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30092663A - 차량의 리어시트 높이 조절장치 - Google Patents

차량의 리어시트 높이 조절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30092663A
KR20130092663A KR1020120014061A KR20120014061A KR20130092663A KR 20130092663 A KR20130092663 A KR 20130092663A KR 1020120014061 A KR1020120014061 A KR 1020120014061A KR 20120014061 A KR20120014061 A KR 20120014061A KR 20130092663 A KR20130092663 A KR 20130092663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eat
rear seat
support plate
vehicle
horizonta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2001406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설민우
Original Assignee
설민우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설민우 filed Critical 설민우
Priority to KR1020120014061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30092663A/ko
Publication of KR2013009266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30092663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N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VEHICLE PASSENGER ACCOMMODATION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N2/00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 B60N2/02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the seat or part thereof being movable, e.g. adjustable
    • B60N2/04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the seat or part thereof being movable, e.g. adjustable the whole seat being movable
    • B60N2/16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the seat or part thereof being movable, e.g. adjustable the whole seat being movable height-adjustabl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viation & Aerospace Engineering (AREA)
  • Transportat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Seats For Vehicl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탑승자의 체형이나 기타 필요에 따라 리어시트의 높이를 조절할 수 있도록 한 차량의 리어시트 높이 조절장치를 제공한다.
이를 구현하기 위한 본 발명은 쿠션시트와 등받이시트로 이루어진 리어시트의 높이를 조절하는 차량의 리어시트 높이 조절장치에 있어서, 상기 쿠션시트 아래에 설치되는 받침플레이트 및 상기 받침플레이트 아래 모서리면을 따라 적어도 하나 이상 설치되며 상기 받침플레이트를 상, 하 이동시키는 실린더를 포함하여 구성한 것을 기술적 요지로 한다.

Description

차량의 리어시트 높이 조절장치{HIGH AND LOW CONTROL DEVICE OF SEAT FOR VEHICLE}
본 발명은 차량의 리어시트에 설치되는 높이 조절장치에 관련되는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탑승자의 체형이나 기타 필요에 따라 리어시트의 높이를 조절할 수 있도록 한 차량의 리어시트 높이 조절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차량의 플로어(floor)에는 운전자와 승객이 앉을 수 있는 프론트 시트와 리어 시트가 설치된다. 프론트 시트는 운전석과 조수석이 각각 별도로 분리되어 있는 분리식으로 구성되며, 리어 시트는 좌측과 우측의 시트 쿠션이 일체로 결합된 벤치식으로 구성된다.
일반적인 자동차용 프론트 시트는 착좌용 시트쿠션과 등받이용 시트백으로 이루어져 있으며, 상단부에 인출 가능하게 장착되어 있는 헤드레스트가 장착되어 있다.
시트백을 지지하는 백 프레임은 힌지를 중심으로 시트쿠션에 대하여 임의의 각도로 조절할 수 있도록 구성되어, 탑승자는 자신의 체형에 맞게 시트백을 회동시킬 수 있게 된다.
차량의 후방에 설치되는 리어시트는 통상 탑승자가 앉게 되는 쿠션시트와, 탑승자가 등을 기댈 수 있는 등받이시트와, 상기 등받이시트 상부에 구비되어 탑승자들이 머리를 기댈수 있도록 하는 헤드레스트로 이루어진다.
한편, 근래 들어서는 탑승자의 체형이 클 경우, 탑승자의 무릎이 프론트시트에 닿지 않도록 하기 위해 리어시트를 구성하는 바닥을 이루는 등받이시트 아래에 수평이동수단을 설치하여 프론트시트와 리어시트 사이 간격을 조절하도록 구성하고 있다.
그러나, 탑승자의 체형을 고려할 때에는 탑승자의 키도 고려되어야 하며, 특히 리어시트에 앉는 탑승자의 경우 대체적으로 운전자 보다 지위가 높은 사람이 탑승하게 되는 데, 이때에는 프론트시트 보다 리어시트의 높이를 높혀 리어시트에 앉아있는 탑승자의 시야를 높혀줄 필요가 있으나, 종래 차량에는 리어시트의 높이를 조절할 수 있는 수단이 구비되지 못해 사용에 불편함이 있다.
한편, 대한민국 특허청 등록실용신안공보 등록번호 제 20-0173040 호(명칭:차량 좌석의 높이조절장치)(이하, 선행기술이라 함)에는 차량 좌석의 높이를 조정하도록 한 기술이 제시된 바 있다.
그러나 위 선행기술은 시트 쿠션에 캠을 설치하여 시트쿠션 뒤쪽에 푹 꺼져있는 시트면을 들어올려 어린아이들이 시트에 편안하게 누울 수 있도록 하고 있으나, 이러나 기술은 리어시트의 높이 자체를 높혀주지 못하고, 단지 시트쿠션만 부분적으로 높혀 쿠션면을 평평하게 맞추도록 만 하고 있음에 따라 전방 시야를 확보할 수 있을 만큼 리어시트의 높이를 효과적으로 조절할 수 없다는 문제점이 있다.
선행기술문헌:대한민국 특허청 등록실용신안공보 등록번호 제 20-0173040 호
따라서, 상기한 바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의 목적은 탑승자의 체형이나 기타 필요에 따라 리어시트의 높이를 조절할 수 있도록 한 차량의 리어시트 높이 조절장치를 제공함에 있다.
상술한 목적들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은 쿠션시트와 등받이시트로 이루어진 리어시트의 높이를 조절하는 차량의 리어시트 높이 조절장치에 있어서, 상기 쿠션시트 아래에 설치되는 받침플레이트 및 상기 받침플레이트 아래 모서리면을 따라 적어도 하나 이상 설치되며 상기 받침플레이트를 상, 하 이동시키는 실린더를 포함하여 구성함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받침플레이트의 바닥 모서리면에는 상기 받침플레이트의 바닥면에 고정 설치되는 수직레일과, 차량의 바닥면에 고정 설치되며 중앙으로는 상기 수직레일이 슬라이드 이동 가능하게 끼워지기 위한 안내홈이 형성된 수직가이드레일로 구성한 가이드수단을 더 설치함이 바람직하다.
상기 쿠션시트 아래에는 수평레일이 설치되고, 상기 수평레일 아래에는 상기 받침플레이트에 고정된 상태에서 상기 수평레일을 전, 후 이동을 가이드하는 수평가이드레일을 더 설치함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은 차량의 리어시트를 수평 이동시키는 수평 이동수단의 아래에 다시 리어시트의 높이를 조정하는 수직 이동수단을 더 설치하여 리어시트에 앉은 탑승자의 체형을 고려하거나 탑승자의 지위가 높거나 기타 필요에 따라 리어시트의 높이를 조정하여 탑승자의 전방 시야를 높혀줄 수 있는 작용 효과를 구현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차량의 리어시트 높이 조절장치의 구성을 도시한 도면.
도 2는 도 1에서 도시하고 있는 차량의 리어시트 높이 조절장치의 주요구성을 일부 발췌하여 입체적으로 도시한 도면.
도 3은 도 2에서 도시하고 있는 수직 이동수단의 동작상태를 도시한 도면.
도 4는 도 2에서 도시하고 있는 가이드수단을 입체적으로 도시한 도면.
이하 본 발명의 실시 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후술될 상세한 설명에서는 상술한 기술적 과제를 이루기 위해 본 고안에 있어 대표적인 실시 예를 제시할 것이다. 그리고 본 고안으로 제시될 수 있는 다른 실시 예들은 본 고안의 구성에서 설명으로 대체한다.
본 발명에서는 차량의 리어시트를 수평 이동시키는 수평 이동수단의 아래에 다시 리어시트의 높이를 조정하는 수직 이동수단을 더 설치하여 리어시트에 앉은 탑승자의 체형을 고려하거나 탑승자의 필요에 따라 리어시트의 높이를 조정하도록 하여 탑승자의 시야를 높혀줄 수 있도록 한 차량의 리어시트 높이 조절장치를 구현하고자 한다.
이하, 도면들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를 기술하기로 한다.
첨부된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차량의 리어시트 높이 조절장치의 구성을 도시한 도면이고, 도 2는 도 1에서 도시하고 있는 차량의 리어시트 높이 조절장치의 주요구성을 일부 발췌하여 입체적으로 도시한 도면이다.
도 1과 도 2에서 도시하고 있는 바와 같이, 차량의 후방에는 탑승자가 앉을 수 있도록 리어시트가 설치되어 있다.
상기 리어시트(10)는 탑승자가 앉게 되는 쿠션시트(12)와, 탑승자가 등을 기댈 수 있는 등받이시트(14)로 이루어지며, 상기 등받이시트(14) 상부에는 필요에 따라 탑승자들이 머리를 기댈수 있도록 하는 헤드레스트가 설치되기도 한다.
한편, 상기 리어시트(10), 바람직하게는 리어시트(10)를 구성하는 쿠션시트(12) 아래에는 탑승자의 체형에 따라 리어시트(10)를 전, 후 방향으로 이동시키는 수평 이동수단(20)이 더 설치된다.
상기 수평 이동수단(20)은 상기 쿠션시트(12) 아래에 고정 설치되는 수평레일(22)과, 후술하는 수직 이동수단(30)인 받침플레이트(32)에 고정된 상태에서 상기 수평레일(22)을 전, 후 이동을 가이드하는 수평가이드레일(24)로 구성한다.
상기한 수평 이동수단(20)을 통해 탑승자의 체형에 맞추어 리어시트(10)를 전, 후 방향으로 수평 이동시켜 리어시트(10)와 프론트시트(50) 사이 거리를 조절할 수 있게 되는 것이다.
한편, 상기한 수평 이동수단(20) 아래에는 수직 이동수단(30)이 더 포함되어 설치된다.
상기 수직 이동수단(30)은 탑승자의 체형이나 기타 탑승자의 필요에 따라 리어시트(10)의 높이를 수직으로 조정하여 탑승자의 전방 시야가 프론트시트(50)에 의해 가려지지 않도록 시야를 높혀줄 수 있도록 할 목적으로 제공되는 수단이다.
상기 수직 이동수단(30)은 상기 수평 이동수단(20)인 수평레일(22)을 받쳐주는 받침플레이트(32)와, 상기 받침플레이트(32) 아래에 설치되며 외부에서 공급되는 유압으로 상기 받침플레이트(32)를 승, 하강시키는 실린더(34)를 포함하여 구성한다. 상기 실린더(34)는 동일한 구조로 하여 상기 받침플레이트(32)의 모서리면에 하나씩 배치되도록 구성함이 바람직하다.
상기한 수직 이동수단(30)을 통해 탑승자는 전방 시야 확보를 위해 리어시트(10)의 높이를 높이고자 할 때에는 스위치(미 도시 함)를 눌러주면 수직 이동수단인 실린더(34)가 구동하며 받침플레이트(32)를 승강시키게 되며, 이를 통해 상기 받침플레이트(32)에 고정 설치되어 있는 수평가이드레일(24)과, 상기 수평가이드레일(24)에 이동 가능하게 조립되어 있는 수평레일(22) 및 상기 수평레일(22)이 설치되어 있는 쿠션시트(12)는 받침플레이트(32)의 승강 동작에 따라 들려지게 됨으로서 결과적으로 리어시트(10)의 높이를 높혀 탑승자의 시야를 확보할 수 있게 되는 것이다.
한편, 상기 받침플레이트(32)의 하단 모서리면에는 가이드수단이 더 설치된다. 상기 가이드수단은 실린더(34)의 구동에 따른 받침플레이트(32)의 승강 동작을 가이드하는 것으로서, 하나의 가이드수단 구조를 대표하여 기술하면 도 4에서 도시하고 있는 바와 같이 상기 받침플레이트(32)의 바닥면에 고정 설치되는 수직레일(36)과, 차량의 바닥면에 고정 설치되며 중앙에는 상기 수직레일(36)이 슬라이드 이동 가능하게 끼워지기 위한 안내홈(40)이 길이 방향으로 형성된 수직가이드레일(38)로 구성한다.
이하, 본 발명에 따른 차량의 리어시트 높이 조절장치의 작용을 첨부된 도 1 내지 도 3을 참조하여 기술하기로 한다.
먼저, 차량의 리어시트(10)에 탑승한 탑승자의 체형이나 기타 탑승자의 필요에 의해 리어시트(10)의 높이를 높혀 탑승자의 시야를 확보하고자 할 때에는 스위치를 눌러 수직 이동수단(30)인 실린더(34)를 구동시키게 되면 상기 실린더(34)의 로드에 지지되어 있는 받침플레이트(32)는 승강하게 되며, 이를 통해 상기 받침플레이트(32)에 고정 설치되어 있는 수평가이드레일(24)과, 상기 수평가이드레일(24)에 이동 가능하게 조립되어 있는 수평레일(22) 및 상기 수평레일(22)이 설치되어 있는 쿠션시트(12)는 받침플레이트(32)의 승강 동작에 따라 들려지게 됨으로서 결과적으로 리어시트(10)의 높이를 높혀 탑승자의 시야를 확보할 수 있게 된다.
10: 리어시트 12: 쿠션시트
20: 수평 이동수단 22: 수평레일
24: 수평가이드레일 30: 수직 이동수단
32: 받침플레이트 34: 실린더
36: 수직레일 38: 수직가이드레일

Claims (3)

  1. 쿠션시트(12)와 등받이시트(14)로 이루어진 리어시트(10)의 높이를 조절하는 차량의 리어시트 높이 조절장치에 있어서,
    상기 쿠션시트(12) 아래에 설치되는 받침플레이트(32) 및 ;
    상기 받침플레이트(32) 아래 모서리면을 따라 적어도 하나 이상 설치되며 상기 받침플레이트(32)를 상, 하 이동시키는 실린더(34)를 포함하여 구성함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의 리어시트 높이 조절장치.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받침플레이트(32)의 바닥 모서리면에는;
    상기 받침플레이트(32)의 바닥면에 고정 설치되는 수직레일(36)과;
    차량의 바닥면에 고정 설치되며 중앙으로는 상기 수직레일(36)이 슬라이드 이동 가능하게 끼워지기 위한 안내홈(40)이 형성된 수직가이드레일(38)로 구성한 가이드수단이 더 설치됨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의 리어시트 높이 조절장치.
  3. 제 1항 또는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쿠션시트(12) 아래에는 수평레일(22)이 설치되고, 상기 수평레일(22) 아래에는 상기 받침플레이트(32)에 고정된 상태에서 상기 수평레일(22)의 전, 후 이동을 가이드하는 수평가이드레일(24)이 더 설치됨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의 리어시트 높이 조절장치.


KR1020120014061A 2012-02-13 2012-02-13 차량의 리어시트 높이 조절장치 KR20130092663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014061A KR20130092663A (ko) 2012-02-13 2012-02-13 차량의 리어시트 높이 조절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014061A KR20130092663A (ko) 2012-02-13 2012-02-13 차량의 리어시트 높이 조절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30092663A true KR20130092663A (ko) 2013-08-21

Family

ID=4921727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20014061A KR20130092663A (ko) 2012-02-13 2012-02-13 차량의 리어시트 높이 조절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30092663A (ko)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6192221B2 (ja) シート
JP6202734B2 (ja) シート
KR101736831B1 (ko) 전동식 헤드레스트
US8201890B1 (en) Adjustable seat system
RU2017102199A (ru) Узел сиденья транспортного средства для моторного транспортного средства (варианты) и спинка сиденья для моторного транспортного средства
CN103963682A (zh) 车辆座椅总成
JP2015098194A5 (ko)
US9987955B2 (en) Motor vehicle seat
US20090212611A1 (en) Adjustable Thigh Support For A Motor Vehicle Seat
US20090200848A1 (en) Adjustable seat
CN102092316B (zh) 具有可变形靠背的车辆座椅
CN106379205A (zh) 车辆座椅机构和车辆
JP2015223850A (ja) コンソール装置
KR20220040778A (ko) 폴드 앤 다이브 시트의 시트쿠션 틸팅 장치
KR20130092663A (ko) 차량의 리어시트 높이 조절장치
KR101547275B1 (ko) 의자용 팔걸이
KR20110023201A (ko) 자동차용 시트의 헤드레스트 높이 자동변경 장치
CN201362192Y (zh) 滑轨式可调角度驾驶座坐垫
KR101209274B1 (ko) 의자의 팔걸이
KR20130047017A (ko) 자동차용 시트의 시트쿠션 높낮이 조절장치
KR101295931B1 (ko) 헤드레스트 연동형 백 익스텐션 유닛
JP2012126153A (ja) 車両用シート
US9119472B2 (en) Movable seat insert
CN214607183U (zh) 具有可变双躺椅式的前后座椅的汽车
JP5078587B2 (ja) 車両用シート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