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30087049A - 열회수 이용 시스템 - Google Patents

열회수 이용 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30087049A
KR20130087049A KR1020137016130A KR20137016130A KR20130087049A KR 20130087049 A KR20130087049 A KR 20130087049A KR 1020137016130 A KR1020137016130 A KR 1020137016130A KR 20137016130 A KR20137016130 A KR 20137016130A KR 20130087049 A KR20130087049 A KR 20130087049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heat
heat recovery
exhaust gas
boiler
supply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3701613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473601B1 (ko
Inventor
히로시 나카쇼지
다츠토 나가야스
Original Assignee
미츠비시 쥬고교 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미츠비시 쥬고교 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미츠비시 쥬고교 가부시키가이샤
Publication of KR2013008704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30087049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47360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473601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2STEAM GENERATION
    • F22BMETHODS OF STEAM GENERATION; STEAM BOILERS
    • F22B37/00Component parts or details of steam boilers
    • F22B37/02Component parts or details of steam boilers applicable to more than one kind or type of steam boiler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1MACHINES OR ENGINES IN GENERAL; ENGINE PLANTS IN GENERAL; STEAM ENGINES
    • F01KSTEAM ENGINE PLANTS; STEAM ACCUMULATORS; ENGINE PLAN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ENGINES USING SPECIAL WORKING FLUIDS OR CYCLES
    • F01K13/00General layout or general methods of operation of complete plants
    • F01K13/02Controlling, e.g. stopping or starting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1MACHINES OR ENGINES IN GENERAL; ENGINE PLANTS IN GENERAL; STEAM ENGINES
    • F01KSTEAM ENGINE PLANTS; STEAM ACCUMULATORS; ENGINE PLAN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ENGINES USING SPECIAL WORKING FLUIDS OR CYCLES
    • F01K3/00Plants characterised by the use of steam or heat accumulators, or intermediate steam heaters, therein
    • F01K3/004Accumulation in the liquid branch of the circuit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2STEAM GENERATION
    • F22BMETHODS OF STEAM GENERATION; STEAM BOILERS
    • F22B33/00Steam-generation plants, e.g. comprising steam boilers of different types in mutual association
    • F22B33/18Combinations of steam boilers with other apparatu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2STEAM GENERATION
    • F22DPREHEATING, OR ACCUMULATING PREHEATED, FEED-WATER FOR STEAM GENERATION; FEED-WATER SUPPLY FOR STEAM GENERATION; CONTROLLING WATER LEVEL FOR STEAM GENERATION; AUXILIARY DEVICES FOR PROMOTING WATER CIRCULATION WITHIN STEAM BOILERS
    • F22D1/00Feed-water heaters, i.e. economisers or like preheaters
    • F22D1/36Water and air preheating systems
    • F22D1/38Constructional features of water and air preheating system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3COMBUSTION APPARATUS; COMBUSTION PROCESSES
    • F23JREMOVAL OR TREATMENT OF COMBUSTION PRODUCTS OR COMBUSTION RESIDUES; FLUES 
    • F23J15/00Arrangements of devices for treating smoke or fumes
    • F23J15/06Arrangements of devices for treating smoke or fumes of cooler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3COMBUSTION APPARATUS; COMBUSTION PROCESSES
    • F23JREMOVAL OR TREATMENT OF COMBUSTION PRODUCTS OR COMBUSTION RESIDUES; FLUES 
    • F23J15/00Arrangements of devices for treating smoke or fumes
    • F23J15/08Arrangements of devices for treating smoke or fumes of heater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3COMBUSTION APPARATUS; COMBUSTION PROCESSES
    • F23JREMOVAL OR TREATMENT OF COMBUSTION PRODUCTS OR COMBUSTION RESIDUES; FLUES 
    • F23J2215/00Preventing emissions
    • F23J2215/20Sulfur; Compounds thereof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EREDUCTION OF GREENHOUSE GAS [GHG] EMISSIONS, RELATED TO ENERGY GENERATION, TRANSMISSION OR DISTRIBUTION
    • Y02E20/00Combustion technologies with mitigation potential
    • Y02E20/12Heat utilisation in combustion or incineration of waste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EREDUCTION OF GREENHOUSE GAS [GHG] EMISSIONS, RELATED TO ENERGY GENERATION, TRANSMISSION OR DISTRIBUTION
    • Y02E20/00Combustion technologies with mitigation potential
    • Y02E20/14Combined heat and power generation [CHP]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EREDUCTION OF GREENHOUSE GAS [GHG] EMISSIONS, RELATED TO ENERGY GENERATION, TRANSMISSION OR DISTRIBUTION
    • Y02E20/00Combustion technologies with mitigation potential
    • Y02E20/30Technologies for a more efficient combustion or heat usage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P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IN THE PRODUCTION OR PROCESSING OF GOODS
    • Y02P80/00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for sector-wide applications
    • Y02P80/10Efficient use of energy, e.g. using compressed air or pressurized fluid as energy carrier
    • Y02P80/15On-site combined power, heat or cool generation or distribution, e.g. combined heat and power [CHP] supply

Abstract

열회수기로 보일러 배기 가스로부터 회수한 열을, 복잡한 설비나 높은 운전 비용을 들이지 않고, 유효 이용할 수 있는 열회수 이용 시스템을 제공한다. 본 발명의 열회수 이용 시스템은, 발전용 보일러 (11) 와, 보일러 배기 가스로부터 열회수를 실시하는 열회수기 (13) 와, 열회수기로 회수한 열을, 발전 이외의 설비의 열원으로 사용하기 위한 열교환기 (21) 와, 발전 이외의 설비의 열원을 축적하는 축열기 (31) 와, 열회수기로 회수한 열을 열교환기로 열교환하기 위해, 열회수기와 열교환기 사이에서, 열매체가 순환하는 열매체 순환 라인 (22) 을 구비한다. 열교환기 (21) 는, 시스템의 기동시에, 축열기 (31) 에 축적되어 있는 열원으로 열회수기 (13) 를 예열한다.

Description

열회수 이용 시스템{HEAT RECOVERY AND UTILIZATION SYSTEM}
본 발명은 발전소의 보일러 배기 가스로부터 열을 회수하여, 그 열을 재이용하는 열회수 이용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일본 공개특허공보 2001-239129호나 일본 공개특허공보 2006-308269호에는, 보일러 배기 가스의 처리 라인에 있어서, 탈황 장치 또는 집진기의 상류측에, 보일러 배기 가스의 열을 회수하는 열회수기를 설치하는 것이 개시되어 있다. 일본 공개특허공보 2001-239129호에는, 이 열회수기로 회수한 열로 보일러 급수를 가열하여, 보일러의 열효율을 향상시키는 것이 기재되어 있다. 또, 일본 공개특허공보 2006-308269호에는, 열회수기로 회수한 열로 증기 터빈의 복수를 가열하여, 보일러에 급수하는 것이나, 열회수기로 회수한 열로 공기를 예열하고 나서 보일러에 공급하는 것이 기재되어 있다.
일본 공개특허공보 2001-239129호 일본 공개특허공보 2006-308269호
열회수기로 보일러 배기 가스로부터 회수한 열의 이용법으로서는, 상기 서술한 바와 같이, 보일러 급수의 가열이나 공기의 예열 등이 공지이며, 이로써 발전소 전체의 열효율은 향상되고는 있지만, 더 나은 열효율의 향상이 요구되고 있다.
또, 상기와 같이 열회수기를 설치함으로써, 보일러 배기 가스의 처리 라인의 기동시에 열회수기를 난기시키는 것이 필요해졌다. 이 난기에는, 당해 라인의 보일러와는 별도의 보일러의 증기를 사용하거나, 열교환기나 드레인 회수 장치 등의 설비가 필요하여, 건설 비용 및 운전 비용이 든다는 문제가 있다. 또, 처리 라인 정지 후에 보일러 배기 가스로부터 회수한 열의 이용처가 없어, 회수한 열의 유효 이용을 할 수 없다는 문제가 있다.
그래서 본 발명은 상기의 문제점을 감안하여, 열회수기로 보일러 배기 가스로부터 회수한 열을 복잡한 설비나 높은 운전 비용을 들이지 않고, 유효 이용할 수 있는 열회수 이용 시스템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상기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은 발전용 보일러와, 상기 보일러의 배기 가스로부터 열회수를 실시하는 열회수기와, 상기 열회수기로 회수한 열을 발전 이외의 설비의 열원으로 사용하기 위한 열교환기와, 상기 발전 이외의 설비의 열원을 축적하는 축열기를 구비한 열회수 이용 시스템으로서, 상기 열교환기가, 상기 축열기에 축적되어 있는 열원으로 상기 열회수기를 예열하는 것이다.
상기 발전 이외의 설비는, 지역열 공급 설비가 바람직하고, 이 경우, 상기 열회수기로 회수한 열로 지역열 공급 설비의 공급수를 가열한다. 또, 상기 발전 이외의 설비는, 바이오매스 건조 설비가 바람직하고, 상기 열회수기로 회수한 열로 바이오매스 건조 설비의 열매체를 가열한다. 상기 발전 이외의 설비는, 지역열 공급 설비와 바이오매스 건조 설비를 병설할 수도 있다.
본 발명의 열회수 이용 시스템은, 상기 열회수기로 회수한 열을 상기 열교환기로 열교환하기 위해, 상기 열회수기와 상기 열교환기 사이에서, 열매체가 순환하는 열매체 순환 라인을 추가로 구비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 본 발명의 열회수 이용 시스템은, 상기 열회수기로 열회수한 후의 보일러 배기 가스의 온도에 기초하여, 상기 열교환기에 있어서, 상기 열회수기로 회수한 열을 상기 발전 이외의 설비의 열원으로 하는 열교환량을 제어하는 제어 장치를 추가로 구비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와 같이 본 발명에 의하면, 열회수기로 회수한 열을 지역열 공급 설비의 공급수의 가열원이나, 바이오매스 건조 설비의 열원과 같은 발전 이외의 설비의 열원에 사용하는 열교환기를 설치함으로써, 종래의 발전소 내의 설비에 상관없이, 열회수기로 회수한 열을 유효하게 이용할 수 있다. 또, 발전 이외의 설비의 열원을 축적하는 축열기를 사용하고, 상기 열교환기에 의해, 이 축열기에 축적되어 있는 열원으로 열회수기를 예열함으로써, 종래의 증기를 사용하지 않고, 열회수기를 예열할 수 있고, 또, 증기로 열회수기를 예열하기 위한 열교환기나 드레인 회수 장치 등의 설비를 설치할 필요도 없다. 따라서, 본 발명에 의하면, 열회수기로 보일러 배기 가스로부터 회수한 열을 복잡한 설비나 높은 운전 비용을 들이지 않고, 유효하게 이용할 수 있는 열회수 이용 시스템을 제공할 수 있다.
도 1 은 본 발명에 관련된 열재이용 시스템의 일 실시형태를 나타내는 모식도로서, 기동시의 운전을 설명하는 도면이다.
도 2 는 본 발명에 관련된 열재이용 시스템의 일 실시형태를 나타내는 모식도로서, 통상시의 운전을 설명하는 도면이다.
이하, 첨부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관련된 열회수 이용 시스템의 일 실시형태에 대하여 설명한다. 또한, 본 발명은 이 실시형태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도 1 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본 실시형태의 열회수 이용 시스템은, 발전용 보일러 (11) 와, 이 보일러의 배기 가스로부터 열을 회수하는 열회수기 (13) 와, 열회수한 후의 배기 가스로부터 매진을 제거하는 집진 장치 (14) 와, 제진 후의 배기 가스로부터 황산화물을 제거하는 탈황 장치 (15) 와, 탈황 후의 배기 가스를 대기 중으로 방출하는 굴뚝 (17) 을 구비한다. 또, 이들 보일러 (11), 열회수기 (13), 탈황 장치 (15) 및 굴뚝 (17) 의 각 사이에, 보일러 배기 가스가 흐르는 배기 가스 유로 (12) 를 구비한다.
또한, 도시하지 않지만, 본 시스템은, 보일러 (11) 로부터의 증기에 의해 가동되는 증기 터빈과, 이 증기 터빈으로부터의 동력에 의해 발전하는 발전기를 구비한다. 또, 증기 터빈으로부터의 배기를 냉각시켜 응축하는 콘덴서와, 이 응축수를 가열하여 보일러 (11) 에 공급하는 히터를 구비할 수도 있다. 히터는, 증기 터빈으로부터의 저압 추기 증기로 가열하는 제 1 히터와, 증기 터빈으로부터의 고압 추기 증기로 가열하는 제 2 히터를 구비할 수도 있다.
또, 도시하지 않지만, 배기 가스 유로 (12) 에는, 보일러 (11) 와 열회수기 (13) 사이에, 배기 가스를 열원으로 하여, 보일러 (11) 에 공급하는 공기를 예열하기 위한 공기 예열기를 설치할 수도 있다. 또한, 집진 장치 (14) 는, 도시와는 상이하게, 보일러 (11) (공기 예열기를 설치하는 경우에는 공기 예열기) 와 열회수기 (13) 사이에 설치할 수도 있다.
열회수기 (13) 는, 보일러 배기 가스로부터 열을 회수하기 위해, 보일러 배기 가스의 유로 내에, 열매체가 흐르는 전열관을 구비한다. 그리고, 본 시스템은, 이 회수한 열을 지역열 공급 설비의 열원으로서 이용하기 위해, 상기의 열매체와 지역열 공급 설비용 공급수로 열교환을 실시하기 위한 열교환기 (21) 와, 이 열교환기 (21) 와 열회수기 (13) 사이에서 열매체가 순환하여 흐르는 열매체 순환 배관 (22) 과, 열교환기 (21) 를 통과하도록 지역열 공급 설비용 공급수가 흐르는 공급수 배관 (32) 을 구비한다.
열매체 순환 배관 (22) 에는, 열매체를 압송하는 재순환 펌프 (23) 와, 이 순환 배관에 열매체를 공급하는 열매체 탱크 (25) 를 설치한다. 공급수 배관 (32) 에는, 공급수 (저온수 (41)) 를 열교환기측으로 압송하는 저온수 펌프 (33) 와, 열교환기 (21) 에서 가열된 공급수 (고온수) 를 저류시켜 축열하는 축열기 (31) 와, 축열기 (31) 로부터의 고온수 (43) 를 지역으로 공급하거나 하기 위해 압송하는 고온수 펌프 (34) 를 설치한다.
축열기 (31) 는, 축열용으로 상기 고온수가 공급되는 고온수 입구와, 소정의 온도에 도달하지 않는 공급수가 공급되는 저온수 입구를 구비한다. 이 축열기 (31) 의 저온수 입구에는, 공급수 (저온수 (41)) 를 열교환기 (21) 에서 가열하지 않고 축열기 (31) 로 흐르게 하는 저온수 바이패스관 (37) 을 구비한다. 그리고, 공급수 배관 (32) 의 열교환기 (21) 의 하류측에, 열교환기 (21) 를 통과한 후의 공급수를, 이 저온수 바이패스관 (37) 으로 흐르게 하는 기동용 배수관 (35) 을 설치한다. 또, 공급수 배관 (32) 의 고온수 펌프 (34) 의 하류측으로부터 고온수를 열교환기 (21) 로 흐르게 하는 기동용 급수관 (36) 을 설치한다.
공급수 배관 (32) 에는, 저온수 펌프 (33) 의 상류측에, 열교환기 (21) 에 공급수 (저온수) 를 공급하는 양을 제어하는 밸브 (51) 와, 저온수 펌프 (33) 와 열교환기 (21) 사이에, 지역열 공급 설비용 저온수 (41) 를 열교환기 (1) 에 공급하는 양을 제어하는 공급량 조정 밸브 (52) 와, 기동용 배수관 (35) 의 접속점과 축열기 (31) 사이에, 축열기 (31) 의 고온수 입구로의 공급수의 공급을 제어하는 밸브 (53) 를 설치한다. 또, 기동용 배수관 (35) 에는, 축열기 (31) 의 저온수 입구로의 공급수의 공급을 제어하는 밸브 (54) 를 설치한다. 기동용 급수관 (36) 에는, 열교환기 (21) 로의 축열기 (31) 로부터의 고온수의 공급을 제어하는 밸브 (55) 를 설치한다.
배기 가스 유로 (12) 에는, 열회수기 (13) 와 탈황 장치 (15) 사이에, 배기 가스의 온도를 측정하는 배기 가스 온도계 (56) 와, 이 배기 가스 온도계의 온도를 감시 제어하는 원격 감시 제어 장치 (57) 를 설치한다. 또, 열매체 순환 배관 (22) 에는, 열교환기 (21) 의 하류측에, 열매체의 온도를 측정하는 열매체 온도계 (58) 와, 이 열매체 온도계의 온도를 감시 제어하는 원격 감시 제어 장치 (59) 를 설치한다. 또한, 공급수 배관 (32) 에는, 열교환기 (21) 의 하류측에, 공급수(고온수) 의 온도를 측정하는 공급수 온도계 (60) 와, 이 공급수 온도계의 온도를 감시 제어하는 원격 감시 제어 장치 (61) 를 설치한다. 그리고, 본 시스템은, 이들 원격 감시 제어 장치와 통신 가능하게 접속되어, 기동용 급수 밸브 (52) 의 급수량을 제어하는 중앙 감시 제어 장치 (50) 를 구비한다.
이와 같은 구성에 의하면, 먼저, 본 시스템의 기동시에, 도 1 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밸브 (51) 및 밸브 (53) 를 닫고, 밸브 (54) 및 밸브 (55) 를 열어, 축열기 (31) 에 저류되어 있는, 예를 들어, 75 ∼ 100 ℃ 의 온도를 갖는 고온수를 고온수 펌프 (34) 에 의해 열교환기 (21) 에 공급한다. 이로써, 기동 전의 열매체 순환 배관 (22) 중의 열매체는, 예를 들어, 20 ∼ 40 ℃ 의 낮은 온도를 가지고 있지만, 열교환기 (21) 에서, 예를 들어, 적어도 70 ℃, 바람직하게는 70 ∼ 90 ℃ 의 온도까지 가열하여, 열회수기 (13) 를 난기시킬 수 있다.
다음으로, 보일러 (11) 를 운전 개시하고, 발생한 증기에 의해 증기 터빈 (도시 생략) 및 발전기 (도시 생략) 를 가동시켜 발전을 실시함과 함께, 매우 높은 온도를 갖는 보일러 배기 가스를 배기 가스 유로 (12) 로 배출한다. 보일러 배기 가스는, 필요에 따라 공기 예열기 (도시 생략) 를 통과시킨 후, 예를 들어, 120 ∼ 160 ℃ 의 온도를 갖는 상태로 열회수기 (13) 에 도입한다. 열회수기 (13) 에서는, 소정의 온도까지 가열된 열매체와 열교환을 실시하여, 예를 들어, 80 ∼ 110 ℃ 의 온도까지 저하시킨 후, 탈황 장치 (15) 에 도입한다. 그리고, 탈황 후의 보일러 배기 가스를 굴뚝 (17) 으로부터 대기로 배출한다.
보일러 배기 가스를 탈황 장치 (15) 에 도입하기 전에, 열회수기 (13) 에서 배기 가스 온도가 지나치게 낮아지면, 배기 가스 중의 부식 성분 (예를 들어, 황산 등의 황화합물) 이 노점에 도달하여, 열회수기 (13) 의 하류측에 배치되는 기기 등이 부식된다는 문제가 일어날 수 있다. 따라서, 상기와 같이 열매체를 미리 열교환기 (21) 에서 가열하여, 열회수기 (13) 를 소정의 온도까지 난기시켜둠으로써, 보일러 배기 가스의 온도를 소정의 온도로 유지할 수 있다. 또, 종래, 열회수기 (13) 를 난기시키기 위해, 발전소 내의 보일러로 증기를 발생시키고 있었지만, 본 실시형태에서는, 이와 같은 증기가 불필요해짐과 함께, 이 증기로 열회수기 (13) 의 열매체를 데우기 위해 사용하고 있던 열교환기나 드레인 장치 등의 기기도 불필요해진다.
한편, 열교환기 (21) 에서 열매체의 가열에 사용한 고온수는, 예를 들어, 30 ∼ 50 ℃ 의 온도까지 저하된다. 따라서, 기동용 배수관 (35) 및 저온수 바이패스관 (37) 을 통해 축열기 (31) 의 저온수 입구에 도입된다. 축열기 (31) 로부터는, 상기와 같이 열회수기 (13) 의 난기를 위해, 고온수를 열교환기 (21) 에 공급함과 동시에, 지역열 공급 설비로서의 고온수 (43) 를 지역으로 난방 등을 위해 공급할 수도 있다. 난방 등을 위해 사용된 저온수 (41) 는, 저온수 바이패스관 (37) 을 통해 축열기 (31) 의 저온수 입구에 회수된다.
열회수기 (13) 의 난기가 완료되면, 본 시스템을 통상 운전한다. 도 2 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밸브 (51) 및 밸브 (53) 를 열고, 밸브 (54) 및 밸브 (55) 를 닫아, 지역열 공급 설비용 공급수로서, 예를 들어, 30 ∼ 50 ℃ 의 온도를 갖는 저온수 (41) 의 일부를, 저온수 펌프 (33) 에 의해 열교환기 (21) 에 도입한다. 통상 운전시의 열교환기 (21) 에 도입되는 열매체는, 열회수기 (13) 에서 보일러 배기 가스에 의해, 예를 들어, 100 ∼ 120 ℃ 의 온도까지 가열되고 있다. 따라서, 열교환기 (21) 에서는, 이와 같이 고온의 열매체에 의해 저온수 (41) 를, 예를 들어, 75 ∼ 100 ℃ 의 온도까지 가열할 수 있다. 가열된 공급수는, 축열기 (31) 의 고온수 입구에 도입된다.
가열된 공급수는, 다시 축열기 (31) 로부터 고온수 펌프 (34) 에 의해 공급수 배관 (32) 을 통해 난방 등을 위해, 고온수 (43) 로서 지역으로 공급한다. 또, 열교환기 (21) 에서 저온수 (41) 를 가열한 후의 열매체는, 예를 들어, 70 ∼ 90 ℃ 의 온도까지 저하되지만, 열매체 순환 배관 (22) 을 통해 열회수기 (13) 에 다시 도입되어, 소정 온도까지 가열한다.
열매체는, 순환 이용에 의해 감소 또는 열화 (劣化) 되기 때문에, 열매체 탱크 (25) 로부터 프레쉬한 열매체를 열매체 순환 배관 (22) 에 공급할 수 있다. 열매체로서는, 특히 이들에 한정되지 않지만, 예를 들어, 보일러 보급수나 탈산소제를 첨가한 순수 (탈이온수) 등을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통상 운전시에도, 열매체 순환 배관 (22) 의 열교환기 (21) 의 하류측의 열매체의 온도를, 기동시와 마찬가지로, 예를 들어 70 ℃ 이상으로 유지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 때문에, 이 위치에 설치한 열매체 온도계 (58) 와 그 원격 감시 제어 장치 (59) 에 의해 열매체의 온도를 측정, 감시함과 함께, 중앙 감시 제어 장치 (50) 에 의해 공급량 조정 밸브 (52) 를 제어하여, 열교환기 (21) 에 공급되는 저온수 (41) 의 양을 제어한다. 즉, 열매체 온도계 (58) 로 측정한 온도가, 소정 온도보다 낮아지는 경우, 공급량 조정 밸브 (52) 로 저온수 (41) 의 유량을 줄여, 열교환기 (21) 에서의 열교환량을 감소시킴으로써, 열매체의 온도를 소정의 온도로 유지할 수 있다.
이 공급량 조정 밸브 (52) 는, 기동시의 운전에서도 사용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열매체 온도계 (58) 로 측정한 열매체의 온도가, 저온으로부터 소정의 온도까지 상승하는 데에 맞춰, 공급량 조정 밸브 (52) 에 의해 열교환기 (21) 에 공급되는 고온수의 유량을 제어할 수 있다. 이로써, 축열기 (31) 에 저류되어 있는 고온수를 효율적으로 사용할 수 있다.
또, 배기 가스 유로 (12) 의 열회수기 (13) 의 하류측의 보일러 배기 가스의 온도를, 예를 들어 80 ℃ 이상으로 유지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 때문에, 이 위치에 설치한 배기 가스 온도계 (56) 와 그 원격 감시 제어 장치 (57) 에 의해, 열회수기 (13) 의 하류측의 배기 가스 온도를 측정, 감시한다. 그리고, 배기 가스 온도계 (56) 로 측정한 온도가, 소정 온도보다 낮아지는 경우, 열매체의 온도를 올리기 위해, 상기와 마찬가지로, 중앙 감시 제어 장치 (50) 에 의해 공급량 조정 밸브 (52) 를 제어하여, 열교환기 (21) 에 공급되는 저온수 (41) 의 유량을 줄여, 열교환기 (21) 에서의 열교환량을 감소시킴으로써, 보일러 배기 가스의 온도를 소정 온도로 유지할 수 있다.
이와 같이, 본 실시형태에서는, 열회수기 (13) 의 하류측의 보일러 배기 가스의 온도 제어를, 열교환기 (21) 에서의 저온수 (41) 의 유량 제어에 의해 실시하기 때문에, 종래, 열매체 순환 배관 내에 설치하였던 열매체의 바이패스관이나, 바이패스 유량의 제어 밸브가 불필요해진다.
또한, 본 발명은 도 1 및 도 2 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상기 서술한 지역열 공급 설비에 추가하여, 공급수 배관 (32) 의 고온수 펌프 (34) 의 하류측에 건조기 (45) 를 구비할 수도 있다. 건조기 (45) 는, 간벌재, 칩, 왕겨, 펄프, 음식물 쓰레기, 하수 오니 등의 바이오매스를 건조시키는 설비이다. 건조기 (45) 에는, 건조기 (45) 로부터 배출된 공급수를 축열기 (31) 의 저온수 입구로 되돌리는 건조기 배수관 (38) 과, 건조기 (45) 로 고온수의 공급을 제어하는 밸브 (39) 를 설치한다.
이와 같은 구성에 의해, 소정의 온도를 갖는 고온수를 지역으로 공급하는 것 이외에, 건조기 (45) 에 공급함으로써, 그 지역에서 발생하는 바이오매스의 건조의 열원으로서도 사용할 수 있다. 또, 도면에는 지역열 공급 설비와 건조기를 병설하는 경우를 나타내었지만, 본 발명은 건조기만이어도 된다.
실시예
도 1 및 도 2 에 나타낸 시스템을 이용하여 열수지를 시뮬레이션하였다.
보일러 배기 가스의 열회수기 (13) 도입시의 온도를 130 ℃, 당초의 열매체 순환 배관 (22) 내의 열매체의 온도를 35 ℃, 지역열 공급 설비용 저온수 (41) 의 온도를 40 ℃, 당초의 축열기 (31) 에 저류되어 있는 고온수의 온도를 85 ℃ 로 하였다. 보일러 배기 가스의 유량을 1,200,000 N㎥/h, 열매체 순환 배관 (22) 내의 열매체의 유량을 510 ㎥/h, 축열기 (31) 에 저류되어 있는 고온수의 용량을 100 ㎥ 로 하였다.
시스템 기동시에, 축열기 (31) 의 고온수를 12 분간 사용한 시점에서, 70 ℃ 의 열매체를 열회수기 (13) 에 공급할 수 있었다. 다음으로, 시스템을 통상 운전으로 전환하였다. 열회수기 (13) 의 하류측의 보일러 배기 가스의 온도를 85 ℃ 로 유지하려면, 75 ℃ 의 열매체를 열회수기 (13) 에 공급하고, 보일러 배기 가스와의 열교환에 의해 열매체는 110 ℃ 까지 가열되었다. 110 ℃ 의 열매체를 열교환기 (21) 에 도입함으로써, 400 ㎥/h 유량의 40 ℃ 의 저온수를 지역열 공급 설비용 고온수로서 충분한 85 ℃ 까지 가열할 수 있었다.
11 : 보일러
13 : 열회수기
14 : 집진 장치
15 : 탈황 장치
17 : 굴뚝
21 : 열교환기
22 : 열매체 순환 배관
23 : 재순환 펌프
25 : 열매체 탱크
31 : 축열기
32 : 공급수 배관
33 : 저온수 펌프
34 : 고온수 펌프
35 : 기동용 배수관
36 : 기동용 급수관
37 : 저온수 바이패스관
38 : 건조기 배수관
39 : 밸브
41 : 저온수
43 : 고온수
45 : 건조기
50 : 중앙 감시 제어 장치
51, 53, 54, 55 : 밸브
52 : 공급량 조정 밸브
56 : 배기 가스 온도계
57, 59, 61 : 원격 감시 제어 장치
58 : 열매체 온도계
60 : 공급수 온도계

Claims (5)

  1. 발전용 보일러와, 상기 보일러의 배기 가스로부터 열회수를 실시하는 열회수기와, 상기 열회수기로 회수한 열을, 발전 이외의 설비의 열원에 사용하기 위한 열교환기와, 상기 발전 이외의 설비의 열원을 축적하는 축열기를 구비한 열회수 이용 시스템으로서, 상기 열교환기가, 상기 축열기에 축적되어 있는 열원으로 상기 열회수기를 예열하는 열회수 이용 시스템.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발전 이외의 설비가 지역 열공급 설비이며, 상기 열회수기로 회수한 열로 지역 열공급 설비의 공급수를 가열하는 열회수 이용 시스템.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발전 이외의 설비가 바이오매스 건조 설비이며, 상기 열회수기로 회수한 열로 바이오매스 건조 설비의 열매체를 가열하는 열회수 이용 시스템.
  4. 제 1 항 내지 제 3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열회수기로 회수한 열을 상기 열교환기로 열교환하기 위해, 상기 열회수기와 상기 열교환기 사이에서, 열매체가 순환하는 열매체 순환 라인을 추가로 구비하는 열회수 이용 시스템.
  5. 제 1 항 내지 제 4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열회수기로 열회수한 후의 보일러 배기 가스의 온도에 기초하여, 상기 열교환기에 있어서, 상기 열회수기로 회수한 열을 상기 발전 이외의 설비의 열원으로 하는 열교환량을 제어하는 제어 장치를 추가로 구비하는 열회수 이용 시스템.
KR1020137016130A 2010-12-27 2011-03-04 열회수 이용 시스템 KR101473601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2010290057A JP5636955B2 (ja) 2010-12-27 2010-12-27 熱回収利用システム
JPJP-P-2010-290057 2010-12-27
PCT/JP2011/055020 WO2012090517A1 (ja) 2010-12-27 2011-03-04 熱回収利用システム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30087049A true KR20130087049A (ko) 2013-08-05
KR101473601B1 KR101473601B1 (ko) 2014-12-16

Family

ID=4638264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37016130A KR101473601B1 (ko) 2010-12-27 2011-03-04 열회수 이용 시스템

Country Status (9)

Country Link
US (1) US9803853B2 (ko)
EP (1) EP2660516B1 (ko)
JP (1) JP5636955B2 (ko)
KR (1) KR101473601B1 (ko)
CN (1) CN103249999B (ko)
ES (1) ES2732296T3 (ko)
PL (1) PL2660516T3 (ko)
RS (1) RS59189B1 (ko)
WO (1) WO2012090517A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3742891A (zh) * 2014-01-09 2014-04-23 程礼华 多机组联体发电工艺与装置

Families Citing this family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5461666B1 (ja) * 2012-11-15 2014-04-02 三井造船株式会社 蓄熱発電装置及びその制御方法
JP6214253B2 (ja) * 2013-07-12 2017-10-18 日立造船株式会社 ボイラシステム
CN104566427B (zh) * 2014-03-27 2017-03-01 黑龙江国德节能服务有限公司 燃气锅炉烟气治理系统及烟气治理方法
US10378763B2 (en) 2015-12-03 2019-08-13 General Electric Company Method and apparatus to facilitate heating feedwater in a power generation system
CN107975393A (zh) * 2017-12-18 2018-05-01 湖北松源矸石发电有限公司 一种具有烟气余热利用功能的火力发电系统
CN109869786B (zh) * 2019-02-02 2023-07-18 华电电力科学研究院有限公司 一种用于联合循环机组电力调峰的抽汽供热集成系统及其运行方法
CN114375382B (zh) * 2019-09-18 2023-10-24 株式会社日立产机系统 热回收装置

Family Cites Families (1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H552771A (de) * 1972-06-12 1974-08-15 Sulzer Ag Zwangdurchlaufdampferzeuger.
US3974642A (en) * 1973-01-26 1976-08-17 Fives-Cail Babcock Societe Anonyme Hybrid cycle power plant with heat accumulator for storing heat exchange fluid transferring heat between cycles
US3863708A (en) * 1974-01-07 1975-02-04 Amax Inc Modulatable heat exchanger with restraint to avoid condensation
US4094148A (en) * 1977-03-14 1978-06-13 Stone & Webster Engineering Corporation Thermal storage with molten salt for peaking power
JPH0823290B2 (ja) 1987-04-14 1996-03-06 ヤンマーディーゼル株式会社 内燃機関の排気温度制御装置
GB9319365D0 (en) 1993-09-18 1993-11-03 Vert Investments Ltd Vitrification & power generation system
JP3063622B2 (ja) 1996-05-28 2000-07-12 株式会社日立製作所 ごみ発電システム及びごみ処理システム
JP4725985B2 (ja) 2000-03-03 2011-07-13 バブコック日立株式会社 排煙処理装置の運転方法
JP3977606B2 (ja) 2001-04-17 2007-09-19 東京瓦斯株式会社 排熱回収制御方法及びその装置
KR100962695B1 (ko) * 2001-12-04 2010-06-11 가부시키가이샤 에바라 세이사꾸쇼 배기 가스 처리 방법 및 장치
CA2498263C (en) * 2002-09-09 2011-05-03 Babcock-Hitachi Kabushiki Kaisha Exhaust smoke-processing system
JP2005036747A (ja) * 2003-07-17 2005-02-10 Ishikawajima Harima Heavy Ind Co Ltd エンジンの暖機方法及びその暖機装置
FI121637B (fi) 2004-07-23 2011-02-15 Foster Wheeler Energia Oy Menetelmä ja laite lämmönsiirtimen suojaamiseksi
JP4959156B2 (ja) 2004-11-29 2012-06-20 三菱重工業株式会社 熱回収設備
EP1816397B1 (de) 2006-02-02 2015-04-01 Fritz Egger GmbH & Co. OG Verfahren und Vorrichtung zur Wärmerückgewinnung, aus feuchtebelasteter Abluft
MX2009008840A (es) * 2007-02-20 2009-10-13 Magaldi Ricerche & Brevetti Planta y metodo para la extraccion seca/enfriada de cenizas pesadas y para controlar la combustion de residuos con alto contenido no quemado.
US9121606B2 (en) * 2008-02-19 2015-09-01 Srivats Srinivasachar Method of manufacturing carbon-rich product and co-products
JP2010151432A (ja) * 2008-12-26 2010-07-08 Kobelco Eco-Solutions Co Ltd 廃棄物焼却施設の排熱を利用するための焼却排熱利用システム
CN101813431B (zh) 2010-03-24 2011-11-02 浙江西子联合工程有限公司 温控变压式蓄热器控制系统及其控制方法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3742891A (zh) * 2014-01-09 2014-04-23 程礼华 多机组联体发电工艺与装置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RS59189B1 (sr) 2019-10-31
KR101473601B1 (ko) 2014-12-16
PL2660516T3 (pl) 2019-09-30
WO2012090517A1 (ja) 2012-07-05
EP2660516B1 (en) 2019-06-19
US20130247845A1 (en) 2013-09-26
US9803853B2 (en) 2017-10-31
CN103249999B (zh) 2015-08-05
JP5636955B2 (ja) 2014-12-10
EP2660516A4 (en) 2017-03-29
CN103249999A (zh) 2013-08-14
ES2732296T3 (es) 2019-11-21
JP2012137247A (ja) 2012-07-19
EP2660516A1 (en) 2013-11-0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130087049A (ko) 열회수 이용 시스템
RU2532635C2 (ru) Аккумуляция электроэнергии тепловым аккумулятором и обратное получение электроэнергии посредством термодинамического кругового процесса
JP2007205187A (ja) ボイラ−蒸気タービンシステムに付属させる熱回収システム
KR101521622B1 (ko) 백연 방지 시스템
US20120324893A1 (en) Coal-Fired Power Plant, and Method for Operating Coal-Fired Power Plant
JP6034154B2 (ja) 廃熱回収設備、廃熱回収方法及び廃棄物処理炉
CN102678206B (zh) 一种发电厂联合回热热力系统
CN108443906B (zh) 基于多能级与再循环加热冷风的烟气余热利用系统及方法
WO2011076994A1 (en) Method and arrangement for recovering heat from bottom ash
JP2014009877A (ja) 排煙処理装置と方法
CN102269401A (zh) 低温烟气余热回收利用方法
CN109339877B (zh) 一种煤基分布式供能系统
US20160156083A1 (en) System for generating power from fuel cell waste heat
CN102839999B (zh) 小汽轮机排汽冷源损失回收系统及方法
CN106322427A (zh) 循环流化床锅炉排渣余热利用系统及方法
JP4486391B2 (ja) 余剰蒸気の有効利用装置
JP2009097735A (ja) 給水加温システムおよび排熱回収ボイラ
CN108731004B (zh) 水冷炉排的循环冷却装置及垃圾焚烧发电装置
JP2007046113A (ja) 高炉炉頂ガス清浄設備及び高炉炉頂ガス清浄方法
JP5142817B2 (ja) 汽力発電設備における復水系統の運転方法
CN210688281U (zh) 一种烟气处理系统
KR101662474B1 (ko) 폐열 증기 발전기용 응축물 예열기
JP2014009835A (ja) 排ガス処理装置
JP2004012264A (ja) 原子力発電所の所内蒸気系凝縮水回収設備
JP2020046138A (ja) コンバインドサイクル発電設備とコンバインドサイクル発電設備の運転方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1120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1119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1118

Year of fee payment: 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