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30092029A - 자동차용 멀티 조인트 커넥터 - Google Patents

자동차용 멀티 조인트 커넥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30092029A
KR20130092029A KR1020120013463A KR20120013463A KR20130092029A KR 20130092029 A KR20130092029 A KR 20130092029A KR 1020120013463 A KR1020120013463 A KR 1020120013463A KR 20120013463 A KR20120013463 A KR 20120013463A KR 20130092029 A KR20130092029 A KR 20130092029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joint
connector
circuit board
joint block
vehicl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2001346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865937B1 (ko
Inventor
김민수
이태현
Original Assignee
현대자동차주식회사
주식회사 경신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현대자동차주식회사, 주식회사 경신 filed Critical 현대자동차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2001346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865937B1/ko
Publication of KR2013009202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30092029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86593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865937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16/00Electric or fluid circui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Arrangement of elements of electric or fluid circui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16/02Electric or fluid circui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Arrangement of elements of electric or fluid circui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electric constitutive element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3/00Details of coupling devices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H01R12/70 or H01R24/00 - H01R33/00
    • H01R13/62Means for facilitating engagement or disengagement of coupling parts or for holding them in engagement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2201/00Connectors or connections adapted for particular applications
    • H01R2201/26Connectors or connections adapted for particular applications for vehicles

Abstract

본 발명은 자동차용 멀티 조인트 커넥터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동일 전원단에서 전원을 공급받아 여러 전장품으로 전원을 분배하는 자동차용 멀티 조인트 커넥터에 관한 것이다.
이를 위하여 본 발명은, 전면의 개구부에서 후면의 개구부까지 구획되어 복수 개의 커넥터 수용홀을 갖는 조인트 블록; 상기 조인트 블록의 후면으로부터 상기 커넥터 수용홀로 삽입되는 복수의 프레스 피트 단자; 상기 프레스 피트 단자들이 탑재되는 회로기판; 상기 조인트 블록의 후면에 고정되게 조립되어 상기 회로기판을 지지하는 커버;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용 멀티 조인트 커넥터를 제공한다.

Description

자동차용 멀티 조인트 커넥터 {Multi-joint connector for vehicle}
본 발명은 자동차용 멀티 조인트 커넥터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동일 전원단에서 전원을 공급받아 여러 전장품으로 전원을 분배하는 자동차용 멀티 조인트 커넥터에 관한 것이다.
자동차에는 필요에 따라 혹은 선택적으로 다양한 전장품들이 설치되고, 각 전장품들이 동일 전원이나 접지를 사용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하여 스플라이스 조인트, 초음파 융착 및 조인트 커넥터 등을 사용한 조인트 회로가 구성되어 있다.
그 중 상기 조인트 커넥터는,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암 커넥터(미도시)와 수 커넥터(2), 수 커넥터(2)에 삽입되게 수용되는 터미널부(3), 및 터미널부(3)를 보호할 수 있게 수 커넥터(2)의 후단부에 결합되는 캡(4)으로 구성된다.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이러한 종래의 조인트 커넥터는 수 커넥터(2)에 터미널부(3)가 압입되어 고정되고, 터미널부(3)가 삽입된 수 커넥터(2)의 후단부에 캡(4)이 고정되게 조립된 구조로 이루어진다.
한편, 최근 차량 내 전장품의 사양 증대에 따라 동일 전원단을 사용하는 하나의 조인트 회로에서 여러 전장품으로 전원을 분배하는 조인트 커넥터, 스플라이스 조인트 및 초음파 융착 등의 사용이 증가하고 있다.
이에 차량 내 전장품의 위치에 따라 분산 배치되어 있는 조인트 커넥터들의 배선 작업성이 저하되고, 조인트 커넥터의 분산 배치로 인해 다수의 장착공간을 확보해야 하는 단점이 있다.
또한, 차량 내 다수의 조인트 커넥터에 대한 배선 경로를 설정해야 하고, 설정한 배선 경로에 따라 타 부품과의 간섭 위험성이 증가하는 문제가 있다.
또한, 전술한 바와 같은 종래의 조인트 커넥터는 터미널부의 단자 수 증가시 수 커넥터에 대한 암 커넥터의 삽입력이 증가하게 되어 작업성이 저하되므로 터미널부의 허용 단자 수의 제한이 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한 것으로서, 복수의 암 커넥터를 수용할 수 있는 조인트 블록과 원하는 바에 따라 회로패턴을 변경할 수 있는 회로기판을 사용하여 최적화된 집적회로를 구현함으로써 여러 전장품으로 전원을 전달하는 조인트 회로의 배선 작업성을 향상시킬 수 있고 조인트 회로의 유연성을 확보할 수 있는 자동차용 멀티 조인트 커넥터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전면의 개구부에서 후면의 개구부까지 구획되어 복수 개의 커넥터 수용홀을 갖는 조인트 블록; 상기 조인트 블록의 후면으로부터 상기 커넥터 수용홀로 삽입되는 복수의 프레스 피트 단자; 상기 프레스 피트 단자들이 탑재되는 회로기판; 상기 조인트 블록의 후면에 고정되게 조립되어 상기 회로기판을 지지하는 커버;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용 멀티 조인트 커넥터를 제공한다.
바람직하게, 상기 회로기판에는 프레스 피트 단자의 유동 방지를 위한 고정 플레이트가 설치되고, 상기 프레스 피트 단자는 회로기판을 관통하는 하단부에 회로기판의 배면에 걸려 지지되는 걸림턱이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바람직하게, 상기 조인트 블록의 커넥터 수용홀에는 암 커넥터의 외부 구조에 상응하는 요철구조의 매칭부가 형성되어 있다.
또한 바람직하게, 상기 조인트 블록에는 조인트 블록의 개구된 후면에 적층되는 회로기판을 움직이지 않도록 지지하는 고정돌기가 형성된다.
또한 바람직하게, 상기 커버는 조립작업성의 향상을 위해 좌우 대칭 구조로 형성되는 결합요소를 갖는다.
또한 바람직하게, 상기 조인트 블록은 상하좌우의 밀폐형 측면에 차체에 고정가능한 마운팅부가 형성된다.
본 발명에 따른 자동차용 멀티 조인트 커넥터는 다음과 같은 장점이 있다.
1. 차량 내 전장품의 위치에 따라 분산 배치되어 있는 종래의 조인트 커넥터들을 한 곳으로 집약하고 허용 단자 수의 제한을 최소화함으로써 여러 전장품으로 전원을 전달하는 차량 내 조인트 회로의 배선 작업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2. 차량 내 분산 배치되어 있는 전장품들의 장착위치와 관계없이 차량 내 하나의 장착공간에 위치하게 되고 공간사용량이 축소되며, 종래의 조인트 커넥터들을 합한 사이즈 대비 소형화되고 구성부품의 수도 감소되어 원가절감 및 중량절감이 가능하다.
3. 종래의 조인트 커넥터들 간 배선 경로 설정 및 그에 따른 타 부품과의 간섭 발생의 우려를 제거할 수 있다.
4. 회로기판을 원하는 패턴으로 설계 구성함으로써 한가지 타입의 조인트 블록을 여러 차종에 적용할 수 있으며, 이에 조인트 블록의 개발 시간 및 투자비를 절감할 수 있다.
도 1은 종래 기술에 따른 조인트 커넥터를 도시한 분해 사시도
도 2는 종래 기술에 따른 조인트 커넥터의 일부 구성을 도시한 결합도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자동차용 멀티 조인트 커넥터를 도시한 분해 사시도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자동차용 멀티 조인트 커넥터를 도시한 결합 사시도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자동차용 멀티 조인트 커넥터를 프레스 피트 단자를 생략하고 도시한 평면도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자동차용 멀티 조인트 커넥터를 프레스 피트 단자를 생략하고 도시한 저면도
도 7은 도 6의 A-A에서 바라본 단면도
도 8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자동차용 멀티 조인트 커넥터 중 회로기판 및 고정 플레이트의 결합구조를 나타낸 도면
도 9는 본 발명에 따른 자동차용 멀티 조인트 커넥터에 마운팅 클립 또는 마운팅 브라켓을 장착한 상태를 도시한 예시도
이하, 본 발명의 이해를 돕기 위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하게 설명한다.
본 발명은 종래 기술에 따른 조인트 회로의 배선 작업성 저하, 공간 사용량 및 타 부품과의 간섭을 최소화하기 위하여, 복수의 암 커넥터를 수용할 수 있는 조인트 블록과 원하는 바에 따라 설계패턴을 변경할 수 있는 회로기판을 사용하여 최적화된 집적회로를 구현한다.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자동차용 멀티 조인트 커넥터는 복수 개의 커넥터 수용홀(11)을 갖는 조인트 블록(10), 상기 조인트 블록(10)의 후면의 개구부로부터 상기 커넥터 수용홀(11)로 삽입되는 복수의 프레스 피트 단자(21), 상기 프레스 피트 단자(21)들이 탑재되는 회로기판(20), 상기 조인트 블록(10)의 후면에 고정되게 조립되는 커버(30), 및 상기 회로기판(20)에 적층되게 설치되는 고정 플레이트(24)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 조인트 블록(10)은 복수 개의 암 커넥터(미도시)를 수용할 수 있는 중공형의 하우징으로서, 일체로 형성되어 있는 격벽(12)에 의해 전면의 개구부에서 후면의 개구부까지 구획되어 암 커넥터가 삽입되는 복수 개의 커넥터 수용홀(11)이 형성된다.
이러한 조인트 블록(10)은 차량 내 전장품의 위치에 따라 분산 배치되어 있는 종래의 조인트 커넥터들을 한 곳으로 집약하고 허용 단자 수의 제한을 최소화할 수 있는 블록형 구조로 마련됨으로써 여러 전장품으로 전원을 전달하는 차량 내 조인트 회로의 배선 작업성을 향상시킬 수 있게 된다.
이에 상기 조인트 블록(10)은 차량 내 분산 배치되어 있는 전장품들의 장착위치와 관계없이 차량 내 하나의 장착공간에 위치하게 되고 공간사용량이 축소되며, 종래의 조인트 커넥터들을 합한 사이즈 대비 소형화되고 구성부품의 수도 감소되어 원가절감 및 중량절감이 가능하게 한다.
또한, 상기 조인트 블록(10)은 종래의 조인트 커넥터들 간 배선 경로 설정 및 그에 따른 타 부품과의 간섭 발생의 우려를 제거할 수 있다.
상기 회로기판(20)은 원하는 회로에 따라 패턴을 설계할 수 있는 피씨비(PCB) 등으로 구성될 수 있으며, 종래의 조인트 커넥터와 달리 패턴 변경을 통해 동일 종류/형태의 단자만이 아니라 다른 종류/형태의 단자를 탑재하는 것도 가능하여 회로 변경에 대한 유연성을 제공할 수 있다. 이에 회로 변경시 조인트 블록(10)의 재사용이 가능하게 하며, 또한 회로 패턴만을 변경함으로써 동일 타입의 조인트 블록(10)을 여러 차종에 적용할 수 있도록 하여 조인트 블록의 개발 투자비 및 시간을 절감할 수 있도록 한다.
그리고, 상기 회로기판(20)에 탑재되는 프레스 피트 단자(21)들은 회로적/전기적으로 서로 연결될 수 있다.
상기 프레스 피트 단자(press fit terminal)(21)는 일반적인 핀 모양의 단자와 달리 강제압입식으로 회로기판(20)에 설치가능한, 솔더링이 필요없는 친환경 단자로, 탄력적으로 벌어지게 형성된 하단부를 가지며, 이러한 하단부와 상단부 사이에 회로기판(20)의 상면에 지지되는 돌출단(22)을 갖는다.
상기 프레스 피트 단자(21)는 회로기판(20)을 관통한 하단부가 탄력적으로 벌어지고 돌출단(22)이 회로기판(20)의 상면에 밀착된 형태로 회로기판(20)에 조립된다.
이러한 프레스 피트 단자(21)의 하단부에는 회로기판(20)에 조립될 시 회로기판(20)의 배면에 걸려 지지되게 되는 걸림턱(23)이 형성된다.
상기 걸림턱(23)은 회로기판(20)에 조립된 프레스 피트 단자(21)의 유지력을 증대시키는 역할을 한다.
그리고, 상기 회로기판(20)에는 프레스 피트 단자(21)의 유동을 방지하여 외부 충격으로부터 프레스 피트 단자(21)의 변형을 방지하기 위한 고정 플레이트(24)가 설치된다.
상기 고정 플레이트(24)는 그 배면에 회로기판(20)에 압입가능한 결합돌기(25)가 형성되어 있어 이 결합돌기(25)에 의해 회로기판(20)에 결합되어지며, 회로기판(20)의 패턴에 대응하여 프레스 피트 단자(21)들이 관통할 수 있는 다수의 홀이 형성되어 있다.
이러한 고정 플레이트(24)는 프레스 피트 단자(21)의 돌출단(22)에 올려진 형태로 회로기판(20) 상에 설치된다.
상기의 고정 플레이트(24) 및 걸림턱(23)은 회로기판(20)에 조립된 프레스 피트 단자(21)의 유동을 방지해줌으로써 외부 충격으로부터 프레스 피트 단자(21)를 보호하고 회로기판(20)과 프레스 피트 단자(21) 간의 접촉 신뢰성을 확보해준다.
특히, 상기 고정 플레이트(24)는 작은 외부충격에도 변형되기 쉬운 프레스 피트 단자(21)의 고정력을 증대시켜 프레스 피트 단자(21)가 외부 충격에 의해 변형되지 않도록 고정해준다.
이와 같이 다수의 프레스 피트 단자(21) 및 고정 플레이트(24)가 조립된 회로기판(20)은 조인트 블록(10)의 개구된 후면에 적층된 형태로 놓이게 되며, 이때 조인트 블록(10)의 고정돌기(13)에 의해 지지되어짐으로써 상하좌우방향으로의 유동이 방지 또는 최소화되고, 또한 상기 고정돌기(13)가 대략 'ㄱ'자 형상으로 형성되어 있음으로 회로기판(20)의 전후방향으로의 유동 또한 방지 또는 최소화된다.
상기 고정돌기(13)는 조인트 블록(10)의 후면의 개구부에 돌출되게 형성되며, 회로기판(20)을 움직이지 않도록 지지함과 동시에 회로기판(20)의 조립위치를 안내 및 지정해주는 역할도 한다. 이에 회로기판(20)의 조립시 고정돌기(13)를 통해 회로기판(20)의 조립정확도를 시각적으로 확인할 수 있다.
이렇게 상기 고정돌기(13)를 통해 1차적으로 지지되는 회로기판(20)은 조인트 블록(10)의 후면에 결합되는 커버(30)에 의해 최종적으로 고정되게 지지된다.
상기 커버(30)는 조인트 블록(10)에 암 커넥터를 삽입할 시 회로기판(20)을 지지하여 암 커넥터의 삽입력에 의한 회로기판(20)의 밀림 이동을 방지한다.
이러한 커버(30)는 조인트 블록(10)에 삽입된 프레스 피트 단자(21) 및 회로기판(20)을 보호하는 역할을 하며, 조인트 블록(10)과의 결합을 위하여 일면에 돌출되게 형성되는 다수의 걸림돌기(31) 및 삽입단(32)과 같은 결합요소를 갖는다.
상기 걸림돌기(31)는 조인트 블록(10)의 후면의 개구부로 삽입되어 조인트 블록(10)의 후면 개구부(혹은 후면의 내측 벽면)에 돌출되게 형성되는 돌출턱(15)에 걸림 고정되게 형성되고, 상기 삽입단(32)은 조인트 블록(10)의 후면의 개구부에 밀착 삽입되게 형성됨으로써, 커버(30)가 조인트 블록(10)의 후면 개구부에 고정되게 결합될 수 있도록 한다.
이러한 걸림돌기(31)와 삽입단(32)을 갖는 커버(30)는 조인트 블록(10)에 대한 조립작업성의 향상을 위해 방향성을 제거한 좌우 대칭 구조로 형성되며, 이를 위하여 상기 걸림돌기(31) 및 삽입단(32)은 커버(30)의 일면에 대칭 구조로 배치되게 형성된다.
이에 상기 커버(30)를 조인트 블록(10)에 조립할 시 작업자가 좌우 구분없이 편리하게 작업할 수 있다.
한편, 상기 조인트 블록(10)의 커넥터 수용홀(11)(혹은 내측 벽면)에는 암 커넥터의 외부 형상 및 구조에 상응하는 매칭부(14)가 형성되어 있다.
상기 매칭부(14)는 동일 사이즈를 갖는 암 커넥터의 오조립을 방지하기 위한 것으로, 각 커넥터 수용홀(11)에 삽입되는 암 커넥터의 외부 구조에 따라 커넥터 수용홀(11)마다 서로 다른 형태나 크기로 또는 위치에 구비된다. 예컨대, 매칭부(14)는 도 5와 같이 커넥터 수용홀(11) 상에 각기 다른 요철구조 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
이러한 매칭부(14)는 암 커넥터의 오삽입에 따른 억지조립을 방지함으로써 암 커넥터의 오삽입에 의한 프레스 피트 단자(21)의 변형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조인트 블록(10)은 상하좌우의 밀폐형 측면에 마운팅 클립(41) 또는 마운팅 브라켓(45)을 통해 차체에 고정가능한 마운팅부(16)를 갖는다.
이러한 조인트 블록(10)은 상하좌우의 4개소에 차체에 체결가능한 마운트 위치를 확보하게 되어, 차체에 설치될 때 적용부위 및 주변부품을 고려한 마운트 위치선정이 가능하며, 상하 또는 좌우 양측으로 선택적 조립이 가능하다.
도 9를 참조하여 예를 들면, 상기 조인트 블록(10)은 (a)와 같이 상하 양측의 마운팅부(16)에 결합된 마운팅 클립(41)을 통해 차체에 장착되거나, (b)와 같이 좌우 양측의 마운팅부(16)에 결합된 마운팅 클립(41)을 통해 차체에 장착될 수 있고, 또는 (c)와 같이 좌우 양측의 마운팅부(16)에 결합된 마운팅 브라켓(45)을 통해 차체에 장착될 수 있다. 도면으로 도시하지는 않았으나, 조인트 블록(10)은 상하 양측의 마운팅부(16)에 마운팅 브라켓(45)을 조립함으로써 차체에 장착되는 것도 가능하며, 그 외에 상좌 또는 하우 양측의 마운팅부(16)에 결합된 마운팅 클립(41) 또는 마운팅 브라켓(45)을 통해 차체에 고정되는 것도 가능하다.
이에 조인트 블록(10)은 차체에 장착시 장착위치에 대한 유연성을 확보하게 되고, 차량의 장착위치에 따른 선택적 고정이 가능하여 최적의 위치조건으로 설치될 수 있다.
상기 마운팅부(16)는 조인트 블록(10)의 장착위치에 따라 서로 다른 형태의 마운팅 클립(41)과 마운팅 브라켓(45)을 선택적으로 조립할 수 있는 공용 가능한 구조로 형성되며, 이에 마운팅부(16)에는 마운팅 클립(41) 및 마운팅 브라켓(45)의 선택적 사용이 가능하다.
상기 마운팅 클립(41)은 사출 성형되는 부품으로 마운팅부(16)에 결합되어 조인트 블록(10)을 차체에 고정해줄 수 있고, 마운팅 브라켓(45)은 스틸 소재로 제작되는 부품으로 역시 마운팅부(16)에 결합되어 조인트 블록(10)을 차체에 고정해줄 수 있다.
10 : 조인트 블록
11 : 커넥터 수용홀
12 : 격벽
13 : 고정돌기
14 : 매칭부
15 : 돌출턱
16 : 마운팅부
20 : 회로기판
21 : 프레스 피트 단자
22 : 돌출단
23 : 걸림턱
24 : 고정 플레이트
25 : 결합돌기
30 : 커버
31 : 걸림돌기
32 : 삽입단
41 : 마운팅 클립
45 : 마운팅 브라켓

Claims (7)

  1. 전면의 개구부에서 후면의 개구부까지 구획되어 복수 개의 커넥터 수용홀(11)을 갖는 조인트 블록(10);
    상기 조인트 블록(10)의 후면으로부터 상기 커넥터 수용홀(11)로 삽입되는 복수의 프레스 피트 단자(21);
    상기 프레스 피트 단자(21)들이 탑재되는 회로기판(20);
    상기 조인트 블록(10)의 후면에 고정되게 조립되어 상기 회로기판(20)을 지지하는 커버(30);
    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용 멀티 조인트 커넥터.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회로기판(20)에는 프레스 피트 단자(21)의 유동 방지를 위한 고정 플레이트(24)가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용 멀티 조인트 커넥터.
  3. 청구항 1 또는 2에 있어서,
    상기 프레스 피트 단자(21)는 회로기판(20)을 관통하는 하단부에 회로기판(20)의 배면에 걸려 지지되는 걸림턱(23)이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용 멀티 조인트 커넥터.
  4.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조인트 블록(10)의 커넥터 수용홀(11)에는 암 커넥터의 외부 구조에 상응하는 요철구조의 매칭부(14)가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용 멀티 조인트 커넥터.
  5. 청구항 1 또는 4에 있어서,
    상기 조인트 블록(10)에는 조인트 블록(10)의 개구된 후면에 적층되는 회로기판(20)을 움직이지 않도록 지지하는 고정돌기(13)가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용 멀티 조인트 커넥터.
  6.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커버(30)는 조립작업성의 향상을 위해 좌우 대칭 구조로 형성되는 결합요소를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용 멀티 조인트 커넥터.
  7. 청구항 1 또는 4에 있어서,
    상기 조인트 블록(10)은 상하좌우의 밀폐형 측면에 차체에 고정가능한 마운팅부(16)가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용 멀티 조인트 커넥터.
KR1020120013463A 2012-02-09 2012-02-09 자동차용 멀티 조인트 커넥터 KR101865937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013463A KR101865937B1 (ko) 2012-02-09 2012-02-09 자동차용 멀티 조인트 커넥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013463A KR101865937B1 (ko) 2012-02-09 2012-02-09 자동차용 멀티 조인트 커넥터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30092029A true KR20130092029A (ko) 2013-08-20
KR101865937B1 KR101865937B1 (ko) 2018-06-08

Family

ID=4921695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20013463A KR101865937B1 (ko) 2012-02-09 2012-02-09 자동차용 멀티 조인트 커넥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865937B1 (ko)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5056805A (ja) * 2003-08-07 2005-03-03 Yazaki Corp 接続端子
JP2006216501A (ja) * 2005-02-07 2006-08-17 Yazaki Corp ジョイントコネクタ及びジョイントコネクタの組み立て方法
JP2008131843A (ja) * 2006-11-24 2008-06-05 Auto Network Gijutsu Kenkyusho:Kk 電気接続箱
JP2009095195A (ja) * 2007-10-11 2009-04-30 Sumitomo Wiring Syst Ltd 電気接続箱

Family Cites Familie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993805B1 (ko) * 2008-06-26 2010-11-12 주식회사 경신 차량용 조인트 터미널 장치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5056805A (ja) * 2003-08-07 2005-03-03 Yazaki Corp 接続端子
JP2006216501A (ja) * 2005-02-07 2006-08-17 Yazaki Corp ジョイントコネクタ及びジョイントコネクタの組み立て方法
JP2008131843A (ja) * 2006-11-24 2008-06-05 Auto Network Gijutsu Kenkyusho:Kk 電気接続箱
JP2009095195A (ja) * 2007-10-11 2009-04-30 Sumitomo Wiring Syst Ltd 電気接続箱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865937B1 (ko) 2018-06-0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4408826B2 (ja) 電気回路基板収容箱
US9099828B2 (en) Modular electrical plug connector assembly
KR20170079582A (ko) 전원분배장치 및 그 조립방법
CN103986010A (zh) 配线装置
JP5946023B2 (ja) 電気回路装置
JP5472724B2 (ja) 電気接続箱
KR20140146494A (ko) 커넥터
KR20130092029A (ko) 자동차용 멀티 조인트 커넥터
JP6090564B2 (ja) 複数の樹脂部品の基板固定構造
JP5459195B2 (ja) 回路構成体および電気接続箱
KR102228918B1 (ko) 조립이 용이한 차량용 usb 미디어잭
US6147875A (en) Circuit body
RU2005127858A (ru) Корпус для размещения печатных плат, монтаж которых образует, по меньшей мере, части коммуникационной системы
JP4728776B2 (ja) バスバー付き回路基板
KR101991106B1 (ko) 자동차용 인쇄회로기판의 점핑장치
JP6722386B2 (ja) ジョイントコネクタ
KR20120018843A (ko) 자동차용 정션박스
CN216289058U (zh) 一种电路板组件
KR101991107B1 (ko) 자동차용 인쇄회로기판의 점핑장치
KR102077015B1 (ko) 양방향 조인트 커넥터
KR102077019B1 (ko) 양방향 조인트 커넥터
KR102077018B1 (ko) 양방향 조인트 커넥터
KR102077017B1 (ko) 양방향 조인트 커넥터
JP2018068022A (ja) ヒューズモジュール
KR102077016B1 (ko) 양방향 조인트 커넥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