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10102383A - 광 반사체 및 그것을 사용한 면광원 장치 - Google Patents

광 반사체 및 그것을 사용한 면광원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10102383A
KR20110102383A KR1020117015052A KR20117015052A KR20110102383A KR 20110102383 A KR20110102383 A KR 20110102383A KR 1020117015052 A KR1020117015052 A KR 1020117015052A KR 20117015052 A KR20117015052 A KR 20117015052A KR 20110102383 A KR20110102383 A KR 20110102383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layer
light reflector
light
filler
brightnes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1701505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요우스케 히로이
다카히코 우에다
Original Assignee
가부시키가이샤 유포 코포레숀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가부시키가이샤 유포 코포레숀 filed Critical 가부시키가이샤 유포 코포레숀
Publication of KR2011010238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10102383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2OPTICS
    • G02FOPTICAL 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LIGHT BY MODIFICATION OF THE OPTICAL PROPERTIES OF THE MEDIA OF THE ELEMENTS INVOLVED THEREIN; NON-LINEAR OPTICS; FREQUENCY-CHANGING OF LIGHT; OPTICAL LOGIC ELEMENTS; OPTICAL ANALOGUE/DIGITAL CONVERTERS
    • G02F1/00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 G02F1/01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phase, polarisation or colour 
    • G02F1/13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phase, polarisation or colour  based on liquid crystals, e.g. single liquid crystal display cells
    • G02F1/133Constructional arrangements; Operation of liquid crystal cells; Circuit arrangements
    • G02F1/1333Constructional arrangements; Manufacturing methods
    • G02F1/1335Structural association of cells with optical devices, e.g. polarisers or reflectors
    • G02F1/1336Illuminating devices
    • G02F1/133602Direct backlight
    • G02F1/133606Direct backlight including a specially adapted diffusing, scattering or light controlling members
    • GPHYSICS
    • G02OPTICS
    • G02BOPTICAL ELEMENTS, SYSTEMS OR APPARATUS
    • G02B5/00Optical elements other than lenses
    • G02B5/08Mirror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1LIGHTING
    • F21VFUNCTIONAL FEATURES OR DETAILS OF LIGHTING DEVICES OR SYSTEMS THEREOF; STRUCTURAL COMBINATIONS OF LIGHTING DEVICES WITH OTHER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1V7/00Reflectors for light sources
    • F21V7/22Reflectors for light sources characterised by materials, surface treatments or coatings, e.g. dichroic reflector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1LIGHTING
    • F21VFUNCTIONAL FEATURES OR DETAILS OF LIGHTING DEVICES OR SYSTEMS THEREOF; STRUCTURAL COMBINATIONS OF LIGHTING DEVICES WITH OTHER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1V7/00Reflectors for light sources
    • F21V7/22Reflectors for light sources characterised by materials, surface treatments or coatings, e.g. dichroic reflectors
    • F21V7/24Reflectors for light sources characterised by materials, surface treatments or coatings, e.g. dichroic reflectors characterised by the material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1LIGHTING
    • F21VFUNCTIONAL FEATURES OR DETAILS OF LIGHTING DEVICES OR SYSTEMS THEREOF; STRUCTURAL COMBINATIONS OF LIGHTING DEVICES WITH OTHER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1V7/00Reflectors for light sources
    • F21V7/22Reflectors for light sources characterised by materials, surface treatments or coatings, e.g. dichroic reflectors
    • F21V7/28Reflectors for light sources characterised by materials, surface treatments or coatings, e.g. dichroic reflectors characterised by coatings
    • GPHYSICS
    • G02OPTICS
    • G02BOPTICAL ELEMENTS, SYSTEMS OR APPARATUS
    • G02B5/00Optical elements other than lenses
    • G02B5/02Diffusing elements; Afocal elements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Nonlinear Science (AREA)
  • Optics & Photon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Mathematical Physics (AREA)
  • Crystallography & Structural Chemistry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Optical Elements Other Than Lenses (AREA)
  • Laminated Bodies (AREA)
  • Planar Illumination Modules (AREA)
  • Liquid Crystal (AREA)

Abstract

열가소성 수지와 필러를 함유하는 1 축 연신 필름으로 이루어지는 휘도 향상층 (II) 과 열가소성 수지와 필러를 함유하는 2 축 연신 필름으로 이루어지는 반사층 (I) 을 적층한 구조를 갖는 적층 필름으로 이루어지는 광 반사체로서, 휘도 향상층 (II) 의 반사율이 60 ∼ 100 % 이고, 광 반사체의 반사층 (I) 측 표면의 반사율이 98 ∼ 100 % 이고, 또한 상대 휘도값이 106 ∼ 115 cd/㎡ 인 광 반사체.

Description

광 반사체 및 그것을 사용한 면광원 장치{LIGHT REFLECTOR AND PLANAR LIGHT SOURCE DEVICE USING SAME}
본 발명은, 면광원 장치에 사용되는 반사판, 리플렉터, 및 각종 조명 기구에 사용되는 광 반사용의 부재로서 유용한 광 반사체에 관한 것이다. 또 그 광 반사체를 사용한 면광원 장치에 관한 것이다.
내장식 광원을 배치한 백라이트형의 액정 디스플레이가 널리 보급되어 있다. 백라이트형의 내장 광원 중, 직하식 백라이트의 전형적인 구성은 도 6 에 나타내는 바와 같고, 구조체겸 광 반사체의 역할을 하는 하우징 (11), 확산판 (14), 그리고 냉음극 램프 (15) 등의 광원으로 이루어진다. 사이드 라이트식 백라이트의 전형적인 구성은 도 7 에 나타내는 바와 같고, 투명한 아크릴판 (13) 에 망점 인쇄 (12) 를 실시한 도광판, 광 반사체 (11), 확산판 (14), 그리고 냉음극 램프 (15, 16) 등의 광원으로 이루어진다. 모두 광원으로부터의 광을 광 반사체로 반사시켜, 확산판에서 균일면 형상의 광을 형성하는 것이다.
종래, 백라이트 용도의 광 반사체에는 백색 폴리에스테르 필름이 사용되는 경우가 많다 (예를 들어 특허문헌 1). 그러나 폴리에스테르 필름을 사용한 광 반사체의 경우, 최근의 램프 광량의 증가, 또 램프로부터의 열에 의한 분위기 온도의 고온화에 의해, 광 반사체의 색조의 변화 (황변) 가 문제가 되는 경우가 있어, 보다 변색이 적은 소재가 요구되게 되었다.
그래서 최근, 백색 폴리올레핀 필름을 사용한 광 반사체 (예를 들어 특허문헌 2 및 3), 나아가서는 색조의 변화가 적은 백색 폴리올레핀 필름을 사용한 광 반사체 (예를 들어 특허문헌 4 및 5) 가 제안되어 있다. 그러나 최근에는, 액정 디스플레이 등의 표시물의 에너지 절약화의 요망이 높아지고 있어, 광원 램프의 저출력화나 광원 램프 수의 저감 등의 개량이 도모되고 있다. 이 동향에 수반하여, 종래의 백색 폴리에스테르 필름이나 백색 폴리올레핀 필름에서는 휘도 등의 광 학 특성이 충분하지 않게 되고 있다. 이 때문에, 보다 고휘도이고 고반사율인 광 반사체가 요구되고 있다.
종래, 광 반사체의 휘도를 향상시키기 위해서는, 무기 필러나 유기 필러를 미(微)분산시켜 연신에 의해 미세한 공공 (空孔) 을 형성하는 방법이나, 산화티탄 등의 백색 안료, 또는 형광 증백제 등의 첨가제를, 광 반사체를 구성하는 필름에 함유 첨가시키는 방법에 의해, 반사율을 향상시키면 되는 것이 알려져 있다. 또, 광 투과 방지와 경면 반사의 방지를 겸하여, 알루미늄 등의 금속판 상에 산화티탄 등의 백색 안료를 도포한 것을 사용하는 것도 알려져 있다. 그러나 이들 수법에 의해서도, 최근의 고휘도에 대한 요구에 충분히 대응할 수 있는 것은 아니었다.
한편, 종래의 광 반사 기재의 이면에, 광 반사체의 강도의 향상을 목적으로 하여, 필름이나 발포 시트를 첩합 (貼合) 한 양태의 광 반사체가 제안되어 있다 (예를 들어 특허문헌 6 및 7). 그러나, 이들 필름이나 발포 시트는, 내부에 방추 형상의 공공을 갖는 것이 아니라, 적층에 의한 휘도 향상의 효과의 관점에서는 불충분한 것이었다.
일본 공개특허공보 평4-239540호 일본 공개특허공보 평6-298957호 일본 공개특허공보 2002-31704호 일본 공개특허공보 평8-262208호 일본 공개특허공보 2003-176367호 일본 공개특허공보 2004-109990호 일본 공개특허공보 2004-309804호
종래부터 알려져 있는 광 반사체는, 광학적 특징을 개량하는 필러나 첨가제를, 광 반사체의 반사층에 사용함으로써, 휘도를 비롯한 광학적 기능의 개선을 도모해 왔다. 본 발명은, 이와 같은 광학적 특징을 갖는 성분을 반사층에 사용하는 것에 시점을 두지 않고, 광 반사체의 구조에 특징을 갖게 함으로써, 휘도나 반사율의 향상을 저비용으로 실현하는 것을 과제로 하였다.
본 발명자들은, 과제 해결을 향하여 예의 검토를 거듭한 결과, 도 1 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2 축 연신되어 광 반사의 기능을 갖는 반사층 (I) 의 광 입사면의 이면에, 1 축 연신되어 그 표면의 반사율이 60 ∼ 100 % 이고 휘도를 향상시키는 기능을 갖는 휘도 향상층 (II) 을 형성한 적층 구조를 갖는 필름에 의해, 적층 필름의 반사층 (I) 측의 표면을 고반사율 (98 ∼ 100 %) 로 하고, 또한 휘도를 고휘도 (상대 휘도값으로 106 ∼ 115 %) 로 한 광 반사체가 얻어져, 소기의 목적인 휘도의 향상을 달성할 수 있는 것을 알아내어, 본 발명을 완성하기에 이르렀다.
특히 종래, 반사층 (I) 단체에서 휘도의 향상을 검토했을 때에, 반사층 (I) 측의 표면을 고반사율로 하는 것인 정도의 고휘도화는 달성할 수 있었지만, 한계가 있었다. 그러나 이면에 상기 휘도 향상층 (II) 을 형성한 적층 구조로 함으로써, 반사층 (I) 의 반사율의 향상만으로는 이룰 수 없었던 고휘도화를 달성할 수 있는 것을 알아내어, 본 발명을 완성하기에 이르렀다.
즉 본 발명은,
(1) 열가소성 수지와 필러를 함유하는 1 축 연신 필름으로 이루어지는 휘도 향상층 (II) 과 열가소성 수지와 필러를 함유하는 2 축 연신 필름으로 이루어지는 반사층 (I) 을 적층한 구조를 갖는 적층 필름으로 이루어지는 광 반사체로서, 휘도 향상층 (II) 의 반사율이 60 ∼ 100 % 이고, 광 반사체의 반사층 (I) 측 표면의 반사율이 98 ∼ 100 % 이고, 또한 상대 휘도값이 106 ∼ 115 % 인 광 반사체를 제공하는 것이다. 또한, 본 명세서에 있어서의 반사율은 파장 600 ㎚ 의 광을 사용하여 측정한 값이다. 또, 본 명세서에 있어서의 상대 휘도값은, (주) 유포·코퍼레이션 제조의 유포 FPG300 (상품명) 의 실측 휘도값을 100 % 로 한 경우의 상대값이다.
(2) 적층 필름의 필러의 함유율은 5 ∼ 75 중량% 인 것이 바람직하고,
(3) 반사층 (I) 과 휘도 향상층 (II) 의 필러 함유율은 모두 5 ∼ 90 중량% 인 것이 바람직하다.
(4) 휘도 향상층 (II) 의 두께는 15 ∼ 150 ㎛ 인 것이 바람직하다.
(5) 반사층 (I) 과 휘도 향상층 (II) 의 적어도 일방에 함유되는 필러는, 평균 입경 0.05 ∼ 1.5 ㎛ 의 무기 필러 및 평균 분산 입경 0.05 ∼ 1.5 ㎛ 의 유기 필러의 적어도 일방으로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고, 반사층 (I) 과 휘도 향상층 (II) 의 필러가 양방 모두, 평균 입경 0.05 ∼ 1.5 ㎛ 의 무기 필러 및 평균 분산 입경 0.05 ∼ 1.5 ㎛ 의 유기 필러의 적어도 일방으로 이루어지는 것이 보다 바람직하다.
(6) 반사층 (I) 과 휘도 향상층 (II) 의 적어도 일방에 함유되는 필러는, 표면 처리된 무기 필러로 이루어지는 것도 바람직하다.
(7) 반사층 (I) 의 세로 방향 연신 배율 (LMD) 과 가로 방향 연신 배율 (LCD) 의 곱인 면적 연신 배율은 3 ∼ 80 배인 것이 바람직하고,
(8) 반사층 (I) 의 세로 방향 연신 배율 (LMD) 과 가로 방향 연신 배율 (LCD) 의 비인 LMD/LCD 는 0.25 ∼ 2.7 인 것이 바람직하다.
(9) 휘도 향상층 (II) 의 1 축 연신 배율은 3 ∼ 20 배인 것이 바람직하다.
(10) 하기 식 (1) 에 의해 산출되는 반사층 (I) 의 공공률은 15 ∼ 60 % 인 것이 바람직하다.
[수학식 1]
Figure pct00001
(상기 식에 있어서, ρ0 은 반사층 (I) 의 진밀도이고, ρ 는 반사층 (I) 의 밀도이다)
(11) 반사층 (I) 과 휘도 향상층 (II) 의 적어도 일방에 함유되는 열가소성 수지는 폴리올레핀계 수지로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반사층 (I) 과 휘도 향상층 (II) 에 함유되는 열가소성 수지가 양방 모두 폴리올레핀계 수지로 이루어지는 것이 보다 바람직하다.
(12) 본 발명의 광 반사체는, 휘도 향상층 (II) 이 형성되어 있는 측과는 반대측인 반사층 (I) 표면 상에, 추가로 표면층 (III) 을 형성해도 되고,
(13) 표면층 (III) 은 2 개 이상의 층으로 이루어지는 것이어도 되고,
(14) 휘도 향상층 (II) 은 2 개 이상의 층으로 이루어지는 것이어도 된다.
(15) 본 발명은 상기 광 반사체를 사용한 면광원 장치도 제공한다.
본 발명의 광 반사체는, 광 입사면 (반사면) 의 반대면에 휘도 향상층을 형성함으로써 동일한 고반사율을 가진 광 반사체와 비교해도, 휘도가 향상하고 있다. 또 본 발명의 광 반사체를 사용하여 제조한 면광원 장치는, 고휘도로, 매우 유용하다.
도 1 은 본 발명의 광 반사체의 층 구성의 일 양태를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도 2 는 본 발명의 광 반사체의 층 구성의 다른 양태를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도 3 은 본 발명의 광 반사체의 층 구성의 구체예를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도 4 는 본 발명의 광 반사체의 층 구성의 다른 구체예를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도 5 는 본 발명의 광 반사체의 층 구성의 또 다른 구체예를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도 6 은 직하식 백라이트의 구성의 일 양태를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도 7 은 사이드 라이트식 백라이트의 구성의 일 양태를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이하에 있어서, 본 발명의 광 반사체와 면광원 장치의 구성 및 효과를 상세하게 설명한다. 이하에 기재하는 구성 요건의 설명은, 본 발명의 대표적인 실시양태에 기초하여 이루어지는 경우가 있지만, 본 발명은 그러한 실시양태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또한, 본 발명에 있어서 「 ∼ 」은 그 전후에 기재되는 수치를 각각 최소값 및 최대값으로서 포함하는 범위를 의미한다.
[반사층 (I)]
광 반사층의 기능을 갖는 반사층 (I) 은 2 축 연신된 필름으로 이루어지고, 가시광선을 효율적으로 반사시키기 위해서 형성하는 층이다. 반사층 (I) 은 효율이 양호한 광 반사를 실현하기 위해서, 가시광선의 파장 사이즈의 두께로 제어한 공공을 다수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공공의 사이즈를 제어하기 위해서, 본 발명의 반사층 (I) 은, 열가소성 수지10 ∼ 95 중량% 와, 평균 입경 0.05 ∼ 1.5 ㎛ 의 무기 필러 및 평균 분산 입경 0.05 ∼ 1.5 ㎛ 의 유기 필러의 적어도 일방을 5 ∼ 90 중량% 함유하고, 세로 방향 연신 배율과 가로 방향 연신 배율의 곱을 3 ∼ 80 배로 하고, 세로 방향 연신 배율과 가로 방향 연신 배율의 비를 0.25 ∼ 2.7 로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열가소성 수지]
본 발명의 반사층 (I) 에 사용되는 열가소성 수지의 종류는 특별히 제한되지 않는다. 반사층 (I) 에 사용하는 열가소성 수지로서는, 에틸렌계 수지 (예를 들어 고밀도 폴리에틸렌, 중밀도 폴리에틸렌, 저밀도 폴리에틸렌), 프로필렌계 수지, 폴리메틸-1-펜텐, 에틸렌-고리형 올레핀 공중합체 등의 폴리올레핀계 수지 ; 나일론-6, 나일론-6,6, 나일론-6,10, 나일론-6,12 등의 폴리아미드계 수지 ;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나 그 공중합체, 폴리에틸렌나프탈레이트, 폴리부틸렌테레프탈레이트, 폴리부틸렌숙시네이트나 그 공중합체, 폴리락트산, 지방족 폴리에스테르 등의 열가소성 폴리에스테르계 수지 ; 폴리카보네이트 ; 어택틱폴리스티렌, 신디오택틱폴리스티렌 ; 폴리페닐렌술파이드 등을 들 수 있고, 이들은 2 종 이상 혼합하여 사용할 수도 있다. 이들 중에서도, 내약품성이나 생산 코스트 등의 관점에서, 폴리올레핀계 수지를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고, 프로필렌계 수지를 사용하는 것이 보다 바람직하다.
프로필렌계 수지로서는, 프로필렌 단독 중합체나, 주성분인 프로필렌과, 에틸렌, 1-부텐, 1-헥센, 1-헵텐, 4-메틸-1-펜텐 등의 α-올레핀과의 공중합체를 사용할 수 있다. 입체 규칙성은 특별히 제한되지 않고, 아이소택틱 내지는 신디오택틱 및 여러 가지의 정도의 입체 규칙성을 나타내는 것을 사용할 수 있다. 또, 공중합체는 2 원계여도 되고 3 원계 이상의 다원계여도 되며, 또한 랜덤 공중합체여도 되고 블록 공중합체여도 된다.
이와 같은 열가소성 수지는, 반사층 (I) 에 10 ∼ 95 중량% 로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고, 20 ∼ 85 중량% 로 사용하는 것이 보다 바람직하고, 30 ∼ 75 중량% 로 사용하는 것이 더욱 바람직하고, 40 ∼ 65 중량% 로 사용하는 것이 특히 바람직하다. 반사층 (I) 에 있어서의 열가소성 수지의 함유율이 10 중량% 이상이면, 후술하는 적층 필름의 연신 성형시에 표면에 흠집이 잘 생기지 않게 되는 경향이 있고, 95 중량% 이하이면 충분한 공공 수가 얻어지기 쉬워지는 경향이 있다.
반사층 (I) 을 구성하는 주된 열가소성 수지가 프로필렌계 수지인 경우, 연신성을 개량하기 위해서, 프로필렌계 수지보다 융점이 낮은 폴리에틸렌, 에틸렌아세트산비닐 등의 수지를 반사층 (I) 의 3 ∼ 25 중량% 배합해도 된다.
[필러]
본 발명의 반사층 (I) 에 열가소성 수지와 함께 사용되는 필러로서는, 각종 무기 필러 또는 유기 필러를 들 수 있다.
무기 필러로서는, 중질 탄산칼슘, 침강성 탄산칼슘, 소성 클레이, 탤크, 산화티탄, 황산바륨, 황산알루미늄, 실리카, 산화아연, 산화마그네슘, 규조토 등을 예시할 수 있다. 또, 상기 무기 필러의 여러 가지의 표면 처리제에 의한 표면 처리품도 예시할 수 있다. 그 중에서도 중질 탄산칼슘, 침강성 탄산칼슘 및 그들의 표면 처리품, 클레이, 규조토를 사용하면 저비용으로 연신시의 공공 형성성이 양호해지기 때문에 바람직하다. 더욱 바람직한 것은, 중질 탄산칼슘, 침강성 탄산칼슘의 여러 가지의 표면 처리제에 의한 표면 처리품이다.
표면 처리제로서는, 예를 들어 수지산, 지방산, 유기산, 황산에스테르형 음이온 계면활성제, 술폰산형 음이온 계면활성제, 석유 수지산, 이들 나트륨, 칼륨, 암모늄 등의 염, 또는 이들 지방산 에스테르, 수지산 에스테르, 왁스, 파라핀 등이 바람직하고, 또 비이온계 계면활성제, 디엔계 폴리머, 티타네이트계 커플링제, 실란계 커플링제, 인산계 커플링제 등도 바람직하다. 황산에스테르형 음이온 계면활성제로서는, 예를 들어 장사슬 알코올 황산에스테르, 폴리옥시에틸렌알킬에테르황산에스테르, 황산화유 등 혹은 그들의 나트륨, 칼륨 등의 염을 들 수 있고, 술폰산형 음이온 계면활성제로서는, 예를 들어 알킬벤젠술폰산, 알킬나프탈렌술폰산, 파라핀술폰산, α-올레핀술폰산, 알킬술포숙신산 등 혹은 그들의 나트륨, 칼륨 등의 염을 들 수 있다. 또, 지방산으로서는, 예를 들어 카프로산, 카프릴산, 펠라르곤산, 카프린산, 운데칸산, 라우르산, 미리스트산, 팔미트산, 스테아르산, 헤벤산, 올레산, 리놀산, 리놀렌산, 에레오스테아르산 등을 들 수 있고, 유기산으로서는, 예를 들어 말레산, 소르브산 등을 들 수 있고, 디엔계 폴리머로서는, 예를 들어 폴리부타디엔, 이소프렌 등을 들 수 있고, 비이온계 계면활성제로서는 폴리에틸렌글리콜형, 다가 알코올형 등의 계면활성제 등을 들 수 있다. 이들 표면 처리제는 1 종류 또는 2 종류 이상 조합하여 사용할 수 있다. 이들 표면 처리제를 사용한 무기 필러의 표면 처리 방법으로는, 예를 들어, 일본 공개특허공보 평5-43815호, 일본 공개특허공보 평5-139728호, 일본 공개특허공보 평7-300568호, 일본 공개특허공보 평10-176079호, 일본 공개특허공보 평11-256144호, 일본 공개특허공보 평11-349846호, 일본 공개특허공보 2001-158863호, 일본 공개특허공보 2002-220547호, 일본 공개특허공보 2002-363443호 등에 기재된 방법을 이용할 수 있다.
유기 필러로서는, 사용하는 열가소성 수지의 융점 또는 유리 전이점보다 높은 융점 또는 유리 전이점을 갖는 것이 사용된다. 예를 들어, 사용하는 열가소성 수지가 폴리올레핀계 수지인 경우에는,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 폴리부틸렌테레프탈레이트, 폴리아미드, 폴리카보네이트, 폴리에틸렌나프탈레이트, 폴리스티렌, 멜라민 수지, 고리형 올레핀 단독 중합체, 고리형 올레핀과 에틸렌의 공중합체, 폴리에틸렌술파이드, 폴리이미드, 폴리에틸에테르케톤, 폴리페닐렌술파이드 등을 예시할 수 있다. 그 중에서도, 사용하는 열가소성 수지에 비상용성의 유기 필러를 사용하는 것이 공공 형성의 관점에서 바람직하다.
반사층 (I) 에는, 무기 필러 또는 유기 필러 중에서 1 종을 선택하여 이것을 단독으로 사용해도 되고, 2 종 이상을 선택하여 조합하여 사용해도 된다. 2 종 이상을 조합하여 사용하는 경우에는, 유기 필러와 무기 필러를 혼합하여 사용해도 된다.
무기 필러의 평균 입경은, 예를 들어 마이크로 트럭법, 주사형 전자현미경에 의한 1 차 입경의 관찰, 비표면적으로부터의 환산 등에 의해 구할 수 있다. 본 발명에서는 (주) 시마즈 제작소 제조의 분체 비표면적 측정 장치 SS-100 을 사용하여 무기 필러의 비표면적을 측정하고, 이것을 환산하여 구하였다.
유기 필러의 평균 분산 입경은, 예를 들어 필름 단면 (斷面) 을 주사형 전자현미경에 의해 관찰하여 1 차 입경을 측정하는 방법 등에 의해 요구된다.
후술하는 적층 필름의 연신 성형에 의해 발생시키는 공공 사이즈의 조정을 위해, 상기 무기 필러의 평균 입경, 또는 유기 필러의 평균 분산 입경은 바람직하게는 각각이 0.05 ∼ 1.5 ㎛ 의 범위, 보다 바람직하게는 각각이 0.1 ∼ 1.3 ㎛ 의 범위인 것을 사용한다. 평균 입경 또는 평균 분산 입경이 1.5 ㎛ 이하인 필러를 이용하면, 공공을 보다 균일하게 하기 쉬운 경향이 있다. 또, 평균 입경 또는 평균 분산 입경이 0.05 ㎛ 이상인 필러를 이용하면, 소정의 공공이 보다 쉽게 얻어지는 경향이 있다.
후술하는 적층 필름의 연신 성형에 의해 반사층 (I) 내부에 발생시키는 공공량의 조정을 위해, 반사층 (I) 을 구성하는 연신 필름 중으로의 상기 필러의 배합량은, 바람직하게는 5 ∼ 90 중량% 이고, 보다 바람직하게는 15 ∼ 80 중량% 이고, 더욱 바람직하게는 25 ∼ 70 중량% 이고, 특히 바람직하게는 35 ∼ 60 중량% 이다. 필러의 배합량이 5 중량% 이상이면, 충분한 공공 수가 얻어지기 쉬워지는 경향이 있다. 또, 필러의 배합량이 90 중량% 이하이면, 광 반사체 표면에 흠집이 생기기 어려워지는 경향이 있다.
[그 밖의 성분]
또한, 본 발명의 반사층 (I) 에는, 필요에 따라, 형광 증백제, 열 안정제, 광 안정제, 분산제, 활제 등을 배합해도 된다. 열 안정제로서는, 입체 장애 페놀계나 인계, 아민계 등의 열 안정제를 0.001 ∼ 1 중량%, 광 안정제로서는, 입체 장애 아민이나 벤조트리아졸계, 벤조페논계 등의 광 안정제를 0.001 ∼ 1 중량%, 무기 필러의 분산제로서는, 실란 커플링제, 올레산이나 스테아르산 등의 고급 지방산, 금속 비누, 폴리아크릴산, 폴리메타크릴산 내지는 그들의 염 등을 0.01 ∼ 4 중량% 배합해도 된다. 이들 성분은, 하기에 상세하게 설명하는 본 발명의 광 반사체를 구성하는 각 층에도, 동일하게 배합해도 된다.
본 발명에서 사용하는 반사층 (I) 은, 단층 구조여도 되고, 다층 구조여도 된다.
JIS-P 8118 에 준거하여 측정되는 반사층 (I) 의 두께는, 효율이 좋은 광 반사를 실현하기 위해서 50 ∼ 1000 ㎛ 인 것이 바람직하고, 100 ∼ 400 ㎛ 인 것이 보다 바람직하고, 120 ∼ 300 ㎛ 인 것이 더욱 바람직하다. 또, 본 발명의 광 반사체의 전체 두께를 100 % 로 했을 때의 반사층 (I) 의 두께의 비율은, 40 ∼ 98 % 인 것이 바람직하고, 45 ∼ 97 % 인 것이 보다 바람직하고, 50 ∼ 96 % 인 것이 더욱 바람직하다.
[휘도 향상층 (II)]
휘도 향상층 (II) 은 1 축 연신된 필름으로 이루어지고, 반사층 (I) 의 광 입사면의 이면에 배치함으로써 효율적으로 휘도를 향상시키는 역할을 갖는다.
즉 본 발명은, 종래의 광 반사 기재에 추가로, 기재의 광 입사면 (광 반사면) 의 이면에, 1 축 연신에 의한 방추 형상의 공공을 함유하고, 일정값 이상의 반사율을 갖는 휘도 향상층 (II) 을 적층한 광 반사체에 관한 것이다. 이 방추 형상의 공공은 높은 광 산란 효과를 가지고 있어, 기재 (반사층 (I)) 에서 전부 반사되지 않고 투과한 광을, 기재측으로 되돌려 보내는 효과를 발휘한다. 그로 인해 광 반사체의 광 입사면의 법선 방향에 대한 반사광량을 증대시킬 수 있어, 결과적으로 보다 휘도가 향상된 광 반사체가 얻어지는 것을 알아내어, 완성한 것이다.
휘도 향상층 (II) 은 광 반사체의 휘도 향상 효율을 높이기 위해서, 휘도 향상층 (II) 의 반사율, 보다 구체적으로는 광 입사면측 (반사층 (I) 에 접하는 면측) 의 반사율은 높을수록 좋고, 60 ∼ 100 % 의 범위이다. 그 반사율은 70 ∼ 100 % 인 것이 바람직하고, 80 ∼ 90 % 인 것이 보다 바람직하다. 휘도 향상층 (II) 의 반사율은, 열가소성 수지 및 필러를 사용하여 얻은 필름을 1 축 연신하여, 휘도 향상층 (II) 내에 방추 형상의 공공을 다수 형성하고, 또한 그 층의 두께를 15 ∼ 150 ㎛ 의 범위로 함으로써 향상시킬 수 있다.
본 발명의 광 반사체를 구성하는 휘도 향상층 (II) 은, 1 개의 층으로 이루어지는 것이어도 되고, 2 개 이상의 층으로 이루어지는 것이어도 된다. 1 개의 층으로 이루어지는 것인 경우는 그 층이 휘도 향상에 기여하는 휘도 개선층이고, 2 개 이상의 층으로 이루어지는 경우에는 그 중의 적어도 1 층이 휘도 개선층이다.
JIS-P 8118 에 준거하여 측정되는 휘도 향상층 (II) 의 두께는, 15 ∼ 150 ㎛ 인 것이 바람직하고, 보다 바람직하게는 18 ∼ 100 ㎛, 특히 바람직하게는 20 ∼ 80 ㎛ 이다. 휘도 향상층 (II) 의 두께가 15 ㎛ 이상이면, 충분한 휘도 향상 성능을 부여하기 쉽기 때문에, 양호한 휘도율을 달성하기 쉬워지는 경향이 있다. 비용이나 장착 작업성을 무시하면, 입사광의 누설 방지의 관점에서, 그 두께는 두꺼울수록 좋다. 그러나 150 ㎛ 를 초과하면 효과가 한계점에 도달하게 되는 경향이 관찰된다.
휘도 향상층 (II) 이 2 개 이상의 층으로 이루어지는 것인 경우, 휘도 향상에 기여하는 휘도 개선층을 적어도 1 층 포함한다 (휘도 향상층 (II) 이 단일층으로 이루어지는 경우에는 휘도 향상층 (II) 이 휘도 개선층이다).
휘도 개선층의 두께는 3 ∼ 150 ㎛ 인 것이 바람직하고, 보다 바람직하게는 4 ∼ 95 ㎛, 더욱 바람직하게는 5 ∼ 70 ㎛ 이고, 특히 바람직하게는 15 ∼ 70 ㎛ 이다.
휘도 개선층에는, 반사층 (I) 에 사용되는 것과 동일한 열가소성 수지 및 필러를 사용할 수 있다. 사용하는 필러는, 무기 필러의 경우에는 평균 입경이 0.05 ∼ 1.5 ㎛ 인 것이 바람직하고, 유기 필러의 경우에는 평균 분산 입경이 0.05 ∼ 1.5 ㎛ 인 것이 바람직하다. 입경이 1.5 ㎛ 이하이면, 공공을 형성하기 쉽고, 휘도 개선층의 반사율을 향상시키기 쉽다는 점에서 유리하다.
휘도 향상 성능의 조정을 위해, 휘도 개선층을 구성하는 연신 필름 중으로의 상기 필러의 배합량은, 바람직하게는 5 ∼ 90 중량% 이고, 보다 바람직하게는 5 ∼ 80 중량% 이고, 더욱 바람직하게는 5 ∼ 70 중량% 이다. 필러의 배합량이 5 중량% 이상이면, 휘도 향상 성능이 부여되기 쉽기 때문에, 보다 양호한 휘도 향상 성능이 얻어지기 쉬워지는 경향이 있다. 배합량이 90 중량% 이하이면, 후술하는 연신 성형이 용이하여 필름 성형에 바람직하다.
또, 휘도 개선층에 필러로서 산화티탄 등의 고굴절률인 필러를 사용하는 경우의 함유율은, 0.1 ∼ 50 중량% 인 것이 바람직하고, 0.3 ∼ 40 중량% 인 것이 보다 바람직하고, 0.5 ∼ 35 중량% 인 것이 더욱 바람직하다. 함유율의 상한이 50 중량% 이하이면, 후술하는 연신 성형이 용이해진다는 이점이 있다. 한편, 휘도 개선층에 필러로서 탄산칼슘 등의 저굴절률인 필러를 사용하는 경우의 함유율은, 1 ∼ 85 중량% 인 것이 바람직하고, 5 ∼ 75 중량% 인 것이 보다 바람직하고, 9 ∼ 65 중량% 인 것이 더욱 바람직하다. 함유율의 하한이 1 중량% 이상이면, 연신시에 공공을 형성하기 쉽다는 이점이 있다.
휘도 향상층 (II) 이 2 개 이상의 층으로 이루어지는 것인 경우, 휘도 개선층 이외의 층은 본 발명의 효과를 과도하게 저해시키지 않는 층으로 한다. 구체적인 층 구성으로서, 예를 들어 중간층과 휘도 개선층으로 이루어지는 2 층 구조를 들 수 있다. 이 때, 반사층 (I) 에 접촉하는 측을 중간층으로 한다. 중간층의 두께는, 바람직하게는 2 ∼ 100 ㎛ 이고, 보다 바람직하게는 5 ∼ 80 ㎛ 이고, 더욱 바람직하게는 10 ∼ 60 ㎛ 이다.
중간층은, 광 반사체의 기계 강도 (탄성률 등) 를 향상시킬 필요가 있을 때 형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중간층에는, 반사층 (I) 에 사용되는 것과 동일한 열가소성 수지를 사용할 수 있다. 또 중간층은 상기 필러를 함유해도 되고, 함유하지 않아도 된다. 필러를 함유하지 않는 경우에는 열가소성 수지만으로 이루어지는 것이어도 된다. 또, 중간층이 필러를 함유하는 경우에는, 필러의 함유율은 0.1 ∼ 90 중량% 인 것이 바람직하고, 0.3 ∼ 85 중량% 인 것이 보다 바람직하고, 0.5 ∼ 75 중량% 인 것이 더욱 바람직하다. 특히 필러로서 산화티탄 등의 고굴절률인 필러를 사용하는 경우의 함유율은, 0.1 ∼ 20 중량% 인 것이 바람직하고, 0.3 ∼ 15 중량% 인 것이 보다 바람직하고, 0.5 ∼ 10 중량% 인 것이 더욱 바람직하다. 한편, 중간층이 필러로서 탄산칼슘 등의 저굴절률인 필러를 사용하는 경우의 함유율은, 1 ∼ 90 중량% 인 것이 바람직하고, 5 ∼ 85 중량% 인 것이 보다 바람직하고, 9 ∼ 75 중량% 인 것이 더욱 바람직하다.
[표면층 (III)]
본 발명의 광 반사체는, 휘도 향상층 (II) 과는 반대측의 반사층 (I) 의 표면에 추가로 표면층 (III) 을 형성한 것이어도 된다. 표면층 (III) 을 갖는 경우에는, 표면층 (III) 의 표면이 광 반사체의 광 입사면이 된다. 표면층 (III) 은, 표면 강도의 향상에 의한 광 반사체의 흠집 발생 방지나, 광에 의한 광 반사체의 열화를 방지하는 것을 목적으로 하여 형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 표면층 (III) 은, 광 반사체의 표면의 반사율이나 휘도가 본 발명의 범위 미만으로까지 저하되지 않도록 형성한다. 그러기 위해서는, 표면층 (III) 을, 반사층 (I) 으로부터의 반사광을 가능한 한 저해시키지 않는 구조로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광 반사체를 구성하는 표면층 (III) 은, 1 개의 층으로 이루어지는 것이어도 되고, 2 개 이상의 층으로 이루어지는 것이어도 된다. JIS-P 8118 에 준거하여 측정되는 표면층 (III) 의 총 두께는, 1 ∼ 100 ㎛ 인 것이 바람직하고, 보다 바람직하게는 2 ∼ 80 ㎛, 특히 바람직하게는 7 ∼ 60 ㎛ 이다. 총 두께가 1 ㎛ 이상이면, 표면층 (III) 의 소기의 성능을 부여하기 쉬워지는 경향이 있다. 총 두께가 100 ㎛ 이하이면, 본 발명의 광 반사체의 반사율이나 휘도를 소기의 값으로 유지하기 쉬워지는 경향이 있다.
본 발명의 광 반사체를 구성하는 표면층 (III) 은, 무연신 필름으로 이루어지는 것이나, 1 축 연신 필름으로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 중에서도, 1 축 연신 필름으로 이루어지는 것이, 층두께가 얇고 균일하기 때문에 바람직하다.
표면층 (III) 에는, 반사층 (I) 에 사용되는 것과 동일한 열가소성 수지를 사용할 수 있다. 또, 표면층 (III) 은 상기 필러를 함유해도 된다.
표면층 (III) 이 1 개의 층으로 이루어지는 경우에는, 필러의 함유율은 0.1 ∼ 90 중량% 인 것이 바람직하고, 0.3 ∼ 80 중량% 인 것이 보다 바람직하고, 0.5 ∼ 75 중량% 인 것이 더욱 바람직하다. 특히 필러로서 산화티탄 등의 고굴절률인 필러를 사용하는 경우의 함유율은, 0.1 ∼ 20 중량% 인 것이 바람직하고, 0.3 ∼ 15 중량% 인 것이 보다 바람직하고, 0.5 ∼ 10 중량% 인 것이 더욱 바람직하다. 한편, 필러로서 탄산칼슘 등의 저굴절률인 필러를 사용하는 경우의 함유율은, 1 ∼ 90 중량% 인 것이 바람직하고, 3 ∼ 80 중량% 인 것이 보다 바람직하고, 5 ∼ 75 중량% 인 것이 더욱 바람직하다. 열가소성 수지로서는 폴리올레핀계 수지 등 광 열화에 의한 변색이 적은 것을 사용하는 것이 시간 경과에 따른 휘도 저하를 방지하기 쉬운 점에서 바람직하다.
표면층 (III) 이 2 개 이상의 층으로 이루어지는 경우에는, 필러의 함유율이 상이한 층을 적층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예를 들어, 표면층 (III) 이 최표면층과 중간층의 2 개 이상의 층으로 이루어지고, 중간층을 반사층 (I) 에 접하도록 형성하는 경우를 예를 들어 설명하면, 최표면층의 두께는 1 ∼ 100 ㎛ 인 것이 바람직하고, 보다 바람직하게는 1 ∼ 60 ㎛, 특히 바람직하게는 2 ∼ 20 ㎛ 이고, 또, 중간층의 두께는 0 ∼ 99 ㎛ 인 것이 바람직하고, 보다 바람직하게는 1 ∼ 79 ㎛, 특히 바람직하게는 5 ∼ 58 ㎛ 이다.
또, 최표면층의 필러의 함유율은 0 ∼ 85 중량% 인 것이 바람직하고, 5 ∼ 75 중량% 인 것이 보다 바람직하고, 8 ∼ 65 중량% 인 것이 더욱 바람직하다. 중간층의 필러의 함유율은 1 ∼ 85 중량% 인 것이 바람직하고, 2 ∼ 75 중량% 인 것이 보다 바람직하고, 5 ∼ 65 중량% 인 것이 더욱 바람직하다.
표면층 (III) 에 형성하는 중간층은, 휘도 향상층 (II) 에 형성하는 중간층과 동일한 조성이나 두께로 할 수도 있다.
[적층 필름]
본 발명의 광 반사체를 구성하는 적층 필름은, 상기와 같이, 반사층 (I) 과 휘도 향상층 (II) 만으로 이루어지는 것이어도 되고, 표면층 (III)/반사층 (I)/휘도 향상층 (II) 의 구조를 갖는 것이어도 된다.
이하에 있어서, 반사층 (A), 휘도 개선층 (B), 최표면층 (C), 중간층 (D1), 중간층 (D2) 중 2 ∼ 5 층을 갖는 본 발명의 광 반사체의 구체적인 층 구성을 예시한다. 반사층 (A), 휘도 개선층 (B), 최표면층 (C), 중간층 (D1), 중간층 (D2) 은 각각 단일층으로, 휘도 개선층 (B) 과 중간층 (D2) 은 휘도 향상층 (II) 을 구성하는 것이고, 최표면층 (C) 과 중간층 (D1) 은 표면층 (III) 을 구성하는 것이다. 또, 이하에 있어서 최초로 기재되는 층이 광 입사면이 된다.
층 구성예 1 : (A)/(B)
층 구성예 2 : (C)/(A)/(B)
층 구성예 3 : (A)/(D2)/(B)
층 구성예 4 : (C)/(D1)/(A)/(B)
층 구성예 5 : (C)/(A)/(D2)/(B)
층 구성예 6 : (C)/(D1)/(A)/(D2)/(B)
[성형]
본 발명의 광 반사체를 구성하는 적층 필름의 성형 방법으로는, 일반적인 수지 필름의 적층 방법 및 연신 방법을 이용할 수 있다.
적층 방법의 구체예로서는, 다층의 T 다이나 I 다이를 사용하여 용융 수지를 다이 내부에서 적층하여 이것을 시트 형상으로 압출하고, 다층의 시트를 얻는 공압출 방법, 복수의 T 다이나 I 다이를 사용하여 용융 수지를 다른 시트 상에 적층하고, 다층의 시트를 얻는 라미네이션 방법 등을 들 수 있다. 본 발명에 있어서 반사층 (I) 과 휘도 향상층 (II) 은 연신축 수가 상이하기 때문에, 반사층 (I) 과 휘도 향상층 (II) 을 포함하는 적층체를 형성할 때에는, 후자의 라미네이션 방법을 이용하여 적층 필름으로 한다.
연신 방법의 구체예로서는, 스크루형 압출기에 접속된 단층 또는 다층의 T 다이나 I 다이를 사용하여 용융 수지를 시트 형상으로 압출 성형한 후, 이 시트를 롤군의 주속차를 이용하여 세로 방향 (흐름 방향) 으로 1 축 연신하는 방법, 텐터 오븐을 이용하여 가로 방향 (폭 방향) 으로 1 축 연신하는 방법, 또한 롤군의 주속차를 이용한 종연신과 텐터 오븐을 이용한 횡연신을 조합한 축차 2 축 연신 방법이나, 텐터 오븐과 리니어 모터의 조합에 의한 동시 2 축 연신 방법, 텐터 오븐과 팬터그래프의 조합에 의한 동시 2 축 연신 방법, O 다이와 압공을 이용한 인플레이션 성형 방법 (튜뷸러법) 에 의한 동시 2 축 연신 방법 등을 들 수 있다. 본 발명에 있어서 반사층 (I) 과 휘도 향상층 (II) 은 연신축 수가 상이하기 때문에 롤군의 주속차를 이용한 종연신과 텐터 오븐을 이용한 횡연신을 조합한 축차 2 축 연신 방법을 가장 바람직하게 사용할 수 있다.
반사층 (I) 과 휘도 향상층 (II) 으로 이루어지는 본 발명의 적층 필름을 형성하는 방법으로는, 예를 들어 반사층 (I) 의 1 축 방향의 연신이 종료된 후, 이것에 휘도 향상층 (II) 의 용융 수지 조성물을 압출하여 첩합 (라미네이트) 하고, 이 적층체를 다시 상기 연신 방향과 직각 방향으로 1 축 연신 성형하는 방법, 반사층 (I) 및 휘도 향상층 (II) 의 원료 수지를 개별적으로 연신 성형한 후, 직접 또는 접착 용이층을 개재하여 첩합하는 방법 등을 이용할 수 있다.
표면층 (III) 을 형성하는 경우에도, 휘도 향상층 (II) 과 동일한 방법을 채용할 수 있다. 즉, 반사층 (I) 의 1 축 방향의 연신이 종료된 후, 반사층 (I) 의 양면에 각각 휘도 향상층 (II) 의 용융 수지 조성물과 표면층 (III) 의 용융 수지 조성물을 동시 또는 축차로 압출하여 첩합 (라미네이트) 하고, 이 적층체를 다시 상기 연신 방향과 직각 방향으로 1 축 연신 성형하는 방법 ; 반사층 (I), 휘도 향상층 (II), 표면층 (III) 의 각 원료 수지를 개별적으로 연신 성형한 후, 직접 또는 접착 용이층을 개재하여 첩합하는 방법 ; 상기 방법 중 어느 것에 의해 2 축 연신 필름으로 이루어지는 반사층 (I) 과 1 축 연신 필름으로 이루어지는 휘도 향상층 (II) 의 적층체를 성형한 후, 이것과는 별도로 준비한 표면층 (III) 의 필름을 반사층 (I) 측에 직접 또는 접착 용이층을 개재하여 첩합하는 방법 등을 이용할 수 있다.
또한, 반사층 (I), 휘도 향상층 (II), 표면층 (III) 중 어느 것이 복층 구조를 가지고 있는 경우에도, 상기 방법과 동일한 방법에 의해 성형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휘도 향상층 (II) 이 중간층과 휘도 개선층으로 이루어지는 2 층 구조를 갖는 경우에는, 휘도 향상층 (II) 의 연신 성형 전에 다층 T 다이나 I 다이를 사용하여 중간층과 휘도 개선층의 용융 원료를 공압출하는 방법 등을 이용할 수 있다.
연신 배율은, 반사층 (I) 에 대한 공공의 부여, 및 휘도 향상층 (II) 에 대한 휘도 향상 성능의 부여의 관점에서 중요한 요소이다.
적층 필름 중에 발생시키는 공공의 크기를 조정하기 위해서, 2 축 연신 필름으로 이루어지는 반사층 (I) 의 세로 방향 연신 배율 (LMD) 과 가로 방향 연신 배율 (LCD) 의 곱인 면적 연신 배율은, 바람직하게는 3 ∼ 80 배의 범위로 하고, 보다 바람직하게는 7 ∼ 70 배의 범위, 더욱 바람직하게는 22 배 ∼ 60 배, 가장 바람직하게는 25 ∼ 50 배로 한다. 면적 연신 배율이 3 ∼ 80 배의 범위 내이면, 미세한 공공이 얻어지기 쉽고, 반사율의 저하도 억제하기 쉽다.
또한 가시광 영역에서의 광선을 효율적으로 반사시키기 위해서, 가시광선의 파장 사이즈의 두께로 제어한 공공을 형성하기 위해서는, 필러 입경이나 연신 배율에 추가로, 반사층 (I) 의 세로 방향 연신 배율 (LMD) 과 가로 방향 연신 배율 (LCD) 의 비인 LMD/LCD 가, 0.25 ∼ 2.7 의 범위가 되도록 조정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LMD/LCD 비는 0.3 ∼ 2.5 의 범위인 것이 보다 바람직하고, 0.4 ∼ 2.2 의 범위인 것이 더욱 바람직하다. 0.25 ∼ 2.7 의 범위가 되도록 (세로 방향 연신 배율 (LMD) 과 가로 방향 연신 배율 (LCD) 이 최대한 동등한 값이 되도록) 조정함으로써, 형성되는 공공은 면방향에서 보아 원 ∼ 타원 형상이 되어, 여러 방향에서 입사하는 광선을 효율적으로 반사시키는 것이 가능해진다.
1 축 연신 필름으로 이루어지는 휘도 향상층 (II) 의 연신 배율은, 바람직하게는 3 ∼ 20 배의 범위로 하고, 보다 바람직하게는 4 ∼ 18 배의 범위, 더욱 바람직하게는 5 배 ∼ 16 배, 가장 바람직하게는 6 ∼ 12 배로 한다. 연신 배율이 3 ∼ 20 배의 범위 내이면, 높은 광 산란 효과를 갖는 방추 형상의 공공을 형성하기 쉬워, 연신한 층에 휘도 향상 성능을 부여할 수 있다.
연신 온도는, 사용하는 열가소성 수지의 융점보다 2 ∼ 60 ℃ 낮은 온도, 유리 전이점보다 2 ∼ 60 ℃ 높은 온도이고, 수지가 프로필렌 단독 중합체 (융점 155 ∼ 167 ℃) 일 때에는 95 ∼ 165 ℃,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 (유리 전이점 : 약 70 ℃) 일 때에는 100 ∼ 130 ℃ 가 바람직하다. 또, 연신 속도는 20 ∼ 350 m/분이 바람직하다. 상기 연신 온도로 필름 성형함으로써, 필름 내부에 원하는 공공을 형성하기 쉽다.
또, 연신에 의해 얻어진 적층 필름은, 필요에 따라 열처리 (어닐링 처리) 를 실시함으로써, 결정화의 촉진이나 적층 필름의 열수축률 저감 등을 도모할 수도 있다.
본 발명의 반사층 (I) 의 단위 체적당 발생시키는 공공의 양은, 공공률로서 표현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반사층 (I) 의 공공률은, 바람직하게는 15 ∼ 60 %, 보다 바람직하게는 25 ∼ 55 %, 더욱 바람직하게는 35 ∼ 55 % 의 범위로 한다. 본 명세서에 있어서 「공공률」이란, 하기 식 (1) 에 따라 계산되는 값을 의미한다. 식 (1) 중의 ρ0 은 반사층 (I) 의 진밀도를 나타내고, ρ 는 후술하는 방법으로 구해지는 반사층 (I) 의 밀도를 나타낸다. 반사층 (I) 의 진밀도는, 연신 전의 재료가 다량의 공기를 함유하는 것이 아닌 한, 이것을 구성하는 연신 전의 수지 조성물의 밀도와 동등하다.
[수학식 2]
Figure pct00002
본 발명에서 사용하는 적층 필름의 밀도는, 일반적으로 0.4 ∼ 1.3 g/㎤ 의 범위이고, 바람직하게는 0.5 ∼ 0.9 g/㎤ 의 범위이다. 공공이 많을수록 밀도는 작아지고 공공률은 커진다. 공공률이 크면, 표면의 반사 특성을 보다 크게 향상시킬 수 있는 경향이 있다. 그러나 공공률이 지나치게 크면 적층 필름의 기계 강도 (탄성률 등) 가 뒤떨어져, 취급시의 주름 발생 등 문제가 생기기 쉽다.
본 발명에서 사용하는 적층 필름의 밀도는, JIS-P 8118 에 준거하여 측정된다. 반사층 (I) 의 밀도는, 적층 필름으로부터 휘도 향상층 (II) 을 박리하여 (표면층 (III) 이 있는 경우도 동일하게 박리하여), 반사층 (I) 만으로 한 후, 적층 필름과 동일하게 하여 구하였다.
또, 본 발명에서 사용하는 적층 필름의 필러의 함유율은, 5 ∼ 75 중량% 인 것이 바람직하고, 15 ∼ 65 중량% 인 것이 보다 바람직하고, 25 ∼ 55 중량% 인 것이 더욱 바람직하고, 35 ∼ 45 중량% 인 것이 특히 바람직하다. 필러 함유율을 그 범위 내로 함으로써, 적층 필름을 상기와 같이 성형했을 때에, 공공률이나 밀도를 제어하기 쉽다.
[광 반사체]
본 발명의 광 반사체는, 상기 적층 필름으로 이루어진다. JIS-Z 8722 의 조건 d 에 기재된 방법에 기초하여 600 ㎚ 파장광을 사용하여 측정한 본 발명의 광 반사체의 광 입사면 (반사층 (I) 또는 표면층 (III) 표면) 의 반사율은, 98 % ∼ 100 % 이다. 적층 필름의 광 입사면에서의 반사율이 98 % 미만에서는 휘도가 저하되는 경향이 있기 때문에 바람직하지 않다.
본 발명의 광 반사체는, 후술하는 시험 방법에 의해 휘도를 측정할 수 있다. 그 시험 방법에 기초하는 본 발명의 광 반사체의 실측 휘도값은, 315 ∼ 343 cd 인 것이 바람직하고, 315 ∼ 338 cd 인 것이 보다 바람직하고, 318 ∼ 328 cd 인 것이 더욱 바람직하다. 본 발명에 있어서의 광 반사체의 휘도는, (주) 유포·코퍼레이션 제조의 유포 FPG300 (상품명) 의 실측 휘도값 (그 시험 방법에 기초하여, 298 cd) 을 100 % 로 하여 산출한 상대 휘도값으로 평가하고 있다. 본 발명의 광 반사체의 광 입사면 (반사층 (A) 또는 최표면층 (C) 표면) 의 상대 휘도값은 106 % ∼ 115 % 이고, 106 % ∼ 112 % 인 것이 바람직하고, 107 % ∼ 110 % 인 것이 보다 바람직하다. 상대 휘도값이 106 % 에 못 미치면 휘도 향상층 (II) 에 의한 휘도 개량 효과는 대부분 얻어지지 않고, 종래품에 비해서도 개선 효과는 많지 않다.
본 발명의 광 반사체의 형상은 특별히 제한되지 않고, 사용 목적이나 사용 양태에 따라 적절하게 결정할 수 있다. 통상적으로는, 판 형상이나 필름 형상으로 하여 사용하지만, 그 밖의 형상으로 사용한 경우에도 광 반사체로서 사용하는 것인 한, 본 발명의 범위 내에 포함된다.
[면광원 장치]
본 발명의 광 반사체를 사용하여, 면광원 장치를 제조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면광원 장치의 구체적인 구성은 특별히 제한되지 않는다. 전형적인 면광원 장치는, 예를 들어 도 6 에 나타내는 바와 같은 직하식 백라이트나, 도 7 에 나타내는 바와 같은 사이드 라이트식 백라이트를 예시할 수 있다. 이들 면광원 장치에 설치하는 경우에는, 본 발명의 광 반사체의 광 입사면 (반사층 (I) 표면 또는 표면층 (III) 표면) 측이 면광원 장치의 광원을 향하도록 설치한다. 본 발명의 광 반사체는, 그 중에서도 직하식 백라이트를 구성하는 광 반사체로서 매우 유용하다. 본 발명의 광 반사체는 광 입사면의 법선 방향에 대한 반사 기능을 향상시킬 수 있으므로, 이것을 사용한 직하식 백라이트는, 보다 높은 휘도를 얻을 수 있다.
본 발명의 면광원 장치는, 액정 디스플레이 등에 바람직하게 배치할 수 있다. 액정 디스플레이에 응용한 경우에는, 화질이나 밝기를 장기에 걸쳐 양호하게 유지할 수 있다.
[그 밖의 용도]
본 발명의 광 반사체는, 이와 같은 내장식 광원을 사용한 면광원 장치뿐만 아니라, 실내광을 반사시키는 것을 의도한 저소비 전력형의 표시 장치에도 이용할 수 있다. 또, 실내외 조명용, 전식 간판용 광원 등의 조명 장치의 배면 반사체에도 폭넓게 이용할 수 있다.
실시예
이하에 실시예, 비교예 및 시험예를 기재하여, 본 발명을 더욱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이하에 나타내는 재료, 사용량, 비율, 조작 등은, 본 발명의 취지를 일탈하지 않는 한 적시 변경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범위는 이하에 나타내는 구체예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또한, 본 실시예에 사용한 재료를 표 1 에 나타낸다.
종류 내용
PP1 프로필렌 단독 중합체 (니혼 폴리프로 (주) 제조, 상품명 : 노바텍 PP EA8,
MFR (230 ℃, 2.16 kg 하중) : 0.8 g/10 분, 융점 (DSC 피크 온도) : 167 ℃
PP2 프로필렌 단독 중합체 (니혼 폴리프로 (주) 제조, 상품명 : 노바텍 PP MA4,
MFR (230 ℃, 2.16 kg 하중) : 5 g/10 분, 융점 (DSC 피크 온도) : 167 ℃
HDPE 고밀도 폴리에틸렌 (니혼 폴리에틸렌 (주) 제조, 상품명 : 노바텍 HD MA4,
MFR (230 ℃, 2.16 kg 하중) : 5 g/10 분, 융점 (DSC 피크 온도) : 167 ℃
CaCO3(a) 표면 처리 침강성 탄산칼슘 (마루오 칼슘 (주) 제조, 상품명 : 칼파인 YM30, 평균 입경 : 0.3 ㎛)
CaCO3(b) 중질 탄산칼슘 (비호쿠 분화 공업 (주) 제조, 상품명 : 소프톤 1800, 평균 입자 직경 : 1.8 ㎛)
CaCO3(c) 중질 탄산칼슘 (미오 칼슘 (주) 제조, 상품명 : 칼텍스 7, 평균 입자 직경 : 1.2 ㎛)
CaCO3(d) 중질 탄산칼슘 (비호쿠 분화 공업 (주) 제조, 상품명 : BF300, 평균 입자 직경 : 8 ㎛)
TiO2 루틸형 이산화티탄 (이시하라 산업 (주) 제조, 상품명 : CR-60, 평균 입자 직경 : 0.2 ㎛)
(실시예 1)
표 1 에 기재된 재료를 표 2 에 기재된 배합으로 혼합한 조성물 (A) 을, 250 ℃ 로 설정한 압출기를 사용하여 용융 혼련하였다. 그 후, 그 조성물을 시트 형상으로 압출하고, 냉각 롤로 약 60 ℃ 까지 냉각시켜 무연신 시트를 얻었다. 이 무연신 시트를 145 ℃ 로 재가열한 후, 다수의 롤군의 주속차를 이용하여 세로 방향으로 표 2 에 기재된 배율 (LMD) 로 연신하여 연신 시트를 얻었다. 또 표 1 에 기재된 재료를 표 2 에 기재된 배합으로 혼합한 조성물 (B), (C), (D) 을, 250 ℃ 로 설정한 3 대의 압출기를 사용하여 개별적으로 용융 혼련하고, 얻어진 연신 시트의 편면에 조성물 (B) 을 용융 압출하고, 다른 편면에 조성물 (C), (D) 을 용융 공압출하여, C/D/A/B 가 되도록 적층하였다. 이어서 이 적층물을 160 ℃ 로 재가열한 후, 텐터를 사용하여 가로 방향으로 표 2 에 기재된 배율 (LCD) 로 연신하였다. 그 후, 이것을 160 ℃ 에서 어닐링 처리한 후, 60 ℃ 까지 냉각시키고, 이 (耳) 부를 슬릿하여, 표 2 에 기재된 두께를 갖는 최표면층 (C)/중간층 (D)/반사층 (A)/휘도 개선층 (B) 으로 이루어지는 4 층 구조의 적층 필름을 얻었다 (도 3). 여기서는, 최표면층 (C)/중간층 (D) 이 본 발명의 표면층 (III) 에 상당한다. 이 적층 필름을 광 반사체로 하였다.
(실시예 2)
표 1 에 기재된 재료를 표 2 에 기재된 배합으로 혼합한 조성물 (A) 을, 250 ℃ 로 설정한 압출기를 사용하여 용융 혼련하였다. 그 후, 그 조성물을 시트 형상으로 압출하고, 냉각 롤로 약 60 ℃ 까지 냉각시켜 무연신 시트를 얻었다. 이 무연신 시트를 145 ℃ 로 재가열한 후, 다수의 롤군의 주속차를 이용하여 세로 방향으로 표 2 에 기재된 배율 (LMD) 로 연신하여 연신 시트를 얻었다. 또 표 1 에 기재된 재료를 표 2 에 기재된 배합으로 혼합한 조성물 (B) 을, 250 ℃ 로 설정한 압출기를 사용하여 용융 혼련하고, 얻어진 연신 시트의 편면에 조성물 (B) 을 용융 압출하여, A/B 가 되도록 적층하였다. 이어서 이 적층물을 160 ℃ 에서 재가열한 후, 텐터를 이용하여 가로 방향으로 표 2 에 기재된 배율 (LCD) 로 연신하였다. 그 후, 이것을 160 ℃ 에서 어닐링 처리한 후, 60 ℃ 까지 냉각시키고, 이부를 슬릿하여, 표 2 에 기재된 두께를 갖는 반사층 (A)/휘도 개선층 (B) 으로 이루어지는 2 층 구조의 적층 필름을 얻었다. 이 적층 필름은, 도 1 에 있어서의 반사층 (I) 과 휘도 향상층 (II) 이 모두 단일한 층으로 이루어지는 것이다. 이 적층 필름을 광 반사체로 하였다.
(실시예 3)
표 1 에 기재된 재료를 표 2 에 기재된 배합으로 혼합한 조성물을 사용한 것 이외에는 실시예 1 과 동일하게 하여 광 반사체를 얻었다.
(실시예 4)
표 1 에 기재된 재료를 표 2 에 기재된 배합으로 혼합한 조성물 (A) 을, 250 ℃ 로 설정한 압출기를 사용하여 용융 혼련하였다. 그 후, 그 조성물을 시트 형상으로 압출하고, 냉각 롤로 약 60 ℃ 까지 냉각시켜 무연신 시트를 얻었다. 이 무연신 시트를 145 ℃ 로 재가열한 후, 다수의 롤군의 주속차를 이용하여 세로 방향으로 표 2 에 기재된 배율 (LMD) 로 연신하여 연신 시트를 얻었다. 또 표 1 에 기재된 재료를 표 2 에 기재된 배합으로 혼합한 조성물 (B), (D) 을, 250 ℃ 로 설정한 2 대의 압출기를 사용하여 개별적으로 용융 혼련하고, 얻어진 연신 시트의 편면에 조성물 (B), (D) 을 용융 공압출하여, A/D/B 가 되도록 적층하였다. 이어서 이 적층물을 160 ℃ 로 재가열한 후, 텐터를 사용하여 가로 방향으로 표 2 에 기재된 배율 (LCD) 로 연신하였다. 그 후, 이것을 160 ℃ 에서 어닐링 처리한 후, 60 ℃ 까지 냉각시키고, 이부를 슬릿하여, 표 2 에 기재된 두께를 갖는 반사층 (A)/중간층 (D)/휘도 개선층 (B) 으로 이루어지는 3 층 구조의 적층 필름을 얻었다 (도 4). 여기서는, 중간층 (D)/휘도 개선층 (B) 이 본 발명의 휘도 향상층 (II) 에 상당한다. 이 적층 필름을 광 반사체로 하였다.
(실시예 5)
표 1 에 기재된 재료를 표 2 에 기재된 배합으로 혼합한 조성물 (A) 을, 250 ℃ 로 설정한 압출기를 사용하여 용융 혼련하였다. 그 후, 그 조성물을 시트 형상으로 압출하고, 냉각 롤로 약 60 ℃ 까지 냉각시켜 무연신 시트를 얻었다. 이 무연신 시트를 145 ℃ 로 재가열한 후, 다수의 롤군의 주속차를 이용하여 세로 방향으로 표 2 에 기재된 배율 (LMD) 로 연신하여 연신 시트를 얻었다. 또 표 1 에 기재된 재료를 표 2 에 기재된 배합으로 혼합한 조성물 (B), (C) 을, 250 ℃ 로 설정한 2 대의 압출기를 사용하여 개별적으로 용융 혼련하고, 얻어진 연신 시트의 편면에 조성물 (B) 을 용융 압출하여, 다른 편면에 조성물 (C) 을 용융 압출하여, C/A/B 가 되도록 적층하였다. 이어서 이 적층물을 160 ℃ 로 재가열한 후, 텐터를 사용하여 가로 방향으로 표 2 에 기재된 배율 (LCD) 로 연신하였다. 그 후, 이것을 160 ℃ 에서 어닐링 처리한 후, 60 ℃ 까지 냉각시켜, 이부를 슬릿하여, 표 2 에 기재된 두께를 갖는 최표면층 (C)/반사층 (A)/휘도 개선층 (B) 으로 이루어지는 3 층 구조의 적층 필름을 얻었다. 이 적층 필름은, 도 2 에 있어서의 반사층 (I) 과 휘도 향상층 (II) 과 표면층 (III) 이 모두 단일한 층으로 이루어지는 것이다. 이 적층 필름을 광 반사체로 하였다.
(실시예 6)
표 1 에 기재된 재료를 표 2 에 기재된 배합으로 혼합한 조성물 (A) 을, 250 ℃ 로 설정한 압출기를 사용하여 용융 혼련하였다. 그 후, 그 조성물을 시트 형상으로 압출하고, 냉각 롤로 약 60 ℃ 까지 냉각시켜 무연신 시트를 얻었다. 이 무연신 시트를 145 ℃ 로 재가열한 후, 다수의 롤군의 주속차를 이용하여 세로 방향으로 표 2 에 기재된 배율 (LMD) 로 연신하여 연신 시트를 얻었다. 또 표 1 에 기재된 재료를 표 2 에 기재된 배합으로 혼합한 조성물 (B), (C), (D) 을, 250 ℃ 로 설정한 4 대의 압출기를 사용하여 개별적으로 용융 혼련하여, 얻어진 연신 시트의 편면에 조성물 (B), (D) 을 용융 공압출하고, 다른 편면에 조성물 (C), (D) 을 용융 공압출하여, C/D/A/D/B 가 되도록 적층하였다. 이어서 이 적층물을 160 ℃ 로 재가열한 후, 텐터를 사용하여 가로 방향으로 표 2 에 기재된 배율 (LCD) 로 연신하였다. 그 후, 이것을 160 ℃ 에서 어닐링 처리한 후, 60 ℃ 까지 냉각시켜, 이부를 슬릿하여, 표 2 에 기재된 두께를 갖는 최표면층 (C)/중간층 (D)/반사층 (A)/중간층 (D)/휘도 개선층 (B) 으로 이루어지는 5 층 구조의 적층 필름을 얻었다 (도 5). 여기서는, 최표면층 (C)/중간층 (D) 이 본 발명의 표면층 (III) 에 상당하고, 중간층 (D)/휘도 개선층 (B) 이 본 발명의 휘도 향상층 (II) 에 상당한다. 이 적층 필름을 광 반사체로 하였다.
(실시예 7 ∼ 12)
실시예 7 ∼ 12 의 각 실시예에서는, 표 1 에 기재된 재료를 표 2 에 기재된 배합으로 혼합한 조성물을 사용하였다. 실시예 7 및 8 에서는 실시예 6 과 동일하게 하여 제조하고, 실시예 9 에서는 실시예 1 과 동일하게 하여 제조하고, 실시예 10 에서는 실시예 5 와 동일하게 하여 제조하고, 실시예 11 에서는 실시예 3 과 동일하게 하여 제조하고, 실시예 12 에서는 실시예 4 와 동일하게 하여 제조하여, 각각의 광 반사체를 얻었다. 연신 배율은 표 2 에 기재되는 조건을 채용하였다.
(비교예 1)
특허문헌 3 (일본 공개특허공보 2002-31704호) 의 실시예 5 와 동일하게 하여 광 반사체를 얻었다.
(비교예 2)
표 1 에 기재된 재료를 표 2 에 기재된 배합으로 혼합한 조성물을 사용한 것 이외에는 실시예 4 와 동일하게 하여 광 반사체를 얻었다.
(비교예 3)
표 1 에 기재된 재료를 표 2 에 기재된 배합으로 혼합한 조성물 (A), (B) 을, 250 ℃ 로 설정한 2 대의 압출기를 사용하여 개별적으로 용융 혼련하였다. 그 후, 그 조성물을 1 대의 다이 내부에서 A/B 가 되도록 적층하고, 이것을 시트 형상으로 공압출하여, 냉각 롤로 약 60 ℃ 까지 냉각시켜 무연신 시트를 얻었다. 이 무연신 시트를 145 ℃ 로 재가열한 후, 다수의 롤군의 주속차를 이용하여 세로 방향으로 표 2 에 기재된 배율 (LMD) 로 연신하여 연신 시트를 얻었다. 이어서 이 연신 시트를 160 ℃ 로 재가열한 후, 텐터를 사용하여 가로 방향으로 표 2 에 기재된 배율 (LCD) 로 연신하였다. 그 후, 이것을 160 ℃ 에서 어닐링 처리한 후, 60 ℃ 까지 냉각시켜, 이부를 슬릿하여, 표 2 에 기재된 두께를 갖는 반사층 (A)/휘도 개선층 (B) 으로 이루어지는 2 층 구조의 적층 필름을 얻었다. 이 적층 필름을 광 반사체로 하였다.
(비교예 4 ∼ 8)
비교예 4 ∼ 8 의 각 비교예에서는, 표 1 에 기재된 재료를 표 2 에 기재된 배합으로 혼합한 조성물을 사용하였다. 비교예 4 에서는 실시예 4 와 동일하게 하여 제조하고, 비교예 5 에서는 실시예 1 과 동일하게 하여 제조하고, 비교예 6 에서는 실시예 5 와 동일하게 하여 제조하고, 비교예 7 에서는 실시예 3 과 동일하게 하여 제조하고, 비교예 8 에서는 실시예 4 와 동일하게 하여 제조하여, 각각의 광 반사체를 얻었다. 연신 배율은 표 2 에 기재되는 조건을 채용하였다.
Figure pct00003
(시험예)
실시예 1 ∼ 8 및 비교예 1 ∼ 8 에서 얻은 광 반사체를 사용하여, 이하의 시험을 실시하였다.
1) 두께
본 발명에 있어서의 적층 필름의 두께는, JIS-P 8118 에 준거하여, 두께계를 사용하여 측정하였다. 반사층 (A), 휘도 개선층 (B), 최표면층 (C), 중간층 (D) 의 각 층의 두께는, 각 적층 필름을 액체 질소에서 -60 ℃ 이하의 온도로 냉각시켜, 면도날 (시크·재팬 (주) 제조, 상품명 : 프로라인 블레이드) 을 사용하여 면방향으로 수직으로 절단하여 단면 관찰용의 시료를 작성하고, 얻어진 시료의 단면을 주사형 전자현미경 (니혼 전자 (주) 제조, 상품명 : JSM-6490) 을 사용하여 관찰하고, 공공 형상이나 조성으로부터 각 층의 경계선을 판별하여 두께의 비율을 구하고, 상기 방법으로 측정된 적층 필름 전체 층의 두께로부터 산출하여 구하였다. 각 측정 결과를 표 2 에 나타낸다.
2) 광 반사체의 반사율
본 발명에 있어서의 적층 필름의 반사층 (I) 측 표면의 반사율은, 광 반사체의 광 입사면이 되는 반사층 (A) 또는 최표면층 (C) 표면을 측정면으로 하여, JIS-Z 8722 의 조건 d 에 기재된 방법에 따라 파장 600 ㎚ 의 광원 광을 사용하여 측정하였다. 각 측정 결과를 표 3 에 나타낸다.
3) 휘도 향상층 (II) 의 반사율
본 발명에 있어서의 휘도 향상층 (II) 의 반사율은, 적층 필름에 있어서, 반사층 (A) 과 휘도 개선층 (B) 이 직접 접촉하고 있는 경우에는 휘도 개선층 (B) 만의 1 층을, 반사층 (A) 과 휘도 개선층 (B) 사이에 중간층 (D) 을 형성한 경우에는 중간층 (D) 과 휘도 개선층 (B) 의 2 층을, 반사층 (A) 으로부터 박리하여, 반사층 (A) 에 접하고 있던 면을 측정면으로 하여 JIS-Z 8722 의 조건 d 에 기재된 방법에 따라 파장 600 ㎚ 의 광원광을 사용하여 측정하였다. 각 측정 결과를 표 3 에 나타낸다.
4) 광 반사체의 휘도
도 6 에 예시하는 직하식 백라이트 방식의 것으로, 21 인치 사이즈의 면광원 장치를 사용하였다. 본 시험 방법에서는 소니 제조의 액정 TV (상품명 : 브라비아 KDL-20J3000) 에 내장되어 있는 직하식 백라이트 장치를 사용하고, 이것의 광 반사체를 치환하여 시험을 실시하였다. 이것은 이웃하는 광원 (냉음극 램프) (15) 의 중심끼리의 거리 (a) 는 24 ㎜, 확산판 (14) 의 하표면으로부터 광원 (15) 의 중심까지의 거리 (b) 는 21 ㎜, 광원 (15) 의 중심으로부터 하우징 (11) 의 상표면까지의 거리 (c) 는 3.5 ㎜ 이다. 광원 (11) 에 전류를 흐르게 하여 7 시간 점등하고, 광원의 출력이 안정된 후에, 도면 중의 11 의 위치에 각 실시예, 비교예에서 얻은 광 반사체와 (주) 유포·코퍼레이션 제조 유포 FPG300 (상품명) 을 광 입사면이 광원 (11) 측이 되도록 각각 세트하여, 광원으로부터 광을 30 분 조사하였다.
휘도의 측정은, 면광원 장치의 발광면 (17) 의 법선 방향에서, 발광면 (17) 으로부터의 거리가 120 ㎝ 가 되는 위치에, 휘도 불균일 측정기 ((유) 하이랜드사 제조, 상품명 : RISA-COLOER/ONE) 를 설치하고, 그 측정기를 사용하여 1 초마다 3 회, 발광면의 화상을 취입하여, 각 화상의 중심부 (실제의 면광원의 표면 중앙부, 세로 12 ㎝ × 가로 15 ㎝ 의 범위) 에 균등하게 배치한, 세로 10 × 가로 10 점의 합계 100 점의 측정점의 휘도값을 측정하여 평균값을 구하고, 다시 3 회분의 평균값을 구하는 방법으로 실시하였다. 이 측정을 1 시료에 부착하여 10 회 실시하고, 그 평균값을 본 발명의 휘도 (실측 휘도값) 로 하였다. 또, 유포 FPG300 (상품명) 의 휘도를 100 % 로 하여, 각 실시예, 비교예에서 얻은 광 반사체의 상대 휘도값도 구하였다. 각 측정 결과를 표 3 에 나타낸다.
Figure pct00004
또한, 실시예 1 ∼ 12 의 광 반사체는, 초촉진 내후성 시험기 (다이프라·윈테스 (주) 사 제조, 상품명 : METALWEATHER) 를 사용하여, 83 ℃·상대 습도 50 % 의 환경하에서, 메탈할라이드 광원으로부터 조도 90 mW/㎠ 의 자외선을 100 시간 조사한 후에도 황변 등의 색조 변화는 관찰되지 않았다.
산업상 이용가능성
이상과 같이, 본 발명의 광 반사체에 의하면, 광학적 특징을 갖는 성분에 관계없이, 우수한 휘도와 반사율을 달성할 수 있다. 또, 본 발명의 광 반사체를 사용하여 제조한 면광원 장치는, 광원 램프의 저출력화나 광원 램프 수의 저감화에 있어서도 고휘도를 유지하기 쉬워, 매우 유용하다.
I 반사층 (I)
II 휘도 향상층 (II)
III 표면층 (III)
A 반사층 (A)
B 휘도 개선층 (B)
C 최표면층 (C)
D 중간층 (D)
1 광 입사면
11 광 반사체 (하우징)
12 망점 인쇄
13 아크릴판
14 확산판
15, 16 냉음극 램프
17 발광면

Claims (15)

  1. 열가소성 수지와 필러를 함유하는 1 축 연신 필름으로 이루어지는 휘도 향상층 (II) 과 열가소성 수지와 필러를 함유하는 2 축 연신 필름으로 이루어지는 반사층 (I) 을 적층한 구조를 갖는 적층 필름으로 이루어지는 광 반사체로서,
    휘도 향상층 (II) 의 반사율이 60 ∼ 100 % 이고, 광 반사체의 반사층 (I) 측 표면의 반사율이 98 ∼ 100 % 이고, 또한 상대 휘도값이 106 ∼ 115 % 인, 광 반사체.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적층 필름의 필러의 함유율이 5 ∼ 75 중량% 인, 광 반사체.
  3.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반사층 (I) 과 상기 휘도 향상층 (II) 의 필러 함유율이 모두 5 ∼ 90 중량% 인, 광 반사체.
  4. 제 1 항 내지 제 3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휘도 향상층 (II) 의 두께가 15 ∼ 150 ㎛ 인, 광 반사체.
  5. 제 1 항 내지 제 4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반사층 (I) 과 상기 휘도 향상층 (II) 의 적어도 일방에 함유되는 필러가, 평균 입경 0.05 ∼ 1.5 ㎛ 의 무기 필러 및 평균 분산 입경 0.05 ∼ 1.5 ㎛ 의 유기 필러의 적어도 일방으로 이루어지는, 광 반사체.
  6. 제 1 항 내지 제 5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반사층 (I) 과 상기 휘도 향상층 (II) 의 적어도 일방에 함유되는 필러가, 표면 처리된 무기 필러를 함유하는, 광 반사체.
  7. 제 1 항 내지 제 6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반사층 (I) 의 세로 방향 연신 배율 (LMD) 과 가로 방향 연신 배율 (LCD) 의 곱인 면적 연신 배율이 3 ∼ 80 배인, 광 반사체.
  8. 제 1 항 내지 제 7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반사층 (I) 의 세로 방향 연신 배율 (LMD) 과 가로 방향 연신 배율 (LCD) 의 비인 LMD/LCD 가 0.25 ∼ 2.7 인, 광 반사체.
  9. 제 1 항 내지 제 8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휘도 향상층 (II) 의 1 축 연신 배율이 3 ∼ 20 배인, 광 반사체.
  10. 제 1 항 내지 제 9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하기 식 (1) 에 의해 산출되는 상기 반사층 (I) 의 공공률이 15 ∼ 60 % 인, 광 반사체.
    [수학식 1]
    Figure pct00005
  11. 제 1 항 내지 제 10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반사층 (I) 과 상기 휘도 향상층 (II) 의 적어도 일방에 함유되는 열가소성 수지가 폴리올레핀계 수지인, 광 반사체.
  12. 제 1 항 내지 제 11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휘도 향상층 (II) 이 형성되어 있는 측과는 반대측인 반사층 (I) 표면 상에, 추가로 표면층 (III) 을 갖는, 광 반사체.
  13. 제 12 항에 있어서,
    상기 표면층 (III) 이 2 개 이상의 층으로 이루어지는, 광 반사체.
  14. 제 1 항 내지 제 13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휘도 향상층 (II) 이 2 개 이상의 층으로 이루어지는, 광 반사체.
  15. 제 1 항 내지 제 14 항 중 어느 한 항에 기재된 광 반사체를 사용한, 면광원 장치.
KR1020117015052A 2008-12-04 2009-12-03 광 반사체 및 그것을 사용한 면광원 장치 KR20110102383A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2008309886 2008-12-04
JPJP-P-2008-309886 2008-12-04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10102383A true KR20110102383A (ko) 2011-09-16

Family

ID=4223308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17015052A KR20110102383A (ko) 2008-12-04 2009-12-03 광 반사체 및 그것을 사용한 면광원 장치

Country Status (5)

Country Link
JP (1) JP2010156966A (ko)
KR (1) KR20110102383A (ko)
CN (1) CN102239433A (ko)
TW (1) TWI495907B (ko)
WO (1) WO2010064431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249656B1 (ko) * 2010-12-31 2013-04-01 코오롱인더스트리 주식회사 휘도증강필름 및 이를 포함하는 백라이트 유닛
WO2012091481A2 (ko) * 2010-12-31 2012-07-05 코오롱인더스트리 주식회사 휘도증강필름 및 이를 포함하는 백라이트 유닛
CN106908989B (zh) * 2016-01-13 2020-09-01 宁波长阳科技股份有限公司 一种分层叠合反射膜的制造方法
CN107092046A (zh) * 2017-04-26 2017-08-25 上海默奥光学薄膜器件有限公司 一种宽光谱高反光镜

Family Cites Families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3683965B2 (ja) * 1995-01-27 2005-08-17 三井化学株式会社 光反射体及びそれを用いた光反射装置
TW344032B (en) * 1995-01-27 1998-11-01 Mitsui Toatsu Chemicals Light reflective sheet and light reflector using it
JP4688339B2 (ja) * 2000-04-26 2011-05-25 株式会社ユポ・コーポレーション 光反射体
JP4933060B2 (ja) * 2004-05-31 2012-05-16 株式会社ユポ・コーポレーション 光反射体およびそれを用いた面光源装置
CN101084458B (zh) * 2004-12-17 2011-11-30 优泊公司 光反射体及使用该光反射体的面光源装置
JP5086606B2 (ja) * 2005-10-31 2012-11-28 株式会社ユポ・コーポレーション 光反射体ならびにそれを用いた面光源装置及び照明装置
KR100881269B1 (ko) * 2005-12-22 2009-02-05 미쓰비시 쥬시 가부시끼가이샤 반사 필름
JP2008233339A (ja) * 2007-03-19 2008-10-02 Mitsubishi Plastics Ind Ltd 反射フィルム及び反射板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JP2010156966A (ja) 2010-07-15
CN102239433A (zh) 2011-11-09
TW201030385A (en) 2010-08-16
TWI495907B (zh) 2015-08-11
WO2010064431A1 (ja) 2010-06-1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123479B1 (ko) 광반사체 및 그것을 사용한 면광원장치
WO2003014778A1 (fr) Reflecteur optique
WO2006064907A1 (ja) 光反射体およびそれを用いた面光源装置
JP4933060B2 (ja) 光反射体およびそれを用いた面光源装置
JP5270409B2 (ja) 光反射体ならびにそれを用いた面光源装置及び照明装置
KR20110102383A (ko) 광 반사체 및 그것을 사용한 면광원 장치
JP5464997B2 (ja) 光反射体及び面光源装置
TWI400486B (zh) A reflector, and a light source device and a lighting device using the same
JP2003176367A (ja) 光反射体
JP4866075B2 (ja) 光反射体およびそれを用いた面光源装置
JP2010191436A (ja) 光反射体およびそれを用いた面光源装置
JP5086606B2 (ja) 光反射体ならびにそれを用いた面光源装置及び照明装置
US20060158585A1 (en) Light-reflector and planar light source using same
TWI463190B (zh) 光反射體及面光源裝置
JP4836414B2 (ja) 光反射体およびそれを用いた面光源装置
JP5464996B2 (ja) 光反射体及び面光源装置
JP2004109990A (ja) 光反射体
KR101675350B1 (ko) 백색 다공성 폴리에스테르 필름
JP4914562B2 (ja) 光反射体およびそれを用いた面光源装置
WO2004104650A1 (ja) 光反射体および面光源装置
JP5465115B2 (ja) 光反射体およびそれを用いた面光源装置
KR101466346B1 (ko) 저경도 백색 폴리에스테르 필름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