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40146494A - 커넥터 - Google Patents

커넥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40146494A
KR20140146494A KR20130069301A KR20130069301A KR20140146494A KR 20140146494 A KR20140146494 A KR 20140146494A KR 20130069301 A KR20130069301 A KR 20130069301A KR 20130069301 A KR20130069301 A KR 20130069301A KR 20140146494 A KR20140146494 A KR 20140146494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terminal
retainer
connector housing
contact portion
connecto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3006930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479078B1 (ko
Inventor
김세권
유문식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유라코퍼레이션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유라코퍼레이션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유라코퍼레이션
Priority to KR2013006930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479078B1/ko
Publication of KR2014014649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40146494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47907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479078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3/00Details of coupling devices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H01R12/70 or H01R24/00 - H01R33/00
    • H01R13/40Securing contact members in or to a base or case; Insulating of contact members
    • H01R13/42Securing in a demountable manner
    • H01R13/436Securing a plurality of contact members by one locking piece or operation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3/00Details of coupling devices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H01R12/70 or H01R24/00 - H01R33/00
    • H01R13/46Bases; Cases
    • H01R13/514Bases; Cases composed as a modular blocks or assembly, i.e. composed of co-operating parts provided with contact members or holding contact members between them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2201/00Connectors or connections adapted for particular applications
    • H01R2201/26Connectors or connections adapted for particular applications for vehicles

Landscapes

  • Connector Housings Or Holding Contact Member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커넥터 하우징; 상기 커넥터 하우징에 장착되는 리테이너; 및 상기 커넥터 하우징 및 상기 리테이너에 장착되는 터미널;을 포함하고, 상기 리테이너는, 상기 커넥터 하우징에 장착되는 리테이너 바디와, 상기 리테이너 바디에 형성되며, 복수의 상기 터미널이 삽입되어 체결되는 터미널 락킹부와, 상기 커넥터 하우징 걸림되어 상기 커넥터 하우징에 상기 리테이너를 고정시키는 하우징 락킹부와, 상기 터미널 락킹부와 인접하게 마련되고, 상기 터미널과 접촉하여 상기 터미널과 전기적으로 연결시키는 접촉부를 포함하는 커넥터가 개시된다. 상기 구성에 의하여 커넥터의 부품 수를 줄여 제품의 단가와, 조립 공수 및 제품의 중량을 저감할 수 있다.

Description

커넥터{Connector}
본 발명은 커넥터에 관한 것으로, 보다 자세하게는 부품 수를 축소하여 원가 및 중량 절감이 가능하고, 조인트 커넥터를 구현할 수 있는 커넥터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차량의 각 부분에는 안전운전을 위한 여러 가지 전장품이 설치되어 있고, 각 전장품으로 전원을 공급하거나 전장품을 제어하기 위한 회로가 구성된다. 그리고, 차량의 점화, 등화, 충전 등의 작동을 위하여 와이어가 차량의 배터리를 중심에서부터 차량 전 부분에 걸쳐 마련되어 있다.
이러한 와이어가 마련되는 위치에 따라 연결이 필요하기도 하며, 이를 위하여 스플라이스(splice), 초음파 융착, 조인트 커넥터 등의 방법을 이용하여 와이어를 연결한다.
상기 스플라이스는 접합하는 전선을 연결시키는 부재이며, 전선을 연결하기 위하여 추가의 부재를 사용한다는 점에서 불편함이 있었다. 또한, 초음파 융착은 별도의 접착제 등을 사용하지 않고도 전선의 연결이 가능하지만, 별도의 설비가 필요하고, 와이어링 하네스 생산 시 추가 작업 공수가 필요한 문제점이 있었다.
상기 조인트 커넥터의 경우, 상기 스플라이스와 초음파 융착에 비하여 작업공수 및 품질 측면에서 전선 연결이 유리하지만, 조인트 커넥트를 위한 제품이 고가인 관계로 조인트 커넥터를 적용하는 제품의 단가가 상승한다는 문제점이 있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감안하여 안출된 것으로, 부품 수를 줄여 제품의 단가와, 조립 공수 및 제품의 중량을 저감시키는 커넥터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본 발명의 목적은 이상에서 언급한 목적으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목적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당업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일면에 따른 커넥터는, 커넥터 하우징; 상기 커넥터 하우징에 장착되는 리테이너; 및 상기 커넥터 하우징 및 상기 리테이너에 장착되는 터미널;을 포함하고, 상기 리테이너는, 상기 커넥터 하우징에 장착되는 리테이너 바디와, 상기 리테이너 바디에 형성되며, 복수의 상기 터미널이 삽입되어 체결되는 터미널 락킹부와, 상기 커넥터 하우징 걸림되어 상기 커넥터 하우징에 상기 리테이너를 고정시키는 하우징 락킹부와, 상기 터미널 락킹부와 인접하게 마련되고, 상기 터미널과 접촉하여 상기 터미널과 전기적으로 연결시키는 접촉부를 포함할 수 있다.
전술한 과제해결 수단에 의해 본 발명은 터미널이 삽입되어 체결되는 커넥터의 리테이너에 금속의 박막으로 형성된 접촉부를 마련하여, 별도의 구성을 마련하지 않고도 터미널이 리테이너와 전기적으로 연결되며, 커넥터를 제조하기 위한 부품 수, 조립공수 등을 줄여 커넥터의 원가 및 커넥터의 중량을 절감하고, 커넥터 제조의 작업 효율이 향상되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커넥터를 도시한 분해 사시도이고,
도 2는 도 1의 Ⅱ-Ⅱ에 따른 단면도이며,
도 3은 도 2의 Ⅲ-Ⅲ에 따른 단면도이고,
도 4는 도 2의 Ⅲ-Ⅲ에 따른 변형예이며,
도 5는 도 2의 Ⅲ-Ⅲ에 따른 다른 변형예이고,
도 6은 도 1의 터미널을 도시한 사시도이며,
도 7은 도 6의 B 부분을 확대한 확대도이다.
하기의 설명에서 본 발명의 특정 상세들이 본 발명의 보다 전반적인 이해를 제공하기 위해 나타나 있는데, 이들 특정 상세들 없이 또한 이들의 변형에 의해서도 본 발명이 용이하게 실시될 수 있다는 것은 이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자명할 것이다.
이하, 본 발명에 따른 바람직한 실시 예를 첨부된 도 1 내지 도 7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하되, 본 발명에 따른 동작 및 작용을 이해하는데 필요한 부분을 중심으로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커넥터를 도시한 분해 사시도이고, 도 2는 도 1의 Ⅱ-Ⅱ에 따른 단면도이며, 도 3은 도 2의 Ⅲ-Ⅲ에 따른 단면도이고, 도 4는 도 2의 Ⅲ-Ⅲ에 따른 변형예이며, 도 5는 도 2의 Ⅲ-Ⅲ에 따른 다른 변형예이고, 도 6은 도 1의 터미널을 도시한 사시도이며, 도 7은 도 6의 B 부분을 확대한 확대도이다.
도면을 참고하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커넥터(100)는 커넥터 하우징(110)과, 커넥터 하우징(110)에 장착되는 리테이너(210)와, 커넥터 하우징(110) 및 리테이너(210)에 장착되는 터미널(310)을 포함한다.
상기 커넥터 하우징(110)은 리테이너(210)와 와이어(미도시)가 장착된 터미널(310)이 장착될 수 있으며, 이를 위하여 터미널(310)이 장착되는 터미널 장착홀(116)과, 상기 리테이너(210)가 장착되는 리테이너 장착홀(112)을 포함한다.
상기 터미널 장착홀(116)은, 커넥터 하우징(110)에 복수의 터미널(310)이 장착될 수 있도록 복수 개 형성될 수 있으며, 바람직하게 터미널 장착홀(116)은 커넥터 하우징(110)의 좌, 우 길이 방향을 따라 복수 개 형성되고, 커넥터 하우징(110)의 상, 하로 복 층으로 형성될 수 있다. 이와 같이 터미널 장착홀(116)을 복수 개 형성함에 따라 다수의 터미널을 커넥터 하우징(110)에 장착할 수 있다.
상기 리테이너 장착홀(112)은 커넥터 하우징(110) 상, 하에 각각 형성될 수 있다. 왜냐하면, 앞서 설명한 바와 같이 터미널 장착홀(116)이 커넥터 하우징(110)의 상, 하에 복 층으로 형성되지만, 리테이너(210)의 경우, 터미널(310)이 장착되는 터미널 락킹부(216)가 단층으로 형성된다. 따라서, 각층에 형성된 터미널 장착홀(116)과 대응되도록 커넥터 하우징(110)의 상, 하에 각각 리테이너(210)가 장착될 수 있다.
상기 리테이너(210)에는 터미널(310)이 장착될 수 있으며, 장착된 터미널(310)과 전기적으로 연결되도록 회로가 구현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리테이너(210)는 터미널(310)이 접촉되는 면에 회로가 금속의 박막으로 형성될 수 있으며, 이하 도면을 참고하여 보다 자세하게 설명하기로 한다.
상기 터미널(310)은, 커넥터 하우징(110)과 리테이너(210)에 장착될 수 있으며, 와이어가 연결되어 차량에 구비된 전장품을 전기적으로 연결할 수 있다. 즉, 터미널(310)은 커넥터 하우징(110)의 터미널 장착홀(116)과 리테이너(210)에 형성된 터미널 락킹부(216)에 동시에 삽입, 장착될 수 있으며, 상기 리테이너(210)에 구현된 회로와 접촉하면서 커넥터(100)에 전기적으로 연결될 수 있다. 이를 위하여 터미널(310)에는 상기 리테이너(210)에 형성된 회로와 접촉하는 접촉편(312)을 더 포함할 수 있으며, 상기 터미널(310)의 구성 및 구조에 대해서는 하기에서 자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다시 도 1을 참고하면, 상기 커넥터 하우징(110)의 리테이너 장착홀(112)에 장착된 리테이너(210)는 커넥터 하우징(110)에 장착되는 리테이너 바디(212)와, 리테이너 바디(212)에 형성되며, 복수의 터미널(310)이 삽입되어 체결되는 터미널 락킹부(216)와, 커넥터 하우징(110)에 걸림되어 커넥터 하우징(110)에 리테이너(210)를 고정시키는 하우징 락킹부(218)와, 상기 터미널(310)과 접촉하여 터미널(310)과 전기적으로 연결되기 위한 회로(미도시)가 형성된 접촉부(214)를 포함한다.
상기 리테이너 바디(212)는 상기 커넥터 하우징(110)의 리테이너 장착홀(112)에 장착되는 구조물이며, 상기 리테이너 장착홀(112)에 장착된 후, 교체가 필요할 경우 커넥터 하우징(110)에서 분리가 용이하도록 홀(213)이 형성될 수 있다.
즉, 도 1 및 도 2를 참고하면, 리테이너(210)의 후방 외벽에는 리테이너(210)의 후방 외벽을 기준으로 함몰된 홀(213)이 형성될 수 있다. 상기 홀(213)은 리테이너 바디(212)가 커넥터 하우징(110)의 리테이너 장착홀(112)에 삽입된 후 작업자의 손 또는 그 외의 공구가 삽입될 수 있는 삽입홀이라고 할 수 있다. 상기 홀(213)에 작업자의 손 또는 그 외의 공구가 삽입되어 리테이너 바디(212)가 장착된 방향의 역 방향으로 힘을 가하여 커넥터 하우징(110)의 리테이너 장착홀(112)에서 리테이너 바디(212)가 분리될 수 있게 한다.
이때, 커넥터 하우징(110)에는 상기 홀(213)과 대응되는 위치에 가이드홀(115)이 형성될 수 있다. 상기 가이드홀(115)은 리테이너 바디(212)를 상기 커넥터 하우징(110)의 리테이너 장착홀(112)에서 분리할 때, 공구 또는 작업자의 손에서 발생한 힘이 리테이너 바디(212)에 전달될 수 있도록 공구 또는 작업자의 손을 지지하는 공간임과 동시에, 공구 또는 작업자의 손에 의해 커넥터 하우징(110)의 표면에 스크래치가 발생하지 않도록 공구 또는 작업자의 손의 위치를 안내할 수도 있다.
상기 터미널 락킹부(216)는 터미널(310)이 삽입되어 체결될 수 있으며, 상기 커넥터 하우징(110)의 리테이너 장착홀(112)에 리테이너 바디(212)가 장착되면, 터미널 장착홀(116)에서부터 연통되도록 형성될 수 있다. 왜냐하면, 상기 커넥터(100)에 터미널(310)이 장착되면 상기 접촉부(214)와 터미널(310)이 전기적으로 연결되어야 하기 때문이다.
상기 하우징 락킹부(218)는, 상기 커넥터 하우징(110)의 리테이너 장착홀(112)에 리테이너 바디(212)가 삽입되어 장착될 때, 리테이너 바디(212)가 리테이너 장착홀(112)에서 임의로 분리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이를 위하여 하우징 락킹부(218)는 리테이너 바디(212)가 커넥터 하우징(110)의 내벽에 걸림되도록 리테이너 바디(212) 측면에서 커넥터 하우징(110) 내벽 방향으로 돌출 형성될 수 있다.
즉 도 1을 참고하면, 하우징 락킹부(218)는 리테이너 바디(212)의 좌, 우 측면 중 어느 한 측면에 형성될 수 있으며, 커넥터 하우징(110)과의 체결력을 높이기 위해서는 좌, 우측면 모두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할 것이다.
이때, 커넥터 하우징(110) 내벽에는 상기 하우징 락킹부(218)가 삽입되어 장착되는 락킹홀(118)이 형성될 수 있으며, 상기 락킹홀(118)은 상기 하우징 락킹부(218)과 대응되게 형성될 수 있다. 예시적으로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하우징 락킹부(218)은 리테이너 바디(212)의 좌, 우 양 측면에 한 쌍 이상의 돌기 형태로 형성될 수 있으며, 상기 락킹홀(118)은 상기 한 쌍 이상의 하우징 락킹부(218)와 대응되는 위치에 형성될 수 있다.
상기 락킹홀(118)에 의하여 리테이너(220)를 커넥터 하우징(110)에서 교체 시, 리테이너(220)를 커넥터 하우징(110)에서 보다 용이하게 분리할 수 있다. 즉, 작업자가 공구를 사용하거나, 리테이너(220)나 커넥터 하우징(110)에 임의의 압력을 가하여 락킹홀(118)에서 하우징 락킹부(218)을 분리할 수 있기 때문에 리워크(re-work) 작업의 효율이 증가할 수 있다. 더불어, 상기 락킹홀(118)에 의하여 리테이너(220)가 커넥터 하우징(110)에 결합되었을 때, 결합 유부를 육안으로 확인할 수 있어 리테이너(220)가 정확한 위치에 결합되었는지를 용이하게 확인할 수 있게 된다.
한편, 하우징 락킹부(218)는 예시적으로 하우징 락킹부(218)를 한 쌍으로 형성하고, 리테이너 바디(212)가 커넥터 하우징(110)에 장착될 때, 걸림돌기를 상기 한 쌍의 하우징 락킹부(218) 사이에 위치시키면, 걸림돌기가 상측 또는 하측으로 유동하는 것을 차단시킬 수 있다. 그 결과, 하우징 락킹부(218)와 걸림돌기가 이중으로 체결되어 리테이너 바디(212)와 커넥터 하우징(110) 사이의 체결력이 향상될 수 있다.
상기 접촉부(214)는, 리테이너 바디(212) 상에 형성될 수 있다. 즉, 접촉부(214)는 리테이너 바디(212)와 일체로 형성될 수 있으며, 예시적으로 터미널(310)이 면접하는 리테이너 바디(212) 표면에 금속 박막으로 형성될 수 있다. 이와 같이 터미널(310)과 리테이너 바디(212)가 면접하는 위치에 금속 박막으로 접촉부(214)를 형성함으로써, 별도의 구성을 마련하지 않아도 터미널(310)과 리테이너 바디(212)를 전기적으로 연결될 수 있다.
한편, 상기 접촉부(214)에 형성된 회로는 후술할 터미널(310)에 연결된 와이어를 연결하기 위한 회로이다. 즉, 터미널(310)은 암터미널(320)과 수터미널(330)로 구성되는데, 상기 암터미널(320)과 수터미널(330)에 연결된 와이어를 전기적으로 연결하기 위해서 상기 접촉부(214)에는 상기 와이어에 연결된 회로와 동일한 회로가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접촉부(214)는 리테이너(210) 제조 과정에서, 리테이너 바디(212)와 금속 박막을 인서트 사출로 성형하거나, 다르게는 접촉부(214)를 리테이너 바디(212)에 장착되는 형상에 대응되도록 별도로 제작한 후에 접촉부(214)가 장착되는 위치에 부착, 끼움 등과 같은 방법으로 리테이너 바디(212)에 장착할 수도 있다.
상기 터미널(310)은 상기 접촉부(214)와 접촉하기 위한 접촉편(312)을 더 포함한다. 이때, 터미널(310)은 상기 터미널 락킹부(216)에 삽입되는 암터미널(320)과 상기 암터미널(320)에 삽입되어 장착되는 수터미널(330)을 포함하고, 상기 접촉편(312)은 터미널 락킹부(216)에 삽입되는 암터미널(320)에 형성될 수 있지만, 조건에 따라 변경될 수 있다.
즉, 도 6 및 도 7을 참고하여 살펴보면, 상기 접촉편(312)은 터미널(310)의 인슐레이션 바렐(314)에 형성될 수 있는데, 상기 인슐레이션 바렐(314)은 터미널(310)에 안착된 와이어를 압착 고정하기 위한 부재이다. 이와 같이 접촉부(214)를 터미널(310)의 인슐레이션 바렐(314)에 형성함에 따라 별도의 부재를 사용하지 않고도 터미널(310)이 리테이너(210)에 삽입될 때 리테이너(210)와 터미널(310)의 전기적 연결이 이루어질 수 있다.
상기 접촉편(312)은 판스프링과 같이 탄성이 있도록 형성할 수 있다. 즉, 터미널(310)이 리테이너(210)에 삽입될 때, 상기 접촉부(214)에 의해 압착되면서 접촉부(214)와의 접촉력이 증가할 수 있기 때문이다. 한편, 접촉편(312)을 판스프링인 예를 들어 설명하지만, 다르게는 터미널(310)에서 접촉부(214) 방향으로 돌출된 돌기로 형성할 수도 있다.
또한, 상기 접촉편(312)는 접촉부(214)와의 접촉력을 증대시키기 위하여 텐션(312a)을 더 포함한다. 상기 텐션(312a)은 접촉부(214)로 접압력을 가하여 접촉편(312)과 접촉부(214)가 접한 상태를 유지할 수 있게 한다. 상기 텐션(312a)은 접촉편(312)에서 접촉부(214)로 접압력을 가할 수 있는 다양한 형태로 형성될 수 있으며, 텐션(312a)이 장착된 위치, 형상에 의해 본 발명이 제한되지 않는다.
다시 도 1 내지 도 4를 참고하면, 상기 터미널(310)의 암터미널(320)이 리테이너(210)의 터미널 락킹부(216)에 삽입되어 장착되면서 터미널(310)에 연결된 와이어가 전기적으로 연결될 수 있다.
즉, 암터미널(320)과 수터미널(330)에는 와이어(미도시)가 압착되어 있는데, 상기 와이어는 차량의 전장품을 전기적으로 연결한다. 이때, 암터미널(320)이 터미널 락킹부(216)에 삽입되어 체결되면, 암터미널(320)은 상기 접촉부(214)의 회로와 전기적으로 연결되고, 암터미널(320)에 수터미널(330)이 삽입되면서 상기 암터미널(320)에 연결된 전기가 수터미널(330)를 통해서도 연결될 수 있다. 이로 인하여 상기 암터미널(320)과 수터미널(330) 각각에 구비된 와이어가 전기적으로 연결될 수 있다.
상기와 같이 리테이너(210)에 회로가 구현된 접촉부(214)를 형성하여 접촉부(214)와 터미널(310)을 접촉시킴으로써, 리테이너(210)가 와이어를 연결하는 인라인 커넥터로써의 역할을 할 수 있다. 따라서, 차량에 구비되는 다수의 와이어를 연결하기 위한 추가의 부재 사용을 줄여 와이어를 연결하는데 필요한 작업 공수를 줄일 수 있게 된다.
또한, 상기 접촉부(214)는 패턴이 형성될 수 있다. 즉, 상기 리테이너(210)의 터미널 락킹부(216)에 장착되는 터미널(310)에는 독립적으로 와이어가 연결되어 있으며, 각각의 와이어는 동일한 성분을 가지는 회로가 흐르기도 하지만 다르게는 서로 다른 성분을 가진 회로가 흐르기도 한다. 이때, 서로 다른 성분을 가진 회로가 흐르는 와이어가 인접할 경우 전기적 쇼트가 일어날 수 있기 때문에 서로 다른 성분을 가진 회로 사이에는 회로를 형성하지 않아 터미널(310)이 터미널 락킹부(216)에 장착되어도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보다 자세하게, 도 1 내지 도 3을 참고하면, 접촉부(214)에 구현된 회로는 [3*2*2]의 패턴으로 형성될 수 있으며, 서로 다른 성분을 가진 회로는 이격되도록 형성될 수 있다. 즉, 제1의 동일한 성분을 가진 회로를 가지는 제1 접촉부(214a)는 인접하게 형성되고, 상기 제1 접촉부(214a)와 다른 성분을 가지는 제3 접촉부(214c)는 회로가 형성되지 않은 제2 접촉부(214b)를 사이에 두고 이격될 수 있다. 이로 인하여 서로 다른 성분을 가진 회로가 이격되도록 형성됨으로써, 회로 사이의 전기적 쇼트가 발생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이와 다르게 상기 접촉부(214)는 서로 다른 회로가 형성된 제1 접촉부(214a)와 제3 접촉부(214c)가 인접하게 형성될 수 있다. 이 경우, 상기 접촉부(214)에 형성된 이격홈(217)에 의하여 서로 다른 회로가 분리될 수 있다. 즉, 접촉부(214)는 회로가 형성되며, 상기 터미널(310)이 장착되는 패턴부분(215)과 인접한 패턴부분(215)을 이격시키는 이격홈(217)을 더 포함하고, 상기 이격홈(217)은 서로 다른 회로가 형성된 패턴부분(215)을 전기적으로 분리할 수 있다.
다시 말해, 서로 다른 회로가 형성된 패턴부분(215a, 215c) 사이에는 회로가 형성되지 않는 제1 이격홈(217a)이 마련된다. 따라서,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서로 다른 회로가 형성된 패턴부분(215a, 215c) 사이에 형성된 제1 이격홈(217a)에 의하여 서로 다른 회로가 형성된 제1 접촉부(214a)와 제3 접촉부(214c)를 전기적으로 분리하여 인접한 서로 다른 회로가 형성된 접촉부(214a, 214c) 사이에 전기적 쇼트가 발생하는 것을 방지하게 된다.
다시 도 4를 참고하면, 같은 회로가 형성된 패턴부분을 연결하는 이격홈에는 상기 패턴부분과 동일한 회로가 형성될 수 있다. 예시적으로, 제3 접촉부(214c)를 연결하는 제3 이격홈(217c)은 상기 제3 접촉부(214c)와 동일한 회로가 형성되어 제3 접촉부(214c)를 전기적으로 연결하게 된다.
아울러, 상기와 같이 이격홈(217)에 의하여 인접한 패턴부분(215a, 215c)을 분리할 경우, 인접한 서로 다른 회로를 전기적으로 분리하기 위하여 커넥터 하우징(110)은 이격홈(217)과 대응되게 위치하여 상기 서로 다른 회로가 형성된 패턴부분(215a, 215c)을 전기적으로 연결하는 절연판(219)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즉, 도 2 및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절연판(219)은 서로 다른 회로가 형성된 패턴부분(215a, 215c)를 연결하는 제1 및 제3 이격홈(217a, 217c)에 끼워질 수 있다. 이때, 절연판(219)는 서로 다른 회로가 형성된 패턴부분(215a, 215c)를 연결하는 제1 및 제3 이격홈(217a, 217c)의 형상과 동일한 형상을 가지도록 형성될 수 있지만 다르게는 상기 제1 및 제3 이격홈(217a, 217c)의 중심 부분에 거치되도록 형성되어 상기 서로 다른 회로가 형성된 패턴부분(215a, 215c)이 연결되는 것을 차단할 수도 있다. 또한, 상기 절연판(219)는 상기 서로 다른 회로가 형성된 패턴부분(215a, 215c)을 이격시키는 제1 및 제3 이격홈(217a, 217c)에 대응되는 위치에만 형성되어 서로 다른 회로가 형성된 패턴부분(215a, 215c)을 전기적으로 분리하는 것이 바람직할 것이다.
이때, 절연판(219)는 터미널 하우징(110)과 일체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지만, 다르게는 별도로 제작되어 터미널 하우징(110)에 부착될 수도 있다.
한편, 상기와 같이 회로가 형성된 접촉부(214)에 인접한 터미널 락킹부(216)에 터미널(310)이 삽입되어 장착될 수 있지만, 회로 형성 여부에 관계없이 터미널 락킹부(216) 전체에 터미널(310)이 삽입될 수 있음은 물론이다.
이와 같이 터미널(310)이 삽입되어 체결되는 리테이너(210)에 금속의 박막으로 형성된 접촉부(214)를 마련하여, 별도의 구성을 마련하지 않고도 터미널(310)이 리테이너(210)와 전기적으로 연결될 수 있다. 이로 인하여 커넥터(100)를 제조하기 위한 부품 수를 줄여 커넥터(100)의 원가 및 커넥터(100)의 중량을 절감할 수 있다. 또한, 커넥터(100) 제조를 위한 조립 공수를 줄여 커넥터(100) 제조의 작업 효율이 향상될 수 있다.
이상에서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예시적으로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의 범위는 이와 같은 특정 실시예에만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특허청구범위에 기재된 범주 내에서 적절하게 변경 가능한 것이다.
100: 커넥터 110: 커넥터 하우징
112: 리테이너 장착홀 115: 가이드홀
116: 터미널 장착홀 210: 리테이너
212: 리테이너 바디 214: 접촉부
215: 홀 216: 터미널 락킹부
218: 하우징 락킹부 219: 절연판
310: 터미널 312: 접촉편

Claims (10)

  1. 커넥터 하우징;
    상기 커넥터 하우징에 장착되는 리테이너; 및
    상기 커넥터 하우징 및 상기 리테이너에 장착되는 터미널;을 포함하며,
    상기 리테이너는,
    상기 커넥터 하우징에 장착되는 리테이너 바디와,
    상기 리테이너 바디에 형성되며, 복수의 상기 터미널이 삽입되어 체결되는 터미널 락킹부와,
    상기 커넥터 하우징 걸림되어 상기 커넥터 하우징에 상기 리테이너를 고정시키는 하우징 락킹부와,
    상기 터미널과 접촉하여 상기 터미널과 전기적으로 연결되기 위한 회로가 형성된 접촉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커넥터.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접촉부는,
    상기 리테이너 바디와 일체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커켁터.
  3.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접촉부는
    상기 리테이너 바디 표면에 박막으로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커넥터.
  4.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터미널은,
    상기 리테이너가 상기 커넥터 하우징에 장착되면, 상기 접촉부와 접촉하는 접촉편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커넥터.
  5. 청구항 4에 있어서,
    상기 접촉편은 상기 접촉부와의 접촉력을 증대시키기 위하여 텐션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커넥터.
  6.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하우징 락킹부는,
    상기 리테이너 바디가 상기 커넥터 하우징 내벽에 걸림되도록 상기 리테이너 바디 측면에서 상기 커넥터 하우징 내벽 방향으로 돌출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커넥터.
  7.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접촉부는 패턴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커넥터.
  8. 청구항 7에 있어서,
    상기 접촉부는
    회로가 형성되며, 상기 터미널이 장착되는 패턴부분과,
    인접한 상기 패턴부분을 이격시키는 이격홈을 더 포함하고,
    상기 이격홈은 서로 다른 회로가 형성된 패턴부분을 전기적으로 분리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커넥터.
  9. 청구항 8에 있어서,
    상기 커넥터 하우징은
    상기 이격홈과 대응되게 위치하여 상기 서로 다른 회로가 형성된 패턴부분을 전기적으로 분리하는 절연판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커넥터.
  10.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커넥터 하우징 내벽에는, 상기 하우징 락킹부가 삽입되어 장착되는 장착홀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커넥터.
KR20130069301A 2013-06-17 2013-06-17 커넥터 KR101479078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30069301A KR101479078B1 (ko) 2013-06-17 2013-06-17 커넥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30069301A KR101479078B1 (ko) 2013-06-17 2013-06-17 커넥터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40146494A true KR20140146494A (ko) 2014-12-26
KR101479078B1 KR101479078B1 (ko) 2015-01-07

Family

ID=5258783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30069301A KR101479078B1 (ko) 2013-06-17 2013-06-17 커넥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479078B1 (ko)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00027752A (ko) * 2018-09-05 2020-03-13 주식회사 유라 커넥터 어셈블리 및 그에 사용되는 커넥터
KR20200134659A (ko) * 2019-05-23 2020-12-02 주식회사 사마스전자 무본딩 케이블 커넥터
KR102313404B1 (ko) * 2020-06-19 2021-10-15 주식회사 경신 조인트 커넥터
KR20230034606A (ko) 2021-09-03 2023-03-10 현대자동차주식회사 전기 커넥터

Family Cites Familie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822859A (ja) * 1994-07-06 1996-01-23 Toyota Motor Corp スプライス吸収コネクタ
KR20090073878A (ko) * 2007-12-31 2009-07-03 한국단자공업 주식회사 조인트 스페이서 및 이를 구비한 커넥터
KR100976509B1 (ko) * 2008-04-22 2010-08-17 한국단자공업 주식회사 조인트 커넥터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00027752A (ko) * 2018-09-05 2020-03-13 주식회사 유라 커넥터 어셈블리 및 그에 사용되는 커넥터
KR20200134659A (ko) * 2019-05-23 2020-12-02 주식회사 사마스전자 무본딩 케이블 커넥터
KR102313404B1 (ko) * 2020-06-19 2021-10-15 주식회사 경신 조인트 커넥터
KR20230034606A (ko) 2021-09-03 2023-03-10 현대자동차주식회사 전기 커넥터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479078B1 (ko) 2015-01-0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180005634A (ko) 차량용 커넥터
JP6107376B2 (ja) コネクタ及びワイヤハーネス
US11646522B2 (en) Male connector and connector device
KR101479078B1 (ko) 커넥터
CN110867705B (zh) 电源连接器
CN103779745A (zh) 同轴连接器和连接器单元
KR102031835B1 (ko) 기판 접속용 커넥터
KR101830421B1 (ko) 차량용 커넥터
KR101794340B1 (ko) 차량용 커넥터
CN103682889A (zh) 适于平板状连接物体的连接的同轴连接器
WO2015098482A1 (ja) 電気回路装置
JP2019204577A (ja) コネクタ
JP5778940B2 (ja) ハウジングの接続構造
JP2019135769A (ja) Usbコンセント
CN113328269B (zh) 连接组件、线缆插头以及线缆组件
KR100489973B1 (ko) 전기 접속기용 커넥터
JP2008283760A (ja) 電気接続箱
US11888261B2 (en) Board-to-cable connector
US11949182B2 (en) Wiring connector assembly
KR102077018B1 (ko) 양방향 조인트 커넥터
KR102077017B1 (ko) 양방향 조인트 커넥터
JP5074962B2 (ja) コネクタユニット
KR101830423B1 (ko) 차량용 커넥터
JP2001319739A (ja) コネクタ
JP4592359B2 (ja) コネクタ及びコネクタの導通検査方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