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30090697A - 다각도 절곡이 용이한 판넬 절곡장치 - Google Patents

다각도 절곡이 용이한 판넬 절곡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30090697A
KR20130090697A KR1020120012021A KR20120012021A KR20130090697A KR 20130090697 A KR20130090697 A KR 20130090697A KR 1020120012021 A KR1020120012021 A KR 1020120012021A KR 20120012021 A KR20120012021 A KR 20120012021A KR 20130090697 A KR20130090697 A KR 20130090697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ending
panel
bent
conveyor
bending devic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2001202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형건
Original Assignee
김형건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형건 filed Critical 김형건
Priority to KR1020120012021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30090697A/ko
Publication of KR2013009069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30090697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GHORTICULTURE; CULTIVATION OF VEGETABLES, FLOWERS, RICE, FRUIT, VINES, HOPS OR SEAWEED; FORESTRY; WATERING
    • A01G9/00Cultivation in receptacles, forcing-frames or greenhouses; Edging for beds, lawn or the like
    • A01G9/02Receptacles, e.g. flower-pots or boxes; Glasses for cultivating flowers
    • A01G9/028Multi-compartmented pot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GHORTICULTURE; CULTIVATION OF VEGETABLES, FLOWERS, RICE, FRUIT, VINES, HOPS OR SEAWEED; FORESTRY; WATERING
    • A01G24/00Growth substrates; Culture media; Apparatus or methods therefor
    • A01G24/60Apparatus for preparing growth substrates or culture media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GHORTICULTURE; CULTIVATION OF VEGETABLES, FLOWERS, RICE, FRUIT, VINES, HOPS OR SEAWEED; FORESTRY; WATERING
    • A01G9/00Cultivation in receptacles, forcing-frames or greenhouses; Edging for beds, lawn or the like
    • A01G9/02Receptacles, e.g. flower-pots or boxes; Glasses for cultivating flowers
    • A01G9/033Flat containers for turf, lawn or the like, e.g. for covering roofs

Landscapes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vironmental Sciences (AREA)
  • Bending Of Plates, Rods, And Pipes (AREA)

Abstract

본 발명의 다각도 절곡이 용이한 판넬 절곡장치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컨베이어(100), 절곡장치(200), 컨베이어(100′)로 구성되어 상기 컨베이어(100)에서 이송된 판넬(p)이 절곡장치로 인입되기 전에 공간부로 낙하방지를 위해 브러쉬(240)가 구성되고, 무엇보다 상기 판넬(p)을 절곡할 때 종래의 수직, 수평 절곡뿐만 아니라 회전하며 다각도에서 절곡작업을 할 수 있고, 필요에 따라 기본절곡을 이용하여 연속적으로 절곡작업을 진행하며 수치제어화 하여 종래의 절곡기로 작업이 불가능한 제품들을 각절곡의 변위(거리)와 절곡의 각도를 제어하여 다양한 형상의 절곡 판넬(p) 제품을 연속 자동생산 할 수 있는 절곡부(200)가 구성되어 시간단축 및 작업효율성을 높이며 상기 절곡장치(200)에서 절곡된 판넬(p)이 다음 공정으로 이송될 수 있도록 상기 컨베이어(100)의 타 측으로 컨베이어(100?)를 추가적으로 구성하여 사람의 인력으로 행해오던 작업을 자동화시킴으로써 편리성이 극대화 되며 경제적 효율성이 매우 우수한 발명이라 하겠다.

Description

다각도 절곡이 용이한 판넬 절곡장치{Bending angles for easy panel bending device}
본 발명은 판넬을 절곡하는 절곡장치에 관한 것으로, 더욱 자세하게는 컨베이어에 의해 이송되는 판넬이 절곡장치로 인입되어 기본절곡을 이용하여 연속적으로 진행하며 수치제어화 각절곡의 변위(거리)와 절곡의 각도를 제어하여 다양한 형상의 절곡 판넬 제품을 연속 자동 생산 할 수 있는 다각도 절곡이 용이한 판넬 절곡장치에 관한 것이다.
통상적으로 절곡장치는 유압장치 등을 이용하여 대형 판넬을 원하는 위치를 일정 각도 구부리기 위한 장치로서 절곡된 판넬은 방화문을 제작하는 구성요소로 사용되거나, 도어판넬, 문자판넬, 유리섬유 판넬, 금속판넬, 건축용 판넬 등으로 많이 사용되어 오고 있다. 상기한 판넬들은 다양한 특성 및 특징과 기능들을 가지고 있으며 절곡장치에 의해 절곡되며 제작되어 여러 방면에서 많이 사용되어 오고 있고, 그 제작과정은 판넬이 통상의 컨베이어 장치에 의해 이송되어 절곡장치로 인입된 후 절곡장치에 의해 절곡되어 재차 컨베이어를 타고 배출되는 방식으로 사용되어 오고 있다.
우선 종래의 기술들을 살펴보면 공개번호 (특)10-2010-0109298 본체와 상기 본체 상에 설치되어 패널 일부가 일측 출구 쪽으로 인출되는 가이드부와 상기 가이드부의 출구를 사이에 두고 좌우 양측에 위치되는 제1, 2굽힘날개와 상기 각 굽힘날개 중 어느 하나를 선택적으로 반대쪽 굽힘날개를 향해 회동시키는 회동수단을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이다.
공개번호 (특)2020080004527 절곡장치의 상부에 설치되고 저면에는 경사진 절곡펀치가 형성되는 절곡금형을 형성하고, 상기 절곡금형의 하부에는 상부로 상면에 상기 절곡펀치의 경사면과 대응하는 작동홈이 형성되고 저면에는 결합돌기가 형성되는 상부가동금형과, 상면에 상기 상부가동금형의 결합돌기를 수용하는 결합홈이 형성되고 저면에는 수평절곡면과 수용돌기가 연속적으로 형성되는 하부가동금형으로 구성되는 가동금형이 설치되며, 상기 가동금형의 하부에는 상면으로 상기 하부가동금형에 형성되는 수평돌기를 수용하는 수용홈이 형성되는 고정금형이 장착되되, 상기 수평돌기의 저면과 수용홈의 사이에는 다수개의 스프링이 장착되는 것이다.
등록번호 (특)1009588450000 리브가 형성된 금속판재의 이송로와, 상기 금속판재의 이송로를 통하여 이송되는 상기 금속판재의 리브의 일부를 제거하는 커팅유닛과, 상기 커팅유닛에 의하여 상기 금속판재의 리브가 제거된 부분을 절곡하는 절곡유닛을 포함하여 구비하는 절곡장치에 있어서, 상기 커팅유닛은 커터와, 상기 커터를 구동하는 모터와, 상기 커터의 이동수단으로 이루어지고, 상기 금속판재의 이송로 방향을 X축 방향이라 정의하였을 때, 상기 커터는 상기 커터의 이동수단에 의하여 Y축 및 Z축 방향으로 이동이 가능하도록 구성되고, 상기 커터의 이동수단은 Z축과 평행하게 설치된 제1레일을 개재하여 이동판에 고정되는 상기 커터를 구동하는 모터를 Z축 방향으로 진퇴시키는 실린더와, Y축과 평행하게 설치된 제2레일을 개재하여 고정판에 고정되는 상기 이동판을 Y축 방향으로 승강시키는 이동판 승강장치로 이루어진다.
등록번호 (특)1006965900000 상부로는 경사지게 슬라이드 면을 가지는 공간부와 돌출 형성 되는 돌기부가 형성되고, 상기 공간부와 돌기부의 저면으로는 소정구간 홈이 형성되며 상기 홈으로는 스프링이 개재되는 금형다이와, 상기 금형다이의 공간부에 형성되는 슬라이드 면과 대응하게 슬라이드 면이 하부에 형성되고 상부로는 수직부가 형성되며 상기 슬라이드 면의 일측으로는 직선부가 형성되는 슬라이드 금형과, 상기 금형다이의 돌기부와 대응하는 홈이 하부에 형성되고 일측으로는 상기 직선부와 결합하는 직선부가 형성되는 받침대 금형과, 상기 받침대 금형의 상부에 형성되어 상기 받침대 금형을 가압하는 펀치프레스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이다.
상기한 종래 기술들은 판넬을 절곡시키되 절곡부의 구성이 복잡하여 작업자들이 이해 및 조작하기 어려울 뿐만 아니라, 절곡하는 각도가 한정적이므로 산업화되기 어려운 문제점이 있다. 또한, 수직, 수평으로만 절곡이 가능하다 보니 작업자가 원하거나 주문된 작업을 하기에는 별도의 인력을 동원하여 완제품을 완성해야 하는 문제점과 인입된 판넬을 절곡 시 작업 시 시간이 오래 걸리게 되어 작업능률이 저하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이에 따라, 상기한 바와 같이 절곡장치인입 된 판넬을 수직, 수평으로 절곡해야만 하는 종래의 기술들을 한층 더 발전시켜 회전하며 절곡을 하되 절곡장치의 기본적인 절곡도 가능하며 재차 절곡 시 판넬에 걸림 되지 않도록 전, 후 방향으로 용의하게 유동하며 판넬의 완벽한 절곡을 위한 눌림까지 가능한 장치가 개발되어 시간을 단축시키고 작업능률을 향상시키며 별도의 인력을 동원하여 완제품을 완성하는 불필요한 낭비를 하지 않는 제품이 개발되어야 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목적은 컨베이어에 의해 이송되는 판넬이 절곡장치로 인입되어 절곡작업을 할 때 판넬의 절곡과정에서 발생하는 압력으로 인해 튕김 현상 방지와 작업자의 안전을 미연에 방지 할 수 있도록 가압부를 구성하고, 무엇보다 상기 판넬을 절곡하는 과정에서 회전하며 고정된 각도에서 전, 후로 유동이 가능하고 다각도로 판넬을 자유로이 형성 할 수 있는 절곡부를 구성하여 시간단축 및 작업효율성을 극대화하고, 정확성을 도모하며 편리성이 부여되는 장치를 제공함에 주안점을 두고 그 기술적 과제로 완성해낸 것이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기술적 사상으로서의 판넬의 이송을 담당하는 컨베이어가 구성되고, 상기 컨베이어에 의해 인입되는 판넬을 고정하는 가압부와 상기 가압부의 하부로 구성되되 구동에 의해 절곡하는 절곡부를 포함하는 절곡장치로 구성되는 판넬절곡장치에 있어서,
상기 절곡장치(200)의 상부에 구성되는 유동부재(212)에 의해 상, 하, 좌, 우로 유동하며 판넬(p)을 고정하는 가압부(210)와 상기 가압부(210)의 하부에 구성되며 수직, 수평, 회전 절곡을 하는 절곡부(220)와 상기 절곡부(220)에는 회전축(230)이 연결 구성되어 구동모터(232)에 의해 구동하고,
상기 절곡부(220)는 일 측에 절곡뭉치(221)가 구성된 유동판(222)이 유동축(223)과 연결되며 상기 유동축(223)의 일측에 고정부(224)가 연결 구성되는 것으로 상기 기술적 과제를 해결하고자 하였고,
상기 절곡장치(200)의 양측으로 절곡부(220)와 회전축(230)을 구성하여 판넬(p)의 일측을 절곡 후 이송시켜 타측을 절곡할 수 있도록 하고, 상기 컨베이어(100)의 타 측에 상기 절곡장치(200)의 절곡작업 후 배출되는 판넬(p)을 이송하는 컨베이어(100?)를 구성하여 낙하방지 및 후 공정으로 자동적으로 이송시켜 작업효율성을 높일 수 있도록 하여 상기 기술적 과제를 해결하고자 하였다.
본 발명에 따른 다각도 절곡이 용이한 판넬 절곡장치에 의하면,
컨베이어에서 이송된 판넬이 절곡장치로 인입되기 전에 공간부 사이로 브러쉬가 구성되어 상기 판넬의 무게로 인해 지면으로 낙하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고, 무엇보다 인입된 상기 판넬을 절곡할 때 수직, 수평 절곡뿐만 아니라 회전을 하며 전, 후로 유동하여 상기 판넬을 완전히 구부릴 수가 있어 정확성을 도모하고, 필요에 따라 기본절곡을 이용하여 연속적으로 절곡작업을 하여 판넬을 다양한 형상으로 생산할 수 있어 시간 단축 및 작업효율성을 높이며 상기 절곡장치에서 절곡된 판넬이 다음 공정으로 이송될 수 있도록 컨베이어가 추가적으로 구성되어 사람의 인력으로 행해오던 작업을 자동화시킴으로써 편리성이 극대화 되며 경제적 효율성이 매우 우수한 발명이라 하겠다.
도 1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를 나타내는 평면도
도 2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를 나타내는 구성도
도 3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를 나타내는 단면도, 확대도
도 4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를 나타내는 측단면도, 확대도
도 5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를 나타내는 작동상태도
도 6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를 나타내는 작동상태도
도 7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를 나타내는 작동상태도
도 8은 본 발명의 도 6의 A를 나타내는 확대도, 작동상태도
도 9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를 나타내는 작동상태도
도 10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를 나타내는 작동상태도
도 11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를 나타내는 작동상태도
도 12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를 나타내는 작동상태도
도 13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를 나타내는 사용상태도
도 14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를 나타내는 평면도
도 15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를 나타내는 정면도
도 16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를 나타내는 구성도
도 17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를 나타내는 구성도 및 작동상태도
도 18은 본 발명의 도 7의 B를 나타내는 확대도 및 작동상태도
도 19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를 나타내는 사용상태도
도 20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를 나타내는 사용상태도
도 21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를 나타내는 사용상태도
도 22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를 나타내는 사용상태도
도 24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를 나타내는 사용상태도
도 25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를 나타내는 도면
도 26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를 나타내는 작동상태도
도 27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를 나타내는 사용상태도 및 확대도
도 28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를 나타내는 사용상태도
첨부되는 도면과 관련하여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바람직한 구성 및 작용에 대하여 도 1 내지 도 28을 참고로 하여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판넬의 이송을 담당하는 컨베이어가 구성되고, 상기 컨베이어에 의해 인입되는 판넬을 고정하는 가압부와 상기 가압부의 하부로 구성되되 모터의 구동에 의해 절곡하는 절곡부를 포함하는 절곡장치로 구성되는 판넬 절곡장치에 있어서,
상기 가압부(210)는 상기 절곡장치(200)의 상부로 벨트에 의해 유동하는 유동부재(212)가 구성되고, 상기 유동부재(212)에 의해 상, 하, 좌, 우로 유동하며 하단부로 가압뭉치(211)가 구성되되 상기 가압뭉치(211)는 일 측에 돌출되도록 돌출부가 형성되고, 상기 절곡부(220)는 상기 가압부(210)의 하부 일 측에 구성되되 양측에 회전축(230)이 연결 구성되며 상부로 일 측이 돌출되는 절곡뭉치(221)가 구성되고, 상기 회전축(230)이 구동모터(232)에 의해 구동하며 수직, 수평, 회전절곡 하는 것이다.
상기 절곡부(220)는 일 측에 절곡뭉치(221)가 구성된 유동판(222)이 유동축(223)과 연결되고, 상기 유동축(223)의 일 측에 고정부(224)가 연결 구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컨베이어(100)는 도 1 내지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이전 공정에서 이송된 판넬(p)이 상기 절곡장치(200)로 이송을 담당하며 모터에 의해 구동되고, 상기 판넬(p)의 무게와 지면으로부터 견고하게 지지할 수 있도록 하부로 지지부가 구성된다. 또한, 상기 컨베이어(100)는 상기 판넬(p)이 상기 절곡장치(200)로 인입되는 과정에서 용이하게 인입될 수 있도록 내부로 통상의 롤러, 벨트 등을 구성하여 사용할 수 도 있다.
상기 절곡장치(200)는 도 3, 4, 5, 6, 7, 8, 12를 참고하여 설명하면 상기 컨베이어(100)에 의해 이송되어 인입된 판넬(p)을 절곡 및 배출하는 장치로 중요 구성요소이다.
우선 전체적으로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내부의 상부에 상, 하, 좌, 우로 유동하며 상기 판넬(p)이 상기 컨베이어(100)에 의해 인입 시 흔들리지 않고 절곡작업에 용의하도록 고정하는 가압부(210)가 구성되되 상측에 구성되는 유동부재(212)에 의해 유동되고, 상기 가압부(210)와 상호 대응하며 하부로 지지판(201)이 구성되며 내부 일측에 절곡부(220)가 구성되고, 상기 절곡부(220)의 양측에 회전축(230)이 끼움 구성되되 상기 회전축(230)의 내부를 관통하는 관통홈(234) 형성되며 상기 회전축(230)의 하부로 구동모터(232)가 구성되며 상기 회전축(230)과 상기 구동모터(232)를 연결하는 벨트(231)가 구성되는 것이다.
상기 가압부(210)는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절곡장치(200)의 상측에 구성되는 유동부재(212)에 의해 상, 하, 좌, 우로 유동하되 하단부로 가압뭉치(211)가 구성되며 상기 가압뭉치(211)는 상기 판넬(p)의 특성상 정교하게 절곡해야 됨으로써 일 측에 돌출되도록 돌출부가 형성되고, 상기 판넬(p)이 인입 시 상기 가압뭉치(211)의 하단면과 상기 지지판(201)의 상 단면 사이로 상기 판넬(p)이 끼움 고정되며 상기 지지판(201) 또한 상기 가압뭉치(211) 방향의 일 측이 돌출되도록 돌출부가 형성되어 상기 절곡부(220)에 의해 절곡작업을 진행하며 상기 판넬(p)을 절곡 시 압력으로부터 견고하게 고정하게 되는 것이다. 상기 유동부재(212)는 통상의 벨트, 체인 등으로 구성하여 사용 할 수도 있다.
상기 절곡부(220)는 도 3 내지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가압부(210)의 하부 일 측에 구성되되 상부로 상기 판넬(p)과 직접적으로 맞닿으며 절곡하는 절곡뭉치(221)가 일 측에 돌출되게 구성되고, 상기 절곡뭉치(221)의 하부로 유동판(222)과 유동축(223)이 순차적으로 연결 구성되며 양측이 상기 회전축(230)과 결합 고정되는 고정부(224)가 구성되어 회전하게 되는 것이다.
상기 고정부(224)는 도 6 또는 도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절곡부(220)의 전체적인 회전을 담당하는 구성요소로 양측에 상기 회전축(230)이 끼움 고정되어 있어 상기 회전축(230)의 회전에 의해 회전하며 절곡할 수 있도록 구성되며 작업자가 필요에 따라 다각도 절곡을 하고자 할 때 간편한 조작으로 용이하게 절곡할 수 있고, 종래에 있어 절곡작업을 할 때 수직, 수평작업 이외에는 반복 작업으로 완성해왔던 작업을 편리하게 작업할 수 있는 것이다.
상기 절곡뭉치(221)의 하부로 순차적으로 구성되는 상기 유동판(222)과 상기 유동축(223)은 도 7 또는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고정부(224)가 상기 회전축(230)에 의해 회전하며 고정이 되면 상기 유동축(223)이 유압에 의해 전, 후로 유동하도록 구성되고, 상기 유동판(222)은 상기 유동축(223)에 연결 구성되어 있어 유동축(223)의 유동과 동시에 같이 전, 후로 유동하고, 상기 판넬(p)의 절곡을 용의하도록 돕게 되는 것으로 상기 유동축(223)과 상기 고정부(224)의 유동에 의해 상기 돌출뭉치(221)가 정교하게 절곡할 위치까지 유동되며 상기 판넬(p)을 절곡하게 되는 것이다.
또한, 상기 돌출뭉치(221)는 상기 지지판(201)과 가압뭉치(211)와 같이 돌출부가 형성되어 용의하게 절곡 할 수 있도록 구성되는 것이다.
상기 회전축(230)은 도 2 내지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절곡부(220)의 양측에 끼움 구성되되 내부로 관통홈(234)이 형성되고, 하부로 구동모터(232)가 구성되되 상기 회전축(230)과 구동모터(232)를 연결하는 벨트(231)가 구성되는 것이다. 상기 회전축(230)은 구동모터(232)가 구동되면 벨트(231)로 상호 연결되어 있어 회전을 하게 되며 상기 절곡부(220)가 입인 된 판넬(p)을 다각도에서 필요에 따라 절곡할 수 있게 되는 것이다. 상기 회전축(230)과 구동모터(232)를 연결하는 벨트는 통상의 체인, 연결부재 등으로 구성할 수도 있다.
상기 관통홈(234)은 통상의 절곡장치들의 각각의 구성요소들을 연결하는 전선 및 유압호스 등이 내부로 구성됨에 따라 전선 및 유압호스의 파손을 방지 할 수 있게 되는 효율적인 이점을 갖게 되는 것이다.
여기서, 상기 컨베이어(100)에 의해 이송되는 판넬(p)이 절곡장치로 인입되기 전 무게로 인해 하부로 낙하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도 1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절곡장치(200)의 일 측 단부에 상, 하로 유동하는 브러쉬(240)가 구성되어 상기 컨베이어(100)와 상기 절곡장치(200) 사이에 형성된 공간부로 상기 판넬(p)이 떨어지지 않고, 판넬(p)을 감지하면 상기 지지판(201)의 높이와 동일하게 상부로 이격되고, 판넬(p)의 끝부가 지나가고 나면 다시 하부로 이격됨으로써 상기 절곡장치(200)로 인입되어 절곡작업을 할 수 있게 되는 것이다.
통상의 절곡장치는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위로절곡의 하나단계로서 발전하지 못한 방법으로 사용함에 있어 불편이 많았으며 여러 형태로 절곡할 수 없었다. 또한, 절곡한 후 재차 절곡하기 위한 시간이 많아 소요됨에 따라 용의하지 못한 문제점이 있었다.
본 발명에서는 도 10 내지 11에 도시된 바와 같이 통상 절곡장치의 위로절곡도 가능하며 상기한 바와 같이 구성됨으로서 판넬(p)의 끝부로 아래로 절곡되는 아래로 절곡, 판넬(p)의 끝부가 고리형상으로 걸림 할 수 있는 형상의 끝단 접기로 2가지 유형의 기본절곡을 할 수가 있게 되는 것이다. 일반적인 절곡기로도 제작이 가능한 위로절곡과 본 발명으로 제작이 가능한 아래로 절곡, 끝단 접기 절곡이 가능함에 따라 종래의 절곡장치로 만들기 어려웠던 형상을 쉽게 응용하여 신속하고 정확하게 연속적으로 다양한 형상으로 절곡이 가능하도록 구성되는 것이다.
전체적으로 본 발명의 작동을 살펴보면 도 1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전 공정에서 이송되어 상기 컨베이어(100)로 인입하게 된다. 상기 컨베이어(100)는 이송된 판넬(p)이 내부에 구성되는 롤러 및 이송벨트에 의해 이송되며 상기 절곡장치(200)로 인입되기 전에 상기 브러쉬(240)가 상부로 이격하게 되며 상기 판넬(p)을 지지하게 되고, 상기 절곡장치(200)로 인입된 후 가압부(210)에 의해 견고하게 고정되며 절곡부(220)가 수직, 수평뿐만 아니라 회전하며 다각도로 유동하며 절곡작업을 진행하게 되는 것이다.
여기서, 통상 종래의 절곡장치는 순차적으로 진행되어 가압부에 의해 고정되어 절곡 후 배출 되었었다. 본 발명에서는 종래의 절곡장치에서도 절곡이 가능한 위로절곡과 더불어 아래로 절곡, 끝단 접기 절곡작업을 할 수 있게 되고, 기본절곡을 응용하여 2차절곡, 3차절곡, 4차절곡, 5차절곡 등 연속적으로 절곡이 가능한데, 1차적으로 절곡 후 절곡된 판넬(p)과 부딪히지 않도록 절곡부(220)가 일측방향으로 유동하고 유동 후 재차 원래 위치로 회전되어 2차절곡을 할 수 있도록 위치하여 회전절곡을 하게 되는 것이다.
절곡부(220)가 연속적으로 절곡 작업을 진행하며 수치제어화 하여 기존의 단순일차 절곡기로서는 작업이 불가능한 제품들을 각절곡의 변위(거리)와 절곡의 각도를 제어하여 다양한 형상의 절곡 판넬(p) 제품을 연속 자동 생산 할 수 있도록 한 것이다. 이로써 작업자는 원하는 형상을 용의하게 생산 가능한 것이다.
본 발명은 도 14 내지 도 28에 도시한 바와 같이 컨베이어(100)와 절곡장치(200)와 상기 절곡장치(200)에서 절곡작업 후 이송하는 컨베이어(100?)를 구성할 수 있다.
판넬의 이송을 담당하는 컨베이어가 구성되고, 상기 컨베이어에 의해 인입되는 판넬을 고정하는 가압부와 상기 가압부의 하부로 구성되되 구동에 의해 절곡하는 절곡부를 포함하는 절곡장치로 구성되는 판넬 절곡장치에 있어서,
상기 가압부(210)는 상기 절곡장치(200)의 상부로 벨트에 의해 유동하는 유동부재(212)가 구성되고, 상기 유동부재(212)에 의해 상, 하, 좌, 우로 유동하며 하단부로 가압뭉치(211)가 구성되되 상기 가압뭉치(211)는 양 측에 돌출되도록 돌출부가 형성되고, 상기 절곡부(220)는 상기 가압부(210)를 중심으로 양측에 각각 구성되되 양측에 회전축(230)이 연결 구성되며 상부로 일 측이 돌출되는 절곡뭉치(221)가 구성되고, 상기 회전축(230)이 구동모터(232)에 의해 구동하며 수직, 수평, 회전절곡 되는 것이다.
상기 절곡부(220)는 일 측에 절곡뭉치(221)가 구성된 유동판(222)이 유동축(223)과 연결되고, 상기 유동축(223)의 일 측에 고정부(224)가 연결 구성되는 것이바람직하고, 상기 절곡장치(200)를 중심으로 판넬(p)을 이송, 배출하는 컨베이어(100, 100?)가 양측으로 구성되는 것이다.
상기 컨베이어(100, 100′)는 도 14 또는 도 1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절곡장치(200)로 인입되기 전에 하나의 컨베이어(100)가 구성 되어 전 공정에서 이송된 판넬(p)이 상기 절곡장치(200)방향으로 이송을 담당하며 모터에 의해 구동된다.
상기 컨베이어(100)에 의해 이송되어 상기 절곡장치(200)로 인입되기 전에 상기 판넬(p)의 무게와 지면으로부터 견고하게 지지할 수 있도록 하부로 지지부가 구성되고, 상기 절곡장치(200)로 인입되어 절곡작업 후 배출되는 상기 판넬(p)을 이송하는 또 하나의 컨베이어(100′)가 구성되는 것이다.
또한, 상기 컨베이어(100, 100′)의 내부로는 상기 판넬(p)이 용이하게 이송되고 무게로 인해 오작동 하지 않도록 통상의 롤러, 벨트 등을 구성하여 사용할 수 도 있다.
상기 절곡장치(200)는 도 16 내지 18을 참고하여 설명하면 상기 컨베이어(100)에 의해 이송되어 인입된 판넬(p)을 절곡 및 배출하는 장치로 중요 구성요소이다.
우선 전체적으로 도 16에 도시된 바와 같이 내부의 상부에 상, 하, 좌, 우로 유동하며 상기 판넬(p)이 상기 컨베이어(100)에 의해 인입 시 흔들리지 않고 절곡작업에 용의하도록 고정하는 가압부(210)가 구성되고, 상기 가압부(210)와 상호 대응하며 하부로 지지판(201)이 구성되며 내부 양측에 절곡부(220)가 구성되고, 상기 절곡부(220)의 양측에 회전축(230)이 끼움 구성되되 내부를 관통하는 관통홈(234)이 형성되며 상기 회전축(230)의 하부로 구동모터(232)가 구성되며 상기 회전축(230)과 상기 구동모터(232)를 연결하는 벨트(231)가 구성되는 것이다.
상기 가압부(210)는 도 1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측에 구성되는 유동부재(212)에 의해 상, 하, 좌, 우로 유동하되 하단부로 가압뭉치(211)가 구성되며 상기 가압뭉치(211)는 상기 판넬(p)의 특성상 정교하게 절곡해야 됨으로써 양측에 돌출되도록 돌출부가 형성되고, 상기 판넬(p)이 인입 시 상기 가압뭉치(211)의 하단면과 상기 지지판(201)의 상단면 사이로 상기 판넬(p)이 끼움 고정되며 상기 지지판(201) 또한 상기 가압뭉치(211) 방향의 일 측이 돌출되도록 돌출부가 형성되어 상기 절곡부(220)에 의해 절곡작업을 진행하며 상기 판넬(p)을 절곡 시 압력으로부터 견고하게 고정하게 되는 것이다. 상기 유동부재(212)는 통상의 벨트, 체인 등으로 적용하여 사용 할 수 도 있다.
상기 절곡부(220)는 도 1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가압부(210)의 하부로 양측에 구성되되 상부로 상기 판넬(p)과 직접적으로 맞닿으며 절곡하는 절곡뭉치(221)가 양측에 돌출되게 형성되고, 상기 절곡뭉치(221)의 하부로 유동판(222)과 유동축(223)이 순차적으로 연결구성 되며 양측이 상기 회전축(230)과 결합 고정되는 고정부(224)가 구성되어 회전하게 되는 것이다.
상기 고정부(224)는 상기 절곡부(220)의 전체적인 회전을 담당하는 구성요소로 양측에 상기 회전축(230)이 끼움 고정되어 있어 상기 회전축(230)의 회전에 의해 회전하며 절곡할 수 있도록 구성되며 작업자가 필요에 따라 다각도 절곡을 하고자 할 때 간편한 조작으로 용이하게 절곡할 수 있고, 종래에 있어 절곡작업을 할 때 수직, 수평작업 이외에는 반복 작업으로 완성해왔던 작업을 편리하게 작업할 수 있는 것이다.
상기 절곡뭉치(221)의 하부로 순차적으로 구성되는 상기 유동판(222)과 상기 유동축(223)은 도 1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고정부(224)가 상기 회전축(230)에 의해 회전하며 고정이 되면 상기 유동축(223)이 유압에 의해 전, 후로 유동하도록 구성되고, 상기 유동판(222)은 상기 유동축(223)에 연결 구성되어 있어 유동축(223)의 유동과 동시에 같이 유동하고, 상기 판넬(p)의 절곡을 용의하도록 돕게 되는 것으로 상기 유동축(223)과 상기 고정부(224)의 유동에 의해 상기 돌출뭉치(221)가 정교하게 절곡할 위치까지 유동되며 상기 판넬(p)을 절곡하게 되는 것이다.
또한, 상기 돌출뭉치(221)는 상기 지지판(201)과 가압뭉치(211)와 같이 돌출부가 형성되어 용의하게 절곡 할 수 있도록 구성되는 것이다.
또한, 상기 절곡부(220)는 상기 판넬(p)의 일 측을 먼저 절곡 한 후 컨베어에 의해 이송되어 타 측을 절곡 할 수 있어 종래에 일 측을 절곡 후 완전히 배출 하여 재차 인입시켜 절곡을 하여 작업시간이 오래 걸렸지만 본 발명에서는 일 측과 타 측을 용의하게 절곡할 수 있어 작업시간을 단축시킬 수 있고 작업효율성이 매우 뛰어나며 원감절감을 할 수 있으며 판넬(p)의 일 측을 절곡하고 배출시켜 재차 인입 시킨 후 타 측을 절곡하여 완성하는 반복 작업을 해소 하게 되는 것이다.
상기 회전축(230)은 상기 절곡부(220)의 양측에 끼움 구성되되 하부로 적어도 두 개 이상 구동모터(232)가 구성되며 상기 회전축(230)과 상기 구동모터(232)를 연결하는 벨트(231)가 구성되는 것이다. 즉, 상기 회전축(230)은 하나의 구동모터(232)가 구동되면 벨트(231)로 상호 연결되어 있어 회전을 하게 되며 일 측의 절곡부(220)가 입인 된 판넬(p)을 다각도에서 필요에 따라 절곡할 수 있도록 유동시켜 주고, 다른 하나의 구동모터(232)가 구동하게 되면 타 측의 절곡부(220)가 인입된 판넬(p)을 다각도에서 절곡 할 수 있도록 구성되는 것이다. 상기 회전축(230)과 상기 구동모터(232)를 연결하는 벨트는 통상의 체인, 연결부재 등으로 구성할 수도 있다.
상기 관통홈(234)은 통상의 절곡장치들의 각각의 구성요소들을 연결하는 전선 및 유압호스 등이 내부로 구성됨에 따라 전선 및 유압호스의 파손을 방지 할 수 있게 되는 것이다.
여기서, 상기 컨베이어(100)에 의해 이송되는 판넬(p)이 절곡장치로 인입되기 전 무게로 인해 하부로 낙하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도 2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절곡장치(200)의 양측 단부에 상, 하로 유동하는 브러쉬(240)가 구성되어 상기 컨베이어(100)와 상기 절곡장치(200) 사이에 형성된 공간부로 상기 판넬(p)이 떨어지지 않고, 판넬(p)을 감지하면 상기 지지판(201)과 동일한 높이로 상부로 이격되고, 판넬(p)의 끝부가 지나가고 나면 다시 하부로 이격됨으로써 상기 절곡장치(200)로 인입되어 절곡작업을 할 수 있게 되는 것이다.
상기한 바와 같이 컨베이어(100), 절곡장치(200), 컨베이어(100?)로 구성되는 다각도 절곡이 용이한 판넬절곡장치를 사용하게 되면 전 공정에서 이송되어 상기 컨베이어(100)로 인입하게 된다. 상기 컨베이어(100)는 이송된 판넬(p)이 내부에 구성되는 롤러 및 이송벨트에 의해 이송되며 상기 절곡장치(200)로 인입되기 전에 상기 브러쉬(240)가 상부로 이격하게 되며 상기 판넬(p)을 지지하게 된다.
상기 컨베이어(100)에 의해 상기 절곡장치(200)로 인입된 후 지지판(201)에 안착되며 유동부재(212)에 의해 상, 하, 좌, 우로 유동하는 가압부(210)에 의해 견고하게 고정되며 상기 절곡부(220)가 다각도로 유동하며 절곡작업을 진행하게 되는 것이다.
또한, 본 발명에서는 도 19 내지 도 2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종래의 절곡기로는 작업능률이 떨어지고 작업하기 어려운 형상들을 일반적인 절곡장치로 절곡이 가능한 위로절곡과 본 발명의 구성들로 절곡 가능한 아래로 절곡, 끝단 접기로 절곡하여 기본절곡을 이용하여 연속적으로 진행하며 다양한 형상의 절곡 판넬(p) 제품을 연속 자동 생산 할 수 있게 되는 것이다.
다시 말해, 본 발명에서는 연속적으로 진행되는 과정에서 종래의 절곡장치에서 할 수 없었던 부분으로써 1차절곡이 끝난 상태에서 절곡부(220)는 앞서 설명한 바와 같이 판넬(p)과 부딪히지 않도록 유동하여 재차 원래의 위치로 돌아가게 되고, 이때 가압부(200)가 상측으로 유동하며 판넬(p)의 가압이 자동적으로 풀리게 되며 상기 판넬(p)은 컨베이어(100)에 의해 2차절곡 할 부분까지 유동하게 된 후 재차 상기 가압부(200)가 가압한 뒤에 절곡부(200)에 의해 2차 절곡이 되는 것이다.
2차절곡 후에 절곡된 판넬(p)의 타 측을 절곡 시에는 종래에 완전히 꺼내어 절곡을 하였지만 본 발명은 양측으로 절곡부(200)가 구성되어 있어 불필요한 반복 작업을 할 필요 없이 상기 절곡부(200)에 의해 동일한 방법으로 타 측의 판넬(p)을 절곡하게 되는 것이다.
이러한 반복 작업을 진행하게 되면 도 25에 도시된 바와 같이 다양한 형상의 판넬을 만들 수 있게 되며 통상 사용되는 방화문 등을 제작 가능하게 되는 것이다.
또한, 상기 절곡장치(200)에서 절곡작업이 끝이 난 후 배출하는 판넬(p)의 이송을 담당 할 수 있도록 컨베이어(100?)가 구성되어 이송되는 것이다.
상기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의 다각도 절곡이 용이한 판넬절곡장치에 따른 사용 설명을 하면 다음과 같다.
통상적으로 절곡장치에 의해 판넬(p)이 절곡되는데 상기 판넬(p)은 도어판넬, 문자판넬, 유리섬유 판넬, 금속판넬, 건축용 판넬 등이 있고, 상기한 판넬들은 다양한 특성 및 특징과 기능들을 가지고 있으며 절곡장치에 의해 절곡되어 제작되어 여러 방면에서 많이 사용되어 오고 있다.
상기한 판넬(p)들을 절곡하는 과정을 순차적으로 설명하면 도 28에 도시된 봐와 같이 절곡장치(200)로 절곡하기 전에 판넬(p)은 컨베이어(100)에 의해 상기 절곡장치(200)로 이송된다. 컨베이어(100)에서 절곡장치(200)로 이송되기 전 상기 컨베이어(100)와 상기 절곡장치(200) 사이에 공간부가 형성되어 있는데 이때 브러쉬(240)는 판넬(p)이 지면으로 떨어지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상부로 지지판(201)의 높이와 동일한 선상까지 이격되어 상기 판넬(p)이 절곡장치(200)로 인입되는 것이다.
여기서, 상기 절곡장치(200)로 인입된 판넬(p)은 내부의 가압부(210)가 상기 지지판(201)에 안착된 판넬(p)을 가압하여 견고하게 고정하게 되며 하부로 구성되는 수직, 수평, 회전이 가능한 절곡부(220)에 의해 필요에 따라 선택적으로 다각도로 절곡을 하게 되며 상기 판넬(p)의 일 측 끝부의 절곡작업이 끝이 나면 인입된 반대 방향으로 컨베이어(100, 100?)에 의해 이송되며 상기 판넬(p)의 타 측 끝부를 필요에 따라 재차 절곡부(220)로 절곡작업을 하게 되고, 기본절곡을 이용하여 연속적으로 절곡작업을 진행하며 수치제어화 하여 각절곡의 변위와 절곡의 각도를 제어하여 다양한 형상의 판넬 제품을 연속 자동 생산 할 수 있으며 상기 절곡장치(200)에 의해 배출되며 컨베이어(100)의 타 측에 구성되는 컨베이어(100?)에 의해 이송되어 다음 공정으로 이송 및 적재가 가능하게 되는 것이다.
상기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다각도 절곡이 용이한 판넬 절곡장치를 사용하여 절곡을 하게 되면 컨베이어(100)에서 이송된 판넬(p)이 절곡장치로 인입되기 전에 공간부 사이로 브러쉬(240)가 구성되어 상기 판넬(p)의 무게로 인해 지면으로 낙하되는 것을 방지를 할 수 있고, 무엇보다 인입된 상기 판넬(p)을 절곡할 때 수직 절곡뿐만 아니라 수평, 회전을 하며 다각도에서 절곡작업 및 접힘 작업을 할 수 있고, 무엇보다 필요에 따라 판넬(p)을 통상의 기본절곡을 이용하여 연속적으로 진행하며 수치제어화 하여 각절곡의 변위(거리)와 절곡의 각도를 제어하여 다양한 형상 절곡 판넬 제품을 연속 자동 생산 할 수 있게 됨으로써 작업효율성을 높이며 상기 절곡장치(200)에서 절곡된 판넬(p)이 다음 공정으로 이송될 수 있도록 컨베이어(100)의 타 측으로 컨베이어(100?)를 추가적으로 구성하여 사람의 인력으로 행해오던 작업을 자동화시킴으로써 편리성이 극대화 되며 경제적 효율성이 매우 우수한 발명이라 하겠다.
100, 100′ : 컨베이어 200 : 절곡장치 201 : 지지판
210 : 가압부 211 : 가압뭉치 212 : 유동부재
220 : 절곡부 221 : 절곡뭉치 222 : 유동판
223 : 유동축 224 : 고정부 230 : 회전축
231 : 벨트 232 : 구동모터 234 : 관통홈
240 : 브러쉬 p : 판넬

Claims (5)

  1. 판넬의 이송을 담당하는 컨베이어가 구성되고, 상기 컨베이어에 의해 인입되는 판넬을 고정하는 가압부와 상기 가압부의 하부로 구성되되 모터의 구동에 의해 절곡하는 절곡부를 포함하는 절곡장치로 구성되는 판넬 절곡장치에 있어서,
    상기 가압부(210)는 상기 절곡장치(200)의 상부로 벨트에 의해 유동하는 유동부재(212)가 구성되고, 상기 유동부재(212)에 의해 상, 하, 좌, 우로 유동하며 하단부로 가압뭉치(211)가 구성되되 상기 가압뭉치(211)는 일 측에 돌출되도록 돌출부가 형성되고,
    상기 절곡부(220)는 상기 가압부(210)의 하부 일 측에 구성되되 양측에 회전축(230)이 연결 구성되며 상부로 일 측이 돌출되는 절곡뭉치(221)가 구성되고, 상기 회전축(230)이 구동모터(232)에 의해 구동하며 수직, 수평, 회전절곡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각도 절곡이 용의한 판넬절곡장치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절곡부(220)는 일 측에 절곡뭉치(221)가 구성된 유동판(222)이 유동축(223)과 연결되고, 상기 유동축(223)의 일 측에 고정부(224)가 연결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각도 절곡이 용이한 판넬 절곡장치
  3. 판넬의 이송을 담당하는 컨베이어가 구성되고, 상기 컨베이어에 의해 인입되는 판넬을 고정하는 가압부와 상기 가압부의 하부로 구성되되 구동에 의해 절곡하는 절곡부를 포함하는 절곡장치로 구성되는 판넬절곡장치에 있어서,
    상기 가압부(210)는 상기 절곡장치(200)의 상부로 벨트에 의해 유동하는 유동부재(212)가 구성되고, 상기 유동부재(212)에 의해 상, 하, 좌, 우로 유동하며 하단부로 가압뭉치(211)가 구성되되 상기 가압뭉치(211)는 양 측에 돌출되도록 돌출부가 형성되고,
    상기 절곡부(220)는 상기 가압부(210)를 중심으로 양측에 각각 구성되되 양측에 회전축(230)이 연결 구성되며 상부로 일 측이 돌출되는 절곡뭉치(221)가 구성되고, 상기 회전축(230)이 구동모터(232)에 의해 구동하며 수직, 수평, 회전절곡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각도 절곡이 용의한 판넬절곡장치
  4. 제 3항에 있어서,
    상기 절곡부(220)는 일 측에 절곡뭉치(221)가 구성된 유동판(222)이 유동축(223)과 연결되고, 상기 유동축(223)의 일 측에 고정부(224)가 연결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각도 절곡이 용이한 판넬 절곡장치
  5. 제 3항에 있어서,
    상기 절곡장치(200)를 중심으로 판넬(p)을 이송, 배출하는 컨베이어(100, 100?)가 양측으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각도 절곡이 용이한 판넬 절곡장치
KR1020120012021A 2012-02-06 2012-02-06 다각도 절곡이 용이한 판넬 절곡장치 KR20130090697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012021A KR20130090697A (ko) 2012-02-06 2012-02-06 다각도 절곡이 용이한 판넬 절곡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012021A KR20130090697A (ko) 2012-02-06 2012-02-06 다각도 절곡이 용이한 판넬 절곡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30090697A true KR20130090697A (ko) 2013-08-14

Family

ID=4921623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20012021A KR20130090697A (ko) 2012-02-06 2012-02-06 다각도 절곡이 용이한 판넬 절곡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30090697A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7855389A (zh) * 2017-11-06 2018-03-30 珠海市梅木自动化科技有限公司 一种折弯装置
KR102287940B1 (ko) 2021-02-22 2021-08-06 이성준 판넬 절곡 장치
CN116984435A (zh) * 2023-09-14 2023-11-03 广东诺米家居智能科技有限公司 一种衣柜五金件弯折装置及其弯折方法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7855389A (zh) * 2017-11-06 2018-03-30 珠海市梅木自动化科技有限公司 一种折弯装置
KR102287940B1 (ko) 2021-02-22 2021-08-06 이성준 판넬 절곡 장치
CN116984435A (zh) * 2023-09-14 2023-11-03 广东诺米家居智能科技有限公司 一种衣柜五金件弯折装置及其弯折方法
CN116984435B (zh) * 2023-09-14 2024-03-15 广东诺米家居智能科技有限公司 一种衣柜五金件弯折装置及其弯折方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03056739B (zh) 工件去毛刺设备
JP6877588B2 (ja) 金属シート用曲げ加工装置
CN105537969A (zh) 马达定子端头铜线铆合熔接自动线
KR20130090697A (ko) 다각도 절곡이 용이한 판넬 절곡장치
CN104009365B (zh) 换向片自动插片装配机
US20070232205A1 (en) Machine for Finishing an Object Such as a Profiled Element, a Panel, or Suchlike
CN105058858A (zh) 高速全自动胶盒粘盒机
CN103203629A (zh) 金属管材精定尺装置及其加工方法
CN105946263A (zh) 一种手机外壳成型加工一体机
ITBO990289A1 (it) Apparecchiatura per la realizzazione di cornici rettangolari .
BE1023128B1 (nl) Geautomatiseerde afkantpers of plooibank voor het plooien van metalen plaatmateriaal en werkwijze voor het plooien van metalen plaatmateriaal met zulke geautomatiseerde afkantpers of plooibank
CN109514230A (zh) 一种手动剃须刀全自动组装设备及其控制方法
CN104647164B (zh) 一种水晶坯件自动磨抛系统
CN104416407B (zh) 饰件上料设备
CN203983701U (zh) 换向片自动插片装配机
US11633776B2 (en) Apparatus and method for working bars
KR102096478B1 (ko) 미성형 포장박스 묶음 해체시스템
IT201800020092A1 (it) Impianto per squadrare, bordare e forare pezzi in legno e simili, e metodo di funzionamento relativo.
CN203748788U (zh) 一种首饰的加工设备
ITMI950082A1 (it) Macchina rettificatrice per molle a compressione ad elevata versatilita' di impiego
CN110355730B (zh) 一种拉紧器的手柄投入设备
CN208699956U (zh) 一种翻转上料机
CN107414457B (zh) 全自动压装检测流水线
CN205870965U (zh) 多模变量硫化机
CN213536136U (zh) 一种送料机器人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