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30087938A - 오미자 추출물을 포함하는 주름 개선용 화장료 조성물 - Google Patents

오미자 추출물을 포함하는 주름 개선용 화장료 조성물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30087938A
KR20130087938A KR1020120009210A KR20120009210A KR20130087938A KR 20130087938 A KR20130087938 A KR 20130087938A KR 1020120009210 A KR1020120009210 A KR 1020120009210A KR 20120009210 A KR20120009210 A KR 20120009210A KR 20130087938 A KR20130087938 A KR 20130087938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ells
extract
effect
hydrogen peroxide
schizandra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2000921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서성수
서상원
Original Assignee
(주)해피콜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해피콜 filed Critical (주)해피콜
Priority to KR1020120009210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30087938A/ko
Publication of KR2013008793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30087938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1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 A61K8/96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materials, or derivatives thereof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 A61K8/97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materials, or derivatives thereof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from algae, fungi, lichens or plants; from derivatives thereof
    • A61K8/9783Angiosperms [Magnoliophyta]
    • A61K8/9789Magnoliopsida [dicotyled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36/00Medicinal preparations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containing material from algae, lichens, fungi or plants, or derivatives thereof, e.g. traditional herbal medicines
    • A61K36/18Magnoliophyta (angiosperms)
    • A61K36/185Magnoliopsida (dicotyledons)
    • A61K36/79Schisandraceae (Schisandra family)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02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special physical form
    • A61K8/14Liposomes; Vesicl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QSPECIFIC USE OF 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Q19/00Preparations for care of the skin
    • A61Q19/08Anti-ageing preparations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Natural Medicines & Medicinal Plants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Public Health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Epidemiology (AREA)
  • Biotechnology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Birds (AREA)
  • Mycology (AREA)
  • Microbiology (AREA)
  • Botany (AREA)
  • Dermatology (AREA)
  • Gerontology & Geriatric Medicin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Alternative & Traditional Medicine (AREA)
  • Medical Informatics (AREA)
  • Medicinal Chemistry (AREA)
  • Pharmacology & Pharmacy (AREA)
  • Cosmetics (AREA)

Abstract

주름 개선 효과가 우수한 오미자 추출물을 포함하는 주름 개선용 화장료 조성물을 제공한다.

Description

오미자 추출물을 포함하는 주름 개선용 화장료 조성물{Cosmetic composition for reducing skin wrinkle comprising Schizandra Chinensis fruit extracts}
본 발명은 오미자 추출물을 포함하는 주름 개선용 화장료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오미자는 오미자 나무과 (Schizandraceae)에 속하는 오미자 나무 (Schizandra Chinensis Baillon)의 열매이다. 오미자 나무는 낙엽성 목본인 덩굴식물이며 붉은 색의 과실을 생약재 및 식품원료로 이용하는 주요 약용식물로서 옛날부터 여러 종류의 식품으로 가공 이용되어 왔으며, 식품분야 이외에도 한방이나 의학 분야에서도 널리 통용되고 있다.
한방에서 오미자는 진정, 진해, 해열 등의 중추억제 작용과 간 보호 및 혈압강하, 알코올에 대한 해독작용 등이 있다고 알려져 생약재로 사용되고 있으며 음식에서는 오미자의 홍색 색소를 이용한 녹말다식이나 녹말편, 오미자차 등의 음료 및 오미자술 등이 가공되어 이용되고 있다. 오미자 과실에 함유된 성분은 주로 리그난 (lignans) 화합물이며, 기름, 정유, 색소 등 다양한 성분이 함유되어 있는 것으로 보고되어 있다. 오미자의 리그난 성분은 1961년 코체코브 등이 최초로 리그난의 일종인 쉬잔드린 (schizandrin)을 분리하였으며 그 이후로 여러 연구자들에 의해 30여종의 리그난이 분리 동정되었다. 또한 오미자에 대한 성분연구를 살펴보면 대부분이 디벤조시클로옥타디엔 (dibenzocyclooctadiene) 골격의 리그난 화합물들이 주로 분리되었다. 이들 화학구조들은 R-비페닐 구조 (configuration)의 (+)-데옥시쉬잔드리 기를 비롯하여, S-비페닐 구조의 고미신 N 기 ((-)-고미신 K1), 디메틸고미신 J 및 고미신 J, 그리고 R-비페닐 구조와 C-7위에 히드록시기를 갖는 쉬잔드린 기 (고미신 A 및 고미신 H), R-비페닐 구조와 C-6위에 수산기를 갖는 고미신 O 기(에피고미신 O), S-비페닐 구조와 C-7, C-6위에 두 개의 수산기를 갖는 고미신 B 기(데안겔로일고미신 B, F 및 고미신 P) 등으로 분류되어 구분되고 있다. 하지만 지금까지는 이들 순수물질의 응용성분 생리활성에 대한 연구가 극히 미약했으며 용매에 따른 1차 추출물들과 각 분리 물질의 활성의 증진 활용에 대한 내용이 전혀 이루어지지 않고 있다.
오미자에 함유된 여러 가지 리그난 화합물들 중 고미신 A와 고미신 N에 대하여 그 분석은 많이 이루어져 있으며, 그 정량분석법들도 많이 연구되어져 있다. 오미자 열매에 대한 분석의 일예로서 오미자 열매를 음건한 후 분쇄하여 그 분쇄물을 여러 가지 용매로 연속 추출하여 분획물을 얻는다. 그 분획물을 실리카겔 (silical gel) 칼럼 크로마토그래피를 이용하여 TLC 플레이트에 전개하고 자외선 (UV) 램프를 이용하여 분획물을 나눈다. 나누어진 분획물은 HPLC를 이용하여 재차 순차적으로 분석물질을 나누어 질량 스펙트로메터를 이용하여 물질을 확인한다. 기존에 상기와 같이 오미자로부터 분리된 물질의 확인에 관한 연구 내용은 있었지만, 이 분리물질에 대한 기능성 활성에 대한 연구 또는 보고에 대한 내용은 없었다.
본 발명자들은 오미자 추출물이 오미자 특정 성분에 비하여, 피부항노화, 예를 들면 주름개선에 현저한 효과가 있다는 것을 발견하고, 본 발명을 완성하였다.
본 발명의 일 양상은 효과적인 주름 개선 효과를 갖는 화장료 조성물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일 양상은 오미자 추출물을 포함하는 주름 개선용 화장료 조성물을 제공한다.
상기 화장료 조성물에 있어서, 오미자 추출물을 0.001w/v% 내지 1 w/w% 함유하는 것일 수 있다. 또한, 상기 화장료 조성물은 고미신 N뿐만 아니라, 다른 오미자 성분을 함께 포함함으로써, 상승적으로 주름 개선 효과를 나타내는 것일 수 있다.
상기 화장료 조성물은 나노입자 제형을 갖는 것일 수 있다. 예를 들면, 상기 화장료 조성물은 리포좀의 제형을 갖는 것일 수 있다. 그러나, 상기 화장료 조성물이 특정한 제형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당업계에 알려진 임의의 제형으로 제제화될 수 있다.
상기 화장료 조성물에 있어서, 상기 오미자 추출물은 오미자 분쇄물을 메탄올로 추출하여 얻어진 메탄올 추출물을 헥산과 물층으로 분획한 후, 헥산층을 실리카 칼럼크로마토그래피를 수행하고, 항산화 활성을 갖는 분획을 취하는 것에 의하여 얻어진 것일 수 있다. 예를 들면, 오미자를 분쇄하여 메탄올에 첨가하여 100℃온도에서 환류 추출하여, 오미자 메탄올을 추출물을 얻고, 감압 농축하여 농축물을 얻는다.
다음으로, 여기에 물 5L를 가하여 현탁시킨 후 동량의 헥산을 첨가하여 헥산층과 물층으로 분획하였다. TLC (헥산:에틸아세테이트=4:1)로 전개하여 항산화 효과를 가지는 밴드를 가지는 헥산층을 농축하여 29.3g을 얻었다. 헥산층 농축물 70g을 실리카겔 칼럼크로마토그라피 (전개용매; 헥산:에틸아세테이트 = 8:1 → 1:1)를 하여 5개의 분획을 얻었다. TLC 전개를 통해 항산화 효과를 가지는 밴드를 나타내는 1-2번 분획을 다시 실리카겔 칼럼크로마토그라피 (전개용매; 헥산:에틸아세테이트 = 8:1)를 하여 3개의 분획을 얻었다. 이중 HPLC (칼럼; Zorbax Eclipse plus C18, 4.6x250mm, 5㎛), 유동속도; 0.8㎖/min, UV 디텍터; 250nm, 용매; 70% 아세토나이트릴:30% 물:0.1% 포름산)를 실시하여 활성부위가 가장 넓은 면적을 가지는 2-2번 분획물을 오미자 추출물 A라 명명하였다. 또한 1-2번 분획을 C18 칼럼 크로마토그라피 (전개용매; MeOH)를 하여 3개의 분획을 얻었고, 이를 HPLC를 실시하여 활성부위가 가장 넓은 면적을 가지는 3-2번 분획물을 오미자 추출물 C라 명명하였다.
상기 화장료 조성물은 약학적으로 또는 화장학적으로 허용가능한 담체, 희석제 또는 부형제를 포함할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오미자 추출물을 포함하는 주름 개선용 화장료 조성물에 따르면, 효율적으로 주름을 개선시킬 수 있다.
도 1은 표준물질이 HS68 세포의 생존율에 미치는 영향을 나타낸다.
도 2는 표준물질이 HaCAT 세포의 생존율에 미치는 영향을 나타낸다.
도 3은 표준물질이 A375 세포의 생존율에 미치는 영향을 나타낸다.
도 4는 오미자 추출물 A, C가 HaCAT 세포의 생존율에 미치는 영향을 나타낸다.
도 5는 오미자 추출물 A, C가 A375 세포의 생존율에 미치는 영향을 나타낸다.
도 6은 과산화수소가 HS68 세포의 생존율에 미치는 영향을 나타낸다.
도 7은 과산화수소가 HaCAT 세포의 생존율에 미치는 영향을 나타낸다.
도 8은 과산화수소가 A375 세포의 생존율에 미치는 영향을 나타낸다.
도 9는 과산화수소 및 고미신 N이 HS68 세포의 생존율에 미치는 영향을 나타낸다.
도 10은 과산화수소 및 고미신 N이 HaCaT 세포의 생존율에 미치는 영향을 나타낸다.
도 11는 과산화수소 및 고미신 N이 A375 세포의 생존율에 미치는 영향을 나타낸다.
도 12는 과산화수소 및 오미자 추출물 A, C가 HaCaT 세포의 생존율에 미치는 영향을 나타낸다.
도 13는 과산화수소 및 오미자 추출물 A, C가 A375 세포의 생존율에 미치는 영향을 나타낸다.
도 14는 HaCAT 세포에서 과산화수소와 고미신 N이 프로콜라겐 타입 I의 발현에 미치는 영향을 나타낸다.
도 15는 HaCAT 세포에서 과산화수소 및 오미자 추출물이 프로콜라겐 타입 I의 발현에 미치는 영향을 나타낸다.
도 16은 HaCAT 세포에서 과산화수소 및 고미신 N이 TIMP-1의 발현에 미치는 영향을 나타낸다.
도 17은 HaCAT 세포에서 과산화수소 및 오미자 추출물이 TIMP-1의 발현에 미치는 영향을 나타낸다.
표 18은 HaCAT 세포에서 과산화수소 및 고미신 N이 MMP-1의 발현에 미치는 영향을 나타낸다.
도 19는 HaCAT 세포에서 과산화수소 및 오미자 추출물이 MMP-1의 발현에 미치는 영향을 나타낸다.
도 20은 HaCAT 세포에서 과산화수소 및 고미신 N이 MMP-9의 발현에 미치는 영향을 나타낸다.
도 21은 HaCAT 세포에서 과산화수소 및 오미자 추출물가 MMP-9의 발현에 미치는 영향을 나타낸다.
이하 본 발명을 실시예를 통하여 보다 상세하게 설명한다. 그러나, 이들 실시예는 본 발명을 예시적으로 설명하기 위한 것으로 본 발명의 범위가 이들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실험 방법
달리 언급이 없으면,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는 하기의 실험 방법에 따라 실험하였다.
(1) 주름개선 활성을 갖는 오미자 추출물의 물질의 분리
오미자 1kg을 믹서기를 이용 분쇄하여 메탄올 10L를 가한 후 3시간 동안 2회 열수(100℃) 추출하였다. 추출물을 50℃에서 감압 농축하여 농축물 259g을 얻었다. 여기에 물 5L를 가하여 현탁시킨 후, 동량의 헥산을 첨가하여 헥산층과 물층으로 분획하였다. 박막크로마토그래피 (TLC, thin layer chromatography, Silica gel 60 F254, MERCK)에서 전개 용매로 헥산:에틸아세테이트=4:1를 사용하여 전개하였다. 그 결과, 항산화 효과를 가지는 밴드를 가지는 헥산층을 취하고, 50℃에서 감압 농축하여 29.3g을 얻었다. 헥산층 농축물 70g을 실리카겔 칼럼크로마토그라피 (GS60-75/200, Fuje) 에서 전개용매로 헥산: 에틸아세테이트 구배 (8:1 내지 1:1)를 사용하여 전개하여 5개 분획을 얻었다.
5개 분획 중 TLC 전개를 통해 항산화 효과를 가지는 밴드를 나타내는 1-2번 분획을 다시 실리카겔 칼럼크로마토그라피에서 전개용매로 헥산:에틸아세테이트 (8:1)를 사용하여 3개 분획을 얻었다. 3개 분획 중 HPLC (칼럼; Zorbax Eclipse plus C18, 4.6x250mm, 5㎛), 유동속도; 0.8㎖/min, UV 디텍터; 250nm, 용매; 70% 아세토나이트릴:30% 물: 0.1% 포름산)를 실시하여 활성부위가 가장 넓은 면적을 가지는 2-2번 분획물을 오미자 추출물 A라 명명하였다. 또한, 1-2번 분획을 C18 칼럼 크로마토그라피에서 전개용매로 메탄올(MeOH)을 사용하여 3개 분획을 얻었고, 이를 HPLC를 실시하여 활성부위가 가장 넓은 면적을 가지는 3-2번 분획물을 오미자 추출물 C라 명명하였다.
(2) 항산화 효과로 인한 주름개선 효과 측정
(2.1) MTT 분석을 통한 세포생존율 측정
(2.1.1) MTT 분석을 통한 세포생존율 스크리닝
오미자 추출물이 세포 생존율에 미치는 영향을 조사하기 위하여, 오미자 추출물을 HaCaT 세포 (keratinocyte), HS68 세포 (fibroblast), A375 세포 (melanoma)에 처리하고, MTT 분석을 실시하여 세포생존율을 측정하였다.
구체적으로, 세포를 1×10⁴cells/ml로 맞추고 96-웰 플레이트에 각각 100μl씩 첨가하여 24 시간 동안 배양한 후, 디메틸술폭시드 (DMSO)에 녹인 표준물질 (고미신 A, 고미신 N, 고미신 C, 쉬잔드린, 쉬잔드린-A, γ-쉬잔드린)과 오미자 추출물 A, C를 DMSO와 PBS 완충용액을 이용하여 농도별(표준품; 1, 10, 100 μM, 추출물;1, 10, 100 ppm)로 제조하여 HaCaT, HS68, A375 세포에 각 웰당 30μl씩 첨가하였다. 첨가 후 24시간 배양하고 각 웰에 PBS 완충용액에 녹인 MTT (5 mg/ml) 용액을 50μl씩 첨가하여 2시간 동안 배양하였다.
2시간 반응 후, 포르마잔 형성을 확인하고 포르마잔이 흩어지지 않게 상등액을 완전히 제거한 다음, 120μl의 DMSO를 첨가하여 녹이고 30분 인큐베이션시킨 후 ELISA 리더를 이용하여 570 nm에서 흡광도를 측정하고, 시료를 처리하지 않고 배양시킨 대조군 세포를 100%로 하였을 때의 상대적인 세포생존율을 구하였다.
(2.1.2) MTT 분석을 통한 H 2 O 2 를 처리했을 때의 세포생존율 스크리닝
세포를 과산화수소 및 오미자 추출물의 존재하에서 배양하고, 과산화수소 및 오미자 추출물이 세포의 생존율에 미치는 영향을 조사하였다. 구체적으로, HaCaT 세포, HS68 세포와 A375 세포를 과산화수소로 처리하고 MTT 분석을 실시하여 세포생존율을 확인하였다. 세포를 1×10⁴cells/ml로 맞추고 96-웰 플레이트에 각각 100μl씩 첨가하여 24시간 동안 배양한 후, DMSO에 녹인 표준물질 (고미신 A, 고미신 N, 고미신 C, 쉬잔드린, 쉬잔드린-A, γ-쉬잔드린)과 오미자 추출물 A, C를 DMSO에 녹인 표준 시료를 10μM의 농도로 HaCaT, HS68, A375 세포 배양물에 첨가하였다. 첨가 2시간 후에, 각 배양물에 H2O2 150μM을 첨가하였다. 과산화수소 첨가 후 24시간 배양하고 각 웰에 PBS 완충용액에 녹인 MTT (5 mg/ml) 용액을 50μl씩 첨가하여 2시간 동안 배양하였다. 2시간 반응 후, 포르마잔 형성을 확인하고 포르마잔이 흩어지지 않게 상등액을 완전히 제거한 다음, 120μl의 DMSO를 첨가하여 녹이고 30분 인큐베이션시킨 후 ELISA 리더를 이용하여 570 nm에서 흡광도를 측정하여 표준물질, 오미자 추출물, 및 과산화수소를 처리하지 않고 배양시킨 대조군 세포를 100%로 하였을 때의 상대적인 세포생존율을 구하였다.
(2.2) 역전사효소 -연쇠반응( reverse transcriptase - polymerase chain reaction: RT - PCR )을 통한 피부 관련 인자 (프로콜라겐 타입1 , TIMP -1, MMP -1, MMP-9)의 발현 확인
세포를 과산화수소 및 오미자 추출물의 존재하에서 배양하고, 세포에 대하여 RT-PCR을 수행하여 과산화수소 및 오미자 추출물이 피부 관련 인자의 발현에 미치는 영향을 조사하였다.
(2.2.1) 과산화수소 처리에 의한 산화반응 유발 및 시료 투여
HaCaT 세포, HS68 세포와 A375 세포의 피부 관련 인자 발현 확인을 위하여 RT-PCR 분석을 실시하였다. 세포를 1×105 cells/ml로 맞추고 6-웰 플레이트에 각각 100 μl씩 첨가하여 24시간 동안 배양한 후, DMSO에 녹인 표준물질 (고미신 A, 고미신 N, 고미신 C, 쉬잔드린, 쉬잔드린-A, γ-쉬잔드린)과 오미자 추출물 A, C를 DMSO와 PBS 완충용액을 이용하여 농도별 (표준품; 1, 10, 100 μM, 추출물;1, 10, 100 ppm)로 제조하여 HaCaT 세포, HS68 세포, A375 세포 배양물에 첨가하였다. 2시간 동안 배양시킨 후 배양물에 250μM 과산화수소를 첨가하여 4시간 배양한 후, 세포를 떼어내었다.
(2.2.2) RNA 추출 및 RT - PCR
HaCaT 세포, HS68 세포와 A375 세포로부터 총 RNA의 추출은 트리졸 방법을 이용하여 추출하였다. cDNA 합성은 각 시료에 대하여 1μg의 RNA를 이용하여 RT-PCR하였다. 각각의 유전자에 대한 PCR 프라이머의 염기서열은 다음과 같다:
인간 GAPDH:
포워드 프라이머 5'-CCA TCA CCA TCT TCC AGG AG-3' (서열번호 1),
리버스 프라이머 5'-CCT GCT TCA CCA CCT TCT TG-3'(서열번호 2);
인간 프로콜라겐 타입1
포워드 프라이머 5'-TCT ACT GGC GAA ACC TGT ATC CG-3'(서열번호 3),
리버스 프라이머 5'-CAA GGA AGG GCA GGC GTG AT-3'(서열번호 4);
인간 TIMP-1
포워드 프라이머 5'-CAC CCA CAG ACG GCC TTC TGC AAT-3'(서열번호 5),
리버스 프라이머 5'-AGT GTA GGT CTT GGT GAA GCC-3'(서열번호 6);
인간 MMP-1
포워드 프라이머 5'-GCT GGG AGC AAA CAC ATC TGA GGT-3'(서열번호 7),
리버스 프라이머 5'-TGA GCC GCA ACA CGA TGT AAG TTG-3'(서열번호 8);
인간 MMP-9
포워드 프라이머 5'-GGG ACG CAG ACA TCG TCA TC-3'(서열번호 9),
리버스 프라이머 5'-TCG TCA TCG TCG AAA TGG GC-3'(서열번호 10);
forward
reverse
인간 티로시나제
포워드 프라이머 5'-TTG GCA GAT TGT CTG TAG CC-3'(서열번호 11),
리버스 프라이머 5'-AGG CAT TGT GCA TGC TGC TT-3'(서열번호 12);
인간 TRP-1
포워드 프라이머 5'-AGA GAT GAT CGG GAG GTC TG-3'(서열번호 13),
리버스 프라이머 5'-CTG TGC CAT GTG AGA AAA GC-3'(서열번호 14);
인간 TRP-2
포워드 프라이머 5’-GAG GTG CGA GCC GAC ACA AG-3’(서열번호 15),
리버스 프라이머 5’-CGG TGC AGG TAA CAA ATG C-3’(서열번호 16)
모든 유전자에 대하여 PCR 증폭 단계는 다음과 같고 유전자에 따라 증폭 사이클은 35-40 사이클을 실시하였다. 초기 변성을 위해 94℃에서 2분, 증폭 단계의 변성을 94℃에서 20초, 어닐링을 52℃에서 30초, 연장을 72℃에서 1분간 반복하며, 최종 연장을 5분 수행하였다. 모든 사이클이 완료된 후, PCR로 증폭된 산물을 확인하기 위하여 ml당 0.5μl씩 포함된 1% 아가로즈 겔에 로딩한 후 100V에서 30분간 TAE 버퍼에서 미니-겔 전기영도 유닛 (mini-gel electrophoresis unit: MUPID-2)을 사용하여 전개하였다. 그 다음 UV transilluminator로 증폭 유무를 확인하였다.
실시예 1: 오미자 추출물 및/또는 과산화수소가 세포의 세포생존율에 미치는 영향
본 실시예에서는 오미자 추출물 및/또는 과산화수소의 세포독성을 확인하기 위하여, 오미자 추출물 및/또는 과산화수소가 세포의 세포생존율에 미치는 영향을 확인하였다. 표준물질로는 고미신 A, 고미신 N, 고미신 C, 쉬잔드린, 쉬잔드린A, γ-쉬잔드린을 사용하였다.
구체적으로, 3개 피부 세포주 즉, HaCaT, HS68, A375 세포에 각 물질을 처리하고, 세포 증식을 MTT 분석을 통하여 측정하였다.
도 1은 표준물질이 HS68 세포의 생존율에 미치는 영향을 나타낸다.
도 2는 표준물질이 HaCAT 세포의 생존율에 미치는 영향을 나타낸다.
도 3은 표준물질이 A375 세포의 생존율에 미치는 영향을 나타낸다.
도 4는 오미자 추출물 A, C가 HaCAT 세포의 생존율에 미치는 영향을 나타낸다.
도 5는 오미자 추출물 A, C가 A375 세포의 생존율에 미치는 영향을 나타낸다.
도 1 내지 도 5에 나타낸 바와 같이, HS68, HaCaT, A375 세포에서 고미신 A 처리군에서 생존율이 가장 높고, 차순위로는 고미신 N 처리군에서 높게 나타났다. 표준물질 모두에서 중대한 세포 독성이 나타나지 않았고, 특히 고미신 A와 고미신 N에서 세포 독성이 없음을 알 수 있다.
또한, HaCaT, A375 세포에서 오미자 추출물 A와 C는 오미자 추출물 C의 고농도를 제외한 모든 농도에서 세포 독성을 나타내지 않았다.
도 6은 과산화수소가 HS68 세포의 생존율에 미치는 영향을 나타낸다.
도 7은 과산화수소가 HaCAT 세포의 생존율에 미치는 영향을 나타낸다.
도 8은 과산화수소가 A375 세포의 생존율에 미치는 영향을 나타낸다.
도 6 내지 도 8에 있어서, Nor, (-), GA1, GN1, GC1, S1,SA1, γ1은 각각 대조군, 음성대조군, 고미신 A, 고미신 N, 고미신 C, 쉬잔드린, 쉬잔드린 A, γ-쉬잔드린 각 1 μM를 나타낸다.
도 9는 과산화수소 및 고미신 N이 HS68 세포의 생존율에 미치는 영향을 나타낸다.
도 10은 과산화수소 및 고미신 N이 HaCaT 세포의 생존율에 미치는 영향을 나타낸다.
도 11는 과산화수소 및 고미신 N이 A375 세포의 생존율에 미치는 영향을 나타낸다.
도 12는 과산화수소 및 오미자 추출물 A, C가 HaCaT 세포의 생존율에 미치는 영향을 나타낸다.
도 13는 과산화수소 및 오미자 추출물 A, C가 A375 세포의 생존율에 미치는 영향을 나타낸다. 도 12, 13에서, Nor, (-), A저, A중, A고, C저, C중, C고는 각각 대조군, 음성대조군, 오미자 추출물 A, C 각 100, 10, 1 ppm을 나타낸다.
도 6 내지 도 13에 나타낸 바와 같이, HS68, HaCaT, A375 세포에서 H2O2를 처리하여 산화반응을 일으켰을 때 고미신 A, 고미신 N, γ-쉬잔드린 처리군에서 항산화 효과를 나타냈고, 특히 고미신 N의 경우 모든 세포에서 항산화 효과를 나타냈다.
모든 세포에서 항산화 효과를 나타내고 있는 고미신 N을 농도별로 측정하였을 때, 1 μM 이하에서 유의성 있는 항산화 효과를 나타내고 있으며, 특히 0.001μM과 0.01μM에서 주목할만한 항산화 효과가 나타났다.
HaCaT, A375 세포에서 H2O2를 처리하여 산화반응을 일으켰을 때 오미자 추출물 A, C는 HaCaT 세포에서 항산화 효과를 나타내고 있지만, A375 세포에서는 오미자 추출물 A 저농도를 제외하곤 항산화 효과가 나타나지 않았다.
실시예2 : 오미자 추출물이 피부 주름 및 피부 탄력성에 미치는 영향
본 실시예에서는 표준물질, 오미자 추출물, 및 과산화수소가 피부 세포주에서 피부 관련 유전자의 발현에 미치는 영향을 확인함으로써, 오미자 추출물이 피부 주름 및 피부 탄력성에 미치는 영향을 확인하였다.
도 14는 HaCAT 세포에서 과산화수소와 고미신 N이 프로콜라겐 타입 I의 발현에 미치는 영향을 나타낸다. 도 14에서, Nor, Con, AA, GN10은 각각 대조군, 음성대조군, 아스코르빈산, 고미신 N 10 μM를 나타낸다.
도 15는 HaCAT 세포에서 과산화수소 및 오미자 추출물이 프로콜라겐 타입 I의 발현에 미치는 영향을 나타낸다. 도 15에서, Nor, Con, AA, A저, A고은 각각 대조군, 음성대조군, 아스코르빈산, 오미자 추출물 1, 100 ppm를 나타낸다.
도 16은 HaCAT 세포에서 과산화수소 및 고미신 N이 TIMP-1의 발현에 미치는 영향을 나타낸다. 도 16에서, Nor, Con, AA, GN10, GN100은 각각 대조군, 음성대조군, 아스코르빈산, 고미신 N 10, 100 μM를 나타낸다.
도 17은 HaCAT 세포에서 과산화수소 및 오미자 추출물이 TIMP-1의 발현에 미치는 영향을 나타낸다. 도 17에서, Nor, Con, AA, A10, A100, C1, C10은 각각 대조군, 음성 대조군, 아스코르빈산, 오미자 추출물 A(10, 100 ppm), 오미자 추출물 C(1, 10 ppm)를 나타낸다.
표 18은 HaCAT 세포에서 과산화수소 및 고미신 N이 MMP-1의 발현에 미치는 영향을 나타낸다. 도 18에서, Nor, Con, GN10은 각각 대조군, 음성대조군, 고미신 N 10 μM를 나타낸다.
도 19는 HaCAT 세포에서 과산화수소 및 오미자 추출물이 MMP-1의 발현에 미치는 영향을 나타낸다. 도 19에서, Nor, Con, A저, A중, A고, C저, C중은 각각 대조군, 음성대조군, 오미자 추출물 A(1, 10, 100 ppm), 오미자 추출물 C(1, 10 ppm)를 나타낸다.
도 20은 HaCAT 세포에서 과산화수소 및 고미신 N이 MMP-9의 발현에 미치는 영향을 나타낸다. 도 20에서, Nor, Con, AA, GN1, GN10, GN100은 각각 대조군, 음성대조군, 아스코르빈산, 고미신 N (1, 10, 100 μM)를 나타낸다.
도 21은 HaCAT 세포에서 과산화수소 및 오미자 추출물이 MMP-9의 발현에 미치는 영향을 나타낸다. 도 21에서, Nor, Con, A저, A중, A고, C저, C중은 각각 대조군, 음성대조군, 오미자 추출물 A (1, 10, 100 ppm), 오미자 추출물 C (1, 10 ppm)를 나타낸다.
도 14 내지 21에 나타낸 바와 같이, HaCaT 세포에서 산화반응을 일으켰을 때 고미신 N은 프로콜라겐 타입1의 발현에는 영향을 미치지 않았다. 그러나, 10 μM, 100 μM에서 TIMP-1의 발현을 감소시켰다. MMP-1, MMP-9도 마찬가지로 감소시켰으며 MMP-1, MMP-9의 발현도 크게 감소시켰다.
또한, HaCaT 세포에서 고미신 N은 TIMP-1, MMP-1, MMP-9 피부 관련 인자의 발현을 감소시켜서 피부 주름 개선 효능을 나타냈다.
HaCaT 세포에서 산화반응을 일으켰을 때 오미자 추출물 A는 중, 고농도에서 농도 의존적으로 프로콜라겐 타입1의 발현에 증가시켰지만, TIMP-1의 발현도 상대적으로 증가시켰다. 오미자 추출물 C는 프로콜라겐 타입1의 발현에 영향을 주지 않았다. 그러나 저농도에서 TIMP-1의 발현은 감소시켰다.
HaCaT 세포에서 오미자 추출물 A는 프로콜라겐 타입1의 발현을 농도 의존적으로 증가시키고 MMP-1, MMP-9의 발현을 억제시켰다.
<110> Happycall <120> Cosmetic composition for reducing skin wrinkle comprising Schizandra Chinensis fruit extracts <130> PN095536 <160> 16 <170> KopatentIn 2.0 <210> 1 <211> 20 <212> DNA <213> Artificial Sequence <220> <223> forward primer <400> 1 ccatcaccat cttccaggag 20 <210> 2 <211> 20 <212> DNA <213> Artificial Sequence <220> <223> reverse primer <400> 2 cctgcttcac caccttcttg 20 <210> 3 <211> 23 <212> DNA <213> Artificial Sequence <220> <223> forward primer <400> 3 tctactggcg aaacctgtat ccg 23 <210> 4 <211> 20 <212> DNA <213> Artificial Sequence <220> <223> reverse primer <400> 4 caaggaaggg caggcgtgat 20 <210> 5 <211> 24 <212> DNA <213> Artificial Sequence <220> <223> forward primer <400> 5 cacccacaga cggccttctg caat 24 <210> 6 <211> 21 <212> DNA <213> Artificial Sequence <220> <223> reverse primer <400> 6 agtgtaggtc ttggtgaagc c 21 <210> 7 <211> 24 <212> DNA <213> Artificial Sequence <220> <223> forward primer <400> 7 gctgggagca aacacatctg aggt 24 <210> 8 <211> 24 <212> DNA <213> Artificial Sequence <220> <223> reverse primer <400> 8 tgagccgcaa cacgatgtaa gttg 24 <210> 9 <211> 20 <212> DNA <213> Artificial Sequence <220> <223> forward primer <400> 9 gggacgcaga catcgtcatc 20 <210> 10 <211> 20 <212> DNA <213> Artificial Sequence <220> <223> reverse primer <400> 10 tcgtcatcgt cgaaatgggc 20 <210> 11 <211> 20 <212> DNA <213> Artificial Sequence <220> <223> forward primer <400> 11 ttggcagatt gtctgtagcc 20 <210> 12 <211> 20 <212> DNA <213> Artificial Sequence <220> <223> reverse primer <400> 12 aggcattgtg catgctgctt 20 <210> 13 <211> 20 <212> DNA <213> Artificial Sequence <220> <223> forward primer <400> 13 agagatgatc gggaggtctg 20 <210> 14 <211> 20 <212> DNA <213> Artificial Sequence <220> <223> reverse primer <400> 14 ctgtgccatg tgagaaaagc 20 <210> 15 <211> 20 <212> DNA <213> Artificial Sequence <220> <223> forward primer <400> 15 gaggtgcgag ccgacacaag 20 <210> 16 <211> 19 <212> DNA <213> Artificial Sequence <220> <223> reverse primer <400> 16 cggtgcaggt aacaaatgc 19

Claims (4)

  1. 오미자 추출물을 포함하는 주름 개선용 화장료 조성물.
  2. 제1항에 있어서, 0.001% 내지 1 w/v%의 상기 오미자 추출물을 함유하는 것인 조성물.
  3.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리포좀의 제형을 갖는 것인 조성물.
  4.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오미자 추출물은 오미자 분쇄물을 메탄올로 추출하여 얻어진 메탄올 추출물을 헥산과 물층으로 분획한 후, 헥산층을 실리카 칼럼크로마토그래피를 수행하고, 항산화 활성을 갖는 분획을 취하는 것에 의하여 얻어진 것인 조성물.


KR1020120009210A 2012-01-30 2012-01-30 오미자 추출물을 포함하는 주름 개선용 화장료 조성물 KR20130087938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009210A KR20130087938A (ko) 2012-01-30 2012-01-30 오미자 추출물을 포함하는 주름 개선용 화장료 조성물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009210A KR20130087938A (ko) 2012-01-30 2012-01-30 오미자 추출물을 포함하는 주름 개선용 화장료 조성물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30087938A true KR20130087938A (ko) 2013-08-07

Family

ID=4921449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20009210A KR20130087938A (ko) 2012-01-30 2012-01-30 오미자 추출물을 포함하는 주름 개선용 화장료 조성물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30087938A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3893065A (zh) * 2014-03-14 2014-07-02 集安五味堂生物科技有限公司 去黄美白组合物及其制备方法和应用
KR20160024417A (ko) 2014-08-25 2016-03-07 주식회사 코씨드바이오팜 오미자 솔버섯 발효액 또는 그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피부 미백 및 피부 보습용 화장료 조성물
KR101907921B1 (ko) * 2017-12-22 2018-10-16 한국 한의학 연구원 오미자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피부 주름의 예방 또는 개선용 조성물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3893065A (zh) * 2014-03-14 2014-07-02 集安五味堂生物科技有限公司 去黄美白组合物及其制备方法和应用
KR20160024417A (ko) 2014-08-25 2016-03-07 주식회사 코씨드바이오팜 오미자 솔버섯 발효액 또는 그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피부 미백 및 피부 보습용 화장료 조성물
KR101907921B1 (ko) * 2017-12-22 2018-10-16 한국 한의학 연구원 오미자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피부 주름의 예방 또는 개선용 조성물
WO2019124862A1 (ko) * 2017-12-22 2019-06-27 한국 한의학 연구원 오미자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피부 주름의 예방 또는 개선용 조성물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WO2007131677A1 (en) Use of ginsenosides and extracts containing them
D'Imperio et al. Stability–activity of verbascoside, a known antioxidant compound, at different pH conditions
WO2012099247A1 (ja) 美白剤
TWI747280B (zh) 余甘子萃取發酵物及其製備與應用
KR20130087938A (ko) 오미자 추출물을 포함하는 주름 개선용 화장료 조성물
KR20190097468A (ko) 오리나무 추출물을 함유하는 탈모 질환의 예방, 치료 또는 개선용 조성물
KR100543897B1 (ko) 치자 추출물 및 치자로부터 분리된 신규 화합물 및 그 용도
WO2022215441A1 (ja) 新規ポリフェノール化合物
JP6923100B1 (ja) 新規イソフラボン化合物
KR101848252B1 (ko) 인진쑥 추출물로부터 분리된 류코딘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피부 미백용 조성물
EP1840131A1 (en) Novel polyphenol glycoside derived from acerola
KR20080022315A (ko) 미백활성 및 항염활성을 나타내는 비룡추출물
KR101592373B1 (ko) 고장초 추출물을 포함하는 미백 조성물 및 그 제조 방법
JP5703313B2 (ja) 3−ヒドロキシ−2−ピロンを含有する美白剤
KR101021975B1 (ko) 암에 대한 방사선 치료 증진용 조성물
KR101526435B1 (ko) 머루근 추출물을 포함하는 미백용 조성물
KR102014685B1 (ko) 골담초 유래 화합물 및 이를 함유하는 피부 미백용 조성물
KR20120129168A (ko) 카스아리닌을 함유하는 피부 염증질환 예방 및 치료용 조성물
KR20140044223A (ko) 자외선을 처리한 벼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대장암 예방 또는 치료용 약학적 조성물
WO2021210673A1 (ja) 更年期症状改善剤
KR100685516B1 (ko) 신규 항암활성 트리테르펜계 화합물 및 그 제조방법
KR20090011458A (ko) 코보페놀 에이를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서나일 바이러스성 감염 예방 및 치료용 조성물
KR20240013965A (ko) 8-메톡시부틴을 포함하는 피부암 예방, 치료 또는 개선용 조성물
KR20170045770A (ko) 오스만투스 마츠무라누스 추출물을 포함하는 항산화 또는 항염증 조성물
KR20120090118A (ko) 자귀나무 추출물을 포함하는 항암 또는 항암 보조용 조성물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