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30087703A - 건설기계의 엔진제어장치 - Google Patents

건설기계의 엔진제어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30087703A
KR20130087703A KR20120008761A KR20120008761A KR20130087703A KR 20130087703 A KR20130087703 A KR 20130087703A KR 20120008761 A KR20120008761 A KR 20120008761A KR 20120008761 A KR20120008761 A KR 20120008761A KR 20130087703 A KR20130087703 A KR 20130087703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engine
engine speed
engine control
jog
control signa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2000876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879874B1 (ko
Inventor
윤홍철
박덕우
Original Assignee
두산인프라코어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두산인프라코어 주식회사 filed Critical 두산인프라코어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2000876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879874B1/ko
Priority to US14/375,220 priority patent/US9581090B2/en
Priority to PCT/KR2013/000508 priority patent/WO2013115516A1/ko
Priority to CN201380017815.4A priority patent/CN104220731A/zh
Publication of KR2013008770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30087703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87987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879874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2COMBUSTION ENGINES; HOT-GAS OR COMBUSTION-PRODUCT ENGINE PLANTS
    • F02DCONTROLLING COMBUSTION ENGINES
    • F02D11/00Arrangements for, or adaptations to, non-automatic engine control initiation means, e.g. operator initiated
    • F02D11/02Arrangements for, or adaptations to, non-automatic engine control initiation means, e.g. operator initiated characterised by hand, foot, or like operator controlled initiation mea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KARRANGEMENT OR MOUNTING OF PROPULSION UNITS OR OF TRANSMISSIONS IN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PLURAL DIVERSE PRIME-MOVERS IN VEHICLES; AUXILIARY DRIVES FOR VEHICLES; INSTRUMENTATION OR DASHBOARDS FOR VEHICLES; ARRANGEMENTS IN CONNECTION WITH COOLING, AIR INTAKE, GAS EXHAUST OR FUEL SUPPLY OF PROPULSION UNITS IN VEHICLES
    • B60K26/00Arrangements or mounting of propulsion unit control devices in vehicles
    • B60K26/02Arrangements or mounting of propulsion unit control devices in vehicles of initiating means or elemen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KARRANGEMENT OR MOUNTING OF PROPULSION UNITS OR OF TRANSMISSIONS IN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PLURAL DIVERSE PRIME-MOVERS IN VEHICLES; AUXILIARY DRIVES FOR VEHICLES; INSTRUMENTATION OR DASHBOARDS FOR VEHICLES; ARRANGEMENTS IN CONNECTION WITH COOLING, AIR INTAKE, GAS EXHAUST OR FUEL SUPPLY OF PROPULSION UNITS IN VEHICLES
    • B60K35/00Instrumen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f instruments in or on vehicl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KARRANGEMENT OR MOUNTING OF PROPULSION UNITS OR OF TRANSMISSIONS IN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PLURAL DIVERSE PRIME-MOVERS IN VEHICLES; AUXILIARY DRIVES FOR VEHICLES; INSTRUMENTATION OR DASHBOARDS FOR VEHICLES; ARRANGEMENTS IN CONNECTION WITH COOLING, AIR INTAKE, GAS EXHAUST OR FUEL SUPPLY OF PROPULSION UNITS IN VEHICLES
    • B60K35/00Instrumen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f instruments in or on vehicles
    • B60K35/10Input arrangements, i.e. from user to vehicle, associated with vehicle functions or specially adapted therefo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KARRANGEMENT OR MOUNTING OF PROPULSION UNITS OR OF TRANSMISSIONS IN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PLURAL DIVERSE PRIME-MOVERS IN VEHICLES; AUXILIARY DRIVES FOR VEHICLES; INSTRUMENTATION OR DASHBOARDS FOR VEHICLES; ARRANGEMENTS IN CONNECTION WITH COOLING, AIR INTAKE, GAS EXHAUST OR FUEL SUPPLY OF PROPULSION UNITS IN VEHICLES
    • B60K35/00Instrumen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f instruments in or on vehicles
    • B60K35/20Output arrangements, i.e. from vehicle to user, associated with vehicle functions or specially adapted therefor
    • B60K35/28Output arrangements, i.e. from vehicle to user, associated with vehicle functions or specially adapted therefor characterised by the type of the output information, e.g. video entertainment or vehicle dynamics information; characterised by the purpose of the output information, e.g. for attracting the attention of the drive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KARRANGEMENT OR MOUNTING OF PROPULSION UNITS OR OF TRANSMISSIONS IN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PLURAL DIVERSE PRIME-MOVERS IN VEHICLES; AUXILIARY DRIVES FOR VEHICLES; INSTRUMENTATION OR DASHBOARDS FOR VEHICLES; ARRANGEMENTS IN CONNECTION WITH COOLING, AIR INTAKE, GAS EXHAUST OR FUEL SUPPLY OF PROPULSION UNITS IN VEHICLES
    • B60K37/00Dashboard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WCONJOINT CONTROL OF VEHICLE SUB-UNITS OF DIFFERENT TYPE OR DIFFERENT FUNCTION; CONTROL SYSTEMS SPECIALLY ADAPTED FOR HYBRID VEHICLES; ROAD VEHICLE DRIVE CONTROL SYSTEMS FOR PURPOSES NOT RELATED TO THE CONTROL OF A PARTICULAR SUB-UNIT
    • B60W50/00Details of control systems for road vehicle drive control not related to the control of a particular sub-unit, e.g. process diagnostic or vehicle driver interfaces
    • B60W50/08Interaction between the driver and the control system
    • B60W50/085Changing the parameters of the control units, e.g. changing limit values, working points by control input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2COMBUSTION ENGINES; HOT-GAS OR COMBUSTION-PRODUCT ENGINE PLANTS
    • F02DCONTROLLING COMBUSTION ENGINES
    • F02D11/00Arrangements for, or adaptations to, non-automatic engine control initiation means, e.g. operator initiated
    • F02D11/06Arrangements for, or adaptations to, non-automatic engine control initiation means, e.g. operator initiated characterised by non-mechanical control linkages, e.g. fluid control linkages or by control linkages with power drive or assistance
    • F02D11/10Arrangements for, or adaptations to, non-automatic engine control initiation means, e.g. operator initiated characterised by non-mechanical control linkages, e.g. fluid control linkages or by control linkages with power drive or assistance of the electric type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2COMBUSTION ENGINES; HOT-GAS OR COMBUSTION-PRODUCT ENGINE PLANTS
    • F02DCONTROLLING COMBUSTION ENGINES
    • F02D31/00Use of speed-sensing governors to control combustion engin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02D31/001Electric control of rotation speed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2COMBUSTION ENGINES; HOT-GAS OR COMBUSTION-PRODUCT ENGINE PLANTS
    • F02DCONTROLLING COMBUSTION ENGINES
    • F02D41/00Electrical control of supply of combustible mixture or its constituents
    • F02D41/02Circuit arrangements for generating control signals
    • F02D41/04Introducing corrections for particular operating condi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KARRANGEMENT OR MOUNTING OF PROPULSION UNITS OR OF TRANSMISSIONS IN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PLURAL DIVERSE PRIME-MOVERS IN VEHICLES; AUXILIARY DRIVES FOR VEHICLES; INSTRUMENTATION OR DASHBOARDS FOR VEHICLES; ARRANGEMENTS IN CONNECTION WITH COOLING, AIR INTAKE, GAS EXHAUST OR FUEL SUPPLY OF PROPULSION UNITS IN VEHICLES
    • B60K26/00Arrangements or mounting of propulsion unit control devices in vehicles
    • B60K26/02Arrangements or mounting of propulsion unit control devices in vehicles of initiating means or elements
    • B60K2026/028Acceleration input members mounted on steering wheel or column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KARRANGEMENT OR MOUNTING OF PROPULSION UNITS OR OF TRANSMISSIONS IN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PLURAL DIVERSE PRIME-MOVERS IN VEHICLES; AUXILIARY DRIVES FOR VEHICLES; INSTRUMENTATION OR DASHBOARDS FOR VEHICLES; ARRANGEMENTS IN CONNECTION WITH COOLING, AIR INTAKE, GAS EXHAUST OR FUEL SUPPLY OF PROPULSION UNITS IN VEHICLES
    • B60K26/00Arrangements or mounting of propulsion unit control devices in vehicles
    • B60K26/02Arrangements or mounting of propulsion unit control devices in vehicles of initiating means or elements
    • B60K2026/029Joystick type control devices for acceleration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KARRANGEMENT OR MOUNTING OF PROPULSION UNITS OR OF TRANSMISSIONS IN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PLURAL DIVERSE PRIME-MOVERS IN VEHICLES; AUXILIARY DRIVES FOR VEHICLES; INSTRUMENTATION OR DASHBOARDS FOR VEHICLES; ARRANGEMENTS IN CONNECTION WITH COOLING, AIR INTAKE, GAS EXHAUST OR FUEL SUPPLY OF PROPULSION UNITS IN VEHICLES
    • B60K2360/00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groups B60K35/00 or B60K37/00 relating to details of instruments or dashboards
    • B60K2360/133Multidirectional input devices for instruments
    • B60K2360/137Jog-dial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KARRANGEMENT OR MOUNTING OF PROPULSION UNITS OR OF TRANSMISSIONS IN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PLURAL DIVERSE PRIME-MOVERS IN VEHICLES; AUXILIARY DRIVES FOR VEHICLES; INSTRUMENTATION OR DASHBOARDS FOR VEHICLES; ARRANGEMENTS IN CONNECTION WITH COOLING, AIR INTAKE, GAS EXHAUST OR FUEL SUPPLY OF PROPULSION UNITS IN VEHICLES
    • B60K2360/00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groups B60K35/00 or B60K37/00 relating to details of instruments or dashboards
    • B60K2360/16Type of output information
    • B60K2360/168Target or limit valu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WCONJOINT CONTROL OF VEHICLE SUB-UNITS OF DIFFERENT TYPE OR DIFFERENT FUNCTION; CONTROL SYSTEMS SPECIALLY ADAPTED FOR HYBRID VEHICLES; ROAD VEHICLE DRIVE CONTROL SYSTEMS FOR PURPOSES NOT RELATED TO THE CONTROL OF A PARTICULAR SUB-UNIT
    • B60W2300/00Indexing codes relating to the type of vehicle
    • B60W2300/17Construction vehicles, e.g. graders, excavato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YINDEXING SCHEME RELATING TO ASPECTS CROSS-CUTTING VEHICLE TECHNOLOGY
    • B60Y2200/00Type of vehicle
    • B60Y2200/40Special vehicles
    • B60Y2200/41Construction vehicles, e.g. graders, excavator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2COMBUSTION ENGINES; HOT-GAS OR COMBUSTION-PRODUCT ENGINE PLANTS
    • F02DCONTROLLING COMBUSTION ENGINES
    • F02D2200/00Input parameters for engine control
    • F02D2200/60Input parameters for engine control said parameters being related to the driver demands or status
    • F02D2200/604Engine control mode selected by driver, e.g. to manually start particle filter regeneration or to select driving styl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Transportation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utomation & Control Theory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Control Of Vehicle Engines Or Engines For Specific Uses (AREA)
  • Instrument Panels (AREA)
  • Control Of Throttle Valves Provided In The Intake System Or In The Exhaust System (AREA)
  • Operation Control Of Excavators (AREA)

Abstract

본 발명에 의하면, 사용자에 의해 수동으로 조작되어 엔진의 회전수를 일정 단위로 증가 및 감소시키는 제어신호를 발생시키는 엔진콘트롤다이얼; 사용자에 의해 수동으로 회전 조작 및 가압 조작되는 조그스위치를 포함하며, 각종 동작모드에 대응된 기능을 선택하거나 변경하도록 하는 선택신호를 발생시키는 조그셔틀; 사용자가 건설기계의 구동 중 필요로 하는 각종 구성부들의 동작 정보를 디스플레이하는 계기판; 상기 엔진을 상기 엔진콘트롤다이얼에 의해 발생된 제어신호에 대응되도록 제어하는 엔진콘트롤러; 및 상기 엔진콘트롤다이얼로부터 발생되는 제어신호와 상기 조그스위치의 회전 조작 및 가압 조작에 대응되는 제어신호 중 하나를 인가받고, 상기 제어신호들 각각에 대응되는 엔진 회전수 값 중 상기 인가된 제어신호에 대응되는 엔진 회전수 값을 상기 엔진콘트롤러에 제공하는 장비콘트롤러를 포함하는 건설기계의 엔진제어장치가 제공된다.

Description

건설기계의 엔진제어장치{ENGINE CONTROL APPARATUS IN CONSTRUCTION MACHINERY}
본 발명은 건설기계의 엔진제어장치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엔진의 회전수를 제어하는 엔진콘트롤다이얼의 고장 또는 오동작시 조그셔틀을 이용하여 엔진의 회전수 제어가 가능하도록 할 수 있는 건설기계의 엔진제어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건설기계는 엔진의 회전수를 제어하기 위하여 엔진제어장치를 이용하는데, 상기 엔진제어장치는 엔진을 제어하는 엔진콘트롤러를 제어하는 장비콘트롤러에 사용자에 의해 수동으로 조작되는 엔진콘트롤다이얼이 해당 제어신호를 입력하도록 되어 있고, 상기 장비콘트롤러는 엔진콘트롤다이얼의 해당 전압값을 인가받아 엔진콘트롤러로 하여금 엔진의 회전수를 제어하도록 한다.
그러나 상기와 같은 건설기계의 엔진제어장치는, 상기 엔진콘트롤다이얼에 고장이 발생되거나 오동작이 발생되는 경우 엔진의 회전수를 적절하게 변경하지 못하게 되어 정비가 이루어질 때까지 비상모드로 구동되어야 하는 문제점이 있다.
또한,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서는 실제 건설기계가 있는 작업 현장까지 A/S 인력이 방문해야 하고 만약 그 작업 현장이 쉽게 방문하기 힘든 오지인 경우에는 방문에 걸리는 시간만큼 건설기계의 작업 중단 시간이 길어지게 되는 문제점이 있다.
본 발명은 상기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제안된 것으로, 건설기계의 엔진콘트롤다이얼의 고장 또는 오동작시 조그셔틀을 이용하여 엔진의 회전수 제어가 가능하도록 하는 건설기계의 엔진제어장치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이러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건설기계의 엔진제어장치는, 사용자에 의해 수동으로 조작되어 엔진의 회전수를 일정 단위로 증가 및 감소시키는 제어신호를 발생시키는 엔진콘트롤다이얼; 사용자에 의해 수동으로 회전 조작 및 가압 조작되는 조그스위치를 포함하며, 각종 동작모드에 대응된 기능을 선택하거나 변경하도록 하는 선택신호를 발생시키는 조그셔틀; 사용자가 건설기계의 구동 중 필요로 하는 각종 구성부들의 동작 정보를 디스플레이하는 계기판; 상기 엔진을 상기 엔진콘트롤다이얼에 의해 발생된 제어신호에 대응되도록 제어하는 엔진콘트롤러; 및 상기 엔진콘트롤다이얼로부터 발생되는 제어신호와 상기 조그스위치의 회전 조작 및 가압 조작에 대응되는 제어신호 중 하나를 인가받고, 상기 제어신호들 각각에 대응되는 엔진 회전수 값 중 상기 인가된 제어신호에 대응되는 엔진 회전수 값을 상기 엔진콘트롤러에 제공하는 장비콘트롤러를 포함한다.
상기 계기판은 상기 조그셔틀을 이용한 엔진 회전수 조정 화면의 제공이 가능하고, 상기 조그스위치는 사용자의 회전조작에 의한 회전각도에 대응되는 회전조작신호와 사용자의 가압조작에 대응되는 선택조작신호를 상기 계기판에 출력 가능하며, 상기 계기판은 상기 엔진 회전수 조정 화면이 호출되면, 상기 회전조작신호에 대응하여 상기 엔진 회전수 조정 화면에 표시된 엔진 회전수 값을 증가 또는 감소시킨 후 상기 선택조작신호의 입력에 의해 상기 회전조작에 의해 선택된 엔진 회전수 값을 상기 장비콘트롤러에 출력할 수 있다.
또한, 상기 계기판은 상기 엔진 회전수 조정 화면이 호출되면, 현재 적용 중인 엔진 회전수 값을 표시한 후 상기 조그스위치 조작시 상기 현재 적용 중인 엔진 회전수 값으로부터 상기 엔진 회전수 값이 증가 또는 감소되도록 표시할 수 있다.
상기 조그셔틀은 상기 엔진콘트롤다이얼의 고장 또는 오동작시 상기 조그스위치의 회전각도에 따라 상기 엔진의 회전수를 증가 또는 감소시키는 입력값을 발생시킬 수 있다.
상기 장비콘트롤러는 상기 엔진콘트롤다이얼이 정상적으로 동작하지 않을 경우 상기 조그셔틀로부터 엔진 회전수를 제어하는 제어신호가 발생되도록 스위칭 구동되는 스위칭부를 포함하며, 상기 스위칭부는 사용자의 선택 조작에 의해 수동으로 동작되거나, 상기 엔진콘트롤다이얼의 오류시 자동으로 동작되도록 구성될 수 있다.
본 발명에 의하면, 건설기계의 엔진콘트롤다이얼의 고장 또는 오동작시 조그셔틀을 이용하여 엔진의 회전수가 제어되도록 함으로써, 비상상황이 발생되더라도 정비하기 전 건설기계의 정상적인 사용을 가능하게 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건설기계의 엔진제어장치의 구성을 나타낸 구성도.
도 2 및 도 3은 각각 도 1의 엔진제어장치에 있어서 조그셔틀과 계기판을 나타낸 도면.
도 4는 도 3의 계기판에 조그셔틀로부터 엔진 회전수 제어 신호가 입력되는 것을 나타낸 도면.
전술한 목적, 특징 및 장점은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하게 후술되며, 이에 따라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을 것이다.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본 발명과 관련된 공지 기술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건설기계의 엔진제어장치의 구성을 나타낸 구성도이고, 도 2와 도 3은 각각 도 1의 엔진제어장치에 있어서 조그셔틀과 계기판을 나타낸 도면이며, 도 4는 도 3의 계기판에 조그셔틀로부터 엔진 회전수 제어 신호가 입력되는 것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건설기계의 엔진제어장치는, 사용자에 의해 수동으로 조작되어 엔진(1)의 회전수를 일정 단위로 증가 및 감소시키는 제어신호를 발생시키는 엔진콘트롤다이얼(10), 사용자에 의해 수동으로 조작되어 각종 동작모드에 대응된 기능을 선택하거나 변경하도록 하는 선택신호를 발생시키는 조그셔틀(20), 사용자가 건설기계의 구동 중 필요로 하는 각종 구성부들의 동작 정보 등을 디스플레이하는 계기판(30), 엔진(1)을 엔진콘트롤다이얼(10)에 의해 발생된 제어신호에 대응되도록 제어하는 엔진콘트롤러(40) 및 상기 엔진콘트롤다이얼(10)로부터 발생되는 제어신호를 인가받아 해당 값으로 변환한 후 이를 엔진콘트롤러(40)에 제공함과 동시에, 엔진콘트롤다이얼(10)의 고장 또는 오동작시 상기 조그셔틀(20)의 선택신호 입력을 스위칭하여 조그셔틀(20)로부터 엔진 회전수를 제어하는 제어신호를 인가받고 이를 해당 값으로 변환한 후 엔진콘트롤러(40)에 제공하는 장비콘트롤러(50)를 포함한다.
즉, 본 발명에 의한 건설기계의 엔진제어장치는, 상기 엔진콘트롤다이얼(10)의 파손이나 고장 등으로 인하여 장비콘트롤러(50)와 통신이 불가능한 상태인 경우, 조그셔틀(20)로부터 장비콘트롤러(50)에 직접 엔진 회전수를 제어하기 위한 제어신호가 제공되도록 할 수 있다.
상기 엔진콘트롤다이얼(10)은, 사용자가 원하는 엔진 회전수를 조작할 수 있도록 건설기계의 운전실에 구비되고, 통상 회전식 레버 형태로 구성되며, 회전각도에 따라 엔진(1)의 회전수를 1000rpm, 1500rpm, 2000rpm, 2500rpm 등으로 설정할 수 있다. 여기서, 설정된 값은 전압값으로 환산되어 장비콘트롤러(50)에 인가된다.
또한, 상기 엔진콘트롤다이얼(10)을 통해 설정 가능한 엔진 회전수는 기설정된 일정 단위로 증가 및 감소될 수 있으며, 작게는 1rpm 단위로도 다양하게 변형 및 변경될 수 있다.
상기 조그셔틀(20)은, 건설기계의 운전실에 구비되어 건설기계의 작업모드나 각종 기능을 선택할 수 있는 스위치들이 집중 배치되고 Jog & Shuttle을 이용하여 간편한 조작이 가능하도록 하는 통합 조작 스위치로, 복수개의 입력버튼, 보다 바람직하게는, 5개의 가압식 버튼과 1개의 가압/회전식 버튼(또는 조그(jog)스위치)으로 구성되어 해당 버튼의 동작에 따라 특정 선택신호가 입력되도록 한다.
예를 들면, 상기 조그셔틀(20)은,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조그스위치(21)의 가압/회전시 계기판(30) 상의 메뉴를 선택하거나 설정값을 변경 설정할 수 있고, 파워버튼(22)의 가압시 파워플러스모드, 파워모드, 스탠다드모드 및 경제모드 등이 선택될 수 있으며, 워크버튼(23)의 가압시 굴삭모드, 리프트모드 및 어태치먼트모드 등이 선택될 수 있고, 오토아이들버튼(24)의 가압시 자동으로 엔진(1)의 회전수가 아이들링 상태를 가지도록 아이들링 동작 기능이 선택될 수 있으며, 카메라버튼(25)의 가압시 카메라에 의해 촬영되는 영상이 계기판(30) 상에 디스플레이되도록 하는 기능이 선택될 수 있고, 멀티미디어버튼(26)의 가압시 비디오 또는 음악 등이 플레이되도록 하는 기능이 선택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조그스위치(21)는, 장비콘트롤러(50)에 의해 엔진콘트롤다이얼(10)의 고장 또는 오동작시 조그셔틀(20)의 선택신호 입력이 스위칭되는 경우,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회전각도에 따라 엔진(1)의 회전수를 증가 또는 감소시키는 입력값을 발생시키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계기판(30)은, 사용자가 건설기계의 구동 중 필요로 하는 각종 구성부들의 동작 정보 등을 디스플레이하는 수단으로,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연료게이지, 엔진온도계, 오일온도계, ECO게이지, 시계, 각종경고심볼 등을 통해 해당 정보를 나타내는 디스플레이부와 각종 동작 기능이 미리 설정된 기능버튼을 포함하는 입력부로 구분될 수 있다.
상기 엔진콘트롤러(40)는, 엔진(1)을 엔진콘트롤다이얼(10) 또는 장비콘트롤러(50)의 스위칭에 의해 조그셔틀(20)의 조그스위치(21)로부터 발생된 제어신호에 대응되도록 제어하는 것으로, 상기 제어신호에 대응된 구동 제어 신호를 발생시켜 엔진(1)이 해당 회전수를 가지면서 동작되도록 한다.
상기 장비콘트롤러(50)는, 상기 엔진콘트롤다이얼(10)로부터 발생되는 제어신호를 인가받아 해당 값으로 변환한 후 이를 엔진콘트롤러(40)에 제공함과 동시에, 엔진콘트롤다이얼(10)의 고장 또는 오동작시 상기 조그셔틀(20)과 전기적으로 접속되어 조그셔틀(20)로부터 엔진 회전수를 제어하는 제어신호를 인가받고 이를 해당 값으로 변환한 후 엔진콘트롤러(40)에 제공하는 제어수단으로, 상기 엔진콘트롤다이얼(10)이 정상적으로 동작하지 않을 경우 조그셔틀(20)로부터 엔진 회전수를 제어하는 제어신호가 발생되도록 스위칭 구동되는 스위칭부를 포함한다.
여기서, 상기 스위칭부는 사용자의 선택 조작에 의해 수동으로 동작되거나, 엔진콘트롤다이얼(10)의 오류시 자동으로 동작되도록 구성될 수 있으며, 전자의 경우에는 계기판(30)에 버튼 형태로 구비되거나 운전실에 별도로 마련되어 사용자의 선택 유무에 따라 동작되고, 후자의 경우 별도 엔진콘트롤다이얼(10)의 오류를 탐지할 수 있는 구성요소를 더 가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장비콘트롤러(50)는, 엔진콘트롤다이얼(10)과 조그셔틀(20)로부터 엔진 회전수를 제어하는 제어신호의 발생시 상기 제어신호에 대한 엔진 회전수 제어가 이루어지도록 데이터베이스화된 제어알고리즘을 포함한다.
여기서, 상기 제어알고리즘은, 엔진(1) 작동에 있어 제어 가능한 최저 및 최고 엔진수가 존재하고, 이 최저 및 최고 엔진 회전수 사이의 범위 내에서 일정 분율 단위로 분류한 단계별 엔진 회전수 값들이 미리 설정되어 있다. 따라서 사용자가 조그셔틀(20)의 조그스위치(21)를 회전시키게 되면 해당 조작값에 상응하는 단계별 엔진 회전수 값을 매칭시킬 수 있다. 즉, 조절 가능한 엔진 회전수가 500rpm에서 1500rpm이라고 가정하면, 최저 엔진 회전수는 500rpm이 되고 최고 엔진 회전수는 1500rpm이 된다. 이 사이의 범위를 0% 내지 100%로 매칭시키고 분율을 10%로 분류하면 최저 엔진 회전수의 다음 값들은 600rpm, 700rpm, 800rpm, ... , 1300rpm, 1400rpm인 알고리즘이 적용될 수 있다. 따라서 사용자가 조그스위치(21)를 회전시키게 되면, 회전각도에 따라 정해진 분율만큼 증가 또는 감소시킨 엔진 회전수의 값이 엔진콘트롤러(40)에 출력되어 엔진(1)의 구동을 제어할 수 있는 것이다.
또한, 상기 제어알고리즘은, 엔진콘트롤다이얼(10)의 오동작 발생이 감지되어 상기 스위칭부에 의해 조그셔틀(20)로부터 엔진 회전수에 대한 제어신호가 발생되어야 하는 경우, 상기 계기판(30)에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은, 팝업 또는 화면전환을 통하여 조그셔틀(20)로부터 엔진 회전수에 대한 제어신호가 입력됨을 선택하도록 한 후 조그스위치(21)의 회전시 해당 조작값에 상응하는 엔진 회전수 값을 해당 분율로 나타낼 수 있다. 이때, 상기 계기판(30) 상에는 현재 설정되어 있는 엔진 회전수의 값이 더 디스플레이될 수 있다.
이하,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건설기계의 엔진제어장치의 작용과 효과에 대해 설명하기로 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건설기계의 엔진제어장치는, 평상시 엔진콘트롤다이얼(10)을 이용하여 엔진 회전수를 제어하다가, 엔진콘트롤다이얼(10)이 정상적으로 동작하지 않으면, 사용자가 수동으로 장비콘트롤러(50)에 스위칭부가 동작되도록 하거나 또는 별도의 센싱을 통하여 자동으로 장비콘트롤러(50)의 스위칭부가 동작되어 조그셔틀(20)과 장비콘트롤러(50)가 전기적으로 접속된다. 여기서, 사용자는 편의에 따라 장비콘트롤러(50)의 스위칭부가 동작되도록 조작할 수도 있다. 즉, 엔진콘트롤다이얼(10)의 이상유무와 관계없이 조그셔틀(20)을 이용하여 자엔진 회전수를 제어할 수도 있는 것이다. 이 경우, 엔진콘트롤다이얼(10)과 조그셔틀(20)을 통한 엔진 회전수 입력이 동시에 이루어질 경우도 발생되는데, 이 경우에는 엔진콘트롤다이얼(10)로부터 입력된 신호를 우선적으로 추종함으로써 사용자의 혼란을 방지하고, 제어로직을 단순화시키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후, 장비콘트롤러(50)는, 제어알고리즘을 통하여 계기판(30)에,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은 엔진 회전수 조정 화면을 제공하여 조그셔틀(20)로부터 엔진 회전수에 대한 제어신호가 입력됨을 선택하도록 한 후 조그스위치(21)의 회전시 해당 조작값에 상응하는 엔진 회전수 값을 해당 분율로 나타내어 사용자로 하여금 현재 제어되는 엔진의 회전수를 인지하도록 함과 동시에, 상기 제어신호에 대응되는 엔진 회전수의 값을 엔진콘트롤러(40)에 출력하여 엔진(1)의 구동이 제어되도록 한다. 도 4의 엔진 회전수 조정 화면을 호출하는 방법은 아래와 같이 구성될 수 있다. 첫 번째 예로, 계기판(30)에 배치된 다수의 입력키를 조작함으로써 해당 화면을 호출하는 방법이 있다. 두 번째 예로는, 운전실 내부에 배치된 별도의 선택 스위치를 조작함으로써 해당 화면을 호출하는 방법이 있다. 세 번째 예로는, 조그스위치(21)를 가압조작하여 메뉴 선택 화면을 호출한 후 조그스위치(21)의 회전조작을 통해 엔진 회전수 제어메뉴를 선택한 후 조그스위치(21)를 다시 가압조작하여 엔진 회전수 조정 화면을 호출하는 방법이 있다. 엔진 회전수 제어 화면이 호출되면 사용자는 조그스위치(21)를 회전조작하여 회전조작신호를 발생시킴으로써 원하는 엔진 회전수가 화면에 나타날 때까지 화면의 엔진 회전수 값을 증가 또는 감소시킨 후 다시 조그스위치(21)를 가압조작하여 선택조작신호를 발생시킴으로써 선택된 엔진 회전수에 대응되는 신호가 장비콘트롤러(50)로 출력되게 함으로써 엔진 회전수 조절을 위한 조작이 완료될 수 있다. 이러한 조그스위치(21) 조작에 대응되는 제어신호는 계기판(30)에 의해 장비콘트롤러(50)에 입력될 제어신호로 가공된 후 계기판(30)으로부터 출력되어 장비콘트롤러(50)로 입력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를 위해, 계기판(30)은 장비콘트롤러(50)의 연산장치 및 메모리와는 별도로 마련되어 제어신호 가공을 위한 연산장치 및 메모리메모리를 구비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상에서 설명된 계기판은 엔진 회전수 조정 화면이 호출되면 현재 장비에 적용 중인 엔진 회전수 값을 우선 표시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는 조그스위치의 회전범위가 제한되지 않기 때문에 조그스위치의 현재 자세에 대응되는 엔진 회전수 값을 나타낼 수 없기 때문이다. 따라서, 사용자는 엔진 회전수 조정 화면 호출 후 화면에 표신된 현재 엔진 회전수 값으로부터 엔진 회전수 값이 증감되도록 조그스위치를 회전조작함으로써 원하는 엔진 회전수 값을 선택할 수 있게 된다.
따라서 상술한 바에 의하면, 엔진콘트롤다이얼(10)이 고장 또는 오동작되더라도 조그셔틀(20)을 이용하여 엔진(1)의 회전수를 제어하도록 할 수 있다.
본 발명의 기술사상은 상기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라 구체적으로 기술되었으나, 상기한 실시예는 그 설명을 위한 것이며 그 제한을 위한 것이 아님을 주의하여야 한다. 또한, 본 발명의 기술분야의 통상의 전문가라면 본 발명의 기술사상의 범위 내에서 다양한 실시예가 가능함을 알 수 있을 것이다.

Claims (5)

  1. 사용자에 의해 수동으로 조작되어 엔진의 회전수를 일정 단위로 증가 및 감소시키는 제어신호를 발생시키는 엔진콘트롤다이얼;
    사용자에 의해 수동으로 회전 조작 및 가압 조작되는 조그스위치를 포함하며, 각종 동작모드에 대응된 기능을 선택하거나 변경하도록 하는 선택신호를 발생시키는 조그셔틀;
    사용자가 건설기계의 구동 중 필요로 하는 각종 구성부들의 동작 정보를 디스플레이하는 계기판;
    상기 엔진을 상기 엔진콘트롤다이얼에 의해 발생된 제어신호에 대응되도록 제어하는 엔진콘트롤러; 및
    상기 엔진콘트롤다이얼로부터 발생되는 제어신호와 상기 조그스위치의 회전 조작 및 가압 조작에 대응되는 제어신호 중 하나를 인가받고, 상기 제어신호들 각각에 대응되는 엔진 회전수 값 중 상기 인가된 제어신호에 대응되는 엔진 회전수 값을 상기 엔진콘트롤러에 제공하는 장비콘트롤러
    를 포함하는 건설기계의 엔진제어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계기판은 상기 조그셔틀을 이용한 엔진 회전수 조정 화면의 제공이 가능하고,
    상기 조그스위치는 사용자의 회전조작에 의한 회전각도에 대응되는 회전조작신호와 사용자의 가압조작에 대응되는 선택조작신호를 상기 계기판에 출력 가능하며,
    상기 계기판은, 상기 엔진 회전수 조정 화면이 호출되면, 상기 회전조작신호에 대응하여 상기 엔진 회전수 조정 화면에 표시된 엔진 회전수 값을 증가 또는 감소시킨 후 상기 선택조작신호의 입력에 의해 상기 회전조작에 의해 선택된 엔진 회전수 값을 상기 장비콘트롤러에 출력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건설기계의 엔진제어장치.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계기판은,
    상기 엔진 회전수 조정 화면이 호출되면, 현재 적용 중인 엔진 회전수 값을 표시한 후 상기 조그스위치 조작시 상기 현재 적용 중인 엔진 회전수 값으로부터 상기 엔진 회전수 값이 증가 또는 감소되도록 표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건설기계의 엔진제어장치.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조그셔틀은,
    상기 엔진콘트롤다이얼의 고장 또는 오동작시 상기 조그스위치의 회전각도에 따라 상기 엔진의 회전수를 증가 또는 감소시키는 입력값을 발생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건설기계의 엔진제어장치.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장비콘트롤러는
    상기 엔진콘트롤다이얼이 정상적으로 동작하지 않을 경우 상기 조그셔틀로부터 엔진 회전수를 제어하는 제어신호가 발생되도록 스위칭 구동되는 스위칭부를 포함하며,
    상기 스위칭부는 사용자의 선택 조작에 의해 수동으로 동작되거나, 상기 엔진콘트롤다이얼의 오류시 자동으로 동작되도록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건설기계의 엔진제어장치.
KR1020120008761A 2012-01-30 2012-01-30 건설기계의 엔진제어장치 KR101879874B1 (ko)

Priority Applications (4)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008761A KR101879874B1 (ko) 2012-01-30 2012-01-30 건설기계의 엔진제어장치
US14/375,220 US9581090B2 (en) 2012-01-30 2013-01-22 Engine control unit for construction machinery
PCT/KR2013/000508 WO2013115516A1 (ko) 2012-01-30 2013-01-22 건설기계의 엔진제어장치
CN201380017815.4A CN104220731A (zh) 2012-01-30 2013-01-22 工程机械的发动机控制装置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008761A KR101879874B1 (ko) 2012-01-30 2012-01-30 건설기계의 엔진제어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30087703A true KR20130087703A (ko) 2013-08-07
KR101879874B1 KR101879874B1 (ko) 2018-07-18

Family

ID=4890550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20008761A KR101879874B1 (ko) 2012-01-30 2012-01-30 건설기계의 엔진제어장치

Country Status (4)

Country Link
US (1) US9581090B2 (ko)
KR (1) KR101879874B1 (ko)
CN (1) CN104220731A (ko)
WO (1) WO2013115516A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50033031A (ko) * 2013-09-23 2015-04-01 두산인프라코어 주식회사 건설기계의 엔진회전수 비상제어 장치 및 방법
CN105277371A (zh) * 2014-07-08 2016-01-27 福特环球技术公司 用于调整内燃发动机的发动机控制参数的设备和方法

Families Citing this famil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806566B1 (ko) * 2011-12-28 2017-12-08 두산인프라코어 주식회사 건설기계의 엔진 회전수 제어방법
KR101879874B1 (ko) * 2012-01-30 2018-07-18 두산인프라코어 주식회사 건설기계의 엔진제어장치
JP2022026000A (ja) * 2020-07-30 2022-02-10 ヤンマーホールディングス株式会社 操作装置、作業車両、および、操作制御方法
CN113062806B (zh) * 2021-03-08 2023-06-02 河北华北柴油机有限责任公司 一种基于emr系统的泵组调速控制方法
MX2022008716A (es) * 2021-07-20 2023-01-23 Polaris Inc Control de vehiculo automatico.

Family Cites Families (1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325365C (zh) * 2001-11-05 2007-07-11 日立建机株式会社 用于建筑机械的操纵杆装置
DE202004021423U1 (de) * 2004-10-14 2008-02-21 Webasto Ag Fernbedienung
US9201504B2 (en) * 2007-11-29 2015-12-01 Daesung Electric Co., Ltd. Vehicular glance lighting apparatus and a method for controlling the same
US8358279B2 (en) * 2007-11-29 2013-01-22 Daesung Electric Co., Ltd Sensation system
KR20090063511A (ko) 2007-12-14 2009-06-18 현대중공업 주식회사 굴삭기의 모니터 시스템
BRPI0918303B1 (pt) * 2008-12-24 2019-04-09 Doosan Infracore Co., Ltd. Aparelho para controle de contigência de uma velocidade de rotação do motor de um equipamento para construção pesada
KR101171454B1 (ko) * 2009-12-29 2012-08-07 대성전기공업 주식회사 복합 스위치 장치 및 이를 사용한 차량 엔진 시동 제어 방법
JP5622227B2 (ja) 2010-05-31 2014-11-12 キャタピラーエス エー アール エル 入力装置
JP5275289B2 (ja) 2010-06-09 2013-08-28 日立建機株式会社 建設機械
JP2012101755A (ja) * 2010-11-12 2012-05-31 Denso Corp 車速制御システム
EP2518592B1 (en) * 2011-04-25 2017-07-26 Daesung Electric Co., Ltd Haptic steering wheel switch apparatus
KR101879874B1 (ko) * 2012-01-30 2018-07-18 두산인프라코어 주식회사 건설기계의 엔진제어장치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50033031A (ko) * 2013-09-23 2015-04-01 두산인프라코어 주식회사 건설기계의 엔진회전수 비상제어 장치 및 방법
CN105277371A (zh) * 2014-07-08 2016-01-27 福特环球技术公司 用于调整内燃发动机的发动机控制参数的设备和方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WO2013115516A1 (ko) 2013-08-08
CN104220731A (zh) 2014-12-17
US9581090B2 (en) 2017-02-28
KR101879874B1 (ko) 2018-07-18
US20150107552A1 (en) 2015-04-2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879874B1 (ko) 건설기계의 엔진제어장치
WO2013005093A1 (en) Operating device and operating method
US11913197B2 (en) Shovel and system for shovel
KR100437104B1 (ko) 온 스크린 디스플레이 장치를 구비한 전자기기의 메뉴제어 방법
KR20200122945A (ko) 복수의 어플리케이션의 실행화면들을 표시하는 전자 장치 및 그의 동작 방법
KR101627006B1 (ko) 건설중장비의 엔진 회전수 비상 제어 장치
KR101339005B1 (ko) 차량용 모니터 장치 및 이의 제어 방법
KR101014504B1 (ko) 자리수 키를 이용한 정보 메뉴 설정 장치 및 그 설정방법
KR102107246B1 (ko) 건설기계의 엔진회전수 비상제어 장치 및 방법
JP5077816B2 (ja) タッチパネル付き音響機器
JP5622227B2 (ja) 入力装置
KR20110077063A (ko) 건설기계의 카메라모드 제어방법
KR20070079457A (ko) 토크모터 구동장치
KR20140095622A (ko) 건설용 차량의 엔진 제어 장치 및 방법
US20150114936A1 (en) Electric discharge machine
JP6671782B2 (ja) エンジン制御装置
JP2000089819A (ja) 制御器および制御装置
JP6384582B2 (ja) 撮像装置及び表示方法
JP2022061189A (ja) 表示装置及びその制御方法
KR20060107018A (ko) 건설기계의 하드디스크 드라이브를 이용한 데이터 저장시스템
KR20160025772A (ko) 입력 방식 변경에 따라 유저 인터페이스를 전환하는 차량용 영상 표시 장치
KR20100074879A (ko) 자동차용 다기능 모니터 스위치
EP1993012A2 (en) Numerical controller with function to add display screens
JP6188613B2 (ja) 制御装置、リモートコントローラ及び動作クロック切替方法
JP5532524B2 (ja) タッチパネル付き音響機器、チャンネル選択装置、およびプログラム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AMND Amendment
X701 Decision to grant (after re-examina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