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30086395A - 노인성 체취의 원인물질인 노네날 제거용 식물추출 조성물 - Google Patents

노인성 체취의 원인물질인 노네날 제거용 식물추출 조성물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30086395A
KR20130086395A KR1020120003624A KR20120003624A KR20130086395A KR 20130086395 A KR20130086395 A KR 20130086395A KR 1020120003624 A KR1020120003624 A KR 1020120003624A KR 20120003624 A KR20120003624 A KR 20120003624A KR 20130086395 A KR20130086395 A KR 20130086395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mposition
extract
weight
comparative example
nonena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2000362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홍성철
Original Assignee
홍성철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홍성철 filed Critical 홍성철
Priority to KR1020120003624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30086395A/ko
Publication of KR2013008639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30086395A/ko

Link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1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 A61K8/96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materials, or derivatives thereof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 A61K8/97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materials, or derivatives thereof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from algae, fungi, lichens or plants; from derivatives thereof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36/00Medicinal preparations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containing material from algae, lichens, fungi or plants, or derivatives thereof, e.g. traditional herbal medicines
    • A61K36/13Coniferophyta (gymnosperms)
    • A61K36/14Cupressaceae (Cypress family), e.g. juniper or cypres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QSPECIFIC USE OF 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Q15/00Anti-perspirants or body deodorant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QSPECIFIC USE OF 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Q17/00Barrier preparations; Preparations brought into direct contact with the skin for affording protection against external influences, e.g. sunlight, X-rays or other harmful rays, corrosive materials, bacteria or insect stings
    • A61Q17/005Antimicrobial prepar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QSPECIFIC USE OF 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Q19/00Preparations for care of the skin
    • A61Q19/10Washing or bathing preparations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Natural Medicines & Medicinal Plants (AREA)
  • Microbiology (AREA)
  • Dermatology (AREA)
  • Botany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ycology (AREA)
  • Biotechnology (AREA)
  • Epidemiology (AREA)
  • Bird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Alternative & Traditional Medicine (AREA)
  • Medical Informatics (AREA)
  • Medicinal Chemistry (AREA)
  • Pharmacology & Pharmacy (AREA)
  • Cosmetics (AREA)

Abstract

(가)기술분야
노인성 체취의 원인물질인 노네날 제거용 식물추출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나)해결하고자 하는 과제
일반 세정제 등은 계면활성제를 기반으로 하기에 노네날 제거력이 없으며, 노인성 등가려움 및 건조트러블이 발생하기 쉽다. 따라서 피부 자극없이 효과적으로 노네날을 제거할수 있는 식물성 추출 전용조성물이 제공하는 것이다.
(다) 과제의 해결수단
편백수,녹차추출물,위치하젤추출물 및 탄닌산으로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노인성 체취의 원인물질인 노네날 제거용 식물추출 조성물을 제공한다. 해결 수단의 핵심은 반드시 4가지 추출물이 함께 혼합되어야 하며, 그 중 편백수의 함량이 가장 많을 때 최고의 효과를 나타낸다는 것이다. 아울러, 본 발명의 노인성 체취 제거용 식물추출 조성물은 총중량에 대하여 편백수 2.5-50중량%,녹차추출물2.0~ 30중량%, 위치하젤추출물 1.5~30중량%, 탄닌산 1.0~25중량% 일 수 있다. 편백수, 녹차추출물,위치하젤추출물,탄닌산이 상기 중량 범위에서 노인성 체취 제거 효과가 탁월하다.
(라) 효과
본 발명의 식물성추출 조성물로 피부 노인성 체취의 원인물질인 노네날 제거효과가 뛰어나며, 사용자의 만족도가 크다는 장점을 가지고 있다.

Description

노인성 체취의 원인물질인 노네날 제거용 식물추출 조성물{A composition of plants extract for removal of nonenal}
본 발명은 피부 노화에 따른 노인성 체취의 원인물질인 노네날 제거용 식물추출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노화체취란 피부가 노화됨에 따른 변화되는 체취, 즉 나이듦에 따라 체취가 발생하며, 노화현상의 한 예이다. 역겨운 노화체취(노인성 냄새)를 발생시키는 주요 원인 물질로 40대부터 증가되는 피지중 9-헥사데센산이라는 지방산이 과산화 지질이란 물질로 산화되는 과정에서 불포화알데히드인 노네날(Nonenal)이 생성된다. 이는 신체의 노화에 따른 신진대사 능력의 감소로 노폐물의 분해와 활발하지 못하게 된 독소들이 노네날과 함께 피부로 배출되면서 피부 모공을 막아 공기중 유해균과 부패되면서 노인성 악취로 변화된다.
일반적인 비누나 바디클렌져, 바디워시등은 계면활성제를 기반으로 하기에 노네날(노인성 체취의 원인물질) 제거력이 없으며, 오히려 노인성 등가려움 및 피부 조함에 따른 피부트러블이 발생하기 쉽다. 따라서 피부 노화현상에 따른 체취를 피부 자극없이 보습을 주면서 효과적으로 노네날을 제거할 수 있는 전용조성물이 절실히 요구되는 실정이다.
편백수는 편백을 수증기로 증류하여 얻은 수용액으로 피톤치드의 테르핀이라는 성분에서 살균작용 효과를 기대할 수 있다..
녹차추출물은 녹차의 물 또는 주정 추출물은 현재 식품의 원료로도 사용되고 있으며, 산화방지제 및 살균작용 효과를 발휘한다.
위치하젤추출물은 위치하젤(Witch Hazel)은 아열대에 서식하는 낙엽수의 일종으로 우리말로 풍년화라고하고, 학명은 Hamamelis Virginiana이다. 약용으로 쓰는 부위는 근피(나무껍질)이나 잎에서 성분을 추출하여 사용하며. 소취 및 항균기능을 가지고 있다.
탄닌산은 모공에 수분을 보충해주는 흡습작용과 피부 모공을 죄어주는 수렴작용에 탁월하다. 아울러 항균 살균력이 있어 피부 청결에 도움을 준다.
본 발명자는 효과적이면서 피부 자극이 없는 노화체취 발생물질인 노네날 제거용 조성물을 개발하기 위하여 연구한 결과, 편백수,녹차추출물,위치하젤잎추출물,탄닌산을 포함한 식물추출조성물이 노네날 제거에 뛰어남을 알게되어 본 발명을 완성하였다.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하는 기술적 과제는 노화피부에서 발생하는 노인성 체취의 원인물질인 노네날 제거 효과가 있는 식물성추출 조성물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은 편백수,녹차추출물,위치하젤추출물 및 탄닌산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노인성 체취의 원인물질인 노네랄 제거용 식물추출 조성물을 제공한다.
편백수는 편백을 물과 에탄올을 혼합한 용매 등을 이용하여, 유용성분을 추출하는 수증기증류법 등으로 추출한 것을 사용할 수 있으며, 시판되는 것을 구입하여 사용할수 있다.
녹차추출물은 차나무 Thea sinensis Linnaeus (Theaceae)의 잎을 에탄올? 부틸렌 글리콜혼합액으로 추출하여 얻은 추출하거나 시판되어 되는 것을 구입하여 사용할 수 있다.
위치하젤잎추출물(Hamamelis Virginiana (Witch Hazel) Leaf Extract)은 위치하젤의 잎에서 추출한 것으로 시판되는 것을 구입하여 사용할 수 있다.
탄닌산은 초산체 검출법(醋酸體檢出法). 요(尿)에 동량의 포화염화(飽和鹽化)나트륨을 가한 다음, 탄닌산시약(탄닌산 5g을 50% 알코올 240㎖에 녹이고, 25%초산 10㎖를 가한 것)을 가하면, 양성일 때 침전(沈澱)으로 얻을 수 있으나, 시판되는 것을 구입하여 사용할 수 있다.
해결 수단의 핵심은 반드시 4가지 추출물이 함께 혼합되어야 하며, 그중 편백수의 함량이 가장 많을 때 최고의 효과를 나타낸다는 것이다.
본 발명의 노인성 체취 제거용 식물추출 조성물은 총중량에 대하여 편백수 2.5-50 중량%,녹차추출물 2.0~30중량%, 위치하젤추출물 1.5~30중량%, 탄닌산 1.0~25중량% 일 수 있다. 편백수,녹차추출물,위치하젤추출물,탄닌산이 상기 중량 범위에서 노인성 체취 제거 효과가 탁월하다.
편백수,녹차추출물,위치하젤추출물,탄닌산 각각이 용이하게 혼합되도록 하기 위해 에탄올 등의 용매를 사용할 수 있다.
상기 노인성체취 제거용 식물성 조성물은 약학적 조성물, 화장품 조성물일 수
있다.
상기 노인성체취 제거용 식물추출 조성물에 약제학적으로 허용 가능한 유화제 희석제 부형제 등을 첨가하거나, 화장품 제조용 기제물질을 첨가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노인성 체취 제거용 식물추출 조성물은 제형에 제한이 있는 것은 아니나, 용액, 현탁액 ,유탁액,겔,크림,로션,파우더,비누,클렌징,바디워시,클렌징 및 스프레이중에서 선택된 제형을 갖도록 제조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식물성추출 조성물로 피부 노인성 체취의 원인물질인 노네날 제거 효과가 뛰어나며, 사용자의 만족도가 크다는 장점을 가지고 있다.
이하, 본 발명에 대해서 제제예, 실시예를 통하여 더욱 상세히 설명한다. 그러나, 이는 본 발명을 설명하기 위한 것이며, 본 발명이 이들 실시예에 의해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제제예 1>
비교제제예 1~14에서 준비된 편백수,녹차추출물,위치하젤추출물,탄닌산을 표1에 기재된 조성으로,비교제제예 1~14의 바디 클렌져 제조방식으로 바디 클렌징제를 제조하였다.
[표 1]
구분, 편백수, 녹차추출물, 위치하젤잎추출물,탄닌산, 정제수 외
비교제제예 1,10중량%,,,,잔량
비교제제예2,,5중량%,,,잔량
비교제제예3,,,5중량%,,잔량
비교제제예4,,,,5중량%,잔량
비교제제예5,10중량%,5중량%,,,잔량
비교제제예6,10중량%,,5중량%,,잔량
비교제제예7,10중량%,,,5중량%,잔량
비교제제예8,10중량%,2.5중량%,,,잔량
비교제제예9,10중량%,,2.5중량%,,잔량
비교제제예10,10중량%,,,2.5중량%,잔량
비교제제예11,,3.7중량%,2.5중량%,,잔량
비교제제예12,표 1],3.7중량%,,2.5중량%,잔량
비교제제예13,,,2.5중량%,2.5중량%,잔량
비교제제예14,,3.7중량%,2.5중량%,2.5중량%,잔량
제제예 1,10중량%,3.7중량%,2.5중량%,2.5중량%,잔량
* 정제수외 성분은 본 기능에 영향을 미치지 않는 표준처방이다.
바디크렌져 제조 공정은 다음과 같다.
1) 평량(준비된 VAT에 원료를 평량)
2) 정제수투입(본가마에 투입, 교반시작, 가온)
3) 방부제,보습제(가온 완전용해(75°C)
4) 가용화제 및 향, 에탄올투입(사전혼합 45°C 교반투입
5) 혼합교반 (agi Mix 5분)
6) 점증제 투입(점증제 사전 용해후, xcer 3분)
7) ph조절제투입 (투입, Agi Mixcer 2분)
8) Q.C(35°C 제조종료)
<실시예 1> 노인성 체취제거 효과 확인
노인성체취 제거효과 확인시험을 이하의 방법으로 하였다. 60세이상의 노년층 남 70명 여70명 총140명을 시험대상으로 선정하였으며, 한군당 남5명 여5명으로 하여 10명씩 총 14개 군으로 나누었다. 각각의 군에 대하여, 비교제제 1내지 14와 제제예1의 바디클렌져 제조물을 시료로 사용하였다. 피검자 각자에게 시료를 이용하여 각 7ml의 양을 전신에 묻혀 거품을 낸후 5분정도 전신을 샤워타올로 크렌징하도록 한후 씻어내게 하였다. 이를 1일 1회씩 총3일간 실시하며, 1일차 시료 사용 후 새로운 속옷의 등위치에 순면 패취(10cm*10cm)를 부착하여 갈아입은 후, 24시간이 지나서 패취의 체취를 평가하고, 2일차 시료사용 후 또 동일 방법으로 평가한 후 또다시 24시간 후 동일 방법으로 평가하는 방식으로 3일차까지 실시하였다. 체취의 기준은 시료사용 이전일에 기존 사용하던 방식으로 샤워를 하고 새로운 속옷 등부위 중앙에 순면패취(10cm*10cm)를 부착24시간 후 패취의 냄새를 10으로 하여 기준으로 삼았으며, 비교제제예의 1일차에서 3일차까지의 체취의 농도를 표시하게 하였다. 즉,10에 가까울수록 냄새가 강하고 낮을수록 약하다.
또한 비교제제 테스트를 마친 7일이후 제제예1에 대한 테스트를 총140명을 대상으로 비교제제예와 동일한 방법으로 실시하였다.
[표 2]
, 1일차
체취평균점/피검인원, 2일차
체취평균점/피검인원 , 3일차
체취평균점/피검인원
비교제제예 1,7/10,7/10,6/10
비교제제예 2,8/10,8/10,7/10
비교제제예 3,8/10,7/10,7/10
비교제제예 4,8/10,7/10,7/10
비교제제예 5,6/10,7/10,6/10
비교제제예 6,7/10,7/10,6/10
비교제제예 7,7/10,7/10,6/10
비교제제예 8,6/10,6/10,6/10
비교제제예 9,6/10,7/10,6/10
비교제제예 10,7/10,7/10,7/10
비교제제예 11,8/10,7/10,7/10
비교제제예 12,8/10,8/10,7/10
비교제제예 13,8/10,8/10,7/10
비교제제예 14,8/10,7/10,7/10
제제예 1,4/140,3/140,1/140
상기 표 2에 나타난 시험의 결과는 다음과 같은 사실을 나타낸다.
첫째, 편백수가 들어가지 않은 비교제제예 2,3,4, 11내지 14의 제제는 편백수가 함유된 여타의 제제에 비해 노인성 체취의 감소효과가 크지 않음을 나타낸다. 둘째, 사용횟수에 따라 체취의 감소효과와 관련이 있음을 알 수 있다. 셋째, 녹차 추출물,위치하젤추출물,탄닌산 각각도 최소한 20%-30% 정도의 체취 감소효과가 있다는 것을 나타낸다. 넷째, 편백수,녹차추출물,위치하젤추출물 혹은 탄난산이 어느 하나 혹은 2이상 혼합된 제제는 노인성체취 감소효과가 제한적으로 상승함을 알 수 있다. 마지막으로, 편백수추출물,녹차추출물,위치하젤추출물, 및 탄닌산 모두가 혼합된 제제예 1의 노인성체취 감소효과는 상당히 높아질 뿐만 아니라 노인성 체취 제거효과가 뛰어남을 나타낸다.
따라서 본 발명의 조성물의 노인성 체취의 원인물질인 노네날 제거효과가 뛰어남을 알 수 있다.
<시험예 2> 관능시험
피검자 자체 평가가 가장 좋은 비교제제 8과 제제예 1을 60대 피검자 10명이 매일 시료를 사용하게하고, 20대 패널 10명에게 피검자 10명과 1:1 파트너로 접목하여 매주말 피검자의 속옷에 부착한 패치(면 10cm* 10cm)를 1주일에 1회씩 파트너 패널에게 평가하게 하고 평균하여 하기 표에 나타내었다. (10포인트 기준으로 10에 가까울수록 냄새가 강함.)
[표3]
,1주차,2주차,3주차
제제예 1, 3.3, 2.8, 1.2
비교제제예 8, 6.2, 5.8, 6.0
표 3의 결과에 나타나는 바와 같이 비교제제예 8의 경우, 시일이 지나더라도 큰 변화가 없어 노인성 체취의 감소효과에 영향을 주지 않았음을 알 수 있다. 반면 제제예 1의 경우 1주차의 평가는 물론 2,3주차에 있어서도 점차로 감소됨을 확인 할 수 있었다. 결과적으로, 본 발명의 조성물은 노인성 체취의 원인물질인 노네날 제거에 효과가 있음을 알 수 있다.

Claims (2)

  1. 노인성 체취의 원인물질인 노네날 제거용 식물성추출 조성물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조성물은 용액,현탁액,유탁액,클렌져,목욕제,
    바디워시,바디클렌져,바디로션,바디겔,비누,스킨,로션,스프레이제 중에서
    선택된 제형을 갖는 식물추출조성물
KR1020120003624A 2012-01-11 2012-01-11 노인성 체취의 원인물질인 노네날 제거용 식물추출 조성물 KR20130086395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003624A KR20130086395A (ko) 2012-01-11 2012-01-11 노인성 체취의 원인물질인 노네날 제거용 식물추출 조성물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003624A KR20130086395A (ko) 2012-01-11 2012-01-11 노인성 체취의 원인물질인 노네날 제거용 식물추출 조성물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30086395A true KR20130086395A (ko) 2013-08-02

Family

ID=4921365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20003624A KR20130086395A (ko) 2012-01-11 2012-01-11 노인성 체취의 원인물질인 노네날 제거용 식물추출 조성물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30086395A (ko)

Cited By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60020064A (ko) * 2014-08-13 2016-02-23 정해윤 리소좀을 포함하는 노인전용 미용 제품 조성물
KR101870562B1 (ko) * 2017-02-02 2018-06-22 (주)쿠나이앤티 반려동물용 귀세정제 및 이의 제조방법
KR101957428B1 (ko) * 2017-10-16 2019-03-12 (주)바이오시엠 노화 체취 제거용 조성물
KR20200059902A (ko) 2018-11-22 2020-05-29 이노스킨 주식회사 천연물을 이용한 노인취 개선용 화장료 조성물
KR20200095027A (ko) * 2019-01-31 2020-08-10 건국대학교 글로컬산학협력단 고추 추출물을 함유하는 노인성 냄새 및 노네날 제거용 조성물
KR20240048661A (ko) 2022-10-07 2024-04-16 주식회사 게비센 2-노네날 제거용 피부 세정제 조성물

Cited By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60020064A (ko) * 2014-08-13 2016-02-23 정해윤 리소좀을 포함하는 노인전용 미용 제품 조성물
KR101870562B1 (ko) * 2017-02-02 2018-06-22 (주)쿠나이앤티 반려동물용 귀세정제 및 이의 제조방법
KR101957428B1 (ko) * 2017-10-16 2019-03-12 (주)바이오시엠 노화 체취 제거용 조성물
KR20200059902A (ko) 2018-11-22 2020-05-29 이노스킨 주식회사 천연물을 이용한 노인취 개선용 화장료 조성물
KR20200095027A (ko) * 2019-01-31 2020-08-10 건국대학교 글로컬산학협력단 고추 추출물을 함유하는 노인성 냄새 및 노네날 제거용 조성물
KR20240048661A (ko) 2022-10-07 2024-04-16 주식회사 게비센 2-노네날 제거용 피부 세정제 조성물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130086395A (ko) 노인성 체취의 원인물질인 노네날 제거용 식물추출 조성물
JPH1067673A (ja) 5α−レダクターゼの活性抑制作用とプロピオニバクテリウムアクネスに抗菌作用を有する組成物
KR102428341B1 (ko) 비누풀, 유카, 퀼라야 추출물이 함유된 천연계면활성제 조성물 및 이를 함유하는 화장료 조성물
JP2006347906A (ja) 保湿性植物抽出物並びに該抽出物を含有する外用剤、化粧料、浴用剤及び洗剤
JP2006347902A (ja) 保湿性植物抽出物並びに該抽出物を含有する外用剤、化粧料、浴用剤及び洗剤
CN108703897A (zh) 沉香花精油的用途及其制备的手工皂
JP5285203B2 (ja) 血流促進剤並びに該血流促進剤を含有する外用剤、化粧料、浴用剤及び洗剤
JP2006342067A (ja) 保湿性植物抽出物並びに該抽出物を含有する外用剤、化粧料、浴用剤及び洗剤
JPS6253917A (ja) 頭髪化粧料
JP2022173364A (ja) 皮膚外用剤
JP2006347903A (ja) 保湿性植物抽出物並びに該抽出物を含有する外用剤、化粧料、浴用剤及び洗剤
JP2006347907A (ja) 保湿性植物抽出物並びに該抽出物を含有する外用剤、化粧料、浴用剤及び洗剤
JP2006347910A (ja) 保湿性植物抽出物並びに該抽出物を含有する外用剤、化粧料、浴用剤及び洗剤
JP5875215B2 (ja) 皮脂溶解剤及びこれを含有する皮膚外用剤
JP2006342066A (ja) 保湿性植物抽出物並びに該抽出物を含有する外用剤、化粧料、浴用剤及び洗剤
JPS61263910A (ja) 頭髪化粧料
JP2006342068A (ja) 保湿性植物抽出物並びに該抽出物を含有する外用剤、化粧料、浴用剤及び洗剤
BRPI1101172A2 (pt) composiÇço desodorante e antiperspirante, processo para produÇço de composiÇço desodorante e antiperspirante e mÉtodo para prevenÇço e/ou reduÇço dos odores da transpiraÇço
JP6315533B1 (ja) 皮膚外用剤
Gadge et al. Formulation and evaluation of polyherbal antidandruff shampoo
JP2006347905A (ja) 保湿性植物抽出物並びに該抽出物を含有する外用剤、化粧料、浴用剤及び洗剤
JP2006347904A (ja) 保湿性植物抽出物並びに該抽出物を含有する外用剤、化粧料、浴用剤及び洗剤
CN106214537A (zh) 野菊花抗炎爽口液
KR100645987B1 (ko) 저온공법을 이용한 스크럽제 제조방법
JP2006342070A (ja) 保湿性植物抽出物並びに該抽出物を含有する外用剤、化粧料、浴用剤及び洗剤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WITN Application deemed withdrawn, e.g. because no request for examination was filed or no examination fee was pai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