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30092438A - 입력 장치 - Google Patents

입력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30092438A
KR20130092438A KR1020130002643A KR20130002643A KR20130092438A KR 20130092438 A KR20130092438 A KR 20130092438A KR 1020130002643 A KR1020130002643 A KR 1020130002643A KR 20130002643 A KR20130002643 A KR 20130002643A KR 20130092438 A KR20130092438 A KR 20130092438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layer
transparent
transparent electrode
bridge wiring
insulating lay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3000264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476026B1 (ko
Inventor
마사요시 다케우치
기요시 사토
마나부 야자와
데츠야 스즈키
히데키 고쵸
다이고 아오키
Original Assignee
알프스 덴키 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Priority claimed from JP2012242495A external-priority patent/JP5865819B2/ja
Application filed by 알프스 덴키 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알프스 덴키 가부시키가이샤
Publication of KR2013009243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30092438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47602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476026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3Arrangements for converting the position or the displacement of a member into a coded form
    • G06F3/041Digitisers, e.g. for touch screens or touch pads, characterised by the transducing means
    • G06F3/044Digitisers, e.g. for touch screens or touch pads, characterised by the transducing means by capacitive mea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BCABLES; CONDUCTORS; INSULATORS; SELECTION OF MATERIALS FOR THEIR CONDUCTIVE, INSULATING OR DIELECTRIC PROPERTIES
    • H01B5/00Non-insulated conductors or conductive bodies characterised by their form
    • H01B5/14Non-insulated conductors or conductive bodies characterised by their form comprising conductive layers or films on insulating-support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2203/00Indexing scheme relating to G06F3/00 - G06F3/048
    • G06F2203/041Indexing scheme relating to G06F3/041 - G06F3/045
    • G06F2203/04111Cross over in capacitive digitiser, i.e. details of structures for connecting electrodes of the sensing pattern where the connections cross each other, e.g. bridge structures comprising an insulating layer, or vias through substrat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Position Input By Displaying (AREA)
  • Non-Insulated Conductors (AREA)

Abstract

(목적) 특히, 저저항 금속으로서 Cu, Cu 합금 혹은 Ag 합금을 사용했을 때에, 양호한 불가시 특성을 확보할 수 있음과 함께 브릿지 배선의 내환경성이나 정전 파괴 내성을 향상시키는 것이 가능한 입력 장치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해결 수단) 투명 기재 (2) 와, 투명 기재 (2) 의 제 1 면에 형성된 복수의 투명 전극 (5) 과, 상기 투명 전극 (5) 간을 전기적으로 접속하는 브릿지 배선 (10) 과, 상기 투명 기재 (2) 와 상기 브릿지 배선 (10) 간에 형성된 절연층 (20) 을 갖고, 상기 브릿지 배선 (10) 은, 상기 절연층의 표면측으로부터 아모르퍼스 ITO 로 이루어지는 하지층 (35) /Cu, Cu 합금 혹은 Ag 합금으로 이루어지는 금속층 (40) /아모르퍼스 ITO 로 이루어지는 도전성 산화물 보호층 (37) 의 순서로 적층된 구조가 된다.

Description

입력 장치{INPUT DEVICE}
본 발명은, 조작면의 조작 위치를 검지 가능한 입력 장치에 관한 것으로, 특히, 투명 기재 표면에 형성된 투명 전극 간을 접속하는 브릿지 배선의 구성에 관한 것이다.
특허문헌 1 에는, 복수의 투명 전극 간을 전기적으로 접속하는 브릿지 배선 (특허문헌 1 에는 교차 부분, 중계 전극이라고 기재되어 있다) 을 ITO 로 형성한 입력 장치가 개시되어 있다.
또 특허문헌 2 에는, 복수의 투명 전극 간을 전기적으로 접속하는 브릿지 배선 (특허문헌 2 에는 브릿지 배선이라고 기재되어 있다) 을 Mo, Al, Au 등으로 형성한 입력 장치가 개시되어 있다.
또 특허문헌 3 에는, 복수의 투명 전극 간을 전기적으로 접속하는 브릿지 배선 (특허문헌 3 에는, 도전 부재라고 기재되어 있다) 을, 금속층의 단층 또는 적어도 1 층 이상의 금속층을 포함하는 복층을 구비한 도전체막에 의해 형성한다는 기재가 있다. 금속층의 재료로는, 금, 은, 구리, 몰리브덴 등을 선택할 수 있다. 또 특허문헌 3 에는 시인측에 금속 산화물층을 형성함으로써, 도전체막을 시인하기 어렵게 할 수 있다고 하고 있다.
또 특허문헌 4 에는, 복수의 투명 전극 간을 전기적으로 접속하는 브릿지 배선 (특허문헌 4 에는, 제 2 투광성 도전막이라고 기재되어 있다) 의 일례로서, ITO 층, 은계 금속층 및 ITO 층이 적층된 투광성 도전막이 기재되어 있다.
또한 투명 전극의 형성면을 구성하는 투명 기재와, 브릿지 배선 사이에는 절연층이 개재되어 있다. 즉 브릿지 배선은 절연층의 표면을 통과하여 각 투명 전극 간을 전기적으로 접속하고 있다.
일본 공개특허공보 2008-310550호 일본 공개특허공보 2010-271796호 WO 2010/150668호 일본 공개특허공보 2011-128674호
특허문헌 1 에서는, 브릿지 배선을 ITO 로 형성하고 있어, 브릿지 배선의 배선 저항이 커지는 문제가 있었다.
또 특허문헌 2 와 같이, 금속 재료로 브릿지 배선을 형성함으로써, 브릿지 배선의 배선 저항을 ITO 보다 낮게 할 수 있는데, 양호한 불가시 특성, 즉 브릿지 배선이 보여서는 안되고, 또한 브릿지 배선의 내환경성 (내습성이나 내열성) 을 향상시키는 것이 필요하였다. 추가로, 브릿지 배선의 형성면을 구성하는 절연층과의 사이의 양호한 밀착성을 확보하는 것이 필요하였다.
특허문헌 3 에는, 브릿지 배선의 불가시성을 개선할 수 있는 점이 기재되어 있다. 또 특허문헌 4 에는 브릿지 배선의 시트 저항을 낮게 할 수 있는 점이 기재되어 있다. 또한 특허문헌 3, 4 에는, 브릿지 배선을 적층 구조로 하는 점이 기재되어 있는데, 절연층의 표면으로부터 투명 전극의 표면에 걸쳐, 각 층이 어떻게 형성되는지 단면도 등으로 나타나 있지 않다.
이와 같이 브릿지 배선을 ITO 나 금속층, 나아가서는 이들을 적층한 구조는 공지되어 있지만, 특허문헌 1 ∼ 4 에 기재된 발명에는, 브릿지 배선을 구성하는 금속층으로서 Cu, Cu 합금 혹은 Ag 합금을 사용한 경우에, 양호한 불가시성, 절연층과의 밀착성의 확보, 내환경성 (고온 환경, 고온·고습 환경) 의 향상, 및 정전 파괴 내성의 향상을 도모할 수 있는 브릿지 배선을 갖는 입력 장치의 구조에 대해 전혀 개시되어 있지 않다.
그래서 본 발명은 상기 종래의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특히, 저저항 금속으로서 Cu, Cu 합금 혹은 Ag 합금을 사용했을 때에, 양호한 불가시 특성을 확보할 수 있음과 함께, 브릿지 배선의 내환경성이나 정전 파괴 내성 등을 향상시키는 것이 가능한 입력 장치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에 있어서의 입력 장치는, 투명 기재와, 상기 투명 기재의 제 1 면에 형성된 복수의 투명 전극과, 상기 투명 전극 간을 전기적으로 접속하는 브릿지 배선과, 상기 투명 기재와 상기 브릿지 배선 사이에 형성된 절연층을 갖고,
상기 투명 전극은, 복수의 제 1 투명 전극과, 복수의 ITO 로 이루어지는 제 2 투명 전극을 구비하고, 각 제 1 투명 전극이 제 1 방향으로 연결되어 있고, 상기 제 1 투명 전극의 연결부의 표면에 상기 절연층이 형성되고, 상기 절연층의 절연 표면을 통과하여 형성된 상기 브릿지 배선에 의해 각 제 2 투명 전극이, 상기 제 1 방향과 교차하는 제 2 방향으로 연결되어 있고,
상기 절연층은, 노볼락 수지로 형성되어 있고,
상기 절연층은, 상기 제 1 투명 전극의 연결부와 상기 제 2 투명 전극 사이의 공간을 메움과 함께 상기 제 2 투명 전극의 표면에까지 얹혀져서 형성되어 있고,
상기 브릿지 배선은, 상기 절연층의 표면으로부터 상기 제 2 투명 전극의 표면에 걸쳐 접하여 형성된 아모르퍼스 ITO 로 이루어지는 하지(下地)층과, 상기 하지층의 표면에만 형성된 Cu, Cu 합금 또는 Ag 합금으로 이루어지는 금속층과, 상기 금속층의 표면에만 형성된 아모르퍼스 ITO 로 이루어지는 도전성 산화물 보호층의 적층 구조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것이다.
이로써 양호한 불가시 특성을 확보할 수 있음과 함께, 브릿지 배선의 저저항화 및 정전 파괴 내성의 향상을 실현할 수 있고, 나아가 브릿지 배선과 절연층 사이의 밀착성을 양호하게 할 수 있다. 또, 아모르퍼스 ITO 로 이루어지는 하지층은, 노볼락 수지로 이루어지는 절연층의 흡수성에서 기인되는 수분에 대한 배리어층으로서 기능한다. 또한 환경 변화에 수반하는 노볼락 수지로 이루어지는 절연층의 수축에 대해 아모르퍼스 ITO 로 이루어지는 하지층은 적절히 추종할 수 있다. 또, 아모르퍼스 ITO 로 이루어지는 도전성 산화물 보호층을, 브릿지 배선의 표면측으로부터 유입되어 오는 수분에 대한 배리어층으로서 기능시킬 수 있다. 이와 같이 양호한 내환경성 (내습성, 내열성) 도 확보할 수 있다.
또 본 발명에서는, 상기 브릿지 배선은, 3.5 kV 이상의 ESD 특성을 구비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 상기 브릿지 배선의 시트 저항치 (Rs) 는, 55 Ω/□ 이하인 것이 바람직하다.
또 상기 금속층의 막 두께는, 6 ∼ 10 ㎚ 인 것이 바람직하다.
또 본 발명에서는, 상기 브릿지 배선은, 각 투명 전극의 표면, 상기 절연층의 표면 및 상기 투명 기재의 표면에, 상기 하지층, 상기 금속층 및 상기 도전성 산화물 보호층을 중첩하여 적층한 후, 포토리소그래피 기술에 의해 상기 절연층의 표면으로부터 상기 제 2 투명 전극층의 표면에 걸쳐 가늘고 긴 형상으로 남긴 것인 것이 바람직하다.
또 상기 절연층에는, 브리칭 (breaching) 이 실시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 본 발명은, 상기 브릿지 배선의 표면에는, 광학 투명 점착층이 접하고 있는 구성에 바람직하게 적용할 수 있다. 또, 상기 투명 기재의 제 1 면측과, 표면이 조작면인 패널 사이가 상기 광학 투명 점착층에 의해 접합되어 있는 구성에 바람직하게 적용할 수 있다.
본 발명에서는, Cu 합금으로 이루어지는 상기 금속층은, CuNi 층인 것이 바람직하다. 또, Ag 합금으로 이루어지는 상기 금속층은, AgPdCu 층인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입력 장치에 의하면, 양호한 불가시 특성을 확보할 수 있음과 함께, 브릿지 배선의 저저항화 및 정전 파괴 내성의 향상을 실현할 수 있고, 나아가 브릿지 배선과 절연층 사이의 밀착성을 양호하게 할 수 있다. 또, 아모르퍼스 ITO 로 이루어지는 하지층은, 노볼락 수지로 이루어지는 절연층의 흡수성에서 기인되는 수분에 대한 배리어층으로서 기능한다. 나아가 환경 변화에 수반하는 노볼락 수지로 이루어지는 절연층의 수축에 대해 아모르퍼스 ITO 로 이루어지는 하지층은 적절히 추종할 수 있다. 또, 아모르퍼스 ITO 로 이루어지는 도전성 산화물 보호층을, 브릿지 배선의 표면측으로부터 유입되어 오는 수분에 대한 배리어층으로서 기능시킬 수 있다. 이와 같이 양호한 내환경성 (내습성, 내열성) 도 확보할 수 있다.
도 1 은, 본 실시형태에 있어서의 입력 장치 (터치 패널) 를 구성하는 투명 기재의 표면에 형성된 각 투명 전극 및 배선부를 나타내는 평면도이다.
도 2(a) 는, 도 1 에 나타내는 입력 장치의 확대 평면도이고, 도 2(b) 는, 도 2(a) 를 A-A 를 따라 절단하여 화살표 방향에서 본 입력 장치의 부분 확대 종단면도이고, 도 2(c) 는, 도 2(b) 와는 일부 상이한 입력 장치의 부분 확대 종단면 도이다.
도 3(a) 는, 제 1 실시형태에 있어서의 브릿지 배선의 확대 종단면도이고, 도 3(b) 는, 제 2 실시형태에 있어서의 브릿지 배선의 확대 종단면도이다.
도 4 는, 본 실시형태에 있어서의 입력 장치의 제조 방법을 나타내는 공정 도이고, 도 4 의 우측 도면이 부분 종단면도, 도 4 의 좌측 도면이 평면도이다.
도 1 은, 본 실시형태에 있어서의 입력 장치 (터치 패널) 를 구성하는 투명 기재의 표면에 형성된 각 투명 전극 및 배선부를 나타내는 평면도이고, 도 2(a) 는, 도 1 에 나타내는 입력 장치의 확대 평면도이고, 도 2(b) 는, 도 2(a) 를 A-A 를 따라 절단하여 화살표 방향에서 본 입력 장치의 부분 확대 종단면도이며, 도 2(c) 는, 도 2(b) 와는 일부 상이한 입력 장치의 부분 확대 종단면도이다.
또한 이 명세서에 있어서, 「투명」「투광성」이란 가시광선 투과율이 50 % 이상 (바람직하게는 80 % 이상) 인 상태를 가리킨다. 또한 헤이즈값이 6 이하인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도 1 에는, 입력 장치 (1) 를 구성하는 투명 기재 (2) 의 표면 (제 1 면) (2a) 에 형성된 각 투명 전극 (4, 5) 및 배선부 (6) 를 도시하였는데, 실제로는 도 2(b) 와 같이, 투명 기재 (2) 의 표면측에 투명한 패널 (3) 이 형성되고, 또 배선부 (6) 의 위치에는 가식 (加飾) 층이 존재하므로, 배선부 (6) 를 패널 (3) 의 표면측에서 볼 수 없다. 또한 투명 전극은 투명하므로 시인할 수 없지만, 도 1 에서는 투명 전극의 외형을 나타내고 있다.
투명 기재 (2) 는,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 (PET) 등의 필름상의 투명 기재나 유리 기재 등으로 형성된다. 또 각 투명 전극 (4, 5) 은, ITO (Indium Tin Oxide) 등의 투명 도전 재료로 스퍼터나 증착 등에 의해 성막된다. 여기서의 ITO 는 결정 ITO 이다.
도 1 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표시 영역 (11) (손가락 등의 조작체에 의해 조작을 실시할 수 있는, 표시 디스플레이가 대향하는 표시 화면) 내에는 복수의 제 1 투명 전극 (4) 과 복수의 제 2 투명 전극 (5) 이 형성된다.
도 1, 도 2(a) 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복수의 제 1 투명 전극 (4) 은, 투명 기재 (2) 의 표면 (2a) 에 형성되고, 각 제 1 투명 전극 (4) 은, 폭이 좁고 긴 연결부 (7) 를 통하여 Y1-Y2 방향 (제 1 방향) 으로 연결되어 있다. 그리고 Y1-Y2 방향으로 연결된 복수의 제 1 투명 전극 (4) 으로 이루어지는 제 1 전극 (8) 이 X1-X2 방향으로 간격을 두고 배열되어 있다.
또 도 1, 도 2(a) 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복수의 제 2 투명 전극 (5) 은, 투명 기재 (2) 의 표면 (2a) 에 형성된다. 이와 같이, 제 2 투명 전극 (5) 은, 제 1 투명 전극 (4) 과 동일한 면 (투명 기재 (2) 의 표면 (2a)) 에 형성된다. 도 1, 도 2(a) 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각 제 2 투명 전극 (5) 은, 가늘고 긴 브릿지 배선 (10) 을 통하여 X1-X2 방향 (제 2 방향) 으로 연결되어 있다. 그리고, X1-X2 방향으로 연결된 복수의 제 2 투명 전극 (5) 으로 이루어지는 제 2 전극 (12) 이 Y1-Y2 방향으로 간격을 두고 배열되어 있다.
도 2(a)(b) 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제 1 투명 전극 (4) 간을 연결하는 연결부 (7) 의 표면에는 절연층 (20) 이 형성되어 있다. 도 2(b) 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절연층 (20) 은, 연결부 (7) 와 제 2 투명 전극 (5) 사이의 공간을 메우고, 또 제 2 투명 전극 (5) 의 표면에도 다소, 얹혀져 있다.
절연층 (20) 은 노볼락 수지로 형성된다. 이로써 제 2 투명 전극 (5) 과 연결부 (7) 사이의 간극을 적절히 메울 수 있다. 또 절연층 (20) 의 표면 (20a) 을 완만하게 형성할 수 있어, 요철을 작게 할 수 있다.
그리고 도 2(a)(b) 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브릿지 배선 (10) 은, 절연층 (20) 의 표면 (20a) 으로부터 절연층 (20) 의 X1-X2 방향의 양 측에 위치하는 각 제 2 투명 전극 (5) 의 표면에 걸쳐 형성되어 있다. 브릿지 배선 (10) 은, 각 제 2 투명 전극 (5) 간을 전기적으로 접속하고 있다.
도 2(a)(b) 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각 제 1 투명 전극 (4) 간을 접속하는 연결부 (7) 의 표면에는 절연층 (20) 이 형성되고, 이 절연층 (20) 의 표면에 각 제 2 투명 전극 (5) 간을 접속하는 브릿지 배선 (10) 이 형성된다. 이와 같이 연결부 (7) 와 브릿지 배선 (10) 사이에는 절연층 (20) 이 개재되고, 제 1 투명 전극 (4) 과 제 2 투명 전극 (5) 은 전기적으로 절연된 상태로 되어 있다. 그리고 본 실시형태에서는, 제 1 투명 전극 (4) 과 제 2 투명 전극 (5) 을 동일한 면 (투명 기재 (2) 의 표면 (2a)) 에 형성할 수 있어, 입력 장치 (1) 의 박형화를 실현할 수 있다.
또한 연결부 (7), 절연층 (20) 및 브릿지 배선 (10) 은 모두 표시 영역 (11) 내에 위치하는 것으로, 투명 전극 (4, 5) 과 동일하게 투명, 투광성으로 구성된다.
도 1 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표시 영역 (11) 의 주위는 액자상의 가식 영역 (비표시 영역) (25) 으로 되어 있다. 표시 영역 (11) 은 투명, 투광성이지만, 가식 영역 (25) 은 불투명, 비투광성이다. 따라서 가식 영역 (25) 에 형성된 배선부 (6) 나 외부 접속부 (27) 는 입력 장치 (1) 의 표면 (패널 (3) 의 표면) 으로부터 볼 수 없다.
도 1 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가식 영역 (25) 에는, 각 제 1 전극 (8) 및 각 제 2 전극 (12) 으로부터 인출된 복수 개의 배선부 (6) 가 형성되어 있다. 각 배선부 (6) 는, Cu, Cu 합금, CuNi 합금, Ni, Ag, Au 등의 금속 재료를 가지고 형성된다.
도 1 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각 배선부 (6) 의 선단은, 플렉시블 프린트 기판 (도시되지 않음) 과 전기적으로 접속되는 외부 접속부 (27) 를 구성하고 있다.
도 2(b) 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투명 기재 (2) 의 표면 (2a) 측과 패널 (3) 사이가 광학 투명 점착층 (OCA;Optical Clear Adhesive) (30) 을 개재하여 접합되어 있다. 패널 (3) 은 특별히 재질을 한정하는 것은 아니지만, 유리 기재나 플라스틱 기재가 바람직하게 적용된다. 광학 투명 점착층 (OCA) (30) 은, 아크릴계 점착제나 양면 점착 테이프 등이다.
도 1 에 나타내는 정전 용량식의 입력 장치 (1) 에서는, 도 2(b) 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패널 (3) 의 조작면 (3a) 상에 접촉시키면, 손가락 (F) 과 손가락 (F) 에 가까운 제 1 투명 전극 (4) 사이, 및 제 2 투명 전극 (5) 과의 사이에 정전 용량이 발생한다. 이 때의 정전 용량 변화에 기초하여, 손가락 (F) 의 접촉 위치를 산출하는 것이 가능하다. 손가락 (F) 의 위치는, 제 1 전극 (8) 과의 사이의 정전 용량 변화에 기초하여 X 좌표를 검지하고, 제 2 전극 (12) 과의 사이의 정전 용량 변화에 기초하여 Y 좌표를 검지한다 (자기 용량 검출형). 또, 제 1 전극 (8) 과 제 2 전극 (12) 의 일방의 제 1 전극의 일렬에 구동 전압을 인가하고, 타방의 제 2 전극에 의해 손가락 (F) 과의 사이의 정전 용량의 변화를 검지하여 제 2 전극에 의해 Y 위치를 검지하고, 제 1 전극에 의해 X 위치를 검지하는 상호 용량 검출형이어도 된다.
본 실시형태에서는, 제 2 투명 전극 (5) 간을 연결하는 브릿지 배선 (10) 의 구조에 특징적 부분이 있다.
도 3(a) 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제 1 실시형태의 브릿지 배선 (10) 은, 절연층 (20) 의 표면 (20a) 으로부터 제 2 투명 전극 (5) 의 표면 (5a) 에 걸쳐 형성된 아모르퍼스 ITO 로 이루어지는 하지층 (35) 과, 하지층 (35) 의 표면에만 형성된 금속층 (40) 과, 금속층 (40) 의 표면에만 형성된 아모르퍼스 ITO 로 이루어지는 도전성 산화물 보호층 (37) 의 적층 구조로 형성된다.
본 실시형태에서는 금속층 (40) 으로서 Cu, Cu 합금 혹은 Ag 합금을 선택할 수 있다.
Cu 합금에는, CuNi 합금을 선택할 수 있다. 또 Ag 합금에는, AgPdCu 합금을 선택할 수 있다. CuNi 합금의 조성비는, 예를 들어, Cu 가 약 85 ∼ 75 wt%, Ni 가 약 15 ∼ 25 wt% 이고, Cu 와 Ni 의 각 조성비를 더하여 100 wt% 이다. 또, AgPdCu 합금의 조성비는, 예를 들어, Ag 가 약 98 wt%, Pd 가 약 1 ∼ 1.5 wt%, Cu 가 약 0.5 ∼ 1 wt% 이고, Ag 와 Pd 와 Cu 의 각 조성비를 더하여 100 wt% 이다.
Cu, Cu 합금, Ag 합금을 선택한 이유는, 브릿지 배선을 불가시화할 수 있는 막 두께로 형성해도 저저항화를 실현할 수 있고, 또 내열, 내습, 환경 시험에서도 저항 변화가 작고, 저저항을 유지할 수 있는 재료이기 때문이다. 나아가 재료비를 억제할 수 있어 저비용화를 실현할 수 있다.
본 실시형태의 브릿지 배선 (10) 의 구성에 의하면, 양호한 불가시 특성을 확보할 수 있음과 함께, 브릿지 배선 (10) 의 저저항화 및 정전 파괴 내성의 향상을 실현할 수 있어, 브릿지 배선 (10) 과 절연층 (20) 사이의 밀착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불가시성에 대해서는, 브릿지 배선 (10) 을, 아모르퍼스 ITO 로 이루어지는 하지층 (35)/금속층 (40)/아모르퍼스 ITO 로 이루어지는 도전성 산화물 보호층 (37) 의 적층 구조로 함으로써, 브릿지 배선 (10) 의 반사율을 억제할 수 있고, 결과적으로 투과율/반사율의 비를 크게 할 수 있어, 불가시 특성을 효과적으로 향상시킬 수 있다. 또 아모르퍼스 ITO 로 이루어지는 하지층 (35) 은, 노볼락 수지로 이루어지는 절연층 (20) 의 흡수성에서 기인되는 수분에 대한 배리어층으로도 기능하고, 또한 환경 변화에 대한 절연층 (20) 의 수축에 적절히 추종할 수 있다. 나아가 아모르퍼스 ITO 로 이루어지는 도전성 산화물 보호층 (37) 이 수분에 대한 배리어층으로서 기능한다. 이와 같이 양호한 내환경성 (내습성, 내열성) 도 얻을 수 있다.
또 아모르퍼스 ITO 로 이루어지는 하지층 (35) 은, 정전 파괴 전압값 (내압값) 을 증가시킬 수 있어, 정전 파괴 내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도 3(a) 에서는, 브릿지 배선 (10) 이, 광학 투명 점착층 (OCA) (30) 과 접하고 있는데, 브릿지 배선 (10) 의 도전성 산화물 보호층 (37) 을, 아크릴계 점착제 등으로 형성된 광학 투명 점착층 (OCA) (30) 의 흡수성에서 기인되는 수분에 대한 배리어층으로서 효과적으로 기능시킬 수 있다.
여기서 절연층 (20) 의 최대 막 두께는 0.5 ∼ 4 ㎛ 정도이고, 하지층 (35) 의 막 두께는 5 ∼ 40 ㎚ 정도이고, 금속층 (40) 의 막 두께는 6 ∼ 10 ㎚ 정도이며, 투명 도전성 산화물 보호층 (37) 의 막 두께는 5 ∼ 40 ㎚ 정도이다. 또 브릿지 배선의 폭 치수 (Y1-Y2 방향에 대한 길이 치수) 는 5 ∼ 50 ㎛ 정도이고, 길이 치수 (X1-X2 방향에 대한 길이 치수) 는 150 ∼ 500 ㎛ 정도이다.
본 실시형태에서는, 아모르퍼스 ITO 보다 충분히 낮은 전기 저항율을 갖는 Cu, Cu 합금 혹은 Ag 합금으로 이루어지는 금속층 (40) 을 얇고 또한 미세한 폭으로 형성해도 아모르퍼스 ITO 의 단층막으로 브릿지 배선을 형성한 경우에 비해 브릿지 배선 (10) 을 저저항화 할 수 있고, 게다가 본 실시형태에서는 금속층 (40) 의 막 두께를 얇고 폭 치수를 작게 형성함으로써 불가시 특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또 본 실시형태에서는, 아모르퍼스 ITO 로 이루어지는 하지층 (35) 과 각 투명 전극 (4, 5) 에 ITO (결정 ITO) 를 사용하고, 이 때, 하지층 (35) 이 제 2 투명 전극 (5) 의 표면에 접촉하고, 금속층 (40) 은 제 2 투명 전극 (5) 의 표면에 접촉하고 있지 않다. 이로써, 브릿지 배선 (10) 과 노볼락 수지로 이루어지는 절연층 (20) 의 밀착성을 충분히 확보할 수 있고, 내환경성 (고온 환경, 고온·고습 환경) 의 향상, 및 정전 파괴 내성의 향상을 더욱 도모할 수 있어, 금속층 (40) 의 저저항성을 살릴 수 있는 것이 가능해졌다.
도 3(b) 는, 제 2 실시형태이고, 도 3(a) 와 상이하게 브릿지 배선 (10) 이 2 층 구조로 되어 있다.
즉 도 3(b) 에서는, CuNi 층 (34) 과, 도전성 산화물 보호층 (37) 의 적층 구조로 형성되어 있다.
도 3(b) 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CuNi 층 (34) 이, 노볼락 수지로 이루어지는 절연층 (20) 의 표면으로부터 제 2 투명 전극 (5) 의 표면 (5a) 에 걸쳐 형성되어 있고, 도전성 산화물 보호층 (37) 은, CuNi 층 (34) 의 표면에만 형성되어 있다.
이 실시형태에 있어서도, 양호한 불가시 특성을 확보할 수 있음과 함께, 저저항을 실현할 수 있고, 나아가 도전성 산화물 보호층 (37) 이 수분에 대한 배리어층으로서 기능하여, 브릿지 배선 (10) 의 내환경성 (내습성, 내열성) 을 향상시킬 수 있다. 또 CuNi 층 (34) 과 절연층 (20) 사이의 양호한 밀착성도 확보할 수 있다.
본 실시형태에서는 도전성 산화물 보호층 (37) 은 투명성이 높은 ITO (아모르퍼스 ITO 인 것이 적합) 인 것이 가장 바람직하다. 이로써, 보다 효과적으로 내환경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또한 그 밖에, 투명한 도전성 산화물 보호층의 재료로서 ZnO, In2O3 등이 있다.
또, CuNi 층 (34) 을 단층 구조로 하는 것보다도, CuNi 층 (34) 과 도전성 산화물 보호층 (37) (바람직하게는 ITO) 의 적층 구조로 함으로써, 브릿지 배선 (10) 의 반사율을 억제할 수 있어, 결과적으로 투과율/반사율의 비를 크게 할 수 있어, 불가시 특성을 효과적으로 향상시킬 수 있다. 또, 상기 적층 구조로 함으로써, 보다 저저항화를 실현할 수 있다.
또한 본 실시형태에서는 도 2(b) 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투명 기재 (2) 의 표면 (2a) 측에 각 투명 전극 (4, 5), 절연층 (20) 및 브릿지 배선 (10) 을 형성하고 있는데, 도 2(c) 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투명 기재 (2) 의 이면 (2b) (제 1 면) 측에 각 투명 전극 (4, 5), 절연층 (20) 및 브릿지 배선 (10) 을 형성할 수도 있다. 도 2(c) 에서는, 투명 기재 (2) 의 이면 (2b) 과, 다른 투명 기재 (26) 사이의 접합재인 광학 투명 점착층 (OCA) (28) 이, 브릿지 배선 (10) 에 접하고 있다.
또 제 1 투명 전극 (4) 간을 연결하는 연결부 (7) 는 ITO 로 형성할 수 있다. 즉 각 제 1 투명 전극 (4) 과 연결부 (7) 사이를 일체적으로 형성할 수 있다.
도 4 는, 본 실시형태에 있어서의 입력 장치 (1) 의 제조 방법을 나타내는 공정도이다. 도 4 의 좌측 도면은 부분 종단면도이고, 우측 도면은 평면도이다. 또한 좌측 도면과 우측 도면은 치수비가 상이하다. 도 4 에 나타낸 부분 종단면도는 도 2(b) 에 나타내는 부분 종단면도와 동일하게 X1-X2 방향을 따라 절단한 것이다. 또한 도 4 에는, 투명 전극 (4, 5) 의 부분을 도시하였다.
도 4(a) 의 공정에서는, 투명 기재 (2) 의 표면 (2a) 에 ITO 로 이루어지는 각 투명 전극 (4, 5) 을 형성한다. 이 때, 제 1 투명 전극 (4, 4) 간을 연결하는 연결부 (7) 를 상기 제 1 투명 전극 (4) 과 일체적으로 ITO 에 의해 형성한다.
다음으로 도 4(b) 의 공정에서는, 연결부 (7) 상을 덮음과 함께, 연결부 (7) 의 X1-X2 방향의 양 측에 위치하는 제 2 투명 전극 (5) 과의 사이를 메우는 노볼락 수지로 이루어지는 절연층 (20) 을 형성한다. 이 때 전체면 노광에 의해 절연층 (20) 을 투명하게 하는 브리칭을 실시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계속해서 도 4(c) 의 공정에서는, 각 투명 전극 (4, 5) 의 표면, 절연층 (20) 의 표면 및 투명 기재 (2) 의 표면에, 아모르퍼스 ITO 로 이루어지는 하지층 (35)/Cu, Cu 합금 혹은 Ag 합금으로 이루어지는 금속층 (40)/아모르퍼스 ITO 로 이루어지는 도전성 산화물 보호층 (37) 의 3 층 구조로 이루어지는 브릿지 배선 (10) 을 형성한다. 혹은, 브릿지 배선 (10) 을, CuNi 층 (34)/아모르퍼스 ITO 로 이루어지는 도전성 산화물 보호층 (37) 의 2 층 구조로 형성할 수도 있다. 이 때, 아모르퍼스 ITO 나 금속층을 스퍼터나 증착법에 의해 형성할 수 있다.
그리고 도 4(d) 에서는, 브릿지 배선 (10) 을, 포토리소그래피 기술 등을 이용하여 노볼락 수지로 이루어지는 절연층 (20) 의 표면으로부터, 절연층 (20) 의 양 측에 위치하는 제 2 투명 전극 (4) 의 표면에 걸쳐 X1-X2 방향으로 폭이 좁고 긴 형상으로 남긴다. 또한 이 때, 각 투명 전극 (4, 5) 의 표면이 깎이지 않도록 선택 에칭을 실시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로써 제 2 투명 전극 (5, 5) 간을, 브릿지 배선 (10) 을 통하여 전기적으로 접속할 수 있다.
그 후, 도 2(b) 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투명 기재 (2) 의 표면 (2a) 측과 표면이 조작면 (3a) 으로 된 패널 (3) 간을 광학 투명 점착층 (30) 을 개재하여 접합한다.
본 실시형태에 있어서의 입력 장치는, 휴대전화기, 디지털 카메라, PDA, 게임기, 카 내비게이션 등에 사용된다.
실시예
실험에서는, 투명 기재 상에 도 2 에 나타내는 구조의 투명 전극 (ITO), 절연층 (노볼락 수지), 및 브릿지 배선을 형성하였다. 제 2 투명 전극 간을 연결하는 브릿지 배선을, 이하의 표 1 에 나타내는 실시예 1 의 아모르퍼스 ITO (하지층)/Cu (금속층)/아모르퍼스 ITO (도전성 산화물 보호층) 의 3 층 구조, 실시예 2 에 나타내는 아모르퍼스 ITO (하지층)/CuNi (금속층)/아모르퍼스 ITO (도전성 산화물 보호층) 의 3 층 구조, 아모르퍼스 ITO (하지층)/AgPdCu (금속층)/아모르퍼스 ITO (도전성 산화물 보호층) 의 3 층 구조, CuNi/아모르퍼스 ITO (도전성 산화물 보호층) 의 2 층 구조, 비교예 1 의 CuNi 단층, 비교예 2 ∼ 비교예 4 의 ITO 단층막으로 형성하였다.
표 1 에는, 각 층의 막 두께, 브릿지 배선의 폭 치수 (도 2(a) 로 나타내는 Y1-Y2 방향의 길이), 및 브릿지 배선의 길이 치수 (도 2(a) 에 나타내는 X1-X2 방향의 길이) 가 나타나 있다. 또한 표 1 에 나타내는 투과율, 반사율에 대해서는 브릿지 배선의 형상으로 가공하기 전에, 기재 표면에 전체에 형성한 상태 (베타막 상태) 로 측정하였다.
Figure pat00001
표 1 에 나타내는 불가시 랭크인데, × 는, 비교예 2 의 ITO 단층막을 기준으로 하였다. 또한 비교예 2 에서는, 아모르퍼스 ITO 로 이루어지는 브릿지 배선이 보였다. ○ 는, 기울이면, 브릿지 배선 총 수의 10 % 이하가 보이는 상태, ◎ 는, 기울여도 브릿지 배선이 보이지 않는 상태이다.
또 브릿지 배선의 시트 저항치 (Rs) 에 대해서는, 60 Ω/□ 보다 큰 경우를×, 60 Ω/□ 이하를 ○ 로 하였다.
또, 가속 시험으로서 온도를 85 ℃, 습도를 85 % RH 로 한 환경 시험에 있어서의 전기 저항 변화에 대해서는, 변화율이 ±100 % 이상 혹은 단선된 경우에는 × 로 하고, 변화율이 ±30 % 이상 ±100 % 미만인 경우를 △ 로 하고, 변화율이 ±30 % 미만인 경우를 ○ 로 하였다.
또, 85 ℃ 에서 건조 분위기 중에서의 환경 시험에 있어서의 밀착성에 대해서는, 단선이 있으면 ×, 단선이 없으면 ○ 로 하였다.
또, ESD (Electro-Static Discharge) 시험 (정전 파괴 전압 시험) 에 대해서는, 1 kV 이상 2 kV 이하를 △, 2 kV 보다 크고 4 kV 미만을 ○, 4 kV 이상을 ◎ 로 하였다.
표 1 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비교예 1 에서는, 온도를 85 ℃, 습도를 85 % 로 한 환경 시험에서 높은 저항 상승이 보이고, 또 ESD 특성 (정전 파괴 전압) 이 1.5 kV 이하로 낮았다.
또 비교예 2 에서는, 불가시성이 나쁘고, 또한 온도를 85 ℃, 습도를 85 % 로 한 환경 시험 및 ESD 특성 (정전 파괴 전압) 에 대해서도 양호한 결과가 얻어지지 않았다.
또 비교예 3 및 비교예 4 에서는, 시트 저항이 매우 높아지고, 또, ESD 특성 (정전 파괴 전압) 에 대해서도 양호한 결과가 얻어지지 않았다.
표 1 에 나타내는 비교예 1 ∼ 비교예 4 에서는, 불가시 특성, 시트 저항치 (Rs), 환경 시험 중 어느 것이 × 가 되고, 따라서 종합 평가도 × 로 하였다.
이에 대하여 실시예 1 ∼ 3 에서는, 시트 저항치 (Rs), 불가시 특성, 환경 시험의 어느 것에 있어서도 ○ 이상이었다. 또 실시예 1 ∼ 3 에서는 양호한 ESD 특성 (정전 파괴 전압) 을 얻을 수 있었다.
또 실시예 4 와 같이, 브릿지 배선을 CuNi/아모르퍼스 ITO 로 함으로써, CuNi 단층 (비교예 1) 으로 하는 것보다도, 반사율을 억제할 수 있고, 결과적으로 투과율/반사율의 비를 크게 할 수 있어, 양호한 불가시 특성을 얻을 수 있었다. 또, 브릿지 배선의 저저항화를 실현할 수 있었다.
단 표 1 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실시예 4 는 비교예와 같이 × 의 평가는 없기는 했지만, 실시예 1 ∼ 3 에 비해 약간 뒤떨어진 결과가 되었다.
표 1 의 실험 결과로부터, 브릿지 배선을 아모르퍼스 ITO/금속층 (Cu, Cu 합금 혹은 Ag 합금)/아모르퍼스 ITO 로 한 실시예 1 ∼ 3 이, 시트 저항치 (Rs), 불가시 특성, 환경 시험 및 ESD 특성 (정전 파괴 전압) 의 어느 것에 있어서도 양호한 결과가 얻어지고, 따라서 종합 평가를 ○ 나 ◎ 로 하였다.
여기서 브릿지 배선의 금속층을 Cu 로 형성한 실시예 1 은, 금속층을 CuNi 합금으로 형성한 실시예 2 나 AgPdCu 합금으로 형성한 실시예 3 보다 반사율이 낮고, 금속층의 막 두께를 두껍게 해도 높은 불가시성을 얻을 수 있기 때문에, 정전 파괴 내성의 향상에 유리해진다.
1 입력 장치
2 투명 기재
3 패널
4 제 1 투명 전극
5 제 2 투명 전극
6 배선부
7 연결부
10 브릿지 배선
11 표시 영역
20 절연층
25 가식 영역
30 광학 투명 점착층 (OCA)
34 CuNi 층
35 하지층
37 도전성 산화물 보호층
40 금속층

Claims (11)

  1. 투명 기재와, 상기 투명 기재의 제 1 면에 형성된 복수의 투명 전극과, 상기 투명 전극 간을 전기적으로 접속하는 브릿지 배선과, 상기 투명 기재와 상기 브릿지 배선 사이에 형성된 절연층을 갖고,
    상기 투명 전극은, 복수의 제 1 투명 전극과, 복수의 ITO 로 이루어지는 제 2 투명 전극을 구비하고, 각 제 1 투명 전극이 제 1 방향으로 연결되어 있고, 상기 제 1 투명 전극의 연결부의 표면에 상기 절연층이 형성되고, 상기 절연층의 절연 표면을 통과하여 형성된 상기 브릿지 배선에 의해 각 제 2 투명 전극이, 상기 제 1 방향과 교차하는 제 2 방향으로 연결되어 있고,
    상기 절연층은, 노볼락 수지로 형성되어 있고,
    상기 절연층은, 상기 제 1 투명 전극의 연결부와 상기 제 2 투명 전극 사이의 공간을 메움과 함께 상기 제 2 투명 전극의 표면에까지 얹혀져서 형성되어 있고,
    상기 브릿지 배선은, 상기 절연층의 표면으로부터 상기 제 2 투명 전극의 표면에 걸쳐 접하여 형성된 아모르퍼스 ITO 로 이루어지는 하지층과, 상기 하지층의 표면에만 형성된 Cu, Cu 합금 또는 Ag 합금으로 이루어지는 금속층과, 상기 금속층의 표면에만 형성된 아모르퍼스 ITO 로 이루어지는 도전성 산화물 보호층의 적층 구조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입력 장치.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브릿지 배선은, 3.5 kV 이상의 ESD 특성을 구비하는, 입력 장치.
  3.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브릿지 배선의 시트 저항치 (Rs) 는, 55 Ω/□ 이하인, 입력 장치.
  4.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금속층의 막 두께는, 6 ∼ 10 ㎚ 인, 입력 장치.
  5.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브릿지 배선은, 각 투명 전극의 표면, 상기 절연층의 표면 및 상기 투명 기재의 표면에, 상기 하지층, 상기 금속층 및 상기 도전성 산화물 보호층을 중첩하여 적층한 후, 포토리소그래피 기술에 의해 상기 절연층의 표면으로부터 상기 제 2 투명 전극 층의 표면에 걸쳐 가늘고 긴 형상으로 남긴 것인, 입력 장치.
  6.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절연층에는, 브리칭이 실시되어 있는, 입력 장치.
  7.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절연층에는, 브리칭이 실시되어 있는, 입력 장치.
  8.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브릿지 배선의 표면에는, 광학 투명 점착층이 접하고 있는, 입력 장치.
  9. 제 8 항에 있어서,
    상기 투명 기재의 제 1 면측과, 표면이 조작면인 패널 사이가 상기 광학 투명 점착층에 의해 접합되어 있는, 입력 장치.
  10.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Cu 합금으로 이루어지는 상기 금속층은, CuNi 층인, 입력 장치.
  11.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Ag 합금으로 이루어지는 상기 금속층은, AgPdCu 층인, 입력 장치.
KR1020130002643A 2012-02-10 2013-01-09 입력 장치 KR101476026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4)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JP-P-2012-026899 2012-02-10
JP2012026899 2012-02-10
JP2012242495A JP5865819B2 (ja) 2012-02-10 2012-11-02 入力装置
JPJP-P-2012-242495 2012-11-02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30092438A true KR20130092438A (ko) 2013-08-20
KR101476026B1 KR101476026B1 (ko) 2014-12-23

Family

ID=4892594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30002643A KR101476026B1 (ko) 2012-02-10 2013-01-09 입력 장치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KR (1) KR101476026B1 (ko)
CN (1) CN103246385B (ko)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60004599A (ko) * 2014-07-03 2016-01-13 엘지이노텍 주식회사 터치 윈도우
KR20180008758A (ko) * 2015-06-26 2018-01-24 알프스 덴키 가부시키가이샤 입력 장치
CN109154871A (zh) * 2016-05-12 2019-01-04 阿尔卑斯电气株式会社 输入装置
EP3525073A4 (en) * 2016-10-06 2020-06-03 Alps Alpine Co., Ltd. CAPACITY SENSOR

Families Citing this family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3777814B (zh) * 2014-01-16 2017-06-16 京东方科技集团股份有限公司 一种显示面板及其制备方法和显示装置
KR102067913B1 (ko) * 2015-08-31 2020-01-17 알프스 알파인 가부시키가이샤 입력 장치
CN106598317A (zh) * 2015-10-20 2017-04-26 深圳莱宝高科技股份有限公司 一种触控面板及其制作方法
CN108694004A (zh) * 2018-06-27 2018-10-23 深圳市宇顺电子股份有限公司 一种防止电容式触摸屏功能失效的架桥结构及其工艺
CN112912238A (zh) * 2018-11-13 2021-06-04 日东电工株式会社 透光性层叠体、触摸传感器和图像显示装置
CN112635691B (zh) * 2020-12-31 2022-07-12 Tcl华星光电技术有限公司 阵列基板及阵列基板的制作方法

Family Cites Families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9272172A (ja) * 1996-04-04 1997-10-21 Mitsui Toatsu Chem Inc 積層体
JP4000729B2 (ja) * 1999-12-15 2007-10-31 日立電線株式会社 同軸ケーブル及びその製造方法
KR101128669B1 (ko) * 2010-02-19 2012-03-20 (주)삼원에스티 저저항 라인을 포함하는 터치패널센서
JP2010271796A (ja) * 2009-05-19 2010-12-02 Optrex Corp 電極間接続構造およびタッチパネル
JP5503651B2 (ja) * 2009-06-23 2014-05-28 ジオマテック株式会社 静電容量型入力装置及びその製造方法
JP2011128674A (ja) * 2009-12-15 2011-06-30 Sony Corp 静電容量型入力装置およびその製造方法
CN102243553B (zh) * 2010-05-16 2015-06-10 宸鸿科技(厦门)有限公司 电容式触控面板及降低其金属导体可见度的方法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60004599A (ko) * 2014-07-03 2016-01-13 엘지이노텍 주식회사 터치 윈도우
KR20180008758A (ko) * 2015-06-26 2018-01-24 알프스 덴키 가부시키가이샤 입력 장치
CN109154871A (zh) * 2016-05-12 2019-01-04 阿尔卑斯电气株式会社 输入装置
EP3457259A4 (en) * 2016-05-12 2019-11-27 Alps Alpine Co., Ltd. INPUT DEVICE
EP3525073A4 (en) * 2016-10-06 2020-06-03 Alps Alpine Co., Ltd. CAPACITY SENSOR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CN103246385A (zh) 2013-08-14
CN103246385B (zh) 2016-05-25
KR101476026B1 (ko) 2014-12-2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130092438A (ko) 입력 장치
TWI549167B (zh) Input device
KR101562487B1 (ko) 입력 장치
CN103430134B (zh) 触摸板及其制造方法
KR102285533B1 (ko) 정전 용량식 센서
US10684735B2 (en) Capacitive sensor and device
US10746770B2 (en) Capacitive sensor suppressing breakage of electrode linking parts due to electrostatic discharge
JP2015069440A (ja) タッチパネルセンサおよびタッチパネルモジュール
JP5075287B1 (ja) 入力装置
KR20140041138A (ko) 전극 부재 및 이의 제조방법
JP6405298B2 (ja) 静電容量式センサ、タッチパネルおよび電子機器
JP2014194720A (ja) タッチパネルセンサ、タッチパネルモジュールおよびタッチパネルセンサの製造方法
KR20200090868A (ko) 입력 장치
JP5982955B2 (ja) タッチパネルセンサ、タッチパネルモジュールおよびタッチパネルセンサの製造方法
TW201530410A (zh) 觸碰感測器
JPWO2019181396A1 (ja) 入力装置および入力装置付き表示装置
JP2013164828A (ja) 入力装置
KR102105613B1 (ko) 정전 용량식 센서
CN105335029A (zh) 电容式触摸屏及其制作方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1208

Year of fee payment: 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