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30092354A - 식품 가공용 기계를 위한 퓌레 유닛 - Google Patents

식품 가공용 기계를 위한 퓌레 유닛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30092354A
KR20130092354A KR1020120088237A KR20120088237A KR20130092354A KR 20130092354 A KR20130092354 A KR 20130092354A KR 1020120088237 A KR1020120088237 A KR 1020120088237A KR 20120088237 A KR20120088237 A KR 20120088237A KR 20130092354 A KR20130092354 A KR 20130092354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uree
unit
food
knife
food process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2008823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003065B1 (ko
Inventor
브루노 헤렌
Original Assignee
스위즈프로즈 아게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스위즈프로즈 아게 filed Critical 스위즈프로즈 아게
Publication of KR2013009235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30092354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00306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003065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NMACHINES OR APPARATUS FOR TREATING HARVESTED FRUIT, VEGETABLES OR FLOWER BULBS IN BULK, NOT OTHERWISE PROVIDED FOR; PEELING VEGETABLES OR FRUIT IN BULK; APPARATUS FOR PREPARING ANIMAL FEEDING- STUFFS
    • A23N15/00Machines or apparatus for other treatment of fruits or vegetables for human purposes; Machines or apparatus for topping or skinning flower bulbs
    • A23N15/06Devices for other treatment of fruit, e.g. marking, maturing, polishing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JKITCHEN EQUIPMENT; COFFEE MILLS; SPICE MILLS; 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42/00Coffee mills; Spice mills
    • A47J42/22Coffee mills; Spice mills having pulverising beaters or rotary knives
    • A47J42/24Coffee mills; Spice mills having pulverising beaters or rotary knives hand driven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JKITCHEN EQUIPMENT; COFFEE MILLS; SPICE MILLS; 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43/00Implements for preparing or holding food, not provided for in other groups of this subclass
    • A47J43/04Machines for domestic use not covered elsewhere, e.g. for grinding, mixing, stirring, kneading, emulsifying, whipping or beating foodstuffs, e.g. power-driven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JKITCHEN EQUIPMENT; COFFEE MILLS; SPICE MILLS; 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43/00Implements for preparing or holding food, not provided for in other groups of this subclass
    • A47J43/10Egg-whisks; Cream-beaters, i.e. hand implements or hand-driven devices
    • A47J43/1006Hand-driven mixing devices with rotating tools, e.g. sticking out from the bottom of the mixing receptacle; with rotating bowls; with an additional function
    • A47J43/1068Construction of the rotating mixing tool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F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Polymers & Plastics (AREA)
  • Food-Manufacturing Devices (AREA)
  • Apparatuses For Bulk Treatment Of Fruits And Vegetables And Apparatuses For Preparing Feeds (AREA)
  • Preparation Of Fruits And Vegetables (AREA)
  • Crushing And Pulverization Processes (AREA)
  • Crushing And Grinding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회전축(2)에 대해 반경 방향으로 배치된 하나 이상의 나이프(31, 32) 및 회전축(2)에 대해 반경 방향으로 배치된 하나 이상의 날개(41, 42)를 구비한, 식품 가공용 기계를 위한 퓌레 유닛(1)에 관한 것이다. 하나 이상의 나이프(31, 32)와 하나 이상의 날개(41, 42)는 회전축(2)을 중심으로 회전 가능하다.

Description

식품 가공용 기계를 위한 퓌레 유닛{PUREE UNIT FOR A MACHINE FOR FOOD PROCESSING}
본 발명은 식품 가공용 기계를 위한 퓌레 유닛 및 그러한 퓌레 유닛을 구비한 장치에 관한 것이다.
종래 기술로부터, 식품을 분쇄하기 위해 작동축 상에 배치된 나이프를 포함하는 수동식 기계가 공지되어 있다. 나이프를 포함하는 작동축은 상기 수동식 기계의 식품 용기 내에 놓이며, 예컨대 줄당김 장치를 구비한 구동 장치에 의해 회전하게 된다. 그럼으로써, 예컨대 양파, 당근 등과 같은 매우 다양한 식품을 간편하고 효과적으로 분쇄하거나 으깰 수 있다. 그러한 기계는 퓌레나 매쉬(mash)를 만들기에는 다소 부적합하다. 종래 기술에서는 예컨대 ["Flotte Lotte", 푸드 밀(food mill) 또는 야채 다지기로도 공지되어 있는] "Passe-vite"를 이용하거나, 천공 디스크가 장착된 미트 그라인더(meat grinder)와 같은 푸드 프로세서를 이용하여 퓌레나 매쉬를 제조한다. 그러나 이러한 경우 조달 및 관리되어야 하는 기계와 관련한 추가 비용이 요구된다.
본 발명의 과제는, 적어도 종래 기술의 확실한 단점들이 배제된 식품 가공용 기계를 위한 퓌레 유닛을 제공하는 것이다. 특히 상기 퓌레 유닛은 공지된 식품 가공용 기계에서 퓌레나 매쉬를 제조하기 위해 사용될 수 있어야 한다.
상기 과제는 독립 청구항인 제1항에 정의된 특징들에 의해 해결된다. 식품 가공용 기계를 위한 퓌레 유닛은 회전축에 대해 반경 방향으로 배치된 하나 이상의 나이프와, 회전축에 대해 반경 방향으로 배치된 하나 이상의 날개를 가지며, 이때 하나 이상의 나이프와 하나 이상의 날개는 상기 회전축을 중심으로 회전할 수 있다. 상기 퓌레 유닛이 식품이 들어 있는 식품 용기 내에서 회전하게 되면 식품들의 퓌레 가공이 이루어지며, 상기 식품들은 나이프에 의해 분쇄되고 날개에 충돌함으로써 추가의 가공이 실시된다.
한 실시예에서, 하나의 나이프와 하나의 날개는 퓌레 세그먼트의 구성 요소이며, 식품 가공용 기계에서 퓌레 유닛의 사용 시 식품이 퓌레 가공되도록 회전축의 축방향으로 서로에 대해 배치된다. 퓌레 유닛이 내장되어 있는 식품 가공용 기계가 사용될 경우, 나이프와 날개는 식품 용기의 바닥으로부터 대등한 거리에 배치될 수 있다. 따라서 식품은 먼저 나이프와 날개의 영역에서 분쇄된 다음 날개에 부딪치며, 그로 인해 식품의 추가 가공이 이루어진다. 나이프와 날개의 작용에 의해 식품이 퓌레 가공된다.
또 다른 한 실시예에서, 나이프와 날개는 퓌레 세그먼트의 구성 요소이며, 회전축을 중심으로 최대 선회각까지 상호 선회할 수 있거나, 서로에 대해 고정 선회각을 이룰 수 있다. 나이프와 날개가 선회할 수 있는 경우, 퓌레 유닛은 보관을 위해 매우 콤팩트하게 배치될 수 있다. 또한, 선회 가능한 나이프와 날개는 퓌레 가공 시 시동에 긍정적으로 작용하는데, 이는 처음에는 나이프만 식품과 상호 작용하다가 예컨대 반회전 이후에 비로소 날개가 식품과 상호 작용하기 때문이다. 고정 선회각을 이루며 배치되는 경우, 즉 나이프와 날개가 제자리에 고정되어 배치되는 경우에는 제조 시 비용이 절감될 수 있고, 퓌레 유닛의 수명이 증가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라, 나이프 및/또는 날개는 회전축에 고정되거나 선회 가능하게 배치될 수 있다.
한 실시예에서, 최대 선회각 또는 고정 선회각은 180°이다. 이 경우, 나이프와 날개는 실질적으로 정반대 방향으로 배치된다. 실험을 통해, 나이프와 날개가 정반대 방향으로 배치되면 식품의 효율적인 퓌레 가공이 구현되는 것으로 밝혀졌다.
한 실시예에서, 제1 나이프 및 제1 날개는 제1 퓌레 세그먼트의 구성 요소이고, 제2 나이프 및 제2 날개는 제2 퓌레 세그먼트의 구성 요소이다. 제1 퓌레 세그먼트와 제2 퓌레 세그먼트는 최대 세그먼트 각도까지 서로 반대 방향으로 선회할 수 있거나, 서로에 대해 고정된 세그먼트 각도로 배치되어 있을 수 있다. 퓌레 세그먼트들은 연속으로 사용되기 때문에, 퓌레 세그먼트들의 선회는 시동 거동에 긍정적으로 작용한다. 퓌레 세그먼트들이 서로 임의의 고정된 세그먼트 각도로, 즉 제자리에 고정되도록 배치되면, 제조 시 비용이 절약될 수 있거나 퓌레 유닛의 수명이 개선될 수 있다.
한 실시예에서, 최대 세그먼트 각도 또는 고정 세그먼트 각도는 90°이다. 실험을 통해, 각도가 90°일 경우 식품의 효율적인 퓌레 가공이 구현되는 것으로 밝혀졌다.
또 다른 한 실시예에서는, 퓌레 유닛의 사용 시 식품이 퓌레 가공되도록 하기 위해, 날개가 천공부들을 포함한다. 퓌레 유닛이 사용되면 식품은 상기 천공부들을 통과하면서 압착되고, 이로써 효율적인 퓌레 가공이 구현된다.
바람직한 실시예들에 따르면, 퓌레 가공 효율을 향상시키기 위해, 날개에 형성된 구멍들의 에지가 작은 반경을 갖도록 형성되거나 날카롭게 형성된다. 여기서 강조되어야 할 점은, 큼지막한 조각들로서 존재하는, 퓌레 가공될 식품들을 효과적으로 퓌레 가공하기 위해, 퓌레 가공용 날개가 충분히 안정적으로, 바람직하게는 금속판으로 형성된다는 점이다. 상기 식품들은 퓌레 가공용 날개의 회전수 및 회전 속도에 따라 더 강하게 또는 더 약하게 분쇄되며, 이때 혼합되기도 한다.
또 다른 한 실시예에서, 제1 날개와 제2 날개는 동일한 천공부를 포함하거나, 상이한 천공부들을 포함한다. 따라서, 식품 가공용 기계의 식품 용기 바닥에 더 가까이 놓인 날개가 바닥으로부터 더 멀리 놓인 날개보다 더 작은 천공부들을 포함할 수 있다. 이미 거의 액체 상태인 퓌레나 매쉬는 바람직하게 바닥 영역에 모여서, 날개의 더 작은 천공부들로 인해 추가로 퓌레 가공된다. 양 날개의 천공부가 동일할 경우 식품의 효율적인 퓌레 가공이 구현되는 점이 실험을 통해 밝혀졌다. 날개의 동일한 천공부들은 퓌레 유닛의 제조 과정을 간소화함으로써 비용을 절감할 수 있다.
또 다른 한 실시예에서는 날개가 스크레이핑(scraping) 장치를 포함한다. 스크레이핑 장치는, 식품 용기의 내벽으로부터 부분적으로 퓌레 가공된 식품을 긁어내어 나이프 및 날개의 작용 영역으로 보냄으로써 완전한 퓌레 가공이 실행되게 하기 위해 구비될 수 있다.
또 다른 한 실시예에서는 제1 날개가 제1 스크레이핑 장치를 포함하고, 제2 날개가 제2 스크레이핑 장치를 포함하며, 제1 스크레이핑 장치와 제2 스크레이핑 장치는 동일한 직경 또는 상이한 치수를 갖는다. 바닥쪽을 향하는 날개의 스크레이핑 장치가 더 짧게 형성될 수 있는데, 그 이유는 상기 날개가 바닥 상부에 가까이 배치되기 때문이다. 바닥으로부터 더 멀리 떨어진 스크레이핑 장치가 더 길게 형성될 수 있으며, 그 이유는 식품 용기의 상부 테두리와 상기 날개 사이에 더 큰 간격이 존재하기 때문이다. 스크레이핑 장치들의 상이한 직경으로 인해, 식품 용기의 내부 영역의 더욱 넓은 범위에서 부분적으로 퓌레 가공된 식품이 제거되어 추가의 가공을 위해 나이프와 날개의 영역으로 보내질 수 있다.
한 실시예에서는, 회전축을 중심으로 회전할 수 있고, 식품 및 절단물을 나이프와 날개의 영역으로 운반하도록 설치된 차폐 장치가 회전축에 대해 반경 방향으로 배치된다. 차폐 장치는 식품 가공용 기계의 덮개 근처에 배치될 수 있으며, 그럼으로써 부분 퓌레 상태의 식품이 덮개로부터 다시 나이프와 날개의 영역으로 운반되어 계속 가공될 수 있다.
한 실시예에서는, 퓌레 유닛의 일측 단부에 식품 가공용 기계의 식품 용기의 베어링 저널과의 상호 작용을 위한 수용 개구가 제공된다. 그럼으로써 퓌레 유닛이 식품 용기 내에 안정적으로 지지될 수 있고, 이는 퓌레 가공 시 효율을 향상시킬 수 있다.
또 다른 한 실시예에서는, 퓌레 유닛의 일측 단부에 식품 가공용 기계의 구동 장치와의 상호 작용을 위한 구동캠이 제공된다. 그럼으로써 퓌레 유닛이 회전할 수 있게 되는 동시에 안정적으로 지지될 수 있고, 이는 퓌레 가공 시 효율을 향상시킬 수 있다.
본 발명에 의해, 적어도 종래 기술의 확실한 단점들이 배제된 식품 가공용 기계를 위한 퓌레 유닛이 제공된다.
본 발명은 단지 실시예들을 도시하는 도면에 의해 하기에 설명된다.
도 1은 퓌레 유닛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단면도.
도 2는 퓌레 유닛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평면도.
도 3은 식품 가공용 기계 및 이러한 기계 내에 배치된 퓌레 유닛을 도시한 도면.
도 1에는 본 발명에 따른, 회전축(2)을 구비한 퓌레 유닛(1)의 개략적인 단면도가 도시되어 있다. 회전축(2)에 반경 방향으로 제1 나이프(31) 및 제2 나이프(32)가 배치되어 있다. 마찬가지로 회전축(2)에 반경 방향으로 제1 날개(41) 및 제2 날개(42)가 배치되어 있다. 제1 나이프(31)와, 제2 나이프(32)와, 제1 날개(41)와, 제2 날개(42)는 회전축(2)을 중심으로 회전 가능하다.
제1 나이프(31)는 제1 나이프 고정부(51)에, 제2 나이프(32)는 제2 나이프 고정부(52)에 배치될 수 있다. 제1 날개(41)는 제1 날개 고정부(61)에, 제2 날개(42)는 제2 날개 고정부(62)에 배치될 수 있다. 제1 나이프(31)와, 제2 나이프(32)와, 제1 날개 고정부(61)와, 제2 날개 고정부(62)는 실질적으로 각각 실린더형 몸체로서 형성될 수 있으며, 이러한 실린더형 몸체의 축은 회전축(2)과 일치한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부로부터 하부를 향해 축방향으로 우선 제1 날개 고정부(61)와, 다음에 제1 나이프 고정부(51)와, 다음에 제2 날개 고정부(62)와, 마지막으로 제2 나이프 고정부(52)가 배치된다. 제1 나이프 고정부(51) 및 제1 날개 고정부(61)는 제1 나이프(31) 및 제1 날개(41)와 함께 제1 퓌레 세그먼트(71)의 구성 요소를 이룬다. 이에 상응하게 제2 나이프 고정부(52) 및 제2 날개 고정부(62)는 제2 나이프(32) 및 제2 날개(42)와 함께 제2 퓌레 세그먼트(72)의 구성 요소를 이룬다.
퓌레 유닛(1)은 덮개에 의해 폐쇄될 수 있는 식품 용기를 포함하는 식품 가공용 기계 내에 배치되기 위해 제공된다. 퓌레 유닛(1)은 사용 시에 식품 용기 내에 배치되며, 예를 들어 제1 퓌레 세그먼트(71)는 덮개에 가까이 위치하고, 제2 퓌레 세그먼트(72)는 식품 용기의 바닥에 가까이 위치한다.
퓌레 유닛(1)은 예를 들어 제2 나이프 고정부(52)에 형성된 작동축(8)을 포함할 수 있다. 제2 날개 고정부(62)와, 제1 나이프 고정부(51)와, 제1 날개 고정부(61)는 작동축(8) 상에 연속적으로 배치될 수 있다. 이어서, 제1 날개 고정부(61)에는 단부 고정부(10)가 제공될 수 있으며, 이러한 단부 고정부는 예를 들어 스플린트(11)에 의해 작동축(8)에 고정된다. 각도 범위 내에서 나이프 고정부(51, 52)와, 날개 고정부(61, 62)와, 단부 고정부(10)의 상호간 선회를 가능하게 하거나, 서로에 대한 고정된 배향을 형성하기 위해 공지된 방식으로 그루브와 캠을 포함하는 충돌 장치(91, 92, 93, 94)가 제공될 수 있다. 도 1에 따라 작동축(8)의 상부 단부에는 식품 가공용 기계의 구동 장치와의 상호 작용을 위해 구동캠(81)이 제공될 수 있다. 제2 나이프 고정부(52)의 하부 단부에는 식품 가공용 기계의 용기의 베어링 저널과의 상호 작용을 위해 수용 개구(82)가 제공될 수 있다.
작동축(8)은 개별 공작물로 제조될 수도 있으며, 나이프 고정부(51, 52)와, 날개 고정부(61, 62)와, 단부 고정부(10)는 작동축(8) 상에 배치된다. 이러한 경우, 수용 개구(82)도 작동축(8)의 단부에 제공될 수 있다.
제1 퓌레 세그먼트(71)의 제1 날개(41)와 제1 나이프(31)는, 퓌레 유닛(1)의 사용 시에 식품 가공용 기계 내에서 식품이 퓌레 가공되도록 축방향으로 서로에 대해 배치될 수 있다. 이와 같이, 특히 제1 나이프(31)와 제1 날개(41)는 회전축(2)에 대해 수직인 평면이 제1 나이프(31)의 부분뿐만 아니라 제1 날개(41)의 부분도 포함하도록 배치될 수 있다. 다시 말해, 퓌레 유닛(1)의 사용 시에 나이프(31)와 날개(41)는 식품 용기의 바닥 위의 대등한 높이에 위치한다. 이는 제2 나이프(32)와 제2 날개(42)에 대해 상응하게 적용된다. 퓌레 유닛의 사용 시에 이는 회전하게 되며, 식품 용기 내에 배치된 식품은 나이프(31, 32)를 통해 분쇄되고, 날개(41, 42)를 통해 추가 가공된다. 나이프(31, 32)는 회전 방향으로 식품을 분쇄하기 위해 절단 에지를 포함하고, 이러한 절단 에지에 의해 식품은 분쇄된다. 날개(41, 42)는 회전 방향으로 식품을 가공하기 위해 표면을 포함하며, 이러한 표면상에 식품이 충돌한다. 퓌레 유닛(1)의 회전 시에 식품은 나이프(31, 32) 및 날개(41, 42)를 통해 퓌레 가공된다.
상술한 바와 같이, 나이프(31, 32)와 날개(41, 42)는 회전축(2)을 중심으로 서로에 대해 선회 가능할 수 있거나, 서로 고정 선회각을 이룰 수 있고, 즉 고정되어 배치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선회 가능한 나이프(31, 32)와 날개(41, 42)는 이러한 나이프(31, 32)와 날개(41, 42)가 예를 들어 실질적으로 회전축(2)을 포함하는 하나의 평면에서 선회될 수 있기 때문에 퓌레 유닛(1)을 사용하지 않을 시에 보관을 위해 적은 공간을 필요로 한다는 장점을 갖는다. 또한, 이러한 퓌레 유닛(1)은 식품 가공용 기계의 식품 용기 내에 퓌레 유닛이 설치된 이후 우선 나이프(31, 32)와 날개(41, 42)가 실질적으로 회전축(2)을 포함하는 하나의 평면에 위치하는 장점을 가질 수 있다. 퓌레 유닛(1)의 회전 시에 나이프(31, 32)와 날개(41, 42)는 연속적으로 상응하는 위치로 선회되고, 이에 따라 퓌레 유닛(1)의 시동이 용이하게 되는데, 이는 식품을 관통하여 이동하는 나이프(31, 32) 및 날개(41, 42)의 저항이 단계별로만 형성되기 때문이다. 실제 시험에서는 이러한 장점이 큰 의미를 지니지는 않고, 나이프(31, 32) 및 날개(41, 42)가 고정 배치된 퓌레 유닛(1)이 사실상 나이프(31, 32) 및 날개(41, 42)가 선회 가능한 퓌레 유닛(1)만큼 우수하게 기능하는 것으로 나타나 있다.
일반적으로, 날개(41, 42)는 여러 가지 날개(41, 42) 상에 동일하거나 상이하게 형성될 수 있는 천공부(411, 421)를 포함 가능하다고 할 수 있다. 이러한 천공부는 본 발명에 따라 직사각형, 장방형, 타원형, 원형, 또는 다른 어떤 형식으로 형성될 수 있다. 천공부의 크기는 천공부를 포함하는 날개 영역과, 소재로 구성된 날개 영역 사이의 비율이 1보다 크도록, 즉 비어 있는 면적이 소재 면적보다 더 많도록 선택될 수 있다. 천공 영역과 소재 영역 사이의 비율은 대략 1일 수도 있으며, 즉 비어 있는 면적과 소재 면적이 대략 같을 수도 있다. 마지막으로, 천공 영역과 소재 영역 사이의 비율은 1 미만일 수도 있으며, 즉 소재 영역보다 천공 영역이 더 적을 수도 있다. 천공부의 수는 비교적 적게 선택될 수 있으며, 예를 들어 4개 내지 10개일 수 있다. 이러한 경우, 날개들은 비교적 큰 천공부를 포함한다. 천공부의 수는 천공 영역과 소재 영역 사이의 비율이 같을 때 비교적 많은 수가 선택될 수도 있으며, 예를 들어 100개 내지 500개일 수 있다. 이러한 경우, 날개들은 비교적 작은 천공부를 포함한다. 실험에 따라, 대략 4개 내지 6개의 타원형 천공부 또는 장공이 양호한 퓌레 가공 능력을 갖는 것으로 나타난다.
도 2에는 퓌레 유닛(1)의 개략적인 평면도가 도시되어 있다. 회전축(2)에 반경 방향으로 배치되어 있는 제1 나이프(31)와 제1 날개(41)가 도시되어 있다. 도 2에 화살표로 개략적으로 도시되어 있는 회전 방향으로, 제1 나이프(31)에는 절단 에지(311)가 위치한다. 제2 나이프(32)는 이에 상응하게 형성되어 있으며, 특히 마찬가지로 절단 에지를 포함한다(도 2에는 도시되지 않음).
도 2에는 구동캠(81)을 구비한 작동축(8)이 개략적으로 도시되어 있다. 작동축(8)의 축은 회전축(2)과 일치한다. 또한, 도 2에는 캠(931)과의 상호 작용을 위해 설치된 그루브(932)가 도시되어 있다. 그루브(932)는 예를 들어 제2 날개 고정부(62)에 제공되고, 캠(931)은 제1 나이프 고정부(51)에 제공될 수 있다. 그루브(932)와 캠(931)은 제1 나이프 고정부(51)와 제2 날개 고정부(62) 사이에 제공된 충돌 장치(93)를 형성할 수 있다. 나머지 나이프 고정부와, 날개 고정부와, 단부 고정부 사이에는 이와 유사한 방식으로 추가의 충돌 장치(91, 92, 94)가 제공될 수 있다. 도 2에 따른 충돌 장치(93)는 특히 제1 퓌레 세그먼트(71)와 제2 퓌레 세그먼트(72) 사이의 세그먼트 각도에 상응할 수 있는 90°의 선회를 가능하게 하기 위해 설치될 수 있다.
나이프 고정부(51, 52)와 날개 고정부(61, 62) 사이의 충돌 장치(92, 94)는 나이프(31, 32)에서 절단 에지(311) 반대편 측면에 날개들이 선회되도록 설치될 수 있다. 퓌레 유닛(1)의 보관을 위해, 퓌레 유닛은 이에 따라 매우 콤팩트할 수 있다. 또한, 이러한 충돌 장치(92, 94)는 날개 고정부(61, 62)가 180°만큼 선회된 이후 나이프(31, 32)에 대해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실질적으로 정반대 방향으로 대향되도록 설치될 수 있다. 이에 따라, 퓌레 유닛(1)의 사용 시에 식품은 나이프(31, 32)에 의해 분쇄되고, 날개(41, 42)에 의해 추가로 가공되며, 식품의 퓌레 가공이 실행된다.
단부 고정부(10)에는,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차폐 장치(12)가 제공될 수 있으며, 이러한 차폐 장치는 식품 가공용 기계 및 퓌레 유닛(1)의 사용 시에, 사용 시 식품 가공용 기계의 덮개에 축적될 수 있는 식품 또는 절단물이 나이프(31, 32) 및 날개(41, 42)를 구비한 영역으로 언제나 이동되도록 한다.
도 1 및 도 2에 개략적으로 도시된 바와 같이, 날개(41, 42)의 단부에는 스크레이핑 장치(131, 132)가 제공될 수 있다. 이러한 스크레이핑 장치는 고무 형태의 소재로 제조될 수 있으며, 매우 얇고, 마감부를 형성하는, 연질의, 탄성 리브를 포함할 수 있으므로, 식품 가공용 기계의 용기 내부면에 식품 또는 절단물이 고착되는 것이 방지된다. 스크레이핑 장치(131, 132)는 예를 들어 강판과 함께 날개(41, 42)에 가열식으로 리벳 고정될 수 있다.
도 3에는 식품 가공용 기계(14)가 개략적으로 도시되어 있다. 가공 기계(14)는 베어링 저널(142)을 갖는 식품 용기(141)를 포함한다. 퓌레 유닛(1)은 베어링 저널(142)로 지지된다. 이러한 기계(14)는 덮개(143)에 의해 폐쇄된다. 덮개(143)에는 퓌레 유닛(1)을 회전시키기 위해 구동 장치(145)와 상호 작용하는 줄당김 장치(144)가 제공된다.
1 : 퓌레 유닛
2 : 회전축
31, 32 : 나이프
41, 42 : 날개
411, 421 : 천공부
51, 52 : 나이프 고정부
61, 62 : 날개 고정부
71, 72 : 퓌레 세그먼트
8 : 구동축
81 : 구동캠
82 : 수용 개구
91, 92, 93, 94 : 충돌 장치
931 : 캠
932 : 그루브
10 : 단부 고정부
11 : 스플린트
12 : 차폐 장치
131, 132 : 스크레이핑 장치
14 : 식품 가공용 기계
141 : 식품 용기
142 : 베어링 저널
143 : 덮개
144 : 줄당김 장치
145 : 구동 장치

Claims (14)

  1. 회전축(2)에 대해 반경 방향으로 배치된 하나 이상의 나이프(31, 32) 및 회전축(2)에 대해 반경 방향으로 배치된 하나 이상의 날개(41, 42)를 구비한, 식품 가공용 기계를 위한 퓌레 유닛(1)이며, 이때 하나 이상의 나이프(31, 32)와 하나 이상의 날개(41, 42)는 회전축(2)을 중심으로 회전 가능한, 식품 가공용 기계를 위한 퓌레 유닛(1).
  2. 제1항에 있어서, 하나의 나이프(31, 32)와 하나의 날개(41, 42)는 하나의 퓌레 세그먼트(71, 72)의 구성 요소이며, 식품 가공용 기계에서 퓌레 유닛(1)의 사용 시 식품이 퓌레 가공되도록 회전축(2)의 축방향으로 서로에 대해 배치되는, 식품 가공용 기계를 위한 퓌레 유닛(1).
  3.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하나의 나이프(31, 32)와 하나의 날개(41, 42)는 하나의 퓌레 세그먼트(71, 72)의 구성 요소이며, 회전축(2)을 중심으로 최대 선회각까지 상호 선회할 수 있거나, 서로에 대해 고정 선회각을 이루는, 식품 가공용 기계를 위한 퓌레 유닛(1).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최대 선회각 또는 고정 선회각은 180°인, 식품 가공용 기계를 위한 퓌레 유닛(1).
  5. 제1항 내지 제4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제1 나이프(41) 및 제1 날개(51)는 제1 퓌레 세그먼트(71)의 구성 요소이고, 제2 나이프(42) 및 제2 날개(52)는 제2 퓌레 세그먼트(72)의 구성 요소이며, 이때 제1 퓌레 세그먼트(71)와 제2 퓌레 세그먼트(72)는 최대 세그먼트 각도까지 서로 반대 방향으로 선회할 수 있거나, 서로에 대해 고정된 세그먼트 각도를 이루는, 식품 가공용 기계를 위한 퓌레 유닛(1).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최대 세그먼트 각도 또는 고정 세그먼트 각도는 90°인, 식품 가공용 기계를 위한 퓌레 유닛(1).
  7. 제1항 내지 제6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퓌레 유닛(1)의 사용 시 식품이 퓌레 가공되도록 하기 위해, 날개(41, 42)는 천공부들(411, 421)을 포함하는, 식품 가공용 기계를 위한 퓌레 유닛(1).
  8. 제1항 내지 제7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제1 날개(41)와 제2 날개(42)는 동일하거나 상이한 천공부들(411, 421)을 포함하는, 식품 가공용 기계를 위한 퓌레 유닛(1).
  9. 제1항 내지 제8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날개(41, 42)는 스크레이핑 장치(131, 132)를 포함하는, 식품 가공용 기계를 위한 퓌레 유닛(1).
  10. 제1항 내지 제9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제1 날개(41)는 제1 스크레이핑 장치(131)를 포함하고, 제2 날개(42)는 제2 스크레이핑 장치(132)를 포함하며, 제1 스크레이핑 장치(131)와 제2 스크레이핑 장치(132)는 동일하거나 상이한 치수를 갖는, 식품 가공용 기계를 위한 퓌레 유닛(1).
  11. 제1항 내지 제10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회전축(2)을 중심으로 회전할 수 있고, 식품 및 절단물을 나이프와 날개의 영역으로 운반하도록 설치된 차폐 장치(12)가 회전축(2)에 대해 반경 방향으로 배치되는, 식품 가공용 기계를 위한 퓌레 유닛(1).
  12. 제1항 내지 제11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퓌레 유닛(1)의 일측 단부에는 식품 가공용 기계의 식품 용기의 베어링 저널과의 상호 작용을 위한 수용 개구(82)가 제공되는, 식품 가공용 기계를 위한 퓌레 유닛(1).
  13. 제1항 내지 제12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퓌레 유닛(1)의 일측 단부에는 식품 가공용 기계의 구동 장치와의 상호 작용을 위한 구동캠(81)이 제공되는, 식품 가공용 기계를 위한 퓌레 유닛(1).
  14. 제1항 내지 제13항 중 어느 한 항에 따른 퓌레 유닛과, 구동 유닛과, 식품 용기를 포함하는 식품 가공용 기계.
KR1020120088237A 2012-02-09 2012-08-13 식품 가공용 기계를 위한 퓌레 유닛 KR102003065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CH00178/12 2012-02-09
CH00178/12A CH706118A2 (de) 2012-02-09 2012-02-09 Püriereinheit für ein Gerät zum Bearbeiten von Lebensmitteln.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30092354A true KR20130092354A (ko) 2013-08-20
KR102003065B1 KR102003065B1 (ko) 2019-07-23

Family

ID=4771013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20088237A KR102003065B1 (ko) 2012-02-09 2012-08-13 식품 가공용 기계를 위한 퓌레 유닛

Country Status (17)

Country Link
US (1) US9717368B2 (ko)
EP (1) EP2811880B1 (ko)
JP (1) JP6255638B2 (ko)
KR (1) KR102003065B1 (ko)
CN (1) CN104144628B (ko)
AU (1) AU2013217956B2 (ko)
BR (1) BR112014019735A8 (ko)
CA (1) CA2863350C (ko)
CH (1) CH706118A2 (ko)
CO (1) CO7111299A2 (ko)
DK (1) DK2811880T3 (ko)
ES (1) ES2710927T3 (ko)
HK (1) HK1203335A1 (ko)
MX (1) MX353010B (ko)
PL (1) PL2811880T3 (ko)
TR (1) TR201901688T4 (ko)
WO (1) WO2013117675A1 (ko)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6186139U (ko) * 1984-11-08 1986-06-06
JPS63158028A (ja) * 1986-12-20 1988-07-01 三洋電機株式会社 ミキサ−用のカツタ−
US20080301952A1 (en) * 2007-06-06 2008-12-11 Chef'n Corporation Hand-held food processor and blade assembly
WO2010150263A2 (en) * 2009-06-24 2010-12-29 David Menashes Universal blades and accessories for food processors
US20110226140A1 (en) * 2006-05-04 2011-09-22 Bruno Herren Device for processing foodstuffs

Family Cites Families (1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4076180A (en) * 1976-03-09 1978-02-28 Liu William Y Food shredding and dicing machine
US4560111A (en) * 1984-01-04 1985-12-24 Alfredo Cavalli Electric household appliance for cutting fruit, vegetables and similar food products into small sticks or chunks of variable thickness
DE3408692A1 (de) * 1984-03-09 1985-09-19 Robert Krups Stiftung & Co KG, 5650 Solingen Elektrisch betriebenes geraet fuer die bearbeitung und zubereitung von nahrungsmitteln aller art
FR2681799B1 (fr) * 1991-10-01 1995-09-15 Scalime Sa Dispositif hacheur pour la preparation de purees ainsi que procede de mise en óoeuvre par l'utilisation de ce dispositif et puree ainsi obtenue.
CN2208881Y (zh) * 1994-05-09 1995-10-04 张伟国 碎菜机
US5782416A (en) 1996-10-25 1998-07-21 Nejatbina; Iradj Apparatus for breaking up food within a food processor
WO2007128154A1 (de) * 2006-05-04 2007-11-15 Swizzzprozzz Ag Gerät zum bearbeiten von lebensmitteln
US7641380B2 (en) * 2007-02-16 2010-01-05 Sunbeam Products, Inc. Blender/food processor blade arrangement for small throated blender jars
US20100071219A1 (en) * 2008-09-22 2010-03-25 Kuan-Chih Lin Cutter of a juicer
RU2409960C1 (ru) 2009-10-26 2011-01-27 Государственное образовательное учреждение высшего профессионального образования "Воронежская государственная технологическая академия" Аппарат для концентрирования фруктовых и овощных пюре
CN101810445A (zh) * 2010-04-29 2010-08-25 王晓东 食品处理机交互剪切式粉碎刀具结构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6186139U (ko) * 1984-11-08 1986-06-06
JPS63158028A (ja) * 1986-12-20 1988-07-01 三洋電機株式会社 ミキサ−用のカツタ−
US20110226140A1 (en) * 2006-05-04 2011-09-22 Bruno Herren Device for processing foodstuffs
US20080301952A1 (en) * 2007-06-06 2008-12-11 Chef'n Corporation Hand-held food processor and blade assembly
WO2010150263A2 (en) * 2009-06-24 2010-12-29 David Menashes Universal blades and accessories for food processors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9717368B2 (en) 2017-08-01
KR102003065B1 (ko) 2019-07-23
JP6255638B2 (ja) 2018-01-10
WO2013117675A1 (de) 2013-08-15
PL2811880T3 (pl) 2019-05-31
CH706118A2 (de) 2013-08-15
CN104144628A (zh) 2014-11-12
US20150014459A1 (en) 2015-01-15
CO7111299A2 (es) 2014-11-10
JP2013163009A (ja) 2013-08-22
EP2811880B1 (de) 2019-01-09
TR201901688T4 (tr) 2019-02-21
ES2710927T3 (es) 2019-04-29
HK1203335A1 (en) 2015-10-30
DK2811880T3 (en) 2019-03-11
CA2863350C (en) 2018-11-27
AU2013217956A1 (en) 2014-08-28
AU2013217956B2 (en) 2017-10-19
EP2811880A1 (de) 2014-12-17
MX353010B (es) 2017-12-18
BR112014019735A2 (ko) 2017-06-20
CN104144628B (zh) 2017-07-11
CA2863350A1 (en) 2013-08-15
MX2014009611A (es) 2015-03-06
BR112014019735A8 (pt) 2017-07-1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ATE413226T1 (de) Rotierendes messer für eine zerkleinerungsvorrichtung
ES2861391T3 (es) Aparato de trabajo con varilla móvil de manera telescópica para agitar o triturar alimentos
ATE528113T1 (de) Schneidemesser, insbesondere zum schneiden von lebensmitteln
EP2741650B1 (en) An apparatus and method for processing a food stuff
DK3000531T3 (da) Findelingsmaskine for affaldsmateriale
US20160158955A1 (en) Device for the comminution of foodstuffs
JP5459888B1 (ja) 廃プラスチック類の微粉砕機
SE8001413L (sv) Forfarande och maskin for huggning av treflis
JP5167692B2 (ja) 食材スライス装置
KR20130092354A (ko) 식품 가공용 기계를 위한 퓌레 유닛
EP2561780B1 (en) A cutting disc for cutting foodstuffs and corresponding appliance
US1965500A (en) Slicing machine
KR102508062B1 (ko) 다중 분쇄 민서기
RU11132U1 (ru) Овощерезка
US20060286231A1 (en) Vegetable peeling assembly and method
CN207627179U (zh) 粉碎刀片及料理机
ATE418859T1 (de) Vorrichtung zum zerkleinern von pflanzengut in form von grünmasse und/oder schwachholz
US20220095841A1 (en) Blade Means for a Mixer
KR200412735Y1 (ko) 고추 세절기
KR200392701Y1 (ko) 피막제거가 용이한 절단기
US20050005756A1 (en) Rotary cutting knife
JPH0473021A (ja) 回転調理器
US1466519A (en) Vegetable cutter
JPS5929252B2 (ja) フ−ドプロセツサのカツタ装置
TW201540366A (zh) 廚餘處理機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