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30089740A - 온라인 게임에서의 멘토 시스템 및 그 제공방법 - Google Patents

온라인 게임에서의 멘토 시스템 및 그 제공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30089740A
KR20130089740A KR1020110146936A KR20110146936A KR20130089740A KR 20130089740 A KR20130089740 A KR 20130089740A KR 1020110146936 A KR1020110146936 A KR 1020110146936A KR 20110146936 A KR20110146936 A KR 20110146936A KR 20130089740 A KR20130089740 A KR 20130089740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layer character
mentor
online game
mentee
game serv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1014693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843345B1 (ko
Inventor
한구민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엔씨소프트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엔씨소프트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엔씨소프트
Priority to KR102011014693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843345B1/ko
Publication of KR2013008974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30089740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84334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843345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50/00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implementation of business processes of specific business sectors, e.g. utilities or tourism
    • G06Q50/10Services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FCARD, BOARD, OR ROULETTE GAMES; INDOOR GAMES USING SMALL MOVING PLAYING BODIES; VIDEO GAMES; GAM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A63F13/00Video games, i.e. games using an electronically generated display having two or more dimensions
    • A63F13/50Controlling the output signals based on the game progress
    • A63F13/53Controlling the output signals based on the game progress involving additional visual information provided to the game scene, e.g. by overlay to simulate a head-up display [HUD] or displaying a laser sight in a shooting game
    • A63F13/537Controlling the output signals based on the game progress involving additional visual information provided to the game scene, e.g. by overlay to simulate a head-up display [HUD] or displaying a laser sight in a shooting game using indicators, e.g. showing the condition of a game character on screen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FCARD, BOARD, OR ROULETTE GAMES; INDOOR GAMES USING SMALL MOVING PLAYING BODIES; VIDEO GAMES; GAM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A63F13/00Video games, i.e. games using an electronically generated display having two or more dimensions
    • A63F13/85Providing additional services to players
    • A63F13/86Watching games played by other player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ultimedia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Tourism & Hospitalit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Marketing (AREA)
  • Primary Health Care (AREA)
  • Strategic Management (AREA)
  • Human Resources & Organizations (AREA)
  • General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Economics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Optics & Photonic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Management, Administration, Business Operations System, And Electronic Commerce (AREA)

Abstract

온라인 게임에서의 멘토 시스템 및 그 제공방법이 개시된다. 본 발명에 의할 때 온라인 게임의 특정 컨텐츠에 익숙하지 아니한 플레이어 캐릭터가 해당 컨텐츠를 마스터한 플레이어 캐릭터를 자신의 멘토로 삼아 관전 모드에서 해당 컨텐츠를 함께 플레이하며 게임 플레이에 관한 기술과 노하우를 직접적으로 전수받을 수 있다. 멘토는 온라인 게임 내에서 명성과 소정의 리워드를 얻을 수 있다. 이에 의할 때 신규 게이머들로 하여금 게임 플레이 방법을 용이하게 습득토록 할 수 있으며,게임 적응 실패로 인해 게임에서 이탈하는 신규 게이머들의 수가 감소되는 효과가 있다.

Description

온라인 게임에서의 멘토 시스템 및 그 제공방법{MENTOR SYSTEM IN ONLINE GAME AND PROVISION METHOD THEREOF}
본 발명은 온라인 게임의 운영방법에 관한 것이다.
인터넷의 보급과 하드웨어 기술의 발전에 힘입어 게임 시장의 헤게모니는 점차 패키지 게임에서 온라인 게임으로 이동해왔다.
과거 십여년간 온라인 게임은 양적, 질적으로 성장을 거듭해왔으며, 누구나 쉽게 조작법을 익혀 즐길 수 있는 아케이드 게임에서부터 자신의 캐릭터를 조작하여 미션이나 퀘스트를 수행함으로써 게임을 진행하는 롤플레잉 게임에 이르기까지 스펙트럼을 갖기에 이르렀다.
온라인 게임 가운데도 수천, 수만명의 동시접속자를 자랑하는 MMORPG(Massively Multiplayer Online Role Playing Game)는 가히 온라인 게임의 백미라 할 수 있는데, 이러한 MMORPG는 혼자서 게임을 진행하는 것보다는 주로 다수의 게이머들이 게임 내에서 각기 자신의 캐릭터를 조작하되 파티를 형성하여 함께 미션이나 퀘스트를 수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게임의 내용 또한 기존의 스탠드 얼론(Stand Alone) 방식의 롤플레잉 게임에 비하여 방대해졌다.
따라서, 게임의 몰입도와 흥미가 크게 향상된 반면, 초기에 게임에 적응하고 충분한 흥미를 느끼기까지 어느 정도의 시간과 학습과정이 필요하다. 이에 대부분의 온라인 게임들은 게임의 시작시에 조작법을 익힐 수 있도록 튜토리얼을 제공한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튜토리얼은 게임의 조작법을 익히는데 도움을 줄 뿐 게임 내에서의 타 게이머들과의 관계형성이나, 실질적인 퀘스트의 수행을 위한 각종 노하우, 아이템 수집 등 게임 진행을 위한 필수적인 요소들을 익히는 데 도움이 되지 못한다는 한계점이 있다.
이에 본 출원인은 게임에 충분히 적응한 기존 게이머들로 하여금 신규 게이머들의 게임 적응을 돕도록 하는 수단을 개발하여 특허공개번호 제10-2011-81399호 "온라인 게임 내 사제 관리 시스템 및 그 제공방법"으로 출원한 바 있다.
이에 의할 때 신규 게이머들이 자력으로는 수행이 용이하지 아니한 퀘스트 등을 충분한 아이템, 캐릭터 레벨을 갖춘 기존 게이머들과 함께함으로써 단시간에 게임에 흥미를 느끼고 적응할 수 있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이러한 종래기술에 의할 때 신규 게이머들이 게임에 적응할 수 있도록 기존 게이머들이 경험치나 아이템을 몰아주는 형태로 협업 플레이가 이루어질 뿐이어서 실제로 초보 게이머들에게 게임 플레이를 위한 노하우가 전수되지 못하는 문제점이 발견되었다.
따라서, 기존 게이머들이 게임 플레이를 하며 습득한 플레이 방식이나 각종 게임 플레이에 관한 노하우가 초보 게이머들에게 온전히 전수될 수 있도록 하는 방법론의 모색이 필요한 실정이다.
특허공개번호 제10-2011-81399호 "온라인 게임 내 사제 관리 시스템 및 그 제공방법"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종래기술의 문제점을 해소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 게임 내에서 인정받고 싶어하는 기존 게이머들의 욕구와 게임 플레이와 관련된 정보를 직접적으로 제공받고 싶어하는 신규 게이머들의 욕구의 접점을 활용하여 기존 게이머들로 하여금 신규 게이머들을 지도함으로써 게임 내에서의 평판을 얻게하고, 신규 게이머들로 하여금 게임 플레이를 위한 노하우를 직접적으로 습득케하는 온라인 게임에서의 멘토 시스템의 제공을 그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단순히 신규 게이머들에게 아이템이나 경험치를 몰아주는 것에서 더 나아가 신규 게이머들로 하여금 기존 게이머가 게임 내에서 시전한 스킬이나 이동 동선을 특수하게 표현된 표식을 통해 확인케함으로써 게임 플레이에 단기간에 숙달되도록 하는 온라인 게임에서의 멘토 시스템의 제공에 있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에 의한 온라인 게임에서의 멘토 시스템은 네트워크를 통해 접속한 다수의 게임 클라이언트로 플레이어 캐릭터를 조작함으로써 수행되는 온라인 게임 서비스를 제공하는 온라인 게임 서버에 있어서,
상기 온라인 게임 서버는 온라인 게임 내에서 제공되는 특정 컨텐츠의 클리어 여부에 관하여 소정의 조건을 만족하는 플레이어 캐릭터를 해당 컨텐츠에 대한 멘토로 선정하며,
멘토로 선정된 플레이어 캐릭터에 대한 다른 어느 하나의 플레이어 캐릭터의 멘토링 요청에 대하여 상기 멘토로 선정된 플레이어 캐릭터가 수락함에 따라, 온라인 게임 서버가 상기 멘토링 요청을 한 플레이어 캐릭터를 상기 멘토 플레이어 캐릭터의 멘티로 설정하되,
상기 멘토 플레이어 캐릭터의 특정 컨텐츠 플레이시 온라인 게임 서버가 상기 멘티 플레이어 캐릭터로 하여금 관전 모드에서 상기 특정 컨텐츠를 플레이 할 수 있도록 처리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한편,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에 의한 온라인 게임에서의 멘토 시스템 제공방법은 네트워크를 통해 접속한 다수의 게임 클라이언트로 플레이어 캐릭터를 조작함으로써 수행되는 온라인 게임 서비스를 제공하는 온라인 게임 서버에서 실행되는 방법에 있어서,
온라인 게임 서버가 온라인 게임 내에서 제공되는 특정 컨텐츠의 클리어 여부에 관하여 소정의 조건을 만족하는 플레이어 캐릭터를 해당 컨텐츠에 대한 멘토로 선정하는 제 110 단계;
멘토로 선정된 플레이어 캐릭터에 대한 다른 어느 하나의 플레이어 캐릭터의 멘토링 요청에 대하여 상기 멘토로 선정된 플레이어 캐릭터가 수락함에 따라, 온라인 게임 서버가 상기 멘토링 요청을 한 플레이어 캐릭터를 상기 멘토 플레이어 캐릭터의 멘티로 설정하는 제 120 단계; 및
상기 멘토 플레이어 캐릭터의 특정 컨텐츠 플레이시 온라인 게임 서버가 상기 멘티 플레이어 캐릭터로 하여금 관전 모드에서 상기 특정 컨텐츠를 플레이 할 수 있도록 처리하는 제 130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러한 본 발명에 의할 때 종래기술에 의한 온라인 게임의 사제 시스템처럼 경험치를 몰아주는 것에 의해 신규 게이머의 저레벨 캐릭터의 레벨을 단시간에 올려주는 방식에서 벗어나, 신규 게이머들로 하여금 플레이 방법 자체를 습득케 함으로써 신규 게이머들이 보다 쉽게 게임에 흥미를 느끼고 적응할 수 있도록 하는 효과가 있다.
이에 의할 때 게임 적응 실패로 인해 게임에서 이탈하는 신규 게이머들의 수가 감소되며, 온라인 게임 제공사의 입장에서 볼 때에 매출증대에 기여하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온라인 게임 서버와 다수의 게임 클라이언트의 연결관계를 설명하는 망구성도이며,
도 2는 멘토 플레이어 캐릭터가 시전하는 스킬을 멘티 플레이어 캐릭터가 관전 모드에서 관찰하는 모습을 도시하는 참고도이며,
도 3은 멘토 플레이어 캐릭터의 이동 동선을 멘티 플레이어 캐릭터가 관찰하는 모습을 도시하는 참고도이며,
도 4는 본 발명에 의한 온라인 게임에서의 멘토 시스템 제공방법을 시계열적으로 설명한 플로우차트이다.
이하에서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 및 첨부하는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을 상세히 설명한다. 한편, 본 발명을 명확히 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구성과 관련없는 내용은 생략하기로 하되, 도면의 동일한 참조부호는 동일한 구성요소를 지칭함을 전제하여 설명한다.
한편, 발명의 상세한 설명 또는 특허청구범위에서 어느 하나의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를 "포함"한다고 할 때, 이는 특별히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당해 구성요소만으로 이루어지는 것으로 한정되어 해석되지 아니하며, 다른 구성요소들을 더 포함할 수 있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또한, 발명의 상세한 설명 또는 특허청구범위에서 "~수단", "~부", "~모듈", "~블록"으로 명명된 구성요소들은 적어도 하나 이상의 기능이나 동작을 처리하는 단위를 의미하며, 이들 각각은 소프트웨어 또는 하드웨어, 또는 이들의 결합에 의하여 구현될 수 있다.
도 1은 온라인 게임 서버와 다수의 게임 클라이언트의 연결관계를 설명하는 망구성도이다.
도 1에 도시된 바에 의할 때, 온라인 게임 서버(10)는 네트워크를 통해 접속한 다수의 게임 클라이언트(20)로 온라인 게임 서비스를 제공한다.
이때, 온라인 게임 서버(10)가 제공하는 온라인 게임은 바람직하게는 각 게이머가 자신의 플레이어 캐릭터를 조작하여 온라인 게임 내에서 서로 협업하거나 경쟁하면서 진행하는 형태의 온라인 게임이며, 예컨대, MMORPG(Massively Multiplayer Online Roleplaying Game)을 들 수 있다.
게이머들은 각자 자신의 게임 클라이언트(20)를 이용하여 자신의 플레이어 캐릭터를 조작하는데, 온라인 게임 플레이에 능숙한 게이머들은 게임 내에서 인정받기를 희망하며 후술하는 바와 같이 온라인 게임 내에서의 소정 조건 만족시 특정 온라인 게임 컨텐츠와 관련하여 멘토로서 타인의 게임 플레이에 도움을 줄 수 있다.
반면, 신규 게이머들은 상기 온라인 게임의 플레이에 관한 노하우를 직접적으로 전수받기 위하여 온라인 게임 내에서 멘토로 선정된 플레이어 캐릭터에 대해 멘토링 요청을 할 수 있다.
멘토링 요청을 받은 기존 게이머는 이를 허락함으로써 상기 신규 게이머의 플레이어 캐릭터를 멘티로 받아들이게 된다.
본 발명에 의한 온라인 게임에서의 멘토 시스템은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네트워크를 통해 다수의 게임 클라이언트(20)와 연결되는 온라인 게임 서버(10)에 구현될 수 있다.
본 발명에 의한 온라인 게임에서의 멘토 시스템에 의하여 멘토 플레이어 캐릭터(1)와 멘티 플레이어 캐릭터(2)간 지식과 노하우가 전수되는 과정을 상세히 살펴보기로 한다.
온라인 게임 서버(10)는 온라인 게임 내에서 제공되는 특정 컨텐츠의 클리어 여부에 관하여 소정의 조건을 만족하는 플레이어 캐릭터를 해당 컨텐츠에 대한 멘토로 선정한다.
통상 온라인 게임의 업데이트시 신규 컨텐츠들이 대거 추가되는데, 새롭게 추가된 컨텐츠에 대해 가장 앞서 마스터한 게이머의 플레이어 캐릭터를 멘토 플레이어 캐릭터(1)로 선정할 수 있다.
예컨대, 온라인 게임의 업데이트에 의하여 다수의 퀘스트가 추가된 경우 각 퀘스트별로 가장 먼저 클리어한 플레이어 캐릭터를 멘토 플레이어 캐릭터(1)로 선정할 수 있으며, 이 경우 최초에는 각 퀘스트 마다 한 명씩의 멘토 플레이어 캐릭터(1)들이 탄생하게 된다.
이때, 각 멘토 플레이어 캐릭터(1)는 온라인 게임 내에서 각각 해당 퀘스트에 대하여 멘토로 표시되며, 다른 플레이어 캐릭터들은 온라인 게임 내에 구비된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이용하여 멘토 플레이어 캐릭터(1)에게 해당 퀘스트와 관련하여 자신의 멘토가 되어줄 것을 요청할 수 있다.
멘토 플레이어 캐릭터(1)가 이를 허락함에 따라 온라인 게임 서버(10)는 멘토링 요청을 한 플레이어 캐릭터를 멘티 플레이어 캐릭터(2)로 선정하여, 상기 멘토 플레이어 캐릭터(1)와의 관계성을 형성한다.
한편, 온라인 게임 서버(10)는 멘티 플레이어 캐릭터(2)로 하여금 상기 멘토 플레이어 캐릭터(1)의 온라인 게임 플레이시 함께 플레이를 하되 관전 모드에서 플레이할 수 있도록 처리한다.
예컨대, 멘토 플레이어 캐릭터(1)가 멘토 자격을 갖는 특정 컨텐츠에 대해서 멘티 플레이어 캐릭터(2)는 멘토 플레이어 캐릭터(1)와 함께 플레이를 하는데, 이때 멘티 플레이어 캐릭터(2)의 캐릭터 상태 항목 가운데 적어도 일부는 해당 게임 플레이의 결과에 영향을 받지 아니한다.
예컨대, 멘토 플레이어 캐릭터(1)와 함께 특정 퀘스트를 수행하되, 몬스터로부터 공격을 받지 않도록 함으로써 퀘스트 수행 전후 체력의 변화가 없도록 한다거나, 멘토 플레이어 캐릭터(1)의 플레이를 지켜본 것에 불과하므로 아이템이나 경험치를 얻을 수 없도록 한다는 등이 그것이다.
캐릭터 상태 항목으로는 통상적으로 체력, 마력, 경험치, 레벨, 보유 장비 등을 들 수 있다.
한편, 이와 같은 관전 모드에서는 멘티 플레이어 캐릭터(2)가 게임 플레이에 관한 지식과 노하우를 보다 직접적으로 습득할 수 있도록 도 2 및 도 3에 예시된 바와 같은 몇 가지의 보조적인 수단이 강구될 수 있다.
도 2 및 도 3은 각각 멘티 플레이어 캐릭터(2)가 관전 모드에서 멘토 플레이어 캐릭터(1)의 게임 플레이를 보면서 직접 게임 플레이에 관한 지식과 노하우가 전수되는 모습을 예시한다.
멘티 플레이어 캐릭터(2)는 온라인 게임의 플레이시 특정 퀘스트의 수행을 위해 멘토 플레이어 캐릭터(1)가 어떤 스킬을 시전하는지 정확하게 알 필요가 있다.
멘토 플레이어 캐릭터(1)는 특정 컨텐츠의 플레이시 공격이나 방어 등을 위하여 다양한 스킬을 시전할 수 있으며, 단순히 멘토 플레이어 캐릭터(1)의 플레이를 지켜보는 것 만으로는 어떤 스킬을 시전하는지를 정확하게 이해할 수 없다. 이에 온라인 게임 서버(10)는 적어도 상기 멘티 플레이어 캐릭터(2)를 조작하는 게임 클라이언트(20) 화면에 상기 멘토 플레이어 캐릭터(1)의 스킬 시전시 해당 스킬에 관한 정보가 표시되도록 처리한다.
도 2는 멘토 플레이어 캐릭터(1)의 스킬 시전에 따라 해당 스킬에 관한 정보가 화면에 표시된 모습을 예시하는데, 이와 같이 온라인 게임 서버(10)는 멘티 플레이어 캐릭터(2)를 조작하는 게임 클라이언트(20) 화면상 멘토 플레이어 캐릭터(1)의 위치 부근에 팝업 또는 말풍선의 형태로 해당 스킬에 관한 정보를 표시할 수 있다.
스킬에 관한 정보란 스킬의 이름은 무엇인지, 발동 조건은 무엇인지, 발동의 결과 적에게 입힌 데미지는 얼마인지 등의 해당 스킬을 설명하기 위한 각종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한편, 멘티 플레이어 캐릭터(2)는 온라인 게임의 플레이시 특정 퀘스트의 수행을 위해 멘토 플레이어 캐릭터(1)가 어떤 동선을 따라 이동을 하는지 정확하게 숙지해야하는 경우가 있다.
이러한 경우를 위하여 온라인 게임 서버(10)는 도 3에 예시된 바와 같이 적어도 멘티 플레이어 캐릭터(2)를 조작하는 게임 클라이언트(20) 화면상에 멘토 플레이어 캐릭터(1)의 이동 동선이 표시되도록 처리할 수 있다.
이에 의하여 신규 게이머는 게임 클라이언트(20)를 통해 멘티 플레이어 캐릭터(2)를 조작하여 멘토 플레이어 캐릭터(1)가 특정 온라인 게임 컨텐츠를 플레이하는 과정을 실시간으로 보면서, 구체적으로 어떤 스킬을 사용하여 클리어하는지, 어떤 동선을 따라 이동하며 클리어하는지를 확인할 수 있다.
반대로, 특정 컨텐츠에 조기에 적응한 기존 게이머들은 해당 컨텐츠에 대해 미숙한 신규 게이머들의 플레이어 캐릭터를 멘티로 받아들임으로써 온라인 게임 내에서의 평판을 얻을 수 있다.
온라인 게임 내에서 멘토 플레이어 캐릭터로 선정되는 것은 게임 내에서 일종의 훈장과 같이 명예를 상징하며, 멘토로서의 역할을 여러 번 수행한 플레이어 캐릭터에 대해서는 예컨대 멘토 가운데 멘토라는 의미로서 "그랜드 멘토"라는 호칭이 부여될 수 있다.
또한, 이 경우 온라인 게임 내에서 공개적인 명성과 함께 소정의 보상(예컨대, 아이템 등)이 주어질 수 있다.
한편, 온라인 게임 서버(10)는 특정 컨텐츠를 최초로 클리어한 플레이어 캐릭터를 멘토 플레이어 캐릭터(1)로 선정하였으나, 멘티 플레이어 캐릭터(2)라고 하여도 멘토 플레이어 캐릭터(1)를 따라서 수차례 이상 해당 컨텐츠를 클리어하는 경우 해당 컨텐츠에 대해 충분히 숙달된 것으로 간주하여 멘토로 선정할 수 있다.
예컨대, 멘토를 따라 5차례 이상 동일한 퀘스트를 클리어한 경우 해당 멘티 플레이어 캐릭터(2)는 더 이상 멘티가 아니며, 다른 플레이어 캐릭터들의 게임 플레이를 지도하고 도울 수 있는 멘토가 된다.
이외에도 이같은 멘토 시스템을 이용하지 않고서도 자력으로 독자적으로 퀘스트를 클리어할 수도 있을 것이다. 그러나, 온라인 게임 서버(10)는 특정 컨텐츠를 최초로 클리어한 플레이어 캐릭터를 멘토 플레이어 캐릭터(1)로 선정하고 있으므로, 최초가 아닌 후순위로 해당 컨텐츠를 클리어한 플레이어 캐릭터들에 대해서는 멘토가 되기 위하여 멘토 시스템을 이용하거나 또는 멘토 시스템을 이용하지 않고서 일정 회수 이상 해당 특정 컨텐츠를 클리어 하도록 강제할 수도 있다.
이하에서는 도 4를 참조하여 본 발명에 의한 온라인 게임에서의 멘토 시스템 제공방법을 상세히 살펴보기로 한다.
도 4는 본 발명에 의한 온라인 게임에서의 멘토 시스템 제공방법을 시계열적으로 설명한 플로우차트이다.
도 4에 도시된 본 발명은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네트워크를 통해 접속한 다수의 게임 클라이언트(20)로 플레이어 캐릭터를 조작함으로써 수행되는 온라인 게임 서비스를 제공하는 온라인 게임 서버(10)에서 실행된다.
도 4에 의할 때 우선 온라인 게임 서버(10)는 온라인 게임 내에서 제공되는 특정 컨텐츠의 클리어 여부에 관하여 소정의 조건을 만족하는 플레이어 캐릭터를 해당 컨텐츠에 대한 멘토로 선정한다(S110).
예컨대, 특정 퀘스트를 가장 먼저 클리어한 플레이어 캐릭터를 멘토 플레이어 캐릭터(1)로 선정할 수 있다.
한편, 이와 같이 선정된 멘토 플레이어 캐릭터(1)에 대해 다른 어느 하나의 플레이어 캐릭터가 자신의 멘토가 되어줄 것을 요청함에 따라, 멘토 플레이어 캐릭터(1)가 온라인 게임 내에서 수락하는 경우 온라인 게임 서버(10)는 상기 멘토링 요청을 한 플레이어 캐릭터를 멘티 플레이어 캐릭터(2)로 설정한다(S120).
이에 의하여 멘토 플레이어 캐릭터(1)와 멘티 플레이어 캐릭터(2)간 일종의 사제관계가 형성이 된다.
이와 같이 멘토와 멘티의 관계가 형성이 됨에 따라 온라인 게임 서버(10)는 멘토 플레이어 캐릭터(1)가 멘토의 자격을 갖는 특정 컨텐츠를 플레이할 때, 상기 멘티 플레이어 캐릭터(2)로 하여금 관전 모드에서 상기 특정 컨텐츠를 플레이 할 수 있도록 처리한다(S130).
즉, 해당 특정 컨텐츠를 멘토 플레이어 캐릭터(1)와 멘티 플레이어 캐릭터(2)가 온라인 게임 내의 동일 공간에서 함께 플레이하도록 하되, 멘티 플레이어 캐릭터(2)의 상태 항목 가운데 적어도 일부는 온라인 게임의 플레이 결과에 영향을 받지 않도록 함으로써 관전 모드를 처리한다.
온라인 게임 서버(10)는 예컨대, 멘티 플레이어 캐릭터(2)로 하여금 해당 특정 컨텐츠를 멘토 플레이어 캐릭터(1)와 함께 플레이하도록 하되 몬스터로부터 공격을 당하지 않도록 하는 등 해당 컨텐츠의 플레이 전후 멘티 플레이어 캐릭터(2)의 체력에 변함이 없도록 처리할 수 있다.
한편, 이와 같은 관전 모드에서 신규 게이머들이 멘토 플레이어 캐릭터(1)의 게임 플레이를 직접 지켜보면서, 게임 플레이에 관련된 지식이나 노하우를 보다 직접적으로 제공받을 수 있도록 온라인 게임 서버(10)는 다음과 같은 수단을 제공할 수 있다.
우선, 온라인 게임 서버(10)는 S130 단계에서 관전 모드를 처리함에 있어, 멘티 플레이어 캐릭터(2)를 조작하는 게임 클라이언트(20) 화면에 멘토 플레이어 캐릭터의 스킬 시전시 시전된 스킬에 관한 정보를 표시할 수 있다.
이때, 도 2에 예시된 바와 같이 멘토 플레이어 캐릭터(1)의 주위에 팝업 또는 말풍선과 같은 형태로 표시할 수 있다.
이외에도, 온라인 게임 서버(10)는 S130 단계에서 관전 모드를 처리함에 있어, 멘티 플레이어 캐릭터(2)를 조작하는 게임 클라이언트(20) 화면에 멘토 플레이어 캐릭터의 이동경로를 표시할 수 있다.
한편, S110 단계에서 온라인 게임 서버(110)는 특정 컨텐츠를 최초로 클리어한 플레이어 캐릭터를 해당 컨텐츠에 대한 멘토로 선정하는 것으로 설명하였으나, 이외에도 멘티 플레이어 캐릭터(1)가 멘토를 따라서 일정 회수 이상 해당 특정 컨텐츠를 클리어하는 경우 해당 멘티 플레이어 캐릭터(1)를 멘토로 선정할 수도 있으며, 또는 온라인 게임 서버가 특정 컨텐츠를 최초로 클리어한 플레이어 캐릭터가 아닌 다른 플레이어 캐릭터로서 멘티 플레이어가 되지 아니한 채 상기 특정 컨텐츠를 일정 회수 이상 해당 클리어하는 경우 해당 플레이어 캐릭터를 멘토로 선정할 수도 있을 것이다.
한편, 본 발명에 의한 온라인 게임에서의 멘토 시스템 제공방법은 컴퓨터가 읽을 수 있는 코드로서 구현되어 컴퓨터로 읽을 수 있는 기록 매체에 수록될 수 있다.
이때, 컴퓨터가 읽을 수 있는 기록매체는 컴퓨터 시스템에 의하여 읽을 수 있는 데이터가 저장되는 모든 종류의 매체를 포함할 수 있으며, 그 예로는 DVD-ROM, CD-ROM, 하드 디스크, USB 메모리, 플래쉬 메모리 등을 들 수 있다.
한편, 기록매체에 수록된다는 표현은 대량으로 기록매체에 수록되어 패키지 형태로 유통되는 경우는 물론 데이터 패킷의 형태로 네트워크를 통해 제공되어 기록매체에 수록되는 경우를 모두 포괄한다.
상기에서는 "서버"라는 표현을 사용하였으나, 분산 컴퓨팅 환경에서는 기능이나 부하를 다수의 서버로 분할하여 처리하는 것이 일반적이므로 "서버"는 반드시 단일한 하드웨어 구성요소를 지칭하지 아니하며, 기능적으로 구분되는 서버군을 포함할 수 있다.
한편, 상기에서는 네트워크라는 표현을 사용하였으나 이때 네트워크는 거리와 규모에 따라서는 Local Area Network), WAN(Wide Area Network), 접속경로의 특징에 따라서는 인트라넷, VPN(Virtual Private Network), 접속방식에 따라서는 와이브로, WiFi, 이동통신망과 같이 지칭되는 다양한 네트워크 연결방식을 모두 포함하는 광의의 개념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본 발명은 첨부 도면 및 상기와 같은 실시예를 참조하여 설명되었으나 이는 예시적인 것에 불과하며, 본 기술 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다른 실시예가 가능하다는 점을 이해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권리범위는 오직 첨부된 특허청구범위의 기술적 사상에 의하여 정해져야 할 것이며 상기와 같은 실시예에 국한되지 아니한다.
본 발명은 온라인 게임 기술분야에 적용될 수 있다.
10 : 온라인 게임 서버
20 : 게임 클라이언트
1 : 멘토 플레이어 캐릭터
2 : 멘티 플레이어 캐릭터

Claims (17)

  1. 네트워크를 통해 접속한 다수의 게임 클라이언트로 플레이어 캐릭터를 조작함으로써 수행되는 온라인 게임 서비스를 제공하는 온라인 게임 서버에서 실행되는 방법에 있어서,
    온라인 게임 서버가 온라인 게임 내에서 제공되는 특정 컨텐츠의 클리어 여부에 관하여 소정의 조건을 만족하는 플레이어 캐릭터를 해당 컨텐츠에 대한 멘토로 선정하는 제 110 단계;
    멘토로 선정된 플레이어 캐릭터에 대한 다른 어느 하나의 플레이어 캐릭터의 멘토링 요청에 대하여 상기 멘토로 선정된 플레이어 캐릭터가 수락함에 따라, 온라인 게임 서버가 상기 멘토링 요청을 한 플레이어 캐릭터를 상기 멘토 플레이어 캐릭터의 멘티로 설정하는 제 120 단계; 및
    상기 멘토 플레이어 캐릭터의 특정 컨텐츠 플레이시 온라인 게임 서버가 상기 멘티 플레이어 캐릭터로 하여금 관전 모드에서 상기 특정 컨텐츠를 플레이 할 수 있도록 처리하는 제 130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온라인 게임에서의 멘토 시스템 제공방법.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30 단계에서 온라인 게임 서버가 상기 멘티 플레이어 캐릭터가 상기 멘토 플레이어 캐릭터와 온라인 게임 내 동일 공간에서 동일 컨텐츠를 함께 플레이하도록 하되, 상기 멘티 플레이어 캐릭터의 상태 항목 가운데 적어도 일부는 온라인 게임의 플레이 결과에 영향을 받지 않도록 함으로써 관전 모드를 처리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온라인 게임에서의 멘토 시스템 제공방법.
  3.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30 단계에서, 온라인 게임 서버가 상기 멘티 플레이어 캐릭터를 조작하는 게임 클라이언트 화면에 멘토 플레이어 캐릭터의 스킬 시전시 시전된 스킬에 관한 정보를 표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온라인 게임에서의 멘토 시스템 제공방법.
  4. 제 3 항에 있어서,
    제 130 단계에서, 온라인 게임 서버가 멘토 플레이어 캐릭터의 스킬 시전시 상기 멘티 플레이어 캐릭터를 조작하는 게임 클라이언트 화면상 상기 멘토 캐릭터가 표시된 위치에서 일정 거리 이내에 팝업 또는 말풍선의 형태로 시전된 스킬에 대한 정보를 표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온라인 게임에서의 멘토 시스템 제공방법.
  5. 제 1 항에 있어서,
    제 130 단계에서, 온라인 게임 서버가 상기 멘티 플레이어 캐릭터를 조작하는 게임 클라이언트 화면에 멘토 플레이어 캐릭터의 이동 동선이 표시되도록 함으로써 관전 모드를 처리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온라인 게임에서의 멘토 시스템 제공방법.
  6.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10 단계에서, 온라인 게임 서버가 특정 컨텐츠를 최초로 클리어한 플레이어 캐릭터를 해당 컨텐츠에 대한 멘토로 선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온라인 게임에서의 멘토 시스템 제공방법.
  7.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10 단계에서, 온라인 게임 서버가 멘티 플레이어 캐릭터가 일정 회수 이상 해당 특정 컨텐츠를 클리어하는 경우 해당 멘티 플레이어 캐릭터를 멘토로 선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온라인 게임에서의 멘토 시스템 제공방법.
  8.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10 단계에서, 온라인 게임 서버가 특정 컨텐츠를 최초로 클리어한 플레이어 캐릭터가 아닌 다른 플레이어 캐릭터로서 멘티 플레이어가 되지 아니한 채 상기 특정 컨텐츠를 일정 회수 이상 해당 클리어하는 경우 해당 플레이어 캐릭터를 멘토로 선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온라인 게임에서의 멘토 시스템 제공방법.
  9. 제 1 항 내지 제 8 항 가운데 어느 한 항에 기재된 온라인 게임에서의 멘토 시스템 제공방법을 컴퓨터상에서 실행하는 프로그램이 수록된 컴퓨터로 판독가능한 기록 매체.
  10. 네트워크를 통해 접속한 다수의 게임 클라이언트로 플레이어 캐릭터를 조작함으로써 수행되는 온라인 게임 서비스를 제공하는 온라인 게임 서버에 있어서,
    상기 온라인 게임 서버는 온라인 게임 내에서 제공되는 특정 컨텐츠의 클리어 여부에 관하여 소정의 조건을 만족하는 플레이어 캐릭터를 해당 컨텐츠에 대한 멘토로 선정하며,
    멘토로 선정된 플레이어 캐릭터에 대한 다른 어느 하나의 플레이어 캐릭터의 멘토링 요청에 대하여 상기 멘토로 선정된 플레이어 캐릭터가 수락함에 따라, 온라인 게임 서버가 상기 멘토링 요청을 한 플레이어 캐릭터를 상기 멘토 플레이어 캐릭터의 멘티로 설정하되,
    상기 멘토 플레이어 캐릭터의 특정 컨텐츠 플레이시 온라인 게임 서버가 상기 멘티 플레이어 캐릭터로 하여금 관전 모드에서 상기 특정 컨텐츠를 플레이 할 수 있도록 처리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온라인 게임에서의 멘토 시스템.
  11. 제 10 항에 있어서,
    상기 온라인 게임 서버는 상기 멘티 플레이어 캐릭터가 상기 멘토 플레이어 캐릭터와 온라인 게임 내 동일 공간에서 동일 컨텐츠를 함께 플레이하도록 하되, 상기 멘티 플레이어 캐릭터의 상태 항목 가운데 적어도 일부는 온라인 게임의 플레이 결과에 영향을 받지 않도록 함으로써 관전 모드를 처리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온라인 게임에서의 멘토 시스템.
  12. 제 11 항에 있어서,
    상기 온라인 게임 서버는 상기 멘티 플레이어 캐릭터를 조작하는 게임 클라이언트 화면에 멘토 플레이어 캐릭터의 스킬 시전시 시전된 스킬에 관한 정보를 표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온라인 게임에서의 멘토 시스템.
  13. 제 12 항에 있어서,
    상기 온라인 게임 서버는 멘토 플레이어 캐릭터의 스킬 시전시 상기 멘티 플레이어 캐릭터를 조작하는 게임 클라이언트 화면상 상기 멘토 캐릭터가 표시된 위치에서 일정 거리 이내에 팝업 또는 말풍선의 형태로 시전된 스킬에 대한 정보를 표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온라인 게임에서의 멘토 시스템.
  14. 제 10 항에 있어서,
    상기 온라인 게임 서버는 상기 멘티 플레이어 캐릭터를 조작하는 게임 클라이언트 화면에 멘토 플레이어 캐릭터의 이동 동선이 표시되도록 함으로써 관전 모드를 처리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온라인 게임에서의 멘토 시스템.
  15. 제 10 항에 있어서,
    상기 온라인 게임 서버는 특정 컨텐츠를 최초로 클리어한 플레이어 캐릭터를 해당 컨텐츠에 대한 멘토로 선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온라인 게임에서의 멘토 시스템.
  16. 제 15 항에 있어서,
    상기 온라인 게임 서버는 멘티 플레이어 캐릭터가 일정 회수 이상 해당 특정 컨텐츠를 클리어하는 경우 해당 멘티 플레이어 캐릭터를 멘토로 선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온라인 게임에서의 멘토 시스템.
  17. 제 16 항에 있어서,
    상기 온라인 게임 서버는 특정 컨텐츠를 최초로 클리어한 플레이어 캐릭터가 아닌 다른 플레이어 캐릭터로서 멘티 플레이어가 되지 아니한 채 상기 특정 컨텐츠를 일정 회수 이상 해당 클리어하는 경우 해당 플레이어 캐릭터를 멘토로 선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온라인 게임에서의 멘토 시스템.
KR1020110146936A 2011-12-30 2011-12-30 온라인 게임에서의 멘토 시스템 및 그 제공방법 KR101843345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146936A KR101843345B1 (ko) 2011-12-30 2011-12-30 온라인 게임에서의 멘토 시스템 및 그 제공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146936A KR101843345B1 (ko) 2011-12-30 2011-12-30 온라인 게임에서의 멘토 시스템 및 그 제공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30089740A true KR20130089740A (ko) 2013-08-13
KR101843345B1 KR101843345B1 (ko) 2018-03-30

Family

ID=4921551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10146936A KR101843345B1 (ko) 2011-12-30 2011-12-30 온라인 게임에서의 멘토 시스템 및 그 제공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843345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00120081A (ko) * 2019-04-11 2020-10-21 넷마블 주식회사 사용자 협력형 컨텐츠 제공 방법 및 장치
KR20200128751A (ko) * 2018-03-23 2020-11-16 소니 인터랙티브 엔터테인먼트 엘엘씨 게이밍 애플리케이션의 게임 플레이 동안 플레이어를 실시간으로 전문가 도움과 연결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00128751A (ko) * 2018-03-23 2020-11-16 소니 인터랙티브 엔터테인먼트 엘엘씨 게이밍 애플리케이션의 게임 플레이 동안 플레이어를 실시간으로 전문가 도움과 연결
KR20210064391A (ko) * 2018-03-23 2021-06-02 소니 인터랙티브 엔터테인먼트 엘엘씨 게이밍 애플리케이션의 게임 플레이 동안 플레이어를 실시간으로 전문가 도움과 연결
KR20200120081A (ko) * 2019-04-11 2020-10-21 넷마블 주식회사 사용자 협력형 컨텐츠 제공 방법 및 장치
US11103793B2 (en) 2019-04-11 2021-08-31 Netmarble Corporation Method and apparatus for providing user collaborative content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843345B1 (ko) 2018-03-3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1484799B2 (en) System and method for providing a quest from a probability item bundle in an online game
US9399168B2 (en) Method for implementing a computer game
JP6574561B2 (ja) ゲームシステム、サーバシステム及びプログラム
CN113171608B (zh) 用于基于网络的视频游戏应用程序的系统和方法
US11395966B2 (en) Generating game configurations
US11504627B2 (en) Game system, server system, terminal and method of executing game that provides advantageous effect to team
JP2016185284A (ja) サーバシステム、ゲームシステム及びプログラム
US11298620B2 (en) Game system, game processing method, computer-readable non-transitory storage medium having stored therein game program, and game apparatus
JP2018042740A (ja) ゲーム用サーバシステム及びプログラム
KR101183749B1 (ko) 온라인 게임에서의 예상 결과 정보를 표시하는 방법 및 서버
KR20130089740A (ko) 온라인 게임에서의 멘토 시스템 및 그 제공방법
JP6967680B1 (ja) ゲームサーバ、ゲームプログラム、情報処理方法
JP7062311B2 (ja) ゲームの評価方法、装置及びプログラム並びにアプリの評価方法
JP2018000488A (ja) サーバシステム及びプログラム
JP2020044035A (ja) プログラム、ゲーム装置及びサーバ装置
Laursen et al. Investigating small scale combat situations in real-time-strategy computer games
JP6956210B2 (ja) サーバシステム、ゲームシステム及びプログラム
JP7038886B1 (ja) ゲームサーバ、ゲームプログラム、情報処理方法
JP7341691B2 (ja) プログラム、ゲーム装置及びサーバ装置
JP7194671B2 (ja) サーバシステム、ゲームシステム、ゲーム提供方法及びプログラム
US20230219009A1 (en) Competitive event based reward distribution system
Morris MOBA Games: A Critical Analysis Into What Makes And Breaks Them, And What Influences Players to Keep Returning
Lagos et al. BARTLE’S TEST–REINVENTING THE TEST
Narinen How Player Retention Works in Free-to-Play Mobile Games: A Study of Player Retention Methods
Romo Flores To Conquer Or To Kill?: A qualitative study on game mechanics and player experience in MOBA games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