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30089854A - 게임 서비스 제공방법 및 장치 - Google Patents

게임 서비스 제공방법 및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30089854A
KR20130089854A KR1020120002140A KR20120002140A KR20130089854A KR 20130089854 A KR20130089854 A KR 20130089854A KR 1020120002140 A KR1020120002140 A KR 1020120002140A KR 20120002140 A KR20120002140 A KR 20120002140A KR 20130089854 A KR20130089854 A KR 20130089854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haracter
game
tracking item
user
item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2000214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피터
전승헌
Original Assignee
(주)네오위즈게임즈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네오위즈게임즈 filed Critical (주)네오위즈게임즈
Priority to KR1020120002140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30089854A/ko
Publication of KR2013008985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30089854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10MUSICAL INSTRUMENTS; ACOUSTICS
    • G10HELECTROPHONIC MUSICAL INSTRUMENTS; INSTRUMENTS IN WHICH THE TONES ARE GENERATED BY ELECTROMECHANICAL MEANS OR ELECTRONIC GENERATORS, OR IN WHICH THE TONES ARE SYNTHESISED FROM A DATA STORE
    • G10H1/00Details of electrophonic musical instruments
    • G10H1/36Accompaniment arrangements
    • G10H1/361Recording/reproducing of accompaniment for use with an external source, e.g. karaoke systems
    • GPHYSICS
    • G11INFORMATION STORAGE
    • G11BINFORMATION STORAGE BASED ON RELATIVE MOVEMENT BETWEEN RECORD CARRIER AND TRANSDUCER
    • G11B20/00Signal processing not specific to the method of recording or reproducing; Circuits therefor
    • G11B20/10Digital recording or reproducing
    • GPHYSICS
    • G11INFORMATION STORAGE
    • G11BINFORMATION STORAGE BASED ON RELATIVE MOVEMENT BETWEEN RECORD CARRIER AND TRANSDUCER
    • G11B33/00Constructional parts, details or accessories not provided for in the other groups of this subclass
    • G11B33/02Cabinets; Cases; Stands; Disposition of apparatus therein or thereon
    • G11B33/022Cases
    • G11B33/025Portable cases
    • GPHYSICS
    • G11INFORMATION STORAGE
    • G11BINFORMATION STORAGE BASED ON RELATIVE MOVEMENT BETWEEN RECORD CARRIER AND TRANSDUCER
    • G11B33/00Constructional parts, details or accessories not provided for in the other groups of this subclass
    • G11B33/02Cabinets; Cases; Stands; Disposition of apparatus therein or thereon
    • G11B33/027Covers
    • GPHYSICS
    • G11INFORMATION STORAGE
    • G11BINFORMATION STORAGE BASED ON RELATIVE MOVEMENT BETWEEN RECORD CARRIER AND TRANSDUCER
    • G11B33/00Constructional parts, details or accessories not provided for in the other groups of this subclass
    • G11B33/12Disposition of constructional parts in the apparatus, e.g. of power supply, of modules
    • G11B33/121Disposition of constructional parts in the apparatus, e.g. of power supply, of modules the apparatus comprising a single recording/reproducing device
    • G11B33/122Arrangements for providing electrical connections, e.g. connectors, cables, switches
    • GPHYSICS
    • G10MUSICAL INSTRUMENTS; ACOUSTICS
    • G10HELECTROPHONIC MUSICAL INSTRUMENTS; INSTRUMENTS IN WHICH THE TONES ARE GENERATED BY ELECTROMECHANICAL MEANS OR ELECTRONIC GENERATORS, OR IN WHICH THE TONES ARE SYNTHESISED FROM A DATA STORE
    • G10H2220/00Input/output interfacing specifically adapted for electrophonic musical tools or instruments
    • G10H2220/005Non-interactive screen display of musical or status data
    • G10H2220/011Lyrics displays, e.g. for karaoke applications
    • GPHYSICS
    • G10MUSICAL INSTRUMENTS; ACOUSTICS
    • G10HELECTROPHONIC MUSICAL INSTRUMENTS; INSTRUMENTS IN WHICH THE TONES ARE GENERATED BY ELECTROMECHANICAL MEANS OR ELECTRONIC GENERATORS, OR IN WHICH THE TONES ARE SYNTHESISED FROM A DATA STORE
    • G10H2220/00Input/output interfacing specifically adapted for electrophonic musical tools or instruments
    • G10H2220/155User input interfaces for electrophonic musical instruments
    • G10H2220/211User input interfaces for electrophonic musical instruments for microphones, i.e. control of musical parameters either directly from microphone signals or by physically associated peripherals, e.g. karaoke control switches or rhythm sensing accelerometer within the microphone casing
    • GPHYSICS
    • G10MUSICAL INSTRUMENTS; ACOUSTICS
    • G10HELECTROPHONIC MUSICAL INSTRUMENTS; INSTRUMENTS IN WHICH THE TONES ARE GENERATED BY ELECTROMECHANICAL MEANS OR ELECTRONIC GENERATORS, OR IN WHICH THE TONES ARE SYNTHESISED FROM A DATA STORE
    • G10H2240/00Data organisation or data communication aspects, specifically adapted for electrophonic musical tools or instruments
    • G10H2240/011Files or data streams containing coded musical information, e.g. for transmission
    • G10H2240/046File format, i.e. specific or non-standard musical file format used in or adapted for electrophonic musical instruments, e.g. in wavetables
    • G10H2240/061MP3, i.e. MPEG-1 or MPEG-2 Audio Layer III, lossy audio compression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Acoustics & Sound (AREA)
  • Multimedia (AREA)
  • User Interface Of Digital Computer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게임이 진행되는 도중 타 캐릭터의 위치로 표시할 수 있도록 해주는 위치추적 아이템을 선택하고 위치추적 아이템의 선택에 따라 상기 게임이 실행되는 화면의 적어도 일부에 타 캐릭터의 위치를 표시하는 방법 및 장치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게임 서비스 제공방법 및 장치{Method and Apparatus for Providing Game service}
본 발명은 게임에서의 아이템 관련 기술에 관한 것이다.
종래의 여러 컴퓨터 네트워크 게임 중에서, 특정한 게임 캐릭터가 가상 공간상에서 이동하면서 소정의 미션 또는 액션을 수행하는 게임으로서 슈팅(Shooting) 게임, 롤 플레잉 게임(Role Playing Game; RPG) 등이 있다.
FPS(First-Person Shooting)라 불리는 일인칭 관점의 슈팅 게임 등에서는 전술한 바와 같은 특정한 게임 캐릭터가 일정한 공간에 숨어 있다가 다른 캐릭터가 근처에 왔을 때 기습적으로 공격하는 행위로 인하여 게임의 흥미를 반감시키게 되는 문제가 있다.
일부 슈팅 게임은 상대방 캐릭터를 표시하지 않아 사용자가 게임의 흥미를 잃게 되거나 다양한 게임 전략/전술을 수립하지 못하는 문제가 있었다. 또한 초보 사용자의 입장에서는 게임시 상대방 캐릭터의 위치를 알 수 없어 게임의 흥미를 잃게 하는 문제가 있었다.
이러한 배경에서, 본 발명의 목적은, 게임의 흥미를 유지하며 다양한 게임 전략/전술을 수립하고 초보 사용자도 게임을 즐길 수 있는 방법 및 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전술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일 측면에서, 본 발명은, 네트워크를 통해 단말기에 게임 서비스를 제공하는 게임 서비스 제공 방법으로, 게임이 진행되는 도중 타 캐릭터의 위치로 표시할 수 있도록 해주는 위치추적 아이템을 선택하는 단계; 및 위치추적 아이템의 선택에 따라 게임이 실행되는 화면의 적어도 일부에 타 캐릭터의 위치를 상기 단말기에 표시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게임 서비스 제공방법을 제공한다.
다른 측면에서, 본 발명은, 네트워크를 통해 단말기에 게임 서비스를 제공하는 게임 서비스 제공 장치로, 타 캐릭터의 위치로 표시할 수 있도록 해주는 위치추적 아이템 및 사용자의 캐릭터와 타 캐릭터의 정보를 저장하는 데이터베이스부; 상기 게임을 진행하는 게임 로직부; 및 상기 게임이 진행되는 도중 상기 위치추적 아이템의 선택에 따라 상기 게임이 실행되는 화면의 적어도 일부에 상기 타 캐릭터의 위치를 상기 단말기에 표시하도록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는 게임 서비스 제공 장치를 제공한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의하면, 게임의 흥미를 유지할 수 있고 다양한 게임 전략/전술을 수립할 수 있고 초보 사용자도 게임을 즐길 수 있는 하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이용자에게 게임 서비스를 제공하는 시스템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2는 본 발명에 의한 캐릭터의 위치를 표시하는 게임을 서비스하는 서버의 기능별 블록도를 도시한다.
도 3은 도 2의 제어부 및 데이터베이스부의 일 실시예를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4는 데이터베이스부의 데이터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5a 내지 도 5h는 다른 실시예에 따라 캐릭터들의 위치가 표시되는 미니맵들이다.
도 6a 및 도 6b는 또다른 실시예에 따라 캐릭터들의 위치가 표시되는 미니맵들이다.
도 7 및 도 8은 또다른 실시예에 따른 게임 서비스 제공방법의 흐름도들이다.
도 9는 단말기에 설치되는 클라이언트프로그램의 설치도이다.
이하, 본 발명의 일부 실시예들을 예시적인 도면을 통해 상세하게 설명한다. 각 도면의 구성요소들에 참조부호를 부가함에 있어서, 동일한 구성요소들에 대해서는 비록 다른 도면상에 표시되더라도 가능한 한 동일한 부호를 가지도록 하고 있음에 유의해야 한다. 또한,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 관련된 공지 구성 또는 기능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또한, 본 발명의 구성 요소를 설명하는 데 있어서, 제 1, 제 2, A, B, (a), (b) 등의 용어를 사용할 수 있다. 이러한 용어는 그 구성 요소를 다른 구성 요소와 구별하기 위한 것일 뿐, 그 용어에 의해 해당 구성 요소의 본질이나 차례 또는 순서 등이 한정되지 않는다. 어떤 구성 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연결", "결합" 또는 "접속"된다고 기재된 경우, 그 구성 요소는 그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적으로 연결되거나 또는 접속될 수 있지만, 각 구성 요소 사이에 또 다른 구성 요소가 "연결", "결합" 또는 "접속"될 수도 있다고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이용자에게 게임 서비스를 제공하는 시스템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1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게임 서비스를 제공하는 시스템은, 게임 서비스를 제공하는 서버(100)와, 서버(100)로부터 게임 서비스를 제공받는 단말기(110) 등을 포함한다.
서버(100)는 단말기(110)에서 게임이 플레이 될 수 있도록 제어하는 게임 서버일 수도 있다. 이 경우, 단말기(110)는, 게임 플레이를 위해 게임 관련 프로그램(애플리케이션)을 서버(100)로부터 다운로드 받아 설치하고, 이를 실행하여 서버(100)와 통신하면서 게임을 실행(execution) 또는 플레이(play)할 수도 있고, 서버(100)로부터 게임 관련 프로그램을 다운로드 받지 않고 서버(100)와 통신만으로 게임을 플레이할 수도 있다. 이 경우, 서버(100)에서 단말기(110)에게 표시 가능한 그래픽 정보를 제공할 수 있다. 또는, 게임 관련 프로그램으로 상기 그래픽 정보를 표시하는 기능을 제공할 수 있다.
서버(100)는, 이용자 간에 게임 대전을 할 수 있도록, 복수의 단말기(110) 각각에서 실행되는 게임 애플리케이션의 실행 데이터를 실시간으로 중계하고, 복수의 단말기(110) 각각에서의 게임 화면의 출력을 제어하거나, 복수의 단말기(110) 각각에서의 게임 실행에 대한 동기화를 수행할 수도 있다.
또한, 서버(100)는 이용자가 제어하는 복수의 단말기(110)에서 생성하여 실행한 게임 진행 결과를 처리하여, 그 게임 처리 결과를 각각의 이용자가 제어하는 복수의 단말기(110)에게 제공할 수 있다.
또한, 서버(100)는 단말기(110)가 접속되며, 접속된 단말기(110)로 해당 웹 사이트의 페이지를 제공할 수 있다. 또한, 서버(100)는 회원 가입 절차를 진행하여 그에 따라 회원으로 가입된 사용자에 대한 각종 정보(사용자 정보 포함)를 저장하여 관리하고, 게임에 관련된 각종 캐릭터 및 각종 아이템에 대한 구매 및 결제 기능을 제공하고, 사용자 정보와 대응하여 보유 캐릭터 리스트 및 보유 아이템 리스트 등을 저장하여 관리할 수 있다. 본 명세서에서 캐릭터는 일종의 아이템이거나 아이템과 동등한 개념으로 해석될 수도 있다.
전술한 단말기(110)는, 일반적인 데스크 탑이나 노트북 등의 일반 PC를 포함하고, 스마트 폰, 태블릿 PC, PDA(Personal Digital Assistants) 및 이동통신 단말기 등의 모바일 단말기 등을 포함할 수 있으며, 이에 제한되지 않고, 서버(100)와 통신 가능한 어떠한 전자 기기로 폭넓게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전술한 서버(100)는 하드웨어적으로는 통상적인 웹 서버(Web Server) 또는 웹 어플리케이션 서버(Web Application Server) 또는 왑 서버(WAP Server)와 동일한 구성을 하고 있다. 그러나, 소프트웨어적으로는, C, C++, Java, PHP, .Net, Python, Ruby 등 여하한 언어를 통하여 구현되어 여러 가지 기능을 하는 프로그램 모듈(Module)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서버(100)는, 네트워크(120)를 통하여 불특정 다수 클라이언트(단말기(110)를 포함) 및/또는 다른 서버와 연결될 수 있는데, 이에 따라, 서버(100)는 클라이언트 또는 다른 서버의 작업수행 요청을 접수하고 그에 대한 작업 결과를 도출하여 제공하는 컴퓨터 시스템 또는 이러한 컴퓨터 시스템을 위하여 설치되어 있는 컴퓨터 소프트웨어(서버 프로그램)를 뜻하는 것일 수도 있다.
또한, 서버(100)는, 전술한 서버 프로그램 이외에도, 서버(100) 상에서 동작하는 일련의 응용 프로그램(Application Program)과, 경우에 따라서는 내부 또는 외부에 구축되어 있는 각종 데이터베이스를 포함하는 넓은 개념으로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또한, 서버(100)는 콘텐츠, 각종 정보 및 데이터를 데이터베이스에 저장시키고 관리할 수 있다. 여기서, 데이터베이스는 서버(100)의 내부 또는 외부에 구현될 수 있다.
또한, 서버(100)는 일반적인 서버용 하드웨어에 도스(DOS), 윈도우(windows), 리눅스(Linux), 유닉스(UNIX), 매킨토시(Macintosh) 등의 운영체제에 따라 다양하게 제공되고 있는 서버 프로그램을 이용하여 구현될 수 있으며, 대표적인 것으로는 윈도우 환경에서 사용되는 웹 사이트(Website), IIS(Internet Information Server)와 유닉스환경에서 사용되는 Apache, Nginx, Light HTTP 등이 이용될 수 있다.
한편, 네트워크(120)는 서버(100)와 단말기(110)를 연결해주는 망(Network)으로서, LAN(Local Area Network), WAN(Wide Area Network)등의 폐쇄형 네트워크일 수도 있으나, 인터넷(Internet)과 같은 개방형 네트워크일 수도 있다. 여기서, 인터넷은 TCP/IP 프로토콜 및 그 상위계층에 존재하는 여러 서비스, 즉 HTTP(HyperText Transfer Protocol), Telnet, FTP(File Transfer Protocol), DNS(Domain Name System), SMTP(Simple Mail Transfer Protocol), SNMP(Simple Network Management Protocol), NFS(Network File Service), NIS(Network Information Service)를 제공하는 전 세계적인 개방형 컴퓨터 네트워크 구조를 의미한다. 또한, 네트워크(120)은 유/무선에 한정되지 않으며, LTE(Long Term Evolution), 와이브로(Wibro) 등과 같은 다양한 무선 네트워크 기술과 결합할 수 있다.
또한, 단말기(110)가 스마트 폰, 태블릿 PC, PDA(Personal Digital Assistants) 및 이동통신 단말기 등의 모바일 단말기를 포함하는 경우, 네트워크(120)는 이동 통신망이나 와이파이(WiFi) 망 등의 무선 액세스 망을 더 포함할 수도 있다.
도 2는 본 발명에 의한 캐릭터의 위치를 표시하는 게임을 서비스하는 서버의 기능별 블록도를 도시한다.
서버(200)는 제어부(210), 송수신부(220), 게임로직부(230), 데이터베이스부(240), 그리고 맵 저장부(250) 전부 또는 일부를 포함한다.
송수신부(220)는 이용자의 단말과의 통신을 수행한다. 이용자의 단말들은 직접 서버(200)와 데이터를 송수신할 수도 있고, 이용자들의 단말들이 별도로 결합한 다른 제 2, 3의 게임 서버들과 게임을 수행하며, 캐릭터의 위치를 표시하기 위한 데이터만을 송수신할 수 있다. 따라서, 도 2의 게임 서버는 하나의 장치에 국한되는 것이 아니며, 장치 내에 프로세스로 존재하거나, 다수의 장치들 간에 네트워크로 정보를 송수신하는 구성으로 존재할 수도 있다.
게임로직부(230)는 이용자들 간에 게임 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한 게임의 로직을 저장하고, 이러한 로직에 따라 게임 진행 및 게임 처리가 가능하도록 한다. 게임 서비스의 일 실시예로는 1인칭 슈팅 게임인 FPS(First-Person Shooter), 이용자의 캐릭터와 게임 로직 상에서 제공되는 게임 요소와 게임을 수행하는 PvE(Player versus Environment), 그리고 이용자들 간에 게임을 수행하는 PvP(Player versus Player) 방식이 있다.
FPS 방식의 게임은 무기를 중심으로 화면을 이동하며 게임을 수행하는 방식이다. 일인칭 시점으로 화면이 이동하며, 다수의 이용자들이 협업하여 게임 내의 장애물을 극복하거나, 적과 전투를 수행할 수 있고, 혹은 이용자들 서로가 상대를 향하여 전투를 수행할 수 있다. 한편, PvE 방식의 게임은 다수의 이용자들이 서버에서 제공하는 미션(예를 들어, 서버에서 직접 제어하는 몬스터와의 전투)을 수행하는 것을 의미한다. PvP 방식의 게임은 다수의 이용자들이 상대방과 전투를 수행하는 방식으로 서버에서는 둘 이상의 이용자들이 대전 방식으로 게임을 수행할 수 있도록 환경을 제공하는 방식을 의미한다.
데이터베이스부(240)는 이용자들의 게임 수행 과정에서 발생하는 정보를 임시로, 혹은 영구적으로 저장한다. 예를 들어 데이터베이스부(240)는, 아이템을 사용하여 캐릭터의 위치를 표시하는 데 필요한 아이템 및 캐릭터의 정보를 저장한다.
본 발명이 적용되는 게임 캐릭터 또는 게임 객체(Object)는 NPC(Non-Play Character)라고 불리는 고정 또는 비참여 캐릭터일 수도 있고 사용자가 적극적으로 제어하는 플레이 캐릭터일 수도 있다.
게임에서 다양한 옵션이나 다양한 능력치를 갖는 캐릭터, 무기 등으로 사용될 수 있는 전자적인 객체(Object)인 게임 아이템을 제공하고, 사용자는 그를 게임 내에서 적절히 활용함으로써 게임의 흥미를 유발시킨다. 이러한 게임 아이템은, 게임 내부에서 사용될 수 있는 캐릭터, 무기, 방어수단 등을 모두 포함하는 포괄적인 개념이다.
맵 저장부(250)는 게임 서버(200)에서 게임을 수행함에 있어 필요한 환경 정보를 저장하는데, 맵 저장부(250)는 게임 로직부(230)와 함께 동작할 수 있으며, 이용자들의 단말에 게임이 실행되는 맵의 그래픽 정보를 제공할 수 있다. 그래픽 정보란 이미지, 동영상, 사운드, 혹은 이들의 결합을 의미한다. FPS 게임의 경우, 해당 맵 내의 전체 건물 구조와 각 건물을 바라보는 시점 등에 대한 정보들이 모두 맵 저장부(250)에 포함될 수 있다.
도 3은 도 2의 제어부 및 데이터베이스부의 일 실시예를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3의 데이터베이스부(240)의 일 실시예는, 두 가지의 하위 데이터베이스부로, 캐릭터 데이터베이스부(340) 및 아이템 데이터베이스부(350) 전부 또는 일부를 포함한다.
캐릭터 데이터베이스부(340)는 캐릭터와 관련된 정보, 예를 들어, 해당 캐릭터가 어떤 게임에서 동작하는지, 캐릭터 고유의 아이템, 고유의 경험치, 캐릭터 고유의 레벨 또는 점수 등 게임을 수행하며 변화하는 캐릭터 혹은 게임을 통해 일관되게 가져야 할 정보 등 모든 속성 정보를 저장할 수 있다. 또한 캐릭터 데이터베이스부(340)은 각 캐릭터의 위치 및 단말기(110)의 화면의 적어도 일부에 캐릭터의 위치의 표시 여부를 저장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캐릭터 데이터베이스부(340)는, 도 4에 도시한 바와 같이, 각 캐릭터의 이름 및 경험치, 위치, 위치 표시 여부를 저장할 수 있다.
아이템 데이터베이스부(350)는 아이템 ID, 아이템 종류, 명칭, 가치(가격) 등의 정보와 함께, 위치추적 아이템에 대한 정보가 저장되어 있을 수 있다. 예를 들어 아이템 데이터베이스부(350)는, 도 4에 도시한 바와 같이 아이템의 이름들(기관총, 치료약, 위치추적) 및 그 가치가 저장되어 있을 수 있다. 후술하는 바와 같이 사용자가 위치추적 아이템을 선택한 후 일정 거리에 근접한 타 캐릭터에 부착할 때 위치추적 아이템이 부착된 타 캐릭터의 위치가 단말기의 화면의 적어도 일부에 표시될 수 있다. 또한 사용자가 위치추적 아이템을 선택할 경우 사용자의 캐릭터를 맞추었거나 사용자의 주변에서 총탄을 발사한 타 캐릭터의 위치가 단말기의 화면의 적어도 일부에 표시될 수 있다.
한편 도 3의 제어부(210)의 일 실시예는, 세 가지의 하위 제어 구성 요소들로, 캐릭터 제어부(310) 및 아이템 관리부(320), 위치확인부(330) 전부 또는 일부를 포함한다. 제어부(210)의 여러 하위 구성 요소는 하나로 결합되어 동작할 수도 있고, 각각 독립적으로 존재할 수도 있다.
캐릭터 제어부(310)는 게임이 진행되는 과정에서 캐릭터 데이터베이스부(340)의 정보를 변경하는 것이 필요할 경우, 이를 제어하는 기능을 제공한다. 전술한 바와 같이 캐릭터 제어부(310)는 사용자가 위치추적 아이템을 선택한 후 일정 거리에 근접한 타 캐릭터에 부착할 때 위치추적 아이템이 부착한 경우에 위치추적 아이템이 부착된 캐릭터의 속성정보 중 하나로 위치 표시 여부에 '위치 표시함'을 의미하는 정보를 캐릭터 데이터베이스부((340)에 저장하도록 제어한다. 반대로 위치를 표시하는 것을 중단한 경우 캐릭터 제어부(310)는 해당 캐릭터의 속성정보 중 하나로 위치 표시 여부에 '위치 표시하지 않음'을 의미하는 정보를 캐릭터 데이터베이스부(340)에 저장하도록 제어한다.
예를 들어 도 4에 도시한 바와 같이 캐릭터 A 및 C, D에 대해서는 위치 표시 여부에 '위치 표시하지 않음'을 의미하는 "×" 캐릭터 데이터베이스부(340)에 저장하고, 캐릭터 B에 대해서는 위치 표시 여부에 '위치 표시함'을 의미하는 "○"를 캐릭터 데이터베이스부(340)에 저장한다.
위치 확인부(330)는 모든 플레이 캐릭터의 가상 공간상에서의 위치정보 (X,Y)를 확인하고, 그 위치정보를 게임에 참여하는 다른 단말기의 게임 프로그램으로 전달하는 기본 기능을 수행한다.
이러한 위치 확인부(330)는 슈팅 게임이나 RPG 등 여러 게이머가 참여하는 모든 게임에 적용될 수 있는 것이지만, 본 발명에서는 각 플레이 캐릭터의 위치 정보를 확인하여 그 위치정보를 캐릭터 데이터베이스부(310)로 제공하는 기능을 추가로 수행한다. 도 4에 도시한 바와 같이 위치 확인부(330)는 각 캐릭터의 위치정보를 캐릭터 데이터베이스부(310)에 제공하여 그 위치정보를 캐릭터 데이터베이스부(310)에 저장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또한 제어부(210)은 캐릭터 데이터베이스부(310)에 저장된 각 캐릭터의 위치 표시 여부에 따라 단말기의 화면의 적어도 일부에 캐릭터의 위치를 표시하도록 제어한다.
FPS 등과 같은 게임에서는 특정 키(예를 들면, 탭(Tab)키 등)를 누르면 도 5a에 도시한 바와 같이 맵(Map) 또는 레이더(radar) 영상(500, 이하 '맵' 이라 함)이 표시되며, 이러한 맵에는 도 5b에 도시한 바와 같이 통상적으로 타 캐릭터는 표시되지 않는다 (다만, 적 캐릭터가 일정한 피해를 입으면 경우에 따라 빨간색 점이 깜빡거리면서 적의 위치가 노출될 수 있음).
사용자가 도5c에 도시한 바와 같이 예를 들어 특정키를 3초 이상 누르므로 위치추적 아이템을 타 캐릭터에 부착할 경우 제어부(210)는 도 5d에 도시한 바와 같이 사용자의 캐릭터에 일정 거리(예를 들어 사용자 캐릭터 기준 반경 3m 미만)에 근접한 타 캐릭터만을 맵(500) 상에 도 5e에 도시한 바와 같이 타 캐릭터의 위치를 노출하여 타 캐릭터를 표시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또한, 단순히 영상이나 화상으로 표시되는 것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근처에 있는 게이머 단말기로 소정의 음원 데이터를 전송하여 음원으로 표시할 수도 있을 것이다.
한편 제어부(210)는 타 캐릭터와 일정 거리에 근접한 제3의 캐릭터가 타 캐릭터에 부착된 위치추적 아이템의 부착을 해제하므로 게임이 실행되는 맵(500) 상에 타 캐릭터의 위치를 표시하기를 중단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도 5f에 도시한 바와 같이 제3의 캐릭터(캐릭터 D)가 위치가 노출된 타 캐릭터(캐릭터 C)와 일정 거리(예를 들어 캐릭터 C 기준 반영 2m 미만)에 근접한 경우 예를 들어 제3의 캐릭터의 사용자가 특정키를 3초 이상 누르므로 제3의 캐릭터가 타 캐릭터의 위치추적 아이템의 부착을 해제할 수 있다. 이 경우 제어부(210)는 도 5g에 도시한 바와 같이 맵(500) 상에 타 캐릭터의 위치를 노출하기 위해 타 캐릭터를 표시하는 것을 중단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다른 실시예로, 제어부(210)는 게임이 진행되는 도중 사용자가 위치추적 아이템의 선택에 따라 맵(500) 상에 사용자의 캐릭터를 맞추었거나 사용자의 주변에서 총탄을 발사한 타 캐릭터의 위치를 표시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도 6a에 도시한 바와 같이 맵(500) 상에 캐릭터들이 표시되지 않은 상태에서 사용자가 위치추적 아이템을 선택할 경우 제어부(210)는 사용자의 캐릭터를 맞추었거나 사용자의 주변에서 총탄을 발사한 적어도 하나의 타 캐릭터, 예를 들어 도 6b에 도시한 바와 같이 캐릭터 B 및 C를 맵(500)에 타 캐릭터의 위치를 노출하여 표시할 수 있다. 제어부(210)는 사용자의 캐릭터를 가장 최근에 맞춘 하나의 타 캐릭터만을 맵(500) 상에 타 캐릭터의 위치를 노출하여 표시할 수 있다. 또한 제어부(210)는 일정한 시간동안 또는 일정한 횟수로 사용자의 캐릭터를 맞춘 적어도 하나의 타 캐릭터를 맵(500) 상에 표시할 수 있다.
또한 제어부(210)는 사용자의 캐릭터를 맞춘 저격수뿐만 아니라 캐릭터의 레벨(등급, 클래스 등) 별로 맵(500) 상에 적어도 하나의 캐릭터의 위치를 표시할 수 있다.
이때 제어부(210)는 특정 조건, 예를 들어 일정기간 동안 맵(500) 상에 타 캐릭터의 위치를 노출하거나 다른 특정 조건, 예를 들어 타 캐릭터의 소유자가 다른 아이템을 사용할 경우 맵(500) 상에 타 캐릭터의 위치를 노출하는 것을 중단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이상에서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캐릭터의 위치를 표시하는 게임 서비스를 제공하는 서버에 대하여 설명하였으며, 이하에서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서버가 캐릭터의 위치를 표시하는 게임 서비스를 제공하는 방법에 대하여 설명한다. 후술하게 될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캐릭터의 위치를 표시하는 게임 서비스를 제공하는 방법은, 도 2에 도시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서버에 의해 모두 수행될 수 있다.
도 7은 또다른 실시예에 따른 게임 서비스 제공방법의 흐름도이다.
도 7을 참조하면, 또다른 실시예에 따른 게임 서비스 제공방법(700)에서 먼저 사용자는 위치추적 아이템을 획득한다(S710). 사용자는 아이템을 구매하거나 특정 능력치에 도달한 대가 등에 의해 위치추적 아이템을 획득할 수 있다.
다음으로 단말기를 사용하여 게임을 시작한다(S720). FPS 게임의 경우, 게임이 시작되면 단말기의 화면에 도 5a에 도시한 바와 같이 전체 건물 구조와 각 건물을 바라보는 시점 등이 표시될 수 있다. 이때 사용자가 특정 키(예를 들면, 탭(Tab)키 등)를 누르면 도 5a에 도시한 바와 같이 맵(500)이 표시된다.
다음으로 게임이 진행되는 도중에 사용자가 단말기를 통해 획득한 위치추적 아이템을 선택한다(S730). 위치추적 아이템을 선택하는 방법은 통상의 아이템을 선택하는 방법과 동일하게 아이템 선택 바를 클릭하거나 특정한 액션에 따라 위치추적 아이템을 선택할 수 있다.
다음으로 사용자의 캐릭터가 타 캐릭터에 몰래 접근하여 도 5c에 도시한 바와 같이 타 캐릭터에 위치추적 아이템을 부착할 수 있다(S740).
이때 도 5d에 도시한 바와 같이 사용자의 캐릭터와 타 캐릭터의 거리가 일정 거리로 근접한 경우에 위치추적 아이템이 부착된 타 캐릭터의 위치를 맵(500) 상에 표시할 수 있다(S750). 사용자가 도5c에 도시한 바와 같이 예를 들어 특정키를 3초 이상 누르므로 위치추적 아이템을 타 캐릭터에 부착할 경우 도 5d에 도시한 바와 같이 사용자의 캐릭터에 일정 거리(예를 들어 사용자 캐릭터 기준 반경 3m 미만)에 근접한 타 캐릭터만을 맵(500) 상에 도 5e에 도시한 바와 같이 타 캐릭터의 위치를 노출하여 타 캐릭터를 표시할 수 있다. 또한, 단순히 영상이나 화상으로 표시되는 것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근처에 있는 게이머 단말장치로 소정의 음원 데이터를 전송하여 음원으로 표시할 수도 있을 것이다.
다음으로 타 캐릭터와 일정 거리에 근접한 제3의 캐릭터가 타 캐릭터에 부착된 위치추적 아이템의 부착을 해제한다(S760). 이 경우 게임이 실행되는 맵(500) 상에 타 캐릭터의 위치를 표시하기를 중단한다(770). 예를 들어 도 5f에 도시한 바와 같이 제3의 캐릭터(캐릭터 D)가 위치가 노출된 타 캐릭터(캐릭터 C)와 일정 거리(예를 들어 캐릭터 C 기준 반영 2m 미만)에 근접한 경우 예를 들어 제3의 캐릭터의 사용자가 특정키를 3초 이상 누르므로 제3의 캐릭터가 타 캐릭터의 위치추적 아이템의 부착을 해제할 수 있다. 이 경우 도 5g에 도시한 바와 같이 맵(500) 상에 타 캐릭터의 위치를 노출하기 위해 타 캐릭터를 표시하는 것을 중단한다.
도 8은 또다른 실시예에 따른 게임 서비스 제공방법의 흐름도이다.
도 8을 참조하면 또다른 실시예에 따른 게임 서비스 제공방법(800)은 먼저 사용자는 위치추적 아이템을 획득한다(S810). 다음으로 단말기를 사용하여 게임을 시작한다(S820). FPS 게임의 경우, 게임이 시작되면 단말기의 화면에 도 5a에 도시한 바와 같이 전체 건물 구조와 각 건물을 바라보는 시점 등이 표시될 수 있다. 이때 사용자가 특정 키(예를 들면, 탭(Tab)키 등)를 누르면 도 5a에 도시한 바와 같이 맵(500)이 표시된다.
다음으로 게임이 진행되는 도중에 사용자가 단말기를 통해 획득한 위치추적 아이템을 선택한다(S830).
다음으로 특정조건의 타 캐릭터의 위치를 표시한다(S840). S840단계에서 게임이 진행되는 도중 사용자가 위치추적 아이템의 선택에 따라 맵(500) 상에 사용자의 캐릭터를 맞추었거나 사용자의 주변에서 총탄을 발사한 타 캐릭터의 위치를 표시한다. 예를 들어 도 6a에 도시한 바와 같이 맵(500) 상에 캐릭터들이 표시되지 않은 상태에서 사용자가 위치추적 아이템을 선택할 경우 사용자의 캐릭터를 맞추었거나 사용자의 주변에서 총탄을 발사한 적어도 하나의 타 캐릭터, 예를 들어 도 6b에 도시한 바와 같이 캐릭터 B 및 C를 맵(500)에 타 캐릭터의 위치를 노출하여 표시할 수 있다. 이때 사용자의 캐릭터를 가장 최근에 맞춘 하나의 타 캐릭터만을 맵(500) 상에 타 캐릭터의 위치를 노출하여 표시할 수 있다. 또한 일정한 시간동안 또는 일정한 횟수로 사용자의 캐릭터를 맞춘 적어도 하나의 타 캐릭터를 맵(500) 상에 표시할 수 있다.
또한 사용자의 캐릭터를 맞춘 저격수뿐만 아니라 캐릭터의 레벨(등급, 클래스 등) 별로 뱀(500) 상에 적어도 하나의 캐릭터의 위치를 표시할 수 있다.
다음으로 특정 조건을 만족하는지 판단하여(S850). 특정 조건을 만족하는 경우에 타 캐릭터의 위치 표시를 중단한다(S860). 예를 들어 일정기간 동안 맵(500) 상에 타 캐릭터의 위치를 노출하거나 다른 특정 조건, 예를 들어 타 캐릭터의 소유자가 다른 아이템을 사용할 경우 맵(500) 상에 타 캐릭터의 위치를 노출하는 것을 중단한다.
이상에서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캐릭터의 위치를 표시하는 게임서비스를 제공하는 방법이 도 7 및 도 8에서와 같은 절차로 수행되는 것으로 설명되었으나, 이는 설명의 편의를 위한 것일 뿐, 본 발명의 본질적인 개념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구현 방식에 따라 각 단계의 수행 절차가 바뀌거나 둘 이상의 단계가 통합되거나 하나의 단계가 둘 이상의 단계로 분리되어 수행될 수도 있다.
이상에서 전술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게임 서비스 제공 방법은, 도 9에 도시한 바와 같이 단말기(110-1, 110-2)에 기본적으로 설치된 애플리케이션(이는 단말기에 기본적으로 탑재된 플랫폼에 포함되거나 운영체제 등에 포함되거나 호환되는 프로그램일 수 있음)(112-1, 112-2)에 의해 실행될 수 있고, 또한, 사용자가 애플리케이션 스토어 서버, 애플리케이션 또는 해당 서비스와 관련된 웹 서버 등의 애플리케이션 제공 서버를 통해 단말기(110-1, 110-2)의 운영체제와 호환 가능하고 단말기(110-1, 110-2)에 직접 설치한 애플리케이션(즉, 프로그램)에 의해 실행될 수도 있다. 여기서, 단말기(110-1, 110-2)의 운영체제는, 데스크 탑 등의 일반 PC에 설치되는 윈도우(Window), 매킨토시(Macintosh) 등의 운영체제이거나, 스마트폰, 태블릿 PC 등의 모바일 단말기에 설치되는 iOS, 안드로이드(Android) 등의 모바일 전용 운영체제 등일 수도 있다.
이러한 의미에서, 전술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게임 서비스 제공 방법은 단말기(110-1, 110-2)에 기본적으로 설치되거나 사용자에 의해 직접 설치된 애플리케이션(즉, 프로그램)으로 구현되고, 단말기(110-1, 110-2) 등의 컴퓨터로 읽을 수 있는 기록매체에 기록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게임 서비스 제공 방법을 구현한 프로그램은, 게임이 진행되는 도중 타 캐릭터의 위치로 표시할 수 있도록 해주는 위치추적 아이템을 선택하는 기능과, 위치추적 아이템의 선택에 따라 상기 게임이 실행되는 화면의 적어도 일부에 타 캐릭터의 위치를 표시하는 기능 등을 실행한다. 이뿐만 아니라, 도 2 내지 도 8을 참조하여 전술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게임 서비스 제공 방법에 대응되는 모든 기능을 실행할 수 있다.
이러한 프로그램은 컴퓨터에 의해 읽힐 수 있는 기록매체에 기록되고 컴퓨터에 의해 실행됨으로써 전술한 기능들이 실행될 수 있다.
이와 같이, 컴퓨터가 기록매체에 기록된 프로그램을 읽어 들여 프로그램으로 구현된 게임 서비스 제공방법을 실행시키기 위하여, 전술한 프로그램은 컴퓨터의 프로세서(CPU)가 읽힐 수 있는 C, C++, JAVA, 기계어 등의 컴퓨터 언어로 코드화된 코드(Code)를 포함할 수 있다.
이러한 코드는 전술한 기능들을 정의한 함수 등과 관련된 기능적인 코드(Function Code)를 포함할 수 있고, 전술한 기능들을 컴퓨터의 프로세서가 소정의 절차대로 실행시키는데 필요한 실행 절차 관련 제어 코드를 포함할 수도 있다.
또한, 이러한 코드는 전술한 기능들을 컴퓨터의 프로세서가 실행시키는데 필요한 추가 정보나 미디어가 컴퓨터의 내부 또는 외부 메모리의 어느 위치(주소 번지)에서 참조 되어야 하는지에 대한 메모리 참조 관련 코드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컴퓨터의 프로세서가 전술한 기능들을 실행시키기 위하여 원격(Remote)에 있는 어떠한 다른 컴퓨터나 서버 등과 통신이 필요한 경우, 코드는 컴퓨터의 프로세서가 컴퓨터의 통신 모듈(예: 유선 및/또는 무선 통신 모듈)을 이용하여 원격(Remote)에 있는 어떠한 다른 컴퓨터나 서버 등과 어떻게 통신해야만 하는지, 통신 시 어떠한 정보나 미디어를 송수신해야 하는지 등에 대한 통신 관련 코드를 더 포함할 수도 있다.
그리고, 본 발명을 구현하기 위한 기능적인(Functional) 프로그램과 이와 관련된 코드 및 코드 세그먼트 등은, 기록매체를 읽어서 프로그램을 실행시키는 컴퓨터의 시스템 환경 등을 고려하여,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의 프로그래머들에 의해 용이하게 추론되거나 변경될 수도 있다.
또한 전술한 바와 같은 프로그램을 기록한 컴퓨터로 읽힐 수 있는 기록매체는 네트워크로 커넥션된 컴퓨터 시스템에 분산되어, 분산방식으로 컴퓨터가 읽을 수 있는 코드가 저장되고 실행될 수 있다. 이 경우, 다수의 분산된 컴퓨터 중 어느 하나 이상의 컴퓨터는 상기에 제시된 기능들 중 일부를 실행하고, 그 결과를 다른 분산된 컴퓨터들 중 하나 이상에 그 실행 결과를 전송할 수 있으며, 그 결과를 전송받은 컴퓨터 역시 상기에 제시된 기능들 중 일부를 실행하여, 그 결과를 역시 다른 분산된 컴퓨터들에 제공할 수 있다.
이상에서 전술한 바와 같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게임 서비스 제공 방법을 실행시키기 위한 프로그램을 기록한 컴퓨터로 읽힐 수 있는 기록매체는, 일 예로, ROM, RAM, CD-ROM, 자기 테이프, 플로피디스크, 광 미디어 저장장치 등이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게임 서비스 제공 방법을 실행시키기 위한 프로그램인 애플리케이션을 기록한 컴퓨터로 읽을 수 있는 기록매체는, 애플리케이션 스토어 서버(Application Store Server), 애플리케이션 또는 해당 서비스와 관련된 웹 서버(Web Server) 등을 포함하는 애플리케이션 제공 서버(Application Provider Server)에 포함된 저장매체(예: 하드디스크 등)이거나, 애플리케이션 제공 서버 그 자체일 수도 있으며, 프로그램을 기록한 다른 컴퓨터 또는 그 저장매체일 수도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게임 서비스 제공 방법을 실행시키기 위한 프로그램인 애플리케이션을 기록한 기록매체를 읽을 수 있는 컴퓨터는, 일반적인 데스크 탑이나 노트북 등의 일반 PC 뿐만 아니라, 스마트 폰, 태블릿 PC, PDA(Personal Digital Assistants) 및 이동통신 단말기 등의 모바일 단말기를 포함할 수 있으며, 이뿐만 아니라, 컴퓨팅(Computing) 가능한 모든 기기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만약,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게임 서비스 제공 방법을 실행시키기 위한 프로그램인 애플리케이션을 기록한 기록매체를 읽을 수 있는 컴퓨터가 스마트 폰, 태블릿 PC, PDA(Personal Digital Assistants) 및 이동통신 단말기 등의 모바일 단말기인 경우, 모바일 단말기는 애플리케이션 스토어 서버, 웹 서버 등을 포함하는 애플리케이션 제공 서버로부터 해당 애플리케이션을 다운로드 받아 설치할 수 있고, 경우에 따라서는, 애플리케이션 제공 서버에서 일반 PC로 다운로드 된 이후, 동기화 프로그램을 통해 모바일 단말기에 설치될 수도 있다.
이상에서, 본 발명의 실시예를 구성하는 모든 구성 요소들이 하나로 결합되거나 결합되어 동작하는 것으로 설명되었다고 해서, 본 발명이 반드시 이러한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즉, 본 발명의 목적 범위 안에서라면, 그 모든 구성 요소들이 하나 이상으로 선택적으로 결합하여 동작할 수도 있다. 또한, 그 모든 구성 요소들이 각각 하나의 독립적인 하드웨어로 구현될 수 있지만, 각 구성 요소들의 그 일부 또는 전부가 선택적으로 조합되어 하나 또는 복수 개의 하드웨어에서 조합된 일부 또는 전부의 기능을 수행하는 프로그램 모듈을 갖는 컴퓨터 프로그램으로서 구현될 수도 있다. 그 컴퓨터 프로그램을 구성하는 코드들 및 코드 세그먼트들은 본 발명의 기술 분야의 당업자에 의해 용이하게 추론될 수 있을 것이다. 이러한 컴퓨터 프로그램은 컴퓨터가 읽을 수 있는 저장매체(Computer Readable Media)에 저장되어 컴퓨터에 의하여 읽혀지고 실행됨으로써, 본 발명의 실시예를 구현할 수 있다. 컴퓨터 프로그램의 저장매체로서는 자기 기록매체, 광 기록매체, 등이 포함될 수 있다.
또한, 이상에서 기재된 "포함하다", "구성하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특별히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해당 구성 요소가 내재될 수 있음을 의미하는 것이므로, 다른 구성 요소를 제외하는 것이 아니라 다른 구성 요소를 더 포함할 수 있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기술적이거나 과학적인 용어를 포함한 모든 용어들은, 다르게 정의되지 않는 한,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일반적으로 이해되는 것과 동일한 의미를 가진다. 사전에 정의된 용어와 같이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용어들은 관련 기술의 문맥 상의 의미와 일치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하며, 본 발명에서 명백하게 정의하지 않는 한, 이상적이거나 과도하게 형식적인 의미로 해석되지 않는다.
이상의 설명은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을 예시적으로 설명한 것에 불과한 것으로서,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본 발명의 본질적인 특성에서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에 개시된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을 한정하기 위한 것이 아니라 설명하기 위한 것이고, 이러한 실시예에 의하여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의 범위가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의 보호 범위는 아래의 청구범위에 의하여 해석되어야 하며, 그와 동등한 범위 내에 있는 모든 기술 사상은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Claims (14)

  1. 네트워크를 통해 단말기에 게임 서비스를 제공하는 게임 서비스 제공 방법으로,
    게임이 진행되는 도중 타 캐릭터의 위치로 표시할 수 있도록 해주는 위치추적 아이템을 선택하는 단계; 및
    상기 위치추적 아이템의 선택에 따라 상기 게임이 실행되는 화면의 적어도 일부에 타 캐릭터의 위치를 표시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게임 서비스 제공방법.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위치추적 아이템을 선택하는 단계 이후,
    선택한 상기 위치추적 아이템을 일정 거리에 근접한 타 캐릭터에 부착하는 단계를 추가로 포함하며,
    상기 타 캐릭터의 위치를 표시하는 단계에서, 상기 타 캐릭터는 상기 위치추적 아이템이 부착된 타 캐릭터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게임 서비스 제공방법.
  3.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타 캐릭터와 일정 거리에 근접한 제3의 캐릭터가 상기 타 캐릭터에 부착된 위치추적 아이템의 부착을 해제하는 경우 상기 게임이 실행되는 화면의 적어도 일부에 상기 타 캐릭터의 위치를 표시하기를 중단하는 단계를 추가로 포함하는 게임 서비스 제공방법.
  4.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타 캐릭터의 위치를 표시하는 단계에서,
    상기 타 캐릭터는 상기 사용자를 공격한 타 캐릭터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게임 서비스 제공방법.
  5. 제 4항에 있어서,
    일정 조건을 만족할 경우 상기 게임이 실행되는 화면의 적어도 일부에 상기 타 캐릭터의 위치를 표시하기를 중단하는 단계를 추가로 포함하는 게임 서비스 제공방법.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게임이 실행되는 화면의 적어도 일부는 적어도 하나의 캐릭터의 위치를 표시하는 미니맵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게임 서비스 제공방법.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타 캐릭터의 위치를 표시하는 단계에서, 상기 타 캐릭터의 위치를 영상과 함께 음성으로 표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게임 서비스 제공방법.
  8. 네트워크를 통해 단말기에 게임 서비스를 제공하는 게임 서비스 제공 장치로,
    타 캐릭터의 위치로 표시할 수 있도록 해주는 위치추적 아이템 및 사용자의 캐릭터와 타 캐릭터의 정보를 저장하는 데이터베이스부;
    상기 게임을 진행하는 게임 로직부; 및
    상기 게임이 진행되는 도중 상기 위치추적 아이템의 선택에 따라 상기 게임이 실행되는 화면의 적어도 일부에 상기 타 캐릭터의 위치를 표시하도록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는 게임 서비스 제공 장치.
  9. 제 8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위치추적 아이템의 선택과 선택한 상기 위치추적 아이템을 일정 거리에 근접한 타 캐릭터에 부착함에 따라 상기 게임이 실행되는 화면의 적어도 일부에 상기 위치추적 아이템이 부착된 타 캐릭터의 위치를 표시하도록 제어하는 게임 서비스 제공 장치.
  10. 제 9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타 캐릭터와 일정 거리에 근접한 제3의 캐릭터가 상기 타 캐릭터에 부착된 위치추적 아이템의 부착을 해제하는 경우 상기 게임이 실행되는 화면의 적어도 일부에 상기 타 캐릭터의 위치를 표시하기를 중단하도록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게임 서비스 제공 장치.
  11. 제 8항에 있어서,
    상기 타 캐릭터는 상기 사용자의 캐릭터를 공격한 타 캐릭터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게임 서비스 제공 장치.
  12. 제 11항에 있어서,
    일정 조건을 만족할 경우 상기 게임이 실행되는 화면의 적어도 일부에 상기 타 캐릭터의 위치를 표시하기를 중단하도록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게임 서비스 제공 장치.
  13. 제8항에 있어서,
    상기 게임이 실행되는 화면의 적어도 일부는 적어도 하나의 캐릭터의 위치를 표시하는 미니맵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게임 서비스 제공 장치.
  14. 제8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타 캐릭터의 위치를 영상과 함께 음성으로 표시하도록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게임 서비스 제공 장치.
KR1020120002140A 2012-01-06 2012-01-06 게임 서비스 제공방법 및 장치 KR20130089854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002140A KR20130089854A (ko) 2012-01-06 2012-01-06 게임 서비스 제공방법 및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002140A KR20130089854A (ko) 2012-01-06 2012-01-06 게임 서비스 제공방법 및 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30089854A true KR20130089854A (ko) 2013-08-13

Family

ID=4921560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20002140A KR20130089854A (ko) 2012-01-06 2012-01-06 게임 서비스 제공방법 및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30089854A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10032338A (ko) * 2014-09-29 2021-03-24 엔에이치엔 주식회사 캐릭터를 이용한 온라인 보드 게임을 제공하는 게임 서비스 방법 및 시스템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10032338A (ko) * 2014-09-29 2021-03-24 엔에이치엔 주식회사 캐릭터를 이용한 온라인 보드 게임을 제공하는 게임 서비스 방법 및 시스템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9861889B2 (en) System and method for location-based gaming with real world locations and population centers
CN108211358B (zh) 信息的显示方法和装置、存储介质、电子装置
CN113134237A (zh) 虚拟奖励资源的分配方法、装置、电子设备及存储介质
JP2013128583A (ja) プログラム、情報記憶媒体及びサーバ
US10029177B2 (en) System and method for a videogame with a secondary metagame
JP7057930B2 (ja) ユーザの位置情報に基づきコンピュータがゲームを進行させる方法およびシステムならびに当該方法をコンピュータに実行させるプログラム
JP5806789B1 (ja) オンラインゲームにおけるキャラクタに対するゲームオブジェクトの自動支給
JP5792154B2 (ja) ゲームシステム及びゲーム制御方法
JP2015221208A (ja) オンラインゲームにおけるプレイヤの協力の容易化
KR20150083488A (ko) 온라인 게임 제공 방법 및 그 게임 제공 서버
KR20160144939A (ko) 경쟁게임 제공 시스템 및 방법과 그 프로그램 및 기록매체
KR100841069B1 (ko) 온라인 1인칭 슈팅 게임에서 팀플레이를 위한 인식표 관리시스템 및 방법
KR20130089854A (ko) 게임 서비스 제공방법 및 장치
KR101414594B1 (ko) 대규모 이용자의 게임 접속 및 게임 실행 방법 및 이를 구현하는 장치
KR20170108751A (ko) 경쟁게임 제공 시스템 및 방법과 그 프로그램 및 기록매체
US10967261B2 (en) Physical element linked computer gaming methods and systems
KR20130114314A (ko) 사용자별 대전 정보 표시 방법 및 장치
KR20130055844A (ko) 게임 내 이용자 간 자동 매칭 기능을 제공하는 방법, 게임 서버, 단말기 및 기록매체
KR20200126628A (ko) 실시간 전략전투게임 제공장치 및 방법과 그 프로그램 및 기록매체
KR101298652B1 (ko) 게임 내 가상 공간 생성 기능을 제공하는 방법, 게임 서버, 단말기 및 기록매체
KR20140008003A (ko) 카드 게임을 제공하는 방법, 서버 및 장치
KR101556001B1 (ko) 게임 제공 방법, 서버 및 기록매체
JP7041370B2 (ja) ゲームプログラム、ゲームシステム、及びサーバ装置
KR20130089698A (ko) 게임 캐릭터 및 계정 간의 연동 기능을 제공하는 게임 서비스 제공 방법 및 장치
KR102553856B1 (ko) 통제 정보 제공 장치 및 방법, 통제 정보 표시 장치 및 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AMND Amendment
E90F Notification of reason for final refusal
AMND Amend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