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30082491A - 클리어 파일 - Google Patents

클리어 파일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30082491A
KR20130082491A KR1020130077083A KR20130077083A KR20130082491A KR 20130082491 A KR20130082491 A KR 20130082491A KR 1020130077083 A KR1020130077083 A KR 1020130077083A KR 20130077083 A KR20130077083 A KR 20130077083A KR 20130082491 A KR20130082491 A KR 20130082491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ver
folded
connection line
clear file
front cov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3007708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종석
송현우
Original Assignee
김종석
송현우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종석, 송현우 filed Critical 김종석
Priority to KR1020130077083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30082491A/ko
Publication of KR2013008249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30082491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42BOOKBINDING; ALBUMS; FILES; SPECIAL PRINTED MATTER
    • B42FSHEETS TEMPORARILY ATTACHED TOGETHER; FILING APPLIANCES; FILE CARDS; INDEXING
    • B42F7/00Filing appliances without fastening mea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42BOOKBINDING; ALBUMS; FILES; SPECIAL PRINTED MATTER
    • B42FSHEETS TEMPORARILY ATTACHED TOGETHER; FILING APPLIANCES; FILE CARDS; INDEXING
    • B42F1/00Sheets temporarily attached together without perforating; Means therefor

Landscapes

  • Sheet Holders (AREA)

Abstract

클리어 파일이 개시된다. 본 발명의 클리어 파일은, 연결 라인부를 통해 서로 연결되는 앞면 표지와 뒷면 표지로 구성되는 커버; 상기 연결 라인부와 교차하는 방향으로 연장되도록 상기 앞면 표지에 마련되는 제1 접힘부; 및 상기 연결 라인부와 교차하는 방향으로 연장되도록 상기 뒷면 표지에 마련되는 제2 접힘부를 포함하고, 상기 커버는, 상기 연결 라인부를 기준으로 상기 앞면 표지와 상기 뒷면 표지가 포개어지도록 1차적으로 접혀진 상태에서 상기 제1 접힘부 및 상기 제2 접힘부를 기준으로 상기 앞면 표지와 상기 뒷면 표지가 이중으로 포개어지도록 2차적으로 접혀진다.

Description

클리어 파일{Clear file}
본 발명은, 클리어 파일에 관한 것으로, 더 상세하게는, 클리어 파일의 접는 구조에 관한 것이다.
클리어 파일(clear file) 혹은 파일 폴더(file folder)는 그 내부에 문서나 화지 등의 종이류를 보관 혹은 수납하기 위한 제품으로, 통상 A4용, A3용, A2용 등으로 규격화된 사이즈로 제작되고 있다. 참고로, 클리어 파일이라 하여 투명한 재질의 제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그런데, 종래의 클리어 파일은 규격 사이즈가 큰 경우(예컨대, A3용 클리어 파일, A2용 클리어 파일의 경우)에는 통상 가방 안에 넣기 힘들어 가지고 다니기 매우 불편함은 물론, 보관 시 많은 공간을 차지하는 문제점이 있었다.
관련 선행기술로는 한국공개특허공보 제2001-0030283호(발명의 명칭: 파일 폴더, 공개일자: 2001년 04월 16일) 및 일본등록실용신안공보 제3167031호(고안의 명칭: 서류 파일, 등록일자: 2011년 03월 09일) 등이 있다.
본 발명의 목적은, 사용자가 클리어 파일의 전체적인 사이즈를 줄여서 가지고 다니거나 보관하여 휴대성을 향상시키고 보관을 위한 공간을 최소화할 수 있는 클리어 파일을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 목적은, 본 발명에 따라, 연결 라인부를 통해 서로 연결되는 앞면 표지와 뒷면 표지로 구성되는 커버; 상기 연결 라인부와 교차하는 방향으로 연장되도록 상기 앞면 표지에 마련되는 제1 접힘부; 및 상기 연결 라인부와 교차하는 방향으로 연장되도록 상기 뒷면 표지에 마련되는 제2 접힘부를 포함하고, 상기 커버는, 상기 연결 라인부를 기준으로 상기 앞면 표지와 상기 뒷면 표지가 포개어지도록 1차적으로 접혀진 상태에서 상기 제1 접힘부 및 상기 제2 접힘부를 기준으로 상기 앞면 표지와 상기 뒷면 표지가 이중으로 포개어지도록 2차적으로 접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클리어 파일에 의해 달성될 수 있다.
상기 제1 접힘부 및 상기 제2 접힘부 각각은, 상기 커버보다 잘 휘어지도록 연성 재질의 시트로 마련될 수 있다.
상기 제1 접힘부 및 상기 제2 접힘부 각각은, 상기 커버와 별도로 제작된 후 상기 앞면 표지나 상기 뒷면 표지에 결합될 수 있다.
상기 제1 접힘부 및 상기 제2 접힘부 각각은, 주름 구조를 가질 수 있다.
상기 커버가 상기 제1 및 제2 접힘부를 기준으로 접혀진 상태에서 상기 제1 접힘부와 상기 제2 접힘부 중 바깥쪽에 위치하는 접힘부의 주름 간격은 다른 접힘부의 주름 간격보다 넓게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커버가 상기 제1 및 제2 접힘부를 기준으로 접혀진 상태에서 상기 제1 접힘부와 상기 제2 접힘부 중 바깥쪽에 위치하는 접힘부는 다른 접힘부보다 큰 폭으로 형성될 수 있다.
상기 클리어 파일은, 상기 커버가 접혀진 상태에서 임의로 펼쳐지지 않도록 상기 커버를 결속하기 위한 결속 부재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클리어 파일은, 상기 제1 및 제2 접힘부가 상기 연결 라인부와 만나는 위치에서 상기 커버에 관통 형성되어 상기 커버가 상기 제1 접힘부 및 상기 제2 접힘부를 기준으로 접혀졌을 때 상기 연결 라인부가 찌그러져 손상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타공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타공부는, 상기 앞면 표지와 상기 뒷면 표지의 영역에서 원호 형상으로 형성되고, 상기 뒷면 표지의 영역에서보다 상기 앞면 표지의 영역에서 상기 연결 라인부와 나란한 방향으로 더 길게 형성되거나, 상기 앞면 표지의 영역에서보다 상기 뒷면 표지의 영역에서 상기 연결 라인부와 나란한 방향으로 더 길게 형성될 수 있다.
상기 목적은, 본 발명에 따라, 연결 라인부를 통해 서로 연결되는 앞면 표지와 뒷면 표지로 구성되는 커버; 상기 연결 라인부와 나란한 방향으로 연장되도록 상기 앞면 표지에 마련되는 제1 접힘부; 및 상기 연결 라인부와 나란한 방향으로 연장되도록 상기 뒷면 표지에 마련되는 제2 접힘부를 포함하고, 상기 커버는, 상기 연결 라인부를 기준으로 상기 앞면 표지와 상기 뒷면 표지가 포개어지도록 1차적으로 접혀진 상태에서 상기 제1 접힘부 및 상기 제2 접힘부를 기준으로 상기 앞면 표지와 상기 뒷면 표지가 이중으로 포개어지도록 2차적으로 접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클리어 파일에 의해 달성될 수 있다.
본 발명은, 세로 방향과 가로 방향으로 모두 접을 수 있는 클리어 파일의 구조를 제공함으로써, 사용자가 클리어 파일의 전체적인 사이즈를 줄여서 가지고 다니거나 보관할 수 있으므로, 휴대성을 향상시키고 보관을 위한 공간을 최소화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세로 방향과 가로 방향으로 모두 접었을 때 클리어 파일이 의도하지 않게 찌그러지는 등의 손상을 방지할 수 있는 구조를 제공함으로써, 여러 번 반복해서 접었다 펼쳤다 해도 실질적으로 원래의 형상을 유지할 수 있으므로 반영구적으로 사용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세로 방향으로 두 번 접을 수 있는 또는 가로 방향으로 두 번 접을 수 있는 클리어 파일의 구조를 제공함으로써, 사용자가 클리어 파일의 전체적인 사이즈를 줄여서 가지고 다니거나 보관할 수 있으므로, 휴대성을 향상시키고 보관을 위한 공간을 최소화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클리어 파일의 평면도이다.
도 2는 도 1의 클리어 파일의 사시도이다.
도 3은 도 1의 클리어 파일에서 연결 라인부를 기준으로 접혀진 상태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4는 도 3의 클리어 파일에서 제1 및 제2 접힘부를 기준으로 접혀진 상태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클리어 파일의 평면도이다.
도 6은 도 5의 클리어 파일의 사시도이다.
도 7은 도 5의 클리어 파일에서 연결 라인부를 기준으로 접혀진 상태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8은 도 7의 클리어 파일에서 제1 및 제2 접힘부를 기준으로 접혀진 상태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9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클리어 파일의 평면도이다.
도 10은 도 9의 클리어 파일의 사시도이다.
도 11은 도 9의 클리어 파일에서 연결 라인부를 기준으로 접혀진 상태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12은 도 11의 클리어 파일에서 제1 및 제2 접힘부를 기준으로 접혀진 상태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본 발명과 본 발명의 동작상의 이점 및 본 발명의 실시에 의하여 달성되는 목적을 충분히 이해하기 위해서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예시하는 첨부 도면 및 첨부 도면에 기재된 내용을 참조하여야만 한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설명함으로써, 본 발명을 상세히 설명한다. 다만,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이미 공지된 기능 혹은 구성에 대한 설명은, 본 발명의 요지를 명료하게 하기 위하여 생략하기로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클리어 파일의 평면도이고, 도 2는 도 1의 클리어 파일의 사시도이며, 도 3은 도 1의 클리어 파일에서 연결 라인부를 기준으로 접혀진 상태를 도시한 사시도이고, 도 4는 도 3의 클리어 파일에서 제1 및 제2 접힘부를 기준으로 접혀진 상태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1 내지 도 4를 참조하면, 본 발명에 따른 클리어 파일(100)은 앞면 표지(111)와 뒷면 표지(113)로 구성되는 커버(110), 앞면 표지(111)에 형성되는 제1 접힘부(120), 및 뒷면 표지(113)에 형성되는 제2 접힘부(130)를 포함할 수 있다. 이때, 앞면 표지(111)와 뒷면 표지(113)는 도 1 및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연결 라인부(115)를 통해 서로 연결될 수 있다.
커버(110)는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전체적으로 직사각형의 판면 형상으로 폴리프로필렌(polypropylene) 등의 합성수지 재질로 제작되거나 두꺼운 종이 재질로 제작될 수 있다. 커버(110)는 그 내부에 보관하고자 하는 문서나 화지 등의 종이류의 규격 사이즈에 따라 그 크기가 결정되며, 통상 A4용, A3용, A2용 등으로 규격화된 사이즈로 구분될 수 있다.
커버(110)는 연결 라인부(115)를 통해 서로 연결되는 앞면 표지(111)와 뒷면 표지(113)로 구성되는데, 도 2 및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연결 라인부(115)를 기준으로 앞면 표지(111)와 뒷면 표지(113)가 서로 포개어지도록 세로 방향으로 접혀지는 구조로 마련될 수 있다. 이때, 연결 라인부(115)는 일정한 폭을 가지면서 커버(110)의 세로 방향으로 길게 연장되는데, 연결 라인부(115)의 길이는 앞면 표지(111)(또는 뒷면 표지(113)의 길이와 실질적으로 동일하고 연결 라인부(115)의 폭은 커버(110)의 내부에 수납하고자 하는 문서의 양 등에 따라 적절히 선택될 수 있다. 다만, 연결 라인부(115)는 본 실시예와 다르게 커버(110)가 가로 방향으로 접혀지는 구조를 갖도록, 커버(110)의 가로 방향으로 길게 연장되도록 형성될 수 있다.
도 1 및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 접힘부(120)는 연결 라인부(115)와 교차하는 방향으로 연장되도록 앞면 표지(111)에 형성되고, 제2 접힘부(130)는 연결 라인부(115)와 교차하는 방향으로 연장되도록 뒷면 표지(113)에 형성된다. 이때, 본 실시예에서 연결 라인부(115)와 교차하는 방향은 가로 방향이지만, 본 실시예와 다르게 연결 라인부(115)가 가로 방향으로 연장되는 경우에 연결 라인부(115)와 교차하는 방향은 세로 방향이 될 수 있다. 이러한 제1 접힘부(120)와 제2 접힘부(130)는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앞면 표지(111)와 뒷면 표지(113)가 서로 포개어진 상태에 있는 커버(110)가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연결 라인부(115)와 교차하는 방향(본 실시예의 경우 가로 방향)으로 용이하게 접혀지도록 하는 구성이다. 즉, 커버(110)는 앞면 표지(111)와 뒷면 표지(113)가 서로 포개어진 상태에서 제1 및 제2 접힘부(120,130)를 기준으로 자연스럽게 접혀질 수 있다. 더 구체적으로, 커버(110)는 연결 라인부(115)를 기준으로 앞면 표지(111)와 뒷면 표지(113)가 포개어지도록 1차적으로 접혀진 상태에서 제1 및 제2 접힘부(120,130)를 기준으로 앞면 표지(111)와 뒷면 표지(113)가 이중으로 포개어지도록 2차적으로 접혀질 수 있다. 이때, 앞면 표지(111)와 뒷면 표지(113)가 서로 포개어진 상태에서 제1 접힘부(120)와 제2 접힘부(130)는 서로 중첩되는 위치에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에 따라, 본 발명에 따른 클리어 파일(100)은, 세로 방향과 가로 방향으로 모두 접을 수 있는 클리어 파일의 구조를 제공함으로써, 사용자가 클리어 파일의 전체적인 사이즈를 줄여서 가지고 다니거나 보관할 수 있으므로, 휴대성을 향상시키고 보관을 위한 공간을 최소화할 수 있다. 특히, 이러한 본 발명의 이점들은 가지고 다니기 불편하고 보관 시 많은 공간을 차지하는 큰 규격 사이즈의 클리어 파일(예컨대, A3용 클리어 파일, A2용 클리어 파일)에 있어서 더욱 큰 의미를 가질 수 있다.
한편,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 접힘부(120)는 앞면 표지(111)의 중앙 위치에서 가로 방향, 즉 연결 라인부(115)와 교차하는 방향으로 연장되고, 제2 접힘부(130)는 뒷면 표지(113)의 중앙 위치에서 가로 방향, 즉 연결 라인부(115)와 교차하는 방향으로 연장되는 것이 바람직한데, 이는 제1 및 제2 접힘부(120,130)를 기준으로 커버(110)를 접었을 때 클리어 파일(100)을 절반 크기로 줄일 수 있기 때문이다.
구체적으로, 제1 접힘부(120) 및 제2 접힘부(130) 각각은 유연성이 충분히 확보되도록 도 1 내지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주름 구조를 가질 수 있다. 제1 접힘부(120)의 주름 구조는 상호 간격을 두고 배치는 다수의 긴 홈을 연결 라인부(115)와 교차하는 방향으로 길게 연장되도록 앞면 표지(111)에 형성하여 마련되고, 마찬가지로 제2 접힘부(130)의 주름 구조도 상호 간격을 두고 배치되는 다수의 긴 홈을 연결 라인부(115)와 교차하는 방향으로 길게 연장되도록 뒷면 표지(113)에 형성하여 마련될 수 있다. 이때, 다수의 긴 홈은 앞면 표지(111)나 뒷면 표지(113)의 해당 부분을 칼선 방식이나 열선 방식 등으로 가공하여 형성될 수 있다. 한편, 주름 구조를 갖는 제1 및 제2 접힘부(120,130)는 본 실시예와 다르게 별도로 제작된 후 앞면 표지(111)나 뒷면 표지(113)에 접착제나 열융착 방식 등으로 결합될 수 있으나, 제조 공정의 단순화 및 제조 비용의 절감 측면에서 본 실시예와 같은 구조 및 방식이 더 바람직하다.
한편,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2 접힘부(130)의 주름 간격은 제1 접힘부(120)의 주름 간격보다 넓은 것이 바람직한데, 이는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 및 제2 접힘부(120,130)를 기준으로 커버(110)가 접혀진 상태에서 제1 접힘부(120)는 안쪽에 제2 접힘부(130)는 바깥쪽에 위치하게 되는데, 이에 따라, 제2 접힘부(130)는 제1 접힘부(120)에 비해 상대적으로 완만하고 보다 많은 부분이 접혀지게 된다. 즉, 제1 접힘부(120)는 제2 접힘부(130)에 비해 상대적으로 급격하고 보다 적은 부분이 접히게 된다. 이러한 측면을 고려하여 커버(110)가 제1 및 제2 접힘부(120,130)를 기준으로 보다 자연스럽고 안정감 있게 접혀질 수 있도록, 제2 접힘부(130)의 주름 간격은 제1 접힘부(120)의 주름 간격보다 넓게 형성되는 것, 즉 제1 접힘부(120)의 주름 간격은 제2 접힘부(130)의 주름 간격보다 좁게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예컨대, 제1 접힘부(120)는 2mm 주름 간격으로, 제2 접힘부(130)는 3mm의 주름 간격으로 선택될 수 있다. 같은 맥락에서 제2 접힘부(130)의 폭(W2)은 제1 접힘부(120)의 폭(W1)보다 크게 형성되는 것, 즉 제1 접힘부(120)의 폭(W1)은 제2 접힘부(130)의 폭(W2)보다 작게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다만, 도 3 및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앞면 표지(111) 측(도 3의 화살표 참조)으로 접혀지도록 구성되는 본 실시예와 다르게, 뒷면 표지(113) 측으로 접혀지도록 구성될 수 있다. 이 경우, 도 1 및 도 2에 도시된 것과는 다르게 제1 접힘부(120)의 주름 간격은 제2 접힘부(130)의 주름 간격보다 넓게 형성되고, 제1 접힘부(120)의 폭은 제2 접힘부(130)의 폭보다 크게 형성될 수 있다. 정리하자면, 본 발명에서 커버(110)가 제1 및 제2 접힘부(120,130)를 기준으로 접혀진 상태에서 바깥쪽에 위치하는 접힘부의 주름 간격은 다른 접힘부의 주름 간격보다 넓게 형성될 수 있다. 마찬가지로, 커버(110)가 제1 및 제2 접힘부(120,130)를 기준으로 접혀진 상태에서 바깥쪽에 위치하는 접힘부는 다른 접힘부보다 큰 폭으로 형성될 수 있다.
도 1 내지 도 4를 참조하면, 본 발명에 따른 클리어 파일(100)은, 커버(110)에 관통 형성되는 타공부(14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타공부(140)는 도 1 및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 및 제2 접힘부(120,130)가 연결 라인부(115)와 만나는 위치(본 실시예의 경우, 커버(110) 전체의 중심 위치)에서 커버(110)에 관통 형성될 수 있다. 이때, 타공부(140)는 커버(110)가 제1 및 제2 접힘부(120,130)를 기준으로 접혀진 상태에서 타공부(140) 주변이 매끄럽고 깔끔한 모양을 유지하도록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앞면 표지(111)와 뒷면 표지(113) 영역에서 원호 형상으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이러한 원호 형상은 커버(110)를 접는 과정에서 커버(110)의 연결 라인부(115) 주변에 가해지는 응력이 특정 부분에 집중되지 않도록 하는 이점도 있다. 한편, 연결 라인부(115) 영역에서 타공부(140)는 직선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다만, 본 발명에서 타공부(140)의 형상은 본 실시예에서 개시된 형상에 한정되지 아니하고 적절히 변경될 수 있다. 또한, 타공부(140)는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뒷면 표지(113) 영역에서보다 앞면 표지(111) 영역에서 연결 라인부(115)와 나란한 방향으로 더 길게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다만, 도 3 및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앞면 표지(111) 측(도 3의 화살표 참조)으로 접혀지도록 구성되는 본 실시예와 다르게 뒷면 표지(113) 측으로 접혀지도록 구성되는 경우, 타공부(140)는 앞면 표지(111) 영역에서보다 뒷면 표지(113) 영역에서 연결 라인부(115)와 나란한 방향으로 더 길게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위와 같은 구성을 갖는 타공부(140)에 의해, 본 발명에 따른 클리어 파일(100)은 제1 및 제2 접힘부(120,130)가 연결 라인부(115)와 만나는 위치에서 연결 라인부(115)를 포함한 일정 부분이 개방됨으로써, 제1 및 제2 접힘부(120,130)를 기준으로 커버(110)를 접었을 때 커버(110)의 연결 라인부(115) 등이 찌그러지는 등의 손상을 방지할 수 있다. 이에 따라, 본 발명에 따른 클리어 파일(100)은 여러 번 반복해서 접었다 펼쳤다 해도 실질적으로 원래의 형상을 유지할 수 있으므로 반영구적으로 사용할 수 있다는 이점이 있다.
이하,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클리어 파일을 전술한 실시예와 상이한 점을 중심으로 설명한다.
도 5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클리어 파일의 평면도이고, 도 6은 도 5의 클리어 파일의 사시도이며, 도 7은 도 5의 클리어 파일에서 연결 라인부를 기준으로 접혀진 상태를 도시한 사시도이고, 도 8은 도 7의 클리어 파일에서 제1 및 제2 접힘부를 기준으로 접혀진 상태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5 내지 도 8을 참조하면, 본 발명에 따른 클리어 파일(200)은, 연결 라인부(115)를 통해 서로 연결되는 앞면 표지(111)와 뒷면 표지(113)로 구성되는 커버(110), 연결 라인부(115)와 교차하는 방향으로 연장되도록 앞면 표지(111)에 마련되는 제1 접힘부(220), 연결 라인부(115)와 교차하는 방향으로 연장되도록 뒷면 표지(113)에 마련되는 제2 접힘부(230), 제1 및 제2 접힘부(220,230)가 연결 라인부(115)와 만나는 위치에서 커버(110)에 관통 형성되는 타공부(140), 및 접혀진 커버(110)를 결속하기 위한 결속 부재(250)를 포함할 수 있다.
본 실시예에 따른 클리어 파일(200)은 제1 접힘부(220), 제2 접힘부(230) 및 결속 부재(250)의 구성을 제외하고, 전술한 실시예에 따른 클리어 파일(100)의 구성과 실질적으로 동일하므로, 그 동일한 구성에 대해서는 동일한 도면부호를 부여하였으며, 그에 대한 설명은 전술한 실시예를 준용하기로 한다.
도 5 및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 접힘부(220) 및 제2 접힘부(230) 각각은, 주름 구조를 갖는 전술한 실시예와 다르게, 커버(110)보다 잘 휘어질 수 있도록 연성 재질의 시트로 마련될 수 있다. 예컨대, 제1 접힘부(220) 및 제2 접힘부(230)는 얇은 두께를 갖는 고무 시트로 마련될 수 있다. 이때, 제1 접힘부(220) 및 제2 접힘부(230)는 커버(110)와 별도로 제작된 후 앞면 표지(111)나 뒷면 표지(113)에 접착제나 열융착 방식 등으로 결합될 수 있다.
이러한 제1 접힘부(120)와 제2 접힘부(130)는 전술한 실시예와 마찬가지로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앞면 표지(111)와 뒷면 표지(113)가 서로 포개어진 상태에 있는 커버(110)가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연결 라인부(115)와 교차하는 방향으로 용이하게 접혀지도록 하는 구성이다. 즉, 커버(110)는 앞면 표지(111)와 뒷면 표지(113)가 서로 포개어진 상태에서 연성 재질의 시트로 마련된 제1 및 제2 접힘부(220,230)를 기준으로 자연스럽게 접혀질 수 있다. 이때, 앞면 표지(111)와 뒷면 표지(113)가 서로 포개어진 상태에서 제1 접힘부(220)와 제2 접힘부(230)는 서로 중첩되는 위치에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제1 접힘부(220)는 앞면 표지(111)의 중앙 위치에서 가로 방향, 즉 연결 라인부(115)와 교차하는 방향으로 연장되고, 제2 접힘부(230)는 뒷면 표지(113)의 중앙 위치에서 가로 방향, 즉 연결 라인부(115)와 교차하는 방향으로 연장되는 것이 더 바람직하다.
이에 따라, 본 발명에 따른 클리어 파일(200)은, 사용자가 클리어 파일의 전체적인 사이즈를 줄여서 가지고 다니거나 보관할 수 있으므로, 휴대성을 향상시키고 보관을 위한 공간을 최소화할 수 있다. 특히, 이러한 본 발명의 이점들은 가지고 다니기 불편하고 보관 시 많은 공간을 차지하는 큰 규격 사이즈의 클리어 파일(예컨대, A3용 클리어 파일, A2용 클리어 파일)에 있어서 더욱 큰 의미를 가질 수 있다.
결속 부재(250)는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커버(110)가 연결 라인부(115)를 기준으로 1차적으로 접혀진 상태이거나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커버(110)가 제1 및 제2 접힘부(220,230)를 기준으로 2차적으로 접혀진 상태에서 사용자의 의도와 무관하게 임의로 펼쳐지지 않도록 커버(100)를 결속하기 위한 수단이다. 구체적으로, 결속 부재(250)는 소정의 탄성을 보유한 끈(밴드) 형태로 마련되어 접혀진 커버(110)를 도 7 및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묶어서 결속할 수 있다. 이때, 끈 형태의 결속 부재(250)는 뒷면 표지(113)에 형성된 2개의 관통공(113a)을 통해 커버(110)에 연결될 수 있다. 다만, 본 발명에서 결속 부재(250)의 구성은 본 실시예에서 개시된 것에 한정되지 아니하고 적절히 변경될 수 있다.
이하,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클리어 파일을 전술한 실시예와 상이한 점을 중심으로 설명한다.
도 9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클리어 파일의 평면도이고, 도 10은 도 9의 클리어 파일의 사시도이며, 도 11은 도 9의 클리어 파일에서 연결 라인부를 기준으로 접혀진 상태를 도시한 사시도이고, 도 12는 도 11의 클리어 파일에서 제1 및 제2 접힘부를 기준으로 접혀진 상태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9 내지 도 12를 참조하면, 본 발명에 따른 클리어 파일(300)은, 연결 라인부(115)를 통해 서로 연결되는 앞면 표지(111)와 뒷면 표지(113)로 구성되는 커버(110), 연결 라인부(115)와 나란한 방향으로 연장되도록 앞면 표지(111)에 마련되는 제1 접힘부(320), 연결 라인부(115)와 나란한 방향으로 연장되도록 뒷면 표지(113)에 마련되는 제2 접힘부(330)를 포함할 수 있다.
본 실시예에 따른 클리어 파일(300)은 제1 접힘부(320) 및 제2 접힘부(330)가 연결 라인부(115)와 나란한 방향으로 연장되는 구성이라는 점에서 전술한 실시예에 따른 클리어 파일(100)과 큰 차이가 있고, 나머지 대부분의 구성은 전술한 실시예에 따른 클리어 파일(100)의 구성과 실질적으로 동일하므로, 그 동일한 구성에 대해서는 동일한 도면부호를 부여하였으며, 그에 대한 설명은 전술한 실시예를 준용하기로 한다. 한편, 전술한 실시예의 클리어 파일(100)에서 타공부(140)는 본 실시예의 클리어 파일(300)에서 생략된다.
도 9 및 도 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 접힘부(320)는 연결 라인부(115)와 나란한 방향으로 연장되도록 앞면 표지(111)에 형성되고, 제2 접힘부(330)는 연결 라인부(115)와 나란한 방향으로 연장되도록 뒷면 표지(113)에 형성된다. 이때, 본 실시예에서 연결 라인부(115)와 나란한 방향은 세로 방향이지만, 본 실시예와 다르게 연결 라인부(115)가 가로 방향으로 연장되는 경우에 연결 라인부(115)와 나란한 방향은 가로 방향이 될 수 있다.
이러한 제1 접힘부(320)와 제2 접힘부(330)는 도 1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앞면 표지(111)와 뒷면 표지(113)가 서로 포개어진 상태에 있는 커버(110)가 도 1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연결 라인부(115)와 나란한 방향(본 실시예의 경우 세로 방향)으로 용이하게 접혀지도록 하는 구성이다. 즉, 커버(110)는 앞면 표지(111)와 뒷면 표지(113)가 서로 포개어진 상태에서 제1 및 제2 접힘부(320,330)를 기준으로 자연스럽게 접혀질 수 있다. 더 구체적으로, 커버(110)는 연결 라인부(115)를 기준으로 앞면 표지(111)와 뒷면 표지(113)가 포개어지도록 1차적으로 접혀진 상태에서 제1 및 제2 접힘부(320,330)를 기준으로 앞면 표지(111)와 뒷면 표지(113)가 이중으로 포개어지도록 2차적으로 접혀질 수 있다. 이때, 앞면 표지(111)와 뒷면 표지(113)가 서로 포개어진 상태에서 제1 접힘부(320)와 제2 접힘부(330)는 서로 중첩되는 위치에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에 따라, 본 발명에 따른 클리어 파일(300)은, 세로 방향으로 두 번 접을 수 있는 또는 가로 방향으로 두 번 접을 수 있는 클리어 파일의 구조를 제공함으로써, 사용자가 클리어 파일의 전체적인 사이즈를 줄여서 가지고 다니거나 보관할 수 있으므로, 휴대성을 향상시키고 보관을 위한 공간을 최소화할 수 있다.
한편,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 접힘부(320)는 앞면 표지(111)의 중앙 위치에서 세로 방향, 즉 연결 라인부(115)와 나란한 방향으로 연장되고, 제2 접힘부(330)는 뒷면 표지(113)의 중앙 위치에서 세로 방향, 즉 연결 라인부(115)와 나란한 방향으로 연장되는 것이 바람직한데, 이는 제1 및 제2 접힘부(320,330)를 기준으로 커버(110)를 접었을 때 클리어 파일(300)을 절반 크기로 줄일 수 있기 때문이다.
구체적으로, 제1 접힘부(320) 및 제2 접힘부(330) 각각은 유연성이 충분히 확보되도록 도 9 내지 도 1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주름 구조를 가질 수 있다. 다만, 이와 다르게 제1 접힘부(320) 및 제2 접힘부(330)는 커버(110)보다 잘 휘어질 수 있도록 연성 재질의 시트, 예컨대 얇은 두께를 갖는 고무 시트로 마련될 수 있는데, 이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전술한 실시예의 클리어 파일(200)에 관한 설명을 준용하기로 한다.
제1 및 제2 접힘부(320,330)의 주름 구조는 그 방향성을 제외하고 전술한 실시예의 클리어 파일(100)에서 제1 및 제2 접힘부(120,130)의 주름 구조와 실질적으로 동일하므로, 이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전술한 실시예를 준용하기 한다. 다시 말해서, 제1 접힘부(320)의 주름 구조는 상호 간격을 두고 배치되는 다수의 긴 홈을 연결 라인부(115)와 나란한 방향으로 길게 연장되도록 앞면 표지(111)에 형성하여 마련되고, 마찬가지로 제2 접힘부(330)의 주름 구조도 상호 간격을 두고 배치되는 다수의 긴 홈을 연결 라인부(115)와 나란한 방향으로 길게 연장되도록 뒷면 표지(113)에 형성하여 마련될 수 있다. 이때,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2 접힘부(330)의 폭(W2)은 제1 접힘부(320)의 폭(W1)보다 크게 형성되고, 제2 접힘부(130)의 주름 간격은 제1 접힘부(120)의 주름 간격보다 넓은 것이 바람직한데, 이에 대한 이유는 전술한 실시예에서 상세히 언급한 바 있다.
본 발명은 전술한 실시예들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고, 본 발명의 사상 및 범위를 벗어나지 않고 다양하게 수정 및 변형할 수 있음은 이 기술의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자명하다. 따라서 그러한 수정예 또는 변형예들은 본 발명의 특허청구범위에 속한다 하여야 할 것이다.
100,200,300 : 클리어 파일
110 : 커버
111 : 앞면 표지
113 : 뒷면 표지
115 : 연결 라인부
120,220,320 : 제1 접힘부
130,230,330 : 제2 접힘부
140 : 타공부
250 : 결속 부재

Claims (10)

  1. 연결 라인부를 통해 서로 연결되는 앞면 표지와 뒷면 표지로 구성되는 커버;
    상기 연결 라인부와 교차하는 방향으로 연장되도록 상기 앞면 표지에 마련되는 제1 접힘부; 및
    상기 연결 라인부와 교차하는 방향으로 연장되도록 상기 뒷면 표지에 마련되는 제2 접힘부를 포함하고,
    상기 커버는, 상기 연결 라인부를 기준으로 상기 앞면 표지와 상기 뒷면 표지가 포개어지도록 1차적으로 접혀진 상태에서 상기 제1 접힘부 및 상기 제2 접힘부를 기준으로 상기 앞면 표지와 상기 뒷면 표지가 이중으로 포개어지도록 2차적으로 접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클리어 파일.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접힘부 및 상기 제2 접힘부 각각은, 상기 커버보다 잘 휘어지도록 연성 재질의 시트로 마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클리어 파일.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접힘부 및 상기 제2 접힘부 각각은,
    상기 커버와 별도로 제작된 후 상기 앞면 표지나 상기 뒷면 표지에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클리어 파일.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접힘부 및 상기 제2 접힘부 각각은, 주름 구조를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클리어 파일.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커버가 상기 제1 및 제2 접힘부를 기준으로 접혀진 상태에서 상기 제1 접힘부와 상기 제2 접힘부 중 바깥쪽에 위치하는 접힘부의 주름 간격은 다른 접힘부의 주름 간격보다 넓게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클리어 파일.
  6. 제1항 내지 제5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커버가 상기 제1 및 제2 접힘부를 기준으로 접혀진 상태에서 상기 제1 접힘부와 상기 제2 접힘부 중 바깥쪽에 위치하는 접힘부는 다른 접힘부보다 큰 폭으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클리어 파일.
  7. 제1항 내지 제5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클리어 파일은,
    상기 커버가 접혀진 상태에서 임의로 펼쳐지지 않도록 상기 커버를 결속하기 위한 결속 부재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클리어 파일.
  8. 제1항 내지 제5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클리어 파일은,
    상기 제1 및 제2 접힘부가 상기 연결 라인부와 만나는 위치에서 상기 커버에 관통 형성되어 상기 커버가 상기 제1 접힘부 및 상기 제2 접힘부를 기준으로 접혀졌을 때 상기 연결 라인부가 찌그러져 손상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타공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클리어 파일.
  9. 제8항에 있어서,
    상기 타공부는,
    상기 앞면 표지와 상기 뒷면 표지의 영역에서 원호 형상으로 형성되고,
    상기 뒷면 표지의 영역에서보다 상기 앞면 표지의 영역에서 상기 연결 라인부와 나란한 방향으로 더 길게 형성되거나, 상기 앞면 표지의 영역에서보다 상기 뒷면 표지의 영역에서 상기 연결 라인부와 나란한 방향으로 더 길게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클리어 파일.
  10. 연결 라인부를 통해 서로 연결되는 앞면 표지와 뒷면 표지로 구성되는 커버;
    상기 연결 라인부와 나란한 방향으로 연장되도록 상기 앞면 표지에 마련되는 제1 접힘부; 및
    상기 연결 라인부와 나란한 방향으로 연장되도록 상기 뒷면 표지에 마련되는 제2 접힘부를 포함하고,
    상기 커버는, 상기 연결 라인부를 기준으로 상기 앞면 표지와 상기 뒷면 표지가 포개어지도록 1차적으로 접혀진 상태에서 상기 제1 접힘부 및 상기 제2 접힘부를 기준으로 상기 앞면 표지와 상기 뒷면 표지가 이중으로 포개어지도록 2차적으로 접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클리어 파일.
KR1020130077083A 2013-07-02 2013-07-02 클리어 파일 KR20130082491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077083A KR20130082491A (ko) 2013-07-02 2013-07-02 클리어 파일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077083A KR20130082491A (ko) 2013-07-02 2013-07-02 클리어 파일

Related Parent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10108465A Division KR20130044415A (ko) 2011-10-24 2011-10-24 클리어 파일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30082491A true KR20130082491A (ko) 2013-07-19

Family

ID=4899374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30077083A KR20130082491A (ko) 2013-07-02 2013-07-02 클리어 파일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30082491A (ko)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130044415A (ko) 클리어 파일
JP3213720U (ja) 折りたたみ機能を備えたマスク収納ケース
CA2838532C (en) Expandable capacity pocket divider
RU2359838C2 (ru) Папка для документов, имеющая по меньшей мере два клапана
CA2838533C (en) Expandable capacity pocket device
CN104245344B (zh) 封盖、联接元件和文件夹
JP2017217917A (ja) フォルダー
KR20130082491A (ko) 클리어 파일
WO2020105065A1 (en) An integrated document holder
JP3139076U (ja) クリアファイル
KR101924287B1 (ko) 서류 보관용 파일
JP7500948B2 (ja) ホルダ
JP3195817U (ja) 書類収納具
JP2020040305A (ja) 書類ホルダ及び書類ホルダの製造方法
JP3184301U (ja) クリアファイルブック
CN210652399U (zh) 一体式光栅文件夹套
JP2018158471A (ja) ブックカバー、ケース
JP7358906B2 (ja) ホルダ
JP6933044B2 (ja) ファイル
JP2013086344A5 (ko)
JP3207893U (ja) 書類収納具
KR20170000912U (ko) 클리어 파일
JP2016120645A (ja) 紙挟み
JP2013107309A (ja) 新規書類収納フォルダー
JP2017043000A (ja) 綴りシート、及びファイル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107 Divisional application of patent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