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645987B1 - 저온공법을 이용한 스크럽제 제조방법 - Google Patents

저온공법을 이용한 스크럽제 제조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645987B1
KR100645987B1 KR1020040084953A KR20040084953A KR100645987B1 KR 100645987 B1 KR100645987 B1 KR 100645987B1 KR 1020040084953 A KR1020040084953 A KR 1020040084953A KR 20040084953 A KR20040084953 A KR 20040084953A KR 100645987 B1 KR100645987 B1 KR 10064598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eight
parts
scrub
present
scrub agen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4008495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60035445A (ko
Inventor
박철승
박명원
강순기
윤향순
성치남
Original Assignee
(주)엠포엠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엠포엠 filed Critical (주)엠포엠
Priority to KR102004008495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645987B1/ko
Publication of KR2006003544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60035445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64598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645987B1/ko

Link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1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 A61K8/96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materials, or derivatives thereof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 A61K8/97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materials, or derivatives thereof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from algae, fungi, lichens or plants; from derivatives thereof
    • A61K8/9783Angiosperms [Magnoliophyta]
    • A61K8/9789Magnoliopsida [dicotyled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02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special physical form
    • A61K8/04Dispersions; Emulsions
    • A61K8/042Gel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QSPECIFIC USE OF 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Q19/00Preparations for care of the skin
    • A61Q19/10Washing or bathing prepar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2800/00Properties of cosmetic compositions or active ingredients thereof or formulation aids used therein and process related aspects
    • A61K2800/20Chemical, physico-chemical or functional or structural properties of the composition as a whole
    • A61K2800/28Rubbing or scrubbing compositions; Peeling or abrasive compositions; Containing exfoliants

Abstract

본 발명은 1) 정제수, 보습제, 점증제, 계면활성제를 저온 내지 실온에서 균일하게 혼합하는 제 1단계,
2) 상기 혼합물에 호두껍질을 첨가하여 혼합하는 제 2단계를 포함하는, 저온공법을 사용한 스크럽제 제조방법을 제공한다.
기존의 스크럽제와 달리 저온공법으로 스크럽제를 제조함으로써, 제조공정이 간단하고, 제조시 소요비용 및 소요시간이 감소하여 경제적이며, 점증제의 조절로 시간경과 후의 상안정성이 탁월하다.

Description

저온공법을 이용한 스크럽제 제조방법{Preparation method of scrub using room-temperature processing}
본 발명은 스크럽제 제조방법 및 이로 제조된 스크럽제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스크럽제란 피부 표피상의 노화된 각질층에 흡착 또는 침적되어 있는 오염된 땀이나 피지 등의 대사산물을 각질층과 함께 떼어내는 연마제적 효과를 가진 것으로서, 비누나 세정제 또는 유화물 기제 등을 이용하여 마찰을 가함으로서 피부에 침적되어 있는 오염물을 이탈시키는 작용을 가진 고형상 물질을 말한다.
종래의 스크럽제제는 카르나우바왁스, 칸데리나왁스 등이 천연식물성 왁스류, 오조케라이트, 파라핀납, 카보왁스 등이 석유계통에서 얻어진 왁스류 및 세틸알콜, 스테아릴 알코올류 등의 천연알콜류 및 밀납 등을 함유하는데, 사용되는 왁스나 고급알콜류는 융점이 55~80 ℃인 왁스 또는 알코올류이어서, 상기 스크럽 제제가 함유된 목욕 제품들은 각 조성물 배합시 일반적으로 60~80 ℃에서 가온을 통하여 유화공정을 수행하게 된다. 이 때 온수를 사용하거나 원재료를 이용하여 가온유화방법을 사용하는 제조 공정상의 번거로움과 보일러 시설 등 추가 설비를 갖추 어야 하는 제조과정의 번거로움이 생긴다.
또한, 기존의 스크럽 제제를 함유한 기존 제품들의 조성으로 가온을 하지 않고 제조했을 시에는 시간이 지난 후 상분리 현상이 심하게 나타나는 단점이 있다.
이에 본 발명자는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저온 내지 실온에서 제조시 적합한 스크럽 제제의 조성물과 성분을 꾸준히 연구하여, 상분리 현상이 없는 스크럽제를 제조함으로써 본 발명을 완성하였다.
본 발명은 저온 공법을 이용하는 스크럽제 제조방법 및 이 제조방법으로 제조된 스크럽제를 제공한다.
본 발명은 저온공법을 사용한 스크럽제 제조방법을 제공한다.
본 발명의 스크럽제 제조방법은,
1) 정제수 40 내지 85 중량부, 보습제 5 내지 10 중량부, 점증제 1 내지 6 중량부, 계면활성제 10 내지 30 중량부를 저온 내지 실온에서 균일하게 혼합하는 제 1단계,
2) 상기 혼합물에 호두껍질 10 내지 30 중량부를 첨가하여 균일하게 혼합하는 제 2단계로 이루어진다.
본 발명의 제조방법에서 저온은 약 10 내지 20 ℃, 실온은 약 20 내지 30 ℃범위의 온도를 포함한다.
본 발명의 제조방법에서 사용한 보습제는, 에틸렌글리콜, 디에틸렌글리콜, 트리에틸렌글리콜, 폴리에틸렌글리콜, 프로필렌글리콜, 디프로필렌글리콜, 1,3-부틸렌글리콜, 글리세린, 솔비톨, 콜라겐 등 기존에 사용되어 온 보습성분 중에서 1종 또는 2종 이상이 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제조방법에서 사용한 점증제는, 메틸셀룰로스, 카르복시메틸셀룰로스, 카르복시메틸하이드록시구아닌, 하이드록시메틸셀룰로스, 하이드록시에틸셀룰로스, 카르복시비닐폴리머, 코카마이드 디이에이, 폴리쿼터늄, 세테아릴알콜, 스테아릭산, 카라기난 등 기존에 사용되어 온 점증제 중에서 선택된 1종 또는 2종 이상이 될 수 있고, 바람직하게는 카르복시메틸셀룰로스, 카르복시비닐폴리머, 코카마이드디이에이, 폴리쿼터늄 중에서 선택된 2종 이상이 될 수 있으며, 카르복시메틸셀룰로스 및 카르복시비닐폴리머 및 폴리쿼터늄으로 이루어진 것을 사용하는 것이 가장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제조방법에서 카르복시비닐폴리머, 카르복시메틸셀룰로스, 폴리쿼터늄을 사용할 때, 각각을 조성물 총 100 중량부에 대하여 0.2 내지 0.7 중량부, 0.25 내지 0.9 중량부, 0.05 내지 0.3중량부로 함유시킨다.
바람직하게는 카르복시비닐폴리머, 카르복시메틸셀룰로스, 폴리쿼터늄을 0.22 내지 0.30 중량부, 0.80 내지 0.90중량부, 0.05 내지 0.15중량부로 함유시키고, 더욱 바람직하게는 각각 0.24 중량부, 0.87 중량부, 0.1 중량부로 함유시킨다.
본 발명의 제조방법에서 사용한 계면활성제는, 코카마이도 프로필 베타인(cocamido propyl betaine), 소디움 라우릴 설페이트(sodium lauryl sulfate), 코카마이드 티이에이(cocamide TEA) 등이 될 수 있다.
상기 제 1단계의 혼합물은 화장품학적으로 허용가능한 방부제, 색소, 향료, 살균제, 세정제 및 첨가제 등을 더 함유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조성물에 함유되고 있는 성분, 즉 보습제, 점증제, 계면활성제, 방부제, 색소, 향료, 살균제, 세정제, 첨가제 등은 본 기술 분야에서 통상적으로 사용되는 성분이다.
방부제로는 구체적으로 메틸 파라벤(Methyl paraben), 에틸파라벤, 프로필파라벤 등이 될 수 있고 0.2 내지 0.4 중량부로 함유될 수 있다.
향료는 인공향료를 1 내지 4 중량부로 함유될 수 있다.
살균제로서는, 히노키티올, 트리클로산, 트리클로로히드록시디페닐에테르 등이 될 수 있고, 첨가제는 부틸히드록시아니솔, 갈릭산프로필, 엘리소르빈산 등과 같은 산화방지제, 비타민류 등이 될 수 있다.
이외에 첨가할 수 있는 배합성분은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상기 어느 성분도 본 발명의 목적 및 효과를 손상시키지 않는 범위 내에서 배합가능하지만, 총 중량에 대하여 0.1 내지 10 중량부로 함유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저온공법을 이용한 스크럽제 제조방법에 의해 제조된 스크럽제 조성물을 제공한다.
본 발명의 스크럽제 조성물은, 조성물 전체 중량을 기준으로 하여, 5 내지 10 중량부의 보습제, 1 내지 6중량부의 점증제, 10 내지 30중량부의 호두 껍질, 10 내지 30중량부의 계면 활성제, 1 내지 5 중량부의 첨가물 및 40 내지 85 중량부 정제수를 함유할 수 있고, 추가로 0.2 내지 0.4중량부의 방부제 및 1 내지 4 중량부 의 향을 함유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조성물 전체 중량을 기준으로 하여 8 내지 12중량부의 보습제, 12 내지 16중량부의 호두껍질, 12 내지 18중량부의 계면활성제, 2 내지 3 중량부의 첨가물 및 40 내지 85 중량부 정제수를 함유하고, 추가로 0.1 내지 0.3중량부의 방부제 및 2 내지 3중량부의 향료를 함유할 수 있다.
본 발명에서 제조되는 스크럽제는 점성형 혼합물 형태의 외용제이며, 화장료의 형태의 예로 특별히 한정되지는 않으나, 바람직하게는 액상 또는 젤상의 스크럽제가 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스크럽제는 화장료 또는 세정제로 사용할 수 있다.
기존의 목욕용 크림 타입 제품은 주 원료로 세틸 알콜, 스테아릴 알콜 등의 고급 알콜계 원료나, 고형 왁스 종류를 주 원료로 사용하고, 가온 공정을 이용하여 크림 타입의 유화 제품을 제조하였으나, 저온공법을 사용하는 본 발명의 스크럽제 제조방법은, 저온공법에 적합한 성분들을 혼합하고, 상세하게는 폴리쿼터늄, 카르복시메틸셀룰로스 및 카르복시비닐폴리머 등의 상안정제 역할을 하는 성분을 첨가하여, 저온에서 제조되는 스크럽제에 상안정성을 부여하며, 혼합물에 호두껍질 분말을 함유시켜 피부의 각질을 제거할 수 있는 스크럽제를 제조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제조방법은 제조공법상 가온을 하지 않기 때문에 제조공정이 간단하고, 제조시 비용 및 소요시간이 감소하여 경제적이며, 일반적으로 70 내지 80 ℃의 유화공정을 거쳐 제조된 기존 제품에서는 실온 보관시 시간이 지난 후 상분리 현상이 발생하나, 본 발명의 저온공법을 이용한 제조방법에 의해 제조된 스크럽제 조성물은 시간이 지난 후에도 상분리 현상이 발생하지 않는 장점이 있다.
이하, 본 발명의 이해를 돕기 위하여 바람직한 실시예를 제시한다. 그러나 하기의 실시예는 본 발명을 보다 쉽게 이해하기 위하여 제공되는 것일 뿐, 실시예에 의해 본 발명의 내용이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실시예 1~5] 본 발명의 스크럽제의 제조예 1~5
본 발명의 스크럽제를 다음과 같은 방법으로 제조하였다.
원료명 함 량 (g)
실시예 1 실시예 2 실시예 3 실시예 4 실시예 5
정제수 up to 100 up to 100 up to 100 up to 100 up to 100
글리세린 3.74 3.74 3.74 3.74 3.74
메틸파라벤 0.15 0.15 0.15 0.15 0.15
호두껍질분말 18.31 18.31 18.31 18.31 18.31
코카마이드 프로필 베타인 30.17 30.17 30.17 30.17 30.17
2.24 2.24 2.24 2.24 2.24
첨가제 2.75 2.75 2.75 2.75 2.75
코카마이드디이에이 2.5 2.5 2.5 2.5 2.5
카르복시비닐폴리머 0.24 0.2 0.2 0.7 0.7
카르복시메틸셀룰로스 0.87 0.6 0.5 0.25 0.25
폴리쿼터늄 0.1 0.2 0.3 0.1 0.2
상기 표 1 중 실시예 1~5 각각에 해당 성분을 해당 함량으로 혼합하여 25 ℃ 실온에서 먼저 비누화 성분으로 사용되는 음이온 계면활성제에서 비이온 계면활성제 순서로 원료를 투입한 후, 투입이 완료된 시점에서 5~10분간 정제수에 분산되도록 교반을 시켜준다. 교반이 완료된 후 첨가 약제를 투입 용해시킨 후, 완전히 분산될 때까지 혼합하여 준다. 첨가 약제가 완전히 분산된 후 점증제 및 점증 안정제를 투입하고, 마지막으로 스크럽 제제로 사용되는 호두껍질 분말을 투입하여 스크 럽제를 제조하였다. 이때 사용된 스크럽 제제용 호두껍질은 입자가 200~300㎛ 중국산을 사용하였다.
제조 후, 스크럽제 조성물의 점도는 실시예 5가 제일 높았으며, 4, 2, 3 순으로 점도를 가졌다. 50 ℃ 오븐에서 24시간 경과한 후에도 이 점도 순위는 변함이 없었다.
[비교예 1~3] 비교예 스크럽제의 제조
상기 표 1의 비교예 1~3에 해당하는 성분을 해당 함량으로 혼합하여 저온 내지 실온에서 용해시킨 후, 완전히 분산될 때까지 혼합하여 스크럽제를 제조하였다.
원료명 함 량 (g)
비교예 1 비교예 2 비교예 3
정제수 up to 100 up to 100 up to 100
보습제 3.74 3.74 3.74
방부제 0.15 0.15 0.15
호두껍질 18.31 18.31 18.31
계면활성제 30.17 30.17 30.17
2.24 2.24 2.24
첨가제 2.75 2.75 2.75
코카마이드디이에이 2.5 2.5 2.5
카르복시비닐폴리머 - 0.24 0.24
카르복시메틸셀룰로스 0.87 - 0.87
폴리쿼터늄 0.1 0.1 -
상기 실시예 1과 비교하여, 비교예 1, 2에서와 같이 카르복시비닐폴리머와 카르복시메틸셀룰로스가 들어가지 않을 경우, 점도가 매우 낮게 제조됨을 알 수 있었다.
[시험예 1] 본 발명의 스크럽제 사용평가 시험
본 발명의 제조방법에 의해 제조된 스크럽제 조성물의 각질제거효과 시험을 실시하였다.
시험은 20명을 대상으로 각질제거효과, 피부 저자극정도, 피부 부드러움 만족도, 전체적인 사용감 에 대하여 5점 척도법(5: 아주 좋음, 4: 좋음, 3: 보통, 2:나쁨, 1: 아주 나쁨)으로 실시하였고, 실시예 1 조성물과 이의 대조구로는 시중에서 판매하고 있는 크림타입 스크럽제를 사용하였다.
상기 스크럽제를 하루에 1회 매일 5일 동안 실시하였고, 스크럽제 약 7 ml을 손에 덜어 물기가 있는 얼굴에 골고루 바르고, 약 1분 동안 손으로 부드럽게 문지르면서 사용하였다. 이후 시험대상자들은 시험전후의 각질제거 효과 만족도, 피부저자극정도, 얼굴피부 부드러움 만족도, 전체적인 사용감에 대하여 평가하여, 결과를 표 3에 나타내었다.
평가점수 실시예1(명) 대조구(명)
각질제거효과 피부저자극정도 피부 부드러움 만족도 전체적인 사용감 각질제거효과 피부저자극정도 피부 부드러움 만족도 전체적인 사용감
5 13 14 16 15 8 10 10 10
4 5 4 4 4 8 5 4 4
3 2 1 - 1 3 5 6 6
2 - 1 - - 1 - - -
1 - - - - - - - -
평균점수 4.5 4.5 4.8 4.7 4.1 4.2 4.2 4.2
* 평균점수 ={(각 평가점수 ㅧ 각 명수)의 합}/20
상기 표 3의 사용평가 결과를 보면, 본 발명의 스크럽제의 경우, 시중에서 판매되는 스크럽제보다 각질제거효과, 피부 저자극 정도가 우수하고, 피부 부드러움 만족도 및 전체적인 사용감은 훨씬 뛰어남을 확인할 수 있다.
[시험예 2] 상분리현상 시험
본 발명의 제조방법에 의해 제조된 스크럽제 조성물의 상분리현상에 대해 시험하였다.
저온공법을 이용하여 제조된 상기 실시예 1, 비교예 1~3 조성물을 50 ℃ 오븐에 방치하고 24시간 ~ 6개월 동안 확인하였고, 하기 표 4에 그 결과를 나타내었다.
경과시간 실시예 1 비교예 1 비교예 2 비교예 3
24시간 - - - -
48시간 - - - -
72시간 - - - -
1주 - + - -
3주 - + + -
2개월 - + + +
3개월 - + + +
6개월 - + + +
+ : 상분리현상 있음 - : 상분리현상 없음
표 4의 결과를 보면, 실시예 1과 비교예 1, 2를 비교했을 때, 카르복시비닐폴리머와 카르복시메틸셀룰로스가 들어가지 않을 경우, 점도도 낮았고 점차 상분리 현상이 나타나기 시작하였다.
실시예 1과 비교예 3을 비교했을 때 비교예 3은 점차적으로 상분리 현상이 일어났으며, 사용한 후 감촉이 실시예 1에 비해 끈적임이 심하였다. 또한 폴리쿼터늄을 첨가함으로써 점도가 증가함을 알 수 있었다.
이상에서와 같이, 본 발명의 제조방법은 저온공법으로 스크럽제를 제조함으로써, 가온을 하지 않기 때문에 제조공정이 간단하고, 제조시 비용 및 소요시간이 감소하여 경제적이고, 점증제의 조절로 시간경과 후의 상안정성이 탁월하다.

Claims (5)

1) 조성물 총 중량에 대하여, 정제수 40 내지 85 중량부, 보습제 5 내지 10 중량부, 카르복시비닐폴리머 및 카르복시메틸셀룰로스 및 폴리쿼터늄으로 구성된 점증제 1 내지 6 중량부, 계면활성제 10 내지 30 중량부를 10~30 ℃에서 균일하게 혼합하는 제 1단계,
2) 상기 혼합물에 호두껍질 10 내지 30 중량부를 첨가하여 혼합하는 제 2단계를 포함하는 스크럽제 조성물의 제조방법.
삭제
삭제
제 1항의 제조방법에 의해 제조된 스크럽제 조성물.
제 4항에 있어서, 상기 조성물은 젤상인 스크럽제 조성물.
KR1020040084953A 2004-10-22 2004-10-22 저온공법을 이용한 스크럽제 제조방법 KR100645987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40084953A KR100645987B1 (ko) 2004-10-22 2004-10-22 저온공법을 이용한 스크럽제 제조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40084953A KR100645987B1 (ko) 2004-10-22 2004-10-22 저온공법을 이용한 스크럽제 제조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60035445A KR20060035445A (ko) 2006-04-26
KR100645987B1 true KR100645987B1 (ko) 2006-11-15

Family

ID=3714400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40084953A KR100645987B1 (ko) 2004-10-22 2004-10-22 저온공법을 이용한 스크럽제 제조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645987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890911B1 (ko) * 2007-06-28 2009-04-02 강경아 스크럽제 조성물
KR101449495B1 (ko) * 2012-08-29 2014-10-15 주식회사코리아코스팩 씨오투 슈가 스크럽과 씨오투 슈가스크럽 제조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60035445A (ko) 2006-04-2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EP2308457B1 (en) Cleansing cosmetic preparation
KR101687599B1 (ko) 보습력이 우수한 저자극성의 세정용 화장료 조성물
KR102127674B1 (ko) 실리콘-프리 및 피이지-프리의 워터 드롭 고형타입 유중수형 화장료 조성물 및 이의 제조방법
KR102248733B1 (ko) 피부 주름 및 탄력 개선용 기능성 화장료 조성물
KR20150015089A (ko) 클렌징 기능 융합 워시-오프 팩 화장료 조성물
CN111631965A (zh) 一种植物来源的具有清洁和卸妆功能的面膜
KR20160012387A (ko) 나노유화물을 함유하면서 파우더를 사용하지 않는 시간조절형 모델링 마스크 및 이의 제조방법
KR20130077091A (ko) 발 세정제 조성물
JPH06107521A (ja) 皮膚洗浄料
KR20190105383A (ko) 자가발포 기능을 갖는 화장료 조성물
CA1142854A (en) Method and compositions for the treatment of seborrhea
KR100645987B1 (ko) 저온공법을 이용한 스크럽제 제조방법
JP3774176B2 (ja) 整髪用乳化化粧料
JP3931295B2 (ja) 整髪用乳化化粧料
JPH11263721A (ja) 水中油型ゴマージュ化粧料
KR102394034B1 (ko) 캡슐화된 쿨링제를 포함하는 화장료 조성물 및 그 제조방법
KR102065321B1 (ko) 재결정 입자를 함유하는 수중유 에멀전 조성물 및 이를 포함하는 화장료 조성물
JP4310008B2 (ja) 化粧料
JP2001019611A (ja) 皮膚外用組成物
JP6870917B2 (ja) 外用組成物
JP2008179584A (ja) 透明状皮膚洗浄剤組成物
JP6779643B2 (ja) 外用組成物
JPH11302147A (ja) 化粧料
JP2004285018A (ja) 毛髪化粧料
JPH0881350A (ja) 化粧料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0828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902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1010

Year of fee payment: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1029

Year of fee payment: 10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1107

Year of fee payment: 11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1106

Year of fee payment: 12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1107

Year of fee payment: 13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1107

Year of fee payment: 14

R401 Registration of restor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