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30094760A - 복권식 쿠폰 서비스 제공 방법과 이에 적합한 쿠폰 인증 방법 - Google Patents

복권식 쿠폰 서비스 제공 방법과 이에 적합한 쿠폰 인증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30094760A
KR20130094760A KR1020130017240A KR20130017240A KR20130094760A KR 20130094760 A KR20130094760 A KR 20130094760A KR 1020130017240 A KR1020130017240 A KR 1020130017240A KR 20130017240 A KR20130017240 A KR 20130017240A KR 20130094760 A KR20130094760 A KR 20130094760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upon
information
terminal
consumer
consumer termina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3001724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정명운
정명주
박재완
변철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누코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누코 filed Critical 주식회사 누코
Publication of KR2013009476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30094760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30/00Commerce
    • G06Q30/02Marketing; Price estimation or determination; Fundraising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30/00Commerce
    • G06Q30/02Marketing; Price estimation or determination; Fundraising
    • G06Q30/0207Discounts or incentives, e.g. coupons or rebate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50/00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implementation of business processes of specific business sectors, e.g. utilities or tourism
    • G06Q50/34Betting or bookmaking, e.g. Internet betting

Landscapes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Strategic Management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Finance (AREA)
  • Development Economics (AREA)
  • Accounting & Taxation (AREA)
  • Marketing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Economics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Entrepreneurship & Innovation (AREA)
  • Game Theory and Decision Science (AREA)
  • Human Resources & Organizations (AREA)
  • Primary Health Care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Tourism & Hospitality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Management, Administration, Business Operations System, And Electronic Commerce (AREA)

Abstract

혜택이 개별화된 쿠폰을 소비자에게 배포하고, 각 쿠폰의 혜택이 쿠폰 배포시점이 아닌 쿠폰 사용시점에서 노출되도록 함으로써, 쿠폰에 대한 소비자의 호기심과 관심을 높이고 쿠폰의 실제 활용도를 높일 수 있는 쿠폰 서비스 제공 방법. 서버는 먼저 발행자 단말기로부터 쿠폰발행정보를 받아들이고 데이터베이스에 저장한다. 소비자 단말기로부터 쿠폰 다운로드 요청을 받아들이면, 상기 서버는 상기 쿠폰발행정보를 토대로 혜택이 미공개된 쿠폰을 생성해서 상기 소비자 단말기에 쿠폰 데이터를 전송하여 저장되도록 한다. 이후, 상기 소비자 단말기 및 상기 발행자 단말기 중 어느 하나로부터 상기 쿠폰에 대한 승인 요청 메시지를 받아들이면, 상기 서버는 상기 쿠폰의 유효성을 검증한 후 상기 소비자 단말기에 승인 메시지를 전송하여 상기 소비자 단말기에서 상기 쿠폰의 상기 혜택이 노출되도록 하게 된다.

Description

복권식 쿠폰 서비스 제공 방법과 이에 적합한 쿠폰 인증 방법{Method for Providing Lottery Type Coupon Service and Coupon Authentication Method therefor}
본 발명은 쿠폰 서비스 제공 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전자식 쿠폰을 발행하고 사용을 인증하기 위한 방법에 관한 것이다.
소비자에게 상품을 판매하거나 서비스를 제공하는 상품판매업자 또는 서비스공급업자는 매출을 증대하기 위하여 다양한 판매촉진 수단을 동원하는데, 그중 하나가 쿠폰이다. 쿠폰은 고객에게 가격할인 또는 사은품 지급이나 부가서비스 제공을 약속하는 일종의 증서로서, 쿠폰 발행자의 온라인 또는 오프라인 매장을 방문하는 고객은 상품 또는 서비스를 구매할 때 쿠폰에 명기된 혜택을 받을 수 있게 된다.
전통적으로 쿠폰은 종이 형태 또는 종이로 인쇄가능한 형태(예컨대, 컴퓨터에 의해 판독가능한 이미지 파일)로 제공되었으나, 최근에는 휴대형 단말기에 저장해두고 매장에서 제시하여 혜택을 받을 수 있는 전자식 쿠폰도 널리 사용되고 있다.
그런데, 기존의 쿠폰은 소비자에게 제공될 때부터 혜택이 천편일률적으로 정해져있고, 다양한 업체가 제공하는 쿠폰이 범람하고 있을 뿐만 아니라 쿠폰제공업체의 오프라인 매장이 쿠폰을 획득한 소비자로부터 지리적으로 멀리 떨어져 있어서 사용하기가 곤란한 경우가 많다는 문제점이 있다. 이에 따라 소비자들은 각 쿠폰에 대하여 큰 관심을 두지 않게 되고, 온라인을 통해 제공되는 쿠폰 정보를 일종의 광고배너로 인식하는 경향이 커지고 있다. 폐기되는 쿠폰의 비중이 높아짐에 따라, 쿠폰발행업체에서도 쿠폰을 통해 소망했던 고객유치 효과를 현실적으로 기대할 수 없게 된다.
따라서, 소비자와 쿠폰발행자 즉 광고주의 입장에서 볼 때, 소비자가 실제로 접근가능한 근거리 매장의 쿠폰을 소비자에게 효과적으로 제공하고 각 쿠폰에 대하여 소비자의 관심을 제고함으로써, 쿠폰의 활용도를 높일 수 있도록 하는 것이 크게 요구되고 있다.
본 발명은 위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서, 혜택이 개별화된 쿠폰을 소비자에게 배포하고, 각 쿠폰의 혜택이 쿠폰 배포시점이 아닌 쿠폰 사용시점에서 노출되도록 함으로써, 쿠폰에 대한 소비자의 호기심과 관심을 높이고 쿠폰의 실제 활용도를 높일 수 있는 쿠폰 서비스 제공 방법을 제공하는 것을 기술적 과제로 한다.
특히 본 발명은 쿠폰을 사용하는 소비자가 자신과 지리적으로 가까운 매장에서 사용할 수 있는 쿠폰을 용이하게 획득할 수 있도록 하는 방식으로 각 소비자에게 배포될 수 있도록 하는 방법을 제공하는 것을 보다 구체적인 기술적 과제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은 혜택이 개별화되어 사용되지 않은 상태로 소비자에게 배포된 쿠폰에 대하여 그 사용시점에서 쿠폰을 인증하고 상기 혜택이 사용자에게 노출되도록 하기 위한 쿠폰 인증 및 노출제어 방법을 제공하는 것을 다른 기술적 과제로 한다.
상기 기술적 과제를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쿠폰 서비스 제공 방법은 네트웍을 통해 단말기들이 접근할 수 있는 서버에서 수행된다. 상기 서버는 먼저 발행자 단말기로부터 쿠폰발행정보를 받아들이고 데이터베이스에 저장한다. 소비자 단말기로부터 쿠폰 다운로드 요청을 받아들이면, 상기 서버는 상기 쿠폰발행정보를 토대로 혜택이 미공개된 쿠폰을 생성해서 상기 소비자 단말기에 쿠폰 데이터를 전송하여 저장되도록 한다. 이후, 상기 소비자 단말기 및 상기 발행자 단말기 중 어느 하나로부터 상기 쿠폰에 대한 승인 요청 메시지를 받아들이면, 상기 서버는 상기 쿠폰의 유효성을 검증한 후 상기 소비자 단말기에 승인 메시지를 전송하여 상기 소비자 단말기에서 상기 쿠폰의 상기 혜택이 노출되도록 하게 된다.
일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미공개된 혜택은 상기 쿠폰을 생성할 때 결정된다. 상기 혜택 정보는 상기 쿠폰 데이터에 포함되어 상기 소비자 단말기에 전송될 수도 있고, 상기 승인 메시지에 포함되어 상기 소비자 단말기에 전송될 수도 있다. 다른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미공개된 혜택은 상기 서버가 상기 승인 요청 메시지를 받아들인 후에 결정되어, 상기 승인 메시지에 포함되어 상기 소비자 단말기에 전송된다.
일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승인 과정을 수행함에 있어서는, 먼저 상기 소비자 단말기로부터 상기 쿠폰에 대한 승인 요청 메시지를 받아들인 후, 상기 발행자 단말기에 승인 요청 정보를 전송하고 승인 동의 메시지를 기다리게 된다. 그리고, 상기 발행자 단말기로부터 상기 승인 동의 메시지가 수신되면, 상기 서버는 상기 소비자 단말기에 상기 승인 메시지를 전송하게 된다.
바람직한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승인 요청 메시지에는 상기 소비자 단말기의 위치 정보가 포함되며, 상기 소비자 단말기의 위치가 소정의 영역 내에 있지 않은 경우에는 상기 서버가 상기 승인 메시지를 통해서 상기 쿠폰의 사용을 거부하게 된다.
한편, 상기 다른 기술적 과제를 달성하기 위한 쿠폰 인증 및 노출제어 방법은 소비자 단말기 내에서 응용프로그램에 의하여 또는 서버로부터 수신되는 데이터의 작용에 의하여 수행된다.
먼저, 쿠폰 서버로부터 혜택이 미공개된 쿠폰에 관한 쿠폰 데이터를 받아들여 저장장치에 저장한 상태에서, 상기 소비자 단말기는 그 사용자가 상기 쿠폰에 대한 사용을 선택하는 키입력을 하는 경우 소정의 인증 절차를 통하여 상기 쿠폰의 유효성을 인증한다. 상기 쿠폰이 유효한 것으로 판단된 경우, 소비자 단말기는 상기 쿠폰의 상기 혜택이 표시장치를 통해 노출되도록 하게 된다.
일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쿠폰 데이터에는 제1 비밀번호가 노출되지 않은 상태로 포함되어 있다. 소비자 단말기는 쿠폰 발행자가 키 입력하는 제2 비밀번호를 받아들이고, 상기 제1 및 상기 제2 비밀번호를 비교하여, 상기 제1 및 상기 제2 비밀번호가 동일한 경우에 상기 쿠폰이 유효한 것으로 판단하게 된다.
다른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쿠폰 사용자가 상기 쿠폰을 사용할 매장에는 발행자 단말기가 마련되어 있으며, 상기 소비자 단말기는 무선통신에 의하여 상기 발행자 단말기에 쿠폰 식별정보를 포함한 인증 요청 메시지를 송신하게 된다. 쿠폰 인증은 발행자 단말기에 의해 이루어지게 되며, 상기 소비자 단말기가 상기 발행자 단말기로부터 인증 메시지를 수신하면 인증이 완료된다.
또 다른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쿠폰 사용자가 상기 쿠폰을 사용할 매장에는 QR 코드 또는 여타 형태의 이미지 코드가 비치되어 있으며, 상기 소비자 단말기는 사용자의 조작에 따라 상기 이미지 코드를 스캐닝하게 된다. 상기 쿠폰에 포함된 정보와 상기 이미지 코드에 포함된 정보가 동일한 경우, 상기 소비자 단말기는 상기 쿠폰의 유효성을 인증하게 된다.
이와 같이, 쿠폰 인증이 상기 소비자 단말기와 상기 발행자 매장 간의 상호작용을 토대로 이루어지는 경우에는, 인증이 완료된 후 상기 소비자 단말기가 상기 쿠폰 서버에 상기 쿠폰이 사용됨을 알리는 쿠폰 사용 메시지를 전송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때, 상기 쿠폰 사용 메시지에는 상기 소비자 단말기의 위치 정보가 포함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한편, 쿠폰 인증 초기 단계에서 상기 소비자 단말기는 그 지리적 위치를 결정하고, 상기 소비자 단말기의 위치가 상기 매장으로부터 일정한 거리 밖에 있는 경우에는 인증 절차를 거부하여, 상기 사용자가 상기 매장에서 상기 쿠폰의 혜택을 확인하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에 따르면, 쿠폰의 혜택이 배포시점에서 소비자에게 노출되는 것이 아니라 사용시점에서 소정의 개봉 절차를 시행한 후에야 노출될 수 있기 때문에, 소비자의 호기심을 유발시켜 쿠폰에 대한 소비자의 관심을 제고할 수 있게 된다. 특히, 본 발명에 따르면, 쿠폰이 플레이스에 대한 검색 결과와 연동되어 제공되기 때문에, 쿠폰을 사용하는 소비자가 자신과 지리적으로 가까운 매장에서 사용할 수 있는 쿠폰을 용이하게 획득할 수 있게 된다.
이에 따라, 쿠폰 발행자의 입장에서는, 쿠폰의 남발을 방지하고 활용도를 높일 수 있게 되며, 의도했던 고객유치 효과를 달성할 수 있게 되는 효과가 있다. 또한, 소비자의 입장에서는 온라인을 통해 제공되는 쿠폰정보 중에서 무의미한 광고배너의 비중이 감소하고 현실적으로 유익한 쿠폰정보의 비중이 증가하게 되며, 쿠폰정보가 삽입되는 온라인 제공정보의 건전성이 높아지게 된다.
본 발명에 의한 복권식 쿠폰 서비스 제공 방법은 상품판매업자 또는 서비스업자가 운영하는 모든 매장에 대하여 적용할 수 있다. 특히, 비용부담 등의 이유로 유효적절한 판매촉진 수단을 동원할 수 없거나 법규 등에 의하여 광고가 제한된 서비스 업자가 효과적으로 쿠폰을 배포하는데 유용하게 활용할 수 있다. 부분별한 쿠폰 살포나 배포가 시스템 운영자에 의해 통제되기 때문에, 사용자의 입장에서도 엄선된 쿠폰만을 제공받게 되어, 필요한 쿠폰을 용이하게 획득하고 사용할 수 있다.
본 발명은 대규모로 유통되는 제품이나 서비스가 아니라, 공급업체가 제한되어 직접적인 가격비교가 어려운 고가의 전문서비스에 대한 홍보에도 유용하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도면 중,
도 1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복권식 쿠폰 서비스 제공 시스템의 구성도;
도 2는 쿠폰 서버의 일 실시예의 블록도;
도 3은 도 1의 시스템에서의 쿠폰 서비스 제공 과정을 전체적으로 보여주는 흐름도;
도 4 내지 도 8은 매장정보 등록요청 화면의 예를 보여주는 스크린샷;
도 9 내지 도 11은 쿠폰등록정보 입력 화면의 예를 보여주는 스크린샷;
도 12 내지 도 14는 검색조건 설정 화면의 예를 보여주는 스크린샷;
도 15는 검색결과로서의 매장 목록 표시화면의 일 예를 보여주는 스크린샷;
도 16 및 도 17은 매장 상세정보의 예를 보여주는 스크린샷;
도 18은 쿠폰지갑 표시화면의 예를 보여주는 스크린샷;
도 19 및 도 20은 쿠폰정보 표시화면의 예를 보여주는 스크린샷;
도 21은 매장정보 및 복권식 쿠폰 발행정보를 생성하여 등록하는 과정을 상세하게 보여주는 흐름도;
도 22는 쿠폰발행정보 테이블의 필드 구조 및 혜택별 쿠폰발행정보 레코드의 예를 보여주는 표;
도 2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있어서 쿠폰 생성시에 각 복권식 쿠폰의 혜택을 결정하는 과정을 보여주는 흐름도;
도 24 및 도 25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있어서 쿠폰 사용시에 각 복권식 쿠폰의 혜택을 결정하는 과정을 보여주는 흐름도;
도 26은 복권식 쿠폰의 혜택 노출 및 사용 방법의 일 실시예를 보여주는 흐름도;
도 27은 복권식 쿠폰의 혜택 노출 및 사용 방법의 다른 실시예를 보여주는 흐름도;
도 28은 복권식 쿠폰의 혜택 노출 및 사용 방법의 또 다른 실시예를 보여주는 흐름도;
도 29는 복권식 쿠폰의 혜택 노출 및 사용 방법의 또 다른 실시예를 보여주는 흐름도; 그리고
도 30은 복권식 쿠폰의 혜택 노출 및 사용 방법의 또 다른 실시예를 보여주는 흐름도이다.
쿠폰 서비스 제공 시스템의 구성
도 1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복권식 쿠폰 서비스 제공 시스템은 쿠폰 발행자와 소비자 사이에서 쿠폰 서비스를 매개하는 쿠폰 서비스 제공 서버(100, 이하 '쿠폰 서버'라 칭함)와, 인터넷을 통해 상기 쿠폰 서버(100)에 접속할 수 있는 쿠폰 발행자 단말기(200) 및 소비자 단말기(300A~300C)를 포함한다. 쿠폰 발행자 단말기(200, 이하 '발행자 단말기'라 칭함)는 판매촉진을 위해 쿠폰을 발행하는 쿠폰 발행자가 쿠폰발행정보를 등록하는데 사용된다. 소비자 단말기(300A~300C)는 소비자가 쿠폰을 다운로드하여 발행자의 매장에서 제시하는데 사용된다.
바람직한 실시예에 있어서, 쿠폰 서버(100)는 인터넷을 통해 스마트폰과 같은 휴대형 단말기에 대하여 매장 내지 플레이스에 대한 검색 서비스를 제공하는 인터넷 서버를 토대로 구축된다. 본 실시예에 있어서, 쿠폰 서버(100)는 매장을 운영하는 자가 자신의 매장정보를 등록할 수 있게 해주며, 등록된 매장정보들을 불특정다수의 소비자 단말기(300A~300C)의 요구에 응답하여 해당 단말기에 제공한다. 매장정보를 쿠폰 서버(100)에 등록하는 사람은 매장정보를 등록할 때 또는 그후 언제든지 판매촉진을 위해 쿠폰발행정보를 쿠폰 서버(100)에 등록하여, 쿠폰에 대한 혜택을 향유하게 할 수 있다. 쿠폰 서버(100)는 등록요청이 이루어진 매장정보 및/또는 쿠폰등록 정보를 데이터베이스에 등록해두고, 매장정보를 검색 서비스를 통하여 제공함과 아울러, 등록된 쿠폰등록 정보를 토대로 쿠폰을 생성하여 배포한다.
본 발명에 따르면, 쿠폰 서버(100)가 특정 매장에 대하여 발행하는 쿠폰은 동일한 혜택을 가져오는 것이 아니라, 발행자가 쿠폰등록 요청시에 정한 복수의 혜택(예컨대, 할인율) 중에서 어느 한 혜택과 연관된다. 그리고, 쿠폰 서버(100)가 쿠폰을 생성하여 쿠폰 데이터를 소비자 단말기(300A~300C)에 다운로드한 직후에도, 쿠폰의 혜택은 해당 소비자 단말기(300A~300C)에서 즉시 노출되지 아니하며, 쿠폰 사용 과정에서 소정의 인증 절차를 거친 후에야 노출된다. 즉, 본 발명에 따른 쿠폰은 혜택이 초기부터 노출된 증서가 아니라, 사용 과정에서 혜택이 노출되는 복권과 같은 속성을 가지게 된다. 한편, 상기 인증 절차는 쿠폰 사용 과정에서 소비자 단말기(300A~300C)와 쿠폰 서버(100) 또는 발행자 단말기(200)와의 상호작용을 통해 이루어진다.
바람직하기로는, 위에서 언급한 바와 같이, 발행자 단말기(200) 및 소비자 단말기(300A~300C)는 인터넷을 통해 쿠폰 서버(100)에 접근할 수 있는 스마트폰과 같은 휴대형 단말기이다. 일 실시예에 있어서, 쿠폰 서버(100)는 월드와이드웹(WWW)을 기반으로 매장정보 및 쿠폰등록 정보의 등록과, 매장정보 검색, 쿠폰 생성 및 배포, 그리고 쿠폰 인증 서비스를 제공한다. 이에 따라, 발행자 단말기(200) 및 소비자 단말기(300A~300C)의 사용자는 예컨대 인터넷 익스플로어러(상표임), 크롬(상표임), 오페라(상표임), 사파리(상표임)와 같은 웹브라우저를 사용하여 쿠폰 서버(100)가 제공하는 서비스를 이용할 수 있다. 그렇지만, 다른 실시예에 있어서는, 발행자 단말기(200) 및 소비자 단말기(300A~300C)에 쿠폰 서버(100)가 제공하는 서비스를 이용하기 위한 독립적인 응용 프로그램이 탑재되어 실행될 수도 있다.
발행자 단말기(200)는 매장 운영자 내지 광고주가 휴대하는 것으로서, 예컨대 IEEE 802.11g 또는 IEEE 802.11n 표준에 따른 무선랜 액세스 포인트 장치(202)를 통해서 인터넷에 접속되어 쿠폰 서버(100)에 접근할 수 있다. 그렇지만, 발행자 단말기(200)가 예컨대 WCDMA 또는 LTE 규격에 적합한 무선통신망을 통해서 인터넷에 접속될 수도 있다. 또한 매장정보나 쿠폰발행의 등록이 반드시 휴대형 단말기를 통해서만 이루어질 수 있는 것은 아니며, 데스크탑 PC(204)나 노트북 PC 또는 여타의 단말기를 통해 이루어질 수도 있다. 한편, 소비자 단말기(300A~300C)는 각 소비자가 휴대하는 것으로서, 그중 일부는 예컨대 WCDMA 또는 LTE 규격에 적합한 무선통신망을 통해서 인터넷에 접속되어 쿠폰 서버(100)에 접근할 수 있고, 다른 일부는 액세스 포인트(302)를 통해서 인터넷에 접속되어 쿠폰 서버(100)에 접근할 수 있다.
설명의 편의를 위하여 도면에는 발행자 단말기(200)와 소비자 단말기(300A~300C)가 구분되어 표시되어 있지만, 발행자 단말기(200)와 소비자 단말기(300A~300C)는 기능적으로 구분한 것으로서 각각의 역할이 서로 뒤바뀔 수도 있다. 즉, 발행자 단말기(200)가 다른 매장정보의 검색 또는 쿠폰 서비스 이용을 위한 소비자 단말기로 작용할 수도 있다. 또한, 소비자 단말기(300A~300C)의 소유주는 자신의 단말기를 발행자 단말기로 활용하여 자신의 매장을 쿠폰 서버(100)에 등록하고 쿠폰발행을 요청할 수도 있다.
도 2는 도 1에 도시된 쿠폰 서버(100)의 일 실시예를 보여준다. 도시된 실시예에 있어서, 쿠폰 서버(100)는 인터넷을 통해 클라이언트에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는 웹 서버를 토대로 구축되며, 매장 등록 및 검색과 쿠폰 서비스를 위한 다수의 응용 프로그램(130)과 데이터베이스(150)를 구비한다. 응용 프로그램(120)은 인터넷을 통해 클라이언트에 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해 마련되는 웹문서들 내에 포함되는 서버 스크립트 형태로 구현될 수도 있고, 별도의 패키지 소프트웨어 또는 컴포넌트 소프트웨어 형태로 구현될 수도 있다.
먼저, 데이터베이스(150)에 있어서, 매장정보 테이블(152)은 매장운영자의 요구에 따라 등록이 이루어진 각 매장에 대한 정보를 저장한다. 상기 매장정보는 예컨대 상호, 주소, 매장 전화번호, 매장주 휴대폰 번호, 매장 카테고리, 주요 상품 및 서비스, 가격, 매장 사진, 운영중인 웹사이트 또는 SNS 계정 등을 포함하는데,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쿠폰발행정보 테이블(154)은 쿠폰 발행자가 등록한 쿠폰의 발행에 관한 정보를 저장한다. 상기 쿠폰발행정보는 예컨대 총 발행 매수, 혜택 종류, 각 혜택별 발행 매수, 비밀번호, 각 혜택별 다운로드 횟수, 쿠폰사용 인증 방법, 발행자 매장의 위치, 쿠폰 개봉을 위한 매장에서의 최대 거리, 쿠폰 사용 조건, 쿠폰 유효 기간, 쿠폰 아이디 등을 포함하는데,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쿠폰생성 내역 테이블(156)은 쿠폰 서버(100)가 소비자 단말기(300A~300C)의 쿠폰 다운로드 요청에 응답하여 쿠폰을 생성한 내역에 대한 정보를 저장한다. 이러한 생성 내역 정보는 예컨대 생성일시, 쿠폰 발행자 또는 쿠폰 아이디, 쿠폰 수신자, 쿠폰 사용 여부 등을 포함한다. 쿠폰인증 내역 테이블(158)은 다운로드된 각 쿠폰에 대하여 사용을 인증한 내역에 대한 정보를 저장한다.
쿠폰 서버(100) 운영자는 각 쿠폰등록에 대하여 쿠폰 발행자에게 일정한 규칙에 따른 쿠폰서비스 제공 비용을 청구할 수 있는데, 결제 정보 테이블(160)은 이러한 쿠폰서비스 제공 비용의 청구 및 입급 내역에 대한 데이터를 저장한다. 한편, 서베이 응답 테이블(162)은 쿠폰을 다운로드하여 사용한 소비자로부터 수신된 서베이 응답에 대한 데이터를 저장한다.
한편, 응용 프로그램(120)에 있어서, 네트웍 인터페이스부(122)는 쿠폰 서버(100)가 인터넷에 접속할 수 있게 해주고 클라이언트로부터의 요청에 응답하는 기능을 수행하며, 통상적인 웹 서버를 기반으로 구현될 수 있다.
매장정보 등록부(124)는 매장주가 매장에 대한 정보를 등록하고 수정할 수 있게 해준다. 쿠폰발행정보 등록부(126)는 발행자 단말기(200)로부터 쿠폰발행 요청을 받아들이고, 쿠폰발행정보를 등록할 수 있게 해준다. QR 코드 생성부(128)는 쿠폰발행정보가 쿠폰 서버(100)에 등록된 후에 해당 쿠폰 발행자에 대한 QR 코드를 생성하여 발행자 단말기(200)에 전송한다. 쿠폰 발행자는 수신된 QR 코드를 단말기(200)에 저장된 상태 또는 인쇄된 상태로 유지하면서 쿠폰 인증 과정에서 사용할 수 있다.
매장 검색부(130)는 소비자 단말기(300A~300C)의 매장 검색 요청에 응답하여, 매장정보 테이블(152)에서 상기 검색 요청에 포함된 검색 조건에 부합하는 매장을 검색하고, 검색 결과를 해당 소비자 단말기(300A~300C)에게 제공한다. 또한, 매장 검색부(130)는 소비자 단말기(300A~300C)가 특정 매장에 대한 상세 정보를 요청하는 경우, 해당 매장에 대한 정보를 제공한다.
쿠폰 생성부(132)는 소비자 단말기(300A~300C)로부터 특정 매장에 대한 쿠폰 다운로드 요청이 수신되는 경우, 쿠폰발행정보 테이블(154)에 저장된 쿠폰발행정보를 참조하여 쿠폰을 생성하고, 생성된 쿠폰에 대한 데이터를 해당 소비자 단말기(300A~300C)에게 제공한다. 이때, 상기 쿠폰 생성부(132)는 쿠폰에 대한 혜택이 노출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하여 쿠폰 데이터에서 혜택 정보를 암호화 처리하여 소비자 단말기(300A~300C)에 전송하고, 사용 승인 과정에서 소비자 단말기(300A~300C)가 암호화된 혜택 정보를 복호화하도록 할 수 있다.
쿠폰정보 조회부(134)는 소비자 단말기(300A~300C)로부터 해당 소비자가 다운로드한 쿠폰의 내역에 대한 조회요청을 받아들이고, 이에 대한 응답으로서 다운로드한 쿠폰 내역과 사용여부에 대한 정보를 제공한다. 변형된 실시예에 있어서는, 쿠폰 서버(100) 내에 쿠폰정보 조회부(134)가 마련되지 아니하고 소비자 단말기(300A~300C)에서 실행되는 응용프로그램에 의해 이 기능이 수행될 수도 있다.
쿠폰사용 승인부(136)는 소비자 단말기(300A~300C)로부터 다운로드된 쿠폰에 대한 승인 요청 메시지를 받아들이고, 인증 작업을 수행하거나 또는 단말기에서 인증이 이루어진 것을 확인한 후 상기 소비자 단말기(300A~300C)에 승인 메시지를 전송하여, 소비자 단말기(300A~300C)에서 쿠폰의 혜택이 노출될 수 있도록 제어한다.
서베이 실행부(138)는 쿠폰을 이용한 소비자로부터 각 매장에 대한 제품/서비스 만족도, 가격 만족도, 친절도 등에 대한 서베이를 실행하고, 서베이 결과를 서베이 응답 테이블(162)에 저장한다. 상기 서베이는 쿠폰 발행자를 대상으로 이루어질 수도 있다.
전체적인 동작
도 3은 도 1의 시스템에서의 쿠폰 서비스 제공 과정을 전체적으로 보여준다.
먼저 쿠폰을 발행하고자 하는 매장주는 매장정보와 쿠폰발행정보에 대한 등록을 쿠폰 서버(100)에 요청한다(제300단계). 여기서, 쿠폰발행정보는 매장정보와 동시에 쿠폰 서버(100)에 등록될 수도 있지만, 매장정보가 등록된 후에 별도로 쿠폰발행정보가 등록될 수도 있다.
도 4 내지 도 8은 매장정보 등록요청 화면의 예를 보여주는 스크린샷이다. 도시된 화면들은 쿠폰 서버(10)가 제공하는 HTML 또는 XML과 같은 마크업 랭퀴지 문서를 토대로 구현될 수도 있고, 발행자 단말기(200)에서 선택적으로 실행되는 응용프로그램에 의해 구현될 수도 있다.
매장정보 등록요청 화면은 '기본', '서비스', '사이트', '사진', '영상', '쿠폰' 등의 복수의 탭을 구비하고 있으며, 쿠폰 발행자는 각 탭을 이동하면서 정보를 입력할 수 있다. 도 4 및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기본' 탭에서 쿠폰 발행자는 상호, 주소, 접근가능 연령대, 매장 설명, 매장 전화번호, 영업시간 등의 정보를 입력할 수 있다.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서비스' 탭은 무료제공 상품/서비스, 매장 카테코리, 매장에 대한 플래그워드(즉 검색어) 등의 정보를 입력할 수 있게 해준다.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사이트' 탭에서 쿠폰 발행자는 운영중인 웹사이트 또는 SNS 계정 등을 입력할 수 있다. 여기서, 쿠폰 발행자가 다른 사람의 사이트 정보를 입력할 수 없게 하기 위하여, OpenAPI로 개발된 표준 인증 방식인 OAuth를 사용하여 쿠폰 발행자의 실제 운영 사이트의 URL 정보를 입력하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사진' 탭에서 쿠폰 발행자는 매장의 사진을 선택하여 업로드할 수 있으며, 별도의 사진촬영 애플리케이션을 실행하여 즉석에서 사진을 촬영할 수도 있다. 운영중인 웹사이트 또는 SNS 계정 등을 입력할 수 있다. 한편, '영상' 탭은 매장 내외부를 촬영한 영상을 업로드할 수 있게 해준다. 사진과 영상 입력시에도 사이트 정보 입력과 마찬가지로 OAuth를 사용하여 외부의 사진 공유 사이트나 영상 공유 사이트에 등록되어 있는 쿠폰 발행자의 영상에 대한 URL 정보를 선택하도록 할 수도 있다.
도 9 내지 도 11은 쿠폰등록정보 입력 과정을 보여준다. 도시된 화면들은 매장정보 등록요청 화면의 '쿠폰' 탭에서 쿠폰등록정보를 입력하는 예를 보여주고 있지만, 위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매장정보가 등록된 후에 별도로 쿠폰등록정보가 등록될 수도 있다.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쿠폰 발행자는 먼저 혜택이 고정된 혜택-고정식 쿠폰을 발행할지, 복권식 복권을 발행할지를 선택할 수 있다. 쿠폰 종류를 선택한 후 "쿠폰 상세 및 QR 코드 프린트" 메뉴를 선택하면, 쿠폰 종류에 따라 도 10 또는 도 11의 상세입력 화면이 표시된다. 예컨대, 복권식 복권을 선택한 경우, 쿠폰 발행자는 도 11의 화면에서 쿠폰에 대한 명칭, 쿠폰 다운로드 시작일자 및 종료일자, 총 쿠폰 개수, 혜택의 종류와 각각의 쿠폰 수, 쿠폰 제시 시점, 쿠폰 사용조건 등의 정보를 입력할 수 있다.
다시 도 3을 참조하면, 쿠폰 발행자가 매장정보와 쿠폰발행정보 입력을 완료하고 등록을 요청하면, 입력된 정보는 쿠폰 서버(100)로 전송되어 등록된다(제302단계).
쿠폰 등록이 완료되면, 쿠폰 서버(100)는 등록 확인 메시지를 발행자 단말기(200)에 전송한다(제304단계). 이때, 쿠폰 사용과정에서 쿠폰 인증에 사용하기 위한 QR 코드가 생성되어 발행자 단말기(200)에 전송된다. QR 코드는 등록 확인 메시지에 포함되어 발행자 단말기(200)에 전송된 후 발행자 단말기(200)의 메모리에 저장될 수도 있고, 별도의 이메일로 전송될 수도 있다. 쿠폰 발행자는 수신된 QR 코드를 단말기(200)에 저장된 상태 또는 인쇄된 상태로 유지하면서 쿠폰 인증 과정에서 사용할 수 있다.
이와 같이 매장정보와 쿠폰발행정보가 쿠폰 서버(100)에 등록된 상태에서, 상기 매장정보와 쿠폰발행정보는 소비자 단말기(300A)에 검색 과정을 통해 제공될 수 있다.
먼저, 소비자는 검색조건을 특정하여 자신이 원하는 지역에서 특정 카테고리의 매장에 대한 검색을 쿠폰 서버(100)에 요청할 수 있다(제306단계). 도 12 내지 도 14는 검색조건 설정 화면의 예를 보여준다. 소비자가 도 12의 검색 초기화면에서 "검색 위치 변경" 메뉴를 선택하면, 도 13과 같이 지도가 표시되고, 사용자는 지역 명칭을 입력하거나 지도 상의 한 점을 터치하여 검색 지역을 선택할 수 있다. 이어서, 소비자는 도 14의 카테고리 선택 화면에서 원하는 매장 카테고리를 선택한다.
소비자가 지역과 카테고리 선택을 완료하고 검색 버튼을 터치하면, 검색조건 정보을 포함한 검색 요구 메시지가 쿠폰 서버(100)로 전송된다. 이때, 소비자 단말기(300A)의 위치정보가 함께 전송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쿠폰 서버(100)는 검색 요구에 응답하여 데이터베이스(150)의 매장정보 테이블(152)에서 검색 조건에 부합하는 매장정보를 추출하여 추출된 매장 목록을 소비자 단말기(300A)에 제공한다(제308단계).
도 15는 검색결과로서의 매장 목록 표시화면의 일 예를 보여준다. 도시된 화면은 다수의 매장에 대한 정보를 포함하고 있고, 각 매장정보는 각각의 사각형 내에 표시된다. 이때 표시되는 매장정보는 매장 사진, 상호, 카테고리, 소비자 단말기 위치(300A)로부터 방향과 거리 등을 포함한다.
소비자는 목록 상의 어느 한 매장을 선택하여 상세정보를 확인할 수 있다(제310단계). 도 16 및 도 17은 매장 상세정보의 예를 보여준다. 도 17에 도시된 바와 같이, 매장 상세정보에는 해당 매장의 매장주가 등록한 모든 쿠폰에 대한 정보가 텍스트 또는 아이콘 형태로 포함된다.
소비자는 매장 상세정보에 있는 쿠폰을 터치하여 쿠폰 다운로드를 요청할 수 있다(제312단계). 쿠폰 다운로드 요청이 수신되면, 쿠폰 서버(100)의 쿠폰 생성부(132)는 쿠폰발행정보 테이블(154)에 저장된 쿠폰발행정보를 참조하여 쿠폰을 생성하고, 생성된 쿠폰에 대한 데이터를 소비자 단말기(300A)에게 제공한다(제314단계). 이때, 쿠폰 데이터에 혜택 정보가 포함되는 경우, 쿠폰 생성부(132)는 쿠폰에 대한 혜택이 노출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하여 혜택 정보를 암호화 처리하여 쿠폰 데이터에 삽입하게 된다.
소비자 단말기(300A)에 전달된 쿠폰 데이터는 소비자 단말기(300A)의 메모리에 저장된다(제316단계). 소비자는 자신의 단말기에 저장되어 있는 쿠폰의 종류를 쿠폰지갑을 열어서 확인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있어서, 쿠폰 데이터의 저장 기능과 쿠폰지갑 기능은 쿠폰 서버(100)로부터의 HTML 문서에 포함된 클라이언트 스크립트에 의해 구현된다. 그렇지만, 변형된 실시예에 있어서는, 이러한 기능들이 소비자 단말기(300A)에 설치되는 플러그인이나 별도의 응용프로그램에 의해 구현될 수도 있다.
도 18은 쿠폰지갑 표시화면의 예를 보여준다. 소비자 단말기(300A)에 저장되어 있는 쿠폰은 마감일자별, 거리별, 또는 사용여부에 따라 분류하여 표시될 수 있다. 소비자가 어느 한 쿠폰을 선택하면, 선택된 쿠폰이 혜택-고정식인지, 복권식인지에 따라 도 19 또는 도 20의 쿠폰이 선택된다. 쿠폰에는 발행매장 명칭, 제목, 유효기간, 혜택, 사용조건 등의 정보가 표시되며, "쿠폰 사용하기" 버튼이 마련되어 있다. 특히, 도 20에 도시된 바와 같이, 사용되지 않은 복권식 쿠폰의 경우에는, 혜택의 종류가 노출되지 않은 상태가 유지된다.
이와 같은 상태에서, 쿠폰을 발행한 매장을 방문하여 쿠폰을 사용하고자 하는 경우, 소비자는 쿠폰지갑을 열고 도 19 또는 도 20의 쿠폰 상세정보를 표시한 후 "쿠폰 사용하기" 버튼을 터치하게 된다. 사용하고자 하는 쿠폰이 혜택-고정식인 경우, 소비자는 해당 쿠폰을 즉시 하용할 수 있가. 이에 반하여 사용하고자 하는 쿠폰이 복권식인 경우에는, 소정의 인증 절차가 수행된다(제318단계). 인증 절차는 소비자 단말기(300A)와 쿠폰 서버(100) 또는 발행자 단말기(200)와의 상호작용을 통해 이루어지는데, 구체적인 과정은 후술하기로 한다. 인증 절차가 완료되면, 상기 복권식 쿠폰의 혜택이 노출되어 소비자와 매장주가 확인할 수 있게 되고, 사용자는 쿠폰에 명시된 혜택을 향유할 수 있게 된다(제320단계).
발행자 단말기(200)와의 상호작용하에 인증 절차가 완료된 후, 소비자 단말기(300A)는 쿠폰 서버(100)에 쿠폰 사용결과를 통보하며, 이에 따라 쿠폰 서버(100)는 데이터베이스(150)에서 해당 쿠폰에 대한 데이터를 갱신하게 된다(제322단계). 한편, 인증 절차가 쿠폰 서버(100)와의 상호작용을 통해 이루어지는 경우에는, 쿠폰 서버(100)는 데이터베이스(150) 갱신이 인증 과정에서 이루어지고 쿠폰 사용결과가 별도로 쿠폰 서버(100)에 전송되지 않을 수도 있다.
복권식 쿠폰 발행정보의 생성 및 등록
도 21을 참조하여, 도 3에서의 제300단계 즉, 복권식 쿠폰의 발행정보를 생성하여 등록하는 과정을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먼저, 쿠폰 발행자는 발행할 복권식 쿠폰 발행계획을 수립한다. 복권식 쿠폰 발행계획은 총 발행 쿠폰 수, 혜택별 쿠폰 수, 서베이 기능 사용여부, 쿠폰 개봉(즉, 혜택 노출)에 사용할 비밀번호, 쿠폰 개봉에 필요한 인증 방법, 쿠폰 개봉을 위한 매장에서의 최대거리 등을 포함한다. 그밖에, 쿠폰 발행계획은 쿠폰 사용 조건, 쿠폰 유효기간, 가게의 위치좌표 등이 추가적으로 포함될 수 있다.
예컨대, 쿠폰 발행자는 총 1,000장의 쿠폰을 발행하기로 하고, 그중에서 80% 할인 쿠폰을 10장, 50% 할인 쿠폰을 20장, 10% 할인 쿠폰을 970장 발행하는 것으로 결정할 수 있다.
쿠폰을 사용하는 이용자에게 서베이를 실시하고자 하는 경우에는, 질문 목록을 작성한다.
쿠폰 개봉에 사용할 비밀번호는 예컨대 4자리 숫자가 될 수 있다. 구체적인 쿠폰 인증 방법은 후술하기로 한다.
개봉을 위한 최대거리는 측위신호의 오차 등을 감안하여 예컨대 20미터(m)로 결정될 수 있다. 이와 같은 경우, 쿠폰을 개봉하고자 하는 사용자의 현재 위치가 매장으로부터 20m를 넘는 경우에는 쿠폰의 인증 절차가 거부되어 쿠폰이 개봉될 수 없게 된다.
이와 같이 쿠폰 발행계획이 수립된 상태에서, 쿠폰 발행자는 매장에 대한 광고정보로 작용하게 될 매장정보를 쿠폰 서버(100)에 등록하고(제400단계), 복권식 쿠폰 발행계획에 입각한 쿠폰발행정보를 쿠폰 서버(100)에 등록하게 된다
복권식 쿠폰 발행정보를 등록함에 있어서는, 도 9의 쿠폰선택 화면에서 '복권식 쿠폰'을 선택하고(제402단계), 이어서, 각각의 쿠폰발행정보 데이터를 입력한다(제404단계). 이때, 입력되는 쿠폰발행정보 데이터는 위에서 설명한 쿠폰 발행계획 상의 데이터가 모두 포함된다.
이어서, 복권 발행자가 서베이 기능을 선택한 경우에는(제406단계), 서베이를 위한 질문 목록이 추가적으로 입력된다(제408단계).
입력이 완료되면, 쿠폰발행정보 데이터는 데이터베이스(150)의 쿠폰발행정보 테이블(154)에 저장되며, 서베이 질문 목록은 쿠폰발행정보 테이블(154) 및/또는 서베이 응답 테이블(162)에 저장된다(제410단계). 이때, 쿠폰 서버(100)의 쿠폰발행정보 등록부(126)는 상기 쿠폰발행정보에 대하여 쿠폰 ID를 부여하고, 각 혜택에 대하여 혜택 ID를 부여한다. 그리고, 쿠폰발행정보 등록부(126)는 해당 매장정보에 대해 부여되어 있는 광고 ID를, 상기 쿠폰 ID 및 혜택 ID와 함께 추가적인 필드로써 쿠폰발행정보 테이블(154)에 함께 저장하게 된다.
도 22는 쿠폰발행정보 테이블(154)의 필드 구조 및 혜택별 쿠폰발행정보 레코드의 예를 보여준다. 3가지 종류의 혜택이 존재하는 것으로 쿠폰발행계획이 수립되었기 때문에, 도시된 예에서는 3개의 혜택 레코드가 존재한다. 도면에서, 최소난수 및 최대난수는 각 다운로드 요청에 대하여 난수발생기에 의해 발생되는 난수를 토대로 혜택을 결정하기 위한 난수범위를 결정한다. "다음 혜택 ID"는 해당 혜택에 대한 쿠폰이 소진된 상태에서 새로이 다운로드할 쿠폰의 혜택이 소진된 혜택으로 결정되는 경우, 상기 다운로드할 쿠폰에 대하여 결정하게 될 혜택의 ID를 나타낸다. 광고 ID는 해당 매장정보에 대해 부여되어 있는 ID이고, 쿠폰 ID는 쿠폰발행정보에 대하여 부여되는 ID이다. "Total Picked Count"는 모든 종류의 혜택에 대하여 발행된 쿠폰의 합계치를 나타낸다.
도면에는 도시되지 않았지만, 쿠폰 사용조건, 쿠폰 유효기간, 매장 위치 좌표 등의 데이터가 추가적으로 저장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일단 쿠폰발행정보가 등록된 후에는 다운로드 횟수, 개봉된 쿠폰 수를 제외한 여타 필드의 데이터는 변경할 수 없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한편, 소비자는 쿠폰 서버(100)에 접속하여 도 22의 테이블에 저장된 정보를 토대로 계산되는 혜택별 확률을 조회할 수도 있다.
쿠폰발행정보의 등록이 성공적으로 완료되면, 쿠폰 서버(100)의 QR코드 생성부(128)는 광고 ID, 쿠폰 ID, 각 혜택별 확률, 광고주 매장 명칭, 쿠폰 이름, 광고주 매장 주소, 매장의 측위 데이터를 포함하는 QR 코드를 생성하여 발행자 단말기(200)에 전송한다(제412단계). 후술하는 바와 같이, 이 QR 코드는 쿠폰의 인증 과정에서 인쇄된 상태로 또는 단말기에 표출된 상태에서 소비자에게 제시될 수 있다.
복권식 쿠폰의 혜택 결정
소비자의 요청에 따라 소비자 단말기(300A)에 전송되는 각 복권식 쿠폰의 혜택은 쿠폰 생성시에 결정될 수도 있고, 쿠폰 사용시에 쿠폰 인증 과정에서 결정될 수도 있다.
도 23은 쿠폰 생성시에 각 복권식 쿠폰의 혜택을 결정되는 실시예에서의 혜택 결정 과정을 보여준다. 본 실시예에 있어서, 각 복권식 쿠폰의 혜택은 쿠폰의 생성시에 미리 정해진 확률에 맞게 랜덤하게 결정된다. 이때, 쿠폰이 소진되지 않은 경우에만 쿠폰이 생성될 수 있다. 즉, 도 22의 표에서, "Total Picked Count"가 "쿠폰 갯수" 보다 작을 때에만 쿠폰이 생성된다.
먼저, 쿠폰 서버(100)는 소비자 단말기(300A)로부터 쿠폰 다운로드 요청이 수신되면, 다수의 사용자에게 동시에 쿠폰이 다운로드됨에 따라 도 22의 쿠폰발행정보 테이블(154)의 데이터에 혼란이 생기는 것을 방지하기 위하여, 각 혜택에 대한 현재의 확률정보를 메모리에 임시 저장하고, 쿠폰발행정보 테이블(154)에 대한 업데이터 잠금(Lock)을 실시한다(제450단계, 제452단계).
이러한 상태에서, 쿠폰 서버(100)는 총 쿠폰발행 매수 범위내에서 난수를 발생시킨다(제454단계). 예컨대, 위 예의 경우, 총 쿠폰발행 매수가 1000이므로 0~999까지의 범위내에서 난수를 발생시킨다.
이어서, 쿠폰 서버(100)는 재454단계에서 발생된 난수가 난수범위에 속하는 혜택레코드를 결정한다(제456단계). 예컨대, 발생된 난수가 45라고 가정하면, 이 난수는 난수범위가 30~999인 혜택ID=3의 혜택레코드에 해당하므로, "10& 할인" 혜택이 일단 선택된다.
제458단계에서는, 선택된 혜택레코드의 다운로드 횟수가 쿠폰 개수와 동일한지 비교함으로써, 선택된 레코드의 쿠폰이 소진되었는지를 판단한다. 만약 선택된 레코드의 쿠폰이 소진되었다면, 다음 ID에 해당하는 혜택레코드가 선택된다. 예컨대, 위 예에서 혜택ID=2의 혜택레코드에 대한 쿠폰이 소진되었다면, 다음 ID(=3)에 해당하는 혜택ID=3의 혜택레코드가 다시 선택된다(제460단계).
한편, 제458단계에서, 선택된 레코드의 쿠폰이 소진되지 않은 것으로 판단되는 경우에는 제450단계에서 임시로 저장한 확률정보를 현재의 확률정보와 비교하여 쿠폰발행정보 테이블(154)에 대한 업데이터 잠금이 유지되고 있는지를 판단한다(제462단계). 만약 임시로 저장한 확률정보와 현재의 확률정보가 서로 상이하다면, 해당 쿠폰 생성 프로세스를 에러처리하고 종료한다(제464단계).
그렇지만 제462단계에서 쿠폰발행정보 테이블(154)에 대한 업데이터 잠금이 유지되고 있는 것으로 판단되는 경우, 쿠폰 서버(100)는 쿠폰발행정보 테이블(154)에 대한 업데이터 잠금을 해제하고 "Total Picked Count"의 값을 증가시킴과 아울러 쿠폰을 생성한다. 그리고, 쿠폰 서버(100)는 선택된 레코드에 대한 다운로드 횟수와 그밖의 관련 필드를 업데이트하며, 생성된 쿠폰 정보를 쿠폰생성내역 테이블(156)에 저장한다(제466단계). 이어서, 생성된 쿠폰에 대한 쿠폰 데이터를 소비자 단말기(300A)에 전송하여, 쿠폰 데이터가 소비자 단말기(300A)에 저장되도록 한다(제468단계). 이때, 쿠폰의 혜택은 발행자가 설정한 비밀번호로 암호화되어 혜택이 노출되지 않도록 하게 된다. 또한, 상기 비밀번호는 MD5 또는 SHA1와 같은 일방향 해쉬함수를 이용하여 암호화될 수 있다.
한편, 본 실시예가 변형된 다른 실시예에 있어서는, 쿠폰 혜택이 쿠폰 생성시에 결정된 상태에서 소비자 단말기(300A)에 전송되지 않고 쿠폰 서버(100) 내에 저장되었다가, 쿠폰 사용 인증 과정에서 노출된 상태로 소비자 단말기(300A)에 제공될 수도 있다.
도 24 및 도 25는 쿠폰 사용시에 각 복권식 쿠폰의 혜택이 결정되는 실시예에서의 혜택 결정 과정을 보여준다. 본 실시예에 있어서도, 각 복권식 쿠폰의 혜택은 쿠폰의 생성시에 미리 정해진 확률에 맞게 랜덤하게 결정된다. 이때, 쿠폰이 소진되지 않은 경우에만 쿠폰이 생성될 수 있다.
먼저, 쿠폰 서버(100)는 각 혜택에 대한 현재의 확률정보를 메모리에 임시 저장하고, 쿠폰발행정보 테이블(154)에 대한 업데이터 잠금(Lock)을 실시한다(제470단계, 제472단계).
이어서, 제476단계에서는, 제470단계에서 임시로 저장한 확률정보를 현재의 확률정보와 비교하여 쿠폰발행정보 테이블(154)에 대한 업데이터 잠금이 유지되고 있는지를 판단한다. 만약 임시로 저장한 확률정보와 현재의 확률정보가 서로 상이하다면, 해당 쿠폰 생성 프로세스를 에러처리하고 종료한다(제478단계).
그렇지만 제476단계에서 쿠폰발행정보 테이블(154)에 대한 업데이터 잠금이 유지되고 있는 것으로 판단되는 경우에는, 쿠폰 서버(100)는 쿠폰발행정보 테이블(154)에 대한 업데이터 잠금을 해제하고 "Total Picked Count"의 값을 증가시킴과 아울러 혜택이 결정되지 않은 상태로 쿠폰을 생성한다. 그리고, 쿠폰 서버(100)는 선택된 레코드에 대한 다운로드 횟수와 그밖의 관련 필드를 업데이트하고, 혜택이 미결정된 쿠폰 정보를 쿠폰생성내역 테이블(156)에 저장한다(제480단계). 이어서, 생성된 쿠폰에 대한 쿠폰 데이터를 소비자 단말기(300A)에 전송하여, 쿠폰 데이터가 소비자 단말기(300A)에 저장되도록 한다(제482단계). 이때, 쿠폰 데이터에는 발행자가 설정한 비밀번호가 포함되어 있는데, 상기 비밀번호는 MD5 또는 SHA1와 같은 일방향 해쉬함수를 이용하여 암호화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쿠폰 데이터에는 혜택의 종류와 각 혜택별 확률 정보가 광고 ID 및 쿠폰 ID와 함께 포함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와 같은 상태에서, 해당 쿠폰에 대한 쿠폰 데이터는 쿠폰을 사용할 때 결정되어 소비자 단말기(300A)에 제공될 수 있다. 즉, 소비자 단말기(300A)는 소비자가 혜택이 미결정된 쿠폰에 대하여 사용 선택을 하는 경우 혜택 결정 요청 메시지를 쿠폰 서버(100)에 전송하여 쿠폰 혜택 데이터를 수신하게 된다. 쿠폰 서버(100)가 쿠폰 사용을 인증하는 경우에는, 혜택 결정 요청이 인증 요청 메시지에 포함되어 있을 수도 있다.
도 25를 참조하면, 소비자 단말기(300A)로부터 혜택 결정 요청 메시지가 수신되면(제484단계), 쿠폰 서버(100)의 쿠폰 인증부(136)는 혜택 결정 요청 메시지에 포함된 광고 ID와 쿠폰 ID를 사용하여 쿠폰 데이터를 조회한 다음, 쿠폰발행정보 테이블(154)에 대한 업데이터 잠금(Lock)을 실시한다(제486단계).
이러한 상태에서, 쿠폰 서버(100)는 총 쿠폰발행 매수 범위내에서 난수를 발생시킨다(제488단계). 예컨대, 위 예의 경우, 총 쿠폰발행 매수가 1000이므로 0~999까지의 범위내에서 난수를 발생시킨다.
이어서, 쿠폰 서버(100)는 재488단계에서 발생된 난수가 난수범위에 속하는 혜택레코드를 결정한다(제490단계). 예컨대, 발생된 난수가 45라고 가정하면, 이 난수는 난수범위가 10~29인 혜택ID=2의 혜택레코드에 해당하므로, "10& 할인" 혜택이 일단 선택된다.
제492단계에서는, 선택된 혜택레코드의 다운로드 횟수가 쿠폰 개수와 동일한지 비교함으로써, 선택된 레코드의 쿠폰이 소진되었는지를 판단한다. 만약 선택된 레코드의 쿠폰이 소진되었다면, 다음 ID에 해당하는 혜택레코드가 선택된다. 예컨대, 위 예에서 혜택ID=2의 혜택레코드에 대한 쿠폰이 소진되었다면, 다음 ID(=3)에 해당하는 혜택ID=3의 혜택레코드가 다시 선택된다(제494단계).
한편, 제492단계에서 선택된 레코드의 쿠폰이 소진되지 않은 것으로 판단되는 경우, 쿠폰 서버(100)는 쿠폰발행정보 테이블(154)에 대한 업데이터 잠금을 해제하고, 쿠폰발행정보 테이블(154)과 쿠폰생성 내역 테이블(156)을 업데이트한다(제496단계). 이어서, 쿠폰 서버(100)는 해당 쿠폰에 대한 혜택 데이터를 소비자 단말기(300A)에 전송하여, 혜택 데이터가 소비자 단말기(300A)에 저장될 수 있도록 한다(제498단계).
복권식 쿠폰의 혜택 노출 및 사용
복권식 쿠폰의 미공개된 혜택을 자유롭게 허용하는 경우, 사용자들이 무분별하게 쿠폰을 다운로드하여 혜택이 높은 쿠폰만을 사용하려는 경향을 조장할 수 있기 때문에, 미공개된 혜택의 노출을 제한하는 것이 필요하다.
바람직한 실시예에 있어서, 각 복권식 쿠폰의 미공개된 혜택에 대한 노출은 해당 쿠폰을 사용하고자 할 때(예컨대, 결제 단계에서) 일정한 사용 인증 절차를 밟은 후에 이루어진다.
도 26 내지 도 30을 참조하여 복권식 쿠폰의 혜택 노출 및 사용 방법을 설명한다.
도 26은 복권 발행자가 등록한 비밀번호에 의하여 사용 인증을 하는 실시예를 보여준다.
먼저, 소비자는 쿠폰 발행자의 매장을 방문해서 쿠폰지갑에 있는 쿠폰들 중에서 사용할 쿠폰을 선택하여 화면에 표출시키고, 자신의 단말기(300A)를 발행자에게 건네준다(제500단계). 발행자가 소비자 단말기(300A)에 비밀번호를 입력하고 돌려주면(제502단계), 쿠폰 화면에서 "확인" 버튼을 터치한다(제504단계).
소비자 단말기(300A)에서 실행되는 인증 프로그램은 단말기에 저장되어 있는 비밀번호와 입력된 비밀번호가 일치하는지를 판단한다(제506단계). 여기서 비밀번호의 비교는 원본 값으로 이루어질 수도 있고, 해쉬값으로 이루어질 수도 있다. 한편, 상기 인증 프로그램은 쿠폰 서버(100)에서 수신된 클라이언트 스크립트일 수도 있고, 별도로 설치되어 있는 응용프로그램일 수도 있다. 또 다른 실시예에 있어서는, 저장되어 있는 비밀번호와 입력된 비밀번호가 쿠폰 서버(100)로 전송되어, 쿠폰 서버(100)에서 비교가 이루어질 수도 있다.
제506단계에서 두 비밀번호가 일치하지 않는 것으로 판단되는 경우, 에러로 처리되어 인증 프로세스가 종료된다. 한편, 두 비밀번호가 일치하는 경우에는, 위에서 설명한 방식으로 결정된 쿠폰 혜택에 대한 미공개 상태가 해제되어 혜택 정보가 화면에 표출된다(제508단계). 이에 따라, 소비자는 표출된 쿠폰을 사용하여 그 혜택을 해당 매장에서 받을 수 있게 된다.
쿠폰 사용이 완료되면, 소비자 단말기(300A)는 현재 위치와 시각을 포함한 쿠폰 사용 메시지를 쿠폰 서버(100)에 전송하고, 쿠폰 서버(100)는 쿠폰사용 내역을 데이터베이스(150)에 반영하게 된다(제510단계). 한편, 서베이 질문이 등록되어 있는 경우, 쿠폰 서버(100)는 서베이 질문을 제시하고 소비자의 의사에 따라 답변을 받아들이게 된다(제512단계).
도 27은 서버의 관여 하에 쿠폰 사용 인증을 하는 실시예를 보여준다.
먼저 소비자가 쿠폰지갑에 있는 쿠폰들 중에서 사용할 쿠폰을 선택하여 화면에 표출시킨 상태에서 "쿠폰사용" 버튼을 터치하면, 사용승인 요청 메시지가 쿠폰 서버(100)로 전송된다(제520단계).
쿠폰 서버(100)는 인증을 위한 임시 테이블에 쿠폰 정보를 저장하고, 승인요청 목록에 해당 쿠폰 데이터를 추가한다(제522단계). 여기서, 상기 임시 테이블에 저장되는 쿠폰 정보는 쿠폰 ID, 광고 ID, 사용자 식별자, 소비자 단말기(300A)의 IP 주소 등이 포함될 수 있다.
한편, 제520단계에서 사용승인 요청 메시지를 전송한 후 소비자는 발행자에게 승인을 요구하게 된다. 이에 따라, 제524단계에서 발행자는 쿠폰 서버(100)에 접속하여 상기 승인요청 목록을 조회한 후 "확인" 버튼을 터치하게 되며, 이에 따라 발행자 단말기(526)는 승인동의 메시지를 서버(100)에 전송하게 된다(제524단계).
발행자 단말기(526)로부터 승인동의 메시지를 수신한 후, 쿠폰 서버(100)는 소비자 단말기(300A)에 사용승인 메시지를 전송한다(제526단계). 사용승인 메시지가 수신되면, 쿠폰 혜택에 대한 미공개 상태가 해제되어 혜택 정보가 화면에 표출된다(제528단계). 이에 따라, 소비자는 표출된 쿠폰을 사용하여 그 혜택을 해당 매장에서 받을 수 있게 된다.
쿠폰 사용이 완료되면, 소비자 단말기(300A)는 현재 위치와 시각을 포함한 쿠폰 사용 메시지를 쿠폰 서버(100)에 전송하고, 쿠폰 서버(100)는 쿠폰사용 내역을 데이터베이스(150)에 반영하게 된다(제530단계). 한편, 서베이 질문이 등록되어 있는 경우, 쿠폰 서버(100)는 서베이 질문을 제시하고 소비자의 의사에 따라 답변을 받아들이게 된다(제532단계).
한편, 본 실시예가 변형된 실시예에 있어서는 제520단계에서 쿠폰 서버(100)에 송신되는 사용승인 요청 메시지에 소비자 단말기(300A)에서 발생된 난수가 포함되고, 상기 사용승인 메시지를 통해 상기 난수가 반환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소비자 단말기(300A)는 최초의 난수와 반환된 난수를 비교하여 데이터의 완결성을 확인할 수 있다.
도 28은 소비자 단말기(300A)와 발행자 단말기(200)간의 블루투스에 의한 근거리 통신에 의하여 발행자 단말기(200)가 쿠폰 사용 인증을 하는 실시예를 보여준다. 본 실시예에 있어서, 소비자 단말기(300A)와 발행자 단말기(200)는 PAN(Personal Area Network Profile)을 이용하여 JSON(JavaScript Object Notation) 형식으로 인증에 필요한 데이터를 교환한다.
소비자가 쿠폰지갑에 있는 쿠폰들 중에서 사용할 쿠폰을 선택한 후에, 소비자 단말기(300A)는 광고 ID, 쿠폰 ID, 사용자 이름의 조합으로 세션 아이디(SessionID)를 생성하고 이를 Advertise한다(제540단계). 이러한 상태에서, 소비자 단말기(300A)는 발행자 단말기(200)가 해당 SessionID를 찾아 접속할 때까지 대기하게 된다.
이후, 발행자 단말기(200)가 소비자의 SessionID를 찾아 소비자 단말기(300A)에 연결하고, 발행자 단말기(200)에 의해 쿠폰 사용이 승인된다(제542단계). 변형된 실시예에서는 발행자 단말기(200)로부터 비밀번호가 자동으로 소비자 단말기(300A)에 전달되어 인증이 이루어질 수도 있다.
쿠폰 사용이 승인되면, 쿠폰 혜택에 대한 미공개 상태가 해제되어 혜택 정보가 화면에 표출된다(제544단계). 이에 따라, 소비자는 표출된 쿠폰을 사용하여 그 혜택을 해당 매장에서 받을 수 있게 된다.
쿠폰 사용이 완료되면, 소비자 단말기(300A)는 현재 위치와 시각을 포함한 쿠폰 사용 메시지를 쿠폰 서버(100)에 전송하고, 쿠폰 서버(100)는 쿠폰사용 내역을 데이터베이스(150)에 반영하게 된다(제546단계). 한편, 서베이 질문이 등록되어 있는 경우, 쿠폰 서버(100)는 서베이 질문을 제시하고 소비자의 의사에 따라 답변을 받아들이게 된다(제548단계).
도 29는 소비자 단말기(300A)와 발행자 단말기(200)간의 블루투스 및 NFC(Near Field Communication)에 의한 근거리 통신에 의하여 발행자 단말기(200)가 쿠폰 사용 인증을 하는 실시예를 보여준다.
소비자가 쿠폰지갑에 있는 쿠폰들 중에서 사용할 쿠폰을 선택한 후에, 소비자 단말기(300A)는 블루투스 MAC 어드레스와, 상기 선택된 쿠폰과 관련된 광고 ID 및 쿠폰 ID로 텍스트(Text)를 작성한다. 이어서, 소비자 단말기(300A)는 작성된 텍스트를 NDEF(NFC Data Exchange Format)을 이용하여 소비자 단말기의 NFC 태그에 저장 맵핑한다(제560단계). 이어서, 소비자 단말기(300A)에서 블루투스 서버가 구동되며(제562단계), 소비자 단말기(300A)는 발행자 단말기(200)의 터치를 기다리게 된다.
이와 같은 상태에서, 발행자는 발행자 단말기(200)를 소비자 단말기(300A)에 터치 또는 근접시키게 된다(제564단계). 이때, 발행자 단말기(200)는 소비자 단말기(300A)의 블루투스 세션을 바로 찾아 연결하고, 소비자 단말기(300A)의 NFC 태그에 저장된 정보들이 발행자 단말기(200)에 전달되고 발행자 단말기(200)에 의해 쿠폰 사용이 승인된다(제566단계). 변형된 실시예에서는 발행자 단말기(200)로부터 비밀번호가 자동으로 소비자 단말기(300A)에 전달되어 인증이 이루어질 수도 있다.
쿠폰 사용이 승인되면, 쿠폰 혜택에 대한 미공개 상태가 해제되어 혜택 정보가 화면에 표출된다(제568단계). 이에 따라, 소비자는 표출된 쿠폰을 사용하여 그 혜택을 해당 매장에서 받을 수 있게 된다.
쿠폰 사용이 완료되면, 소비자 단말기(300A)는 현재 위치와 시각을 포함한 쿠폰 사용 메시지를 쿠폰 서버(100)에 전송하고, 쿠폰 서버(100)는 쿠폰사용 내역을 데이터베이스(150)에 반영하게 된다(제570단계). 한편, 서베이 질문이 등록되어 있는 경우, 쿠폰 서버(100)는 서베이 질문을 제시하고 소비자의 의사에 따라 답변을 받아들이게 된다(제572단계).
도 30은 매장에 비치되어 있는 QR 코드에 의하여 쿠폰 사용 인증을 하는 실시예를 보여준다.
소비자는 쿠폰지갑에 있는 쿠폰들 중에서 사용할 쿠폰을 선택하고 "쿠폰 사용" 버튼을 터치한 다음, 단말기 카메라를 이용하여 QR 코드를 인식할 준비를 한다. 이러한 상태에서, 쿠폰 발행자는 자신의 단말기에 저장되어 있거나 인쇄된 형태로 되어 있는 QR 코드를 제시하게 된다(제580단계).
소비자가 카메라로 QR 코드를 촬영한 다음, 소비자 단말기(300A) 내에서 QR 코드가 인식되고 해석된다(제582단계). 이어서, 소비자 단말기(300A)에서 실행되는 인증 프로그램은 단말기에 저장되어 있는 쿠폰 정보와 QR 코드에서 인식된 쿠폰 정보가 일치하는지를 판단한다(제584단계). 두 쿠폰 정보가 일치하지 않는 것으로 판단되는 경우에는, 에러로 처리되어 인증 프로세스가 종료된다. 한편, 두 쿠폰 정보가 일치하는 경우에는, 위에서 설명한 방식으로 결정된 쿠폰 혜택에 대한 미공개 상태가 해제되어 혜택 정보가 화면에 표출된다(제586단계). 이에 따라, 소비자는 표출된 쿠폰을 사용하여 그 혜택을 해당 매장에서 받을 수 있게 된다.
쿠폰 사용이 완료되면, 소비자 단말기(300A)는 현재 위치와 시각을 포함한 쿠폰 사용 메시지를 쿠폰 서버(100)에 전송하고, 쿠폰 서버(100)는 쿠폰사용 내역을 데이터베이스(150)에 반영하게 된다(제588단계). 한편, 서베이 질문이 등록되어 있는 경우, 쿠폰 서버(100)는 서베이 질문을 제시하고 소비자의 의사에 따라 답변을 받아들이게 된다(제590단계).
이상에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은 그 기술적 사상이나 필수적 특징을 변경하지 않고서 다양한 방식으로 변형될 수 있고 다른 구체적인 형태로 실시될 수 있다. 그러므로, 이상에서 기술한 실시예들은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인 것이 아닌 것으로서 이해해야만 한다. 본 발명의 범위는 상기 상세한 설명보다는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에 의하여 나타내어지며, 특허청구범위의 의미 및 범위 그리고 그 등가개념으로부터 도출되는 모든 변경 또는 변형된 형태가 본 발명의 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Claims (13)

  1. 네트웍을 통해 단말기들이 접근할 수 있는 서버에서의 복권식 쿠폰 서비스 제공 방법으로서,
    (a) 발행자 단말기로부터 쿠폰발행정보를 받아들이고 데이터베이스에 저장하는 단계;
    (b) 소비자 단말기로부터 쿠폰 다운로드 요청을 받아들이고, 상기 쿠폰발행정보를 토대로 혜택이 미공개된 쿠폰을 생성해서 상기 소비자 단말기에 쿠폰 데이터를 전송하여 상기 소비자 단말기에 저장되도록 하는 단계; 및
    (c) 상기 소비자 단말기 및 상기 발행자 단말기 중 어느 하나로부터 상기 쿠폰에 대한 승인 요청 메시지를 받아들이고, 상기 소비자 단말기에 승인 메시지를 전송하여 상기 소비자 단말기에서 상기 쿠폰의 상기 혜택이 노출되도록 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복권식 쿠폰 서비스 제공 방법.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b)단계에서 상기 쿠폰을 생성할 때 상기 미공개된 혜택을 결정하고, 상기 혜택 정보를 상기 쿠폰 데이터에 포함시켜 상기 소비자 단말기에 전송하는 복권식 쿠폰 서비스 제공 방법.
  3.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b)단계에서 상기 쿠폰을 생성할 때 상기 미공개된 혜택을 결정하여 저장장치에 저장해두고, 상기 (c)단계에서 상기 혜택 정보를 상기 승인 메시지에 포함시켜 상기 소비자 단말기에 전송하는 복권식 쿠폰 서비스 제공 방법.
  4.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c)단계에서 상기 승인 요청 메시지를 받아들인 후에 상기 미공개된 혜택을 결정하고, 상기 혜택 정보를 상기 승인 메시지에 포함시켜 상기 소비자 단말기에 전송하는 복권식 쿠폰 서비스 제공 방법.
  5.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c)단계가
    (c1) 상기 소비자 단말기로부터 상기 쿠폰에 대한 승인 요청 메시지를 받아들이는 단계;
    (c2) 상기 발행자 단말기에 승인 요청 정보를 전송하고 승인 동의 메시지를 받아들이는 단계; 및
    (c3) 상기 발행자 단말기로부터 상기 승인 동의 메시지를 수신한 후에 상기 소비자 단말기에 상기 승인 메시지를 전송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복권식 쿠폰 서비스 제공 방법.
  6.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c)단계에서, 상기 승인 요청 메시지에 상기 소비자 단말기의 위치 정보가 포함되어 있으며,
    상기 소비자 단말기의 위치가 소정의 영역 내에 있지 않은 경우에는 상기 서버가 상기 승인 메시지를 통해서 상기 쿠폰의 사용을 거부하는 복권식 쿠폰 서비스 제공 방법.
  7. 네트웍을 통해 쿠폰 서버에 접근할 수 있는 소비자 단말기에 있어서,
    (a) 사용자 입력에 응답하여 상기 쿠폰 서버로부터 혜택이 미공개된 쿠폰에 관한 쿠폰 데이터를 받아들여 저장장치에 저장하는 단계;
    (b) 상기 사용자가 상기 쿠폰에 대한 사용을 선택하는 키입력을 하는 경우, 소정의 인증 절차를 통하여 상기 쿠폰의 유효성을 인증하는 단계; 및
    (c) 상기 (b)단계에서 상기 쿠폰이 유효한 것으로 판단된 경우, 상기 쿠폰의 상기 혜택이 표시장치를 통해 노출되도록 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복권식 쿠폰 인증 및 노출제어 방법.
  8. 청구항 7에 있어서,
    상기 쿠폰 데이터에 상기 쿠폰에 대한 제1 비밀번호가 노출되지 않은 상태로 포함되어 있으며,
    상기 (b)단계가
    (b1) 발행자가 키 입력하는 제2 비밀번호를 받아들이는 단계; 및
    (b2) 상기 제1 및 상기 제2 비밀번호를 비교하여, 상기 제1 및 상기 제2 비밀번호가 동일한 경우에 상기 쿠폰이 유효한 것으로 판단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복권식 쿠폰 인증 및 노출제어 방법.
  9. 청구항 7에 있어서,
    상기 (b)단계가
    (b1) 상기 사용자가 상기 쿠폰을 사용할 매장에 설치되어 있는 발행자 단말기에 상기 소비자 단말기가 무선통신에 의하여 쿠폰 식별정보를 포함한 인증 요청 메시지를 송신하는 단계; 및
    (b2) 상기 소비자 단말기가 상기 발행자 단말기로부터 인증 메시지를 수신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복권식 쿠폰 인증 및 노출제어 방법.
  10. 청구항 7에 있어서,
    상기 (b)단계가
    (b1) 사용자의 조작에 응답하여, 상기 소비자 단말기가 상기 쿠폰을 사용할 매장에 마련되어 있는 이미지 코드를 스캐닝하는 단계; 및
    (b2) 상기 쿠폰에 포함된 정보와 상기 이미지 코드에 포함된 정보를 비교하여 상기 쿠폰의 유효성을 인증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복권식 쿠폰 인증 및 노출제어 방법.
  11. 청구항 7에 있어서,
    (d) 상기 쿠폰 서버에 상기 쿠폰이 사용됨을 알리는 쿠폰 사용 메시지를 전송하는 단계;
    를 더 포함하는 복권식 쿠폰 인증 및 노출제어 방법.
  12. 청구항 11에 있어서,
    상기 쿠폰 사용 메시지에 상기 소비자 단말기의 위치 정보가 포함되는 복권식 쿠폰 인증 및 노출제어 방법.
  13. 청구항 7에 있어서, 상기 (b)단계가
    (b1) 상기 키입력을 받아들이는 단계;
    (b2) 상기 소비자 단말기의 지리적 위치를 결정하는 단계; 및
    (b3) 상기 소비자 단말기의 위치가 소정의 영역 내에 있지 않은 경우, 상기 쿠폰의 유효성에 대한 인증을 거부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복권식 쿠폰 인증 및 노출제어 방법.
KR1020130017240A 2012-02-16 2013-02-18 복권식 쿠폰 서비스 제공 방법과 이에 적합한 쿠폰 인증 방법 KR20130094760A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20015929 2012-02-16
KR1020120015929 2012-02-16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30094760A true KR20130094760A (ko) 2013-08-26

Family

ID=4898448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30017240A KR20130094760A (ko) 2012-02-16 2013-02-18 복권식 쿠폰 서비스 제공 방법과 이에 적합한 쿠폰 인증 방법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KR (1) KR20130094760A (ko)
WO (1) WO2013122444A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5119383A1 (ko) * 2014-02-05 2015-08-13 주식회사 케이티엠하우스 쿠폰 서비스 시스템 및 쿠폰 서비스 방법

Family Cites Familie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50053268A (ko) * 2003-12-02 2005-06-08 고승곤 이동 단말기를 이용한 복권형 전자쿠폰의 운용방법
KR20070020338A (ko) * 2005-08-15 2007-02-21 주식회사 키투넷솔루션 쿠폰 운용방법 및 시스템과 이를 위한 무선 단말 장치와,쿠폰 운용서버와, 프로그램 기록매체 및 정보 저장매체
KR20100060871A (ko) * 2008-11-28 2010-06-07 에스케이 텔레콤주식회사 쿠폰 이미지 관리 서버, 그를 이용한 쿠폰 서비스 제공 시스템 및 그 방법
KR101157735B1 (ko) * 2010-02-26 2012-06-25 신한카드 주식회사 가맹점 위치정보를 이용한 쿠폰 제공 방법 및 시스템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5119383A1 (ko) * 2014-02-05 2015-08-13 주식회사 케이티엠하우스 쿠폰 서비스 시스템 및 쿠폰 서비스 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WO2013122444A1 (ko) 2013-08-2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348126B1 (ko) 유저 인증의 용이화를 가능하게 하는 시스템, 서버 장치, 방법, 프로그램, 및 기록 매체
US8180289B1 (en) Public kiosk providing near field communication services
JP5686834B2 (ja) 画像配信サーバおよび画像配信方法
US20200219152A1 (en) Systems for Integrating Online Reviews with Point of Sale (POS) OR EPOS (Electronic Point of Sale) System
US20020049914A1 (en) Electronic service system using safe user information management scheme
JP2006268302A (ja) 決済方法及び決済システム
JP2013171496A (ja) 特典付与サービス管理システム
JP4963886B2 (ja) 取引システム、情報提供装置、情報提供方法及び情報提供処理プログラム
US20210174373A1 (en) Ticket validity confirmation device, method, and program
JP2006323728A (ja) サービスシステムおよび最適サービス提供方法
KR20130028216A (ko) 상품 이용후기 검색 시스템 및 방법
US20140229381A1 (en) Financial transaction relay system using mobile terminal
JP6940127B1 (ja) 管理システム、サーバ装置、プログラム及び方法
JP5809119B2 (ja) 電子チケット管理システム
JP5521949B2 (ja) ソーシャルネットワークサービスを利用して配布したクーポンの利用を管理するためのクーポン管理装置及び方法。
CN109493198A (zh) 服务评价管理方法、装置、系统及评价服务器
US20140032312A1 (en) Systems, methods, and computer program products for providing offers to mobile wallets
JP2014164450A (ja) クーポン発券システム、利用者装置のアプリケーションプログラム
KR20130094760A (ko) 복권식 쿠폰 서비스 제공 방법과 이에 적합한 쿠폰 인증 방법
JP2017097922A (ja) ユーザ認証の容易化を可能とするシステム、サーバ装置、方法、プログラムおよび記録媒体
JP2004246821A (ja) 情報システム
JP2020109691A (ja) 生成装置、生成方法及び生成プログラム
JP6619114B1 (ja) チケット管理システムおよびプログラム
JP7447413B2 (ja) 特典管理装置、コンピュータプログラム及び特典管理方法
KR102087977B1 (ko) 통합 쿠폰 관리 방법 및 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