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30095539A - 복합시트를 이용한 방수구조 및 이의 시공방법 - Google Patents

복합시트를 이용한 방수구조 및 이의 시공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30095539A
KR20130095539A KR1020120017057A KR20120017057A KR20130095539A KR 20130095539 A KR20130095539 A KR 20130095539A KR 1020120017057 A KR1020120017057 A KR 1020120017057A KR 20120017057 A KR20120017057 A KR 20120017057A KR 20130095539 A KR20130095539 A KR 20130095539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mposite sheet
layer
urethane coating
urethane
pet film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2001705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366160B1 (ko
Inventor
김미정
Original Assignee
김미정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미정 filed Critical 김미정
Priority to KR102012001705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366160B1/ko
Publication of KR2013009553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30095539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36616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366160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BGENERAL BUILDING CONSTRUCTIONS; WALLS, e.g. PARTITIONS; ROOFS; FLOORS; CEILINGS; INSULATION OR OTHER PROTECTION OF BUILDINGS
    • E04B1/00Constructions in general; Structures which are not restricted either to walls, e.g. partitions, or floors or ceilings or roofs
    • E04B1/62Insulation or other protection; Elements or use of specified material therefor
    • E04B1/66Sealings
    • E04B1/665Sheets or foils impervious to water and water vapor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BGENERAL BUILDING CONSTRUCTIONS; WALLS, e.g. PARTITIONS; ROOFS; FLOORS; CEILINGS; INSULATION OR OTHER PROTECTION OF BUILDINGS
    • E04B1/00Constructions in general; Structures which are not restricted either to walls, e.g. partitions, or floors or ceilings or roofs
    • E04B1/62Insulation or other protection; Elements or use of specified material therefor
    • E04B1/64Insulation or other protection; Elements or use of specified material therefor for making damp-proof; Protection against corrosion
    • E04B1/644Damp-proof cours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chitectur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Electromagnetism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Laminated Bodies (AREA)
  • Building Environment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복합시트를 이용한 방수구조 및 이의 시공방법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TPU시트와 PET시트가 결합한 복합시트를 사용하되 보다 시공성이 뛰어나고 이음성이 우수한 방수구조와 이의 시공방법에 관한 것이다. 이를 위한 본 발명은, TPU필름과 PET필름을 결합한 복합시트와 폴리우레탄 도막방수가 복합적으로 적용된 방수구조에 있어서, ⅰ) 바탕면 위에 형성된 우레탄 도막층; ⅱ) 상기 우레탄 도막층위로 형성된 복합시트층; ⅲ) 상기 복합시트층위로 형성된 우레탄 도막층;을 포함하되, 상기 복합시트층은 아랫면이 PET필름층이고 윗면이 TPU필름층으로 되어 있고, 상기 복합시트는 복합시트간에 소정을 간격을 두고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수구조를 제공한다.

Description

복합시트를 이용한 방수구조 및 이의 시공방법{WATERPROOFING STRUCTURE USING COMPLEX SHEET AND CONSTRUCTION METHOD THEREOF}
본 발명은 복합시트를 이용한 방수구조 및 이의 시공방법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TPU시트와 PET시트가 결합한 복합시트를 사용하되 보다 시공성이 뛰어나고 이음성이 우수한 방수구조와 이의 시공방법에 관한 것이다.
건축물의 지붕, 바닥, 지하 주차장 등과 같이 수분과 접할 수 있는 부위에는 수분이 내부로 스며드는 것을 방지하기 위하여 구조물의 표면에 불투수성의 방수층을 형성하는 방수 공사가 행해진다. 방수처리될 부위에 따라, 그리고 철근콘크리트, 경량콘크리트, ALC, PC 등의 바탕재료에 따라서, 바탕 상태에 따라, 또는 방수재료에 따라 그 구조와 시공방법 등에 다소의 차이가 발생한다. 가장 일반적으로 쓰이는 방법은 아스팔트 방수공법, 시트 방수공법, 도막 방수공법 등이 있으며, 최근에는 이들을 복합하여 조합 적층하는 방법등 상황에 맞는 복합 방수 공법을 적용하고 있다.
시트 방수 공법은 합성고무 등을 일정두께와 폭을 갖는 시트상으로 제조하여 시공현장에서 방수면에 접착하여 방수층을 형성하는 공법이다. 이 방법은 시트의 제조시 다양한 적층구조를 통해서 필요한 물성을 구현하기가 쉽고, 시공이 편리한 점이 있으나, 복잡한 부위의 시공이 어렵고, 부분 보수가 어려우며, 시트간 이음매에서의 완전 수밀성을 이루기 어렵고, 시트간의 이음매의 밀봉 작업이 수작업으로 일일이 이루어지는 문제가 있다. 최근에는 시트간 이음매의 완전 수밀성을 위하여 매우 다양한 방법이 제시되고 있으며 상당히 고무적인 발전이 계속적으로 이루어지고 있다. 한편, 이 방법에서는 일단 부풀음 현상이 발생하게 되면, 온도차에 의한 반복적인 수축 및 팽창으로 도막이 파손되고 방수기능이 상실되는 문제점이 있다.
도막 방수 공법은 소재의 종류에 따라 몇 가지가 있는데, 우레탄 방수공법이 대표적이다. 우레탄 방수 공법은 시공할 바닥등을 정리하고, 이에 프라이머를 도포하여 바닥에 충분히 침투시켜 건조한 뒤, 바닥면에 액상 우레탄 수지를 도포하여 건조 및 경화시켜 일정 두께의 우레탄 도막을 형성하여 이를 통해 방수를 하는 방법으로, 비교적 하지 콘크리트 면과의 접착이 잘되고 신축성이 우수하여 하지 균열에 대해서도 어느 정도의 방수 성능을 유지할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 그러나 바닥면에 전면밀착하는 공법이므로 하지의 균열에 대한 근본적인 해결이 어렵고 심한 온도변화, 콘크리트의 수분증발, 바닥 콘크리트의 균열 발생이 크게 일어나면 시트공법에서와 마찬가지로 부풀음 현상이 발생할 수 있고, 시공된 우레탄 도막이 손상되고, 연속적으로 들뜨게 되는 문제가 있다. 특히 주차장과 같은 곳에서는 반복되는 하중으로 우레탄 도막의 들뜸 현상이 빨리 일어나게 되어 방수 수명이 짧은 문제가 있다. 특히 도막 방수 공법은 충분한 두께를 형성하여야 하기 때문에 전체적인 소요시간이 길며, 바탕면의 굴곡등으로 인해 균일한 두께형성이 쉽지 않은 문제가 있다.
한편, 최근에는 방수시트와 도막방수재를 조합하여 방수층을 형성하는 방법들이 나오고 있다. 방수시트간의 이음매의 문제해결과 도막방수시의 충분한 두께 형성의 문제를 해결하고자 하는 것이다. 그러나, 시트와 도막방수재간의 이질적 재료의 사용으로 인해 방수층이 바탕기재에 순응하지 못하고 바탕기재가 외기온도 및 신축거동에 의해 균열하는 경우에 파열되거나 들뜨는 문제가 생긴다. 또한 이러한 들뜸문제에 대응코자 아예 뜬 구조형태로 시공되는 방법도 도입되었다.
즉, 바탕면 위에 시트를 두고, 그 위로 우레탄 도막 등을 형성시켜, 바탕면과 방수층사이의 절연공간을 두는 것인데, 절연공간을 위한 기반층을 이질적인 재료를 사용하여야 하고 따라서 시트간 이음매를 이질적인 재료로 결합시키게 되고,이 경우, 외부의 신축거동이 심할 때 이음매의 연결부위에 문제가 더욱 쉽게 발생할 수 있다. 또한, 밀착구조인 경우라면 이음매의 약간의 틈의 발생이 전면적인 누수확대로 이어지지는 않으나 뜬 구조의 경우 이음매의 약간의 틈새가 형성되더라도 절연공간을 통하여 누수가 확대되고, 누수부위의 시작부위의 추적이 쉽지 않은 문제가 있어 오히려 보수공사비가 상승되는 문제점이 있다.
따라서, 뜬 구조의 방수공법이 최적의 것이 될 수는 없다. 복합시트는 다양한 적층 구조를 통해 필요한 물성을 구현하기 쉬운 장점이 있으나 이음매 부분의 문제가 여전하며, 도막방수의 방법에서는 충분한 두께를 형성해야 하는 문제가 있어 시공성과 경제성이 떨어지며, 뜬 구조의 시트 및 도막결합 방법도 상기한 문제점이 있다. 결국, 복합시트의 적절한 선택과 도막방식을 어떠한 형태로 결합시키고 이음매을 어떻게 처리하여야 외부의 신축거동 등에 대응하여 보다 완벽한 방수구조를 만들어내느냐가 여전히 중요 과제가 되고 있다. 또 하나 지적하자면, 시트의 연결시 겹칩방식을 사용하는 경우 실제 시공시에 작업성이 매우 떨어지며, 추후 외부거동의 발생시에 변화에 적응하는 정도가 떨어지는 문제가 있다.
본 발명은 시트와 도막방식의 결합시의 상기와 같은 문제점들을 해결하여 결국은 보다 완벽한 방수가 이루어지는 구조와 그 시공방법을 제시하고자 하며, 나아가 시공시의 작업성도 개선될 수 있도록 하고자 한다.
이를 위한 본 발명은, TPU필름과 PET필름을 결합한 복합시트와 폴리우레탄 도막방수가 복합적으로 적용된 방수구조에 있어서, ⅰ) 바탕면 위에 형성된 우레탄 도막층; ⅱ) 상기 우레탄 도막층위로 형성된 복합시트층; ⅲ) 상기 복합시트층위로 형성된 우레탄 도막층;을 포함하되, 상기 복합시트층은 아랫면이 PET필름층이고 윗면이 TPU필름층으로 되어 있고, 상기 복합시트는 복합시트간에 소정을 간격을 두고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수구조를 제공한다.
그리고, 상기 기 바탕면 위에 형성된 우레탄 도막층은 바탕면위에 프라이머층을 형성한 후에 형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며, 상기 소정의 간격을 두고 있는 복합시트의 연결은 상기 소정의 간격보다 넓은 연결부재를 그 위로 적층하여 구성하되, 상기 연결부재는 아랫면이 TPU필름층이고 윗면이 PET필름층이 결합된 복합시트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수구조인 것이 바람직하고, 상기 소정 간격을 두고 있는 복합시트와 연결부재의 접착은 폴리우레탄으로 적찹하는 것이 더욱 바람직하다.
한편, 본 발명은 복합시트의 적층후, 그 상부의 우레탄 도막 없이 연결부재의 이음만으로도 어느 정도 성능을 달성할 수 있다. 즉, TPU필름과 PET필름을 결합한 복합시트와 폴리우레탄 도막방수가 복합적으로 적용된 방수구조에 있어서, ⅰ) 바탕면 위에 형성된 우레탄 도막층; ⅱ) 상기 우레탄 도막층위로 형성된 복합시트층;을 포함하되, 상기 복합시트층은 아랫면이 PET필름층이고 윗면이 TPU필름층으로 되어 있으며, 상기 복합시트층은 복합시트간에 소정의 간격을 두고 형성되되, 그 연결은 상기 소정의 간격보다 넓은 연결부재를 그 위로 적층하여 구성하고, 상기 연결부재는 아랫면이 TPU필름층이고 윗면이 PET필름층이 결합된 복합시트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수구조를 제공한다.
그리고, 본 발명은, TPU필름과 PET필름을 결합한 복합시트와 폴리우레탄 도막방수를 복합적으로 적용한 방수구조를 시공하는 방법에 있어서, ⅰ) 바탕면 위에 우레탄 프라이머를 도포하는 단계; ⅱ) 우레탄 프라이머 위로 우레탄 도막층을 형성하는 단계; ⅲ) 상기 우레탄 도막층 위로, PET 필름과 TPU 필름이 합체된 복합시트들을 적층하되, PET 필름층이 하부로 향하도록 적층하는 단계; ⅳ) 상기 복합시트 상부로 우레탄 도막을 형성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을 제공한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복합시트들은 소정의 간격을 두고 적층되되, 상기 복합시트의 연결은 아랫면이 TPU필름층이고 윗면이 PET필름층이 결합된 복합시트형태의 연결부재를 사용하여 상기 복합시트의 연결부위에 적층하여 구성하는 것이다.
본 발명에서 사용되는 PET와 TPU의 복합시트는 우레탄 재질과의 상용성이 매우 뛰어날 뿐만 아니라, 방수와 관련한 물성이 좋고 그 두께도 두껍지 않고 그 시공방법도 비교적 간편한 장점이 있다. 나아가 본 발명에서와 같이 우레탄 도막 사이에 복합시트가 겹칩구조가 아닌 소정의 간격을 두고 위치함으로써 시공의 간편성은 물론 우레탄 도막과의 밀착성을 더욱 견고히 할 수 있다. 그리고, 복합시트의 상부가 TPU 필름층이 되고, 연결부재의 하부가 TPU 필름층으로 되어 있어 그 이음매부분은 상부와 하부의 외력에 대한 대응성이 매우 좋아 복합시트의 이음매 부분의 내구성이 매우 뛰어나게 된다. 그리고, 연결부재를 시공한 후 그 위로 폴리우레탄 도막을 다시 한번 형성함에 있어 우레탄 도막과 복합시트의 상면인 TPU 필름층과의 상용성으로 인해, 연결부재를 더욱 견고하게 하여 복합시트의 이음매 부분의 내구성을 더욱 강화시키고, 결과적으로 본 발명에 의한 방수구조는 최적형태의 구조가 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라 복합시트와 우레탄 도막을 이용한 방수구조를 보여주며,
도 2는 도 1의 복합시트의 연결부분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이하 본 발명을 보다 상세하게 설명하기로 하며,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 관련된 공지기술 혹은 공지구성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은 본 발명의 요지를 모호하지 않게 하기 위하여 생략한다.
본 발명은 시트 방수공법과 우레탄 도막 방수공법을 접목한 형태로, 시트를 뜬 구조가 아닌 밀착구조의 형태로 시공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라 복합시트와 우레탄 도막을 이용한 방수구조를 보여준다. 시트를 뜬 구조가 아닌 밀착구조로 하기 때문에 하지 정리 및 접착유도를 위해 우레탄 방수공법에서 채택하는 바탕면 위에 우레탄 프라이머를 도포하고 그 위로 우레탄 도막을 형성한다. 그리고, PET와 TPU를 결합시킨 복합시트를 깔고, 그 위로 다시 우레탄 도막을 형성하여 본 발명의 복합시트를 이용한 방수구조를 완성한다.
통상적인 바탕면 정리를 한 후 수분경화형의 일액형 우레탄 프라이머를 도포한다. 우레탄 프라이머는 그 위로 우레탄 도막을 형성시 그 접착을 유도하는 역할을 한다. 우레탄 도막위로 복합시트를 적층하는데, 본 발명에서 사용하는 복합시트는 PET 필름과 TPU 필름을 합체시킨 복합시트를 사용한다. 시공시 PET 필름층이 아랫부분으로 향하고 TPU 필름층이 윗부분으로 향하도록 적층한다. 그리고, 복합시트를 적층한 후에 다시 한번 그 위로 우레탄도막을 형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한편, PET(poly ethylene terephthalate)필름은 인장강도와 압축강도 및 굽힘강도 등 기계적 강도가 강하고 내마모성과 내열성이 뛰어나며 크리프와 피로가 적어 온도의 영향이 적고 내후성이 양호하다. 그리고 우레탄 계열의 재료와 상용성 내지는 부착성이 매우 뛰어나기 때문에, 바닥면에서 심한 온도변화, 콘크리트의 수분증발, 바닥 콘크리트의 균열 발생의 증가가 발생하더라도 어느 정도 이 변화를 수용할 수 있게 된다. TPU(thermoplastic polyurethane) 필름은 이소시아네이트와 폴리올의 부가 반응된 화합물로 분자구조 중 우레탄 결합을 갖고 있는 고무탄성 고분자체(elastomer)로서 선형 고분자를 말한다. 고무와 플라스틱의 중간영역 탄성으로 고반발 탄성, 기계적 강성, 내마모성, 내유성, 내약품성, 내한성이 매우 뛰어나며 타 수지와의 블렌드가 용이하여 일부 타 수지와 펠렛형태로 혼합하여 일반적인 열가소성 수지의 성형기를 사용할 수도 있다. 이러한 엘라스토머로서의 성질을 가지기 때문에 왠만한 외력에 의해서도 찢어지거나 갈라지지 않으며 또한 우레탄 계열의 재료와 상용성 내지는 부착성이 매우 뛰어나다. 그리고, TPU 필름과의 합체시에도 PET 필름과의 부착성이 매우 뛰어나다. 본 발명에서의 TPU 필름이란, 100% 순수한 TPU 뿐만 아니라, 펠렛형태에서 다른 PE 등을 일부혼합하여 연신한 필름등을 포함할 수 있으며, 다만, 폴리우레탄 재질의 다른 층과의 상용성을 저해하지 않고, TPU의 연신율을 크게 저해하지 않는 범위내에서 혼용사용이 가능할 것이다.
통상 우레탄 도막 방수공법의 경우 우레탄 도막을 수차례 도포하여 우레탄 도막을 충분한 두께로 만들어서 방수력을 담보하지만 충분한 두께를 형성하기 위해서는 우레탄 재료가 많이 소요될 뿐만 아니라 우레탄이 충분히 건조될 때까지 기다려 그 다음 우레탄 도막을 형성해야 하므로 시공시간이 많이 걸리고 절차가 상당히 번잡해지는 문제가 있다. 본 발명에서는 우레탄 도막 사이에 복합시트가 삽입됨으로써 충분한 내구성을 가짐을 물론 외부적 힘에 의한 변화에 잘 대응할 수 있게 된다. 본 발명의 복합시트의 경우 뜬 구조가 아닌 바닥면에 밀착하는 공법에서는 매우 적합하다고 할 수 있다. 바닥면에 전면 밀착하는 공법에서는 하지의 균열에 대한 근본적인 해결이 어렵고 심한 온도변화, 콘크리트의 수분증발, 바닥 콘크리트의 균열 발생이 크게 일어나면 부풀음 현상과 연속적 들뜸현상이 발생할 수 있다. 본 발명에서는 우레탄 도막위로 복합시트를 적층하되 복합시트의 하층면이 PET 필름으로 형성되어 있고, 상층면이 TPU 필름으로 되어 있는데, 자체적으로 우수한 접착력을 갖는 우레탄 도막 위에 PET 필름이 적층되기 때문에 우레탄 도막과 복합시트의 부착력이 강하여 들뜸이나 박리등의 하자가 발생하는 것을 줄일 수 있을 뿐만 아니라 바닥면에서 심한 온도변화, 콘크리트의 수분증발, 바닥 콘크리트의 균열 발생의 증가가 발생하더라도 이러한 변화를 수용할 수 있게 된다. 또한, 복합시트 상부의 TPU 필름 역시 그 위로 우레탄 도막이 형성되는데, TPU 필름과 우레탄 도막과의 접착력이 매우 우수할 뿐만 아니라 TPU 필름의 특성상 연신력이 우수하여 왠만한 외력에 의해서 찢어지거나 갈라지지 않아 방수층 전체구조의 내구성과 안정성에 상당한 기여를 한다.
시트공법에서 가장 큰 문제가 되고 있는 것은 시트와 시트간의 접합부분의 처리문제이다. 본 발명에서는 소정의 간격을 두고 복합시트를 설치하되, 복합시트의 연결은 상기 소정의 간격보다 넓은 연결부재를 그 위로 적층하여 구성하되, 상기 연결부재는 아랫면이 TPU필름층이고 윗면이 PET필름층이 결합된 복합시트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소정 간격을 두고 있는 복합시트와 연결부재의 접착은 폴리우레탄으로 적찹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러한 구조에 대하여 도 2에 구조를 나타내었다. 상기 소정의 간격보다 넓은 연결부재란 도면에서 보는 바와 같이 두 개의 복합시트를 커버할 수 있을 정도의 폭을 갖는 연결부재를 말하는 것으로 당업자의 입장에서 적절한 넓이로 조정될 수 있으며 이러한 것은 모호한 것이 아니다. 그리고 복합시트간 소정의 간격이란 표현은 복합시트를 겹치지 않고 시트간 간격이 존재한다는 것을 의미한다.
복합시트를 겹쳐서 연결하는 경우 작업성이 나빠지는데 이는 복합시트를 겹치는 과정에서 그 내부로 공기가 스며들 수 있고, 또한 시트를 하부의 우레탄 도막에 밀착시키기 위한 노력이 상당히 필요하게 된다. 상호간 밀착성이 견고하지 못한 경우 추후 부풀음 현상의 시발이 될 수 있고 시공된 우레탄 도막이 더 쉽게 손상될 수 있어 연속적으로 들뜨게 되는 문제가 유발될 수도 있다. 본 발명에서와 같이 복합시트를 소정의 간격을 두고 우레탄 도막위에 적층하는 경우에는 상기 언급한 문제의 발생가능성이 낮아진다. 나아가, 하부의 외력이나 상부의 외력이 어느 정도 있더라도 유동공간의 확보가 좀 더 이루어지기 때문에 복합시트가 외부의 변화에 유연하게 대응할 수 있게 된다. 본 발명에서, 연결부재 없이 복합시트를 적층하고 그 위로 우레탄 도막을 형성하더라도, 복합시트의 상부가 TPU 필름층이기 때문에 복합시트와 상부의 우레탄 도막과의 밀착성 내지는 부착성이 매우 우수하고 또한 TPU의 외부자극에 대한 대응성이 높아 이러한 구조자체만으로도 상당히 견고한 방수구조가 될 수 있다.
본 발명에서는 좀 더 바람직하게는 소정간격을 두고 설치되는 복합시트들 위로 TPU 필름이 아랫면에 위치하고 PET 필름이 윗면에 위치하는 복합시트형태의 연결부재를 사용하여 상기 복합시트의 이음매를 연결한다. 복합시트들과 연결부재를 폴리우레탄 소재를 사용하여 접합한다. 복합시트들과 연결부재가 접하는 면은 동일한 소재인 TPU 필름이 맞닿게 되는 것이어서 상용성과 접착성이 매우 좋아 이음매가 매우 견고성이 뛰어나게 되며 연결부재 자체도 앞서 설명한 바와 같이 소재의 내구성 등의 물성이 아주 뛰어나다. 특히 복합시트의 윗부분이 TPU 필름층이고 연결부재의 아랫부분이 TPU 필름이어서 TPU 필름의 연신성 등으로 인해 왠만한 외부의 변화에도 이들이 분리되거나 찢어지는 일은 발생하지 않는 매우 큰 장점을 가진다. 나아가, 복합시트간 소정의 간격이 있어서 하부의 외력에 의해 밀리거나 하더라도 완충공간이 있어 이음매 부분의 내구성이 매우 뛰어나게 된다.
복합시트 사이를 연결부재로 이은 후에는 그 위로 전체적으로 폴리 우레탄 도막을 형성시켜 방수구조를 완성한다. 본 발명의 복합시트의 경우 필요한 물성을 달성하기 위한 두께가 두껍지 않아, 그 위로 전체적인 우레탄 도막을 형성할 때, 막의 균일성을 담보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상기 우레탄 도막은 복합시트의 TPU 필름층과 접하게 되고 이들의 밀착성 내지는 접착성이 매우 뛰어나기 때문에 이러한 구조가 또한 연결부재의 구성을 더욱 튼튼하게 하고 결과적으로 복합시트간 연결부위의 내구성을 매우 뛰어나게 만들어 준다.
한편, 복합시트 사이를 연결부재로 이은 후에 그 위로 전체적으로 폴리우레탄 도막을 형성시키지 않고 연결부재만을 설치한 채 마감할 수도 있다. 앞서 설명하였듯이 본 발명에서의 연결부분의 처리형태는 내구성이 뛰어나서 그대로 처리하여도 무방할 것으로 생각된다. 통상 방수구조후에 보호재 등을 설치하므로 이러한 형태의 방수구조의 경우 보다 시공성이 뛰어남과 아울러 어느 정도의 방수효과는 충분히 달성할 수 있다.
본 발명은 TPU필름과 PET필름을 결합한 복합시트와 폴리우레탄 도막방수를 복합적으로 적용한 방수구조를 시공하는 방법을 제공하는데, ⅰ) 바탕면 위에 우레탄 프라이머를 도포하는 단계; ⅱ) 우레탄 프라이머 위로 우레탄 도막층을 형성하는 단계; ⅲ) 상기 우레탄 도막층 위로, PET 필름과 TPU 필름이 합체된 복합시트들을 적층하되, PET 필름층이 하부로 향하도록 적층하는 단계; ⅳ) 상기 복합시트 상부로 우레탄 도막을 형성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시공방법이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복합시트들은 소정의 간격을 두고 적층되되, 상기 복합시트의 연결은 아랫면이 TPU필름층이고 윗면이 PET필름층이 결합된 복합시트형태의 연결부재를 사용하여 상기 복합시트의 연결부위에 적층하여 구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이다. 이러한 시공방법은 뜬 구조가 아니라 밀착구조의 방법으로 복합시트를 겹치지 않게 함으로써 시공성의 향상도 도모된다.
한편, 상기 실시형태는 본 발명을 예시하기 위한 것일 뿐, 본 발명이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치환 및 균등한 타 실시예로 변경할 수 있음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있어서 명백할 것이다.

Claims (7)

  1. TPU필름과 PET필름을 결합한 복합시트와 폴리우레탄 도막방수가 복합적으로 적용된 방수구조에 있어서,
    ⅰ) 바탕면 위에 형성된 우레탄 도막층;
    ⅱ) 상기 우레탄 도막층위로 형성된 복합시트층;
    ⅲ) 상기 복합시트층위로 형성된 우레탄 도막층;을 포함하되,
    상기 복합시트층은 아랫면이 PET필름층이고 윗면이 TPU필름층으로 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수구조.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복합시트는 복합시트간에 소정의 간격을 두고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수구조.
  3.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소정의 간격을 두고 있는 복합시트의 연결은 상기 소정의 간격보다 넓은 연결부재를 그 위로 적층하여 구성하되, 상기 연결부재는 아랫면이 TPU필름층이고 윗면이 PET필름층이 결합된 복합시트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수구조.
  4. 제 3항에 있어서,
    상기 소정 간격을 두고 있는 복합시트와 연결부재의 접착은 폴리우레탄으로 적찹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수구조.
  5. TPU필름과 PET필름을 결합한 복합시트와 폴리우레탄 도막방수가 복합적으로 적용된 방수구조에 있어서,
    ⅰ) 바탕면 위에 형성된 우레탄 도막층;
    ⅱ) 상기 우레탄 도막층위로 형성된 복합시트층;을 포함하되,
    상기 복합시트층은 아랫면이 PET필름층이고 윗면이 TPU필름층으로 되어 있으며, 상기 복합시트층은 복합시트간에 소정의 간격을 두고 형성되되, 그 연결은 상기 소정의 간격보다 넓은 연결부재를 그 위로 적층하여 구성하고, 상기 연결부재는 아랫면이 TPU필름층이고 윗면이 PET필름층이 결합된 복합시트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수구조.
  6. TPU필름과 PET필름을 결합한 복합시트와 폴리우레탄 도막방수를 복합적으로 적용한 방수구조를 시공하는 방법에 있어서,
    ⅰ) 바탕면 위에 우레탄 프라이머를 도포하는 단계;
    ⅱ) 우레탄 프라이머 위로 우레탄 도막층을 형성하는 단계;
    ⅲ) 상기 우레탄 도막층 위로, PET 필름과 TPU 필름이 합체된 복합시트들을 적층하되, PET 필름층이 하부로 향하도록 적층하는 단계;
    ⅳ) 상기 복합시트 상부로 우레탄 도막을 형성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7. 제 6항에 있어서,
    상기 복합시트들은 소정의 간격을 두고 적층되되, 상기 복합시트의 연결은 아랫면이 TPU필름층이고 윗면이 PET필름층이 결합된 복합시트형태의 연결부재를 사용하여 상기 복합시트의 연결부위에 적층하여 구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KR1020120017057A 2012-02-20 2012-02-20 복합시트를 이용한 방수구조 및 이의 시공방법 KR101366160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017057A KR101366160B1 (ko) 2012-02-20 2012-02-20 복합시트를 이용한 방수구조 및 이의 시공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017057A KR101366160B1 (ko) 2012-02-20 2012-02-20 복합시트를 이용한 방수구조 및 이의 시공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30095539A true KR20130095539A (ko) 2013-08-28
KR101366160B1 KR101366160B1 (ko) 2014-03-12

Family

ID=4921885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20017057A KR101366160B1 (ko) 2012-02-20 2012-02-20 복합시트를 이용한 방수구조 및 이의 시공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366160B1 (ko)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413524B1 (ko) * 2013-12-09 2014-07-02 주식회사페트로산업 아스팔트 우레탄 방수 도막재와 혼합합성수지 보호시트를 포함하는 이중복합 노출 방수시트 및 이의 시공방법
KR102047113B1 (ko) 2019-04-17 2019-12-04 가온방수기업(주) 연질 폴리우레탄 도막 방수재를 이용한 비노출형 3중 복합방수 시공방법
KR102047112B1 (ko) 2019-04-17 2019-12-04 가온방수기업(주) 연질 폴리우레탄 도막 방수재를 이용한 노출형 3중 복합방수 시공방법
KR102047111B1 (ko) 2019-04-17 2019-12-04 가온방수기업(주) 연질 폴리우레탄 도막 방수재를 이용한 비노출형 4중 복합방수 시공방법
KR20220138486A (ko) * 2021-04-02 2022-10-13 삼화페인트공업주식회사 수작업이 가능한 방수시트 고정용 폴리우레탄-우레아 수지 이액형 조성물을 사용한 친환경 복합방수공법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627556B1 (ko) 2015-12-15 2016-06-08 주식회사 에스아이켐 방수층의 안정성을 높인 복합방수구조 및 이를 이용한 복합방수공법

Family Cites Familie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971254B1 (ko) 2007-10-01 2010-07-20 주식회사 오피 자착식 단열방수시트 및 이를 이용한 방수방법
KR20090010907U (ko) * 2008-04-22 2009-10-27 김기철 자착식 단열방수시트 및 이를 이용한 방수방법
KR100939695B1 (ko) * 2009-03-24 2010-01-29 주식회사 코오롱 내구성 및 상용성이 향상된 tpu 필름층을 구비한 복합 방수 방근 구조 및 이의 시공방법
KR100936665B1 (ko) * 2009-04-21 2010-01-13 주식회사 코오롱 아스팔트 녹은 성분의 누출 방지를 위한 복합 방수 구조 시공공법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413524B1 (ko) * 2013-12-09 2014-07-02 주식회사페트로산업 아스팔트 우레탄 방수 도막재와 혼합합성수지 보호시트를 포함하는 이중복합 노출 방수시트 및 이의 시공방법
KR102047113B1 (ko) 2019-04-17 2019-12-04 가온방수기업(주) 연질 폴리우레탄 도막 방수재를 이용한 비노출형 3중 복합방수 시공방법
KR102047112B1 (ko) 2019-04-17 2019-12-04 가온방수기업(주) 연질 폴리우레탄 도막 방수재를 이용한 노출형 3중 복합방수 시공방법
KR102047111B1 (ko) 2019-04-17 2019-12-04 가온방수기업(주) 연질 폴리우레탄 도막 방수재를 이용한 비노출형 4중 복합방수 시공방법
KR20220138486A (ko) * 2021-04-02 2022-10-13 삼화페인트공업주식회사 수작업이 가능한 방수시트 고정용 폴리우레탄-우레아 수지 이액형 조성물을 사용한 친환경 복합방수공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366160B1 (ko) 2014-03-1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366160B1 (ko) 복합시트를 이용한 방수구조 및 이의 시공방법
US8061098B2 (en) Roof/wall structure
US7267735B2 (en) Prefab-type waterproofing structure and method for fabricating the waterproofing structure
CN101586381A (zh) 防水结构及其制造方法
KR101275151B1 (ko) 특수 합성고분자시트를 이용한 복합방수공법
KR102051495B1 (ko) 방수방근시트 및 그 시공방법
KR100936665B1 (ko) 아스팔트 녹은 성분의 누출 방지를 위한 복합 방수 구조 시공공법
KR102261398B1 (ko) 복합 방수층의 시공방법
KR100935712B1 (ko) Tpu 필름을 활용한 폴리우레탄 도막 방수 구조 및 이의 시공방법
KR102088103B1 (ko) 복합 방수층
KR20110079578A (ko) 방수구조 및 그 시공방법
KR101142857B1 (ko) 개량방수시트와 이를 사용한 방수시공방법 및 방수구조
KR101530600B1 (ko) 시공성과 내구성 및 내크랙성이 뛰어난 방수 구조 및 그 시공방법
KR20170025054A (ko) 콘크리트 구조물의 방수 도막
KR100875897B1 (ko) 합성수지 시트 양면에 엘엠에프 부직포가 형성된방수시트를 이용한 방수 공법
KR100939695B1 (ko) 내구성 및 상용성이 향상된 tpu 필름층을 구비한 복합 방수 방근 구조 및 이의 시공방법
KR20100030419A (ko) 방수 시트재 및 그 제조방법과 그것을 이용한 방수방법
KR101569973B1 (ko) 폴리우레탄 도막 방수구조 및 그 시공방법
KR101142856B1 (ko) 방수구조 및 그 시공방법
KR101752214B1 (ko) 침투식 액체 방수제, 아스팔트 및 보강그리드 적층 복합 방수구조 및 그 시공공법
CN207863322U (zh) 一种屋面防水结构
CN205674627U (zh) 一种白色内增强可焊接的三元乙丙橡胶自粘防水卷材
KR100927774B1 (ko) 합성고분자계 방근시트 및 그 시공방법
KR101195591B1 (ko) 방수 시트, 이를 이용한 방수 구조, 및 방수시공 방법
KR101697819B1 (ko) 교면용 자착식 복합방수시트 및 이를 이용한 방수공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X091 Application refused [patent]
AMND Amendment
X701 Decision to grant (after re-examination)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201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201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200128

Year of fee payment: 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