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30092585A - 반사재 - Google Patents

반사재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30092585A
KR20130092585A KR1020137009939A KR20137009939A KR20130092585A KR 20130092585 A KR20130092585 A KR 20130092585A KR 1020137009939 A KR1020137009939 A KR 1020137009939A KR 20137009939 A KR20137009939 A KR 20137009939A KR 20130092585 A KR20130092585 A KR 20130092585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resin
reflector
antioxidant
general formula
fine powd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3700993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다케토시 츠츠미
마사히코 가와노
다이키 노자와
준 다카기
Original Assignee
미쓰비시 쥬시 가부시끼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미쓰비시 쥬시 가부시끼가이샤 filed Critical 미쓰비시 쥬시 가부시끼가이샤
Publication of KR2013009258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30092585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2OPTICS
    • G02BOPTICAL ELEMENTS, SYSTEMS OR APPARATUS
    • G02B5/00Optical elements other than lenses
    • G02B5/02Diffusing elements; Afocal elements
    • G02B5/0205Diffusing elements; Afocal elements characterised by the diffusing properties
    • G02B5/0236Diffusing elements; Afocal elements characterised by the diffusing properties the diffusion taking place within the volume of the element
    • G02B5/0242Diffusing elements; Afocal elements characterised by the diffusing properties the diffusion taking place within the volume of the element by means of dispersed particl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CSHAPING OR JOINING OF PLASTICS; SHAPING OF MATERIAL IN A PLASTIC STATE, NOT OTHERWISE PROVIDED FOR; AFTER-TREATMENT OF THE SHAPED PRODUCTS, e.g. REPAIRING
    • B29C55/00Shaping by stretching, e.g. drawing through a die; Apparatus therefor
    • B29C55/02Shaping by stretching, e.g. drawing through a die; Apparatus therefor of plates or sheets
    • B29C55/04Shaping by stretching, e.g. drawing through a die; Apparatus therefor of plates or sheets uniaxial, e.g. oblique
    • B29C55/06Shaping by stretching, e.g. drawing through a die; Apparatus therefor of plates or sheets uniaxial, e.g. oblique parallel with the direction of feed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KUse of inorganic or non-macromolecular organic substances as compounding ingredients
    • C08K5/00Use of organic ingredients
    • C08K5/04Oxygen-containing compounds
    • C08K5/13Phenols; Phenolates
    • GPHYSICS
    • G02OPTICS
    • G02BOPTICAL ELEMENTS, SYSTEMS OR APPARATUS
    • G02B5/00Optical elements other than lenses
    • G02B5/02Diffusing elements; Afocal elements
    • G02B5/0273Diffusing elements; Afocal elements characterized by the use
    • G02B5/0284Diffusing elements; Afocal elements characterized by the use used in reflection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K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CLASSES B29B, B29C OR B29D, RELATING TO MOULDING MATERIALS OR TO MATERIALS FOR MOULDS, REINFORCEMENTS, FILLERS OR PREFORMED PARTS, e.g. INSERTS
    • B29K2023/00Use of polyalkenes or derivatives thereof as moulding material
    • B29K2023/10Polymers of propylene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KUse of inorganic or non-macromolecular organic substances as compounding ingredients
    • C08K2201/00Specific properties of additives
    • C08K2201/016Additives defined by their aspect ratio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KUse of inorganic or non-macromolecular organic substances as compounding ingredients
    • C08K7/00Use of ingredients characterised by shape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Optics & Photon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Medicinal Chemistry (AREA)
  • Polymers & Plastics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Dispersion Chemistry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Optical Elements Other Than Lenses (AREA)
  • Compositions Of Macromolecular Compounds (AREA)

Abstract

본 발명의 과제는 우수한 반사성을 갖고, 고온 조건에서의 장기간 사용에 있어서도 광 반사성의 저하가 매우 작은 새로운 반사재를 제공하는 것에 있다. 열가소성 수지, 미분상 충전제 및 산화 방지제를 함유하는 수지 조성물로 형성되고, 그 산화 방지제는 특정 구조의 페놀계 산화 방지제 (A) 를 함유하고, 또한 그 미분상 충전제의 평균 입경이 0.15 ∼ 0.50 ㎛, 평균 애스펙트비가 3 이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반사재.

Description

반사재{REFLECTING MATERIAL}
본 발명은 특히 액정 디스플레이, 조명 기구 혹은 조명 간판 등의 구성 부재로서 바람직하게 사용할 수 있는 반사재에 관한 것이다.
액정 디스플레이를 비롯하여 조명 기구 혹은 조명 간판 등 많은 분야에서 반사재가 사용되고 있다. 최근에는, 특히 액정 디스플레이의 분야에 있어서 장치의 대형화 및 표시 성능의 고도화가 진행되어, 조금이라도 많은 광을 액정에 공급하여 백라이트 유닛의 성능을 향상시키는 것이 요구되고, 그 때문에 반사재에 대해 보다 더 우수한 광 반사성 (간단히 「반사성」이라고도 한다) 이 요구되게 되었다.
종래 반사재로는, 예를 들어, 백색 폴리에스테르 필름을 사용한 액정 디스플레이용 반사 필름이 알려져 있다 (특허문헌 1 참조).
그러나, 반사재의 재료로서 방향족 폴리에스테르계 수지를 사용한 경우, 방향족 폴리에스테르계 수지의 분자 사슬 중에 포함되는 방향 고리가 자외선을 흡수하기 때문에, 액정 표시 장치 등의 광원으로부터 발해지는 자외선에 의해 필름이 열화, 황변되어 반사 필름의 광 반사성이 저하된다는 문제가 있었다.
이에 대해, 폴리프로필렌 수지에 충전제를 첨가하여 형성된 필름을 연신시킴으로써, 필름 내에 미세한 공극을 형성시키고, 광 산란 반사를 발생시킨 것도 알려져 있으며 (특허문헌 2 및 3 참조), 이와 같은 폴리올레핀계 수지를 사용한 반사 필름은 자외선에 의한 필름의 열화나 황변의 문제는 적다.
그러나, 폴리올레핀계 수지는, 열에 대한 기계적 물성의 저하 등의 문제가 있기 때문에, 예를 들어, 가공시의 열 그리고 사용시의 열 및 산소의 작용에 의해 열화되어 기계적 물성이 저하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힌더드 페놀계 산화 방지제, 아크릴레이트계 화합물 및 인계 화합물을 함유하여 이루어지는 폴리올레핀 조성물 (예를 들어, 특허문헌 4 참조) 이나, 폴리프로필렌 수지에 유동 파라핀, 페놀계 산화 방지제, 유기 인계 산화 방지제를 배합한 폴리프로필렌 수지 조성물 (예를 들어, 특허문헌 5 참조) 등도 제안되어 왔다.
한편으로, 방향족 폴리에스테르계 수지를 사용한 반사 필름이라도, 광원으로부터의 열의 영향을 받아, 광 반사 필름에 형성된 도포층의 가교제가 열산화되고, 변색에 의해 광 반사 성능이 저감되는 것이 알려져 있으며, 이와 같은 문제에 대해, 힌더드 페놀계 산화 방지제 등을 첨가하여 열 안정성을 향상시키는 시도가 이루어지고 있었다 (특허문헌 6 참조).
추가하여, 본 출원인들도 지방족 폴리에스테르계 수지 (A) 와, 아크릴계 수지 (B) 와, 미분상 충전제 (C) 와, 산화 방지제 (D) 를 배합하여 이루어지는 수지 조성물로 형성되고, 그 산화 방지제 (D) 로서 인계 산화 방지제, 락톤계 산화 방지제 또는 페놀계 산화 방지제를 사용한 반사 필름 (특허문헌 7 참조) 을 제안해 왔다.
일본 공개특허공보 평04-239540호 일본 공개특허공보 평06-298957호 일본 공개특허공보 2005-031653호 일본 특허 제3082333호 일본 공개특허공보 평09-255827호 일본 공개특허공보 2006-163378호 일본 공개특허공보 2007-199650호
상기 서술한 특허문헌 5 나 6 에 있어서는, 폴리올레핀계 수지 성형체에 있어서의 일반적인 열 특성을 개선할 수 있는 것이 개시되어 있을 뿐, 반사재 용도와의 관계에 대해서는 조금도 개시되어 있지 않고, 결과적으로 반사재 용도에 있어서는, 특허문헌 6 이나 7 에 개시되어 있는 바와 같은 여러 가지 산화 방지제가 사용되어 왔다.
그러나, 이들은 여전히 시간 경과적인 광 반사 성능의 저하에 대해서는 반드시 만족할 수 있는 것이 아니었으며, 개선의 여지가 있었다.
그래서 본 발명의 과제는 우수한 반사성을 갖고, 고온 조건에서의 장기간 사용에 있어서도 광 반사성의 저하가 매우 작은 새로운 반사재를 제공하는 것에 있다.
본 발명자들은 반사재에 첨가되는 산화 방지제에 재차 주목하고 예의 검토한 결과, 놀랍게도 산화 방지제의 종류에 따라 고온 조건하에 의한 특정 파장 영역의 반사율 저하를 억제할 수 있는 것을 알아냈다. 즉, 특정 구조를 갖는 힌더드 페놀계 산화 방지제가 고온 조건하에 의한 파장 430 ㎚ ∼ 460 ㎚ 의 반사율 저하를 억제할 수 있는 것을 알아낸 것이다.
그리고, 이 지견에 의해, 상기 특정 파장 영역과 중복되는 영역에 있어서 광 산란성이 높은 반사재에 이와 같은 산화 방지제를 첨가함으로써 반사율 저하를 현저하게 억제할 수 있는 것을 알아내어, 본 발명을 완성하기에 이른 것이다.
즉, 본 발명의 반사재는 열가소성 수지와, 평균 입경이 0.15 ∼ 0.50 ㎛ 및 평균 애스펙트비가 3 이하인 미분상 충전제와, 이하의 일반식 (1) 또는 (2) 로 나타내는 어느 1 종 이상의 페놀계 산화 방지제 (A) 를 함유하는 수지 조성물로 형성되고, 적어도 1 축 방향으로 연신되어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화학식 1]
Figure pct00001
(단, 일반식 (1) 및 (2) 에 있어서, R1 및 R2 는 수소 원자 또는 탄소수 1 ∼ 18 의 분기 혹은 직사슬의 치환기를 가져도 되는 임의의 탄화수소기를 나타내고, R3 은 유기 잔기를 나타낸다)
본 발명의 반사재에 의하면, 특정 구조의 산화 방지제와 특정 평균 입경 및 특정 애스펙트비를 갖는 미분상 충전제를 함유함으로써, 고온 조건에서의 장기간 사용에 있어서도 광 반사성의 저하를 매우 작게 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반사재는 액정 디스플레이, 조명 기구 혹은 조명 간판 등의 반사재로서 바람직하게 사용할 수 있다.
본 발명에 있어서, 반사재가 취할 수 있는 형태로는 특별히 한정되는 것이 아니며, 필름상 혹은 시트상 등 중 어느 것이어도 상관없다. 또한, 일반적으로 「필름」이란, 길이 및 폭에 비해 두께가 매우 작고, 최대 두께가 임의로 한정되어 있는 얇고 평평한 제품으로, 통상적으로 롤의 형태로 공급되는 것을 말하고 (일본 공업 규격 JIS K 6900), 일반적으로 「시트」란, JIS 에 있어서의 정의상 얇고, 일반적으로 그 두께가 길이와 폭에 비해서는 작고 평평한 제품을 말한다. 그러나, 시트와 필름의 경계는 확실하지 않고, 본 발명에 있어서 문언상 양자를 구별할 필요가 없기 때문에, 본 발명에 있어서는 「필름」으로 칭하는 경우에도 「시트」를 포함하는 것으로 하고, 「시트」로 칭하는 경우에도 「필름」을 포함하는 것으로 한다.
또, 본 발명에 있어서, 「X ∼ Y」(X, Y 는 임의의 숫자) 로 표현한 경우, 특별히 언급하지 않는 한 「X 이상 Y 이하」의 의미와 함께, 「바람직하게는 X 보다 크다」및 「바람직하게는 Y 보다 작다」의 의미를 포함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반사재는 특정 구조의 산화 방지제와 특정 평균 입경 및 특정 애스펙트비를 갖는 미분상 충전제를 함유하기 때문에 우수한 반사성을 갖고, 고온 조건에서의 장기간 사용에 있어서도 광 반사성의 저하가 매우 작다는 이점이 있다.
도 1 은 실시예 1 의 반사재의 촉진 시험 전후에 있어서의 파장 420 ∼ 600 ㎚ 에서의 반사율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2 는 비교예 1 의 반사재의 촉진 시험 전후에 있어서의 파장 420 ∼ 600 ㎚ 에서의 반사율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3 은 특정 평균 입경 및 특정 애스펙트비를 갖는 미분상 충전제가 함유되어 있지 않은 반사재의 파장 420 ∼ 600 ㎚ 에 있어서의 반사율을 나타낸 도면이다.
<반사재>
본 발명의 반사재로는, 열가소성 수지와, 평균 입경이 0.15 ∼ 0.50 ㎛ 및 평균 애스펙트비가 3 이하인 미분상 충전제와, 이하의 일반식 (1) 또는 (2) 로 나타내는 어느 1 종 이상의 페놀계 산화 방지제 (A) 를 함유하는 수지 조성물로 형성되고, 적어도 1 축 방향으로 연신되어 이루어지는 것이면 특별히 제한되지 않으며, 반사재의 구성 재료로서 특정 구조의 페놀계 산화 방지제 (A) 와 특정 평균 입경 및 평균 애스펙트비를 갖는 미분상 충전제를 사용함으로써, 우수한 반사성을 갖고, 고온 조건에서의 장기간 사용에 있어서도 광 반사성의 저하를 매우 작게 할 수 있다.
[화학식 2]
Figure pct00002
(단, 일반식 (1) 및 (2) 에 있어서, R1 및 R2 는 수소 원자 또는 탄소수 1 ∼ 18 의 분기 혹은 직사슬의 치환기를 가져도 되는 임의의 탄화수소기를 나타내고, R3 은 유기 잔기를 나타낸다)
도 1 은 실시예 1 의 반사재의 촉진 시험 전후에 있어서의 파장 420 ∼ 600 ㎚ 에서의 반사율을 나타낸 도면인데, 이 도면으로부터 알 수 있는 바와 같이, 평균 입경이 0.15 ∼ 0.50 ㎛ 및 평균 애스펙트비가 3 이하인 미분상 충전제를 사용한 경우, 파장 430 ∼ 460 ㎚ 에서의 반사율이 현저하게 높아진 것을 알 수 있다. 이것은, 이와 같은 평균 입경 및 애스펙트비를 갖는 미분상 충전제가 파장 430 ∼ 460 ㎚ 와 중복되는 범위에서 광 산란성이 높은 것에서 유래한다.
보다 상세하게는, 연신에 의해 미분상 충전제가 핵이 되어 공극이 형성되고, 파장 430 ∼ 460 ㎚ 와 중복되는 범위에서 특히 광 산란성이 높아지는 것이다.
한편, 도 2 는 비교예 1 의 반사재, 즉 본 발명의 특정 구조를 갖지 않는 페놀계 산화 방지제를 사용하였을 때의 촉진 시험 전후에 있어서의 파장 420 ∼ 600 ㎚ 에서의 반사율을 나타낸 도면인데, 이 도면으로부터 알 수 있는 바와 같이, 본 발명의 특정 구조를 갖지 않는 페놀계 산화 방지제를 사용하였을 때에는, 파장 430 ∼ 460 ㎚ 에서의 반사율이 현저하게 저하된 것을 알 수 있다.
이와 같은 결과로부터, 본 발명의 반사재는, 특정 구조의 산화 방지제와 특정 평균 입경 및 특정 애스펙트비를 갖는 미분상 충전제를 함유함으로써, 고온 조건에서의 장기간 사용에 있어서도 광 반사성의 저하를 매우 작게 할 수 있었던 것이다.
또한, 도 3 은 평균 입경이 0.15 ∼ 0.50 ㎛ 및 평균 애스펙트비가 3 이하의 범위에 없는 미분상 충전제 (평균 입경이 0.50 ㎛ 를 초과하는 미분상 충전제) 를 사용한 반사재의 파장 420 ∼ 600 ㎚ 에 있어서의 반사율을 나타낸 도면인데, 이 도면으로부터 알 수 있는 바와 같이, 파장 430 ∼ 460 ㎚ 에서의 반사율은 다른 파장 영역에서의 반사율과 거의 동일한 것을 알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반사재는, 평균 입경이 0.15 ∼ 0.50 ㎛ 및 평균 애스펙트비가 3 이하인 미분상 충전제를 사용함으로써, 특히 우수한 효과를 발휘할 수 있는 것이다.
(페놀계 산화 방지제 (A))
본 발명의 반사재는 적어도 이하의 일반식 (1) 또는 (2) 로 나타내는 어느 1 종 이상의 페놀계 산화 방지제 (A) 를 함유하는 것을 필요로 한다.
[화학식 3]
Figure pct00003
(단, 일반식 (1) 및 (2) 에 있어서, R1 및 R2 는 수소 원자 또는 탄소수 1 ∼ 18 의 분기 혹은 직사슬의 치환기를 가져도 되는 임의의 탄화수소기를 나타내고, R3 은 유기 잔기를 나타낸다)
R1 및 R2 는 수소 원자 또는 탄소수 1 ∼ 18 의 분기 혹은 직사슬의 치환기를 갖고 있어도 되는 임의의 탄화수소기를 나타내고, 구체적으로는, 수소 원자, 메틸기 및 에틸기 등을 들 수 있다.
또 R3 은 유기 잔기를 나타내고, 구체적으로는, 카르복실산에스테르나 인산에스테르 구조를 갖는 기, 에틸기, 프로필기, 부틸기 등의 알킬기, 벤질기, 톨릴기 등의 아릴기, 메톡시기, 에톡시기, 프로필옥시기 등의 알콕실기, 메틸아미노기, 에틸아미노기, 프로필아미노기 등의 알킬아미노기 및 티올기, 술파이드기 등의 티오기를 갖는 구조 등을 들 수 있다.
상기 일반식 (1) 로 나타내는 화합물은 하이드록시기의 이웃하는 위치가 t-부틸기와 메틸기에 의해 치환된 골격을 갖는 것으로, 이러한 골격을 가짐으로써, 고온 조건에서의 장기간 사용에 있어서도 반사재의 광 반사성 저하를 억제할 수 있다.
상기 일반식 (1) 로 나타내는 페놀계 산화 방지제 (A-1) 로는, 예를 들어, 3,9-비스{2-[3-(3-t-부틸-4-하이드록시-5-메틸페닐)프로피오닐옥시]-1,1-디메틸에틸}-2,4,8,10-테트라옥사스피로[5.5]운데칸 (예를 들어, ADEKA 사 제조, 상품명 「아데카 스터브 AO-80」이나, 스미토모 화학사 제조, 상품명 「스미라이저 GA-80」등), 에틸렌비스(옥시에틸렌)비스[3-(5-t-부틸-하이드록시-m-톨릴)프로피오네이트] (예를 들어, 치바 스페셜리티 케미컬즈사 제조, 상품명 「IRGANOX245」), 트리에틸렌글리콜비스[3-(3-t-부틸-4-하이드록시-5-메틸페닐)프로피오네이트 (예를 들어, ADEKA 사 제조, 상품명 「아데카 스터브 AO-70」) 등을 들 수 있다.
상기 일반식 (2) 로 나타내는 화합물은 하이드록시기의 이웃하는 위치에 메틸기가 없고, 하이드록시기에 대해 파라 위치가 유기 잔기로 치환된 골격을 갖는 것으로, 입체 장해가 적고 라디칼을 신속하게 보충할 수 있기 때문에, 반사재의 광 반사성 저하를 억제할 수 있다.
상기 일반식 (2) 로 나타내는 페놀계 산화 방지제 (A-2) 로는, 1,1,3-트리스-(2-메틸-4-하이드록시-5-t-부틸페닐)부탄 (예를 들어, ADEKA 사 제조, 상품명 「아데카 스터브 AO-30」), 4,4'-부틸리덴비스(3-메틸-6-t-부틸)페놀 (예를 들어, ADEKA 사 제조, 상품명 「아데카 스터브 AO-40」) 및 4,4'-티오비스(3-메틸-6-t-부틸)페놀 (예를 들어, 오우치 신코 화학 공업사 제조, 상품명 「노크락 300」및 스미토모 화학사 제조, 상품명 「스미라이저 WX-R」) 등을 들 수 있다.
산화 방지제로서 상기 일반식 (1) 또는 (2) 로 나타내는 페놀계 산화 방지제 (A) 이외에도, 펜타에리트리톨형 인계 산화 방지제 및/또는 황계 산화 방지제를 병용하는 것이 보다 바람직하다. 상기 일반식 (1) 또는 (2) 로 나타내는 페놀계 산화 방지제 (A) 와 펜타에리트리톨형 인계 산화 방지제 및/또는 황계 산화 방지제를 병용함으로써, 보다 우수한 효과가 얻어진다.
상기 펜타에리트리톨형 인계 산화 방지제로는, 디스테아릴-펜타에리트리톨-디포스파이트 (ADEKA 사 제조, 상품명 「아데카 스터브 PEP-8」), 비스(2,4-디-t-부틸페닐)펜타에리트리톨-디포스파이트 (ADEKA 사 제조, 상품명 「아데카 스터브 PEP-36」) 및 비스(2,6-디-t-부틸-4-메틸페닐)펜타에리트리톨-디포스파이트비스(2,6-디-t-부틸-4-n-옥타데실옥시카르보닐에틸-페닐)펜타에리트리톨-디포스파이트 등을 예시할 수 있다.
상기 황계 산화 방지제로는, 3,3'-티오디프로피온산디테트라데실 (스미토모 화학사 제조, 상품명 「스미라이저 TPM」), 비스[3-(도데실티오)프로피온산]2,2-비스[[3-(도데실티오)-1-옥소프로필옥시]메틸]-1,3-프로판디일 (스미토모 화학사 제조, 상품명 「스미라이저 TP-D」나, ADEKA 사 제조, 상품명 「아데카 스터브 AO-412S」등), 3,3'-티오디프로피온산디옥타데실 (스미토모 화학사 제조, 상품명 「스미라이저 TPS」) 등을 예시할 수 있다.
(미분상 충전제)
본 발명의 반사재는, 상기 페놀계 산화 방지제 (A) 외에, 적어도 평균 입경이 0.15 ∼ 0.50 ㎛ 및 평균 애스펙트비가 3 이하인 미분상 충전제를 함유하는 것을 필요로 한다. 상기 범위의 평균 입경 및 평균 애스펙트비를 갖는 미분상 충전제를 사용함으로써, 연신 처리에 의해 얻어진 반사재의 내부에 특정 미세 기포가 생성되고, 이로써 특정 파장 (430 ∼ 460 ㎚) 에서의 반사율을 높일 수 있다.
또한, 미분상 충전제의 평균 입경 및 애스펙트비는 후술하는 실시예에 기재된 방법에 준거하여 구할 수 있다.
상기 미분상 충전제로는, 평균 입경이 0.15 ∼ 0.50 ㎛ 및 평균 애스펙트비가 3 이하인 것이면 그 종류는 제한되지 않고, 예를 들어, 탄산칼슘, 탄산마그네슘, 탄산바륨, 황산마그네슘, 황산바륨, 황산칼슘, 산화아연, 산화마그네슘, 산화칼슘, 산화티탄, 산화아연, 알루미나, 수산화알루미늄, 하이드록시아파타이트, 실리카, 마이카, 탤크, 카올린, 클레이, 유리 분말, 아스베스토스 분말, 제올라이트, 규산 백토, 폴리머 비즈, 폴리머 중공 입자 등을 들 수 있다. 이들은 어느 1 종 또는 2 종 이상을 혼합하여 사용할 수 있다.
또한, 미분상 충전제를 함유함으로써, 굴절률차에 의한 굴절 산란 외에, 미분상 충전제의 주위에 형성되는 공동 (空洞) 과의 굴절률차에 의한 굴절 산란, 또한 미분상 충전제의 주위에 형성되는 공동과 미분상 충전제의 굴절률차에 의한 굴절 산란 등으로부터 광 반사성을 얻을 수 있다. 따라서, 미분상 충전제 중에서도 굴절률이 1.6 이상인 것이 보다 바람직하고, 산화티탄은 다른 미분상 충전제에 비해 굴절률이 현저하게 높아 베이스 수지와의 굴절률차를 현저하게 크게 할 수 있기 때문에, 다른 충전제를 사용한 경우보다 적은 배합량으로 우수한 반사성을 얻을 수 있다. 또한, 산화티탄을 사용함으로써 반사재의 두께를 얇게 해도 높은 광 반사성을 얻을 수 있다. 이러한 이유로부터 산화티탄이 가장 바람직하다.
또한, 본 발명의 반사재는 특정 평균 입경 및 특정 평균 애스펙트비를 갖는 미분상 충전제를 함유하고 있으면 되고, 이 범위 내에 없는 미분상 충전제의 첨가를 저해하는 것은 아니다.
또, 무기질 미분체의 수지에 대한 분산성을 향상시키기 위해, 미분상 충전제의 표면에 실리콘계 화합물, 다가 알코올계 화합물, 아민계 화합물, 지방산, 지방산 에스테르 등으로 표면 처리를 실시한 것을 사용해도 된다.
또, 상기 미분상 충전제량 (특정 평균 입경 및 특정 평균 애스펙트비를 갖지 않는 미분상 충전제도 첨가되는 경우에는, 이것을 포함한 합계의 미분상 충전제량을 나타낸다) 으로는, 반사재의 광 반사성, 기계적 강도, 생산성 등을 고려하면 수지 조성물 전체의 질량에 대해 10 ∼ 80 질량% 인 것이 바람직하고, 20 ∼ 70 질량% 인 것이 더욱 바람직하다. 미분상 충전제의 함유량이 20 질량% 이상이면, 베이스 수지와 미분상 충전제의 계면의 면적을 충분히 확보할 수 있고, 반사재에 고반사성을 부여할 수 있다. 미분상 충전제의 함유량이 70 질량% 이하이면, 반사재에 필요한 기계적 강도를 확보할 수 있다.
(열가소성 수지)
본 발명의 반사재에 사용되는 열가소성 수지로는, 예를 들어, 폴리올레핀계 수지, 폴리에스테르계 수지, 아크릴계 수지, 폴리염화비닐계 수지, 폴리염화비닐리덴계 수지, 불소계 수지, 폴리에테르계 수지, 폴리아미드계 수지, 폴리우레탄계 수지, 디엔계 수지 등을 들 수 있고, 그 중에서도 반사 성능의 관점에서 폴리올레핀계 수지를 바람직한 예로서 들 수 있으며, 폴리올레핀계 수지로는, 예를 들어, 폴리프로필렌, 프로필렌-에틸렌 공중합체 등의 폴리프로필렌 수지나, 폴리에틸렌, 고밀도 폴리에틸렌, 저밀도 폴리에틸렌 등의 폴리에틸렌 수지나, 에틸렌-고리형 올레핀 공중합체 등의 시클로올레핀계 수지나, 에틸렌-프로필렌 고무 (EPR), 에틸렌-프로필렌-디엔 터폴리머 (EPDM) 등의 올레핀계 엘라스토머에서 선택된 적어도 1 종의 폴리올레핀 수지를 들 수 있다. 이들 중에서도, 기계적 성질, 유연성 등에서 폴리프로필렌 수지나 폴리에틸렌 수지가 바람직하고, 폴리프로필렌이 가장 바람직하다.
(배합 비율)
열가소성 수지, 미분상 충전제 및 페놀계 산화 방지제 (A) 의 배합 비율로는, 열가소성 수지 100 중량부에 대해 미분상 충전제를 12 ∼ 400 중량부, 페놀계 산화 방지제 (A) 를 0.01 ∼ 2 중량부 함유하는 것이 바람직하고, 또 미분상 충전제를 26 ∼ 233 중량부, 페놀계 산화 방지제 (A) 를 0.05 ∼ 1 중량부 함유하는 것이 보다 바람직하다.
(다른 성분)
상기 서술한 것 이외에도, 다른 수지 (「타성분 수지」라고 한다) 를 함유해도 되고, 또 광 안정제, 열 안정제, 분산제, 자외선 흡수제, 형광 증백제, 상용화제, 활제 및 그 밖의 첨가제를 함유해도 된다.
(반사재의 제조 방법)
본 발명의 반사재의 제조 방법으로는 특별히 제한되는 것은 아니며, 공지된 방법을 채용할 수 있다. 이하에 반사재의 제조 방법에 대해 일례를 들어 설명하는데, 하기 제조 방법에 조금도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먼저 열가소성 수지에 미분상 충전제, 페놀계 산화 방지제 (A) 및 그 밖의 첨가제 등을 필요에 따라 배합한 수지 조성물을 제조한다.
구체적으로는 (이하, 열가소성 수지로서 올레핀계 수지를 사용한 경우를 일례로서 설명한다), 올레핀계 수지에 미분상 충전제, 페놀계 산화 방지제 (A) 및 그 밖의 첨가제 등을 첨가하고, 리본 블렌더, 텀블러, 헨셀 믹서 등으로 혼합한 후, 밴버리 믹서, 1 축 또는 2 축 압출기 등을 사용하여 수지의 융점 이상의 온도 (예를 들어, 190 ℃ ∼ 270 ℃) 에서 혼련함으로써 수지 조성물을 얻을 수 있다.
또는, 올레핀계 수지, 미분상 충전제, 페놀계 산화 방지제 (A) 및 그 밖의 첨가제 등을 각각의 피더 등에 의해 소정량을 첨가함으로써 수지 조성물을 얻을 수 있다. 또, 미분상 충전제, 페놀계 산화 방지제 (A) 및 그 밖의 첨가제 등을 미리 올레핀계 수지에 고농도로 배합한, 이른바 마스터 배치를 제조해 두고 이 마스터 배치와 올레핀계 수지를 혼합하여 원하는 농도의 수지 조성물로 할 수도 있다.
다음으로, 이와 같이 하여 얻어진 수지 조성물을 건조시킨 후, 압출기에 공급하고, 각각 소정의 온도 이상으로 가열하여 용융시킨다.
압출 온도 등의 조건은 분해에 의해 분자량이 저하되는 것 등을 고려하여 설정되는 것이 필요한데, 예를 들어, 올레핀계 수지인 경우, 수지 조성물의 압출 온도는 190 ∼ 270 ℃ 인 것이 바람직하다.
그 후, 용융된 수지 조성물을 T 다이에 합류시키고, T 다이의 슬릿상의 토출구로부터 압출하고, 냉각 롤에 밀착 고화시켜 캐스트 시트를 형성한다.
얻어진 캐스트 시트는 적어도 1 축 방향으로 연신되어 있다 (구체적으로는, 적어도 1 축 방향으로 1.1 배 이상 연신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연신시킴으로써 수지층 내부의 올레핀계 수지와 미분상 충전제의 계면이 박리되어 공극이 형성됨과 함께, 시트의 백화가 진행되어 필름의 광 반사성 (특히 파장 430 ∼ 460 ㎚ 에서의 반사율) 을 높일 수 있다. 또한, 캐스트 시트는 2 축 방향으로 연신되어 있는 것이 특히 바람직하다. 1 축 연신을 시킨 것만으로는 형성되는 공극은 일 방향으로 연신된 섬유상 형태밖에 되지 않지만, 2 축 연신시킴으로써 그 공극은 종횡 양방향으로 연신된 것이 되어 원반상 형태가 된다.
즉, 2 축 연신시킴으로써, 수지층 내부의 올레핀계 수지와 미분상 충전제의 계면의 박리 면적이 증대되고, 시트의 백화가 더욱 진행되고, 그 결과, 필름의 광 반사성을 더욱 높일 수 있다. 또, 2 축 연신시키면 필름의 수축 방향의 이방성이 적어지기 때문에, 필름의 내열성을 향상시킬 수 있고, 또 필름의 기계적 강도를 증가시킬 수도 있다.
캐스트 시트를 연신시킬 때의 연신 온도는 수지층의 유리 전이 온도 (Tg) 이상인 것이 바람직하다.
연신 온도가 유리 전이 온도 (Tg) 이상이면, 연신시에 필름이 파단되지 않고 안정적으로 실시할 수 있다.
2 축 연신의 연신 순서는 특별히 제한되는 것은 아니며, 예를 들어, 동시 2 축 연신이어도 상관없고, 축차 연신이어도 상관없다. 연신 설비를 사용하여 용융 막제조한 후, 롤 연신에 의해 MD 로 연신시킨 후, 텐터 연신에 의해 TD 로 연신시켜도 되고, 튜뷸러 연신 등에 의해 2 축 연신을 실시해도 된다. 2 축 연신인 경우의 연신 배율은 면적 배율로서 6 배 이상 연신시키는 것이 바람직하다. 면적 배율을 6 배 이상 연신시킴으로써, 반사 필름 전체의 공극률이 40 % 이상을 실현할 수 있는 경우가 있다.
연신 후에는, 반사 필름에 치수 안정성 (공극의 형태 안정성) 을 부여하기 위해 열 고정을 실시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필름을 열 고정시키기 위한 처리 온도는 110 ∼ 170 ℃ 인 것이 바람직하다. 열 고정에 필요로 하는 처리 시간은 바람직하게 1 초 ∼ 3 분이다. 또, 연신 설비 등에 대해서는 특별히 한정은 없지만, 연신 후에 열 고정 처리를 실시할 수 있는 텐터 연신을 실시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적층 구성>
본 발명인 반사재는 열가소성 수지와, 평균 입경이 0.15 ∼ 0.50 ㎛ 및 평균 애스펙트비가 3 이하인 미분상 충전제와, 이하의 일반식 (1) 또는 (2) 로 나타내는 어느 1 종 이상의 페놀계 산화 방지제 (A) 를 함유하는 수지 조성물로 형성된 수지층 A 의 적어도 편면측에 폴리올레핀계 수지, 폴리에스테르계 수지 및 폴리스티렌계 수지 중 어느 1 종 이상을 주성분으로 하는 수지 조성물로 형성된 지지층 B 가 적층되고, 적어도 1 축 방향으로 연신되어 이루어지는 구성으로 할 수도 있다. 이와 같은 구성으로 함으로써, 열에 의한 컬 방지, 휘도 불균일 방지 및 가공시의 핸들링성을 향상시키거나 하는 이점이 있다.
또, 그 밖의 적층 구성으로는, 예를 들어, 수지층 (A) 의 양면에 지지층 (B) 를 형성한 3 층의 적층 구성을 들 수 있다. 또한, 수지층 (A) 및 지지층 (B) 이외에 다른 층을 구비해도 되고, 수지층 (A) 및 지지층 (B) 의 각 층 사이에 다른 층이 개재되어도 된다. 예를 들어, 수지층 (A), 지지층 (B) 사이에 접착층이 개재되어도 된다.
Figure pct00004
적층 구성의 반사재의 제조 방법으로는, 예를 들어, 수지층 (A) 의 용융 원료와 지지층 (B) 의 용융 원료를 공압출하여 성형 (成型) 한 후, 얻어진 성형 (成形) 품을 적어도 일 방향으로 연신시켜 적층체를 얻는 방법이 있다. 또, 이와 같은 공압출법에 의한 경우, 수지층 (A) 로서 올레핀계 수지를 채용하였을 때에는, 수지층 (A) 와의 밀착성을 고려하여, 상기 지지층 (B) 도 올레핀계 수지를 사용하는 것이 특히 바람직하다. 또한 지지층 (B) 에 미분상 충전제를 첨가해도 된다.
또한, 미리 수지층 (A) 의 용융 원료를 압출하여 성형한 후, 적어도 일 방향으로 연신시킨 수지층 (A) 와 지지층 (B) 를 준비해 두고, 일반적인 접착제를 사용한 드라이 라미네이션, 히트 시일성이 있는 용융 수지를 사용한 압출 라미네이션, 수지층 (A) 및 지지층 (B) 에 점착층을 형성하여, 닙롤 등으로 압착하고 감압 접착하는 방법 등도 채용할 수 있다. 또한, 지지층 (B) 도 미리 적어도 일 방향으로 연신시켜도 된다. 또, 이와 같은 제조 방법에 있어서, 지지층 (B) 로는, 내열성, 강성을 고려하여, 올레핀계 수지 (그 중에서도 고리형 올레핀계 수지),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 및 폴리스티렌을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지지층 (B) 에 미분상 충전제를 첨가해도 된다.
(두께)
본 발명의 반사재의 층두께로는 특별히 한정되는 것은 아니지만, 30 ㎛ ∼ 1500 ㎛ 인 것이 바람직하고, 특히 실용면에 있어서의 취급성을 고려하면 50 ㎛ ∼ 1000 ㎛ 정도의 범위 내인 것이 바람직하다.
예를 들어, 액정 디스플레이 용도의 반사재로는 두께가 50 ㎛ ∼ 700 ㎛ 인 것이 바람직하고, 예를 들어, 조명 기구, 조명 간판 용도의 반사재로는 두께가 100 ㎛ ∼ 1000 ㎛ 인 것이 바람직하다.
또, 적층 구성인 경우에 있어서, 각 층의 합계 두께비는 수지층 (A) : 지지층 (B) = 1 : 5 ∼ 10 : 1 의 범위로 하는 것이 바람직하고, 1 : 4 ∼ 8 : 1 의 범위로 하는 것이 보다 바람직하다.
(반사율)
본 발명의 반사재는 적어도 편면의 평균 반사율이 파장 420 ㎚ ∼ 600 ㎚ 의 광에 대해 97 % 이상인 것이 바람직하다. 이와 같은 반사 성능을 갖는 것이면, 반사재로서 양호한 반사 특성을 나타내고, 이 반사재를 장착한 액정 디스플레이 등은 그 화면이 충분한 밝기를 실현할 수 있다.
또, 온도 85 ℃ 에서 1000 시간 열처리한 전후에 있어서의 파장 430 ∼ 460 ㎚ 의 평균 반사율의 저하 (반사율차) 는 0.7 % 이하인 것이 바람직하고, 0.3 % 이하인 것이 보다 바람직하다.
(공극률)
본 발명의 반사재는 내부에 공극을 갖고 있어도 되며, 그 공극률은 10 % 이상 90 % 이하, 특히 20 % 이상 80 % 이하인 것이 바람직하다. 이와 같은 범위의 공극을 형성함으로써, 반사재의 백화가 충분히 진행되기 때문에 높은 광 반사성을 달성할 수 있고, 또 반사재의 기계적 강도가 저하되어 파단되는 경우가 없다. 또한, 적층 구성에 있어서는, 수지층 (A) 에만 상기 범위 내에서 공극을 갖는 것이 보다 바람직하다. 이와 같은 범위의 공극을 수지층 (A) 에만 형성함으로써, 지지층 (B) 에 공극이 존재하는 필름에 비해 필름의 기계적 강도의 저하 등의 우려가 없다. 또한, 반사재의 내부에 연신시켜 공동을 함유시키는 경우의 공극률은 하기 식에 대입하여 구할 수 있다.
공극률 (%) = {(연신 전의 필름의 밀도 - 연신 후의 필름의 밀도)/연신 전의 필름의 밀도} × 100
<용도>
본 발명의 반사재는, 고온 조건에서의 장기간 사용에 있어서, 파장 430 ∼ 460 ㎚ 의 평균 반사율의 저하가 매우 낮다는 성질로부터, 액정 디스플레이 등의 액정 표시 장치, 조명 기구, 조명 간판 등에 사용되는 반사 부재로서 유용하다.
이것은 그 용도에 있어서 사용되는 광원, 예를 들어, 냉음극 형광 램프 (CCFL) 나 LED 등은 파장 430 ∼ 460 ㎚ 에서의 광량이 큰 것에 기초하는 것이다. 즉, 이 파장 영역에서의 반사율 저하가 적다는 것은 휘도 저하를 억제할 수 있다. 또한, 일반적으로 액정 디스플레이는 액정 패널, 편광 반사 시트, 확산 시트, 도광판, 반사 시트, 광원, 광원 리플렉터 등으로 구성되어 있다. 본 발명의 반사재는 광원으로부터의 광을 효율적으로 액정 패널이나 도광판에 입사시키는 역할을 하는 반사 시트에 사용할 수도 있고, 에지부에 배치된 광원으로부터의 조사광을 집광하여 도광판에 입사시키는 역할을 갖는 광원 리플렉터에 사용할 수도 있다.
이하에 실시예를 나타내어 본 발명을 더욱 구체적으로 설명하는데, 본 발명은 이들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일탈하지 않는 범위 내에서 여러 가지 응용이 가능하다. 또한, 실시예에 나타내는 측정값 및 평가는 이하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하여 실시하였다. 여기서, 필름의 인취 (흐름) 방향을 MD, 그 직교 방향을 TD 로 표시한다.
<측정 및 평가 방법>
(항온 촉진 시험)
85 ℃ 의 열풍 건조기를 사용하여 촉진 시험을 실시하였다. 건조기 투입 전과 투입하고 나서 1000 시간 후의 황색도 및 광 반사율을 측정하였다.
(황변도 (ΔYI))
분광 측색계 (「SC-T」, 스가 시험기 주식회사 제조) 로, 본체 부속의 백색 교정 표준판을 기준으로 하여 정반사광을 제외한 측정 (d/8) 을 실시하여 황색도 (YI) 를 얻었다. ΔYI 는 다음 식으로부터 산출하였다.
ΔYI = {YI (촉진 시험 후) - YI (촉진 시험 전)}
(평균 반사율 (%))
분광 광도계 (「U-3900H」, 주식회사 히타치 제작소 제조) 에 적분구를 장착하고, 알루미나 백판을 100 % 로 하였을 때의 반사율을 파장 420 ㎚ ∼ 600 ㎚ 에 걸쳐 0.5 ㎚ 간격으로 측정한다. 얻어진 측정값의 평균값을 계산하고, 이 값을 평균 반사율로 하였다. 얻어진 측정값으로부터 파장 430 ∼ 460 ㎚ 의 평균 반사율을 산출하였다.
(미분상 충전제의 평균 입경)
X 선 투과식 입도 분포 측정 장치 (SediGraph5100 Micromeritics 사 제조) 로 측정하여 얻어지는 적산 체적분율 50 % 의 입경을 평균 입경 (D50) 으로서 구하였다.
(미분상 충전제의 애스펙트비)
애스펙트비는, 미분상 충전제를 전자 현미경에 의해 관찰하고, 미분상 충전제의 장축 직경, 단축 직경을 결정한 후, 계산에 의해 얻을 수 있다. 또한, 미분상 충전제의 입자 30 개에 대해 애스펙트비를 산출하고, 그 평균을 평균 애스펙트비로 하였다.
(애스펙트비 = 장축 직경/단축 직경)
실시예 1
폴리프로필렌 수지 (상품명 「노바텍 PP FY6HA」, 니혼 폴리프로 주식회사 제조) 의 펠릿과, 일반식 (1) 로 나타내는 페놀계 산화 방지제 (상품명 「AO-80」, 주식회사 ADEKA 제조), 펜타에리트리톨형 인계 산화 방지제 (상품명 「PEP-36」, 주식회사 ADEKA 제조) 를 100 : 0.2 : 0.2 의 질량 비율로 혼합한 후, 산화티탄 (상품명 「KRONOS2230」, KRONOS 사 제조의 평균 입경 : 0.37 ㎛, 평균 애스펙트비 : 2.1) 을 폴리프로필렌 수지와 동질량 첨가하고, 270 ℃ 에서 가열된 2 축 압출기를 사용하여 펠릿화하였다.
상기에서 제조한 펠릿을 200 ℃ 로 가열된 압출기에 공급하고, 시트상으로 압출하고 냉각 고화시켜 단층 시트를 형성하였다. 이어서, 얻어진 시트를 온도 130 ℃ 에서 MD 로 2 배 롤 연신시킨 후, 다시 130 ℃ 에서 TD 로 3 배 텐터 연신시킴으로써 2 축 연신을 실시하여 두께 185 ㎛ 의 반사 필름을 얻었다. 마지막으로, 얻어진 반사 필름에 대해 항온 촉진 시험 전후의 황색도, 반사율 평가를 실시하였다.
실시예 2
실시예 1 에 있어서, 폴리프로필렌 수지 (상품명 「노바텍 PP FY6HA」, 니혼 폴리프로 주식회사 제조) 의 펠릿과, 일반식 (1) 로 나타내는 페놀계 산화 방지제 (상품명 「AO-80」, 주식회사 ADEKA 제조), 펜타에리트리톨형 인계 산화 방지제 (상품명 「PEP-36」, 주식회사 ADEKA 제조) 를 100 : 0.1 : 0.1 의 질량 비율로 혼합한 것 이외에는, 실시예 1 과 동일한 방법으로 반사 필름을 막형성하고, 얻어진 반사 필름의 평가를 실시하였다.
실시예 3
실시예 1 에 있어서, 폴리프로필렌 수지 (상품명 「노바텍 PP FY6HA」, 니혼 폴리프로 주식회사 제조) 의 펠릿과, 일반식 (1) 로 나타내는 페놀계 산화 방지제 (상품명 「AO-80」, 주식회사 ADEKA 제조), 황계 산화 방지제 (상품명 「SUMILIZERTPM」, 스미토모 화학 주식회사 제조) 를 100 : 0.2 : 0.2 의 질량 비율로 혼합한 것 이외에는, 실시예 1 과 동일한 방법으로 반사 필름을 막형성하고, 얻어진 반사 필름의 평가를 실시하였다.
실시예 4
실시예 1 에 있어서, 폴리프로필렌 수지 (상품명 「노바텍 PP FY6HA」, 니혼 폴리프로 주식회사 제조) 의 펠릿과, 일반식 (2) 로 나타내는 페놀계 산화 방지제 (상품명 「AO-30」, 주식회사 ADEKA 제조), 펜타에리트리톨형 인계 산화 방지제 (상품명 「PEP-36」, 주식회사 ADEKA 제조) 를 100 : 0.2 : 0.2 의 질량 비율로 혼합한 것 이외에는, 실시예 1 과 동일한 방법으로 반사 필름을 막형성하고, 얻어진 반사 필름의 평가를 실시하였다.
실시예 5
실시예 1 에 있어서, 폴리프로필렌 수지 (상품명 「노바텍 PP FY6HA」, 니혼 폴리프로 주식회사 제조) 의 펠릿과, 일반식 (1) 로 나타내는 페놀계 산화 방지제 (상품명 「AO-80」, 주식회사 ADEKA 제조) 를 100 : 0.2 의 질량 비율로 혼합한 것 이외에는, 실시예 1 과 동일한 방법으로 반사 필름을 막형성하고, 얻어진 반사 필름의 평가를 실시하였다.
실시예 6
실시예 1 에 있어서, 폴리프로필렌 수지 (상품명 「노바텍 PP FY6HA」, 니혼 폴리프로 주식회사 제조) 의 펠릿과, 일반식 (2) 로 나타내는 페놀계 산화 방지제 (상품명 「AO-30」, 주식회사 ADEKA 제조) 를 100 : 0.2 의 질량 비율로 혼합한 것 이외에는, 실시예 1 과 동일한 방법으로 반사 필름을 막형성하고, 얻어진 반사 필름의 평가를 실시하였다.
실시예 7
폴리프로필렌 수지 (상품명 「노바텍 PP FY6HA」, 니혼 폴리프로 주식회사 제조) 의 펠릿과, 일반식 (1) 로 나타내는 페놀계 산화 방지제 (상품명 「AO-80」, 주식회사 ADEKA 제조), 펜타에리트리톨형 인계 산화 방지제 (상품명 「PEP-36」, 주식회사 ADEKA 제조) 를 100 : 0.2 : 0.2 의 질량 비율로 혼합한 후, 산화티탄 (상품명 「KRONOS 2230」, KRONOS 사 제조) 을 폴리프로필렌 수지와 동질량 첨가하고, 270 ℃ 에서 가열된 2 축 압출기를 사용하여 펠릿화하여 수지 조성물 A 로 하였다.
고리형 올레핀계 수지 A (상품명 「ZEONOR 1430R」, 니혼 제온 주식회사 제조), 고리형 올레핀계 수지 B (상품명 「ZEONOR 1060R」, 니혼 제온 주식회사 제조), 폴리프로필렌 수지 (상품명 「노바텍 PP EA9」, 니혼 폴리프로 주식회사 제조) 의 펠릿을 50 : 25 : 25 의 질량 비율로 혼합한 후, 230 ℃ 로 가열된 2 축 압출기를 사용하여 펠릿화하여 수지 조성물 B 로 하였다.
수지 조성물 A, B 를 각각 200 ℃, 230 ℃ 로 가열된 압출기 A 및 B 에 공급하고, 각 압출기에 있어서 200 ℃ 및 230 ℃ 에서 용융 혼련한 후, 2 종 3 층용 T 다이에 합류시키고, 수지층 B/수지층 A/수지층 B 의 3 층 구성이 되도록 시트상으로 압출하고, 냉각 고화시켜 적층 시트를 형성하였다.
얻어진 적층 시트를 온도 130 ℃ 에서 MD 로 2 배 롤 연신시킨 후, 다시 130 ℃ 에서 TD 로 3 배 텐터 연신시킴으로써 2 축 연신을 실시하여 두께 225 ㎛ 수지층 A : 185 ㎛, 수지층 B : 20 ㎛ 적층비 B : A : B = 1 : 9.25 : 1 합계 두께비 B : A = 1 : 4.625) 의 반사 필름을 얻었다. 얻어진 반사 필름에 대해, 항온 촉진 시험 전후의 황색도, 반사율 평가를 실시하였다.
(비교예 1)
실시예 1 에 있어서, 폴리프로필렌 수지 (상품명 「노바텍 PP FY6HA」, 니혼 폴리프로 주식회사 제조) 의 펠릿과, 힌더드형 페놀계 산화 방지제 (상품명 「Irganox1010」, BASF 재팬 주식회사 제조) 와 인계 산화 방지제 (상품명 「IRGAFOS 168」, BASF 재팬 주식회사 제조) 의 1 : 1 혼합품인 상품명 「IRGANOX B225」(BASF 재팬 주식회사 제조) 를 100 : 0.4 의 질량 비율로 혼합한 것 이외에는, 실시예 1 과 동일한 방법으로 반사 필름을 막형성하고, 얻어진 반사 필름의 평가를 실시하였다.
(비교예 2)
실시예 1 에 있어서, 폴리프로필렌 수지 (상품명 「노바텍 PP FY6HA」, 니혼 폴리프로 주식회사 제조) 의 펠릿과, 힌더드형 페놀계 산화 방지제 (상품명 「Irganox1010」, BASF 재팬 주식회사 제조) 와 펜타에리트리톨형 인계 산화 방지제 (상품명 「PEP-36」, 주식회사 ADEKA 제조) 를 100 : 0.2 : 0.2 의 질량 비율로 혼합한 것 이외에는, 실시예 1 과 동일한 방법으로 반사 필름을 막형성하고, 얻어진 반사 필름의 평가를 실시하였다.
(비교예 3)
실시예 1 에 있어서, 폴리프로필렌 수지 (상품명 「노바텍 PP FY6HA」, 니혼 폴리프로 주식회사 제조) 의 펠릿과, 힌더드형 페놀계 산화 방지제 (상품명 「Irganox1010」, BASF 재팬 주식회사 제조) 를 100 : 0.2 의 질량 비율로 혼합한 것 이외에는, 실시예 1 과 동일한 방법으로 반사 필름을 막형성하고, 얻어진 반사 필름의 평가를 실시하였다.
Figure pct00005
표 1 로부터 분명한 바와 같이, 실시예 1 ∼ 7 의 반사재는, 80 ℃ 1000 시간의 열처리 후에도 430 ∼ 460 ㎚ 의 반사율 저하가 0.3 % 이하여서, 고온 조건하, 장시간 사용에 있어서도 우수한 광 반사성을 유지하고 있는 것을 알 수 있다.
한편, 비교예 1 ∼ 3 의 반사재는 열처리 후의 430 ∼ 460 ㎚ 의 반사율 저하가 0.8 % 이상이어서, 고온·장시간 사용에 있어서 실시예 1 ∼ 7 의 반사재보다 떨어지는 것을 알 수 있었다.
산업상 이용가능성
본 발명인 반사재는, 그 성질로부터, 액정 디스플레이 등의 액정 표시 장치, 조명 기구, 조명 간판 등의 용도에 바람직하게 사용할 수 있다.

Claims (6)

  1. 열가소성 수지와, 평균 입경이 0.15 ∼ 0.50 ㎛ 및 평균 애스펙트비가 3 이하인 미분상 충전제와, 이하의 일반식 (1) 또는 (2) 로 나타내는 어느 1 종 이상의 페놀계 산화 방지제 (A) 를 함유하는 수지 조성물로 형성되고, 적어도 1 축 방향으로 연신되어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반사재.
    [화학식 1]
    Figure pct00006

    (단, 일반식 (1) 및 (2) 에 있어서, R1 및 R2 는 수소 원자 또는 탄소수 1 ∼ 18 의 분기 혹은 직사슬의 치환기를 가져도 되는 임의의 탄화수소기를 나타내고, R3 은 유기 잔기를 나타낸다)
  2. 열가소성 수지와, 평균 입경이 0.15 ∼ 0.50 ㎛ 및 평균 애스펙트비가 3 이하인 미분상 충전제와, 이하의 일반식 (1) 또는 (2) 로 나타내는 어느 1 종 이상의 페놀계 산화 방지제 (A) 를 함유하는 수지 조성물로 형성된 수지층 A 의 적어도 편면측에 폴리올레핀계 수지, 폴리에스테르계 수지 및 폴리스티렌계 수지 중 어느 1 종 이상을 주성분으로 하는 수지 조성물로 형성된 지지층 B 가 적층된 구성을 갖고, 적어도 1 축 방향으로 연신되어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반사재.
    Figure pct00007

    (단, 일반식 (1) 및 (2) 에 있어서, R1 및 R2 는 수소 원자 또는 탄소수 1 ∼ 18 의 분기 혹은 직사슬의 치환기를 가져도 되는 임의의 탄화수소기를 나타내고, R3 은 유기 잔기를 나타낸다)
  3.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페놀계 산화 방지제 (A) 와, 펜타에리트리톨형 인계 산화 방지제 (B) 및/또는 황계 산화 방지제 (C) 의 복합 산화 방지제를 함유하는 반사재.
  4. 제 1 항 내지 제 3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열가소성 수지가 폴리카보네이트계 수지, 폴리에스테르계 수지, 폴리올레핀계 수지 및 스티렌계 수지 중 어느 1 종 이상인 반사재.
  5. 제 1 항 내지 제 4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온도 85 ℃ 에서 1000 시간 열처리한 전후에 있어서의 파장 430 ∼ 460 ㎚ 의 평균 반사율의 저하가 0.3 % 이하인 반사재.
  6. 제 1 항 내지 제 5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액정 디스플레이, 조명 기구 혹은 조명 간판의 구성 부재로서 사용되는 반사재.
KR1020137009939A 2010-10-19 2011-10-03 반사재 KR20130092585A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2010234568 2010-10-19
JPJP-P-2010-234568 2010-10-19
PCT/JP2011/072732 WO2012053341A1 (ja) 2010-10-19 2011-10-03 反射材

Related Child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57008417A Division KR20150043530A (ko) 2010-10-19 2011-10-03 반사재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30092585A true KR20130092585A (ko) 2013-08-20

Family

ID=45975060

Famil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57008417A KR20150043530A (ko) 2010-10-19 2011-10-03 반사재
KR1020137009939A KR20130092585A (ko) 2010-10-19 2011-10-03 반사재

Family Applications Before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57008417A KR20150043530A (ko) 2010-10-19 2011-10-03 반사재

Country Status (5)

Country Link
JP (1) JP5531107B2 (ko)
KR (2) KR20150043530A (ko)
CN (1) CN103080785B (ko)
TW (1) TWI483847B (ko)
WO (1) WO2012053341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6296325B2 (ja) * 2013-07-17 2018-03-20 コニカミノルタ株式会社 露光装置
CN105322433B (zh) * 2014-05-28 2020-02-04 深圳光峰科技股份有限公司 波长转换装置及其相关发光装置
CN105754241B (zh) * 2016-03-31 2017-12-22 中山市华洋塑胶颜料有限公司 聚苯乙烯反射材料及其制备方法
WO2019004473A1 (ja) * 2017-06-30 2019-01-03 富士フイルム株式会社 内視鏡用可撓管、内視鏡型医療機器、内視鏡用可撓管基材被覆用樹脂組成物及び内視鏡用可撓管基材被覆用樹脂組成物のセット

Family Cites Familie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3082333B2 (ja) * 1991-09-03 2000-08-28 住友化学工業株式会社 安定化ポリオレフィン組成物
JP4263882B2 (ja) * 2001-08-06 2009-05-13 株式会社ユポ・コーポレーション 光反射体
EP1424571A4 (en) * 2001-08-06 2008-10-29 Yupo Corp LIGHT REFLECTOR
JP5023471B2 (ja) * 2004-11-15 2012-09-12 東レ株式会社 光反射フィルムおよびそれを用いた画像表示用バックライト装置
JP2010191113A (ja) * 2009-02-17 2010-09-02 Fujifilm Corp 反射シート
JP5460078B2 (ja) * 2009-03-04 2014-04-02 三菱エンジニアリングプラスチックス株式会社 芳香族ポリカーボネート樹脂組成物および成形品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JP5531107B2 (ja) 2014-06-25
WO2012053341A1 (ja) 2012-04-26
TW201300232A (zh) 2013-01-01
TWI483847B (zh) 2015-05-11
JPWO2012053341A1 (ja) 2014-02-24
CN103080785B (zh) 2015-05-13
KR20150043530A (ko) 2015-04-22
CN103080785A (zh) 2013-05-0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TWI506303B (zh) 反射膜
JP5602992B2 (ja) 光拡散性芳香族ポリカーボネート樹脂組成物
AU2006249391A1 (en) Light diffusing films, methods of making the same, and articles using the same
JP5805951B2 (ja) 反射材
WO2006064907A1 (ja) 光反射体およびそれを用いた面光源装置
KR20090123910A (ko) 지방족 폴리에스테르계 수지 조성물, 지방족 폴리에스테르계 필름, 반사 필름 및 반사판
JP5531107B2 (ja) 反射材
US20140233243A1 (en) Use of a light-diffusing polycarbonate sheet as a light cover
KR101761060B1 (ko) 개선된 특성을 갖는 다층 광학 필름 구조물 및 그의 용도
EP3587902A1 (en) Lamp cover
JP2006018244A (ja) 光反射体およびそれを用いた面光源装置
JP2006124600A (ja) 光高反射性ポリカーボネート樹脂組成物およびその製造方法
JP2010158811A (ja) 凸形状が賦形されたポリカーボネート樹脂シートを製造する方法および該方法から製造された樹脂シート
KR101455542B1 (ko) 반사재
JPWO2010084647A1 (ja) 光拡散フィルム及びそれを備えた装置
JP4866075B2 (ja) 光反射体およびそれを用いた面光源装置
JP2007138024A (ja) 光拡散性に優れた熱可塑性樹脂組成物およびそれからなる光拡散板
KR20110102383A (ko) 광 반사체 및 그것을 사용한 면광원 장치
TWI463190B (zh) 光反射體及面光源裝置
JP2018012746A (ja) 白色樹脂組成物、及びそれからなる白色成形体と白色積層体
TW201643476A (zh) 反射膜及具備其之液晶顯示裝置、照明裝置、裝飾用物品
JP2006124416A (ja) 光拡散性樹脂組成物およびその製造方法
KR101675350B1 (ko) 백색 다공성 폴리에스테르 필름
JP2013083792A (ja) 反射材
JP2005031653A (ja) 光反射体およびそれを用いた面光源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A107 Divisional application of patent
J201 Request for trial against refusal decision
J301 Trial decision

Free format text: TRIAL DECISION FOR APPEAL AGAINST DECISION TO DECLINE REFUSAL REQUESTED 20150401

Effective date: 20160115

J121 Written withdrawal of request for trial