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30087186A - 차량용 커버링셀프 어셈블리 - Google Patents
차량용 커버링셀프 어셈블리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20130087186A KR20130087186A KR1020120008274A KR20120008274A KR20130087186A KR 20130087186 A KR20130087186 A KR 20130087186A KR 1020120008274 A KR1020120008274 A KR 1020120008274A KR 20120008274 A KR20120008274 A KR 20120008274A KR 20130087186 A KR20130087186 A KR 20130087186A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shaft
- fastening groove
- hinge bracket
- hook
- covering self
- Prior art date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5/00—Compartments within vehicle body primarily intended or sufficiently spacious for trunks, suit-cases, or the like
- B60R5/04—Compartments within vehicle body primarily intended or sufficiently spacious for trunks, suit-cases, or the like arranged at rear of vehicle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5/00—Compartments within vehicle body primarily intended or sufficiently spacious for trunks, suit-cases, or the like
- B60R5/003—Luggage racks, e.g. for busses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11/00—Arrangements for holding or mounting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2011/0001—Arrangements for holding or mounting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haracterised by position
- B60R2011/0003—Arrangements for holding or mounting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haracterised by position inside the vehicle
- B60R2011/0019—Side or rear panels
- B60R2011/0024—Rear shelves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11/00—Arrangements for holding or mounting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2011/0001—Arrangements for holding or mounting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haracterised by position
- B60R2011/0003—Arrangements for holding or mounting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haracterised by position inside the vehicle
- B60R2011/0036—Luggage compartment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11/00—Arrangements for holding or mounting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2011/0042—Arrangements for holding or mounting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haracterised by mounting means
- B60R2011/0049—Arrangements for holding or mounting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haracterised by mounting means for non integrated articles
- B60R2011/005—Connection with the vehicle part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11/00—Arrangements for holding or mounting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2011/0042—Arrangements for holding or mounting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haracterised by mounting means
- B60R2011/008—Adjustable or movable supports
- B60R2011/0085—Adjustable or movable supports with adjustment by rotation in their operational position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Superstructure Of Vehicle (AREA)
Abstract
차량용 커버링셀프 어셈블리가 개시된다.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르면, 일측에 고정축이 형성된 사이드트림; 하단부에 상기 고정축이 삽입 체결되는 제 1 축체결홈이 형성되고, 상기 제 1 축체결홈의 외주를 따라 가이드플랜지가 돌출 형성되며, 상기 제 1 축체결홈에 인접하게 고정후크가 형성된 제 1 힌지브라켓; 측면 하단부에 상기 제 1 축체결홈과 대응되는 형상으로 제 2 축체결홈이 형성되고, 상기 제 2 축체결홈에 인접하게 상기 고정후크가 관통 체결되는 제 1 후크체결홀이 형성된 커버링셀프; 및 상기 제 1 힌지브라켓과 체결되어 상기 커버링셀프를 상기 고정축에 회전 가능하도록 체결시키는 것으로, 하단부에 상기 제 1 축체결홈과 대응되는 형상으로 제 3 축체결홈이 형성되고, 상기 제 3 축체결홈에 인접하게 상기 고정후크가 삽입 체결되는 제 2 후크체결홀이 형성된 제 2 힌지브라켓;을 포함하는 차량용 커버링셀프 어셈블리가 제공될 수 있다.
Description
본 발명은 차량용 커버링셀프 어셈블리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조립작업이 우수하여 커버링셀프를 견고하게 지지 가능한 구조의 차량용 커버링셀프 어셈블리에 관한 것이다.
해치백 타입의 차량의 경우 후방 화물창에 적재되는 화물을 차폐하는 등의 목적으로 커버링셀프를 사용하게 된다. 이때, 커버링셀프는 필요에 따라 개폐가 가능한 구조로 장착되어야 하기 때문에, 일반적으로 화물창 사이드트림 등에 회동 가능하도록 장착되고 있다.
그러나 종래의 경우 회전축 등을 통한 사이드트림과 커버링셀프 간의 장착구조가 취약하게 형성되어 있어, 커버링셀프를 탈부착하거나 회전 작동시키는 과정에서 파손이나 헐거워짐이 쉽게 발생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차량의 운행과정에서 충격이 발생되면 커버링셀프가 사이드트림에서 쉽게 이탈되는 문제점이 있었으며, 다수의 부품을 사용하여야 하는 바 중량 및 원가 증가의 문제 또한 가지고 있었다.
본 발명은 조립작업성이 우수하면서도 커버링셀프를 견고하게 지지 가능한 차량용 커버링셀프 어셈블리를 제공하고자 한다.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르면, 일측에 고정축이 형성된 사이드트림; 하단부에 상기 고정축이 삽입 체결되는 제 1 축체결홈이 형성되고, 상기 제 1 축체결홈의 외주를 따라 가이드플랜지가 돌출 형성되며, 상기 제 1 축체결홈에 인접하게 고정후크가 형성된 제 1 힌지브라켓; 측면 하단부에 상기 제 1 축체결홈과 대응되는 형상으로 제 2 축체결홈이 형성되고, 상기 제 2 축체결홈에 인접하게 상기 고정후크가 관통 체결되는 제 1 후크체결홀이 형성된 커버링셀프; 및 상기 제 1 힌지브라켓과 체결되어 상기 커버링셀프를 상기 고정축에 회전 가능하도록 체결시키는 것으로, 하단부에 상기 제 1 축체결홈과 대응되는 형상으로 제 3 축체결홈이 형성되고, 상기 제 3 축체결홈에 인접하게 상기 고정후크가 삽입 체결되는 제 2 후크체결홀이 형성된 제 2 힌지브라켓;을 포함하는 차량용 커버링셀프 어셈블리가 제공될 수 있다.
이때, 상기 고정후크는 일측에 톱니가 형성되며, 상기 제 2 후크체결홀에는 상기 톱니와 맞물려 상기 고정후크를 고정시키는 고정돌기가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 1 축체결홈은, 상기 고정축이 삽입될 수 있도록 상기 고정축의 직경보다 폭이 크게 형성된 축삽입부; 및 상기 고정축이 삽입되어 고정될 수 있도록 상기 고정축의 외주와 대응되는 형상으로 형성되되, 상기 고정축이 삽입되는 입구부의 폭이 상기 고정축의 직경보다 소정정도 작게 형성된 축안착부;를 구비할 수 있다.
또한, 상기 가이드플랜지에는, 상기 고정축이 상기 제 1 축체결홈에서 이탈되는 것을 방지하는 이탈방지돌기가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 1 힌지브라켓의 일측에는 상기 제 1, 2 힌지브라켓의 체결시 상기 제 1, 2 힌지브라켓 간에 소정간격을 형성하는 스페이서가 형성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들은 제 1, 2 힌지브라켓을 구비함으로써, 사이드트림에 커버링셀프를 용이하게 장착시킬 수 있으며, 커버링셀프의 조립작업성을 증대시킬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들은 제 1 내지 3 축체결홈의 형상 및 가이드플랜지에 형성된 이탈방지돌기를 통해, 커버링셀프가 고정축으로부터 이탈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으며, 반복된 작동이나 차량 운행시의 충격으로부터 커버링셀프의 이탈을 방지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커버링셀프 어셈블리를 보여주는 분해 사시도이다.
도 2는 도 1에 도시된 제 1 힌지브라켓을 보여주는 사시도이다.
도 3은 도 1에 도시된 커버링셀프의 측면도이다.
도 4는 도 1에 도시된 제 2 힌지브라켓을 보여주는 사시도이다.
도 5는 도 1에 도시된 차량용 커버링셀프 어셈블리의 결합상태를 보여주는 단면도이다.
도 2는 도 1에 도시된 제 1 힌지브라켓을 보여주는 사시도이다.
도 3은 도 1에 도시된 커버링셀프의 측면도이다.
도 4는 도 1에 도시된 제 2 힌지브라켓을 보여주는 사시도이다.
도 5는 도 1에 도시된 차량용 커버링셀프 어셈블리의 결합상태를 보여주는 단면도이다.
이하, 도면을 참고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커버링셀프 어셈블리에 대하여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커버링셀프 어셈블리를 보여주는 분해 사시도이다.
도 1을 참고하면, 본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커버링셀프 어셈블리(100)는, 사이드트림(110), 제 1 힌지브라켓(120), 커버링셀프(130), 제 2 힌지브라켓(140)으로 구성될 수 있다. 이때, 본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커버링셀프 어셈블리(100)는, 제 1, 2 힌지브라켓(120, 140)을 통해 커버링셀프(130)를 사이드트림(110)에 회전 가능하도록 장착시키게 된다. 이하에서는 상기의 각 구성에 대하여 보다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사이드트림(110)은 차량의 화물창 측방에 형성되는 프레임으로, 커버링셀프(130)를 체결하기 위한 고정축(111)이 형성된다. 고정축(111)은 화물창 내측으로 소정정도 돌출되어 형성되며, 대략 원기둥의 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
도 2는 도 1에 도시된 제 1 힌지브라켓을 보여주는 사시도이다. 도 3의 (a)는 제 1 힌지브라켓(120)의 전면사시도를 도시하였으며, (b)는 제 1 힌지브라켓(120)의 후면사시도를 도시한 것임을 알려둔다.
도 2를 참고하면, 제 1 힌지브라켓(120)은 대략 플레이트 형태로 형성될 수 있으며, 하단부에 고정축(111)이 삽입 체결되는 제 1 축체결홈(123)이 형성된다. 제 1 축체결홈(123)은 고정축(111)과 체결되어 제 1 힌지브라켓(120)을 고정축(111)에 회전 가능하도록 체결시킨다. 또한, 제 1 축체결홈(123)은 후술할 제 2, 3 축체결홈(133, 143)과 대응되며, 제 1 내지 3 축체결홈(123, 133, 143)은 서로 대응되는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이때, 제 1 축체결홈(123)은 고정축(111)이 삽입되기 위한 축삽입부(123a)와, 고정축(111)을 고정 지지하기 위한 축안착부(123b)로 구분될 수 있다. 즉, 제 1 축체결홈(123)은 축삽입부(123a) 및 축삽입부(123a)에 연속하여 형성된 축안착부(123b)로 형성될 수 있다.
축삽입부(123a)는 고정축(111)이 삽입될 수 있도록 고정축(111)의 직경보다 폭이 크게 형성된다. 이때, 축삽입부(123a)는 대략 고정축(111)의 직경보다 큰 직경을 가지는 반원 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
한편, 축안착부(123b)는 고정축(111)이 삽입되어 고정될 수 있도록 고정축(111)의 외주와 대응되는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즉, 축안착부(123b)는 대략 고정축(111)의 외주와 비슷한 직경을 가지는 원형 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 이때, 축안착부(123b)와 축삽입부(123a)는 서로 연속되도록 형성되며, 특히, 축안착부(123b)로 고정축(111)이 삽입되는 입구부(123c)는 고정축(111)의 직경보다 폭이 작게 형성될 수 있다. 이는 축안착부(123b)에 삽입 고정된 고정축(111)이 쉽게 이탈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함이다.
한편, 상기와 같은 제 1 축체결홈(123)의 외주에는 가이드플랜지(124)가 형성될 수 있다. 가이드플랜지(124)는 제 1 축체결홈(123)의 외주 부위가 소정정도 돌출되어 형성될 수 있으며, 제 1 축체결홈(123)에 삽입 체결된 고정축(111)이 보다 견고히 제 1 축체결홈(123)에 안착될 수 있도록 보조한다.
이때, 가이드플랜지(124)에는 고정축(111)의 이탈을 방지하는 이탈방지돌기(124a)가 형성될 수 있다. 즉, 고정축(111)이 삽입 고정되는 축안착부(123b) 부위의 가이드플랜지(124)에는 이탈방지돌기(124a)가 형성되어 고정축(111)의 이탈을 방지할 수 있다. 이때, 이탈방지돌기(124a)는 복수개 형성될 수 있으며, 복수개의 이탈방지돌기(124a)가 고정축(111)의 외주면에 접촉되도록 형성될 수 있다.
한편, 제 1 힌지브라켓(120)에는 고정후크(121)가 형성될 수 있다. 고정후크(121)는 제 1 힌지브라켓(120)과 후술할 제 2 힌지브라켓(140)을 체결시키기 위한 것으로, 제 1 축체결홈(123)과 인접한 부위에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제 1 힌지브라켓(120)에는 볼트체결부(122)가 형성될 수 있다. 볼트체결부(122)는 고정후크(121)와 같이 제 1 힌지브라켓(120)과 제 2 힌지브라켓(140)을 서로 체결시킨다.
본 실시예의 경우, 제 1 힌지브라켓(120)에 고정후크(121) 및 볼트체결부(122)가 각각 하나씩 형성된 경우를 예시하였으나, 필요에 따라 복수개의 고정후크(121) 및 볼트체결부(122)가 형성될 수도 있으며, 고정후크(121) 또는 볼트체결부(122)만이 형성될 수도 있다. 즉, 필요에 따라, 제 1 힌지브라켓(120)에는 고정후크(121)만 좌우측에 하나씩 형성될 수 있다. 이와 같은 경우, 볼팅 작업 없이 고정후크(121)의 체결만으로 제 1, 2 힌지브라켓(120, 140)을 결합시킬 수 있는 바, 조립작업이 간편하다. 또한, 필요에 따라, 제 1 힌지브라켓(120)에는 볼트체결부(122)만 좌우측에 하나씩 형성될 수도 있다. 이와 같은 경우, 상기 고정후크(121)만 형성된 경우에 비하여 조립작업은 다소 번거로울 수 있으나, 볼팅 결합을 통해 제 1, 2 힌지브라켓(120, 140)을 보다 견고히 결합시킬 수 있다.
이하에서는 설명의 편의를 위하여, 제 1 힌지브라켓(120)에 고정후크(121) 및 볼트체결부(122)가 각각 하나씩 형성된 경우를 중심으로 설명하기로 한다.
한편, 제 1 힌지브라켓(120)에는 스페이서(125)가 형성될 수 있다. 스페이서(125)는 제 1, 2 힌지브라켓(120, 140)의 체결시 제 1, 2 힌지브라켓(120, 140) 간의 간격을 조절한다. 즉, 스페이서(125)는 제 1, 2 힌지브라켓(120, 140)의 체결시 제 1, 2 힌지브라켓(120, 140) 간에 소정간격이 있도록 하여, 커버링셀프(130)가 회전 작동될 수 있는 공간을 형성한다.
도 3은 도 1에 도시된 커버링셀프의 측면도이다.
도 3을 참고하면, 커버링셀프(130)의 측면 하단부에는 제 2 축체결홈(133)이 형성된다. 제 2 축체결홈(133)은 사이드트림(110)의 고정축(111)에 커버링셀프(130)를 체결시키기 위한 것으로, 제 1 힌지브라켓(120)에 형성된 제 1 축체결홈(123)과 대응되는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상기에서 제 1 축체결홈(123)의 형상에 대하여 기 설명한 바 있으므로, 제 2 축체결홈(133)의 형상에 대하여는 상세한 설명을 생략하기로 한다.
한편, 커버링셀프(130)에는 제 1 후크체결홀(131)이 형성될 수 있다. 제 1 후크체결홀(131)은 제 2 축체결홈(133)과 인접하게 형성될 수 있으며, 제 1 힌지브라켓(120)에 형성된 고정후크(121)가 관통 체결되게 된다.
또한, 커버링셀프(130)에는 제 1 볼트체결홀(132)이 형성될 수 있다. 제 1 볼트체결홀(132)은 제 1 힌지브라켓(120)에 형성된 볼트체결부(122)가 관통 체결되게 된다.
도 4는 도 1에 도시된 제 2 힌지브라켓을 보여주는 사시도이다. 도 4의 (a)는 제 2 힌지브라켓(140)의 전면사시도를 도시하였으며, (b)는 제 2 힌지브라켓(140)의 후면사시도를 도시한 것임을 알려둔다.
도 4를 참고하면, 제 2 힌지브라켓(140)은 하단부에 제 3 축체결홈(143)이 형성된다. 제 3 축체결홈(143)은 제 1 힌지브라켓(120)에 형성된 제 1 축체결홈(123)과 대응되는 형상으로 형성되며, 제 1 축체결홈(123)의 외주에 돌출 형성된 가이드플랜지(124)와 체결되게 된다. 상기에서 제 1 축체결홈(123)의 형상에 대하여 기 설명한 바 있으므로, 제 2 축체결홈(133)의 형상에 대하여는 상세한 설명을 생략하기로 한다.
제 2 힌지브라켓(140)은 제 1 힌지브라켓(120)과 대응되는 것으로, 제 1 힌지브라켓(120)과 체결되어 커버링셀프(130)를 고정축(111)에 회전 가능하도록 체결시킨다(도 1 참고). 이를 위해, 제 2 힌지브라켓(140)에는 제 2 후크체결홀(142) 및 제 2 볼트체결홀(141)이 형성될 수 있다. 제 2 후크체결홀(142)은 제 1 힌지브라켓(120)에 형성된 고정후크(121)와 대응되는 것으로, 제 1 후크체결홀(131)을 지난 고정후크(121)와 체결되어 제 1, 2 힌지브라켓(120, 140)을 결합시킨다. 또한, 제 2 볼트체결홀(141)은 제 1 힌지브라켓(120)에 형성된 볼트체결부(122)와 대응되는 것으로, 제 1 볼트체결홀(132)을 지난 볼트체결부(122)와 볼팅 결합되어 제 1, 2 힌지브라켓(120, 140)을 결합시킨다.
이때, 제 1 힌지브라켓(120)에 마련된 고정후크(121)의 일측에는 톱니(121a)가 형성될 수 있으며(도 2 참고), 제 2 힌지브라켓(140)에 마련된 제 2 후크체결홀(142)에는 상기와 같은 톱니(121a)와 맞물리는 고정돌기(142a)가 형성될 수 있다. 즉, 고정후크(121)가 제 2 후크체결홀(142)로 삽입되면, 고정후크(121)에 형성된 톱니(121a)가 고정돌기(142a)와 맞물려 제 1, 2 힌지브라켓(120, 140)이 서로 결합될 수 있다.
도 5는 도 1에 도시된 차량용 커버링셀프 어셈블리의 결합상태를 보여주는 단면도이다.
도 5를 참고하면, 본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커버링셀프 어셈블리(100)는 제 1, 2 힌지브라켓(120, 140)을 통해 커버링셀프(130)를 사이드트림(110)에 용이하게 조립할 수 있으며, 사이드트림(110)에 형성된 고정축(111)이 제 1 내지 3 축체결홈(123, 133, 143)에 견고하게 고정 지지됨으로써, 커버링셀프(130)의 이탈이 방지된다.
구체적으로, 커버링셀프(130)의 조립시, 작업자는 먼저 제 1, 2 힌지브라켓(120, 140)을 커버링셀프(130)의 양 측면에 장착하게 된다. 이때, 제 1, 2 힌지브라켓(120, 140)은 고정후크(121)에 형성된 톱니(121a)와 제 2 후크체결홀(142)에 형성된 고정돌기(142a) 간의 맞물림 결합이나, 볼트체결부(122)와 제 2 볼트체결홀(141) 간의 볼팅 결합에 의해 커버링셀프(130)에 장착될 수 있다(도 2 및 도 4 참고).
한편, 상기와 같이 제 1, 2 힌지브라켓(120, 140)이 커버링셀프(130)에 장착되면, 작업자는 사이드트림(110)에 형성된 고정축(111)에 커버링셀프(130)을 올려두고, 제 1 내지 3 축체결홈(123, 133, 143) 부위로 고정축(111)을 삽입 체결시킨다. 이때, 고정축(111)은 커버링셀프(130)의 중량이나 작업자의 외력에 의해 축삽입부(123a)를 따라 축안착부(123b)에 삽입되어 고정되게 된다(도 2 참고). 한편, 축안착부(123b)로 삽입되어 고정 지지되는 고정축(111)은 이탈방지돌기(124a)나, 축안착부(123b)의 형상에 의해 이탈이 방지되게 된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커버링셀프 어셈블리(100)는 제 1, 2 힌지브라켓(120, 140)을 통해 커버링셀프(130)를 고정축(111)에 장착함으로써, 커버링셀프(130)의 조립작업을 용이하게 할 수 있다. 또한, 본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커버링셀프 어셈블리(100)는 축삽입부(123a) 및 축안착부(123b)로 이루어지는 제 1 내지 3 축체결홈(123, 133, 143)의 형상이나, 가이드플랜지(124)에 형성된 이탈방지돌기(124a)로 인해, 커버링셀프(130)가 고정축(111)으로부터 이탈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으며, 반복된 작동이나 차량 운행시의 충격으로부터 커버링셀프(130)의 이탈을 방지할 수 있다.
이상,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대하여 설명하였으나, 해당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특허청구범위에 기재된 본 발명의 사상으로부터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구성 요소의 부가, 변경, 삭제 또는 추가 등에 의해 본 발명을 다양하게 수정 및 변경시킬 수 있을 것이며, 이 또한 본 발명의 권리범위 내에 포함됨은 자명하다고 할 것이다.
100: 차량용 커버링셀프 어셈블리 110: 사이드트림
111: 고정축 120: 제 1 힌지브라켓
121: 고정후크 122: 볼트체결부
123: 제 1 축체결홈 124: 가이드플랜지
125: 스페이서 130: 커버링셀프
131: 제 1 후크체결홀 132: 제 1 볼트체결홀
133: 제 2 축체결홈 140: 제 2 힌지브라켓
141: 제 2 볼트체결홀 142: 제 2 후크체결홀
143: 제 3 축체결홈
111: 고정축 120: 제 1 힌지브라켓
121: 고정후크 122: 볼트체결부
123: 제 1 축체결홈 124: 가이드플랜지
125: 스페이서 130: 커버링셀프
131: 제 1 후크체결홀 132: 제 1 볼트체결홀
133: 제 2 축체결홈 140: 제 2 힌지브라켓
141: 제 2 볼트체결홀 142: 제 2 후크체결홀
143: 제 3 축체결홈
Claims (5)
- 일측에 고정축(111)이 형성된 사이드트림(110);
하단부에 상기 고정축(111)이 삽입 체결되는 제 1 축체결홈(123)이 형성되고, 상기 제 1 축체결홈(123)의 외주를 따라 가이드플랜지(124)가 돌출 형성되며, 상기 제 1 축체결홈(123)에 인접하게 고정후크(121)가 형성된 제 1 힌지브라켓(120);
측면 하단부에 상기 제 1 축체결홈(123)과 대응되는 형상으로 제 2 축체결홈(133)이 형성되고, 상기 제 2 축체결홈(133)에 인접하게 상기 고정후크(121)가 관통 체결되는 제 1 후크체결홀(131)이 형성된 커버링셀프(130); 및
상기 제 1 힌지브라켓(120)과 체결되어 상기 커버링셀프(130)를 상기 고정축(111)에 회전 가능하도록 체결시키는 것으로, 하단부에 상기 제 1 축체결홈(123)과 대응되는 형상으로 제 3 축체결홈(143)이 형성되고, 상기 제 3 축체결홈(143)에 인접하게 상기 고정후크(121)가 삽입 체결되는 제 2 후크체결홀(142)이 형성된 제 2 힌지브라켓(140);을 포함하는 차량용 커버링셀프 어셈블리.
-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고정후크(121)는 일측에 톱니(121a)가 형성되며,
상기 제 2 후크체결홀(142)에는 상기 톱니(121a)와 맞물려 상기 고정후크(121)를 고정시키는 고정돌기(142a)가 형성된 차량용 커버링셀프 어셈블리.
-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제 1 축체결홈(123)은,
상기 고정축(111)이 삽입될 수 있도록 상기 고정축(111)의 직경보다 폭이 크게 형성된 축삽입부(123a); 및
상기 고정축(111)이 삽입되어 고정될 수 있도록 상기 고정축(111)의 외주와 대응되는 형상으로 형성되되, 상기 고정축(111)이 삽입되는 입구부의 폭이 상기 고정축(111)의 직경보다 소정정도 작게 형성된 축안착부(123b);를 구비하는 차량용 커버링셀프 어셈블리.
-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가이드플랜지(124)에는, 상기 고정축(111)이 상기 제 1 축체결홈(123)에서 이탈되는 것을 방지하는 이탈방지돌기(124a)가 형성된 차량용 커버링셀프 어셈블리.
-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제 1 힌지브라켓(120)의 일측에는 상기 제 1, 2 힌지브라켓(120, 140)의 체결시 상기 제 1, 2 힌지브라켓(120, 140) 간에 소정간격을 형성하는 스페이서(125)가 형성된 차량용 커버링셀프 어셈블리.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20008274A KR20130087186A (ko) | 2012-01-27 | 2012-01-27 | 차량용 커버링셀프 어셈블리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20008274A KR20130087186A (ko) | 2012-01-27 | 2012-01-27 | 차량용 커버링셀프 어셈블리 |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130087186A true KR20130087186A (ko) | 2013-08-06 |
Family
ID=4921408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120008274A KR20130087186A (ko) | 2012-01-27 | 2012-01-27 | 차량용 커버링셀프 어셈블리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1) | KR20130087186A (ko) |
Cited By (2)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1459492B1 (ko) * | 2013-12-06 | 2014-11-07 | 기아자동차 주식회사 | 차량용 커버링 쉘프 힌지 브라켓 |
KR20230172829A (ko) * | 2022-06-16 | 2023-12-26 | 엔브이에이치코리아(주) | 커버링쉘프 힌지브래킷 |
-
2012
- 2012-01-27 KR KR1020120008274A patent/KR20130087186A/ko not_active Application Discontinuation
Cited By (2)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1459492B1 (ko) * | 2013-12-06 | 2014-11-07 | 기아자동차 주식회사 | 차량용 커버링 쉘프 힌지 브라켓 |
KR20230172829A (ko) * | 2022-06-16 | 2023-12-26 | 엔브이에이치코리아(주) | 커버링쉘프 힌지브래킷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EP2805876B1 (en) | Fender panel mounting structure for vehicle | |
KR101575508B1 (ko) | 자동차의 도어트림 체결장치 | |
US12054115B2 (en) | Bumper with selectively attachable light bars | |
KR20140093370A (ko) | 리어시트의 차량 장착 측부 힌지 구조체 | |
KR20130087186A (ko) | 차량용 커버링셀프 어셈블리 | |
EP2244901A1 (fr) | Sous-ensemble de bloc avant de véhicule automobile | |
JP4504797B2 (ja) | サンルーフ装置における駆動モータユニットの取り付け構造 | |
JP5593912B2 (ja) | 表示装置 | |
JP2013076266A (ja) | 作業機械 | |
US7055406B1 (en) | Axle housing assembly | |
JP2011245911A (ja) | リアワイパ装置の取付構造 | |
JP2017536516A (ja) | 細長い車両部品を固定する締付け装置 | |
KR101826430B1 (ko) | 트랙터용 eps 모듈 장착장치 | |
EP1864858B1 (en) | Installation structure and installation method of garnish and appliance | |
KR20120088309A (ko) | 러버의 회동이 가능한 센터 베어링 어셈블리 | |
WO2014092053A1 (ja) | リテーナとグロメットによる取付け構造 | |
JP2019107936A (ja) | 車体前部構造 | |
JP2019123356A (ja) | 車体前部の構造 | |
JP5808655B2 (ja) | 車両用ミラー装置 | |
JP6046420B2 (ja) | 車両ドアヒンジ構造 | |
JP2009040311A (ja) | 自動二輪車 | |
KR20080042974A (ko) | 자동차용 도어 윈도우 레귤레이터의 캐리어 구동수단결합구조 | |
KR200416957Y1 (ko) | 카고스크린 하우징커버구조 | |
JP2007160989A (ja) | 自動車におけるメータクラスタ取付装置 | |
JP6529172B2 (ja) | 車両の冷却装置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A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E902 |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 ||
E601 |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