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30090285A - 먹이생물 배양을 통한 능성어류의 종묘생산방법 - Google Patents

먹이생물 배양을 통한 능성어류의 종묘생산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30090285A
KR20130090285A KR1020120011486A KR20120011486A KR20130090285A KR 20130090285 A KR20130090285 A KR 20130090285A KR 1020120011486 A KR1020120011486 A KR 1020120011486A KR 20120011486 A KR20120011486 A KR 20120011486A KR 20130090285 A KR20130090285 A KR 20130090285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eawater
larvae
food
cultured
cultur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2001148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327669B1 (ko
Inventor
윤락진
Original Assignee
윤락진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윤락진 filed Critical 윤락진
Priority to KR102012001148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327669B1/ko
Publication of KR2013009028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30090285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32766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327669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KANIMAL HUSBANDRY; AVICULTURE; APICULTURE; PISCICULTURE; FISHING; REARING OR BREEDING ANIM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NEW BREEDS OF ANIMALS
    • A01K61/00Culture of aquatic animals
    • A01K61/10Culture of aquatic animals of fish
    • A01K61/17Hatching, e.g. incubator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KANIMAL HUSBANDRY; AVICULTURE; APICULTURE; PISCICULTURE; FISHING; REARING OR BREEDING ANIM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NEW BREEDS OF ANIMALS
    • A01K63/00Receptacles for live fish, e.g. aquaria; Terraria
    • A01K63/04Arrangements for treating water specially adapted to receptacles for live fish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KFODDER
    • A23K10/00Animal feeding-stuffs
    • A23K10/10Animal feeding-stuffs obtained by microbiological or biochemical processes
    • A23K10/16Addition of microorganisms or extracts thereof, e.g. single-cell proteins, to feeding-stuff compositions
    • A23K10/18Addition of microorganisms or extracts thereof, e.g. single-cell proteins, to feeding-stuff compositions of live microorganism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KFODDER
    • A23K50/00Feeding-stuff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animals
    • A23K50/80Feeding-stuff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animals for aquatic animals, e.g. fish, crustaceans or mollusc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ATECHNOLOGIES FOR ADAPTATION TO CLIMATE CHANGE
    • Y02A40/00Adaptation technologies in agriculture, forestry, livestock or agroalimentary production
    • Y02A40/80Adaptation technologies in agriculture, forestry, livestock or agroalimentary production in fisheries management
    • Y02A40/81Aquaculture, e.g. of fish

Landscapes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Fodder In General (AREA)
  • Feed For Specific Animals (AREA)
  • Farming Of Fish And Shellfish (AREA)
  • Environmental Sciences (AREA)
  • Marine Sciences & Fisheries (AREA)
  • Zoology (AREA)
  • Animal Husbandry (AREA)
  • Biodiversity & Conservation Biology (AREA)

Abstract

능성어류 중 가장 구경이 작고 영양요구량이 높아 생존율이 극히 저조한 붉바리의 부화자어가 알에서 부화하여 난황을 흡수하고 난 후 초기 먹이생물을 섭이하기 시작하는 기간 동안의 초기 먹이생물을 영양배지를 통해 선별 배양하여 먹이로 공급함으로서 부화자어기의 폐사율을 감소시켜 대량종묘 생산이 가능하도록 하였다. 이로부터 능성어류의 부화자어기의 생존율을 높임으로서 종묘로서 대량 생산이 가능하여 유류비와 어분 가격, 인건비 상승 등으로 어려움을 겪고 있는 양식업계에 고부가 양식 어종 기술개발을 촉진하는 요소로 작용할 것이다.

Description

먹이생물 배양을 통한 능성어류의 종묘생산방법{Seed production method of sea bass species through a food organism incubation.}
능성어류로 대표되는 능성어, 다금바리, 붉바리 등의 어류는 알에서 갓 부화된 자어의 구경이 작아서 통상적으로 부화자어(仔魚ㆍ알에서 부화해 먹이를 먹기 시작하기 전 단계의 어린 물고기)에게 공급되는 로티퍼 등의 먹이생물을 먹을 수 없다. 이에 따라 부화자어에서 자어로 성숙하는 기간 동안 난황을 흡수하고 난 후, 자어의 구경이 작아 먹이섭취가 어려워 아사에 의한 폐사율이 높아 고가의 품종임에도 불구하고 종묘 생산에 어려움을 겪어왔다.
이에 자연 소독한 해수와 살균수를 혼합한 사육수에 배지 배양된 먹이생물을 접종 배양하여 능성어류의 난을 함께 양성함으로서 알에서 산란된 부화자어가 먹이생물을 충분히 섭이하도록 하여 로티퍼도 섭이가 가능할 정도의 크기까지 성장시켜 부화자어의 초기 먹이에 의한 감모율을 줄여 생존율을 향상시킴과 동시에 능성어류의 고질적인 기형 발생률도 획기적으로 감소시켜 대량으로 종묘를 생산할 수 있도록 한 방법에 관한 것이다.
능성어는 능어목(目), 농어과(科), 우레기속(屬)의 해산어로 우리나라에서 이 속에 포함되는 물고기로는 우럭바리, 구실우럭, 별우럭, 참바리, 점줄우럭, 종대우럭, 닷줄바리, 붉바리, 도도바리, 알락우럭, 자바리, 홍바리 등 모두 12종이 알려져 있다. 이들은 모두 "-우럭", "-바리"로 불리며 이 중 가장 흔하게 보이는 대표적인 어류가 능성어이다.
체형은 긴 타원형으로 등 및 뒷지느러미 앞부분에 강하고 두꺼운 가시를 가지며 양턱에는 뾰족한 견치상의 잇빨을 가진다. 등쪽과 배쪽은 활 모양이며 머리와 입이 크고 비늘은 작으며 피부에 묻혀 있는데 매끄러운 감을 준다. 어릴 때 2㎝ 크기 짜리는 다른 종과 마찬가지로 등지느러미의 제2가시는 매우 길다. 또한 능성어는 다른종보다 두부에 있는 비공에서 뒤쪽이 앞쪽보다 훨씬 크며 양눈 사이는 넒은 특징이 있다.
체색은 붉은 감이 있는 회갈색이지만 약 30㎝ 크기까지의 어린것에는 체측에 7개의 흑갈색 수직무늬가 있는데 6번째 무늬는 2개로 나누어진다. 하지만 노성어가 되면 무늬는 엷어져 흑색화되며 꼬리지느러미 끝에는 백색의 띠가 형성된 특징이 있다. 보통 능성어 무리는 어린것이나 성어에 있어서도 무늬와 체형이 변화하며 또한 체형에도 약간의 차이가 있기 때문에 혼돈하기 쉬운 종이 많으며 일반적으로 깊은 곳에 사는 종은 동일종이라도 아름다운 홍색을 많이 띠고 얕은 곳에 사는 종은 갈색을 많이 띠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어류의 생태에 있어서 연안의 해저에 사는 종은 산란과 먹이활동 또는 수온변화 등에 의하여 큰 이동을 하지 않는 것이 일반적 양상으로 이러한 무리에 능성어도 포함되어 있는데 무엇보다 능성어는 깊은 곳에 살고 몸체가 크다는 것이 특징적이다. 능성어는 보통 50∼60m 깊이의 암초가 있고 해조가 무성한 곳에 서식하며, 어린 것은 연안의 해조가 있는 조수 웅덩이에서도 볼 수 있다. 낮 동안에는 주로 바위 홈에 숨어사는 야행성이며 먹이는 이때 섭취하는데 식성이 좋은 탐식성 물고기로도 유명하다. 먹이로는 전갱이, 고등어의 작은 치어, 오징어, 새우, 게 등 다양하다.
능성어의 대표적인 어종중의 하나인 붉바리는 중국,홍콩,대만,일본 및 동남아시아의 아열대 해역에 서식하는 어종으로 일본 남부와 동중국해의 아열대연안 및 온대해역에 주로 분포하는 고가의 어종이나, 종묘생산 기술이 확립되지 않아 자연산 종묘를 체포하여 축양하는 형태이며 여러 나라에서 기술 개발을 위한 연구가 진행되고 있다. 주 소비처는 중국, 홍콩, 대만 등이며 중국과 홍콩에서는 행운을 가져다 주며 의학적으로 효험이 있는 고기로 인식되어 있고 우리나라에서는 다금바리보다도 더 귀한 대접을 받고 있다.
이러한 능성어류의 양식기술이 확립되지 않은 주요 이유중의 하나는 능성어류로 대표되는 능성어, 다금바리, 붉바리 등의 어류는 알에서 갓 부화된 자어의 구경이 작아서 통상적으로 부화자어의 부화 후 초기먹이로 공급되는 로티퍼 등의 먹이생물을 먹을 수 없다.
이에 따라 부화자어에서 자어로 성숙하는 기간 동안 난황을 흡수하고 난 후, 먹이섭취가 어려워 아사에 의한 폐사율이 높아 고가의 품종임에도 불구하고 종묘 생산에 어려움을 겪어왔다.
붉바리의 종묘생산과 관련한 기존의 연구보고에서도 붉바리의 종묘 생산시 낮은 생존률은 다른 해산어류보다 부화자어기의 입크기가 다른어류보다 현저하게 작은 점에서 기인한다고 보고하고 있다(한국양식학회지, Vol.11 No.4 pp.565~572, 1998.). 즉 자어기의 입크기가 다른 어류의 부화자어에 비해 현저히 작으므로 통상으로 공급되는 먹이생물 로티퍼는 자어기의 붉바리가 먹이생물을 섭취하기 어려워 자연 폐사율이 높아지는 결과로 연결된다.
한국 공개특허공보 제10-2007-0049365호에는 60∼80㎛ 크기의 초소형 윤충을 16∼24℃의 온도조건 및 10∼15‰의 염분조건에서 테트라셀미스 수에시카를 먹이생물로하여 대량 배양시킴으로써, 입과 인후의 크기가 작아 통상적인 먹이생물로는 양식이 불가능했던 부화자어의 양식을 가능토록 하는 것으로, 갑장이 60∼80㎛ 이고 갑폭이 37∼50㎛인 초소형 윤충을 포함하는 배양액을 16∼24℃의 온도조건과 10∼20‰의 염분조건에서, 테트라셀미스 수에시카를 먹이생물로 하여 배양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입이 작은 부화자어의 먹이생물로 유용한 초소형 윤충 및 그 배양방법에 관하여 개시되어있다. 그러나 상기 윤충은 동해안 인근 호수에서 채집된 것을 저 염분의 조건에서 배양하는 것으로 본 발명에서와 같은 해산어의 먹이생물로는 적절하지 않고, 해수에서 배양배지를 통해 선별 배양된 종과는 차이가 있다.
한국양식학회지(Vol.11 No.4 pp.565~572 1998)에는 먹이생물과 수온이 붉바리 자어의 생존에 미치는 영향과 관련하여 자어기 동안의 먹이생물 크기, 수온 및 먹이의 밀도에 따른 자어의 생존률 및 자치어 사육기간 중의 성장관계 등을 조사한 결과를 보고하고 있다. 수온에 따른 자어의 생존률은 29℃까지는 수온이 높을수록 생존률도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먹이의 밀도에 따른 자어의 생존률은 rotifer의 밀도가 ml당 15~20개체에서 가장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S형 rotifer, S형 rotifer 중 작은 개체, L형 rotifer, L형 rotifer 중 작은 개체를 각각 먹이로 하여 자어를 사육한 결과, S형 rotifer 및 S형 rotifer 중 작은 개체를 공급한 경우는 생존이 가능하였으나, L형 rotifer 및 L형 rotifer 중 작은 개체를 공급한 경우는 부화 후 1주일 이내에 모두 사망한 것으로 조사되었다. 6톤 수조에서 부화자어의 수용밀도를 40,000마리로 하여 53일간 사육한 결과, 부화 후 10일까지의 자어 생존률은 6.3%, 총 사육기간 중의 자치어 생존률은 0.2%로 나타났다. 부화후 53일째 치어의 평균 전장은 29.5mm였다라고 보고하고 있다. 또한, 한국양식학회지(Vol.10, No.4, pp.473~483,1997)에는 붉바리 자어의 생존률 향상을 위한 연구의 일환으로써 자어의 주 사망 시기인 부화 직후부터 약 일주일간 자어의 난황흡수 및 먹이와 관련한 생존 특성 등을 조사한 결과를 보고하고 있다. 난황흡수 초기인 부화후 24시간 동안 자어의 난황 및 유구 흡수율은 난황보다는 유구의 경우가 더 높은 것으로 나타나, 난황 및 유구의 흡수 시간은 수온이 높을수록 짧아지는 경향을 보였다. 수온 23~25℃에서 99% 이상의 난황 및 유구가 흡수된 시점은 부화후 각각 84, 96시간이었고, 27℃에서는 각각 72, 84시간, 29~31℃에서는 공히 부화후 60시간으로 나타났다. 난황이 대부분 흡수되고 외부 영양섭취를 시작하는 시기 전후인 부화 후 72~96시간째 자어의 상악장은 0.113~0.114 mm였으며, 자어의 소화관에서 최초로 rotifer 가 발견된 때는 부화후 72시간으로써 99% 이상의 난황을 흡수한 시점이었다. 난황 및 유구를 완전히 흡수한 부화후 96시간에는 전체 자어중 약 33%가 먹이를 섭취한 것으로 나타났다. 첫 먹이 공급시기 지연에 따른 자어의 생존률은 부화후 84시간 이전까지는 첫 먹이공급 시기를 빨리할수록 생존율이 높은 것으로 나타났으나, 부화후 96시간에 첫 먹이를 공급한 경우는 부화후 120시간 째까지 모든 자어가 사망한 것으로 나타났다. 이로부터, 능성어류의 첫먹이는 난황이 소진되기전에 실시해야되고 다만 자어의 구경이 부화 후 72~96시간째 자어의 상악장은 0.113~0.114 mm로서 매우 작아 통상 먹이생물로 공급되는 로티퍼를 섭이할 수 없다고 보고하고 있다. 본 발명에서는 자연 소독한 해수와 자외선 살균한 해수를 혼합한 사육수에 배지 배양된 먹이생물을 접종하여 산란된 알과 함께 배양함으로서 알에서 부화된 부화자어가 먹이생물을 섭이할 수 있도록 관리하여 생존율을 향상시켜 통상의 먹이생물인 로티퍼를 섭이할 수 있도록 하여 종묘를 대량 생산할 수 있도록 한 방법에 관한 것이다.
능성어류 중 가장 구경이 작고 영양요구량이 높아 생존율이 극히 저조한 붉바리의 부화자어가 알에서 부화하여 난황을 흡수하고 난 후 초기 먹이생물을 섭이하기 시작하는 기간 동안 구경의 크기에 맞는 먹이생물이 없어 부화자어의 영양공급이 어려워 폐사함으로서 종묘생산에 어려움이 있었다.
해수에 포함된 초기 먹이생물을 영양배지를 통해 선별 배양하여 먹이로 공급함으로서 부화자어기의 폐사율을 감소시켜 대량종묘 생산이 가능하도록 하였다. 능성어류의 부화자어기 생존율을 높이기 위하여 영양배지를 사용한 먹이생물을 사육수에서 산란된 알과 함께 배양하여 알에서 부화된 능성어류의 초기먹이생물로 이용한다. 이후 일정기간 성육시간을 거쳐 통상의 로티퍼를 배양 생물로 공급하여 성장시켜 생존율을 향상시킨다.
능성어류 중 아가리 지름(구경)이 가장 적고 영양 요구량이 높아 생존율이 극히 저조해 대량 생산에 어려움을 겪고 있는 붉바리 부화자어의 생존율을 높임으로서 종묘의 대량생산이 가능하여 자연산 종묘의 무분별 채포에 의한 자원고갈을 막고 중국, 홍콩, 대만, 일본 및 동남아시아에서 고가에 거래되고 있는 능성어류의 판로를 개척함으로서 유류비와 어분 가격, 인건비 상승, 소비시장 불안정 등으로 어려움을 겪고 있는 수산 양식업계에 양식의 활성화와 어민의 소득증대에 크게 기여할 것이며 고부가 가치 양식품종 기술개발을 촉진하는 요소로 작용할 것이다.
도 1은 능성어류의 일종인 붉바리의 사진이다
도 2는 본발명의 종묘생산방법의 모식도를 나타낸다
도 3은 먹이생물 배양을 통해 배양된 먹이생물의 탈피과정을 나타낸다.
도 4는 먹이생물 배양을 통해 배양된 먹이생물을 나타낸다.
도 5는 모래여과기를 나타낸다.
도 6은 배양된 능성어류의 종묘를 사육하고있는 사육수조를 나타낸다.
본 발명은 발명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a) 해수를 육상의 사육수조로 채수하여 자연 방치하는 단계;
(b) 살균장치를 통해 살균된 해수와 (a)단계의 해수를 혼합하는 단계;
(c) 여과 채수된 해수에 배양시약을 투여하여 먹이생물을 배양하고, 배양된 먹이생물을 (b)단계의 해수에 접종하여 번식시키는 단계;
(d) 성어로부터 알을 채란 수정하여 (c)단계의 배양수에 입식시켜 먹이생물과 함께 양성시키는 단계;
(e) 부화자어가 배양먹이 생물을 섭이하여 로티퍼를 포식할 수 있는 크기로 성장시켜, (d)단계의 배양수에 로티퍼를 접종하여 자어기 먹이로 배양하면서 부화자어를 후기자어로 양성시키는 단계
(f) 사육수조를 무환수식에서 유수식으로 전환하여 자어를 양성하는 단계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능성어류의 종묘생산방법을 제공한다.
더욱 상세하게는
(a)단계의 해수 자연방치 기간은 16~18일이고, (a)~(e)단계의 무환수식의 총 기간은 40~50일인 것을 특징으로 하며, 자연 방치하여 살균된 해수 5~10%와 살균장치를 통해 살균된 해수를 90~95% 혼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c)단계의 배양시약의 조성은 해수 1톤 당 N 28~32중량%, N-NO3 4~7중량%, N-NH4 2~4중량%, N-NH3 20~25중량%, P3O3 13~18중량%, K2O 13~18중량%으로 이루어지는 무기물질 4~6g과, 25~35g의 계분 및 NaNO3 1.5~2.0g, Na2HPO412H2O 0.2~0.3g, Na2SiO3.9H2O 0.15~0.25g, NaHCO3 0.2~0.3, Na2.EDTA 0.2~0.3g의 조성물로 구성된다.
본 발명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상기의 전체적인 공정을 패턴화한 본 발명의 단계별 과정을 실시 예와 함께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1) 해수를 채수하여 사육수조에 저장하여 자연방치 해둔다.
해수는 연안의 자연해수로서 채수펌프를 통해 수심 2m의 해수를 취수하여 모래여과시킨다. 모래여과를 하면 해수와 함께 취수된 해조류, 부유물질 등을 1차적으로 걸러낼 수 있다. 수조에 저장한 해수를 16~18일 이상 방치하면 해수에 포함된 기생충 등이 사멸되어 자연 살균된다. 취수된 해수에는 어류의 양식에 이로운 플랑크톤 뿐만 아니라, 아가미 흡충, 피부흡충, 닻벌레 등의 기생충이 공존한다.
특히 흡충류는 흡충강에 속하는 편형동물로서 몸이 납작하고 척추동물 등에 외부 기생이나 내부 기생을 하기 때문에 숙주인 어류가 수조에 함께 사육되는 경우 숙주에 부착하여 생명을 연장하나 어류 등의 숙주가 없는 경우, 기생하여 양분을 공급받을 수 없으므로 일정기간이 지나면 자연 폐사한다. 통상의 경우 기생충의 자연폐사는 16일 이상이 지나면 폐사하나 적절한 기간은 약 17일 이상 해수를 방치하는 것이 좋다. 이 기간이 지나면 해수에 포함된 흡충 등의 기생충은 자연 사멸하여 해수의 살균이 이루어지게 된다.
자연 사멸된 해수에는 무기물질 영양염류 등이 존재하므로, 식물플랑크톤이 자연적으로 배양되어 새로운 생태계를 형성하게 된다. 배양되는 식물플랑크톤은 주로 키토세라스(Chaetoceros calcitrans), 파블로바 등이 증식된다. 자연해수의 염분농도는 0.20~0.23%, 비중 1.02~1.022정도로 유지한다.
2) 자연 방치하여 기생충이 소멸된 해수와 살균장치를 통해 살균된 해수를 적절한 비율로 혼합하여 배양수로 사용한다.
자연 방치하여 살균된 해수 5~10%와 자외선 살균장치를 통해 살균된 해수를 90~95% 혼합하여 배양수로 사용한다. 살균수의 제조는 자외선살균장치를 통해서 제조될 수 있으나, 다른 생물학적, 화학적 살균방법을 통해서도 살균수를 제조할 수 있다. 자연 방치하여 해충이 살균된 해수와 살균수의 혼합양 조절은 자연해수에 번식된 식물플랑크톤의 농도를 참고하여 50: 50의 비율까지 적절하게 조절이 가능하다. 다만, 사육수 전량을 여과 살균장치에 의해 살균된 해수로 사용하는 것은 영양염류 등의 해수 내에 식물성 플랑크톤 또는 동물 플랑크톤이 생존하지 않기 때문에 먹이 생물배양이 되지 않을 수 있으므로 살균수를 단독으로 사용하는 것은 부적절하며, 자연방치, 살균된 해수와 여과장치를 통한 살균수를 혼합하여 사용하는 것이 다음 단계의 먹이생물배양에 효과가 있다.
3) 해수를 취수하여 배양시약에 접종하여 먹이생물을 선별적으로 배양한다.
자연 방치된 해수와는 별도로 취수펌프로부터 취수된 해수를 모래여과시켜 배양시약을 접종한다. 취수된 자연 상태의 해수에는 서로 다른 종류의 동, 식물 플랑크톤 및 유기, 무기물질이 혼재되어 있다. 따라서 능성어의 부화자어의 먹이가 되는 특정한 먹이생물을 대량으로 번식시키기 위해서는 특정의 배양배지를 접종함으로서 특정의 먹이생물이 대량으로 배양되도록 하여야 한다.
먹이생물을 선별적으로 배양하기 위해서 사용된 배지는 배양시약에 사용되는 시약을 배합하여 제작하였으며, 배양시약의 조성은 해수 1톤 당 NaNO3 1.5~2.0g, Na2HPO412H2O 0.2~0.3g, Na2SiO3.9H2O 0.15~0.25g, NaHCO3 0.2~0.3, Na2.EDTA 0.2~0.3g의 배양시약에 4~6g의 무기물과 25~35g의 계분으로 구성되며, 무기물은 N 28~32중량%, N-NO3 4~7중량%, N-NH4 2~4중량%, N-NH3 20~25중량%, P3O3 13~18중량%, K2O 13~18중량%로 구성된다.
먹이생물을 배양하기 위해서는 배양시약의 조성만으로도 배양이 가능하나, 무기물과 계분을 더 포함함으로서 먹이생물의 먹이가 되는 키토세라스(Chaetoceros calcitrans), 파블로바 등의 식물플랑크톤의 번식을 위한 양분으로 활용되어 배양수 자체가 작은 생태계의 먹이사슬을 형성하게 된다.
제조된 배양시약을 해수에 투여한 후 해수를 5~7일간 수온 22~25도에서 배양하였다. 배양시약을 해수에 접종하면 시약성분을 양분으로 하는 먹이생물이 대량으로 번식하게 된다. 배양시약의 성분함량은 상기 개시된 성분 함량을 기준으로 사용되고, 함량성분의 범위를 벗어나는 경우 목적으로 하는 먹이생물의 배양이 작거나 다른 종의 생물과 혼합되어 배양될 수 있다.
4) 배양된 먹이생물을 배양수에 접종한다.
배양시약을 통해 배지에서 배양된 먹이생물은 자연 살균해수와 자외선살균해수가 혼합된 사육수에 접종시켜 대량으로 배양시킨다. 배양된 먹이생물은 배양수에서 자연번식된 식물성플랑크톤을 먹이로 하여 대량 증식됨으로서 알에서 부화된 능성어류의 부화자어가 초기먹이로 사용될 수 있는 환경이 조성된다.
배양된 먹이생물은 도 3과 4에서 나타낸 바와 같이 피갑은 원통형이고, 후반부위는 원추형으로, 구연은 다소 거칠게 보이고 후단은 뾰족한 특징을 갖는다. 먹이생물의 초창기의 생활은 매우 거칠고 이물질이 부착되어 있는 외부를 감싸는 벽안에서 개체가 성장하며 크기는 길이 50~70 ㎛, 구경 35~45 ㎛이다. 성장한 개체는 개체를 둘러싼 외벽으로부터 탈피하여 미끈한 개체로 생활함으로서 능성어의 초기먹이로 이용된다.
배양된 먹이생물을 동정한 결과, Phylum Protozoa 원생동물문, Subphylum Oligotrichida 유모충아문, Suborder Tintinnina 유종아목, Family Tintinnididae 유종충과, Genus Tintinnopsis, Tintinnopsis beroidea Stein, 1867 인 것으로 동정되었고(Chihara M. and M. Murano 1997. An illustrated guide to marine Plankton in Japan. 1574 pp. Tokai University press.), 우리나라 연안 및 일본 각지 연안에 분포하며, 우리나라 국명은 아직 없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5) 배양수의 수질관리
배양수의 수질관리는 산소, 암모니아, 수소 이온농도(ph)를 중심으로 관리하였다. 산소는 사육 생물의 호흡, 사육 생물의 배설물이나 유기물을 분해하는 미생물에 의해 소비되어 지며 용존산소를 환수식보다 훨씬 많은 13ppm전후를 유지해 주는 것이 좋으며 공급된 산소의 대다수는 미생물에 의해 소비되어 진다. 용존 산소가 충분 할수록 해가 없는 이온화된 암모니아의 비율은 높아지며 황화수소에 대한 피해도 줄 일 수 있다.
암모니아는 자체 정화량보다 오염 부하량이 클 때 나타나는 것으로 오염 부하량이 클 경우 가장 먼저 오염원을 제거하거나 줄여야 하며 극단적으로는 물갈이를 통해 암모니아 농도를 희석시키거나 분조에 의해 사육 생물의 밀도를 적절히 줄여 주어야 한다. 암모니아와 아질산의 독성은 수소 이온 농도(PH)에 따라 크게 달라진다. 암모니아는 PH가 높을수록 독성이 강하고 아질산은 PH가 낮을수록 독성이 강하므로, 해산어 양식시에는 암모니아 독성이 문제가 되고 내수면 어류 양식시에는 아질산에 의한 피해가 발생하기 쉽다.
PH의 상승 시킬때는 탄산칼슘을 사용하였고 PH를 낮출 ??에는 초산염을 사용하였다. 같은 농도의 암모니아는 PH가 7에서 8로 높아질 때 10배의 독성을 나타내며 반대로 8에서 7로 낮아질 때는 독성이 10/1로 감소하게 되므로 배양수의 수질상황에 따라 적절히 대처하여야한다.
이와 같은 수질관리를 통해 배양수는 사육 20일 후 PH는 8.2에서 7.0으로 암모니아의 총량은 1,0ppm이였으며 이온화 되지 않은 암모니아는 0.126ppm으로 관리되었다. 통상 사육 생물의 성장을 저해하는 암모니아 농도는 0.5ppm인 것을 고려하면 매우 낮은 수치로 관리된 것을 알 수 있다.
6) 성어로부터의 채란 및 사육
종묘생산에 있어 원하는 날에 필요한 만큼의 난을 확보한다는 것은 가장 중요한 일이다. 능성어류 특히 붉바리는 자연산란은 가능하나 적기에 필요한 만큼의 양을 확보하기 위해서는 호르몬 주사가 필요하다.
호르몬 주사는 뇌하수체, 태반성, 혈청성, LH-RH를 사용하였고, LH-RH 와 태반성, LH-RH와 혈청성을 혼합한 투여구에서 좋은 결과를 볼 수 있었다. 산란 초기의 수정률은 90%이상, 산란 후반에는 50%이하의 수정률을 보였다. 비교적 값이 싸고 구입이 간편한 H.C.G도 양호한 결과를 나타내나 내성이 생기기 때문에 가능하면 사용을 피하는 것이 좋고, LH-RH와 혈청성 호르몬을 사용하는 것이 좋다. 붉바리의 경우 산란 습성상 1:1산란이 이루어지기 때문에 숫컷이 너무 많은 경우 숫컷의 경쟁으로 인해 수정률이 낮아지므로 암, 수 비율은 1 : 1.1~1.3의 비율로 맞추는 것이 좋다.
붉바리의 산란기 성어로부터 채란된 난을 수온 22~25의 수온으로 유지한 배양수에 입식시킨다. 알에서 부화된 부화자어는 난황이 소진되는 3일정도가 지나면 배양수에 번식된 먹이생물을 먹고 자라게 된다. 통상 4~6일정도 먹이생물이 배양된 수조에서 사육시키며, 5일정도가 지나면 자어가 성숙되어 통상의 먹이 생물인 로티퍼를 먹을 수 있을 정도의 크기로 성장한다.
7) 로티퍼 투입사육
알에서 부화한 자어가 배양수에서 배양된 먹이생물을 먹고 자어로 성장하게 되면 먹이생물에서 로티퍼로 먹이전환을 해야한다. 통상의 종묘 생산시에는 매일 2~3차례 로리퍼를 급이 하여야하나, 본 발명에 의한 배양수에서는 부화자어가 로리터를 섭이하는 전 기간 중 한번의 급이로 충분하다. 즉, 먹이 생물이 배양된 배양수는 환수를 전혀 하지 않거나 극히 적은 양의 환수만으로 사육하는 방법으로 배양수자체가 Microcosm 즉, 하나의 독립된 미소 생태계로 조성되어있어 사육 생물의 배설물이나 유기물을 미생물에 의해 자체 정화시키는 방법으로, 침전조와 여과조가 필요 없는 순환여과식으로 이루어지기 때문이다.
로티퍼의 접종 밀도는 cc당 10개체이며 로리퍼 급이 시기는 부화자어가 배양 먹이 생물을 섭이하여 5~7일 성장한 후 급이하여야 하며, 급이된 로리퍼는 배양 클로렐라를 먹이로 부화조에서 자체 증식되며 늘어난 개체수 만큼 매일 클로렐라 양을 늘려주어야 한다.
사육 개시 후 18~20일경이 되면 로리퍼 개체수는 cc당 60~80개체로 증식되고 20~25일 후 부화자어의 왕성한 식욕으로 인해 로리퍼의 개체수는 급격히 줄어든다. 배양수조에서 증식된 로리퍼의 사이즈는 대, 중, 소까지 다양한 크기가 존재하며 배양수조의 자어들은 선택적인 섭이를 하게 됨으로서 높은 생존력을 유지하게 된다. 배양수조에서 능성어류의 무환수 사육기간은 배양수를 제조한 때부터 40~50일 정도 유지하였고, 수온은 붉바리의 경우 적정 사육수온인 25~26℃로 유지하였다.
7) 유수식으로 전환 및 건식사료투입
배양수조에서 사육된 부화자어 및 자어는 배양수를 제조한 시기를 기준으로 40~50일정도가 지나, 자어가 일반 건식사료를 섭이할 정도로 성장하면 무환수 사육에서 유수식으로 전환시켜 일반 건식사료를 투입하여 사육한다.
배양수조는 원래부터 사육수를 여과 순환시키는 펌프 등의 시스템을 설비하고 있으므로 사육수를 환수하지 않는 무환수 시스템에서 유수식으로의 전환은 여과 순환 펌프를 구동하는 것으로 작동이 가능하다.
능성어류는 종묘 생산시 공식 현상이 심한 편이며 공식 현상이 심할수록 도비 개체의 수는 많아지게 된다. 공식 현상은 3cm이후 가장 심하게 나타나며 굴속에 들어가는 습성을 이용해 50mm P.V.C 토막파이프를 투입해 제거가능하다. 체포에 의한 쇼크사를 방지하기 위해 선별은 4cm이후에 하는 것이 좋다.
붉바리의 빨간 체색은 상품의 가치를 결정짓는 중요한 요소로서 배합사료 급이시 고유 색상은 사라지게 되며 상품가치가 하락하게 되므로, 천연 항상화제인 아스타잔틴 투여 50일 후 해결 할 수 있었으며 크릴새우를 병용하여 자연산에 가까운 체색을 만들 수 있다.
8) 먹이생물을 달리한 종묘생산 실시예 비교
종묘배양 실시예를 설명한다. 배양실험은 전라남도 무안의 발명자가 소유한 양식장에서 실시하였다. 통상의 먹이생물로서 로티퍼를 이용한 양식방법과, 본발명에 의한 먹이생물을 이용한 양식방법을 이용하여 능성어류의 종묘생산과정을 동시에 진행하였다.
종묘생산 결과에 의하면 본 발명의 생산 방법으로 능성어류인 붉바리를 종묘를 배양한 결과는 산란된 자어 1000미 중에서 50%이상이 살아남았으며, 먹이생물 단계를 거치지 않은 기존의 통상의 방법으로 부화된 자어에게 로티퍼를 급이한 결과는 자어생존율은 10%에도 미치지 않는 결과를 보였다.
이러한 먹이생물을 배양하는 과정에서 무환수 시스템을 사용하면 먹이 생물 경비를 60~70%, 유류비 40~50% 절감할 수 있고, 질병 매개체인 로티퍼 급이가 제한적이므로 질병 감염 위험이 낮아지며 최종 생존율은 10~15%이다. 다만, 매일 수질 검사를 하여야 하는 번거로움이 있고 수질이 이상적으로 관리되지 못하면 대량폐사로 이어지는 단점이 있다.
능성어류 중 아가리 지름(구경)이 가장 적고 영양 요구량이 높아 생존율이 극히 저조해 대량 생산에 어려움을 겪고 있는 붉바리 부화자어의 생존율을 높임으로서 종묘로서 대량 생산이 가능하고 성어로 양식이 가능하고 중국, 홍콩, 대만 및 동남아시아에서 고가에 거래되고 있는 능성어류의 판로를 개척함으로서 유류비와 어분 가격, 인건비 상승 등으로 어려움을 겪고 있는 수산 양식업계에 고부가 양식 어종 기술 개발을 촉진하는 요소로 작용할 것이다.

Claims (6)

  1. (a) 해수를 육상의 사육수조로 채수하여 자연 방치하는 단계;
    (b) 살균장치를 통해 살균된 해수와 (a)단계의 해수를 혼합하는 단계;
    (c) 여과 채수된 해수에 배양시약을 투여하여 먹이생물을 배양하고, 배양된 먹이생물을 (b)단계의 해수에 접종하여 번식시키는 단계;
    (d) 성어로부터 알을 채란 수정하여 (c)단계의 배양수에 입식시켜 먹이생물과 함께 양성시키는 단계;
    (e) 배양수에 입식된 알에서 부화된 부화자어가 배양먹이 생물을 섭이하여 일정크기의 자어로 성장시키는 단계;
    (f) (e)단계의 배양수에 로티퍼를 접종하여 자어기 먹이로 배양하면서 부화자어를 후기자어로 양성시키는 단계;
    (g) 사육수조를 무환수식에서 유수식으로 전환하여 자어를 양성하는 단계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능성어류의 종묘생산방법
  2. 제1항에 있어서 (c)단계에서 배양된 먹이생물은 유종충과 틴틴놉시스(Tintinnopsis)속의 초소형 동물플랑크톤으로, 갑장 50~70㎛이고, 갑폭 35~45㎛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능성어류의 종묘생산방법
  3. 제2항에 있어서 (a)단계의 해수 자연방치 기간은 16~18일이고, (a)~(f)단계의 총 기간은 40~50일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능성어류의 종묘생산방법
  4. 제3항에 있어서 (b)단계의 해수 혼합은 자연 방치하여 살균된 해수 5~10%와 살균장치를 통해 살균된 해수를 90~95% 혼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능성어류의 종묘생산방법
  5. 제4항에 있어서 (c)단계의 배양시약은 해수 1톤 당, N 28~32중량%, N-NO3 4~7중량%, N-NH4 2~4중량%, N-NH3 20~25중량%, P3O3 13~18중량%, K2O 13~18중량%로 이루어지는 무기물질 4~6g과, 25~35g의 계분, NaNO3 1.5~2.0g, Na2HPO412H2O 0.2~0.3g, Na2SiO3.9H2O 0.15~0.25g, NaHCO3 0.2~0.3, Na2.EDTA 0.2~0.3g으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능성어류의 종묘생산방법
  6. 제1항 내지 제5항 중 어느 하나의 방법으로 생산된 능성어류의 종묘
KR1020120011486A 2012-02-03 2012-02-03 먹이생물 배양을 통한 능성어류의 종묘생산방법 KR101327669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011486A KR101327669B1 (ko) 2012-02-03 2012-02-03 먹이생물 배양을 통한 능성어류의 종묘생산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011486A KR101327669B1 (ko) 2012-02-03 2012-02-03 먹이생물 배양을 통한 능성어류의 종묘생산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30090285A true KR20130090285A (ko) 2013-08-13
KR101327669B1 KR101327669B1 (ko) 2013-11-13

Family

ID=4921596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20011486A KR101327669B1 (ko) 2012-02-03 2012-02-03 먹이생물 배양을 통한 능성어류의 종묘생산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327669B1 (ko)

Cited By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3478027A (zh) * 2013-08-29 2014-01-01 南京农业大学 一种室内人工海水循环养殖斜带石斑鱼的方法
CN104642223A (zh) * 2015-01-26 2015-05-27 刘锦军 一种罗非鱼高产管理方法
CN106577379A (zh) * 2016-11-25 2017-04-26 蓝明 一种富硒鲈鱼的养殖方法
CN108713637A (zh) * 2018-04-16 2018-10-30 中国水产科学研究院南海水产研究所 一种鱼苗开口饵料及该饵料的获取方法
CN110800655A (zh) * 2019-12-09 2020-02-18 苏州金澄福渔业科技有限公司 一种加州鲈鱼室内工厂化全季繁育方法
CN112741026A (zh) * 2019-10-31 2021-05-04 广东海洋大学 一种石斑鱼的繁殖方法
CN113229182A (zh) * 2021-06-08 2021-08-10 浙江正大畜禽水产有限公司 人工杂交鲈鱼及其育种方法

Family Cites Familie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692378B1 (ko) * 2005-05-03 2007-03-09 한국해양연구원 부화자어 먹이로 이용 가능한 남방소모충 및 이것의 배양방법
KR100777242B1 (ko) * 2005-11-08 2007-11-28 강릉대학교산학협력단 입이 작은 부화자어의 먹이생물로 유용한 초소형 윤충의 배양방법.
JP4903447B2 (ja) * 2006-01-30 2012-03-28 財団法人電力中央研究所 水生動物の飼育方法及び飼育キット

Cited By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3478027A (zh) * 2013-08-29 2014-01-01 南京农业大学 一种室内人工海水循环养殖斜带石斑鱼的方法
CN104642223A (zh) * 2015-01-26 2015-05-27 刘锦军 一种罗非鱼高产管理方法
CN106577379A (zh) * 2016-11-25 2017-04-26 蓝明 一种富硒鲈鱼的养殖方法
CN108713637A (zh) * 2018-04-16 2018-10-30 中国水产科学研究院南海水产研究所 一种鱼苗开口饵料及该饵料的获取方法
CN108713637B (zh) * 2018-04-16 2022-03-22 中国水产科学研究院南海水产研究所 一种鱼苗开口饵料及该饵料的获取方法
CN112741026A (zh) * 2019-10-31 2021-05-04 广东海洋大学 一种石斑鱼的繁殖方法
CN110800655A (zh) * 2019-12-09 2020-02-18 苏州金澄福渔业科技有限公司 一种加州鲈鱼室内工厂化全季繁育方法
CN113229182A (zh) * 2021-06-08 2021-08-10 浙江正大畜禽水产有限公司 人工杂交鲈鱼及其育种方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327669B1 (ko) 2013-11-1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03493759B (zh) 一种石斑鱼规模化全人工育苗方法
KR101327669B1 (ko) 먹이생물 배양을 통한 능성어류의 종묘생산방법
CN103314904B (zh) 大规格中华绒螯蟹池塘生态育苗方法
Fielder et al. Hatchery manual for the production of Australian bass, mulloway and yellowtail kingfish
JP2020048468A (ja) 水産動物の養殖方法
Engell-Sørensen et al. Rearing of flounder (Platichthys flesus) juveniles in semiextensive systems
CN102100190B (zh) 七带石斑鱼苗种培育方法
CN1745725A (zh) 全人工培育斑节对虾亲体的方法
CN102919186B (zh) 一种多鳞鱚的人工繁育方法
CN103314900A (zh) 一种曼氏无针乌贼池塘高效养殖方法
Parisi et al. Molluscs and echinoderms aquaculture: biological aspects, current status, technical progress and future perspectives for the most promising species in Italy
CN106577371A (zh) 一种黄鳝养殖的梯度饵料训饲方法
KR100953994B1 (ko) 꼬막 종묘의 생산방법
CN112616739A (zh) 一种盐田虾养殖有效防治桃拉综合征方法
Ohs et al. Species profile: pigfish, Orthopristis chrysoptera.
KR101317143B1 (ko) 능성어류의 초기 먹이생물 및 그 배양방법
Morris et al. Centrarchid aquaculture
Radhakrishnan et al. Breeding, hatchery production and mariculture
CN111066695B (zh) 一种暗纹东方鲀、南美白对虾、空心菜立体种养的方法
Yaqing et al. The status of mariculture in northern China
CN112931332A (zh) 一种绿色食品对虾种虾培育方法
UA65842C2 (en) Method of commercial growing the giant freshwater prawn (macrobrachium rozenbergii)
Jayasankar et al. Freshwater aquaculture in India
Jobling et al. Seabreams and Porgies (Family: Sparidae)
CN113080109B (zh) 一种二龄长江刀鲚套养在暗纹东方鲀养殖池的养殖方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AMND Amendment
X701 Decision to grant (after re-examina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122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919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903

Year of fee payment: 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