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006656B1 - 프레임 구조물 - Google Patents

프레임 구조물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006656B1
KR101006656B1 KR1020100079893A KR20100079893A KR101006656B1 KR 101006656 B1 KR101006656 B1 KR 101006656B1 KR 1020100079893 A KR1020100079893 A KR 1020100079893A KR 20100079893 A KR20100079893 A KR 20100079893A KR 101006656 B1 KR101006656 B1 KR 10100665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ixing hole
fixing
rail groove
frame structure
locking por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0007989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상욱 김
Original Assignee
상욱 김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상욱 김 filed Critical 상욱 김
Priority to KR102010007989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006656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00665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006656B1/ko
Priority to JP2013524779A priority patent/JP5801397B2/ja
Priority to US13/812,509 priority patent/US8920252B2/en
Priority to GB1303197.6A priority patent/GB2495895B/en
Priority to CN201180035608.2A priority patent/CN103025401B/zh
Priority to DE112011102720.6T priority patent/DE112011102720B4/de
Priority to PCT/KR2011/005881 priority patent/WO2012023749A2/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JDEVICES FOR THEATRES, CIRCUSES, OR THE LIKE; CONJURING APPLIANCES OR THE LIKE
    • A63J1/00Stage arrangement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HBUILDINGS OR LIKE STRUCTURES FOR PARTICULAR PURPOSES; SWIMMING OR SPLASH BATHS OR POOLS; MASTS; FENCING; TENTS OR CANOPIES, IN GENERAL
    • E04H3/00Buildings or groups of buildings for public or similar purposes; Institutions, e.g. infirmaries or prisons
    • E04H3/10Buildings or groups of buildings for public or similar purposes; Institutions, e.g. infirmaries or prisons for meetings, entertainments, or sports
    • E04H3/22Theatres; Concert halls; Studios for broadcasting, cinematography, television or similar purpos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chitecture (AREA)
  • Multimedia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Mutual Connection Of Rods And Tubes (AREA)

Abstract

프레임 구조물은 제1 지지 프레임, 제2 지지 프레임, 트러스 및 고정 부재를 포함한다. 제1 및 제2 지지 프레임들은 서로 평행하게 설치된다. 제1 및 제2 지지 프레임들 각각은 서로 마주하는 부위에 입구보다 안쪽이 넓은 폭을 갖도록 길이 방향을 따라 형성된 레일홈과, 레일홈의 안쪽 배면에 고정홀을 갖는다. 트러스는 서로 평행한 상태가 유지되도록 제1 및 제2 지지 프레임들 사이를 연결하며, 레일홈의 고정홀 위치에서 입구에 걸리도록 삽입되는 걸림부를 양단 부위들 각각에 갖는다. 고정 부재는 고정홀에 삽입되어 걸림부를 고정한다.

Description

프레임 구조물{FRAME STRUCTURE}
본 발명은 프레임 구조물에 관한 것으로써, 더욱 상세하게는 무대와 같은 스테이지에 조명 및 광고판과 같은 부대설비를 설치하기 위하여 상기 스테이지에 설치되는 프레임 구조물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공연장이나 전시장 등과 같이 여러 가지 행사나 공연을 진행하는 장소에서는 행사나 공연의 효과를 높이기 위해 무대인 스테이지의 상부에 프레임 구조물을 설치하여 이 구조물에 조명 및 광고판과 같은 부대설비를 설치하고 있다.
여기서, 상기 프레임 구조물은 네 개 또는 세 개의 지지 프레임들을 서로 마주하도록 배치시킨 다음, 상기 지지 프레임들의 사이를 다수의 트러스(truss)들을 통해 연결한 단위 구조물을 이용하여 사용자에 의해서 다양한 형태로 설치될 수 있다.
하지만, 행사나 공연을 진행하는 장소가 야외와 같이 단위 프레임 구조물들을 보관하고 있는 보관 장소와 떨어져 있을 경우에는 상기 단위 프레임 구조물들을 상기 보관 장소로부터 운반하는 작업이 필요하게 된다. 이때, 상기 단위 프레임 구조물들 각각은 상기 보관 장소에 보관될 때 이미 상기 트러스들을 상기 지지 프레임들에 용접한 상태로 보관된다.
이에 따라, 상기 단위 프레임 구조물들을 상기 보관 장소로부터 상기 스테이지가 설치되는 야외로 운반할 경우, 상기 트러스들이 용접된 상태로 인하여 부피가 매우 커지게 되므로 운반이 곤란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목적은 트러스들을 지지 프레임들로부터 분리 가능하도록 하여 운반을 편리하게 할 수 있는 프레임 구조물을 제공하는 것이다.
상술한 본 발명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프레임 구조물은 제1 지지 프레임, 제2 지지 프레임, 트러스(truss) 및 고정 부재를 포함한다.
상기 제1 및 제2 지지 프레임들은 서로 평행하게 설치된다. 상기 제1 및 제2 지지 프레임들 각각은 서로 마주하는 부위에 입구보다 안쪽이 넓은 폭을 갖도록 길이 방향을 따라 형성된 레일홈과, 상기 레일홈의 안쪽 배면에 고정홀을 갖는다. 상기 트러스는 서로 평행한 상태가 유지되도록 상기 제1 및 제2 지지 프레임들 사이를 연결하며, 상기 레일홈의 상기 고정홀 위치에서 상기 입구에 걸리도록 삽입되는 걸림부를 양단 부위들 각각에 갖는다. 상기 고정 부재는 상기 고정홀에 삽입되어 상기 걸림부를 고정한다.
상기 고정 부재는 상기 고정홀의 상기 걸림부와 반대되는 위치로부터 상기 고정홀로 상기 걸림부를 가압하도록 삽입되거나 상기 고정홀로부터 분리되는 볼트로 이루어질 수 있다.
이와 달리, 상기 고정 부재는 상기 걸림부의 상기 고정홀과 마주하는 부위에서 상기 고정홀 방향으로 탄성을 제공하도록 삽입된 탄성체에 상기 탄성에 의해 상기 고정홀로 삽입되도록 장착된 고정구로 이루어질 수 있다. 이럴 경우, 상기 프레임 구조물은 상기 고정구의 상기 걸림부와 반대되는 위치에서 상기 고정구를 푸싱하여 상기 고정구를 상기 고정홀로부터 분리시키는 분리 부재를 더 포함할 수 있다.
한편, 상기 제1 및 제2 지지 프레임들 각각은 상기 레일홈의 상기 고정홀이 형성된 입구에 상기 고정홀의 위치를 가이드하는 가이드부를 가질 수 있다. 여기서, 상기 가이드부는 상기 고정홀이 형성된 입구에서 주위보다 단차진 구조를 가질 수 있다.
이러한 프레임 구조물에 따르면, 서로 평행하게 설치되는 제1 및 제2 지지 프레임들 각각에 레일홈을 형성한 다음, 트러스를 상기 제1 및 제2 지지 프레임들과 분리된 상태에서 상기 레일홈의 입구에 빠지지 않도록 삽입하여 결합시킴으로써, 상기 스테이지가 보관 장소와 떨어진 야외에 설치되어 있을 경우에 상기 제1 및 제2 지지 프레임들과 상기 트러스를 분리하여 운반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상기 프레임 구조물을 운반 시 부피를 감소시켜 운반을 용이하게 할 수 있음에 따라, 운반 시 필요한 차량의 크기와 작업자 인원수를 감소시킬 수 있다. 이로써, 상기 프레임 구조물의 운반 비용을 절감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스테이지에 설치된 프레임 구조물을 개략적으로 나타낸 도면이다.
도 2는 도 1에 도시된 프레임 구조물의 일부분을 확대한 사시도이다.
도 3은 도 2에 도시된 프레임 구조물의 제1 및 제2 지지 프레임들과 트러스를 분리한 상태는 나타낸 도면이다.
도 4는 도 3의 제1 지지 프레임에 트러스가 결합된 구조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5는 도 4의 제1 지지 프레임을 측면에서 바라본 도면이다.
도 6은 도 4의 Ⅰ-Ⅰ`선을 따라 절단하여 일 실시예에 따른 고정 부재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7은 도 4의 Ⅰ-Ⅰ`선을 따라 절단하여 다른 실시예에 다른 고정 부재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8은 도 7의 A부분을 확대한 도면이다.
이하,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프레임 구조물에 대해 상세히 설명한다. 본 발명은 다양한 변경을 가할 수 있고 여러 가지 형태를 가질 수 있는 바, 특정 실시예들을 도면에 예시하고 본문에 상세하게 설명하고자 한다. 그러나, 이는 본 발명을 특정한 개시 형태에 대해 한정하려는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의 사상 및 기술 범위에 포함되는 모든 변경, 균등물 내지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각 도면을 설명하면서 유사한 참조부호를 유사한 구성요소에 대해 사용하였다. 첨부된 도면에 있어서, 구조물들의 치수는 본 발명의 명확성을 기하기 위하여 실제보다 확대하여 도시한 것이다.
제1, 제2 등의 용어는 다양한 구성요소들을 설명하는데 사용될 수 있지만, 상기 구성요소들은 상기 용어들에 의해 한정되어서는 안 된다. 상기 용어들은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로부터 구별하는 목적으로만 사용된다. 예를 들어, 본 발명의 권리 범위를 벗어나지 않으면서 제1 구성요소는 제2 구성요소로 명명될 수 있고, 유사하게 제2 구성요소도 제1 구성요소로 명명될 수 있다.
본 출원에서 사용한 용어는 단지 특정한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해 사용된 것으로, 본 발명을 한정하려는 의도가 아니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본 출원에서, "포함하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 상에 기재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분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분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한편, 다르게 정의되지 않는 한, 기술적이거나 과학적인 용어를 포함해서 여기서 사용되는 모든 용어들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일반적으로 이해되는 것과 동일한 의미를 가지고 있다.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사전에 정의되어 있는 것과 같은 용어들은 관련 기술의 문맥 상 가지는 의미와 일치하는 의미를 가지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하며, 본 출원에서 명백하게 정의하지 않는 한, 이상적이거나 과도하게 형식적인 의미로 해석되지 않는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스테이지에 설치된 프레임 구조물을 개략적으로 나타낸 도면이며, 도 2는 도 1에 도시된 프레임 구조물의 일부분을 확대한 사시도이다.
도 1 및 도 2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프레임 구조물(1000)은 다수의 지지 프레임(100)들 및 다수의 트러스(truss, 400)들을 포함한다.
상기 지지 프레임(100)들은 공연장 및 전시장과 같이 공연이나 각종 행사를 진행하기 위하여 설치된 무대와 같은 스테이지(10)의 상부에 설치된다. 여기서, 공연장에 설치되는 스테이지(10)는 전시장과 달리 관람객이 공연이나 행사를 잘 보이도록 하기 위하여 도 1에서와 같이 다리(20)를 이용하여 일정 높이에 설치될 수 있다.
이러한 지지 프레임(100)들에는 행사나 공연의 효과를 높이기 위한 조명 및 광고판과 같은 부대설비가 설치될 수 있다. 이를 위하여, 상기 지지 프레임(100)들은 상기 스테이지(10)의 양측 위치에서 기둥 구조로 설치한 다음, 이 기둥 구조의 지지 프레임(100)들 상부에 천장 구조로 설치될 수 있다. 이와 달리, 상기 지지 프레임(100)들은 행사나 공연의 종류에 따라 상기 스테이지(10)에 다양한 구조로 설치될 수 있다.
상기 트러스(400)들은 상기 지지 프레임(100)들 각각이 서로 평행한 상태를 유지하도록 상기 지지 프레임(100)들의 사이를 연결한다. 이에, 상기 트러스(400)들은 상기 지지 프레임(100)들을 외관상 지그재그 형태를 갖도록 일정한 간격으로 연결하여 상기 지지 프레임(100)들을 보다 견고하게 연결할 수 있다. 또한, 상기 트러스(400)는 자체가 구부러진 구조를 가질 수 있다.
또한, 상기 트러스(400)들은 일 예로, 도 2에서와 같이 네 개의 지지 프레임(100)들을 대상으로 사이를 연결할 수 있다. 이러면, 상기 지지 프레임(100)들은 네 개가 단면이 사각형을 갖는 하나의 단위 구조물로써 사용되어 상기 스테이지(10)에 설치될 수 있다.
이와 달리, 상기 트러스(400)들은 네 개를 제외한 적어도 세 개 이상의 지지 프레임(100)들을 단면이 다각형을 갖는 하나의 단위 구조물로써 사용되도록 연결할 수 있다. 또한, 상기 트러스(400)들은 적어도 두 개 이상의 지지 프레임(100)들을 단면이 "L"자 형태 또는 다수 부위가 다양한 형태로 꺾임 구조를 갖도록 연결할 수 있다.
이하, 상기 트러스(400)들 각각이 상기 지지 프레임(100)들을 연결하는 구체적인 구조에 대해서 도 3을 추가적으로 참조하여 보다 상세하게 설명하고자 한다.
도 3은 도 2에 도시된 프레임 구조물의 제1 및 제2 지지 프레임들과 트러스를 분리한 상태는 나타낸 도면이다.
도 3을 추가적으로 참조하면, 상기 지지 프레임(100)들 중 서로 평행하면서 인접한 제1 및 제2 지지 프레임(200, 300)들 각각은 서로 마주하는 부위에 제1 및 제2 레일홈(210, 310)을 갖는다. 여기서, 상기 제1 및 제2 레일홈(210, 310)들은 상기 제1 및 제2 지지 프레임(200, 300)들 각각의 길이 방향을 따라 평행하면서 길게 형성된다.
상기 제1 레일홈(210)은 상기 제2 레일홈(310)과 마주하는 입구의 폭(w1)보다 그 안쪽의 폭(w2)이 넓게 형성된다. 예를 들어, 상기 제1 레일홈(210)은 그 단면이 "T"자 또는 "L"자 형상을 가질 수 있다. 또한, 상기 제1 레일홈(210)은 상기 제1 지지 프레임(200)의 일단부(212)에서 외부로 노출되어 있다.
이하, 상기 제2 레일홈(310)은 상기 제1 레일홈(210)과 서로 평행하면서 길게 형성되어 있다는 구조를 제외하고는 상기 제1 레일홈(210)과 동일하므로, 이에 중복되는 상세한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또한, 이하에서 설명하는 제1 레일홈(210)에 대해서도 제2 레일홈(310)도 동일한 구조를 갖는 것으로 간주한다.
상기 트러스(400)는 양단 부위들 각각에 상기 제1 및 제2 레일홈(210, 310)들 각각에 삽입 결합되는 제1 및 제2 걸림부(410, 420)들을 갖는다.
상기 제1 걸림부(410)는 상기 제1 레일홈(210)의 입구에 걸리도록 그 안쪽으로 삽입된다. 이러한 제1 걸림부(410)는 단면이 상기 제1 레일홈(210)의 단면과 동일하게 형성될 수 있다. 이에, 상기 트러스(400)는 상기 제1 걸림부(410)를 상기 제1 레일홈(210)의 노출된 일단부(212)로부터 삽입하여 상기 제1 레일홈(210)의 입구에 걸리도록 한다.
이때, 상기 제1 걸림부(410)의 상기 제1 레일홈(210)의 입구와 만나는 부위는 상기 입구의 폭(w1)과 동일한 폭을 가질 수 있다. 이는, 상기 제1 걸림부(410)가 상기 제1 레일홈(210)에 삽입된 다음, 상기 트러스(400)가 상기 제1 레일홈(210)과 수직한 방향으로 흔들리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서이다.
이하, 상기 제2 걸림부(420)는 상기 제2 레일홈(310)에 삽입 결합된다는 구조를 제외하고는 상기 제1 걸림부(410)와 동일하므로, 이에 중복되는 상세한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또한, 이하에서 설명하는 제1 걸림부(410)에 대해서도 제2 걸림부(420)도 동일한 구조를 갖는 것으로 간주한다.
이와 같이, 상기 트러스(400)를 상기 제1 및 제2 지지 프레임(200, 300)들과 분리된 상태에서 상기 제1 및 제2 걸림부(410, 420)들 각각을 상기 제1 및 제2 레일홈(210, 310)들 각각에 빠지지 않도록 삽입 결합시킴으로써, 상기 스테이지(10)가 보관 장소와 떨어진 야외에 설치되어 있을 경우 상기 제1 및 제2 지지 프레임(200, 300)들과 상기 트러스(400)를 분리하여 운반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상기 프레임 구조물(1000)을 운반 시 부피를 감소시켜 운반을 용이하게 할 수 있음에 따라, 운반 시 필요한 차량의 크기와 작업자 인원수를 감소시킬 수 있다. 이로써, 상기 프레임 구조물(1000)의 운반 비용을 절감할 수 있다.
이하, 상기 제1 지지 프레임(200)의 제1 레일홈(210)에 삽입된 상기 트러스(400)의 제1 걸림부(410)를 고정하는 구조에 대하여 도 4 내지 도 6을 추가적으로 참조하여 보다 상세하게 설명하고자 한다.
도 4는 도 3의 제1 지지 프레임에 트러스가 결합된 구조를 나타낸 도면이고, 도 5는 도 4의 제1 지지 프레임을 측면에서 바라본 도면이며, 도 6은 도 4의 Ⅰ-Ⅰ`선을 따라 절단하여 일 실시예에 따른 고정 부재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4 내지 도 6을 추가적으로 참조하면, 상기 제1 지지 프레임(200)은 상기 제1 레일홈(210)의 상기 제1 걸림부(410)를 고정하고자 하는 위치에 고정홀(220)을 가질 수 있다.
상기 고정홀(220)은 도 5에서와 같이 상기 제1 레일홈(210)을 측면에서 보았을 때 보이도록 상기 제1 레일홈(210)의 안쪽 배면에 형성된다. 이러한 고정홀(220)은 도 2를 참조한 설명에서와 같이 상기 제1 및 제2 지지 프레임(200, 300)들에 다수의 트러스(400)들이 일정한 간격으로 연결되어 있음에 따라 다수가 일정한 간격으로 형성될 수 있다.
이에, 상기 프레임 구조물(1000)은 상기 고정홀(220)에 삽입되어 상기 제1 레일홈(210)의 상기 고정홀(220) 위치까지 슬라이딩되면서 삽입된 상기 트러스(400)의 제1 걸림부(410)를 고정하는 고정 부재(50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른 고정 부재(500)는 상기 고정홀(220)의 상기 제1 걸림부(410)와 반대되는 위치로부터 상기 고정홀(220)로 상기 제1 걸림부(410)를 가압하도록 삽입되거나 상기 고정홀(220)로부터 분리되는 볼트로 이루어질 수 있다. 여기서, 상기 볼트는 본 실시예의 고정 부재(500)이므로, 이하에서는 서로 동일한 참조 번호를 사용한다.
이에, 상기 제1 지지 프레임(200)은 상기 제1 걸림부(410)와 반대되는 부위에 상기 볼트(500)가 삽입되면서 상기 볼트(500)와 반대되는 나사산을 갖는 나사홀(230)을 갖는다.
이때, 상기 나사홀(230)의 깊이(d)는 상기 볼트(500)의 움직임이 안정적이도록 상기 제1 지지 프레임(200)의 두께(t)보다 깊게 형성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제1 지지 프레임(200)의 상기 볼트(500)가 삽입되는 부위에 상기 나사홀(230)을 갖는 별도의 너트가 용접 등의 방식을 통하여 장착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상기 트러스(400)의 제1 걸림부(410)는 상기 제1 레일홈(210)의 고정홀(220)이 형성된 위치에서 제1 방향을 회전하는 볼트(500)를 통해 가입되어 고정되거나, 상기 제1 방향과 반대되는 제2 방향으로 회전하는 볼트(500)를 통해 상기 제1 레일홈(210)을 따라 슬라이딩되면서 외부로 분리될 수 있다. 이때, 상기 볼트(500)는 작업자에 의해 그 회전 동작을 손쉽게 하도록 나비 볼트 타입으로 구성되거나, 그 외주면이 요철 구조를 갖도록 구성될 수 있다.
한편, 상기 제1 지지 프레임(200)은 상기 제1 레일홈(210)을 따라 슬라딩되면서 삽입되는 제1 걸림부(410)가 상기 고정홀(220)의 위치에 정확하게 위치하도록 상기 제1 레일홈(210)의 고정홀(220)이 형성된 입구에 가이드부(240)를 더 가질 수 있다.
이는, 상기 고정홀(220)이 상기 제1 레일홈(210)의 안쪽 배면에 형성되어 외부에서는 잘 보이지 않기 때문이다. 즉, 상기 트러스(400)의 제1 걸림부(410)를 상기 가이드부(240)에 맞추어서 상기 제1 레일홈(210)에 삽입시키면, 상기 제1 걸림부(410)는 상기 고정홀(220)의 위치로 자연스럽게 가이드될 수 있다.
이러한 가이드부(240)는 일 예로, 도 4 및 도 5에서와 같이 상기 제1 레일홈(210)의 입구에서 주위보다 단차진 구조로 형성될 수 있다. 이러한 가이드부(240)는 상기 제1 걸림부(410)의 걸림이 가능한 사이즈로 주위보다 낮게 형성될 수 있다.
이러면, 상기 트러스(400)의 제1 걸림부(410)는 상기 가이드부(240)의 단차진 구조에 걸려서 상기 고정홀(220)의 위치에 더욱 손쉽게 가이드될 수 있다. 이와 달리, 상기 가이드부(240)는 상기 입구에 주위와 구별되는 색상, 인위적인 홈 또는 돌기 형태로 마킹하여 상기 고정홀(220)의 위치를 가이드할 수 있다.
이하, 상기 고정 부재(500)의 다른 실시예에 대하여 도 7 및 도 8을 참조하여 설명하고자 한다.
도 7은 도 4의 Ⅰ-Ⅰ`선을 따라 절단하여 다른 실시예에 다른 고정 부재를 나타낸 도면이며, 도 8은 도 7의 A부분을 확대한 도면이다.
본 실시예에서는 고정 부재가 트러스의 제1 걸림부를 고정하는 구조를 제외하고는 도 4 내지 도 6에 도시된 구조와 동일하므로, 동일한 구조에 대해서는 동일한 참조 번호를 사용하며, 이에 중복되는 상세한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도 7 및 도 8을 참조하면, 다른 실시예에 따른 고정 부재(600)는 제1 걸림부(810)의 고정홀(720)과 마주하는 부위에서 상기 고정홀(720) 방향으로 탄성을 제공하도록 삽입된 탄성체(650)에 상기 탄성에 의해 상기 고정홀(720)로 삽입되도록 장착된 고정구로 이루어질 수 있다. 여기서, 상기 고정구는 본 실시예의 고정 부재(600)이므로, 이하에서는 서로 동일한 참조 번호를 사용한다. 또한, 상기 탄성체(650)는 일 예로, 압축 스프링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구체적으로, 상기 제1 걸림부(810)의 상기 고정홀(720)과 마주하는 부위에 우선 일정 깊이의 삽입홈(812)을 형성한 다음, 상기 삽입홈(812) 안에 상기 탄성체(650)와 상기 고정구(600)를 순차적으로 삽입한다. 이때, 상기 삽입홈(812)의 입구는 상기 탄성체(650)에 의해서 외부로 빠지지 않도록 상기 고정구(600)의 직경보다는 작게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럴 경우, 상기 고정구(600)를 상기 삽입홈(812)에 삽입시키기 어려울 수 있으므로, 상기 고정구(600)를 삽입한 다음 상기 삽입홈(812)의 입구에 상기 고정구(600)가 빠지지 않도록 띠 형태의 부재(미도시)를 별도로 체결시킬 수 있다.
이렇게 장착된 고정구(600)는 상기 제1 걸림부(810)가 제1 지지 프레임(700)의 제1 레일홈(710)을 따라 슬라이딩될 때에는 상기 탄성체(650)의 압축에 의해 상기 삽입홈(812)으로 더 삽입되다가, 상기 고정홀(720)을 만나게 되면 상기 탄성체(650)의 탄성에 의해 상기 고정홀(720)로 삽입되어 상기 제1 걸림부(810)를 상기 고정홀(720)에 고정시킬 수 있다.
이와 같이, 상기 탄성체(650)의 탄성에 의해서 상기 고정홀(720)에 삽입되는 고정구(600)를 통해 상기 트러스(800)의 제1 걸림부(810)를 상기 제1 레일홈(710)의 고정홀(720)에 고정시키게 되면, 상기 고정홀(720)의 위치를 가이드하는 가이드부(740)를 굳이 구성하지 않더라도 상기 제1 걸림부(810)를 상기 고정홀(720)에 자연스럽게 고정시킬 수 있다.
또한, 상기와 같은 경우에 프레임 구조물(1000)은 상기 고정구(600)를 상기 고정홀(720)로부터 분리시키기 위한 분리 부재(90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분리 부재(900)는 상기 고정구(600)의 상기 제1 걸림부(810)와 반대되는 위치에서 상기 고정구(600)를 푸싱하여 상기 고정구(600)를 상기 고정홀(720)로부터 분리시킨다.
이에, 상기 분리 부재(900)는 상기 고정구(600)와 반대되는 위치에서 상기 제1 지지 프레임(700)의 관통홀(730)을 통과하여 상기 고정구(600)를 실질적으로 푸싱하는 푸셔(910) 및 상기 제1 지지 프레임(700)의 내부에서 상기 고정홀(720)과 상기 관통홀(730) 사이에 장착되어 상기 푸셔(910)에 상기 고정홀(720)로부터 멀어지는 방향으로 탄성을 제공하는 제2 탄성체(920)를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제2 탄성체(920)는 일 예로, 상기 푸셔(910)의 주위를 감싸는 압축 스프링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이럴 경우, 상기 푸셔(910)는 상기 제2 탄성체(920)의 탄성을 제공 받기 위하여, 상기 관통홀(730)과 상기 제2 탄성체(920) 사이에서 상기 제2 탄성체(920)의 탄성을 저지하기 위하여 돌출된 돌출부(912)를 포함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상기 푸셔(910)는 외부로부터 상기 고정구(600)를 푸싱하는 힘이 가해질 때는 상기 제2 탄성체(920)가 압축되면서 상기 고정홀(720)로 이동하여 상기 고정구(600)를 상기 고정홀(720)로부터 분리시키고, 반대로 상기 푸싱하는 힘이 제거되면 상기 제2 탄성체(920)의 탄성이 작용하여 상기 푸셔(910)는 상기 고정구(600)를 푸싱하지 않는 위치로 이동한다. 이때, 상기 제1 지지 프레임(700)은 상기 푸셔(910)가 안정적으로 움직이도록 상기 관통홀(730)이 형성된 부위가 주위보다 두껍게 구성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분리 부재(900)를 이용하게 되면 상기 고정홀(720)에 고정된 제1 걸림부(810)를 단순히 상기 푸셔(910)를 원터치 방식으로 누름으로써, 상기 제1 레일홈(710)으로부터 보다 간단하게 분리시킬 수 있다.
한편, 상기에서 설명한 프레임 구조물(1000)은 무대인 스테이지(10)의 상부에 설치하는 것으로 설명하였지만 경우에 따라서는 상기 트러스(400)들을 사용하여 적어도 두 개의 샤프트(shaft) 형태의 프레임을 평행한 상태로 고정하는 건축 및 토목 공사의 트러스 구조물에도 널리 사용될 수 있다.
앞서 설명한 본 발명의 상세한 설명에서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들을 참조하여 설명하였지만, 해당 기술 분야의 숙련된 당업자 또는 해당 기술분야에 통상의 지식을 갖는 자라면 후술될 특허청구범위에 기재된 본 발명의 사상 및 기술 영역으로부터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본 발명을 다양하게 수정 및 변경시킬 수 있음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10 : 스테이지 100 : 지지 프레임
200, 700 : 제1 지지 프레임 210, 710 : 제1 레일홈
220, 720 : 고정홀 230 : 나사홀
240, 740 : 가이드부 300 : 제2 지지 프레임
310 : 제2 레일홈 400, 800 : 트러스
410, 810 : 제1 걸림부 420 : 제2 걸림부
500 : 고정 부재, 볼트 600 : 고정 부재, 고정구
650 : 탄성체 900 : 분리 부재
910 : 푸셔 912 : 돌출부
920 : 제2 탄성체
1000 : 프레임 구조물

Claims (6)

  1. 서로 평행하게 설치되며, 서로 마주하는 부위에 입구보다 안쪽이 넓은 폭을 갖도록 길이 방향을 따라 형성된 레일홈과, 상기 레일홈의 안쪽 배면에 고정홀을 각각 갖는 제1 및 제2 지지 프레임들;
    서로 평행한 상태가 유지되도록 상기 제1 및 제2 지지 프레임들 사이를 연결하며, 상기 레일홈의 상기 고정홀 위치에서 상기 입구에 걸리도록 삽입되는 걸림부를 양단 부위들 각각에 갖는 트러스(truss); 및
    상기 고정홀에 삽입되어 상기 걸림부를 고정하는 고정 부재를 포함하는 프레임 구조물.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고정 부재는 상기 고정홀의 상기 걸림부와 반대되는 위치로부터 상기 고정홀로 상기 걸림부를 가압하도록 삽입되거나 상기 고정홀로부터 분리되는 볼트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프레임 구조물.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고정 부재는 상기 걸림부의 상기 고정홀과 마주하는 부위에서 상기 고정홀 방향으로 탄성을 제공하도록 삽입된 탄성체에 상기 탄성에 의해 상기 고정홀로 삽입되도록 장착된 고정구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프레임 구조물.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고정구의 상기 걸림부와 반대되는 위치에서 상기 고정구를 푸싱하여 상기 고정구를 상기 고정홀로부터 분리시키는 분리 부재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프레임 구조물.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및 제2 지지 프레임들 각각은 상기 레일홈의 상기 고정홀이 형성된 입구에 상기 고정홀의 위치를 가이드하는 가이드부를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프레임 구조물.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가이드부는 상기 고정홀이 형성된 입구에서 주위보다 단차진 구조를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프레임 구조물.
KR1020100079893A 2010-08-18 2010-08-18 프레임 구조물 KR101006656B1 (ko)

Priority Applications (7)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079893A KR101006656B1 (ko) 2010-08-18 2010-08-18 프레임 구조물
JP2013524779A JP5801397B2 (ja) 2010-08-18 2011-08-11 ステージ架設用のフレーム構造物
US13/812,509 US8920252B2 (en) 2010-08-18 2011-08-11 Frame structure for stage erection
GB1303197.6A GB2495895B (en) 2010-08-18 2011-08-11 Frame structure for stage erection
CN201180035608.2A CN103025401B (zh) 2010-08-18 2011-08-11 舞台安装用框架结构物
DE112011102720.6T DE112011102720B4 (de) 2010-08-18 2011-08-11 Rahmenstruktur zum Errichten einer Bühne
PCT/KR2011/005881 WO2012023749A2 (ko) 2010-08-18 2011-08-11 스테이지 설치용 프레임 구조물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079893A KR101006656B1 (ko) 2010-08-18 2010-08-18 프레임 구조물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006656B1 true KR101006656B1 (ko) 2011-01-10

Family

ID=4361593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00079893A KR101006656B1 (ko) 2010-08-18 2010-08-18 프레임 구조물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006656B1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4234463A (zh) * 2013-06-05 2014-12-24 派普恩特有限公司 舞台安装用框架连接结构
KR101566913B1 (ko) 2015-06-22 2015-11-09 제이엠스테이지(주) 와이어로프 유입각도 보정과 구동부 변각 기능을 포함하는 무대설비 승강장치
CN114753484A (zh) * 2022-01-10 2022-07-15 南通中建工业设备集团有限公司 一种钢结构桁架的连接组件及具有其的钢结构桁架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00014494U (ko) * 1998-12-30 2000-07-25 최복자 조립형 홍보탑의 프레임
KR20080074387A (ko) * 2007-02-08 2008-08-13 심상경 지붕슬래브 형성을 위한 거푸집 받침 장치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00014494U (ko) * 1998-12-30 2000-07-25 최복자 조립형 홍보탑의 프레임
KR20080074387A (ko) * 2007-02-08 2008-08-13 심상경 지붕슬래브 형성을 위한 거푸집 받침 장치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4234463A (zh) * 2013-06-05 2014-12-24 派普恩特有限公司 舞台安装用框架连接结构
KR101566913B1 (ko) 2015-06-22 2015-11-09 제이엠스테이지(주) 와이어로프 유입각도 보정과 구동부 변각 기능을 포함하는 무대설비 승강장치
CN114753484A (zh) * 2022-01-10 2022-07-15 南通中建工业设备集团有限公司 一种钢结构桁架的连接组件及具有其的钢结构桁架
CN114753484B (zh) * 2022-01-10 2023-11-17 南通中建工业设备集团有限公司 一种钢结构桁架的连接组件及具有其的钢结构桁架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EP3266954B1 (en) Decking clip and method
KR101006656B1 (ko) 프레임 구조물
KR101456517B1 (ko) 연결용 커플러
US20120291231A1 (en) Cable tie
US20150121680A1 (en) Reusable cable tie
RU2006115836A (ru) Разборный транспортный поддон и способ его сборки и использования
DE502006009177D1 (de) Schnellbefestigungselement
CN108808595A (zh) 免工具线缆安装装置
BRPI0619113A2 (pt) trilho tensor ou de condução para meios de tração especialmente acionamento de corrente
JP5801397B2 (ja) ステージ架設用のフレーム構造物
JP2009509108A (ja) 縦長の対象装置を保持する装置
US20050147483A1 (en) Combining device for suspending object
KR101717273B1 (ko) 케이블 고정장치
US20160333916A1 (en) Fastening device template
KR20130096779A (ko) 스테이지 설치용 트러스
CN210251225U (zh) 支持锁定的包围体组件
CN114498474A (zh) 多线束支撑装置
JP4414948B2 (ja) ウェッジの押し込み装置およびウェッジの押し込み方法
KR102342844B1 (ko) 원터치 방식의 거푸집 간격 유지 고정장치
CN209216437U (zh) 一种支架
JP2012067518A (ja) 外壁パネルの取付構造
KR101017560B1 (ko) 스테이지 설치용 프레임 구조물
KR101358406B1 (ko) 가변형 피씨 부품 고정벨트
KR200446511Y1 (ko) 표지판 고정 클램프
KR101746489B1 (ko) 조립식 기둥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1024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1230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112

Year of fee payment: 6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