 도시된 프레임 구조물의 지지 프레임들의 간격을 좁힌 상태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11은 도 9에 도시된 프레임 구조물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제1 브리지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12는 도 11의 A부분을 확대한 도면이다.
도 13은 도 9에 도시된 프레임 구조물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제1 브리지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14는 도 13의 B부분을 확대한 도면이다.
도 15는 도 14의 Ⅰ-Ⅰ`선을 따라 절단하여 단면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16은 도 9에 도시된 프레임 구조물의 지지 프레임과 제1 브리지를 분리한 사시도이다.
도 17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스테이지에 설치된 프레임 구조물을 구체적으로 나타낸 도면이다.
도 2는 도 1에 도시된 프레임 구조물의 일부분을 확대한 사시도이다.
도 3은 도 2에 도시된 프레임 구조물의 제1 및 제2 지지 프레임들과 브리지를 분리한 상태는 나타낸 도면이다.
도 4는 도 3의 제1 지지 프레임에 브리지가 결합된 구조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5는 도 4의 제1 지지 프레임을 측면에서 바라본 도면이다.
도 6은 도 4의 Ⅰ-Ⅰ`선을 따라 절단하여 일 실시예에 따른 고정 부재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7은 도 4의 Ⅰ-Ⅰ`선을 따라 절단하여 다른 실시예에 다른 고정 부재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8은 도 7의 A부분을 확대한 도면이다.
도 9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프레임 구조물을 구체적으로 나타낸 도면이다.
도 10은 도 9에 도시된 프레임 구조물의 지지 프레임들의 간격을 좁힌 상태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11은 도 9에 도시된 프레임 구조물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제1 브리지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12는 도 11의 A부분을 확대한 도면이다.
도 13은 도 9에 도시된 프레임 구조물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제1 브리지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14는 도 13의 B부분을 확대한 도면이다.
도 15는 도 14의 Ⅰ-Ⅰ`선을 따라 절단하여 단면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16은 도 9에 도시된 프레임 구조물의 지지 프레임과 제1 브리지를 분리한 사시도이다.
도 17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스테이지에 설치된 프레임 구조물을 구체적으로 나타낸 도면이다.
이하,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스테이지 설치용 프레임 구조물에 대해 상세히 설명한다. 본 발명은 다양한 변경을 가할 수 있고 여러 가지 형태를 가질 수 있는 바, 특정 실시예들을 도면에 예시하고 본문에 상세하게 설명하고자 한다. 그러나, 이는 본 발명을 특정한 개시 형태에 대해 한정하려는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의 사상 및 기술 범위에 포함되는 모든 변경, 균등물 내지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각 도면을 설명하면서 유사한 참조부호를 유사한 구성요소에 대해 사용하였다. 첨부된 도면에 있어서, 구조물들의 치수는 본 발명의 명확성을 기하기 위하여 실제보다 확대하여 도시한 것이다.
제1, 제2 등의 용어는 다양한 구성요소들을 설명하는데 사용될 수 있지만, 상기 구성요소들은 상기 용어들에 의해 한정되어서는 안 된다. 상기 용어들은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로부터 구별하는 목적으로만 사용된다. 예를 들어, 본 발명의 권리 범위를 벗어나지 않으면서 제1 구성요소는 제2 구성요소로 명명될 수 있고, 유사하게 제2 구성요소도 제1 구성요소로 명명될 수 있다.
본 출원에서 사용한 용어는 단지 특정한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해 사용된 것으로, 본 발명을 한정하려는 의도가 아니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본 출원에서, "포함하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 상에 기재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분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분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한편, 다르게 정의되지 않는 한, 기술적이거나 과학적인 용어를 포함해서 여기서 사용되는 모든 용어들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일반적으로 이해되는 것과 동일한 의미를 가지고 있다.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사전에 정의되어 있는 것과 같은 용어들은 관련 기술의 문맥 상 가지는 의미와 일치하는 의미를 가지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하며, 본 출원에서 명백하게 정의하지 않는 한, 이상적이거나 과도하게 형식적인 의미로 해석되지 않는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스테이지에 설치된 프레임 구조물을 개략적으로 나타낸 도면이며, 도 2는 도 1에 도시된 프레임 구조물의 일부분을 확대한 사시도이다.
도 1 및 도 2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프레임 구조물(1000)은 다수의 지지 프레임(100)들 및 다수의 브리지(bridge, 400)들을 포함한다.
상기 지지 프레임(100)들은 공연장 및 전시장과 같이 공연이나 각종 행사를 진행하기 위하여 설치된 무대와 같은 스테이지(10)의 상부에 서로 평행한 상태로 설치된다. 여기서, 공연장에 설치되는 스테이지(10)는 전시장과 달리 관람객이 공연이나 행사를 잘 보이도록 하기 위하여 도 1에서와 같이 다리(20)를 이용하여 일정 높이에 설치될 수 있다. 이때, 상기 다리(20)는 이하에서 다양한 실시예들 형태로 상세하게 설명하는 프레임 구조물(1000, 도 9의 2000)과 동일한 구조로 설치될 수 있다. 이러면, 상기 다리(20)도 상기의 프레임 구조물(1000, 도 9의 2000)과 같은 효과를 기대할 수 있다.
이러한 지지 프레임(100)들에는 행사나 공연의 효과를 높이기 위한 조명 및 광고판과 같은 부대설비가 설치될 수 있다. 이를 위하여, 상기 지지 프레임(100)들은 상기 스테이지(10)의 양측 위치에서 기둥 구조로 설치한 다음, 이 기둥 구조의 지지 프레임(100)들 상부에 천장 구조로 설치될 수 있다. 이와 달리, 상기 지지 프레임(100)들은 행사나 공연의 종류에 따라 상기 스테이지(10)에 다양한 구조로 설치될 수 있다.
상기 브리지(400)들은 상기 지지 프레임(100)들 각각이 서로 평행한 상태를 유지하도록 상기 지지 프레임(100)들의 사이를 연결한다. 상기 브리지(400)는 상기 브리지는 구조 상 상기의 프레임 구조물에 통상적으로 사용되는 트러스(truss)로 명칭할 수 있다.
이에, 상기 브리지(400)들은 상기 지지 프레임(100)들을 외관상 지그재그 형태를 갖도록 일정한 간격으로 연결하여 상기 지지 프레임(100)들을 보다 견고하게 연결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브리지(400)는 자체가 구부러진 구조를 가질 수 있다.
또한, 상기 브리지(400)들은 일 예로, 도 2에서와 같이 네 개의 지지 프레임(100)들을 대상으로 사이를 연결할 수 있다. 이러면, 상기 지지 프레임(100)들은 네 개가 단면이 사각형을 갖는 하나의 단위 구조물로써 사용되어 상기 스테이지(10)에 설치될 수 있다.
이와 달리, 상기 브리지(400)들은 네 개를 제외한 적어도 세 개 이상의 지지 프레임(100)들을 단면이 다각형을 갖는 하나의 단위 구조물로써 사용되도록 연결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브리지(400)들은 적어도 두 개 이상의 지지 프레임(100)들을 단면이 “L"자 형태 또는 다수 부위가 다양한 형태로 꺾임 구조를 갖도록 연결할 수 있다.
이하, 상기 브리지(400)들 각각이 상기 지지 프레임(100)들을 연결하는 구체적인 구조에 대해서 도 3을 추가적으로 참조하여 보다 상세하게 설명하고자 한다.
도 3은 도 2에 도시된 프레임 구조물의 지지 프레임들과 브리지를 분리한 상태는 나타낸 도면이다.
도 3을 추가적으로 참조하면, 상기 지지 프레임(100)들 중 서로 평행하면서 인접한 제1 및 제2 지지 프레임(200, 300)들 각각은 서로 마주하는 부위에 제1 및 제2 레일홈(210, 310)을 갖는다. 여기서, 상기 제1 및 제2 레일홈(210, 310)들은 상기 제1 및 제2 지지 프레임(200, 300)들 각각의 길이 방향을 따라 평행하면서 길게 형성된다.
상기 제1 레일홈(210)은 상기 제2 레일홈(310)과 마주하는 입구의 폭(w1)보다 그 안쪽의 폭(w2)이 넓게 형성된다. 예를 들어, 상기 제1 레일홈(210)은 그 단면이 “T"자 또는 ”L"자 형상을 가질 수 있다. 또한, 상기 제1 레일홈(210)은 상기 제1 지지 프레임(200)의 일단부(212)에서 외부로 노출되어 있다.
이하, 상기 제2 레일홈(310)은 상기 제1 레일홈(210)과 서로 평행하면서 길게 형성되어 있다는 구조를 제외하고는 상기 제1 레일홈(210)과 동일하므로, 이에 중복되는 상세한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또한, 이하에서 설명하는 제1 레일홈(210)에 대해서도 제2 레일홈(310)도 동일한 구조를 갖는 것으로 간주한다.
상기 브리지(400)는 양단 부위들 각각에 상기 제1 및 제2 레일홈(210, 310)들 각각에 삽입 결합되는 제1 및 제2 걸림부(410, 420)들을 갖는다.
상기 제1 걸림부(410)는 상기 제1 레일홈(210)의 입구에 걸리도록 그 안쪽으로 삽입된다. 이러한 제1 걸림부(410)는 단면이 상기 제1 레일홈(210)의 단면과 동일하게 형성될 수 있다. 이에, 상기 브리지(400)는 상기 제1 걸림부(410)를 상기 제1 레일홈(210)의 노출된 일단부(212)로부터 삽입하여 상기 제1 레일홈(210)의 입구에 걸리도록 한다.
이때, 상기 제1 걸림부(410)의 상기 제1 레일홈(210)의 입구와 만나는 부위는 상기 입구의 폭(w1)과 동일한 폭을 가질 수 있다. 이는, 상기 제1 걸림부(410)가 상기 제1 레일홈(210)에 삽입된 다음, 상기 브리지(400)가 상기 제1 레일홈(210)과 수직한 방향으로 흔들리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서이다.
이하, 상기 제2 걸림부(420)는 상기 제2 레일홈(310)에 삽입 결합된다는 구조를 제외하고는 상기 제1 걸림부(410)와 동일하므로, 이에 중복되는 상세한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또한, 이하에서 설명하는 제1 걸림부(410)에 대해서도 제2 걸림부(420)도 동일한 구조를 갖는 것으로 간주한다.
이와 같이, 상기 브리지(400)를 상기 제1 및 제2 지지 프레임(200, 300)들과 분리된 상태에서 상기 제1 및 제2 걸림부(410, 420)들 각각을 상기 제1 및 제2 레일홈(210, 310)들 각각에 빠지지 않도록 삽입 결합시킴으로써, 보관 장소와 떨어진 야외에 상기 스테이지(10)가 설치되어 있을 경우 상기 제1 및 제2 지지 프레임(200, 300)들과 상기 브리지(400)를 분리하여 운반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상기 프레임 구조물(1000)을 운반 시 부피를 감소시켜 운반을 용이하게 할 수 있음에 따라, 운반 시 필요한 차량의 크기와 작업자 인원수를 감소시킬 수 있다. 이로써, 상기 프레임 구조물(1000)의 운반 비용을 절감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1 및 제2 지지 프레임(200, 300)들 각각의 내부에는 다수의 지지대(미도시)들이 벌집 형태로 설치되어 강도를 강화시킴으로써, 상기 프레임 구조물(1000)들이 보다 안정한 구조를 갖도록 할 수 있다. 이에, 상기 브리지(400)도 강도를 강화하기 위해서 내부가 거푸집 형태, 즉 내부에 기공이 형성된 구조로 제작될 수 있다.
이하, 상기 제1 지지 프레임(200)의 제1 레일홈(210)에 삽입된 상기 브리지(400)의 제1 걸림부(410)를 고정하는 구조에 대하여 도 4 내지 도 6을 추가적으로 참조하여 보다 상세하게 설명하고자 한다.
도 4는 도 3의 제1 지지 프레임에 브리지가 결합된 구조를 나타낸 도면이고, 도 5는 도 4의 제1 지지 프레임을 측면에서 바라본 도면이며, 도 6은 도 4의 Ⅰ-Ⅰ`선을 따라 절단하여 일 실시예에 따른 고정 부재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4 내지 도 6을 추가적으로 참조하면, 상기 제1 지지 프레임(200)은 상기 제1 레일홈(210)의 상기 제1 걸림부(410)를 고정하고자 하는 위치에 고정홀(220)을 가질 수 있다.
상기 고정홀(220)은 도 5에서와 같이 상기 제1 레일홈(210)을 측면에서 보았을 때 보이도록 상기 제1 레일홈(210)의 안쪽 배면에 형성된다. 이러한 고정홀(220)은 도 2를 참조한 설명에서와 같이 상기 제1 및 제2 지지 프레임(200, 300)들에 다수의 브리지(400)들이 일정한 간격으로 연결되어 있음에 따라 다수가 일정한 간격으로 형성될 수 있다.
이에, 상기 프레임 구조물(1000)은 상기 고정홀(220)에 삽입되어 상기 제1 레일홈(210)의 상기 고정홀(220) 위치까지 슬라이딩되면서 삽입된 상기 트러스(400)의 제1 걸림부(410)를 고정하는 고정 부재(50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른 고정 부재(500)는 상기 고정홀(220)의 상기 제1 걸림부(410)와 반대되는 위치로부터 상기 고정홀(220)로 상기 제1 걸림부(410)를 가압하도록 삽입되거나 상기 고정홀(220)로부터 분리되는 볼트로 이루어질 수 있다. 여기서, 상기 볼트는 본 실시예의 고정 부재(500)이므로, 이하에서는 서로 동일한 참조 번호를 사용한다.
이에, 상기 제1 지지 프레임(200)은 상기 제1 걸림부(410)와 반대되는 부위에 상기 볼트(500)가 삽입되면서 상기 볼트(500)와 반대되는 나사산을 갖는 나사홀(230)을 갖는다.
이때, 상기 나사홀(230)의 깊이(d)는 상기 볼트(500)의 움직임이 안정적이도록 상기 제1 지지 프레임(200)의 두께(t)보다 깊게 형성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제1 지지 프레임(200)의 상기 볼트(500)가 삽입되는 부위에 상기 나사홀(230)을 갖는 별도의 너트가 용접 등의 방식을 통하여 장착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상기 브리지(400)의 제1 걸림부(410)는 상기 제1 레일홈(210)의 고정홀(220)이 형성된 위치에서 제1 방향으로 회전하는 볼트(500)를 통해 가입되어 고정되거나, 상기 제1 방향과 반대되는 제2 방향으로 회전하는 볼트(500)를 통해 상기 제1 레일홈(210)을 따라 슬라이딩되면서 외부로 분리될 수 있다. 이때, 상기 볼트(500)는 작업자에 의해 그 회전 동작을 손쉽게 하도록 나비 볼트 타입으로 구성되거나, 그 외주면이 요철 구조를 갖도록 구성될 수 있다.
한편, 상기 제1 지지 프레임(200)은 상기 제1 레일홈(210)을 따라 슬라딩되면서 삽입되는 제1 걸림부(410)가 상기 고정홀(220)의 위치에 정확하게 위치하도록 상기 제1 레일홈(210)의 고정홀(220)이 형성된 입구에 가이드부(240)를 더 가질 수 있다.
이는, 상기 고정홀(220)이 상기 제1 레일홈(210)의 안쪽 배면에 형성되어 외부에서는 잘 보이지 않기 때문이다. 즉, 상기 브리지(400)의 제1 걸림부(410)를 상기 가이드부(240)에 맞추어서 상기 제1 레일홈(210)에 삽입시키면, 상기 제1 걸림부(410)는 상기 고정홀(220)의 위치로 자연스럽게 가이드될 수 있다.
이러한 가이드부(240)는 일 예로, 도 4 및 도 5에서와 같이 상기 제1 레일홈(210)의 입구에서 주위보다 단차진 구조로 형성될 수 있다. 이러한 가이드부(240)는 상기 제1 걸림부(410)의 걸림이 가능한 사이즈로 주위보다 낮게 형성될 수 있다.
이러면, 상기 브리지(400)의 제1 걸림부(410)는 상기 가이드부(240)의 단차진 구조에 걸려서 상기 고정홀(220)의 위치에 더욱 손쉽게 가이드될 수 있다. 이와 달리, 상기 가이드부(240)는 상기 입구에 주위와 구별되는 색상, 인위적인 홈 또는 돌기 형태로 마킹하여 상기 고정홀(220)의 위치를 가이드할 수 있다.
이하, 상기 고정 부재(500)의 다른 실시예에 대하여 도 7 및 도 8을 참조하여 설명하고자 한다.
도 7은 도 4의 Ⅰ-Ⅰ`선을 따라 절단하여 다른 실시예에 다른 고정 부재를 나타낸 도면이며, 도 8은 도 7의 A부분을 확대한 도면이다.
본 실시예에서는 고정 부재가 브리지의 제1 걸림부를 고정하는 구조를 제외하고는 도 4 내지 도 6에 도시된 구조와 동일하므로, 동일한 구조에 대해서는 동일한 참조 번호를 사용하며, 이에 중복되는 상세한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도 7 및 도 8을 참조하면, 다른 실시예에 따른 고정 부재(600)는 제1 걸림부(810)의 고정홀(720)과 마주하는 부위에서 상기 고정홀(720) 방향으로 탄성을 제공하도록 삽입된 탄성체(650)에 상기 탄성에 의해 상기 고정홀(720)로 삽입되도록 장착된 고정구로 이루어질 수 있다. 여기서, 상기 고정구는 본 실시예의 고정 부재(600)이므로, 이하에서는 서로 동일한 참조 번호를 사용한다. 또한, 상기 탄성체(650)는 일 예로, 압축 스프링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구체적으로, 상기 제1 걸림부(810)의 상기 고정홀(720)과 마주하는 부위에 우선 일정 깊이의 삽입홈(812)을 형성한 다음, 상기 삽입홈(812) 안에 상기 탄성체(650)와 상기 고정구(600)를 순차적으로 삽입한다. 이때, 상기 삽입홈(812)의 입구는 상기 탄성체(650)에 의해서 외부로 빠지지 않도록 상기 고정구(600)의 직경보다는 작게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럴 경우, 상기 고정구(600)를 상기 삽입홈(812)에 삽입시키기 어려울 수 있으므로, 상기 고정구(600)를 삽입한 다음 상기 삽입홈(812)의 입구에 상기 고정구(600)가 빠지지 않도록 띠 형태의 부재(미도시)를 별도로 체결시킬 수 있다.
이렇게 장착된 고정구(600)는 상기 제1 걸림부(810)가 제1 지지 프레임(700)의 제1 레일홈(710)을 따라 슬라이딩될 때에는 상기 탄성체(650)의 압축에 의해 상기 삽입홈(812)으로 더 삽입되다가, 상기 고정홀(720)을 만나게 되면 상기 탄성체(650)의 탄성에 의해 상기 고정홀(720)로 삽입되어 상기 제1 걸림부(810)를 상기 고정홀(720)에 고정시킬 수 있다.
이와 같이, 상기 탄성체(650)의 탄성에 의해서 상기 고정홀(720)에 삽입되는 고정구(600)를 통해 상기 브리지(800)의 제1 걸림부(810)를 상기 제1 레일홈(710)의 고정홀(720)에 고정시키게 되면, 상기 고정홀(720)의 위치를 가이드하는 가이드부(740)를 굳이 구성하지 않더라도 상기 제1 걸림부(810)를 상기 고정홀(720)에 자연스럽게 고정시킬 수 있다.
또한, 상기와 같은 경우에 프레임 구조물(1000)은 상기 고정구(600)를 상기 고정홀(720)로부터 분리시키기 위한 분리 부재(90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분리 부재(900)는 상기 고정구(600)의 상기 제1 걸림부(810)와 반대되는 위치에서 상기 고정구(600)를 푸싱하여 상기 고정구(600)를 상기 고정홀(720)로부터 분리시킨다.
이에, 상기 분리 부재(900)는 상기 고정구(600)와 반대되는 위치에서 상기 제1 지지 프레임(700)의 관통홀(730)을 통과하여 상기 고정구(600)를 실질적으로 푸싱하는 푸셔(910) 및 상기 제1 지지 프레임(700)의 내부에서 상기 고정홀(720)과 상기 관통홀(730) 사이에 장착되어 상기 푸셔(910)에 상기 고정홀(720)로부터 멀어지는 방향으로 탄성을 제공하는 제2 탄성체(920)를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제2 탄성체(920)는 일 예로, 상기 푸셔(910)의 주위를 감싸는 압축 스프링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이럴 경우, 상기 푸셔(910)는 상기 제2 탄성체(920)의 탄성을 제공 받기 위하여, 상기 관통홀(730)과 상기 제2 탄성체(920) 사이에서 상기 제2 탄성체(920)의 탄성을 저지하기 위하여 돌출된 돌출부(912)를 포함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상기 푸셔(910)는 외부로부터 상기 고정구(600)를 푸싱하는 힘이 가해질 때는 상기 제2 탄성체(920)가 압축되면서 상기 고정홀(720)로 이동하여 상기 고정구(600)를 상기 고정홀(720)로부터 분리시키고, 반대로 상기 푸싱하는 힘이 제거되면 상기 제2 탄성체(920)의 탄성이 작용하여 상기 푸셔(910)는 상기 고정구(600)를 푸싱하지 않는 위치로 이동한다. 이때, 상기 제1 지지 프레임(700)은 상기 푸셔(910)가 안정적으로 움직이도록 상기 관통홀(730)이 형성된 부위가 주위보다 두껍게 구성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분리 부재(900)를 이용하게 되면 상기 고정홀(720)에 고정된 제1 걸림부(810)를 단순히 상기 푸셔(910)를 원터치 방식으로 누름으로써, 상기 제1 레일홈(710)으로부터 보다 간단하게 분리시킬 수 있다.
도 9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프레임 구조물을 구체적으로 나타낸 도면이며, 도 10은 도 9에 도시된 프레임 구조물의 지지 프레임들의 간격을 좁힌 상태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9 및 도 10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스테이지 설치용 프레임 구조물(2000)은 다수의 지지 프레임(1100)들, 다수의 제1 브리지(1200)들 및 적어도 하나의 제2 브리지(1400)를 포함한다.
상기 지지 프레임(1100)들은 서로 평행하게 배치된다. 상기 제1 브리지(1200)들은 상기 지지 프레임(1100)들이 서로 평행한 상태가 유지되도록 상기 지지 프레임(1100)들의 사이를 연결한다.
상기 제1 브리지(1200)들은 외관상 지그재그 형태를 갖도록 상기 지지 프레임(100)들의 사이를 경사지게 연결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1 브리지(1200)들은 네 개의 지지 프레임(1100)들을 대상으로 사이를 연결할 수 있다.
상기 제1 브리지(1200)들은 상기 지지 프레임(1100)들이 서로 접혔다 펴졌다 하는 동작, 즉 상기 지지 프레임(100)들의 사이 간격이 좁혀졌다 벌어졌다 하는 동작이 가능하도록 상기 지지 프레임(100)들의 사이를 연결한다. 이를 위하여, 상기 제1 브리지(1200)들은 상기 지지 프레임(1100)들의 사이 간격이 변경될 때 길이 변경되도록 몸통 부분이 텔레스코프(telescope) 구조를 가지면서 양단 부위들이 상기 지지 프레임(1100)들 각각에 힌지 구조로 연결될 수 있다.
이하, 각 제1 브리지(1200)의 길이 변경이 가능한 텔레스코프(telescope) 구조에 대하여 도 11 내지 도 15를 추가적으로 참조하여 보다 상세하게 설명하고자 한다.
도 11은 도 9에 도시된 프레임 구조물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제1 브리지를 나타낸 도면이며, 도 12는 도 11의 A부분을 확대한 도면이다.
도 11 및 도 12를 추가적으로 참조하면, 상기 제1 브리지(1200)는 메인 샤프트(1210), 제1 서브 샤프트(1220), 제2 서브 샤프트(1230) 및 고정부(1240)를 포함한다.
상기 메인 샤프트(1210)는 중앙에 관통공(1212)이 형성된 파이프(pipe) 구조를 갖는다. 상기 제1 및 제2 서브 샤프트(1220, 1230)들 각각은 상기 메인 샤프트(1210)의 양 단들 각각에서 상기 관통공(1212)에 삽입된다. 이에, 상기 제1 브리지(1200)는 상기 제1 및 제2 서브 샤프트(1220, 1230)들이 상기 관통공(1212)에 얼마나 삽입되느냐에 따라 그 길이가 변경될 수 있다. 이러한 제1 및 제2 서브 샤프트(1220, 1230)들 각각도 파이프 구조를 가질 수 있다.
이때, 상기 메인 샤프트(1210)와 상기 제1 및 제2 서브 샤프트(1220, 1230)들 사이에는 상기 관통공(1212)에 삽입된 제1 및 제2 서브 샤프트(1220, 1230)들이 상기 관통공(1212)으로부터 빠지지 않도록 걸림 구조, 예컨대 이하의 고정부(1240)와 같은 구조가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메인 샤프트(1210)의 관통공(1212) 내면에는 상기 제1 및 제2 서브 샤프트(1220, 1230)들이 부드럽게 움직이도록 LM 베어링과 같은 구조가 구성될 수 있다.
상기 고정부(1240)는 상기 제1 브리지(1200)의 길이가 가장 긴 상태를 고정하여 상기 지지 프레임(1100)들의 사이 간격을 넓혀진 상태 그대로 유지시킬 수 있다. 또한, 상기 고정부(1240)는 상기의 설명에서와 같이, 상기 제1 및 제2 서브 샤프트(1220, 1230)들이 상기 관통공(1212)으로부터 빠지지 않도록 할 수 있다.
상기 고정부(1240)는 상기 메인 샤프트(1210)와 상기 제1 및 제2 서브 샤프트(1220, 1230)들의 서로 만나는 부위에 형성된다. 구체적으로, 상기 고정부(1240)는 상기 제1 및 제2 서브 샤프트(1220, 1230)들 각각에 형성된 고정 돌기(1242) 및 상기 메인 샤프트(1210)에 상기 고정 돌기(1242)가 이동 가능하게 삽입되도록 형성된 가이드홈(1244)을 가질 수 있다.
이에, 상기 가이드홈(1244)은 상기 제1 및 제2 서브 샤프트(1220, 1230)들의 길이 변경이 가능하도록 상기 메인 샤프트(1210)의 길이 방향으로 형성된 제1 홈부(1245) 및 상기 제1 홈부(1245)의 바깥쪽 단부로부터 갈고리 형태로 꺾여서 상기 고정 돌기(1242)가 고정되는 제2 홈부(1246)를 포함한다.
이에, 상기 제1 및 제2 서브 샤프트(1220, 1230)들 각각이 가장 긴 상태인 상기 고정 돌기(1242)가 상기 제1 홈부(1245)의 바깥쪽 단부에 위치할 때 상기 메인 샤프트(1210)를 회전시켜 상기 고정 돌기(1242)가 상기 제2 홈부(1246)에 고정되도록 함으로써, 상기 제1 브리지(1200)를 가장 긴 상태에서 고정시킬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는, 상기 고정 돌기(1242)가 상기 제1 및 제2 서브 샤프트(1220, 1230)들 각각에 형성되고, 상기 가이드홈(1244)이 상기 메인 샤프트(1210)에 형성된 것으로 설명하였지만, 이들은 서로 반대의 위치에 형성될 수 있다.
한편, 상기에서 설명한 고정부(1240)의 고정하는 구조는 상기 지지 프레임(1100)들이 접혀진 상태를 그대로 유지하도록 상기 제1 브리지(1200)의 길이가 가장 짧은 상태에서 고정되도록 상기 메인 샤프트(1210)와 상기 제1 및 제2 서브 샤프트(1220, 1230)들이 만나는 부위에 동일하게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프레임 구조물(2000)은 상기 고정부(1240)를 해제하기 위한 레버(113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즉, 상기 레버(1130)를 동작시키면 상기 메인 샤프트(1210)를 회전시켜 상기 고정부(1240)가 해제되도록 할 수 있다. 이때, 상기 레버(1130)는 다수의 메인 샤프트(1210)들에 와어어 또는 연결 기어 같은 동력 전달 수단을 통해서 연결될 수 있다.
이에, 상기 레버(1240)를 통해 가장 긴 상태 또는 가장 짧은 상태를 고정할 수 있는 고정부(1240)를 해제할 경우, 상기 지지 프레임(1100)들의 사이 간격이 자동적으로 넓혀지도록 상기 제1 브리지(1200)는 상기 관통공(1212)에서 상기 메인 샤프트(1210)와 상기 제1 및 제2 서브 샤프트(1220, 1230)들 사이에 제1 및 제2 스프링(1222, 1232)들을 더 포함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상기 제1 및 제2 스프링(1222, 1232)들 각각은 상기 제1 및 제2 서브 샤프트(1220, 1230)들 각각에 상기 메인 샤프트(1210)로부터 멀어지는 방향으로 탄성을 제공하도록 상기 관통공(1212)에 장착됨으로써, 상기 레버(1130)의 해제 동작에 의해 상기 지지 프레임(1100)들의 사이 간격이 자동적으로 넓혀지도록 할 수 있다. 이와 달리, 상기 제1 및 제2 스프링(1222, 1232)들 각각은 상기 제1 및 제2 서브 샤프트(1220, 1230)들 각각을 상기 메인 샤프트(1210)를 향하는 방향으로 탄성을 제공하도록 장착되어 상기 레버(1130)의 해제 동작에 의해 상기 지지 프레임(1100)들의 사이 간격이 자동적으로 좁혀지도록 할 수 있다.
도 13은 도 9에 도시된 프레임 구조물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제1 브리지를 나타낸 도면이고, 도 14는 도 13의 B부분을 확대한 도면이며, 도 15는 도 14의 Ⅰ-Ⅰ`선을 따라 절단하여 단면을 나타낸 도면이다.
본 실시예에서의 제1 브리지는 고정부를 제외하고는 도 11에 도시된 제1 브리지와 동일하므로, 동일한 구성에 대해서는 동일한 참조 번호를 사용하며, 그 중복되는 상세한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도 13 내지 도 15를 참조하면, 다른 실시예에 따른 제1 브리지(1300)의 고정부(1340)는 제1 및 제2 서브 샤프트(1320, 1330)들 각각에 형성된 고정볼(1342) 및 메인 샤프트(1310)에 상기 고정볼(1342)이 삽입 고정되는 고정홀(1344)을 가질 수 있다.
상기 고정볼(1342)은 상기 제1 및 제2 서브 샤프트(1320, 1330)들 각각의 외면에 형성된 삽입홈(1322)에 압축 스프링과 같은 탄성체(1324)를 사이로 삽입된다. 이에, 상기 고정볼(1342)은 외부로부터 힘이 가해지면 상기 삽입홈(1322)으로 들어갔다가 상기의 힘이 제거되면 상기 탄성체(1324)에 의해서 상기 삽입홈(1322)으로부터 돌출된다.
상기 고정홀(1344)은 상기 제1 및 제2 서브 샤프트(1320, 1330)들 각각이 가장 긴 상태에서의 상기 고정볼(1342)의 위치에 대응하여 형성된다. 이에, 상기 고정볼(1342)은 상기 제1 및 제2 서브 샤프트(1320, 1330)들이 상기 고정홀(1344)과 다른 위치에서는 상기 메인 샤프트(1310)의 안쪽면에 의해서 상기 삽입홈(1322)에 삽입되다가 상기 제1 및 제2 서브 샤프트(1320, 1330)들 각각이 가장 긴 상태에서 형성된 고정홀(1344)을 만나게 되면 상기 삽입홈(1322)으로부터 상기 고정홀(1344)로 돌출됨으로써, 상기 제1 브리지(1300)를 가장 긴 상태에서 고정시킬 수 있다. 이때, 상기 메인 샤프트(1310)의 안쪽면에는 상기 고정볼(1344)을 상기 고정홀(1344)로 가이드하는 가이드부(1345)를 가질 수 있다.
한편, 상기에서 설명한 고정부(1340)의 고정하는 구조는 상기 지지 프레임(도 9의 1100)들이 접혀진 상태를 그대로 유지하도록 상기 제1 브리지(1300)의 길이가 가장 짧은 상태에서 고정되도록 상기 메인 샤프트(1310)와 상기 제1 및 제2 서브 샤프트(1320, 1330)들이 만나는 부위에 동일하게 형성될 수 있다.
또한, 본 실시예에서의 고정부(1340)는 도 2의 레버(도 9의 1130)에 연결되어 해제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상기 고정볼(1344)이 상기 레버(도 9의 1130)의 동작에 의해 상기 삽입홀(1322)로 들어가도록 하여 그 고정을 해제시킬 수 있다. 이럴 경우, 도 11 및 도 12를 참조한 설명에서와 같이 상기 레버(도 9의 1130)와 상기 제1 및 제2 스프링(도 9의 1222, 1232)들을 통해 상기 지지 프레임(도 9의 1100)들의 사이 간격을 자동적으로 넓히거나 좁힐 수 있다.
이하, 상기 제1 브리지(1300)의 양단 부위들이 상기 지지 프레임(1100)들 각각에 힌지 구조로 연결된 구조에 대하여 도 16을 추가적으로 참조하여 보다 상세하게 설명하고자 한다.
도 16은 도 9에 도시된 프레임 구조물의 지지 프레임과 제1 브리지를 분리한 사시도이다.
본 실시예에서는 도 11 및 도 12에 개시된 제1 브리지와 도 13 내지 도 15에 개시된 제1 브리지에 모두 해당되며, 이에 도 11 및 도 12에 개시된 제1 브리지와 동일한 참조 번호를 사용하고자 한다.
도 16을 추가적으로 참조하면, 상기 제1 브리지(1200)는 상기 지지 프레임(1100)에 체결되는 제1 체결부(1250)와, 상기 제1 및 제2 서브 샤프트(1220, 1230)들 각각에 상기 제1 체결부(1250)와 회전 가능하도록 힌지 구조로 체결되는 제2 체결부(1260)를 포함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상기 제1 체결부(1250)는 상기 제2 체결부(1260)와 마주하는 부위에 상기 제1 및 제2 서브 샤프트(1220, 1230)들 각각이 회전하는 방향으로 절개된 절개홈(1252)과, 상기 절개홈(1252)의 안쪽 상하면 각각에 결합홈(1254)을 갖는다.
상기 제2 체결부(1260)는 상기 제1 체결부(1250)와 마주하는 부위에 상기 절개홈(1252)에 삽입되도록 돌출된 삽입 돌기(1262) 및 상기 삽입 돌기(1262)의 상하면 각각에 상기 결합홈(1254)에 결합되는 결합 돌기(1264)를 포함한다. 이에 따라, 상기 제1 및 제2 서브 샤프트(1220, 1230)들 각각은 상기 결합홈(1254)에 결합된 결합 돌기(1264)를 기준으로 회전할 수 있다.
이와 같이, 상기 제1 브리지(1200)들은 상기 메인 샤프트(1210)의 관통공(1212)에 상기 제1 및 제2 서브 샤프트(1220, 1230)들이 삽입된 구조와 상기 제1 체결부(1250)와 상기 제2 체결부(1260)가 힌지 체결 구조를 통해서 상기 지지 프레임(1100)들로부터 분리 없이 그대로 상기 지지 프레임(1100)들의 사이 간격을 좁힐 수 있다.
따라서, 상기 제1 브리지(1200)들을 분리하지 않은 상태에서 상기 지지 프레임(1100)들의 사이 간격을 좁힘으로써, 전체적인 부피를 줄여서 보관 장소에서 상기 스테이지(도 1의 10)가 위치한 설치 장소로 운반할 수 있다. 이로써, 상기의 도 2 내지 도 8에서 설명한 실시예에서와 같이 운반 시 필요한 차량의 크기와 작업자 인원수를 감소시켜 이에 따른 비용을 절감할 수 있다.
한편, 상기 제1 브리지(1200)의 제1 체결부(1250)는 상기 지지 프레임(1100)으로부터 분리되는 구조를 가질 수 있다. 구체적으로, 상기 지지 프레임(1100)은 길이 방향을 따라 길게 형성된 레일홈(1110)을 갖고, 상기 제1 체결부(1250)는 상기 레일홈(1110)에 결합되는 레일 결합부(1256)를 갖는다.
이에, 상기 레일 결합부(1256)가 상기 레일홈(1110)에 결합되는 구조는 상기의 도 2 내지 도 8에서 설명한 실시예에서와 동일한 구조를 가지므로, 이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이와 같이, 상기 제1 브리지(1200)가 텔레스코프(telescope) 구조를 가지면서 상기 지지 프레임(1100)과 분리되는 구조를 가지게 되면, 사용자가 필요에 따라 운반 상태를 선택하여 운반을 더 용이하게 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지지 프레임(1100)은 상기 레일홈(1110)의 상기 제1 브리지(1200)의 레일 결합부(1256)를 고정하고자 하는 위치에 고정홈(미도시)을 가질 수 있다. 상기 고정홈은 상기 레일홈(1110)을 측면에서 보았을 때 보이도록 상기 레일홈(1110)에 일정한 간격으로 형성될 수 있다.
한편, 도 9 및 도 10을 다시 참조하면, 상기 제2 브리지(1400)는 상기 제1 브리지(1200)들에 의해서 간격이 벌어진 상태의 지지 프레임(1100)들의 사이에서 이들과 수직하게 체결될 수 있다.
이러면, 상기 지지 프레임(1100)들은 그 벌어진 상태가 상기 제2 브리지(1400)에 의해 지지됨으로써, 상기 스테이지(도 1의 10)에 설치 시 보다 안정적인 구조를 가질 수 있다. 이때, 다수의 제2 브리지(1400)들은 보다 더 안정적인 지지 구조를 위하여 상기 지지 프레임(1100)들의 사이에서 일정한 간격으로 체결될 수 있다.
상기 제2 브리지(1400)의 일단부는 상기 지지 프레임(1100)들 중 어느 하나에 회전이 가능한 힌지 구조로 체결되며, 이는 상기 제1 브리지(1200)와 상기 지지 프레임(1100)과 체결된 구조와 동일하므로, 이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상기 제2 브리지(1400)의 타단부는 상기 지지 프레임(1100)들 중 다른 하나에 체결 및 분리가 가능한 구조를 갖는다. 구체적으로, 상기 제2 브리지(1400)의 타단부에는 상기 지지 프레임(1100)을 수직한 상태로 지지하는 지지 블록(1410)이 체결되고, 상기 지지 프레임(1100)에는 상기 지지 블록(1410)이 지지하는 위치에 볼트(30)가 체결되어 상기 지지 블록(1410)을 가압 고정하기 위한 나사홀(1120)이 형성될 수 있다. 이와 달리, 상기 제2 브리지(1400)의 타단부는 상기 지지 프레임(1100)과 후크 또는 클램프 구조로 체결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상기 제2 브리지(1400)는 상기 지지 프레임(1100)들의 사이 간격이 벌어진 상태에서는 상기 지지 프레임(1100)들에 수직하게 체결되어 안정적인 구조를 제공하면서 상기 지지 프레임(1100)들의 사이 간격을 좁히고자 할 때에는 그 타단부를 상기 지지 프레임(1100)으로부터 분리시킨 다음 그 일단부를 기준으로 눕혀서 상기 지지 프레임(1100)들이 좁혀지도록 할 수 있다.
이때, 상기 제2 브리지(1400)는 일단부를 기준으로 눕혀 있을 때 이웃하는 다른 제1 브리지(1200) 또는 제2 브리지(1400)에 간섭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하여 길이가 변경되는 텔레스코프(telescope) 구조를 가질 수 있으며, 이 구조는 상기 제1 브리지(1200)와 유사하므로 이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또한, 상기 제2 브리지(1400)의 일단부는 운반 도중 더 부피를 감소시키고자 상기 지지 프레임(1100)과 체결 및 분리가 가능한 구조를 가질 수 있으며, 이는 상기 제1 브리지(1200)의 제1 체결부(1250)가 상기 지지 프레임(1100)에 분리되는 구조와 동일하므로, 이에 대한 상세한 설명도 생략하기로 한다.
한편, 상기 제2 브리지(1400)에는 그 길이가 자동적으로 짧아지거나 길어지도록 상기 제1 브리지(1200)의 관통공(1212)에 장착된 제1 및 제2 스프링(1222, 1232)들과 동일한 구성이 그 내부에 장착될 수 있다.
이와 같이, 상기 지지 프레임(1100)들의 사이에서 수직한 상태로 체결되는 제2 브리지(1400)를 통하여 상기 지지 프레임(1100)들이 보다 안정적인 구조를 갖도록 함으로써, 외부 힘에 의해 상기 지지 프레임(1100)들이 무너져 주위 사람 또는 고가의 장비에 손상이 가해는 것을 최대한 억제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지지 프레임(1100)들 각각의 내부에는 다수의 지지대(미도시)들이 벌집 형태로 설치되어 강도를 강화시킴으로써, 상기 프레임 구조물(2000)이 보다 안정한 구조를 갖도록 할 수 있다. 이에, 상기 제1 및 제2 브리지(1200, 1400)들 각각은 강도를 강화하기 위해서 내부가 거푸집 형태, 즉 내부에 기공이 형성된 구조로 제작될 수 있다.
한편, 본 실시예에서는 상기 지지 프레임(1100)들의 사이에 상기 제1 및 제2 브리지(1200, 1400)들이 모두 체결된 구조로 설명하였지만, 이 제1 및 제2 브리지(1200, 1400)들 중 어느 하나만이 상기 지지 프레임(1100)들 사이에 체결될 수 있다.
또한, 상기에서 설명한 프레임 구조물(2000)은 무대인 스테이지(도 1의 10)의 상부에 설치하는 것으로 설명하였지만 경우에 따라서는 상기 제1 브리지(1200)들 또는 제2 브리지(1400)들을 사용하여 적어도 두 개의 샤프트(shaft) 형태의 프레임을 평행한 상태로 고정하는 건축 및 토목 공사의 브리지 구조물에도 널리 사용될 수 있다.
도 17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스테이지에 설치된 프레임 구조물을 구체적으로 나타낸 도면이다.
본 실시예에서, 프레임 구조물은 지지 프레임의 단부에 연장 브리지가 체결된 구조 외에는 도 9 및 도 10에 도시된 구조와 동일하므로, 동일한 구조에 대해서는 동일한 참조 번호를 사용하며, 그 중복되는 상세한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도 17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스테이지 설치용 프레임 구조물(3000)은 지지 프레임(1100)들 적어도 하나의 단부에 연장 브리지(150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연장 브리지(1500)는 도 9 내지 도 14에 도시된 제1 브리지(1200)와 동일한 구조를 가짐에 따라, 길이 변경이 가능하도록 구성된다. 이하, 상기 연장 브리지(1500) 자체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도 9 내지 도 14의 제1 브리지(1200)와 중복되므로, 생략하기로 한다. 또한, 상기 연장 브리지(1500)는 상기 지지 프레임(1100)에 회전이 가능하도록 힌지 구조로 체결된다.
이에 따라, 상기 연장 브리지(1500)가 단부에 체결된 지지 프레임(1100)은 이웃하는 다른 지지 프레임(1100)과 연결될 때, 상기의 힌지 구조와 길이 변경 구조를 통해서 서로 경사진 구조, 각도를 형성되도록 연결시킬 수 있다.
또한, 상기 연장 브리지(1500)의 단부에는 제2 브리지(1400)가 힌지 구조로 연결될 수 있다. 이럴 경우, 상기 이웃하여 연결된 지지 프레임(1100)들은 상기 제2 브리지(1200)를 기준으로 경사지게 연결될 수 있다.
한편, 상기에서 설명한 프레임 구조물(1000, 2000, 3000)은 무대인 스테이지(도 1의 10)의 상부에 설치하는 것으로 설명하였지만 경우에 따라서는 적어도 두 개의 샤프트(shaft) 형태의 프레임을 평행한 상태로 고정하는 건축 및 토목 공사의 트러스 구조물에도 사용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스테이지용 프레임 구조물을 개략적으로 나타낸 도면이다.
도 2는 도 1에 도시된 프레임 구조물의 일부분을 확대한 사시도이다.
도 3은 도 2에 도시된 프레임 구조물의 제1 및 제2 지지 프레임들과 브리지를 분리한 상태는 나타낸 도면이다.
도 4는 도 3의 제1 지지 프레임에 브리지가 결합된 구조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5는 도 4의 제1 지지 프레임을 측면에서 바라본 도면이다.
도 6은 도 4의 Ⅰ-Ⅰ`선을 따라 절단하여 일 실시예에 따른 고정 부재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7은 도 4의 Ⅰ-Ⅰ`선을 따라 절단하여 다른 실시예에 다른 고정 부재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8은 도 7의 A부분을 확대한 도면이다.
도 9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프레임 구조물을 구체적으로 나타낸 도면이다.
도 10은 도 9에 도시된 프레임 구조물의 지지 프레임들의 간격을 좁힌 상태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11은 도 9에 도시된 프레임 구조물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제1 브리지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12는 도 11의 A부분을 확대한 도면이다.
도 13은 도 9에 도시된 프레임 구조물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제1 브리지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14는 도 13의 B부분을 확대한 도면이다.
도 15는 도 14의 Ⅰ-Ⅰ`선을 따라 절단하여 단면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16은 도 9에 도시된 프레임 구조물의 지지 프레임과 제1 브리지를 분리한 사시도이다.
도 17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스테이지에 설치된 프레임 구조물을 구체적으로 나타낸 도면이다.
도 2는 도 1에 도시된 프레임 구조물의 일부분을 확대한 사시도이다.
도 3은 도 2에 도시된 프레임 구조물의 제1 및 제2 지지 프레임들과 브리지를 분리한 상태는 나타낸 도면이다.
도 4는 도 3의 제1 지지 프레임에 브리지가 결합된 구조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5는 도 4의 제1 지지 프레임을 측면에서 바라본 도면이다.
도 6은 도 4의 Ⅰ-Ⅰ`선을 따라 절단하여 일 실시예에 따른 고정 부재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7은 도 4의 Ⅰ-Ⅰ`선을 따라 절단하여 다른 실시예에 다른 고정 부재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8은 도 7의 A부분을 확대한 도면이다.
도 9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프레임 구조물을 구체적으로 나타낸 도면이다.
도 10은 도 9에 도시된 프레임 구조물의 지지 프레임들의 간격을 좁힌 상태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11은 도 9에 도시된 프레임 구조물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제1 브리지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12는 도 11의 A부분을 확대한 도면이다.
도 13은 도 9에 도시된 프레임 구조물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제1 브리지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14는 도 13의 B부분을 확대한 도면이다.
도 15는 도 14의 Ⅰ-Ⅰ`선을 따라 절단하여 단면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16은 도 9에 도시된 프레임 구조물의 지지 프레임과 제1 브리지를 분리한 사시도이다.
도 17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스테이지에 설치된 프레임 구조물을 구체적으로 나타낸 도면이다.
Claims (2)
- 상기 지지 프레임들 각각은 상기 레일홈의 일정 위치에 상기 걸림부가 고정되는 고정홀을 더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프레임 구조물.
브리지를 프레임 구조물.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레일홈은 상기 지지 프레임들이 서로 마주하는 입구보다 안쪽이 넓은 폭을 갖도록 형성되고,
상기 레일 결합부는 상기 입구에 걸리도록 상기 레일홈에 삽입되는 걸림부를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프레임 구조물.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20018210A KR20130096779A (ko) | 2012-02-23 | 2012-02-23 | 스테이지 설치용 트러스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20018210A KR20130096779A (ko) | 2012-02-23 | 2012-02-23 | 스테이지 설치용 트러스 |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130096779A true KR20130096779A (ko) | 2013-09-02 |
Family
ID=4944943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120018210A KR20130096779A (ko) | 2012-02-23 | 2012-02-23 | 스테이지 설치용 트러스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1) | KR20130096779A (ko) |
-
2012
- 2012-02-23 KR KR1020120018210A patent/KR20130096779A/ko not_active Application Discontinuation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US9144174B2 (en) | Cable management arm assembly | |
JP5801397B2 (ja) | ステージ架設用のフレーム構造物 | |
US10244864B2 (en) | Device and system for joining objects | |
KR200478780Y1 (ko) | 차량용 멀티 케리어 | |
US10920412B2 (en) | Modular building unit and system | |
KR100947365B1 (ko) | 케이블 트레이의 슬라이드 조립구조 | |
CA2956873A1 (en) | Corner connector for rod-shaped profile elements | |
KR101006656B1 (ko) | 프레임 구조물 | |
KR20130096779A (ko) | 스테이지 설치용 트러스 | |
JP5895320B2 (ja) | 鉄骨構造物の施工方法、及び、鉄骨構造物の固定部材 | |
US8763215B1 (en) | Structure for quickly clipping advertising curtain | |
KR101065112B1 (ko) | 스테이지 설치용 프레임 구조물 | |
JP2010190001A (ja) | 手摺り筋交い | |
KR101017560B1 (ko) | 스테이지 설치용 프레임 구조물 | |
KR101232026B1 (ko) | 로드 프레임 조인트 유닛 | |
KR102269457B1 (ko) | 조립가능한 건축용 패널 체결 장치 | |
KR101746489B1 (ko) | 조립식 기둥 | |
JP6510214B2 (ja) | デスクトップフレーム、カバー装置、及びデスクシステム | |
KR101477752B1 (ko) | 자유각 시공이 용이한 방호 울타리 및 이 시공 방법 | |
JP6707104B2 (ja) | フェンス | |
JP6205173B2 (ja) | 天井用目地カバー装置 | |
KR101477754B1 (ko) | 볼트공이 없는 무천공형 울타리용 지주 | |
JP2011172779A (ja) | 綱支持用具 | |
CN210495173U (zh) | 一种可拼装的娃娃机立体框平台结构 | |
JP7247001B2 (ja) | フェンスの連結具およびフェンス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A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E902 |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 ||
E601 |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