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30093132A - 작업 차량 - Google Patents

작업 차량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30093132A
KR20130093132A KR1020137013191A KR20137013191A KR20130093132A KR 20130093132 A KR20130093132 A KR 20130093132A KR 1020137013191 A KR1020137013191 A KR 1020137013191A KR 20137013191 A KR20137013191 A KR 20137013191A KR 20130093132 A KR20130093132 A KR 20130093132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low rate
display
acting
hydraulic
maximum flow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3701319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코헤이 오카자키
나가히로 오가타
미츠히로 타카하시
Original Assignee
얀마 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얀마 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얀마 가부시키가이샤
Publication of KR2013009313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30093132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FDREDGING; SOIL-SHIFTING
    • E02F9/00Component parts of dredgers or soil-shifting machines, not restricted to one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E02F3/00 - E02F7/00
    • E02F9/20Drives; Control devices
    • E02F9/2025Particular purposes of control system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FDREDGING; SOIL-SHIFTING
    • E02F9/00Component parts of dredgers or soil-shifting machines, not restricted to one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E02F3/00 - E02F7/00
    • E02F9/26Indicating devices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FDREDGING; SOIL-SHIFTING
    • E02F3/00Dredgers; Soil-shifting machines
    • E02F3/04Dredgers; Soil-shifting machines mechanically-driven
    • E02F3/96Dredgers; Soil-shifting machines mechanically-driven with arrangements for alternate or simultaneous use of different digging elements
    • E02F3/963Arrangements on backhoes for alternate use of different tools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FDREDGING; SOIL-SHIFTING
    • E02F9/00Component parts of dredgers or soil-shifting machines, not restricted to one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E02F3/00 - E02F7/00
    • E02F9/20Drives; Control devices
    • E02F9/22Hydraulic or pneumatic drives
    • E02F9/2221Control of flow rate; Load sensing arrangements
    • E02F9/2225Control of flow rate; Load sensing arrangements using pressure-compensating valves
    • E02F9/2228Control of flow rate; Load sensing arrangements using pressure-compensating valves including an electronic controller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FDREDGING; SOIL-SHIFTING
    • E02F9/00Component parts of dredgers or soil-shifting machines, not restricted to one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E02F3/00 - E02F7/00
    • E02F9/26Indicating devices
    • E02F9/264Sensors and their calibration for indicating the position of the work tool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5FLUID-PRESSURE ACTUATORS; HYDRAULICS OR PNEUMATICS IN GENERAL
    • F15BSYSTEMS ACTING BY MEANS OF FLUIDS IN GENERAL; FLUID-PRESSURE ACTUATORS, e.g. SERVOMOTORS; DETAILS OF FLUID-PRESSURE SYSTEM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15B11/00Servomotor systems without provision for follow-up action; Circuits therefor
    • F15B11/16Servomotor systems without provision for follow-up action; Circuits therefor with two or more servomotor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ining & Mineral Resources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Fluid Mechanics (AREA)
  • Component Parts Of Construction Machinery (AREA)
  • Operation Control Of Excavators (AREA)
  • Fluid-Pressure Circuits (AREA)

Abstract

유압 액추에이터를 흐르는 작동유의 최대 유량과, 실제로 작업하고 있는 도중의 작동유의 유량을 확인할 수 있는 작업 차량을 제공한다. 어태치먼트를 장착 가능한 작업 장치(4)와; 작동유의 최대 유량을 설정하는 유량 제한 설정 수단(55)과; 작동유의 현재 유량을 계측하는 엔진 회전수 센서(52), 경사판 각도 센서(53) 및 밸브 개방도 센서(54)와; 단동식 혹은 복동식으로 절환하기 위한 절환 밸브(51)와; 작동유의 유량 및 상기 유압 액추에이터가 단동식 혹은 복동식 중 어느 것인지를 표시하기 위한 표시 장치(84)와; 유량 제한 설정 수단(55), 엔진 회전수 센서(52), 경사판 각도 센서(53), 밸브 개방도 센서(54), 절환 밸브(51), 및 표시 장치(84)와 접속하는 메인 제어 장치(16);를 구비하고, 표시 장치(84)에는 유량 제한 설정 수단(55)에 의해 설정한 최대 유량(Qmax)과 현재의 유량(q)을 동시에 표시한다.

Description

작업 차량{WORK VEHICLE}
본 발명은 복수의 유압 액추에이터를 구비하는 작업 차량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운전석 근방에 표시부를 마련하는 작업기에 관한 것이다.
종래, 작업 차량은 복수의 유압 액추에이터를 복수의 조작 레버 장치에 의해 조작함으로써 작업 차량에 구비되는 작업 장치에 원하는 동작이나 작업을 행하게 하도록 구성된다. 작업 장치는 그 작업 용도에 맞게 틸트 버킷(tilt bucket), 브레이커(breaker), 크람쉘(clamshell), 오가(auger), 그래플(grapple), 브러시 커터(brush cutter) 등의 어태치먼트(attachment)를 교환할 수 있는 구성이다. 여기에서, 각종 어태치먼트를 교환함에 따라 유압 액추에이터 내를 흐르는 작동유의 이미 설정된 최대 유량이 변화하므로, 그 설정된 유량을 작업자에게 알리기 위해, 미터 패널 등의 표시부를 운전석 근방에 마련하고, 표시부에 유압 액추에이터 내를 흐르는 작동유의 최대 유량을 표시하는 기술이 공지되어 있다.
특허 문헌 1: 일본 특허공개 2007-92763호 공보
그러나, 표시부에 작동유의 최대 유량을 표시한 경우라도, 실제로 작업하고 있는 도중의 작동유의 유량이 표시되지 않아, 실제로 작업하고 있는 도중의 작동유의 유량 변화를 실시간으로 작업자에게 알릴 수 없었다. 즉, 종래와 같이 최대 유량이 표시되는 것 만으로는, 작업자는 앞으로 어느 정도의 부하를 가하면 최대 유량을 초과하는지를 알 수 없었다.
따라서, 본 발명은 이와 같은 과제를 감안하여, 유압 액추에이터를 흐르는 작동유의 최대 유량과, 실제로 작업하고 있는 도중의 작동유의 유량을 확인할 수 있는 작업 차량을 제공한다.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는 이상과 같으며, 다음에 이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수단을 설명한다.
즉, 청구항 1에서는, 유압 액추에이터에 의해 동작하는 어태치먼트를 장착 가능한 작업 장치와, 상기 유압 액추에이터에 대해 공급/배출되는 작동유의 최대 유량을 설정하는 유량 제한 설정 수단과, 작동유의 현재의 유량을 계측하는 계측 수단과, 상기 유압 액추에이터의 종류에 따라 단동식 혹은 복동식으로 절환하기 위한 절환 설정 수단과, 작동유의 유량 및 상기 유압 액추에이터가 단동식 혹은 복동식 중 어느 것인지를 표시하기 위한 표시 수단과, 상기 유량 제한 설정 수단, 계측 수단, 절환 설정 수단, 및 표시 수단과 접속하는 메인 제어 장치를 구비하고, 상기 표시 수단에는 유량 제한 설정 수단에 의해 설정한 최대 유량과, 현재의 유량을 동시에 표시시킨다.
청구항 2에 있어서는, 상기 표시 수단에서 최대 유량 표시의 표시 혹은 비표시, 및 현재의 유량 표시의 표시 혹은 비표시를 선택할 수 있다.
청구항 3에 있어서, 상기 표시 수단에는 최대 유량 표시와 현재의 유량 표시가 수치로 표시된다.
청구항 4에 있어서, 상기 표시 수단에는 최대 유량 표시와 현재의 유량 표시가 도형으로 표시된다.
본 발명은 다음과 같은 효과를 나타낸다.
청구항 1에서는, 작동유의 최대 유량과 실제로 흐르고 있는 유량을 동시에 확인할 수 있다. 또한, 어태치먼트를 작동시키는 유압 액추에이터가 단동식인지 복동식인지 확인할 수 있다.
청구항 2에서는, 작업자가 최대 유량과 현재의 유량 중 알고 싶은 정보를 선택해 확인할 수 있다.
청구항 3에서는, 작동유의 최대 유량과 실제로 흐르고 있는 유량을 수치로 한 번에 확인할 수 있다.
청구항 4에서는, 작동유의 최대 유량과 실제로 흐르고 있는 유량을 도형으로 한 번에 확인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 형태에 따른 작업 차량의 전체적인 구성을 나타내는 측면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 형태에 따른 작업 차량의 조종부의 구성을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 형태에 따른 작업 차량의 표시 장치의 구성을 나타내는 정면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 형태에 따른 제어 구성을 나타내는 블록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 형태에 따른 표시 장치에 표시되는 화면 중 경고·에러 화면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6의 (a)는 본 발명의 일 실시 형태에 따른 표시 장치에 표시되는 화면 중 굴착 모드 화면을 나타내는 도면이고, (b)는 본 발명의 일 실시 형태에 따른 표시 장치에 표시되는 화면 중 메뉴 화면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7의 (a)는 본 발명의 일 실시 형태에 따른 표시 장치에 표시되는 화면 중 어태치먼트 화면을 나타내는 도면이고, (b)는 본 발명의 일 실시 형태에 따른 표시 장치에 표시되는 화면 중 어태치먼트 표시 화면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우선, 도 1 내지 도 3을 이용해, 본 발명의 일 실시 형태에 따른 작업 차량인 백호(backhoe)(1)에 대해 설명한다. 한편, 본 실시 형태에 있어서는 백호(1)를 작업 차량의 일 실시 형태로서 설명하지만, 작업 차량은 이것으로 한정하는 것이 아니라, 그 외의 농업 차량, 건설 차량, 산업 차량 등이라도 된다.
이하의 설명에서는 화살표 F 방향을 백호(1)의 앞 방향, 화살표 L 방향을 백호(1)의 왼쪽 방향으로 하여 전후 좌우 상하 방향을 규정해 설명한다.
백호(1)는 주로 주행 장치(2), 선회 장치(3), 및 작업 장치(4)를 구비한다.
주행 장치(2)는, 주로 좌우 한 쌍의 크롤러(crawler)(5·5), 유압 액추에이터인 좌측 주행용 유압 모터(5L), 및 유압 액추에이터인 우측 주행용 유압 모터(5R)를 구비한다.
주행 장치(2)는, 좌측 주행용 유압 모터(5L)에 의해 기체 좌측의 크롤러(5)를, 우측 주행용 유압 모터(5R)에 의해 기체 우측의 크롤러(5)를 각각 구동함으로써, 백호(1)를 전후진시키거나 혹은 진행 방향을 변경시킬 수 있다.
선회 장치(3)는 주로 선회대(6), 유압 액추에이터인 선회 모터(7), 조종부(8), 및 엔진(9)을 구비한다.
선회대(6)는 선회 장치(3)의 메인 구조체가 되는 것이다. 선회대(6)는 주행 장치(2)의 상방에 배치되고, 주행 장치(2)에 선회 가능하게 지지된다. 선회 장치(3)는 선회 모터(7)를 구동함으로써 당해 선회대(6)를 주행 장치(2)에 대해 선회시킬 수 있다. 또한, 선회대(6) 상에는 여러 가지의 조작구를 구비하는 조종부(8), 동력원이 되는 엔진(9) 등의 외에 도시하지 않은 작동유 탱크가 배치된다.
작업 장치(4)는 주로 붐(10), 아암(11), 버킷(12), 유압 액추에이터인 붐 실린더(13), 유압 액추에이터인 아암 실린더(14), 및 어태치먼트용 유압 액추에이터(15)인 버킷 실린더(15A)를 구비한다.
붐(10)은 그 일단부가 선회대(6)의 앞 부분에 피벗 지지되어, 신축 자재로 구동하는 붐 실린더(13)에 의해 회동된다. 보다 상세하게는, 붐 실린더(13)가 늘어나는 경우 붐(10)은 상방으로 회동되고, 붐 실린더(13)가 줄어드는 경우 붐(10)은 하방으로 회동된다.
아암(11)은 그 일단부가 붐(10)의 타단부에 피벗 지지되어, 신축 자재로 구동하는 아암 실린더(14)에 의해 회동된다. 보다 상세하게는, 아암 실린더(14)가 늘어나는 경우 아암(11)은 하방(아암(11)의 타단측이 붐(10)에 근접하는 방향)으로 회동되고, 아암 실린더(14)가 줄어드는 경우 아암(11)은 상방(아암(11)의 타단측이 붐(10)으로부터 이간하는 방향)으로 회동된다.
버킷(12)은 어태치먼트의 일례로서, 그 일단부가 아암(11)의 타단부에 지지되어, 신축 자재로 구동하는 어태치먼트용 유압 액추에이터(15)의 일종인 버킷 실린더(15A)에 의해 회동된다. 보다 상세하게는, 버킷 실린더(15A)가 늘어나는 경우 버킷(12)은 하방(버킷(12)의 타단측이 아암(11)에 근접하는 방향)으로 회동되고, 버킷 실린더(15A)가 줄어드는 경우 버킷(12)은 상방(버킷(12)의 타단측이 아암(11)으로부터 이간하는 방향)으로 회동된다.
붐 실린더(13), 아암 실린더(14) 및 버킷 실린더(15A)는 작동유에 의해 동작하게 된다. 선회대(6) 상에 마련된 도시하지 않은 작동유 탱크 내의 작동유를 컨트롤 밸브(41)(도 4 참조)를 개재하여 붐 실린더(13), 아암 실린더(14) 및 어태치먼트용 유압 액추에이터(15)의 일종인 버킷 실린더(15A)로 보냄으로써, 붐(10), 아암 실린더(14) 및 버킷 실린더(15A)가 작동하게 된다.
어태치먼트는 틸트 버킷, 브레이커, 크람쉘, 오가, 그래플, 브러시 커터 등이며, 버킷(12) 대신에 장착할 수 있다. 어태치먼트를 움직이는 유압 실린더나 유압 모터 등의 어태치먼트용 유압 액추에이터(15)는, 어태치먼트의 종류에 따라 단동식 혹은 복동식의 어느 하나로 구성된다. 단동식의 어태치먼트용 유압 액추에이터(15)는 압유를 공급하는 작동 유로를 하나 구비하며, 피스톤을 한 방향으로 구동하고 역방향은 자중(自重) 또는 탄성 부재 등에 의해 동작시키는 유압 실린더, 또는, 한 방향으로만 회전 구동시키는 유압 모터이다. 또한, 복동식의 어태치먼트용 유압 액추에이터(15)는 압유를 공급하는 작동 유로를 두 개 구비하며, 피스톤 양쪽의 방에 압유를 공급 가능하게 하여 연신 동작 및 압축 동작을 행할 수 있는 유압 실린더, 또는, 정회전 구동 또는 역회전 구동을 가능하게 하는 유압 모터이다. 버킷 실린더(15A)는 복동식의 어태치먼트용 유압 액추에이터(15)이다. 단동식과 복동식 사이의 선택은, 절환 설정 수단인 절환 밸브(51)(도 4 참조)에 의해 행해진다.
또한, 백호(1)는 유압 펌프(40)(도 4 참조)를 구비한다. 유압 펌프(40)는 엔진(9)에 의해 구동되어 작동유를 토출한다. 유압 펌프(40)는 도시하지 않은 가동 경사판의 경사판 각도를 변경함으로써 토출량을 변경 가능하게 구성한 가변 용량형 펌프이다. 또한, 도 4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유압 펌프(40)와 접속된 작동 유로 내에는, 방향 절환 밸브(밸브)의 스풀(spool)을 움직이기 위한 절환 밸브(51)가 마련되어 있다.
도 2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조종부(8)에는 대략 중앙에 조종석(81)이 마련되고, 그 좌우 양측에 우측 조작 레버 장치(82) 및 좌측 조작 레버 장치(83)가 배치된다. 각 조작 레버 장치를 조작함으로써 컨트롤 밸브(41)를 조작 가능하게 구성하고, 컨트롤 밸브(41)를 조작함으로써 선회 모터(7), 붐 실린더(13), 아암 실린더(14) 및 버킷 실린더(15A)를 작동시킨다. 조종석(81)의 좌우 한 쪽(본 실시 형태에서는 오른쪽)에는 표시 수단인 표시 장치(84)가 마련된다. 표시 장치(84)는 표시 부분이 조종석(81)에 착석한 조종자와 대향하도록 배치된다. 또한, 조종부(8)에는, 엔진(9)의 스로틀 개방도를 변경하는 도시하지 않은 스로틀 조정구(스로틀 레버 또는 다이얼)가 구비된다. 조종자는 스로틀 조정구를 조작함으로써 엔진(9)의 출력을 변경할 수 있다.
도 2 및 도 3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표시 장치(84)는 프레임(84a), 점등 표시부(84b), 화상 표시부(84c), 화면 조작부(84d), 표시 제어부(84e)(도 4 참조)를 구비한다.
프레임(84a)은 측면에서 보았을 때 대략 L자의 상자 형상으로 형성된다. 프레임(84a)은 그 단변부가 조종석(81)과 대향하도록 단부가 상방을 향해 조종석(81)의 우측 측방에 배치된다.
점등 표시부(84b)는 프레임(84a)의 단변부 상측 부분에 마련된다. 점등 표시부(84b)에는 백호(1)의 동작 상태나 경고의 유무 등을 나타내는 복수의 도형이 표시되고, 각 도형에 점등 부재로서 LED가 배치된다. 점등 표시부(84b)는 소정의 조건에서 대응하는 LED가 점등함으로써 특정 도형만이 점등한다. 이와 같이 하여, 점등 표시부(84b)는 조종자에게 정보를 전달 가능하도록 구성된다. 한편, 본 실시 형태에서 점등 표시부(84b)는 LED를 점등시켜 표시하는 것으로 했지만, 이것으로 한정되는 것이 아니고, 점등 제어할 수 있는 광원이면 된다.
화상 표시부(84c)는 프레임(84a)의 단변 부분에서 점등 표시부(84b)의 하측 부분에 배치된다. 화상 표시부(84c)는 정보를 표시하는 액정 화면으로 구성된다. 화상 표시부(84c)는, 후술하는 화면 조작부(84d)의 조작에 의해 액정 화면을 각 작업 모드에 부합하는 표시로 절환하여 백호(1)의 가동 상태를 확인할 수 있다. 이와 같이 하여, 화상 표시부(84c)는 조종자에게 정보를 전달 가능하도록 구성된다. 한편, 본 실시 형태에서 화상 표시부(84c)는 액정 화면에 의해 표시하는 것으로 했지만, 이것으로 한정되는 것이 아니고, 복수의 정보를 임의로 표시할 수 있는 것이면 된다.
화면 조작부(84d)는 프레임(84a)의 단변 부분에서 화상 표시부(84c)의 하측 부분에 배치된다. 화면 조작부(84d)는 복수의 조작 버튼을 구비한다. 화면 조작부(84d)는 조작 버튼을 조작함으로써 화상 표시부(84c)에 표시되는 화면을 선택 가능하게 구성된다.
표시 제어부(84e)는 점등 표시부(84b) 및 화상 표시부(84c)의 제어를 행하는 것이다. 표시 제어부(84e)는, 점등 표시부(84b) 및 화상 표시부(84c)와 근접하는 프레임(84a)의 내부에, 또는 후술하는 메인 제어 장치(16)와 일체적으로 구성된다(도 4 참조).
다음으로, 도 4를 이용해, 본 발명에 따른 백호(1)가 구비하는 메인 제어 장치(16), 및 표시 장치(84)가 구비하는 표시 제어부(84e)에 대해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도 4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메인 제어 장치(16)는 엔진(9)이나 유압 장치 등을 제어하는 것이다. 메인 제어 장치(16)에는 엔진(9)이나 유압 장치 등을 제어하기 위해 여러 가지 프로그램이 저장된다. 또한, 메인 제어 장치(16)는 이들 프로그램 등에 따라 소정의 연산을 행할 수 있고, 당해 연산의 결과 등을 기억할 수 있다.
메인 제어 장치(16)는, 실체적으로는, CPU, ROM, RAM, HDD 등이 버스로 접속되는 구성이어도 되고, 혹은 원칩의 LSI 등으로 이루어지는 구성이라도 된다.
메인 제어 장치(16)는 엔진(9)에 마련되는 엔진 회전수 센서(52)나 연료 분사 장치에 접속되어, 엔진(9)을 제어하는 것이 가능하다.
메인 제어 장치(16)는 연료계(17)에 접속되어, 연료계(17)가 검출하는 도시하지 않은 연료 탱크 내의 연료 잔량(Fl)을 취득하는 것이 가능하다.
메인 제어 장치(16)는 수온계(18)에 접속되어, 수온계(18)가 검출하는 엔진(9)의 냉각수 온도(T)를 취득하는 것이 가능하다.
메인 제어 장치(16)는 유압 펌프(40)에 마련되는 경사판 각도 센서(53)나 도시하지 않은 압력 센서 등에 접속되어, 유압 펌프(40)의 가동 경사판의 각도 등을 제어하는 것이 가능하다.
메인 제어 장치(16)는 컨트롤 밸브(41)에 마련되는 컨트롤 밸브(41)의 스풀 스트로크를 검지하거나, 또는 스풀을 작동시키는 파일럿 압력을 검지하는 밸브 개방도 센서(54)에 접속되어, 컨트롤 밸브(41)의 개방도를 취득하는 것이 가능하다. 한편, 전자 비례 밸브를 이용한 경우는 제어 전류치에 의해 지시 유량을 취득하는 것이 가능하다.
메인 제어 장치(16)는 절환 밸브(51)에 접속되어, 방향 절환 밸브(밸브)의 스풀을 움직여 작동유가 흐르는 방향을 절환할 수 있다.
메인 제어 장치(16)는 유량 제한 설정 수단(55)에 접속되어, 예를 들면, 브레이커를 사용하는 경우에는 어태치먼트에 부합한 어태치먼트용 유압 액추에이터(15)에 대해 공급/배출되는 작동유의 최대 유량(Qmax)을 설정하는 것이 가능하다.
유량 제한 설정 수단(55)은 메인 제어 장치(16)에 미리 기억된 제어 맵을 사용하여, 브레이커에 대해 공급/배출되는 작동유의 최대 유량(Qmax)을 가변 설정한다.
메인 제어 장치(16)는 변환 스위치(56)에 접속되어, 변환 스위치(56)가 조작됨으로써 절환 밸브를 '단동' 또는 '복동'의 어느 상태로 하는지에 대한 절환 정보가 메인 제어 장치(16)로 송신된다.
메인 제어 장치(16)는 엔진 회전수 센서(52)로부터 보내지는 엔진 회전수 정보, 경사판 각도 센서(53)로부터 입력되는 경사판 각도 정보, 및 밸브 개방도 센서(54)로부터 입력되는 밸브 개방도 정보를 이용해, 현재 작동유의 유량(q)을 연산하는 것이 가능하다.
메인 제어 장치(16)는 표시 장치(84)의 표시 제어부(84e)에 접속되어, 표시 제어부(84e)에 경고·에러 정보, 연료 잔량(Fl), 및 냉각수 온도(T), 절환 밸브(51)의 상태 정보, 작동유의 최대 유량(Qmax), 현재 작동유의 유량(q) 등에 대한 신호를 전달하고, 표시 제어부(84e)의 제어에 의해 점등 표시부(84b) 또는 화상 표시부(84c)에서 소정의 표시를 행한다.
다음으로, 표시 장치(84)가 구비하는 표시 제어부(84e)에 대해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표시 제어부(84e)는 표시 장치(84)를 제어하는 것이다. 표시 제어부(84e)에는 표시 장치(84)를 제어하기 위해 여러 가지 프로그램이 저장된다. 또한, 표시 제어부(84e)는 이들 프로그램 등에 따라 소정의 연산을 행할 수 있고, 당해 연산의 결과 등을 기억하는 기억부(84f)를 갖는다.
표시 제어부(84e)는, 실체적으로는, CPU, ROM, RAM, HDD 등이 버스로 접속되는 구성이라도 되고, 혹은 원칩의 LSI 등으로 이루어지는 구성이라도 된다. 또한, 표시 제어부(84e)는, 본 실시 형태에서 후술하는 메인 제어 장치(16)와 별도의 구성으로 했지만, 이것으로 한정되지 않고 메인 제어 장치(16)와 일체적으로 구성되어도 된다.
표시 제어부(84e)는 점등 표시부(84b)에 접속되어, 점등 표시부(84b)에 제어 신호를 전달하는 것이 가능하다. 즉, 표시 제어부(84e)는 표시 장치(84)의 점등 표시부(84b)에 제어 신호를 전달함으로써 점등 표시부(84b)에서의 소정의 LED를 점등시키는 것이 가능하다.
표시 제어부(84e)는 메인 제어 장치(16)에 접속되어, 메인 제어 장치(16)로부터의 연료 잔량(Fl), 냉각수 온도(T), 경고, 에러 정보, 절환 밸브의 상태 정보, 작동유의 최대 유량(Qmax), 및 현재 작동유의 유량(q) 등의 정보를 취득하는 것이 가능하다. 또한, 표시 제어부(84e)는 화상 표시부(84c) 및 화면 조작부(84d)에 접속되어, 화상 표시부(84c)에 제어 신호를 전달하고, 화면 조작부(84d)로부터의 입력 신호를 취득하는 것이 가능하다. 즉, 표시 제어부(84e)는 화상 표시부(84c)에 제어 신호를 전달함으로써 화상 표시부(84c)에 백호(1)의 가동 상태에 대한 정보를 표시시키는 것이 가능하다.
다음으로, 도 5 및 도 6을 이용해, 표시 장치(84)의 표시 제어부(84e)에 의해 화상 표시부(84c)에 표시되는 정보에 대해 설명한다.
표시 제어부(84e)는, 엔진(9)을 시동할 때, 메인 제어 장치(16)로부터 표시할 경고·에러의 제어 신호를 취득하면, 도 5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당해 제어 신호에 기초해 소정의 도형 및 메뉴얼의 해당 페이지 등으로 이루어지는 경고·에러 화면(85)을 화상 표시부(84c)에 표시한다.
표시 제어부(84e)는, 경고·에러 화면(85)을 표시한 후, 도 6의 (a)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굴착 작업시에 표시되는 굴착 모드 화면(86)을 화상 표시부(84c)에 표시한다. 굴착 모드 화면(86)에는 시각, 가동 시간, 조작 패턴, 연료 잔량(Fl), 및 냉각수 온도(T)에 대한 정보가 표시된다. 한편, 굴착 모드 화면 표시 중에 경고 에러가 발생한 경우는, 경고·에러 화면(85)을 화상 표시부(84c)에 표시한다.
표시 제어부(84e)는, 화면 조작부(84d)의 메뉴 버튼의 조작에 의해 입력되는 입력 신호를 취득하면, 도 6의 (b)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메뉴 화면(87)을 화상 표시부(84c)에 표시한다. 메뉴 화면(87)에는 복수의 모드 선택 버튼이 표시되어, 모드 선택 버튼을 선택함으로써 메뉴 화면(87)으로부터 대응하는 모드 화면으로 절환 가능하게 구성된다.
다음으로, 도 7을 이용해 어태치먼트 표시 화면(88)에 대해 설명한다.
메뉴 화면(87)에서 어태치먼트 모드의 모드 선택 버튼을 선택함으로써, 작동유의 최대 유량(Qmax), 작동유의 현재 유량(q), 및 절환 밸브(51)의 상태 정보(어태치먼트용 유압 액추에이터(15)가 단동식인지 복동식인지의 정보)를 나타내는 화면(이하, 어태치먼트 표시 화면(88)이라고 한다)이 표시된다.
어태치먼트 표시 화면(88)에서, 표시 제어부(84e)는 최대 유량(Qmax) 및 최대 유량(Qmax)에 대한 현재 유량(q)의 비율, 및 어태치먼트용 유압 액추에이터(15)가 단동식인지 복동식인지의 정보를 하나의 프레임 내에 표시한다. 본 실시 형태에 있어서는, 상기 정보는 화면의 중단 우측에 표시된다.
표시 제어부(84e)는, 도 7의 (a)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최대 유량(Qmax) 표시를 수치로 표시하고, 최대 유량(Qmax)에 대한 현재 유량(q)의 비율을 도형(그래프)으로 표시한다. 여기에서, 최대 유량(Qmax)에 대한 현재 유량(q)의 비율은 막대 그래프를 등분한 10개의 칸(mass)으로 나타내고, 10% 상승할 때마다 하나의 막대가 점등하도록 구성하였다. 최대 유량(Qmax)의 수치 및 최대 유량(Qmax)에 대한 현재 유량(q)의 비율을 나타내는 도형은 동시에 표시된다. 이와 같이 구성함으로써 작동유의 최대 유량(Qmax)과 실제로 흐르고 있는 유량(q)을 동시에 확인할 수 있다. 한편, 작동유의 최대 유량(Qmax)과 실제로 흐르고 있는 유량(q)의 표시는 막대 그래프로 한정하는 것은 아니고, 원 그래프 등으로 나타낼 수도 있다. 또한, 막대 그래프의 등분은 10개로 한정하는 것은 아니다.
또한, 도 7의 (b)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표시 제어부(84e)는 최대 유량(Qmax) 및 최대 유량(Qmax)에 대한 현재 유량(q)의 비율을 수치로 표시할 수도 있다. 여기에서 최대 유량(Qmax)에 대한 현재 유량(q)의 비율은 백분율로 표시된다. 최대 유량(Qmax) 및 최대 유량(Qmax)에 대한 현재 유량(q)의 비율을 나타낸 수치는 동시에 표시된다. 이와 같이 구성함으로써, 작동유의 최대 유량(Qmax)과 실제로 흐르고 있는 유량(q)을 동시에 확인할 수 있다.
또한, 표시 제어부(84e)는 어태치먼트용 유압 액추에이터(15)가 단동식인지 복동식인지의 정보를 도형으로 표시한다. 여기에서 어태치먼트용 유압 액추에이터(15)가 단동식인지 복동식인지의 정보는, 어태치먼트용 유압 액추에이터(15)의 일러스트와 그 상부에 표시되는 2개의 화살표의 표시로 나타낸다. 어태치먼트용 유압 액추에이터(15)가 단동식인 경우에는 도 7의 (a)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하향 화살표가 하나 표시된다. 어태치먼트용 유압 액추에이터(15)가 복동식인 경우에는 도 7의 (b)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상향 및 하향 화살표가 표시된다. 예를 들면, 어태치먼트가 버킷(12)이며, 어태치먼트용 유압 액추에이터(15)가 복동식의 버킷 실린더(15A)인 경우에는, 상향 및 하향 화살표가 표시된다. 이와 같이 구성함으로써, 어태치먼트용 유압 액추에이터(15)가 단동식인지 복동식인지를 확인할 수 있다.
또한, 표시된 최대 유량(Qmax)의 수치, 최대 유량(Qmax)에 대한 현재 유량(q)의 비율을 나타내는 도형, 및 어태치먼트용 유압 액추에이터(15)가 단동식인지 복동식인지의 정보를 나타내는 도형은, 표시 혹은 비표시를 조작 버튼에 의해 선택할 수 있다. 조작 버튼에 의해 표시 혹은 비표시가 선택되면, 제어부는 표시부에 표시된 최대 유량(Qmax)의 수치, 최대 유량(Qmax)에 대한 현재 유량(q)의 비율을 나타낸 도형, 및 어태치먼트용 유압 액추에이터(15)가 단동식인지 복동식인지의 정보를 나타내는 도형을 표시하거나 혹은 비표시로 한다.
이상과 같이, 백호(1)는 유압 액추에이터에 의해 동작하는 어태치먼트를 장착 가능한 작업 장치(4)와; 유압 액추에이터에 대해 공급/배출되는 작동유의 최대 유량을 설정하는 유량 제한 설정 수단(55)과; 작동유의 현재 유량을 계측하는 엔진 회전수 센서(52), 경사판 각도 센서(53), 및 밸브 개방도 센서(54)와; 유압 액추에이터의 종류에 따라 단동식 혹은 복동식으로 절환하기 위한 절환 밸브(51)와; 작동유의 유량 및 상기 유압 액추에이터가 단동식 혹은 복동식의 어느 것인지를 표시하기 위한 표시 장치(84)와; 유량 제한 설정 수단(55), 엔진 회전수 센서(52), 경사판 각도 센서(53), 밸브 개방도 센서(54), 절환 밸브(51), 및 표시 장치(84)를 접속하는 메인 제어 장치(16);를 구비하고, 표시 장치(84)에는 유량 제한 설정 수단(55)에 의해 설정한 최대 유량(Qmax)과 현재의 유량(q)을 동시에 표시시킨다.
이와 같이 구성함으로써, 작동유의 최대 유량(Qmax)과 실제로 흐르고 있는 유량(q)을 동시에 확인할 수 있다. 또한, 어태치먼트가 단동식인지 복동식인지를 확인할 수 있다.
또한, 표시 장치(84)에서, 최대 유량(Qmax)의 표시 혹은 비표시, 및 현재 유량(q)의 표시 혹은 비표시를 선택 가능하게 한다.
이와 같이 구성함으로써, 작업자가 최대 유량(Qmax)과 현재의 유량(q) 중 알고 싶은 정보를 선택해 확인할 수 있다.
또한, 표시 장치(84)에는, 최대 유량(Qmax)의 표시와 현재 유량(q)의 표시가 수치로 표시된다.
이와 같이 구성함으로써, 작동유의 최대 유량(Qmax)과 실제로 흐르고 있는 유량(q)을 한 번에 확인할 수 있다.
또한, 표시 장치(84)에는, 최대 유량(Qmax)의 표시와 현재 유량(q)의 표시가 도형으로 표시된다.
이와 같이 구성함으로써, 작동유의 최대 유량(Qmax)과 실제로 흐르고 있는 유량(q)을 한 번에 확인할 수 있다.
〈산업상의 이용 가능성〉
본 발명은, 복수의 유압 액추에이터를 구비하는 작업 차량에 이용할 수 있다.
7 선회 모터(유압 액추에이터)
9 엔진
13 붐 실린더(유압 액추에이터)
14 암 실린더(유압 액추에이터)
15 어태치먼트용 유압 액추에이터
15A 버킷 실린더
81 조종석
84c 화상 표시부
84e 제어부

Claims (4)

  1. 유압 액추에이터에 의해 동작하는 어태치먼트를 장착 가능한 작업 장치와,
    상기 유압 액추에이터에 대해 공급/배출되는 작동유의 최대 유량을 설정하는 유량 제한 설정 수단과,
    작동유의 현재의 유량을 계측하는 계측 수단과,
    상기 유압 액추에이터의 종류에 따라 단동식 혹은 복동식으로 절환하기 위한 절환 설정 수단과,
    작동유의 유량 및 상기 유압 액추에이터가 단동식 혹은 복동식의 어느 것인지를 표시하기 위한 표시 수단과,
    상기 유량 제한 설정 수단, 계측 수단, 절환 설정 수단, 및 표시 수단과 접속하는 메인 제어 장치를 구비하고,
    상기 표시 수단에는, 유량 제한 설정 수단에 의해 설정한 최대 유량 및 현재의 유량을 동시에 표시시키는 작업 차량.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표시 수단에는, 최대 유량 표시와 현재의 유량 표시가 절환 가능하게 표시되는 작업 차량.
  3.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표시 수단에는, 최대 유량 표시와 현재의 유량 표시가 수치로 표시되는 작업 차량.
  4.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표시 수단에는, 최대 유량 표시와 현재의 유량 표시가 도형으로 표시되는 작업 차량.
KR1020137013191A 2010-10-27 2011-10-20 작업 차량 KR20130093132A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2010241554A JP5669520B2 (ja) 2010-10-27 2010-10-27 作業車両
JPJP-P-2010-241554 2010-10-27
PCT/JP2011/074193 WO2012056993A1 (ja) 2010-10-27 2011-10-20 作業車両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30093132A true KR20130093132A (ko) 2013-08-21

Family

ID=4599370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37013191A KR20130093132A (ko) 2010-10-27 2011-10-20 작업 차량

Country Status (6)

Country Link
US (1) US9181681B2 (ko)
EP (1) EP2634316B1 (ko)
JP (1) JP5669520B2 (ko)
KR (1) KR20130093132A (ko)
CN (1) CN103180523B (ko)
WO (1) WO2012056993A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70000174U (ko) * 2015-07-01 2017-01-11 마린 하이드로텍 가부시키가이샤 선박의 유압 기기의 감시 장치
KR20180105368A (ko) * 2017-03-15 2018-09-28 두산인프라코어 주식회사 건설기계의 어태치먼트 유량 설정 방법

Families Citing this family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5526197B2 (ja) * 2012-08-10 2014-06-18 株式会社小松製作所 モニタ装置およびこれを備えた作業車両
CN102852183B (zh) * 2012-09-07 2016-01-20 三一重机有限公司 一种挖掘机油耗显示控制系统及其控制方法及挖掘机
KR101575090B1 (ko) 2014-04-28 2015-12-08 대모 엔지니어링 주식회사 굴삭기 옵션 작업장치용 파이핑키트 컨트롤러
JPWO2020202986A1 (ko) * 2019-03-30 2020-10-08
JP7445619B2 (ja) 2021-03-30 2024-03-07 ヤンマーホールディングス株式会社 作業機械用表示制御システム、作業機械用表示システム、作業機械、作業機械用表示制御方法及び作業機械用表示制御プログラム
JP2024005169A (ja) * 2022-06-30 2024-01-17 ヤンマーホールディングス株式会社 建設機械の表示制御装置

Family Cites Families (1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4702335A (en) * 1985-05-28 1987-10-27 Trw Inc. Control apparatus for a power assist steering system
JP4519315B2 (ja) 2000-12-28 2010-08-04 株式会社小松製作所 建設機械の圧油流量制御装置
JP3963317B2 (ja) * 2002-09-25 2007-08-22 株式会社小松製作所 油圧ショベルの付属作業具油圧回路の単動―複動回路セレクタバルブの設置構造
JP4817620B2 (ja) * 2004-07-05 2011-11-16 日立建機株式会社 建設機械の表示装置
JP4494318B2 (ja) 2005-09-26 2010-06-30 株式会社クボタ 作業機
JP4873945B2 (ja) * 2005-12-15 2012-02-08 日立建機株式会社 油圧作業機械の流量制御装置
KR101358570B1 (ko) * 2006-12-28 2014-02-04 히다찌 겐끼 가부시키가이샤 유압식 주행 차량의 주행 제어 장치
CA2618913A1 (en) * 2007-01-17 2008-07-17 Muncie Power Products, Inc. Electrohydraulic control system for a vehicle
KR101210005B1 (ko) 2007-09-03 2012-12-07 현대중공업 주식회사 건설기계의 오일 상태 진단장치 및 그 방법
JP4700077B2 (ja) * 2008-03-26 2011-06-15 株式会社クボタ 作業機の表示装置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70000174U (ko) * 2015-07-01 2017-01-11 마린 하이드로텍 가부시키가이샤 선박의 유압 기기의 감시 장치
KR20180105368A (ko) * 2017-03-15 2018-09-28 두산인프라코어 주식회사 건설기계의 어태치먼트 유량 설정 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20130218425A1 (en) 2013-08-22
JP5669520B2 (ja) 2015-02-12
EP2634316A4 (en) 2017-09-06
EP2634316B1 (en) 2018-08-29
CN103180523A (zh) 2013-06-26
US9181681B2 (en) 2015-11-10
JP2012092587A (ja) 2012-05-17
EP2634316A1 (en) 2013-09-04
CN103180523B (zh) 2016-01-27
WO2012056993A1 (ja) 2012-05-0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130093132A (ko) 작업 차량
US8340874B2 (en) Construction equipment including rear view camera
US20100275589A1 (en) Electro-Hydraulic Auxiliary Mode Control
CA2716175C (en) Carrier and backhoe control system and method
JP4494318B2 (ja) 作業機
JPWO2017047654A1 (ja) ショベル
JP6676827B2 (ja) 作業機械
US8862274B2 (en) Electro-hydraulic auxiliary control with operator-selectable flow setpoint
KR102506637B1 (ko) 쇼벨
EP3666979A9 (en) Shovel, display device of shovel, and method for displaying shovel
JP6514345B2 (ja) 作業機械の管理装置
EP3647571B1 (en) Work machine
KR101846030B1 (ko) 건설기계의 어태치먼트 제어장치
JP7267996B2 (ja) 建設機械
US20240159020A1 (en) Work Machine Display Control System, Work Machine Display System, Work Machine, Work Machine Display Control Method, And Work Machine Display Control Program
WO2012053534A1 (ja) 作業車両
JP2011231468A (ja) 作業機の油圧制御システム
JP5781971B2 (ja) 作業車両
WO2015016134A1 (ja) 建設機械
JP7324703B2 (ja) 建設機械
WO2022176654A1 (ja) 作業機械の表示システム
JP7051675B2 (ja) 表示制御装置、作業機、プログラム、及びその記録媒体
JP6980642B2 (ja) 表示制御装置、作業機、プログラム、及びその記録媒体
JP2021067146A (ja) 作業機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MND Amendment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AMND Amendment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